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성화고등학교 직업영어 교재개발

        윤소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83

        세계화와 지식 정보화 시대에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단순 기능 인력이 아닌 전문 기술인재로서 경력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감각 및 외국어 역량이 필수적으로 배양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나라 중등 영어교육의 내용과 방향은 대학진학을 목표로 하는 일반계고등학교 학생들을 위주로 정해져 왔고, 그 사이 취업을 목표로 하는 특성화고 학생들은 자신들의 수준과 필요에 부합하지 않는 영어교육을 받아야만 했다. 이제 특성화고의 영어교육은 일반계고와 동일한 영어 교육과정, 교과서 중심의 영어 수업에서 벗어나, 특성화고 전공 및 직업에 대한 내용을 담은 직업영어 교재를 가지고 이에 걸맞는 교수학습 원칙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에 근거하여 직업영어 교육의 목표와 원칙을 정립하고, 취업중심 특성화고등학교 직업영어 교재의 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직업영어 교육과정을 살피고, 직업영어 교육의 이론적 근간이 되는 특수목적영어, 내용중심교수법,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을 고찰하여 직업영어의 교수학습 목표 및 원칙을 수립하였다. 둘째,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직업영어 교과서 9종을 분석하여, 그들이 전공별 직업 내용을 담고 있긴 하나, 적합한 영어 교수학습 원리에 근거하여 제작되지 않았기에 이러한 교과서를 가지고 직업영어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밝혔다. 셋째, 110명의 특성화고 교사들과 34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현행 특성화고 영어교육의 문제점과 직업영어 교육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직업영어 교재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요구를 알아내었다. 넷째, 직업영어 중 전기영어 1개 단원 개발을 통해 특성화고 구성원들의 요구와 영어 교수학습 원리를 적용, 구체화시켰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교재 단원을 가지고 특성화고 전기과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4차시에 걸친 현장수업을 실시하여, 교사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었다. 특성화고 직업영어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일반계고와 동일하게 배우는 보통교과 영어수업과 전문교과에 속해있으며 어휘 및 일대일 번역 중심으로 구성된 직업영어수업을 통합하는 의사소통중심 직업영어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필요하겠다.

      • 영어과 교육과정, 대학수학능력시험, EBS 교재의 코퍼스 기반 어휘 분석

        최민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2009 영어과 교육과정이 적용된 시기의 수능, 전국연합학력평가, EBS 연계교재의 영어 독해지문에 사용된 어휘와 2009, 2015 영어과 교육과정의 기본 어휘 목록의 어휘를 비교하여 어휘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영어 학습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에 대해 확인하고자 기초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다음으로 2015~2018년 6월, 9월 전국연합학력평가 8회, 2016~2019학년도 수능 영어영역 4회, 2015~2018년 출간된 EBS 연계교재 13권의 독해지문을 코퍼스로 구축하여 WordSmith Tools 7.0을 분석도구로 각 시험 및 교재에 사용된 어휘의 외형적 크기와 다양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축된 어휘 코퍼스와 2009, 2015 영어과 교육과정 기본 어휘를 Range 프로그램으로 비교・분석하여 해당 시험 및 교재에 교육과정 기본 어휘 목록에서 벗어난 어휘들이 어느 정도의 비율로 사용되었는지 확인하였다. 기초 설문조사와 코퍼스 비교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 설문조사에 참여한 1,081명 학생 중 90%가 넘는 1,007명의 학생들이 영어 듣기 영역보다 독해 영역에 더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고, 영어 독해 영역이 어렵다고 답한 1,007명의 학생 중 53.8%에 해당하는 학생 542명이 독해 영역이 어려운 이유로 ‘어휘’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해당 시기의 수능, 전국연합학력평가, EBS 연계교재의 독해 영역 지문을 코퍼스로 구축하여 WordSmith Tools 7.0로 분석한 결과 수능, 전국연합학력평가, EBS 연계교재의 독해 영역 지문에 사용된 어휘 총량은 뚜렷한 규칙성이 없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어휘 사용의 다양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셋째, Rang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해당 시기의 수능, 전국연합학력평가, EBS 연계교재 독해 영역 지문에 2009, 2015 교육과정 기본 어휘 목록에서 벗어난 어휘의 사용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에서 벗어난 어휘의 사용량도 모두 규칙성 없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각 결과의 Type을 비교해보면 2009, 2015 교육과정 기본 어휘 목록에서 벗어난 어휘들이 중복사용 없이 가장 다양하게 사용된 것은 EBS 연계교재였다. EBS 연계교재 70% 수능 반영비율을 계속 유지한다면 학생들은 영어 학습에 더욱 어려움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수능 영어 절대평가의 의의에 맞게 수능, 전국연합학력평가, EBS 연계교재에 사용되는 어휘 간의 격차에 대한 균형이 이루어지기 위한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

      • 과정중심 쓰기 수행평가가 고등학생 영어 학습에 미치는 효과

        강윤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교실에서 수행평가의 올바른 방향에 대한 탐구로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습자 자율성을 향상시키며 학습 효과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영어교육 현장에서 적합성이 높은 과정중심 쓰기 수행평가를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과정중심 평가를 강조하는 현행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의하면 과정중심 평가는 교육과정의 학년별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교수·학습과 평가의 연계성을 유지하여 학습한 내용을 평가하는 것인데, 학습 결과를 평가할 뿐 아니라 학습 과정까지도 평가에 포함하여 학생의 자기성찰과 성장, 발전을 도와주는 적극적인 평가로 여겨지므로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 영어교과의 과정중심 수행평가에 대한 제반 이론과 선행연구를 참고하고 분석하여 그 정의와 특징을 중심으로 탐구하고, 영어교과 국가수준의 교육과정(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2015)의 주요 특징과 교육과정에서 안내하는 고등학교 학년별, 언어 기능별 성취기준과 이러한 성취기준에 기반을 둔 평가 방법 및 유의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고등학교 2학년 영어 교실에 적용할만한 과정중심 수행평가 교수·학습 모형과 활동지를 개발하여, 이를 서울 소재 S 고등학교 2학년 4개 학급 7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제 영어 수업에 적용하여 보았다. 연구 기간 동안 실제적인 과정중심 수행평가의 세부적인 실시 계획부터 절차 및 시행 방법을 포함한 수행평가 모형을 연구 대상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쓰기는 주어진 주제에 따라 학습자들의 언어 수행 자체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가능한 한 교과서와 연계된 지문을 활용하여 실제 생활에서 사용되는 언어와 유사한 과제와 상황을 설정하였다. 또한 과제완성, 내용, 구성, 언어사용과 같은 요소 중 선택하여 등급을 나누는 분석적 채점과 전반적으로 등급을 나누는 총괄적 채점 방법을 적용하였다. 수행평가 과정 중 학생들에게 충분히 쓸 수 있는 기회와 시간을 제공하였으며, 글쓰기 과정에 대한 평가로 학습자의 자기 평가 뿐 아니라 학생 상호평가 등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의 흥미, 자신감, 참여도가 증진되는지를 알아보는 동시에 쓰기에 대한 두려움이 감소되는지 확인하였다. 이에 대한 검증은 사전-사후 반응 설문지 및 사전-사후 쓰기 능력 평가지의 분석과 대표성을 띤 학습자들의 개인 및 집단에 대한 심층면접 등을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고등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은 문제풀이와 일회성의 글쓰기 수업에 익숙해져 있어 다양한 조별 활동과 자기평가, 동료평가, 교사의 피드백 등 학습과정에 있어 상당한 시간과 개인적인 노력이 요구되어지는 과정중심 수행평가 과정을 다소 부담스러워 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과정중심 수행평가를 통한 글쓰기 학습의 체계적인 지도와 학습자 스스로의 자기주도적인 과정중심 글쓰기 학습이 학생들이 글쓰기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자연스럽게 습득하고 있는 어휘와 문장 구조의 내재화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므로 교육과정 속에서 적용할 수 있는 보다 체계적인 일련의 과정중심 글쓰기 수행평가 모형이 필요하다. 이에 학생들이 느끼는 글쓰기에 대한 부담감과 과정중심 쓰기 수행평가 과정에 대한 어려움에도 수행평가를 통해 명시적인 학습과 암시적인 학습을 실시한 결과 학습자들의 흥미, 자신감, 참여도와 같은 정의적 태도 및 영어 자기효능감 등이 증진되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체계성을 갖춘 단위학교 과정중심 쓰기 수행평가의 적용이 자기주도성을 증진할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자율성으로 이어져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영어 쓰기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아울러 효과적인 과정중심 쓰기 수행평가의 적용을 위해서 현장 영어 교실에 적합한 다양한 모형 개발과 중학교 수준에서부터 과정중심 글쓰기를 통해 체계적인 글쓰기를 시행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내 문학 텍스트 질문 유형 분석 연구

        심현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내 문학 텍스트와 비(非)문학 텍스트의 종류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같은 방법으로 읽는 것에서부터 착안하였다. 현재의 영어교육은 단지 정보 전달과 표면적인 이해만을 요구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영어교육은 단순한 정보 습득을 뛰어넘어 학생들이 개인적인 경험을 투사하여 텍스트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깊은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 따라서 독자반응이론을 바탕으로, 영어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심미적인 읽기 경험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정 교육과정과 학교 현장의 요구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읽기 지문과 읽기 전, 중, 후 질문에 나타난 인지적·정의적 영역 관련 질문을 분석 한 후 고등학교 교과서의 발전 방안을 탐색하고 제안하는 것이다. 먼저,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 과목 목표, 읽기 영역의 성취기준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을 갖춘 창의적 인재 육성을 중요시함에 따라 학생들의 정의적이고 정서적인 영역과 관련하여 창의적인 생각을 요구하는 질문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고등학교 영어 교사 및 학생들의 요구조사 및 분석을 통해 문학 텍스트와 관련한 정서적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질문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첫째, 텍스트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고안한 분석 틀에 의거하여 텍스트 유형을 구분하였다. 고등학교 영어 I 교과서와 영어 II 교과서 내 텍스트는 대부분 설명문을 중점으로 한 비문학 텍스트였으며 그에 비해 문학 텍스트의 비중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류된 문학 텍스트의 읽기 전, 중, 후 단계에 수록된 질문이 학생들의 정서적 반응을 도출해 낼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따라서 문학 텍스트와 관련한 질문들을 Krathwohl 등의 정의적 영역 분류표와 Thomson의 독자반응 접근법 발전모델을 참고하여 창안한 분석틀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문학 텍스트와 관련한 읽기 전, 중, 후 질문 중에서 독자의 정의적인 영역과 관련한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질문의 비중은 양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그 중 개인적인 감정이입을 묻는 질문과 유추 단계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가치화 단계와 조직화 단계, 인격화 단계의 질문들은 낮은 비율을 보였다. 고등학교 영어 I 교과서 8종과 영어 II 교과서 8종, 총 16 종을 분석한 결과, 교육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교 교과서의 읽기 지문은 문학 텍스트와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특히 문학 텍스트의 양이 증가되어야 하며 또한 문학 텍스트 내 정의적 영역의 질문이 증가되어야 한다. 더불어 다양한 단계에 속하는 질문들로 구성되어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교과서의 변화와 함께 문학 텍스트와 관련한 정의적 영역의 질문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현직 영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수가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변화들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평가 위주의 영어 교육 시스템의 변화가 가장 우선적으로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 비판적 읽기 요소를 중심으로 한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분석

        김지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비판적 교육론의 관점에서 볼 때 현재 학교 영어 교육의 모습은 어떠한가 하는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영어 수업은 이해와 언어적 기술의 습득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넘어 비판적 읽기를 통해 학생에게 주체적인 행위자로서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방식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는 개정 교육과정과 학교 현장의 요구를 바탕으로 하여 비판적 읽기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읽기 지문과 읽기 전, 중, 후 질문에 나타난 비판적 읽기 요소를 분석한 후 향후 교과서가 더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여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먼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교육 목표, 과목 목표, 읽기 영역의 학습내용 성취기준과 2017년 적용 예정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핵심역량을 비롯한 주요 변화 내용을 살펴볼 때 비판적 읽기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등학교 영어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 분석을 통해 교육 현장의 실제적인 요구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영어 교과서의 비판적 읽기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영어Ⅰ’ 8종 전체의 읽기 지문 63개와 질문 1033개를 대상으로 분석틀을 사용하여 비판적 읽기 요소가 각각 어떤 형태와 비율로 나타나고 있는지 조사했다. 첫째, 읽기 지문은 텍스트 유형과 소재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텍스트 유형 측면에서는 정보 전달의 성격이 강한 설명문과 묘사문이 독자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하는 서사문과 저자의 의도가 드러나는 논설문보다 더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소재 측면에서는 일상성을 뒤집거나 다양한 관점을 살펴보거나 사회·정치적 이슈에 초점을 맞추거나 사회 정의를 위한 행동을 포함하는 비판적 소재가 절반 정도 존재하고 있었다. 지문을 비판적 질문의 비율과 관련 지어 살펴봤을 때는 서사문이나 논설문이면서 비판적 소재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비판적 질문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Halliday의 분석틀을 사용하여 지문의 비판적 읽기를 실행해 보았다. 그 결과 고정관념과 같은 지문의 숨은 의미를 찾을 수 있었지만 지문 내에서도, 지문 외의 질문에서도 이에 관해 논의할 수 있는 장치가 없었다. 질문의 비판적 요소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비판적 질문이 전체 질문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일단 양적으로 매우 적었다. 그리고 비판적 질문 중 지문과 관련된 개인적 의견을 묻는 질문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여 앞에서 언급한 숨은 의미 찾기 같이 지문의 분석을 가능하게 하거나 실천적 행동으로 연결하는 질문이 부족함을 드러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교육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영어 교과서의 지문은 텍스트 유형과 소재의 두 축을 기준으로 비판적 읽기를 보다 촉진할 수 있도록 구성돼야 한다. 또한 비판적 질문을 양적으로 확대하고 다양화해야 한다. 이러한 교과서의 변화와 더불어 비판적 읽기를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교사 교육이 병행되어야 하며 보다 거시적으로는 평가 방식의 변화가 수반될 때 실제적인 활용도가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

      • 중학교 2학년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소재 분석 : 본문(text) 중심으로

        김현정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제 7차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교과서 본문 소재 17가지 항목들이 중학교 2학년 교과서에 잘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교과서 13종 중 7종의 교과서를 선택하여 교과서 본문 내용에 다루어진 소재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7종의 교과서중 3종은 17가지 소재 중 9가지를 교과서 본문에 다루고 있고, 나머지 4종의 교과서들은 소재 반영이 다소 불충분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 4종 중 총 11단원으로 구성된 교과서 1종은 교육부에서 제시한 소재 항목을 단지 6가지만 반영하고 있다. 둘째, 교과서에 가장 많이 실린 소재는 학습자들에게 친숙한 내용은 ‘개인생활에 관한 내용’이고 학습자들의 주변 환경과 관련이 있는 ‘환경 보전과 봉사 및 협동정신’에 관한 내용이다. 셋째, 2종의 교과서를 제외한 다른 교과서들은 교육부에서 제시한 17가지 소재에 포함되지 않은 유머러스한 이야기와 광고, 종이 공작 만들기 방법 등에 관한 내용을 본문에 싣고 있다. 본 연구는 중학교 영어 교과서 제작에서 교육과정에서 적절하다고 선정 제시한 교과서 본문 소재가 골고루 반영되는 읽기 본문의 집필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교과서의 사용이 학습자의 학습동기 유발과 흥미 고취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궁극적인 영어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17 subject items suggested by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of English education are well reflected on second grad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o this end, 7 out of 13 types of English textbooks were selected and their subjects covered in the reading texts were analyzed.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ee textbooks among the seven cover the suggested subject items relatively well in the content of the reading text. However, the rest, four do not seem to cover the suggested items properly. Among the four, one textbook deals with only five subject items in its reading texts. Second, the most commonly used items are ‘personal life’,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voluntary work and cooperation in the community’. Third, all textbooks but two include humorous story, advertisement, and directions for paper craft which are not suggested by the curriculum. This study concludes that English textbook publishers need to try harder to reflect the subject items suggested by the curriculum in their writing of the reading text of the textbooks. The textbook with proper content of the subject items can help induce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in learning English.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영어교육에 대한 영어 교사의 신념과 실행의 관계

        박인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신념과 실행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51명의 중등 영어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교사들의 신념과 실행의 관계에 대해서 추론해 볼 수 있었다. 또한 교사들이 신념과 실행의 관계에 대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참여교사들 중 5명을 선별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교사들은 대부분 4차 산업혁명이 영어교육과 영어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들이 인식하는 변화는 주로 교수-학습방법이 변화, 영어교육의 목표와 방향성의 변화 그리고 교사의 역할에 대한 변화였다. 두 번째. 신념에 따른 교사들의 실행은 크게 두 가지 집단으로 나누어 볼 있다. 첫 번째 집단의 교사들은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영어교육이 가능해진 사실을 인식하여 본인의 수업에서도 번역기와 같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새로운 수업매체를 활용하고자 하는 의향을 드러내었으나 수업 방법을 변화할 수 있는 준비는 되어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이 4차 산업혁명으로 변화를 인지하고 새로운 매체를 사용하는 것이 그들의 실행에 있어서 필수적인 변화를 시도하는 것이 아니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두 번째 집단의 교사들은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인한 변화를 인지하고 있으며 수업 목적과 방법에 대해서 변화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고 하였다. 특히나 이들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에 대한 해석으로 그들이 기존에 고수하던 전통적인 수업방법에 새로운 매체를 적용하는 것 보다 학습자 개인을 사회가 요구대로 길러내기 위하여 교수 실행과 방법을 변화하는 것에 집중하였다. 즉 교사들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교사에게 요구하고 있는 수업에 대해서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신념과 실행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사들의 신념과 실행이 일치하지 않는 결과는 모호한 개념과, 교사들을 위한 가이드라인의 부재와 같은 상황적인 요인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EFL teachers’ belief and their practice about English education in the context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51 secondary English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five of them were interview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and interviews, there are two different types of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beliefs and their teaching practice. Some of the teachers were shown to be aware of the change of trends in teaching materials and have made attempts to use them in their classrooms. Also, they were open to using technological support such as machine translators in their class practice. While they seemed to have willingness to apply new materials and technological support in the teaching practice, they were not ready to change their teaching method itself. This result points out that simply being aware of the changes and openly applying new materials does not necessarily yield change in teaching practice. The other group of teachers, who had responded that they were also aware of the changes, felt pressured to change their teaching objects in order to teach in accordance to the changes. In fact, their interpretation of the changes they found in the revised English curriculum focused more on changing their teaching practice and methods to cultivate individuals whom this changing society demands rather than simply applying new materials to their traditional way of teaching. Regardless of this awareness, however, they were shown to have incongruency between their belief and practice since they did not actually change their teaching methods. This incongruence was shown to have been affected by contextual factors, vague concept of reform, and absence of guidance for teachers.

      • 초등영어 스마트교육 연구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백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67

        최근에 스마트교육과 관련하여 활발한 연구와 콘텐츠 개발이 이뤄지면서 스마트교육이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사실 그 뿌리는 정보화 사회의 출현과 깊은 관계가 있다. 컴퓨터와 주변기기를 활용하는 멀티미디어의 활용을 통한 ICT 활용교육을 시작으로, e-러닝, u-러닝, m-러닝, 스마트러닝에 이르기까지 스마트교육의 역사는 IT 기술의 발달과 함께 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많은 연구자들이 스마트교육의 다양한 형태와 흐름을 연구하였지만, 초등영어 관련 스마트교육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는 그동안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이뤄졌던 초등영어 스마트교육 연구의 경향과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 질적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그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할 필요를 느끼게 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초등영어&ICT, 초등영어&멀티미디어, 초등영어&e-러닝, 초등영어&u-러닝, 초등영어&m-러닝, 초등영어&app, 초등영어&스마트교육을 검색어로 입력한 후 그 검색결과에 나오는 1998년부터 2014년 2월까지의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 총 203편을 수집하였고, 이를 스마트교육의 유형과 스마트교육 활용매체 유형, 연구방법 및 연도별로 분류하였다. 스마트교육의 유형은 ICT 활용교육, e-러닝, m-러닝, u-러닝, 스마트러닝으로 분류하였고, 스마트교육 활용매체 유형은 멀티미디어, 웹유형(WBL), 게임학습, 저작도구, e-교과서, 디지털교과서, 클라우드, SNS, App으로 분류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조사연구, 분석연구, 실험연구, 개발연구로 분류하여 코딩하였으며, 이를 각각 연도별로도 분류하여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교육의 유형은 시대의 변화와 함께 교육방법과 ICT 기술, 스마트 기기, 소셜 네트워크 등의 발전에 따라 점차 ICT 활용교육에서 e-러닝, m-러닝, u-러닝, 스마트러닝으로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u-러닝과 m-러닝은 특성상 ICT 활용교육과 스마트러닝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고 있어, 그 성격을 명확하게 규명하기가 애매한 부분이 있어 많은 연구가 이뤄지지 못한 채 점차 소멸되었다. 둘째, 1990년대 말부터 학교현장에 도입된 교단선진화사업으로 인해 ICT 활용교육과 e-러닝에 대한 홍보와 연수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그 기간 또한 오래 지속되었기 때문에 ICT 활용교육과 e-러닝 관련 연구가 다른 스마트교육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다. 셋째, 스마트교육 활용매체 유형에서 멀티미디어와 WBL 활용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은 것은 1990년대에 ICT교육의 도입과 e-러닝의 등장으로 멀티미디어 활용교육과 웹을 활용한 교육이 학교현장에 소개됨으로 인해, 멀티미디어와 웹 교육 관련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넷째, 개발연구가 전체 연구에서 두 번째로 많았는데 이는, 1990년대에 교단선진화 사업이 시작되면서 많은 기자재가 교육현장에 도입될 때, 하드웨어는 제공되었지만, 정작 교육현장에 활용하고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준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교사들이 직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작하여 활용하는 사례가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스마트교육의 흐름이 스마트러닝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도 동일한 현상으로 나타난다. 다섯째, 초등영어 스마트교육을 활용한 실험연구의 질적 메타분석을 보완하기 위한 양적 메타분석에서는 총 57편이 메타분석의 연구 조건을 충족했으며, 이를 통계 처리한 결과 실험연구의 평균 효과크기는 0.781로 다소 높은 편이었다. 또한, 인지적영역의 평균 효과크기는 0.949로 높았으며, 정의적영역의 평균 효과크기는 0.689로 보통에 해당하며, 정의적영역에 비해 인지적영역의 평균 효과크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영어 스마트교육 연구에 관한 논문에서 ICT 활용교육 이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정작 e-러닝이나, u-러닝 또는 m-러닝 또는 스마트러닝과 혼용되는 사례가 많아서, 이후에는 ICT 활용교육에 대한 용어의 정리를 명확히 하고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교육 유형의 용어와 개념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초등학교 영어교육 현장에서 스마트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초등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신체건강을 고려한 스마트기기 활용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야 한다.

      • 초등영어 읽기 교육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CAT 시스템 개발

        최홍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습자들이 다독을 할 때 간단한 평가를 통하여 자신의 독서지수를 평가받고, 그에 따라 알맞은 텍스트를 부여받아 다독을 할 수 있도록 초등영어 읽기 교육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CAT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다. 즉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CAT 시스템을 통하여 EFL 환경에 있는 초등영어 독자가 쉽고 간단한 평가를 통하여 자신의 독서지수를 평가받고, 이에 따라 자신의 수준에 알맞은 영어도서를 선택하여 효과적인 다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초등영어 읽기 교육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CAT 시스템은 김정렬․문기혁(2012)이 개발한 웹 기반 초등 영어 독서지수 평가 소프트웨어의 독서지수와 독서지수 평가문항을 수정하여 새로운 독서지수 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CAT 방식에 적용하여 독자 개개인이 쉽게 독서지수를 부여받고, 이 독서지수를 통하여 초등 영어 학습자가 자신에게 알맞은 영어도서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어 학습자의 독서지수를 평가하기 위한 독서지수 평가문항은 어휘력과 문해력 범주를 문식성, 영자해득, 어휘지식, 내용확인, 추론, 평가, 감상의 하위영역으로 나누어 텍스트를 분석한 후, 100권의 영어동화 텍스트에서 총 700문항을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어휘력, 문해력 평가문항을 바탕으로 초등영어 읽기 교육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CAT 시스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즉 학생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PHP, 안드로이드 SDK 등을 이용하여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한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개발하였으며, 누구나 쉽게 회원가입을 하고 평가를 해서 결과인 독서지수와 추천도서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개발된 초등영어 읽기 교육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CAT 시스템에 대한 전문가 그룹의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 기기 뿐 만 아니라 웹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http://hopang1111.cafe24.com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개발된 초등영어 읽기 교육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CAT 시스템을 적용하여 실시한 파일럿 테스트와 영어 읽기능력 수행평가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초등영어 읽기 교육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CAT 시스템은 초등영어 학생들에게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누구나 쉽게 자신의 독서지수를 평가받고, 이를 활용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영어도서를 선택하여 다독을 할 수 있게 하고, 교사들에게는 학생들의 영어 읽기능력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영어 읽기 교육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CAT 시스템을 통한 보다 효과적인 다독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한다. 첫째, 개발된 초등영어 읽기 교육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CAT 시스템을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스스로 자신의 능력에 맞는 영어 읽기 책을 선택하고 이를 통해 자율적인 읽기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둘째, 보다 정확한 초등영어 읽기 교육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CAT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영어동화 뿐 만 아니라 시, 소설, 수필, 연극 대본, 일기 등 다양하고 폭 넓은 분야의 텍스트가 초등영어 읽기 교육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CAT 시스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영어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영어 읽기능력 만을 측정한 초등영어 읽기 교육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CAT 시스템에 듣기, 말하기, 쓰기의 영역을 추가하여, 영어의 4기능을 모두 평가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CAT 시스템이 개발이 되어야 할 것이다.

      • 효율적인 내용중심 통합교육을 위한 지도방안 연구 : 중학교 1학년 영어와 미술 교과 통합을 중심으로

        김태영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767

        As an effective methodology of language teaching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content-based integrated language teaching and its application are widely used in a secondary education. For instance, in order to improve the communicative ability of students, the content of the two subjects such as English and Art can be combined as shown in this stud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the content-based methodology is an effective language tool in enhancing the students' communicative ability. In order to set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fundamental concepts of integrated language developed by various scholars are discussed in the beginning. In the application part of the thesis, various materials to be used in the experiment are also fully stated. The experiments are conducted in the following way: First, sixty students are randomly selected from the first grade in junior high school. After placing students into two separate groups, control and experiment, their interests, motivations, and attitudes are examined. Second, English tests were given to both groups to compare their results. Third, in order to fit the purpose of the study, lesson plans for the experiment groups are carefully designed. Lastly. the results obtained after applying integrated lesson plans to the experiments group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control group. These ar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As shown, integrated language teach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language achievement despite time limitations. By combining the content of English language with Art certainly has increased students' interests and their motivations toward English language.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content-based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is an effective language tool to help improve students' communicative skills as highly emphasized by 7th curriculum mand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