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들의 식생활태도 및 운동에 관한 연구 : 식품영양전공자와 체육전공자를 대상으로

        황은정 대구한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839

        본 연구는 대구․서울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식품영양전공(남: 23명, 여: 84명) 학생과 체육전공(남: 79명, 여: 18명) 학생 총 20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남학생의 연령은 21.6세, 여학생은 21.3세로 평균 21.5세로 나타났으며, BMI는 21.74±2.91kg/㎡으로 정상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운동태도, 식생활 태도 및 건강에 대한 인식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운동, 식생활태도 및 건강의 조화를 현재와 미래에 대한 의지를 측정하기 위한 항목을 개발하여 대학생들의 올바른 영양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운동습관 및 운동에 대한 인식에서는 두 집단 모두 건강에 비중을 많이 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운동태도, 식생활 태도 및 건강의 조화에 대한 현재의 의지와 미래에 대한 의지에서는 식품영양전공 학생이 현재 상태보다 미래 상태 평가에서 긍정적인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발전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건강에 대한 자신의 평가에서는 체육전공에서 긍정적인 측면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흡연에 관한 조사에서는 체육전공 학생이 흡연에 노출된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전공별 운동과 영양교육에 관한 인식에서는 두 집단 모두 운동과 영양 모두 중요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향후 지도 의지에서도 운동과 영양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 식사의 섭취 빈도의 결과에서 거의 먹지 않는 학생이 전체 31.4%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아침식사의 식품섭취 유형에서도 밥+국+반찬 형태의 식사를 하는 비율이 64.5%로 조사되었고, 아침식사를 전혀 하지 않는 학생도 3.4%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영양교육 및 건강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대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실천위주의 영양교육과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영양교육의 경험이 없는 비전공자를 위한 영양관련 교양수업은 건강과 영양에 대한 포괄적인 지식과 함께 병행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실제 식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실용주의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운동 및 영양학을 전공하고 있는 전공자의 경우에도 전문적인 운동 및 영양지식을 실제 생활습관 및 식생활태도에 반영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영양교육을 통한 식생활 관리 등의 응용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교과과정의 확대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 나타난 식품영양전공자의 운동태도, 식생활, 건강에 대한 현재의 의지보다 미래에 대한 긍정인 방향으로의 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를 실천할 수 있는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research carried out for total 204 of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and Seoul who majored in Food and Nutrition(male: 23, female: 84) and Physical Education(male: 79, female: 18). The average age of male turned out 21.6 and female 21.5, BMI turned out 21.74±2.91kg/㎡ to be in a normal range. The research examined attitude to exercise and dietary life and awareness on health. it developed items to measure the wills for exercise, attitude to dietary life, and harmony on health in the present and the past and then carried out to offer the basic data for raising the effects of the right nutrition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were like below: It turned out both of groups gave weight to the health in the habits and awareness on exercise and students majored in Food and Nutrition showed positive possibility in a evaluation of the future, rather than the present, in the wills for the present and future. They might show a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 the future. It turned out students majored in Physical Education showed positive aspects meaningfully in a self-evaluation of the health but they showed higher rates of exposing a smoking as well. It turned out both of groups realized an importance both exercise and nutrition in the awareness on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and also turned out they were all positive in the needs of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in the wills for instruction in the future. As seeing the result for the frequency of having breakfast, it turned out students had it few were 31.4% out of total and 64.5% of students had it traditionally - boiled rice, soup, and side dishes - and 3.4% of students never had breakfast. Accordingly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it is needed that the nutrition education could be offer the accurate information about nutrition and health to university student an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education program; cultural studies for non-majored Food and Nutrition should be combined with the comprehensive knowledge about nutrition; a practical education could be applied on the real dietary life should be needed. In case of students majored in Physical Education or Food and Nutrition, as well, it might be considered an examination for the expansion plan of a curriculum, could give the application ability such as the management of dietary life through the nutrition education, will be needed. As shown in the research, in particular, students who majored in Food and Nutrition had the positive wills for attitude to exercise, dietary life, and health for the future, rather than the present, it considered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and support program, could make it real, might be needed.

      • 식품영양학 전공과 비전공 여대생들의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과 식행동에 관한 연구

        박세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839

        대학생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영양교육 도구로서 영양표시는 중요하다.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의 식품영양학 전공 여대생 148명과 비전공 여대생 154명을 대상으로 식생활 형태와 가공식품의 이용실태, 영양교육 경험여부, 영양표시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고, 전공과 비전공 여대생들의 차이를 알아보고, 영양표시의 지식과 활용능력이 낮은 학생들에게 영양표시가 영양교육의 도구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여 건강한 식습관을 실천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전공자과 비전공자의 평균 나이는 각각 21.39±2.15세, 20.75±1.82세로 전공자가 비전공자에 비해서 높았으며, 평균 신장과 체중, BMI는 정상범위에 있었고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공자와 비전공자 모두에서 영양표시보다는 유통기한, 맛, 가격 등을 고려하였다. 식품구매행동에서 ‘식품에 대한 표시 내용을 비교해 보고 구매한다’고 답변한 전공자가 유의하게 많았으며, 전공자들이 비전공자들에 비해 영양표시를 비교해보고 구매하는 경향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영양교육 경험 여부는 2학년 (p<0.001), 3학년 (p<0.05), 4학년 (p<0.01), 모두에서 전공자가 비전공에 비해 높게 나타나 전공 특성상 비전공자들에 비해서 영양교육을 받을 기회가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표시에 대한 사전지식, 영양표시의 필요성 인지, 영양표시 홍보 및 교육의 필요성의 모든 항목에서 전공자가 비전공자에 비해 영양표시에 대해서 더 많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양교육을 받았던 학생들이 영양표시에 대한 지식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도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식품종류에 따른 영양표시 확인정도에 대한 조사결과 3학년에서 육가공품 (p<0.05)과 라면류 (p<0.05)의 경우 전공자에 비해 비전공자에서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비율이 높았다.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비율이 높았던 식품은 전공자와 비전공자 모두 우유 및 유제품, 기타 즉석식품, 과자 및 빵류로 나타났다. 영양표시 중 확인하는 내용으로는 전공자와 비전공자 모두 유통기한을 확인 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영양성분표시, 가격, 제품명 순으로 나타났다. 영양표시가 자신에게 가져오는 영향에 대한 인식정도에서는 ‘제품 선택 시 타제품과 쉽게 비교된다’, ‘영양지식이 향상된다’, ‘제품의 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의 모든 항목에서 전공자가 비전공자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여 주었다. 전반적으로 전공자가 비전공자에 비해 영양표시에 대한 영향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영양표시 미확인 이유로는 두 군 모두 ‘아무 생각 없이 습관적으로 구매하기 때문에’, ‘표시가 너무 작거나 조잡하기 때문에’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식품영양학 전공 여대생과 비전공 여대생들의 영양표시에 대한 지식과 식행동의 차이점을 볼 수 있었다. 식품 선택 시에 영양표시 확인정도가 전공자가 비전공자에 비해서 높았으며 영양표시 교육의 필요성도 더 크게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영양관련 교양수업을 이용해서 식품 선택 시에 영양표시를 활용할 수 있는 영양지식과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며 전공자들에게도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교과과정 비교 분석

        조윤정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839

        In Korea,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and operated the Nutrition Teachers System in order to correct the nutritional imbalance due to the recently growing number of students who skip breakfast and have an unbalanced diet and to provide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 to help them with health care and proper eating habits. One can obtain a nutrition teacher certificate by taking the teacher training courses as food and nutrition majors since 2004 or advancing to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four-year college graduates with a bachelor degree and a dietician certificate but with no credits from the teacher training courses.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cross the nation have opened and run the nutrition education major since 2005.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what kind of curriculums were organized and run by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o produce future nutrition teacher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their nutrition education curriculums, and to suggest some plans to supplement them. After intensively analyzing the syllabuses of 20 of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ith the nutrition education major, the curriculums were examined which had been actually organized and operat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nutrition education major. Data were gathered by consulting the homepages of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administration staff, and the personnel from the major office. The curriculums were divided into common and uncommon subjects and then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ality was that the nutrition education majors of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ailed to develop and operate differentiated education or specialized programs from the undergraduate curriculums of the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ran the similar curriculums to the undergraduate ones. Not only should the existing curriculums be organized and operated efficiently, but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new ones so that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can organize the in-depth courses for what's covered in college or the curriculums that were not covered in college and accordingly be the source of quality future teachers and continuing education instead of that of repetitive undergraduate study. Second, the problem with the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s was a heavy focus on the subjects included in the teacher appointment exam in their operation. The students placed more priority on acquiring the qualification at the graduate school than on equipping themselves with the required capabilities, which resulted in the dominance of the exam subjects in the curriculums.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need to organize and run practice-based curriculums so that the students can practice what they learn on the field. And third, a review of the subjects reveals that the kinds of subjects from subject matter education are in absolute shortage. Covering the aspects of educational methods to supplement the contents in providing nutrition education as a teacher, the field of subject matter education is as much important as the contents of subjects. The curriculums should be organized and operated in the way of considerably supplementing the aspect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so that the students can be prepared to provide the nutrition education that fits the situation of Korea after graduation. Finally, the limited number of subjects in the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s also presents a problem. The major subjects are operated in the combined courses among the students each semester. There are few cases in which courses are reserved only for the students of a semester. Although the selective subjects of the major are diverse, the number of those subjects that are actually provided is limited, which means the students should take all the subjects, which are established one-sidedly, in order to obtain the credits needed to graduate. Even though there are many different subjects established for a semester, the school regulations restrict the credits that a student can fulfill for a semester. After all,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run on the system for the students to take the credits to obtain a teacher certificate. In future, they should run a rational student-oriented curriculum. 영양교사 제도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아침결식, 편식 등으로 인한 영양 불균형을 시정하고, 학생의 건강관리와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체계적인 영양교육 실시를 위하여 시행하고 있다. 영양교사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2004년 식품영양학과 입학생부터 교직 이수를 한 학생들과 교직 비이수자들은 영양사 자격증을 소지한 4년제 학사학위 소지자가 교육대학원에 진학하는 방법이 있다. 이에 따라 전국에 교육대학원에서는 2005년부터 영양교육 전공을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영양교사로서의 자질을 갖추기 위해 각 교육대학원들은 어떠한 교과과정을 편성?운영하는지 조사하여,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해보고, 보안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양교육전공을 설치한 대학 중 20개 학교를 대상으로 교육대학원 요람을 우선 중점 분석한 후, 영양교육전공이 처음 생겼을 때부터 연구가 진행되는 현재까지 실제로 편성, 운영한 교과과정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는 각 교육대학원 홈페이지와 각 교육대학원 행정실 실무담당자 또는 전공사무실에 문의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교과과정은 공통교과와 비공통교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교과과정이 식품영양학과 학부의 전공 교과과정과 차별화된 교육이나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지 못하고 학부와 비슷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학부에서 배운 내용의 심화 과정 또는 학부에서 다루지 않았던 교과과정의 편성으로 학부과정의 반복이 아닌 교원 양성 및 계속교육의 장으로서의 교육대학원이 되기 위해 기존의 교과과정의 효율적인 편성, 운영 뿐만 아니라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발에도 힘써야 한다. 둘째, 교과과정 편성의 문제점은 교원임용 시험과목을 위주로 운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영양교사가 되기 위한 실력을 갖추기 보다는 교육대학원을 통한 자격을 갖추는 것을 우선으로 생각하여 교원임용 시험과목이 교과과정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영양교사로서 현장에 투입되었을 때 실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실무 위주의 특정 교과과정이 편성, 운영되어야 한다. 셋째, 교과목 내역을 보았을 때 교과교육학 분야의 교과목 종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교과내용적인 측면도 중요하지만, 교사로서 영양교육을 하는데 있어서 내용적인 측면을 보완하기 위한 교육 방법적인 측면의 교과목인 교과교육학 분야도 중요하다. 교과교육학적 측면을 많이 보완해서 우리 나라 실정에 맞는 영양교육을 할 수 있는 준비된 영양교사가 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편성, 운영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과과정 편성에 있어서 한정된 교과목수를 문제점으로 제시하겠다. 전공과목의 운영은 학기별 학생만을 대상으로 배당하는 경우가 거의 없고 대체로 각 학기 학생들을 합반해서 운영하는 실정이다. 전공선택과목은 다양하지만 학기마다 실제로 개설되는 과목은 한정되어 있어서 선택의 여지없이 졸업이수학점을 채우기 위해 일방적으로 개설되는 과목을 모두 들어야한다. 또는 한 학기에 여러 과목이 개설되어 있어도 한 학 기당 취득학점을 제한하는 학칙상의 조건으로 인해 결국은 교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학점 채우기 식의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다. 학습자 중심의 합리적인 교과과정 운영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의 영양교육 직무능력 교육요구도 및 교과과정 분석

        권주연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823

        학생들의 올바른 식품섭취를 유도하기 위한 학교에서의 영양·식생활교육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이를 수행하는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직무능력에 대한 관심도 늘어나고 있다.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은 영양교사와 예비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직무능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재학생의 영양교육 직무능력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교과과정을 분석을 통해 현 교육과정의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점을 제시하며, 추후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교육과정 개편 시 기초자료로 제공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나라 8개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에 재학 중인 100명을 대상으로 영양교육 직무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보유도 및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해당 교육대학원의 교과과정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영양교육 직무능력 교육요구도 분석결과 17개 직무능력에 대한 중요도가 보유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모델 분석 결과 영양교육 직무능력 교육요구도는 영양교육 실시하기와 교육방법 선정 및 세부 활동내용 정하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외 15개 직무능력은 Borich 요구도의 값이 양수로 나타났고 The Locus for Focus모델에서 1, 2, 4분면에 해당되어 17개 직무능력에 대해 교육요구도가 나타났다. 직업에 따른 분석에서 영양사 직업군과 영양사관련 일을 하지 않는 직업군의 보유도, 중요도는 영양·식생활정보 제공하기 직무능력에 대해서 직업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다른 직무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학기에 따른 분석에서 1기보다 4, 5기의 교수·학습과정안 작성하기 직무의 보유도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교육요구도의 순위도 1기보다 4, 5기가 낮은 순위로 나타났다. 대상 교육대학원은 10~29과목으로 구성된 전공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었으나 실제 10~16과목만 개설되었으며 한 학기에 이수할 수 있는 전공과목은 2∼4과목이었다. 영양교육관련 과목은 기본이수과목 1과목만 개설하고 있었고 교과교육학 과목을 개설한 교육대학원은 없었다. 교육대학원 교육과정 개선 필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1%가 매우 그렇다 혹은 그렇다고 응답하였다.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의 대한 주관적인 의견으로는 현장중심의 교육과정운영, 임용중심의 강의진행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 영양교사 1급 자격연수과정 프로그램 분석과 영양교사의 연수 요구도 조사

        김금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807

        본 연구는 전국 시&#8228;도별로 실시되고 있는 영양교사 1급 자격연수과정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그 실태를 파악하고, 자격연수과정을 이수한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연수 만족도와 직무수행을 위한 연수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향후 추진되는 영양교사 자격연수 프로그램 및 영양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직무연수 프로그램 편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기, 충북, 광주, 전남 5개 지역의 영양교사 1급 자격연수 운영계획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고, 연수 만족도와 연수 요구도는 2010년 12월 광주광역시교육청과 전라남도교육청 주관으로 실시된 영양교사 1급 자격연수과정을 이수한 영양교사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for Window(ver 18.0K)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와 χ2-test 등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교원 등의 연수에 관한 규정」에 비하여 영양교사 1급 자격연수과정의 연수기간, 영역별 시수 배정 비율은 대부분의 지역이 규정에 적합하게 편성하고 있었으나, 일부 지역의 경우 연수기간을 미달(1~5일)되게 운영하였고, 영역별 시수 배정 비율을 교직일반영역에서 초과(4.3%), 전문(전공)영역에서 미달(3.6%)되게 운영하였다. 기본소양영역, 교직일반영역 및 전문(전공)영역 프로그램 편성 시 강좌 수 및 이수시간 등은 지역별로 1.8~2.4배의 차이를 보였다. 영양교사 1급 자격연수과정의 기준이 되는 초등 1급 정교사 표준교육과정의 교과 등의 내용과 비교한 결과, 운영 교과, 과목, 시간 등이 지역별로 다르게 운영되었으며, 일부 교과가 반영되지 않았거나, 관련성이 약한 과목으로 편성되었다.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영양교사 평가요소에 대하여 영양교사 1급 자격연수과정의 전공영역 교과목을 분석한 결과, 영양교육 교과목 편성 비율(45.5~82.8%)이 가장 높았으며, 교과목과 시간 등은 지역별로 다르게 운영되었다. 영양교사 1급 자격연수과정의 전공영역 교과목을 교수&#8228;학습관련 교과로 분석한 결과, 전공영역의 총 시수에서 교과&#8228;학습관련 교과목이 차지하는 시간의 비율은 17.9~58.6%이었다. 분석 지역 모두 수업의 기술과 관련된 교과목 편성 비율(44.3~83.9%)이 높았으며, 학습자 이해 및 분석, 자료 제작 및 활용, 평가의 방법 및 활용 요소에 대한 교과목이 반영되지 않은 지역도 있었다. 둘째, 광주&#8228;전남지역 영양교사가 인식하는 영양교육 필요성은 거의 모두가 필요하다(99.5%)라고 하였으며, 영양교육 실시 현황은 광주지역은 35.3%(18명)이고, 전남지역은 17.3%(27명)로 광주지역의 실시율이 높았다(p<.01). 영양교육 실시를 위하여 필요한 연수에 대하여 광주지역 영양교사는 수업의 기술(32.0%), 수업의 계획과 설계(23.9%), 교수&#8228;학습 자료의 제작 및 활용(21.6%), 학습자의 분석 및 이해와 아동상담 기술(11.1%), 평가의 방법 및 활용(0.3%) 순으로, 전남지역 영양교사는 수업의 계획과 설계(33.0%), 수업의 기술(26.9%), 교수&#8228;학습 자료의 제작 및 활용(17.7%), 아동상담 기술(14.3%), 학습자의 분석 및 이해(7.4%), 평가의 방법 및 활용(0.6%) 순으로 지역 간에 차이가 있었다(p<.05). 셋째,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자격연수 표준교육과정 필요성(5점 Likert 척도)에 대하여 광주지역 영양교사는 4.14±.895, 전남지역 영양교사는 4.39±.884로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영양교사의 직무 중요도, 직무 난이도 및 연수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직무 중요도의 경우 광주지역은 식단작성, 위생 및 안전관련 지도와 식재료 선정 및 검수, 영양교육 순으로 높았고, 전남지역은 영양교육, 식단작성, 위생 및 안전관련 지도, 식재료 선정 및 검수 순으로 높아 지역 간에 차이가 있었다. 직무 난이도의 경우 광주와 전남지역 모두 영양교육, 식단작성, 위생 및 안전관련 지도, 식재료 선정 및 검수 순으로 높았다. 연수 요구도의 경우 광주지역은 영양교육, 식단작성, 위생 및 안전관련 지도, 식재료 선정 및 검수 순으로 높았고, 전남지역은 영양교육, 위생 및 안전관련 지도, 식단작성, 식재료 선정 및 검수 순으로 높았다. 직무 중요도와 연수 요구도가 모두 높은 항목은 영양교육(전남)이고, 중요도와 연수 요구도가 모두 낮은 항목은 위생 및 안전관련 지도(광주, 전남), 식재료 선정 및 검수(광주, 전남)이었다. 직무 중요도에 비하여 연수 요구도가 낮은 항목은 식단작성(광주, 전남)이었다. 광주지역은 영양교육 항목에서 중요도에 비해 연수 요구도가 높았다. 직무 난이도와 연수 요구도 분석에서 광주&#8228;전남지역 모두 영양교육 항목에서 높은 난이도와 연수 요구도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동일한 자격을 부여하는 자격연수가 종사하는 직무의 동일성 또는 유사성에 바탕을 두고 전문성 신장을 위한 측면에서 시행된다는 점과 각 자격단계별로 그 연수의 내용이 상이해야 한다는 자격연수 표준교육과정 개발 배경을 고려할 때, 현재 전국 시&#8228;도별로 다르게 운영되고 있는 영양교사 1급 자격연수과정에 대한 세부적인 교과목, 세부 교과목별 이수시간 및 강의 운영방법 등을 규정하는 자격연수 표준교육과정 제정으로 자격연수의 질 표준화가 요구됨을 시사한다. 또한, 영양교사의 직무 중요도가 학교급식관리 영역에서 영양교육 영역으로 전환되어 가는 시점에서 연수 교육과정 제정&#8228;개발 시 높은 직무 난이도와 연수 요구도를 보이는 영양교육 영역에 대해 보다 비중있게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영양교사의 업무가 특정 한 분야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업무로 구성되어 있으며, 1급 자격연수과정이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간이므로 영양교사 자격연수 표준교육과정은 좀 더 구체적인 영양교사의 직무 또는 요구 분석 등을 통하여 교과&#8228;과목&#8228;시수 등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이를 기반으로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한 자격 및 직무연수과정이 영양교사의 직무능력 신장과 전문성을 제고할 것이며, 더 나아가 학교 현장의 영양교육 활성화로 학생의 건강관리와 바른 식습관 형성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 영양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 요구 분석 : 경북지역 중심으로

        박경숙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807

        This study was performed to get the basic data that needing to improve the training program operation for the specialty enhancement through investigating for nutrition teacher training requirements. For the sake of this research, 340-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nutrition teachers of primary and high schools in Gyeongsangbuk-Do during December 1st~December 22nd and 302-questionnaires(88.8%) were collected back. In the same way, 45-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professors of th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in Daegu City and Gyeongsangbuk-Do and 33-questionnaires (73.3%) were collected back. The data collected back were used for statistics. Nutritional education is performed most highly at primary schools usually by indirect methods such as handouts. The education information was collected mainly from internet data. Non-attendees to the teacher qualification course pointed out the inefficient instructional skills and insufficient opportunity for teacher training in nutrition as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during nutritional education more than the attendees did. As the method to resolve the difficulties, non-attendees answered the education and training to enhance the specialty capability of the teachers is necessary more than the attendees did. The rank of the importance of the qualifying study major curriculum was shown as following order, i.e.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human nutrition, nutritional assessment,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diet therapy, clinical nutrition, food service management, food science, principle in food preparation. The rank of the importance of the job study contents was shown as following order, i.e.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and education materials, enhancement of nutrition counseling skill, education methodology, professional knowledge, training for best practice, courses in liberal arts and teaching. Among several educational methods, the practice and discussion were much hoped one in the most curriculum except the basic courses. These trends were appeared to the attendees more clearly than non-attendees. The professors who answere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major curriculum and educational methods as same way as the nutrition teachers. Therefore, in the nutrition teacher's training, the courses and the educational methods are to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raining contents for the qualification and the job performance through the proper teaching methods. Another important points are various teaching contents to be developed and eligible lecturers having good understanding of nutrition teacher. And also, for nutrition teacher to be self-trained easily, the remote educational study must be done systematically. For all these to be worked, the cooperation council composed of the educator, educatee, and related personals in Office of Education is needed. Through this council, various and efficient study programs for the capacity building of nutrition teachers is to be developed continuously and implanted as the policy. 본 연구는 영양교사의 연수 요구를 조사하여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프로그램 운영 개선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본 조사를 위하여 경북 영양교사 대상으로 2010년 12월1일~12월22일 까지 설문지 340부를 배포하여 회수된 302부(88.8%)와 대구&#8228;경북 식품영양학과 교수 45명으로 부터 회수된 33부(73.3%)를 통계자료로 활용하였다. SPSS Win 12.0 통계 프로그램의 빈도, 백분율, χ2-test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영양교육 실시율은 초등학교에서 높았고, 교육방법은 간접교육이 대부분 이고, 교육정보는 주로 인터넷자료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자격연수 유무로 영양교육 수행시 애로점을 살펴본 결과는 미이수자는 이수자 보다 교수방법의 미숙과 전공에 관한 재교육 기회 부족을 더 크게 인식하고 있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수자 보다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 및 교육이 더 필요하다고 하였다. 자격연수 전공교과 중요도 순위는 영양교육과 상담, 영양학, 영양판정, 생애주기영양학, 식사요법, 임상영양학, 단체급식, 식품학, 식품위생학, 조리원리 교과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연수 내용 중요도 순위는 교수-학습자료 개발, 영양상담 기술향상, 교수방법, 전공 관련 전문 지식, 영양교육 우수사례 연수, 교양 및 교직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연수 교육방법에 있어서 기초이론과목 외에는 실습과 토론형식이 많이 도입되기를 희망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이수자들에게서 더 분명히 드러났다. 조사대상 교수들의 전공교과와 교육방법에 대한 중요도에 대한 인식도 영양교사에 대체로 일치하였다. 따라서 영양교사 연수는 자격 및 직무연수 내용과 교육방법 중요도에 따라 교과시간 편성 비율을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다양한 교육내용과 현장 이해가 높은 강사진이 교육을 담당하도록 하고 또한 영양교사들의 접근이 용이한 원격교육연수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이를 위하여 교육자와 피교육자 및 기타 관련인사로 구성된 연수운영위원회와 같은 공동협의체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 협의체를 통하여 영양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다양하고 효율적인 연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교육청의 정책적, 제도적 지원도 뒷받침되어야 된다고 사료된다.

      • 경남지역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의 교육과정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고용 형태에 따른 비교

        이성남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807

        본 연구는 경남지역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자들을 대상으로 고용형태에 따른 교육대학원의 기능과 요구수렴, 교육과정의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설문조사는 경남지역 4개 대학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0년 12월 4일부터 12월 20일까지 실시하였다. 총 1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147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91.8%) 이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형태에서는 계약직 83명(56.5%), 직종은 비정규직 영양사 83명(56.5%), 근무지에서는 중학교 45명(30.6%), 연령은 25~30세 46명(31.3%)으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육대학원이 수행해야 할 기능은 정규직은 ‘현직 교원의 자질향상을 위한 계속교육, 재교육’으로 나타났으나, 비정규직(임시직, 계약직)의 경우 ‘교원양성기관으로서의 예비교사교육’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대학원의 현재의 기능은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학위 취득을 위한 기관’이 높게 나타났다(p<0.001). 셋째, 교육대학원의 진학 동기는 정규직은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수업관련 지식을 공부하기 위하여’로 나타났으며, 비정규직은 ‘영양교사가 되기 위하여’로 나타났다(p<0.001). 또한 교육대학원 선택에 있어 중요한 요인은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동료, 친구의 추천’과 ‘거리가 가까워서’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교육대학원 진학만족도는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그렇다’로 높게 나타났다(p<0.001). 넷째, 교육대학원의 요구수렴 여부는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그렇지 않다’와 ‘보통이다’의 응답이 높았으며, 요구수렴의 방법은 ‘하지 않는다’가 높게 나타났다(p<0.01). 교육대학원생의 적절한 요구수렴 방법은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정기적인 설문조사’로 나타났으며, 사회단체와의 상호교류수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정규직은 ‘그렇다’가 높게 나타났으나, 비정규직의 경우 ‘보통이다’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교과과정에서의 우선순위는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학문(이론) 능력 함양 면’이 높게 나타났다(p<0.01). 다섯째, 교육대학원 영양교육학과 학생들의 교과과정의 만족도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 ‘만족한다’와 ‘보통이다’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개설 교과목 수의 만족도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 ‘그렇지 않다’와 ‘보통이다’가 높게 나타났다(p<0.01). 또한 교육과정 내용의 수준에 대해 정규직은 ‘학부보다 심화 확장되지 않은 편이다’가 높게 나타났으나 비정규직은 ‘학부보다 심화 확장된 편이다’가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연구 결과로 대체로 정규직과 비정규직은 교과과정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으며, 식품영양학 전반적인 지식을 두루 함양하는 전문인 양성위주의 교육이 교과내용의 목표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교육대학원의 진학 목적이 달라 수요자에 맞춘 차별화된 교육과정이 필요하며, 교육대학원의 요구수렴 여부와 방법에 대해 질적인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여,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satisfaction on the function and demand collecting, and course of study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y the type of employment targeting graduate students majoring nutrition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Gyeongnam region.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nutrition education in 4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Gyeongnam region from Dec. 4th to Dec. 20th, 2010. Total 16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47 ones were returned (returning rate 91.8%),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ose questionnaires were as follows. First, 83 of contract workers (56.5%) as for type of employment, 83 of temporary nutritionists (56.5%) as for type of job, 45 people in middle school (30.6%) as for working place, and 46 people aged 25~30 (31.3%) accounted for the most. Second, as for the functions which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perform, regular workers answered ‘continuous education for enhancing qualification of current teaching staffs and re-education’, while non-regular workers (temporary workers and contract workers) selected ‘education of would-be teachers as an institute for fostering teaching staffs’. Also, as for current function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groups answered ‘an institute for earning a degree’ the highest (p<0.001). Third, as for a motive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gular workers answered ‘to study knowledge relevant to classes needed at school’,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to become a nutritional teacher’ (p<0.001). Also, as for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recommendation of co-workers or friends’ and ‘easy distance’ (p<0.05), and as for satisfaction of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yes’ (p<0.001). Fourth, as for wheth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llects their demands or not,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no’, and ‘so-so’, and as for a way to collect demands, an answer of ‘it does not collect demands’ accounted for the most (p<0.01). As for a way for appropriately collecting demands of student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conducting regular surveys’, as for the necessity of mutual exchange class with the social organization, most regular workers answered ‘yes’ while most non-regular workers answered ‘so-so’ (p<0.05), and as for the order of priority in the course of study,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to foster academic (theoretical) ability’ the most (p<0.01). Fifth, as for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nutrition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atisfied’ and ‘normal’ accounted for the most in both regular worker group and non-regular worker group (p<0.05), and as for satisfaction on the number of classes, ‘not satisfied’ and ‘normal’ accounted for the most in both regular group and non-regular group (p<0.01). Also, as for the level of the educational courses, regular workers thought ‘not to be intensified and extended compared with those of undergraduate courses’ the most while non-regular workers thoughts ‘to be intensified and extended compared with those of undergraduate courses’ (p<0.05). With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re satisfied with the courses of study, and think that the goal of educational contents is to educate professionals who develop general knowledge on food and nutrition. In addition, as the purpose of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prepare differentiated educational courses appropriate for the demanders, and it should meet students' satisfaction by preparing an institutional strategy in order to secure qualified excellence about wheth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llects students' demands or not and its way.

      • 대학생의 커피 전문점 이용 행태 조사 : 당류섭취 및 영양표시 인지도

        이혜림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807

        ABSTRACT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Coffee Consumption Behavior of Coffee Shop: Focus on Sugar Intake and Nutrition Labeling Lee Hyerim Major in Nutritio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achon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Lee Youngme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ugar intake according to the coffee beverage consumption tendency based on university students’ usage behavior of coffee shops. Also, the study aimed to provide a basic material for nutrition education and awareness reconstruction to reduce sugar intake,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sugar reduction by improving the display of sugars in coffee shops. In this regard, the actual circumstance examination on nutrition labeling of 29 coffee shops and the survey targeting 207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food and nutrition and others in Seong-nam City were performed respectively. In a basis of the research question and the collected data, the frequency, percentage, standard deviation were analyzed, and χ²-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actual circumstance examination on nutrition labeling of coffee shops, 64% posted the nutritional information including calories and sugars in the A4 size menus. However, such menus, put far away from the beverage order place with small font size, led to the difficulties in using the information. Thus, specific measures to allow consumers to easily identify nutrition labeling in coffee shops should be adopted. 2. According to the survey on usage behavior of coffee shops and sugar intake awareness, a total of 207 students were engaged; 28.5% were male while 71.5% were female, and the number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e students’ major included 71% of food and nutrition, and 29% of others. 39% of the students received more than 400,000 won as their monthly allowance on average, and 52.6%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healthy. - the sweetness preference depending on gender, major, obesity revealed that female students preferred sweet taste than male students (p<0.01), and the students majoring in food and nutrition preferred sweet taste than others (p<0.01), and the low-weight group preferred sweet taste than the overweight or obesity group (p<0.05). - In terms of coffee shop usage time of university students, ‘after lunch’ was 70%, while ‘after dinner’ was 45%. -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number of coffee shop visit, the respondents with a high frequency of visit of ‘3-4 times a week’ had a higher intake of sweet beverages. On the other hand, the respondents with a low frequency of visits, that is, the university students who visited coffee shops ‘1-2 times a week’ had more than 60% to choose sweet beverages, which impli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visit frequency and the sugar amount added to the purchased beverage(p<0.001). - When choosing beverages at a coffee shop, 93% considered ‘taste’, 84% considered ‘price’, and 42% considered ‘coffee shop brand’, which revealed that ‘tast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urchasing coffee beverage. -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 labeling check and coffee beverage purchasing behavior showed that the fe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purchase beverages after checking their nutrition labeling (p> 0.05) than male students, and among the nutrition labeling check group, the affected proportion in the actual purchase was higher in the female student group than the male student group. Nevertheless, the rate of checking sugar content from nutrition labeling was lower in both female and male students (p>0.05). - The percentage of knowing the exact definition of sugar was somewhat different according to students’ majors. The degree of recognizing sugar definition was higher among the students majoring in food and nutrition than others (p<0.001). Regarding the gender difference, the female students tended to understand the sugar definition than the male students (p<0.001). - As for the WHO recommendation of sugar intake (less than 50g per consuming 2,000 Kcal), the students majoring in food and nutrition were more likely to be aware of the recommendation than others (p<0.01). - As for ‘the campaign for sugar reduction’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e fe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be aware of the campaign than the male students (p<0.001), and the students majoring in food and nutrition were more likely to be aware of the campaign than others (p<0.001). - In terms of the attention toward coffee purchase and sugar intake, 66.4% of the students majoring in food and nutrition and 50.0% of others answered that specific sugar labeling of the purchased beverage was needed at coffee shops. In addition, the female students had higher demands for sugar indication than the male students (p<0.001). - In terms of the place of sugar indication at a coffee shop,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responded that it was appropriate to display the nutrition labeling ‘on the side of beverage image in a menu’, which suggested the necessity of future studies since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studies on more effective nutrition labeling in coffee shops to reduce sugar intake. The actual circumstance examination on nutrition labeling of coffee shops demonstrated that it was not possible for consumers to purchase beverages after easily checking the nutrition labeling; The university students responded that it was more efficient to ‘indicate the amount of sugar content (%) in a standard of personal intake amount’ or ‘to express the information in the form of figures or graphs’.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develop the nutrition labeling methods for coffee or juice shops to reduce sugar intake. In order to improve the nutrition labeling of coffee shops and the autonomous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on ordering and selecting beverages, active campaign of coffee shops and promotion through SNSs or posters for sugar reduction should be carried out. Moreover, for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on sugar redu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relevant education through liberal arts and community activities besides the major lectures should be supplemented. Furthermore, fostering the social environment as well as the voluntary awareness-reconstruction of individuals on sugar reduction should be followed. Key words: coffee shop, university student, sugar reduction, nutrition labeling, sugar intake 국문초록 대학생의 커피 전문점 이용 행태 조사 -당류섭취 및 영양표시 인지도-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커피전문점 이용 행태 조사를 통하여 커피음료 소비성향에 따른 당류 섭취정도를 알아보고 당류 섭취를 줄이기 위한 영양교육 및 인식의 재구조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커피전문점의 당류표시 개선을 통한 당류저감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 28곳의 영양표시 실태조사와 성남 시 관내 대학생 식품영양전공자와 기타전공자 207명이 참여한 설문조사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SPSS 23.0 통계분석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표준편차, χ²-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커피전문점에 대한 영양표시 실시 이행여부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 커피전문점의 64%가 A4사이즈 크기 메뉴판에 음료의 열량과 당류 등의 영양표시를 게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표시 자료는 소비자의 알림 목적으로 활용되는 데에는 글씨가 작고 음료를 주문하는 곳과 떨어진 장소에 비치되어 있어 음료 주문 시 이를 활용하는 데에는 제한이 있었다. 향후 커피전문점에서 소비자가 영양표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2. 커피전문점 이용행태 및 당류 인식조사에 대한 설문조사의 경우 연구 대상자는 총 207명 이었다. 이중 남학생이 28.5%, 여학생이 71.5%로 구성되어 여학생이 더 많았다. 전공의 경우 식품영양전공자 71%, 기타 전공자 29%로 조사되었다. 한 달 평균용돈은 40만원을 초과하는 집단의 비율이 39.6%이며,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응답은 조사대상자의 52.6%가 ‘건강한 편’ 이라고 응답하였다. - 성별, 전공, 비만도에 따른 단 맛 선호여부를 조사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단 맛을 선호하는 비율이 높았으며(p<0.01), 식품영양전공자가 기타 전공자에 비해 단 맛을 더 선호하였다(p<0.01). 비만도에 따라서는 저체중군이 과체중 및 비만군보다 단 맛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 대학생들의 커피전문점 이용 주 시간대는 점심식사 후가 70%에 해당하였으며 저녁식사 후는 45%로 조사되었다. - 커피전문점 방문 횟수에 따른 구매 음료를 조사한 결과 일주일에 3-4회로 자주 방문하는 응답자는 ‘달지 않은 음료’의 섭취량이 높았으며 커피전문점 방문횟수가 낮은 즉, 주 1-2회로 커피전문점을 방문하는 대학생의 경우 단맛이 나는 음료를 선택하는 비율이 60%이상으로 조사되어 커피전문점 방문 횟수와 구매음료의 당 첨가정도가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다(p<0.001). - 커피전문점에서 대학생의 음료 선택 시 93%는 ‘맛’을 84%는 ‘가격’을 42%는 ‘커피전문점 브랜드’를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들의 커피음료 구매에 있어서 중요 요소는 ‘맛’이 우선 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양표시 확인 여부와 커피음료 구매 행동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영양표시를 확인 후 음료를 구매하는 비율이 높았으며(p>0.05), 영양표시 확인집단에서 커피음료 구매에 영향을 받는 비율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러나 커피전문점에서의 음료 구입 시 영양표시 중 당 함량을 확인하는 비율은 남녀 모두 낮게 나타났다(p>0.05). - 당류 정의를 잘 알고 있는 비율은 대학생의 전공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식품영양전공자가 기타 전공자에 비하여 당류 정의에 대한 인지정도가 높았다(p<0.001).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당류 정의를 알고 있는 비율이 높았다(p<0.001). - WHO의 당류 권고기준(2,000Kcal 열량 섭취 시 50g 미만)을 알고 있는 지 여부는 식품영양전공자가 기타 전공자에 비하여 알고 있는 비율이 높았다(p<0.01). -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당저감화 캠페인’을 알고 있는 비율은 성별에 따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당저감화 캠페인에 대한 인지비율이 높았으며(p<0.001), 전공에 따른 비율은 식품영양전공자가 기타 전공자에 비하여 캠페인에 대한 인지정도가 높았다(p<0.001). - 커피구매와 당류 섭취에 대한 관심도는 식품영양전공자 66.4%, 기타 전공자 50.0%가 커피전문점에서의 구매 음료의 구체적 ‘당류’ 영양표시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커피전문점의 당류 표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 커피전문점에서의 당류 영양표시장소는 남녀 모두 ‘메뉴판 음료 그림 옆’에 영양표시를 하는 것을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향후 당류섭취 저감화를 위한 커피전문점에서의 보다 효과적인 영양표시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실정으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커피전문점 영양표시 현황조사 결과 소비자가 쉽게 영양성분표를 확인 후 구매할 수 없는 실정이었으며 대학생들은 커피전문점에서의 보다 효율적인 영양표시를 ‘1인 섭취량 기준으로 당 함류량(%)을 표기’하거나 ‘그림이나 그래프 형태로 표기’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응답하였다. 이에, 당류 섭취저감화를 위하여 커피전문점 및 주스 판매점 등의 음료 판매 전문점에 대한 영양표시 방안의 개선이 필요하다. 커피전문점에서의 영양표시 개선과 함께 음료를 주문하고 선택하는 것에 대한 대학생 자신의 의식개선이 선행될 수 있도록 커피전문점에서 당류섭취 줄이기 캠페인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SNS나 포스터 자료 등의 게시를 통하여 당 섭취 저감화를 적극적으로 홍보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생들의 당 저감화를 위한 영양교육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전공 수업 이외에 교양수업 및 지역사회 활동을 통해 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 나아가 자발적인 인식을 통한 당 저감화에 대한 개인의 인식재구조화와 함께 사회 환경의 조성이 요구된다고 사료된다. 주요어 : 커피전문점, 대학생, 당저감화, 영양표시, 당류섭취

      • 영남지역 대학생의 영양지식 수준에 따른 비타민 · 무기질 보충제 섭취 실태 분석

        김송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9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knowledge level of vitamins and minerals, dietary practices, and nutritional education status of college students in Yeongnam region, and a total of 310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V.23.0 program as follows. The gender of the survey subjects was 167 (53.9%) male students, 143 (46.1%) female students, and students aged 20-24 with 232 (74.8%) and students aged 25-29 with 78 (25.2%). Monthly income (pocket money) of "500,000 won or more” was the most 131 students (42.3%) and "Those whose family members did not work for nutrition, health, and medical care“ were 252 students (81.3%), and “non-majors” who had no relation to nutrition, health or health care were the highest with 249 students (80.3%). In other survey items, “drinkers” were 217 (70.0%), “non-smokers” were 230 (74.2%), average sleep time "exceeding 6 to 7 hours" was 119 (38.4%), "no exercise" in a week was 94 (30.3%), and students responding "normal" on their current health condition was the highest with 121 (39.0%). The average correct answer rate for knowledge of vitamins and mineral supplements was 38.3%, with the highest scores for “female students”, “25-29 years of age” and “those whose family members work for nutrition, health or medical care,” and “those who specialize in nutrition, health or medical care.” The dietary practice score of the survey subjects was an average of 2.88 points out of 5 points, with high dietary practice scores for "non-drinkers," "more than five times a week” of exercise and "less than one to two hours" of exercise and those who think they are currently "very healthy." As for whether or not the participants took nutrition-related courses, “yes” 78 (25.2%), "no" 232 (74.8%), with a high percentage of them taking the courses in “female students”, and “those whose family members work for nutrition, health, or medical care”, and “those whose major were related to nutrition, health or medical care”, and “top” group of nutrition knowledge score. Out of 78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took nutrition-related courses, as for whether or not they took courses related to vitamins and mineral supplements, “yes” 72 (92.3%), “no” 6 (7.7%), indicating that the experiences of taking nutrition-related courses mostly lead to taking courses related to vitamins and mineral supplements. On the need for nutrition education, 289 (93.2%) said they needed it, and 21 (6.8%) said they didn’t need it, indicating high percentage in the group of “25-29 years of age” and “top” group of nutrition knowledge score. As for the subject of interest in nutrition education, “nutrient intake standard” was the highest at 28.7%. As for consuming vitamins and mineral supplements, “consumers” were 173 (55.8%) and “non-consumers” were 137 (44.2%), indicating a high percentage in monthly income (pocket money) of “500,000 or more”, exercise of “5 or more times a week”, “top” group in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 and “top” group in dietary practice score. The most common reason why the consumers took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ation was ‘recovery from fatigue’ with 105 students (31.4%). As for the number of vitamins and mineral supplements taken, “two” were the most common with 70 participants (40.5%), and "two" supplements were often taken in case of “20 to 24 years of age”, “non-drinkers” and those who considered themselves “a little unhealthy”. The intake frequency of “daily intake” was 110 (63.6%), the intake period of ‘less than 1 year’ was 80 (46.2%), and 97 (56.1%) of "a little knowledge" in the intake effect recognition, accounted for the largest percentage. Those who answered "check" on whether to check nutrition facts label was 109 (63.0%), with a high percentage of them checking the label in “those whose family members work for nutrition, health or medical care”, and “those who specialize in nutrition, health or medical care”, and “non-drinker”, and “top” group of nutrition knowledge score. The purchase route of “online shopping mall” was the most common with 114 (65.9%), and the percentage through the route was the highest in “non-smokers” and average exercise time per session of “30 minutes to 1 hour.” As a consideration for purchasing, “nutrition facts” was the highest with 90 students (52.0%), indicating that “price” and “nutrition facts” were mailny considered by male students, and “brand” and “review” by female students. Those who answered that they had “a slight effect” were 84 (48.6%) in terms of the intake effect experience, which was the highest, with a higher percentage in monthly income (pocket money) of “less than 100,000 to 200,000 won” and those who answered that their current health condition was “normal”. The number of purchasers with their own pocket money was 82 (47.4%), which is similar to the purchase by their parents with 81 (46.8%), and it was high percentage of purchase with pocket money when they were “25-29 years of age” and “500,000 won or more” of monthly income(pocket money). Those who experienced side effects was 19 (11.0%) and “stomach pain” was the most common with 7 (25.9%). On the other hand, the most common reason why “non-consumer” did not take vitamins or mineral supplements was “because it is bothersome” with 97 (45.1%). The survey showed ‘yes’ 270 (87.1%) for future consumption intention, indicating high percentage in “female” and monthly income(pocket money) of "less than 400,000 won to 500,000 w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ill be made. First, most of participants feel that nutrition education is necessary, but the experience of taking related courses is very low. In particular, it seems necessary to open nutrition education as liberal arts courses because non-major students have few opportunities to take nutrition-related courses and have a low rate of correct answers to knowledge about vitamins and mineral supplements. Second, the purchase of vitamins and mineral supplements is often made online and many college students purchase them with their own pocket money, so they often consider their prices and nutrition facts. Therefore, the sales sites are required to display detailed and accurate information on the functionality and intake standards of supplements. Third, if there are no nutrition, health, or medical workers among family members, it can be seen that the rate of checking the nutrition facts when purchasing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is low, and the knowledge score of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is lo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rrect nutritional information by developing easy-to-access Internet or smartphone applications for college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obtaining nutritional information. 본 연구는 영남지역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비타민 · 무기질에 대한 지식 수준, 식생활 실천 현황, 영양교육 실태에 따른 보충제 섭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총 310명의 자료를 SPSS V.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성별은 ‘남학생’ 167명(53.9%), ‘여학생’ 143명(46.1%), 연령은 ‘20~24세’ 232명(74.8%), ‘25~29세’ 78명(25.2%)로 나타났다. 월 소득(용돈)은 ‘50만원 이상’이 131명(42.3%)으로 가장 많았으며, 가족 구성원 중 영양, 보건, 의료종사자 유무를 조사한 결과 ‘없음’ 252명(81.3%), 영양, 보건, 의료와 관련 없는 ‘비전공자’ 249명(80.3%)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음주자’ 217명(70.0%), ‘비흡연자’ 230명(74.2%), 평균 수면시간 ‘6시간 초과~7시간’ 119명(38.4%), 주 1회도 운동을 ‘하지 않음’이 94명(30.3%), 자신이 생각하는 현재 건강상태가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응답자가 121명(39.0%)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조사대상자의 비타민 · 무기질 보충제에 대한 지식을 알아본 결과 전체 문항의 평균 정답률은 38.3%로 ‘여학생’, ‘25~29세’, ‘가족 구성원 중 영양, 보건, 의료종사자가 있을 경우’와 ‘영양, 보건, 의료 관련 전공’일 경우 점수가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식생활 실천 점수는 5점 만점에서 평균 2.88점으로 ‘비음주자’, 운동을 ‘주 5회 이상’, ‘1~2시간 미만’하는 경우와 자신이 현재 ‘매우 건강하다’고 생각할 경우 식생활 실천 점수가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영양 관련 과목 수강 여부는 ‘예’ 78명(25.2%), ‘아니오’ 232명(74.8%)으로 ‘여학생’, ‘가족 구성원 중 영양, 보건, 의료종사자가 있는 경우’, ‘영양, 보건, 의료 관련 전공’, 그리고 영양 지식 점수가 높은 ‘상’ 집단의 경우 영양 관련 과목 수강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 관련 과목 수강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78명 중 비타민 · 무기질 관련 과목 수강 여부에 대해 질의한 결과 ‘예’ 72명(92.3%), ‘아니오’ 6명(7.7%)으로 영양 관련 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을 경우 대부분 비타민 · 무기질 관련 과목도 함께 수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교육 필요성에 대해서 ‘필요하다’ 289명(93.2%), ‘필요없다’ 21명(6.8%)으로 ‘25~29세’, 영양지식 점수 ‘상’그룹에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영양교육에 대한 관심 주제는 ‘영양소 섭취기준’이 28.7%로 가장 높았다. 비타민 · 무기질 보충제 섭취 여부는 ‘섭취자’ 173명(55.8%), ‘비섭취자’ 137명(44.2%)으로, 월 소득(용돈) ‘50만원 이상’, 운동을 ‘주5회 이상’ 하는 경우, 영양지식 점수 ‘상’그룹, 식생활 실천 점수 ‘상’그룹에서 ‘섭취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섭취자’의 비타민 · 무기질 보충제 섭취 이유는 ‘피로회복’이 105명(31.4%)으로 가장 많았다. 섭취하는 비타민 · 무기질 보충제 가짓수는 ‘두 가지’가 70명(40.5%)으로 가장 많았으며, ‘20~24세’, ‘비음주자’와 자신이 현재 ‘조금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할 경우 ‘두 가지’의 보충제를 먹는 경우가 많았다. 섭취 빈도는 ‘매일 섭취’ 110명(63.6%), 섭취 기간 ‘1년 미만’이 80명(46.2%), 섭취 효과 인지는 ‘조금 알고 있다’가 97명(56.1%)으로 가장 많았다. 성분표시 확인 여부에 대해 ‘확인한다’가 109명(63.0%)으로 ‘가족 구성원 중 영양, 보건, 의료종사자가 있는 경우’, ‘영양, 보건, 의료 관련 전공’, ‘비음주자’, 영양지식 점수 ‘상’그룹에서 성분표시를 확인하는 비율이 높았다. 구입 경로는 ‘온라인쇼핑몰’이 114명(65.9%)으로 가장 많았으며, ‘비흡연자’, 1회 평균 운동 시간 ‘30분~1시간’일 경우 온라인쇼핑몰에서 구입하는 비율이 높았다. 구입 시 고려사항으로 ‘성분조성’이 90명(52.0%)로 가장 높았으며, 남학생은 ‘가격’과 ‘성분조성’을, 여학생은 ‘브랜드’와 ‘리뷰’를 고려한다는 비율이 높았다. 섭취 효과 경험에 대해 ‘조금 효과 있음’ 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84명(48.6%)으로 가장 높았으며, 월 소득(용돈) ‘10~20만원 미만’, 현재 건강상태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집단에서 ‘조금 효과 있음’ 비율이 높았다. 구입자는 ‘용돈으로 스스로 구입’ 82명(47.4%), ‘부모님이 구입’ 81 명(46.8%)으로 비슷하며 ‘25~29세’, 월 소득(용돈) ‘50만원 이상’일 경우 용돈으로 스스로 구입하는 비율이 높았다. 부작용 경험은 19명(11.0%)이 했으며 ‘위통증’이 7명(25.9%)으로 가장 많았다. 반면, ‘비섭취자’가 비타민 · 무기질 보충제를 섭취하지 않는 이유는 ‘귀찮아서’가 97명(45.1%)가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자들의 향후 섭취 의향은 ‘예’ 270명(87.1%)으로 ‘여학생’, 월 소득(용돈) ‘40~50만원 미만’에서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영양교육이 대부분 필요하다고 느끼나 막상 관련 과목 수강 경험은 매우 낮다. 특히, 비전공자의 경우 영양 관련 과목을 수강할 기회가 적고 비타민 · 무기질 보충제에 대한 지식 정답률이 낮으므로 교양과목으로 영양교육을 개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비타민 · 무기질 보충제의 구입이 주로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고 많은 대학생들이 자신의 용돈으로 구매하기 때문에 구매 시 가격과 성분조성을 고려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판매 사이트에서는 보충제의 기능성과 섭취기준에 대한 상세하고 정확한 정보 표시가 필요하다. 셋째, 가족구성원 중 영양, 보건, 의료종사자가 없을 경우 비타민 · 무기질 보충제 구입 시 성분표시를 확인하는 비율이 낮고, 비타민 · 무기질 보충제에 대한 지식 점수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평소 영양정보를 얻기 어려운 대학생들의 바람직한 비타민 · 무기질 보충제 섭취를 위해 접근하기 쉬운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어플 개발로 올바른 영양정보를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