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가공식품의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도 및 이용실태

        천명숙 대구한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Recognition and Using Realities of Nutrition Labeling of Processed Foods Myeong-Suk Chun Department of Nutritio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gu Haany University, Gyeu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Chan-Sung Park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purchase and using reality of processed foods, recognition of food labeling, and practical usage of nutrition labeling, to research recognition and using realities of processed foods of elementary students in Daegu, on 686 students of grade 4-6 and 657 parent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Students used 510∼1000 Won per day to buy snacks, and most processed foods were bought at the supermarket. The reason to buy processed foods was because it's convenient, and when they buy processed foods, they focused primarily on how the food taste, and the information about choosing processed foods were gotten by their friends and family members. 2. Students thought taste and convenience about processed foods, and had a lot of negative views of nutrition. And as for the intake of processed foods, the students took in milk or dairy products almost everyday, noodles, bread or pastry, drinks 1-2 times a week, and processed meat or fish, and frozen food for 1-2 times a month. The students rarely took in sauce, canned food, and instant food. 3. 84.7% of the subject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nutrition labeling was to mark the nutrition and its amount included, and 93.5% of the students said that they had seen the nutrition labeling on the processed foods before. 79.5% of the students said that they checked the marking before purchasing, and they focused on the total calories when checking the mark. The reason for checking the nutrition labeling was 'to know what kind of nutrition is inside', 'to consider health', mostly considering nutrition and health. 4.Recognition for the need, satisfaction, and understanding, of nutrition labeling law was high, but the trust degree was low. Most students never took education on nutrition labeling, and 97.0% of the students thought that education was needed. And 71.5% of the students wanted particular nutrition education from the school as the nutrition labeling education. 5. Generally, parents used 300 thousand - 400 thousand Won per month for food, and 50-100 thousand Won for processed foods. The information about processed foods was collected at the market site; selecting standard for their purchase was additive and original place; and most frequent purchasing place was large sales malls. Most frequent opinions of them to purchase the processed food were the effect of advertisements, variety of type, easiness in purchasing and convenience in storage. They were often checking the price, lifespan of the food, and brand for their purchase. 6.As for the using reality of the processed foods, they used milk and dairy products almost everyday, and noodles and breads once or twice a week. They used processed meat, fish product, beverage and sauce 2~3 times a month, frozen foods once a month, and canned food and instant food, seldom. 7.94.8% of them recognized the nutrition labeling for processed food as ‘marking of content and ingredient of the nutrient’ They showed high interest in nutrient, saying ‘to find what kinds of nutrient are here’ as the cause of their checking of the nutrition labeling for their purchase. Most frequent reasons of the parents who don't check the nutrition labeling were ‘it's hard to understand’, or ‘it's untrustworthy’ The nutrition labeling `processed foods selective at the time of actually became help and ‘information acquisition’ was high but, this chart,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of nutrition labeling were low about processed foods. 8. Most urgently required thing to settle down the nutrition labeling system of the processed good was ‘to protect consumers’ right to know and to make it a duty to mark the nutrient, according to their opinion. Some methods parents considered to use nutrition labeling were ‘simplification of nutrition labeling’, or ‘continuous advertisement and consumer education’. Social and familial environment change has led elementary students to be the purchasers to choose foods for themselve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nutrition labeling correctly but systematic education for it was not going on. The school is the most appropriate place for education, time and space, for the formation of right habit of daily dietary life, and is available to be connected with families. If students could understand and use the nutrition labeling correctly through good education, the effectiveness in their every day lives will be great 가공식품의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도 및 이용실태 천 명 숙 대구한의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지도교수 박 찬 성) (초록) 본 연구는 대구지역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가공식품 이용실태와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도 및 영양표시 활용도 조사를 위해 초등학생 4-6학년 학생 686명과 학부모 657명을 대상으로 가공식품의 구매 및 이용실태, 영양표시 인식도, 영양표시 활용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생들이 하루에 간식비용으로 510-1,000원을 지출하였으며 가공식품을 주로 사먹는 장소는 슈퍼마켓이었다. 가공식품을 섭취이유는 간편해서, 구매 시에는 맛을 우선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가공식품을 선택할 때는 친구나 가족으로부터 정보를 얻고 있었다. 2. 학생들은 가공식품에 대해 맛, 편리함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영양적인 면에서는 부정적인 시각이 많았다. 가공식품 섭취 실태에 있어서 우유 및 유제품류는 거의 매일 섭취하였으며, 면류, 빵류 및 과자류, 음료류는 주 1-2회, 육가공품류, 어육제품류, 냉동식품류는 월 1-2회 섭취하였다. 소스류, 통조림류, 즉석식품류는 거의 섭취하지 않았다. 3. 조사대상 학생의 84.7%가 영양표시는 영양소 성분․함량을 표시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93.5%의 학생이 가공식품에서 영양표시를 본 경험이 있다고 하였다. 가공식품 구매 시에 영양표시를 79.5%가 확인한다고 하였으며, 가공식품 영양표시를 확인할 때 총열량을 우선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는 ‘어떤 영양소가 들어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건강을 생각해서’로 영양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4. 영양표시제도에 대한 필요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해도, 만족도는 높았으나 신뢰도는 낮았다. 대부분의 학생이 영양표시 관련교육을 받은 적이 없었으며,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97.0%나 되었다. 영양표시에 대한 교육 방법으로는 71.5%의 학생이 학교의 체계적인 영양교육을 원하고 있었다. 5. 학부모의 일반사항으로 월 식비(외식비제외)는 30-40만원을 지출 하였으며 그중에 가공식품 구입비용으로 5-10만원을 지출 하였다. 가공식품에 대한 정보는 매장에서 직접 수집하였고, 구매 시 선택기준은 첨가물․원산지였으며, 구입 장소는 대형할인매장이 가장 많았다. 가공식품의 이용이유로 광고의 영향과 종류다양성, 구입이 용이, 저장과 보관의 편리성에 있다고 생각하는 의견이 많았다. 가공식품 구매 시에 가격, 유통기한, 제조회사명을 많이 확인하고 있었다. 6. 가공식품 이용실태에서 있어서는 우유 및 유제품은 거의 매일 이용하고, 면류, 빵류 및 과자류도 주 1-2회 이용하였다. 육가공품류, 어육제품류, 음료류, 소스류는 월 2-3회 이용하였고, 냉동식품류는 월 1회 이용하였으며, 통조림류, 즉석식품류는 거의 이용하지 않고 있었다. 7. 가공식품의 영양표시란 ‘영양소의 성분과 함량을 표시한 것’으로 94.8%가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공식품 구매 시에 영양표시를 89.2%가 확인을 한다고 하였다. 가공식품을 구매 시에 영양표시 확인이유는 ‘어떤 영양소가 들어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로 영양소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영양표시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학부모 중에서 확인하지 않는 이유는 ‘신뢰하지 않는다’,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다. 영양표시가 ‘식품선택 시 실제로 도움이 된다’ ‘식품에 대한 정보 취득’은 높았으나, 영양표시의 이해도, 신뢰도, 만족도는 낮았다. 8. 가공식품의 영양표시제도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서 가장 선행 되어야 할 과제는 ‘영양표시제 의무화 및 소비자 알권리를 보호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가공식품의 영양표시를 활용 방안으로는 ‘영양표시 방식을 쉽고 간결하게 표시’, ‘꾸준한 홍보 및 소비자교육’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사회적 환경, 가족적 환경의 변화로 초등학생이 직접 식품을 선택하고 결정하는 구매자가 되었다. 영양표시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지만 영양표시에 관련된 체계적인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학교는 올바른 식생활 습관 형성에 교육적․시간적․공간적으로 매우 효과적이며 가정과 연계가 가능하다. 영양표시에 교육이 잘 이루어져 아동들이 식품에 표기된 영양표시를 잘 이해하고 활용한다면 실생활에서 영양표시 교육의 효용성은 크다고 본다.

      • 대구 일부 지역 중학생의 식습관 및 영양지식 분석을 통한 영양교육 요구도 조사

        박인숙 대구한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ating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ertain areas of Daegu, and to promote the need for nutrition education proper for adolescent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80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area of Daegu in April, 2014, and the students consisted of 83 males (46.1%), 97 females (53.9%), 56 first-grade students (31.1%), 57 second-grade students (31.7%), and 67 third-grade students (37.2%). The ratio of students who had received nutrition education in the last year was 17.5% and who had not received was 82.5%. For the number of meal skip, 53.0% of male students turned out to skip meals once a month, the highest, and 32.3% of female students turned out to skip meals once to three times a week, the highest (p<0.001). Regarding to grades, 50.0% and 40.4% of first-grade and second-grade students turned out to skip meals once a month, respectively, the highest, and 25.8% of third-grade students turned out to skip meals once to three times a week, the highest (p<0.01). For the question, ‘Do you think your eating habits are right?’, 59.0% of male students answered ‘Normal’, the highest, and 44.3% of female students answered ‘Yes’, the highest (p<0.05).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ingestion of salty and spicy strong-tasting foods,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s or genders, 30.5% of the entire students answered ‘I don’t ingest strong-tasting foods’, and 69.4% answered ‘ingest saltier and spicier strong-tasting foods than normal’. 78.3% of the entire students answered ‘I rarely or never do overeating/binge’, and the reasons of doing overeating/binge turned out to be ‘When I skipped a meal’ (36.6%), ‘When I ate too little’ (21.5%), ‘Depends on my feelings’ (17.2%), and ‘Because of academic stress’ (12.9%). The reasons of doing overeating/bin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s (p<0.05). For the question, ‘Do you check the nutrition label when you purchase foods?’, 71.1% of female students and 48.2% of male students answered higher than ‘Normal’, which indicates that female students check the nutrition label when they purchase foods more frequently than male students (p<0.05).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nutrition knowledge, the total average score turned out to be 11.19 out of 15. Although i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s, the total average score of male students was 10.99 and that of female students was 11.36, which indicates that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 of female students is higher. For grades,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s of third-grade, second-grade, and first-grade students turned out to be 11.63, 11.14, and 10.71, respectively, which indicates that as grade gets higher, the total average nutrition knowledge score gets higher (p<0.05).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nutrition education demand, 58.4% of the entire students answered ‘I think nutrition education is necessary’ and 41.6% answered ‘I don’t think nutrition education is necessary’, and for the reasons of thinking nutrition education would not be necessary, 54.1% answered ‘Because even if I receive nutrition education, I wouldn’t put it in action’, the highest, followed by ‘It is enough to receive nutrition education at home’ (21.6%) and ‘The school is already giving enough nutrition education’ (12.2%). Most students answered that nutritionists would be the most suitable for nutrition education(71.7%), and for the question,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appropriate class for nutrition education?’, 46.3% and 19.5% of male students answered ‘Class through a subject’ and ‘Cooking practice’, respectively, and 32.0% and 28.9% of female students answered ‘Cooking practice’ and ‘Class through a subject’, respectively(p<0.0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demand for nutrition education, the total average score of importance was 4.13 and that of education demand was 3.91, which indicates that education demand is lower than perceived importance (p<0.001), and the perceived importance was higher than education demand on the all 16 items (p<0.05). The three items, nutrition label information education, traditional food culture of Korea, and food cultures of the world turned out to have lower importance than other items, and for demand, although its total average score was below 4, the six items, that is, obesity and weight control, food hygiene and preservation, prevention of food poisoning, diseases and dietary life, panning diet menu and balanced diet, and right eating habits had higher average scores than other items. This study investigated eating habits and life habits, and the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ertain districts of Daegu, and the perceived importan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demand for nutrition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lthough they recognize the need for nutrition education, because they have few opportunities to accumulate nutrition knowledge, there are few related programs, and dietary life education is included only in technology/home economics classes. The importance of constant nutrition education is not being properly realiz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it is hard for students to practice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in which students can participate with interests, and nutritionists need to make continuous efforts as educators for nutrition education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본 연구는 대구 일부 지역 중학생의 식습관 및 영양지식을 통한 영양교육 요구도 연구의 일부분인 식습관 및 영양지식에 대해 조사를 하여 청소년들에게 적합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하였다. 2014년 4월에 대구 일부 지역 남녀 중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자 전체 180명 중 남학생이 83명(46.1%), 여학생은 97명(53.9%), 1학년이 56명(31.1%), 2학년은 57명(31.7%), 3학년은 67명(37.2%)로 조사되었다. 최근 일 년간 영양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이 17.5%, 없는 학생이 82.5%였다. 결식 횟수의 경우 남학생의 53.0%가 월 1회 결식을 하는 것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32.3%가 주 1~3회 결식을 하는 것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1). 학년별로 1학년과 2학년이 각각 50.0%, 40.4%로 월 1회 결식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3학년은 주 1~3회 결식하는 비율이 25.8%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p<0.01). 스스로 자신의 식습관이 올바른가에 대한 질문에 남학생은 보통이다가 59.0%로 가장 높고, 여학생의 경우 그렇다가 44.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짜고 매운 자극적인 음식 섭취에 대한 조사결과, 학년간, 성별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자극적인 음식 섭취를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학생이 30.5%로 조사되었으며, 69.4%의 학생들이 보통 이상으로 짜고 매운 자극적인 음식을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식·폭식을 거의 하지 않거나 전혀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78.3%로 조사되었으며, 과식·폭식을 하는 이유로는 끼니를 걸렀을 때 36.6%, 식사량이 부족할 때(21.5%), 기분에 따라(17.2%), 학업 스트레스(12.9%) 등으로 나타났다. 과식·폭식을 하는 이유와 학년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식품을 구입할 때 영양표시를 확인 하는가의 문항에서 여학생은 영양표시 확인에 대해 보통이다 이상이 71.1%, 남학생은 48.2%로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식품 구입 시 영양표시 학인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영양지식 조사 결과, 15점 만점을 기준으로 전체 평균 점수는 11.19점으로 나타났다. 남녀간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남학생의 전체 평균 점수는 10.99점, 여학생은 11.36점으로 여학생의 영양지식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년별로 살펴보았을 경우, 3학년이 11.63점, 2학년은 11.14점, 1학년은 10.71점 순으로 학년이 높을수록 영양지식의 전체 평균 점수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영양교육 요구도 조사 결과,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전체의 58.4%이며, 필요없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41.6%였으며, 영양교육이 필요없다고 생각한 학생들 중에서 그 이유로는 영양교육을 받아도 실천에 옮기지 않기때문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54.1%로 가장 높았으며, 가정에서 받는 영양교육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하거나(21.6%), 학교에서 충분히 영양교육을 하고 있다고 생각(12.2%)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영양사(영양교사)가 영양교육에 적합한 교육 담당자(71.7%)라고 응답하였으며, 영양교육에 적절한 수업시간으로는 남학생은 교과목을 통한 수업시간에 대한 응답이 46.3%, 조리실습 19.5%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조리실습이 32.0%, 교과목 시간을 통한 수업 28.9% 순으로 나타났다(p<0.05). 영양교육 주제별 중요도․교육 요구도 차이분석 결과, 전체 평균 점수는 중요도 4.13점, 교육 요구도 3.91점으로 중요도에 비해 교육 요구도가 낮았으며(p<0.001), 16개 항목 모두 교육 요구도보다 중요도가 높았다(p<0.05). 식품 표시 정보 교육, 우리나라의 전통식문화, 세계의 식문화 3개 문항이 다른 문항에 비해 중요도가 다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요구도의 경우 전체 평균이 4점 이하였으나 비만과 체중조절, 식품위생 및 보존, 식중독 예방, 질병과 식생활, 식단 작성과 균형 잡힌 식사, 올바른 식습관 6개 문항이 다른 문항에 비해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 일부 지역 중학생의 식습관 및 생활습관과 영양지식의 수준, 영양교육의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영양교육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관련 프로그램과 영양지식을 쌓을 기회가 적으며, 중학생들의 식생활 교육이 기술․가정 시간에만 미미하게 포함되어 지속적인 영양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행동으로 옮기고 실천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영양(교)사는 교육담당자로서의 책임감을 가지고 영양교육의 주체자로 꾸준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초등학생을 위한 한방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류아림 대구한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was designed to search an effect of an authentic herbal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based on principles of Oriental medicine. Prior to the program, a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on 234 elementary students to investigate their basic information, eating habits, knowledge on nutrition and their perception of herbal nutri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lesson plan, Powerpoint, ecorche and various activities such as quiz and game, was designed to have student familiarize herbal nutrition. 56 fifth grade students took the program 3 times with 3 different topics; internal organs and health, healthy diet with 5 basic colors(green, red, yellow, white and black), healthy diet with 5 basic tastes(sour, bitter, sweet, hot and salty taste). After the program,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felt more familiar with the oriental medicine. In addition a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n herbal nutrition question show signigicant increase of p<0.05. The total score of oriental medicinal health and nutrition questions after taking the program increased 14.2±7.49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at p<0.001 than its’ counterpart of 10.1±1.48. This study showed that an authentic herbal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ctually increases knowledge of oriental medicinal health and nutrition knowledge. However, increase of the knowledge does not necessarily lead into healthier eating habits, and therefore, further research about comparison between eating habits of target students’ and those who did not take the program on following 6 month is needed. Also, self-esteems o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development of various herbal nutrition textbook and classroom material and self-esteem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is need in order to establish herbal nutrition education program.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의학에 대한 친밀도를 갖게 하여 한의학적 원리를 기반으로 아동의 눈높이에 알맞고 생활 속에서 보다 친숙하게 실생활에서 실천 할 수 있는 한방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영양교육을 실시 한 후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방 영양교육 실시하기 전에 대구 시내의 4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234명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 방과 후 생활환경, 아침식사의 규칙성, 일반적인 식사 사항, 간식 섭취 빈도, 식품군별 영양소 섭취 빈도, 오방색별 섭취 빈도, 자연식품과 가공식품 오미의 섭취빈도, 서양학적 측면과 한의학적 측면으로 나누어 영양 및 건강 관련 지식 조사,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 등에 대한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다. 한방 영양교육은 대구시에 소재해 있는 초등학교 5학년 56명을 대상으로 3차례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교육 내용과 영양교육 후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육 시 대상자의 눈높이와 이해도, 교육의 효과 등을 고려하며 대상자가 한방 영양교육에 대한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한방 영양교육 수업 지도안, 한방 영양교육용 파워포인트 자료, 인체 모형과 식품모형 자료, 영양 게임과 퀴즈 등을 새로이 개발하였다. 2. 한방 영양교육 내용으로는 오장육부와 건강, 색깔별로 골라먹는 나만의 건강밥상, 다섯 가지 맛으로 골라먹는 나만의 건강밥상이라는 세 가지 주제로 구성하였다. 학습도구로는 PPT 자료, 오장육부 인체모형, 식품모형, 실물크기의 식품사진 등이 사용되었다. 3. 한방영양교육 전․후로 영양교육 실태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에는 한의학에 대한 친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방영양교육 후에는 “한의학에서도 영양관리 방법이 있다.”와 “색깔이 있는 음식이 몸에 좋다.”는 한의학적 이론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옛날이나 지금이나 건강을 위하여 한방영양관리는 중요하다.”고 답한 응답률도 높았다. 4. 한의학적 측면에서 건강과 영양 관련 지식 정답률에서 15문항 중 “오이와 수박은 열을 식혀준다.”, “우유를 먹으면 갈증이 해소된다.”그리고 “단 맛 음식을 조금 먹고 나면 기분이 좋아진다.”라는 3문항이 교육 전․후로 80% 이상의 높은 정답률을 보였으나 교육 전․후의 정답률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한의학의 정체관인 음양오행론과 오장육부 뿐만 아니라 오방색과 오미와 관련된 12문항의 정답률이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에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p<0.05) 한의학 관련 건강과 영양지식에 대한 총 점수에서는 교육 전 10.1±1.48점에 비하여 14.2±7.49점으로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p<0.00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적 원리를 기반으로 한 건강과 영양관련 지식수준에서 향상을 보였다. 향후 정기적인 한방영양교육을 통하여 아동들의 올바른 식생활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한방영양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한방영양교육 교재와 교육도구 개발 및 교실 수업의 안착화 그리고 지역사회와 연계된 한방영양교육을 통하여 우리나라 전통 한의학에 대한 자부심을 어릴 때부터 갖도록 교육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대학생들의 식생활태도 및 운동에 관한 연구 : 식품영양전공자와 체육전공자를 대상으로

        황은정 대구한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대구․서울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식품영양전공(남: 23명, 여: 84명) 학생과 체육전공(남: 79명, 여: 18명) 학생 총 20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남학생의 연령은 21.6세, 여학생은 21.3세로 평균 21.5세로 나타났으며, BMI는 21.74±2.91kg/㎡으로 정상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운동태도, 식생활 태도 및 건강에 대한 인식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운동, 식생활태도 및 건강의 조화를 현재와 미래에 대한 의지를 측정하기 위한 항목을 개발하여 대학생들의 올바른 영양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운동습관 및 운동에 대한 인식에서는 두 집단 모두 건강에 비중을 많이 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운동태도, 식생활 태도 및 건강의 조화에 대한 현재의 의지와 미래에 대한 의지에서는 식품영양전공 학생이 현재 상태보다 미래 상태 평가에서 긍정적인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발전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건강에 대한 자신의 평가에서는 체육전공에서 긍정적인 측면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흡연에 관한 조사에서는 체육전공 학생이 흡연에 노출된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전공별 운동과 영양교육에 관한 인식에서는 두 집단 모두 운동과 영양 모두 중요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향후 지도 의지에서도 운동과 영양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 식사의 섭취 빈도의 결과에서 거의 먹지 않는 학생이 전체 31.4%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아침식사의 식품섭취 유형에서도 밥+국+반찬 형태의 식사를 하는 비율이 64.5%로 조사되었고, 아침식사를 전혀 하지 않는 학생도 3.4%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영양교육 및 건강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대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실천위주의 영양교육과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영양교육의 경험이 없는 비전공자를 위한 영양관련 교양수업은 건강과 영양에 대한 포괄적인 지식과 함께 병행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실제 식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실용주의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운동 및 영양학을 전공하고 있는 전공자의 경우에도 전문적인 운동 및 영양지식을 실제 생활습관 및 식생활태도에 반영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영양교육을 통한 식생활 관리 등의 응용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교과과정의 확대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 나타난 식품영양전공자의 운동태도, 식생활, 건강에 대한 현재의 의지보다 미래에 대한 긍정인 방향으로의 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를 실천할 수 있는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research carried out for total 204 of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and Seoul who majored in Food and Nutrition(male: 23, female: 84) and Physical Education(male: 79, female: 18). The average age of male turned out 21.6 and female 21.5, BMI turned out 21.74±2.91kg/㎡ to be in a normal range. The research examined attitude to exercise and dietary life and awareness on health. it developed items to measure the wills for exercise, attitude to dietary life, and harmony on health in the present and the past and then carried out to offer the basic data for raising the effects of the right nutrition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were like below: It turned out both of groups gave weight to the health in the habits and awareness on exercise and students majored in Food and Nutrition showed positive possibility in a evaluation of the future, rather than the present, in the wills for the present and future. They might show a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 the future. It turned out students majored in Physical Education showed positive aspects meaningfully in a self-evaluation of the health but they showed higher rates of exposing a smoking as well. It turned out both of groups realized an importance both exercise and nutrition in the awareness on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and also turned out they were all positive in the needs of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in the wills for instruction in the future. As seeing the result for the frequency of having breakfast, it turned out students had it few were 31.4% out of total and 64.5% of students had it traditionally - boiled rice, soup, and side dishes - and 3.4% of students never had breakfast. Accordingly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it is needed that the nutrition education could be offer the accurate information about nutrition and health to university student an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education program; cultural studies for non-majored Food and Nutrition should be combined with the comprehensive knowledge about nutrition; a practical education could be applied on the real dietary life should be needed. In case of students majored in Physical Education or Food and Nutrition, as well, it might be considered an examination for the expansion plan of a curriculum, could give the application ability such as the management of dietary life through the nutrition education, will be needed. As shown in the research, in particular, students who majored in Food and Nutrition had the positive wills for attitude to exercise, dietary life, and health for the future, rather than the present, it considered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and support program, could make it real, might be needed.

      • 농촌노인 대상의 영양교육 효율증대를 위한 교육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박지영 대구한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실태조사와 문헌연구를 통해 농촌노인 대상의 영양교육 효율증대를 위한 교육 자료 개발에 관해 살펴보았다. 시간이 흐를수록 고령화에 따른 농촌노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필요성이 증가되고, 교육 효과 증대를 위한 영양교육 매체 개발 요구도가 높아진다. 정보화 사회로 오기까지의 영양교육은 많은 발전이 있었다. 지금까지 농촌노인을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에는 어떤 것이 있었으며 사용된 매체들은 무엇이었는지, 정보화시대에 따른 멀티미디어와 인터넷 원격교육이 농촌 노인을 대상으로 유의한지 정보화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알아보았다. 향후 다가올 유비쿼터스 시대의 농촌노인 대상의 영양교육 시스템 확립을 위한 off-line과 on-line 통합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나, 현재 on-line 교육에 있어 농촌 노인들의 매체 접근 및 매체 활용도가 낮은 실정이다. 영양교육 분야에서 부터라도 질병과 소외로부터 고통 받는 노인들을 위한 적극적인 격차해소 개념을 영양교육에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유비쿼터스 시대를 대비한 농촌노인 대상의 영양교육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노인 영양교육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다양화 및 이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2. 농촌 정보화마을의 컴퓨터 시설 및 보건소 인력/시설을 활용한 교육 인프라를 제공하고 이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노인용 보조기기를 마련해야 한다. 3. 농촌 노인을 대상으로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컴퓨터 활용 기술 교육과 유비쿼터스 시대의 영양에 대한 개념교육이 필요하다. 4. 영양교육 관련자들의 정보화 및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자 양성이 필요하다. 눈앞에 다가 온 유비쿼터스 또는 정보화 혁명이라는 힘이 영양교육에 기회가 될지 위기가 될지는 영양교육 전문인들의 선택과 집중적 노력만이 그 기준이 될 것이라고 본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복지국가・복지사회로 가기 위해서는 영양도 중요한 부분이 되고, 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유비쿼터스 시대에 알맞은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준비해야 한다. 향후 유비쿼터스 시대의 농촌노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건강한 삶을 위한 통합적인 영양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길 기대해 본다.

      • 농촌지역 노인들의 건강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윤혜미 대구한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평균 수명의 연장과 출산율의 하락에 따른 노령 인구의 증가와 유년 인구 감소에 따른 현재 인구비율의 변화와 함께 특히 노령화 정도가 심하고 상당수가 노인단독세대 또는 독거노인형태를 이루고 있는 농촌 노인들의 건강한 삶의 영위를 위하여 이루어졌다. 농촌 노인들의 일반사항, 신체계측, 건강관련인식, 건강 관련 생활습관, 양생, 영양실태, 생화학조사, 스트레스 등을 조사하여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2006년 7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2년 6개월 동안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교육을 받은 경상북도 영양군에 거주하는 50세 이상의 주민 92명을 대상으로 교육 전·후로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는 교육 전 107명에서 중도 포기한 15명을 제외하고 92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 학력, 경제상태, 결혼상태의 분포비율은 교육 전·후로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2. 조사대상자의 교육 전·후 평균 신장은 각각 157.1 ± 9.4㎝, 156.1 ± 10.1㎝이고, 평균 체중은 각각 59.2 ± 1.1kg, 57.1 ± 1.1kg, 평균 BMI는 각각 23.9 ± 2.7kg/m2, 23.4 ± 23.1kg/m2 로 교육 전·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3. 건강 관련 인식조사에서는 교육 후 건강 수준에서 질병이 있는 조사대상자의 수와 질병에 관련된 증상 및 ‘치료안함’의 비율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지난 1년간 체중을 조절하기 위한 노력여부에서 ‘체중을 줄이려고 노력했다’는 비율이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또한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되었다. 4. 건강관련 생활습관 조사에서는 교육 후 운동관련 요인에서는 평소 생활에서의 운동여부에서 ‘부족하다’가 크게 증가하여 조사대상자가 운동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음주 관련 요인에서는 평소 음주 횟수와 평소 음주 빈도가 줄어든 경향이 나타났으며, 흡연관련 요인에서는 흡연량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요인에서는 오히려 ‘많이 느끼는 편이다’가 증가하였고, 스트레스를 받는 가장 큰 원인을 조사한 결과 ‘건강과 질병’에서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다. 5. 양생 관련 조사에서는 교육 전·후로 실천도가 모든 항목에서 증가하였으며, ‘적당한 운동(또는 체조나 산책)을 규칙적으로 한다’의 실천도 점수가 가장 크게 증가하여 운동 실천도가 높아진 것을 나타났다. 6. 식생활태도에서는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야채나 과일, 육류, 생선 섭취 빈도가 증가하였고, 식사량(간식 먹는 것도 고려)에서 ‘적당히 보통으로 먹음’, ‘적게 먹는 편’이 증가하였다. 식사규칙성 관련 조사에서는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식사를 하루 세끼 규칙적으로 한다’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영양위험도 평가에서는 중정도 위험과 양호한 상태가 각각 증가하였고, 매우 위험하다 비율이 감소되었다. 식생활 간이진단에서는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에 좋은 식습관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7. 생화학적 분석에서는 교육 전·후의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혈당, 헤모글로빈, 콜레스테롤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모두 정상 범위 내에 존재하고 있다. 8. 스트레스 및 혈관 상태 분석에서 스트레스 저항도, 스트레스 지수, 피로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혈관 상태 조사에서 교육 전·후 33.15 ± 4.11점, 28.01 ± 4.75점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주요어 : 건강교육, 건강관련 생활 습관, 식습관, 양생 지침 실천도, 식생활

      • 울산광역시 농어촌지역 중학생의 영양지식 수준과 학교급식 실태 조사

        배현주 대구한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was researched opinions of school Food Service, education of nutrition, knowledge of nutrition, food preference, dietary attitude, behavior, habits, and general conditions with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agricultural and fishing areas of Ulsan City. The objects of research was improvement to a desirable dietary life and be helpful to development of effective programs for education of nutrition by understanding dietary habit, school Food Service, and the level of nutritional knowledge of adolesc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 were 162.8cm in average height, 54.1kg in average weight, 20.3 in average level of obesit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obesity by gender or age.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social․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percentage of parents living together were 90.4% for fathers and 88.0% for mothers, the level of parents' education were mostly highschool graduates, and the age was distributed from 41 to 50. In terms of monthly average income of family, the majority was 2 million ~ 3 million KW(36.4%), and the level of living condition was 74.0% in general. Allowance was in the order of below 20,000 KW(36.9%) followed by 20,000 ~ 40,000 KW(38.4%), and consumption of snack turned out 55.2% for less than 10,000 KW and 32.8% for 10,000 ~ 20,000 KW. The average of dietary habit was 5.12, and as a result of conducting self-diagnosis of dietary habit, 54.8% answered that their dietary habit is undesirable. The average of dietary behavior was 6.66. The majority of respondents(61.6%) answered that they like oily food like fries, salad, and roasts, 32% did not eat breakfast, and the average of dietary attitude was 6.90. In terms of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cooking technique, the subjects showed that they prefer diverse cooking technique by material, and mid․high calories cooking technique than low calor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swering preference for udong(46.0%) ad sushi(39.6%) in low calories cooking technique, seasoned roast(bulgogi, 55.6%) and bibimbap(53.6%) in mid calories cooking technique, and fried potato(49.2%) and fried chicken(44.8%) in high calories cooking technique. Food preference by cooking technique according to gender had significant difference(p<.05) that proves that male students prefer high calories cooking technique. In terms of preference for traditional․foreign food by food, pizza(80.8%) and bindaedduk(mung bean pancake, 19.2%?jhad largest difference in preference, followed by rice(74.4%) and bread(25.6%), bulgogi(70.0%) and donkatsu(30.0%). cake(70.0%) and dduk(rice cake, 30.0%), kimchi(72.4%) and pickle(27.6%). Also, in terms of preference for traditional․foreign food by the level of obesity, bindaedduk and pizza, fruit punch․sweet rice drink and cola․cider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level of p<.01. The average score for knowledge of nutrition was 6.83, which was lower than precedent researches, and the rate of answers to questions for nutritional knowledge was the highest with 25.2%, and the rate of giving right answer was 29.6% for questions related to functions of basic nutrients and 26.8% for questions related to the source of supply. The score for nutritional knowledge by gender showed 7.12 for female and 6.60 for male with, which h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at the level of p<.05, and the score for nutritional knowledge by age was highest for sophomore students(7.28) with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level of p<.05. Moreo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score of nutritional knowledge by family's monthly average incom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group at the level of p<.05 in terms of score of nutritional knowledge by living standard. School curriculum(52.8%) was the major place the research subjects achieved knowledge of nutrition, and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experience for nutritional education and score of nutritional knowledg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level of p<.001 showing that those who experienced nutritional education(7.01) had higher score for nutritional knowledge than those who have no experience at all(5.93). They answered that 70.8% of the nutritional education was done in home economics classes. In terms of asking if there is any change of interest for nutrition after the education, the answer was in the order of 'I do not know'(51.%), 'no'(34.0%), and 'yes'(14.4%). In terms of opinions for school Food Service, management for personal hygiene turned out inferior, which shows that students prioritize hygiene and cleanliness by answering the questions about hygiene management at cafeterias to provide safe and hygienic meals. The level of school Food Service reliability was high based on lunch material and equipment safety. Female had more positive opinion for school Food Service than male, sinc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at the level of p<.01 in terms of opinions for school Food Service by gender,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opinions for school Food Service by grade, BMI, and level of model education. Observ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bove, education for nutrition must be made as well while adolescents enjoy more desirable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attitude, past the point of simply providing nutritionally balanced meals in school Food Service. So I suggest that more intentional and active education of nutrition must be provided not only for the students, but also for the parents.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식습관과 영양지식 수준, 학교급식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도움이 되고 나아가 바람직한 식생활 향상을 도모하고자 울산광역시 내 농어촌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사항, 식습관, 식행동, 식태도, 음식선호도, 영양지식, 영양교육 및 학교급식에 대한 의견을 조사․연구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개인적 특성은 평균신장; 162.8cm, 평균체중; 54.1kg 및 평균비만정도; 20.3이었으며, 성별 및 학년에 따른 비만도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한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서 부모의 동거여부는 부 90.4%, 모 88.0%, 부모의 교육정도는 고등학교 졸업이 가장 많으며, 부모의 연령은 41?`50세 이하에 분포되어 있었다. 가족월평균소득은 200?`300만원(36.4%)이 가장 많고, 생활형편 정도는 74.0%가 보통으로 나타났다. 용돈은 2만원미만(39.6%), 2?`4만원(38.4%) 순으로, 용돈 중 간식비의 사용은 1만원미만(55.2%), 1?`2만원(32.8%) 순으로 조사되었다. 식습관의 평균은 5.12점으로 나타났으며, 식습관자가진단의 결과 54.8%의 조사대상자는 자신의 식습관이 나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식행동 평균은 6.66점이며 튀김, 샐러드, 볶음류와 같은 기름진 음식을 좋아한다는 응답자가 61.6%를 차지하였으며 아침 결식률이 32%로 조사되었으며 식태도의 평균은 6.90점으로 나타났다. 식품조리방법에 따른 음식선호도에서 조사대상자들은 저지방 조리법에서는 우동(46.0%)과 회(39.6%)를, 중지방 조리법에서는 양념볶음(불고기,55.6%)과 비빔밥(53.6%)을, 고지방조리법에서는 감자튀김(49.2%) 튀김닭(후라이드, 44.8%)을 선호한다고 응답하여 식재료에 따른 다양한 조리법을 선호하면서 저지방 조리법보다는 중․고지방 조리법을 더 선호하였다. 성별에 따른 식품조리방법에 따른 음식선호도는 유의적 차이가(p<.05)가 있어 남학생이 고지방 조리법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외래음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에서 각 음식별 선호도 차가 가장 큰 것은 피자(80.8%)와 빈대떡(19.2%)이며 이어 밥(74.4%)과 빵(25.6%), 불고기(70.0%)와 돈까스(30.0%), 케익류(70.0%)와 떡(30.0%), 배추김치(72.4%)와 피클류(27.6%)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만도에 따른 전통․외래음식 선호도의 경우 빈대떡 & 피자, 수정과․식혜 & 콜라․사이다가 유의수준(p<.01)에서 유의적 차이가 보였다. 영양지식의 평균점수는 6.83으로 선행연구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문항별 정답률의 경우 영양지식에 관한 문항의 정답률이 45.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영양소의 기능관련 문항은 29.6%, 급원식품관련 문항은 26.8%의 정답률이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영양지식점수는 유의수준(p<.05)에서 남․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어 여자(7.12)가 남자(6.60)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른 영양지식점수는 유의수준(p<.05)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2학년(7.28)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BMI와 모의 교육정도, 가족월평균소득에 따른 영양지식 점수는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생활형편에 따른 영양지식점수는 유의수준(p<.05)에서 그룹별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영양지식을 얻는 곳은 학교수업(52.8%)이 가장 많으며, 영양교육의 경험정도와 영양지식 점수와의 관계는 영양교육의 경험이 있는 경우(7.01)가 영양교육의 경험이 없는 경우(5.93)보다 영양지식 점수가 높게 나타나 유의수준(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영양교육은 70.8%가 가정시간에 이루어졌다고 응답하였다. 영양교육 후 영양에 대한 관심의 변화는 ?e모르겠다?f 51.6%, ?e없다?f 34.0%, ?e있다?f 14.4%로 나타났다. 학교급식에 대한 의견에서 개인위생관리가 불량한 것으로 나타나고, 안전하고 위생적인 급식제공을 위한 급식소 위생관리에 대한 문항의 답을 통해 위생 및 청결을 중요시함을 알 수 있었다. 급식재료 및 기구의 안전성을 토대로 한 급식의 신뢰도는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학교급식에 대한 의견은 유의수준(p<.01)에서 남․여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어 여자가 남자보다 학교급식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BMI, 모의 교육정도에 따른 학교급식에 대한 의견은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살펴볼 때 학교급식이 단순하게 영양적으로 균형 있는 식사제공의 차원을 넘어 청소년들이 보다 바람직한 식생활 습관과 영양태도를 영위하도록 영양교육이 병행되어야 하며 학생들뿐만 아니라 학부모를 대상으로 의도적이고 적극적인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한다.

      • 중학생의 간식섭취 실태와 식품 영양표시에 대한 연구

        한지나 대구한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attempted to produce information utilized as the basic data of nutritional education by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inappropriate snack consumption and missing breakfasts of adolescents due to studying, and the reality of using and recognizing indication of food nutrition on processes food consumed as snacks. General properties among the subjects of research, the ratio of gender was 47.5% for 'male student's and 52.5% for 'female students', the level of obesity was 3.0% for 'below average weight', 50.7% for 'average weight', and 8.3% for 'excessive weight'. The level of education for mothers turned out 78.3% for 'below highschool graduate', 22.7% for 'college graduate', and 20% for 'higher education than college'. The employment status of mothers were 54.3% for 'employed', and 45.7% for 'housewife'. Objective recognition for one's health condition was in the order of 36.0% for 'healthy', 28.2% for 'normal', 20.9% for 'very healthy', 7.6% for 'not so sure', 6.0% for 'weak', and 1.3% for 'very weak'. Among factors related to the dietary habit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person who was in charge of his or her meals in terms of eating environ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gender(p<0.05). The reason of missing breakfas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y gender(p<0.05) and regularity of eating(p<0.01), and among the answers from students who ate meals irregularly, 'do not have enough time to' took up a majority of 50.3% more than those who eat meals regularly. The level of consuming snacks among the reality of consuming snacks and recognition for snack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gularity of consuming meals(p<0.05). The method of consuming snack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gularity of eating meals(p<0.05) and model current condition of employment(p<0.05), and the answers were in the order of 55.0% for 'buying or sometimes making snacks', 22.5% for 'buying snacks myself', 14.9% for 'parents buy snacks', and 5.0% for 'parents cook snacks'. The reason for cooking snacks at hom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odel level of education(p<0.05). The results were in the order of 55.4% for 'because it is tasty', 10.7% for 'because it is healthy', 6.0% for 'parents tell me to', 5.2% for 'because of the risk of eating harming snacks', and 5.0% for 'because I do not have the money'. The results for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snacks made at home showed that most of the students liked snacks cooked at home with the results in the order of 70.8% for 'like', 26.1% for 'so-so', and 3.1% for 'do not like'. The reason of disliking snacks cooked at hom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form of consuming food(p<0.01), and the results were in the order of 16.7% for' because they are not my preferences', 7.0% for 'because they are the same all the time', and 3.9% for 'not tasty'. In terms of the recognition for food and nutrition indication, whether or not they confirm the contents of food packaging when purchasing snack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p<0.05), and the results were in the order of 62.9% for 'check best by date', 19.1% for 'check according to the kind of food', and 14.1% for 'do not check the contents of packaging'. The place they achieved knowledge for food and nutritional knowledg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y each variable, and the need for education of nutritional or dietary indication or publicity was researched in the order of 39.2% for 'necessary', 34.2% for 'not that necessary', 17.0% for 'very necessary', 6.3% for 'unnecessary', and 3.4% for 'absolutely unnecessary'. The need for indicating nutrition on all processed food was in the order of 41.3% for 'necessary', 35.2% for 'very necessary', 18.3% for 'not that necessary', 3.4% for 'unnecessary', and 1.8% for 'absolutely unnecessary', and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form of consuming food(p<0.05). To conclude the results above, the research turned out that about 87%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sume snacks. The location of consuming them is at 'school cafeteria', which means it is necessary to guide them with interest for food provided at school cafeterias since most of their lives are spent at school. Moreover, since the students themselves choose the snacks, I believe proper education of food and nutrition indication must be made in terms of choosing snacks. 본 연구는 학업으로 인한 청소년의 아침결식과 부적절한 간식섭취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관련성을 분석하여 간식으로 섭취되는 가공식품들의 식품영양표시에 대한 인지와 이용실태를 파악하여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연구를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중 성별 비율은 ‘남학생’이 47.5%, ‘여학생’이 52.5%이었으며, 비만도는 ‘저체중’ 36.0%, ‘정상’ 50.7%, ‘과체중’ 8.3%, ‘비만’ 5.0%로 조사되었다. 어머니의 교육정도는 ‘고졸이하’ 78.3%, ‘대졸이상’ 22.7%로 20%이상이 대학교 이상의 교육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어머니의 취업상황은 ‘취업’ 54.3%, ‘전업주부’ 45.7%로 조사되었다.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주관적 인지는 전체 중 ‘건강’ 36.0%, ‘보통’ 28.2%, ‘아주 건강’ 20.9, ‘잘 모름’ 7.6%, ‘허약’ 6.0%, ‘아주허약’ 1.3%순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식생활 관련 요인 중 식사시 환경요인으로 우리집 식사는 누가 담당하는가에서 성별에 따라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아침식사를 안하는 이유에서는 성별(p<0.05), 식사의 규칙성(p<0.01)에 따라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규칙적으로 식사를 하는 학생보다도 불규칙적으로 식사를 하는 학생들의 응답 중에서 ‘시간이 없어서’ 아침을 안 먹는 다고 응답한 학생이 50.3%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자의 간식섭취 실태 및 간식에 대한 인식 중 간식섭취 횟수는 식사의 규칙성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간식섭취 방법은 식사의 규칙성(p<0.05)과 모의 취업현황(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먹기도 하고 만들어 먹기도 한다’가 55.9%로 가장 높았으며, ‘직접 사먹는다’가 22.5%, ‘부모님이 상점에서 사 주신다’가 14.9%, ‘부모님이 직접 만들어 주신다’가 5.0% 순으로 조사되었다. 집에서 만든 간식을 먹는 이유는 모의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맛이 있어서’ 55.4%, ‘영양이 많아서’ 10.7%, ‘부모님의 강요’ 6.0%, ‘불량식품의 위험 때문에’ 5.2%, ‘돈이 없어서’ 5.0% 순으로 조사되었다. 집에서 만든 간식의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는 ‘좋아한다’ 70.8%, ‘보통이다’ 26.1%, ‘좋아하지 않는다’ 3.1% 순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학생들이 집에서 만들어주는 간식을 좋아하고 있었다. 집에서 만든 간식을 싫어하는 이유는 음식섭취 형태(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원하는 것을 만들어 주지 않아서’가 16.7%, ‘매일 같은 것만 만들어 주시므로’가 7.0%, ‘맛이 없어서’가 3.9% 순으로 조사되었다. 식품표시 및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으로는 간식 구매할 때 식품 포장지 내용 확인 여부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간식을 구매할 때 ‘유통기한을 확인’ 62.9%, ‘식품에 따라 확인 내용 다름’ 19.1%, ‘포장지 내용확인 않음’ 14.1%로 조사되었다. 식품과 영양지식에 관한 정보를 얻는 곳은 각 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식품표시나 영양표시에 대한 교육이나 홍보의 필요성은 ‘필요한 편이다’ 39.2%, ‘그저 그렇다’ 34.2%, ‘매우 필요하다’ 17.0%, ‘필요하지 않다’ 6.3%, ‘전혀 필요하지 않다’ 3.4%순으로 조사되었다. 모든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필요성은 ‘필요한 편이다’ 41.3%, ‘매우 필요하다’ 35.2%, ‘그저 그렇다’ 18.3%, ‘필요하지 않다’ 3.4%, ‘전혀 필요하지 않다’ 1.8% 순이었으며, 음식섭취 형태에 따라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조사대상자인 중학생들의 87%정도가 간식을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간식섭취 장소는 남․녀 각 25% 정도 ‘학교매점’에서 구입하여 먹는 것으로 조사대상자들의 하루 생활이 거의 학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교매점에 비치하는 식품에 대한 관심을 갖고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며, 학생 스스로가 간식을 선택하므로 간식선택에 있어서의 올바른 방법과 식품표시 및 영양표시에 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대구지역 국제이주여성들의 식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

        우숙이 대구한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다문화 가정의 증가로 현재 우리나라에는 외국인 결혼이주여성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 정부에서도 국제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 생활과 가장 밀접한 식생활과 관련된 지원과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생활적응에 있어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식생활문화에 대한 어려움 중 특히, 이주 후 1년 이내의 여성 대부분이 임신 기간 중 겪는 식생활에서의 어려움이 태아의 영양과 가족의 어려움은 물론 나아가 이주여성 본인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한국음식의 조리법과 식생활문화에 적응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결혼이주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다문화요리교실”을 통해 한국생활적응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이주여성들이 한국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요인으로 음식문화의 차이가 언어문제 다음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한국음식 체험 및 요구도 조사에서는 식재료 이름을 잘 몰라서, 한국음식 요리법이 복잡해서라고 응답했으며, 특히 김치담그기와 국 끓이기가 어렵다는 비율이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이주여성 대부분이 자녀가 어리거나 임신중인 경우로, 자녀의 이유식과 영양 교육의 필요성 조사에서도 요구도가 높게 조사되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식생활교육에 대한 다양한 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이주여성들은 거주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기초적인 한국 음식 뿐 아니라 자녀의 성장에 따른 기호도와 연결되는 요리교육의 효과를 기대했다. 그래서 스파게티, 돈까스, 각종 샐러드 등에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이주여성들을 위해 건강에 좋은 음식과 식품명, 양념류, 자녀이유식과 영양교육 등 구체적인 장기적 계획과 체계적인 방법을 통해 그들 모두에게 식생활과 관련된 궁금증을 그들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둘째, 우리 국민들에게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관심의 계기를 제공해 준 결혼이주여성들은 한국사회와 보다 적극적이고 긴밀한 관계를 형성해 나가야 하는 존재들로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국외에서 배워오는 중국요리나 베트남요리 등을 그들이 멘토가 되어 우리에게 가르켜 줄 수 있는 교육의 장을 열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셋째, 현재 보건소에서 실시하고 있는 “임산부 및 영유아 영양플러스 사업 추진”을 확대·강화하여, 건강 취약계층인 임산부, 영유아(만6세 미만)를 대상으로 한 영양지원 및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보건소만이 아닌 결혼이민자가족센터나 복지관에서도 한국음식 실습과 함께 병행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들의 올바른 한국 식생활 적응을 위해서는 현재 복지관이나 이주지원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조리교육과 보건소에서 실시하고 있는 영양교육, 임신부 방문교육의 이원화된 프로그램을 한 장소에서 일원화시켜 보다 체계적인 식생활교육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 대학생들의 카페인 섭취량에 따른 생활습관과 빈혈상태에 관한 연구

        홍지해 대구한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우리나라는 급속적인 경제 발전으로 인하여 식생활이 풍요로워지고 생활패턴이 서구화됨에 따라, 식품의 선택 기준에서도 서구화 경향이 커져 커피, 차, 콜라 등 카페인을 함유한 기호음료의 소비가 날로 급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카페인 섭취 실태에 대한 심각성을 부각하고 카페인 섭취량에 따른 올바른 생활습관과 빈혈상태를 개선하여 최적의 건강한 상태 유지하고자 2011년 3월부터 4월까지 2개월 동안 경북 경산시에 위치해 있는 대구한의대학교 20세 대학생 183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생활양식에 대한 설문지 조사, 카페인 섭취 빈도 조사, 신체계측, 생화학적 조사를 하여 빈혈상태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1. 조사대상자 중에서 저수준군에 속하는 대상자가 73명(39.9%), 적정수준군은 69명(37.7%), 고수준군은 41명(22.4%)으로 분류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에는 연령에서 p<0.05 수준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 부의 직업에서는 회사원이 가장 많았고, 모의 직업에서는 무직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p<0.001 수준에서 높은 유의적인 차이도 있었다. 2. 빈혈상태에 관한 조사에서는 고수준군에서 빈혈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빈혈상태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빈혈의 자각증상에 대해서는 p<0.05 수준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스트레스 상태에 관한 조사에서는 전체 스트레스 종류로‘학업’이 56.3%로 가장 높았으며, 스트레스 정도는 고수준군이‘매우 받는다’22%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스트레스 종류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스트레스 정도에 있어서는 p<0.05 수준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3. 음주 및 흡연 요인에 관한 조사에서는 고수준군이 음주는 70.7%, 흡연은 31.7%의 높은 비율을 보였고, 유의성에서도 높은 차이가 있었다. 신체계측에 관한 조사에서는 신장, 체중, 허리둘레에 대해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4. 음식의 맛에 관한 조사에서는 고수준군인 학생들이 짜거나 매운 음식에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선호하는 맛에서는 p<0.001 수준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5. 간식섭취에 관한 조사에서는 하루 간식 비용에는‘1000-5000원’이 67.8%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간식 시 즐겨 마시는 음료로는 전체적으로‘탄산음료’가 29.7%로 가장 높았지만,‘커피류’에서는 고수준군에서 24.4% 가장 높았다. 책이나 TV를 볼 때 간식을 즐겨 먹는지에 대해서 p<0.05 수준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 하루 간식 비와 간식 시 즐겨 마시는 음료에 대해서는 p<0.001 수준의 높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6. 빈혈과 관련된 식습관 조사에서는 식후 바로 커피나 차 종류 섭취 여부에 대해 고수준군이‘그렇다’고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순대와 간을 같이 섭취하는지에 대해서도 고수준군이‘그렇지 않다’는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 육류 및 생선류 섭취시 채소류 같이 섭취에 대한 문항과 계란을 먹을 때 노른자를 항상 먹는지에 대한 문항, 잡곡밥을 자주 섭취하는지에 대해서도 고수준군이 저수준군과 적정수준군보다‘그렇지 않다’는 높은 비율을 보였다. 식후 바로 커피나 차 종류 섭취 여부에 대해서 p<0.001 수준의 높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햄버거와 콜라를 함께 섭취하는지에 대해서도 p<0.001 수준의 높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7. 영양지식 조사에서는 탄수화물과 비타민, 열량에 대한 영양지식 조사 모두 고수준군이 가장 낮은 정답율을 보였으며, 비타민에 대한 영양지식에서 p<0.01 수준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빈혈과 관련된 영양지식에서는 저수준군과 적정수준군에 비해 고수준군이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철분 부족 시 걸리기 쉬운 질병에서는 유의적인 차이에 거의 근접은 하였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철분 흡수를 도와주는 바람직한 생활습관과 빈혈 치료를 위한 식사방법에서는 p<0.01 수준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영양지식 조사 점수에서는 저수준군, 적정수준군, 고수준군 모두 영양지식 조사 점수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8. 생화학 조사에서는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리치의 함량을 나타내었고, 두 항목 모두 정상범위의 농도에서 고수준군이 비율이 가장 낮았고, 결핍범위의 농도에서는 고수준군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두 항목 모두 p<0.001 수준의 높은 유의적인 확률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조사대상자들이 음주 및 흡연을 자주 할수록 카페인 섭취율도 높게 나타났으며, 빈혈과 관련된 식습관 조사에서 고수준군이 잘못된 식습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타민, 빈혈과 관련된 영양지식 조사에서 모두 고수준군이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그러므로 영양교육을 통해 비타민과 철분에 대한 연관성을 교육하고, 빈혈을 예방할 수 있는 올바른 식습관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가 절실히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