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국역사교사모임의 활동에 대한 연구

        이재희 서울市立大學校 2005 국내석사

        RANK : 248831

        역사 교사로서 학교 현장에서 갖게 되는 실존적 고민은 ‘올바른 역사교육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이다. 이것을 해결하려는 모색의 과정에서 교사들은 전국역사교사모임의 존재를 알게 된다. 전국역사교사모임은 1988년 교사들 스스로 올바른 역사교육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결성되었다. 일종의 교육실천운동으로서 시작된 이 단체는 이후 수업 내용과 방법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벌임으로써 전문 교과연구단체로서의 성격이 강해지는 이중적 모습을 보여준다. 창립 이후 17년간 꾸준히 활동해 온 전역모에는 현재 역사교사의 1/3 가량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을 정도로 현장의 교사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본고는 전역모를 결성이 이루어지는 태동기와 전국적인 단체로 거듭나는 전국화기, 그리고 90년대 후반 이후 활동이 크게 변화된 활동의 다변화기의 세 시기로 구분하여 전역모의 활동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전역모는 1988년에 서울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역사교육을 위한 교사모임’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태동기인 교사모임 시절에는 역사교육의 과제로 내세운 민족, 민주, 통일 교육 중에서 ‘민주’의 과제에 치중한 활동을 벌였다. 이는 창립회원들의 상당수가 역사교육이 우리 사회의 민주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이들은 교육 내용에 대한 국가 독점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제도적 개혁을 위한 실천과 개인적 실천을 병행하였다. 1991년 교사모임은 각 지역 모임의 동의를 얻어 전국모임으로 탈바꿈하였다. 교사모임은 이름을 ‘전국역사교사모임’으로 바꾸고 민중·민주주의 교육을 지향하는 활동을 하다가, 1990년대 중반 무렵부터는 민족교육의 지향이 훨씬 선명해져 한국근현대사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었다, 또한 다양한 수업자료가 개발되고, 토론식 수업, 극화 학습 등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이 개발·보급되었다. 1998년 이후 전역모의 활동이 다변화되면서, 학생들과의 ‘소통’을 화두로 삼아 노래·만화·영상·디지털 자료 등이 개발되고, 학생들의 주체적 참여를 전제로 한 학습모델과 배움책 등이 개발되었다. 또한 평화교육의 관점에선 교육실천 노력이 본격화되었으며, 일본의 역교협과 교류하게 되면서 ‘평화’의 관점이 강조되어 갔다. 전역모의 활동은 전문성을 지향하느냐 공익성을 지향하느냐에 따라 그 중심축이 변화해 왔다. 태동기에는 국정교과서 폐지나 교육내용에 대한 문제제기가 주요한 활동이었다. 이에 따라 국정 교과서를 분석·비판하는 작업과 5차·6차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국화기에는 제도개선과 같은 공익성을 지향하는 활동보다 전문성에 대한 요구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새로운 수업 자료와 각종 수업모델이 개발되었으며, 자료집이 대중적으로 보급되었다. 활동의 다변화기에 이르면 공익성과 전문성의 지향이 하나로 종합되어 나가는 면모를 보인다. 국정제 교과서 문제에 대한 고민이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를 만들게 하였는데, 이 책에는 그간의 연구 활동의 결과가 담겨있으므로 이 두 가지의 지향이 하나로 종합된 셈이다. 또한 배움책들이 소개되는 등 연구단체로서의 활동과, 일본 역사교사와의 교류나 사회적 실천 노력 등 교육운동단체로서의 활동이 병행 되고 있다. 전역모는 전달자로서의 역할을 하던 역사 교사들이 연구자·교육 전문가로서 교육의 주체로 서게 하도록 도움을 준 단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역모가 해결해야 할 문제들도 산적해 있다. 첫째, 모임의 ‘활동가’와 대다수 일반 회원들 사이에 모임의 정체성에 대한 격차가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회원들의 여론·의견을 수렴하여 사업을 집행하는 민주적 의사수렴 과정이 부족하다는 것도 문제이다. 셋째, 초등학교 역사교육과정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부족했다는 것도 문제이다. 따라서 앞으로 전역모는 민주적 의견 수렴 통로를 확보하는 것과 일반회원들에게 책임감과 참여의식을 심어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또한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하여 적극적인 연구와 지원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내부자적인 시각에서 모임의 활동 양상 변화를 추적하는데 그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1980년대 이후 전체 교육운동이나 사회운동 지형의 변화 속에서 전역모의 활동과 위상이 어떻게 변하여 왔으며, 어떤 기여를 하였는지에 대한 것은 앞으로의 연구 과제로 남겨둔다. The struggle I have in school as a history teacher is that 'what I should do for right history education'. In finding the answer to this question, teachers would learn about KHTA(Korean History Teacher's Association). KHTA was founded by a group of teachers in 1988 with the purpose to make right history education. KHTA was formed as one of the educational practice movements, and later showed its duality in which it became more of a professional textbook research organization as it has been dedicated to research on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For 17 years since its foundation, KHTA has 1/3 of the history teachers currently teaching in schools as its members, and affected them in many ways. This study covered the quickening period of the formation of KHTA, nationalization period of rebirth as a national organization, and the period of changes since late 90s, and examined how its activities had changed through these periods. KHTA was initiated as a 'History Teachers Community for History -education', which was mainly based in Seoul in 1988. In this period, members were focused on 'democracy', as they examined history assignments on nations, democracy, and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Because the majority of its members thought that history education should contribute to democratization of our society. They pointed out the problem of national monopoly on education content, and carried out individual practice for systematic reform. In 1991, KHTA was transformed into a national organization with the consents from each region. HTCH(History Teachers Community for History -education) changed its name to 'Korean History Teacher's Association', and continued its activities to support education for people and democracy, then was engaged in review of Korean modern history as its tendency of nationalistic education was strengthened by mid 90s. In addition, various class materials were developed, and new teaching methods including discussion, role play, etc. were developed and distributed. As the activities of the organization have been diversified since 1998, songs, cartoons, multimedia, and digital materials were developed to make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students, and learning models and learning books were developed based on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addition, the effort to realize right education in peace education was initiated, and the perspective of 'peace' was emphasized as the interchange with Japan was initiated. The direction of KHTA's activities has been changed by its main concerns on professionalism and common benefit. Its quickening period was mainly for suggesting problems regarding abolition of national textbooks, and their contents. As a result, analysis on national textbooks and analysis on 5th and 6th Curriculum is now in progress. During the nationalization period, professionalism prevailed over pursuing common benefit such as system reform. New class materials and various teaching models were developed accordingly, and their manuals were widely distributed. In the period of changes, its support of common benefit and professionalism became unified. problems on national textbooks led to the creation of 『live Korean history textbook』, which contains research results over the years. It indicates that two directions are united as one. In addition, the organization carries out research activity such as introducing learning books, and educational movement by communicating with Japanese history teachers, and encouraging social participation as well. KHTA helped history teachers, who were mere messengers of knowledge, become leaders of education as research and education experts. However, there are many unresolved issues as well. First, the gap between identities of 'active members' and other members has become widened. Second, democratic decision making to reflect members' views and opinions is needed. Third, interest and research on histo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re yet insufficient. Therefore, KHTA should consider establishment of democratic decision making process and encouragement for responsibilities and participations of regular members. In addition, active research and support for education process in elementary schools should be realized. This study is limited to tracing the changes found in activities of KHTA in insider's perspective. Therefore, more researches regarding how the activities and reputation of KHTA changed in terms of overall educational movement and social movement since the 1980s, and what contribution KHTA made should be followed

      • 제3차 조선교육령 시기의 '국사지리' 교육

        윤은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31

        이 연구는 일제의 식민지 지배를 받던 제3차 조선교육령 시기 4년제 심상소학교에서 시행된 국사지리교육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3차 조선교육령의 시행과 함께 4년제 심상소학교에 새롭게 國史地理 과목을 신설하게 된 취지와 교과서에 나타난 역사와 지리 통합의 의미, 『國史地理』 교과서의 역사관을 분석하고, 국사지리 과목의 교수학습방법을 살펴보았다. 1937년 중·일전쟁을 일으킨 일본은 식민지 주민의 국민통합과 전쟁동원을 위한 일련의 정책을 실시하였다. 1938년 전시체제에 적합하도록 조선교육령을 개정하여 제3차 조선교육령을 공포하였다. 제3차 조선교육령에서는 ‘충량한 황국신민 양성’을 목표로 시대적 사명을 인식할 수 있는 과목으로 역사를 중시하였다. 이에 따라 6년제 심상소학교뿐 아니라 4년제 심상소학교에서도 역사교육을 강화하여 4학년에 국사지리과를 설치하고 교과서로 『國史地理』상·하권을 편찬하였다. 외형적으로 볼 때 4년제 심상소학교의 『國史地理』는 6년제 심상소학교의 국사와 지리과목을 통합한 것이지만, 단순히 역사와 지리를 하나로 묶은 것은 아니었다. 역사와 지리를 상호밀접한 관련 속에서 이해하도록 한 『國史地理』는 내용의 2/3가 역사, 1/3이 지리로 구성되어 있다. 최초의 통합 교과서인 『國史地理』는 이전의 국사교과서와 달리 인물중심의 구성원리가 아닌 국가 발전 단계에 따른 내용구성원리를 채택하였다. 『國史地理』는 역사 속에서 일본의 지리적 現勢와 유래를 보여주기 위해 일본에 대한 전체 개관과 함께 지리적 개관으로 영역, 지형, 국토의 특색 등을 서술하고, 중요도시와 각 지방의 地誌的 내용을 서술한 후, 일본의 세력 범위에 있는 중국과 만주, 태평양 지역 등 외국지리에 대해 설명하였다. 외국지리는 일본의 지리적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만주와 중국 중심으로, ‘여러 나라 지리의 요지’라고 되어 있으나 태평양 지역과 세계의 대도시에 대해 간략하게 다루고 있을 뿐 그 밖의 지역은 거의 나오지 않는다. 즉 국토의 전체개관 → 각 지방이나 도시의 地誌的 내용(일본에서 식민지 순서대로) → 국토전체의 계통지리적 내용 → 일본의 세력이 미치는 외국의 지리라는 순서대로 구성된 것이다. 이렇게 해서 일본의 지리적 현정세와 유래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지리적 성장을 할 수 있었던 역사적 과정을 파악하고, 일본의 국토가 개발되고 공간적으로 확대되었음을 인식하게 하려는 목적에서 나왔다. 역사를 지리적(공간적)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인식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취지로 편찬된 『國史地理』의 역사관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천황 중심의 서술이다. 천황이 곧 국가라는 논리에 입각해 천황의 자비에 보답하기 위해서는 천황과 국가에 대해 충성을 다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둘째, 내선일체 이데올로기를 반영하여 일본에 의한 한국지배를 적극적으로 옹호하였다. 셋째, 세계속 일본의 지위를 강조하여 일본에 대한 자긍심을 지니게 하고, 해외 진출을 위한 침략과 전쟁에 앞장서야 한다는 의식을 심어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국사지리는 역사와 지리를 통합한 과목이었지만 그 목적은 황국신민의 도를 가르치는데 있었다. 이는 모든 과목에서 나타나는 이 시기 교육의 본질적 성격이었다. 현대의 교과 내 또는 교과 간이나, 교과와 생활을 통합하려는 시도와는 다른 의미의 통합을 한 것이다. 통합된 인격과 사상에 대한 지적 안목보다는 무조건적 믿음을 가지게 하기 위한 통합으로, 교육적 의미를 부여할 수 없는 이데올로기적인 통합이었다.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Japan initially decided not to let four- year-course schools teach history and geography, but made a new decision to let four-year-course Simsang elementary schools(尋常小學校) offer a national history(Japanese history)/geography course when the third educational ordinance for Joseon(朝鮮敎育令)was enforc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ed light on the intent of Japan about the decision, and it's also meant to analyze the textbooks of that course to discuss the meaning of the integration of history and geography and view of history. Along with the enforcement of the third educational ordinance for Joseon, Japan waged the Sino-Japanese War and pushed ahead with a series of policies to facilitate the unity of residents in their colonies and recruit soldiers. Japan was aware that education was mandatory for fortifying its colonial rule, and announced the revised educational ordinance for Joseon in 1938 in light of wartime conditions. The third educational ordinance aimed at nurturing the loyal people of the Japanese emperor and attached importance to history education as means to have children realize their missions. Hence not only six-year-course Simsang elementary schools but four-year-course ones provided more intensive history education by offering a fourth-grade national history(Japanese history)/geography class and producing two volumes of textbooks. The national history(Japanese history)/geography class of four-year-course Simsang elementary schools was ostensibly a combination of national history(Japanese history) and geography classes of six-year-course Simsang elementary schools, but that was more than a mere combination of the two in essential. That class was designed to understand national history(Japanese history) and geography in view of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History and geography respectively accounted for two-thirds and one-third of the textbooks. Unlike existing national history(Japanese history) textbooks, the first integrated textbooks attempted to give a change by describing history based on the stage of national development instead of focusing on historical figures. An overview of Japan was offered to explain the origin and geographic circumstances of the nation, and then an geographic outline was presented such as the territory, topograph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 and the geographic features of major cities and provinces. The geography of adjacent foreign countries was explained, including China, Manchria and the Pacific area that were under the influence of Japan in addition. Specifically, the geography of Manchria and China that were closely related to the geographic growth of Japan was mainly introduced. One of the segments in the textbooks was entitled 'places of great geographic importance in the world,' but few explanations were provided about the other foreign regions except for simple statement on the Pacific area and large foreign cities in the world. Thus, the textbooks consisted of an overview of the land, the geographic features of the provinces and cities of Japan and its colonies, the hierarchical geography of the land, and the geography of foreign countries under the influence of Japan in order to show the geographic conditions and origin of the nation. Such a structure of the textbooks made it possible to grasp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nation's geographic growth and to realize that national development was concurrent with land development and spatial enlargement. Therefore learners got to see history from a standpoint of geographic(spatial) development. As for view of history, the textbooks demand that learners be dedicated to Japan and the Japanese emperor in return for his mercy on the ground that the emperor was the very nation. At the same time, the textbooks advocated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on the ground of the Naesonilche ideology, and stressed the status of Japan in the world to have learners take pride in the nation. And the textbooks emphasized that learners should take the initiative in war of aggression as well. In conclusion, the national history(Japanese history)/geography course was basically a combination of history and geography but aimed at teaching the duties of the people of the Japanese emperor. As a matter of fact, every contemporary subject and every kind of education pursued the same object. Indeed, the integration of national history(Japanese history) and geography was different from that of modern subjects. As the integrated class aimed to instill blind devotion into learners instead of building up character and fostering well-rounded intellectual abilities, that could be said as an ideological integration of two different courses that had no educational meaning.

      • 역사교육의 계열화 기준과 학습자 중심의 수업 방안 : '임진왜란' 사례를 중심으로

        박재형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31

        학생들에게 어떤 특정한 교과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그 과목의 특수한 지식의 구조를 고려해야 한다. 이것은 수준에 맞는 체계적인 교육을 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고민이 대표적으로 계열화라 할 수 있다. 그래서 각 교과마다 계열화와 관련된 많은 연구 성과가 제시되었고 역사과도 이와 다르지 않다. 역사교육에서 계열화에 대한 연구 성과를 살펴보면 교육과정 개편시마다 지적된 교육과정의 문제, 역사교육의 방향 제시, 역사과 독립문제 등에서의 역사과 특유의 계열화 방안 등에 대해서 연구되었다. 이러한 연구 성과의 기본적인 한계는 학습자 중심의 단계에 맞는 계열화가 아닌 교육과정상에서 구분된 계열화를 논의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러한 계열화 기준을 실제 학습 내용이나 방법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선 진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 거의 방법론에서 멈출 뿐 학생들에게 어떻게 계열화해서 가르칠지에 대한 접근이 부족하였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역사 학습내용에 따른 계열화를 구성해 보았다. 학습내용은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선정하였다. 임진왜란은 초ㆍ중ㆍ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모두 중요시 되고 있다. 이는 임진왜란이 조선시대의 전환점이었다는 사실에 그 역사성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임진왜란은 여러 역사적 사건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속에 다양한 계층의 인물이 등장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과 관련된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시각까지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임진왜란은 계열화 문제를 검토하는 데 가장 적합한 소재 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임진왜란의 계열화 방안을 연구하는 데 있어, 우선 현행 교육과정의 구성과 교과서 서술 내용을 분석하였다. 현행 7차 교육과정에서는 구성주의 교육관에 입각해서 창의적인 능력을 기르는 학생중심의 교육과정을 표방하였다. 그리고 각 학교급별로 학생수준에 맞는 계열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임진왜란과 관련된 교과서 서술 내용에서는 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교별 계열화 기준이 반영되어 있지 않고, 일괄적으로 인과관계적 서술로 되어있음을 파악했다. 그리고 이것은 곧 국난극복사라는 관점을 투영시기키 위한 구성이었음을 파악했다. 그래서 국난극복사 관점에서 나타난 서술 구성상의 해결방안과 교육과정상의 계열화를 바탕으로 각 학교별 계열화 기준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에서는 인물을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다양한 인물들의 모습들을 살펴봄으로써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수업방안으로 역사 글쓰기를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스스로 역사적 인물에 쉽게 다가갈 수 있다. 중학교에서는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주제·사건 중심으로 구성하고, 그 관점을 국가 중심이 아닌 동아시아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사건을 이해하기 위해 극화수업을 적용시킬 수 있다. 고등학교에서는 이러한 방안을 가지고 역사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래서 역사자료를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을 배울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계열화 논의가 교육과정이나 방법론에 머물지 않고 실제 학습 방안에 대해서도 계열화 논의가 진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계열화는 역사학습내용에서 역사교육에서 계열화는 교육과정에서부터 교과서 실제 학습방안에 까지 관련된 사항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앞으로 초등학교에서부터 중·고등학교까지의 과정을 하나의 체계로 접근하면서 교육과정상의 목표, 내용구성, 수업방법 등에 대한 유기적인 연계성을 갖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In order to instruct students in any subject, we have to consider the specialized knowledge structure related to them. This means that the self-paced and formulated education should occur in the class. The most relevant thing connected with such an intention is called ‘systemization’. Therefore, a lot of research products in relation to systemization have been done for every subject including history. The main research results of systemized history education have shown a course problem pointed out in every curriculum revision, a direction to history education, a special plan for systemized history such as an independence issue of history departments. The fundamental problem of these research results is that the systemization has been distinguished through curriculum, not one specified through a learner-centered level. Moreover, a serious discussion of the plan for adopting this systemized criterion for real learning contents or methods has not been studied enough. In other words, most of the talks have been for just methodology, and lacked of an approach of how to teach the systemization to the students. Therefore, this thesis focuses on the systemization according to the historical learning contents. This thesis discusses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mjinwaeran, which is considered a very important historic even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and has its great historical meaning as the turning point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various historic events are also included and the characters of diverse social classes appear in Imjinwaeran. Furthermore, we could take into account of the viewpoint of East Asian countries. Therefore, Imjinwaeran is the most relevant issue with which to examine the systemization. First of all, the constitution of the current curriculum and the description contents of a textbook are analyzed. The present 7th curriculum stood for the learner-centered course triggering the student’s ability in originality, based on the constructivism view in education, and offered the systemization suitable for a learner-paced level in every class. It was found that the systemization standard for every school is not reflected and a causal relationship in a correlated way is also expressed in the description contents of the textbook related to Imjinwaeran. Moreover, it was understood that such an intention is to infuse a viewpoint of overcoming a national crisis. Therefore, I provide a systemized criterion for every school on the basis of the curriculum systemization and a solution plan for the description composition presented from the viewpoint of overcoming a national crisis. In elementary school, various character-centered contents should be emphasized for helping the students acquire the historic event, Imjinwaeran, unconsciously. I think that historical writing is the way to give the learners access to various historical characters easily. In middle school, it is needed to present Imjinwaeran in a main idea and topic-centered way, and make recognition from the standpoint of East Asian countries beyond our own nation-centered one in the historical event, Imjinwaeran. In this case, a theatrical lesson would be applied effectively. In high school, the diverse viewpoints of historical data could be encouraged to develop historical consciousness. This process implies that the discussion of the actual systemized learning should be progressed continuously, not remaining in education course and methodology level, because the systemization has great influence on history education from its curriculum to the actual studying plan. Therefore, we should develop research for a unified relationship with the aim, contents-composition, and lesson plans for a curriculum, integrating the course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s one system.

      • 역사과 교육과정과 박물관 학습을 연계한 중학교 한국 근현대사 교수·학습 방안 연구

        권경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common feature that History class and museum have a course for students. For the method to connect History class and museum, this paper used 2015 National History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main topic of 2015 National History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and how is the topic used at existing museum learning programs. Second, how could teachers correct and supplement the existing museum learning programs. By analyzing curriculums and text book's activities, this paper found the main topic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2015 National History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By analyzing museum learning programs which is treating this topic, this paper searched how this topic is used in museums. But, these existing programs did not treat deeply about this topics, or took to much time. Because of that, correction and supplementation were needed to apply the program to class time. For this, this paper provided a correction method based on learning element and achievement standard of history curriculum, and used 3 museum learning objects to analyze detailed contents of existing programs. ‘Observation and Understanding', ‘Analysis and Inference', ‘Meaning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these 3 museum learning objects are provided based on the common areas of 5 subject capability in history curriculum, the research about student's procedure of understanding in museums, the research for active museum study. This paper examined this 3 objects by analyzing existing museum programs, and provid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middle school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using history curriculum and museum programs. As museum's educational function gets emphasized and school uses museum for history education these days, we have to pay attention about the common functions of museum and history class. For thi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based on curriculum's topic and achievement standard can be the method to connect museum and history class. 학교 역사수업에서 활용하는 교수·학습의 소재 중 하나인 박물관은 교과 수업시간이나 체험학습의 장소로 방문해왔다. 박물관도 현재 교육적 기능이 강조됨에 따라 학생 관람객을 위한 여러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이 고안되어 왔다. 이처럼 학교 역사수업과 박물관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역사수업을 구성한다는 공통점이 있기에 박물관 교육자와 학교 교사는 양자의 연결을 시도하여 다양한 교수·학습프로그램을 구상했다. 본 논문은 학교 역사수업과 박물관을 연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2015 개정 중학교 역사과 교육과정을 활용했다. 2015 개정 중학교 역사과 교육과정의 한국 근현대사는 주제 중심으로 구성되어 비교적 특정 시대나 시기를 제약하지 않았다. 그래서 교사들은 한국 근현대사 수업에서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역사 학습을 시도할 수 있게 되었고, 2013년부터 시행된 자유학기제로 인해 교과수업에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교과수업 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현 상황에서 본 논문은 중학교 한국 근현대사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역사과 교육과정과 연계한 12차시 박물관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했다. 12차시 교수·학습 구성을 위해 교육과정과 교과서 탐구활동을 분석하여 2015 개정 중학교 역사과 교육과정의 한국 근현대사 주제별 학습요소 중 가장 중심적인 학습요소를 찾아보았고, 이를 소재로 한 기존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해당 학습요소를 박물관을 통해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2015 개정 중학교 역사과 교육과정은 주제별로 3가지의 학습요소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었으며, 이는 기존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에서도 다루었던 학습요소였다. 하지만 해당 기존 프로그램은 학습요소를 깊이 다루지 않거나 학습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된다는 점과 같은 한계가 있었기에 학교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서 수정·보완 작업이 필요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역사과 교육과정의 학습요소와 성취기준에 입각하여 수정 방안을 제시하였고, 기존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 분석을 위해 3가지 박물관 학습원리를 활용하였다. ‘관찰과 이해’, ‘분석과 추론’, ‘의미구성과 의사소통’이라는 3가지 박물관 학습원리는 박물관에서 학생의 이해 과정을 분석한 연구, 능동적 박물관 학습을 위한 연구, 그리고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5가지 교과역량의 공통적인 내용을 통해 제시된 것으로 기존 박물관 프로그램 내용 분석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았고, 교육과정과 연계한 박물관 교수·학습 방안과 세부 주제의 구현을 제시했다.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이 강조되고 학교에서도 박물관을 역사학습의 장으로 생각하여 적극 활용하고자 하는 현 시점에서 박물관과 학교 역사수업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부분에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의 학습요소, 성취기준과 연계한 박물관 교수·학습프로그램은 박물관과 학교 역사수업을 연결하는 하나의 방안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 초등학생용 역사학습만화의 교육효과 분석

        심수민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어린이들이 역사에 대해 학습하게 되는 것은 『초등학교 6학년 교과서』를 통해서이다. 그러나 역사에 대한 선행학습이 이루어 지지 않은 상태에서 어린이들은 역사를 공부하게 됨으로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어린이들의 역사학습에 대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아동들은 많은 전달매체를 통하여 역사학습에 대한 선행학습을 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들이 역사학습을 목적으로 하는 여러 전달매체 중 역사학습만화를 통하여 어린이들이 역사학습을 하는데 교육적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려 한다. 먼저, 역사학습만화를 통하여 어린이들에게 기대할 수 있는 교육적 기능으로는 첫째, 학습 선행경향성 자극으로서 학습에 대한 흥미유발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학습만화는 색채와 캐릭터를 이용하여 어린이들에게 학습만화 스토리에 대한 재미를 더 증가시켜 줄 수 있다. 6학년 교육과정에서 역사를 다루지만 이전에 미리 어린이들은 역사학습만화를 통하여 미리 학습함으로 6학년의 사회 과목에 흥미와 관심을 갖게 되고 사회과 과목을 이해하는데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어린이들은 학습 선행경향성을 갖기 위해 학교 수업에 도움이 되도록 학습만화를 미리 읽는 것도 좋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학습만화는 어린이들이 역사학습을 하는데 『사회과 교과서』의 참고자료 역할을 한다. 어린이들은 교과내용이 어렵고 사회수업이 지루하게 느껴지는 것을 역사학습만화를 통해 어린이 스스로 역사적 사실에 대한 학습을 하며 역사학습에 대한 재미와 흥미를 통하여 역사적 지식을 습득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역사학습만화에서 역사적 내용의 사실적 묘사는 가장 중요하게 다뤄야 할 부분이지만 세세한 표현은 아동들의 이해를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역사학습만화의 학습내용으로는 어린이들이 눈으로 보고 직접 확인하는 사진이나 지도와 같은 자료 또는 역사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하는 흐름표, 도표 등을 통하여 역사학습만화는 어린이들의 역사적 지식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역사학습만화는 관찰 학습의 역할을 한다. 학습만화는 역사적 영웅이나 상황들, 그 외에도 이야기 속의 주인공을 통해 학습 만화의 내용에 주의집중을 크게 일으키고 캐릭터를 관찰하고 모방하게 됨으로써 새로운 행동을 학습하는 관찰 학습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어린이들은 역사학습만화 속 역사적 인물을 통하여 애국심이나 교훈을 등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어 이러한 경험들은 어린이들의 사고력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이상의 역사학습만화의 교육적 기능을 통해 역사학습만화가 어린이들의 교육매체로 활용될 때 학습효과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고 역사학습만화의 내용이 『사회과 교과서』와 연관성을 가질 때 수업에 흥미를 주는 촉진제 역할을 한다. 또한 만화 속의 캐릭터를 관찰함으로써 관찰학습이 가능하다. 이러한 교육적 기능은 학생들의 수업 참여와 태도에도 긍정적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역사학습만화는 어린이들이 역사학습을 하는데 교육전달매체로서 선행학습 자료로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Most children become to learn history through 『Textbooks for the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But, they have difficulties in studying history, without ‘pre-learning’ for history. Thus, they get ‘pre-learning’ for history through a lot of mass media, so that they could overcome such difficulties in studying history. The thesis is designed to find out how "Cartoons for History Learning," one of many media, which help children study history, will have educational effects on studying history. Referring to educational functions that children can expect through ‘Cartoons for History Learning’, children might be firstly, interested in ‘history’, due to the stimulus of ‘Pre-learning’ that such cartoons give. Through colors and characters, such "Cartoons for educational learning"could encourage most children to have more interests in stories in educational cartoons. Although children become to study history in the educational course of the six grades, they not only become to be attracted by social studies for the six grades, but also they become to understand the studies more easily, with the help of "Cartoons for History Learning". Hence, it is useful for children to read such cartoons for educational learning helpful in their ‘pre-study’ and class study, in advance. Secondly, "Cartoons for Educational Learning" play a role as reference materials of 『Textbooks related to Social Studies』which help children study history. Most children could study historical facts for themselves with the aid of "Cartoons for History Learning," so that they could have interests in history learning, free from difficult and boring contents in textbooks related to social studies. And, they are expected to obtain historical knowledge and insights into history, throughsuch cartoons. The descriptions of historical facts contained in ‘Cartoons for History Learning,"must be covered with the most importance, but, the detailed expressions can make it difficult for children to understand. Thus, it is better to publish "Cartoons for History Learning"containing substantial materials such as photos, maps, graphics, which can make children find at once and obtain historical knowledge. Lastly, "Cartoons for History Learning" plays a role as observation learning. The descriptions of historical hero, events, and characters in such cartoons would be effective in ‘observation learning’ of new activities, stimulating children to observe, imitate and pay keen attention to the contents Most children can indirectly experience patriotism and lessons through historical characters in cartoons for history learning, which would have influences on of thinking ways among children. The above-stated educational functions of "Cartoons for history learning" would be expected to increase learning effect, once they can be used as educational media for children. And, when the contents in such cartoons have links with 『Textbooks related to social studies』, they facilitate children to have the interest in class studies Also, it is possible to have ‘observation learning’ by observing characters in such cartoons. This educational function can induce a positive change in class participation and attitude among students. Such as this, "Cartoons for History Learning" can be expected to have educational effects as educational media and materials for ‘Pre-study’, in the process that children learn history.

      • 實業界 高等學校의 歷史敎育 現象 및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강순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831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역사교육 문제점 및 해결 방안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정상적인 역사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이론 연구와 학습방법상의 개발도 중요하지만 이에 앞서 역사교육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 먼저라는 전제하에서 역사교육에 대한 제반 사항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인문계 고등학교와 비교 조사하였고, 실업계 고등학교의 역사교육 문제점 및 개선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몇가지 결론을 추론 할 수 있다. 첫째, 역사교육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상치교사가 아닌 전문 교사의 확보가 시급하며, 향토사 교육의 정상화를 위하여 유물, 유적지 현장답사를 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상의 배려가 필요함. (단체활동 시간을 활용함이 바람직) 둘째, 현재의 국사 교과서는 인문계, 실업계, 기타계(특수목적고) 공통으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를 재구성하여 실업계고등학교 특성에 맞는 敎科內容과 분량의 제2종 도서 편찬이 바람직하며, 현재 제1종 도서로 개발되고 있는 국정교과서는 학생의 능력, 특성 및 학교의 필요에 따른 敎材 선택권을 고려하지 못함으로써 개인차, 지역차 등에 따른 교육을 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맨손수업이 아닌 각종 시청각 자료 등을 활용하여 주입식 교육에서 탈피하여 학생 主導的 討論學習, 탐구학습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문제 해결의 생생한 經驗을 가질 수 있도록 주제중심의 교과서로 재편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정답을 암기하도록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중요한 문제에 관련된 事實을 사실대로 바라볼 수 있는 자료들을 제시하여, 학습자 스스로가 質問과 해답을 구해보고, 다른 학습자와의 토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교과서의 開發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를 위한 硏修機會의 확대를 통하여 교사자신의 끊임없는 자기연찬 및 새로운 敎授學習法을 익히고 학생의 눈 높이에서 교육 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 학습 개발을 익힌다. 넷째, 실업계 고등학교에서는 專門敎科에 대한 중점 교육으로 인하여 타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학습의욕이 부족함으로 동기부여를 위한 敎師의 노럭이 필요하며 확인 학습이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실업계 고등학교의 역사 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몇가지를 제안하여 보면, 첫째, 학교 수업이 교사위주의 강의식 방식을 표방함으로서 우리역사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저하시킨다는 점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參與를 통한 수업방식의 개선과 시청각 자료 및 향토자료의 활용이 적극 필요하며, 대중매체의 이용과 현실에 맞는 교육방법을 모색하여야 한다. 또한 入試爲主의 역사교육에서 탈피하여 역사 그 자체의 이해와 역사를 바로 볼 수 있는 시각을 길러 주는 쪽으로 역사수업을 이끌어야 한다. 둘째, 현행 6차 교육과정에 의하면 고등학교는 實業界, 人文界, 기타계로 나누어 진다. 이러한 구분은 학생들의 다양한 적성과 특기·소질을 계발하기 위한 것으로 각 계열을 선택해서 진학한 학생에게 효과적인 교육과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실업계나 인문계, 기타계 어느 하나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체, 단지 대학 입시에서 얼마나 유리하고 불리한 지로 사실상 서열화 되고 말았다. 따라서 현재 중학교에서 학생 본인의 적성과 소질계발을 위한 고등학교 진학이 아닌 자신의 성적에 의해서 序列化된 고등학교로 진학하게 된다. 따라서 그들 수준에 맞는 다양한 교과서를 계발하여 수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학생의 지적, 문화적, 사회적, 논리적 발달을 촉진 할 수 있어야 하고, 특히 미래사회는 교과서 내용에 정통한 교과서적 정답형 人間보다는 지식의 생산능력, 활용능력의 뿌리인 창의적 思考力과 문제 해결능력 그리고 상상력, 호기심을 가지는 인간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敎科書를 선택하는 관점도 획일성에서 벗어나 학생들 수준에 맞는 사고와 판단을 자극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갖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써의 역할이 강조되는 교과서 개발이 시급하다. 셋째, 실업게 고등학교 학생들은 TV나 라디오 PC통신 등을 통하여 역사지식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므로 敎師는 이러한 것에 대한 正史와 野史에 대한 구분을 명확히 해주어야 하며, 매스컴이 주는 흥미위주의 偏見된 역사에 대한 가치관 및 인물의 인식에 대한 편향된 誤謬를 깨우쳐 주어야 한다. 넷째,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성취도가 낮은 관계로 획일적인 수업에서 탈피하여 전체학습, 個別學習, 組別學習 및 다양한 형태의 수업을 진행하여 학생들의 역사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게 하고 학생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를 교과서뿐만 아니라 탐구자료 및 視聽覺 교재, 現場踏査 등을 통하여 다양하게 지도하여야 한다. 다섯째, 교사 자신의 노력이다. 교사 자신이 기존의 수업 방식을 개선하려는 의지를 갖고 다양한 교수 학습방법과 다양한 理論에 눈과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학생의 눈 높이에 맞는 교과 연구와 수업방법의 개선은 상당한 수준까지 높아질 수 있다고 믿어지며, 특히 대학 진학의 기회가 적은 실업계 고등학생들에게는 완성학교이면서 최종학교라는 점을 감안하여 올바른 民主市民으로서의 역사의식을 갖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ere are many problems to history curriculums of commerce oriented high schools. Prior to tackling the task of coming up with their solutions, the author of this paper feels that it is important to begin this paper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matter. Therefore, a survey was conducted and main findings from then research are below: Firstly,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ies of history education, commerce oriented high school need to hire more teachers who specialize in the field of history rather than have generalists to teach the courses. Futhermore, in order to reinforce the studies on local heritage, it would be advisable for these schools to utilize the time spared for group activities to include field trips to historical sites. secondly, same texts are being used to teach history courses at liberal art oriented, commerce oriented, and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It would be recommendable to reedit the contents of history texts used in three different school systems to better suit the abilities,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students attending those schools. Moreover, a diverse visual and audio materials should be used in order to enable the students to escape from cramming methodology of studying and to take more initiatives on their own in the learning process by engaging in active discussions during class. The current texts therefore need to be revised from a simple question and answer format to a more interactive forma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irdly, more training opportunities need to be given to teachers to promote self-growth on the part of the teachers. They need to develop more professor like teaching skills that can make the class room activities to be much more interesting and exciting for the students. Lastly, because commerce oriented high schools focus on a few specialized subjects, students' interests and motivations pertaining to other subjects are naturally diminished. It is therefore important for the teachers to be daring in taking different approaches to assign more incentives for the students to take more interests in these subjects. Some possible solutions to revitalize the history curriculums at commerce oriented high schools are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in light of the fact that one way teaching methodology decreases the learning interests on the part of students, school reforms are necessary promote more participation from the students. Such task can be achieved by adopting visual, audio, as well as other mass media teaching methodologies into the classrooms. Futhermore, history classes must move away from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oriented teachings. Instead, the course works should focus on developing the individual capabilities enabling them to view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n their own. In the second place, the present educations system divides all high schools into three different types that are commerce oriented, liberal art oriented, and special purpose schools. The founding purpose of such structure was to provide diverse learning opportunities to accommodate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s interests, aptitudes, and qualities. However, the original intentions were diluted in the application process in turn, none of the three school systems provides education fit with their actual purposes. In fact, the admissions to different high school types are determined solely on the basis of each student's academic ranking during junior high school. If that is the case, then the texts used in different schools should also differ in their difficulty levels in accordance with the academic standards of students belonging to each school system. Furthermore, in future world, people with creative and analytical minds at intellectual, cultural, and social levels are to be preferred and demanded over straight book-smart type of people. In the third place, Since students are greatly affected and often misled by the information acquired from watching TV, listening to radio, and browsing through the internet. In therefore a teacher's duty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history and a more mythical interpretation of the history. Students must not be biased by the values and the imageries projected in entertainment driented programs. In the fourth place, since academic standard of commerce oriented school students are lower than others, classroom works should be carried out in more interesting forms such as individual studies and group studies. Teachers should actively engage in studies through non-text book materials and trips Lastly, a strong will to reform is necessary on the part of teachers themselves to change the classroom atmosphere at commerce oriented schools. Teachers need to exert a great deal of efforts in fully utilizing the diverse teaching methods. When one considers the fact that this may be the very final stage of education for many of these youngsters who have little opportunities of furthering their education by going to colleges, teachers must to do their best to turning these kids into becoming responsible citizens.

      • 영화를 활용한 역사 수업 모형 개발 연구 : 역사적 이해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장지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역사 교육의 문제 중 하나는 역사 과목이 학생들의 관심에서 점점 멀어져 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학교의 역사 교육이 사회와 학생들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한 채 과거의 교수 방법을 그대로 답습해 왔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현재의 젊은 세대들은 컴퓨터나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른 디지털 혁명을 경험하며 성장하였다. TV나 영화, 애니메이션, 컴퓨터 게임, 통신 등 온갖 영상 매체에 친숙한 영상 세대들에게 멀티미디어 자료가 가지는 교육적 잠재력은 매우 클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대학교의 강의시간에는 강의의 소재로 영화를 인용하거나 이를 주제로 토론을 벌이는 경우가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중·고등학교 역사 수업에서 영화를 역사 교육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중·고등학교에서 영화를 이용하여 수업을 하더라도 영화를 수업의 보조자료로써 단편적으로 적용시켰을 뿐 영화를 활용한 역사 수업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물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역사 이해에 도움을 주는 두 편의 영화를 세계사 수업의 주텍스트로 활용하여 '영화를 활용한 역사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영화를 활용한 역사 수업이 역사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서 역사 교육의 하위 목표인 역사적 사실과 정보의 이해, 역사적 시간성의 이해(연대기적 사고), 맥락과 상황의 이해, 감정 이입적·상상적 이해, 역사적 분석 및 탐구능력에 접근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재직하고 있는 경기도 수원시 소재의 Y 여자고등학교 3학년 학생 70명(2개 학급)을 연구 대상으로 영화를 활용한 역사 수업 모형을 적용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역사 관련 영화 중에서 혁명을 주제로 한 영화 [당통]과 [인생]을 선정하고 이를 각각 25분 정도의 분량으로 편집하였다. 영화를 편집한 후 프랑스혁명 또는 문화대혁명과 같은 사회적 변혁기를 거치면서 영화 속 인물들이 겪게 되는 고민과 갈등에 학생들이 감정이입을 할 수 있는지, 그리고 혁명 전후의 전체적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지 검증하는 영상 학습지를 제작하였다. 영화를 편집하고 영상 학습지를 제작한 후 이를 실제 3학년 수업에 적용하였다. 영화 [당통]은 세계사 교과서 V. 서양 근대 사회의 전개 5. 시민 혁명과 시민 사회의 성립 (3) 프랑스혁명 부분에서 이용하였고, 영화 [인생]은 세계사 교과서 Ⅷ. 현대 세계의 발전 1. 전후의 냉전시대 (2) 중국 공산 정권의 성립과 변화 中 문화대혁명 부분에 적용하였다. 다음으로는 영화를 활용한 역사 수업 후 결과물로 제출된 영상 학습지를 평가하여 영화를 활용한 역사 수업이 학생들의 역사 이해와 역사 교육의 목표 달성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끝으로 연구자가 제작한 영상 학습지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받기 위해 '영화로 본 세계사'를 수강하고 있는 E 대학교 사회생활학과 학생(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 [당통]을 이용한 역사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프랑스혁명에 대한 전체적인 상황과 그 속에서 혁명의 성격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갈등을 이해하며 혁명이 진정 그 시대를 사는 사람들에게 끼친 영향은 무엇이었는지에 대한 감정이입을 하는데 도달했음을 알 수 있었다. 영화 [인생]을 이용한 역사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중국의 현대사를 시간 순으로 이해하고 문화대혁명과 같은 사건들의 본질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영화를 통해 문화대혁명이 개인의 삶에 어떻게 작용했으며 그 시대를 사는 사람들이 당시 어떤 감정을 느꼈을지 이해할 수 있었다. 두 편의 영화 모두 역사 교육의 하위 목표인 역사적 사실과 정보의 이해, 역사적 시간성의 이해, 맥락과 상황의 이해, 감정이입적·상상적 이해, 역사적 분석 및 탐구능력에 도달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둘째, 영화를 활용한 역사 수업은 세계사 지필고사(중간, 기말고사)에서 낮은 점수를 얻었던 학생들에게도 역사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이 학생들의 영상 학습지를 분석해 보니 지필고사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학생들의 답안과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영화를 활용한 역사 수업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영화를 활용한 역사 수업의 효과를 묻는 설문에서 예비 교사들은 영화를 역사 학습에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영화를 통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것이 매우 가능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영화를 활용한 역사 수업은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 신장에 효과적이며 학업 성취도 향상에도 효과적일 것이라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영화를 활용한 역사 수업 모형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더 나아가 역사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유용한 교과 교육 방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current younger generation has been exposed since childhood to the so-called digital revolution spurred by the advance of 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 they are familiar with television, movies, animated films, computer games and online communication, multimedia materials are expected to have elastic educational potentials. To be in line with such a trend, universities have a growing tendency to take advantage of films or have a discussion about them in class, but secondary schools rarely put them into use as a means of history education. Even in case movies are employed in those schools, they are no more than supplementary teaching materials, and few full-scale studies have ever paid attention to the use of films in history i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ilm-assisted history instruction model by utilizing two movies, which could help students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history, as main texts for world history class. On the assumption that film-aided history instruction could successfully motivate students, whether it could help attain the objectives of history education in terms of an understanding of facts and information, historical idea of time(chronological thinking), contextual and situational comprehension, empathic and imaginary understanding, historical analytic skills and inquiry process skills was examin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0 seniors in two different classes from Y girls' high school in the city of Suwon, Kyounggi province, where this researcher has worked for. In order to develop a film-aided history instruction model, two movies respectively titled [Danton] and [The Life], whose themes were both revolution, were selected and edited into about 25-minutes films each. And audio-visual learning aids were prepared to find out whether the students empathized with the characters in the movies who respectively underwent social upheaval named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Great Chinese Cultural Revolution and whether they understood the overall relevant situations. And then the film-assisted instructional model was actually applied to senior instruction. After the lesson was finished, the learning aids submitted by the students were assessed to evaluate the impact of the film-aided history classes on the students and the attainment of teaching objectives.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audio-visual learning aids produced by this researcher, a survey was conducted on social life majors at E University, who were teachers-to-be taking a course named world history through fil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mpathy was successful in the lesson using the movie [Dalton], as the students who took the class understood what triggered the French Revolution, what conflicts it caused and how the contemporary people were affected by that. In the lesson using the other film, they came to have a chronological understanding of modern Chinese history, what's essentially behind the Great Cultural Revolution, how the contemporary people were influenced by it and how they felt. Both movies made a contribution to attaining the objectives of history education that included an understanding of historical facts and information, acquisition of historical idea of time, comprehension of contexts and situations, development of empathic and imaginary understanding, and enhancement of analytic and inquiring process skills. Second, those who scored lower both on world history midterms and finals were successfully encouraged to find history more interesting. Moreover, there appeared little disparity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ho got higher marks on the same paper-and-pencil tests, when their audio-visual learning aids were analyzed. This fact indicated that the film-aided history classes were immensely useful. Third, when asked about the effect of film-assisted history instruction, the would-be teachers argued that films were quite available for history learning, and that they were highly likely to raise student interest. And it's concluded that film-aided history class would be effective for the enhancement of historical thinking faculty and academic achievement.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film-assisted history instruction model could serve as one of the successful teaching methods to provide motivation to students and achieve to provide motivation to students and achieve the objectives of history education.

      • 박물관을 활용한 중등 역사교육 방안 연구 :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상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31

        역사 교육의 목적은 올바른 역사 지식의 효과적인 전달에 있다. 역사학자는 역사적 사실의 올바른 해석과 규명의 문제에 집중하고, 역사 교육학자는 그 결과물이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한다. 역사 교육자는 이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와 자료를 수업에 적용하고, 수업 방법론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여 왔다. 그러나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역사라는 과목은 학생들에게 지루하고 어려운 과목이 되어 버렸다. 그러나 대중에게 역사는 아직까지 흥미로운 영역이다. 대표적인 예가 박물관이다. 주말의 박물관은 물론이고, 평일의 박물관 역시 학생 단체 관람객들로 한가할 틈이 없다. 박물관은 그 어느 곳보다 '역사'와 가까운 공간이다. 그 공간을 채우는 것은 역사의 흔적인 유물들이며, 그 흔적들의 건재함을 대중과 미래에 전달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박물관이다. 가장 역사적인 건축물인 박물관이, 가장 역사를 기피하는 학생들에게는 인기가 높다. 이는 수험 과목으로서의 역사는 기피 대상이지만, 문화로서의 역사는 즐거운 생활 공간임을 알려준다. 이는 교육 소재로서의 역사는 흥미롭지만, 그 교수 방식과 소재에 따라 지루할 수도 즐거울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박물관은 지루한 역사 과목을 즐겁게 만드는 새로운 통로가 될 수 있다. 역사 학습 자료로서의 박물관은 다양한 유물과 전시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의 즐거운 역사 체험을 도울 수 있다. 교육적으로는 실물기반학습이라는 특성을 통해 학습의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여 이론학습에 비해 높은 교육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비형식적 학습과 여가 활용에 동기를 부여하고, 자발적인 학습이 가능한 교육적 공간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무엇보다 학교와 연계한 박물관 교육은 실물 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흥미를 높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합교육과정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학생들의 새로운 면을 드러냄으로서, 학생과 학생, 교사와 학생간의 새로운 관계형성에 도움이 된다. 이렇게 맺어진 사회적 관계 안에서 학생의 예절학습이 가능하며, 지역사회 박물관의 연계를 통해 지역문화예술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추상적인 역사적 사고력의 배양을 목적으로 하는 역사 교육에 있어 박물관의 존재는 무척 중요하다. 박물관의 전시물은 직접적이고 실증적인 자료이며, 그것을 학습 자료로 활용할 때의 교육적 효과는 다른 학습 자료와는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 절대적이다. 2008년 한 해 동안 국립박물관에서 진행한 교육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전체 259종의 프로그램이 2,717회 운영되었으며, 연간 43,477명이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하였다. 그러나 교원 연수를 제외한 학생 대상의 순수한 학교연계 프로그램은 약 10%로 전체 교육프로그램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 참여가 가능한 교육프로그램이 박물관별로 평균 2~3개에 그쳐, 프로그램 선택의 폭이 좁을 뿐 아니라, 참여 인원 자체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시기의 편중으로 인해 학교 당국과의 효과적인 연계가 힘들다. 교육프로그램의 방학 편중은 수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박물관 교육을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방학기간 동안 학교의 학생 장악력이 떨어짐에 따라,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참여는 학생들의 자율 의지에 기댈 수밖에 없게 된다. 교육담당자 역시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교육프로그램의 입안, 기획 및 집행 등 운영 전반을 담당하는 교육담당자가 중앙박물관을 제외하고는 많게는 10명, 적게는 2명에 불과했다. 가장 많은 인원을 보유한 중앙박물관 역시 대개 인턴 혹은 비정규직 형태의 불안정한 고용방식을 취하고 있다. 교사들의 현장에서의 역할이 한정되어 있다는 문제도 있다.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은 존재하나, 직무 연수 중심의 1회성 행사에 그치고 있다. 이는 교사의 역할을 박물관 교육을 함께 진행할 파트너가 아닌, 교육대상으로만 인식하는 데서 오는 결과이다. 박물관과 연계한 역사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학교와 박물관 모두의 노력이 요구된다. 우선 학교 측에서는 교수의 주체인 교사들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 박물관과 지속적인 협의 아래 학생 중심의 참여방안을 고민하고, 학교운영계획과 맞물린 프로그램 참여를 진행한다. 또한 시간과 예산이라는 현실적인 제약을 넘기 위한 학교 차원의 행정적 지원과 학교 연간 교육계획에의 반영이 이루어져야 한다. 박물관 차원에서는 근본적으로 교육 프로그램의 양적·질적 확충은 물론 다양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여 학습자들의 교육활동을 지원해야 한다. 그 방편으로 그간의 수동적인 프로그램 운영에서 탈피하여, 적극적으로 유물을 대여하고 방문하는 아웃리치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수적으로 부족한 전문 인력을 박물관 차원에서 뿐 아니라, 정책적인 차원에서 양성하여 교육 현장에 투입하여야 한다. 이 가운데 교수 전문가인 교사 인력풀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사를 박물관 교육 전문가로 이용하고 박물관과 학교·교사간의 교류를 강화하여야 한다. 국내에서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과 역할이 학문적 차원에서 고려되기 시작한 것은 불과 10여 년 전의 일이다. 일찍부터 그 교육적 기능이 주목되어 공공기관으로서 지역사회에 자리 잡기 시작한 서구의 박물관과는 달리, 국내에서 박물관은 그저 수학여행의 코스, 수행평가의 대상으로만 존재해왔다. 그러나 역사의 전시 공간에 불과했던 박물관이, 이제 교육의 현장으로, 문화의 중심으로 다시 일어서고 있다. 교육학계를 중심으로 그 교육적 역할에 대한 기대도 높아지고 있으며, 연구 성과 역시 두터워지고 있다. 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소비 주체인 대중의 발길도 박물관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 현장에서는 이런 대중과 연구자의 기대를 채워줄 실제적인 움직임이 부족하다. 그나마 안정적인 운영 시스템과 재정 지원을 받는다는 국립 박물관도, 학교와 연계하여 진행하는 교육프로그램이 거의 전무하다. 있더라도, 방학을 이용하거나 수험생을 위한 일회성 행사에 그치고 있다. 실제로 학기 중에 일상에서의 역사 수업과 접목되어 효과적인 학습의 지원군으로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은 찾아볼 수 없다. 그 이유를 짧은 학문적 역사에서도 찾을 수 있겠지만, 그보다는 입시 위주의 학교 교육과 전형적인 관료주의라는 한국적 현실이 더 중요한 원인이 아닐까 싶다. 이는 쉽게 깨어질 틀도, 마냥 기다릴 문제도 아니다. 박물관을 활용한 역사 교육은 교육 수혜자인 학생들에게 외면당하고 있는 제도권 역사 교육의 현상을 타개할 새로운 해결책이 될 수 있다. 현장의 교사들과 교육담당자는 이 새로운 카드에 주목해야 한다. 역사를 알아가는 즐거움과 그것을 나누는 의미, 박물관은 역사 학습의 이 유쾌한 경험을 학생들과 공유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is the effective delivery of knowledge of history. Historian focus on the correct interpretation and identify of the historical facts, and history educator focus on how to the results can be delivered effectively to the learners. To accomplish this task they apply a variety of tools and materials to class, and continue the research methodology. Despite their efforts, history is not only a subject needing memorizing but also tedious and difficult subjects. But the history is still an interesting area to the public. Museum is a typical example. Weekend, museum crowd students, friends and family. Also weekdays, museum crowd the student groups. In addition, the new education program is started, inquiries of participation increase. The museum is the closest space with history. There is filled artifact the evidence of history, and museum exist to deliver public and in the future. The museum of the most historical space is popular with students do not like the history. This situation tell us 'history as subjects' is to avoid, but 'history as culture' is a pleasant space. History as Training material is interesting, but depending on how to teaching can be boring or fun. Museum is a new pathway that tedious history can be fun. Museum as learning materials can help a good history experience for students through artifacts and exhibits a variety of programs. In terms of educational, object-based learning can be effective higher education by learning to maximize the visual effects. Museum is motivated to take advantage of nonformal education and leisure, and could be utilized as a possible educational space for voluntary learning. Above all, history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through a museum can increase the interest of learners through object-based learning and applied as the various integration courses. And will help shape a new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the students, teachers and students by representing a new aspect of students. Local culture and art through the museum's cooperation can promote. Specially, museum is very important space for the purpose of cultivating abstract historical thinking. The museum exhibits is a direct and material proof, and as the educational effects of learning resources is absolute in comparison to photo and video materials Look at training programs conducted at the twelve National Museum in 2008, 259 species program was operating at 2,717. And 43,477 people were participating in education programs. But school programs for students of pure is about 10%. This is low percentage in the entire educational program. And because of the preponderance of the time, effective cooperation with school authorities is difficult. Also education personnel is lack. Except for the National Central Museum, education personnel were as many as 10 people, at least two people. Another problem is the role of teachers in the field is limited. To activate the history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through a museum will require the efforts of both schools and museums. First, the role of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And to give time and budget constraints, Administrative support of the school and the application of the Annual School Training Plan is required. In terms of museums, essentially education personnel support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learners through a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By the way, museum avoid in the operating manual to program and should be sought activation of the outreach program.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t number of skilled workers, training should be in policy. Above all, to take advantage of a pool of expert teachers, teachers to use museum education experts and school teachers should be strengthened exchanges between museums and school. Educational functions and roles in the academic dimension of the museum began to be considered in only 10 years before in Korea. The museum's exhibition space in history, rise again now in the field of education, at the center of culture. The educational role of education for the academic expectations are rising, research is also grows. Heightened interest in the culture, Museum have led to a trail of the public culture consumption of the representative . But in the field, physical movement isn't enough to fill lack of public and researchers. The reason can be found in a short academic history. Rather, the school education and university admissions based on a typical bureaucratic style reality is a more important cause of this problem. This is not easily broken, and waiting for the problem is not resolved. History Education through a museum could be a new solution for students ignored in mainstream history education. The scene of the teachers and education staff should pay attention to the new card. To know the fun and meaning of sharing the history, museum can be space to share this delightful experience of the learning of History for students.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한국문화사> 개발 방향 제안 : 신문화사의 역사 인식을 중심으로

        윤경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역사는 인간의 삶에 관한 학문이다. 그리고 우리가 역사를 배우는 본연의 목적은 인간의 다양한 모습을 이해하려는 것에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 역사 교육은 정치사나 사건사 위주의 딱딱한 암기식 서술이 중심을 이루고 있어 구조에 변화가 필요하다. 역사를 접할 때 사소한 사건을 통해 전체 사회상을 유추해 내고, 보통 사람들의 행위에 주목하여 인간을 주체로 역사를 바라보고자 하는 것이 신문화사의 역사 인식의 특징이다. 그리고 이러한 신문화사의 역사 인식은 현재 경직된 역사 교육의 바람직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신문화사의 인식을 특히 ‘문화’를 중심에 놓고 신설되는 <한국문화사> 교과서에 접목시킬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문화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이것이 역사교육에도 반영되면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국문화사>라는 과목의 신설이 결정되었다. 그리고 다른 역사 교과서에도 물론이지만 특히 이 과목에 있어서는 신문화사의 역사 인식이 최대한 반영되기를 희망하며 그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다. 신문화사의 인식이 교과서에 접목되었을 때, 학생들은 정형화된 틀을 탈피한 역사 이해를 할 수 있으며, 민중의 삶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자료의 탐구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으며, 교과서를 쉽고 재미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이 신문화사적 서술이 역사 교과서 개발에 접목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이에 따라 서울시교육청과 교육과정평가원 연구진들이 개발한 <한국문화사> 모형단원의 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접목 방향을 잡아보고, 새로운 모형 단원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신문화사의 본연의 특징을 현재 중등학교 교과서에 반영하기에는 자료의 한계와 교과서에 규정된 내용 체계의 제한이 아직은 한계점으로 남아있으며, 이에 대한 역사학계 및 역사 교육 학계의 더욱 활발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History is learning on the life of human being. The original objective for which we learn history is to understand diverse shapes of human being. However, our current historic education is mainly based on the rigid narration for memory that usually describes political history or affairs. Thus, its structure needs to be changed. The character of historic recognition of new cultural history is to view human being as the entity of history by inferring all social aspect through minute affairs in the history and paying attention to the act of common people. Such historic recognition of new cultural history may be the desirable alternative of the current rigid education. Thus, this article intends to find there cognition of new cultural history, especially, the method to put culture at the center so as to connect it to the newly established textbook of <Korean cultural history>. As the importance of cultural history is highlighted and reflected in historic education, the curriculum amended in 2007 decided to establish the subject of <Korean cultural history>. Like other historic textbook, the author proposed the development direction, wishing that the historic recognition of new cultural history is fully reflected in this subject. When the recognition of new cultural history is connected to textbook, students can understand history out of the stereotyped frame and better understand the life of people. Further, their historic thinking power can be cultivated and textbook can be composed easily with interest through the research course of materials. This is why narration of new cultural history should be connected to the development of historic textbook. In this direction, this article sets the specific connection direction and presents new model module by analyzing the model module of <Korean cultural history>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of Seoul Education Office and Curriculum Evaluation Board. However, reflecting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new cultural history to the current textbook of middle school is still subject to the limit of materials and restriction of contents system stipulated in the textbook. Thus, historic academy and historic education circle need to study this matter a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