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국내·외 캔 맥주 패키지디자인 브랜드 연상에 관한 연구

        김지윤 한양대학교 이노베이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패키지 기술의 발달에 따라 포장 재료와 포장 기법이 다양화되면서 차별화된 패키지디자인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요소로 발전하고 있다. 브랜드 연상에 영향을 미치는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요소들은 소비자와 의사소통을 갖는 것으로서 소비자에게 제품의 품질과 정보를 확인시켜 브랜드의 신뢰도를 높여주고 소비자의 구매력을 자극하는 요인이 된다. 패키지디자인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매장의 진열대 앞에서 얼마든지 구매 선택 결정을 바꿀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소비자는 다양한 시각적 자극을 통해 수많은 상품 중 자신이 어떤 이미지를 좋아하는지 알게 되고 선택할 수 있는 기쁨을 느끼게 된다. 패키지디자인 시각요소의 브랜드 연상을 통한 패키지디자인의 차별화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패키지는 브랜드의 확장성, 유연성이 반영되는 핵심적인 마케팅 요소의 하나로서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소비자와의 감성적 유대를 형성함으로써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를 높여 준다. 본 연구의 진행은 국내·외 캔 맥주 패키지디자인 시각요소의 우선순위와 브랜드 연상의 강도를 확인하여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브랜드 연상을 위한 시각요소의 효율적인 활용으로 마케팅 실무에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결정적인 역할을 제공하는 강한 브랜드 연상은 경쟁 브랜드와 차별화될 때 이루어진다. 다른 제품과 차별화 될 수 있는 브랜드 연상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것은 마케팅 담당자에게 있어서 큰 고민거리일 것이다. 본 논문은 캔 맥주 패키지디자인의 브랜드 연상 강화를 위하여 마케터의 입장에서 대응 방안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스마트폰 앱아이콘의 시각인지와 디자인표현에 관한연구

        송인욱 한양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 IT를 대표하는 스마트 시장과 함께 이동전화 시장 또한 무선인터넷과 높은 사양의 하드웨어를 탑재한 스마트폰이 중심에 서고 있다. 최근 중국의 스마트폰 제조사 는 저렴한 가격을 경쟁력으로 뒤늦게 스마트 시장에 뛰어들며 그 영향력을 과시하고 있다.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불과 8년 전이다. 브랜드 인지도와 질 좋은 제품과 성능을 경영철학으로 내세워 이동전화 시장에 주도권을 장악하고 있을 때 국내 제조사는 국내시장과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유연성 좋은 OS를 이용하여 접근성을 높였다. 또한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글로벌 시장에 경쟁력을 갖추기 시작하였다. 일찍이 스마트폰 시장에 선두주자로 나선 대표 제조사들은 스마트폰 제조와 함께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의 개방된 시장을 구축하였다. 제조사의 제한된 규정을 가진 플랫폼 안에서 누구나 앱을 만들어 판매하며 누구나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보다 더 편리하고 정보화된 사회를 원하게 되었다. 무선 인터넷을 통해 짧은 시간을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킹 및 엔터테인먼트, 취미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려고 한다. 또한 금융. 쇼핑, 업무 등 재산과 생업에서도 스마트폰을 이용한 생활 패턴으로 흘러가고 있다. 즉,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품으로도 자리 잡게 된 것이다. 연구 목적은 첫째, 스마트폰 앱아이콘의 개념과 시각적, 기호학적 의미를 고찰하며 시각인지와의 관계성을 정의한다. 둘째, 스마트폰 앱아이콘의 사례를 조사하고 시각적 디자인 특징을 이해한다. 셋째, 앱아이콘의 시각적 요소와 시각인지와의 상호관계에 따른 영향을 파악한다. 최종적으로 스마트폰 앱아이콘이 가진 기본 시각적 요소를 중심으로 효율적인 시각인지와 디자인표현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원활한 시각정보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자인이 개발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제1장에서는 연구 배경 및 목적, 연구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제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아이콘의 일반적 개념과 스마트폰 환경에서의 앱아이콘의 개념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위 내용을 종합하여 스마트폰이 갖는 앱아이콘의 시각인지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스마트폰 앱아이콘의 다양한 사례를 시각 요소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디지털 전자제품, 스마트폰 운영체제, 전반적인 앱 마켓 아이콘의 현황과, 카테고리에 따른 다양한 측면에서의 사례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순간 인지 조사방법을 이용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디자인 표현 요소와 시각인지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제4장은 앱스토어 앱아이콘의 시각요소 종합비교 분석, 아이콘과 시각인지 관계분석으로 나눠진다. 첫째 앱스토어의 무료 인기차트 상위 1∼20위 총 20개의 아이콘으로 선정하였으며 아이콘의 시각요소를 기준으로 다속성 비교분석을 하였다. 인기차트의 상위권엔 개인 개발자의 앱보다는 주로 기업의 앱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아이콘의 색상은 주로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컬러가 사용되었으며, 그 외의 경우 주요색과 흰색을 이용하여 주목도와 명시성을 높이고 있었다. 표현 방식은 텍스트/타이틀과 CI/BI의 사용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로고타입 방식과 로고를 주 개체로 이용한 표현 방식이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레이아웃 및 형태의 표현을 보면 주로 간결하고 부드러운 형태가 많았다. 적은 개체를 이용하여 핵심주제를 간결하고 명료한 시각정보를 주로 전달하고 있었다. 둘째 스마트폰과 동일한 비율의 화면에 컬러, 위치가 각기 다른 앱이 위치한 세 가지 화면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화면을 짧은 시간 노출시켜 순간적으로 인지되는 정보를 작성하는 ‘순간인지 연구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스마트폰의 이용률이 가장 높은 20대(69.3%) 남녀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색의경우색의변화, 사용된 색의 개수, 개체 색과 배경색의 배색은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는다. 색의 변화가 적은 단색 표현방식과 2∼3개의 적은색이 사용된 개체와 배경색의 색대비가 높을수록 순간인지에 높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개체의 경우 자주 접하여 사전에 인지된 정보와 형태가 본 실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일관된 시각적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강조되고 있다. 각각의 디자인 요소는 상호관계 속에서 시각인지에 영향을 미치며, 시선의 흐름 영역에서 단순하고 명료한 색과 형태, 자주 노출되어 사전에 인지된 익숙한 형태가 아이콘을 인지하는 가장 큰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5장은 결론은 제시하였다. 앱의 개발 목적과 기능을 인지할 수 있는 차별화된 시각요소의 사용은 사용자의 인지도를 높이며 정확하고 효과적인 정보전달을 할 수있는 효과적인수단이 된다. 아이콘은 앱을 접하는 첫번째 요소이다.인지된아이콘의 세부정보를 이용하여 사고를 통한 지각 작용으로 디자이너와 사용자간의 시각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빠르게 변하는 앱 마켓 시장에서 아이콘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효율적인 시각요소의 체계를 만들어야한다. 전 세계시장을 대상으로 하나의 아이콘이 세계 표준화된 공통 의미를 전달하는 것은 중요한 것이며 따라서 정확한 시각적 요소의 사용, 전략적인표현방식이필요하다고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앱아이콘의 시각적 표현방식의 현황을 분석하고 시각인지와의 관계성을 규명하여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 개발될 스마트폰 앱아이콘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활용되어질 수 있는 학술적 가치가되어 IT산업의 디자인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프리미엄 생수 패키지디자인의 브랜드 개성에 관한 연구

        박혜영 한양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오늘날 개인의 소비형태는 브랜드 이미지를 중요시 하는 소비로 변화되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소비자와 지속적인 유대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디자인 브랜드는 소비자가 인식하는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하고 소비자의 욕구 만족을 충족시켜야 한다. 이러한 가운데 패키지디자인은 브랜드의 개성 소비라는 측면에서 다양한 시각적 차별성으로 소비자 욕구를 효과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개성과 프리미엄 생수 패키지디자인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향후 국내 프리미엄 생수 브랜드에 있어 개성 있고 차별화된 패키지디자인을 위한 발전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프리미엄 생수 브랜드를 중심으로 브랜드 인지 및 차별화된 이미지 형성에 있어 어떤 요소가 작용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실증 사례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범위 및 방법을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브랜드 개성과 패키지디자인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고 그 관계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제3장에서는 프리미엄 생수에 관한 일반적 고찰을 하였다. 제4장에서는 시각적 구성요소로 실증적인 사례를 비교•분석하였다. 제5장에서는 1-4장의 내용을 토대로 브랜드 인지 및 차별화된 이미지 형성을 위한 패키지디자인에 대해서 결론을 도출하였다. 실증적인 사례의 디자인 요소를 통한 조사결과 첫째, 브랜드 로고의 형태는 언어와 시각의 배합 방식으로 정보를 쉽게 전달하는 시그니처 마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일러스트레이션은 사실적 이미지나 메시지를 단순하게 소통하기 위하여 추상적으로 변형한 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소비자가 쉽게 관심 갖도록 변화시키려는 전략이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셋째, 라벨의 레이아웃은 상단 배치, 대칭 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다른 패키지와 진열되었을 때 주목 받고 분리될 수 있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넷째, 패키지의 형태는 대체로 각지지 않은 슬림형으로 부드럽게 나타났다. 내용물의 빈 부분을 최소화하고 브랜드가 고급스럽게 보이는 패키지의 이상적인 형태가 슬림형이라고 분석되었다. 다섯째, 컬러는 대체로 깨끗하고 발랄하고 자연적인 이미지가 부각되는 부드러운 한색과 난색 계열로 나타났다. 감성적이고 차별화된 색상의 조합으로 프리미엄 생수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패키지에 특별성과 희소성이라는 요소를 부여함으로써 브랜드 인지와 차별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 프리미엄 생수 시장의 규모는 해마다 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디자인 경쟁도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 프리미엄 생수 브랜드는 디자인 측면에서 수입 브랜드에 비해 아직까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브랜드 개성을 표현한 프리미엄 생수 패키지디자인은 소비자에게 브랜드가 긍정적인 기억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소비자의 브랜드 충성도를 유인하기 위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차별화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확립시킬 수 있고 소비자 자신만을 위한 디자인 상품이라는 특별함으로 인식되어 브랜드의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프리미엄 생수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적 방향성과 지향점을 구축하기 위하여 활용되기를 기대 한다. The form of today’s personal spending is trending toward value of brand image. For that reason, design brands must maintain the brand image that consumers recognize, and fulfill consumers’ desire to build lasting relationships with them. Among such efforts, in terms of brand personality consumption, packaging design effectively reflects consumer desire using various visual differentiations.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and personality and package design of premium-bottled wat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based on the results, to suggest developmental methods for package designs that had both personality and differentiation, for domestic premium brands of bottled water. An empirical case study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contributing factors in brand recognition and differentiated image formation focused on premium-bottled water. The present study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sections. In chapter 1,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In chapter 2, theoretical considerations were given to brand personalities and package designs and their relationships were investigated. In chapter 3, general considerations were given to premium-bottled water. In chapter 4, empirical cas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visual components. In chapter 5, conclusions were drawn regarding package designs for the formation of brand recognition and differentiated images based on the contents of chapters 1 through 4.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through the design elements of the empirical cases showed that, first, brand logos most frequently use signature marks that easily deliver information using a mixture of words and visuals. Second, abstractly modified images were most frequently found in illustrations to simplistically communicate realistic images or messages. It can be inferred that strategic changes were made so that consumers readily have interest. Third, for label layouts, symmetrically balanced top placement was most frequently found. It is understood that the layout was designed to both stand out and be distinct from other packages when displayed. Fourth, the packaging was mostly smooth and slim in shape without sharp angles. The ideal form of a package with minimal empty internal space and luxurious brand appearance was analyzed to be a slim shape. Fifth, the colors used were mostly smooth cold and warm colors from which clean, vivid, and natural images emerge. Inferences can be made that the image of premium-bottled water was expressed using a mixture of sensuous and differentiated colors. It was found that brand recognition and differentiated brand images could be formed by giving a package the elements of character and rarity. The market size of domestic bottled water is growing annually and, accordingly, design competition is increasingly fierce. The reality is, however, that domestic premium brands of bottled water do not yet satisfy consumers’ desire in their design aspects compared to imported brands. The package design of premium-bottled water that expressed brand personality was likely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situate itself as a positive memory in consumers’ minds. Furthermore, it may provide an opportunity to attract brand loyalty from consumers.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discussed methods to increase brand value that could establish a differentiated brand identity and be recognized as a special design product exclusively for the consumer. It is the hope of the present study that the results will be utilized to establish a visual direction and orientation for the package design of domestic premium bottled water.

      • 감성사회에서 농산물 브랜드 가치 증대를 위한 패키지디자인 전략 연구 : 과실류 패키지 중심으로

        송영림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11

        A customer-oriented era, in other words, we live in a society where various marketing and product differentiation is needed even within the fruit industry following the start of a customer-oriented era, or society of sensitivity, as well as the creation of various distribution channels and opening of the agricultural market. In addition, with the opening of our agricultural market following the WTO and FTA agreements, consumer trends have shifted to one where consumers are now purchasing small amounts of high-quality agricultural products. It has become increasingly more difficult for our agricultural products to maintain their competitiveness and expect growth through just the exist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Within such framework, fruits have continued to solidify its market position as a well-being product and various research results have shown fruits to be one of the best nutritional products. Consequently, this study desires to change consumer trends by changing the social and consumer perceptions regarding fruit from just a simple thing to eat, into a purchase of sensitivity. Within such scope, many domestic fruit products have begun product differentiation and continued to raise its competitiveness, but their value still is relatively lower compared with overseas brands. Particularly, package design serve as a key marketing tactic which can attract consumers to a purchase, but have yet to be effectively expressed. In order to propose solutions to such problems, domestic and overseas agricultural package design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of logo, color, and graphics for a comparative analysis on each sensitivity values. In addition, an investigation on visualization methods for fruits packages was conduced in order to maximize the marketing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hree categories. In addition, this study verified the reasons on why brand value must be raised through sensitivity communication. Through a sensitivity response survey, relationships were output as probabilities by using the t-test,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e following four results. First, the level of sensitive expression within our fruits packages was shown to have a great influence in consumer attitudes for a brand. As for logos, there is a need for domestic brands to expand the size of the logo. As for colors, excessive use of colors must be limited, while graphics must be effective in eliciting sensitive stimulation for consumers. Second, the lifestyles of the consumer was shown to have no effect on the sensitive value of brand packages. Third, the results of analysis from a marketing perspective on the effects which customer sensitivity has on brand satisfaction, results showed that variables of communication effects, reliability, and PR had an influence. Fourth, the brand value created in accordance to sensitive expression was shown to have an effect on consumer attitudes towards a brand. Consequently, designs which strategically differentiates a product from others is necessary in order to raise the brand value for fruits. For strengthened competitiveness needed within the opened fruits market, more studies presenting directions and methods for efficient package designs are needed. This is because superior package designs are most effective to strengthen the brand values of practical and economic domestic fruits products. During the brand selection process within this study, a lacking of a representative brand was observed due to the numerous domestic brands in the market.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in the resolving of such problems. It was discovered during the brand selection process that there is a lack of a representative brand within domestic fruit brands. As a result, additional studies must be conducted on various brands and brand design elements in the future. A hop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brand value of fruits from our country and further the development of the fruit industry of South Korea. 고객중심시대 즉, 감성사회가 도래하고 다양한 유통채널이 생기면서 농산물 시장이 개방됨에 따라 과실 산업에서도 다양한 마케팅과 제품차별화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WTO, FTA 협상 등에 따른 우리 농산물 시장의 개방으로 소비자는 고품질 농산물의 소량 구매로 소비패턴을 전환하고 있다. 기존에 이행되던 생산 및 유통 체계로는 우리 농산물의 경쟁력 발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 중에서도 현재, 과일은 새로운 건강식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나아가 최고의 건강식품이라는 연구결과도 속속 발표되고 있다. 이 같은 과일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소비자의 의식변화는 단순히 먹을거리의 구매가 아니라 감성의 구매로 과일 소비 경향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에 국내 과실 제품들은 제품을 차별화하고 경쟁력을 높이고자 브랜드화해 나가고 있지만, 외국 브랜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치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특히 패키지 디자인은 소비자의 구매를 직접적으로 유도하는 중요한 마케팅임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으로 표현되고 있지 못해서 그 해결책이 요구된다. 이에 그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국내외 농산물 패키지 디자인을 로고, 컬러, 그래픽의 세 가지 요소로 나누어 각각의 감성적 가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앞의 세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마케팅 특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과실류 패키지의 시각화 방법을 모색해 보고, 아울러 과실 패키지의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높여야 하는 이유를 검증하고자 한다. 감성적 반응은 설문조사 결과를 통계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t-test와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이용하여 유의확률(Probability)로 관계를 입증하였다. 조사 결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사실을 도출하였다. 첫째, 우리 과실 패키지의 감성적 표현 수준은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로고에 있어서 국내 브랜드는 로고의 면적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컬러에 있어서 과다한 컬러 사용을 줄여야 하고, 그래픽 디자인 요소에 있어서 일러스트를 이용하여 고객의 감성을 자극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브랜드에 대한 만족도가 다를 것이라 판단되어, 소비자 개성주의, 소극주의, 전통 알뜰주의 성향의 세 가지로 라이프스타일을 구분하였다. 이에 따른 조사 결과로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은 브랜드 패키지에 대한 태도에는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의 감성이 브랜드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패키지 디자인의 마케팅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커뮤니케이션 효과, 신뢰, PR의 변수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감성적 표현에 의해 형성된 브랜드 가치는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브랜드의 가치 증대를 위한 전략으로 차별화된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격적인 과실류 시장 개방 상황에 맞는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효율적인 패키지 디자인의 방안 제시와 깊이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현실적이고 경제적인 국내 과실류 상품의 브랜드 강화를 위해서는 우수한 패키지 디자인이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브랜드 선정 과정에서 국내 과일 브랜드가 많아 대표성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향후 다양한 브랜드와 디자인 요소의 전반을 대상으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우리 과실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나아가 우리나라 과실산업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한우브랜드 이미지강화를 위한 택배용 패키지디자인에 관한 연구

        유상기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11

        A Korean beef brand implies that the beef to which it is given is a safe, reliable product produced by a Korean beef producer equipped with a consistent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supplying reliable quantities of safe beef to consumers. With the recent opening of the Korean market to American beef, the Korean beef industry is facing the fiercest level of competition it has seen yet. Partly in response to this increased competition, the Korean beef brands are making their best efforts to retain customers loyal to the brand 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beef brands. In particular, the large discount department stores as well as online shopping and the accompanying increase in the volume of home delivery service required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the main venues of selling and distribution in the industry. Packaging standards determined by the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under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Economics in 2005 are disregarded by consumers and distributors due to inadequate advertising efforts and the lack of efficient control. The door-to-door delivery of products bearing the Korean beef brands must be quick and accurate, ensuring the maintenance of the suitable temperatures throughout the delivery process. There is, however, a dearth of studies on the designs of packages for beef products that are important parts of visual communication of brand images. In order to examine the designs of packages used in the door-to-door delivery Korean beef products currently available in the market, this study selected the six brand packages for representing the collective Korean beef brands in six regions, all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They are: Hanuram of Gyeonggi-do; Hairok of Gangwon-do; Cheongpungmyeongwol of Chungcheonbuk-do; Tobau of Chungcheongnam-do; Sunhanhanu of Jeollanam-do; and Hanujiye of Gyeongsangnam-do. Most of these Korean beef brands had insufficient appreciation for the importance of package designs in shaping and communicating their brand images. Their package designs even failed to expose the brands adequately to the public. The packages of some brands were inadequate even in terms of protecting products they contained. The investigation involved the purchase of the products bearing these brands on the Internet and the analysis of the materials, structures, and graphic designs of the packages and their inefficient contribution to the advancement of the brands they represent. In terms of the materials and structures used in the packages, plastic wrap used to pack individual items was not sufficient to prevent the items from changing in quality. The insulating materials used as inner packages touching the meat directly changed the color of the meat, appalling consumers who received them. The brands also used as the outer packing materials conventional Styrofoam, without making any efforts to make them visually appealing and differentiated. To overcome some of these disadvantageous effects, packing materials themselves need to change. Individual packaging should involve vacuum packing or gas substitution. Inner package materials should include corrugated cardboard or 우드락 between the insulator and the meat so that the coldness from the insulator would not directly teach the individual wrapper surrounding the meat. The outer packing material should be given more effective graphic designs and visual effects, combining Styrofoam with corrugated cardboard boxes or double PVC-vinyl wrapping. Graphic designs in the current packing materials also revealed some problems, including the fact that the brand logos were shown only using small stickers attached to the individual and inner packing materials and the fact that the outer packing materials did not bear effective graphic designs. To maximize the exposure of the brands to consumers, double-wrapping, ribbons, and double stickers should be used for individual and inner packing materials. Plastic ribbons, corrugated cardboard boxes, fabrics, and so forth may also be added to the outer pacing materials. The overall package should also use much of the main colors used in the brand logos. The difficulties and limits of this study partly arose from the fact that not all of the 202 Korean beef brands provided clear evidence of channels of distribution and sales. This study also did not conduct any consumer polls regarding the package designs currently available in the market. While these difficulties may not have amounted to much had the selected brands used similar package designs, the selected brands in reality used incomparably different packing designs and materials, making it difficult to prepare objective data necessary to forming polling questions. If supplemented with objective data and further, more thorough investigations and analyses, this study could nonetheless contribute much to increasing the income levels of the Korean beef ranchers and industry struggling to overcome the effects of recent competition from overseas beef. 한우브랜드는 소비자에게 안정적인 물량공급이 가능한 균일한 관리 시스템을 갖춘 한우 경영체에서 생산된 믿을 수 있고 안전한 쇠고기를 말한다. 최근 한우시장은 미국산 쇠고기의 개방과 함께 최대의 위기에 놓여 생존차원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한우 브랜드는 신뢰성 제고를 통한 충실한 고객확보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대형할인점을 통한 판매구조의 변화와 온라인을 통한 소비변화로 택배를 이용한 물류시스템은 판매에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를 옮겨가고 있다. 택배용 포장규격은 2005년 지식경제부 산하 기술표준원에 의해 표준화규격을 마련하였으나 홍보부족과 총괄 관리하는 컨트롤 타워가 없다는 원인으로 소비자와 물류업체에 외면을 받고 있다. 한우브랜드의 상품을 택배를 이용하여 배송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적정온도를 유지하며 신속, 정확한 배송으로 상품의 변질을 예방하는 것이 우선 되어야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적 측면에 치우쳐 브랜드이미지 향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시각커뮤니케이션의 일환인 패키지디자인은 연구가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한우브랜드 택배용 패키지디자인의 현황파악을 위하여 농협중앙회가 주관하는 광역단위 한우공동브랜드 경기도(한우람), 강원도(하이록), 충청북도(청풍명월), 충청남도(토바우), 전라남도(순한한우), 경상남도(한우지예)의 6개 브랜드를 선정하여 실증조사 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한우브랜드는 브랜드이미지형성에 패키지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심지어 브랜드의 노출도 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부 브랜드는 심지어 택배포장의 기본 기능인 제품 보호 기능 측면에서도 미흡한 상태로 배송이 되고 있는 문제점이 들어났다. 실증조사는 전자상거래를 통해 상품을 직접 구입하였으며 이를 조사·분석한 결과 한우브랜드이미지향상에 저해되는 재질·지기구조 측면, 그래픽디자인 측면의 비효율성을 찾을 수 있었다. 재질·지기구조 측면의 문제점으로는 낱포장은 랩 포장을 사용함으로 변질의 우려가 있었고, 속포장은 육류에 보냉재가 직접 닿아 육색이 변질됨으로 식감이 떨어지고 소비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겉포장은 특별한 효과나 지기구조의 차별화보다는 스티로폼 재질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방안으로는 낱포장의 경우 진공포장방식 또는 가스치환방식과 속포장은 보냉재와 육류사이에 골판지나 우드락 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냉기가 직접 낱포장에 닿지 않도록 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겉포장으로는 스티로폼위에 골판지재질의 상자나, PVC비닐을 이중으로 포장하여 그래픽디자인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래픽디자인측면의 문제점으로는 낱포장과 속포장에 단순하게 브랜드 로고만 스티커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과 겉포장의 경우 그래픽디자인을 적절히 사용하고 있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낱포장, 속포장에는 브랜드이미지의 노출을 최대화하기 위한 종이 2중 포장방식, 띠를 이용한 방식, 이중스티커 방식을 제언하였다. 겉포장 또한 비닐 띠를 이용한 방식, 골판지를 사용한 방식, 천을 사용한 방식이 효과적일 수 있겠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 외에 브랜드이미지강화를 위한 그래픽디자인으로 브랜드로고의 메인컬러를 활용하는 색상의 차별화 방안을 추가적으로 제시 하였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200여개에 달하는 한우브랜드 중 연구범위를 선정하기 위한 과정에서 판매경로 또는 매출근거가 정확하게 드러나 있지 않아 기준을 삼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패키지디자인의 현황을 소비자 설문조사를 할 수 없음이 아쉬움이었다. 이는 선정된 브랜드들이 비슷한 수준의 패키지디자인을 채택하고 있었다면 어렵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선정한 브랜드들은 서로 상호비교가 힘들 정도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설문을 통한 객관적인 근거 자료를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추후 객관적 자료의 확보와 면밀한 조사·분석이 지속된다면 외국산 쇠고기 수입개방에 힘들어하는 한우사육농가의 소득증대와 한우산업 전반에 적지 않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화장품 패키지에 나타난 아르데코 스타일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전수진 한양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11

        오늘날 화장품 패키지는 미니멀리즘(Minimalism)의 영향을 받아 기능성을 부각시키고 세련미를 표현하기 위해 극단적으로 절제 되어있는 디자인성향이 주류였다. 또한 최소한의 조형을 사용하여 절제된 이미지를 표현한 화장품과 대중을 겨냥한 중·저가 브랜드의 등장으로 인한 화장품 유통구조의 변화로 심플하고 절제된 디자인이 각광을 받았다. 이러한 추세는 전자기술의 획기적 발전에 힘입어 치밀하고 극소하고 완벽한 마감이 가능해진 전자제품을 선두로 가구, 패션, 건축의 디자인까지 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화장품 소비문화가 변화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인터넷의 대중화로 인한 정보습득이 용이해졌으며, 정보의 일반화로 인해 다양화되고 세분화 되어, 빠른 속도로 변해가고 있다. 똑똑해진 소비자는 개인의 성향이 분명해지고, 새로운 것에 대한 욕구도 커져가고 있기 때문에, 정형화 되고 절제되고 모더니즘(Modernism)적 심플함이 강조된 미니멀리즘 스타일에서 식상함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문화를 이해하고 새로운 스타일을 찾기 위해서는 디자인의 역사를 파악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디자인의 역사를 돌이켜 보면, 새로운 스타일은 그 당시의 미적가치와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상황을 다방면으로 반영하고, 시대의 변천에 따른 기술적 발달이나 도덕적 가치관의 변화 등을 과거의 요소들과 절충하여 새로운 조형의식을 갖고 창조한다. 즉, 새로운 스타일은 문화의 순환적 특성을 인정하고 과거의 조형적 특징을 토대로 새롭게 발전하고 그 시대에 맞추어 구축해 나가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미니멀리즘에서 차별화 된 새로운 양식을 모색하기 위해선 과거의 조형의식을 탐구하고 고찰하는데 의의가 있다. 20세기 디자인의 역사에서 특히 1920년대와 1930년대를 풍미하였던 아르데코 디자인은 기술의 발달로 인한 새로운 형태 및 재료, 미적가치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과거의 전통성을 수용하여 대중과 유리(遊離)된 다양한 양식과 대중 생활 사이에 중간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1960년대 다시 재현된 현상에서 나타난 것처럼 현대 또는 앞으로 디자인에 있어서 아르데코 디자인의 수용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아르데코 양식의 미적가치는 재해석, 평가되어 현대 디자인뿐만 아니라 패키지 디자인에도 많은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미니멀리즘의 성향이 강한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에서, 차별화 된 다양한 표현의 방법으로 형태, 재료, 색채, 장식을 부여해 줄 수 있고, 현재의 양상을 반영한 미적가치를 전달 할 수 있는 아르데코 스타일이 유용하다는 가정 하에 이를 입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 아르데코 양식의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한 개념을 정립하고, 디자인적 특징을 다방면으로 고찰한다. 두 번째, 아르데코 시대의 화장품 패키지를 중점으로 분석하고, 아르데코 스타일이 나타난 화장품 패키지를 시대적으로 분류하여 디자인 흐름에 따른 변천 과정을 분석한다. 세 번째, 우리나라 화장품패키지의 시대적 동향에 따른 아르데코 스타일이 나타난 사례를 분석하고, 아르데코 스타일에 대한 유용성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아르데코 스타일의 패키지 접목에 따른 유용성은 다른 어떠한 스타일보다도 디자인 가능성을 많이 내재 한다. 그러므로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에 있어서 과거에 쉽게 여과시키지 못하고 받아들여진 서구문물의 디자인 영향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고 디자인에 있어서 가장 근본적인 조형 개념들의 정당성과 올바른 이해가 요구되어져야 한다. Today, cosmetics packaging is influenced by minimalism and extremely moderated to stress functionality and sophistication. Also, minimum figuration is used for moderated images and simple, moderate design has been popular with the emergence of low/mid-priced brands that have changed the distribution cycle for cosmetics. This trend has affected electronic appliances, which have been made more elaborate and perfect with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has spread to furniture, fashion, and architecture. However, consumer culture in cosmetics is changing. Consumers can obtain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nd their needs have become diverse and ever-changing in a great speed. Consumers who are smarter than ever have clear individual traits and greater desire for something new and are already tired of modernism, simple minimalist styles that are uniform and moderate. Thu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design in order to understand new consumer culture and find new trendy styles. Looking back on the history of design, new style reflects the contemporary aesthetics,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and combines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ethical changes with the past elements to create new figuration. In other words, new styles accept the circulatory character of culture and update the past figures for new developments and times. In this respect,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past figures to seek for new styl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minimalism. Art Deco design, which was popular in the 20th century, especially in the 1920s and 1930s, actively absorbed new forms, materials, and aesthetic values that come from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bridged the tradition to new public culture. Considering it reemerged in the 1960s, Art Deco is highly likely to come again for the modern or future design. The aesthetic value of Art Deco style is reinterpreted and evaluated and widely influences modern design and package design. This study set up the hypothesis that Art Deco style would be valid for cosmetics package design with distinguished forms, materials, colors, and decorations that makes the latest minimalist character more interesting and proved this hypothesi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steps were taken: First, the background of Art Deco style was examined to define the concept of Art Deco and study its design characteristics from various perspectives. Second, cosmetics packaging from the time of Art Deco was analyzed and classified to see how cosmetics packaging design with Art Deco elements have changed with time. Third, the trend of Korea's cosmetics packaging and examples of Art Deco style were analyzed and the validity of Art Deco style was studied from the aesthetic approach. There are not enough resources on the history of packaging design and the application of Art Deco style. Packaging design has changed with design and time and Art Deco is more useful for packaging design than any other style of design. However,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the unfiltered Western influence which greatly impacted our cosmetics packaging design and understand the essential figurative concepts and validity of Western styles. This study would support understanding of changes in packaging design and motivate further studies on the history of packaging design.

      • 중저가브랜드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 현상에 관한 연구 : 대형마트 PB상품을 중심으로

        진주 한양대학교 이노베이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11

        디자인은 시장을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선택 받으며 시장의 흐름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적 활동의 일부분이다. 세계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우리 생활과 밀접한 백화점, 대형마트, 길거리 등에 판매되고 있는 생필품, 의류, 심지어 고가의 가구, 가전 등 많은 브랜드들이 중저가를 외치며 소비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중저가브랜드라 하여 저 품질의 값싼 이미지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효과적인 패키지디자인으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가질 수도 있다. 고급브랜드와 중저가브랜드의 제품사양이 동일하다면 저렴한 쪽을 선호하는 경향이 짙어지면서 PB상품 패키지디자인에 주목하고 있다. 디자인은 판매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가지는 경쟁 우위요소로 간주되어 일반 제품과 차별화하는 효과적인 방안이다. 때문에 중저가브랜드를 기업의 이미지 향상 차원에서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현상과 함께 생각해 봐야한다. 미니멀 현상이란 미니멀리즘의 영향을 받아 어떠한 이미지나 사물의 조형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대상을 기본적인 구조로 되돌려 놓고, 부분보다 전체를 강조하면서 관람자가 이것을 보고 형태의 본질적인 요소를 바로 지각할 수 있도록 단순한 색채와 크기로 강조하여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의 반복이 주를 이루며, 기하학적인 형태의 제시로 분명함을 느끼게 해 줌으로써 간결함에서 느껴지는 명확한 느낌과 엄격함을 전달해 준다. 반복성은 어떠한 계층적 관계에 있어서 이를 허용하지 않고, 비관계적 구도를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물체를 같은 모양, 같은 크기로 쌓아 올리거나 늘어 놓아가며 반복적인 구성방식을 취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 대형마트인 미국 월마트, 영국 테스코, 일본 이온과 국내 대형마트인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의 식품군 중간 가격대를 형성하는 PB상품 패키지디자인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해외 대형마트는 인터넷과 문헌을 통한 자료를 토대로 조사하였고, 국내 대형마트는 방문조사 및 제품 구매를 통한 현황조사로 진행하였다. 패키지디자인 구성요소 중 시각적인 분석을 통하여 미니멀 현상을 검토해보았다. Great Value는 기본적으로 로고에 쓰인 색을 적극 활용하는 단순성과 반복성의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로고를 크게 넣는 일관된 패키지디자인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TESCO는 브랜드 로고, 일러스트레이션, 포장용기 등의 시각적 요소를 잘 활용하고 있으며 컬러풀한 색상과 브랜드 로고타입으로 한눈에 테스코 PB상품 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 단순성과 명료성을 보인다. TOPVALU는 중앙상단에 로고타입과 그 밑으로 제품명이 오면서 하나의 큰 이미지로 볼 수 있게 명료성과 반복성을 주어 디자인하고 있다. E-MART는 전체적으로 깔린 하얀색 배경이 깔끔하고 단순해 보이지만 일러스트레이션을 크게 넣어 디자인이 복잡해졌다. 좋은상품은 제품용기 또는 포장제의 성격이나 색상에 따라 브랜드 로고 색상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어 일관된 컬러의 적용이 주는 아이덴티티의 힘이 다소 약해 브랜드 구분이 어렵다. CHOICE L은 제품 상·하단에 PB Bar가 기본으로 배열된 레이아웃을 갖추고 있고, Bar적용이 인쇄 도수를 올려 가격부담을 안고 있다. 국내 3사의 상품들은 대부분 일러스트레이션이 들어가 있다. 일러스트레이션만 제거하여 레이아웃을 다시 한다면 더욱 단순한 구조의 명료성이 강한 디자인이 될 것이다. 또한, 인쇄 도수를 줄여 가격을 낮추는 것도 패키지디자인 미니멀의 경쟁력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상황에 따라 디자인은 변하며 중저가브랜드의 소비가 늘면서 새로운 창출 역시 어느 때 보다 더 큰 가능성으로 열려있는 이때, 미니멀이 일반생활 속으로 보다 빠르고 누구나 부담 없이 향유할 수 있도록 영향을 주고 있다. 무조건적인 미니멀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이시대의 효과적인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미니멀 특성을 이용하여 대형마트 자체의 브랜드이미지 개선으로 기업 가치의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 design is a part of economic activity which can be chosen by consumers through a market and would be affected by a flow of the market. According to a fall of world economy, many brands such as daily necessaries, garments, even expensive furnitures and home appliances which are being sold at the department store, wholesale store and street that are very close to our life seduce consumers, emphasizing reasonable prices. Reasonable price brands do not just have low-quality images, but can have high-class images by efficient package designs. When a product specification between a high-class and reasonable price brands are equal, the latter is likely to be chosen. So PB product-package design attracts public attention. A design is a effective way because it is regarded as a superiority of competition which has an direct influence on sales. Thus we have to consider reasonable price brands with minimal phenomenons of package design in a view of improvement of enterprise's images. A minimal phenomenon means that it restores some images and shapes of things to a basic structure, and emphasizes the whole than a part. So it emphasizes simple colors and sizes in order that a spectator perceives essence of a shape by observing. It consists of repetition of simple geometric shapes and transmits definite and strict senses through the repetition for a brevity. The repetition doesn't allow any relationship of a class and makes non-relational systems, and takes a repetitive composing way. In this study, I have investigated and analyzed a present condition of PB product-package design which takes up middle prices of groceries in Wall-mart of U.S.A, TESCO of U.K, Ion of Japan and domestic wholesale stores such as E-mart, Homeplus, and Lotte-mart. I have used internet and documents for foreign wholesale stores ,and also used visiting researches and present condition researches by purchase of products. I investigated minimal phenomenons through a visual analysis of package designs. Basically Great Value makes the best use of colors in the logotype, meaning simplicity and repetition, and has a coherent package design system by putting a big logo. TESCO makes the best use of visual elements such as a logo, illustration and container, and has simplicity and clearness with TESCO PB products by colorful color tones and brand logotypes. TOPVALU designs a big image which has a logotype on mid-top and product name below it, making clearness and repetition. Though E-Mart makes clear and simple through a totally white background, it looks complex due to a big illustration. 'Joeunsangpum' has so different colors and brand logos for containers that makes an identity weak in spite of consistent colors. CHOICE L has a layout arranged PB Bar on the top and bot, and the Bar makes a burden of price. Three domestic stores' products mostly have illustrations. It can be a much simpler design with clearness if the illustrations are removed. Also a decrease of printing frequency and low price are the competitive power of a minimal. In this way, designs can be changed by conditions, and now new possibility for consumption of reasonable price products are available. Similarly minimal has an strong influence on daily lives, so not an unconditional but mobile application is needed and effective now. Moreover, a character of minimal can raise a value of enterprise through an improvement of brand images.

      • 국내 여성기초화장품 브랜드 자산 구축을 위한 패키지디자인 연구

        김영욱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95

        화장품 산업은 전형적인 내수 산업으로 내수성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2006년 국내 화장품 시장은 내수 회복세에 힘입어 업계 전반으로 건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세계적인 경기불황의 영향으로 국내 화장품시장은 소비자 요구의 변화와 판매채널의 시장 개편이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기업은 초저가 제품 시장의 급성장 및 전문점, 직판 등의 감소에 대응해 저렴한 브랜드샵 진출 및 채널 별 유통구조 개선 등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2006년부터 백화점 판매 및 방문 판매를 통한 프리미엄급 화장품과 브랜드샵 위주의 초저가 화장품 시장을 중심으로 양극화가 심화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내 화장품 시장의 판매액 기준 시장 점유율은 태평양의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전체 시장 점유율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과점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뒤를 수입화장품인 에스티로더와 랑콤이 이어가고 있다. 고가 시장인 국내의 백화점 시장 중심으로 국외 브랜드 기업들이 명품 브랜드를 내세워 시장을 잠식하며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장 경쟁에서 국내 브랜드가 받는 위협도 커지고 있으며 강력한 브랜드 자산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어려운 국내 화장품 시장상황에서 국내 브랜드 화장품이 국외 브랜드 화장품과의 경쟁에서 시장 우위를 확보하고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브랜드 자산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문헌적 연구와 소비자의 구매패턴을 조사, 분석 하고 국내 브랜드와 국외 브랜드의 여성기초화장품을 디자인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브랜드와 패키지디자인이 화장품 구매시 많은 영향을 준다고 조사되어 화장품의 감성적인 상품적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브랜드 인지율이 높은 브랜드일수록 제품에 대한 신뢰감을 주며, 품질 또한 브랜드와 함께 연계되어 브랜드와 품질은 동일한 연상 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국내 여성기초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은 한방화장품을 제외하고 수입 브랜드와의 유사성으로 독창성과 상징성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브랜드 컨셉에 대한 명확한 정체성이 결여되어 제품 신뢰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제품의 컨셉이 잘 표현된 패키지디자인은 소비자 구매행동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제품에 대한 신뢰감을 높여 주고 있다. 결국, 제품의 품질은 브랜드인지도와 패키지디자인의 선호도에 따라 자연히 높아진 것으로 인지하는 것이다. 가격은 구매 요소에 그다지 중요한 요소가 되지 않으며, 소비자 자신의 경제적 능력에 연관성 없이 자아의 만족을 위해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비싼 화장품을 구입할 의사가 잠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한국고유의 문화적 특성을 강하고 보이고 있는 한방화장품들은 국내 여성기초화장품의 브랜드가치가 높았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국내 화장품 브랜드패키지디자인에 정체성을 구체화 시키고, 브랜드 자산으로 구축하면 국외 브랜드와의 경쟁력 확보뿐 아니라 수출 전략 브랜드로 육성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글로벌 브랜드 전략을 제안 하였다. 패키지디자인을 명확하고 차별화되는 독창적 브랜드이미지로 만들기 위해 한국 고유의 문화와 전통미를 현대적 감각에 재창조하여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에 심도있게 접목, 개발하여 세계화하는 것이 한국을 대표하는 브랜드 자산 구축을 위한 전략이 될 것이다. Keyword : 명품브랜드, 브랜드자산, 브랜드이미지, 브랜드디자인, 소비자 구매행동, 패키지디자인, 전통문화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