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법률사서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장지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법률사서를 위한 정규교육과정이 마련되지 못한 국내의 교육여건에서 법률사서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실무와 연계되는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사례연구, 설문조사의 방법을 병행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하여 법률정보의 특징, 법률사서의 역할, 자격요건과 양성제도를 살펴 보았다. 그리고 이에 따른 계속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실제 프로그램 개발시 고려해야 할 요소와 일련의 단계를 고찰하였다. 사례연구는 미국법률도서관협회, 브리티시·아일랜드 법률사서협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설문조사는 국내의 법률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계속교육 참여현황을 조사하고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요소들에 대한 현장사서들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 전체가 법률사서를 위한 계속교육에 대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계속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 ‘법률분야의 전문지식을 확장하기 위해서’가 가장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가 참여한 일반적인 계속교육 내용은 ‘인터넷, 통신, 전자우편 등 네트워크 이용’과 ‘도서관 자동화’에 가장 많이 참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육유형은 ‘단기연수과정·강습과정’으로 주로 실시되었고 불만족 사유로는 ‘실무와의 연계성 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법률사서를 위한 계속교육의 참여률은 극히 저조하여 전체 7.4%인 5명만이 참여하였고 교육내용 역시 LEXIS, LX 판례 CD-ROM 등 데이타베이스 이용에 관한 내용이었다. 계속교육 프로그램 참여 방해요인은 ‘적합한 프로그램의 부재’, ‘계속교육 정보부족’, ‘행정적 지원의 부족’, ‘바쁜 업무일정’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는 ‘법률사서로서 전문성이 없다’고 여기는 경우가 ‘전문성이 있다’고 여기는 경우보다 조금 더 많았고 법률전문지식의 습득방법은 ‘실무경험을 통한 시간의 해결’이 대부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법률사서가 법률전문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계속교육이 가장 높은 수치로 조사되었다.실무자들이 원하는 계속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들에 대한 조사를 통해 제시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모형은 다음과 같다. 본 프로그램은 법률도서관 유형에 따른 교육내용 선호도 차이에 의해 기초과정은 국내 법률서지 및 검색 위주로, 고급과정은 외국 법률서지 및 검색 위주로 구분하였다. 고급과정은 기초과정을 이수한 자에 한해 이수가 가능하며, 계속교육이 매년 실시된다는 전제하에 전기는 기초과정으로, 후기는 고급과정으로 일정시간의 간격을 두고 시행한다. 먼저 기초과정 프로그램은 교육유형 중 응답자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주제별 전문교육으로 하고 교육시간은 주 5일(1주일)을 기준으로 하루 7시간씩 총 35시간으로 산정하였다. 교육내용은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교과목인 우리나라 법률서지, 판례서지 위주로 구성하였다. 각 교과목은 ‘법학개론Ⅰ,Ⅱ’(6시간), ‘법률전문직과 법률용어’(2시간), ‘한국법률서지 및 검색’(4시간), ‘한국판례서지 및 검색’(3시간), ‘법률데이타베이스이용론’(3시간), ‘인터넷과 법률정보’(3시간), ‘법률검색동향’(2시간), ‘장서개발론’(3시간), ‘법률참고서비스’(2시간), ‘현장학습’(4시간), ‘그룹토론’(1시간), ‘발표 및 평가’(1시간), ‘자기소개’(1시간)으로 총 35시간이다. 고급과정 프로그램은 영미법, 대륙법계의 외국법 검색 위주로 구성되었고 교육내용은 ‘영미법강의’(3시간), ‘미국법 검색’(3시간), ‘영국법 검색’(3시간), ‘대륙법계 검색’(3시간), ‘주제법 검색’(3시간), ‘국제법 검색’(3시간), ‘LEXIS교육’(4시간), ‘인터넷과 법률Ⅱ’(3시간), ‘법률자료관리’(2시간), ‘현장학습’(4시간), ‘그룹토론’(1시간), ‘발표 및 평가’(1시간), ‘자기소개'(1시간), ‘개강·종강’(1시간)로 총 35시간으로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교육과정별로 교육내용, 교육방법, 시간, 강사 등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들을 수록하였다. 교육시행기관은 사서직의 법적 교육기관인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주관하고 국내에서 법령자료가 가장 많이 소장되고 별도의 법령자료실과 의회자료실 등 관련자료실을 갖추고 있는 국회도서관이 후원한다. 각 단계별 교육프로그램 수료후 프로그램전반에 관한 평가를 통해 다음 프로그램에 반영하도록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a continuing program for law librarians as no special courses on law and legal reference librarians exist today in Korea. To reach the objective,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a survey was undertaken.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legal information and the role/condition/training of law librarians were observed. With this data, the conclusion that a further education for law librarians is needed was drawn. Therefore, a list of factors and steps necessary for the pilot training program was examined. The case studies were discussed by the examples of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by the American Association Law Libraries and the British-Ireland Association Law Librarians. The survey was answered by Korean librarians working to law libraries to understand the needs of the librarians. Some important issues were revealed from this survey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in degree, all agreed that there is a need for continuing education for law librarians . The most agreed reason for this was 'to increase knowledge and familarity to law'. Second, most common regular library training law librarians was for 'the Internet, personal computer, E-mail etc', therefore, meaning that they were mostly short-term courses. The highest remark of dissatisfaction was that it was mostly 'non-relevant' to their duties in serving legal reference. According to the survey, only 7.4% had a continuing education for law librarians. The program was on using databases such as LEXIS, LX status CD-ROMs etc. The reasons for not participating in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was due to the following factors: 'duty-relevant programs are not available','information on continuing educations are insufficient','administrational support is insufficient', and 'work load'. Third, most librarians answered the survey as regarding themselves 'not meeting the professional standards' of a law librarian. Most believed that they would accumulate their professionalism as the years passes by working in their environment but also agreed that they fastest way for them to achieve professionalism is through a continuing education. A model program was developed by accumulating the suggestions from the survey. There are two program; and Advanced Program. Both have courses according to subject which was highly demanded by the surveyed librarians. The Basic Program will be a 35 hour course of 5 days, 7 hours per day. The Advanced Program will be a 35 hour course of 5 days too. The Basic Program of 35 hours including the most wanted courses such as the legal bibliographies and case law bibliographies consists oh the followings: Law Ⅰ/Ⅱ (6hrs), legal professional and terminology (2hrs), bibliographies to Korean Laws and Retrieval (4hrs), Bibliographies to Korean Case Laws and Retrieval (3hrs). Trends of Legal Information Retrieval (2hrs), Usage of Legal Information Databases (3hrs), Internet/Legal Information (3hrs), Collection Development(3hrs), Legal Reference Services (2hrs). On-the-job-training(4hrs),Group discussion(1hr), Group Presentation and Evaluation (1hr), Self-introduction(1hr), Opening/Closing Sessions (1hr). The Advanced Program is a 35 hour program which is foreign laws including the American/Continental Laws; British/United States Law (3hrs), United States Law Retrieval (3hrs). British Law Retrieval (3hrs), Continental Laws Retrieval (3hrs), Subject Retrievals (3hrs), International Law Retrieval (3hrs), Using LEXIS (4hrs), Internet/Law Ⅱ (3hrs), Legal Document Management(2 hrs), On-the-job-training(4 hrs), Group Discussion(1hr), Presentation and Evaluation (1hr), Self-introduction(1hr), Opening/Closing Session(1hr). In other paper, information on details of each courses, the lecturer, teaching method etc. is discusse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n was suggested as the institution to execute this project. After the Library hosts its first two session of the programs, she should conduct and over-all evaluation of the two programs and have it refl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s.

      • 효율적인 학교도서관 운영을 위한 학부모 명예사서의 활동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arents’ Activity as Honorary Librarian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School Library

        정혜선 대진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31

        For today’s school libraries with a poor arrangement of librarian teachers, use of parents as honorary librarians can be an important strategy for revitalizing school library services. And, parents’ activity as honor librarians should be done in a more systematical and deliberate way not as a simple temporary measure.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 of survey on operating problems and the improvement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ibraries running honorary librarian system in Paju area and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turned out parents honorary librarians have been helpful for school library operation and the education of overall library work for the smooth activity of the honorary librarians would be necessary. Second, the greatest problem of parents’ honorary librarian system appeared to be their giving up in the middle of their activity and an education and system for reinforcing this issue would be necessary. Third, as shown in the operation cases, in the schools with honorary librarian system run relatively well, there existed librarians (teachers), the center of the library and the honorary librarians played an active role in the school library operation and reading education. Fourth, some school library operators complained of their lacking time for good education or the number of professional managers, so in order to run the parents’ honorary librarian system efficiently, the supports from the school and local educational office appeared to be necessary. Fifth, in order for the honorary librarian system to be operated efficiently and desirably, researches on human resources and operation management model would be necessary such as proper development of works, event planning, education, motivation and valuation, etc. 사서교사의 배치가 열악한 수준인 오늘날의 학교도서관 현실에서는 학부모 명예사서의 활용이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학부모 명예사서의 활동은 단순한 임시방편이 아니라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파주지역의 초․중학교에서 도서관에서 명예사서제를 운영하고 있는 학교를 대상으로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점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분석하고 효율적인 학교도서관 운영을 위해 학부모 명예사서의 활동의 활성화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부모 명예사서가 학교도서관 운영에 도움이 되었으며 명예사서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도서관 전반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 명예사서제의 가장 큰 문제점은 활동을 중도에 포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런 문제점을 보강할 수 있는 교육과 시스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운영사례에서 보았듯이 비교적 명예사서제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에서는 도서관의 구심점인 사서(교사)가 있었으며, 명예사서들이 학교도서관 운영 및 독서교육에 적극적인 활동을 하고 있었다. 넷째, 학교도서관 운용자들은 제대로 교육을 시킬 수 있는 시간이나 관리할 전문적 인력부족을 호소하였는데 학부모 명예사서제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위해서는 학교와 지역교육청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명예사서제가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운영이 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업무개발, 행사기획, 교육, 동기부여, 평가와 같은 인력관리와 운영에 관한 관리모델의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아동사서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이숙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사서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계속교육과정의 편성방향과 운영에 관한 내용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의 계속교육프로그램 운영방향, 미국과 일본의 계속교육현황을 사례로 살펴보고 또한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자료실에서 근무하는 사서를 대상으로 계속교육의 필요성과 필요로 하는 교육과정, 그리고 희망하는 교육기관을 살펴보았다.그 내용을 종합해 보면 국내 일부대학의 문헌정보학과에서는 아동사서 양성을 위해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장서개발과 독서지도교육과정을 개설하였고, 계속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대표적 기관으로는 국립중앙도서관, 느티나무도서관학교, 인표어린이도서관으로,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독서지도와 독서치료의 과정을 중점적으로, 느티나무도서관학교와 인표어린이도서관에서는 아동사서로서 지녀야할 전반적인 소양을 강좌로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일본의 경우는 일본도서관협회에서 일년에 2회에 걸쳐 아동사서 양성과정을 운영하고 전국아동도서관원대회를 매년 개최하여 아동사서의 전문성 향상을 지원하고 있다.미국의 경우에는 대학에서 아동사서가 되기 위해 이수해야 할 과목들을 개설하고 있으며, 현장에서 근무하는 아동사서의 전문성 및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계속교육은 미국도서관협회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국내 어린이서비스 담당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아동사서를 위한 계속교육은 필요하며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계속교육을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였다.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아동사서를 위한 계속교육프로그램 내용과 교육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첫째, 계속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할 교과목에는 아동사서가 수행해야 할 모든 업무가 이론적 실무적으로 포함되어야 함은 물론 새롭게 발전하는 주제분야를 신속히 반영하여야 한다. 또한 운영되는 계속교육프로그램은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상으로 참가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보완 갱신될 수 있어야 한다.둘째, 계속교육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적절한 교육방법을 도입하여 많은 아동사서가 참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지방의 근무자를 위해 순회 교육도 실시하고 특히, 첨단의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방법을 도입하여 거리와 시간에 관계없이 아동사서가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또한 효과적인 계속교육과정으로 운영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여건이 조성될 것을 제시하였다.첫째, 아동사서에 대한 계속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은 어린이 및 청소년이 주 이용계층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개발 운영하여야 한다. 2006년 개관한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은 국내 어린이도서관의 발전을 지원하여 어린이에게 바람직한 도서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국내어린이도서관의 구심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그 주요 기능으로 특히, 문화관광부령 제21조④항6에 의하면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은 “아동사서 육성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하도록 하고 있다.둘째, 아동사서를 위한 계속교육과정 개발과 관련하여 교육을 담당할 전문가 양성이 신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대학의 문헌정보학과 및 도서관 현장에서는 최근 사회적 동향을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개편 혹은 보강하며 교육전문가를 양성하여야 한다.셋째, 아동사서가 적극적으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이 조성되어야 한다. 사서가 일정수준의 계속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할 경우 아동사서로의 자격을 부여할 수 있는 방안도 그 한 가지 제안이다.마지막으로 아동사서가 소속되어있는 기관에서 사서들이 적극적으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교육받은 사서에 대한 보직관리를 할 수 있는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교육받은 아동사서들이 지속적으로 어린이에 대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면 아동사서들은 전문성과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역량있는 아동사서로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핵심 되는 말: 아동사서, 어린이사서, 계속교육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administration of continuing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specialization of children's librarians. This study takes as case studies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i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examines, through the experiences of librarians working in children's collections of public libraries, the necessity and process of continuing education as well as those educational organizations catered toward continuing education.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thus: For the purpose of training children's librarians, Library Information Sciences departments at some Korean universities have upgraded their training programs in collection development and literacy education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Organizations that offer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include the National Library, the Neuti Namu(Zelkova Tree) Library School, and the Inpyo Children's Library. The National Library focuses on reading development (including remedial reading), while the Neuti Namu Library School and Inpyo Children's Library have established comprehensive training programs for children's librarians.In Japan the Japanese Library Association contributes to the specialization of children's librarians by administering a children's librarian training program twice a year and hosting an annual nationwide children's library conference. In the United States there is a specific curriculum in the universities for those wanting to become children's librarians.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supervised by th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ctively cultivate the specialization and capabilities of children's librarians.Surveyed Korean librarians who are offering children's services believe that continuing education is necessary and should be managed by the National Children's Library.Such studies suggest a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training children's librarians should take on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First, the curriculum should not only include theoretical and practice approaches to all functions of children's librarians, but also keep up with newly developing topics and fields.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should also provide a forum for feedback, both online and offline, and be open to constant improvement.Second, new methods should be applied, when appropriate, to incorporate as many children's librarians into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as possible. A touring education program designed for librarians in the provinces should be implemented, and in particular a variety of educational methods incorporating newer technologies should be used to allow access by librarians regardless of distance or time considerations.To maintain an effectiv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the following conditions should be met.First,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Young Adults, which caters mainly to children and young adults, should develop and manage this program. The task of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Young Adults, which opened in 2006, is to serve as the core organization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Korea's children's libraries, and in accordance with a directive from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Young Adults is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and administration of programs to train children's librarians.'Second, the cultivation of specialists in charge of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s librarians must proceed quickl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departments and libraries must revise and strengthen their training programs to reflect social changes and trends.Third, an organizational foundation must be constructed that will allow children's librarian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ir training. There is even a proposal to provide certification to those children's librarians who participate in such training to a certain extent.Finally, a policy must be implemented to encourage children's librarian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raining. If such assistance can be maintained, it will continue to produce capable, specialized, and experienced children's librarians.

      • 학교도서관 학부모 명예사서 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홍은자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최근 몇 년간 도서관 활성화 사업이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각 학교마다 도서관이 생기고 최첨단 설비를 갖추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인적자원의 중요성도 함께 부각되고 있다. 사서교사의 배치가 열악한 수준인 오늘날의 학교도서관 현실에서는 학부모 명예사서의 활용이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학부모 명예사서의 활동은 단순한 임시방편이 아니라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운영을 위한 명예사서 활동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명예사서의 의의와 종류, 활동을 이론적으로 밝히고, 학교도서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학부모 명예사서에게 설문을 통하여 조사 분석하여 효율적인 학교도서관 운영을 위해 학부모 명예사서의 활동의 활성화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부모 명예사서의 활동에 관한 내용으로는 학부모 명예사서는 모두 어머니로 30대가 55%를 차지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49%가 6개월 이상의 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이상적인 봉사시간으로는 하루 2시간을 꼽았으며, 학부모 명예사서 활동은 자녀뿐만 아니라 자신에게도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전체를 차지하였다. 추후 활동은 그 때 가서 생각해 보겠다는 의견이 73%로 나타났다. 학부모 명예사서 활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학부모들의 직업과 개인 활동을 분석 후 봉사 요일을 정하고, 봉사 시간은 일일 2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학부모 명예사서 교육에 관한 내용으로는 응답자 중 학부모 명예사서 교육을 받은 학부모는 79%로 이들의 84%는 봉사활동을 시작하기 전 학교에서 사서교사를 통해 교육을 받았으며, 교육청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받은 학부모 명예사서는 12% 밖에 되지 않았다. 교육 또한 1회에 그치는 경우가 80%로 조사 되었다. 학부모 명예사서들은 교육을 통해 학교도서관 봉사에 좀 더 관심을 갖고 자부심을 가질 수 있고, 교육을 통해 전문성 향상을 원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 및 교육청ㆍ공공도서관은 교육의 양과 질을 늘려 더 많은 학부모 명예사서들의 전문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체적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부모 명예사서 업무에 관한 내용으로는 학부모 명예사서의 업무를 운영전반, 자료정리 및 도서수리, 열람봉사, 문화프로그램(행사참여) 4가지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자료정리 및 도서수리, 열람봉사의 업무는 응답자 모두가 참여하고 있는데 반해 운영전반의 업무는 응답자의 50%, 문화프로그램(참여행사)는 78%만 참여고 있었다. 학부모 명예사서는 단순하고 반복적인 봉사를 하기 보다는 전문적인 일도 함께 병행하는 것이 학부모 명예사서의 능력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서 자부심과 책임감을 높일 수 있는 한 방법일 것이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현재의 초등학교 학교도서관에서 학부모 명예사서는 사서교사의 조력자로서 또 하나의 도서관운영자로서 중요한 인적자원임에 분명하다. 따라서 명예사서제도를 적극 권장하여 학교도서관을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Recently, as revitalization of Library Development Projects, every school has constructing own library and preparing up-to-date equipment. Also,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is embossed. School library in these days that is poor of posting of librarian teacher. In this case, using an honorary librarian of parents will be able to key strategy. Thus working of honorary librarian of parents is not temporary solution but it should be operated systematic, planned. This study is aimed at presenting the revitalization of activity of honorary librarian for the operation of the school library. It theoretically shows the significance of, sort of honorary librarian and their activities. In order to efficient operate the school library, honorary librarian of parents work at school library conducted a survey about revitalization of their activ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about activity of honorary librarian, they are all mother, 55% of them are age of 30. Most of them are voluntary participant. Also 49% of them are in librarian more than 6 months. 2 hours a day is most ideal service hours they chose. Mostly, activity of librarian is helpful both them and their children. About activity in the future, 73% have to think what will happen. In order to maintain continuously activity of honorary librarian, it implied fix a date of volunteer after analysis of the job and personal activity of parents and keep the service hours to 2 hours a day. Second is about training of honorary librarian. 79% of respondent are trained, 84% of them are trained by librarian at school, and only 12% are trained at Office of Education. Their 80% are trained once. Through the training honorary librarian of parents have more interested in volunteer work at library and take pride. Also they want to advance specialty through further training. Thus, school, public library, and Office of Education should to set up specific plans to advance specialty of honorary librarian. Third is work of honorary librarian. It investigated 4 parts: management in general, organization of material, volunteer of reading, cultural program (participate in events). In contrast to they are all in organization of material, volunteer of reading. 50% of respondent are in management in general, 78% are in cultural program (participate in events). Combining both simple work and specialized work is a way of boost of their pride and responsibility. In consequence, honorary librarian of parents at elementary school library is clearly important human resources as assistance of librarian, another library operator. Therefore, to vitalize the school library, it should to recommend the system of honorary librarian.

      • 교수매체전문가로서 사서교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

        권가람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현대사회는 지식정보사회로 교육은 새로운 정보를 창출할 수 있는 창조적 능력을 길러주는 패러다임 전환을 요구한다. 이러한 교육의 변화에서 학교도서관은 자주적 학습활동의 기반이 되고 각종 학습 자료의 제공처로서 학생과 교사의 교수-학습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력을 길러 주고 교사의 교육과 연구 활동에 기여한다. 또한 학교도서관을 운영하는 사서교사는 교수-학습매체센터인 학교도서관의 운영자로서 수업의 질을 높이고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지원자로 다양한 교수매체를 섭렵하여 활용은 물론 개발할 수 있는 교수매체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매체전문가로서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해 현직 사서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 사서교사가 제공해야 할 교수-학습 지원 서비스 등 사서교사의 역할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교수매체전문가로서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사서교사들의 인식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전국 사서교사 200명을 무작위로 표본 추출하여 e-mail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지는 2006년 10월 12일에 배포하여 10월 31에 설문지 회수를 완료하였고, 그 중 142부가 회수되어 71%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실수 및 백분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도서관 및 자료 이용에 대한 교육과 학생들에게 교육관련 학습 자료 및 정보 제공, 도서관 행사(도서전시, 각종 독서 활동 등)의 기획 및 실행은 거의 모든 사서교사가 하고 있으며, 독서 및 논술 지도와 일반 교사들에게 교수-학습 자료제공은 비교적 활발하게 수행 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학생 독서회 운영과 일반 교사와의 협력 수업 참여, 정보 활용 교육(‘정보와 도서관’ 수업), 교사의 교재 연구 및 교재 작성에 대한 지원, 교수-학습 자료 직접 제작은 소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교수매체전문가로서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 인식에 관한 조사 결과, 대부분의 사서교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서교사가 교수매체전문가로서 일반교사에게 제공해야 할 서비스에 관한 조사 결과, 모든 소장 자료 목록 제공, 최신 교수매체 정보 제공, 매체 활용 수업 지원, 교단 선진화 기자재 활용 지원, 교수 매체 탐색 지원, 전자책 및 전자저널의 목록과 전문 제공, CD-NET을 통한 CD 공유 시스템, VOD와 같은 동영상 시스템, 학교도서관 활용수업 지원, 정보소양(탐색, 이용)교육을 통한 교과와의 통합 수업에 대해서는 사서교사가 교수매체전문가로서 일반교사에게 제공해야 할 서비스라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교수매체 제작에 관한 교육(연수), 교수 매체 제작(가공) 지원, 교단선진화 기자재 활용 교육(연수)에 대해서는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교수매체 제작에 관한 교육(연수)와 교단선진화 기자재 활용 교육(연수)는 일반교사가 다른 연수기관을 통해 해야 하며, 교수 매체 제작(가공)은 전산보조나 교육 관련 기관에서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사서교사가 교수매체전문가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교육기관에서 개설해야 할 과목의 필요성에 관한 조사 결과, 교수매체운영론, 미디어센터 경영론, 정보처리실습, 정보네트워크론, 교수매체제작, 정보활용지도론, 교육정보론, 컴퓨터학습론은 대체로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나 데이터베이스 개발론에 대해서는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전문 시스템적인 부분은 교사가 해내야 하는 능력이 아니라 교육체제 내에서 구축해줘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서교사 양성기관인 대학에서는 사서교사가 교사의 교수-학습활동 및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충분히 지원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 교육공학적 교과목을 설치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재교육기관에서는 사서교사가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적응하고 그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직무연수 등의 계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사서교사가 학교도서관을 교수-학습매체센터로 운영할 수 있도록 정책적·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The school library is the basis for the autonomous learning activities and it fosters the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and teachers' research activities by assisting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of teachers and students by providing various study materials. Meanwhile, the teacher-librarian, being in charge of the operation of the school library which is a teaching-learning media center, must be familiar with the various instructional media to be able to both use and develop the media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class and heighten the students' performance in study.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seek the role of teacher-librarians, for example, the teaching-learning assistance service that needs to be provided by the teacher-librarian for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class by examining the incumbent teacher-librarians on the role of the teacher-librarian as instructional media specialist.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sent through e-mail to a sample of 200 teacher-librarians selected randomly nation-wide to analyze the degree of recognition among teacher-librarians on the role of the teacher-librarian as instructional media specialist.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on Oct. 12, 2006 and retrieved on Oct. 31. In total, 142 questionnaire sheets, 71% of those handed out, were retrieved.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real numbers and percentages.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ly, the orientation on the school library and the usage of data, provision of education-related study materials and information to students and the planning and execution of the library events were done by most of the teacher-librarians, and the teaching of reading and logical writing and the provis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to ordinary teachers were conducted rather a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students' reading clubs, participation in cooperative classes with ordinary teachers, education on use of information, assistance in teachers' research of teaching materials and produc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the direct produc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were done passively. Second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instructional media specialist, most teacher-librarian recognized it as important. Thirdly,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the services that the teacher-librarian as instructional media specialist should provide ordinary teachers, though the provision of the list of all possession materials, provision of the latest information on instructional media, assistance in the class using media, assistance in the utilization of the high-tech teaching materials, assistance in the search of teaching media, provision of the list and full content of e-books and e-journals, provision of CD sharing system through CD-NET and video materials like VOD, assistance in the class using school library and the integrated class with the class through computer literacy class were recognized as the services that must be given to ordinary teachers by the teacher-librarian as instructional media specialist, there was a low recognition of the education on the production of instructional media, assistance in the production of instructional media and the education on the utilization of the high-tech teaching materials. It was thought that the education on the production of teaching media and the utilization of the high-tech teaching materials must be done by ordinary teachers through other training institutions, and the production of teaching media must be done by computer assistance agencies or education-related institutions. Fourthly,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subjects necessary to be opene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to enable the teacher-librarian to perform the role of instructional media specialist, the Theory of the operation of instructional media, management of media center, practice of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of information network, production of instructional media, guidance of utilization of information, theory of education information and theory of computer learning were generally thought necessary, while there was a low recognition about the theory of the development of database. The reason was that it was thought the part of the professional system cannot be done by teachers but must be established within the educational system. Judging from the afore-mentioned findings of the study, the university, the institute fostering teacher-librarians, will have to open subjects of education engineering in the curriculum so that the teacher-librarian can fully support the teachers'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students' self-regulated study. And in re-education agencies, continuous education including job training is necessary so that the teacher-librarian can adjust to the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quipped with appropriate abilities. Moreover, assistance in policy or financial support is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of school library as teaching-learning media center by teacher-librarian.

      •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 전문도서관을 중심으로

        박지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우리나라의 사서양성 과정을 살펴볼 때, 대학에 사서 양성과정이 설치되면서 사서직이 전문직으로 확립되어 왔으나, 문헌정보학을 교육받고 양성된 사서들은 주제적 배경이 약하기 때문에 깊이 있는 정보 서비스가 불가능 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전문 서비스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주제전문사서가 양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교육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기존의 국내외 문헌정보학과 교육환경을 파악하고 특히, 전문도서관의 실무사서들이 보는 전문 지식의 중요도를 파악하여 향후 교과과정에 참고하고 주제전문화를 강화시키는 편성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미국전문도서관협회가 제시한 향후 주제사서가 갖추어야 할 경쟁력에 관한 보고서(2003)에서 주제전문사서가 갖추어야할 자질과 능력을 4개의 영역(정보관리·연구/정보기술 영역/ 정보접근 영역/ 정보자원 영역)을 기준으로 한국과 미국 대학의 개설 교과목 명을 파악하였다. 한국도서관협회(2003)의「한국도서관통계」의 전문·특수도서관 에 수록된 기관 중 서울·경기지방을 중심으로 선정된 67개 기관 중 분석대상은 응답회신을 보내준 34개 기관 34명의 실무사서로 한정하여 전문도서관의 실무사서들이 보는 전문지식의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전문도서관의 실무사서들이 보는 전문지식의 중요도와 국내 대학교 교과과정과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으로는 MINITAB을, 분석 도구로는 Anova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미국의 교과과정을 비교해 본 결과 미국의 문헌정보학 교육은 정보기술 영역의 부분에 교육을 중심으로 전 영역을 고르게 교육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교육과정에 비해 각 영역에 교과목의 수를 많이 편성하여 영역안의 내용을 좀 더 깊이 있게 교과를 다룰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져 있었다. 한국의 문헌정보학 교육은 기존 사서의 고유 업무인 정보접근 영역의 부분에 교육을 중심으로 전 영역을 고르게 교육하고 있었다. 미국의 각 영역별 교육과정 수와 비교해 볼 때 한국은 과목 수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각 영역별로 필수적인 몇몇 과목만을 교육하고, 학생들의 교과목 선택의 폭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도서관의 실무사서들이 보는 전문지식의 중요도를 파악한 결과 정보관리·연구, 정보기술 영역에 대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경영진에게 정보서비스의 중요성을 설득하는 능력, 참고서비스 이용자와 커뮤니케이션 기술에 대한 능력, 개인별 맞춤 주제정보서비스에 대한 지식, 자료의 분류 및 목록에 대한 지식, 관련주제 분야의 정보원 조사 및 연구에 대한 지식, 관련 학문에 대한 지식 등이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셋째, 주제전문사서가 갖추어야할 자질과 능력 4개영역에 대하여 우리나라 전문도서관 실무사서가 생각하는 전문지식에 관한 설문내용과 한국 대학교 교과과정을 비교하였다. 실무사서들이 원하는 전문지식은 정보관리·연구, 정보기술 영역에 대한 중요도가 높이 나타났으나, 현재 한국의 문헌정보학과 교육과정은 정보접근 영역의 부분에 교육을 중심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어, 현장의 실무사서들이 원하는 전문교육을 학부 과정에서 만족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사서를 양성하기 위하여 문헌정보학과 교과목에 정보관리·연구 영역과 정보기술 영역에 해당하는 교과목을 폭넓게 개설하고 향후 교과과정에 참고하여 주제전문화를 강화시키는 편성방안을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다. If we examined the cultivation process of librarians in Korea, although the job of librarian has been established by professionals, Since the librarians who studie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ere weak in terms of the theme background, they were said that deep data service was impossible. In order to carry out the duty of special service, the theme speciality librarian must be trained,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must be developed for this. Grasping existing internal and external country's educational environ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specially, grasping the importance of the technical knowledge which the special librarian read and refers to a future subject course, and it is necessary to show the method proposal of organization which can strengthen theme specialization . From the report (2003) about' the competitive power which the future theme librarian must have' that the U.S. Special Library Association presented, the speciality and capability which the librarian must have divided in four domains (information management, research/ information technology domain/ information approach domain/information resource domain) and grasped the established subject of South Korea and the USA university based on this standard. Among the organization recorded on the special library of the "South Korean library statistics" of South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03), among 67 selected organizations centering on the Seoul and Kyonggi district, limited the analysis target by 34 librarians from 34 organizations which sent the reply and grasped the importance of the technical knowledge which the librarians read. In research of a book, in order to grasp the effect of the relation between the importance of the domestic university subject course and technical knowledge which the special librarian in charge read effectively, technical statistics were used. As the analysis program, MINITAB was used, and as an analysis tool Anova was used. The conclus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ubject course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U.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is educating whole domain focusing on the domain of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Moreover, compared with a South Korean curriculum, the conditions which can teach the contents of a subject within a domain a little more deeply were prepared by organizing many number of subjects to each domain. South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was educating whole domains focusing on the education of information approach domain that is the peculiar business of existing librarian. It appeared that South Korea's subjects number is very few compare to the number of curriculums classified by each domain in USA. It turned out that there is little subject selection of students while they educates only some indispensable subjects according to each domain. Second, as a result of having grasped the importance of the technical knowledge which special library librarian read,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management, research and an information technology domain appeared highly. Moreover, capability of persuading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ervice, the capability over a reference service user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knowledge over a theme data utility classified by individual, the knowledge over classification and list, management the importance of data utility, the knowledge over investigation and research of an information sources of the related theme field, and the knowledge over the relative study etc were highly important to the management. Third, in terms of the four domains of capability and quality which the theme specialized librarian must have, it compared South Korean university school curriculum with the contents of a questionnaire about the technical knowledge which the Korean special library librarian in charge considers. In terms of technical knowledge which the librarian want, although the importance about the information management, research and an information technology domain appeared highly, since the present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s were focused on education of an information approach domain, it was difficult to satisfied to faculty process while the librarians in charge want the specialized education. Based on such a research result, in order to train the specialized theme librarian, they should establish the subject of an information management, research domain and an information technology domain broadly and checked the method of strengthening theme specialization by referring to a future subject course.

      • 학교도서관 사서교사의 계속교육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고양지역을 중심으로

        이승민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1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계속교육에 대한 현황과 실태를 조사하고 계속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현재 다양한 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계속교육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사서교사의 계속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셋째, 계속교육에 참여한 유형 및 실무에 도움이 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넷째, 계속교육에 참여하고자 할 때 저해요인은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경기도 고양지역 초·중·고등학교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교사 69명이며, 9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교사의 계속교육에 대한 관심과 참여 경험이 높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둘째, 참여비중이 가장 높은 계속교육 유형은 단기연수 및 강습과정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내용과 실무와의 연계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리자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며, 지역적 제약과 적합한 계속교육 프로그램의 부재가 계속교육의 방해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근무시간 중과 방학 중의 계속교육을 선호하며, 다양한 주제의 계속교육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이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계속교육이 요구된다. 둘째, 계속교육을 독려하기 위한 정책지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전문성을 위한 계속교육 과정이 필요하다. 넷째, 기관의 적극적인 홍보로 계속교육 참여기회를 확대시킬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147명의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중 69명의 응답이라는 점에서 일반화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도서관 사서교사를 위한 전문적이고 실무에 도움이 되는 계속교육이 많아지길 기대한다. 또한 학교도서관과 관련된 사서교사 계속교육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학교도서관,사서교사,사서,계속교육,재교육,평생교육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urvey the current state of continuing education for strengthening the expertise of school librarians, and to contribute to the betterment of such education. The aim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continuing education for school librarians that is being implemented in various institutions. Second, it sought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school librarians are aware of continuing education, and whether such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m. Third, it sought to determine whether the various types of continuing education and their contents are helpful to the actual work of school librarians. Fourth, it sought to determine the interfering factors that get in the way of participating in continuing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9 school librarians working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ibraries in the Goyang-si region in Gyeonggi-do. They were surveyed for nine day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As for the study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many school librarians are interested in continuing education and showed a high level of participation in it. Second, the type of continuing education that school librarians participated in the most were short-term training and learning sessions (e.g., workshops, seminars, and conference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actual work of school librarians was found to be weak. Fourth, it was shown that the managing staff’s perceptions need to be improved. Fifth, factors interfering with participation in continuing education were found to be regional constraints and the absence of adequate programs in continuing education. Sixth, it was found that school librarians prefer to have continuing education during working hours and vacation time. Seventh, the need for continuing education on various topics was highlighted. Suggestions based on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tinuing education on a continuous and long-term basis is required. Second, policy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encourage continuing education. Third, continuing education courses for enhancing the expertise of school librarians are needed. Fourth,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ng in continuing education through the active promotion of institutions is required. The present study has the limitation that it is based on the survey responses of only 69 of the 147 school librarians, thus imposing a constraint on generalizing the study results. Nonetheless, through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a growing number of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hat enhance the expertise and performance of school librarians. It is also hoped that there will be continuing research on continuing education for school librarians. keywords: School library,Teacher librarian,Librarian,Continuing Education,Re-education,Life-long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