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물리치료학과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임상실습 만족도가 진로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주현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35

        본 연구는 전국에 위치한 임상실습을 모두 마친 국내 물리치료(학)과 3, 4학년 대학생 176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자기효능감, 임상실습 만족도, 진로태도 성숙도 총 111문항으로 구성된 구글 설문지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분석방법은 일반적 특성, 자기효능감, 임상실습 만족도, 진로태도 성숙도에 대한 빈도와 백분율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임상실습 만족도 및 자기효능감의 차이 검정은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으로 분석 후 사후검증(Scheffe)을 하였고, 자기효능감, 임상실습 만족도 및 진로태도 성숙도 연구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였고, 진로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적, 물리치료(학)과 선택 동기,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 물리치료학 전공에 대한 만족도, 원하는 취업분야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는 물리치료(학)과 선택 동기,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 물리치료학 전공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도는 학업성적, 물리치료(학)과 선택 동기,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 물리치료학 전공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물리치료(학)과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 성숙도 그리고 임상실습 만족도와 진로태도 성숙도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물리치료(학)과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하위요인 모두 진로태도 성숙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임상실습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실습교과 만족도는 진로태도 성숙도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진로태도 성숙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대학교에서는 학생 개인의 진로 방향에 대한 자신감, 확고한 믿음, 적극적인 진로 탐색 등 진로태도 성숙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와 실습기관에서는 이론과 실습의 괴리를 줄이기 위해 임상실습 지침서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적용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나아가 학생들이 의료전문가로서 전문직관, 진로에 대한 확신, 직업 자아성찰을 할 수 있도록 실무 위주의 임상실습 프로그램의 적용으로 물리치료 전문성을 강화하여 직업의 인식을 향상시킨다면 진로태도 성숙도가 향상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conducted a Google online survey consisting of a total of 111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maturity of career attitude, targeting 176 3rd and 4th year college students in physical therapy departments in Korea who completed all clinical practice located nationwide. As for the analysis metho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for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general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maturity of career attitude. The difference test between self-efficacy,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an independent t-test and a one-way batch analysis (ANOVA), and post-test was used afte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was us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research variables. The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elf-effica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cademic performance, physical therapy department selection motiv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physical therapy major satisfaction, and desired employment field. The satisfaction level of clinical practi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otivation for choosing th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satisfaction with the major of physical therapy. Career attitude matur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cademic performance, physical therapy department selection motiv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physical therapy major satisfaction. Second,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career attitude maturity,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physical therapy college students. Third, both self-efficacy and sub-factors of physical therapy college students 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satisfaction of the practical course, which is a sub-factor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In order to improve self-efficacy that can affect career attitude maturit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universities need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to enhance career attitude maturity, such as confidence in individual career directions, firm belief, and active career search. In addition, schools and practice institutions should try to actively apply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Furthermore, it is believed that career attitude maturity will be improved by strengthening physical therapy expertise by applying practical clinical practice programs so that students can have professional intuition, confidence in their careers, and self-reflection as medical experts.

      • 물리치료 전공 대학생의 직업 인식에 관한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고은아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35

        최근 노인의 재활 분야에 대한 사회복지 제도가 확대되면서 물리치료사의 수요 증가 및 역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정 직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직업 인식의 형성이 중요하다. 특히 향후 물리치료사로서 활동할 물리치료학과 대학생이 인식하는 직업적 이미지를 파악하는 것은 직업이 가진 서비스 질, 소명감, 업무수행능력, 등 직업의 발전을 위해서 정립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인간의 주관적 인식유형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Q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문헌고찰과 개별면담을 통해 얻은 152개의 Q 모집단에서 최종 33개의 Q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40명의 P 표본에게 Q 분류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총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유형 1은 ‘인정받는 전문가’형으로 물리치료사란 직업은 사회적 인지도가 좋으며, 환자를 치료하기에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신뢰를 받는 전문가라고 인식하는 학생들이라고 할 수 있다. 유형 2는 ‘고객 친화적 전문가’형으로 물리치료사는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다는 점에 동의하며, 고객과의 소통, 유대감 같은 상호 간 신뢰를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물리치료사 고유의 능력을 포함하는 유형이다. 유형 3은 ‘현실적인 업무수행자’형으로 이들은 ‘취업’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물리치료사란 봉사와 헌신이 아닌 치료라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이라는 인식을 가진 유형이다. 유형 4는 ‘끊임없이 연구하는 치료사’형으로 자기개발의 중요성에 대해 매우 강한 긍정을 보이며, 치료를 한다는 것에 있어 열정과 긍지가 매우 강하다. 본 연구는 물리치료학과를 전공으로 한 학생들의 물리치료사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을 알아보고, 물리치료사 양성과정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시행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물리치료학과 대학생의 진로지도에 활용함은 물론 물리치료사의 직업 발전에 기여할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할리윅 수중 물리치료가 발달지연 영아의 대동작 기능 및 수중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민희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할리윅 수중 물리치료가 발달지연 영아의 대동작 기능과 수중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본 연구에 충족한 발달지연 진단을 받은 22명의 영아들(0-36개월)을 대상으로 하였다. 10주간 주 2회(1일 30분)의 할리윅 수중 물리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실험 중 일반 지상 물리치료가 함께 시행되었다. 모든 대상자는 사전에 지상 평가로 대동작 기능(GMFM-88)과 수중평가로 수중적응(WOTA1)을 측정하였고, 10주 후에 각각의 평가를 재 측정하여 전후 비교를 하였다. 또한 지상평가와 수중평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가도구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실험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동작 기능은 총점과 함께 누운 자세, 앉은 자세, 네발기기와 무릎서기, 서기, 걷기, 뛰기, 도약의 모든 항목에서 할리윅 수중 물리치료 전과 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수중적응은 총점과 일반적응, 입수, 퇴수, 거품불기, 옆으로 뜨기, 뒤로 뜨기, 물장구, 수직균형, 서기, 물속에 앉기에서 할리윅 수중 물리치료 전 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잠수와 다이빙, 벽 타기, 줄에 매달리기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평가도구 사이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결론적으로 임상에 적용 할 때, 발달지연 영아에게 일반 지상 물리치료와 함께한 할리윅 수중 물리치료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평가도구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 발달지연 영아의 수중 물리치료 효과에 대한 자세하고 다양한 연구와 더불어 획일화된 수중 물리치료프로그램과 영아에 더 알맞은 수중평가도구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ffects of an aquatic physiotherapy method (Halliwick-Therapy) upon gross motor function and aquatic adjustment in development delayed infants. Subjects were infants (N=22,0-36month) who were diagnosed with the development delayed to meet this case of study.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treatment over a period of 10 weeks included 30 minutes of aquatic therapy two times per week and a round conventional physical treatment as well. All subjects were evaluated by the measurements called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ment-88(GMFM-88), Water Orientation Test of Alyn1(WOTA1). The outcome of the evaluations was measured again compared to the before the therapy after 10 weeks.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measuring tools(GMFM-88 and WOTA1) was analyzed in order to make sure of the correlation of the two evaluations. The result indicates followings after experiments. GMFM-88 had it that subjects in the Halliwick-Therapy attained significantly higher total score in the GMFM-88 with all the items including lying & rolling, sitting, crawling & kneeling, standing, walking, Running & jumping(p<.05). The improvement of total score of WOTA1 with the items(general adjustment, entering the pool, exiting the pool, blowing bubbles, side floating, back floating, splashing, vertical balancing, standing, sitting in water)was significantly higher(p<.05), but the improvement with the items(diving, progressing along the wall using hands and feet, holding rop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m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In conclusion, applying into the clinic, it was discovered that Halliwick-Therapy with round conventional therapy would be effective and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easurements. From this moment to the future, the various and further research of the effects of an aquatic therapy method for development delayed infant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an aquatic physiotherapy measuring tools and the standardized aquatic physiotherapy programs that are more suitable for the infants should be made up consistently.

      • GaA1As 저출력 레이저 자극이 흰쥐의 통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송영화 京畿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박사

        RANK : 248719

        인간에 있어 통증이란 필수불가결한 일종의 불쾌감으로서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려는 중요한 신체보호 기전중의 하나이며, 동시에 건강상태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기도 하다. 이런 통증을 조절 및 치료하기 위해 물리치료사들은 열치료, 냉치료, 경피적 자극요법, 기능적 전기자극요법, 간섭파 및 미세전류 자극요법, 저출력 레이저치료 등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에 들어 이 중 저출력 레이저의 사용이 점차 일반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GaAIAs 저출력 레이저가 물리적 자극에 의해 발생한 통증지각 역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행태학적 반응(behavioral responses)에 대한 분석 및 척수내 신경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면역조직화학법 및 컴퓨터와 연계된 영상분석적 기법으로 구분하여 계획하고 이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에서 나타나는 통증에 대한 행태학적 반응을 검증하기 위해, 물리적 통각측정기(mechanical hyperalgesia test)를 이용하여 저출력 레이저를 경혈과 임의혈에 조사하고 또한 조사강도와 조사기간을 각기 다르게 하여 레이저를 조사한 후 0분, 15분, 30분, 1시간 및 2시간 경과 후에 진통효과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저출력 레이저의 자극부위에 따른 물리적 통증에 대한 진통효과의 측정을 위해, 족삼리 자극군과 임의혈 자극군으로 나누어 최대출력으로 30분간 레이저 조사를 한 결과, 족삼리 자극군에서만 레이저 자극 후 15분과 30분에 물리적 통증에 대한 역치가 증가되었으며(P<0.05), 임의혈 자극군의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둘째, 레이저 조사강도에 따른 물리적 통증에 대한 진통효과의 측정을 위해 3mW, 6mW 및 10mW의 강도로 실험군의 족삼리에 30분간 레이저를 조사한 결과, 6mW의 강도로 조사한 실험군에서 조사종료 후 15분에 측정한 물리적 통증역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10mW의 강도로 조사한 실험군에서는 조사종료 후 15분 및 30분에 측정한 물리적 통증역치가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셋째, 레이저 조사기간에 따른 물리적 통증에 대한 진통효과의 측정을 위해 10mW로 조사강도를 고정하고, 조사기간을 10분, 30분 및 1시간으로 하여 각각 조사한 결과 30분간 레이저를 조사한 실험군에서는 조사종료 후 15분 및 30분에 통증역치가 상승되었고, 60분간 조사한 실험군에서는 조사종료 후 0분, 15분, 30분 및 1시간에 측정한 물리적 통증역치가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었다(P<0.05). 또한 저출력 레이저가 가지는 물리적 자극에 대한 진통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동물의 척수내 Fos 단백질의 축적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면역조직화학법 및 컴퓨터를 이용한 영상분석장치를 이용하여 통증에 반응하는 척수내 Fos 단백질의 발현 신경세포의 수적 변동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본 실험에 사용한 아이소플루런(isoflurane)을 이용한 흡입마취가 척수내 Fos 단백질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정상동물과 마취동물을 비교한 결과, 척수내 Fos 단백질에 대한 양성반응 신경세포의 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물리적 자극에 의한 척수내 Fos 단백질 양성반응 신경세포의 발현 양상을 보기위해 정상동물과 흡입마취를 시킨 동물을 비교했을때도, Fos 단백질에 대한 양성반응 신경세포의 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본 실험에 사용한 흡입마취는 물리적 자극과 레이저 조사시 척수내 신경세포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둘째, 저출력 레이저의 경혈 및 임의혈 자극에 따른 물리적 통증에 대한 척수내 신경세포의 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경혈인 족삼리에 10mW의 강도로 레이저를 조사한 실험군에서만 물리적 자극에 의해 증가되었던 척수내 Fos 단백질 양성반응 신경세포의 수가, 척수조직당 평균 98±7 (대조군 146±8개)개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었다(P<0.01). 그러나 3mW의 강도로 레이저를 조사한 실험군과 3mW와 10mW의 강도로 임의혈에 레이저를 조사한 실험군에서는 모두 대조군에 비해 물리적 자극에 반응하는 Fos 단백질 양성반응 신경세포의 수적 감소를 관찰할 수 없었다. 위의 실험 결과를 볼 때, 물리적 자극으로 인한 통증은 척수내 신경세포의 활성변화를 일으켜 Fos 단백질 양성반응 신경세포의 수를 급격히 증가 시켰으며, 통증완화의 목적으로 사용된 저출력 레이저는 물리적 자극에 의해 척수내 증가되었던 Fos 단백질 양성반응 신경세포 수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 통증완화에 저출력 레이저는 유효하게 쓰일 수 있다는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정확한 통증완화 기전은 알 수 없었으나 레이저 조사군과 대조군에서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점차적으로 임상적 효과와 효능을 보고하는 자료들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으로 앞으로는 분자생물학적(biomolecular) 차원과 생화학적(biochemical) 차원에서 보다 기초적이며 근본적인 분석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analgesic effect low power GaAlAs laser on the pain responses of mechanical stimulation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behavioral study and immunoreative stud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Behavioral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analgesic effect of low power GaAlAs laser on the pain threshold of mechanical stimulation using different treatment points, such as acupuncture point (zusanli) and non-acupuncture points(back). Furthermore, we investigated the analgesic effect of low power GaAlAs laser using the different durations and intensities of laser stimulation on the mechanical stimulation induced pain behavior.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hreshold of mechanical stimul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GaAlAs laser application into zusanli point at 15 and 30min after laser stimulation for 30min(p<0.05). However, the laser stimulation into non-acupoint did not affect the pain threshold of mechanical stimulation. 2.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algesic effects of different intensities of laser stimulation,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3mW treated group, 6mW treated group and 10mW treated group. The low power GaAlAs laser stimulation was applied into zusanli acupoint for 30min with different intensities of laser stimulation. 6mW and 10mW of laser stimul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ain threshold of mechanical stimulation at 15min after laser stimulation a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p<0.05). Moreover, the analgesic effect of 10mW laser stimulation was maintained for 30min after laser stimulation (p<0.05). 3. Finally, we tested the analgesic effect of 10mW laser stimulation using different durations such as 10min, 30min or 1hr after the application of mechanical stimulation. In 30min treatment group, the pain threshold of mechanical stimulation was increased at 15min and 30min after laser stimulation (p<0.05). Furthermore, laser stimulation for 60min dramatically increased the pain threshold of mechanical stimulation at 0min after laser stimulation and the analgesic effect of laser stimulation was observed until 1hr after the termination of laser stimulation. Fos like immunoreativ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ow power GaAlAs laser on Fos expression in the spinal cord induced by noxious mechanical stimulation. Noxious mechanical stimulation was applied to the right hindpaw following 30min of low power laser treatment using different intensity and treatment point and the resulting Fos expression in the spinal cord dorsal horn was compared to that obtained in rats exposed only to the noxious mechanical stimulatio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intact control rats, only a few Fos like immunoreactive (Fos-IR) neurons were evident in the lumbar spinal cord dorsal horn. Similarly, following prolonged inhalation anesthesia, Fos-IR neurons were absent in the dorsal horn of the lumbar spinal cord. In animals treated with noxious mechanical stimulation, neurons with nuclei exhibiting Fos immunostaining were distributied mainly in the medial half of ipsilateral laminae I-V at lumbar segments L3-5. These findings directly indicated that prolonged anesthesia used in this study did not affect the Fos expression in the spinal cord dorsal horn of intact animals and noxious mechanical stimulation treated animals. 2. In acupoint treated animals, 10mW of laser stimulation, not 3mW of intensity,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 of Fos immunoreactive neurons in the spinal dorsal horn induced by noxious mechanical stimulation(p<0.01). However, the supressive effect of low power laser stimulatin was not observed in 3mW and 10mW of laser stimulation into non-acupoint. These data indicate that 10mW of low power laser stimulation into acupoint is capable of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Fos in the dorsal horn induced by noxious mechanical stimulation.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raise the possibility that low power laser stimulation into acupoint may be a promising alternative medicine therapy for the mechanical stimulation induced pain in the clinical field.

      • 심부 횡 마찰 마사지와 경혈지압이 상완골 외측상과염 환자의 통증, 악력 기능 장애에 미치는 영향

        홍선표 삼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심부 횡 마찰마사지와 경혈지압 및 물리치료를 병행한 치료가 외측상과염 환자의 통증, 악력, 기능 장애 척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선정기준에 적합한 외측상과염 환자 4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연구 참여한 환자는 심부 횡 마찰마사지와 경혈지압 및 물리치료를 병행 실시한 15명과 심부 횡 마찰마사지와 물리치료를 실시한 15명, 그리고 물리치료만 적용한 15명으로 무작위 세 집단으로 나누었다. 심부 횡 마찰마사지와 경혈지압 및 물리치료를 병행 실시한 군은 하루 30분간, 일주일에 2회, 4주간 실시하였다. 심부 횡 마찰마사지와 물리치료를 실시한 군은 하루 30분간, 일주일에 2회, 4주간 실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물리치료만 실시한 실험군도 하루 30분간, 일주일에 2회, 4주간 실시하였다. 모든 연구대상자는 연구 시작 전 사전검사에서 시각적 사상 척도, 악력, 기능 장애 척도를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모든 치료가 끝난 4주 후에 치료 하지 않고 결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심부 횡 마찰마사지와 경혈지압 및 물리치료군 과 심부 횡 마찰마사지와 물리치료군, 그리고 물리치료만 적용한 군 모두 통증과 악력, 기능 장애 척도 감소에 효과가 있었으며(p<0.05), 심부 횡 마찰마사지와 경혈지압 및 물리치료군 이 통증 감소와 악력, 기능 장애 척도 감소에서 심부 횡 마찰마사지와 물리치료군 과 물리치료만 적용한 군 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심부 횡 마찰마사지와 물리치료군 이 물리치료만 적용한 군 보다 통증 감소와 악력, 기능 장애 척도 감소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과적으로 외측상과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에서 심부 횡 마찰마사지와 경혈지압 및 물리치료가 물리치료만 적용한 환자군 보다 통증 감소, 악력, 기능 장애 척도 감소에 유의하게 향상됨으로 심부 횡 마찰마사지와 경혈지압, 물리치료 적용이 외측상과염 환자에 보다 효율적이고 만족스러운 치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소아 가정방문 물리치료의 수요 및 필요성에 관한 연구

        최선영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소아 가정방문 물리치료에 대한 수요와 견해를 알아보기 위해 소아 가정방문 물리치료와 관련한 대상자인 소아 물리치료사, 보호자, 소아환자, 의사에게 설문조사를 하였다. 전국의 인구수에 대비하여 설문조사 문의에 응답한 물리치료사 41명을 모집하였고 그 소아 물리치료사를 담당하는 의사 35명, 보호자 201명, 소아환자 87명이 참여하였다. 배부된 설문의 총 413부 중 364부가 회수되어 이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χ² 빈도분석, Kruskal-Wallis 검정, Mann-Whitney U 검정을 통해 비교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집단이 소아 가정방문 물리치료에 대한 인식도는 낮았으나 빠른 시일내에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둘째, 현재 치료의 만족도에 관해 보호자와 소아환자는 만족도가 높았으나 물리치료사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셋째, 소아 가정방문 물리치료의 기대효과와 장점과 우려점에 관해 물리치료사와 보호자 모두 높은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고, 그중 병원왕래의 불편해소에 대한 기대가 가장 높았으며 의료비 부담 저하에 대해 가장 낮은 기대감을 나타냈다. 장점으로는 모든 집단이 이동불편해소와 시간과 비용의 경제적 활용을 가장 큰 장점으로 여기고 있었고 우려점에 대해서는 물리치료사와 보호자는 의료비 수가 책정의 문제를, 의사는 응급상황 및 의료사고 시 대처 미비와 의료진과의 연계제한을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아 가정방문 물리치료의 시행에서 모든 대상자가 높은 참여·이용율을 보였다. 운영방안에 대해서는 모든 대상자가 의사의 처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고, 소아 가정방문 물리치료를 시행할 소아 물리치료사로 6∼10년의 임상자격조건을 원하였다. 경과보고에서 물리치료사와 의사는 ‘한 달 마다’를, 보호자는 ‘치료 시 마다’를 선호하였고, 치료비용에서는 물리치료사는 현재 치료비보다 ‘2배’를, 보호자는 현재 치료비와 ‘동일하게’를, 의사는 현재 치료비보다 ‘1.5배’에 많은 분포를 보였다. 물리치료사, 보호자, 소아환자, 의사 네 대상자 모두 현재와 동일한 치료횟수와 1시간의 치료 소요시간을 선호하였다. 이상을 종합해보아 소아 가정방문 물리치료에 대한 인식도는 낮으나 수요도와 참여·이용도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높은 수요도와 기대효과를 보이는 소아 가정방문 물리치료를 제도적으로 정립하기 위해서는 실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일정기간의 시범사업을 통해 많은 연구와 조사가 필요하며, 소아 가정방문 물리치료와 관련된 관계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이를 반영한 현재 의료 시스템의 정비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Survey its samples; Physical therapists, parents of young patients, young patients and doctors, has been formulated to know such opinions and demands towards Home-Visit Pediatric Physical therapy. As a result of the responses from four main samples, it happened to collect 41 Pediatric Physical therapists, 35 doctors, 201 parents and 87 pediatric patients. In result, 364 copies out of 413 surveys were returned and analyzed. The analysis of χ² frequency,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re applied. Refer the following results. The first of all, all three subjects were not aware of Home-Visit Pediatric Physical therapy in depth, and they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Home-Visit in near future collectively. Secondly,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terms of present therapy has varied as parents and young pati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whereas Pediatric Physical therapists reached relatively lower level of it. Thirdly, according to the survey, both physical therapists and parents had very positive expectation towards Home-Visit Pediatric Physical therapy. And they anticipated positive outcomes from elimination of troubles from transporting while they least expected that the cost on Home-Visit Pediatric Physical therapy would decrease. The primary advantage of Home-Visit Pediatric Physical therapy was elimination of troubles arising from transporting. To elaborate on that, the saving for both time and cost involved with the trip to clinics will let parents and patients find better efficiency. On the other hand, Physical therapists and parents considered the new way of cost arrangement regarding it and doctors seemed unsecure against lack of prompt emergency management as well as less involvement with medical staff. The fourth, there has been a high rate of support from all four samples regarding operating of Home-Visit Pediatric Physical therapy. In details, they admitted doctor’s prescription to be proceeded and the Pediatric Physical therapists to be experienced of 6-10 years in fields. The doctors and the Pediatric Physical therapists would prefer to update reports monthly while the parents would like to be kept informed about reports at each home-visit. In relation to cost, Physical therapists would see an increase twice as much as current cost and doctors announce it one and a half whereas parents would like it remained. In fact, all four samples agreed on the number of times would need remaining but 1 hour therapy which was raised from current half an hour therapy. In conclusion, even if the samples were hardly aware of Home-Visit Pediatric Physical therapy the demands and expected participation and involvement from them are highly presented. Hence, to establish Home-Visit Pediatric Physical therapy which demonstrates high expectation and demands systematically a pilot project needs accomplishing. To come up with it well organized marketing and education should be done to all involved with Home-Visit Pediatric Physical therapy in prior. More importantly amendments towards current medical system desperately needs doing in prior and various suggestions and opinions should be reflected when instituting the very Home-Visit Pediatric Physical therapists.

      • 2009 개정교육과정 물리Ⅰ 교과서 내용에 대한 현직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권순신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9

        2009 개정교육과정 물리1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대책을 세웠다. 2009 개정교육과정 물리1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내용이 양이 많아지고,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어느 깊이 까지 가르쳐야 할지 명확하지 않은 개념들 때문에 교사들이 학생들을 가르치기 어려워하고 있고, 많은 교과의 양이 물리에 대한 흥미도나 통합 물리의 개념 형성, 물리 1 선택에서 도움이 매우 안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자료와 연수에 대한 설문에서는 한국과학창의재단이나 시도교육청을 통한 교육 자료와 연수가 필요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이에 대한 대책은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 물리Ⅰ 교과서는 내용이 축소되어야 하며 수준을 낮게 해야 한다. 수정고시를 통하여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을 축소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비용과 시간이 들겠지만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본다. 둘째, 첫 번째 방법이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어 어렵다면 교육당국에서 현직교사 설문을 통해 알게된 수준이 높고 양이 많아지게 된 상대성이론, 블랙홀과 중력렌즈, 우주모형, 4가지 상호작용과 기본입자, 교류와 신호조절, 유체의 법칙, 열전달 단원 등을 읽을거리로 재편성하고 수능에는 출제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는 것이다. 셋째, 2009 개정 교육과정 물리Ⅰ에 대한 한국과학창의재단과 시도교육청에서 교사연수를 실시하고, 교사들은 2009 개정 교육과정 물리Ⅰ에 대한 학습 자료를 개발해야 한다. 교사들 또한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는 말을 명심하고 교사연수에 참여하며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동료교사들과 공유해야 한다. In this thesis we presents the analysis of physics Ⅰ of 2009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and the drawbacks found by the analysis and establishes countermeasures. The two main points of the thesis are as follows. Firstly, compared to the previous curriculum, the contents of physics Ⅰ of 2009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have shown an increase in not only the amount of overall contents but also their level of difficulties,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eachers to decide how deeply and how much in details they should teach their students. Furthermore, the increased amount of contents may hinder a student from being interested in physics Ⅰ, forming a concept of integrated physics and selecting the subject as an elective course. Secondly, it is a big drawback that 2009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provides insufficient opportunities to receive teacher training courses as well as shortage of teaching materials to use in the class. Countermeasure to settle this problem, firstly, is to cut the content and lower the level, which is the best way in spite of the cost and time required. In case the first measure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re is a second option that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announce that they do not include Einstein theory, black hole and gravitational lens, space model, four interaction and elementary particle, an alternating current and signal conditioning, the law of fluid, heat transfer unit. etc. Thirdly,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and local educational offices should implement teacher training sessions about 2009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On the top of that, a teacher should develop learning materials relevant to physics Ⅰ. We should bear in mind that 'the quality of education cannot surpass that of a teacher' and also participate 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 sharing the developed materials with co-teachers.

      • 물리문제풀이에서 나타나는 뇌 활성화 특성 분석

        국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뇌 활성화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fNIRS 장비를 이용하여 물리문제풀이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뇌 활성화 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북소재 K대학 물리전공 대학생 7명으로 구성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해서 물리문제를 선별하고, fNIRS 장비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물리문제풀이와 휴식시간을 시간별로 반복할 때 나타나는 실시간 뇌 활성화 데이터를 얻었다. 뇌 활성화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물리문제풀이 전과 후의 실시간 뇌 활성화 변화를 측정한 결과, 문제풀이가 시작 한 후 뇌 활성화가 크게 변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반면, 뇌 활성화의 변화가 크게 일어나는 영역은 다르게 나타나 학생마다 차이를 보였다. 둘째, 물리문제를 많이 맞춘 점수가 높은 학생일수록 학생들의 뇌 활성화 변화량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학생의 점수와 뇌 활성화 변화량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문제를 많이 맞춘 학생은 전전두엽의 전 영역에서 뇌 활성화가 일어났다. 셋째, 대부분의 학생들은 정답률이 낮은 어려운 문제일수록 뇌 활성화 변화량이 증가하는 상관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한 학생의 경우 뇌 활성화 변화량이 문제의 정답률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이 학생이 모든 문제를 쉽게 느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낮은 점수를 받은 한 학생은 반대로 문제가 어려울수록 뇌 활성화 변화량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인터뷰 결과, 이 학생은 문제가 어려워 문제풀기를 포기하고 추측하여 무작위로 답을 선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논문은 물리문제를 풀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실시간 뇌 활성화 변화를 직접 측정하고 분석한 연구로써, 물리문제를 해결하는 학습자의 과학적·논리적 사고 작용과 관련된 뇌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뇌기반 교육 연구의 발전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선천성 근성 사경 영아에게 진동 자극을 결합한 물리치료가 목빗근 두께와 목의 기울기 각도에 미치는 효과

        안현진 삼육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19

        Effects of combined vibration stimulation and physical therapy on sternocleidomastoid muscle thickness and neck tilt angle in infants with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herapy based on vibration stimulation and the physical therapy on the thickness of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d neck tile angles in infants diagnosed with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as well as compare the two intervention methods in differences. The study selected 20 infants aged 3-12 months who were diagnosed with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by a doctor and had a neck tilt angle of 5° or more.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en were assigned to the group of vibration stimulation combined with the physical therapy, and the other ten to the physical therapy group. The two groups were measured the thickness of both sides of sternocleidomastoid muscle, neck tilt angle, and overall torticollis assessment before the intervention. For the intervention, both the groups received a total of 12 sessions over four weeks with a 30-minute session thrice per week. After the intervention ended, they were again measured the thickness of both sides of sternocleidomastoid muscle, neck tilt angle, and overall torticollis assessment. The findings show that the group of vibration stimulation combined with the physical therapy recorded significant results both in the unaffected side and the torticollis side in terms of sternocleidomastoid muscle thickness(p<0.05). The physical therapy group had a significant increase in sternocleidomastoid muscle thickness only in the torticollis side(p<0.05) and no significant increase in the unaffected side.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ere was a big effect size in differences in sternocleidomastoid muscle thickness in the unaffected sid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d=0.821). Both the group of vibration stimulation combined with the physical therapy and the physical therapy group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neck title angle and overall torticollis assessment(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but there was a medium effect size in neck title angles(d=0.437).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group of vibration stimulation combined with the physical therapy did not make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than the physical therapy group but recorded a big effect size in sternocleidomastoid muscle thickness and a medium effect size in neck tile angl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Both the groups can offer effective exercise for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thickness and neck title of infants with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Key words :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vibration stimulation, sternocleidomastoid muscle, ultrasound 선천성 근성 사경 영아에게 진동 자극을 결합한 물리치료가 목빗근 두께와 목의 기울기 각도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는 선천성 근성 사경을 진단받은 영아에게 진동 자극을 결합한 물리치료와 일반 물리치료가 목빗근의 두께와 목의 기울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두 중재방법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의사로부터 선천성 근성 사경을 진단받 은 3개월에서 12개월 이하의 영아 중 목의 기울기 각도가 5° 이상인 20명을 대상 으로 무작위화하여 두 집단으로 나누어 진동 자극을 결합한 물리치료군 10명, 일반 물리치료군 10명으로 진행하였다. 두 군은 중재 전 양측 목빗근 두께, 목의 기 울기 각도와 사경 종합평가를 측정하였다. 중재는 진동 자극을 결합한 물리치료군 과 일반 물리치료군에게 4주간 주 3회, 총 12회를 한 회당 30분간 실시하였다. 중 재가 완료된 후 양측 목빗근의 두께, 목의 기울기 각도와 사경 종합평가를 측정하 였다. 본 연구 결과 진동 자극을 결합한 물리치료군에서는 건측과 사경측 목빗근 두께 모두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5). 하지만 일반 물리치료군에서는 사경측 목빗근 두께만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건측 목빗근 두께는 유의하지 않 았다. 두 군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건측의 목빗근 두께에서 중재 전·후 차이는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d=0.821). 또한 진동 자극을 결합한 물리치료 군과 일반 물리치료군에서 목의 기울기 각도와 사경 종합평가에서 유의함을 보였 다(p<0.05). 두 군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목의 기울기 각도에서는 중간의 효과크기를 보였다(d=0.437). 본 연구 결과 두 군을 비교하였을 때 진동 자극을 결합한 물리치료군에서 더 유의한 개선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건측 목빗근 두께에서 중재 전·후는 큰 효과크기와 목의 기울기 각도에서는 중재 전·후 중간 크기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두 군 모두 선천성 근성 사경 영아들에게 목빗근 두께 와 기울기에서 효과적인 운동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요어 : 선천성 근성 사경, 진동 자극, 목빗근, 초음파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