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물리치료 전공 대학생의 직업 인식에 관한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고은아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91

        최근 노인의 재활 분야에 대한 사회복지 제도가 확대되면서 물리치료사의 수요 증가 및 역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정 직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직업 인식의 형성이 중요하다. 특히 향후 물리치료사로서 활동할 물리치료학과 대학생이 인식하는 직업적 이미지를 파악하는 것은 직업이 가진 서비스 질, 소명감, 업무수행능력, 등 직업의 발전을 위해서 정립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인간의 주관적 인식유형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Q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문헌고찰과 개별면담을 통해 얻은 152개의 Q 모집단에서 최종 33개의 Q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40명의 P 표본에게 Q 분류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총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유형 1은 ‘인정받는 전문가’형으로 물리치료사란 직업은 사회적 인지도가 좋으며, 환자를 치료하기에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신뢰를 받는 전문가라고 인식하는 학생들이라고 할 수 있다. 유형 2는 ‘고객 친화적 전문가’형으로 물리치료사는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다는 점에 동의하며, 고객과의 소통, 유대감 같은 상호 간 신뢰를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물리치료사 고유의 능력을 포함하는 유형이다. 유형 3은 ‘현실적인 업무수행자’형으로 이들은 ‘취업’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물리치료사란 봉사와 헌신이 아닌 치료라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이라는 인식을 가진 유형이다. 유형 4는 ‘끊임없이 연구하는 치료사’형으로 자기개발의 중요성에 대해 매우 강한 긍정을 보이며, 치료를 한다는 것에 있어 열정과 긍지가 매우 강하다. 본 연구는 물리치료학과를 전공으로 한 학생들의 물리치료사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을 알아보고, 물리치료사 양성과정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시행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물리치료학과 대학생의 진로지도에 활용함은 물론 물리치료사의 직업 발전에 기여할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물리치료학과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임상실습 만족도가 진로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주현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는 전국에 위치한 임상실습을 모두 마친 국내 물리치료(학)과 3, 4학년 대학생 176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자기효능감, 임상실습 만족도, 진로태도 성숙도 총 111문항으로 구성된 구글 설문지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분석방법은 일반적 특성, 자기효능감, 임상실습 만족도, 진로태도 성숙도에 대한 빈도와 백분율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임상실습 만족도 및 자기효능감의 차이 검정은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으로 분석 후 사후검증(Scheffe)을 하였고, 자기효능감, 임상실습 만족도 및 진로태도 성숙도 연구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였고, 진로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적, 물리치료(학)과 선택 동기,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 물리치료학 전공에 대한 만족도, 원하는 취업분야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는 물리치료(학)과 선택 동기,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 물리치료학 전공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도는 학업성적, 물리치료(학)과 선택 동기,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 물리치료학 전공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물리치료(학)과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 성숙도 그리고 임상실습 만족도와 진로태도 성숙도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물리치료(학)과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하위요인 모두 진로태도 성숙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임상실습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실습교과 만족도는 진로태도 성숙도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진로태도 성숙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대학교에서는 학생 개인의 진로 방향에 대한 자신감, 확고한 믿음, 적극적인 진로 탐색 등 진로태도 성숙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와 실습기관에서는 이론과 실습의 괴리를 줄이기 위해 임상실습 지침서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적용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나아가 학생들이 의료전문가로서 전문직관, 진로에 대한 확신, 직업 자아성찰을 할 수 있도록 실무 위주의 임상실습 프로그램의 적용으로 물리치료 전문성을 강화하여 직업의 인식을 향상시킨다면 진로태도 성숙도가 향상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conducted a Google online survey consisting of a total of 111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maturity of career attitude, targeting 176 3rd and 4th year college students in physical therapy departments in Korea who completed all clinical practice located nationwide. As for the analysis metho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for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general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maturity of career attitude. The difference test between self-efficacy,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an independent t-test and a one-way batch analysis (ANOVA), and post-test was used afte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was us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research variables. The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elf-effica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cademic performance, physical therapy department selection motiv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physical therapy major satisfaction, and desired employment field. The satisfaction level of clinical practi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otivation for choosing th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satisfaction with the major of physical therapy. Career attitude matur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cademic performance, physical therapy department selection motiv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physical therapy major satisfaction. Second,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career attitude maturity,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physical therapy college students. Third, both self-efficacy and sub-factors of physical therapy college students 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satisfaction of the practical course, which is a sub-factor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In order to improve self-efficacy that can affect career attitude maturit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universities need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to enhance career attitude maturity, such as confidence in individual career directions, firm belief, and active career search. In addition, schools and practice institutions should try to actively apply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Furthermore, it is believed that career attitude maturity will be improved by strengthening physical therapy expertise by applying practical clinical practice programs so that students can have professional intuition, confidence in their careers, and self-reflection as medical experts.

      • 요양병원 내 환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물리치료 서비스와 물리치료사에 대한 만족도 조사 : 포항 지역 중심으로

        박상여 대구가톨릭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75

        A qualitative and professional physical therapy service was provided to increase the diversity and satisfaction of hospital patients' physical therapy service. In this study, 127 people in a care-hospital in Pohang were surveyed for the major variable that affects the physical therapy service and satisfaction with physical therapists. The survey was composed of 10 item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10 items on the satisfaction with physical therapists, giving a total of 30 items. The data was analysed with SPSS statistics 17, and th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using frequency analysi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using the Equation 5-point Likert scale.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physical therapists, and a Duncan-test was conducted for the variable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satisfaction with physical therapy services and satisfaction with physical therapists. The Cronbach'α value wa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tools. An average of 4.27 points and 4.24 points for the 'satisfaction of state after receiving physical therapy' and the satisfaction of thinking that physical therapist's treatment is professional area', respectively, were the items showing a very high level of satisfaction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main problems, period staying in an in care hospital, current health condition compared with before or after admission, behavior stat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eriod of main disease, frequency of physical therapy before admission, treatment frequency, pain intensity around treatment site statisticall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 time and satisfaction of physical therapy services. Although the satisfaction with physical therapists was high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As a result of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re was proportional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and confidence coefficient. The Cronbach'α value revealed a very high reliability (> 0.90). The high level of satisfaction highlights how important physical therapy services are to care hospital patients. To extend these results to the entire population, these studies should be expanded to other areas and a more reliable study with more subjects is needed. These studies can be used as data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forming a physical therapy services system within structured and systematic care hospitals.

      • 점진적 관찰감소의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

        노현정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점진적 관찰감소의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보다 효과적인 동작관찰훈련방법을 확인하여 이를 뇌졸중 재활에 활용하기 위한 중재방법으로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뇌졸중 환자 24명이었으며, 무작위로 실험군 Ⅰ에 8명, 실험군 Ⅱ에 8명, 대조군에 8명을 각각 배정하였다. 대조군은 신경계물리치료를 적용하였으며, 실험군 Ⅰ은 점진적 관찰감소의 동작관찰훈련, 실험군 Ⅱ는 기존의 동작관찰훈련을 적용하였다. 총 4주간, 주 5회, 회당 30분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균형능력 평가로 일어나 걷기검사, 사각 보행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보행능력 평가를 위해 10 m 걷기검사, 동적보행지수를 측정하였다. 보행의 시공간적 변수 측정을 위하여 OptoGait 보행분석기를 이용하여 보행변수들을 측정하였다. 공간적 변수로는 마비측 보장, 보폭을 측정하였으며, 시간적 변수로는 분속수, 보행속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윈도우용 SPSS version 18.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세 군의 중재 전·후 측정변수의 변화양상 분석을 위하여 반복측정 이요인 분산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을 실시하였다. 세 군의 중재 전·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고, 세 군의 중재 전·후 각 집단 간 변화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정으로는 Duncan 검정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검증을 위한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균형 및 보행의 기능적 수행능력이 중재 후 모든 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중재 전후 변화량 차이에서는 점진적 관찰감소의 동작관찰훈련군이 동작관찰훈련군과 신경계물리치료군보다, 동작관찰훈련군이 신경계물리치료군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보행의 시공간적 변수에서도 중재 후 모든 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마비측 보장, 분속수에서 점진적 관찰감소의 동작관찰훈련군이 신경계물리치료군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보폭, 보행속도에서는 점진적 관찰감소의 동작관찰훈련군이 동작관찰훈련군과 신경계물리치료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본 연구의 결과, 점진적 관찰감소의 동작관찰훈련군이 균형 및 보행의 기능적 수행능력과 보행의 시공간적 변수에서 가장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어, 대상자의 수행능력 증진에 따른 변화된 중재 제공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점진적 관찰감소의 동작관찰훈련방법은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능력 증진을 위한 신경계물리치료의 효과적 중재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사무직 근로자의 사내 물리치료실 이용 만족도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보람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기업체 내의 사내 물리치료실을 이용한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사내 물리치료실 이용 만족도를 조사하여 이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수도권 내의 기업체 중 사내 물리치료실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사내 물리치료실의 이용 만족도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 해 낼 수 있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조사대상자는 총 284명 이었다. 본 연구에서 설문 조사한 결과에 대한 자료 분석은 IBM SPSS 21.0을 이용하였다. 사무직 근로자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사내 물리치료실 이용 만족도와 직무 스트레스를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사무직 근로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내 물리치료실 이용 만족도의 차이와 사무직 근로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의 경우 Scheffe의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고, 근로자의 사내 물리치료실 이용 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무직 근로자의 사내 물리치료실 이용 만족도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물리치료실 이용만족도의 차이가 있다(p<.05). 사내 물리치료실 이용 만족도는 성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여자보다 남자의 이용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가 있다(p<.05). 직무스트레스는 성별, 연령, 현 직장 경력, 1일 근무시간, 업무의 육체적 부담 정도, 통증강도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성별은 여자, 연령은 나이가 많을수록, 현 직장 경력은 직장 경력이 많을수록, 1일 근무시간은 근무시간이 늘어날수록, 업무의 육체적 부담 정도는 육체적 부담 정도가 높을수록, 통증강도는 통증강도가 심할수록 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3. 사내 물리치료실 이용 만족도는 직무 스트레스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중요한 예측요인은 이용만족도로 나타났으며(p<.05). 이용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는 서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보아, 사내 물리치료실 이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는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industrial physical therapy center use satisfaction on job stress in office workers who use industrial physical therapy center in business ent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office workers who had ever used industrial physical therapy center in businesses in the capital area. As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 method to draw the effects of industrial physical therapy center use satisfaction on job stress and the number of subjects were 284 individuals in total. For data analysis to draw the findings from the questionnaire conducted in this study, IBM SPSS 21.0 wa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office workers and their industrial physical therapy center use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industrial physical therapy center use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office workers. In one-way ANOVA, Scheffe’s post-hoc 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industrial physical therapy center use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 office worker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industrial physical therapy center use satisfaction on job stress in office worke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is a difference in physical therapy center use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of this study (p<.05). industrial physical therapy center use satisfac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and the use satisfaction appeared significantly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p<.05). 2. There is a difference in job stress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p<.05). Job stre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age, years of work experience at the current job, on-duty hours per day, degree of physical burden in job performance, and pain intensity. The job stress got higher when the gender was female, when they were older in age, when they worked for more years at the current job, when they worked for more hours a day, when they were more physically burdened in job performance, and when they had more severe pain intensity (p<.05). 3.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dustrial physical therapy center use satisfaction and job stress (p<.05). The most important predictive factor for job stress appeared as use satisfaction (p<.05) and there was a negative impact between use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industrial physical therapy center use satisfaction, the lower the job stress among office workers.

      • Kaltenborn-Evjenth 천장관절 가동운동이 천장관절 기능부전 개선에 미치는 효과

        김무기 용인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75

        요통은 많은 사람들이 흔히 경험하는 증상으로 약 70~80%가 일생 중 적어도 한번은 요통으로 고통받는 일이 있으며,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를 받았던 요통환자들의 80~90%는 통증의 원인을 정확히 알 수 없었다고 한다. 요통을 일으키는 원인은 매우 다양한데 특히 천장관절 기능장애가 요통의 한 원인이었다고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Kaltenborn-Evjenth(K-E) 정형물리치료가 천장관절 기능부전을 원인으로 하는 요통에 대한 치료적 효과를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요통을 주소로 하는 환자 중 천장관절 기능부전이 요통의 주원인으로 판명된 환자들 중에서 남·여 각각 10명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K-E 정형물리치료의 천장관절 가동기법을 적용하여 치료하고 대조군은 고전적 물리치료를 실시한 후, 두 치료군 사이의 골반경사각 변화, 천장관절간격 변화, 두 측정기구간의 상관관계, 통증 변화, 성별에 따른 치료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골반경사각 변화에서는 K-E 정형물리치료군은 고전적 물리치료군보다 골반전방경사각, 골반후방경사각, 골반전체경사각 변화에서 각각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 < 0.05). 천장관절간격 변화에서는 K-E 정형물리치료군과 고전적 물리치료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K-E 정형물리치료군에서 더 효과가 있었다(p < 0.05). 두 측정도구간(BROM Ⅱ, CT) 치료효과에 대한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통증 변화에서는 K-E 정형물리치료군과 고전적 물리치료군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두 치료군간의 치료효과에서는 서로 상관관계가 없었다(p > 0.05). 성별에 따른 치료효과에서는 골반경사각변화와 천장관절간격 변화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이것으로 보아 골반경사각 변화와 천장관절간격 변화에서 K-E 정형물리치료가 고전적 물리치료보다 더 효과적인 치료라는 결론을 얻었다. Many people's low back pain is not at all rare, and the seventy(70) or eighty(80) percentage of them experience low back pain once at least in their life. From patients corresponding to the eighty(80) or ninety(90) percentage of ones who received conservative treatment for their low back pain, could not find the clear cause of their pain. The cause of low back pain is so various, but its general cause is known as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remedial effect of KEOMT(Kaltenborn-Evjenth Orthopaedic Manipulative Therapyon) on low back pain having the cause of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en(10) men and ten(10) women among patients with low back pain, which its main cause is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Conducted KEOMT for experimental group and classical physical therapy for control group. Then, from the two groups, researched the change of pelvic tilt angle and sacroiliac joint interspace, correlation between two measuring tools, the change of pain, and remedial effect according to gender,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Regarding the change of pelvic tilt angle, compared with classical physical therapy group, KEOMT group showed a meaningful increase in anterior pelvic tilt angle, posterior pelvic tilt angle, and total pelvic tilt angle(p<0.05). As for the change of sacroiliac joint interspace, both KEOMT group and classical physical therapy on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former group showed better effect than the latter(p<0.05).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wo measuring tools(BROM II, CT) in remedial effect(p>0.05). Regarding the change of pain, both KEOMT group and classical physical therapy on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two groups in remedial effect(p>0.05). As for remedial effect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he change of pelvic tilt angle and the one of sacroiliac joint interspace(p>0.05). As know from the above results, comes to a conclusion that KEOMT is more effective than classical physical therapy.

      • 한국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장우정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과 도입 시 필요한 세부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의료정보화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 도입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이를 위해, 현직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인터넷 플랫폼을 활용하여 설문하였다. 설문 문항은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의 인식 및 필요성 항목 17문항,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의 필요한 기능에 대한 항목 16문항이었으며, Likert 6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물리치료사는 204명이었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빈도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하였고 나이, 학력, 물리치료 분야에 따른 인식 및 필요성과 세부 필요 기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치료사가 생각하는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 인식 및 필요성은 선행연구와 비교했을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에 따른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 인식 및 필요성과 물리치료 분야에 따른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 인식 및 필요성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학력에 따른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 인식 및 필요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의 세부 필요 기능은 나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학력에 따른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의 세부 필요 기능과 물리치료 분야에 따른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의 세부 필요 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의 입력방식은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CF)를 선호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 물리치료 분야의 전문화로 인해 물리치료 데이터의 표준화 및 통계의 필요성이 증가하여 표준화된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의 도입 및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의료분야에 사용하는 전자의무기록은 선진국 수준이지만 물리치료 분야에서는 표준화된 전자의무기록이 도입되지 않고 있어 올바른 임상적 의사결정을 하기 어렵고 의료진 간의 의사소통이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보건의료 환경에서 물리치료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개선과 구축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for physical therapy and detailed functions necessary for introduction.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the introduction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for physical therapy, which will play a key role in medical informatization. A survey was conducted for physical therapists using the Internet platform.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7 items for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of physical therapy, 16 items for the function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of physical therapy, and a Likert 6-point scale. There were 204 physiotherapist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Paire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awareness and necessity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 functions according to age, academic background, and physical therapy fie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wareness and necessity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physical therapy by physical therapists was higher than that of previous studi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wareness and necessity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for physical therapy according to age and the awareness and necessity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for physical therapy according to the field of physical therap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and necessity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for physical therapy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unction of physical therapy electronic medical records depending on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unction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of physical therapy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function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of physical therapy according to the field of physical therapy. Third, ICF was preferred as the input method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for physical therapy. In conclusion, due to the specialization of the Korean physical therapy field, the need for standardization and statistics of physical therapy data increases, and standardized electronic physical therapy medical records and policy support are needed. Although electronic medical records used in Korea's medical field are at the level of advanced countries, standardized electronic medical records are not introduced in the physical therapy field, making it difficult to make proper clinical decisions and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staff.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useful for improving and establish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for physical therapy in the Korean health care environment.

      • 물리치료학 석·박사학위 논문의 최신 연구 동향 분석: 서울 소재 일개 대학원을 중심으로

        김윤성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75

        이 연구의 목적은 물리치료학 연구활동의 연도별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여 물리치료 연구의 관심 이슈, 내용, 방법 등을 바탕으로 향후의 새로운 연구자들의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서울시 소재 물리치료학 전공 대학원에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석·박사학위논문 중 원문 열람이 가능한 22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연도별 논문 수, 연구 설계방법, 연구의 질적 근거수준, 연구분야 및 주제, 연구대상 및 재료, 자료수집 방법, 윤리적인 측면에 대한 고려, 통계분석 방법 등 8가지 세부항목으로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Microsoft Excel 2019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1년부터 2020년까지 물리치료학 석사학위논문은 매해 평균 28.2편, 박사학위논문은 평균 6.4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석사학위 논문의 비율이 두드러졌다. 하지만 2020년 두 학위논문의 수는 급감하였다. 연구 설계방법은 실험연구가 70%로 주를 이루었고, 기타 질적 연구의 비중은 매우 적었다. 연구의 질적 근거수준은 레벨 2(무작위 대조군 실험), 레벨 3(유사실험)의 비율이 높았고, 레벨 6(단면 조사연구)가 뒤를 이었다. 주요 연구분야 및 주제는 세계물리치료연맹 14 하위집단 분류기준에 따른 독립변수 분석결과 도수/근골격계 물리치료와 신경계 물리치료의 비율이 높았으며, 독립변수를 나열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물리치료적 접근법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종속변수를 나열하여 분석결과에서는 균형, 보행, 기능 등이 주요하게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주요 연구대상은 환자이며, 그 중 신경계 질환, 특히 뇌졸중의 비율이 높았다. 대상 표본의 크기는 평균 43.85였으며, 주요 대상 연령은 19세 이상 65세 미만 성인이었다. 실험 중재 방법은 평균 5.3주, 주3.5회, 30.2분이었고, 측정 및 평가에 사용된 도구는 BBS, TUG, VAS 등이었으며, 도수근력계, 디지털 각도계, 힘판과 같은 디지털 장비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임상연구의 윤리적 측면에 대한 인식은 매우 높았으며,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심사와 동의서 취합 과정을 거친 연구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실험 데이터의 통계적 분석 방법은 독립 T검정과 대응 T검정, Shapiro-wilk 검정, 분산분석(ANOVA)등의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과거 물리치료 연구활동의 특징과 동향을 면밀히 관찰하여 향후의 연구를 위한 개선점을 발견하여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고, 이는 물리치료학 지식체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다.

      • 2035년까지 우리나라 공중보건물리치료사의 인력수급전망에 관한 연구

        이윤실 건양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75

        목적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중보건물리치료사의 인력 수급에 대한 공공데이터를 바탕으로 인력현황에 대해 파악하고, 여러 가지 기준에 따른 적정 비율을 적용하여 2035년까지의 수요추계를 실시해 공중보건물리치료사 인력의 적정수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통계청,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공공데이터 및 연구정책보고서에 보고된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지역보건의료기관의 운영현황과 인력현황, 방문보건사업실태와 관련된 자료를 선정하였다. 결과 : 전국의 모든 행정구역에 지역보건의료기관을 설치하여 기관 당1명의 물리치료사가 배치될 경우, 공중보건물리치료사 1인당 담당인구비율을 고정하여 추계한 결과, 3,844명의 공중보건물리치료사가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보건소 내 공중보건물리치료사의 비율이 1: 1을 충족한다고 가정할 경우, 이때 공중보건물리치료사 1인당 담당인구 비율을 고정하여 추계한 결과, 1,284명의 공중보건물리치료사가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공중보건물리치료사의 평균 증감률이 2035년까지 같은 증감률로 인력공급을 증가시킨다고 가정했을 때, 1,696명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보건소 방문보건사업에 필요한 인력 종별 구성비에 따른 추가인력 추계 시, 전문가 의견조사에 따른 10.3%의 경우 2,288명, 미국의 기준 6.6%의 경우 1,466명, 일본의 기준 4.5%의 경우 1,000명의 물리치료사가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결론 : 공중보건물리치료사의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하게 됨에 따른 현재 공중보건물리치료사 인력인 671명보다 훨씬 많은 수의 인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최소인력배치기준을 확대하여 추가인력을 배치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human resources based on public data regarding the supply and demand of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s in Korea, and to estimate the demand of these professionals by the year 2035, by applying appropriate ratios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Methods: In this study, we selected data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operation, manpower and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the Public Data, as well as reviewing Research Policy Reports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tatistics Korea, and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resource data from the years 2006 to 2016. Results: If a physical therapist is deployed per the institution by installing a public health center in all dministrative areas nationwide, the ratio of the number of persons in charge of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 is fixed and estimated at 3,844. Assuming that the ratio of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s in public health centers is 1: 1, it is estimated that 1,284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s will be needed by fixing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per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 as required by the population. It has been shown that a number corresponding to 1,696 people are estimated to be needed, assuming that the average rate of increase in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s over the last decade will increase their workforce supply at the same rate of change by the year 2035. When estimating the additional manpower for each type of workforce required for health center visit health projects, a survey of 10.3 % found 2,288 persons, which calculates to a total of 1,466 persons of 6.6 % in the United States and a total of 1,000 persons of 4.5 % in Japan. Conclusion: As demand for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s continues to increase, the minimum manpower criteria should be expanded and deployed for the necessary additional manpower, in order that more human resources can be supplied to meet the anticipated demands, than relying on the current 671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s that are available in professional practice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