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 국악교육 지도법 연구 : 민요를 중심으로

        강미혜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유아 교육과정에서 우리의 민요와 전래동요뿐만 아니라 창작 국악동요를 불러보고 여러 장르의 국악음악을 감상하여 우리 고유의 장단과 가락을 몸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경험은 참으로 중요하다. 하지만 대다수의 유아교육기관에서는 국악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재정상의 문제나 체계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국악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유아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유아 국악교육은 장단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고 전래동요와 전래놀이 등으로 크게 세 가지로 교육되고 있다. 이렇듯 장단 즉 리듬교육과 노래, 율동 등의 교육을 종합적으로 지도 할 수 있는 국악장르를 민요로 꼽았는데 유아 국악교육으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민요를 중심으로 한 교수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었다. 그래서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들에게 보다 효과적이고 재미있는 민요수업이 되기 위해 민요 수업 지도법 모형을 개발하여 효과적으로 수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 하였다. 민요 선호도 조사에서 좋아하는 곡을 근거로 선정한 민요 여섯 곡을 도입, 전개, 정리의 내용으로 나누어 수업(지도)단계는 노래, 신체리듬, 신체표현(동작) 그리고 놀이의 단계별로 구성하였다. 서양음악교육 이론의 오르프 음악교육방법과 현장교육에 의거하여 교수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노래 부르기에 큰 비중을 두었으며 노래를 이용해 동작표현을 하였다. 그래서 유아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민요의 수업 지도법 모형을 토대로 효과적으로 수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 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요를 가지고 수업을 할 때 6세, 7세 유아들에 비해 5세 유아들은 느린 장단인 중모리 장단이나 굿거리장단의 민요 보다는 이보다 빠른 세마치장단이나 자진모리장단의 민요수업을 진행 했을 때가 유아들이 더 재미있어 했고 가르치기가 더 용이했다. 둘째, 7세 유아들은 장구보다는 음률이 들어가는 가야금으로 반주했을 때 수업에 흥미 있어 하고 좋아했다. 셋째, 오르프 음악교육방법을 적용함에 있어 율동은 어린이들이 자신의 표현 욕구를 실현하는 매우 중요한 수단이라고 보았는데 한삼이나 다른 소품을 이용하여 가사에 적합한 몸동작을 하거나 민요의 분위기에 맞추어 신체를 표현할 수 있는 활동을 전개해줌으로써 표현력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도입(설명), 전개(노래, 신체표현), 정리(율동) 의 수업단계를 토대로 체계적인 수업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5세 유아는 집중 가능시간이 20분의 수업시간이 적당했는데 6세,7세의 유아들에게는 20분의 수업시간이 부족했다. 곡의 난이도를 고려해서 시간배정을 보완해야 될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국악 수업에 대한 유아들의 관심도와 성취도는 어린이들의 반응이 때때로 재미있어 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로 보아 고정관념적인 어렵고, 재미없는 음악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학부모님들 관심도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한편 모든 유아들이 재미있어하고 흥미 있어 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유아들의 자발적 참여도가 떨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장기간 연구로 국악 활동에 있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 보는 실행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고를 통해 유아국악 교육현장에서 우리 음악을 좀 더 쉽고 활발하게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It is very important for children to have a experience which realize and feel the traditional korean rhythm and emotion by singing or listening our korean folk song, transmitted children song by oneself. so mos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already knows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it. but until recent, they have not succeed to give children such a chance because of their financial problem or missing any supporting system for it. in the field of children education, teaching a rhythm is major element and there are two additional elements for teaching for example, transmitted children nursery and the traditional korean play for children. so I select korean folk song for teaching children because as teaching the korean folk song, we can teach traditional korean rhythm, song and rhythmic movement totally until now, there is no solution how to teach children the korean folk song. so in this paper, I propose and explain how to teach children the korean folk song efficiently and with having a fun . I first divided the six song which were selected from the research about which is the most favorite korean folk song into introduction part, development part and arrangement part. the lesson were made of singing the songs, body rhythm, body action or dancing and last playing. to apply the theory of western musical education, especially "orff" education methodology, and the experience of author's, I tried to teach singing a song as a important point and then made children dance with singing the songs. as the lesson continue, I found my methodology could be useful in the field of children education. the result of my lesson is summarized like below. first, when teaching the korean folk song to the children, five year old children relatively comparing to six or seven year old children liked better fast "saemachi" beat contained korean folk song than that of slow "chunmori"

      • 체험학습의 국악 프로그램 실태 분석 및 교육 활용방안 연구 :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통하여

        안소영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세계화와 더불어 고유의 민족 문화 발달에 초점을 두고 있는 현실에서 국악의 중요성은 사회적, 교육적으로 매우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학교교육과정에서 국악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교육내용에 있어서도 다양한 관점으로 심도 있게 접근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또한 국악공연, 국악문화체험, 국악문화행사 등 사회적으로도 국악에 대한 관심과 인프라가 확대되고 있어, 「주5일제 수업」 과 연계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국악 체험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는 국악 교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법은, 학생들이 다양한 국악 활동을 통해 직접 국악을 경험하고 체험함으로써 국악이 학생들의 생활문화로 인식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보고, 국악 관련 체험 학습 프로그램 실태를 조사한 후, 초등 교육과정에서 국악 관련 체험 요소를 분석하여, 국악 교육 적용 및 국악 체험 학습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은 국악 관련 체험 학습 프로그램 실태를 문화 체험학습, 현장 체험학습, 사이버 체험학습으로 분류하고 서울과 경기도를 중심으로 참여와 활용이 가능한 체험 학습을 인터넷과 관련 서적을 참고로 조사하였다. 또한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활용할 체험 요소를 7차 교육과정에서 분석하고 국악 교육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 체험 학습은 지역 문화 행사와 지역의 문화 시설을 이용하여 이해, 가창, 감상 영역을 체험 할 수 있으며 개별 또는 단체 체험이 가능하고 가까운 지역에서 시간의 제약 없이 쉽게 체험 학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행사시기에 따른 제약이 있었다. 현장 체험 학습은 이해, 가창, 기악, 감상, 창작의 전 영역을 체험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며 시간 공간의 제약 없이 사전 준비에 따라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기악체험은 학교 단위의 단체 체험 위주이므로 학교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였다. 사이버 체험 학습은 이해와 감상 영역에 국한된 단점이 있으나 개별적으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든지 체험 학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신장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하여 국악 체험학습과 국악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보았다. 먼저 다양한 국악 체험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며, 국악 체험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학교의 적극적인 참여, 지역 문화와의 연계, 그리고 학부모들의 국악에 대한 인식의 번화가 바탕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악 교육 및 국악 체험 학습에 대한 재정 지원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체험 학습의 기회가 늘고 있는 환경적 요인 속에서 학교와 가정이 국악 체험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학생들에게 국악 체험 활동의 기회를 확대 제공하고 국악 수업을 보완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다양한 국악 체험 학습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적극적인 국악 체험 활동을 통하여 국악에 대한 흥미와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고 나아가 국악의 활성화와 생활화를 꾀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begun to emboss socially and informingly very in actuality that is focusing in unique national culture development along with globalization. Also, because interest and infra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magnified socially that can offer an opportunity of various korean traditional music experience to students because connecting. Method that this research can activat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ereupon, after students see, and investigate korean traditional music connection experience studying program actual conditions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should be appraised by students' life culture by experience and experience direction korean traditional music through various korean traditional music activity, analyzing korean traditional music connection experience constituent in primary grade training courses, grope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pplication and wa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xperience studying. Method of study sorts korean traditional music connection experience studying program actual conditions by culture experience learning, spot experience learning, cyber experience learning and laying stress on Seoul and Kyonggi Province participation and practical use available experience studying Internet and connection book through consultation examine. Also. analyze experience constituent to utilize experience studying program in the 7th training courses and presente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actical use way. Analysis result, culture experience studying is individuation or advantage that organization experience can do experience studying easily without restriction of time in possible and near area but there was restriction by being event. Advantage that spot experience studying can be very effective because do various experience according to advance preparations without restriction of space during time branch or instrumental music experience because is organization experience putting first of school unit active participation of school need. Cyber experience studying that do tooth there is shortcoming that is limited in sacred ground but there is advantage that can do experience studying anytime without time and restriction of space individually, and is expected to become help to refurbish students' own leading studying. Presented way to activate korean traditional music experience studying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rough analysis result of something wrong. First, development of various korean traditional music experience studying program is pressing, and active public inform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of school, link with area culture, and change of awareness about students' parentses traditional music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experience studying program may have to accomplish nature. Finally, need national. social support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experience studying. This research desires that school and home magnify and offer an opportun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xperience activity to students and becomes help to supplement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xperience within environmental factor who an opportunity of experience studying is increasing, and little more various korean traditional music experience studying program expects that is developed.

      • 국립국악원 줄풍류의 천년만세와 향제 뒤풍류 비교 분석 : 양금 가락을 중심으로

        김현미 용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영산회상 또는 줄풍류로 알려진 현악 영산회상은 조선후기 선배들의 풍류방에서 발전되어 오늘날 전승 되었는데 전승과정에 따라 향제 풍류와 경제 풍류로 나뉜다. 향제 줄풍류는 대부분의 고장에서 전승이 끊어지고 이리 향제 줄풍류와 구례 향제 줄풍류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그 명맥이 유지되고 있다. 그중 본인은 국악원 줄풍류에는 없는 굿거리를 제외한 국립국악원의 천년만세와 이리·구례 향제 줄풍류의 계면, 양청, 우조의 뒤풍류의 양금 가락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서로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면가락도드리에서 국립국악원의 계면가락도드리는 장별 구분 없이 42장단으로 되어있는데 비해 구례 향제 계면가락도드리는 5장 43장단, 이리 향제 계면가락도드리는 7장 43장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리·구례 향제 계면도드리에서는 제1장 앞에 국립국악원에는 없는 한 장단의 선율이 있는데 이것은 향제 풍류의 특징 이라하겠다. 기본 골격 선율은 같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서로 다른 음으로 진행하거나 음이 첨가되어 선율이 서로 다른 경우로 선율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곡의 주요 리듬형은 국립국악원 계면가락도드리와 구레 향제 계면가락도드리는 동일하고, 이리 향제 계면환입은 차이가 있다. 둘째, 양청도드리는 세곡의 장 구분과 장단수를 보면 국립국악원 양청도드리는 7장 63.5장단으로 되어있는데 비해 이리 향제 양청환입은 7장 55장단, 구례 향제 양청도드리는 5장 55장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국립국악원 양청도드리 7장은 이리·구례 향제에서는 우조가락도드리 1장에 해당하는데 향제 풍류의 한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국립국악원 양청도드리와 이리 양청환입은 林과林 사이음으로 항상 南이 출현하고 구례는 無가 출현하며, 1정간♩박이 리듬 분할을 할 때 국악원 양청도드리는 삼분식(□)으로 이리 양청환입은 이분식(□)으로 구례 양청도드리는 이분식(□)으로 나뉘고, 세곡 모두 주요 리듬형이 동일하다. 셋째, 우조가락도드리에서 국립국악원 우조가락도드리는 장구분과 장단수가 7장 35.5장단으로 되어있는데 비해 이리 향제 우조환입은 7장 44장단, 구례 향제 우조가락도드리는 5장 44장단으로 전체의 장단 수는 비슷하나 장의 구분과 장에 따른 장단 수는 서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립국악원 우조가락도드리와 구례 향제 우조가락도드리에는 無음이 출현하나 장식음이나 경과음 처럼 짧고 가볍게 연주하며, 이리 우조환입에서는 無음이 출현하지 않는다. 구례 향제 우조가락도드리의 리듬형은 국립국악원 ·이리 향제 우조가락 도드리에 비해 좀 더 복잡하지만 주요 리듬형은 세곡 모두 동일하다. 음반 자료를 비교해본 결과, 국악원 천년만세와 이리·구례 향제 뒷풍류에서는 tempo에서도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국악원과 이리 향제는 동일한 빠르기로 연주하고, 구례 향제는 더 빠르게 연주된다. 국악원 천년만세와 이리·구례 향제 뒷풍류는 유사한 선율을 가진 동일곡이나 각 지역마다 다른 특징을 가지고 발전되면서 차이를 나타내게 되었다. String Youngsanhoesang known as Youngsanhoesang or Julpungryu was developed in the music room of seniors in the latter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and was handed down to modern times. The process of being handed down causes the music to be divided into Hyangje Pungryu and Gyeongje Pungryu. Hyangje Julpungryu was not handed down in most of localities, but Iri and Gurye Julpungryu stay in existence designat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Among them I compared the piece Cheonnyeonmanse of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except Gukgeori not in the Julpungryu of the center with Iri and Gurye Hyangje Julpungryu centering on Yanggeum tunes of Dieupungryu in Gyemyeon, Yangcheong, and Ujo to explore the differenc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Gyemyeongarakdoduri the one of the center is composed of forty-two beats without any division of movements, whereas the one of Gurye Hyangje Gyemyeongarakdoduri consists of five movements and forty-three beats and the one of Iri Hyangje Gyemyeongarakdoduri seven movements and forty-three beats. Before Movement 1 of Iri and Gurye Hyangje Gyemyeondoduri is a melody of one beat not in the piece, which will be said to be the characteristic of Hyangje Pungryu. It showed that they had the same basic frame melody, but that they made difference in melody making progress with different sounds or allowing sounds to be added. For a main type of rhythm in the three pieces the Gyemyeon Garakdoduri of the center is the same as that of Gurye hyangje Gyemyeongarakdoduri, but Iri Hyangje Gyemyeonhwanip makes difference. Secondly, for the division of movements and the number of beats in Yangcheongdoduri in the three pieces, Yangcheongdoduri in the piece of the center consists of 7 movements and 63.5 beats, while the one of Iri Hyangje Yangcheonghwanip consists of 7 movements and 55 beats, and the one in Gurye Hyangje Yangcheongdoduri 5 movements and 55 beats. Movement 7 of Yangcheongdoduri in the piece of the center corresponds to Movement 1 of Ujogarakdoduri in Iri and Gurye Hyangje, which can be said to be one characteristic of Hyangje Pungryu. Yangcheongdoduri in the piece of the center and Iri Yangcheonghwanip always have Namryeo emerge as a sound between Imjong and Imjong, while Gurye Yangcheongdoduri has Muyeok emerge. When the division of rhythm occurs in interjeong♩ beat, Yangcheongdoduri in the piece of the center is trichotomously divided(□), while Iri Yangcheonghwanip is dichotomously divided (□) and Gurye Yangcheongdoduri is also dichotomously divided (□). All the three pieces have the same main type of rhythm. Thirdly, for Ujogarakdoduri, the one in the piece of the center has 7 movements and 35.5 beats, while Iri Hyangje Ujohwanip has seven movements and forty-four beats and Gurye Hyangje Ujogarakdoduri five movements and forty-four beats. It indicates that they are similar in the whole number of beats but that they make difference in the division of movements and in the number of beats according to movements. In Ujogarakdoduri in the piece of the center and the one in Gurye Hyangje Ujogarakdoduri Muyeok emerges, but is shortly and lightly played like ornament or passing note. But Iri Ujohwanip does not allow Muyeok to emerge. Ujogarakdoduri of Gurye Hyangje has a somewhat more complex type of rhythm compared to that of the piece of the center or that of Iri Hyangje, but all the three pieces have the same main type of rhythm. Comparing their record materials with one another indicates that the piece of the center and Iri and Gurye Hyangje Dieupungryu also make difference in tempo. The piece and Iri Hyangje are played at the same tempo, but Gurye Hyangje is more rapidly played. All the three pieces were identical with similar melody, but made difference developing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each region.

      • 가곡과 자진한잎의 대금선율 비교 연구

        류근화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이왕직아악부 악보󰡕과 󰡔국립국악원 대금정악보󰡕의 가곡과 자진한잎에서 나타나는 대금선율 비교 분석을 통해 선율의 공통점과 차이점, 변화 과정을 고찰하였다. 골격음을 추출한 후 선율을 비교하였으며, 장식음의 차이를 살펴 선율별로 나타나는 특징을 밝혔다. 또한 선율의 차이를 단계적으로 제시하여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골격음 비교를 통해 󰡔이왕직아악부 악보󰡕 가곡, 󰡔이왕직아악부 악보󰡕 자진한잎, 󰡔국립국악원 대금정악보󰡕 가곡, 󰡔국립국악원 대금정악보󰡕 자진한잎에 나타나는 선율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가곡과 자진한잎 우조 두거는 대부분 유사했다. 다르게 나타나는 부분에서는 󰡔이왕직아악부 악보󰡕 가곡과 󰡔국립국악원 대금정악보󰡕 가곡이 같고, 󰡔이왕직아악부 악보󰡕 자진한잎과 󰡔국립국악원 대금정악보󰡕 자진한잎이 같아 가곡은 가곡과, 자진한잎은 자진한잎과 같음을 확인하였다. 리듬이 축소되어 선율이 변화한 부분을 확인하였다. 가곡과 자진한잎 계면 두거는 1/3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다르게 나타나는 부분에서는 가곡 간에 같고, 자진한잎 간에 같았으며, 연주 음역이 달라 선율이 변화한 부분을 확인하였다. 가곡과 자진한잎 계면 평롱, 가곡과 자진한잎 계면 계락, 자진한잎 계면 편수대엽은 대부분 동일하다. 둘째, 장식음 비교를 통해 󰡔이왕직아악부 악보󰡕 가곡, 󰡔이왕직아악부 악보󰡕 자진한잎, 󰡔국립국악원 대금정악보󰡕 가곡, 󰡔국립국악원 대금정악보󰡕 자진한잎에 나타나는 장식음의 특징과 장식음 빈도를 확인하였다. 가곡과 자진한잎 우조 두거는 󰡔국립국악원 대금정악보󰡕 자진한잎의 장식음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국립국악원 대금정악보󰡕 가곡, 󰡔이왕직아악부 악보󰡕 자진한잎, 󰡔이왕직아악부 악보󰡕 가곡 순서로 많았다. 장식음 빈도를 통해 󰡔이왕직아악부 악보󰡕 당시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장식음이 더 많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가곡과 자진한잎 계면 두거는 󰡔국립국악원 대금정악보󰡕 자진한잎의 장식음이 월등히 많았으며, 장식음 빈도를 통해 󰡔이왕직아악부 악보󰡕 당시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장식음이 더 많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가곡과 자진한잎 계면 평롱에서는 󰡔국립국악원 대금정악보󰡕 가곡의 장식음이 가장 많았다. 가곡 반주 선율이 기악화된 곡보다 장식음이 많은 점이 특징이다. 가곡과 자진한잎 계면 계락은 가곡과 자진한잎 우조 두거, 가곡과 자진한잎 계면 두거와 결과가 같다. 마지막으로 가곡과 자진한잎 계면 편수대엽에서는 󰡔국립국악원 대금정악보󰡕의 장식음이 많았고, 󰡔이왕직아악부 악보󰡕의 장식음은 적었다. 악곡이 빨라 장식음의 형태가 유사했다. 특별한 점은 󰡔이왕직아악부 악보󰡕 자진한잎과 󰡔국립국악원 대금정악보󰡕 가곡 두 선율만 장식음이 일치하는 경우가 다수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가곡과 자진한잎 간에 장식음에 대한 경계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일부 선율의 변화 과정을 밝힐 수 있었다. 󰡔이왕직아악부 악보󰡕 가곡, 󰡔이왕직아악부 악보󰡕 자진한잎, 󰡔국립국악원 대금정악보󰡕 가곡, 󰡔국립국악원 대금정악보󰡕 자진한잎 중에서 골격음이 같지만 장식음이 다른 선율을 파악하였고, 이를 단계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경우를 제시하고 변화 과정을 밝혔다. 이러한 특징은 우조와 계면조의 두 양상으로 살펴보았다. 우조는 가곡과 자진한잎 우조 두거만 해당한다. 林→仲음, 㑲→仲음, 太→仲음, 潢→仲음, 㑲→林음 선율에서 이러한 특징을 살펴볼 수 있었다. 사이음 첨가형, 장식음화형, 장식음 첨가형, 장식음 확대형의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선율이 변화, 확장되었다. 계면조는 가곡과 자진한잎 계면 두거, 가곡과 자진한잎 계면 평롱, 가곡과 자진한잎 계면 계락, 가곡과 자진한잎 계면 편수대엽에 해당한다. 林→仲음, 無→仲음, 太→黃음, 林→黃음 선율에서 이러한 경우를 살펴볼 수 있었다. 사이음 첨가형, 장식음화형, 장식음 첨가형, 장식음 확대형, 장식음 탈락형, 리듬 축소형의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선율이 변화, 확장되었다. 이처럼 본 연구를 통해 󰡔이왕직아악부 악보󰡕과 󰡔국립국악원 대금정악보󰡕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전승되면서 나타난 변화에 대해 밝혀보았다. 󰡔이왕직아악부 악보󰡕가 󰡔국립국악원 대금보󰡕까지 온전히 전승하였음을 확인하면서도 시대적 흐름에 따른 변화를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또한 동일한 선율에 대해 다양한 형태를 비교하여 변화 과정을 살핀 것은 추후 전통음악 선율 형성 연구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기대하는 바이다.

      • 전통예술분야 문화예술정책 및 공연실적 분석연구 : 호남권역 국악예술기관의 창극 공연을 중심으로

        김정준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In this study we reviewed how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culture and arts policy were developed and nurtured. Also, examined the reflectivity of the culture and arts policy from 2010 to 2019 regarding the four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itutes of the Honam Area. Conformed by the Namwon National Gugak Center, the National Namdo Gugak Center(Jindo National Gugak Center), the Jeonbuk Provincial Gugak Center, and the Jeonnam Provincial Gugakdan. The results of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performances and contents of planning performances and periodic performances focusing on the creation of traditional arts at each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itu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National Folklore & Gugak Center aims to achiev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that convey the value and emotion of cultural heritage' as a policy goal in the field of traditional arts. Due to achieve this goal they has set three objectives ① Improving the quality and impression of the performance, ② Strengthening the found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③ Expand daily enjoyment opportunities. The results and research analysis of the planning performance of the National Folk Gugak Center according to the Culture and Arts Policy are as follows. As a planning performance, the National Folklore Center of Korea performed mainly in Chunhyangjeon, Simcheongjeon, Heungbujeon, and Jeokbyeokje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that specializes in pansori and changgeuk, various changgeuk development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round traditional pansori. Which has been receiving lots of attention and love from the audience. Namwon region has a long successful story about the fusion between regional fest and Changgeuk. As such, Chunhyangjeon is inseparable from the Namwon area. It is contributing to the spread of folk music and the promotion of cultural nostalgia. The National Folk Gugak Center is mainly composed of Chunhyangjeon, Simcheongjeon, Heungbujeon, and Jeokbyeokjeon, which enhance the dignity and emotion of traditional Korean music, along with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Gugak performances based on traditional music, and is organized by strengthening the foundation for the transmiss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econd, the National Namdo Gugak Center aims to achiev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that convey the value and emotion of cultural heritage” as a policy goal in the field of traditional arts. In order to realize the goal they has set 3 objectives. ① Improve the quality and impression of the performance, ② Strengthen the foundation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③ Expanding opportunities for daily enjoyment. The results and research analysis of the planning performances of the Changnam National Gugak Center according to the Culture and Arts Policy are as follows. The National Namdo Gugak Center has made efforts to discover and systematically establish a prototype of traditional art considering the locality of Jindo. As a regional specialization project located in Jindo, the National Namdo Gugak Center is Gut and Shaman. The synergistic effect could was achieved by match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mission of the organization called Good Culture Activation in Jindo. The National Namdo Gugak Center consists mainly of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cultural arts such as Jindo Ssitgimgut, Jindo Bukchum, Ganggangsullae, Jindo Arirang, Namdo Dul-Norae, Namdo-Jabga, ect. In addition to producing high-quality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they enhanced its dignity and emotion. Moreover, the Changgeuk performance in the traditional arts field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reflects the cultural and artistic policy goal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that conveys the value and emo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the corresponding practical tasks. Third, Jeonbuk Provincial Gugak Center has established two objectives of cultural arts policy in the field of traditional arts: ① Preservation and fostering of traditional cultural arts ②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arts. The results and research analysis of the regular performances of the Changgeuk Provincial Gugak Center according to the Culture and Arts Policy are as follows. The Jeonbuk Provincial Gugak Center has focused on the facts of local materials in terms of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and art,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and the goal of culture and art policy. In addition, from an artistic point of view, the basic story of Pansori is preserved as much as possible with modern acceptance based on the Pansori phraseology, but musical techniques are combined. Jeonbuk Provincial Gugak Center i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arts content based on local backgrounds such as Imsil and Jeonju, also historical people such as Lee Seong-gye and Lee Seok-yong, preserving traditional culture and art based on the pansori method. As it contributes conserving and fostering traditional culture, Jeonbuk Provincial Gugak Center reflects the goals of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al arts and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arts' and its practical tasks. Fourth, the Jeonnam Provincial Gugak Band established two objectives of cultural and art policy in the field of traditional arts: ① Development of inheritance of traditional dance music in Namdo ② Expansion of enjoyment of the people's culture and ar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bout the planning and regular performances of the Jeonnam Provincial Gugak Band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Jeonnam Provincial Gugak Band’s Changgeuk performance utilizes traditional Pansori phraseology method centering on the Pansori-based music drama. It is centered on traditional Pansori and traditional orchestral music but combines the form of opera as a complement to the parts to be secured. This can be seen as a role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y spreading public awareness and using Western techniques and musical instruments. The Jeonnam Provincial Gugakdan aims to succeed and develop the traditional choreography of Namdo. This includes traditionality and regionality, as well as modern art. In this area, using local historical figures such as Yi Sun-shin, Jeong Yak-yong, and Jang Bo-go, and backgrounds such as Mokpo and Wando, may expand beyond the region into Korea's representative performance content. Especially in the case of Panferra(Pansori & Opera fusion music) Yi Sun-sin, since the premiere of the Jeonnam Provincial Orchestra's Changgeuk performance, performances have been continuously performed in various regions. This can be seen a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 of Namgado traditional martial arts and expanding the enjoyment of culture and art by the people. It can be seen that the Jeonnam Provincial Gugakdan's traditional art field show performance reflects the goals of the culture and arts policy of ‘Developing the tradition of traditional dance music and expanding the enjoyment of people's cultural arts’ and the practical tasks accordingly. Each of the four traditional Korean arts organizations in the Honam area reflects the culture, arts policies and performance tasks, and each Korean traditional music arts institution forms performance contents that take advantage of it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revitalize the performance contents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itution and strengthen its capacity,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prepare professional manpower such as production, composition, script, and stage production according to the production of medium and large changgeuk. Also, improve the quality of planning performances and regular performances. For effective public relations marketing, human resources should be expande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each Korean traditional music arts institution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and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arts field by securing the identity of traditional arts, revitalizing creation, popularizing traditional arts,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ntemporary world. 본 연구는 호남권역의 국립기관인 국립민속국악원, 국립남도국악원과 도립국악단체인 전북도립국악원, 전남도립국악단 등 4개의 국악예술기관의 2010년∼2019년까지 문화예술정책에 따른 콘텐츠가 어떻게 개발되고 육성되었는지 살펴보고, 문화예술정책의 반영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각 국악예술기관의 전통예술분야 창극을 중심으로 기획공연, 정기공연 실적 및 내용을 연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민속국악원은 전통예술분야 있어 ‘문화 유산의 가치와 감동을 전하는 국악 공연’을 정책 목표로 삼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과제로 ① 공연의 품질과 감동제고, ② 국악 전승기반 강화, ③ 일상 향유 기회 확대 세 가지를 설정하였다. 문화예술정책에 따른 국립민속국악원 창극 기획공연 실적 및 연구 분석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국립민속국악원은 기획공연으로 춘향전, 심청전, 흥부전, 적벽전을 중심으로 공연되었다. 판소리와 창극을 특화시켜 운영하고 있는 기관의 특성상 전통판소리를 중심으로 다양한 창극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국립민속국악원이 위치하고 있는 남원의 특성상 판소리 다섯 바탕별 활용도에서 춘향전이 제일 높은 활용도를 보이고 있다. 개원 후, 국립민속국악원의 첫 작품도 창극 춘향전이었으며, 지속적으로 관객들로부터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다. 지역 축제와 창극 공연을 접목하여 오랫동안 지속되는 곳 중에 대표적인 곳이 남원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만큼 춘향전은 남원 지역과 불가분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민속악 보급 및 문화 향수권 신장에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국립민속국악원은 춘향전, 심청전, 흥부전, 적벽전 창극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은 전통음악을 기반으로 한 고품격 국악 공연 제작과 더불어 품격과 감동을 제고 하고 있으며, 국악 전승 기반을 강화하여 체계화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국립남도국악원은 전통예술분야에 있어 ‘문화 유산의 가치와 감동을 전하는 국악 공연’을 정책 목표로 삼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과제로 ① 공연의 품질과 감동제고, ② 국악 전승기반 강화, ③ 일상 향유 기회 확대 세 가지를 설정하였다. 문화예술정책에 따른 국립남도국악원 창극 기획공연 실적 및 연구 분석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국립남도국악원은 진도의 지역성을 고려하여 전통예술의 원형의 발굴과 체계적 정립을 위해 노력해 왔다. 진도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특성화 사업으로 국립남도국악원은 굿과 무속이다. 진도 지역의 굿 문화 활성화라는 기관의 미션과 지역적 특성이 부합됨으로써 시너지를 효과를 낼 수 있었다. 국립남도국악원은 씻김굿, 진도북춤, 강강술래, 진도아리랑, 씻김굿, 남도들노래, 남도잡가 등 진도민속예술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은 전통음악과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한 고품격 국악 공연 제작과 더불어 품격과 감동을 제고 하였다. 또한 국악 전승 기반을 강화하여 체계화 하고 있으며 국립남도국악원 전통예술분야 창극 공연은 ‘문화 유산의 가치와 감동을 전하는 국악 공연’의 문화예술정책 목표와 이에 따른 실천 과제를 잘 반영하고 있다. 셋째, 전북도립국악원은 전통예술분야에 있어 문화예술정책 목표 및 수행 과제를 ① 전통문화예술의 보존과 육성 ② 향토 문화예술의 계승과 발전 두 가지를 설정하였다. 문화예술정책에 따른 전북도립국악원 창극 정기공연 실적 및 연구 분석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전북도립국악원은 향토 문화예술의 계승과 발전 측면에서 지역의 소재의 실화에 주목한 점은 설립 취지와 문화예술정책 목표에 부합된다. 또한 예술적 측면에서 보면 판소리 어법을 근간으로 한 현대적 수용으로 판소리의 기본 토리는 최대한 보존하되 뮤지컬적 음악 기법을 조합하고 있다. 전북도립국악원은 임실과 전주 등 지역적 배경과 이성계와 이석용 등 인물을 소재로 하여 향토 문화예술의 콘텐츠를 개발 및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창극의 대부분을 판소리의 어법을 근간으로 하여 전통 문화예술의 보존과 육성하는데 기여하고 있으므로 전북도립국악원은 ‘전통문화예술의 보존과 육성 및 향토 문화예술의 계승과 발전’ 의 목표와 이에 따른 실천 과제를 잘 반영하고 있다. 넷째, 전남도립국악단은 전통예술분야에 있어 문화예술정책 목표와 수행 과제로 ① 남도의 전통 가무악 계승 발전 ② 도민문화예술 향유 확대 두 가지를 설정하였다. 문화예술정책에 따른 전남도립국악단 창극 기획·정기공연 실적 및 연구 분석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전남도립국악단의 창극 공연은 판소리를 기반으로 한 음악극 중심으로 전통 판소리 어법을 활용하고 있다. 전통 판소리에 중심을 두고 국악관현악이 보안해야 할 부분의 보완 장치로 오페라의 형식을 결부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대중적 인지도 확산과 서양적 기법과 악기 등을 활용하여 국악이 가지는 한계를 보충하는 역할로 볼 수 있다. 전남도립국악단은 남도의 전통 가무악 계승 및 발전을 그 목표로 삼고 있다. 여기에는 전통성과 지역성이 포함되고 현대성이 예술로 구현되는 것까지를 내포하고 있다. 이런 부분에서 이순신, 정약용, 장보고 등 지역의 역사 인물과 목포, 완도 등 배경을 활용하는 것은 지역을 넘어 한국의 대표적인 공연 콘텐츠로 확장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판페라 이순신의 경우 전남도립국악단 창극 공연 중 초연 이후 여러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공연을 진행하였다. 이는 남도 전통 가무악 계승 발전 및 도민들의 문화예술 향유 확대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전남도립국악단 전통예술분야 창극 공연은 ‘남도의 전통 가무악 계승 발전 및 도민문화예술 향유 확대’의 문화예술정책의 목표와 이에 따른 실천 과제를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호남권역의 4개의 각 국악예술기관에서는 문화예술정책 및 수행과제를 잘 반영하고 있으며, 각 국악예술기관마다 특성을 살린 공연 콘텐츠를 형성하고 있다. 각 국악예술기관의 특성을 살린 공연 콘텐츠의 활성화 및 역량 강화를 위해 중·대형 창극 제작에 따른 연출, 작곡, 대본, 무대제작 등 전문 인력을 지속적으로 마련해야 할 것이며 기획공연 및 정기공연의 질적 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홍보 마케팅의 인력의 확충 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각 국악예술기관에서는 전통예술의 정체성 확보를 비롯한 창작 활성화, 전통예술의 대중화 및 동시대와의 소통 등을 통해 전통예술분야의 활성화 및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초등학교 국악 교육 실태 조사 연구 : 인천광역시 지역을 중심으로

        김모래 용인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초등학교의 국악 교육과 관련된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것을 토대로 국악 교육의 문제점을 알아내어 앞으로 국악 교육의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있는 초등학교 15개교의 교사로부터 설문지를 배포 ․ 회수 하여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이 국악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교사 자신이 국악지도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하다고 설문하였고, 현재의 교육 제도나 여건으로는 충분한 조건이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국악 교육을 제대로 할 수 없다고 하여 국악 교육을 위한 여건 조성이 시급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의 지도 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과 국악 교육을 할 수 있는 주변 여건만 개선된다면 얼마든지 국악 교육의 미래가 밝아 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많은 교사들이 음악 교과서의 국악 내용의 난이도에 대해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교과서 내의 국악 내용에 대한 분량도 많다고 생각해 국악을 가르치는데 큰 부담을 갖고 있었다. 특히 많은 교사들이 현행7차 음악 교과서에서 40%정도 차지하는 국악의 비중을 높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국악 교육의 강화와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현 실정에 반하는 결과로 실로 안타까운 일이 아니라 할 수 없다. 셋째, 교사들이 음악 교과서에 포함된 국악 부분 중 중점적으로 지도하는 부분은 대체적으로 기악 및 가창 교육이었으며 이를 반영하듯 학생들이 가장 흥미를 느끼는 분야도 기악과 가창이었다. 넷째, 국악 수업 시 주로 사용되는 악기는‘장구(78.3%)’가 제일 많았고, 그 다음으로‘단소(13.0%)’와‘소고(4.3%)’가 차지하였다. 앞으로 더욱 향상된 국악 교육을 위해서는 대학이나 연수 기관에서 여러 가지 악기를 가르쳐야 할 것이며 교사들도 다양한 악기를 습득하여 더 알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학교 현장에서 국악을 가르치고자 하나 국악 교육을 위한 환경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특히 국악실을 갖추고 있는 학교는 전체 학교의 1개교(16.4%)에 불과해 학교에서 국악을 가르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많이 부족하였다. 학생들에게 양질의 국악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시설 확보가 우선되어야 한다. 음악 전담교사가 있는 학교는 78.7%로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이러한 교사마저도 국악보다는 양악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점은 국악 교육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문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국악과 관련된 특별활동이나 방과 후 활동은 절반 가까운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국악 활동이‘거문고나 가야금(9.7%)’에 치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의 특기와 적성이 고려된 교육 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국악의 여러 장르를 접해 볼 수 있는 교육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일곱째, 많은 교사들이 국악 교육의 발전을 위해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교사를 위한 국악 연수 강화(34.3%)’를 제일 우선순위로 꼽았으며, 그 다음으로는‘교수·학습 자료구입(17.4%)’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국악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직 음악 교사들에게는 국악 관련 강습 및 연수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넓히고, 음악 교사를 양성하는데 필요한 국악 관련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KTME of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and to find out the problem existing within the current KTME system so that we can provide the materials to improve quality of KTME. I have made the evaluation form in a detached way and excluded the possible subjectivity for this study. The evaluation form contains 27 questionnaires which is completed with modification and complement of the reference of the proceeded study 225 evaluation forms were distributed to 15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Region and 207 of those were collected and evaluated. As a result, I had been able to reach conclusions shown below: First, the majority of teachers understand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KTM), but they are not confident about their capability of instructing the KTM. And they also say instructing KTM has been more difficult for them since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or circumstances is not supporting enough. It shows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 right conditions for KTME without delay. It also shows that KTME can be much better if there are enough efforts to improve the teachers capabilities of instructing and to make better circumstances. Second, many teachers have thought of teaching KTM is not easy because contents of KTM are quite broad part of current music text book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is seemed high. Especially many of teachers think KTM is rated high since it takes about 40% of the 7th textbook now in use. Unfortunately this thought is opposed to the actual circumstances where the efforts to reinforce and to revitalize the KTM is making. Third, the teachers lay emphasis on instrumental music and vocal part of KTM included in th music textbook. Thus this is reflected in students who feel more interested with instrumental music and vocal. Fourth, mainly used musical instruments in the KTM lesson are 'Jang-Gu (78.3%)', 'Dan-So(13.0%), and 'So-Go(4.3%)'. To provide improved KTME, Universities or training centers (organizations) need to give training to teachers to play various instruments so that more substantial education is possible. Fifth,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the environment to provide better quality of KTME is not prepared satisfactorily although teachers want to give the proper lesson. Particularly just 1 (16.4%) out of 15 schools has the classroom for KTM, which means the separated space to give students the KTM lesson in school is not enough. To begin with, the facilities have to be ensured to provide fine KTM lessons to students. The research shows that 78.7% of those schools hires the full-time music instructor. But it would be a problem when music instructors themselves are also more interested in Western music rather than Korean Traditional Music. Sixth, although the club activities or after-school activities related to KTM are formed at about a half of researched schools, the special emphasis on 'Geo-Mun-Go or Ga-Ya-Kum (9.7%) is taking part of those activities. The mor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he various genre of KTM have to be made so that students are able to take part of activities with consideration of their talent and aptitude. Lastly, the majority of teachers point out "the enhancement of training for KTM for teachers (34.3%)' has to be solved in a first place for development of KTME. The next is 'the purchases of instructing * learning materials (17.4%)'.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music instructors should have more opportunities to get training so that the quality of KTME would be improved. To educated expert music instructor, the financial resources correlated to KTM is necessary.

      • 千年萬歲 奚琴旋律의 比較硏究 國立國樂院 줄풍류와 鄕第 줄풍류를 中心으로

        한순임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현재 연주되고 있는 국립국악원 천년만세와 향제 줄풍류로 유일하게 보존되고 있는 이리와 구례의 뒷풍류 선율을 해금선율에 한하여 비교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립국악원에서는 계면가락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 세 곡을 천년만세라 한다. 향제 줄풍류에서는 이 세 곡 외에 풍류 굿거리를 포함한 네 곡을 뒷풍류라 하는데 이는 유사한 선율로 된 동일한 곡이다. 장 구분 및 장단 수를 살펴보면, 국악원 계면가락도드리는 장별 구분 없이 42장단으로 이루어져 있고, 구례 향제는 5장 43장단, 이리 향제는 7장 43장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향제 계면가락도드리가 한 장단이 더 많은 이유는 뒷풍류부터 연주할 때 호흡을 맞추기 위한 黃3박, 仲3박, 黃3박, 仲3박으로 된 한 장단이 더 첨가되었기 때문이다. 국악원 양청도드리는 7장 63.5장단으로 이루어져 있고, 구례 향제는 5장 55장단, 이리 향제는 7장 55장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향제 양청도드리가 8.5장단 적은 이유는 국악원 양청도드리에서 1장단 12박으로 늘어나는 7장 8.5장단이 향제에서는 우조가락도드리 1장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악원 우조가락도드리가 7장 35.5장단으로 이루어진데 비해 구례 향제는 5장 44장단, 이리 향제 는 7장 44장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선율비교의 결과, 이리 향제 뒷풍류는 국립국악원 천년만세의 선율과 유사하다. 그러나 구례 향제 뒷풍류의 선율은 전혀 다른 선율 형태도 있는 등 차이를 보인다. 첫째, 구례 향제 계면가락도드리에는 국악원과 이리 향제에서는 연주되지 않는 연주기법인 ↥,↧가 쓰인다. ↥는 중현에서 太를 눌러서 내야하는 음을 유현에서 식지를 치켜올려 추성의 효과를 내는 연주법이다. ↧는 앞에서 치켜올린 음을 식지와 장지를 함께 훑어 내리는 연주법이다. 이 연주법은 주로 행악인 취타나 군악에 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야외에서 연주할 때 음량을 크게 하기 위한 연주법이다. 둘째, 구례 향제 양청도드리에는 국악원과 이리 향제에서는 출현하지 않는 셋잇단 음표(♩♩♩)와 엇박의 리듬이 출현한다. 셋째, 국악원․이리 향제에서 잉어질로 연주되는 부분이 구례 향제에서는 잉어질로 연주되지 않는 부분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음반자료를 통해 비교해 본 결과 국악원 천년만세와 이리․구례 향제 뒷풍류는 tempo에서 차이가 난다. 국악원과 이리 향제 계면가락도드리․우조가락도드리는 동일한 tempo로 연주한다. 그러나 구례 향제는 이보다 빠른 tempo로 연주한다. 즉, 국악원과 이리 향제는 굿거리 장단의 속도로 느껴지는 데 비해 구례 향제는 잦은 타령 장단 정도로 빠르게 연주된다. 양청도드리도 국악원과 이리 향제는 동일한 tempo로 연주하고, 구례 향제는 빠르게 연주한다. 요컨데, 국악원 천년만세와 이리․구례 향제 뒷풍류는 유사한 선율을 가진 동일곡이나 각 지역마다 다른 특징을 가지고 발전되면서 차이를 나타내게 되었다.

      • 대풍류 피리선율 비교 연구 : 국립국악원, 이충선, 지영희, 김점석을 중심으로

        김성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현재 전승되는 국립국악원과 이충선, 지영희, 김점석 대풍류들의 악곡 구성과 출현음, 음계, 장단수와 마루수, 그리고 요성의 위치와 출현 횟수 그리고 선율 진행을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국악원의 대풍류 악곡 구성은 긴염불, 반염불, 삼현타령, 느린허튼타령, 중허튼타령, 자진허튼타령, 굿거리, 자진굿거리, 휘모리-당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충선의 대풍류 악곡 구성은 긴염불, 반염불, 삼현도드리, 별곡타령, 느린허튼타령, 자진허튼타령, 굿거리, 당악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영희의 대풍류 악곡 구성은 염불타령, 반염불, 삼현타령, 느린헛튼타령, 중허튼타령, 잦인허튼타령, 느린굿거리, 잦인굿거리, 휘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김점석의 대풍류 악곡 구성은 염불타령, 반염불, 삼현도도리, 염불도드리, 타령, 별곡타령, 늦은허튼타령, 자진허튼타령, 굿거리, 자진굿거리, 당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주자별로 대풍류의 악곡 구성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출현음은 이충선의 반염불, 자진굿거리, 지영희의 자진굿거리, 김점석의 긴염불, 반염불, 삼현도드리, 굿거리가 다른 연주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출현음을 사용하여 연주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국립국악원의 느린허튼타령, 자진굿거리, 당악이 다른 연주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출현음을 사용하여 연주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음계는 네 명의 연주자 모든 악곡 중 이충선의 별곡타령과 지영희의 삼현타령을 제외한 모든 악곡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충선의 별곡타령 제 9~22장단과 지영희의 삼현타령 제 9~22장단을 제외한 네 명의 연주자 모든 악곡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넷째, 장단수와 마루수는 반염불과 느린허튼타령, 중허튼타령, 자진허튼타령에서 국립국악원과 지영희가 동일하게 나타났고 국립국악원과 지영희의 나머지 악곡과 이충선, 김점석의 모든 악곡의 장단수와 마루수는 다르게 나타났다. 다섯째, 요성의 위치와 출현 횟수는 모두 다르게 나타났고 이를 통해 주로 요성하는 음정을 알아본 결과 긴염불만 모든 연주자가 공통적으로 F음을 요성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악곡들은 모두 연주자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여섯째, 대풍류의 선율 진행에서 모든 연주자의 선율 진행이 유사한 악곡은 긴염불과 반염불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연주자들의 느린허튼타령, 중허튼타령, 자진허튼타령에서 F-A♭음의 도약 선율 진행이 악곡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느린허튼타령, 중허튼타령은 국립국악원과 이충선, 지영희의 선율만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충선과 김점석의 자진굿거리, 당악은 국립국악원과 지영희와는 각기 다른 독자적인 선율로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립국악원은 악곡을 마무리할 때 특정한 선율 반복이나 음정 유지 없이 다음 악곡으로 넘어가는 반면, 이충선(반염불, 당악)과 지영희(긴염불), 김점석(긴염불, 반염불, 별곡타령, 느린허튼타령, 자진허튼타령, 굿거리, 자진굿거리, 당악)은 악곡을 마무리할 때 각 악곡의 처음 한두 장단의 선율을 반복하거나 마지막 음정을 두세 박 이상 유지하며 악곡을 마무리하였음이 나타났다. 또한 국립국악원에는 없는 쇠는 가락이 이충선(반염불, 삼현도드리, 별곡타령)과 김점석(반염불, 삼현도드리, 별곡타령)의 선율에서 나타났다. 시김새에서는 국립국악원은 네 명의 연주자가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혀치기, 시루와 루러만을 사용하였고, 이충선은 혀치기, 시루와 루러 외에 추가로 서침을 사용하였고, 지영희는 혀치기, 시루와 루러 외에 겹목튀김 추가하여 사용하였고 김점석은 혀치기, 시루와 루러 외에 추가로 서침과 겹목튀김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ly examine the currently performed daepungryu (bamboo wind instrument) music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some individual musicians, such as Lee Chung-seon, Ji Yeong-hee and Kim Jeom-seok, focusing on its music structure, used sound, scale, jangdan number, maru number, yoseong (vibrating sound)'s position and used number, and melodic progress. Study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the music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consists of gin-yeombul (long Buddhist prayer), ban-yeombul (semi Buddhist prayer), samhyeon taryeong, gutgeori, jajin gutgeori, huimori and Dangak. The daepungryu music of Lee Chung-seon consists of gin-yeombul (long Buddhist prayer), ban-yeombul (semi Buddhist prayer), samhyeon dodeuri, byeolgok taryeong, neurin (slow) heoteun taryeong, jajin heoteun taryeong, gutgeori and Dangak. The daepungryu music of Ji Yeong-hee consists of yeombul taryeong, ban-yeombul (semi Buddhist prayer), samhyeon taryeong, neurin (slow) heoteun taryeong, jung heoteun taryeong, jajin heoteun taryeong, neurin (slow) gutgeori, jajin gutgeori and huimori. And the daepungryu music of Kim Jeom-seok consists of yeombul taryeong, ban-yeombul (semi Buddhist prayer), samhyeon dodeuri, yeombul dodeuri, taryeong, byeolgok taryeong, neuzeun (delayed) heoteun taryeong, jajin heoteun taryeong, gutgeori, jajin gutgeori and Dangak. Therefore, the structure of daepungryu music is different by its performers. Second, regarding used sounds, Lee Chung-seon's ban-yeombul (semi Buddhist prayer) and jajin gutgeori, Ji Yeong-hee's jajin gutgeori, and Kim Jeom-seok's gin-yeombul (long Buddhist prayer), ban-yeombul (semi Buddhist prayer), samhyeon dodeuri and gutgeori use relatively broad sounds. Whereas the National Gugak Center's neurin (slow) heoteun taryeong, jajin gutgeori and Dangak use relatively narrow sounds. Third, regarding scales, all the four performers use the same scale in their music, except Lee Chung-seon's byeolgok taryeong and Ji Yeong-hee's samhyeon taryeong. Lee Chung-seon's byeolgok taryeong and Ji Yeong-hee's samhyeon taryeong use different scales in their 9~22th jangdans, respectively. Fourth, regarding jangdan number and maru number,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Ji Yeong-hee are the same in their ban-yeombul (semi Buddhist prayer), neurin (slow) heoteun taryeong, jung heoteun taryeong and jajin heoteun taryeong. Whereas other music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Ji Yeong-hee, and all the music of Lee Chung-seon and Kim Jeom-seok are different in the number of jangdan and maru. Fifth, regarding yoseong's position and used number, all the songs of the four performers are different. Regarding the tune in which yoseong (vibrating sound) is used, all the performers commonly use yoseong in the F sound of gin yeombul (long Buddhist prayer), whereas their other songs use it in different positions. Sixth, regarding the melodic progress of daepungryu (bamboo wind instrument) music, all the performers are similar in the music of gin yeombul (long Buddhist prayer) and ban yeombul (semi Buddhist prayer). In addition, all the performers generally use the take-off melodic progress of F-A♭ sound in their neurin (slow) heoteun taryeong, jung heoteun taryeong and jajin heoteun taryeong. The melodic progress of neurin (slow) heoteun taryeong and jung heoteun taryeong is similar in the music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Lee Chung-seon and Ji Yeong-hee. The melodic progress of jajin gutgeori and Dangak of Lee Chung-seon and Kim Jeom-seok is different from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Ji Yeong-hee. At the finish of a song, the National Gugak Center proceeds to other songs without repeating a certain melody or maintaining a certain tune, whereas Lee Chung-seon (ban yeombul and Dangak), Ji Yeong-hee (gin yeombul) and Kim Jeom-seok (gin yeombul, ban yeombul, byeolgok taryeong, neurin heoteun taryeong, jajin heoteun taryeong, gutgeori, jajin gutgeori and Dangak) either pepeat the melody of initial one or two jangdans, or maintain two or three baks of the last tune. In addition, soegarak, which is not presented in the music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is used in the melody of Lee Chung-seon (ban yeombul, samhyeon dodeuri and byeolgok taryeong) and Kim Jeom-seok (ban yeombul, samhyeon dodeuri and byeolgok taryeong). Regarding sigimsae, the National Gugak Center only uses hyeochigi (tongue beating), siru and rureo, which are commonly used by the other three performers, whereas Lee Chung-seon additionly uses seochim; Ji Yeong-hee additionaly uses gyeopmok (double-necked) tuigim; and Ji Yeong-hee additionaly uses seochim and gyeopmok (double-necked) tuigim.

      • 국악 기악 감상 영역의 효율적인 지도방안 연구 : 초등학교 5, 6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정미자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악 기악곡 감상에 있어서 지적, 미적 요소의 이해는 '알고 있는 만큼 들린다'는 말처럼 듣고 느끼고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국악곡의 멋과 특징을 이해하고 국악에 대한 인식과 관심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우리 민족 정서의 진수라고 할 수 있는 국악곡 감상을 통하여 국악 그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멋이나 특성의 아름다움을 찾도록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국악감상곡 지도를 통하여 한국인 특유의 신명과 음악적 감성을 느끼고 한민족 고유의 정신적 유산을 계승하여 우리의 민족정신을 음악을 통해 이해하고 나아가 새로운 문화 흡수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여 민족 문화를 발전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는데 이바지하는 한국적인 정신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전반적으로 음악 감상의 방법이나 효과는 교육과정이나 교육환경에 의해서 많은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학습자의 흥미나 준비도 교사의 지도능력에 따라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교사는 우리 음악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가져 지도능력을 향상시킴으로서 세계적인 문화재를 가진 문화 민족으로서 우리의 음악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새로운 음악 창달에 기여하기 위한 국악 감상 교육의 중요성과 인식을 하는데 본 연구의 필요성을 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7차 교육과정에 수록된 5, 6학년 국악 감상곡 중 기악곡의 종류를 알아보고, 국악 기악곡을 감상하는데 필요한 악곡에 대한 유래 및 해설 악기 편성 및 악곡과 관련된 이야기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감상 제재곡의 유형을 알고 국악감상곡에 맞는 지도방안을 모색하여 현장에서 지도할 수 있도록 지도방안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국악 기악 감상곡인 취타, 대취타, 시나위, 수제천, 산조, 청성자진한잎 등의 곡에 대한 지도방안을 첫째, 음색을 파악하며 감상하기 둘째, 빠르기와 장단을 알고 감상하기 셋째, 신체표현하며 감상하기 등을 제시하여 국악 감상 수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위와 같이 연구한 결과 국악감상곡 지도를 통하여 음악을 느끼고, 감지하고, 수용하고, 표출하는 음악 교육의 본질 교육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다보니 처음에는 "음악을 감상하고 난 후 악곡이 어떠한가?" 라고 물으면 "쓸쓸하다, 외롭다, 흥겹다" 등의 관념적인 대답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점차 음악의 이해적인 요소인 음악적인 내용에 대한 지식을 통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다양하게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In order to appreciate the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pieces intellectually and aesthetically, it is important to listen to, feel and understand them as admonished by the maxim "I can hear it as much as I know", If we want to understand the sty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music with more interest in it, it may well be desirable to appreciate its pieces or the cores of our people's emotion and thereby, explore the styles and aesthetics therein. In this vein, elementary teachers are obliged to effectively guide students to appreciate the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pieces adequately and thereby, feel our people's unique emotion or Shinmyong and musical sentiment or spirit of our people to succeed and develop our people's mental heritage with a correct value system against new cultures introduced. In short, students should be aware of the Korean spirit through correct appreciation of the traditional music. With such a conception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reviewing the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pieces listed in the elementary 5th and 6th graders' textbooks edited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n, analyzing such points for their appreciation as origins, descriptions, organization of instruments, melodies, tones, forms, rhythm and tempo, relevant stories, aesthetics, etc., and thereupon, exploring an effective pedagogics for a correct appreciation of the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pieces in the classroo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the pedagogics for appreciation of such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pieces listed in the elementary textbooks as Chuita, Daechuita, Sinaui, Sujechon, Sanjo and Cheongsongjajinhanip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tone colors. Second,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tempo and rhythms. Third,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melod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orms. Fifth,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Sigimsae. Sixth, it is required to compare the pieces with their auxiliary ones. Seventh, it is essential to express the emotion with body movements. After applying the above pedagogics to the classroom over time and thereby, encouraging students to feel, sense, accommodate and express the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students' responses to "how do appreciate the pieces" changed from 'solitary, lonely or amusing' or other conceptual ones to diverse aesthetic responses based on a better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our traditional music. In general, methods or effects of appreciating the music may be affected much by educational programs or environment, but more affected by learners' interest and preparation as well as teachers' guiding ability and concern. In this sense, teachers are obliged to understand our traditional music being more interested in it and being aware of its importance to enhance their pedagogic capacity and thereby, help our students to succeed and develop our music heritage and promote a new music culture.

      • 해금 협주곡의 시대별 주요작품 분석연구

        고미주 圓光大學校 2016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dissertation examines representative haegeum concerto music composed in the different times from the 1980s to mid 2000s. By looking at how the haegeum music was developed and evolved the research can explain the features and rhythmic patterns so that more detailed performance skills as well as repertoire can be produced. Finally, the research aims to seek the ways of developing haegeum concerto music. After exploring the historic development of haegeum concerto music according to its times and performers, Seoul Metropolitan Traditional Music Orchestra played "Haegeum concerto No. 2" seven times in 1980s. In 1990s, "Gongsubaji" was performed six times. After the 2000s, "Gongsubaji" was also performed five times. In the case of KBS Gugak Orchestra, "Sunabui" was performed two times in 1980s, and "Banga taryeong" and "Gongsubaji" were presented two times. After the 2000s, "Gongsubai" was performed most of the times as three times. On the other hand, the Creative Music Orchestra, established in 2004 in the National Gugak Center performed "Gaeuleul wihan dodeuri" two times in its regular annual concert. From the musical analysis of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haegeum concerto piece, the research has found out that the music of 1980s has haegeum solo part in the introduction which is similar to "Sangnyeongsan" in "Yeongsanhoesang". The musics composed in 1990s has remarkable melodical structure that usually develops in perfect fifth relationship from E♭major to A♭major. Also, the scale is most of the times consisted of traditional pentatonic scale. From the frequent use of semachi rhythmic pattern, it can be assumed that the composers were trying to combine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In the 2000s, traditional concerto was more developed, composed in several movements similar to that of Western pieces. For example, "Hwalui norae" has no melodies directly taken from old traditional repertoire but completely new composition. Pentatonic scale is not used, either. Even before the haegeum starts its solo melody, other instruments begin the music. "Chusang" is also a pure composition based on the motive highlighting sorrowful mood with timbre of the haegeum in gyemyeonjo mode. Moreover, tempo changes give dynamic development of the music. When the orchestra and haegeum play together, the music sounds very strong. As the time goes, the pitch range and left hand technique of haegeum changed in various aspects. First, the range is from G to g♭², that is two octave and half. The pitches used in the music more varies in half tone intervals. The left hand technique diversified into eight kinds as the range widens. Almost all tones can be made using the index finger. The rhythmic pattern has changed and transformed. In the 80s, there was definitely a basic pattern along with deviated rhythms. Especially, triplet and pentaplet were frequently used in 3/4 and 4/4. Also, 6/8 pattern is modified into many beats. In the 90s, rhythmic patterns in haegeum solo part were transformed and expressed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musical features of each composed piece. The composition of rhythms were depend on the theme melody. In the 90s, 3/4, 6/8, 9/8 were frequently used, and syncopation and hemiola were made with ties. After 2000s, the rhythmic composition of the sold haegeum part has been completely decided by the composer. Basically, 4/4, 6/8, 8/12 were used, but modified or complicated patterns appear more often. Finally, the research aimed to reveal the gradual development of haegeum concerto music from the 1980s to mid 2000s. Through the analysis of musical features and rhythmic patterns used in the solo part, the research notifies the diversity of rhythmic and melodic changes in the different times. Taking this research as an opportunity to see the potential values of the haegeum, I hope that the hageum music advances further.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해금협주곡의 시대별 대표곡을 선정하여 해금협주곡이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고찰해보고, 그 특징과 리듬을 파악하여 정확한 연주와 레퍼토리 확보, 나아가 해금협주곡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에 있다. 해금협주곡의 전개양상을 시대별, 악단별로 검토한 결과,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의 경우는 1980년대 가장 많이 연주된 작품은 <해금협주곡 2번>이 7회로 가장 많이 연주되었고, 1990년대 가장 많이 연주된 작품은 <공수받이>가 6회로 가장 많이 연주되었다. 2000년대 이후로는 가장 많이 연주된 작품은 <공수받이>가 5회로 가장 많이 연주되었다. KBS국악관현악단의 경우는 1980년대 가장 많이 연주된 작품은 <수나뷔>로 2회 연주되었고, 1990년대는 가장 많이 연주된 작품은 <방아타령>과 <공수받이>가 2회로 가장 많이 연주되었다. 2000년대 이후로는 가장 많이 연주된 작품은 <공수받이>가 3회로 가장 많이 연주되었다. 2004년에 창단된 국립국악원 창작악단의 정기연주회에서 연주한 해금협주곡은 <가을을 위한 도드리>가 2회로 가장 많이 연주되었다. 해금협주곡을 시대별로 분석한 결과, 1980년대 작품에서는 독주해금의 도입부 선율을 영산회상 상령산과 비슷한 선율로 시작함으로서 전통음악적인 요소를 보였다. 1990년대 작품에서는 선율의 진행이 돋보였으며, 악곡 구성은 E♭장조의 완전5도 아래인 A♭장조로 진행한 완전5도 관계의 조성체계, 전통적인 5음 음계, 그리고 세마치장단을 사용한 점으로 보아 전통음악과 서양음악을 접목시키려는 작곡가의 의도를 알 수 있었다. 2000년대 이후는 서양음악의 다악장 형식을 차용하며 더욱 발전적인 해금협주곡의 형태를 보여준다. <활의 노래>는 전통음악적인 요소와는 관계없이 작곡가의 순수한 창작선율로 전개되며, 5음 음계의 구조 또한 차용하지 않았고, 독주해금이 주선율을 연주하기 전에 반주부분을 연주하며 시작하는 부분도 있었다. <추상>도 작곡가의 순수 창작선율로 작곡되었는데, 해금의 슬픈 소리를 주제로 전통음악적인 계면조의 선율을 표현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었다. 다양한 빠르기를 활용해 독주해금의 전개를 돕고, 관현악과 독주해금이 함께 연주되는 부분은 악곡의 구성을 더욱 탄탄하게 하고 있었다. 해금협주곡에서 해금의 음역과 안현법도 시대가 변함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금의 음역은 G-g♭²으로 약 두 옥타브 반으로 나타났고, 출현음 또한 반음 간격으로 매우 다양한 것으로 분석됐다. 해금의 안현법도 음역의 확장에 따라 총 8가지 정도로 모든 음을 일지로 사용하여 연주하여 해금협주곡에서의 안현법은 시대가 변함에 따라 더욱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대별 리듬분석의 결과는 1980년대의 독주해금의 리듬은 기본 리듬형을 토대로 변형 리듬형이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특히 3/4, 4/4 박자에서 셋잇단음표나 다섯잇단음표 등으로 세분하여 나타내는 것들이 많았다. 또, 6/8의 변형 리듬형이 매우 자세하게 나뉜다. 1990년대의 독주해금의 리듬은 작품의 특성에 따라 변형 리듬형이 다양하게 표현되었고 주제선율의 구성에 따라 리듬의 요소들이 결정되었다. 1990년대에는 리듬형이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3/4, 6/8, 9/8 등이 주를 이루고, 박자를 이음줄을 이용하여 당김음이나 헤미올라 주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2000년대 이후의 독주해금의 리듬은 작품의 전체를 구성하는 작곡가의 의도에 따라 결정되고 있었다. 기본 리듬형으로는 4/4, 6/8, 8/12 등이 쓰이고 있지만, 기본 리듬형에 비해 다양하게 분할된 변형 리듬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이 논문은 해금창작곡 중 협주곡을 중심으로 시대별 주요작품을 분석하여, 시대의 변화에 따른 해금협주곡의 점진적인 발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아울러 해금협주곡의 전개양상을 파악하고, 선율과 리듬의 특징을 독주해금을 통하여 알아봄으로써, 독주해금의 역할과 선율과 리듬의 많은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 논문을 계기로 해금에 대한 잠재력을 인지하고 더 발전적인 음악을 연주하기를 기대하여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