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평가와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김민서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815

        In this study, a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by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school of dream program,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perated to help learners in Yeoncheon area realize the importance of self-exploration, creativity, imagination, sense of community, and understanding and value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 was selected for research and the operation cases of the program was examined based on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chievements of the program on reg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regional culture development based o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in Yeoncheon, which was implemented as part of the Gyeonggi school of dream program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planned by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s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Yeoncheon area has its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the operational method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and strengthening the prom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regional cultural heritage of Yeoncheon. This study approached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ing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by evaluating the program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curriculum and participating learners, and analyzing the effect. In this study, effectiveness, relevance, responsiveness, and suitability were set as analysis criteria for the analysis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for case study.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the effect of direct outcomes on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reg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was analyzed through the factors including awarenes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self-direction through self-inquiry, creativity and imagination, sense of community, and understanding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 Through this relationship investigation, suggestions on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plan for reg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regional cultural heritage were presented. This study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perated in 2020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in Yeoncheon area, and the evaluated program was presented as an analysis subject.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interviews with 9 participants of the Yeoncheon-gun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regional cultural heritage. It was found that this program increased the fidelity by expanding the scope of activities and fostering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of learners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ting learners and professional artists, centered on the self-examination of local learners. Second, the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was shown to have high suitability in a situation where the planning conditions were relatively poor. In this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the PM, who operated <Gyeonggi School of Dreams>, was found to be actively operating various art media by discussing ways to deal with the situation in order to spread and promote regional cultural heritage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and the program was found to operate appropriately for the purpose of the program. Third,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was focusing on achieving both the goals and purpose of the program expected by the participants through understanding regional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of various artistic media and programs such as physical activity and art party.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indirectly helped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Fourth,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as one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had been playing important role with planning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by sharing self-directed ability process, sense of community, imagination and creativity through self-exploration of participating learners and i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by greatly helping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new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hidden in the Yeoncheon region. Fifth, considering that the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still lacks the participation of learners, there are possibilities for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of the Yeoncheon area to develop through the further participation of local learners in this program and by teaching the knowledg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regional cultural heritage to those who have alread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t is found that the foundation for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in Yeoncheon was formed.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is a reg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helping participating learners to engage in and experience regional cultural heritage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together.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growth of participating learners of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expand and operate programs that can recognize the fusion of local cultural heritage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Second,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a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was composed by actively reflecting the opinions of participating learners as a local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introduce it as a sustainable local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in the future, the opinions of participating learners in their fields of interest should be actively accepted, encouraging their participation by inducing positive experiences through questionnaires or experiential activities that can find the interests and aptitudes of participating learners, preparing a plan to reflect the interests of learners as much as possible. Third,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was found to be providing high satisfaction to the program by well understanding the needs, preferences and values ​​of participating learners in the course of the program. A strategy should be prepared to accommodate and improve the complaints of the participating learners with immediate feedback, and to communicate with the operation instructors and the participating learners to obtain more valuable results through the meeting. Fourth, in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classes were conducted appropriately through a meeting of participating learners, operating instructors, and exper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lass system through collaboration with experts and professional arts organizations for more subdivided and diverse programs for appropriate classes for participating learners and operating instructors. Fifth, in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ting learners had improved their self-direction ability while recognizing, exploring, and expressing themselves through the program.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programs for the cultivation of positive thinking and healthy mentality of participatory learners. Sixth,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was found to improve imagination and creativity by inducing various expressions of participants through various art media. Strategies should be devised to expand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ng learners to generate their own ideas so that they can develop more diverse perspectives and ideas, as well as rich imagination and creativity. Seventh, in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ng learners improved their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skills in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through communication, understanding, and compromise. Considering that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activities affect the social interactions of participating learn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twork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in cooperation with variou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Eighth,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was found to make the participants recognize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Yeoncheon area, expand the knowledge base,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 Therefore, a system for diversifying regional cultural heritage should be prepared to develop it into experiential activities and regional cultural experiences to increase the level of interest.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연천지역 학습자들에게 자아탐구, 창의력과 상상력, 공동체 의식, 지역문화유산의 이해와 가치의 소중함을 깨닫 게 하는 경기도 교육청 꿈의 학교 프로그램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을 연구 선정하여 운영사례를 질적 연구 방 법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교육청에서 기획한 경기 꿈의 학교 프 로그램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프로그램을 연천지역에서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기획과 실행과정을 근거로 지역문화예 술교육과 지역문화 발전에 대한 성과를 분석하는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연천군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은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발전에 필요한 운영 방법을 이해하여, 문화예술교육 과 연천군의 지역문화유산 진흥 강화에 의미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예 술교육프로그램의 교육과정과 참여 학습자들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평가하 고 효과를 분석하여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발전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를 위해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 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의 과정 분석은 효과성, 적절성, 대응성, 적합성을 분석기 준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효과는 문화예술교육프로 그램의 인식, 자아탐구를 통한 자기주도능력과 자기표현, 창의력과 상상력, 공 동체 의식, 지역문화유산의 이해를 통해 지역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발전 확장 에 대한 직접적 결과의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관계 규명을 통해 문화 예술교육과 지역문화유산을 통해 지역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발전방안의 중 요성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연천지역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해 2020년 운영 한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실적을 중심으로 평가하고, 평가된 프로그램을 분석대상으로 제시하였다. 분석은 연천 군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참여자 9인을 대상으로 한 질문지 인터 뷰 내용을 토대로 진행되었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문화예술교육과 지역문화유산에 대한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리고 이 프로그램은 지역 참여 학습자의 자아탐구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프 로그램 참여 학습자와 전문 예술인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참여 학습자들의 문 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육성과 활동 범위를 확대하고, 충실도를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추진하고 있는 기획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 었다. 이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경기 꿈의 학교>를 운영하던 PM이 지역 지역문화유산과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확산 및 진흥시키기 위하여 적극적인 상황 대처 방안을 논의하여 다양한 예술 매체를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의 목적에 적합하게 운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지역문화유산의 이해, 다양한 예술 매체 활용, 신체활동과 아트파티로 참여자 참 여한 인원들의 프로그램 목표와 취지에 모두 달성하도록 노력하였으며, 문화 예술교육프로그램이 지역문화유산과 문화예술교육의 발전에 더 많이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으며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발전에는 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하나로 참여 학습자들의 자아탐구를 통해 자기 주도 적 능력 과정과 공동체 의식, 상상력과 창의성을 공유함으로 문화예술교육프 로그램 기획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연천지역의 숨어 있는 새로운 물적‧ 인 적자원을 통해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크게 도움이 되어 전문성 향상에 기 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은 아직은 학습자들의 참여가 부족하고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를 앞 으로 지역학습자들이 참여하여 연천군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이 발전할 수 갈 수 있도록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으며 프로그램을 참여하여 기존에 참여하 고 있던 인원들에게 문화예술교육과 지역문화유산에 이해에 대한 지식을 알고 연천지역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기반을 확충할 수 있는 기반이 형성 되어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분석 결과에서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은 지역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으로 참여 학습자들이 지역문화유산과 문화예술교 육을 함께 활동을 경험하였다. 따라서 지역문화예술교육이 참여 학습자들의 성장 향상을 위해서 지역의 문화유산과 문화예술교육의 융합을 인지할 수 있는 프로그 램을 확대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 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지역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으로서 참여 학습자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구성되었다. 앞으로 지속 가능한 지역문화예술교육프 로그램으로 도입하기 위해서 참여 학습자들의 관심 분야를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 용하고 참여 학습자들의 흥미와 적성을 찾을 수 있는 설문 또는 체험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경험을 유도하여 참여 학습자들의 관심 분야를 최대한 반영할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은 참여 학습자들이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의 요구와 선호 그리고 가치를 잘 파악하여 프로그램의 높은 만족감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참여 학습자들 의 불만 사항들을 즉각적인 피드백으로 수용하여 개선하고 운영 강사들과 참 여 학습자들이 회의를 통하여 더 가치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넷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은 참여 학습자들과 운영 강사 그리고 전문가들의 회의를 통하여 적절하게 수 업이 진행되었지만, 참여 학습자와 운영 강사들의 적합한 수업을 위해서 더 세분화되고 다양한 분야의 프로그램을 전문가와 전문예술단체와 협업을 통한 수업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다섯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 램은 참여 학습자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 학습자의 자아를 인지하고 탐구 하고 표현하면서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자기 주도 능력이 향상되었다. 앞으 로 더 나아가 참여 학습자들의 참여 학습자들이 긍정적인 사고하고 건강한 정 신함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한다. 여섯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다양한 예술 매체를 통하여 다양한 표현을 통해 상상력과 창의성을 향상시 킬 수 있었다. 참여 학습자들이 더 다양한 관점과 생각의 발상 그리고 풍부한 상 상력과 창의력 함양을 위해서 참여 학습자가 직접 아이디어를 낼 기회를 확대하 는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일곱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 램을 통해 참여 학습자들이 소통과 이해 그리고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공동체 의식과 사회성이 향상되었다. 이처럼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활동이 참여 학습자들의 사회적 상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여 여러 기관과 단체와 협력하여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야 한다. 여덟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 램은 연천지역의 문화유산을 인지하고 지식기반 확충과 지역문화유산의 중요 성을 인지하게 되었다. 따라서 지역문화유산을 관심도를 높이기 위한 체험활 동과 지역문화 체험으로 전개할 수 있는 다양화하는 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 국악FM방송의 국악 교육 자료 활용도 조사 연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 및 국악예술강사를 중심으로

        임희연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99

        본 연구는 현재 라디오 FM 99.1MHz에서 방송되고 있는 국악FM방송의 국악 교육 자료가 학교현장에서 얼마나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실태조사와 더불어 앞으로의 국악방송에서의 국악교육 프로그램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조사, 연구하였다. 국악의 일상화는 많은 사람들이 하는 이야기로 국악교육이 실천되지 않고 있어 항상 논의되는 말이다. 국악이 우리나라 음악임에도 국민들의 무관심속에서 유네스코에 등재되는 과업이 수행되고 있다. 국악의 일상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한국문화의 미래를 위한 커다란 과제이기도 하다. 특히 한국전통문화에 대한 국민 공감 증진을 비전으로 삼고 있는 국악FM방송은 자라나는 아이들을 위해 전문적인 영역의 콘텐츠를 더욱 더 많이 제작하고 확산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방송매체의 특징과 교육적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국악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 매체로서의 방송의 역할에 대해서도 논의해 보았다. 이 논문의 실질적인 부분은 국악전문방송 국악FM방송이 교육적 측면에서 방송의 편성과 교육자료 보급의 실태 분석을 위해 현직 초등학교 교사와 <국악예술강사 지원사업>에 속한 국악예술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국악FM방송의 교육 자료가 얼마나 활용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우선 국악FM방송 교육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한 결과 국악교육에 관한 프로그램은 <국악의 발견>, <풍물 기행>, <백문 백답>, <국악은 내친구>가 있다. 그 중 어린이 교육 관련 프로그램은 <국악은 내친구> 하나였다. 국악FM방송의 어린이 국악 교육 보급 자료의 실태는 감상자료로 ‘국악방송 추천아이들 노래’ 음반이 있었으며, 영상자료는 다양한 영상을 볼 수 있는 ‘웹TV’, 그리고 디지털 우리악기 교과서 ‘톺아보기’가 있었다. 담임교사와 국악예술강사를 대상으로 국악FM방송 교육 자료 활용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성을 얻었다. 첫째, 국악FM방송은 단계별로 눈높이에 맞는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편성하여 시기에 맞게 적적히 조정할 수 있는 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국악FM방송은 교과서 중심의 제재곡이 담긴 음반을 만들어 학교교육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시장을 형성하며, 적극적인 홍보와 보급이 필요하다. 셋째, 국악FM방송은 아이들의 위한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국악FM방송은 어린이 프로그램 확장과 다양한 전통음악 교육콘텐츠 개발, 시대의 흐름에 맞게 재구성을 하여야 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체계적인 홍보를 하여야 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how the educational material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t Gugak FM Radio, broadcasted from FM 99.1MHz radio station, are utilized at schools as well as to propose improvements to the future Gugak educational radio programs. There always has been ongoing debates concerning the issue of the gener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ecause proper education has not been practiced in this field. Despite Gugak is Korea's music, it has made to the UNESCO list amidst Korean's neglect. There may be various methods to realize the gener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owever, this also act as a big task to the future culture of Korea. Gugak FM Radio, which specially sets their vision of promoting nationwide sympathy toward Korean traditional culture, is working on numerous projects to produce and spread more professional contents for the growing children. To achieve theses research goals as mentioned above, the study will take a close look to the features and educational roles of the broadcasting media. In addition, discussion regarding the role of broadcast as a media will be made to activate Korean music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perspective of Gugak FM Radio, a professional Korean broadcasting station, the survey was made to analyze the current broadcast programs and the distribution state of educational materials. In order to understand how much the educational materials from Gugak FM Radio are utilized, survey was carried among in-service elementary school class teachers and Korean music art instructors, affiliated to <Korean Music Art Instructors Support Projec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Gugak FM Radio, educational programs were found as <Discove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rips to Institutions and Customs of Korea>, <100 Questions 100 Answers>, and <Gugak is My Friend>. Among these programs, <Gugak is My Friend> was the only educational program for children. Gugak FM Radio provided materials in various types. Audio material was the album, 'Recommending Korean Music for Children', various visual data was 'WebTV', and digital texbook of Korean instruments was 'Thoroughly Examining'. Aiming at school class teachers and Gugak art instructor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usage of educational materials from Gugak FM Radio. First, Gugak FM Radio should develop and organize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which are fitting to the children's level. The program should build structures that can be easily adjusted to any period. Second, Gugak FM Radio should make an album, including songs from textbooks, form a music market, and actively publicize and supply the album in order to make it usable at the educational arena. Third, visual contents for children must be produced by Gugak FM Radio, which can be utilized accordingly. Fourth, Gugak FM Radio should extend children's program, develop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of traditional music, and realign the program adapted to the current trend as well as make a systematic publicity to achieve these goals.

      • 다문화 청소년 국악인식개선을 위한 교내 국악방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PBL(문제중심학습)을 중심으로

        김효진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99

        Today, the notion of Multiple Cultures is no longer a foreign concept in Korean society with an unprecedented increase in population movement across the national borders that is facilitated by globalization. It is not uncommon to meet people from other cultures on buses or metros, and it has become easier than ever before to find restaurants providing dishes from various countries on the streets. Multi-cultural festivals and events are held throughout the year in cities and countrysides, and in some areas, multi-cultural population is even greater than the number of Koreans. As such, the education for the second gener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come crucial in the education field as the country is rapidly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The number of second-generatio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is showing a steady growth through either immigration or given birth in Korea. As they grow up, they may face diverse problems and conflicts from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non-multi-cultural peers, which can be intensified in adolescence.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and conflicts, it is necessary for them to integrate and adapt to the Korean society in a stable manner. Thus, understanding Korea must be preceded. In order to understand a country,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its authentic culture, and music is one of the core components. Experiencing and appreciating a country's music can help understanding the country’s history, emotion and culture, hence it is a good way for the multi-cultural youth to lear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K-Pop is increasing its reputation world-wide in this modern society where various digital media floods along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e world-wide popularity of K-Pop is often heard from news media and its melody is also heard from every corner of the country. Whereas Korean traditional music is underestimated by young people as they believe that it is only enjoyed by older generations, and together with such prejudice, it is further unfamiliar to the multi-cultural youth. Therefore, this study confirms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of multi-cultural youth on Korean traditional music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Problem Based Learning(PBL) approach, which develops Korean traditional music programs in schools using radio broadcast media, and aims to make it possible to use it in practice.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that designed to include 12 sessions for 44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Polytechnic Dasom High School (Jecheon, Chungbuk), which is a high school exclusively for multi-cultural youth. From the moment that the students are given the mission of cre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radio program, they actively and autonomously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through out the whole procedure of production including teaming up, dividing roles, developing program contents, script writing, selecting music, sound control, and finally broadcasting the program. Therefore, in the course of the 12 sessions, the each team cooperated and resulted in successfully developing diverse and creative programs. The improvements in the awarenes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measured through pre- and post-test surveys, and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changes in five variables which include 'interest', 'familiarity', 'awareness', 'changes from negative perception', and 'perception impro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hoped that the propo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ill be modified and adapted to be used in practice with different schools and various students. 세계화에 따라 국가 간 인구이동이 활발해진 오늘날 ‘다문화(Multiple cultures)'는 한국 사회에서 더 이상 어렵지 않게 마주하는 개념이 되었다. 버스나 지하철을 타면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을 쉽게 마주칠 수 있고, 길거리에서는 다양한 나라의 음식을 판매하는 식당들을 곳곳에서 찾을 수 있다. 도시든 시골이든 연중 다양한 다문화 축제와 행사들이 열리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한국인보다 다문화 인구가 더 많이 분포하고 있는 곳도 있다. 이처럼 빠른 속도로 다문화사회(Multi-cultural Society)로 진입하고 있는 요즘, 교육현장에서 다문화 2세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도 날로 커지고 있다. 한국의 다문화 2세는 한국에서 출생하거나 타국에서부터 중도입국을 하며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성장과정에서 한국의 비다문화 또래들과의 차이로 다양한 문제와 갈등을 마주하게 되며, 이는 청소년기에 더욱 심화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와 갈등을 풀어나가기 위해서는 한국사회로의 안정적인 통합과 적응이 필요하며, 그러기 위해 한국에 대한 이해는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 나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나라의 고유한 문화를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음악은 그 나라의 문화를 이루는데 중핵적인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 어떠한 나라의 음악을 경험하고 아는 것을 통해 그 나라의 역사와 정서,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 청소년들이 국악을 경험하고 아는 것은 한국의 역사와 정서,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길이다. 한편, 요즘 K-Pop의 위상은 인터넷의 발달로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가 범람하는 현대사회에서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다. K-Pop의 세계적 인기는 뉴스나 신문기사를 통해 속속 접하고 언제 어디서든 당연하게 흘러나오는 멜로디는 우리에게 너무나도 자연스럽다. 그에 비해 한국의 전통음악인 국악은 낡고 고루한 한국 옛 어른들의 음악이라는 선입견 아래 청소년들에게 경시되고 있으며, 한국의 다문화 청소년에게 국악은 이러한 선입견에 생소함까지 더불어 멀고 먼 음악으로 치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에게 라디오 방송 매체를 활용하여 교내 국악방송 프로그램을 개발해 보는 PBL(Problem Based Learning, 문제중심학습) 중심의 교수·학습을 통해 국악에 대한 인식개선 여부를 확인하고, 이것이 교육현장에서 실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 대상 고등학교인 한국폴리텍 다솜고등학교(충북 제천 소재) 1학년 재학생 44명을 대상으로 총 12차시로 고안한 교수·학습지도안을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12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교내 국악방송 프로그램 개발이라는 문제에 직면한 순간부터 팀 구성과 역할 나눔 및 프로그램 구성, 대본 제작, 선곡, 내레이션, 음향 조작, 방송 송출까지의 전 과정에서 학습의 주체가 되어 참여하였으며, 각 팀별로 다양하고 창의적인 방송 프로그램을 협업하여 개발하는 결과를 내었다. 연구 대상의 국악에 대한 인식개선 여부는 사전·사후검사지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이를 통계 분석한 결과 국악에 대한 ‘관심’, ‘친밀감’, ‘인지도’, ‘부정적 인식의 변화’, ‘인식개선’의 다섯 가지 변수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교수·학습방법이 보다 다양한 교육현장과 다양한 대상에게 확대되어 그에 맞도록 수정, 변형을 거쳐 실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다문화 가족 및 외국인을 위한 전통악기 수업지도안 개발 연구 : 해금교육을 중심으로

        김하얀 추계예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67

        Cultural education has become urgent in the process of Korean society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It is time to be concerned with overcoming conflicts and difficulties that may arise when different races of different cultures are settled in one country and realizing a true society.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 using Haegeum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foreigners living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Haegeum, fingering method, score, playing position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Haegeum were examined to understand Haegeum. In addition, various community center support center programs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foreigners, as well as the programs of University Korean Language School (Yonsei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Konkuk University, Sogang University, Sunmoon University) were examined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support centers and university courses, Korean cultur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education program in it, was not a distinctive educational program except one place and most of them were one-day experience and one-time lectures. Korean classes is main and cultural classes was held as needed. It seems to be difficult to secure enough lecture hours for Haegeum education because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s is to provide support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education centers of universities. However, it is clear that various programs are going on, and that there is a regional support center or university education institute with a positive educational direction for musical instruments. Based on the positive analysis, two pieces of Arirang and Edelweiss for the educational program were selected for the educational program, approach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Haegum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foreigners. This course consists of six classes for each piece, and the finalization of the 6th concert will be concluded with the orientation of the first class. The course contents were developed based on Haegum 's fingering sole position, and the instructional guidance applying this was also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interest and continuous educ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foreigners will be achieved and that their lives in Korea will create richer values and realize an ideal multicultural society.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를 이루어 가는 과정 속에서 문화 교육은 시급해 졌다. 저마다의 문화를 가진 서로 다른 인종이 한 국가에서 정착하며 살아갈 때 생길 수 있는 갈등과 어려움을 극복하고 참사회를 이루어 가는 데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이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에서 살아가는 다문화 가족 및 외국인들을 위해 해금을 활용한 실제적인 문화 교육을 실행할 전통악기 수업지도안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문에서는 해금이라는 악기를 이해하기 위해 해금의 구조와 특성, 운지법과 악보, 연주자세 등을 살펴보고 해금이 가지는 교육적 가치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다문화 가족과 외국인들을 위한 실제적인 수업지도안을 개발하기 위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여러 지역구의 지원센터 프로그램과 대학교 한국어 학당(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건국대학교, 서강대학교, 선문대학교를 중심으로)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당 지원센터와 대학교의 과정들 중 한국 문화, 그 안에서 진행 하는 전통 악기 교육 프로그램은 1곳을 제외하고 뚜렷한 교육 프로그램이라고 할 만한 곳이 없었고, 대부분 1일 체험, 일회성 강좌로 진행되고 있었다. 한국어 수업이 주가 되고 문화 수업은 필요에 따라 진행된다. 본래 다문화가족을 위한 지역구 지원센터나 대학교의 교육원들이 운영되는 취지도 한국어 교육이 기본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해금 교육을 위한 충분한 강의 시간을 확보 하는 것은 다소 어려움이 있어 보인다. 하지만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진행되는 것은 분명하고, 악기에 대한 긍정적인 교육 방향을 가진 지역구 지원센터나 대학교 교육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긍정적인 분석을 토대로 다문화가족 및 외국인을 위한 해금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접근하였고, 교육 프로그램에 활용할 곡으로 아리랑과 에델바이스 두 곡을 선정하였다. 본 수업지도안은 곡 별 총 6차시 수업으로 구성하였고, 1차시 오리엔테이션을 시작으로 하여 6차시 연주회 발표를 끝으로 마무리를 한다. 해금의 운지법 중, 기본적인 솔 포지션을 바탕으로 수업내용을 연구하였고, 이를 적용한 수업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문화 가족 및 외국인들에게 꾸준한 관심과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길 기대하고 그들의 한국에서의 삶이 보다 풍부한 가치를 창출하여 이상적인 다문화 사회를 구현해 나가는 것을 기대해 본다.

      • 지역문화 진흥사업 운영사례 분석 연구 : <N개의 서울 강북문화재단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이동규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51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cusing on the <N Seoul> project, which is a project that aimed at providing residents with local values ​​and preciousness and developing local areas for the promotion of the local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hievements of local culture promotion project of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on local culture and arts and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by selecting <N Seoul> project in Gangbuk-gu, focusing on the <N Seoul> project of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N Seoul> of Gangbuk-gu analyzed the project implementation process and project outcomes resulted from projects participants for each project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operation method necessary for the promotion and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and great significance in strengthening the promotion and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and it was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art support and knowledge network. This study set the validity, fidelity, efficiency, suitability, achievement, and effectiveness as analysis criteria in the project process of <N Seoul> for a case study.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the project was analyzed based on the direct outcomes of local culture awareness, improvement of expertise, conversion of commerciality, expansion of instruction base, formation of network, and expansion of local culture and arts, suggesting the significance of a local culture promotion proj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ulture by verifying this associa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N Seoul> project of Gangbuk-gu, focusing on the four-year performance from 2017 to 2020, which was the stable operation period of <N Seoul>, to promote local culture, and presented the evaluated project as an analysis object.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interview contents for the questionnaire for six participants in <N Seoul> in Gangbuk-gu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N Seoul> project had the greatest effect of promoting local culture and showed a positive effect on local culture. In addition, it appeared this project expanded the scope of activities to foster a network of artists and life artists and to gather public opinion, and increased fidelity through face-to-face and contact-free meetings. Second, it was analyzed that <N Seoul> had high efficiency in a very difficult situation to promote the project. In this project, Gangbuk Cultural Foundation and PMs discuss ways to cope with the situation in order to spread and promote the grassroots local culture that is close to local life, and actively operate the media in non-face-to-face, and they are appropriately operated for the purpose of the project. Third, it was analyzed that <N Seoul> project made efforts to help participants to achieve all of their plans and goals of the network party, platform, and planning school, promotion of local culture had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local culture and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indirectly helping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Fourth, it was analyzed that <N Seoul> project, as one of the local culture promotion projects, helped a lot in recognition of local culture by sharing the commonality and tradition of local residents and greatly helped in promotion and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through new human resources hidden in the Gangbuk region. Fifth, it was analyzed that <N Seoul> project still lacked participation of local influentials and wealthy people, but had the possibility to develop into a specialized project unique to Gangbuk-gu, where local maintainers participate starting from a planning school and taught existing participants of the project knowledge of the local area and expanded the foundation for local culture. Sixth, it was analyzied that <N Seoul>, as a local culture promotion project, created an effect on local culture and local culture promotion of the network for local residents through mutual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visiting and connecting local cultures that local residents have not discovered yet and developed into educational effect and local culture experience, suggesting active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and a systematic support system are important. The suggestions obtain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N Seoul>, a local culture promotion projec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it should provide participants with a positive experience in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through activities including planning schools, network parties, and platforms and ensure a long-lasting support system for the improvement of local culture promotion. Second, because <N Seoul> has a system that diversifies the plan in which participants belonging to the local culture can newly organize the values of their local culture and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resident network,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project participants so that they can experience various local cultures and networks. Third, it was found that this project is not being carried out in various ways due to time, economic, and spatial constraints. Therefore, participants and experts who improve local culture should have a plan to ensur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participation, prospective participants who do not participate should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promote various forms of local culture and space expansion and promotion plans that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needs to be prepared. Sixth, in the <N Seoul> project, participants were able to reevaluate the local culture themselves and learned the value of the network expansion and local culture when they experienced the local culture. This project is being connected by a large number of local private networks, and should prepare plan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Gangbuk area in order to expand the knowledge base and enhance the effect of the network. 본 연구는 지역문화 진흥을 위하여 주민들에게 지역의 가치와 소중함을 제공하고 지역의 발달시키는 사업인 <N개의 서울> 사업을 대상으로 사례를 질적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문화재단의 <N개의 서울> 사업을 대상으로 강북구 <N개의 서울> 사업을 선정하여 서울문화재단의 지역문화 진흥사업의 시행에 대한 지역 문화예술과 지역문화 발전에 대한 성과를 분석하는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강북구 <N개의 서울>은 지역문화 진흥 발전에 필요한 운영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지역문화 진흥과 발전에 강화하는 데 큰 의미를 두고 사업의 시행과정과 사업 참여자들이 프로젝트별로 시행한 사업성과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예술지원과 지식네트워크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 연구를 위해 <N개의 서울>의 사업 과정은 타당도, 충실성, 효율성, 적합성, 달성도 및 효과성에 분석기준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사업성과는 지역문화 인식, 전문성 향상, 상업성 전환, 지시기반 확충, 네트워크 형성, 지역 문화예술 확장에 대한 직접적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관계 규명을 통해 지역문화 진흥사업이 지역문화의 발전방안의 중요성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문화 진흥을 위해 <N개의 서울>의 안정적 운영 시기인 2017년부터 2020년까지의 4년 실적을 중심으로 강북구의 <N개의 서울> 사업 프로젝트를 평가하고, 평가된 프로젝트를 분석대상으로 제시하였다. 분석은 강북구의 <N개의 서울> 참여자 6인을 대상으로 한 질문지 인터뷰 내용을 토대로 진행되었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개의 서울> 사업은 지역문화 진흥의 효과가 가장 크고, 지역문화에 대한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사업은 예술인과 생활 예술인들의 네트워크 육성과 여론 수렴을 위해 활동 범위를 확대하고 대면과 비대면 회의를 통해 충실도를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N개의 서울>은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여건이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사업은 강북문화재단과 PM들이 지역 생활과 밀착한 풀뿌리 지역문화를 확산 및 진흥시키기 위하여 적극적인 상황 대처 방안을 논의하며 비대 면으로 매체를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사업의 목적에 적합하게 운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N개의 서울> 사업은 네트워크 파티, 플랫폼, 기획학교가 참여자 참여한 인원들의 기획과 목표가 모두 달성하도록 노력하였으며, 지역문화 진흥이 지역문화와 지역문화 발전에 더 많이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으며 지역문화 발전에는 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N개의 서울> 사업은 지역문화 진흥사업의 하나로 지역 주민들의 공유성과 전통성을 공유함으로 지역문화 인식이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강북 지역의 숨어 있는 새로운 인적자원을 통해서 진흥에 크게 도움이 되어 전문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N개의 서울> 사업은 아직은 지역 유지들과 재력가들의 참여가 부족하고 기획학교를 앞으로 지역 유지들을 참여하여 강북구만의 전문사업으로 만들어 갈 수 있도록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으며 프로젝트를 참여하여 기존에 참여하고 있던 인원들에게 지역에 대한 지식을 알고 지역문화에 대한 기반을 확충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되어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N개의 서울>은 지역문화 진흥사업으로 지역 주민들에게 지역문화와 네트워크에 대한 지역 문화진흥 지역문화에 대한 효과가 지역 주민들이 발굴하지 못한 지역문화를 찾아가 연결하는 과정에서 서로의 참여로 만들어가고 있으며 지역문화 진흥사업으로 교육적 효과와 지역문화 체험으로 전개되어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참여와 체계적인 지원체제가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분석 결과에서 토대로 얻어진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문화진흥사업인 <N개의 서울>은 지역문화 발전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참여자들이 기획학교, 네트워크 파티, 플랫폼 등을 매개체로 한 활동을 통하여 지역문화 발전에 긍정적인 경험을 유도하여 지역문화 진흥의 향상을 위하여 오래갈 지원체제가 보장되어야 한다. 둘째, <N개의 서울>은 참여자가 지역문화에 소속되어 지역문화에 대해 소중함을 새롭게 정리하여 만들어 갈 수 있는 기획을 다양화하는 체제와 주민 네트워크 발전에 효과가 긍정적으로 효과가 있어 사업 참여자들이 다양하게 지역문화를 네트워크를 경험 있도록 지역문화와 네트워크의 연계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N개의 서울> 사업은 시간적, 경제적,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N개의 서울>이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문화를 향상하게 시키는 참여자와 전문가가 참여 경제성을 담보하는 방안과 참여하지 않는 잠재 참여자들에게 다양한 형태의 지역문화 진흥의 기회를 마련해 주고 네트워크로 연계할 수 있는 공간 확장과 홍보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여섯째, <N개의 서울> 사업은 참여자들이 지역문화를 경험할 때 스스로 지역문화에 대해 재평가하게 되었고, 네트워크 확장과 지역문화에 대해 소중함을 알게 되었다. 이 사업은 지식기반 확충과 네트워크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지역 민간 네트워크에 의하여 많은 연결이 되고 있고 강북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 고등학교 가야금병창 교수학습 지도안 연구 : 2015 개정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유정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51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국악강사를 위한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연구로, 국악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을 위하여 가야금병창 교수학습지도안을 구안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개발된 교수학습지도안의 교육적 효과를 조사한 논문이다. 가야금병창은 노래와 가야금 연주를 동시에 진행하는 연주 형태로, 2015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 역량 중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에 부합하는 교육으로 큰 장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을 키우는 통합적 활동의 한 방안으로 가야금병창을 활용한 교수학습지도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밝힌 음악 경험을 통한 음악성과 창의성 개발에 본 연구의 취지와 필요성을 두었다. 또한 교수학습지도안의 작성에 2015 개정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곡을 활용하고, 이후 구안한 교수학습지도안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개발된 교수학습지도안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가야금병창 교수학습지도안 연구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야금병창 교수학습지도안은 총 12차시로 작성하기로 하였다. 둘째, 가야금병창 교수학습지도안 작성의 지도곡 선정을 위해 고등학교 10종의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가야금병창과 관련된 제재곡 전체를 알아보았다. 또한 가야금병창과 관련된 제재곡을 교과서별로 추출하여 민요와 판소리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경기민요 아리랑>과 <판소리 춘향가 중 사랑가>를 선택하여 지도곡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교수학습지도안 작성의 기준은 각 차 시마다 학습주제와 목표를 설정하여 그 목표에 맞는 주요 학습내용을 정리하였으며 본 연구자가 지도곡을 직접 새롭게 악보화 하여 수업에 활용하였다.. 넷째, 위와 같이 개발된 교수학습지도안을 실제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교수학습지도안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았다. 다섯째, 개발된 교수학습지도안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21년 3월부터 6월까지 경기도 성남시 소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98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방식은 현재 코로나19상황으로 비대면과 대면 수업으로 교차 진행하고, 비대면 수업은 온라인 클래스 줌(ZOOM)을 활용한 실시간 쌍방향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지도안을 실제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교수학습지도안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 역량 중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에 가장 부합하는 가야금병창 교수학습지도안을 구성하여 보다 넓은 시야에서 바라 볼 수 있는 통찰력과 단체활동, 모둠별 활동을 통한 공감, 교류 능력을 높일 수 있었다. 둘째, 국악을 전공한 전문성있는 예술강사가 국악 교육을 함으로써 흥미도와 몰입도를 높일 수 있었고 실제 수준 높은 시범연주를 보여줌으로써 음악적인 수준과 공감능력을 높일 수 있었으며, 수업이 진행 될수록 국악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 되는 걸 느낄 수 있었다. 셋째,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국악제재곡 중 빈도수가 높은 두 곡을 단계별로 악보를 제작하여 수업을 한 결과 차시별 학습목표에 맞게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일방적인 주입식 교육이 아닌 제재곡을 기준으로 다양한 음악활동을 함으로써 성취도 또한 높아졌다. 넷째, 수업시간에 모둠별 창의 융합형 중심 교육을 함에 있어 학습태도가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변화하면서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향상되고 학생들 간의 창의적이고 기발한 생각들을 공유하며 모둠별 협동심과 배려심이 길러지는 것을 엿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실제 수업에 활용한 결과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고, 나아가 가야금병창악보 개발 및 교수학습지도안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며 비대면 수업에 대비하여 좀 더 다양한 온라인 음악교과수업 콘텐츠개발이 요구되는 바이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lesson plans that the instructor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can use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Keeping in mind for the students who have not encountered traditional Korean music before, this study designed lesson plans for teaching Gayageum Byeongchang (folk singing with Gayageum) and implemented them in actual classe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lesson plans. Gayageum Byeongchang is a musical performance of singing to the accompaniment of th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called Gayageum. Gayageum Byeongchang meets the criteria for developing ‘musical creativity and integrated thinking competency’, which is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present the lesson plans using Gayageum Byeongchang in an integrated activity to develop ‘musical creativity and integrated thinking competency, which was specified in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effect of implementing the lesson plans that use the songs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music textbooks. The content and the method of this study on the lesson plans for teaching Gayageum Byeongchang are as follows. First, we decided to design a total of 12 lesson plans for teaching Gayageum Byeongchang. Second, to select the songs to include in the lesson plans for teaching Gayageum Byeongchang, we looked through 10 different high school music textbooks for all songs related to Gayageum Byeongchang. Among the songs (Minyo and Pansori) we had extracted from each textbook in relation to Gayageum Byeongchang, we selected the songs that were found in most music textbooks as follows: <Gyeonggi Folk Song, Arirang> and <Saranga from Pansori Chunhyangga>. Third, we decided topics and objectives as the basis for each lesson, and organized the main contents based on the objective. The researcher created the sheet music for the songs to use during lessons. Fourth, we executed the lesson plans during actual lessons and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lesson plans. Fifth,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lesson plans, we taught 198 10th graders at a high school located in Sungnam, Gyeonggi province, from March through June in 2021. Due to the pandemic of COVID19, we alternated between in-class lessons and real-time interactive ZOOM lessons as a non-face-to-face teaching method. The results of implementing the lesson plans among the students and investigating the educational effect of lesson plans are as follows. First, the lesson plans for teaching Gayageum Byeongchang are ideal for developing ‘musical creativity and integrated thinking competency,’ which was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music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the lessons, which engaged the students in class and small group activities, increased the students’ insight to see from a broader perspective, as well as the students’ capacity to empathize and interact with others. Second, the lessons given by a professional instructor who majored in traditional Korean music increased the level of interest and engagement. As the instructor demonstrated a high level of performance, the students’ level of music skills and empathy improved. As the lessons progressed, the students’ views on traditional Korean music also changed positively. Third, the two selected songs, which are most frequently found in high school music textbooks, were taught using the gradually progressing sheet music. The result showed that the students’ level improved, meeting the objective for each lesson. By implementing a variety of musical activities as opposed to unilateral cramming education, the students’ level of achievement also improved. Fourth, the lessons incorporated creative and integrated small group activities. As a result, the students’ attitude became more positive and proactive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improved. We also observed that a sense of cooperation and mindfulness of others was nurtured while sharing creative and ingenious ideas among themselves. In sum, the implementation of the lesson plans produced positive results. For future music education, it is urgent to develop sheet music as well as lesson plans for Gayageum Byeongchang. With regard to non-face-to-face lessons, it is imperative to develop diverse contents for online music lessons.

      • 전래동화를 활용한 국악기 지도방안 연구 : 초등학교 1, 2학년을 중심으로

        김예진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35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이들에게 친숙한 전래동화를 활용한 국악기 수업지도안을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국악 수업 지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수·학습 지도안 모형에 따라 총 8개 차시에 대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수립하였다. 각 차시에 따른 수업주제와 목표를 정한 후, 3단계의 교수·학습활동을 통해 국악과 국악기를 이해하고 다양한 체험 활동을 유도하였다. 1단계는 전래동화의 내용을 이해하고 전래동화의 내용을 자유롭게 신체나 목소리, 도구 등을 활용해 소리로 표현할 수 있는 창의력을 높이는 수업과, 국악기의 기본적인 소리와 유래를 이해하는 수업으로 진행된다. 2단계는 전래동화 혹부리 영감의 내용을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각색한 대본을 만들고, 대사와 장면에 어울리는 국악기를 탐색하는 활동으로 진행된다. 3단계는 배운 내용에 대한 총체적인 연습을 통해 전래동화의 내용을 국악기로 표현하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각 차시는 다양한 음악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학습한 내용의 복습 및 다음 차시 수업 내용에 대한 예고를 통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배운 내용을 되짚어보고 다음 수업을 준비할 수 있게끔 유도하였으며, 각 차 시별로 평가계획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 제시된 교수·학습 지도안에서의 감상 활동은 시청각 자료를 통해 국악의 소리를 듣고, 국악기를 연주하는 모습을 감상함으로써 앞으로 자신들이 다루게 될 악기를 어떻게 다루고 연주해야 할지를 가늠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두 번째로 기악 활동은 전래동화 ‘혹부리 영감’에 등장하는 의성어와 의태어, 대사에 어울리는 국악기의 소리를 찾고, 시청각 자료로 제공되는 국악기 연주 동영상을 따라 하면서 국악기마다 어떻게 다른 소리를 내는지를 이해하고, 직접 악기를 자유롭게 연주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세 번째는 가창 활동으로 수업 시간에 모둠별로 전래동화 ‘혹부리 영감’에 나오는 장면과 대사들을 자유롭게 각색한 내용에 음을 붙여 직접 노래를 해보는 활동이다. 이를 통해 기본적인 민요의 음을 이해하고, 국악의 리듬감을 익힐 수 있게 만들고자 하였다. 네 번째로 체험 활동은 수업 차시별로 제공되는 모둠별 활동, 개인 활동 등을 통해 국악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고 느낄 수 있게 만드는 활동으로,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신체적 표현을 통해 국악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끔 구성되었다. 각 차 시별 수업지도안에 따라 반영되는 수업자료와 유의점, 활동 영역 등은 지도 방법 및 활동 내용에 따라 교수자가 응용해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전래동화를 활용한 국악 교수 방법은 학습자들이 수업에 대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스스로 악기를 연주하고 장단을 만들며, 노랫말을 지어보는 활동을 통해 국악에 대한 흥미를 가질 수 있게 되고, 친숙한 전래동화의 이야기를 국악으로 표현하는 과정에 몰입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국악과 국악기에 대한 이해를 증진 시킬 수 있으며, 음악적 표현 능력의 향상,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 간 긍정적인 상호작용, 협동심과 책임감의 증진 등의 교육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ffective and practical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method by using folk tales familiar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lesson plan for 8 classes based on lesson plan model. After setting the class subject and goal for each class, this study encouraged students to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nstrument and provided various experience activities through 3 stages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 first stage was composed of a class for understanding the folk tale story and enhancing the creativity by expressing the story in sound using body, voice, and tools. The first stage also included a class for understanding basic sound and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In the second stage, students reorganized the script for the folk tale, ‘The Wenny Old Man’ and explore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 suitable for the lines and scenes. In the third stage, students had overall review on materials they learned and expressed the stories of folk tale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 Each class was composed for student’s various experience of music activities and students were encouraged to review and prepare for the next lesion by providing the preview on next class contents. Also, evaluation plans were set for each lass. In the lesson plan suggested in this study, the appreciation activity involved visual and auditory materials and the students learned the kinds of instruments they will be learning and learned how to play the instrument by hearing the soun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appreciat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Secondly, through the instrumental activities, students explored the soun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suitable for onomatopoeic word and lines appearing on the folk tale, ‘The Wenny Old Man’. The students also repeated after the visual and auditory materials to understand the different sounds of instruments and play the instruments freely. Third, the lesson plan also had singing activity. The students gathered in group and freely reorganized the scenes and lines of the folk tale ‘The Wenny Old Man’ and sang a song of them with melody. The purpose of singing activity wa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basic sound of folk song and become familiar with the rhyth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urth, the experience activity included group activity and individual activity for students to experience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experience activity was also designed for enhancing understanding on the class and encouraging interest on Korean traditional music through physical expression. The class material, remark points, and activity areas for each class can be applied by the instructors based on teaching method and activity contents.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using folk tales helps the learners to hav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lass. Through the activities of playing the instrument, making rhythm, and writing lyrics, the learners get more interest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get immersed in expressing the familiar folk tale into Korean traditional music. Furthermore,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folk tales can enhance the learners’ understanding on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and improve musical expression ability. It also has educational effect by encouraging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student and instructor and promoting cooperation and responsibility.

      • 국악 실내악 단체의 악기 편성 변화연구 : 국악FM방송의 ‘21C 한국음악 프로젝트’ 참가팀을 중심으로

        민영치 추계예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19

        본고는 한국음악의 포용 범위를 넓히고, 무한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창작국악계 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변화 양상을 연구한 것이다. 창작국악계 안에서 일어나는 여러 현상들 중 지속적으로 결과물을 제시해 주는 경연대회를 중심으로 연구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자료가 되리라 판단했다. 따라서 지난 9년 간 100팀에 가까운 역량 있는 창작음악 그룹을 배출하고, 여러 장르의 창작국악곡을 발표한 21C 한국음악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는데, 2007년 제 1회부터 2015년 제 9회까지, 본선에 올랐던 참가팀을 연구 범위로 삼고, 당시 제작됐던 프로그램 북과 DVD자료를 연구 자료로 활용했다. 그 결과 최근 발표된 창작국악곡이 가지고 있는 몇 가지 특징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었다, 첫째, 국악기만으로 이루어진 팀이 극소수라는 점이다. 중주나 트리오 형태일 때마저도 외래악기를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이 악기 편성의 수가 점차 대편성으로 변화한다는 것이다. 그 단적인 예로 2007년 첫 해에는 국악기 38개, 양악기 27개로 무대에 올라왔던 전체 악기의 경우 수가 65가지였는데 2011년에는 국악기 79개, 양악기 43개로 총 122가지에 달했다. 셋째, 무대 위에서 활용되어지는 악기가 점차 다채로워졌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고래야’이다. 태왁과 같이 물동이를 엎어서 소리를 내기도 하고 열매 껍질을 말린 것 같은 악기를 흔들어 소리를 내는 식의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볼 수 있다. 넷째, 창작곡이 노래가 있는 가창곡 중심으로의 만들어진다는 사실이다. 대회 초기에도 연주곡의 비중은 크지 않았지만, 해를 거듭할수록 연주곡으로 참가하는 팀이 점차 축소되었고 2015년에는 단 한 팀만이 연주곡으로 본 대회에 참가했다. 다섯째, 기존에 존재하던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재해석 한 곡들이 대다수였다는 점이다. 민요나 잡가, 판소리 뿐 아니라 전래동화를 모티브로 활용하고 있었는데, 뿐만 아니라 이를 보다 표면적으로 드러내는 방식의 창작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통해 창작음악계 안에 얼마나 많은 수의 외래악기와 음악 양식이 포함되고 있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얼마나 다채로운 악기들을 무대에서 볼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그만큼, 우리의 악기나 음악적 양식 또한 해외에서 활용되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판단된다. 근래 들어 해외 여러 음악 페스티벌에서 ‘숨’이나 ‘고래야’ 그리고 ‘불세출’같은 유수의 창작팀이 자주 모습을 보인다는 것이 그 실례라 할 수 있다. 또, 다양한 한국적 콘텐츠를 재해석한 곡들이 많아진다는 것은 한국의 고전이 현대인, 더 나아가서는 세계인의 감성과도 잘 맞아 떨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상으로 본 연구를 마치며, 창작국악계의 변화양상 연구가 악기 뿐 아니라, 음악시장체제, 사회문화, 그리고 음악적 양식 등 다양한 주제 안에서 꾸준히 연구되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has been conducted to drill down various aspects of transition within the creative song writings era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order to verify unlimited potentials and extend the range of engagement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Among many happenings around the creative song writings era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contests that constantly provide outcomes throughout musical performances are determined to be the most reasonable and objective studying tool. Thus, the 21C Korean Music Project was chosen with the priority for the research since it has been able to produce more than 100 competent creative music groups over the past 9 years and released many different genre albums. Especially, those participants in the final rounds, from the first contest in 2007 to the 9th contest in 2015, enabled the research to focus on and utilize the program books and the DVDs produced by then. As the result, some of the latest creative Korean traditional songs that were released recently can be categorized by a few different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a very small minority of the groups consists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only. A majority of the groups played exotic instruments even in the form of a duet or trio. Second, the number of this musical instrumental formation has gone up to the bigger scale of formation. For example, in the first contest in 2007, there were 38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whereas there were 27 exotic instruments on the stage (total of 65 different types of instrument). In 2011, there were 79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and 43 exotic instruments on the stage (totoal of 122 different types of instrument). Third, a variety of instrumental formation was shown on the stage. A typical example can be the group called "Coreyah." A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called the "Taewhak" which looks like an upside-down water jar was played by this group as it made a sound out of tapping. Also, a dried-off fruit skin was played as an instrument by shaking it. The group called "Coreyah" was definitely deemed to try out some of these various musical instruments. Fourth, those creative traditional songs are mainly made of lyrical songs. In the earlier seasons, instrumental songs were given little weight; however, as time has gone by, these instrumental song performing teams have less participated, and in 2015, there was only one of them participated in the contest. Last, a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played lots of remakes and/or reinterpreted songs out of a variety of the existing music genres. Not only Min-yo(folk song), Jab-ga, and Pansori were utilized as motives, but also traditional fairy tales were utilized as one of them. In addition, some other creative methods that also express out on the surface have been applied. So far the study has enabled us to find out how many exotic musical instruments have been involved in our creative song writings era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how various musical instrumental formation can be harmonized throughout the stage performances. Such the transition seems to enable us to utilize our musical sense and traditional instruments internationally and in any cultural backgrounds. Some good creative music groups shown often in many international music festivals are "su;m," "Coreyah," "Bulsechul," and some others. Also, more and more remake songs that reinterpreted various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ntents are on their way. This means that Korean classics can obviously meet not only the taste of new generation, but also the global sensitivity throughout the world. Last but not least, the thesis on the 21C Korean Music Project has now ended up with an expectation of continuous research within various changes on creative song writings era of Korean Traditional Music, not only with the musical instruments, but also with music industry system, society and culture, music styles, and many other music-related topics.

      • 초등학교 국악관현악단 활동을 목적으로 한 10현 대아쟁 지도방안 : - 초등학생 5~6학년 중심으로 -

        김현진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1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systematic step-by-step guide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m to learn 10-stringed large ajaeng in their national orchestra activities of Korea. Recently, the number of schools running the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has been increasing, however as there are inadequate research on the large ajaeng teaching guidance for the elementary students, there is a need to make systematic teaching plan concrete. Ajaeng conducts the bass range in the traditional orchestra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supporting the sound of other instruments based on chord progression and various rhythms. By preparing the basic learning instructions such as the theoretical learning of the history, structure, name and tuning method along with practical learning of the score and technique through musical pieces, it aims to help teachers utilize it as a reference material and carry out systematic educ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by applying the teaching guide through step-by-step learning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5-6. First, through the step-by-step instructions, students who are new to musical instruments can learn efficiently without difficulty. The lessons were kept at the same level throughout the class, with enough time of tutoring and with careful guidance to reduce the variability between individuals. Second, through the technique and the musical variation that fit to the ey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stimulated the interest of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and also reduced resistances on the traditional music to some extent. Third, musical expressiveness was improved through a variety of musical symbols and playing styles, and even the students who could not read the score were able to read and play the score themselves after finishing the 16th class lesson with careful instruction on musical symbols and with easy exercises. Fourth, continuous and stable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to ensure an effective instructions and various tunes to be provided for students without losing curiosity about the instrument. Due to the poor research on the large ajaeng and relatively few scores which can be played at elementary school level compared with melody instrument, it was difficult to create more useful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A variety of solo and orchestral music should be composed at the level of student's eyes so that students can learn ajaeng with various tunes, and also the orchestra's instrumental arrangements should include not only melodic-oriented instruments but also chordal instruments to improve performance, and through the instructions suggested in this paper, it is hoped that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can achieve revitalization of ajaeng education by systematically and actively teaching students at the actual educational site. 본 논문은 초등학교에서의 국악 관현악단 활동을 목적으로 하여 10현 대아쟁 기초교육 과정을 체계적인 단계별 학습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최근 국악 관현악단을 시행 있는 학교가 늘어가고 있으나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대아쟁 지도법에 관한 연구가 미비하여 체계적인 지도방안을 구체화시킬 필요성이 있다. 아쟁은 국악 관현악에서 중저음의 베이스 음역대를 담당하며 화음 진행 및 다양한 리듬을 기초로 다른 악기들의 소리를 받쳐주는 매우 중요한 역활을 하고 있다. 아쟁의 역사, 구조와 명칭, 조율법등의 이론학습과 제재곡을 통하여 악보와 연주법을 익히는 실기학습을 병행한 기초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여 학생들을 지도하는 교사들이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체계적인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단계별 학습을 통한 수업지도안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단계별 지도방안을 통하여 악기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도 무리 없이 연주를 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졌다. 개인 지도를 하는 시간을 충분히 갖고 학생들을 세심하게 지도하여 개인차를 줄이고 동일한 수준으로 수업이 진행되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눈높이에 맞는 연주법과 연주곡을 통해 국악기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였으며 국악에 대한 거부감을 어느 정도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게 되었다. 또한 제재곡을 관현악 합주 시 적용하도록 하여 공연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감을 느끼고 단원으로서의 자부심도 갖게 되었다. 셋째, 다양한 악상기호와 주법을 통해 음악적 표현력이 향상 되었으며 쉬운 연습곡부터 악보를 익히고 악상기호를 세심하게 지도하여 악보를 읽지 못했던 학생들도 16차시 수업을 마무리 한 후 스스로 악보를 읽고 연주 할 수 있게 되었다. 넷째, 지속적으로 지도안이 연구되어 더욱 당양한 곡을 접할 수 있도록 하며 학생들이 악기에 대한 호기심을 잃지 않고 효과적인 수업 지도를 받도록 계속적인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대아쟁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미비하고 선율악기에 비해 초등학생의 수준에서 연주 가능한 악보가 다른 악기에 비해 비교적 적어 학생들에게 더욱 유익한 교육방안을 작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독주곡 및 관현악곡이 작곡되어 다양한 연주곡을 접할 수 있는 교육현장이 되어야하며 관현악단의 악기 편성 또한 선율중심의 악기뿐만 아니라 화음을 담당하는 악기들을 도입하여 기악활동의 연주 기능이 향상되어야 할 것이며 학생뿐 아니라 지도를 하는 교사들도 본 논문에서 제시한 지도방안을 통해 실제 교육현장에서 체계적이고 적극적으로 학생들을 지도하여 아쟁교육의 활성화를 이룰 수 있길 바란다.

      • 춘향가 중 <긴 사랑가> 비교 연구 : 정정렬제 최승희와 동초제 고향임 소리를 중심으로

        김갑보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춘향가>는 조선 후기 가장 먼저 생긴 판소리로서 특히, <사랑가>는 <춘향가>를 대표하는 대목으로 꼽힌다. 현존 대표적 춘향가 유파 중 김세종(金世宗)제(보성소리)를 제외한 김소희(金素姬)제, 동초(東超)제 등 대다수의 <춘향가>가 정정렬(丁貞烈)제 춘향가의 영향을 받았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최승희와 고향임의 <춘향가>중에서 <긴 사랑가> 대목을 선택하여 그 사설 및 음악적 특징을 비교 연구 함에 있다. 사설 및 장단, 선율 비교 분석 연구 방법은 각각의 사설 및 장단, 선율을 비교하는 것으로 유사점과 상이점 등 그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최승희(崔承希,1937-)는 정정렬제 춘향가의 3대째 전승자이며 고향임(高香任, 1957-)은 동초제 춘향가의 3대째 전승자이다. 각각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판소리 춘향가(정정렬제)보유자, 대전시 무형문화재 판소리 춘향가(동초제)보유자로서 소리의 정통성을 인정받는 여류 명창들이다. 본 연구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승희와 고향임의 소리는 각각 진양조 12장단과 16장단으로 고향임의 소리가 최승희의 소리보다 사설과 장단면에서 4장단 확장 (4,5,6번째 장단 위주)의 형태로 나타난다. 다만 3번째 장단에 해당하는 사설 부분만이 반대의 양상으로 나타난다. 또한 고향임의 소리에는‘사랑 사랑 내 사랑이지야 ~’의 반복창이 있다. 둘째, 최승희의 <긴 사랑가>는 G♭우조이고, 고향임의 <긴 사랑가>는 A♭우조로 장2도 차이가 있으며, 후반부에 f 계면조로 전조를 보인다. 최승희의 <긴 사랑가>G♭우조는 하본청인 e′♭을 시작음으로 하여 본청인 g′♭음으로 종지하고 있고, 고향임<긴 사랑가>의 A♭우조는 하본청인 f′♭을 시작음으로 하여 우조의 종지음은 하청인 완전5도 아래음 e′♭음을, 후반부 f 계면조로 전조 부분의 종지음은 본청인 f'음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최승희가 부른 정정렬제<긴 사랑가>에 비해 고향임이 부른 동초제<긴 사랑가>는 대목 전반에 걸쳐 구체적이고 정교한 확장 형태를 보인다. 이에 따른 사실적 표현과, 창극적인 요소의 강화, 음악적 다양성 추구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를 마치며 두 소리제 전반의 음악적, 예술적 지향 통찰을 위해 연구 범위 및 비교 대상의 확대, 그리고 음악적 비교 분석에 관한 다각적이며 집중적인 추가 연구를 제안 한다. 이는‘녹음기’사용에 따른 전승 부작용, 즉! ‘판박이 소리’,‘박제된 소리’라는 오명 극복의 과제를 안고 있는 현존 모든 판소리의 전승 가치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