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래동화를 활용한 국악기 지도방안 연구 : 초등학교 1, 2학년을 중심으로

        김예진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이들에게 친숙한 전래동화를 활용한 국악기 수업지도안을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국악 수업 지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수·학습 지도안 모형에 따라 총 8개 차시에 대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수립하였다. 각 차시에 따른 수업주제와 목표를 정한 후, 3단계의 교수·학습활동을 통해 국악과 국악기를 이해하고 다양한 체험 활동을 유도하였다. 1단계는 전래동화의 내용을 이해하고 전래동화의 내용을 자유롭게 신체나 목소리, 도구 등을 활용해 소리로 표현할 수 있는 창의력을 높이는 수업과, 국악기의 기본적인 소리와 유래를 이해하는 수업으로 진행된다. 2단계는 전래동화 혹부리 영감의 내용을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각색한 대본을 만들고, 대사와 장면에 어울리는 국악기를 탐색하는 활동으로 진행된다. 3단계는 배운 내용에 대한 총체적인 연습을 통해 전래동화의 내용을 국악기로 표현하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각 차시는 다양한 음악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학습한 내용의 복습 및 다음 차시 수업 내용에 대한 예고를 통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배운 내용을 되짚어보고 다음 수업을 준비할 수 있게끔 유도하였으며, 각 차 시별로 평가계획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 제시된 교수·학습 지도안에서의 감상 활동은 시청각 자료를 통해 국악의 소리를 듣고, 국악기를 연주하는 모습을 감상함으로써 앞으로 자신들이 다루게 될 악기를 어떻게 다루고 연주해야 할지를 가늠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두 번째로 기악 활동은 전래동화 ‘혹부리 영감’에 등장하는 의성어와 의태어, 대사에 어울리는 국악기의 소리를 찾고, 시청각 자료로 제공되는 국악기 연주 동영상을 따라 하면서 국악기마다 어떻게 다른 소리를 내는지를 이해하고, 직접 악기를 자유롭게 연주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세 번째는 가창 활동으로 수업 시간에 모둠별로 전래동화 ‘혹부리 영감’에 나오는 장면과 대사들을 자유롭게 각색한 내용에 음을 붙여 직접 노래를 해보는 활동이다. 이를 통해 기본적인 민요의 음을 이해하고, 국악의 리듬감을 익힐 수 있게 만들고자 하였다. 네 번째로 체험 활동은 수업 차시별로 제공되는 모둠별 활동, 개인 활동 등을 통해 국악을 직접적으로 체험하고 느낄 수 있게 만드는 활동으로,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신체적 표현을 통해 국악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끔 구성되었다. 각 차 시별 수업지도안에 따라 반영되는 수업자료와 유의점, 활동 영역 등은 지도 방법 및 활동 내용에 따라 교수자가 응용해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전래동화를 활용한 국악 교수 방법은 학습자들이 수업에 대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스스로 악기를 연주하고 장단을 만들며, 노랫말을 지어보는 활동을 통해 국악에 대한 흥미를 가질 수 있게 되고, 친숙한 전래동화의 이야기를 국악으로 표현하는 과정에 몰입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국악과 국악기에 대한 이해를 증진 시킬 수 있으며, 음악적 표현 능력의 향상,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 간 긍정적인 상호작용, 협동심과 책임감의 증진 등의 교육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ffective and practical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method by using folk tales familiar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lesson plan for 8 classes based on lesson plan model. After setting the class subject and goal for each class, this study encouraged students to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nstrument and provided various experience activities through 3 stages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 first stage was composed of a class for understanding the folk tale story and enhancing the creativity by expressing the story in sound using body, voice, and tools. The first stage also included a class for understanding basic sound and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In the second stage, students reorganized the script for the folk tale, ‘The Wenny Old Man’ and explore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 suitable for the lines and scenes. In the third stage, students had overall review on materials they learned and expressed the stories of folk tale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 Each class was composed for student’s various experience of music activities and students were encouraged to review and prepare for the next lesion by providing the preview on next class contents. Also, evaluation plans were set for each lass. In the lesson plan suggested in this study, the appreciation activity involved visual and auditory materials and the students learned the kinds of instruments they will be learning and learned how to play the instrument by hearing the soun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appreciat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Secondly, through the instrumental activities, students explored the soun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suitable for onomatopoeic word and lines appearing on the folk tale, ‘The Wenny Old Man’. The students also repeated after the visual and auditory materials to understand the different sounds of instruments and play the instruments freely. Third, the lesson plan also had singing activity. The students gathered in group and freely reorganized the scenes and lines of the folk tale ‘The Wenny Old Man’ and sang a song of them with melody. The purpose of singing activity wa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basic sound of folk song and become familiar with the rhyth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urth, the experience activity included group activity and individual activity for students to experience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experience activity was also designed for enhancing understanding on the class and encouraging interest on Korean traditional music through physical expression. The class material, remark points, and activity areas for each class can be applied by the instructors based on teaching method and activity contents.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using folk tales helps the learners to hav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lass. Through the activities of playing the instrument, making rhythm, and writing lyrics, the learners get more interest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get immersed in expressing the familiar folk tale into Korean traditional music. Furthermore,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folk tales can enhance the learners’ understanding on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and improve musical expression ability. It also has educational effect by encouraging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student and instructor and promoting cooperation and responsibility.

      • 은행잎과 녹차 및 유자를 활용한 발효생균제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항병력에 미치는 영향

        김예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ietary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ginkgo leaf probiotics (FGLP), Fermented green tea probiotics (FGTP) and Fermented citron pro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mortality, immunity, meat composition, fatty acid profile, fecal and cecal microflora concentration; and gaseous emissions in broilers. A total of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here first two experiments was general performance testing of broilers, while third one was Salmonella and E. coli challenged test in broilers. The result of the three studies was summarized as follows: In experiment I, the aim was to evaluate the dietary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ginkgo leaf probiotics (FGLP), Fermented green tea probiotics (FGTP) and Ginkgo leaf powder (GLP) on growth performance, immunity, meat composition, fatty acid profile and cecal microflora concentration in broilers. A total of 168 day old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seven treatments having four replications of six birds per replication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Dietary treatments were: 1) control (basal diet), 2) FGLP 0.2% (basal diet + 0.2% FGLP, DM basis), 3) FGLP 0.4% (basal diet + 0.4% FGLP, DM basis), 4) FGTP 0.2% (basal diet + 0.2% FGTP, DM basis), 5) FGTP 0.4% (basal diet + 0.4% FGTP, DM basis), 6) GLP 0.2% (basal diet + 0.2% GLP, DM basis) and 7) GLP 0.4% (basal diet + 0.4% GLP, DM basis). Result revealed that, weight gain in FGLP 0.4% was significantly higher during starter and overall period; while feed intake was lower in FGLP 0.2% during finisher and overall period (P>0.05); however, feed conversion ratio (FCR) was lower in FGLP, FGTP and GLP supplemented group compared to control during finisher and overall period (P<0.05). Crude ash content of thigh mea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FGLP, FGTP and GLP compared to control (P<0.05). No significant variation was observed in sum of SFA and PUFA fatty acid content of breast and thigh meat in FGLP, FGTP and GLP compared to control (P>0.05); however, cholesterol content of thigh meat was significantly lower in FGLP, FGTP and GLP supplemented groups compared to control (P<0.05). Serum IgM was higher in FGLP compared to control (P<0.05); while cecal Lactobacillus concentration was higher, and E. coli concentration was lower in FGLP and FGTP supplemented group (P<0.05). In conclusion, dietary FGLP, FGTP and FGLP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growth performance and cecal Lactobacillus concentration; whereas decreased thigh meat cholesterol content and cecal E. coli concentration. Therefore, FGLP, FGTP and FGLP could be supplemented as potential feed additives in broiler diet. In experiment Ⅱ, the objective was to observe the dietary effect of Fermented ginkgo leaf probiotics (FGLP) and Fermented citron probiotics (FCP) on growth performance, mortality, immunity, meat characteristics and cecal microbiology in broilers. A total of 120 day old Ross 308 broiler chicks were assigned to five treatments having four replications with six birds in each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Dietary treatments were: 1) control (basal diet), 2) FGLP 1 = 5% FGLP (basal diet + 5% FGLP, DM basis) 3) FGLP 2 = 10% FGLP (basal diet + 10% FGLP, DM basis) 4) FCP 1 = 5% FCP (basal diet + 5% FCP, DM basis) 5) FCP 2= 10% FCP (basal diet + 10% FCP, DM basis) A significant increase in weight gain during starter period (0-21 days), finisher (22-35 days) and overall period (0-35 days); and feed intake during finisher period (22-35 days) and overall period (0-35 days) in supplementation of FGLP-2 group compared to control and other treatments groups (P<0.05). A reduced FCR was found in FCP-2 supplementation during finisher and overall period compared to control and other treatment groups (P<0.05). The calculated mortality rate was 5.56% in control and 4.5% FGLP while FCP-2 showed the zero mortality. Crude protein content was increased in FCP-1 supplemented group compared to control (P<0.05).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t cholesterol content; however, among meat fatty acids, sum of SFA was reduced and n-6 fatty acid was increased both in FGLP and FCP supplemented group in comparison to control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cecal microflora concentration in dietary FGLP and FCP supplementation (P>0.05); however, serum IgG was found higher in FGLP and FCP supplemented group (P<0.05). Finally, dietary FGLP and FCP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weight gain, reduced FCR, reduced mortality, increased n-6 fatty acids and decreased sum of SFA. Therefore, FGLP and FCP probiotics could be supplemented as functional feed additives in broilers diet. In experiment Ⅲ, the aim was to evaluate the dietary Fermented ginkgo leaf probiotics (FGLP) and Fermented citron probiotics (FCP) on growth performance, immunity, internal organ weight, cecal microbiology concentration in Salmonella and E. coli challenged broilers. A total of 120 day old Ross 308 male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in to five dietary treatment groups having four replications with six birds in each.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Dietary treatments were: 1) control (basal diet); 2) FGLP 1 = 4.5% FGLP (basal diet + 4.5% FGLP, DM basis); 3) FGLP 2 = 10% FGLP (basal diet + 10% FGLP, DM basis); 4) FCP 1= 5% CP (basal diet + 5% FCP, DM basis); 5) FCP 2= 10% FCP (basal diet + 10% FCP, DM basis). On day one, each bird were orally injected 1 ml of mixed broth agar solution consisting of 5.00 × 105 Salmonella enteritidis and 7.00 × 106 E. coli bacterial load using micro pipette. At the end of the one week experimental period, growth performance, immunity, internal organ development and cecal microbiology were measured while mortality of birds was recorded daily basis. A significant increase in average daily gain (ADG)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while reduced FCR in supplementation of FGLP and FCP supplementation compared to control (P<0.05). The lowest mortality rate was observed in FCP-1 and FCP-2 supplementation compared to control. Although, all internal organs weight were similar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an increased large intestine weight was found in dietary FGLP-2 supplementation (P<0.05). Immunoglobulin level (IgM, IgA and IgG) was elevated in the FCP supplemented group compared to control and FGLP (P<0.05). A significant increase in fecal Lactobacillus sp. concentration in FCP-2 and FGLP-2 supplementation respectively was observed (P<0.05); while reduced pH level was found in FGLP-2 and FCP-1, FCP-2 supplementation (P<0.05). Finally, dietary FGLP and FCP probiotics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ADG, ADFI and reduced FCR, decreased mortality %, increased large intestine weight and ileal Lactobacillus concentration. Therefore, FGLP and FCP could be supplemented as alternative to antibiotics in broiler diet particularly during first week. Keywords: Fermented ginkgo leaf probiotics, Fermented green tea probiotics, Fermented citron probiotics, Challenged, Salmonella, E. coli, Growth performance, Immunity, Meat quality, Broilers

      •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 수복이 교합력과 교합접촉면적에 미치는 영향

        김예진 江陵原州大學校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Effect of posterior single implant restoration on occlusal force and occlusal contact area Ye-Jin Kim, D.D.S.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Graduate School,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Lee-Ra Cho, D.D.S., M.S.D., Ph. D., Chan-Jin Park, D.D.S., M.S.D., Ph.D.) Purpose: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oral function, occlusal contact area, occlusal force, masticatory efficiency, electromyographic pattern of masticator muscle, and jaw movement can be used as indicator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maximum occlusal force and occlusal contact area in single implant restorations. Materials and Methods: 50 patients who have been treated for single implant at th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re included(31 male and 19 female, 38-78 years of age). Occlusal force was analyzed using the Dental Prescale II(GC Dental Products corporation, Tokyo, Japan). Maximum occlusal force was measured before prosthesis placement, after prosthesis placement, and 1 month after placement. Occlusal area was measured by BiteEye(GC Dental Products corporation, Tokyo, Japan). Interocclusal record of maximal intercuspal position(MIP) were taken after prosthesis placment and 1 month after placement. Occlusal contact area of implant and adjacent tooth against the total occlusal contact area was compared as a percentage.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at 95% confidence interval. Results: The maximal occlusal forc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 month after posterior single implant restoration(P<0.05), and restoration of 1st molar had more significant effect on occlusal force than 2nd molar. Occlusal contact area of impla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 month after placement(P>0.05). At the interocclusal thickness level of 9㎛, occlusal contact area of implant was decreased a month after placement (P<0.05). Occlusal contact area of mesial teeth increased a month after placement(P<0.05). Conclusions: A month after posterior single implant restoration, the maximum occlusal force was increased. Restoration of 1st molar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occlusal force. Occlusal contact area of impla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 month after placement. Occlusal contact area of mesial teeth increased a month after placement. ------------------------------------------------------------------------------------------------------- Key Words : Occlusal force, Occlusal contact area, Single implant, Pressure sensitive film, Dental Prescale, Photo occlusion anaylsis, BiteEye®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 수복이 교합력과 교합접촉면적에 미치는 영향 김예진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치과보철학 전공 (지도교수 조리라, 박찬진) 목적: 상실치에 대한 수복치료 후, 구강 기능의 양적인 평가를 위해 교합력, 교합접촉면적, 저작효율, 주요 저작근의 근전도 패턴 등을 지표로 이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 수복 전후 교합력과 교합접촉면적의 비교를 통해 임플란트 수복이 구강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대구치에 단일 임플란트 수복을 시행한 50명(남성 31명, 여성 19명, 38~78세)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압력감지필름(Dental Prescale II, GC Dental Products corporation, Tokyo, Japan)을 이용하여 교합력을 측정하였다. 보철물 장착 전과 장착 직후, 그리고 장착 1개월 후 측정하였으며, 필름을 구내에 위치시킨 후 환자에게 최대한 강하게 물도록 하여 최대 교합력을 분석하였다. 교합접촉부위의 비교는 교합면적 분석장치(BiteEye®, GC Dental Products corporation, Tokyo, Japan)을 이용하였다. 보철물 장착 시와 장착 1개월 후 Maximal intercuspal position(MIP)의 악간관계기록을 채득하였다. 전체 교합접촉면적에 대한 단일 임플란트 보철물, 인접치, 반대측 자연치의 교합접촉면적을 백분율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SPSS 25.0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95%에서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임플란트 수복 전과 비교 시, 교합력은 대부분의 군에서 장착 한달 후 유의한 증가를 보이며(P<0.05), 제1대구치의 수복이 제2대구치에 비해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임플란트 보철물의 교합접촉면적은 장착 시와 장착 한달 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교합면간 거리 9㎛ 수준에서 분석 시, 교합접촉면적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장착 한달 후, 근심측 자연치의 교합접촉면적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결론: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 수복 한달 후, 교합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제1대구치의 수복이 교합력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임플란트 보철물의 교합접촉면적은 장착 시와 장착 한달 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근심측 자연치의 교합접촉면적은 한달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 주요어 : 교합력, 교합접촉면적, 단일 임플란트, 압력감지필름, Dental Prescale, 광조사교합분석법, BiteEye®

      • Joseph Straus의 연합모델과 패턴완성을 적용한 윤이상 작품의 분석연구

        김예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무조음악의 논리적 분석 방법론 정립을 위한 시도로서 조오셉 스트라우스(Joseph Straus)의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하여 필자의 분석모델을 제시하였다. 분석에 앞서 스트라우스가 제시한 분류방법에 따라 20세기 무조음악의 대표적 분석방법론들을 살펴보았다. 이 중 스트라우스가 제시한 “연합모델'(Associational model)과 '패턴완성'(Pattern-completion)의 개념에 대해서는 보다 심도있게 고찰하며 내재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조명하였으며 궁극적으로 필자가 제안할 분석 방법론을 위한 시발점으로 삼았다.필자는 러달(Fred Lerdahl)이 제시한 “현저한 조건'(Salient conditions)과 스트라우스의 ??연합모델,????패턴완성'의 개념에 인지?심리학적 관점을 더욱 보강하며 음악적인 맥락을 고려한 필자의 “특정 음고류 집합의 선택조건'과 보다 넓은 음공간에서 구조음 추출을 위한 객관적 기준인 '필수 조건'(Prerequisite conditions)을 접목하여 무조음악에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는 한국의 현대음악 작곡가 윤이상의 선별된 작품인 ≪글리세스≫, ≪가사≫, ≪노래≫에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검증하였다.작품 분석을 통하여 필자는 매우 복잡하게 작곡된 무조음악에도 질서가 존재하며, 이러한 질서는 청자에게 작품의 유기적 청취를 가능하게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여러 구조적 계층에서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특정 패턴은 청취자에게 특정 패턴의 인지적 완성에 대한 기대감을 불러일으키며 이는 실제로 제시되지 않은 음들에 대한 개념적인 청취를 가능하게 한다는 결론을 이끌었다. “개념적 청취'의 결과물인 패턴완성은 음악 표면에서 뿐 아니라, 연합모델의 개념을 통해 거시적 음공간에서도 나타나며, 작품의 통일성과 응집력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t the beginning of the 1980s, Joseph Straus proposed the concept of the “pattern completion,” which touched an interdisciplinary linkage between cognitive psychology and musical analysis. Although Straus’s “pattern completion' was obviously a significant concept, not only because it involved human's cognitive capacity, but also because it showed practical possibilities of connecting musical events that are far apart with one another by depending upon solid theoretical assumptions, it still awaited the further logical and theoretical explanation. Straus later presented the “associational model,” in which tones interspersed in a large-scale tonal space could be interrelated through specific pitch-class sets and finally established theoretical justifications for what he did in his earlier articles. However, the theoretical justification for the pattern completion and the reliable testimony regarding its analytic validity are still necessary and increase the necessity of the subsequent researches.In this respect, I have examined a brief history of analytic methods for twentieth-century music written in the atonal idioms and then deeply compared the “prolongational model” with Straus's “associational model,” both of which are seemingly quite similar but differ considerably in conception with each other. I then have critically examined Straus's concept of the pattern-completion and associational model for possibilities of applying it to atonal music. Finally, I have suggested my own analytical model, which is a result of synthesizing a critical review of Straus's pattern completion and associational model and my (Kim Yeajin's: KYJ's) prerequisite conditions similar to Lerdahl's salient conditions.The dialectic result of the genuine combination, a new analytic methodology for atonal music applied to musical works by Yun Isang, one of the representative contemporary composers in Korea, and finally proved its applicable possibility. The works that I discussed were Glissees for Violoncello Solo, 1970 and Gasa for Violin and Piano, 1963, Nore for Violoncelle und Klavier, 1964.The analyses of Yun Isang’s selected works enable me to find the composer's strong obsession to the germ motive throughout each piece. The SC 3-3〔014〕, SC 4-7〔0145〕and SC 4-Z29〔0137〕served as a germ motive respectively in Yun Isang's Glissees, Gasa, and Nore by repeatedly representing the germ cell in opening portion and finally accomplished motivic coherence. Moreover, the close examination through the methodology illuminated a skillful interaction of the germ motive among multiple levels. Such an analytical tool will be useful to illuminate structural secrets latent in post-tonal music.

      • 수업실습 중 예비과학교사들이 변경한 교수실행의 유형과 특징

        김예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 현장의 수업은 복잡하고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으로 배움과 가르침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 진행되는 수업은 교사가 의도한 것이나 계획한 것과는 상관없이 이루어질 때가 많으며, 교사는 보다 넓은 관점에서 수업 상황에 맞게 실행을 수정하기 위해 고려해야 한다. 이런 수업 전문성에 대한 역량은 지식적으로 얻고, 수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교사의 양성과정에서부터 상황에 맞게 수정할 수 있는 역량을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예비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수업에서 마주한 어려움이 무엇이며, 그에 따른 대응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들이 사전 수업계획과 다르게 수업을 실행하는 것을 ‘수정된 교수 실행’이라 지칭하고 교육실습 과정에서 실시한 수업에서 나타난 변경된 교수실행의 유형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범대에 재학 중이며 교육실습을 수행 중인 12명의 예비과학교사를 대상으로 예비교사가 작성한 교수학습 과정안, 수업 동영상, 연구자의 수업 관찰일지, 사후 면담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귀납적 내용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과학교사가 수업 중 마주한 어려움은 ‘수업 분위기를 잡아가는 것(42%)’, ‘교사의 심리적인 요인으로 인한 것(19%)’, ‘예상치 못한 기자재 문제로 인한 것(15%)’, ‘학생들이 수업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것(12%)’, ‘정해진 수업의 진도를 마쳐야 한다는 것(12%)’으로 총 다섯 가지의 유형이 분류되었다. 둘째, 여러 상황에서 어려움을 맞딱드린 예비교사들의 대응 방법을 총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계획으로 유도하기(50%)’, ‘수업 계획을 수정하기(27%)’, 그리고 ‘대응을 하지 않기(23%)’의 유형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셋째, 예비과학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변경된 교수실행의 사례를 분석하였을 때,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비과학교사들은 수업 중 발생하는 예기치 못한 변수나 학생의 반응으로 인하여 수업을 수정하거나, 수업과 수업 사이 수업에 대해 성찰한 결과를 토대로 수업계획을 변경하였다. 이는 다시 ‘교사’, ‘학생’, ‘환경’ 요인으로 나뉘어 분석할 수 있었다. 넷째, 예비과학교사들이 수행한 16차시의 수업을 관찰한 결과, 총 66건의 변경된 교수 실행을 확인하였고, 이는 14가지로 범주화 할 수 있었는데, 이는 변경한 요소에 따라 다시 '수업내용(55%)', '교수적 비계(26%)', '교수학습 방법(17%)', ‘수업 순서(3%)’의 수정을 한 4가지 범주에 해당하였다. 다섯째, 예비교사들이 밝힌 수정된 교수 실행의 목적으로는 ‘이해 촉진(44%)’, ‘수업 운영(33%)’, ‘학습자의 동기 제고(14%)’ 및 ‘실수(9%)’의 차원으로 나타나 학습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학습자의 반응을 고려한 수업 변경이 많았다. 여섯째, 예비교사들이 변경한 14가지 유형의 교수실행의 요소들을 분석하여 총 4가지의 유형으로 예비교사들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예비과학교사들은 ‘계획중심형’, ‘성찰형’. ‘응답형’, ‘유연형’으로 나뉘었고, 계획중심형은 가장 기초적인 변경된 교수실행을 보이는 유형이며 유연형에 가까워질수록 다양한 상황과 맥락을 고려하여 교수실행을 변경하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가 수업에서 마주한 어려움 및 대응 방안과 함께 그들의 수업에서 행한 계획과 다른 교수실행을 예시와 함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예비교사가 교육실습 중 수업을 실제로 행하는 과정 가운데 수업을 짜여진 틀로만 구성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수업 상황에 맞게 적합한 방향으로 실행하고, 전문성을 갖추고 신장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Teaching and learning are complex phenomena that are situated highly dynamic, constantly changing and unpredictable, and characterized by concurrent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Therefore, actual classes often take place regardless of teacher's plan for instruction and the teacher must consider modifying the practice to meet the needs of students or the demands of an instructional situation. Since competencies for such teacher professional expertise can not be obtained and modified intellectually, it is necessary that teacher educators attend to engage pre-service teachers to learn abilities to structure their classroom and school environments in flexible ways. In this study, 'altered teaching practice' refers to pre-service teachers' performance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lesson plan in instructional situatio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bstacles tha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ve faced, how they overcome it, and to understand the disposition of their altered teaching practice from the lesson plan. The data in study were generated and analysed from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ns, recorded classroom videos, researcher's observation notes, and post-interviews of 12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e findings derived using the inductive content analysis method of the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five types of obstacles faced by prospective science teachers during class were classified into "setting the class atmosphere(42%)", "due to teachers' intrinsic factors (19%)", "unexpected equipment problems(15%)", "students do not understand the contents(12%)" and “the progress of class(12%)”. Second, the responses of pre-service teachers who faced difficulties in various situation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nd analyzed as follows. 'inducing with plan(50%)', 'modifying class plan(27%)', and 'not responding(23%)'. Third, when analyzing the changed cases of teaching practice through interviews with prospective science teacher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two main types ⎯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ltered the instruction due to unexpected variables or students' reactions that occurred during class, or based on the results of reflection on the class between the lessons. This result again analysed and categorised into 'teacher', 'student', and 'environment' factors. Fourth,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16 classes conducted by 12 prospective science teachers, a total of 66 altered teaching practices were confirmed, which has been categorized into 14 types, and again fall into four upper categories: altering 'teaching scaffoldings(55%)',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17%)' and 'instructional order(3%)'. Fifth, for the purpose of implementing the altered teaching practice revealed by pre-service teachers were "to promote understanding(44%)", "for class management(33%)", "to enhance learners' motivation(14%)", and "because of teacher's mistake(9%)". Sixth, pre-service teachers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four types by analyzing the elements of 14 types of teaching practice modified by them.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there were "plan-oriented type", "reflective type", "responsive type" and "flexible type".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were plan-oriented type showed the most basic altered teaching practice, and the ones closer to the flexible type showed alters their teaching practice by considering more various situations and contexts. Finally,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could help pre-service teachers not only organize instructions in the course of actual teaching, but also adapt them to the class situations by analyzing the difficulties and countermeasures they faced in classes during teaching practicum.

      • Sergei Prokofiev의 Sonata for Flute and Piano in D Major, Op. 94 분석 연구 : 다섯 가지 음악어법을 중심으로

        김예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Prokofiev was born on April 23, 1891 in Sontso .a, Ukraine. He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omposers of 20th century Russia, and an excellent pianist of the period. He combined innovation techniques with his own musical style based on classical style. In his autobiography, which was published in 1941, he itemized his musical usage into five lines and trends. Those are classical, innovation, toccata, lyrical and grotes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understand his five musical elements by an analysis of 「Sonata for Flute and Piano in D Major, Op. 94」, composed in 1943 during World War Ⅱ. When studying and analyzing the sonata, it was found that the five musical expressions of Prokofiev were connected organically, not just individually. In other words, the lyrical melody was emphasized in the classical form, or the trends of toccata rhythms and innovative disconnections were seen together. This revealed the five musical principles of Prokofiev used to explain his ealier works also can be applied for the later works as well. This 「Sonata for Flute and Piano in D Major, Op. 94」, one of Prokofiev's representative neoclassical works, clearly presents hi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every five elements masterfully and among them, the classical one is outstanding. Prokofiev는 1891년 4월 23일 우크라이나 지방의 손초프카(Sontsovka) 출생으로, 20세기 러시아의 대표적인 작곡가이며 당대의 뛰어난 피아니스트이다. 그는 고전주의 형식을 기초로 혁신적 기법을 결합하여 자신만의 음악어법을 구사하였다. 그는 1941년에 기술한 자서전에서 자신의 음악어법을 5개의 경향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그것은 고전적(Calssaical) · 혁신적(Innovation) · 토카타적(Toccata) · 서정적(Lyrical) · 그로테스크적(Grotesque) 경향이며, 그는 이를 초기의 작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다른 시기의 작품에서도 적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의 다섯 가지 음악어법을 이해하고, 제2차 세계대전 중인 1943년에 작곡 된 「Sonata for Flute and Piano in D Major, Op. 94」를 그의 다섯 가지 음악어법을 중심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이 곡을 연구, 분석하였을 때 Prokofiev의 다섯 가지 음악어법이 개별적으로 나타나는 것만이 아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즉, 고전적인 형식 속에서 서정적인 선율이 강조되거나 토카타적인 리듬과 혁신적인 불협화음들이 함께 나타나는 경향 등을 볼 수 있었다. 이로 인해 「Sonata for Flute and Piano in D Major, Op. 94」는 후기작품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자서전에서 언급한 초기의 다섯 가지 음악어법이 잘 드러났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고전적인 요소가 두드러지며 그와 함께 혁신적인 요소가 적절하게 결합되어 그의 후기 음악의 대표적 경향 중 하나인 신고전주의적 요소가 잘 드러난 곡이라 할 수 있다.

      • 직장인의 자아탄력성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 :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매개효과

        김예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explore the mediational role of cognitive vie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 and perceived stress levels. Specifically, the mediational effect of stress mindset, a new concept introduced by Crum et al. (2013),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perceived stress is investigated with office workers exposed to chronic stressors. For this research, 328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asked to complete online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demographic questions, Ego-Resiliency Scale (ER), Perceived Stress Scale (PSS), and Stress Mindset Measure Specific (SMM-S). The main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tress mindse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go-resilience, bu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erceived stress.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difference between the stress mindset of the participants in their 40's and that of those in their 20-30's. Third, in these two age group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perceived stress, but not in ego-resilience. Finally, stress mindse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perceived stress, and indirect effects were valid in both group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erceived stress levels can be affected by stress mindset, implying that the interventions on clients' beliefs or expectations about stressors' impact on their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s and job performance can be beneficial in counseling settings. Also,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indicated the learning effect of stress mindset. Because people in their 40's normally hold managerial positions in Korean society, they may need more positive stress mindset to survive the competitions for promotion. In conclusion, the present research is significant because first, it broadened our understanding of the recently introduced concept of stress mindset. Second, it revealed the mediational effect of stress mindse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perceived stress, and the potential use of stress mindset in counseling settings. Lastly, it provided a more balanced view on the effects of stress. 본 연구는 만성적인 직무 스트레스에 노출되어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개인의 성격적 특성과 스트레스 지각 수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를 바라보는 인지적 기대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최근 심리학 영역에서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새롭게 제시된 변인인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개념을 소개하고, 직장인들의 자아탄력성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를 스트레스 마인드셋이 매개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한 리서치 회사에 패널로 등록되어 있는 20대부터 40대까지의 남녀 직장인 328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발송을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을 시작하기 전에 연구 주제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함께 연구 참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유익성과 위해성에 대해 안내를 하고 동의를 구한 뒤 설문을 시작하였다. 설문 내용은 인구통계학적 질문과 함께 자아탄력성 척도, 스트레스 마인드셋 척도,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의 자기 보고식 질문으로 구성되었고 설문 시간은 약 15분 정도였다. 각 척도는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고, 스트레스 마인드셋이 긍정적이며, 지각된 스트레스가 많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마인드셋은 약한 정적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관련성을 Crum et al.(2013)의 연구에서 보여준 다른 보호적 성격기질들(강인함, 낙관성)과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관계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지각된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마인드셋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긍정적 인지가 스트레스를 덜 지각하게 만든다는 선행연구들과 일관되는 결과이다. 셋째, 연령에 따른 스트레스 마인드셋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대, 30대, 40대의 연령별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평균값을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F 검증으로 비교해본 결과, 20대와 30대의 스트레스 마인드셋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20⋅30대와 40대 간에는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직장생활을 오래할 경우 스트레스 마인드셋이 조금씩 긍정적으로 학습되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넷째,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차이가 있는 20⋅30대와 40대는 자아탄력성은 차이가 없었고, 지각된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스트레스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인지적 조망이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력을 더 크게 느끼게 한다는 하나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 마인드셋은 자아탄력성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졌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20⋅30대와 40대 직장인 집단 모두에서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매개효과가 설명하는 지각된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은 20⋅30대가 40대 보다 더 컸다. 이를 통해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지각은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스트레스 마인드셋을 매개로 하였을 때 그 관계가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학 분야에서 새롭게 연구가 시작된 스트레스 마인드셋을 국내에 소개하고 이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점이다. 스트레스 마인드셋은 스트레스와 그 영향의 특성을 새롭게 조망하는 변인이며,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긍정적 변화가 스트레스에 관하여 부정적으로 치우쳐진 자동적 사고를 중단시키고 보다 건강하고 생산적인 방향으로 사람들의 스트레스 반응을 결정짓는데 도움이 됨을 보이고자 하였다. 둘째, 자아탄력성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기질적으로 취약한 사람이라도 인지는 학습을 통해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학습을 통해 스트레스 마인드셋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개입방법은 상담 장면이나 기업적 차원에서도 보다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와 그 영향력에 대한 보다 균형 잡힌 시각을 제시하였다. 일상의 스트레스를 피하기 어려운 현대인들에게 스트레스를 부정적으로만 바라보는 경직된 관점에서 벗어나면 스트레스의 향상적인 측면을 보다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하나의 근거를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으로 개인의 지각된 스트레스 수준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스트레스 요인과 스트레스 마인드셋을 함께 연구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고강도의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되어 있는 한국 직장인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직무 스트레스를 연구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스트레스 마인드셋과 유사한 인지적 변인들과의 탐색적인 관련성 연구가 필요하다. 기존의 스트레스 연구에서 검증되어 온 인지적인 변인들과 새롭게 제시된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직접적으로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스트레스 마인드셋 척도는 아직 국내에서 타당화 되지 않았으며, 이에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측정도구가 국내에서도 신뢰성이 있는 척도인지를 확인하는 타당화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연구방법으로 더 많은 연구대상에 대한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학습 효과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상담 장면에서 인지적 개입을 통해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변화를 살피는 실험 연구, 신체 생리적 반응을 측정하여 객관적 스트레스 반응을 살펴보는 연구, 종단적 연구를 통한 지속적인 확인 등이 필요하다. 또 직장인 이외에 다양한 연구 대상으로 연구를 확대시켜 나가야한다. 덧붙여 그간 스트레스의 역기능적 효과에만 초점이 맞춰져 상대적으로 연구가 덜 된 스트레스의 순기능에 대한 연구도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다.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나타난 주인공 마르셀의 작가체험 연구

        김예진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는 주인공 마르셀이 현실의 삶에서 경험하는 온갖 환멸을 극복하고 작가로서의 소명을 실현시키기까지의 과정을 그리고 있다. 우리는 작가가 되기까지의 과정에서 마르셀이 겪는 경험의 총화를 작가 체험으로 규정하였으며 작가 체험의 범주를 현실적 삶(사랑)과 예술이라는 대립의 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상반된 길을 따라 전개되는 마르셀의 작가 체험에 공통되어 있는 정신 여정의 단계를 도출해내어, 그것이 작품 전체의 주제를 표출하고 있음을 밝히려는데 있다. 우선 Ⅱ장에서는 작가가 되고자 하는 마르셀에게 그 소명을 실현하는 방식을 막연하게나마 계시해주는 일화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비밀의 감지와 그 탐색, 공통요소의 발견, 정신적 등가물로의 전환이라는 세 단계로 짜여진 마르탱빌르 종탑 일화의 전개 과정은 마르셀이 작품의 말미에 가서 깨닫게 될 예술 창조의 본질을 그대로 예시해 준다. 하지만 어린 마르셀은 자신이 거쳐간 정신 도정을 따르는 길이 예술 창조의 정수(精髓)와 맞닿아 있다는 진실을 아직 파악하지 못한다. 때문에 그는 내면을 성찰하여 소명을 실현시키는 데 힘쓰기보다는 자신에게서 벗어나 타인의 세계와 소통하고자 하는 열망을 안고 현실의 삶에서 방황하게 된다. Ⅲ장에서 다룬 사랑의 체험은 위와 같은 마르셀의 열망이 현실의 삶에서는 결코 이루어질 수 없음을 단적으로 보여준 실패의 체험이다. 하지만 사랑에 빠진 사람이 거쳐가는 정신 여정은 앞선 Ⅱ장에서 도출한 것과 동일한 단계를 따르고 있다. 이에 우리는 내용상으로는 극복되어야 할 삶의 국면을 드러내준 사랑의 체험이, 그 전개 과정의 측면에서는 예술 창조의 본질을 예시해주는 하나의 모델이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랑의 체험은 마르셀에게 그 자신의 심오한 내면을 드러내 보여주었다는 점에서도 의미 있었다. Ⅳ장에서는 마르셀이 작품에 등장하는 예술가들과 교류하면서 경험한 미학적 체험을 살펴보았다. Ⅱ장과 Ⅲ장에서 이끌어낸 것과 통일한 단계로 이루어진 미학적 체험은, 소명의 실현을 뒤로한 채 현실의 삶에서 방황하던 마르셀에게, 잊고 지내던 소명 의식을 환기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를 통해 마르셀은 자신에게서 탈피하여 타인의 시선으로 세계를 보고자 하는 열망은 예술 작품을 통해서만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Ⅴ장에서는 마르셀이 「되찾은 시간」에 이르러 작가로서의 소명을 실현시키기로 결심하게 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그는 소명에로의 부름에 접했을 때 거쳤던 정신 여정의 단계가 예술 창조의 본질을 밝혀주는 열쇠임을 깨닫고, 작품 창작에 착수하기로 한다. 이에 우리는 마르셀의 작가 체험에 나타난 정신 도정 자체가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를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우리는 마르셀이 쓰게 될 소설을 구축하는 방식도 그의 작가 체험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 retrace l'itine´raire du narrateur-Marcel, devenu e´crivain apre`s avoir surmonte toutes les de´sillusions e´prouve´es dans la vie re´elle. Cette e´tude se propose de de´finir l'e´tape identique de l'expe´rience d'e´crivain de Marcel, qui se de´veloppe suivant l'axe de la vie re´elle et celui de l'art, et de de´montrer que cette e´tape sous-tend le theme de l'oeuvre entie`re. Pour cela, dans le deuxie`me chapitre, nous analysons les e´pisodes qui sugge`rent a` Marcel la manie`re de re´aliser sa vocation. En particulier, le processus du de´veloppement de l'e´pisode du clocher de Martinville en trois e´tapes -la perception du secret et sa recherche, la de´couverte d'e´le´ments communs et la conversion en un e´quivalent spirituel- annonce de´ja` l'essence de la cre´ation artistique que Marcel aura comprise a` la fin de l'oeuvre. Mais Marcel, encore immature, ne peut encore saisir cette esssence, aussi erre-t-il dans la vie re´elle tout en espe´rant sortir de lui-me^me afro de communiquer avec le monde des autres et voir le monde avec les yeux des autres. L'histoire d'amour, objet du troisieme chapitre, montre que les aspirations de Marcel ne s'accomplissent pas dans la vie re´elle. Nous notons que le parcours de son expe´rience amoureuse suit la me^me e´tape que celle que nous e´voquons dans le chapitre pre´ce´dent. Bien que l'expe´rience amoureuse concerne un aspect de la vie re´elle, son e´tape peut e^tre conside´re´e comme 1'un des signes annonc¸ant 1'essence de la cre´ation artistique. En outre, l'expe´rience amoureuse est significative en ce sens qu'elle de´voile a` Marcel son moi profond. Dans le quatrie`me chapitre, nous examinons l'expe´rience esthe´tique de Marcel. Toujours construite sur la me^me e´tape, celle-ci a pour ro^le d'e´voquer la conscience de sa vocation. Gra^ce a` cette expe´rience, Marcel s'aperc¸oit que son envie de voir le monde a` travers les yeux d'autrui n'est envisageable que par le biais d'une oeuvre d'art. Enfm dans le cinquie`me chapitre, nous e´tudions le processus par lequel Marcel se de´cide a` re´aliser sa vocation d'e´crivain. Nous constatons que 1'etape commune a l'e´xperience amoureuse et a` l'expe´rience artistique fournissent une explication de l'oeuvre entie`re. Nous somme e´galement en mesure de confirmer que la construction du roman de´coule de l'expe´rience d'e´crivain de Marcel.

      • 현대공간에 나타나는 시지각적 특성에 따른 경계의 모호성에 관한 연구

        김예진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모호한 경계를 표현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되는 인간의 공간인지에 주목해 원인과 특성을 파악한다. 인지의 수단이 되는 시지각적 특성을 중심으로 실내공간에서 표현되어지는 모호한 경계의 유형과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관련된 선행연구와 문헌을 통해 공간의 시지각적 공간인식의 개념과 특성 그리고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 실내공간에 나타나는 실제적 현상들, 즉 공간에서의 모호한 경계를 유발하는 형태들에 대한 디자인적 유형과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은 형태를 규정할 수 있는 물리적 요소와 영역을 규정할 수 있는 감각적 요소로 분류한다. 둘째, 시지각적 공간인지 유형은 시선의 방향, 공간의 깊이, 요소의 중첩으로 분류한다. 셋째, 시선의 방향은 정면단수시점과 양면복수시점, 그리고 사방복수시점으로 분류하며 내-외부 상호관입으로 인한 운동감으로 인해 시각적 지향점이 나타났다. 넷째, 공간의 깊이는 시각의 시점, 요소의 변화, 감각적 원근감으로 분류하며 내부요소와 관계하는 무한한 경계를 가진다. 다섯째, 요소의 중첩은 혼성, 시각의 연속, 영역의 차단으로 분류하며 공간의 내-외부를 조절하는 동시성을 가지고 독립적이면서 새로운 영역으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미술교과 감상수업 연구

        김예진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경쟁이 학교 교육에서도 경쟁학습 구조로 나타난다. 학교 교육은 시대와 사회에 따라 조금씩 변화해왔지만 현재 경쟁학습구조로 인하여 교육의 최종 목표인 전인적인 인간 육성을 이루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전인적인 인간을 육성하고 창의적이고 사회적인 교육으로 변화해 나가기 위해서는 현재 실정의 경쟁적이고 개별적이고 성적위주의 학습보다는 협동적인 학습을 중심으로 학생들에게 학습 기회를 보다 균등하게 제공하며, 공동으로 소집단끼리 과제를 해결해 나가고 개별적이 아닌 함께 학습을 하는 과정에서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을 극대화 시키며 사회성을 기를 수 있는 교육 방식을 추구해야 한다. 특히 미술교과는 창의적이고 결과물을 산출해 내는 특징을 가지며, 학생들은 직접 참여를 한다는 점에서 협동학습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교과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학교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할 방법으로 협동학습을 적용하였다. 다양한 협동학습 모형 중 하나인 STAD 모형을 미술 감상 교육에 적용하여 주입식으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아닌 학생들끼리 서로 상호작용하며 흥미롭게 미술사적 역사를 습득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STAD 모형은 협동학습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모형으로 이전과는 다른 수업 진행과 학생들의 수업태도가 기대된다. STAD모형을 적용하여 감상수업의 지도안을 계획하기에 앞서 본 논문에서는 협동학습의 기본적 의의와 개념을 설명한 뒤 협동학습의 다양한 모형들의 특징들과 절차를 제시한 후 STAD모형을 적용한 수업사례를 살펴본 뒤, 감상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어떤 효과를 내는지에 대한 연구하였다.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미술에 대한 흥미를 유발 시키고, 협동학습을 통해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Competition in the current capitalist society also appears to be a competitive learning structure in school education. Although school education has changed little by little with time and society, the current competitive learning structure makes it difficult to achieve the final goal of education: human development.To foster a holistic human being and to transform into a creative and soci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ursue an educational method that will provide students with more equal learning opportunities based on collaborative learning rather than competitive, individual, and sexual learning in the present situation, and to jointly maximize interactions among members in the process of resolving tasks between groups and learning together and not individually.In particular, art classes are creative and have characteristics that produce results, and students can participate in them directly. In this study, cooperative learning was applied as a way to supplement the current problems in school education.The STAD model, which is one of the various cooperative learning models, is applied to art appreciation education so that student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acquire an interesting history of art history instead of acquiring knowledge as an injection method.The STTAD model is the most commonly used model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be taught differently than before.Prior to planning the guidance for the audit class by applying the STAD model, this paper explained the basic meaning and concepts of collaborative learning, presented the various model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examined the case of classes using the STAD model, and then studied the effect of applying it to the audit class.Based on the research, the guidelines for teaching were presented.This study is applied to create interest in art and hope that education will be achieved through collaborativ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