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 체육과 교육과정의 통섭적 접근

        전지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9791

        이 연구는 신체활동의 가치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수행하며 감상하기 위한 체육과(科) 교육과정의 통합적 교수․학습 방법 활동과 관련하여 기존의 교과 내 통합에 머무른 통합적 체육교육에 새로운 대안적 방법으로써 통섭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기존의 통합적 체육교육은 체육의 인문적 차원에 초점을 맞추며 신체활동의 문화적 가치를 추구하는 체육교육론으로 교육현장에 새바람을 불러일으켰으나 활발한 신체활동을 위한 물리적 수업시수를 절대적으로 부족하게 만들었으며, 교과 간 학습내용이 타 교과로 전이되는 과정을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평가방법에 있어서 체육과 교육과정 본래의 평가 의도에 부합하지 못한 결과를 가져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교과 간 연계성 있는 교육과정 내용 및 활동을 선정한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시도하였다.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은 체육 교과 내 영역 간 통합을 기본으로 하되 체육과 교육과정과 타 교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통합하는 것으로, 특히나 신체활동의 총체적인 이해와 수행을 강조하는 통합적 교수ㆍ학습 활동을 타 교과와 연계하여 구성한 교육과정이다. 이는 각 교과목이 서로 다른 각도에서 가르치는 지식 간의 간극을 메우고 교과목 간 중복되는 학습내용의 시간낭비를 줄이며 과목 간 연관성을 살린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통섭적 교육과정 운영으로 신체활동의 가치를 이해하는 총체적인 경험을 통해 체육교육의 실제를 구현하고 융․통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창의적인 체육인재를 기르는 데 있어 구체적인 방향성과 단초를 제공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 방법에 기초한 셀프 연구(Self-study)를 이용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도록 설계하였다. 셀프 연구는 교육적 실천행위 속 교육적 의미 및 상황적 맥락이 상호작용하는 공간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교사 개인의 개인적 성장 및 발달, 교사의 전문적 성장과 발달 촉진, 수업과 학교의 향상을 도모한다. 또한 이 연구는 교육 상황에서 교사의 실천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교사의 교육철학과 교육적 담론임을 감안하여 연구자이자 연구참여자로서 ‘나’의 내러티브에 주목한다.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이자 연구참여자인 ‘나’ 자신에 대한 자서전적인 방법으로 교육적 의미를 내부자적 관점에서 반성적으로 이야기함으로써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연구는 1년 7개월에 걸쳐 연구자의 4학년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절차는 3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먼저 1단계는 예비 연구적 성격으로 학습연구년을 수행하면서 본 연구 실행에 앞서 현장 들어가기 및 실행 가능성 탐색에 주안점을 두었다. 다음 2단계는 연구 과정에 따른 자료를 집중적으로 기술, 분석, 해석하는 과정으로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적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진행하였다. 마지막 3단계는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결과를 마무리하는 과정으로 현장 텍스트를 연구 텍스트로 작성하고 형식을 갖추었다. 구체적인 자료 수집 방법은 문서자료, 저널, 학생 배움공책, 수업관찰, 면담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는 Cladinin과 Connelly(2000)가 제안한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현장 속에 존재하기, 현장에서 현장 텍스트로 이동하기, 현장 텍스트 구성하기, 현장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로 이동하기, 연구 텍스트 작성하기의 과정을 거쳐 기술-분석-해석하였다. 연구에 적합한 절차와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 자료를 수집하며 분석하고 이를 정리하여 다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순환적인 과정을 거쳤으며 연구 절차와 상황에 따라 단계별로 연구 절차와 기간이 중첩되어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먼저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계획하기까지의 ‘나’의 교직 생활 경험과 학문적 고민들을 그 여정에 따라 현상적 맥락을 ‘나’의 목소리로 기술하였다. 현장교사로서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계획하게 된 ‘나’의 교육적 실천행위와 복잡성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현상적 맥락을 해석적으로 때론 비판적으로 탐구하였으며 이를 풀어나가기 위한 실천 지식, 나의 이야기와 목소리를 셀프 연구 방식으로 담았다. 그 다음은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실제 적용하는 과정으로 탐색한 설계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세부 절차에 따라 실제적 내용을 ‘나’의 내러티브를 이용한 셀프 연구 방식으로 기술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이 갖고 있는 교육적 의미를 해석하였다. 자료의 진실성을 높이기 위하여 동료 간 협의, 구성원 간 검토, 다각도 검증법, 심층적 기술이 이루어졌으며 이상의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 ‘나’의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 계획 전 교육적 실천 경험은 어떠한가? ‘나’의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계획하기 전 교육적 실천 경험 과정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먼저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계획하기까지의 교직 생활 경험과 고민들을 내러티브적으로 기술하였고, 다음은 이러한 과정 속에서 겪은 난점은 무엇이었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은 어떠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첫째,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계획하기까지의 여정을 ‘나’의 목소리로 담아 내러티브적으로 기술한 결과 ‘기대와 우려’, ‘냉정과 열정 사이’, ‘체육수업 비평’, ‘타협과 절충’, ‘변화와 기대’, ‘프락시스 연결하기’로 나타났다. ‘기대와 우려’는 부푼 꿈을 안고 교직 생활에 첫발을 내딛은 햇병아리 교사 시절 나의 기대와는 달리 가을 대운동회에서 느꼈던 무용 지도의 어려움이 트라우마가 되었으며 이것이 반복적으로 되풀이되며 답답함으로 남았고, 이는 연구자가 체육활동을 지도함에 있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우려 사항이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체육교육의 문을 두드리는 ‘냉정과 열정 사이’로 연결되었다. 체육을 지도하면서 느꼈던 어려움을 피할 수 없으면 즐기기 위해 체육교육의 문을 두드리게 되었으며, 스포츠교육학을 공부하며 교직 생활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체육수업 비평’은 아나공에 젖어 있던 학생들에게 체육의 새로움을 일깨우기 위한 방편으로 스포츠교육학을 전공하며 알게 된 뉴스포츠 활동을 전개하였고, 뉴스포츠 활동은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새로운 체육에 대한 기대감과 만족감을 높이는 촉매가 되었으며 다양한 체육활동을 알리는 기회가 되었다. 다음은 학급 학생 간 갈등 상황이 체육활동을 통해 분출되면서 겪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체육이 갖고 있는 신체활동의 문화적 가치를 강조하고자 통합적 체육교육으로 ‘타협과 절충’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통합적 체육교육은 시․공간적으로 무리가 있어 이로 인해 생기는 또 다른 차원의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다. ‘변화와 기대’는 나 스스로의 한계성과 통합적 체육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또 다른 발전적 활동을 기대하며 초등체육과교육연구회에 가입을 하였고 이때 통섭과 만나게 되는 계기를 얻었다. ‘프락시스 연결하기’는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사전 실험적인 수업의 시도와 학습연구년 과정을 통해 통섭을 실제로 적용하기 위한 체육과 교육과정의 터를 마련하는 데 주력하였다. 둘째,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계획하면서 겪은 어려움과 이를 해결해 나가며 기회를 만드는 과정은 ‘천우신조(天佑神助)’, ‘난공불락(難攻不落)’, ‘마부작침(磨斧作針)’으로 나타났다. 통섭적 교육과정의 원리를 탐색한 학습연구년 수행이 끝나며 학교 현장으로 복귀를 하는 과정에서 연구를 수행할 수 없었던 상황적 맥락이 있었으나 ‘천우신조(天佑神助)’로 학교 업무와 담임 배정이 재조정되면서 연구 수행을 시작할 수 있었다.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실제로 적용하기에 앞서 외부적 차원에서는 교과서 배부 시기 부적절, 동학년 체제에 발맞추기, 체육교육 관련 행사 소홀, 체육수업 중 상규적 활동 부재, 아나공 수업, 시설 및 용․기구의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었으며 내부적 차원에서는 과중한 개인적 업무의 상충, 셀프 연구로 인한 연구 타당성 확보 필요성으로 인한 어려움 등의 ‘난공불락(難攻不落)’의 요소들이 산재해 있었다. 그러나 위기와 어려움을 기회로 만드는 ‘마부작침(磨斧作針)’의 과정은 현장 교육 전문가 집단 구성, 학생 중심의 상규적 활동 마련, 체육 전담교사와의 협의를 통해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데 있어 여러 난점들을 극복하였다. 나. ‘나’의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의 실제는 어떠한가?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적용하기 위한 실제적인 설계 모형을 위해 대표적인 통합교육 모형들에 대한 문헌을 탐색하였고, 그중 대표적인 STEAM 교육에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안된 PDIE 모형을 이용하여 단계적 세부 절차를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활용하였으며 수정된 단계적 세부 절차는 체계적이고 순환적인 과정을 거쳐 계획과 적용의 과정이 진행되었다. 첫째, 준비(P)단계이다. 준비단계는 다시 학습자 분석, 통합유형 선정, 교육과정 분석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효과적인 수업 설계를 실행하기 위한 준거로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내 과목(또는 활동)에 대한 선호도, 만족도, 유능도를 조사․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문헌 조사를 통해 학교와 학부모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였다. 이 연구의 통합유형을 보면 학문 관련방식은 간학문적 통합, 통합형태접근은 기여적 통합, 통합요소접근은 활동중심 통합으로 선정하였다. 교육과정 분석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에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각론이 적용되는 시점에 맞춰 체육과와 타 교과 간 통섭적 연계 요소를 분석하였다. 둘째, 개발(D)단계이다. 이는 활동주제 및 내용 선정, 활동 템플릿 작성, 교실친화적 모듈 구성, 수업 자료 개발 등이 있다. 활동주제 및 내용을 선정함에 있어 적정성과 타당성을 위해 현장 교육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였으며 최종 협의 과정에 따라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을 위한 과목별 구체적인 활동주제 및 내용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내용은 활동 중심의 템플릿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는 다시 수업의 흐름과 내용상의 연계성을 염두에 두고 현장 교육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공동 연구하는 방법인 교실친화적 모듈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수업을 구체화시키고 효과적으로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활동 내용별로 효과적인 수업 계획을 위한 다양한 수업 자료들을 지도내용과 연계성 있게 개발․준비하였다. 셋째, 실행(I)단계이다. 이는 활동 중심의 교실친화적 모듈 구성과 그에 따라 개발된 수업 자료를 기반으로 학생들에게 직접 적용하는 과정으로 초등 체육수업의 일상을 엿보는 ‘프롤로그’, 통섭으로 체육에 입문하는 ‘익숙함과 낯설음’, 체육으로 생각을 심는 ‘통섭의 시도와 도전’, 체육으로 아우르기의 ‘소통과 숙의’, 체육으로 열매 맺는 ‘체육적 가치의 내면화’로 나누어 졌다. 넷째, 평가(E)단계이다. 이 단계는 수업평가, 수정 및 개선으로 나누어 졌다. 먼저 수업평가는 통섭적 교육과정 운영에 맞게 교과 내 통합에 의한 방식의 체육과 평가와 교과 간 통합에 의한 방식의 타 교과 평가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이는 각 교과별로 의도하는 평가 요소에 따라 교과 나름의 고유 영역은 유지하되 교과 간 서로 기여적인 측면을 도모하는 것이다. 다음 수정 및 개선은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의 타당성 평가를 통해 선정 내용 및 활동을 수정하고 일반화를 위한 활동으로 현장 교육 전문가와 함께 컨설팅과 협의를 거쳐 수업 과정 및 결과를 함께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컨설팅 결과는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수업 전개, 학생 주도적 수업 자료 개발 필요, 학교 및 가정과 연계한 교육활동 전개, 지역사회 자원 및 인프라 구축으로 나타났다. 다.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 통섭적 체육과 교육과정이 내포하고 있는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교사 차원, 학생 차원, 교과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교사 차원의 교육적 의미는 먼저 교사 전문성 패러다임이 수업 전문성에서 교육과정 전문성으로 전환됨에 따라 ‘교육과정 전문가로서 교사’로 나타났다. 다음은 통섭적 교육과정 운영을 하면서 나타난 바람직한 상호 협력의 학교 문화를 통해 ‘학교를 개선하는 교사’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은 교사 역할이 다변화되고 시대가 요구하는 교사의 역할이 변화함에 따라 ‘리더-학습자로서 교사’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 차원의 교육적 의미는 ‘인식론적 기능’과 ‘사회 심리적 기능’으로 나타났다. 먼저 ‘인식론적 기능’은 지식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고 지식의 유용성과 의미를 높여주는 신체 활동 지식의 확장으로 나타났다. 다음 ‘사회 심리적 기능’은 사회와 학교를 연결해 주고, 사회 문제에 적극적인 대처 능력을 길러주며, 전인적 인격 계발을 돕는 통찰력과 사고의 유연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 차원의 의미는 먼저 통섭적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환원주의 패러독스’를 해결하고 지식의 소통과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교과별 소통을 원활하게 만드는 통섭적 운영은 각 교과의 정통성을 유지하되 교사의 의도에 맞는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도모하고 교육과정의 다양화를 모색할 수 있는 ‘교육과정 편제의 변주곡’으로 나타났다.

      •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의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 경험과 교육적 의미

        이태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75

        이 연구의 목적은 한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의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 경험을 살펴보고, 그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도 강한면 강한초등학교에서 2023년 3월부터 7월까지 1학기 동안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에 참여한 3~6학년 학생 6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심층면담, 관련 문서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고, 삼각검증법, 동료 간 협의, 연구 참여자 확인을 통해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규모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에 대한 학생의 경험은 ‘소규모 학교 체육의 불씨 살리기’로 ‘체육이 필요해요’, ‘알차게 보내요’, ‘기회가 생겼어요’의 세 가지로 범주화하였다. ‘체육이 필요해요’는 소규모 초등학교에서 체육수업의 결핍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다룬 범주로 ‘김빠진 체육수업’과 ‘복불복 체육수업’이라는 하위 범주를 통해 형성되었다.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들은 체육수업에서 다소 지루함을 느끼고 있었다. 교사의 아나공 체육수업으로 인해 다양한 체육활동의 경험 부족, 성비 불균형과 소수 학생으로 인해 나타나는 승패가 결정된 수업, 그리고 담임 교사의 체육 선호도에 따른 체육수업 시간 할당 등이 나타났다. 이처럼 준비가 미흡한 체육수업으로 인해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들은 체육수업에 대한 흥미를 상실하고 있었다. ‘알차게 보내요’는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들의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의 참여 동기와 인식을 다룬 범주로 ‘나를 돌봐주는 방과후학교’, ‘내가 좋아하는 스포츠 활동’이라는 하위 범주를 통해 형성되었다. 농촌에 소재한 강한초등학교의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은 방과 후에 갈 곳이 마땅치 않은 학생들의 돌봄 공백을 채워주는 기능을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수업에 대한 부담 없이 방과 후 친구들과 어울리는 자유 시간으로 인식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은 학생들의 강한 신체활동 욕구를 충족시키며, 즐거운 여가를 제공하고 있었다. ‘기회가 생겼어요’는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들이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을 경험하면서 생긴 기회와 성장을 다룬 범주로 ‘전인적 성장의 기회’, ‘자아실현의 기회’라는 하위 범주를 통해 형성되었다.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들은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을 통해 체력과 운동기능이 향상된 것을 느꼈다. 뿐만 아니라 합동 수업으로 진행되어 선후배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스포츠맨십을 습득하였으며, 경쟁과 협력하며 다양한 가치를 경험하였다. 이로써 학생들은 스포츠 활동을 매개로 사회구성원으로서 사회화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을 통해 다양한 감정을 느꼈고, 그 감정을 극복하고 개인적으로 성장하는 경험을 하였으며,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다루는 방법을 학습하였다.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은 학생들의 진로 선택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잠재력을 실현하고, 새로운 도전과 자신의 재능을 계속 발전시키는 원동력으로도 작용하였다. 둘째,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의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 경험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는 ‘공교육의 횃불 밝히기’로 ‘학교 체육의 보완책’, ‘사교육의 대안책’의 두 가지로 범주화하였다. ‘학교 체육의 보완책’은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의 체육수업 결핍을 보완하는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을 다룬 범주로 ‘소수 인원을 극복하는 합동 수업’, ‘체육수업을 보충하는 스포츠 활동’이라는 하위 범주를 통해 형성되었다. 강한초등학교의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은 합동 수업으로 진행됨에 따라 인원을 확보하고 학생들은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경험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강한 신체활동의 욕구 충족과 예측 불가능한 스포츠의 묘미를 경험하고, 선후배 간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성을 발달시키는 기회를 얻었으며, 우수한 학생들을 관찰하고 배울 수 있는 경험을 하였다. 이에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은 학생들의 스포츠 경험을 풍부하게 만들었고, 학교 체육과 생활체육을 연계하여 평생체육에 대한 기반을 다지는 역할을 하였다. ‘사교육의 대안책’은 농촌 소규모 초등학교 주변의 마땅치 않은 사교육 시설의 대안으로서 다양한 기능을 하는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을 다룬 범주로 ‘가성비가 좋은 방과후학교’, ‘전문성을 갖춘 외부 강사’라는 하위 범주를 통해 형성되었다.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은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사교육비를 경감하고 돌봄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였다. 더불어, 최근 스마트폰과 인터넷의 사용이 학생들의 여가시간을 크게 차지하는 가운데, 신체활동을 통해 여가시간을 균형 있게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소규모 초등학교의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에 체육을 전공한 외부 강사를 채용함으로써 체육 지도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부족한 신체활동을 보충하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사교육과 같이 특정 종목에 국한되지 않고 포괄적인 스포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은 다양한 운동 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 이처럼 소규모 초등학교의 방과후학교 스포츠 활동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차원에서 성장과 발전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가 소규모 초등학교의 체육활동 활성화 나아가 체육문화 형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미세먼지 환경에서의 초등학교 실외체육수업 운영실태 및 교사의 인식

        박경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75

        이 연구는 미세먼지 환경에서의 초등학교 실외체육수업 운영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토대로 체육수업의 개선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G도 P시, S시, G시에 소재하고 있는 학교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3~6학년 260명으로 선정하였으며, 할당표집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합 후 설문내용이 부실하거나 무응답 등을 제외한 238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고 자료처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체활동 마련 여부 관련이다. 본 연구결과 미세먼지에 대비하여 대체활동을 마련하는 교사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미세먼지 환경에서 대체활동을 위한 충분한 공간 확보, 적절한 프로그램 개발․보급, 장비 지원, 교사 연수, 교사 체육연구회 활성화 등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실외체육수업 운영 전 미세먼지 농도 확인 방법 관련이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뉴스나 앱을 활용하여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나타났다. 최근 미세먼지 측정 기구는 다양해져 교사들은 각기 다른 경로로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자체 또는 교육청차원에서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미세먼지 농도 측정 시스템을 개발, 보급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외체육수업 도중 미세먼지 점검 관련 논의이다. 실외체육수업 도중 미세먼지를 점검하는 횟수에 관한 통계를 살펴보면 미세먼지 교육 경험의 유, 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미세먼지에 관한 교육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교육경험이 없는 교사들 보다 수업 도중에 미세먼지 농도를 수시로 확인했으며 이는 교사 연수나 교육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미세먼지로 인해 실외체육수업이 대체활동으로 바뀐 비율이다. 본 연구에서 결과 많은 실외체육수업이 대체활동으로 바뀌어 진행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학교들이 충분히 넓은 실외체육시설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실정이다. 변해가는 기후 속에서 초등학교 교사들과 학생들의 체육수업 여건을 보장할 수 있는 실내장소와 학생들이 안전하게 체육수업을 할 수 있는 공간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다섯째, 대체활동 공간에서 미세먼지를 방지하기 위한 교사의 노력부분이다. 본 연구에서 대부분의 교사들은 공기정화장치를 이용하여 대체활동 공간에서의 미세먼지를 방지하였다. 그러나 공기청정기는 전기로 운영되는 것이고, 전기를 발전하기 위해 환경을 오염시켜야 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만든다는 점, 필터를 교체하지 않는 등 관리가 부족하면 오히려 공기 질이 좋아지지 않는 점에서 학생들과 함께 공기정화장치 대신 공기정화식물을 키우고 물걸레질을 하는 등 미세먼지에 친환경적으로 대응하는 방안(지옥정, 김경화, 2018)을 능동적으로 모색할 필요도 있다고 본다. 여섯째, 미세먼지 환경에서 초등학교의 실외체육수업의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외체육수업 계획 및 준비, 운영, 대체활동 계획 및 준비에서 교사들은 교직경력, 담당학년, 미세먼지 교육경험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김경수(2019), 김은선(2017)의 연구에서도 위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이는 최근 미세먼지로 인해 실외체육수업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고, 이러한 어려움이 교사들의 인식수준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일곱째, 김경수(2019), 김선미(2015)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도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 수준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다. 따라서 남교사의 미세먼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교육기회 제공과 더불어 미세먼지에 대한 안전문제의 이해도 제고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여덟째, 미세먼지 교육을 받은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실외체육수업에 대하여 더 높은 수준의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교사가 미세먼지에 대해 제대로 알아야 바르게 학생을 지도를 할 수 있으므로 미세먼지 관련 교사교육이 교육과정이나 교사 필수연수에 도입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해져가는 요즘 좋은 체육수업을 위한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학생들의 체육수업을 보장할 수 있는 교육공동체의 해결책이 제시되지 않으면 학생들의 좋은 체육수업을 보장할 수 없을 것이다. 지자체, 교육청 차원에서는 학생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실내체육시설 및 공간 확보가 필요하다. 또한 미세먼지 교육, 연수를 통하여 교사들의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 제고도 필요하다. 교사는 교육공동체간 협의, 체육연구회 활성화를 통해 보다 현실적인 체육수업의 접근방법으로 대비책을 강구해야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급격하게 변해가는 기후환경 속에서 교육공동체 모두가 힘을 모아 체육수업의 발전을 도모해야만 한다고 생각된다. The research aims to confirm the status of the operation of outdoor sports classes at elementary schools and the awareness of teachers in the fine dust environment, and based on it, the research aims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impro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26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to work at schools located in P, S, and G. The survey was conducted by sampling samples from the quota lis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38 people except for poor survey contents or non-response after data collection,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rough data processing. First, it is about whether alternative activities are in place. According to this study, the percentage of teachers preparing alternative activities against fine dust is high. In a fine dust environment that is becoming more serious day by day, measures such as securing enough space for alternative activities, developing and distributing proper programs, supporting equipment, training teachers, and activating teachers' sports research institutes are needed. Second, it is related to how to check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before operating outdoor sports classes. Most teachers used news or apps to measure fine dust levels. Recently, fine dust measuring instruments have become diverse, so teachers check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different way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a standardized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system that can be used by teachers at local governments or education offices.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ll discuss checking fine dust during outdoor sports classes. Statistics on how many times fine dust is checked during outdoor sports class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use and ignorance of fine dust education experiences.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with educational experience on fine dust frequently checked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during class rather than those with no experience in it, which shows the need for teacher training or education. Fourth, the ratio of outdoor sports classes to alternative activities due to fine dust. In this study, many outdoor sports classes were changed to alternative activities. However, many schools still do not have enough outdoor sports facilities. Amid the changing climate, it is necessary to secure indoor venu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to take physical education classes safely. Fifth, it is part of teachers' efforts to prevent fine dust in the space of alternative activities. In this study, most teachers used air purifiers to prevent fine dust in alternative activity areas. However, since air purifiers are operated by electricity, creating a vicious cycle of polluting the environment to generate electricity, and air quality does not improve if management is insufficient such as not replacing filters, students and students need to actively seek ways to cope with fine dust by growing air purification plants instead of air purification devices and wiping water. Sixth, the results of analyzing teachers' perceptions of outdoor sports classes at elementary schools in the fine dust environment are as follows. In planning and preparing for outdoor sports classes, operation, and alternative activities, teacher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ing experience, grades in charge and fine dust education experience. The study by Kim Kyung-soo (2019) and Kim Eun-sun (2017)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bov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hich is believed to be following difficulties in outdoor sports classes due to the recent fine dust, and such difficulties are affecting teachers' level of awareness. Seventh, like the studies of Kim Kyung-soo (2019) and Kim Sun-mi (2015), the level of awareness of fine dust is higher in this study than in men.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a ne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safety issues regarding fine dust, as well as provid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that can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fine dust by male teachers. Eighth, teachers with fine dust education had a higher level of awareness about outdoor sports classes than those who did not. Since teachers can properly teach students when they know about fine dust, we believe that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fine dust needs to be introduced into the curriculum or the required training of teachers. Everyone's efforts are needed for good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se days when the fine dust problem is getting serious. Students will not be able to guarantee good physical education unless a solution is presented to the educational community that can guarantee students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various ways. At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s and education offices, the government needs to secure indoor sports facilities and spaces that can ensure the safety of students. It is also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of fine dust among teachers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of fine dust. Teachers should devise countermeasures as a more realistic approach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rough consultation among education communities and revitalization of sports research institutes. In conclusion, in the rapidly changing climate, it is thought that all the educational community should join force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 초등학교 체육 전담교사의 전문성 형성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최효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75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체육 전담교사의 전문성에 대하여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그 인식과 형성과정을 분석하여 초등학교 체육 전담교사의 전문성을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유목적적 표집과 이론적 표본추출을 통해 총 8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고, 초등학교 체육 전담교사의 전문성 형성에 관한 참여자들의 경험과 그 의미를 추출하기 위해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개방 코딩과 축 코딩 그리고 선택 코딩을 바탕으로 비교 분석을 통해 총 6개의 범주와 14개의 하위범주, 36개의 개념을 구성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 체육 전담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경험은 어떠한가? 초등 체육 전담교사의 전문성 경험의 첫 단계는‘체육 전담교사의 시작’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영향을 주는 인과적 조건인‘체육 전담교사의 시작’의 하위범주로는‘체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교사 양성과정에서의 경험’,‘사회적 환경에 의한 영향’이 확인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성장 과정에서 경험한 긍정적인 체육수업과 스포츠에 대한 동경심은 체육 전담교사 시작의 중요한 요인이 되었고, 동시에 향후 자신의 전문성을 경험하게 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의 가족이나 지인 등 중요한 타자(他者)와의 관계도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으로 체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확충되는 스포츠 시설 및 관계기관의 구축은 체육에 대한 관심 및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체육 전담교사를 시작하고 자신의 전문성을 경험하게 되는 데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양성과정에서 습득한 교육학적 지식과 교생실습을 통한 수업경험들은 연구 참여자들에게 체육수업의 의미와 가치 그리고 교육현장의 현실을 체험하게 하였다. 그리고 학부과정에서 경험한 체육활동과 관련된 동아리 및 클럽 활동들은 향후 체육교육의 전문성 인식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의미 있는 관계성을 가진 사람들의 추천과 권유, 지역 교과연구회 활동 그리고 체육 전담교사를 기피하는 초등학교의 특수한 상황과 같은 사회적 환경도 연구 참여자들이 자신의 전문성을 경험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초등 체육 전담교사의 전문성 경험의 두 번째 단계는‘교육환경의 변화’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영향을 주는 맥락적 조건인‘교육환경의 변화’의 하위범주로는‘교육정책 및 제도의 변화’,‘학교 교육의 변화’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은 반복적으로 개정되는 교육과정과 학교스포츠클럽 등 변화된 교육정책 및 제도와 더불어 코로나-19 상황에 이르기까지 달라진 사회상을 통해 교육환경의 변화를 체감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학습자들이 고정적으로 가지고 있던 체육수업 인식의 변화를 불러왔고, 이에 따른 학습자들의 다양한 요구는 연구 참여자들에게 학교 교육이 변화하고 있음을 인식하는 동시에 자신의 전문성을 되돌아보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초등 체육 전담교사의 전문성 형성 과정은 어떠한가? 초등 체육 전담교사의 전문성 형성의 첫 단계는‘전문성 부족 경험’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참여자가 느끼고 있는 핵심적인 관념을 의미하는 중심현상인‘전문성 부족 경험’의 하위범주로는‘전문지식의 부재’와‘수업 운영의 전문성 부족’이 나타났다. 초등 체육 전담교사의 전문성 형성의 두 번째 단계는‘교육적 인식의 변화’로 확인되었다. 중심현상의 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중재적 조건인‘교육적 인식의 변화’의 하위범주로는‘체육교육의 중요성 확대’와‘민주적인 교육문화 정착’이 나타났다. 초등 체육 전담교사의 전문성 형성 과정의 세 번째 단계는‘지속적인 노력과 반성’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중심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직접적이고 의도적으로 수행하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인‘지속적인 노력과 반성’의 하위범주로는‘수업 지식의 습득’과‘교육적 안목 형성’으로 나타났다. 초등 체육 전담교사의 전문성 형성 과정의 네 번째 단계는‘전문성 신장’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중심현상에 대응하거나 그 현상을 다루기 위하여 최종적으로 나타나는 결과인‘전문성 신장’의 하위범주로는‘교사 개인의 성장’과‘체육수업의 질적 향상’,‘사회 및 공동체와 연계’가 나타났다. 셋째, 초등 체육 전담교사의 전문성 형성 모형은 어떠한가? 초등 체육 전담교사의 전문성 형성 모형은‘새로운 시작’,‘수업 환경의 변화’,‘끊임없는 성장과 의지’,‘체육교육 전문가로 나아가기’의 개념으로 나타났다.‘새로운 시작’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체육 전담교사 입문에 대한 내용으로 크게 체육에 대한 인식, 교육대학교에서의 경험, 사회적 환경으로 구분되어 나타났다.‘수업 환경의 변화’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체육 전담교사 역할을 수행하면서 느끼게 된 환경변화에 관한 경험을 의미한다. 이는 교육사회의 변화와 체육에 관한 전문지식 결여, 수업 운영 측면의 곤란으로 구분되어 나타났다.‘끊임없는 성장과 의지’에서는 체육 전담교사 역할을 수행하면서 느끼게 된 전문성 결여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노력을 의미한다. 전문성의 부족을 느낀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시도와 노력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었으며, 이는 크게 교육적 인식전환과 수업 지식 및 안목 습득, 체육수업에 관한 통찰로 나타났다.‘체육교육 전문가로 나아가기’에서는 체육 전담교사가 자신의 전문성 신장을 통해 체육교육 전문가로서 나아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전문성 부족 상황을 구체적이고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해결하는 내용이 확인되었다. 이는 크게 교사 개인의 내적 성장에서 시작하여 질 높은 체육수업 제시 및 공동체와의 연계를 통한 지식의 확산으로 구분되었다. 이처럼 체육 전담교사의 시작에서부터 다양한 수업 환경의 변화,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 및 체육 전문가로서의 성장 과정을 바탕으로 한 초등 체육 전담교사의 전문성 형성 과정과 내용이 종합적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체육 전담교사의 전문성 형성에 관한 유형 분석을 진행하였고‘개인 노력형’,‘타인 관계형’,‘사회 변화형’의 전문성 형성유형을 세분화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앞서 열거된 자료와 내용을 종합하여 초등학교 체육 전담교사 전문성의 의미와 이를 형성하는 과정에 관한 상황 모형을 최종적으로 제시하였다.

      •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지식(PCK) 형성 및 적용에 관한 사례연구

        김윤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775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 전문성의 요체인 수업지식에 영향을 미친 근원과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실제 교수활동의 적용 양상과 수업지식의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지식 근원과 형성은 어떠한가?’,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지식 적용은 어떠한가?’,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지식이 지니는 교육적 의미는 어떠한가?’의 3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선정 기준에 따라 유목적 표집과 타당성 검증을 거쳐 현직 중등학교 체육교사 8명을 선정하였고, 이들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Grossman의 수업지식 개념틀 기준에 따라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해 수업지식의 근원 및 형성과 적용을 살펴보는데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 및 해석 과정에서 구성원 간 검토, 동료 간 협의, 다각도 분석법을 통해 연구의 진실성을 추구하였고,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사전 승인과 수집 데이터의 비밀 유지 등 연구 윤리를 준수하였다. 수업지식의 근원은 교사의 일생에 걸쳐 수업지식 형성에 토대가 되어 전방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의 일생을 크게 사전교육 단계, 직전교사교육 단계, 현직교사교육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각각의 단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교육적 경험이 수업지식으로 변환되어 발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업지식의 형성은 교육적 경험에 의한 유의미한 가치의 발현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으며, 발현된 가치는 국가수준 교육과정 및 세계 기구에서 언급하는 미래 교육의 핵심역량과 맥을 같이 하고 있었다. 수업지식은 ‘발아’, ‘뿌리내림과 새싹틔움’, ‘잎새와 가지’, ‘개화와 열매’의 의미를 가지고 계열적으로 형성되었으며, 교사의 성장 단계를 거치고 실제 교수와 가까워짐에 따라 보다 구체적인 형태로 발전하였다. 수업지식의 적용은 교사의 교육 철학과 교수 가치관을 비롯하여 실제 교수활동의 목표 설정, 내용 선정, 수업 실행, 평가 등 수업과 관련된 전반적인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수업지식은 수업 목표 지식, 학생 이해 지식, 교육과정 지식, 수업전략 지식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수업 목표 지식은 교수 가치관과 목표 영역에 영향을 주었고, 학생 이해 지식은 학생의 학습에 대한 사전지식과 학습상 어려움을 파악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교육과정 지식은 학습 내용의 선정 및 조직과 수업 자료의 활용에 영향을 주었고, 수업전략 지식은 교수형태와 학습평가에 영향을 주었다. 수업지식의 교육적 의미는 다양한 측면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교과적 측면에서 수업지식은 ‘교과 정당성의 발현’, ‘수업 개선의 밑거름’, ‘교사 전문성의 척도’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교사 측면에서 수업지식은 ‘수업 성패의 열쇠’, ‘교사라는 본질적 존재의 이유’, ‘교사 성장의 원동력’이며, 학생 측면에서 ‘인성 함양의 초석’, ‘또래관계의 개선’, ‘삶의 활력소’로의 의미를 가진다. 사회적 측면에서 수업지식은 ‘체육교육을 통한 민주시민 육성’, ‘체육교사 및 교과의 이미지 개선’, ‘평생 스포츠 시스템 구축의 기틀’로서 의미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수업지식은 좋은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이정표로서 끊임없이 연구하고 발전시켜야만 하는 교사의 숙명과도 같은 존재이자, 교사의 성공적인 교육 활동과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의 여가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최은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75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여가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통해 운영 실제를 확인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의 여가교육 운영 방향과 지도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육수업에서 여가교육을 직접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 4명과 관리자 1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문서 자료와 문헌 분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는 사례 기록과 귀납적 범주 방법에 의해 분석되었고, 자료의 진실성을 높이기 위하여 구성원간 검토, 동료간 협의, 다각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이상적인 여가교육은 ‘명확한 목적지와 경로’로 범주화 되었다. 즉, 체육수업에서의 여가교육은 학교에서의 배움이 학생들의 일상으로 전이될 수 있도록 바른 길을 안내해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목적지: 건강하고 행복한 삶’, ‘경로: 실천을 이끄는 단초 엮기’를 통해 형성되었다. ‘목적지: 건강하고 행복한 삶’은 어디로 갈 것인가에 대한 것으로, 체육수업에서의 여가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나타낸다. 이는‘초등학생의 정적·자극적·소모적 여가 문화 해결’, ‘삶의 질 향상’이라는 하위 범주를 통해 형성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이상적인 여가교육이 현재 부정적인 학생들의 여가 문화를 건전하고 활동적인 여가문화로 변모시키고, 신체활동여가 향유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생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성장하도록 도와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경로: 실천을 이끄는 단초 엮기’는 어떻게 갈 것인가에 대한 것으로,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이상적인 여가교육 방법을 나타낸다. 이는 ‘신체활동 여가관 정립’, ‘유의미한 경험’, ‘심리적·육체적 만족’의 하위 범주를 통해 형성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이 신체활동 여가관을 올바르게 정립하고, 유의미한 경험을 하며, 심리적·육체적 만족감을 느낄 때서야 비로소 신체활동 생활화를 위한 자발적인 실천의지를 함양할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여가교육 운영 실제에 대한 교사 인식은 ‘곳곳에서의 교통체증’으로 범주화 되었다. 이는 체육수업에서의 여가교육 운영 실제에서 나타난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한 것으로, ‘문서적 요인’, ‘실천적 요인’, ‘환경적 요인’을 통해 형성되었다. ‘문서적 요인’은 체육과 교육과정과 지도서가 내포하고 있는 문제로, 연구 참여자들은 문서적 요인을 여가교육 운영 실제가 지니고 있는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였으며, 이는 구체적으로 ‘교사 인식을 제한하는 교육과정’, ‘논리적 오류를 지닌 교육과정 속 여가’, ‘종목 중심의 교사용 지도서’라는 하위 범주를 통해 형성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지금까지의 체육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여가’는 가르쳐야 할 구체적인 내용에 이목을 집중시킴으로써 교사들이 여가교육을 잘못 인식하도록 제한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도 논리적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의 오류가 교사용 지도서에 그대로 구현되어 신체활동 생활화를 위한 여가교육이 아닌 종목 중심으로 편찬되는 문제가 발생했다고 인식하였다. ‘실천적 요인’은 여가교육이 실제로 행해지는 체육 수업이 지니고 있는 문제로, ‘여가교육이 녹아들지 못한 체육수업’, ‘변변찮은 교육과정 속 여가 지도’라는 하위 범주를 통해 형성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현실에서의 체육수업은 지엽적인 40분 맞춤형 수업이나 교사 주도의 설명식 수업으로 이루어져 여가교육이 녹아들지 못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속 여가를 지도하는 수업의 경우에도 영상시청으로 대체, 특별할 것 없는 루틴으로 운영, 끼워넣기 혹은 때우기 식으로 진행되는 등 변변찮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환경적 요인’은 여가교육을 둘러싸고 있는 교육 환경에서 나타나는 문제로,‘여가교육이 생소한 교사’, ‘폐쇄적인 조력자’, ‘준비되지 않은 학교’라는 하위 범주를 통해 형성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의 주체인 교사들이 성장 과정에서 여가교육을 직접 경험한 적이 없을 뿐만 아니라 체육 수업에서 여가교육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몰라 여가교육 지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교육활동에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할 학교 관리자와 동료 교사들이 체육수업에 소극적인 태도를 취함으로써 학생들의 신체활동 생활화와 실천을 위한 다채로운 체육수업을 전개하기 어려우며, 신체활동 여가교육이 이루어지는 장(場)이 되어야 하는 학교는 여가교육을 받아들이고 지원함에 있어 준비되어 있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체육수업에서의 여가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은 ‘교통질서 바로 잡기’로 범주화 되었다. 이는 운영 실제에서 드러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 신체활동 생활화를 위한 여가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해 필요한 실질적인 개선방안으로, ‘문서: 교육과정 개선’, ‘실천: 체육 수업 개선’, ‘환경: 교육 문화 개선’을 통해 형성되었다. ‘문서: 교육과정 개선’은 ‘여가교육의 재개념화’, ‘체계 개혁’, ‘진술의 명료화’라는 하위 범주를 통해 형성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체육수업에서 여가교육이 신체활동 생활화를 위한 교육으로 변모하기 위해서는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이 가장 먼저 변화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체육교육에서 여가교육의 당위성을 확보하고 체육과 교육과정이 ‘여가’를 어떻게 정의하고 규정하였는가에 대해 반성해봄으로써 여가교육을 재개념화할 필요가 있고, 여가가 ‘내용’이 아닌 ‘과정’으로 지도될 수 있도록 체제 개혁이 이루어져야 하며, 교육과정의 설명이 더욱 분명하고 명료하게 서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실천: 체육 수업 개선’은 ‘교육 자료 개발’, ‘교육과정 재구성’이라는 하위 범주를 통해 형성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여가교육의 실천적인 측면에서 체육 수업이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교육 자료의 개발과 교육과정 재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지속적인 신체활동 실천을 위한 방향으로 체육 교과서의 개편 및 질적 개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체육수업을 지도하는 교사를 위해 여가교육의 방법적 안내서와 같은 자료집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학생들의 생활과 더욱 밀접하게 연계된 체육 수업을 실행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문화: 교육 문화 개선’은 ‘교사 교육 개선’, ‘협력적인 교육공동체 구성’이라는 하위 범주로 분류된다. 연구 참여자들은 직전교사 교육기관의 수업, 현직교사를 위한 연수를 통해 교사들이 여가교육을 제대로 이해하고 지도할 수 있는 전문가로 거듭나야 한다고 인식하였으며, 학교의 모든 구성원이 하나의 협력적인 교육공동체로 발돋움하여 신체활동 생활화와 실천을 위한 긍정적인 문화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 노인종합복지관 이용 노인의 생활체육프로그램 참여동기가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권순재 용인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노인종합복지관 이용 노인의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동기가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경기 소재의 한국노인복지시설협회에 등록된 노인복지시설에서 생활체육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노인 212명을 설문 대상자로 선정하여 참여동기 검사와 이용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설문지를 개인특성에 따른 빈도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및 Duncan의 다중비교검증,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r regression)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의 모든 통계치의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으며, 이상의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종합복지관 이용 노인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이용만족도 차이에서, 성별에 따라 심리적만족, 교육적만족, 사회적만족, 신체적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나이에 따라 교육적만족, 사회적만족, 신체적만족, 환경적만족, 휴식적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배우자의 유무에 대해서는 신체적만족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녀수에 따라 심리적만족, 교육적만족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동거상황에 따라 심리적만족, 교육적만족, 사회적만족, 휴식적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경제생활에 따라 심리적만족, 교육적만족, 사회적만족, 신체적만족, 환경적만족, 휴식적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건강상태에 따라 심리적만족, 교육적만족, 사회적만족, 신체적만족, 환경적만족, 휴식적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수준에 따라 심리적만족, 교육적만족, 사회적만족, 신체적만족, 환경적만족, 휴식적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경제활동의 유무에 따라 심리적만족, 교육적만족, 사회적만족, 휴식적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노인종합복지관 이용 노인의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동기와 이용만족도간에는 크고 작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노인종합복지관 이용 노인의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동기가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지적동기, 교육적동기가 심리적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지적동기, 사회적동기, 교육적동기가 교육적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동기, 교육적동기가 사회적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교육적동기가 신체적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계속해서 교육적동기가 환경적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사회적동기, 교육적동기, 휴식적동기가 휴식적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senior citizens' motive for joining life-time sports program in senior welfare center affects their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I conducted questionnaire upon 212 senior citizens who are enrolled in life-time sports program in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registered in Korea Association of Senior Citizens Welfare Institutions to examine their motive for joining the program and their satisfaction with it. I collected answered questionnaires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m by senior citizens'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the statistic figures for analysis is set to p<.05. As I employed the above means for research I got the following result. First, when examining how senior citizens' satisfaction with senior welfare center differs by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it was shown that their psycholog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nd physic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sex. Education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recreational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Only physic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marriage status.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number of offspring. Psycholog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nd recreation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cohabitation status. Psycholog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recreation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economic activity. Psycholog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recreation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health status. Psycholog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recreation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cademic backgrou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nd recreational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y economic activeness. Second, it was shown that there was close or little correlation between senior citizen's motive for joining life-time sports program in senior citizen welfare center and their satisfaction with it. When examining how senior citizens' motive for joining life-time sports program in senior welfare center affects their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it is shown that academic motive and education motive affect psychological satisfaction. Academic motive, social motive, and education

      • 개화기 학교 운동회의 전개과정과 사회 문화적 기능에 관한 연구

        송주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ffer basic materials needed in order to explain social-cultural functions of current and future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all kinds of school athletic meetings from the past of school Undonghwe, by examining social-cultural functions of our school Undonghwe character in the time of enlightenment through related-references and contemporary documents in acceptance of New Education Movement and development course of modern school physical education. To do this, We set up three study subjects and got following conclusions by reviewing literature. 1) Acceptance of New Education Movement and Development of Modern School Physical Training Education in the time of enlightenment coming from racial crisis like the loss of national sovereignty has brought acceptance of New Education Movement, and this has become a start to be conscious of nationalism of Wealthy Country and a Powerful Army. And this led to establishment of Wonsanhaksa from awareness of the need to train bright brains for independence by organizing modern schools. Regular school education of Wonsanhaksa included military-arts and the announcement of "A Royal rescript about Education(敎育立國詔書)"by Emperor Gojong established many modern schools and modern education for the Whole Man of knowledge, virtue, and physical health. After proclaiming school-system in 1895, until 1909 the school-system was reorganized and gymnastics was chosen and taught as a regular subject in a primary school, a middle school, a normal school, a foreign language school, and a business school. Gymnastics was taught two to three hours a week in each school and most gymnastic teachers who were ex-soldiers taught mainly military gymnastics. Physical education in time of enlightenment which regarded physical training of people as a means to cope with foreign power was nationalistic. 2)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chool Undonghwe Hyunsung, Na(1981) stated that the first Korean modern Undonghwe was Haryuhwe held in Samsunphyung outside Dongsomoon, on May 2nd, 1896, by an English teacher, Hutchison, however, Taewoon, Lee(2005) claimed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not as Undonghwe but just a picnic, because Haryuhwe of Baejaehakdang had been held before on April 28th, 1896. He also claimed that "Seoul Government Primary School Undonghwe" held in Hulyunwon on May 31, 1896, was worthy to be the first modern Undonghwe because it formally used the title, Undonghwe, changed a place of meeting from Samsunphyung to Hulyunwon, and had various and proper factors as Undonghwe like spectators, ceremonies, commercials, administrative measures to teachers and so forth. School Undonghwe in the time of enlightenment was held mainly by the Education Ministry and people of various classes such as high-ranking officials, participate students, local influences, laborers, even prostitutes made a donation for it. School Undonghwe was held in every region except Jejudo but most were in Seoul. Athletic sports such as running, jumping, and throwing formed its majority of sports events in Undonghwe and Korean traditional sports like Dangnaki running, a tug of war, and wrestling were done. And events for spectators were chosen and done, too. Undonghwe in that time was not for only the participants but for every student, faculty, and community residents. It was developed more as an event where everybody gathered, mixed and joined together. Most of Undonghwe gave the chance for participants to unite themselves and promote patriotism and nationalism through a national flag raising, three cheers, a speech meeting and so forth. Because Undonghwe started to take the strong national character, Japanese imperialism repressed Undonghwe, by limiting the number of holding Undonghwe to two times and the holding region to one county but it was not kept well, which evoked conflicts with Japanese armies a lot and they banned School Association Undonghwe. 3) Social·Cultural Functions of Undonghwe First, Undonghwe was very similar to festivals held by local autonomous entities these days out of consideration for size and interest of people and hereby, it is obvious that Undonghwe had more complicated social·cultural functions of a festival which every people enjoyed as well as those of just simple physical events. Second, in the racial crisis like the loss of national sovereignty, Undonghwe inspired patriotism into Korean people through national flag raising, three cheers, speech meeting and so forth and performed functions of society unity, working for a good cause as a race union and recovery of national rights. Third, modern culture was imported and introduced by speech meeting in Undonghwe which performed the role and function of society enlightenment to let know the need for women education, education itself, question about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and importance of planting trees. Forth, female students experienced a great change of their outfit and activity through Undonghwe. Because of this, people could have understanding of activities of woman being out of feudal and too conservative thinking. And Undonghwe played some role of the spread of Women Education. Fifth, Undonghwe spread and practiced all sorts of modern physical training·sports culture, contributed to changing feudal Korea into more democratic civil society and performed very important function to create Modern physical training and sports culture. Sixth, Undonghwe inspired thinking about national independence into Korean people and was considered as a method to increase enough power to overcome the crisis of loss of national rights, and was used public meeting place of people desiring eagerly the recovery of national rights. 이 연구는 개화기 신교육의 수용과 근대적 학교 체육의 전개과정 속에서 학교 운동회의 성격에 관한 사회·문화적 기능을 당시 문헌과 관련 자료를 살펴봄으로써, 학교 운동회의 과거를 통해 현재와 미래의 학교 체육과 각종 체육대회의 사회·문화적 기능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고, 문헌 고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신교육의 수용과 근대적 학교 체육의 전개 과정 국권상실이라는 민족위기에서 나타난 개화기 교육은 신교육의 수용을 가져왔으며 새로운 신문화의 수용과 교육은 부국강병의 자각적 민족주의를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런 영향은 근대학교 설립을 통하여 자주독립에 필요한 인재양성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원산학사의 설립을 가져왔다. 원산학사는 무예체육을 정규교육과정에 포함시켰으며, 고종의 “교육입국조서(敎育立國詔書)”의 발표로 인한 지(知)·덕(德)·체(體)의 근대적 전인 교육의 확립은 많은 근대학교의 설립을 가져왔다. 1895년 학제 공포 이후 1909년까지 차례로 학제가 정비되어 소학교, 보통학교, 중학교, 사범학교, 외국어학교, 실업학교에서는 체조를 정식과목으로 채택하여 교육하였다. 각급 학교에서의 체조는 주당 2-3시간을 교수하였으며 교사의 대부분이 군인 출신으로 병식체조가 교육내용의 주를 이루었다. 개화기 체육교육은 외세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국민의 체육 단련을 중시한 국가주의적, 민족주의적 경향을 보이고 있다. 2) 학교 운동회의 형성과 전개 과정 나현성(1981)은 한국 최초의 근대식 운동회는 1896년 5월 2일 동소문 밖 삼선평에서 영국인 교사 허치슨 지도하에 베풀어진 화류회라고 주장하였으나 이태웅(2005)에 의하면 1896년 4월 28일 배재학당 화류회가 영어 학교 화류회보다 먼저 개최되었음으로 화류회를 운동회로 간주 한다면 배재학당의 화류회가 최초의 운동회라고 주장하면서 화류회는 운동회로 보기 어려우며 소풍 또는 야유회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또 한국 최초의 근대식 운동회는 1896년 5월 31일 훈련원에서 시행한 서울 관립 소학교 운동회가 운동회라는 정식 명칭을 사용했으며, 장소가 삼선평에서 훈련원으로 변경된 점, 관람자, 의식, 광고, 교사들에게의 행정처분 등 운동회로서 다양한 요소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한국 최초의 운동회로 규정하여도 손색이 없다고 주장하였다. 개화기 학교 운동회는 학부(學部) 주최의 운동회가 대부분이며 고위관료, 참여 학생, 지역유지, 역부(役夫), 심지어 창기(唱妓)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층에서 기부금을 납부하였다. 학교 운동회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실시하였으나 거의 대부분이 서울에서 실시되었고, 경기종목은 달리기, 뜀뛰기, 던지기 등 육상 종목이 대종을 이룬 가운데 당나귀 달리기, 줄다리기, 씨름 등 우리 고유의 전통 스포츠도 행하여 졌다. 관중을 위한 종목 등도 선정하여 실시한 점은 학생만의 행사나 잔치가 아닌 학생, 교직원, 내빈, 주민이 함께 참여하는 진정한 어울림 한마당 행사로서 한층 발전된 모습으로 볼 수 있다. 대부분 운동회에서는 국기게양, 만세삼창, 연설회 등을 통하여 참석한 모든 사람들을 단결시키고 민중들의 애국심과 민족의식을 함양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이런 현상에 의해 운동회가 민족주의적 성격을 강하게 띠기 시작하자 일제는 운동회를 탄압하는 형태로 운동회의 개최횟수를 2회로 한정하고 운동회의 개최 범위도 1개 군(郡)을 넘지 않도록 규제하였으나 잘 지켜지지 않았고, 운동회로 인하여 일본군대와 충돌하는 사태가 발생하자, 학교 연합 운동회를 금지 시켰다. 3) 운동회의 사회·문화적 기능 첫째, 운동회는 규모나 국민의 관심으로 보아 오늘날 지방자치단체들이 개최하는 축제의 모습과 매우 흡사하며, 이는 운동회가 단순한 체육행사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전 국민이 즐기는 축제로서 좀 더 복합적인 사회·문화적 기능을 수행하였음을 보여준다. 둘째, 태극기가 게양되고 만세삼창, 연설회 등을 통해 애국정신을 고취하였으며 국권상실이라는 민족적 위기를 맞아 운동회는 민족의 단합과 국권회복이라는 대의명제를 실현하는 사회 통합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셋째, 운동회에서는 연설회를 통해 근대 문화가 수입, 소개되기도 하였고, 여자교육의 필요성, 식목(植木)의 중요성, 생활개선의 문제성, 교육의 필요성 등을 알리는 사회 계몽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였다. 넷째, 여학생들은 운동회를 통하여 몸차림이나 활동에 대해서 많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이를 통해 봉건적이고 보수적인 사고에서 벗어난 여성의 활동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졌고, 운동회는 여성교육 보급에도 일정 부문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였다. 다섯째, 운동회는 각종 근대적 체육·스포츠 문화를 보급하고 실천하는 과정을 통해 초기 한국사회가 갖고 있는 봉건적 요소를 보다 민주적인 시민사회로 개량하는데 기여하였으며 근대 체육 및 스포츠 문화를 창출하는 데에도 매우 중요한 원천적 기능을 수행하였다. 여섯째, 운동회는 민족위기에서 나타난 자주독립과 국권상실의 의식을 국민들에게 전달하고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는 방법으로 인식되었으며, 국권회복을 열망하는 민중들의 공개적 집회장소로 이용되었다.

      •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최승숙 한국체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75

        체육수업의 정상적인 운영과 체육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 개정된 교육과정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개정 교육과정과 일본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학교 현장의 체육 교사들에게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문헌자료를 수집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한국과 일본의 교육 과정 개정 배경은 일본의 교육과정은 국가 이상의 추구와 개인에 대한 의미 추구에 노력해 왔으며 이러한 두 가지 방향에 따라 교육과정이 개정되어 왔다. 우리나라 교육과정도 일본 교육과정 변화와 유사하게 변화 되어 왔으며, 시대와 사회의 요구에 따라 6차례 개정되었다. 양국은 거의 비슷한 중앙집권적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일본은 1976년 이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학교 중심으로 학교의 재량권을 대폭 늘렸고 우리나라도 6차 교육과정 이후 교육과정에 대한 자율권 및 재량권이 지방으로 분산되었다. 특히 이번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교육 흐름이 학부모·학생 등 수요자 중심의 학교교육을 다양화하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교육과정과 교원인사 등의 학교운영 관련 핵심 권한을 학교에 직접 부여하여 학교 자율화를 높이려고 하고 있다. 반면 일본은 최근 여유와 생애교육 체제로의 전환을 강조하여 지금까지 실시한 융통성 교육에 대한 반성을 계기로 종합학습시간을 대폭 줄이고, 주요 교과의 시간수를 늘렸다. 여유 있는 교육을 벗어나 지식 위주의 교육방향을 확립하려고 하는 의도를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체육보건 시간을 증가 시켜 기존의 270시수를 315시수로 증가시켰다. 한국도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고등학교에서의 선택 과목군을 확대하여 체육교과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한국의 개정 중점 사항은 체육 교과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를 받아 들여 체육에 대한 철학적 사고를 전환하여 체육 내용의 역할과 기준을 강조하고 단위 학교와 교사의 자율적 교육과정 운영을 강조하였다. 일본은 체육 교과를 평생 체육의 일환으로 생각하고 체육 교과를 통해서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밑거름을 만들고 심신의 조화적인 발달로 경쟁이나 공동의 삶을 실천하며 사회에서 맡은바 책임을 다하며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만드는 것이 개정 교육의 중점 사항이다. 셋째,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목표 영역을 보면 총괄 목표 아래 하위 목표를 세우는 체제를 갖고 있다. 한국은 총괄목표 아래 5가지 일반목표를 학년이나 연령에 관계없이 일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일본은 총괄 목표와 하위 목표를 두었으나 학년이나 연령에 따라 하위 목표를 달리 하였다. 국가 수준의 목표를 진술하고 학년이나 연령에 따라 더 세분화된 목표로 학년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은 이번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내용 선정에 있어서 학교와 교사에게 많은 자율권을 주었다. 내용 선정을 기존까지는 내용 8개 영역(체조, 육상, 수영, 개인 및 단체운동, 무용, 체력운동, 이론, 보건)으로 나누어 제시했던 것을 대영역, 중영역, 소영역이라는 3개 영역별로 구분하여 대영역 별로 최소 1개 이상의 신체 활동을 선택하거나, 신체 활동의 선택 예시가 없을 경우 적합한 신체 활동을 선택해서 실시하게 하였다. 일본은 기존의 내용(체방 운동, 기계운동, 육상경기, 수영, 구기, 무도, 댄스, 체육에 관한 지식)을 그대로 받아들여 수업 시수의 확대 및 필수와 선택 내용에만 변화를 주었다.

      • 중등 체육교사의 교직생애사 연구

        김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60대의 평교사로 정년퇴임을 앞 둔 한 체육교사의 교직의 생애를 통해, 체육교육관과 전문성은 무엇인지 그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34년 동안 체육교사로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체육교사 1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질적연구 방법으로서 ‘생애사 연구’를 선택하였고, 구체적인 자료 수집방법으로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문서자료를 수집하여 Spradley가 제시한 방식에 따라 영역분석(domain analysis)과 분류분석(taxonomic analysis)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자료의 진실성을 높이고자 다각도 접근법, 구성원 간 검토, 동료 간 협의를 활용하였다. 이러한 연구 절차를 통해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L교사의 교육관은 초임 때부터 지금까지 타성에 젖지 않고, 굳은 신념을 지켜오고 있었다. 그는 천직의 교육관과 소명의식을 가지고 승진하지 않고 끝까지 학생들과 함께하는 선생님으로 남겠다는 굳은 신념을 초임 때부터 지금까지 지켜왔으며, 스승다운 스승의 모습으로 올바른 제자를 키우는 참된 스승의 모습을 그리며 자부심을 가지고 노력해 온 삶은 오랜 교직생활을 해올 수 있었던 힘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체육교사로서 도전과 열정의 체육적 삶이다. 연구참여자는 반성과 쇄신의 자세로 꾸준한 체력관리와 개인연습, 연수를 통한 자기 연찬, 체육수업교구를 직접 만드는 등 수업에 대한 고민을 놓지 않았다. 또한 꾸준한 자신에 대한 도전과 자기발전을 위한 노력은 개인의 삶에 자극제로서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는 학생들을 사랑하는 것이 기본이라는 생각과 학생들과 좋은 관계를 맺는 것은 교직의 보람이며 학생과의 좋은 관계는 효과적인 교과 및 인성지도를 가능하게 하고 학생을 소중하게 여기는 마음이 행복한 교육자로서 교사의 삶을 더욱 의미있게 만들고 있었다. 이는 운동부 지도와 담임교사로서의 전문성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자신의 역할에 대한 확고한 인식은 학생들에 대한 관심과 애정, 멘토 선생님으로서 학생들의 인성과 진로지도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한 체육교사의 교직에서의 교육관과 전문성은 교직생애전반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체육교사는 담임교사, 부장교사, 수업지도교사, 학교스포츠클럽지도교사, 운동부 지도교사 등 현장에서 다양한 국면에 놓여있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할 때 자신의 뚜렷한 교육관과 전문성을 형성하는 것은 교직에서의 보람과 자부심을 갖게 하고, 교사개인은 물론 체육교육과 교육의 질적인 성장과 발전에 큰 의미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