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인 예비 대학원생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예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고원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50783

        As the foreign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Korea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have been increasing, the demand of Korean education focusing on the foreign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 increases also. Especially, high level of Korean proficiency and knowledge related to the major are very necessary for the study in the graduate school. However, many foreign students whose Korean proficiency is not very skillful and still need time to cultivate Korean proficiency and academic ability have been admitted to the universities. Under this current situation, foreign students meet many difficulties in several aspects and concerns about their Korean ability are emerging. On one h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need to write many reports and master’s thesis. On the other hand, high wiring ability with good Korean proficiency is essential in finishing the assignments and thesis. Owing to their lack of wiring ability, the foreign graduate students feel very stressful in academic wiring. Accordingly, the writing education for them should not be ignored and it is very necessary to develop related textbooks and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propose Korean writing textbook development plan for Chinese learners who will study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for the master degree, by focusing on the report writing and master’s thesis writing according to the major.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divided into the development of writing textbooks with academic purpose for the foreign students and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 for the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major relate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fterward, the academic Korean writing education, the principles of Korean textbook development, Korean textbook study and related theoretical background were examined. The content structure of existing academic writing textbooks were investigated. The survey of the demands of the students and professor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the graduate school were conducted. As for the results, Chinese students wrote the most often demonstration reports and summary reports. The writing types which they need the most were thesis, demonstration reports and summary reports. The writing types which they feel the most difficult were thesis and demonstration reports. In addition, when writing reports and thesis, Chinese students faced difficulties in expressing their thoughts logically, using the expressions accurately in the academic writing, constructing the content relevantly and the writing of previous studies. The standard of textbook analysis was established by referring to the previous studies and textbook analysis was conducted. As for the results, the advantages of the textbooks can be summarized that it helps the students to get familia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types, with the genres and processes as focus and that contents related to writing of each phase were well presented. However, most of the textbooks leaned too much on the learning contents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 presentation of contents related to thesis writing for the graduate students was not enough. In addition, the learning contents were not well desig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s. The contents assessing the degree of learning, sufficient text examples were not well present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required survey and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the composition principles of writing textbooks were designed. It is divided into “basic” part and “practical” part. The learning contents were selected and the syllabus was made. After setting up the content structure of each unit, the model of the content structure for the demonstration unit which is the most difficult for the learners was propos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necessity of the Korean textbook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major by dividing the students into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Korean academic writing textbooks for the foreign students and the survey on the demands of Chinese students and university professors. Through demand survey, the writing types which Chinese students do not very well or feel difficult in when doing the academic writing in the graduate school, the insufficient ability and parts were examined. The development plans of Korean writing textbooks for the Chinese students who are going to study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ere proposed. However, there are also limitations in this study. In the demand survey, the opinions of more many professors and students who’ major in addi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ere not considered much. The content model only presented contents of one unit. Moreover, the studying effect of the textbook development plan was not practically verifie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se aspects in the future studies. 한국의 대학 및 대학원에서 학업을 수행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증가함에 따라 학문 목적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 가운데 대학원에서 공부하기에 높은 수준의 한국어 능력과 전공 관련 지식이 필요한 반면에 충분한 한국어 및 학술적 능력을 갖추지 못하여 대학원에 입하한 외국인 학습자가 많다. 이러한 실정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업 수행에 여러 방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그들의 한국어 능력에 우려를 많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 외국인 대학원생들이 많은 보고서 과제와 학위논문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숙달된 한국어로 글을 쓰는 능력을 필수적인데 실제적으로는 외국인 대학원 학습자들이 미숙한 쓰기 능력으로 인해 학술적 글쓰기 과제 작성에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그들을 위한 한국어 글쓰기 교육은 간과할 수 없는 영역이고 관련 교재나 교육과정의 개발에 대해서는 중요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전공별 보고서와 학위논문 작성에 초점을 두어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에 진학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해 한국어 쓰기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최종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이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쓰기 교재 개발과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전공별 학문 목적 쓰기 교육을 나누어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어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과 한국어 교재의 개발 원리, 한국어 교재 연구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고 기존 학문 목적 쓰기 교재의 내용 구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중국인 학습자와 국어국문학과 교수에 대해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국인 학습자들이 평소 논증보고서와 요약보고서를 가장 많이 작성하였고 가장 필요로 하는 글쓰기의 유형은 학위논문과 논증보고서, 요약보고서이었고 가정 어려워하는 글쓰기의 유형은 학위논문과 논증보고서이었다. 또한 중국인 학습자들이 보고서와 학위논문을 작성할 때 논리적으로 생각을 표현하기, 학술적 글쓰기 작성에 사용된 표현으로 정확한 글쓰기, 연관성 있게 내용을 구성하기, 선행연구 작성하기 등 방면에서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 후 기존 연구를 참고하여 교재 분석 기준을 설정하여 교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교재 대부분이 장르와 과정을 중심으로 하여 글쓰기 유형의 특징을 익히고 단계별 글쓰기 작성을 유도하여 글을 쓸 수 있도록 내용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으나 대다수의 교재가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학습 내용에 편중되었는데 대학원 학습자를 위한 논문 관련 내용을 충분히 제시하지 않았다. 또한 교재는 전공 특성에 의해 학습 내용을 설계하지 못했고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내용과 텍스트 예문을 충분히 제시하지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마지막으로는 요구 조사와 교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쓰기 교재 구성 원리를 설계하였고 ‘기초’편과 ‘실제’편을 분류하여 교재 내용을 선정하여 교수요목을 작성하였다. 이어서 교재의 세부적 단원 내용 구조를 설정한 후에 학습자에게 가장 어려워하는 논증 능력 관련 단원 내용 구성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어국문학과의 중국인 학습자와 교수에 대한 요구 조사와 유학생을 위한 기존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의 분석을 통해 외국인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나누어 전공별로 한국어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 요구 조사를 통해 대학원에서 학술적 글쓰기를 적성함에 있어 중국인 학습자들의 쓰기 기능의 부족과 어려워하는 글쓰기 유형, 미흡한 능력 및 부분 등을 알아보았다는 점, 국어국문학과 예비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쓰기 교재의 개발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요구 조사에 대해서는 더 많은 교수와 한국어교육학 전공 외에는 국어국문학과 기타 전공의 학습자의 의견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점과 한 단원 정도만의 교재 내용 구성 모형을 제시하였고 실제적인 교재 개발 방안의 학습 효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다소 아쉬워 더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2009 개정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대한 교사 인식 및 활용 연구 : 3, 4학년을 중심으로

        정연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2009 개정 초등학교 3, 4학년 국어 교과서를 교사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17개의 문항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2009 개정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대한 교사 인식과 활용을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국어 교과서를 모범이 되는 자료로서의 교과서 권위를 인정하면서도 재구성할 필요가 있고, 하나의 자료로 보고 있었다. 또한, 국어 교과서 재구성 정도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그에 따라 수업에서 교과서를 주로 이용하고, 다른 자료를 보충해서 이용한다는 응답이 많았고, 여전히 학습량이 많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2009 개정 국어 교과서의 특징에 대해 교사들은 통합적인 언어 활동을 강조한 교과서, 학습자의 능력과 흥미에 부합하는 교과서라는 응답이 많았다. 또한, 단원에서 통합의 구현, 단원 구성, 교과서의 활동과 제재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교과서 외형 체제를 현재처럼 주 교과서와 보조 교과서의 체제에 대해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기도 하지만, 1권 또는 2권의 체제를 적절하다고 보는 의견도 상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국어 활동>의 자기주도적 장치를 통한 안내가 자기주도적 학습에 도움을 준다는 인식이 많았고, <국어> 수업과 연계하여 필요한 경우 수업시간 틈틈이 필요한 내용만 활용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반면, <국어 활동>의 모든 내용을 적극적으로 학습한다는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데, 이는 학습량이 과다하다고 인식될 수 있어 연수나 교과서 편성의 변화로 보완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국어 수업에서의 통합 지도는 통합 대상에 따른 수업 유형이 통합 기제에 따른 수업 유형의 2배 정도 되었다. 통합 대상에 따른 수업 유형은 차시 통합, 영역 통합, 다른 과목과의 통합 순이었고, 통합 기제에 따른 수업 유형은 주제중심 통합, 활동중심 통합, 단원중심 통합 순이었다. 여섯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년군제 운영은 학년제 운영과 같다는 인식이 많았다. 그 이유는 학년, 학기 단위로 개발된 교과서와 학교 교육과정이 학년 체제로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년군제는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국어과에서의 지속적 적용은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009 개정 국어 교과서는 통합형 교과서로서 국어 교육에 큰 변화를 주고 있다. 개정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에 관한 연구는 새교과서의 개발에 시사점을 주고 있어 앞으로도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2009 개정 중학교『국어』교과서의 문법 영역 실현 양상 연구 : 통합적 문법 교육을 중심으로

        최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통합적 문법 교육에 대한 이론을 검토하고,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제작된 14종의 중학교 국어 교과서 ①, ②가 통합적 문법 교육을 잘 실현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교과서의 문법 영역 실현 양상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과서는 학습자가 문법이라는 학습 내용과 만나는 통로이자 학습의 매개체이다. 따라서 철저한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의 논의가 어떠한 형태로 실현되었는지 확인하고, 통합형 교과서와 독립형 교과서로 분류하였다. 문법 교육에서‘통합’의 개념은 적절한 수준에서의 ‘분절-통합의 균형’을 의미한다. 따라서 통합적 문법 교육은 문법을 교육하는 데 있어서 다른 영역의 것을 통합적으로 교육하는 것을 뜻한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합적 문법 교육이 침체된 교실 수업 상황에 학습자의 흥미를 존중하는 문법 교육 내용의 재구조화를 가져 올 것이며, 통합적 문법 교육을 토대로 문법 교육의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한다면 문법 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은 기존 교육과정의 형식을 탈피하여 새로운 시도를 많이 하고 있었다. 특히 통합적 문법 교육의 기반이 되는 학년군이나 학교급을 고려하는 통합의 방안과 문법과 듣기․말하기․읽기․쓰기의 통합, 읽기와 쓰기의 통합 등 성취 기준 수준의 통합, 아울러 내용 요소 차원의 통합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교육과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2013년부터 사용된 14종의 중학교 국어교과서 ①, ②의 문법 영역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우선 교과서의‘음운’관련 단원과‘품사’관련 단원을 거시적으로 분류하여 대단원의 통합 양상을‘영역 간 통합 단원’, ‘영역 내 통합 단원’, ‘독립 단원’으로 나누었다. 또한 소단원 구성이 각 영역의 성취기준을 통합하여 제시하는지, 단독으로 제시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후 미시적 분류로 본문의 제시 방법이 설명 단독의 설명구조인지, 활동을 포함한 설명 구조인지, 학습활동만으로 학습하는 구조인지 분류하였다. 그 다음 학습 활동의 통합 유형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보충학습에서의 통합 유형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통합적 문법 교육이 잘 실현되고 있는 통합형 교과서와 문법 영역만을 위주로 학습 내용을 전달하는 독립형 교과서로 분류할 수 있었다. 통합형 교과서는 비교적 영역과 내용이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있으며, 문제 해결 방식에 있어서 적절한 곤란도로 학습자의 의욕을 높이고, 탐구력 신장과 창의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고 있었다. 또한 언어 자료도 비교적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맥락에서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어 통합적 문법 교육을 위한 교과서로 적합해 보였다. 반면에 독립형 교과서는 영역과 내용이 연관성이 없는 형식적인 통합에 그치거나 전혀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암기에 의존하여 해결할 수 있는 단답형 학습 활동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언어 자료 역시 단편적이고 탈맥락적인 자료들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분석 연구에 그쳤다면, 본 연구는 2013년에 사용된 2009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 ①, ②의 문법 영역 실현 양상을 실제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교과서의 문법 영역의 실현 양상을 바탕으로 이상적인 형태의 통합적 문법 교육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해 보지 못한 점과 중학교 교과서 ①, ②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교육과정이 해를 거듭하며 개정되고 있고, 내년부터는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한 중학교 국어 교과서 ③, ④도 교육 현장에 적용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통합적 문법 교육’의 방향성을 밝히고, 현행 교과서의 문법 영역 실현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방문지도사의 한국어교육 실태 연구

        정효정 진주교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67

        이 연구는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의 방문지도사를 대상으로 한국어교육실태를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하여 방문지도사의 교육현황과 다문화 학습자의 학습적 환경요인에 따른 한국어교육서비스의 개선과 방문지도사의 한국어교육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창원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종사하는 방문지도사 1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본 연구의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한국어교육실태 조사를 통하여 교육 현황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여성결혼이민자들로 구성된 다문화 학습자들의 학습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문지도사의 한국어교육 실태조사를 위하여 한국어교육 현황에 대한 도구 측정으로 모두 8문항을 설문 조사하였는데, 선행연구 Hackman & Oldham(1980)이 분류한 교육의 중요성(significance), 수업 기능의 다양성(variety), 수업의 정체성 (identify) 등의 세 가지 차원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다문화 학습자의 학습요인으로는 학습자의 개인 요인에 대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하였다. 다문화 학습자의 교육수준과 한국어 수업 참여 횟수, 그리고 수업 참여도가 한국어 실력 향상에 영향력을 크게 미치는 만큼 본 연구를 위해 실시한 설문지에서 다문화 학습자의 기초학력을 한국어 수업 영향력 요인으로 정하 였다. 다음으로 수업 참여 횟수에 대한 필요성이 방문지도사와 다문화 학습자에게 모두 요구되기에 수업 횟수를 학습자의 요인으로 정하였다. 또, 설문지의 다문화 학습자의 수업 이해도 및 방문지도사와의 원만한 의사소통 연계가 한국어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의지와 언어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다문화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 요인으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한국어 방문지도사의 교육 현황에서 교육의 중요성과 수업의 다양성 및 수업의 정체성은 한국어교육서비스 개선방안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결혼이민자인 다문화 학습자의 학습요인으로 작용한 학습자의 학 력과 한국어 수업 횟수, 다문화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에 따라 한국어교육서비스의 개선방안 인식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총체적인 결과인 방문지도사의 교육 현황인 교육의 중요성, 수업의 다양성, 수업의 정체성이 한국어교육서비스 개선방안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학습자의 학력 영향력이 매개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그러나 다문화 학습자의 수업횟수는 방문지도사가 진행하는 수업의 다양성과는 무관하였다. 다문화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도 방문지도사가 진행하는 한국어교육의 정체성에는 한국어교육서비스 개선방안 인식에 매개요인으로 작용 되지 못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학습자는 한국어교육에 대해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생활 중심의 이해력을 요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통합 양상 연구

        박혜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67

        이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나는 통합의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통합적 국어교육의 실천태를 점검해 보고자 한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국어 교과서가 통합형 교과서로 편찬되어 교과서 차원의 통합이 개발 단계에서부터 적극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새롭게 시도되는 ‘통합적 국어 교과서’의 면모를 제대로 살펴보기 위해 일차적으로는 교과서 단원의 목표 및 학습 활동에서 구현되는 통합 요소와 유형의 양상을 분석하고 이차적으로는 통합 단원의 적절성을 검토해 본다. 이를 통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통합적 국어교육이 교과서에서 제대로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먼저 통합적 국어교육의 배경과 개념, 성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통합적 국어교육이란 일상생활에서 언어가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사용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기능을 분리하지 않고 실제 삶과 통합적인 연결 고리를 가지고 학습하여 학습자의 국어사용 능력을 신장하도록 하는 교육관으로 정의하였다. 통합적 국어교육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국어 교과서의 통합 원리와 통합 요소, 통합 유형을 밝힐 필요가 있다. 먼저 국어 교과서의 통합 원리는 통합적 국어교육의 지향점과 관련하여, 단원 성취 기준 배치의 적절성, 학습 목표의 통합적 제시, 활동 중심의 통합, 실제 강화의 원리로 설정하였다. 또한 통합 요소를 언어 사용 기능의 관련성에 따라 의사소통 과정과 의사소통 수단으로 분류하였고, 내용 요소, 실제, 장르, 맥락, 경험 등의 여섯 가지로 범주화하였다. 그리고 통합 유형은 국어과 내적 통합과 외적 통합으로 나누되, 국어과 내적 통합은 영역 내 통합과 영역 간 통합으로 나누었다. 그런 다음 실제 국어 교과서에 드러나 있는 통합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학습 목표 층위와 학습 활동 층위로 나누어 각 층위에서 드러나는 통합 요소와 통합 유형을 분석하였다. 먼저, 통합 요소와 통합 유형의 빈도를 산출하여 양적으로 분석하고, 통합 요소와 통합 유형이 잘 드러난 단원을 예로 들어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단원 통합의 양상이 적절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통합의 원리에 비추어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2009 개정 국어 교과서는 목표 층위와 활동 층위에서 통합 요소와 유형이 매우 복합적이고 다양하게 드러났으며, 학습자가 실제 상황에서 언어 사용 경험을 하도록 교과서를 구성했다는 특징이 있었다. 그러나 일부 단원의 경우에 표면적인 통합의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있었으며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실제’와 ‘태도’가 다소 미약하여 이를 강화할 필요가 있었다. 이상의 논의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첫째, 통합의 대상이나 방법에 대한 이론이 제대로 정립이 되지 않은 현실에서 통합의 근거와 원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둘째, 현행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실제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통합적 국어 교과서의 면모를 검토하였다. 끝으로 본고에서 살핀 통합 원리와 통합 요소, 통합 유형이 차기 국어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유튜브 플랫폼 분석 연구 : 구성 체계 및 문화 항목을 중심으로

        쿠보타 미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6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erms of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education of the YouTube platform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system and cultural categorie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YouTube platform for Japanese learners. Chapter 1 present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study. Among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ies using new media,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YouTube, and research on YouTube and cultural education were focused. Chapter 2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 as an education platform, differences from other media, an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focusing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addition, the contents and categories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were summarized. Chapter 3 examines the outline and cultural items of the platform by selecting four YouTube platforms for Japanese Korean learners among the currently opera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YouTube platforms. Some of the analysis criteria for the YouTube platform configuration system were reorganiz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such as existing YouTube channel analysis criteria and website evaluation criteria. As for the analysis criteria for cultural items, the contents of the classification of cultural items announc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in 2017 were selected, and detailed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to present the analysis results. Chapter 4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YouTube platform for Japanese learner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YouTube platform in terms of cultural education by combining the analysis results and theoretical background. Chapter 5 comprehensively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s a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 유튜브 플랫폼의 구성 체계 및 문화 항목을 분석하여 유튜브 플랫폼의 특징과 문화교육 차원에서 교육적 의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뉴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중 유튜브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특징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유튜브와 문화교육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먼저 교육 플랫폼으로서의 유튜브가 가지는 특징, 다른 미디어와의 차이점, 장단점 등을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더불어 한국어 문화교육의 내용 및 범주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현재 운영중인 한국어교육 유튜브 플랫폼 중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4가지 유튜브 플랫폼을 분석 대상으로 선택하여 해당 플랫폼의 개요 및 문화 항목을 살펴보았다. 유튜브 플랫폼 구성 체계에 대한 분석 기준은 기존의 유튜브 채널 분석 기준 및 웹 사이트 평가 기준 등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일부 내용을 개편하였다. 문화 항목에 대한 분석 기준은 2017년에 국립국어원에서 발표된 문화 항목 분류 내용을 선정하여 해당 기준에 따라 세부적인 분석을 진행해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분석 결과 및 이론적 배경을 결합하여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유튜브 플랫폼의 특징과 문화교육 차원에서 한국어교육 유튜브 플랫폼이 가지는 의의를 제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결론 부분으로써 본 연구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요약하였다.

      • 매체 언어 교육에 대한 국어교사 인식과 교육 실태 분석

        홍완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67

        이 연구는 매체 언어 교육에 대한 국어교사의 인식과 교육 실태를 분석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그간 국어교육계는 매체 언어 교육에 대한 학문적 탐구를 계속해 왔으나, 정작 교수 학습의 주체인 현장 교사들에 대한 관심은 부족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현직 국어교사 16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응답받아 매체 언어 교육에 대한 국어교사의 인식과 교육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때 설문 문항은 매체 언어 교육의 필요성 인식, 매체 언어 교육 실태, 교육과정 및 교과서 인식, 교사 교육 실태 및 연수 참여 의사, 매체 언어 교육 시 애로 사항 등 다섯 가지 범주로 구성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발견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교사들은 국어과 교육의 목표를 구현하고자 할 때 창의적 표현, 문학, 비판적 이해, 국어 의식(문법) 순으로 매체 언어 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 또 성공적인 매체 언어 교육을 위해 필요한 매체로 인터넷 및 SNS를 첫손에 꼽았으며, 그 다음으로 광고, 책/잡지, 신문, 영화, 텔레비전, 만화/애니메이션 순으로 반응했다. 둘째, 최근 3년 간 교과서의 매체 언어 단원을 지도한 교사는 81.3%로 국어교사들이 매체 언어 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할 뿐만 아니라, 이를 적극적으로 실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높은 수업 진행률에 비해 실제 평가 비율은 낮아, 평가에 소극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매체 언어 수업을 실시하지 않는 이유는 시수 부족, 상급 학교 진학에 불필요, 평가의 어려움, 전문 지식의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어교사들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 중 매체 언어 교육 관련 성취 기준의 적합성을 비교적 높게 인식하는 반면, 교과서 제재와 학습 활동의 시의성과 효용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고 있다. 넷째, 국어교사들은 매체 언어 교육 관련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사가 매우 높았다. 이들이 선호하는 연수 기관 혹은 형태는 NTTP 등 교사 주도의 직무 연수, 원격 연수, 언론사 등 위탁 교육 기관 연수로 나타났고, 연수 내용으로는 ‘매체 언어 교수 학습 사례 및 전략’을 가장 높게 희망했다. 다섯째, 매체 언어 교육을 진행하기 힘들게 하는 요인은 평가의 어려움, 교수방법론의 부재, 교사 대상 연수의 부족, 전문성 부족 등 교사 요인, 교육과정의 적합성 혹은 위계성 문제, 교과서 재제 및 학습 활동의 문제, 기자재 등 환경 부족, 매체 언어 교육의 필요성 부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매체 언어 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실태와 관련하여 국어교사의 성별 차이, 재직 학교급별 차이, 관련 교육 이수 여부별 차이가 여러 항목에서 발견되었다. 특히 여교사 집단과 중학교 교사 집단은 상대 집단에 비해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지니고 적극적인 교육을 펼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매체 언어 관련 연수 경험이 없는 집단은 매체 언어 교육을 보다 불필요하게 여기며, 관련 연수 기회가 적었다고 판단하고, 매체 언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나 인식이 부족하다고 반응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그간 빈 자리로 남아있던 중등 국어교사의 매체 언어 교육 관련 인식 및 교육 실태를 광범위하게 살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매체 언어 교육과정 및 교과서가 적절한 체계와 방향을 잡을 수 있도록 관련 연구를 뒷받침하고, 매체 언어 교육과 관련한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고자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할 때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 한국어 번역 교육 내용 구성 연구 : 중국 번역사 CATTI 시험을 중심으로

        동가락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중국 내 통·번역 비전공자도 참여할 수 있는 CATTI(China Accreditation Test for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자격시험은 한국어로 편입되었으며, 한국어 고급 학습자에게 외국어 능력을 한 단계 더 발전시켜 증명할 수 있는 지표가 되는 점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인 시험 구성 문항을 분석하고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실질적 번역 교육에 대한 학습 요구를 고려하여 향후에 전문 번역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한국어 번역 교육 내용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고급 단계에 있는 학습자들은 통·번역과 같이 전문적인 능력을 양성하여 교육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연구 절차를 기술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인 중국 내 CATTI 자격시험 연구와 한국어과에 관한 번역 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한국어 번역 교육, 즉 번역 목적 한국어 교육의 개념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고, 한국어 번역 능력의 구성 요소 및 평가 기준을 정리하여 파악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번역 목적 한국어 교육에 방법론을 살펴보고, 대조분석 이론을 활용한 한국어 번역 교육의 필요성을 다루었다. 3장에서는 먼저 중국의 CATTI 자격시험이 실시된 배경 및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에는 CATTI 시험을 통한 학습자의 번역 능력을 충분히 판단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시험 구성 문항을 분석하였다. 또한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며 CATTI 한국어 자격시험에 대한 실질적 학습 요구를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한국어과에 관한 번역 교육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국내외에 개설된 한국어과 번역 학과의 대학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기종에 한국어 교육에 번역용 교재 구성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에 한국어과에 관한 번역 교육에 어떠한 문제가 존재하는지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주로 2장에 이론적 배경, 3장에 번역사 CATTI 시험의 구성 문항 및 학습 요구 조사 결과, 4장에 한국어 번역 교육 현형 분석을 도태로 번역 목적 한국어 교육 수업의 교과목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실무 시험을 중심으로 번역 목적 한국어 교육 모형, 수업 운영 과정, 의미 교육과 구문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6장에서는 본 연구에 제안한 교육 내용의 효율성 및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CATTI 시험에 합격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앞서 제안한 교육 내용 구성을 효과성, 난이도, 만족도에 대해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7장은 결론 부분이다. 여기에서는 각 장의 중심 내용을 정리하며, 결론을 내린 다음에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noted that the China Accreditation Test for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CATTI) qualification test, which allows non-translation majors in China, was incorporated into Korean and is an indicator that can further develop and prove foreign language skills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specific test composition questions and to suggest the contents of Korean translation education so that we can cultivate professional translation talents in the future by considering the demand for learning of Chinese advanced learners. In Chapter 1, learners in the advanced stage emphasized the need to cultivate and educate specialized abilities such as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nd described research procedures. In additi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is study. The CATTI qualification test study in China and the translation study related to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was examined. In Chapter 2, we first examined the concept of Korean translation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that is, the concep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mmarized the components and evaluation criteria of Korean translation skills. It also dealt with the necessity of Korean translation education using contrast analysis theory. In Chapter 3, we first examined the background and status of China's CATTI qualification test. Then, the test configuration question was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 translator's ability to translate through the CATTI test could be fully judged.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for Chinese high -end learners and analyzed the practical learning request for the CATTI Korean qualification exams. Chapter 4 summarizes the universities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s and translation departments opened at home and abroa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ranslation education related to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addition, we looked at what problems exist in translation education related to Korean language studies. In Chapter 5, chapter 2 was theoretical background, Chapter 3, CATTI test composition and learning request surveys, and in Chapter 4, Korean language translation education was analyzed by the analysis of Korean translation education. In Chapter 6, a survey was conducted on those who passed the CATTI test to review the efficiency and validity of the educational content proposed for this study. The composition of the previously proposed educational content was evaluated and analyzed for effectiveness, difficulty, and satisfaction. Chapter 7 discu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provides a conclusion, including the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 중학교 국어 교과서 연극 단원 교육 방안 연구

        노수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67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초・중・고 전반에 걸쳐 연극이 정식으로 도입됨에 따라 초등학교 5~6학년 국어 교과에 활동 중심의 연극 대단원이 개설되었고, 중학교 국어 교과에 연극 소단원이 마련되었으며, 고등학교 예술 교과군의 일반 선택에 연극 과목이 신설되었다. 이는 미래 사회에 필요한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연극의 ‘종합예술’이라는 특성에 주목하고, 소통과 배려를 바탕으로 하는 집단 지성의 역량을 기르기 위해 연극이 지닌 ‘협력예술’로서의 가치를 활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으로 볼 수 있다. 본고는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신설된 연극 단원의 활용 실태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에서의 연극 단원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우선 연극의 교육적 효용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바탕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연극이 도입된 배경 및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초-중-고로 이어지는 전체 연극 교육의 흐름 속에서 중학교의 연극 교육이 지향해야 하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학년과 영역 및 성취기준이 명확한 초등학교와 달리 중학교에서는 학년의 구분 없이 연극을 통해 다양한 성취기준을 달성할 수 있도록 보다 열린 지침을 제시하였다. 고등학교의 연극이 국어과를 벗어나 독립된 교과로 신설되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초・중・고의 연극 교육이 교과와 내용 면에서 점차 확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주제로 친구들과 협력하여 연극을 공연하고 다른 사람의 삶과 세상을 이해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같이 개인의 자아를 실현하고 주변 세계를 폭넓게 탐구하는 것을 중학교 연극 교육의 목표로 삼는 것이 적절하다. 서울시교육청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인 중학교 협력종합예술활동에서는 연극 분야의 교육 내용으로 연극 장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공연 준비 및 실행 과정에서의 공동 창작 활동, 연극 체험과 감상을 통한 자아 실현과 진로 탐색 등을 안내하고 있다. 중학교 협력종합예술활동은 교과 또는 창의적 체험 활동 영역에 여러 형태로 편성할 수 있어 학교별로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다. 교과 간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거나 특정 교과의 시수를 집중적으로 편성하는 방식, 창의적 체험 활동을 담당하는 교과의 시수 활용 등이 그 예이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교육과정과 연계한 문화예술교육 및 교과 간 융합교육의 다양한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중학교 3개 학년 중 국어 교과서의 소단원 하나를 통해 체험 중심의 연극 활동을 진행한다는 교과서 개발 지침에 따라 9종의 검정 국어 교과서에 연극 관련 활동이 매우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9종의 교과서에 나타난 연극 관련 내용을 단원 구성의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다시 단원의 배치, 관련 영역과 성취기준 및 학습목표, 활동 내용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교과서 대부분이 연극 활동을 통해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을 기르기 위해 협력과 존중을 강조하고 있다. 다양한 성취기준을 융합하거나 타 교과의 학습 요소를 활용한 연극 활동이 폭넓게 다루어지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교과서의 학습활동은 과정 중심의 연극 수업을 지향하고 있으며, 정형화된 교과서의 편집 방식에서 벗어나 과감하게 변형을 시도하는 등 연극의 창의적 속성을 교재로 구현하고자 노력하였다. 다음으로는 중학교 국어 교사 1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극 수업의 실태와 문제점을 점검해 보았다. 교사들의 연극에 대한 기본 인식, 연극 지도와 관련된 경험, 국어 교과서의 연극 단원에 관한 인식, 연극 교육 교재화 방안에 대한 의견 등 다양한 문항을 통해 중학교 연극 교육의 현주소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중학교 국어 교사들은 연극의 교육적 효과와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체로 공감하고 있으나 국어 교과의 성격을 벗어나는 요소에 대해 지도의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가 부족하다고 생각하며, 연극 지도와 관련하여 교과 전문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었다. 설문을 통해 중학교의 연극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업 자료의 개발과 보급 뿐 아니라 연극의 필요성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처럼 교육과정 및 교과서, 연극 수업의 운영 실태에 대해 파악한 내용을 바탕으로 중학교 연극 수업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우선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연극 수업의 차시별 내용을 설계하고, 교과서의 내용을 재구성한 교수・학습 자료의 예를 제시하였다. 15차시의 연극 수업 설계는 학교와 교사의 재량에 따라 변형 또는 재조합하여 운영이 가능한 형태로 제안하였으며, 교수・학습 자료 역시 교과서와 함께 쉽고 재미있게 활용할 수 있는 학습지와 PPT 양식으로 개발하였다. 또한 교육 현장의 변화되는 상황을 반영한 창의적 수업 방법을 다양하게 모색하여 현장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연극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학생들은 연극 교육을 통해 연극이 지닌 종합예술로서의 특성을 이해하고, 실제로 연극 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사회적 능력을 함양하게 된다. 여러 문제 상황이나 학습 과제를 해결하는 힘을 기르고 자아 성찰 및 진로 탐색의 기회로 삼을 수도 있다. 중학교 연극 교육이 본연의 목표와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꾸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고에서 제시한 교재화 방안과 교육 방법을 실제 수업 상황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지 못한 한계와 아쉬움이 있으나,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신설된 연극 관련 단원에 관한 관심을 높이고 교사들이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연극이 지닌 교육적 효용과 가치가 학교 현장 수업 내에서 더욱 활발하게 증명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2015 국어과 교육과정 쓰기 영역 성취기준의 적합성에 대한 고등학교 국어교사 인식 조사

        이경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67

        교육부는 2015년 9월 23일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추구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확정․고시하였으며 2018학년도 중·고등학교 1학년부터 연차적으로 적용될 것임을 더불어 명시하였다. 이 교육과정은 지식의 부가가치 창출 능력을 재확인하고 이를 국가 발전을 위한 원동력으로 삼아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를 학교 교육과정에서 충족시키기 위해 ‘핵심 개념 중심의 학습량 적정화, 6개 핵심 역량의 반영, 학생 참여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 개선, 과정중심 평가 확대’를 함께 제시하였다. 개정 과정에서 현장 교원을 40% 이상 참여하도록 하고 지속적인 현장 의견 수렴을 실시하여 개정안에 반영하는 등 이전 개정 교육과정보다 학교 현장에 보다 적합성을 지닐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였음도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강조하였다. 2018년 중·고등학교 현장에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이 적용되기 전에 교육과정 내용의 핵심인 국어 교과 영역별 성취기준을 살펴보고 그 적합성을 평가해 보는 것은 의미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차적 적용 이후 교육과정의 성공적 정착 여부 및 이후 교육과정이 교사와 학습자에게 교수·학습에서의 적절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지에 대한 예측,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등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러한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 적합성을 평가했던 이전 선행 연구 자료들을 검토하였으며, 2015 국어과 교육과정 내 성취기준 중 쓰기 영역을 선별하여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국어교사에게 적합성 평가를 의뢰하였다. 이 연구는 2015 국어과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 쓰기 영역 성취기준에 대한 고등학교 국어교사의 인식 조사를 위하여 전국의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국어교사 152명을 대상으로 평가준거에 의거한 서면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평가준거별로 통계를 산출하여 성취기준의 적합성을 분석하였으며 평가준거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준거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이 된 성취기준은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의 공통과목인 ‘국어’와 선택과목인 ‘화법과 작문’ 쓰기 영역에서 선별하였으며 총 20개의 쓰기 성취기준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에서 활용한 검사 도구의 타당성 및 적합성 분석을 위해 국어교사 5인의 사전 검토를 받았으며 선행 연구에서 사용한 적합성 평가준거뿐만 아니라 성취기준 인식에 대한 분석 내용 정밀화를 위해 4개의 평가준거를 추가하여 본 조사에 투입하였다. 더불어 국어교사가 적합성을 낮게 평가한 성취기준에 대해서는 객관식과 서술형을 혼합하여 원인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분석 내용을 이 연구에 첨가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2015 국어과 고등학교 교육과정 쓰기 영역의 내용의 타당성, 진술의 명료성, 수준의 적합성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평가의 위계성, 성취의 가능성에서는 적합성이 타 평가준거에 비해 다소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화법과 작문 과목의 쓰기 성취기준보다 국어 과목의 쓰기 성취기준에 대한 적합성이 높았으며 국어 및 화법과 작문 과목의 일부 성취기준 및 태도 영역 성취기준의 적합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원리와 실제 영역의 쓰기 성취기준에 대한 적정 수업시수가 본질과 태도 영역에 비해 더 높았으며 쓰기 태도 영역의 평가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다소 낮은 인식 수준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넷째, 평가준거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평가준거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성취의 가능성과 수준의 적합성에서는 가장 높은 상관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연구 대상의 범위를 한정한 서면 조사 연구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전체 국어교사의 인식으로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하지만 분석 결과의 타당성을 위해 고등학교 국어교사로 표본 집단을 제한하였으며 기존의 성취기준 적합성 평가준거에 4개의 평가준거를 추가하여 연구 결과에 대한 설명력과 분석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응답자가 낮은 척도로 평가한 평가준거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서술형 조사를 실시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도구는 SPSS Statistics 21.0.을 사용하였으며, 변인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을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2015 국어과 고등학교 교육과정 적합성에 대한 국어교사의 인식 내용 및 수준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향후 교육 및 평가자료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더불어 교사는 교육과정 평가 시 교수·학습 및 평가의 가능성에 큰 의의를 두고 이를 가장 중요한 준거로 활용한다는 점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교육과정 적합성 평가와 교수·학습 및 평가의 가능성을 비교적 낮게 인식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낮게 인식한 쓰기 영역 성취기준의 추가적 원인 분석, 타 영역의 성취기준에 대한 적합성 분석, 국어교사가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국어과의 정의적 요소에 대한 평가 방법 및 자료 개발, 교수․학습 방법의 탐색, 성취기준의 진술 방식 개선 노력 등에 대한 이후 다각적 논의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