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해방 이후의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 변천 연구 :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김문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75

        이 글은 교수요목기(1945-1954)부터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일반계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 80권을 전수 조사하고, 본문⋅교수학습 활동⋅설명 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해방 이후 75년 중국어 교과서 역사의 변화와 발전 및 그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과 한계를 밝히기 위해 작성되었다. 해방 이후 한국의 중국어 교과서는 『新編中國語教本』(1948) 이래로 75년의 시간 동안 사회 분위기, 언어 교육의 접근법, 교육과정 등의 많은 요소에 의해 많은 변화를 겪고 발전을 거듭하였다. 그 가운데 특히 언어 교육 접근법은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학습 활동, 평가 등 언어 교육 전반에 관한 판단 기준이자 관점으로 교과서의 질적 변화를 야기하는 주된 동인이 되었다. 한국의 중국어 교육에서는 과거 언어 구조와 규칙의 습득을 위주로 하는 구조 중심 접근법에서 화용적 능력과 사회언어학적 능력을 포괄하는 의사소통능력의 습득을 중심으로 하는 의사소통 중심 접근법으로 변화해 왔다. 본고는 이러한 가정하에 역대 중국어 교과서에 반영된 언어 교육 접근법의 특징을 교과서의 본문, 활동, 설명의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여기서 본문은 단원에서 중점적으로 가르치고자 하는 중심 문장들이며 활동은 학습 활동을, 설명은 본문에 대한 해설을 말한다. 구조 중심 접근법을 반영한 교과서는 실제 문장의 사용과 관련된 화용적 측면보다는 문장 구조의 학습을 위한 본문의 언어, 학습 활동의 유형, 문법의 설명으로 구성되며, 의사소통 중심 접근법을 반영한 교과서는 언어 자체에 대한 학습보다는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화용적 측면을 반영한 본문 및 학습 활동과 귀납적인 문법 설명으로 구성되므로, 이를 통해 교과서가 언어 교육 접근법의 변화를 반영한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본격적인 분석을 위해 우선 중등 중국어 교과서의 모든 목록을 수집하였고 완성된 목록의 150권 중 일반계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 80권을 구체적인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어서 교과서의 편찬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 교육 접근법 및 접근법을 반영한 교재의 특성을 고찰한 후, 해방 이후 중등 교육과정의 변화 흐름 및 교육과정별 특징을 간략히 살펴보고, 중국어 교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교육과정별 목적, 편제, 총론, 각론, 주요 내용 및 특징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교육과정의 흐름 속에서 일반계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는 어떤 위치에 있는지, 그 구체적인 모습은 어떠한지 교육과정별로 자세히 분석하였다. 개관 및 현황에서는 교과서의 목록을 제시한 후 발행 상황, 표지와 목차, 전체 구성, 단원 구성, 소재, 발음 학습, 본문의 언어 특징, 학습 활동 유형, 문법 설명, 문화 학습, 삽화, 부록의 여부 및 구성, 교과서의 크기 변화, 발음기호의 표시 변화, 채색 여부, 기타 특징 등 관찰 가능한 형식적, 내용적 특징들을 자세히 묘사하였다. 본문, 활동, 설명 분석에서는 각 교육과정 교과서의 본문, 학습 활동, 문법 설명의 예시를 들고 그 양상을 기술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이 과정에서 도출해 낸 특징을 귀납하고 이론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서술하였다. 본문, 활동, 설명의 분석 결과 도출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 중심에서 기능 중심으로의 변화이다. 기능 중심으로의 변화는 본문과 활동의 화용적 측면 여부로 판단할 수 있었다. 화용적 능력은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 요소로 의사소통 상황에서 적절한 언어를 사용하는 능력이다. 언어의 실제 사용과 관련된 능력이므로 화용적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교과서가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언어 및 상황을 제시해야 한다. 본문과 활동의 분석 결과, 제6차 교육과정 시기를 기점으로 화용적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내용이 반영되기 시작함을 알 수 있었다. 제6차 교육과정 시기부터는 본문에서 맥락적 대화 및 중국 정보, 일상생활과 관련된 글과 같이 의사소통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언어를 제공하였다. 제6차 교육과정 시기의 활동에서는 기능 통합적 활동, 짝이나 소그룹 활동이 제시되기 시작하였으며 제7차 교육과정 시기부터는 실물 사진 및 실제와 유사한 상황을 반영한 활동이 진행되었고 게임과 과업 활동과 같이 짝 또는 소그룹 활동이 더 강화되었다. 이러한 활동은 학습자가 유의미한 언어를 사용하여 유의미한 과업을 수행하는 실제적인 의사소통 활동을 하는 것으로 화용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제6차 교육과정 시기 이전의 본문에서는 문장 구조 학습을 위한 문장의 나열, 단순한 대화, 고사나 설화와 같은 글을 제공하였으며, 활동에서는 주로 문법 및 문장 구조 확인, 번역하기, 작문하기와 같이 학습한 문법이나 문장 구조를 확인하는 일방적인 연습문제가 제시되고 기능 통합적 활동, 학생 간 상호작용 활동, 유의미한 과업 활동은 없었다. 둘째, 귀납적 접근의 약세이다. 외국어 교육에서 문법 접근방법은 크게 연역적 접근방법과 귀납적 접근방법으로 구분된다. 규칙과 명시적인 문법 설명이 먼저 이루어지고 예문이 뒤따르면 연역적이라고 볼 수 있고, 실제 상황에서 사용되는 문장이 먼저 제시하고 학습자가 규칙을 스스로 도출해 내도록 한 뒤 정리 차원의 문법 설명이 진행되면 상대적으로 귀납적이라 할 수 있다. 중국어 교육과정은 제6차 시기부터 의사소통 중심 접근법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으며 의사소통 중심 접근법에서는 규칙이 포함된 문장을 학습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가 스스로 규칙을 도출해 내는 문법의 귀납적 학습을 강조한다. 그런 점에서 의사소통 중심 접근법이 채택된 제6차 교육과정 시기부터는 문법의 귀납적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모든 교과서가 구성되었을 것이라 예상하였으나 결과는 그와 달랐다. 우선 교수요목기부터 제3차 교육과정 시기까지는 본문 자체가 문법 규칙의 제시이므로 명시적인 연역적 접근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제4차 교육과정과 제5차 교육과정 시기의 교과서는 구성 자체가 연역적이라고까지 할 수준은 아니었으나 본문의 언어 성격 및 학습자의 문법 규칙 유추 기회 여부 측면을 모두 고려했을 때 완전한 귀납적 접근의 구성을 갖춘 교과서도 아니었다. 이는 제6차 교육과정 시기 이후 시기에도 매우 미미한 수준이며, 최근의 교육과정으로 올수록 그 비율도 점점 줄어들고 있어 귀납적 접근은 약세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귀납적 구성의 교과서는 제6차 교육과정 시기 교과서의 5종 가운데 3종, 제7차 교육과정 시기의 4종 가운데 2종,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의 5종 가운데 1종,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의 10종 가운데 2종으로 설명 영역이 존재하는 전체 38종 교과서 중 8종밖에 되지 않는다. 구조 중심에서 의사소통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 언어 교수학습의 흐름 및 이에 따른 교육과정의 변화에 발맞춰 중국어 교과서도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방향으로 변화․발전해야 한다. 그러나 본고의 연구를 통해 기능적인 교과서로의 완전한 변화는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글이 중국어 교과서를 통시적 관점에서 더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기존의 교과서 연구를 보완하여 학습자의 중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더욱 향상하는 교과서로 발전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재중한국학교 초등학생의 중국어 학습 전략에 관한 조사 연구

        유안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고의 목적은 재중한국학교 초등학생 중국어 학습자의 학습 전략 사용을 논의하는 데 있다. 즉, 제2언어 환경에서 중국어를 학습하는 초등학생 중국어 학습자의 학습 전략 사용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며, 학습 전략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지 논의해 봄으로써 재중한국학교 초등학생 중국어 학습자의 학습 전략 사용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Oxford(1990)의 SILL을 활용하여 설문 문항을 초등학생의 어휘 수준에 맞게 조정하였다. 설문은 재중한국학교의 4개 초등학교 3~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한편, 4개 학교의 교사와의 면담 및 교육과정 분석 등을 통해 재중한국학교 초등학생들의 중국어 학습 전략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성별, 학년, 학습 기간, 성취도, 흥미도 변인에 의거 재중한국학교 초등학생 중국어 학습자의 학습 전략 사용을 비교해보았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중국어 학습 전략 사용을 살펴본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습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기억 전략, 초인지 전략, 정의적 전략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중국어 학습 전략 사용 결과는 보상 전략을 제외한 모든 전략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검정 결과, 3학년과 5학년, 3학년과 6학년과 같이 저학년의 범주에 있는 3학년과 2년 이상의 터울이 있는 5학년, 6학년 간의 전략 사용이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확인되었다. 셋째, 학습 기간에 따른 학습 전략 사용을 분석한 결과, 인지 전략에서만 학습 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사후 분석 결과 5년의 학습 기간을 기점으로 학습자 집단 간 인지 전략 사용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취도와 모든 학습 전략 간 상관관계가 있으며, 학습 전략 사용 평균은 고급, 중고급, 초급, 중급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정의적 전략을 제외한 모든 학습 전략에서 성취도에 의해 분류된 초급, 중급, 중고급, 고급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중국어에 관한 흥미도를 낮음, 보통, 높음의 3단계로 구분하여 학습자들의 학습 전략 사용을 분석한 결과, 흥미도가 높을수록 학습 전략 사용 평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생들의 중국어 흥미도가 낮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사실을 통해 학습 전략을 사용하는데 있어 각 변인들의 상호 작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까지 발표된 국내외의 중국어 학습 전략 연구 가운데 한국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무하다. 또한, 기존의 관련 선행 연구들이 모두 외국어 환경(CFL)의 중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점에서 제2언어 환경(CSL)에서 중국어를 학습하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본고의 연구는 의의가 있다. 앞으로 더 다양한 범위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학습 전략 연구가 진행되어 본 연구의 한계가 보완되고 중국어 학습자의 학습 전략에 대한 이해가 넓어지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use of learning strategies by Chinese learners in Korean International Elementary schools in China. In other words, the use of learning strategies by elementary school Chinese learners learning Chinese in the second language environment was studied by discussing what aspects and what factors influence the use of learning strategies. To this end, the survey questions were adjusted to match the vocabulary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the SILL in Oxford (1990).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ird to sixth-grade students at four Korean International Elementary schools in China, while examining the use of Chinese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n International Elementray school through interviews with teachers in four Korean International Elementary schools and analyzing curriculum. Based on gender, grade, period of study, achievement level, and interest level variables, we compared the use of learning strategies of elementary Chinese learners in Korean schools in Chin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use of Chinese learning strategies by gender, female students used more learning strategies than male students, and independent t-tes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mory strategies, upper-level recognition strategies and defining strategies. Second, the results of the use of Chinese learning strategies by grad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trategies except compensation strategies. Post-test results have confirm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strategies between third and fifth graders, such as third and sixth graders, and fifth and sixth graders, who have turbines of more than two years in the lower grades category. Third, after analyzing the use of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learning period, we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period only in cognitive strategy and follow-up analysis results. The difference in the use of cognitive strategies between groups of learners has been shown to exist since the five-year learning period. Fourth,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achievement and all learning strategies, and the average use of learning strategies was high in the order of advanced, upper-intermediate,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s. In all learning strategies, except for the defining strateg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beginner, intermediate, upper intermediate and advanced groups classified by achievement. Fifth, the analysis of learners' use of learning strategy by dividing the level of interest into three levels: low, moderate, and high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est, the higher the average of using learning strategy. In addition, students' interest in Chinese is decreasing as the grade goes up, and this fact has shown the interaction effect of each variable in using the learning strategy. Among the Chinese learning strategy studies, there is no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yet, it is meaningful that most existing related prior studies are about that they target Chinese learners in the CFL environment. In the future, we hope that the study of learning strategies for a wider range of learners will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learners' learning strategies.

      • 중등 중국어 교과서 이체자 사용 연구 : 교수요목기에서 제3차 교육과정기까지

        전해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해방 이후의 중국어 교육과정 중에서 1940년대 말에서 1980년 대 초에 해당하는 교수요목기에서 제3차 교육과정기까지 발행한 중등 중국어 교과서 속의 한자 사용의 양상을 ‘정체’에 상대하는 개념인 ‘이체’로서 살펴보고 중등 중국어 교과서의 변천사를 훑어보면서 당시의 한자 표기체계가 불안정했음을 한자 사용 양상의 변천이라는 시각을 통해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국가의 주도 아래 편성되고, 국가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서가 편찬된다. 교수요목기부터 제3차 교육과정기까지 발행한 중등 중국어 교과서는 총 16권으로 중화민국의 표준 중국어를 기준으로 편찬되었다. 매 교과서는 번체자와 주음부호로 본문이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해방 이후부터 발행된 중등 중국어 교과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활자 인쇄물이자 한 국가의 한자 자형관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문헌자료이기도 하다. 하지만 해방 이후 교육과정 초기 34년 동안 발행된 중등 중국어 교과서는 교과서 연구 분야와 한자학 연구 분야에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 다. 우리나라의 중등 중국어 교과서 연구는 주로 언어 기능의 세부적인 항목 분석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교수요목기부터 제5차 교육과정기까지 번체자로 교과서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당시의 한자 표기체계를 알아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다만 중등 중국어 교과서에서 번체자와 주음부호를 사용한 것은 제5차 교육과정기까지인데 자료의 방대함으로 인해 제3차 교육과정기까지 발행된 중등 중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였다. 해방 이후에 교과서 검인정 제도가 정착되어 현행의 검인정 제도로 정착 되기까지 초기 교과서의 편찬과 발행은 쉽지 않았다. 또한 한자와 한글을 혼용하던 시기가 교수요목기부터 제3차 교육과정기의 중등 중국어 교과서의 발행 시기에 포함된다. 수집한 실물 교과서 자료의 편찬 체제를 통해 교수요목기에서 제3차 교육과정기까지 검인정 제도의 변천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체’ 연구는 한자 발전의 역사와 같이 나타난다. ‘정체’가 존재하면 ‘이 체’도 있기 마련이다. 중국, 대만, 홍콩, 일본은 표준자형 제정의 역사를 통 해 나라별, 지역별로 공식적인 한자 표기체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 나라는 한자 대신 한글을 공문서에서 사용하면서 한글이 공식적인 표기체계가 되었고, 국가 차원의 표준자형을 제정하지 않았다. 이러한 혼용 양상을 코퍼스 언어학적 접근 방법을 차용해 분석하였다. 해당 교육과정기에 발행된 중등 중국어 교과서 16권을 모두 수집하여 교과서 속의 한자를 텍스트로 입력하였고, 텍스트 자료를 토큰화한 후에 검증과 수정 작업을 반복한 후에 타입을 산출하였다. 산출한 타입으로 통계 분석과 『漢字字形對比字典』, 重編國語辭典修訂 本, 漢典을 통해 ‘정-이’ 쌍을 추출해 ‘정체’가 우세한 경우, ‘정-이’ 비율이 20% 이내인 것, ‘이체’가 우세한 경우로 분류해 출현 빈도를 제시하면서 한자 표기체계의 불안정을 증명하고, 요인을 분석하였다. 표기 불안정의 요인 중 하나는 국가 교육과정에 중등 중국어 교과서의 문자표기에 대한 문구가 제4차 교육과정기부터 제시되었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해방 이후 교과서의 문자표기 정책이 일관되지 못하고 한글 전용 정책과 한자 자형 표준화 추구가 번갈아 이루어지던 국한문 혼용 시기였기 때문이다. 앞으로 중등 중국어 교과서의 한자 변천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고찰하기 위해서는 번체자를 사용한 제4차와 제5차 교육과정기까지 발행된 교과서를 포함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타입 3,245자의 중국, 홍콩, 대만, 한국, 일 본의 자형 차이 유형을 유니코드로 비교·대조해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