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사서를 위한 계속교육에 관한 연구

        김미령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3391

        사서의 계속교육은 시대적 변화에 적응하고, 직업적 능력을 발전시켜 사서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하다. 최근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아동사서의 전문성 확보는 계속교육을 통해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아동사서의 계속교육 프로그램 필요성을 인식하고 계속교육의 현황 및 그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바람직한 아동사서를 위한 계속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제시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사서가 전문성을 갖고 일하기 위해서는 계속교육을 통해서 가능하다. 둘째, 도서관 업무가 순환근무제이므로 아동사서로서 전문성을 가지고 근무하기에 어려운 현실이다. 셋째, 국립중앙도서관의 계속교육 프로그램은 교육자격에 제한을 두고 있다. 넷째, 문헌정보 관련단체에서 이루어지는 계속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하다. 다섯째, 사서들의 계속교육 참여에 방해가 되는 여러 요인들이 있다. 여섯째, 아동사서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담당하는 전문적인 단체가 없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아동사서를 위한 계속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사서를 위한 계속교육은 전문단체인 아동사서협회(가칭)가 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둘째, 아동사서를 위한 전문적인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사서 개개인의 자기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아동봉사 업무 담당자끼리의 아동사서 모임을 구성하고 활성화해야 한다. 다섯째, 아동봉사 업무는 전담근무제가 바람직하다. 여섯째, 기관에서는 행정적인 지원을 통하여 계속교육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일곱째, 국립중앙도서관의 계속교육의 기회가 더 많은 사서에게 골고루 주어져야 하며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여덟째, 문헌정보학 관련협회와 아동 관련협회, 어린이도서관의 네트워크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어린이가 가까운 거리에 있는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게 도서관 수를 늘리는 일이 시급한 과제이며 국립어린이도서관의 빠른 설립이 요구된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로 아동사서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계속교육 및 문헌정보학 정규교육과정에서 아동봉사 주제에 대한 다양한 교육을 통하여 관련지식을 습득하고 전문성을 갖춘 아동사서가 현장에서 일할 수 있기를 바란다.

      • 경기도 초등학교 사서교사의 독서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승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91

        In line with the superintendent's pledge to introduce "School librarians in all schools," the Office of Education in Gyeonggi-do has hired fixed-term school librarians as of March 2019. In April 2019, the Third Basic Plan for the Promotion of School Libraries was announced, aiming to increase the ratio of school librarians to 50% by 2030, and introduce new school librarian training programs. In Gyeonggi-do, the number of schol librarians working in school libraries rose from 535 in April 2019 to 810 in April 20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chool librarians' perceptions and actual practices surrounding reading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in order to identify related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s. The study subjects included 171 school librarians in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through a random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110 school librarians, of which, 89 (80.9%) conducted reading education classes and 21 (19.1%) did not, primarily because such classes were not included in school librarians' school curriculum planning, although all of them were willing to do so. A school librarian who conducts reading education classes typically teaches 85 hours per year, with a majority of school librarians teaching 51 to 100 lessons per year. Additionally, 84.3% of school librarians provided reading education to all students, and it was mostly conducted in classes of related subjects (e.g., Korean language). School librarians primarily use lecture-style classes to teach reading education, and picture books were most commonly used as class materials. Through school librarians' reading education,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utilize libraries, and 78.6% of managers and fellow teachers had a positive perception regarding school librarians' reading education. School librarians encountered the greatest difficulty when performing reading education classes, owing to the lack of reading education materials such as teacher guidelines. Most respondents acknowledged that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reading education, "reading" classes should be included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class hours should be more than 80 per year. The responses of school librarians differ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conducted a reading education class. Drawing, making, and writing were selected as the most effective class materials for each grade, and small group discussions were considered the most effective class method. Knowledge of reading education was elected as the most important quality required for elementary school librarians. Regarding improvement plans, they considered preparing teaching and learning guidelines customized to each grade as most important, followed by the need to hold regular "reading" class hours. They also indicated that elementary school librarians should learn about reading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first, followed by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raining. The cooperative class with the homeroom or subject teachers was highly preferred by 69.1% of the respondents, and the primary reason was that it would make reading classes more effective for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reading status based on employment type. School librarians are classified as permanent-term and fixed-term teachers; fixed-term school librarians in Gyeonggi-do are categorized into those with and without librarian certificates. By far, reading education classes were mostly conducted by permanent school librarians, with 126 hours of classes conducted annually on average. Regardless of the type of employment, school librarians employed similar instructional methods, class materials, and references. The major challenges in the reading education class remained the same, regardless of the type of employment, but there was a minor difference in the challenges that followed. School librarians' opinions on effective reading education hours and grades requiring reading education were the same, irrespective of employment type; however, opinions differed on the reading class hours per year. Regardless of employment type, the most preferred responses regarding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teaching methods, and qualifications and training required for elementary school librarians were the same,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permanent and fixed-term school librarians on improvement plans. In light of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measures for improvement can be proposed to revitalize reading education by school librarians. First, a national-level school library curriculum should be created, and regular "reading" classes should be organized to secure the number of hours reserved for school librarians. Second, it is essential to standardize the number of reading education classes for school librarians in each school, or legislate the number of reading education classes that should be offered in proportion to the total number of classes or students. Third, it is imperative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plans by grade to help school librarians conduct reading educa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reduce and support heavy workloads associated with libraries for school librarians who cannot provide reading education. Fifth,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Office of Education should provide school librarians in elementary schools with training on reading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Sixth, rather than hiring many fixed-term school librarians with unstable employmen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permanent school librarians selected in the recruitment exam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school librarians can continuously provide systematic reading education in schools. 경기도교육청은 학교 내 독서교육 강화를 위해 ‘모든 학교도서관에 사서교사 배치’라는 교육감의 공약으로 2019년 3월부터 기간제 사서교사를 모집하였고, 2019년 4월에는 학교도서관 수 대비 사서교사 비율을 2030년까지 50%로 늘리고 사서교사 연수를 신설한다는 제3차 학교도서관 진흥기본계획이 발표되었다. 경기도의 학교도서관은 2019년 4월에는 535명의 사서교사가 근무하다가 2020년 4월에는 810명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초등학교 사서교사들의 독서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무작위 표집방법으로 설문응답이 가능하다는 경기도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171명의 사서교사들에게 온라인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110명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전체 110명의 사서교사 중에서 독서교육 수업을 실시하는 사서교사는 89명(80.9%), 실시하지 않는 사서교사는 21명(19.1%)이었다. 사서교사가 독서교육을 미실시하는 이유로는 ‘학교교육과정 계획 시 사서교사의 독서교육 수업 배제’가 가장 많았고, 21명 모두 수업 의향이 있었다. 현재 독서교육 수업을 실시하는 사서교사의 연평균 수업시수는 85시간이며, 가장 많은 비율의 사서교사들이 연간 51~100차시의 수업을 하고 있었다. 독서교육을 하는 사서교사의 84.3%가 전교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하고 있고, 수업은 관련교과(국어) 수업시간에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사서교사가 독서교육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수업방식은 강의식 수업이며, 수업자료로 그림책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사서교사의 독서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교육적 효과로는 도서관 이용률 증가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현재 사서교사의 독서교육에 대해 관리자나 동료교사는 78.6%의 비율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사서교사가 독서교육 수업 시 가장 힘든 점은 교사용 지침서와 같은 독서 교육자료의 부족이었다. 사서교사가 독서교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독서’ 정규 수업시간을 편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연간 수업시수는 80시간 이상으로 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는데 독서교육 수업 여부에 따라 사서교사의 응답에 차이가 있었다. 효과적인 수업자료로는 각 학년별로 그리기, 만들기, 쓰기 등 다양한 독서활동 지도자료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고, 효과적인 수업방식으로 소집단 토의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초등학교 사서교사에게 필요한 자질 중에 독서교육에 대한 지식이 가장 필요하고, 개선방안으로는 학년별 교수·학습 지도안 마련이 가장 중요하고 다음으로 ‘독서’ 정규수업시간 편성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초등학교 사서교사에게는 독서교육 및 교수법에 대한 연수가 가장 필요하고 다음으로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연수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담임교사 또는 교과교사와의 협력수업에 대해서는 69.1%의 사서교사가 하고 싶다고 응답하였는데, 그 이유로는 학생들의 독서교육에 더 효과적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또한 본 연구는 고용형태에 따른 독서현황을 비교분석을 하였다. 고용형태에 따라 사서교사는 정규사서교사, 기간제 사서교사로 구분되는데, 경기도에 근무하는 기간제 사서교사는 사서교사 자격증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다시 구분된다. 독서교육 수업은 정규사서교사가 가장 많이 하고 있고, 연간 수업시수 평균도 정규사서교사가 126시간으로 가장 많았다. 독서교육 수업방식, 수업자료, 참고자료는 고용형태별 사서교사에 따라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독서교육 수업 시 가장 힘든 점은 고용형태와 상관없이 같았으나, 그 다음으로 힘든 점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사서교사의 효과적인 독서교육 시간, 독서교육을 해야 하는 학년에 있어서는 고용형태와 상관없이 의견이 같았으나,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연간 수업시수에 대한 의견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독서교육 시 효과적인 수업자료, 수업방식, 초등학교 사서교사에게 필요한 자질과 연수에 대해서는 가장 많이 선택한 응답이 고용형태와 상관없이 같았으나, 개선방안에 대해서는 정규사서교사와 기간제 사서교사 간에 차이가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사서교사의 독서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제안할 수 있는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수준의 학교도서관 교육과정이 마련되고 ‘독서’ 정규수업시간이 편성되어 사서교사의 고유한 수업시수를 확보해야 하겠다. 둘째, 학교마다 사서교사의 독서교육 수업시수를 통일시키거나 학급 수나 전교생수에 비례하여 독서교육 수업시수를 법제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서교사가 독서교육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학년별 교수·학습지도안 마련이 필요하겠다. 넷째, 독서교육을 실시하지 못하는 사서교사들을 위해서는 과중한 도서관 업무를 경감 및 지원해줄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육부와 교육지원청에서는 초등학교의 사서교사들을 대상으로 독서교육과 초등교육과정에 대한 연수를 실시해야 하겠다. 여섯째, 고용이 불안정한 기간제 사서교사를 많이 채용하기보다는 임용시험에서 정규사서교사의 선발인원을 늘려 한 학교에서 사서교사가 지속적으로 체계적인 독서교육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하겠다.

      • 효율적인 학교도서관 운영을 위한 학부모 명예사서의 활동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arents’ Activity as Honorary Librarian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School Library

        정혜선 대진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3391

        For today’s school libraries with a poor arrangement of librarian teachers, use of parents as honorary librarians can be an important strategy for revitalizing school library services. And, parents’ activity as honor librarians should be done in a more systematical and deliberate way not as a simple temporary measure.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 of survey on operating problems and the improvement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ibraries running honorary librarian system in Paju area and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turned out parents honorary librarians have been helpful for school library operation and the education of overall library work for the smooth activity of the honorary librarians would be necessary. Second, the greatest problem of parents’ honorary librarian system appeared to be their giving up in the middle of their activity and an education and system for reinforcing this issue would be necessary. Third, as shown in the operation cases, in the schools with honorary librarian system run relatively well, there existed librarians (teachers), the center of the library and the honorary librarians played an active role in the school library operation and reading education. Fourth, some school library operators complained of their lacking time for good education or the number of professional managers, so in order to run the parents’ honorary librarian system efficiently, the supports from the school and local educational office appeared to be necessary. Fifth, in order for the honorary librarian system to be operated efficiently and desirably, researches on human resources and operation management model would be necessary such as proper development of works, event planning, education, motivation and valuation, etc. 사서교사의 배치가 열악한 수준인 오늘날의 학교도서관 현실에서는 학부모 명예사서의 활용이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학부모 명예사서의 활동은 단순한 임시방편이 아니라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파주지역의 초․중학교에서 도서관에서 명예사서제를 운영하고 있는 학교를 대상으로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점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분석하고 효율적인 학교도서관 운영을 위해 학부모 명예사서의 활동의 활성화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부모 명예사서가 학교도서관 운영에 도움이 되었으며 명예사서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도서관 전반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 명예사서제의 가장 큰 문제점은 활동을 중도에 포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런 문제점을 보강할 수 있는 교육과 시스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운영사례에서 보았듯이 비교적 명예사서제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에서는 도서관의 구심점인 사서(교사)가 있었으며, 명예사서들이 학교도서관 운영 및 독서교육에 적극적인 활동을 하고 있었다. 넷째, 학교도서관 운용자들은 제대로 교육을 시킬 수 있는 시간이나 관리할 전문적 인력부족을 호소하였는데 학부모 명예사서제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위해서는 학교와 지역교육청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명예사서제가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운영이 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업무개발, 행사기획, 교육, 동기부여, 평가와 같은 인력관리와 운영에 관한 관리모델의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학교도서관 학부모 명예사서 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홍은자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391

        최근 몇 년간 도서관 활성화 사업이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각 학교마다 도서관이 생기고 최첨단 설비를 갖추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인적자원의 중요성도 함께 부각되고 있다. 사서교사의 배치가 열악한 수준인 오늘날의 학교도서관 현실에서는 학부모 명예사서의 활용이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학부모 명예사서의 활동은 단순한 임시방편이 아니라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운영을 위한 명예사서 활동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명예사서의 의의와 종류, 활동을 이론적으로 밝히고, 학교도서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학부모 명예사서에게 설문을 통하여 조사 분석하여 효율적인 학교도서관 운영을 위해 학부모 명예사서의 활동의 활성화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부모 명예사서의 활동에 관한 내용으로는 학부모 명예사서는 모두 어머니로 30대가 55%를 차지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49%가 6개월 이상의 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이상적인 봉사시간으로는 하루 2시간을 꼽았으며, 학부모 명예사서 활동은 자녀뿐만 아니라 자신에게도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전체를 차지하였다. 추후 활동은 그 때 가서 생각해 보겠다는 의견이 73%로 나타났다. 학부모 명예사서 활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학부모들의 직업과 개인 활동을 분석 후 봉사 요일을 정하고, 봉사 시간은 일일 2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학부모 명예사서 교육에 관한 내용으로는 응답자 중 학부모 명예사서 교육을 받은 학부모는 79%로 이들의 84%는 봉사활동을 시작하기 전 학교에서 사서교사를 통해 교육을 받았으며, 교육청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받은 학부모 명예사서는 12% 밖에 되지 않았다. 교육 또한 1회에 그치는 경우가 80%로 조사 되었다. 학부모 명예사서들은 교육을 통해 학교도서관 봉사에 좀 더 관심을 갖고 자부심을 가질 수 있고, 교육을 통해 전문성 향상을 원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 및 교육청ㆍ공공도서관은 교육의 양과 질을 늘려 더 많은 학부모 명예사서들의 전문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체적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부모 명예사서 업무에 관한 내용으로는 학부모 명예사서의 업무를 운영전반, 자료정리 및 도서수리, 열람봉사, 문화프로그램(행사참여) 4가지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자료정리 및 도서수리, 열람봉사의 업무는 응답자 모두가 참여하고 있는데 반해 운영전반의 업무는 응답자의 50%, 문화프로그램(참여행사)는 78%만 참여고 있었다. 학부모 명예사서는 단순하고 반복적인 봉사를 하기 보다는 전문적인 일도 함께 병행하는 것이 학부모 명예사서의 능력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서 자부심과 책임감을 높일 수 있는 한 방법일 것이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현재의 초등학교 학교도서관에서 학부모 명예사서는 사서교사의 조력자로서 또 하나의 도서관운영자로서 중요한 인적자원임에 분명하다. 따라서 명예사서제도를 적극 권장하여 학교도서관을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Recently, as revitalization of Library Development Projects, every school has constructing own library and preparing up-to-date equipment. Also,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is embossed. School library in these days that is poor of posting of librarian teacher. In this case, using an honorary librarian of parents will be able to key strategy. Thus working of honorary librarian of parents is not temporary solution but it should be operated systematic, planned. This study is aimed at presenting the revitalization of activity of honorary librarian for the operation of the school library. It theoretically shows the significance of, sort of honorary librarian and their activities. In order to efficient operate the school library, honorary librarian of parents work at school library conducted a survey about revitalization of their activ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about activity of honorary librarian, they are all mother, 55% of them are age of 30. Most of them are voluntary participant. Also 49% of them are in librarian more than 6 months. 2 hours a day is most ideal service hours they chose. Mostly, activity of librarian is helpful both them and their children. About activity in the future, 73% have to think what will happen. In order to maintain continuously activity of honorary librarian, it implied fix a date of volunteer after analysis of the job and personal activity of parents and keep the service hours to 2 hours a day. Second is about training of honorary librarian. 79% of respondent are trained, 84% of them are trained by librarian at school, and only 12% are trained at Office of Education. Their 80% are trained once. Through the training honorary librarian of parents have more interested in volunteer work at library and take pride. Also they want to advance specialty through further training. Thus, school, public library, and Office of Education should to set up specific plans to advance specialty of honorary librarian. Third is work of honorary librarian. It investigated 4 parts: management in general, organization of material, volunteer of reading, cultural program (participate in events). In contrast to they are all in organization of material, volunteer of reading. 50% of respondent are in management in general, 78% are in cultural program (participate in events). Combining both simple work and specialized work is a way of boost of their pride and responsibility. In consequence, honorary librarian of parents at elementary school library is clearly important human resources as assistance of librarian, another library operator. Therefore, to vitalize the school library, it should to recommend the system of honorary librarian.

      • 학교도서관 담당자의 직무 역량을 기준으로 한 계속교육 현황분석 보고서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김윤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3391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학교도서관의 담당자로 근무하는 사서교사와 사서들이 참여할 수 있는 계속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 교육과정들이 사서교사의 역량지표를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광주광역시 학교도서관의 담당자들이 주로 참여할 수 있는 계속교육과정들과 사서직의 핵심역량과의 연결성을 찾아보기 위해 국립중앙도서관의 사서교육훈련과정은 ‘한국도서관협회의 핵심역량’과 ‘교육부의 사서교사 직무 역량’을 기준으로 비교 분석하였고, 광주광역시교육청의 연수과정은 ‘교육부의 사서교사 직무 역량’을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광주광역시 사서교사들이 접근할 수 있는 계속교육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중앙도서관 교육참여자들은 90% 이상이 온라인 교육을 통해 계속교육을 받고 있었다. 둘째,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실시되는 교육과정 중 학교도서관 담당자에게 활용가능한 강좌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영역은 ‘5. 도서관 및 정보센터 경영관리’와 ‘3. 도서관 및 정보센터 서비스’ 영역이었다. 셋째, 국립중앙도서관의 계속교육 강좌들 중 사서교사의 직무역량 중 학교 수업과 관련된 교육은 거의 개설되지 않고 있었다. 교사영역의 ‘교수 설계·구현’에 해당하는 과목은 하나도 개설되지 않고 있었고, 3. 도서관 및 정보센터 서비스’ 영역으로 개설되었던 “도서관 협력수업” 과정이 2023년에는 폐강되었다. 학교도서관 직원이 전국 도서관 전체 직원의 16%로 높은 구성원 비율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과정이 부족하고 그나마 있는 과정도 폐강되는 현실은 국립중앙도서관 계속교육 과정에서 학교도서관 담당자를 주요 교육대상자로 선정하고 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하겠다. 넷째, 광주광역시교육청의 연수에서는 교사 영역의 연수가 보다 많이 진행되었지만, 협력적 리더 영역에서는 ‘지역사회 협력 네트워크’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만이 진행되었다. 학교도서관 사서교사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학교도서관의 필요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꾸준히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도서관활용교육과 도서관협력교육에 해당하는 연수는 광주광역시교육청의 계속교육에서도 부족한 모습을 보였다.

      • 자유학기제 확대에 따른 학교도서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지역 중학교 중심으로

        김윤옥 대진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33391

        The free semester system is in full force for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teens to adapt to a diverse and rapidly changing new environment and fully explore their career path to suit their aptitude and aptitude. In the beginning, the free semester system focuses on career explor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tudents were able to find their dreams and talents, and to improve them with a focus on student-participating classes, such as discussion and practice. In addition, the school operated its curriculum flexibly by unit schools to enable diverse experience activities such as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gainst this backdrop of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importance of reading to think creatively and develop leading performance skills was increased, and the importance of linking the reading-based curriculum to foster creative convergence thinking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line with these changes in the curriculum, the school library's role has become important, as reading infrastructure has been established and reading education can be properly realized. In this study, we wanted to study how the school library could support as much as possible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so that the school library could be activated as the center of school education. To this end,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or librarians and librarians at six actively operated school libraries in connection with the free semester system in Gyeonggi-do. They inquired about the success of the operation of the school library with regard to the free semester system, restrictions and problems in operation, and suggestions as dedicated personnel. Although many club activities, events,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related to the free semester system are under way in the school library, there were limitations that even good classes and programs could not be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one-time work since most of them were selected after school. This raised the need for proper timekeeping and systematic program design. Second, we analyzed the spatial composition of Hopyeong Middle School in Gyeonggi-do, which recently improved its spatial composition in line with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analyzed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developed and conducted by Gongju Middle School and Namyangju Byeolgaram Middle School and a librarian and librarian study club in Gyeonggi-do to study the class case. The implications of this were the spatial aspects, which raised the need to secure space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to organize the environment. In terms of classes, since the free semester system emphasizes convergence classes,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work to develop diverse career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provided by the school library, as well as link-up and cooperation classes with other subjects using the school library. Third, the most recent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chool libra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who had used the school library during the free semester system. In connection with the free semester system, 122 first-year students from six middle school libraries in Gyeonggi-do Province actively used the school library. It recognized the support and role of the school library according to the current free semester system, and considered overall library space composition, connection and cooperation classes, role as information center, and role of librarian in support of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established survey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 ver.21.0, and specific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by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cross-checking, and kisequare and t-verific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are the need to organize and create the environment considering the specific function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in terms of space composition, the need to expand the school library connection and cooperation classes, lay the foundation for information-use classes using information media, and actively recognize the role and capacity of librarians and librarians to facilitate classes and various activities in the school library. Fourth, we studied the change in perception after using the school library during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method consisted of the same survey method and contents as the students' satisfaction survey, and the implications of the survey were positive changes in students' perception after using it due to the efforts of the school library to support the free semester system. However, the slightly higher figure raised the need to more actively lead students to school libraries. When the activation measures are presented by summing up the in-depth studies and the survey studies above. First, students should expand their school library experience and increase awareness of the need. To this end, the government proposes to increase the percentage of classes that utilize school libraries so that students can find books and search for information in school libraries for homework and problem solving, thereby increasing the dependency rate of school libraries. Second, the composition of the space in the school library for the free semester system requires the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composition considering the detailed function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Third, as the free semester system enables 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 flexible curriculum for each unit school, it is proposed to plan an integrated and integrated reading program with other subjects linked to the curriculum and to actively organize independent and cooperative classes at the school library. Fourth, since the free semester system is strengthening classes for students'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the librarian and librarian of the school library proposes to plan and operate activities for reading-based projects linking career and free semester, and actively support various career exploration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Fifth, it is propose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in the school library's group classroom space, and to provide enough information media for students to easily search for information and utilize information through radio, such as chrome books, to support the use of school library materials along with information media. Sixth, the librarian should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with other teachers to actively develop cooperative classes in the school library, and the librarian proposes to expand the educational scope, focusing on reading club activities and reading experience activities other than regular classes, taking into account the limitations of the educational role. In addition, it is proposed to work hard as an expert in reading education by sharing examples of practice of reading-based classes with fellow librarians and librarians and by operating reading-based study sessions, reading-oriented research sessions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청소년들이 다양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를 충분히 탐색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가 전면 실시되고 있다. 초반에는 자유학기제가 진로탐색을 중점으로 추진하다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학생들이 꿈과 끼를 찾고, 토론·실습 등 학생 참여 형 수업 중심으로 개선하게 되었다. 또한, 진로탐색 활동 등 다양한 체험 활동이 가능하도록 단위학교별로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운영하게 되었다. 이러한 자유학기제의 배경에서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주도적 실행 역량을 키우기 위한 독서의 중요성이 증대되었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융합 사고 함양을 위한 독서기반 교육과정 연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게 되었다. 이런 교육과정의 변화에 맞춰 독서기반시설이 갖추어져 있으며 독서교육이 제대로 실현될 수 있는 학교도서관의 역할이 중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의 요구에 맞춰 학교도서관이 최대한 어떻게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학교도서관을 학교교육의 중심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는지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경기도 지역 자유학기제와 관련하여 활발하게 운영되는 학교도서관 6곳의 사서·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자유학기제와 관련한 학교도서관 운영의 성공사례와, 운영 시 제약 및 문제점, 전담인력으로서 제안사항 등을 질의 하였다. 이를 통한 시사점으로 학교도서관에서 자유학기제와 관련한 많은 동아리 활동 및 행사, 창의체험 활동 등이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 방과 후에 이루어지는 선택 활동이다 보니 좋은 수업과 프로그램이라도 일회성으로 끝나고 연계되어 전개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적절한 시수부여와 체계적인 프로그램 설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두 번째로 학교도서관 실제사례 분석을 위해 최근 자유학기제에 맞추어 공간구성을 개선한 경기도 지역 호평중학교 공간구성을 분석 하였고, 수업사례 연구를 위해 공주 중학교와 남양주 별가람 중학교 실제 수업사례와 경기도 지역 학교도서관 사서·사서교사 학습동아리가 개발하고 실시한 창의체험활동을 분석 하였다. 이를 통한 시사점은 공간적인 측면으로 자유학기제 특성에 맞춘 공간의 확보와 환경 구성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수업 측면으로는 자유학기제에서 교과 융합수업을 강조하는 만큼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타 교과와의 연계·협력수업과 더불어 학교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진로탐색 활동, 창의체험활동을 개발하고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세 번째로 가장 최근 자유학기제 기간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경험이 있는 경기도 지역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유학기제와 관련하여 학교도서관을 활발하게 이용하는 경기도 지역 중학교 학교도서관 6곳의 1학년 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의 지원 및 역할을 알아보고, 자유학기제 지원을 위한 도서관 공간구성, 연계·협력수업, 정보센터로서의 역할, 사서교사의 역할 등을 전반적으로 고찰 하였다. 수립된 설문자료는 SPSS ver.21.0을 통해 분석하였고, 구체적인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교차검증 및 카이스퀘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시사점은 공간구성면에서 자유학기제 특성에 맞춘 세부적 기능을 고려한 구성과 환경 조성의 필요성, 학교도서관 연계·협력수업의 확대와 정보매체를 활용한 정보 활용 수업을 위한 기반 마련, 학교도서관에서의 수업과 다양한 활동들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사서·사서교사의 적극적인 역할 인식과 역량강화의 필요성이다. 네 번째로 자유학기제 기간 학교도서관 이용 후 인식변화를 연구하였다. 방법은 학생들의 이용만족도 조사와 동일한 설문조사 방법과 내용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한 시사점은 자유학기제 지원을 위한 학교도서관의 노력으로 이용 후 학생들의 인식변화는 긍정적이었다. 다만 약간 높아진 수치의 변화로 좀 더 적극적으로 학생들을 학교도서관으로 이끌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위의 심층연구와 설문연구를 종합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경험 확대 및 필요성 인식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을 활용하는 수업의 비중을 높여 학생들이 과제 및 문제해결을 위해 학교도서관에서 책을 찾고 정보탐색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학교도서관 의존율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둘째, 자유학기제를 위한 학교도서관의 공간 구성에 있어 자유학기제 특성에 맞춘 세부적인 기능을 고려한 구성과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셋째, 자유학기제 시행으로 단위학교별 유연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이 가능해짐에 따라 교육과정과 연계한 타 교과와의 통합·융합 독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사서교사의 단독수업 시수확보와 학교도서관에서의 연계·협력수업을 적극적으로 편성하길 제안한다. 넷째, 자유학기제는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학생 참여·활동 형 수업을 강화하고 있는 만큼 학교도서관 사서·사서교사는 진로 및 자유학기 연계 독서기반 프로젝트 활동들을 기획 운영하고, 다양한 진로탐색 및 창의적 체험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길 제안한다. 다섯째, 학교도서관의 단체 수업 공간에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크롬북과 같이 무선으로 정보검색과 정보 활용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정보매체를 학생 수대로 충분히 마련하여, 정보매체와 함께 학교도서관 자료도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길 제안한다. 여섯째, 사서교사는 다른 교과교사와의 협력 체제를 구축 하여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을 좀 더 적극적으로 전개해 나가야 하며, 사서는 교육적 역할의 한계를 고려하여 정규수업 외 독서동아리 활동 및 독서체험활동을 중심으로 교육적 영역을 확대해 나가길 제안한다. 더불어 동료사서·사서교사와 독서기반 수업 실천 사례들을 서로 공유하고 독서교육 연수, 독서중심 연구회 및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운영함으로써 독서교육의 전문가로서의 역량 강화 힘쓰길 제안한다.

      • 공공도서관 사서의 저작권 인식에 관한 연구

        이수진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375

        The library that is collecting and offering a work can't help considering one's copyright as well because the issue of the copyright is brought up in our society today. Therefore, a librarian need to get the knowledge of the copyright a lot and pay an attention for that at the same time. The study investigates various theories related to the copyright and the copyright law, referring to sundry records and suggests the method of the heightening about that, researching the levels of the librarian' recognition about the copyright in the public library through a survey.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of the survey. 1. Many librarians have the high level of the recognition related to the copyright law, while don't know the revision of the law. 2. They recognize the term of protection and the utility related to the work, but not exactly because most of them he term and the utility in response. 3. They have the high level of recognition about a reproduction of the work or event that they use in the library, while they have the low level of compensation related to the means and procedure of the compensation about the copyright. 4. Most of them have a little experience of education related to the copyright, and agree on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the librarian and citizen. The study proposes four solutions. 1. Need to offer the education of the copyright for students in literature-information. 2. Must extend the education of copyright in the practicing of the librarian and various training. 3. Must teach the librarian the regulations related to reproduction of the work and announce them the system of the compensation for the copyright. 4. Need to publish the special books of copyright for librarian 5. Need to make the books of explanation about copyright that the librarian can get it easy. 오늘날의 지식정보사회에서 지식과 정보가 대량생산되고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지식과 정보가 대량생산될수록 그에 대한 보호와 분배에 대한 저작권 문제가 국제적으로나 국내에서나 점점 중요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게 사회적으로 저작권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현재, 저작물을 수집?제공하는 도서관 역시 저작권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도서관 사서 역시 저작권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야 하며, 정보관리자로서 지역사회의 다양한 이용자에게 합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저작권법에 관한 지식을 두루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저작권 지식을 갖추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서들이 저작권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실증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저작권과 저작권법에 대한 제반 이론을 고찰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공공도서관 사서의 저작권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서울시 교육청 산하 도서관 사서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작권법에 대해서는 높은 인식 정도를 보인 데 반해 저작권법이 개정된 것을 모르는 사서가 의외로 많았다. 둘째, 저작물의 이용과 보호기간에 대해서는 들어본 적이 있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아 이에 대한 인식은 하고 있지만 정확히 알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서관 관련 저작권법에 대한 인식 정도를 살펴보면 이용자의 저작물 복제나 저작물을 이용한 도서관 행사 등에 대한 인식도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저작권 관련 보상금의 지급방법 및 절차 등 보상금 지급에 관한 인식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저작권 관련 교육경험이 적은 것을 알 수 있고, 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저작권 교육의 필요하다는 점에는 많은 사사들이 동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위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사서의 저작권 인식을 제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정보학과 정규 교육과정에서 저작권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사서 실무 연수와 기타 다양한 연수 과정에서도 저작권에 관한 교육을 확대하여야 한다. 셋째, ‘도서관 등에서의 복제’ 관련 규정과 도서관에 적용되고 있는 ‘보상금제도’에 대하여 사서가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하여야 한다. 넷째, 사서를 위하여 저작권 관련 전문 서적을 개발하여야 한다. 다섯째, 사서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저작권법 해설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