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대학원 전문형 석사학위과정으로서의 한국어교육학 전공 개설 방안 연구

        YI JING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839

        This paper aims to propose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master's degree progra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with the goal of enhancing their professional competence.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n 1992,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demand for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both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due to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However, the current availability of master's degree programs for training Korean language teachers in China is still at an early stage, and there is a lack of academic discourse on this subject. Therefore,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establish a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system within China to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educate teachers who can specializ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determine the necessary competencies for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this study identifies the essential competencies required, including language proficiency and cultural understanding competence, pedagogical knowledge competence, and teaching competence. It also recognizes that these competencies are influenced by various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within the diverse Korean language education settings in China.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study conducts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surveys among 31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are currently working or have worked in variou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in China, including universities, overseas education institutes, international high schools, general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private Korean language academies, to investigate their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competence for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eir demands for a teacher training master's degree program. Additionall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hiring managers from five different Chinese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universities, overseas education institutes, international high schools, online & offline private Korean language academies, which employ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purpose was to explore the competencies that are prioritized during the hiring process and the actual job responsibilities and challenges faced by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Based on the proposed competency framework for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study sets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program as follows: "To cultivate professionals who possess not only language proficiency and cultural understanding competence but also pedagogical knowledge competence and teaching competence necessar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The program is structured into three main components: Subject Learning, Teaching Practice and Thesis/Report Submission. Although this study has limitations, such as the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the proposed competency framework for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e relatively small sample size of the survey and interview participants, it is significant in proposing a framework for the competencies of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suggesting the establishment of a master's degree progra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catalyst for further in-depth research on the competence framework of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for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s for both non-native and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future, contributing to the professional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in China.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교사의 역량 개발을 위한 중국 대학원 전문형 석사학위과정으로서의 한국어교육학 전공 개설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1992년 중·한 수교 이후로부터 중국에서 한국어교육의 도약적인 발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중국인 한국어 교사에 대한 수요도 양적·질적으로 상당히 높아졌다. 하지만 현재 중국 내 한국어 교사 양성 석사학위과정의 개설은 아직 출발 단계에 있음에 불과하며 이에 대한 학술적 논의도 매우 드물다. 이에 본고는 한국어교육학 관련 학문을 체계적으로 깊이 배우고 중국에서 한국어교육을 전문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 중국 내의 한국어 교사 양성 시스템 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중국 현지의 다양한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한국어 교수 활동에 종사하는 중국인 한국어 교사 대상의 양성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로서 필요한 역량은 언어 능력 및 문화 이해 역량, 교수학적 내용 지식 역량, 교수 능력 역량으로 이루어지며, 이와 동시에 여러 외적·내적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중국 내 다양한 한국어교육 현장 속에 한국어를 가르치는 중국인 한국어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 대학원 전문형 석사학위과정으로서의 '한어국제교육' 전공과 학술형 석사학위과정에서의 '한국어교육학'을 대상으로 자료 조사, 수강생 인터뷰를 통해 기존 석사학위 교육과정의 기본 윤곽을 파악하였고, 교육과정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지향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4년제 본과대학 한국어학과, 3년제 전문대학 한국어학과, 대학 해외교육원, 국제 중고등학교, 일반 초중고등학교, 사설 한국어학원 등 다양한 유형의 중국 현지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거나 근무한 적이 있는 중국인 한국어 교사 3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이들이 중국인 한국어 교사 역량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또한 교사 양성 석사학위과정 개발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였다. 또 한편으로, 중국인 한국어 교사를 채용하는 중국 현지 교육기관 가운데 4년제 본과대학 한국어학과, 대학 해외교육원, 국제 고등학교, 온라인 사설 한국어기관, 오프라인 사설 한국어기관 총 5개의 교육기관 채용 담당자와 인터뷰를 함으로써 실제 채용 과정에서 중점으로 보는 중국인 한국어 교사의 역량, 또한 중국인 한국어 교사의 실제 업무 내용 및 겪는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앞서 제시한 중국인 한국어 교사 역량 체계에 따라, 본고는 '중국 내 한국어교육에서 필요한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언어 능력과 문화 이해 능력뿐만 아니라 교사로서 알아야 할 한국어교육 교수학적 내용 지식, 한국어 교수 능력을 기른다'는 것을 교육과정의 교육목표로 설정하였다. 인재 양성 시스템은 크게 '과목 학습', '교육 실천', '학위논문/보고서 제출'로 구성하였다. '과목 학습'에 있어 언어 능력 및 문화 이해 역량을 지향하는 '한국어 언어문화 과목', 교수학적 내용 지식 역량과 교수 능력 역량을 지향하는 '한국어교육 핵심 과목', 중국인 한국어 교사 역량을 통합적으로 심화시키는 '한국어교육 실천 과목'이 포함되도록 하였으며 '교육 실천'에 있어 '수업 참관'과 '현장 실습'을 설계하였다. 본고는 중국인 한국어 교사의 역량은 분명히 원어민 한국어 교사와 달리할 필요성을 인식하여 이들의 역량 체계 구성 영역을 새로 조명하였으며 이에 기반한 양질의 중국인 한국어 교사 양성을 위해 중국 대학원 전문형 석사학위과정으로서의 '한국어교육학' 전공 개설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고가 제기한 중국인 한국어 교사의 역량 체계 구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없어 이런 역량 체계 설정의 타당성이 검증되지 못하였다는 점, 또한 현황 조사와 요구조사에서 다루어지는 기존 교육과정, 조사 참여자 수가 적어서 이로부터 얻은 결과는 일반성이 부족하다는 점, 제시한 교육과정 개발 방안의 효과와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를 계기로 앞으로도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중국인 한국어 교사의 역량 체계와, 이에 기반한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교육, 중국인 한국어 교사 교육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며 중국 내의 한국어 교사 교육도 나날이 점차 전문화·체계화되기를 기대한다.

      • 시 번역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 고급 영어권 학습자를 중심으로

        조규택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는 고급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 시에 나타난 어휘·표현을 효과적으로 교수할 수 있도록 번역을 활용한다. 한국 현대시의 번역이 적용된 한국어 수업의 구체적인 실례를 제공하기 위해 교수·학습 지도안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현대시 번역을 활용한 수업을 통해 학습자의 읽기·쓰기 능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고 있다. 1장의 연구 목적 및 필요성에서는 고급 수준의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번역을 활용하여 현대 전쟁시에 나타난 어휘 및 표현을 교수할 수 있는 교육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했다. 번역은 두 언어 간의 구조적인 차이를 조정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수준 높은 언어 지식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학습자들은 번역을 통해 정확도 높은 문법적 능력을 향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언어가 사용되는 그 사회의 문화적 맥락을 해석하는 능력도 기를 수 있게 된다. 2장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 문학교육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는 그간 한국어교육이 언어적인 측면의 편중에서 문학교육을 통한 한국어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학 영역 중에서 시 번역을 활용하여 한국어를 습득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하며, 동시에 한국문화를 습득하는 학습 번역을 이론적 배경으로 두고 있음을 밝혔다. 3장에서는 번역 재료이자 수업의 핵심 자료가 되는 한국의 전쟁시, 모윤숙의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와 조지훈의 「다부원(多富院)에서」의 내용적·형식적 특성을 세밀히 분석했다. 시의 간결성과 은유와 상징이 그 언어와 문화를 가장 압축적으로 대변하듯, 본 연구에서 언급한 두 편의 한국 전쟁시도 그런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4장에서는 한국 전쟁시 두 편을 영어로 번역하고 국립국어원의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2010)을 기준으로 교육용 어휘·표현 목록을 제작하였다. 이와 같은 활동은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에 매우 유익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으며, 한국어 학습의 효용성을 배가할 수 있다고 본다. 특히 학습자는 일상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문어체를 통해 고급의 한국어로 자신의 글쓰기에서 학습자의 의도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읽고 쓰고 말하고 듣는 일련의 종합적인 한국어 습득 능력이 궁극적으로 한국어 학습과 교육의 최종 목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5장에서는 3, 4장을 바탕으로 번역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구체적인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수업에서 외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차시별 학습 방안에서 언급한 교과를 운영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은 한국의 현대시를 통해 언어와 문학적 소양을 쌓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분단에 대한 현실의 문제도 이해하게 된다. 본 연구는 시라는 문학을 통해, 정제되고 고급스러운 어휘와 표현으로 높은 수준의 문법적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문학 작품을 학습자 모어로 번역하고 수업 자료로 제공하였다. 나아가 정제된 한국어 어휘 및 표현을 교수하였다는 점, 기능 연계 교육의 일환으로 영시를 번역 재료로 삼아 한국어로 번역하는 활동을 하여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수업에서 번역을 활용할 시 교수자에게 전가되는 부담이 크다는 점, 그리고 영시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활동에서 효과적인 기능 통합 교육이 될 수 있도록 정교하게 교육방안을 수립하지 못한 점은 한계로 남는다. 이 영역은 차후 연구를 통해 보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utilize translations of Korean poetry in teaching native English-speakers advanced Korean vocabulary and expressions. The pla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s designed to provide specific examples in the Korean class in which the translation of modern poetry was applied. The aim of the study is to improve the reading and writing skills of the learners' through a focus on the translation of modern Korean poetry. This study is comprised of the following contents. Chapter 1 outlines the aim of the study and suggests the plan of education that in the manner of translation, contributes to provide native English-speakers with advanced Korean vocabulary and expressions appeared on the modern war poetry. In addition, these learners who come up with a way of translation could enhance their own ability to understand cultural context of the society where the Korean language is used, as well as improve grammatical ability with high accuracy. Chapter 2 examines that litera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employed for a method of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Given that an excessive emphasis on linguistic element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it is significant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on the basis of literature education is now required. Accordingly, it is clarified that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learn and acquire Korean language, based on poetry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but to provide theoretical background in which the Korean culture can be achieved through the translation. Chapter 3 scrutinizes the contents, formality, and characteristics of two war poems: Moh, Yoon-sook's “What a Fallen Soldier Says” and Jho, Ji-hoon's “In the Dabuw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two Korean War poems performed well with a sensational description for the reason that concentrations, metaphors, and symbols of the poems represent the language and culture, with a high-density. Chapter 4 details that the two Korean War poems were translated into English and educational lists of vocabulary and expression were p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Standard Model for International Korean Education(2010)”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These informative basic data can encourage learners to develop their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nd the efficiency of learning Korean can be doubled. In particular, learners can be able to express their own intention and purpose in their writing, equipped with an advanced level of Korean, which can be attained through written language unusual in daily lives. Chapter 5 introduces a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the use of translation in teaching Korean language. This enables foreign learners to complete curriculum and learning model in the real classes. Learners can be able to cultivate language and literary knowledge by studying modern poetry of Korea and further, can penetrate actual issue or problem that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has gone through. This study through poetry could provide learners with class materials whose literary works were translated into learners' mother tongue, which can develop a high level of grammatical ability with refined and advanced vocabulary and expressions. Furthermore, it is significant to note that this study designed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plan that affords learners to enhance their communication skills, with a translation technique of English poetry into Korean.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When the translation method will be performed in the class, the instructor could have some burden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English poetry into Korean, due to a lack of elaborate source of teching plan, achieving an efficient and functional integrated education is restricted. These should be investigated and discussed further, with follow-up studies.

      • 국어의식의 향상을 위한 국어교육의 방안에 관한 연구

        김시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 현상의 이면에 있는 국어의식을 이론적으로 정립하고 국어교육적 향상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밝히기 위해 국어의식의 이론은 철학, 심리학, 사회과학 등의 의식 이론을 다학문적으로 접근하여 국어의식의 구조, 구성요소, 개념, 형성 과정, 기능을 밝혔고 국어교육적 향상 방안은 국어의식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내용과 방법을 마련하였다. 국어의식은 그 의식적 성격에 따라 인지적(認知的) 요소, 정의적(情誼的) 요소, 의향적(意向的) 요소로 구분된다. 국어의식의 인지적 요소는 국어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국어가 무엇이다’ 또는 ‘국어가 무엇이라고 생각한다’라고 표현될 수 있는 개념적 정보와 국어와 인식하는 주체인 ‘나(self)’와의 관계에 대한 견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정서적 요소는 ‘국어의 인식에 수반되는 감정’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감정이란 대상에 대한 느낌과 호(好) · 불호(不好)의 평가를 포함하는 정의적 판단이다. 마지막으로 의향적 요소는 ‘국어에 대한 행위의 의향’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의향이라는 범주로 설정한 의식의 요소는 의지와 방향성을 모두 포함한다. 국어의식의 교육은 국어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라는 관점에서 접근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국어의식 교육의 내용은 심도 깊은 국어인식을 위한 내용, 국어의 심미성과 정서의 함양을 위한 내용, 국어 사용의 실현 방식이나 원리 습득을 위한 내용, 국어공동체의 발전상과 당면 상황의 이해를 위한 내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국어의식 교육은 방법은 4단계의 교수 ․ 학습 모형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모형은 국어 개선 행위의 실천을 목표로 하여 ‘국어 개선 상황의 민감도 부여’, ‘국어 개선 상황의 방안 마련 및 공유’, ‘국어 개선의 의지 형성’, ‘국어 개선 행위의 강화’라는 절차로 진행될 수 있다.

      • 교수학적 내용 지식 기반 성찰적 글쓰기 교육 연구

        양세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91

        성찰적 글쓰기는 작문 전략의 학습을 강조하는 작문 교육의 경향 속에서 교육 현장과 학계의 관심 밖으로 밀려나있었다. 이러한 환경은 성찰적 글쓰기 교육을 내용 없는 형식과 의의만 남은 수업으로 만들었다. 이에 본 연구는 문제의 대안을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서 찾았다. 본 연구는 성찰적 글쓰기 교육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적용 방안 탐색하고,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성찰적 글쓰기 교육에 적용 양상 확인을 목적으로 한다. 교수학적 내용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은 미국의 교육학자 Shulman이 처음 제안한 개념이다. 교수학적 내용 지식은 교사만이 가지는 전문 지식으로, 교사가 가지고 있는 교과 내용 지식, 일반 교수 지식, 학습자 지식, 교육 맥락 지식 등의 교사 지식을 수업으로 변환시키는 지식을 말한다. 본 연구는 Shulman이 처음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개념을 제시한 이래 제시된 여러 교육학자들의 후속 연구를 통해 제시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구성 요소와 제반 요소들을 통해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특수성을 살폈다. 교사의 인지에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이 작용하는 과정은 Shulman의 ‘교수학적 추론’과 Chevallard의 ‘교수 변환’을 통해 파악하였다. 교수학적 추론의 과정은 ‘이해’, ‘변환’, ‘교수’, ‘평가’, ‘반성’, ‘새로운 이해’의 여섯 단계의 순환적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국어교육에서의 성찰의 개념은 주체인 ‘나’와 다른 대상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의미의 상호 교섭 행위이다. 성찰의 다른 대상은 외부의 대상뿐만이 아닌 내부의 자신도 포함이 된다. 국어과 교육과정은 성찰적 글쓰기를 ‘친교·정서 표현’의 하위 유형으로 구성한다. ‘친교·정서 표현’은 자기 표현적 글쓰기(expressive writing)에 기반한 분류로, ‘자기 표현’의 의미를 고려할 때 성찰적 글쓰기가 국어과의 표현적 글쓰기의 중심 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교수학적 내용 지식은 명시적인 지식을 다루는 수학, 과학 등의 타 교과에서는 활발히 연구되는 영역이지만 국어과는 명시적인 지식보다는 활동 중심의 교과라는 이유에서 그렇지 못했다. 적지만 국어과에서 다루어진 국어과 교수학적 내용 지식 연구들을 통해 국어과와 작문 영역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확인하였다. 내용 표상(Content Representation; CoRe)은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쉽게 표상하기 위해 개발된 교수학적 내용 지식 표현 도구이다. 기존 과학과 수업 설계에 이용되던 내용 표상에 교사의 수업에 대한 지향의 내용이 더하여 국어과 수업을 설계할 수 있도록 개량된 국어과 내용 표상을 통해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기반한 국어과 수업 설계가 가능하다. 본 연구는 성찰적 글쓰기 교육에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기반으로 한 내용 표상 수업 설계를 적용하여, 수업 설계의 양상을 확인하고 수업 설계의 과정에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포착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인 교사들을 수업 설계에 사용하는 교수 설계 방법을 내용 표상 설계와 일반 교수 설계로 나누어 성찰적 글쓰기 수업 지도안을 시범적으로 구성하도록 하였다. 지도안 구성 후에는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수업 구성에서의 교사의 인지와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확인하였다. 일반 교수 설계를 이용한 교사들의 수업은 교과서에 높은 비중으로 의존하는 성찰적 글쓰기 수업 구성을 보였다. 내용 표상 설계를 통해 수업을 설계한 교사들의 수업은 학생 주도의 글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수업이 구성되는 모습을 보였다. 두 수업이 다른 양상을 보인 것은 정의적 요인이 중시되는 성찰적 글쓰기 교육의 특성에 의한 영향과 수업에 대한 교사의 지향점을 명시적으로 설정하였는가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 국어과에서의 미디어 문식성 교육 연구

        이재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91

        우리의 언어생활은 날로 발전하는 미디어로 인해 큰 변화를 맞고 있다. 국어교육의 목적을 언어사용 능력의 신장이라고 보았을 때, 이미 미디어에 대한 교육을 국어과에서 중추적으로 담당해야만 하는 분명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 국어교육 현실에서 미디어 문식성에 대한 교육은 그리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미디어 문식성도 국어과에서 달성해야 할 거시적 의미의 문식성 안에 자리잡고 있지만, 국어과에서 달성해야 할 문식성이 과연 어떤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아직도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문식성 개념을 전통적 관점, 인지주의적 관점,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살펴본 후, 국어교육에서는 궁극적으로 비판적 문식성을 다루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접근하여야만 국어과에서의 미디어 문식성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최근 국어교육학계에서 새로운 언어기능으로 논의되고 있는 '보기'영역의 설정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그러나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미디어는 사회·문화·정치적인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간과한다면 미디어 문식성 교육이 자칫 미디어를 '활용'하는 수준의 기능적 문식성 교육으로 그 범위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와 권력 관계에 주목한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을 국어교육적으로 활용해 보았다. 이성을 지닌 주체들의 합리적이고 적극적인 의사소통 공간으로서의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은 비판적 문식성 교육을 위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공론장은 권역의 크기에 따라 미시적 공론장, 중범위적 공론장, 거시적 공론장으로 분화되는데, 이는 약간의 위계성을 띠고 있으나 단순한 선조적 관계가 아닌, 상호 유기적으로 교통하는 관계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바로 이러한 각 공론장을 국어교육적 관점에서 학습자의 언어발달단계에 따라 각기 다르게 적용하여 문식성 발달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주로 미디어를 '활용'하는 차원에서 논의되던 국어과에서의 미디어 문식성 교육에 관련한 연구에서 더 나아가, 미디어 문식성 교육을 통해 비판적 문식성을 기르기 위한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 본 논문은 2004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ere are many changes in our language life because of media that is developing day by day. If we said that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he extension of using language ability, it would be clear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take charge of education about media. But we don't make importance of dealing with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e reality of our Korean education until now. Although media literacy take part in the microscopic meaning of literacy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achieve, there are severe discussion that is still on progress about literacy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achieve. According to this, this study look about the concept of literacy in the traditional viewpoint, recognition viewpoint, and sociocultural viewpoint, and emphasize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deal with critical literacy finality. Because the positive investigation about literacy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possible when we approach in this point. So there are reference about the necessity of setting up the class of 'viewing' that is on discussion for new language ability in the academic circ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it is true that media in the capitalism have special social·cultural·political meaning. So if we passed over the deep understanding about this, it would be possible that the scop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would shrink to the level of functional literacy education which just 'utilize' the media. So in this study, I used the public sphere concept of Habermas that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authority in the viewpoi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ublic sphere concept of Habermas for rational and positive communication space between reasonal subjects suggests many things for critical literacy education. This public spheres are divided into micro·meso·macro public spheres according to the size of scope. It is a little hierarchical, but it is not linear relationship but mutual co-operational communication relationship. So in this study, it emphasizes that we can make literacy development to the greatest, applying these public spher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earners' language development stage in the viewpoi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have meaning over the past study about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e par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mainly discuss about the 'utilize' media, and it makes theoretical foundation to improve critical literacy through the media literacy education.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04.

      • 중등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원리 및 전략에 관한 연구

        오은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의 중점을 제시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개발 원리와 전략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어 교육과 디지털 교과서에 대해 충분히 탐색한 후, 각의 범주에서 요소를 도출하여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원리와 전략을 개발하였다. 2007년, 교육과학기술부는 과학·영어 디지털 교과서를 2013년에 개발하고, 2014년부터 상용화시키겠다는 ‘디지털 교과서 상용화 추진 방안’을 발표하였고, 디지털 교과서 개발 인력 구성원 중 70%가 교과 전공자여야 함을 명시하였다. 이는 곧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과 상용화가 더 이상 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더하여 교육과학기술부와 KERIS(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2008년부터 실시한 ‘디지털 교과서 효과성 연구’에 따르면 과학 디지털 교과서와 사회 디지털 교과서에 비해 국어 디지털 교과서의 사용 효과가 낮게 나왔다. 이를 종합해 볼 때,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국어 전문가의 깊이 있는 연구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임을 알 수 있다. Ⅰ장에서는 디지털 교과서, 교과별 디지털 교과서,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각각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시적·공시적으로 분석하여 학계의 연구 동향 및 특징을 파악하였다. 그 이유는 현재 디지털 교과서의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은 있어왔으나 교과별 디지털 교과서나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물은 없는 실정이다. 선행 연구의 동향에 대한 탐색은 현재 연구의 상태를 점검하고, 진일보한 연구를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교과별·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연구의 현 상태를 점검하고, 후속 연구의 디딤돌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국어과의 성격과 목표에 기반하여 디지털 사회(정보화 사회)에서 일어나는 의사소통 방식의 변화를 커뮤니케이션학 측면에서 살펴보고, 그것이 텍스트의 개념 확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텍스트학 측면에서 논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회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인간의 사고방식의 전환을 가져왔다. 연구자는 이를 디지털적 사고라 명명하고 이해·표현의 통합적 사고 기능 체계와 접합하고자 하였다. 그것을 기준으로 2011 중등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를 영역 통합적 사고 유형으로 분류하고 디지털적 사고에 기반한 교육과정 내용 성취 기준을 분석함으로써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을 위한 국어교육학적 요소를 선정하였다. Ⅲ장에서는 서책형 교과서와 비교되는 디지털 교과서의 특징을 멀티미디어적 측면과 하이퍼미디어적 측면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앞서 분석된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이 시범 개발된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에 얼마나 반영·개발되었는지를 분석해 보고 그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그 후 Ⅱ장의 논의와 종합하여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이론적 기저를 탐색하고 개발의 두 축을 설정하였다. Ⅳ장에서는 앞 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의 중점을 제시하였고, 중점을 기준으로 2011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를 재구조화하여 1차적으로 원리 및 전략을 도출한 뒤, 전문가 타당화 검증을 실시하였다. 전문가들의 평점과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원리 및 전략을 설정하고 그에 따르는 구체적인 지침을 제시하였다.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원리는 다음과 같고, 모든 원리는 2011 중등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내용 요소를 기반으로 한다. 첫째, ‘텍스트 제시 방식과 내용의 다양화 원리’이다. 이것은 ‘텍스트의 해석적 수용과 비판적 수용’을 중점으로 하여 설정하였다. 따라서 이 원리는 국어 교육의 ‘사실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를 신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풍부성, 다양성, 실제성, 총체성’이라는 특성을 기반으로 도출하였다. 둘째, ‘텍스트의 종류를 고려한 텍스트 생산의 능동화 원리’이다. 이것은 ‘텍스트의 능동적 생산’을 중점으로 하여 설정하였다. 따라서 이 원리는 국어 교육의 ‘추론적 사고’를 신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역동성, 조작성’이라는 특징을 기반으로 도출하였다. 셋째, ‘주제, 목적, 상대를 고려한 자기 점검 활동의 원리’이다. 이것은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조정’을 중점으로 하여 설정하였다. 따라서 이 원리는 국어 교육의 ‘초인지적 사고’를 신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비선형성, 탈맥락성’이라는 특징을 기반으로 도출하였다. 넷째, ‘학습자 상호작용 활동 부여의 원리’이다. 이것은 ‘세상과의 주체적 소통’을 중점으로 하여 설정하였다. 따라서 이 원리는 국어 교육의 ‘소통적 사고’를 신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쌍방향성성, 공유 가능성’라는 특징을 기반으로 도출하였다. 현재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는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를 바탕으로 기술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개발되고 있는 수준이다. 이에 연구자는 국어 교과의 특성을 살린 디지털 교과서 개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어 교과와 디지털 교과서의 이론적·실제적 연관성을 탐색하여 디지털 교과서에서 국어과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였다는 점,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방향과 원리, 전략을 제시하여 국어과의 특성을 살린 디지털 교과서 개발의 지침을 마련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mphasi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Digital Textbooks, and thereby to establish principles and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s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Digital Textbooks, and then develops the principles and strategies of Digital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factors from the respective categories. In 2007,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MEST) announced "A Plan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Digital Textbooks", which addresses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digital textbooks in the subject of Science and English from 2014, and regulates 70% of the developers should be a specialist for the subject. This indicates that in the near future the development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Korean Language would set to work. Moreover, according to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Digital Textbooks" undertaken by MEST and KERIS since 2008, the efficiency of Korean Language digital textbook appears to be lower than that of Science or Social Study. A series of the movements above shows the necessity of the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on Korean Language and further of a in-depth study on it performed by the Korean Language majors. In the section Ⅰ, I analyze the academic research trend and characteristics by searching both in synchronically and daschronically for the preceding researches on Digital Textbooks, Digital Textbooks by each subjects, and Digital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respectively. However, there have currently been analyses of the research trend just on Digital Textbooks, not on Digital Textbooks by each subjects or Digital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Reviewing the preceding researches should be helpful to check out the current status on the subject and to gain a foothold to improve the researches. In this section, therefore, I intend to check out the current status of the researches on Digital Textbooks by each subject and in Korean Language, and thereby to establish a foothold to the succeeding researches. In the section Ⅱ, I examine the changes of the way of communication in digital society in terms of communicolog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of Korean Language, and then discuss the effects the changes has on the conceptual extension of text in terms of textwissenschaft. The digital literacy in digital society, including these changes, brings about the conversion of human thoughts. The researchers designated it as Digitalized Thinking, and have been in pursuit of integrating it into the system of comprehensive thinking on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I hereby, based on the system, classify the contents system of 2011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secondary school as a type of area-integrating thinking, and analyze the standard of the curriculum achievement based on the digitalized thinking, which establis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factors for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In the section Ⅲ, I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books, by comparing with the printed ones, in perspective of multimedia and hypermedia, and then compar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with the trial version of the digital textbooks in practice, and confirm the differences and the problems. Afterward, by integrating with the discussion performed in the prior section I, I research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Digital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and set up the 2 pillar for the development. In the section Ⅳ, based on the prior sections, I suggest the emphasi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Digital Textbooks, and draw primary principles and strategies by restructuring the contents factors of 2011 Korean Language curriculum accorging to the emphasis, and then carry out the expert validity analysis. By reflecting the expert grades and discussions, I set up the ultimate principles and strategies and suggest the detailed guidance accordingly. The development principles of the digital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is as below, which are based on the content system and factors of 2011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secondary school. Firstly, a principle of diversity in the way of text presentation and contents. This principle follows the emphasis on the interpretive and critical accept of a text. It intends to improve the realistic thoughts and the critical thoughts, which is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scs of affluence, diversity, reality and totality in the digital textbook. Secondly, a principle of activeness in text production considering a variety of a text. This principle follows the emphasis on the active production of a text. It intends to improve the inferential thoughts, which is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scs of dynamism and manipulation. Thirdly, a principle of self-directed checkout and appreciation considering topics, objectives and counterparts. This principle follows the emphasis on the learners' self-directed arrangement. It intends to improve the metacognitive thoughts, which is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scs of de-context and non-linear. Finally, a principle of authorizing the activity of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s. This principle follows the emphasis on the indipendant communication with the society. It intend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al thoughts, which is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scs of interactivity and sharability. At the moment, the level of the development in the Korean Language's digital textbooks is nothing but applying the technical factors into the existing printed textbook. To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researchers realized the necessity of the study on developing digital textbooks compatible with the characteristisc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n have kept making continuous progress. This study, therefore, has an implication on establishing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Language in the digital textbooks by searching for the theoretic and practical connectivity, as well as setting up the guidance on developing the digital textbooks compatible with the characteristisc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by suggesting the direction, principles and strategie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s digital textbooks.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방문지도사의 한국어교육 실태 연구

        정효정 진주교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75

        이 연구는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의 방문지도사를 대상으로 한국어교육실태를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하여 방문지도사의 교육현황과 다문화 학습자의 학습적 환경요인에 따른 한국어교육서비스의 개선과 방문지도사의 한국어교육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창원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종사하는 방문지도사 1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본 연구의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한국어교육실태 조사를 통하여 교육 현황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여성결혼이민자들로 구성된 다문화 학습자들의 학습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문지도사의 한국어교육 실태조사를 위하여 한국어교육 현황에 대한 도구 측정으로 모두 8문항을 설문 조사하였는데, 선행연구 Hackman & Oldham(1980)이 분류한 교육의 중요성(significance), 수업 기능의 다양성(variety), 수업의 정체성 (identify) 등의 세 가지 차원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다문화 학습자의 학습요인으로는 학습자의 개인 요인에 대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하였다. 다문화 학습자의 교육수준과 한국어 수업 참여 횟수, 그리고 수업 참여도가 한국어 실력 향상에 영향력을 크게 미치는 만큼 본 연구를 위해 실시한 설문지에서 다문화 학습자의 기초학력을 한국어 수업 영향력 요인으로 정하 였다. 다음으로 수업 참여 횟수에 대한 필요성이 방문지도사와 다문화 학습자에게 모두 요구되기에 수업 횟수를 학습자의 요인으로 정하였다. 또, 설문지의 다문화 학습자의 수업 이해도 및 방문지도사와의 원만한 의사소통 연계가 한국어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의지와 언어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다문화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 요인으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한국어 방문지도사의 교육 현황에서 교육의 중요성과 수업의 다양성 및 수업의 정체성은 한국어교육서비스 개선방안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결혼이민자인 다문화 학습자의 학습요인으로 작용한 학습자의 학 력과 한국어 수업 횟수, 다문화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에 따라 한국어교육서비스의 개선방안 인식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총체적인 결과인 방문지도사의 교육 현황인 교육의 중요성, 수업의 다양성, 수업의 정체성이 한국어교육서비스 개선방안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학습자의 학력 영향력이 매개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그러나 다문화 학습자의 수업횟수는 방문지도사가 진행하는 수업의 다양성과는 무관하였다. 다문화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도 방문지도사가 진행하는 한국어교육의 정체성에는 한국어교육서비스 개선방안 인식에 매개요인으로 작용 되지 못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학습자는 한국어교육에 대해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생활 중심의 이해력을 요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어휘적 연어의 형성 원리에 대한 국어교육적 연구 : 가전제품 관련 어휘적 연어를 중심으로

        정은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어휘적 연어가 언어 인식과 탐구를 위한 국어교육 내용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보고, 어휘적 연어의 형성 원리를 중심으로 연어 교육의 방법을 제안하였다. 일상 언어의 일부인 연어는 모국어 사용자에게 늘상 쓰이지만, 연어의 결합 관계나 의미, 연원에 대해 메타적으로 인식해보면 새삼스러움을 자아내는 표현이 적지 않다. 언중들은 이미 일상 언어생활 속에서 연어에 대한 궁금증을 보이며, 답을 찾고자 스스로 탐구하고 있다. 문법 교육에서는 일상적인 연어 표현에 흥미를 느끼고 ‘말’을 탐구해보는 경험을 국어교육의 장으로 적극적으로 포섭할 필요가 있다. 모국어 학습자에게는 연어를 단순히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왜 그러한 연어가 형성되었는지 사고해보고 답을 찾아나가는 경험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학습자가 연어에 대한 호기심과 의문을 해결하고, 이해를 새로운 대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연어 형성의 원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원리 중심의 연어 교육을 통해 학습자는 언어 표현의 생성에 내재한 언어 운용의 원리를 파악할 수 있으며, 말을 부려 쓰는 인간의 사고를 이해함으로써 언어에 대한 ‘유의미한 지식’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국어의 연어는 한국어 언중의 삶과 문화를 반영하는 경우가 많은바, 어휘적 연어 교육은 국어 문화 교육 내용으로서도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어휘적 연어를 국어교육의 장에서 활용하기 위하여, 새로운 연어가 형성되는 원리를 도출하고, 도출된 원리를 바탕으로 어휘적 연어의 형성 과정을 분석하였다. 특히 삶의 경험과 생활의 문화를 반영하여 해석할 수 있는 연어의 사례로서 가전제품과 관련된 어휘적 연어의 형성에 주목하였다. 우선 2장에서는 연어의 개념을 ‘필연적 이유 없이 관습적으로 굳어져 빈번하게 쓰이는 어휘소의 긴밀한 결합 관계’로 넓게 정의하고, 연어 형성에 주요하게 관여하는 연어의 특성으로 ‘어휘소 간의 선택 관계’, ‘의미의 반투명성’, ‘약한 등재성을 가진 등재소’, ‘특정 문화집단 의존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개념적 은유와 시간적 환유의 원리에 의한 연어의 생성, 유추 및 환유의 원리에 의한 연어의 계열적 확장으로 연어 형성 원리를 도출하였다. 다음 3장에서는 어휘적 연어의 형성 원리를 적용하여, 가전제품 관련 연어가 형성되는 과정을 통시적으로 분석하였다. ‘작동시키다’의 의미로 빈번하게 쓰이는 용언인 ‘틀다’, ‘켜다’, ‘돌리다’가 이루는 연어 목록을 추출하고, 각 서술어를 중심으로 연어의 생성 및 계열적 확장의 과정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라디오를 틀다’, ‘가스레인지를 켜다’, ‘세탁기를 돌리다’ 등의 연어가 생성된 과정과 시기를 확인하여 관련된 연어를 계열적으로 파악하였고, 연어의 형성에 관여하는 환유와 유추의 원리를 구체화하였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어휘적 연어의 형성 원리를 중심으로 국어 연어 교육을 설계하였다. 연어는 일상 언어를 새삼스럽게 바라보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고, 언어와 문화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성을 탐구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이라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초점화된다. 어휘적 연어의 형성 원리 교육을 설계하기 위하여 교육의 목표로서 ‘탐구된 지식의 이해와 전이’를, 교육의 내용으로서 ‘언어 운용의 일반 원리와 연계된 연어 형성의 원리’를, 교육의 방법으로서 ‘문화적 관점에 기반한 연어 형성의 원리 탐구’를 설정하였다. 이어 탐구학습의 세부 활동으로 ‘일상 언어생활에서의 연어 관찰 활동’, ‘연어 형성 과정의 문화적 탐색 활동’, ‘연어 형성 원리의 이해와 적용 활동’을 설정하고, 3장에서 분석된 가전제품 관련 어휘적 연어의 형성을 소재로 삼아 각 활동의 내용을 예시하였다. 본 연구는 어휘적 연어의 형성 원리를 중심으로 연어 교육의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편 본 연구는 국어 연어 연구 자체에도 기여할 수 있다. 기존 연어 연구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연어 형성의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인지 언어학적 관점에서 연어 형성의 원리를 도출하였다. 또한 통시적 관점과 문화적 관점을 적용하여 가전제품 관련 연어의 형성 과정을 규명함으로써 연어의 생성 및 변화가 언중의 삶과 문화에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음을 보였다. 이 연구는 우리 생활에 밀접한 언어 표현이 형성된 과정을 역사적으로 추적한다는 점, 인간의 인지 작용과 관련하여 의미의 생성을 분석한다는 점, 문화와 생활의 역사가 언어의 역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내용은 ‘언중이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를 어떻게 실현하는가?’라는 의문에 대한 하나의 답을 제시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 한·중 고전시가 교육 비교 연구

        JIAN ZITING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he themes of textbooks of native language according to Education Program, Unit targets and learning activities in high school.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about the test questions of classical poetry i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and then trying to explore the more effective education methods of classical poetry. This study analyzes the Education Program, textbooks and the collection situation of classical poetry in both Korea and China, which could contribute to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foreign literary works and native ones when the students learn the foreign literature helping them with the learning and understanding of the foreign literary works. Furthermore, the introduction of the classical poetry in both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iterature may arouse the interest and the desire to study of the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is a meaningful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methodology. Chapter two present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education of classical poetry. There exist many similarities of the educational contents between Korea and China. The two countries both emphasize the talent cultivation in modern society. Specifically speaking, they both focus on the abilities of the native language of the students including the applying ability, expressive abi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omprehensive ability which is because of the similar education idea.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differences on the themes of textbooks, unit targets and learning activities between two countries which are due to the different educational thought and social ideology. For example, the annotations of the texts in Korean literary textbooks are on both sides of the texts but the Chinese ones are beneath the texts. There are more differences on the learning activities between two countries. For example, in the 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literary textbooks, the first question is always about the summary of the content of the poetry but in Chinese ones, there is always the reading, reciting and discussion of the poetry. Among them, the reading and reciting are account for the most. It follows that Chinese students learn the poetry by oral practice but Korean students by summarizing the content in the way of writing. In addition, Korean textbooks are aimed at helping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works and fi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 works. However, Chinese textbooks tend to examine the translation, figures of speech, themes and the authors’ thoughts. Chapter three is to analyze the collection of the classical poetry in both Korean and Chinese textbooks of high school. The works of Korean Age are collected the most in the textbooks named Korean and Literature. It should be noted that most of them belong to Korean verse. However, Tang and Song poetry are collected the most in Chinese textbooks, especially modern poetry and Song poetry. Chapter four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the test questions of classical poetry i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cluding the situation, types, and contents of the test questions. It is found that there exist many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ies. For example, all the test questions in Korea are objective choices items but subjective items in China. As for the contents of the test questions, there are various forms in China, such as filling in the sentences of the poetry and the translation of the poetry. However, Korean textbooks focus on th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he literary works, and estimating if the explanation of the content is correct.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 advantages of education of the classical poetry in both countries could mutually promote and develop together which is a meaningful work.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 Program, textbooks and the test questions of classical poetry i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in high school of both Korea and China, trying to explore the situation, direction and advantages of classical poetry in both countries. This study may provide an inspiration for the further researches on the education of the classical poetry in Korea and China. 이 논문은 한·중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따른 양국 국어과 교과서의 제재 수록, 단원 목표 및 학습활동 양상 등을 비교 분석하고, 양국 국가 단위 평가인 대학수학능력시험 기출 고전시가 문항과의 상관관계 분석 양상을 중심으로 비교 연구하여 효율적인 고전시가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중 양국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검토하여 양국 국어과 교과서 현황과 고전시가 작품 수록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외국어 학습자들이 외국 문학 작품을 공부할 때 익숙한 자국의 문학작품과 비교하여 공부하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교 문학의 입장에서 출발하여 한중 고전시가를 소개하는 것은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 의욕을 향상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 방법론의 측면에서 봤을 때도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여겨진다. Ⅱ장에서는 고전시가 교육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했다. 한국과 중국의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내용을 살펴보면 많은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현대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해야 하는 요구가 반영된 것이 많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한·중 양국은 비슷한 교육 이념을 가지고 국어과 교육과정에는 국어의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과 사용 능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창의성, 사고력과 창의적으로 국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능력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한·중 양국의 교육 사상 차이와 사회 형태 차이로 인해 교과서의 제재 선정, 단원 목표, 학습활동의 양상 등에 있어서는 많은 차이점들이 보인다. 예를 들어서 한국 문학 교과서는 본문의 주석이 글의 양쪽에 있으며 중국 어문 교과서의 분석이 시가 작품의 밑에 있다. 양국 교과서의 학습활동을 살펴보면 더 많은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한국 문학 교과서 학습활동에는 첫 번째가 내용 정리가 많고 중국의 일번에는 주로 낭독, 암송이나 토론이다. 특히 낭독과 암송이 압도적으로 많다. 즉 중국은 시를 구술을 통해 학습하게 하고 있고, 반면 한국은 내용 정리를 통해 쓰는 방식으로 학습하게 하고 있다. 또한 나머지 학습활동에는 한국은 거의 작품의 내용을 이해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는 것이 많고 중국은 시구 번역과 시구의 수사 방법, 작품의 주제와 작가의 사상 감정을 질문하는 것이 더 많다. Ⅲ장은 한국과 중국의 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의 고전시가 수록 양상 분석이다. 한국 2009개정 국어교과서 및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시가 작품을 살펴보면 조선시대 작품이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는데, 시조 작품이 압도적으로 많이 수록되었다. 중국 경우에는 당나라, 송나라 때 작품이 압도적으로 많고, 특히 근체시(절구와 율시)와 송사 작품이 많이 나타났다. Ⅳ장에서는 한·중 양국 국가단위 평가의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나왔던 고전시가 출제 양상, 문항 현황, 문제 유형, 주요 내용 등을 비교한 결과 중국과 한국 국가단위 평가의 고전시가에는 많은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문제 유형 상에 한국에는 다 객관식이고, 중국에는 거의 대부분 주관식 문제이다. 또한 문제 내용에는 중국 시험 문제는 더 다양하게 하고 암송, 시구 빈 간을 채우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반면 한국은 고전시가의 내용에 대한 이해, 그리고 지정 내용의 해설이 적절하지 안 적절하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양국 고전시가 국가단위 평가의 장점을 파악하여 상호 작용하면 의미가 있는 바가 될 것이다. 이 연구는 양국 고등학교 국어과 고전시가에 관한 교육과정, 교과서, 국가단위 평가 내용을 면밀히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양국의 고전시가 교육의 현황, 방향, 장점을 제시하여 향후 한국과 중국의 고전시가 교육이 한 단계 발전하는 데 작지만 의미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주요어〕 한·중 고전시가 교육, 교육과정 분석, 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 고전시가 수록 양상, 고전시가 국가단위 평가

      • 일제 강점기 학생 잡지 『어린이』의 국어교육적 연구

        김미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775

        이 연구는 일제 강점기에 민간에서 발행되었던 대표적인 학생(아동․청소년) 잡지 『어린이』(1923~1935, 개벽사)의 국어교육 내용을 검토함으로써, 『어린이』가 가진 국어교육적 의의를 조명하고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일제 강점기 국어교육의 실제적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어린이』 연구는 대부분 아동 또는 아동 문학 연구에 초점을 두어 왔다. 아울러 일제 강점기에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국어교육에 대한 연구는 조선 총독부의 교육 정책이나 그에 의해 파생된 학생용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학생 잡지에 대한 관심은 비교적 적었다. 개화기에 아동과 청소년의 계몽을 목적으로 시작된 학생 잡지는 당대 대표 지식인들이 집필진으로 참여하고 점차 그 파급력을 키워 가며 1920~30년대에 전성기를 이루었던 교육 매체였다. 그중에서도 발행 규모, 발행 기간, 독자 수 등의 면에서 위상이 높았던 잡지 『어린이』는 우리 말과 글에 대한 다양한 지식과 가치를 제시함으로써 긍정적인 국어 의식과 태도를 교육하였으며, 우리 말과 글의 모범적인 사례가 되는 다양한 읽을거리를 제공하는 동시에 아동과 청소년들의 공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기 위한 여러 가지 독자 참여 제도를 운영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일제 강점기에 민간 차원에서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졌던 국어교육의 실제적인 모습을 파악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