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T특성화고 입학생의 진로선택에 미치는 요인 및 학교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전지은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807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핵심인재 양성의 기초가 되는 IT특성화고등학교가 체계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서, 학생들에게 질적으로 향상된 교육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필요한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IT특성화고등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중학교에서 진로를 선택할 때 고려했던 요인과 입학 후의 학교 만족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서울특별시 일부지역에 위치한 IT특성화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크게 개인배경변인, 진로선택에 미치는 요인, 학교 만족도 세 부분으로 구성하였고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변수들의 일반적인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하였고 개인배경변인들 간의 빈도와 비율을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하였다. 개인배경변인에 따라 진로선택에 미치는 요인과 학교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변수에 대해서는 사후검정을 하였다. 각 요인과 만족도에서 주요 변수들이 상관관계가 있는지 상관관계분석을 하였고, 회귀분석을 통해 진로선택에 미치는 요인이 학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미래에 대한 기대 요인은 교육과정과 전공선택 만족도에 상당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교육과정 만족도와 전공선택 만족도 간에도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학생들이 미래에 대한 기대를 하면서 진로를 선택하고, 학교 만족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과정 운영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 참여 활동 요인과 미래에 대한 기대 요인은 교육과정, 전공선택, 교육환경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진로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진로를 선택하였을 때 진학한 학교에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에서의 진로활동이나 진로교육 또한 고등학교 진학 후 학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내실 있게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가 IT특성화고등학교에는 신입생 모집을 위한 홍보나 다양한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여부 등의 대한 정보를 얻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운영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 중학교에서는 내실 있는 자유학기제 운영, 진로교육 등을 위한 자료로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나아가서는 전체 특성화고등학교의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systematic oper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IT) specialized high schools, which play a central role in nurturing talent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help them bring greater satisfaction to students. A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factors that students considered when choosing to go to IT specialized high school and on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first-grade students of IT specialize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 research tool. The questionnaires consist of three parts: personal background factors, factors that affected students’ school choice,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A factor analysis and a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ensure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tudy. An analysis on frequencies and technological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general conditions of variants, and a cross-analysis was undertaken to study the frequencies and rates of personal background factors. An independent samples T test and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carried out to identify if personal background variants affected students’ decision on IT specialized high school enrollment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and the variants considered to have had an influence were reviewed and analyzed again. Correlations between variants were analyzed, and a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understand if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students’ school decision, also had an impact on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 Future expectation of students showed a close correlation with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 curriculums and choice of major. Given that their satisfaction with academic curriculums is closely related to that with choice of major and that students choose high school based on future expectation, systematic operation of curriculums is critical to improving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direct engagement in school decision and future expectation influenced their satisfaction with curriculums, major choic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he more actively students engage in choosing which high school they go to, the more satisfied they feel at their choice of school. Considering that students' participation in high school experience programs at middle school tends to influence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high school, it is desirable to expand practical IT specialized high school experience programs at middle school. I hope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give beneficial information and insights to IT specialized high schools to operate and develop more school experience and promotion programs to recruit new students and to make systematic curriculums, while helping middle schools to run an autonomous semester system in a more systematic manner and develop good high school experience programs. It is my hope that the study can contribute to promoting all of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improving their competitiveness.

      • 수학적 표상활동 :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박경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75

        최근 수학 교육에서 가장 큰 관심으로 연구되고 있는 한 분야가 “Representation” 즉 “표상”이다. 이 연구에서는 수학 교육에서 표상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한다. 즉, 일반적인 표상의 정의에서부터 현재 진해되고 있는 표상과 수학교육 관련 연구 그리고 표상 활동을 반영한 교과서 분석 등을 조사 및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표상이란 ‘특정 대상이 주어졌을 때, 이 대상을 따라 떠오른 내적인 생각과 그런 생각에 담겨 있는 외적인 표현물’로 정의내릴 수 있으며 이는 내적 표상과 외적 표상으로 구별된다. 이러한 표상 활동은 결국 수학 교육에서 21세기의 자율적이고 창의저긴 인간 육성에 큰 가능성을 실현가능하게 안내하는 길잡이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NCTM의 의도를 반영하여 표상을 우리의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노력을 하기 위한 연구들을 다양하게 소개한다. 따라서 앞으로 진행 가능한 수학교육에서의 표상의 기초 연구이다. 논문의 첫 번째 장에서는 표상의 정의와 범위를 다룬다. 두 번째 장에서는 지금까지 활발히 연구된 국내외 표상 관련 연구를 소개한다. 더불어 수학교육에서 표상 활동이라 볼 수 있는 다양한 연구들을 소개한다. 세 번째 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수학교육에서 연구된 약 10년간의 표상 활동 연구, 특히 ‘문제 해결과 표상 활동’, ‘수학 교수-학습과 표상 활동’ 그리고 ‘심상과 표상 활동’으로 구분하여 소개하며, 미국 수학교사협의회(NCTM)의 ‘표상 규준’ 그리고 수학교실 현장의 모습을 직접 접할 수 있는 교과서를 분석(1994년과 2002년에 출판된 Harcourt grade 6)하고 소개한다.

      • 영상미술에 대한 저작권 교육 개선방안 연구 : 2015 개정 중·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김가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75

        미술은 시대와 문화의 흐름에 맞게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발전해왔다. 과거 미술의 목적은 눈으로 받아들이는 모든 것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에 있었으며 ‘모방’은 작품을 제작하고 창조하는 하나의 필수 수단으로 다루어지기도 하였다. 이런 모방을 이용한 창작 방법들은 현대에 접어들면서 ‘저작권’이라는 법적 제도 아래 미술 표현에 관한 지적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right)의 범위를 모호하게 하였으며 모방과 창작의 범위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키게 하였다. 그러나 예술에서는 모방과 창작의 범위와 한계를 규정하는 것이 어렵고 아직 저작권법의 기준 아래 미술의 영역을 옳고 그름으로 나누기가 쉽지 않다. 현대사회는 급격하게 발달한 기술혁명으로 영상매체의 발달을 증진 시켰고 다양한 영상매체의 발전은 우리 사회에서 영상이 보편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 되도록 하였다. 현대사회에서 영상을 소통의 수단으로 사용하면서 영상미술은 다른 미술의 영역보다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자극적으로 다가오게 되었다. 이렇게 넘쳐나는 현대 미디어의 홍수 속에서 이미지들의 옳고 그름의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성인과 비교해 부족한 청소년들은 보이는 것을 무조건 수용하는 경향을 지니고 있어 많은 부작용을 낳고 있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은 자기 관리 역량, 지식 정보 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 총 6가지 핵심역량에 연계하되 미술 교과의 특성에 기반하여 미적 감수성, 시각적 소통능력, 창의융합능력, 미술문화이해능력, 자기 주도적 미술학습능력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처럼 미술교육에서는 복합적이며 융합적으로 이해하는 능력과 가치를 판단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술 수업에서는 다양한 방법과 주제들이 제시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영상미술에 대한 저작권 교육의 영역 또한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저작권 교육은 창작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교육이라는 점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필요한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맞추어 미술 교육에서 영상미술의 이해와 개념, 영상 매체의 개념, 저작권의 개념과 저작인격권, 저작재산권의 분류 그리고 교과서의 의미와 역할을 살펴보고 검찰청 통계와 한국저작권위원회의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저작권 교육의 실태와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저작권 인식을 확인하였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 미술 교과서 분석을 통해 미술 교과서 내 영상미술과 저작권의 비중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여 영상미술에 대한 저작권 교육 개선 방안을 제도적 측면과 실제적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동시대 미술교육 안에서 아직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 않은 영상미술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동안 전통적인 수업방식을 고수하던 미술교육의 변화를 추구하였고, 여기에 저작권 교육을 더 해 미술교육의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Describe the Art has continuously changed and developed in line with the times and cultures. In the past, the purpose of art was to reproduce everything that was accepted by the eye as it is, and ‘imitation’ was considered as one of the essential means in order to craft the work of art. These methods of creation obscured the scop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or art expression under the legal system named ‘copyrights’ and caused controversy on the spectrum of imitation and creation. However, in art, it is difficult to regulate the limits and boundaries between imitation and creation and so far, it is hard to determine if the artwork falls into the copyright law or not. The modern society has promoted the development of video media with rapid technology revolu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image arts allowed our society to use images as a common means of communication. With the use of video as a means of communication in the present world, image arts have become more stimulating to adolescents than other art areas. In today’s flood of modern media, adolescents, as they are less capable of knowing right from wrong, tend to accept what they see unconditionally, causing numerous side effects.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of Korea is linked to six core competencies – communication skills, social competency, creativity, self-management skills,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and aesthetic sensibility. Focusing on such competencies, the art curriculum aims to cultivate a creative and integrative individual with aesthetic sensibility, visual communication skills, cultural understanding of art, independent art-learning ability and creative convergence skills. As such, art education focuses on developing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judge values in a complex and convergent manner. In this context, art classes can offer diverse subjects in different manners and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domain of copyright education for image arts is also applicable. In particular, since education on copyright is essential for creation, such instruction is necessary to cultivate the ‘creative and integrative individual’ propos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understanding and concept of image arts, video media, media, copyright and moral rights of the artists in the digital media era, examine how middle to high school art textbooks influence the students and discuss South Korea’s current copyright training status based on the statistics of the Prosecutor’s office and the Korea Copyright Commission. In addition, the study will look into how much image arts and copyright education takes part in art textbooks and suggest systematic and practical solutions to improve copyright training on video arts by analyzing the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of Korea. This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mage arts education, which has not yet taken a big part in contemporary art education. The study also pursues a change in the art education industry that has been clinging to the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By including copyright training, it seeks to explore the various possibilities of art education.

      • 戰後 日本의 歷史敎育 政策과 歷史敎育者協議會의 批判 活動

        구경남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9775

        As part of efforts to ascertain the fundamental reasons why modern Japanese society, which has been characterized by a gradual move towards militarization and towards the right, has became the source of historical conflicts in the East Asian region, this study analyzes the various teaching guidelines released by the Education Ministry as well as state-authorized history textbooks. Simultaneously, based on the criticisms leveled by the Journal of Historical Geography (歷史地理敎育) published by the History Educationalist Conference of Japan (Rekishi Kyoikusha Kyogikai),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not only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Japanese history education, but also a desirable direction for such education. The History Educationalist Conference of Japan has consistently criticized what it perceives as excessively nationalist historical education since the end of World War II from both the standpoint of institutions and contents. To this end, the study breaks down Japan’s history education policy in the aftermath of World War Ⅱ and the criticism of the History Educationalist Conference of Japan into the period in which the social studies course was first introduced, the early period of the unrest that affected the social studies field, late period of the unrest that rocked the social studies course, and the dissolution of the social studies course in accordance with the modification of teaching guideli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Japan introduced the above-mentioned social studies course as part of the U.S. occupation policy aimed at establishing a peaceful and democratic society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World War Ⅱ. However, contrary to the original objectives for the introduction of this social studies course, the Japanese government set out a path revolving around the defense and protection of the national polity (国体護持) which included the implementation of an education policy that rather than overcoming the militarist historical education of the past, actively promoted i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eparate curriculum for national history education. Furthermore, the militarist streak evident in the Japanese government’s education policy became even more pronounced from the 1950s onwards as anti-communist democratization and remilitarization became key objectives of education amidst an ever-expanding Cold War. Established in 1949, the History Educationalist Conference of Japan quickly emerged as an active critic of what it perceived as the reactionary education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 More to the point, the History Educationalist Conference of Japan pushed the government to apply the original goals behind the introduction of the social studies course after World War Ⅱ, namely bringing about democracy and international peace, to historical education so as to foster the development within Japan of a correct perception of history. The Japanese government however took the step in 1955 of dividing the social studies course into several individual courses, and also abandoned the pursuit of the education of democratic citizens, which had been the main aim of the social studies subject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World War II, in favor of the education of national citizens. Thereafter, in 1958, it established moral education as a separate subject, thereby accelerating the unrest afflicting the social studies system. As part of its ongoing efforts to institutionalize the state’s control over history education, the government resorted to announcing teaching guidelines in official gazettes. The education curriculums introduced in the teaching guidelines released in 1955 and 1958, during which time the unrest afflicting the social studies system was still in its early stages, only served to further deepen already narrow-minded perceptions of history in Japan by providing an opportunity to establish a perception of world history that revolved around that of Japan. Confronted with the revival of militarist education and the Japanese government’s enforcement in educational spheres of a narrow-minded perception of history that revolved around Japanese history, the History Educationalist Conference of Japan strove to overcome these elements by independently organizing educational curriculums. During this process, lawsuits contesting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government’s right to authorize textbooks were launched, and an active support movement took shape. These actions on the part of the History Educationalist Conference of Japan produced various results. For example,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concentrating on modern history was deleted from the teaching guidelines published in 1969 and the descriptions contained in the textbooks were improved. Nevertheless, the Japanese government introduced in the teaching guidelines released in 1969 an emphasis on loyalty and respect for the state and emperor as one of the key objectives behind the teaching of Japanese ancient history. Meanwhile, in the teaching guidelines released in 1977, the government placed a heavy emphasis on the term ‘citizen (公民)’, thereby degrading history education to the status of a mere tool to cultivate citizenship under a π‐type social studies system and decreasing the importance of history education. As such, by including elements of mythology in history textbooks and adding educational contents which were designed to deepen the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the emperor, Japan effectively reverted during the late period of the unrest that afflicted social studies to the nationalist education that had prevailed before World War Ⅱ. The History Educationalist Conference of Japan actively opposed the Japanese government’s enforcement of a π-type social studies system on the grounds that a correct perception of history could not be developed as long as the formation of a scientific perception of society was being hindered. As part of this process, the History Educationalist Conference of Japan implemented a regional history movement that focused on the current tasks which had to be addressed by the region. To this end, the participants in the national conference held in Okinawa in 1972 pointed out that the issues affecting the region were in fact also a concern for Japan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Japanese government caused a major crisis when it effectively abolished the social studies course in 1989 and strengthened the teaching of nationalist history. The teaching guidelines released in 1998 touched off another round of history-related conflicts in the East Asian region by emphasizing the need for Japanese people to become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ile simultaneously adding the contrary goal of ‘deepening patriotism.’ Japanese society’s progressive tilt to the right reached a new peak in 2001 when history textbooks featuring an excessively Japan-centered perception of history began to appear. Thus, at this the dawn of the 21st century, East Asia found itself once again facing a crisis wrought by the reemergence of conflicts over history. Japan’s resort to historical distortions can in many ways be regarded as a natural result of the Japan-centered nationalist view of history actively promo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in the aftermath of World War Ⅱ. Meanwhile, the History Educationalist Conference of Japan can be regarded as having contributed to impeding the Japanese government’s efforts to distort history by continuously criticizing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teaching of Japanese history.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education for peace rooted in the Japanese Constitution represents the core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which a correct perception of history can take flight in Japan, the History Educationalist Conference of Japan has actively pursued the goal of peace and co‐prosperity in East Asia in the 21st century. The members of the History Educationalist Conference of Japan’s criticism of history textbooks has included the setting out of an alternative course of action to overcome the narrow-minded perception of history in which the Japanese government recognizes the right to freely compile, edit, and publish textbooks, and schools are free to select their own textbooks. As part of this process, a movement involving the Educationalist Conference of Japan has emerged within the private sector to carry out international exchanges designed to develop a common perception of history. To this end, the so-called History Textbook Dialogue involving educators from Korea and Japan has led to the publication of joint history textbooks whose contents can be agreed to by the people of these two nations. The Japanese government’s history education policy and the criticism of the History Educationalist Conference of Japan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n history educators. The debate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ose who oppose its nationalist education policy has continued unabated for over half a century. During this time, many studies on what constitutes proper education goals and educational contents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have been compiled. To this end, history education that is geared towards peace and coprosperity, and international exchanges involving joint research on history education should be regarded as the first step towards mitigating the historical conflicts between Korea and Japan and improving history education in both nations. 본고는 오늘날 일본 사회가 군사대국화, 우경화함으로써 東아시아 역사 갈등의 진원지가 될 수밖에 없었던 뿌리를 밝히기 위해 정부가 告示하고 檢定한 ‘學習指導要領’과 ‘歷史敎科書’를 검토한 내용이다. 동시에 戰後 일본사 중심의 국가주의적 역사교육을 제도적 측면에서나 내용면에서 일관되게 비판해 온 歷史敎育者協議會의 기관지인 󰡔歷史地理敎育󰡕에 게재되어있는 비판 활동을 중심으로 일본 역사교육의 문제점과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戰後 일본의 역사교육 정책과 ‘역교협’의 비판 활동을 ‘요령’의 개정에 따라 사회과 도입기, 사회과 동요 전기, 사회과 동요 후기, 사회과 해체기로 구분하여 검토하고 있으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패전 후 일본에서는 점령정책 하에서 평화와 민주주의 사회 건설을 목표로 사회과가 도입되었지만, 정부는 오히려 사회과 도입 취지와는 상충하는 ‘國體護持’를 교육이념으로 견지하고 국사교육을 별도로 편성하는 등 戰前 군국주의적 역사교육의 극복과는 거리가 먼 정책을 펴 나갔다. 더욱이 1950년대를 전후로 냉전이 본격화하자 일본 정부의 교육 정책은 反共民主化와 再軍備化를 목표로 군국주의 경향이 강화되었다. 이러한 정부의 반동적 교육정책을 적극적으로 비판하면서 1949년 창립한 ‘역교협’은 戰後 사회과 도입 취지에 따른 역사교육의 목표인 민주주의와 국제평화를 지향함으로써 올바른 역사의식의 형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1955년 사회과를 분과하고, 戰後 사회과가 목표로 한 인간상인 ‘民主市民 만들기’를 ‘國民 만들기’로 변질시켜 버렸다. 또한 1958년에는 도덕교과를 독립 설치함으로써 사회과 체제의 동요가 가속화하였으며, 게다가 ‘요령’을 관보에 告示하여 역사교육에 대한 국가의 통제를 법제화하였다. 또한 ‘사회과 동요 전기’인 1955·58년 ‘요령’에 제시된 교육내용은 일본사를 중심으로 한 세계사 인식이 확립되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자국사 중심의 편협한 역사인식을 심화시켰다. 이러한 정부의 군국주의 교육 부활과 자국사 중심의 편협한 역사인식이 교육현장에 강제되는 것에 대해 ‘역교협’은 교육내용을 자주적으로 편성하여 이를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과정에서 교과서 검정위헌 소송이 제기되었으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 이러한 영향으로 1969년 ‘요령’에는 근대사에 중점을 둔다는 목표 항목이 삭제되기도 하였으며, 교과서 서술이 개선되는 등 가시적인 성과도 나타났다. 그러나 정부는 1969년 ‘요령’의 교육내용에서 古代 일본의 역사를 추가하고, ‘국가와 천황에 대한 충성과 경애’를 강조하고, 1977년 ‘요령’에는 ‘公民’이라는 용어를 교육목표에 등장시키면서 역사교육은 ‘π형’ 사회과 체제 하에서 ‘공민적 자질’을 기르는 도구적 교과로 전락하고, 수업 비중이 감소하는 등 왜소화되었다. 이처럼 ‘사회과 동요 후기’에는 역사교과서에 ‘신화’가 등장하고, ‘천황에 대한 이해와 경애의 마음을 깊게 하는’ 교육내용이 추가됨으로써 戰前의 국가주의 교육으로 회귀하게 되었다. 그런데 정부가 ‘π형’ 사회과 체제를 강제로 시행하려는 것에 대해 ‘역교협’은 과학적 사회인식의 형성을 방해하여 올바른 역사인식을 확립할 수 없다는 이유로 약 10년에 걸쳐 반대운동을 전개하였다. 이 과정에서 ‘역교협’은 지역의 현실 과제에 주목함으로써 ‘地域發掘運動’을 추진하였다. 특히 1972년 沖繩(오키나와)에서 개최된 전국대회에서는 ‘지역의 문제가 일본, 나아가 세계의 문제’로 확장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하지만 1989년 일본 정부는 마침내 사회과를 해체함으로써 자국사 중심의 국가주의적 역사교육을 강화시켜 역사교육의 위기를 초래하였다. 더욱이 1998년 ‘요령’은 국제사회에서 살아가는 일본인을 강조함과 동시에 ‘나라에 대한 애정을 깊이 한다’는 상충하는 목표를 추가함으로써 東아시아에 역사 갈등을 촉발하였다. 이와 같은 일본 사회의 장기적 우경화 결과, 2001년에 극단적인 자국사 중심의 역사인식을 담은 역사교과서가 출현하였으며, 21세기 벽두부터 東아시아는 역사 갈등 사태 재발로 위기감이 팽배해졌다. 이처럼 일본에서 역사 왜곡이 반복되는 것은 戰後 일본 정부의 자국사 중심의 국가주의적 역사교육이 초래한 당연한 결과이다. 그런데 ‘역교협’은 戰後 일본의 역사교육의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비판해오면서 그 역주행을 미약하나마 저지하는데 기여했다. 특히 ‘역교협’은 일본 헌법을 중심으로 한 ‘평화교육’이 올바른 역사인식을 기르기 위한 핵심적인 교육내용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21세기 東아시아의 평화와 공존을 지향하고 있다. 그리고 교과서에 대한 비판운동은 국가가 교과서의 집필, 편집, 발행의 자유를 보장하고, 학교는 교과서를 자유롭게 선택함으로써 자국사 중심의 편협한 역사인식을 극복할 수 있다는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역교협’을 비롯한 민간단체들은 상호 역사인식 공유를 위한 국제적 역사교육 교류까지 추진하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한일 양국의 역사교육자들이 ‘역사 교과서 대화’를 통해 상호 공유할 수 있는 공동의 역사 교재를 발간하는 데까지 이르게 했다. 이상과 같은 戰後 일본의 역사교육 정책과 ‘역교협’의 비판 활동은 한국의 역사교육자들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일본 정부의 국가주의적 역사교육과 이에 대한 비판 활동은 반세기가 넘게 지속되면서 역사교육에 대한 올바른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에 대한 연구와 실천을 축적시켰기 때문이다. 따라서 평화와 공존을 지향하는 역사교육과 이를 바탕으로 최근에 추진되고 있는 국제적인 역사교육 연대 교류 활동은 한일 역사 갈등 문제를 해결하고 한일 역사교육을 개선,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시금석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2015 개정 중학교 일본어 교과서 ‘생활일본어’의 교실활동 분석 : 언어의 4기능의 활용과 문화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변은정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75

        21세기는 세계가 한 울타리 안에서 공존하는 삶을 추구하는 ‘지구촌 시대’이다. 현대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세계가 일일 생활권이 되어가고 있는 오늘 날, 성공적인 교류를 위한 상호 이해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해 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의 조류 속에서 주요 국가의 언어 및 문화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며 7차 교육과정을 통해 중학교 교육과정에 생활 외국어가 편성되었다. 그 결과, 학생들에게 다중언어·다중문화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외국어 교육이 가능하게 되었고, 외국어 학습을 통해 얻은 언어와 문화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외국인과 적극적으로 의사소통을 하려는 태도는 지구촌 시대를 살아가기 위한 시민 의식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러한 시민 의식은 2015 개정 중학교 생활 외국어가 지향하는 목표이기도 하다. 한편, 학교현장에서 여러 학생들이 놀이를 통해 짧은 시간에 일본어 단어를 기억하는 현장을 목격하였다. 쉬는 시간에 이루어진 학생들의 자발적인 놀이였지만, 그와 비슷한 활동이 실제 중학교 생활 일본어 교과서에도 수록되어 있는 점을 인식하여 교실활동이야 말로 학생들에게 유용한 수업의 교재·교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생각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 되었다. 먼저 서론에서 연구 목적과 연구 동기, 이어서 선행연구와 연구 대상 및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어서, 교과서 집필의 기준이 되는 현행 교육과정을 각 항목별로 나누어 현행 교육과정과 직전의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을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교육 목표와 강조하는 수업 모델은 ‘학생 참여형 수업’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이렇게 얻은 결과를 토대로 각 교과서별로 수록된 교실활동의 분석을 하였다. 교실활동을 분류하는 기준을 재구성하여 언어 4기능의 활용도별, 활동 범주별, 학생 구성별로 교실활동을 분류하여 언어의 4기능을 폭 넓게 활용하는 교실활동의 유형에 대한 결과를 얻었다. 더불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상호 문화적 관점 함양을 위한 매개체로서 교실활동과 문화의 연계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학교 생활 일본어에 실려있는 교실활동의 실태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현행 중학교 생활 일본어 교과서의 교실활동에 대한 재구성의 필요성을 제언하며, 학생 참여형 수업인 교실활동을 통해 학생이 중심이 되는 수업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와 같은 학생 중심 수업은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수업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온라인 교실활동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서술하였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중학교 생활 일본어 교과서에 나타난 학생 참여형 수업과 상호 문화적 관점 함양을 위한 매개체로서의 ‘교실활동’에 대하여 고찰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중학교 국어과 문법 교육 내용 비교 연구 :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수진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75

        문법 교육은 국어과 다른 영역 교육의 뿌리가 되는 것이다. 문법 교육을 통해 얻게 된 지식은 제대로 된 국어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문법 교육이 주는 일반적 효과는 그 자체만으로 큰 가치를 지닌다. 하지만 문법 영역은 계속하여 경시되고 있으며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는 삭제될 뻔하였다. 이 논문은 국어 문법 교육이 이루어지는 유일한 장소가 학교라는 것에 중점을 두고 쓰여 진 것이다. 학교 교육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교육과정, 교과서, 교사, 학생이다. 본고에서는 교육과정에 드러난 문법 교육의 양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범위는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한하였다. 두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와 문법 영역의 내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둘의 차이점을 도출해 냈다. 이 과정에서 문법 영역이 기존의 이미지 탈피와 영역 내 안정된 입지를 위해 어떤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도 함께 알아보았다. 그리고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교과서 체제 변경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아산시 소재 중학교 국어 교사 31명을 대상으로 이루어 졌다. 설문 내용은 ‘국정 교과서 체제와 검정 교과서 체제 중 어떤 체제가 국어 교과에 알맞느냐?’, ‘그 이유는 무엇인가?’, ‘선택 체제에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은 무엇인가?’이다. ‘검정 교과서 사용 후 문법 영역의 수업은 어떠한가?’라는 문항을 통해 교과서 체제 변경이 문법 영역 수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알아보았다. 결과적으로 ‘국정 교과서 체제’가 더 알맞다고 하였으며, ‘검정 교과서’ 사용 후 문법 영역의 수업은 국정 교과서를 사용할 때와 변함이 없다거나 더 어려워졌다고 하였다. The education of grammar is the fundamental element in other area in Korean language. The knowledge from grammar can help using Korean properly. Also, a common effect on the proper grammar has great worth itself. However, the grammar is consistently belittled, and it had come close to erase in revision of curriculum in 2007.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school which is the only place to study Korean grammar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school education are curriculum, text book, teacher, and student. This thesis analize aspects of grammar education which comes out from curriculum. The limit of application in only 7th curriculum and curriculum revision in 2007. Some differences come out. Also, in these statement, the thesis investigates an existing image break and a stable position in grammar area. It has a survey about textbook system change which is the biggest feature. The survey aimed at 31 middle school teacher in Asan city. The main question are “Which is better for Korean education, a national textbook or an authorized textbook?”, “What is the reason?”, “What is the improvement in system?”, “After using an authorized textbook, what is difference in grammar in class?”. Also, it comes out how the textbook changes affect the class. As a result, agter using an authorized textbook, there is nothing to change or the grammar class is more difficult than before.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의한 정보교과서의 인지적 영역 학습목표 분석 : 중학교 정보교과서를 대상으로

        최연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75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창의ㆍ융합적 미래 인재양성을 위해 국가 차원의 대응으로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가 모색되고, 사회 전 분야에 전반적으로 확산되어 우리 모두의 삶과 생활방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교과서는 학교교육의 본질을 구성하고, 교육은 학습자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기 위한 실천적 행동이다. 교육목표는 교사에게 교육의 방향을 결정해 주고, 학습자에게는 학습대상을 명확히 하고 학습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15정보 교육과정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정보문화 소양을 갖추고, 보다 창의적이고 효율적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역량을 갖추기 위해 교과서가 올바르게 기술되어 있는지를 연구하고 나아가서 개선할 사항이 있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15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중학교 정보교과서 7종을 임의로 선정하고, 정보교과서 학습목표의 인지적 영역 301개를 추출하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 분석방법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분석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교육목표를 분석한 결과 지식차원의 “개념적 지식” 50.2%, 인지과정 차원의 “이해하다” 46.8%로 저차원적 요소의 쏠림현상이 2015개정 교육과정 이후에도 기존 선행연구와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출판사별” 비교 분석 결과 지식차원에서는 “개념적 지식”, “절차적 지식”,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다”, “창안하다”가 출판사마다 비중을 많이 차지하고 있어 “출판사별” 인지적 영역 교육목표는 차별성이 없게 나타났다. 셋째, “단원별” 비교 분석 결과 지식차원에서는 “개념적 지식”, “절차적 지식”,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다”가 비중을 많이 차지하고 있고, “이해하다” 다음으로 단원마다 “적용하다” “분석하다” “창안하다” 등이 진술되어 있어 “단원별” 인지적 영역 교육목표는 차별성이 있게 나타났다. 넷째, 중학교 정보교과서 목표가 컴퓨터과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어 문제해결력을 키우고, 창의적인 역량을 갖추려면 지속 발전 가능한 메타인지지식 유형의 교육목표를 지향해야 한다. 다섯째, 학생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로 하는 구성주의 학습이 가능한 인재가 되기 위하여 교육 인프라를 활용한 교육목표의 끊임없는 연구가 필요하다.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order to foster creative and convergent future talents, software education is being sought as a national response, and it is spreading across all sectors of society, which has a great impact on our lives and lifestyles. Textbooks constitute the essence of school education, and education is a practical action to lead learners in the desired direction. The educational goal determines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the teacher, and serves to clarify the learning object and promote learning for the learne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if there are any improvements to the textbooks in order to equip the information culture literacy to pursue in the 2015 information curriculum, and to have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more creatively and efficiently. There is a purpose. Seven types of middle school information textbooks reflect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randomly selected, and 301 cognitive areas of the information textbook learning objectives were extracted and classified as Bloom's new education target classification analysis method. The summary of the research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verall educational goals, 50.2% of the “conceptual knowledge” at the knowledge level and 46.8% of the “understand” at the cognitive process leve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studies aft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econd, many publishers have been describe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y “publishers”, “conceptual knowledge”, “knowledge level procedural knowledge”, cognitive process level “understanding” and “creation”. There was no discrimination in regional education goals. Thir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y “unit”, “conceptual knowledge”, “procedur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many cognitive processes and “understanding” are “applied” for each unit. Analysis”, “Creation”, etc. were mentioned, so the goal of cognitive domain education was differentiated. Fifth, in order to be a talent capable of learning constructivism that students ne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tudy educational objectives using educational infrastructure.

      • 추론 역량과 창의·융합 역량의 관점에서 본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기하 과제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산하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제공되는 기하 과제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 비해 추론 역량과 창의·융합 역량을 함양하기에 더 적합한지 알아보았다. 중학교 교과서에서 기하 영역을 분류하였고 개정별로 교과서를 추론 역량과 창의·융합 역량의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제공되는 기하 과제는 추론 역량과 창의·융합 역량을 고르게 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가? 2.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제공되는 기하 과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 비해 추론 역량과 창의·융합 역량을 함양하기에 더 적합한가? 위의 연구 문제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1, 2, 3학년 수학 교과서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1, 2, 3학년 수학 교과서를 각 5종씩 선정하여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 기준은 윤상준 외2인(2019)이 제시한 수학 교과 역량 하위요소와 특성들을 정리한 표를 사용하였고, 이 표는 박경미 외(2015)가 제시한 수학 교과 역량의 하위요소 및 그 기능들을 바탕으로 재구성 된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나온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교과서에서 제공되는 기하 과제를 분석하였을 때 동일하게 추론 역량의 ‘추론 과정의 반성’ 요소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둘째, 추론 역량의 ‘수학적 사실 분석’ 요소의 ‘주어진 조건들을 분석하고 순열과 조합을 이용하여 경우의 수를 구하는 과제’의 특성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교과서에서 동일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창의·융합 역량의 ‘정교성’, ‘수학 내적 연결’의 요소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교과서에서 동일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창의·융합 역량의 ‘융통성’ 요소의 ‘다양한 관점에서 해결 전략이나 방법을 찾아내는 과제’의 특성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교과서에서 나타났으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교과서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대수-기하, 해석기하-논증기하 간의 여러 가지 방법을 활용하게 하는 과제’의 특성은 두 개정의 교과서에서 동일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 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제공되는 기하 과제는 추론 역량이 56.1%, 창의·융합 역량이 43.9%로 두 역량의 차이가 12.2%로 나타났고,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제공되는 기하 과제의 추론 역량이 62.7%, 창의·융합 역량이 37.3%로 두 역량의 차이가 25.4%로 나타났으며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제공되는 기하과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 비해 추론 역량과 창의·융합 역량을 함양하기에 더 적합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 교과서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제공되는 기하 과제를 추론 역량과 창의·융합 역량의 관점으로 분석하여 어떻게 반영되는지 알 수 있었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교과서의 기하과제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교과서의 기하과제 중에서 어느 개정 교육과정이 함양하기에 더 적합한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학 교과 역량의 함양을 위한 자료 개발 및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며 교사들의 수학 교과 역량 인식 개선에 도움을 주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의 문화내용 비교 분석 :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연희 慶南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flection of the cultural contents of the textbooks for first grade high school based o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hrough comparison with the textbook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In order to analyze this, 10 English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an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for the first grade high school were selected. Each book was analyz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cultural material, cultural type,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reading part from the textbooks. Chapter 1 presents the necessities, aims, and limits of this study. Chapter 2 provides an overview of the definition of cul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language, and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It then continues to examine the cultural contents of the 7th curriculum an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Chapter 3 discusses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reading of the textbooks and deals with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ultural contents of the two curriculums' textbooks. Finally, chapter 4 presents the conclusion and suggestions of analyzing this study. The result of analyzing cultural cont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ultural material section in the textbooks treated various materials with more realistic and interesting fields. Second, the cultural type section is provided in the textbooks. The behavioral culture in both curriculums was given more weight than both material and spiritual culture. In addition to this, the universal culture had a higher percentage than the other cultures. Third, the biggest characteristics in the cultural background section are the textbooks placing the highest weight on contents of universal culture, showing the average weight of 53%. In these textbooks, too much focus is put on the universal culture contents, which can be taught in other subjects more easily and effectively. In conclusion, this thesis provides several suggestions in teaching culture. First of all, teachers are recommended to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lass, using various techniques. Teachers also are recommended to manage language classrooms in proper ways by providing students with a variety of communicative activities in order to meet the need for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e cross-cultural aspects of English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영어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2001년 7월부터 발행된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시행에 따라 2009년에 발행된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가 교육 과정의 취지에 맞추어 문화내용이 충분히 반영되었는지, 그 양이 적절한지 분석하여 문화교육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제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영어교과서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중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10종을 선택하여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그 분석 기준은 교과서 내 제시된 본문 읽기 자료에 나타난 문화 내용이다. 분석 방법은 문화 소재별, 문화 유형별, 문화 배경별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화 소재별 분석에서는 양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본문이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특히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는 19가지 언어 소재 중 제7차 교육과정에서 소개하고 있는 소재의 8항과 9항을 세분화한 8항에서 11항까지의 4가지 항목이 대체적으로 잘 반영되고 있는데, 이는 문화를 소재에 반영하여, 각 단원의 언어활동에 자연스럽게 문화가 포함되게 하고자 한 2007년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취지에 잘 부합한다. 문화 유형별 분석에서는 양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 모두 행동문화와 정신문화가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많이 다루어진 물질문화의 비중을 줄이고 사회 참여적인 행동문화와 고등 영역인 정신문화의 비중을 늘이고 있다. 문화 배경별 분석에서는 보편적 문화, 영미권 문화, 한국적 문화, 기타권 문화, 대조적 문화 순으로 제시되었다. 영어교과서에서 경험하는 문화적 정보가 학생들이 얻을 수 있는 문화 정보로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보았을 때, 교과서 본문에서 보편적 문화를 줄이고 영미권과 우리나라의 문화를 비교하여 설명한 대조적 문화를 더 집중적으로 다루어 목표 문화권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우리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교과서 집필 시 문화내용을 구체적이고 다양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문화 내용 기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언어와 문화의 연계 지도를 위해, 영어권 문화와 우리 문화의 차이를 잘 반영한 다양한 문화지도 읽기 자료를 구성해야 한다. 셋째, 교사들이 문화 요소에 대한 이해와 교수·학습 구성을 분명하게 할 수 있도록, 교과서와 연계된 다양한 연수 자료 및 멀티미디어 자료가 교과서와 함께 구성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교과 시간만으로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문화 요소에 대한 이해 역량 증진을 도모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여 교육과정에서의 목표를 성취한 활동 과정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 한문과를 적용한 인성교육 방안 연구

        김은정 성균관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9775

        This thesis discusses humanistic education, which has conducted since 2010, with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at schools on maladjusted students, on convergence subject development, and on career counseling. Its purpose is to suggest solutions and to prove its evidences on problems that schools encounter at humanistic education. The initial process composes categorizing moral virtues into related humanistic education categories for teaching materials from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contexts. Guidance plans were formed and were carried out by different humanistic education types. The personality education was implemented on maladjusted students from the year of 2010 to of 2014. The teaching materials were prepared with considering student behavior grading system for guidance plans and for student activity sheets, which had separated into 2-hour, 3-hour, and 5-hour courses. Since the materials are for exceptional circumstance disciplining, it could benefit teachers reducing stresses from preparing materials in a situation of its practical data shortage. Moreover, the convergence subject development was practiced through years starting from 2012 to 2014. Its teaching materials is composed with 5 contrasting elements of humane virtues; morality recovery, community spirit, friendship, scholarship, and filial duty. With utilizing the materials, humanistic education was conducted with relevant topics in Korean literature, Korean sociology, English, and extra-curricular classes. As a consequence, its teaching guidance plans were developed along with utilizing its guidance plans and student activity sheets. The career counseling (project type) was conducted from 2013 to 2017. Its educating aid was organized through combining and re-organizing the teaching materials of the convergence subject development. The career counseling education targets constructing a specific form of an education that sets directions of career paths through “Career-specialty-related-Role model-searching” in a student’s daily life, along with adopting Chinese literature contents, which propose concepts and standards of moral humane nature. The career concealing class model separates moral virtues into 6 distinguishable aspects; preparing learning attitudes, setting reliability, understanding respect virtues, building community spirit, perceiving oneself as a moral humane, and possessing creative and challenging personality. Its teaching plans and its education course evaluation plan were proposed for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of the 6 subjects. Furthermore, to verify validity of the educational direction paths and educational contents, a research was carried out at procedures, including designing survey questions and verifying survey question validity, for topics about moral-humanistic education and effective subject humanistic education demands. From June of 2017 to August of the same year,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128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teachers, 513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59 parents of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ts collected data was assigned to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in IBM SPSS Statistics 23. The result stated that both the teaching material and the teacher guidance plan are required for cross-curricular education, which is categorized into moral virtues. In addition, subject humanistic education through cooperating learning is necessitated for the same approach. Therefore, associated video references and activity sheets were urgent for different stages of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personality evaluation requires evaluation scheme that guarantees its objectivity with utilizing data from discussion and it also requires presentation in stages of processes. 본 논문은 2010년부터 2017년까지 한문 교과의 내용을 활용하여 교육현장에서 부적응학생 인성교육, 교과융합 인성교육, 프로젝트 형 진로‧인성교육을 실시한 내용을 분석하고 그 방안을 연구한 것이다. 이를 통해 인성교육의 방법을 모색하여 교육현장에서 직면한 학생의 문제를 해결하는 가능성과 단서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이 목적의 달성을 위해 한문교과 내용을 활용한 인성교육의 내용과 방향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 문항의 제작, 문항의 타당도 검증, 인성교육 실태조사는 물론 효과적인 교과 인성교육을 위한 요구에 대한 현장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2017년 6월부터 8월 초까지 서울시 중‧고 교사 128명, 학생 513명, 학부모 5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표집 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 분석을 병행하였다. 분석의 결과 범 교과에 적용 가능한 인성교재와 교수학습지도안, 그리고 협동학습을 통한 교과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교육단계별 관련 동영상 자료와 활동지의 필요성도 시급하였다. 또한 인성의 평가는 과정별 토론‧발표 자료와 결과물을 활용한 객관적 평가 안을 필요로 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필요성을 감안하여 그간 실시한 한문교과 내용을 활용하여 부적응학생 인성교육, 교과융합 인성교육, 진로‧인성(프로젝트 형) 협력학습 모형의 내용을 소개하고 그 상관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먼저 한문과 인성교육의 기준이 되는 인성교재를 위하여 한문 고전의 내용을 추출하여 인성교육의 방향에 따라 인성의 덕목을 분류하여 재구성하였다. 지도 방법은 인성교육의 형태별로 차시에 따른 지도안을 구성하여 실시하고, 인성교육 과정에 따른 평가안을 마련하였다. 부적응 학생 인성교육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현장에서 진행한 것인데, 학교 바른생활 점수제 항목에 따라, 인성교재의 내용을 분류하여 2차시, 3차시, 5차시 별로 교사지도안과 학생 활동지로 구성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현장 교사들은 인성교재의 매뉴얼에 따라 지도함으로써 업무적 스트레스와 자료의 부족을 해소시키는 장점을 확인할 수 있어 유의미하였다. 교과융합 인성교육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진행하였다. 교과융합 인성교재는 인성의 덕목을 ‘도덕성 회복’, ‘공동체’, ‘우정’, ‘학문’, ‘효’라는 5개 요소로 분류하여 교재를 구성하였다. 학교 현장에서 교과융합 인성교재를 활용하는 경우는 주로 국어, 사회, 영어, 창‧체 시간인 바, 주제 중심의 교과 간 인성교육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교과융합 인성교재의 차시별 지도안과 활동지를 활용하여 교과별 인성교육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는 성과가 있었다. 진로‧인성(프로젝트 형) 협력학습 모형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진행하였다. 진로‧인성(프로젝트 형) 협력학습 모형의 교재는 교과융합 인성교재에 내용을 추가하고, 인성의 덕목을 재분류하여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진로‧인성의 6개 주제에 따라 진행된 진로‧인성(프로젝트 형) 협력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진로‧인성교육은 한문교과 내용을 활용하여 습득한 인성의 개념과 규범이 진로의 방향을 설정하는 한편, 전공과 연관된 진로의 롤 모델 탐색 과정을 통해 학생 생활 속에서 구체적인 모습을 갖추는데 초점을 두었다. 실현을 위하여 진로‧인성(프로젝트 형) 협력학습 모형은 인성의 덕목을 6개 주제로 구성하였다. 1. 배움의 자세 갖추기, 2. 신의 바르게 세우기, 3. 공경‧존중의 관계 이해하기, 4. 공동체 의식 기르기, 5. 도덕성의 주체인 나, 6. 창의‧도전 정신 기르기로 구분하였다. 특히 진로‧인성 6개 주제별 교수학습지도안과 과정 평가안을 제시하고 그 적용된 결과는 SPSS Statistics 23 프로그램을 활용 분석하여 한문교과 내용을 활용한 진로‧인성 교육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확보하려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