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정간호 관련 및 지역사회 획득 황색포도알균 균혈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방경미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67

        황색포도알균은 정상 피부 상재 균으로 중심 정맥관, 피부 및 연조직, 각종 침습적 카테터 등을 통해 혈류 감염을 일으키며, 이로 인한 사망률은 최대 40%로 보고되어 임상 실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나 가정간호와 관련된 기초자료가 미비한 실정이다. 연구의 목적은 가정 가정간호 관련 및 지역사회 획득 황색포도알균 균혈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을 통해 가정간호의 서비스 수준을 측정하는 근거자료와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가정간호 관련 및 지역사회 획득 황색포도알균 균혈증의 임상적 특징과 양상을 고찰하기 위한 후향적 관찰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시내 1개 3차 의료기관에서 2004년 8월 1일부터 2011년 8월 30일까지 전자의무기록이 시행된 7년간 시행된 한 쌍 이상의 혈액배양에서 황색포도알균이 분리된 환자 중 균혈증에 합당한 임상적 징후나 증상을 동반한 만 20세 이상 성인환자 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내용은 대상자의 균혈증 발생 전 임상적 특성, 항생제 감수성과 임상적 양상 균혈증 발생 후 임상적 경과, 임상 결과, MRSA 균혈증 발생과 관련된 위험인자와 기여사망과 관련된 예측요인을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Window SPSS version 20.0K (SPSS Inc, USA)을 이용하여 변수의 특징에 따라 t-test, Chi-square, Mann-Whitney U test, 그리고 Fisher’s exact test를 시행하고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ⅷ- 가정간호 관련 황색포도알균 균혈증 대상자는 평균연령(t=-2.62, p=.009), MRSA 발생(χ2=8.17, p=.006), 입원 전 MRSA 집락화(χ2=18.17, p=.001), 항생제 사용력(χ2=16.93, p=.001)이 지역사회 획득 대상자 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또한 기저질환의 중증도 역시 높았다(χ2=12.06, p=.001). 기저 질환에서는 가정간호 관련 대상자가 암(χ2=16.4, p=.001), 신경계(χ2=8.10, p=.009) 환자가 많았고 만성 비 경구 영양 수액 요법을(χ2=28.51, p=.001) 받은 경우도 가정간호 관련 대상자에서 높게 나타났다. 균혈증 이전 기저 상태에서는 가정간호 관련 대상자가 지역사회 획득 대상자 보다 중심 정맥관(t=17.16, p=.001)과 각종 카테터 거치 비율이 높았다. 원발 병소에서 중심정맥관(χ2=11.93, p=.002) 관련 감염과 폐렴(χ2=10.8, p=.003)이 가정간호 관련 대상자에서 더 높았다. 반면에 지역사회 획득 확색포도알균 균혈증 대상자는 원발병소에서 피부 및 연조직 감염이 가정간호 관련 대상자 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χ2=8.90, p=.002). 가정간호 관련 황색포도알균 균혈증 대상자는 지역사회 획득 대상자 보다 항생제 감수성 양상이 내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았다. 중증도와 사망위험 예측을 위한 APACHEⅡ score는 가정간호 관련 황색포도알균 균혈증에서 더 높았으나(t=-4.40, p=.002) 전이성 2차 감염(χ2=9.72, p=.002) 및 재원기간은 (t=1.39, p=.001) 지역사회 획득 균혈증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두 군간에 균혈증으로 인한 중환자실 치료 여부는 차이가 없었다(χ2=4.2, p=.058). 기여 사망 (χ2=15.97, p=.001) 및 조사망률(χ2=6.77, p=.017) 모두 가정간호 관련 대상자가 -ⅸ- 지역사회 획득에 비해 높았다. 단변량 분석을 통해 의미 있는 변수들에 대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MRSA 발생에 기여하는 요인으로 MRSA 집락화(OR=9.41, 95% CI 1.72-51.27, p=.010)와 암(OR=4.8, 95% CI 1.12-20.71, p=.034)이 나타났으며, 기여사망과 관련해서는 의미 있는 독립적 인자가 없었다. 가정간호 관련 대상자들의 황색포도알균 균혈증 양상은 선행연구와 비교 하였을 때 지역사회 획득 보다는 병원 획득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므로 병원 감염관리에 준하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 특히 가정간호 관련 황색포도알균 균혈증은 MRSA 발생과 관련된 위험요인이 높았으며 지역사회 획득 대상자 보다 황색포도알균 균혈증으로 인한 기여 사망이 높게 나타났다. MRSA는 병원감염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다약제 내성균으로 사망률과 의료비 부담의 증가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가정간호를 받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MRSA 집락화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 및 추적 관찰이 필요하며 암환자에 대한 MRSA 관리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약 7년간 2000명의 황색포도알균 균혈증 대상자 중에서 선정기준에 맞는 대상자를 선별하였으나 병원 획득 대상자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가정간호 관련 및 지역사회 획득 황색포도알구균 균혈증 대상자 수는 많지 않았다. 대상자의 모집은 한 개 의료기관을 통해 이루어 졌으며 선정기준을 만족하는 가정간호 관련 대상자 수가 25명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신중을 기해야 한다. 향후 여러 기관에서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가정전문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의사결정능력에 관한 연구

        최성미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67

        우리나라 가정전문간호사의 업무 수행현장은 환자의 가정으로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환경에서 병원과 달리 다른 의료진의 도움 없이 혼자서 간호행위를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업무 특성에 따라 가정전문간호사는 비판적 사고를 기반으로 환자의 상태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한 임상의사결정을 해야 하고, 또한 환자에게 발생될 문제를 예측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전문간호사를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의사결정능력의 정도를 조사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가정전문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을 강화시키고, 임상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전략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자료수집은 2012년 2월 1일부터 3월 23일까지 국내 의료기관 중심 20개 가정간호사업소에서 근무하는 가정전문간호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 검정,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을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한 결과, 평균 3.69점이었다. 하위 영역별 평점은 탐구성 3.94점으로 가장 높았고, 지적통합, 개방성, 진실추구, 신중성, 객관성, 도전성, 창의성 순이었다. 2) 대상자의 임상의사결정능력을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한 결과, 평균은 3.48점이었다. 하위 영역별 평점은 가치와 목표에 대한 검토가 3.69로 가장 높았고, 정보에 대한 조사와 새로운 정보에 대한 일치화, 결론의 평가와 재평가, 대안과 선택에 대한 조사 순이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은 연령이 35∼40세 미만인 경우가 3.82점으로 35세 미만과 50세 이상인 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판적 사고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정전문간호사는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가정전문간호사보다 비판적 사고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의사결정능력은 병원에 근무하는 가정전문간호사가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가정전문간호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판적 사고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정전문간호사는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가정전문간호사보다 임상의사결정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의사결정능력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의사결정능력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r=.57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가정전문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의사결정능력 정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의사결정능력간의 관계는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여,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을수록 임상의사결정능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가정전문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더불어 지속적인 훈련이 요구되며, 대학원 과정에서도 이러한 가정전문간호사의 핵심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교과목의 확충과 보완이 요구된다.

      • 4년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에 관한 연구

        마예원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67

        건강관련 지식 및 정보에 대한 기회가 확대됨으로 간호현장에서 다양한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 간호사는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을 위해 비판적 사고와 독립성, 창의적 사고가 필요하며, 자신의 목적에 맞게 지식과 정보를 적용,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간호대상자의 개별적이며 다양한 요구에 대한 문제해결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에 문제해결을 이끌어내기 위한 목적으로 자기 스스로 판단하는 개인적 성향인 비판적 사고성향과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문제해결능력이 간호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을 측정․비교함으로써 간호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 한다. 연구 대상자는 전국에 위치한 4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422명으로 1학년 81명, 2학년 131명, 3학년 87명 그리고 4학년 123명으로 임의 표본 추출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내용 및 질문지 작성법을 설명하였고 대상자들의 이해를 확인한 후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기간은 2008년 6월 10일부터 10월 25일까지 약 3개월간 이었다. 연구도구는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은 Facione과 Facione(1994)이 개발한 CCTDI로 신경림(1999)에 의해 번역, 역 번역된 도구를 사용하였고, 문제해결능력 측정도구는 Heppner와 Petersen(1982)이 개발한 PSI로 전석균(1994)에 의해 번역, 역 번역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일반적 특성 10문항, 비판적 사고성향 75문항, 문제해결능력 3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연구도구의 Cronbach's alpha 계수는 CCTDI .78 이고, PSI .70 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Duncan'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대상자인 간호학생은 1학년 19.2%, 2학년 31.0%, 3학년 20.6%, 4학년 29.1%로 임상실습교육을 받지 않은 1,2 학년 학생이 전체의 50.2%였고, 임상실습교육을 받은 3,4 학년 간호학생은 전체의 49.8%였다. 대부분이 여성(95.0%)으로 미혼(97.6%)이었고, 종교는 기독교가 31.5%, 기타(없음)가 41.3%였다. 학업성적별로 평균평점 3.0~3.9가 66.6%를 차지했고, 철학 및 논리학 과목을 수강하지 않은 학생이 각각 67.3%, 73.5%를 나타냈다. 대상자 중 ‘대인관계가 좋은편’이 53.8%, ‘간호학 전공에 만족한다’가 59.2%, ‘임상실습교육에 만족한다’가 26.8%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의 평균점수는 총 420점 만점에 260.90점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영역별로 평균을 살펴보면 ‘호기심’ 41.97점, ‘분석’ 39.40점, ‘비판적 사고 자신감’ 38.83점, ‘체계성’ 36.28점, ‘개방성’ 36.23점, ‘성숙’ 35.92점, ‘진실추구’ 32.26점 순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문제해결능력 평균점수는 93.93점으로 점수범위 32-75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각 하위 영역별 평균점수를 살펴보면 ‘문제해결자신감’ 29.48점, ‘접근-회피 양식’ 44.44점, ‘개인의 통제력’ 20.01점이었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은 학업성적(F=3.93, p=.01), 논리학 과목 수강여부(t=-3.39, p=.00), 대인관계(t=5.99, p=.02), 간호학전공 만족도(F=5.98, p=.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제해결능력은 임상실습교육 여부(t=2.35, p=.02), 대인관계(t=18.91, p=.00), 간호학전공 만족도(F=7.92, p=.00), 임상실습 만족도(F=3.25, p=.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의 관계를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61, p=.00). 이상의 결과를 분석해 볼 때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및 문제해결능력은 모두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간호학생의 학년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 및 문제해결능력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고, 임상실습교육은 문제해결능력에만 제한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는 각 학년의 교육과정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적용의 필요성을 의미하며, 간호학생들에게 단순한 지식의 축적이 아닌 실제 임상현장에서 부딪히는 여러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의 향상을 위해 실무상황을 반영한 간호교육과정의 필요성이 요구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compare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thereby providing basic data for nursing education. The convenience sample was drawn from 422 nursing students in 4-year colleges: 81 in their first year, 131 in their second year, 87 in their third year, and 123 in their last year. Data were collected for 3 months from June 10, 2008 to Oct. 25, 2008.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CCTDI) developed by Facione & Facione (1994) and Problem Solving Inventory (PSI) developed by Heppner and Petersen (1982). The collected data was computerized by SPSS 12.0 program and analyzed by frequency numbers and percentages, mean scor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Duncan'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otal mean scor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260.90 out of 420. Inquisitiveness was the highest an mean score of 41.97, while Truth-seeking was the lowest with an mean score of 25.58. 2. The total mean score of problem solving ability was 93.93. If we break down this category, scores of the students in several areas nursing students were as follows. ‘confidence in problem solving’ 29.48, ‘attitude of approach-avoidance’ 44.44, ‘self-control’ 20.01. 3.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F=3.55, p=.02) according to GPA(academic achievement).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t=-3.39, p=.00) according to selection of logic subject.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t=5.99, p=.02) according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4)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F=5.98, p=.00)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nursing. 4. Problem solving ability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ability(t=2.35, p=.02) according to clinical practice nursing education.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ability(t=18.91, p=.00) according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ability(F=7.92, p=.00)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nursing. 4)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ability(F=3.25, p=.02)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5. Pearson Correlation te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r=-.61, p=.00). In conclus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 간호 딜레마 사례에 따른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의 차이

        김수빈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51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간호관련법 지식, 윤리적 민감성, 윤리적 딜레마, 윤리적 의사결정을 측정하고 사례에 따른 윤리적 의사결정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일개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경력이 1년 이상인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의표출하여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0년 2월 25일부터 2020년 3월 31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설문지는 총 180부를 배부하였고, 그중 불성실한 응답을 16부를 제외한 총 164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여성이 151명(92.1%), 23-29세가 97명(59.1%), 무교가 120명(73.2%), 미혼이 119명(72.6%), 학사학위가 125명(76.2%), 임상경력이 1년이상 5년미만이 80명(48.8%),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108명(65.9%), 병동근무가 78명(47.6%), 법교육 이수 경험 있음이 148명(90.2%), 법교육 이수 시기가 대학 재학 중에만 109명(66.5%), 윤리교육 이수 경험 있음이 154명(93.9%), 윤리교육 이수 시기가 대학 재학 중에만 118명(72.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2. 연구대상자의 간호관련법 지식은 총점평균 20점 만점에 10.42±2.75, 윤리적 민감성은 평균평점 5점 만점에 평균 4.13±0.38점으로 나타났다. 3. 연구대상자의 사례별 윤리적 딜레마 여부는 강제투약 상황에서 딜레마가 아님 103명(62.85%), 신규간호사 오리엔테이션 상황에서 딜레마가 아님 100명(61.0%), 투약과오 상황에서 딜레마가 아님 118명(72.0%), 성인 말기환자 상황에서 딜레마임 107명(65.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4. 연구대상자의 사례별 윤리적 의사결정 여부는 강제투약 상황에서 ‘강제투약을 하겠다’ 141명(86.0%), 신규간호사 오리엔테이션 상황에서 ‘신규간호사 오리엔테이션을 하지 않겠다’ 93명(56.7%), 투약과오 상황에서 ‘투약과오를 보고하겠다’ 157명(95.7%), 성인 말기환자 상황에서 ‘말기환자의 질문에 답하지 않겠다’ 153명(93.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5.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관련법 지식은 법교육 이수 시기(F=5.15, p=.007), 윤리교육 이수 시기(F=6.96,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윤리적 딜레마는 투약과오 상황에서 법교육 이수 시기(χ²=7.23, p=.027), 성인 말기환자 상황에서 근무부서(χ²=7.14, p=.02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연구대상자의 사례에 따른 윤리적 의사결정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강제투약 상황에서 윤리적 딜레마에 따라 윤리적 의사결정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χ²=6.42, p=.011). 둘째, 신규간호사 오리엔테이션 상황에서 윤리적 의사결정은 윤리적 딜레마(χ²=11.06, p=.001)와 윤리교육 이수 시기(χ²=6.19, p=.04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투약과오 상황에서 윤리적 의사결정은 윤리적 딜레마(χ²=18.76, p<.001)와 근무부서(χ²=8.06, p=.01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성인 말기환자 상황에서 근무부서에 따라 윤리적 의사결정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χ²=11.54, p=.003). 이상의 결과로부터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은 사례에 따라 다르며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도 다름을 알 수 있다. 이에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능력 향상을 위하여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개발과 개발된 사례별로 법적·윤리적 측면의 실제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ttempted to measure the knowledge of nursing-related law, ethical sensitivity, ethical dilemma, and ethical decision-making by clinical nurses and to identify differences in ethical decision-making according to cases. In this study, clinical nurses with more than one year of clinical work experience at a general hospital in Busan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questionnaire surve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5 to March 31, 2020. A total of 18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164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chosen to conduct final analysis, which means the remaining 16 copies are excluded as their responses were unfaithful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the SPSS WIN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it includes 151 women (92.1%) wherein the number of the participants aged from 23 to 29 years old are 97 (59.1%). The number of the participants with no religion are 120 (73.2%). The number of the participants who are unmarried are 119 (72.6%). The number of the participants with a bachelor’s degree are 125 (76.2%). The number of the participants with more than 1 year of clinical experience and less than 5 years are 80 (48.8%). Speaking of positions, 108(65.9%) are general nurses and 78(47.6%) are ward nurses. The number of the participants with experience in legal education reached 148(90.2%). There were 109 participants (66.5%) who have completed legal education while attending college. In addition, there were 154 participants (93.9%) who have experience in ethics education and 118 students (72.0%) who have completed ethics education only during college. 2. The knowledge of nursing-related law was 10.42±2.75 out of 20 on average, and ethical sensitivity was 4.13±0.38 out of 5 on average. 3. The ethical dilemma of each participant was not a dilemma in the case of compulsory medication (103 participants comprising 62.85%), not a dilemma in the new nurse orientation situation (100 participants comprising 61.0%), not a dilemma in the case of medication mismanagement (118 participants comprising 72.0%). and the highest proportion of dilemma (107 participants comprising 65.2%) in the terminally ill patients. 4. The ethical decision-making by case of the participants includes 141 participants (86.0%) who answered that they would ‘inject medication’ under the forced dosing situations, 93 participants (56.7%) who are on their first year as a nurse and answered that they would skip ‘new nurse orientation’, 157 participants (95.7%) who would ‘report medication error’ under the circumstance of medication error, and 153 (93.3%) participants who would not ‘answer the questions with regard to the terminally ill patients’ in the case of terminally ill patients who are adults. 5. The knowledge of nursing-related law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eriod of completion of legal education (F=5.15, p=.007) and the period of completion of ethical education (F=6.96, p=.001). The ethical dilemma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eriod of completion of legal education (χ²=7.23, p=.027) in the case of medication errors and the working department (χ²=7.14,p=.028) in the terminally ill patients. 6. There was a difference in ethical decision making according to the case of the study participan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thical decision making according to the ethical dilemma in the forced medication situation (χ²=6.42, p=.011). Second, in the orientation of new nurses, ethical decision-mak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ethical dilemma (χ²=11.06, p=.001) and the time to complete ethical education (χ²=6.19, p=.045).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thical decision-making according to the ethical dilemma(χ²=18.76, p<.001) and the work department(χ²=8.06, p=.018) in the case of medication errors.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thical decision-making according to the work department in the circumstance of the terminally ill patients (χ²=11.54, p=.003).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ethical decision-making of clinical nurses varies from case to case and factors affecting it are also different.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ability of clinical nurses to make ethical decision-making, it is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s in terms of legal and ethical aspects by developing cases of ethical dilemma.

      •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경력과 신생아/영아 욕창위험도 사정 도구(Neonatal/Infant Braden Q Scale) 측정점수와의 관계

        백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51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경력과 신생아/영아 욕창위험도 사정 도구인 Neonatal/Infant Braden Q Scale 측정점수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향후 Neonatal/Infant Braden Q Scale의 측정자간 일치도를 높이기 위한 중재 방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신생아의 욕창위험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욕창 예방 간호를 시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일 개 상급종합병원의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 12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자료수집은 2023년 8월 3일부터 2023년 8월 24일까지 서면 조사 방법을 활용하였다. 신생아/영아 욕창위험도 사정 도구는 McLane 등(2004)이 개발한 Neonatal/Infant Braden Q Scale을 김경란 등(2012)이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고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Neonatal/Infant Braden Q Scale 측정 점수의 일치도는 ‘전반적 신체상태’100%, ‘감각기능’89.6%, ‘움직임’82.4%, ‘조직관류와 산소화’80%, ‘활동상태’79.2%, ‘영양 상태’65.6%, ‘마찰-쓸림’54.4%, ‘피부습기’42.4%로 나타났다. 2) Neonatal/Infant Braden Q Scale의 욕창위험군(19점 이하)과 비위험군(20점 이상)으로 분류하였을 때 125건 중 119건(95.2%)이 일치하였다. 3)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경력군별 Neonatal/Infant Braden Q Scale 측정 점수의 일치도는 임상경력 1년 미만의 경우 69.8%, 임상경력 1년 이상 3년 미만의 경우 66.1%, 임상경력 3년 이상의 경우 75.6%로 나타났다. 4)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경력과 Neonatal/Infant Braden Q Scale 측정 점수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r=.765, p=.010)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신생아중환자실 임상경력 1년 미만의 간호사들에게 Neonatal/Infant Braden Q Scale을 사용함에 있어 객관적 판단을 도울 수 있는 교육을 적용해야 하며, 국내 상황에서 미비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한 욕창위험 도구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의학의 발달로 인해 증가한 신생아 중환자들에게 정확하고 체계적인 욕창 간호를 제공해야 함을 제언한다. 주요어 : 욕창, 위험사정, 신생아, 일치도, 신뢰도 학 번 : 2022-26453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aimed at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linical experience of neonatal intensive care unit(NICU) nurses and the measurement scores of the Neonatal/Infant Braden Q Scale, a tool for assessing the risk of pressure ulcers in neonates and infants. The research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to increase inter-rater reliability in Neonatal/Infant Braden Q Scale measurements. Furthermore, it seeks to contribute to accurately assessing the risk of pressure ulcers in neonates and implementing appropriate pressure ulcer prevention nursing care. The study targeted 12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at a tertiary hospital located in Gyeonggi do,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a written survey method from August 3, 2023, to August 24, 2023. The assessment tool for neonatal/infant pressure ulcer risk was the Neonatal/Infant Braden Q Scale, originally developed by McLane et al (2004), and adapted into Korean by Kim Kyung-ran et al (2012). Data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use of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atch percentage for Neonatal/Infant Braden Q Scale measurement scores among neonatal intensive care unit(NICU) nurses were as follows: 'General physical condition' 100%, 'Sensory perception' 89.6%, 'Mobility' 82.4%, 'Tissue perfusion and oxygenation' 80%, 'Activity' 79.2%, 'Nutritional' 65.6%, 'Friction-Shear' 54.4%, 'Moisture' 42.4%. 2) When classifying Neonatal/Infant Braden Q Scale scores into pressure ulcer risk(19 points or below) and no risk(20 points or above), out of 125 cases, 119 cases(95.2%) showed agreement. 3) The match percentage for Neonatal/Infant Braden Q Scale measurement scores among NICU nurses based on clinical experience groups were as follows: for those with less than 1 year of clinical experience, 69.84%; for those with 1 year or more but less than 3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66.1%; and for those with 3 years or more of clinical experience, 75.56%. 4) The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experience of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and Neonatal/Infant Braden Q Scale measurement scores (r=.765, p=.010)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bove, it is recommended to implement education that facilitates objective judgment using the Neonatal/Infant Braden Q Scale for novice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with less than one year of clinical experience. Emphasis is placed on the necessity of conducting studie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pressure ulcer risk assessment tools for vulnerable newborns in the domestic context. Furthermore, it is proposed that accurate and systematic pressure ulcer care should be provided to critically ill newborns, considering the increased number of such cases due to advancements in medicine.

      • 시뮬레이션기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뇌졸중환자 사례 중심으로

        김수경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5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stroke patients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with 42 nursing students. An experimental group (n=21) participated in the simulation-based education and a control group (n=21) received study materials and self study. The simulation-based education was conducted and evaluated from October 1st, 2013 to March 10th, 2014, constructed simulations of three situations of stroke patients and conducted for 10~15 minutes and debriefed for 45-60 minutes per one sess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ies were used in order to evaluate effects of the simulation-based education.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X² test, t-test, Mann-Whitney U test, and ANCOVA by IBM SPSS 20.0 statistic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than control group. Conclusions: Result indicate that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COVID-19상황에 공공의료기관 임상간호사의 소진과 재직의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문윤정 한양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35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degree of exhaustion, resilience, and intention of employment among clinical nurses in public health institutions in COVID-19 situations, and the mediated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haustion and tenure. The data collection was implemented from 22 February to 5 March 2021,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nurses who have worked at a public medical institution in Seoul for more than six months and participate in direct nursing. A total of 135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131 copies were retrieved, and 120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11 unfaithful responses. The data analysis method used the SPSS 25.0 program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hile the reliability of the tool used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average age was 31.0±5.40, gender was 115(95.8%) women, marriage status was 93 unmarried(77.5%), total clinical experience was 6.54±5.71years, current department experience was 3.06±2.68 years, 3 shifts were 110 (91.7%), and 87.7% were not transferred. 2. The level of exhaustion of subjects averaged 3.31±0.6 on a 5-point scale, followed by 3.83±0.71 points for physical, 3.26±0.72 points for mental, and 2.93±0.72 points for emotional. The resilience averaged 3.18±0.47 on the 5-point scale, followed by 3.90±0.63 on the support scale, 3.28±0.56 on persistence, 3.09±0.65 on optimism, 3.02±0.52 on toughness, 2.94±0.68 on the 8-point scale, and 4.68±1.46 on the service. 3. The target person's intent to serve is exhausted(r=-.69, p<.001) has an inappropriate relationship. Resilient elasticity(r=.47, p<.001) has been shown as a static correlation. 4.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is a mediated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haustion and intention to serve, exhaus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serve in phase 2, and the parameter resil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β=.17,p<.001), which accounted for 49.3 per cent. The exhaustion of the independent variable in phase 3 β=-.59 It was shown that recovery elasticity has a mediating effect because it is less than the two-stage β=-.68 value at 59, an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s exhaustion and the parameter resilience are both significant to the dependency 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ind that resilience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haustion of clinical nurses caring for general hospitalized patients in public health institutions in COVID-19 situations. Therefore, a strategy is needed to manage exhaustion and resilience to increase the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to serve.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 공공의료기관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소진, 회복탄력성과 재직의도의 정도와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소진과 재직의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21년 2월 22일부터 3월 5일까지 시행하였고, 연구 대상자는 S 시에 소재한 일개 공공의료기관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자로서 직접간호에 참여하는 간호사이다. 설문지는 총 135부를 배포하여 131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한 응답 11부를 제외한 12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분석 및 Baron과 Kenny의 3단계 절차를 이용한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 후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실시하였다.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계수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평균 연령은 31.0±5.40세, 성별은 여성이 115명(95.8%)이었고, 결혼 여부는 미혼이 93명(77.5%), 총 임상경력은 평균 6.54±5.71년, 현 부서 경력은 평균 3.06±2.68년이며, 근무 형태는 3교대가 110명(91.7%), 근무부서는 내과 병동 44명(36.7%)이, 이직 경험 없음이 87명(72.5%), 부서 이동 경험 없음이 80명(66.7%)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소진 정도는 5점 척도에 평균 3.31±0.6점이며, 하위 요인별로 신체적 소진 3.83±0.71점, 정신적 소진 3.26±0.72점, 정서적 소진 2.93 ±0.72점 순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 정도는 5점 척도에 평균 3.18±0.47점이었으며, 하위 요인별로 지지력 3.90±0.63점, 지속성 3.28±0.56점, 낙관성 3.09±0.65점, 강인성 3.02±0.52점, 영성 2.94±0.68점 순으로 나타났다. 재직의도는 8점 척도에 평균 4.68±1.46점이었다. 3. 대상자의 재직의도는 소진(r= -.69, p<.001) 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회복탄력성(r= .47, p<.001)과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소진과 재직의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2단계에서 소진이 재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3단계에서도 매개변수인 회복탄력성이 종속변수인 재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β=.17,p<.001) 설명력은 48%였다. 독립변수인 소진이 3단계 β=-.59으로 2단계 β=-.68값보다 작아 회복탄력성은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독립변수인 소진과 매개변수인 회복탄력성이 모두 종속변수인 재직의도에 유의하여 회복탄력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COVID-19 상황에 공공의료기관의 일반입원 환자를 돌보는 임상간호사의 소진과 재직의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중요한 매개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임상간호사의 재직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진을 낮추고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 암전문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 의사결정능력,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정삼출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35

        본 연구는 암전문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 의사결정능력,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K도에 소재한 516병상의 K병원에 근무하는 암전문병원 간호사로 본 연구에 동의한 150명이다. 연구 도구는 총 8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윤진(2004)이 개발한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간호사의 임상 의사결정능력은 Jenkins(1985)가 개발한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in Nursing Scale(CDMNS)를 백미경(2005)이 번역, 수정한 임상 의사결정능력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Paula (1978)가 개발한 Atittude Scale to Measure Occupational Satisfaction of Hospital Nurses 를 한창복(1995)이 번역하고 박현태(1997)가 수정 보완한 직무만족도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총점평균 97.13점이며, 대상자의 임상 의사결정능력은 총점평균 136.89점을 보였다. 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총점평균 63점을 보였다. 2.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근무부서(F=4.426, p=.005), 직위(F=9.346, p=.000)에 따라, 대상자의 임상 의사결정능력은 직위(F=10.667, p=.000)에 따라, 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평균급여(F=6.779, p=.002), 총 근무경력(F=2.701, p=.033), 직위(F=5.423,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 의사결정능력(r=.500, p=.000) 및 직무만족도(r=.125, p=.030)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대상자의 임상 의사결정능력과 직무만족도(r=.310, p=.000)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암전문병원 간호사가 업무에 있어서 의사결정시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을수록 임상 의사결정능력도 향상되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개인의 인지과정을 통해 능동적으로 해결할 때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또한 상승되며, 암전문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임상 의사결정능력, 직무만족도가 정적 상관관계를 이루었으므로 이에 초점을 둔 교육과 행정지원이 필요하다. The Relationships amo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Job Satisfaction in the Cancer Center Nurse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understand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job satisfaction of cancer center nurses and investigate their relationships. The study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50 nurses working at the Cancer Canter located in Gyeonggi-do. The stastic program, SPSS WIN17.0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elow were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1. As for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howed the mean of 97.13, of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showed the mean 136.89 and the job satisfaction was the mean 63. 2.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the subject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working department (F=4.426, p=.005), position (F=9.346, p=.000). In case of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of the study participants,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according to job position (F=10.667, p=.000). Furthermore, as for the job satisfaction,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verage year based salary (F=6.779, p=.002), total working experience (F=2.701, p=.033) and job position (F=5.423, p=.005). 3.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linical decision making (r=.500, p=.000) and job satisfaction (r=.125, p=.030). In addition,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r=.310, p=.000)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job satisfaction exists. Namely, it can be expected that in the individual or business affairs, when cancer center nurses solve problems and make decisions, the higher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o judge and think for themselves is, the more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becomes and when they solve problems for themselves and choose alternatives and positively solve them through individual recognition courses, the job satisfaction of nurses also ris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n institutional measure and program development to improve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are required in order to raise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ancer center nurses.

      • 국내 문헌을 통한 의료기관 중심 가정간호서비스의 환자 성과

        유진순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35

        의료기관 중심 가정간호는 2001년부터 제도화되어 병원에서 가정으로 퇴원하는 환자들의 건강관리를 위해 이용되고 있다. 가정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정전문간호사는 환자 집을 방문하여 독자적으로 치료적 간호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므로 높은 수준의 자질과 능력이 요구된다. 또한 가정은 병원과는 달리 통제가 되지 않는 간호환경이므로 제공된 서비스에 대해 환자의 건강결과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서비스의 질과 관련되는 것으로 가정간호 환자 성과를 기반으로 한 질 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2017년 8월 31일까지 게재된 논문 중 의료기관 중심 가정간호서비스의 환자성과를 측정한 문헌을 검색하여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총 2,475편의 논문을 검색하였으나 이중 중복게재논문, 가정간호와 관련이 없는 논문, 2차 문헌 연구는 제외하여 총 60편의 논문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논문들은 Huffman(2004)이 제시한 임상적 성과, 기능적 성과, 의료적 성과, 재정적 성과 및 환자 만족도 성과, 총 5개의 환자 성과 범주와 유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국내 의료기관 중심 가정간호 환자의 성과를 측정한 논문은 임상적 성과 15편, 기능적 성과 18편, 의료적 성과 12편, 재정적 성과 19편, 환자 만족도 성과 38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간호가 제도화된 이후부터 노인 장기요양제도 시행 전 (2001-2007년)까지가 국내 가정간호서비스가 활성화되는 시기로 환자 성과에 대한 논문도 29편으로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다. 5개 범주의 환자 성과를 측정한 논문을 분석한 결과, 임상적 성과는 가정간호군과 비가정간호군 간 우울, 통증, 불안 등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산모에서는 가정간호 후 우울, 불안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성과는 가정간호군과 비가정간호군 간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자가간호능력, 근골격 기능 등에서 대부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술환자에서 가정간호 적용 후 기능상태의 호전을 보였다. 의료적 성과에서는 가정간호군과 병원간호군 간 합병증 발생과 의료기관 이용률에 차이가 없었다. 재정적 성과에서는 가정간호서비스가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 만족도 성과에서는 가정간호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85.4점(%), 삶의 질은 평균 60.9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 중심 가정간호서비스의 환자 성과를 다양한 측면에서 처음으로 분석한 것에 큰 의의가 있다고 본다. 향후 가정간호서비스가 대상자에게 좋은 서비스로 인식되고 더욱 확대되기 위해서는 임상적 성과, 기능적 성과, 의료적 성과를 입증하는 연구가 많아져야 한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정부 주도하에 표준화된 가정간호서비스의 질 관리 프로그램을 마련이 필요하다. Hospital based home healthcare services have been regulated since 2001 and is still being used for the health care of patients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to the home. Home healthcare nurses who provide home healthcare services are required high level qualifications and abilities because they need to visit their patients and provide their own therapeutic nursing services. It is also important to assess the patient's health outcomes for the services provided, since the home is an uncontrolled nursing environment unlike the hospital. This is related to the quality of service,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quality indicator based on patient’s outcom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search and analyze the documents measuring the patient outcomes of hospital based home care services among domestic papers published until August 31, 2017. A total of 2,475 papers were searched and 60 papers were used for the analysis, except for duplicate, not relevant to home healthcare, and secondary literature study papers. This papers were analyzed the Huffman’s five categories and types of patient outcomes: clinical outcome, functional outcome, medical outcome, financial outcome, and patient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5 clinical outcome, 18 functional outcome, 12 medical outcome, 19 financial outcome, and 38 patient satisfactions outcome. The study of the patient outcome was most actively conducted (29 papers) in the period from the institutionalization of home care service in Korea to the implementation of long - 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2001-2007).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five categories of patient outcomes showed that the clinical outcom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epression, pain, and anxiety among home care group and non – home care group, but depression and anxiety after maternal care is decreased. Functional outcom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 – care abilities, and musculoskeletal function between the home care group and the non – home care group. However, the functional status of surgical patients was improved after home care servic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mplication occurrence and hospital utilization rates in medical outcomes between home care group and hospital care group. In financial outcome, home care service has shown to be cost effective. In the patient satisfaction outcome, the average satisfaction rate of home care service was 85.4 (%) and the quality of life was 60.9.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is analyzing patient outcomes of hospital based home healthcare service in Korea in various aspects for the first time. In order for the home healthcare service to be recognized as a good service for the patients and expanded in the future, there needs to be more research confirming the improvements in clinical outcome, functional outcome, and medical outcome associated with the service. Based o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andardized quality management program for home health care services under government initi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