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기술·가정 교사들의 교수·학습 지도에 관한 직무만족도 연구

        고현수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사들의 교수·학습지도에 관한 직무만족도를 조사하여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기술·가정 교사들의 직무만족 및 기술·가정 교과운영의 개선을 위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술·가정 교사들의 교수·학습지도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으며,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기술·가정 교사들의 개인적 특성 중 교사의 경력, 학교유형, 그리고 학급 수에 따라 교수 학습 및 지도에 관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교 기술· 가정 교사들의 교사 간, 학생들과의 관계는 교수· 학습지도에 관한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현재 중학교 기술·가정 교사들은 동료 간과 학생들과의 관계에서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교 기술·가정 교사들의 교과 운영여건 교수·학습지도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그 만족수준은 높지 않았다. 넷째, 학교 기술·가정 교사들의 복지 및 근무여건은 교수·학습지도에 관한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기술·가정 교사들의 복지근무여건에 대한 긍정적인 만족수준을 나타냈다. 다섯째, 중학교 기술·가정 교사들의 복지 및 근무여건은 교과운영 여건 형태에 영향을 주었다. 이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교사들의 교수·학습지도에 관한 변인과 만족도 요소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기술·가정 교사들의 직무만족도 향상 및 교과운영개발에 기본 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useful for an improvement of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teaching and study guidance by the middle school teacher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by surveying their job satisfaction degree and analyzing the factors that exert an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attain such purpose of this thesis, the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for the teaching and study guidance by those middle school teachers was taken as the main subject for this study, the result of which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eachers’ job experiences, school types, and the number of classes at schools are exerting the largest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degree of teachers. Secondary, rel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between teachers and teachers are major factors exerting an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degree of teachers, and those relations are staying at the satisfactory level at present. Thirdly, the teaching conditions of those teachers at schools are exerting an influence on their job satisfaction degree, which is not staying at a high level at present. Fourthly, the fringe benefit and working conditions for teachers at schools, which also influence on their job satisfaction degree, are staying at a satisfactory level. Fifthly, the fringe benefit and working conditions for teachers are exerting an influence on teaching performance. The above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for the teaching and study guidance by the teachers of industry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nd their job satisfaction factors will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and data necessary for an improvement of their job satisfaction degree and teaching method development.

      • 건강가정 관점에서의 중학교 기술·가정‘가족의 이해’단원 내용분석 비교 : 2007개정과 2009개정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은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가족의 이해’단원에서 나타난 ‘가족’이 건강가정 관점으로 제시된 내용을 비교함으로써 공통점과 변화된 점을 체계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 성격, 내용체계 영역을 ‘건강가정 관점’으로 심층 분석 하였고, 11종의 2007 개정과 11종의 2009 개정 기술·가정교과서 ‘가족의 이해’단원을 건강가정 관점으로 본문 내용을 심층 분석 하였으며, 참고 및 활동자료, 사진과 그림은 계량 분석 하였다. 건강가정 관점인 7가지 분석요소는 다양한 가족 구조, 민주적 평등가족(가족 역할 공유), 가족 간의 갈등(문제해결), 열린 대화(의사소통), 사랑과 애정, 부모 역할 및 양육, 가족 공동 여가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를 비교 분석한 결과 2007 개정에 비해 2009 개정에서 건강가정 관점이 더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제시 되었고, 7가지 분석요소 중 가족 간의 갈등(문제해결)과 열린 대화(의사소통)가 많이 제시 되었다. 둘째, 교과서 단원 구성과 학습 목표는 2007 개정에 비해 2009개정의 대부분 교과서에서 ‘건강’요소가 더 명확하게 제시 되었다. 셋째,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과서의 본문에 나타난 건강가정 관점에 대한 내용을 7가지 분석요소로 살펴보면, 다양한 가족 구조면에서는 비슷하게 제시 하였지만, 2007 개정에 비해 2009 개정에서 가족구조 형태가 다양하며 건강가족이 되기 위해 가족과 사회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대부분의 교과서에 제시 되었다. 넷째, 가족의 기능은 2007 개정이 14가지이고, 2009 개정이 11가지로 줄었으나 더 강조된 기능은 정서적 안정, 휴식 및 여가, 애정, 자녀 출산, 경제(소비)기능이다. 이와 관련된 계량 분석에서 사진과 그림은 2009 개정이 2배정도 많았지만, 참고자료와 활동자료는 비슷하였다. 다섯째, 민주적 평등가족(가족 역할 공유)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이 역할 공유를 해야 한다고 제시 하였지만, 2009개정에서‘민주적’, ‘양성평등’, ‘결혼과 출산에 대한 태도’, ‘저 출산 현상’, ‘고령화’, ‘세대 간 협력’의 내용이 더 많았다. 여섯째, 가족 간의 갈등(문제해결)에서도 2009 개정에서 보다 많이 갈등의 부정적 영향과 긍정적 영향, 갈등을 잘 해결하는 가족이 건강한 가족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일곱째, 열린 대화 (의사소통)에서는 2009 개정의 모든 교과서에서 의사소통 구성요소가 제시 되었고, 2007 개정이 의사소통 걸림돌 설명을 3개 교과서에 더 제시 하였으며, 의사소통의 중요성, 의사소통을 이용한 갈등해결 방법은 서로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사랑과 애정, 가족 공동여가는 2007 개정에 비해 2009 개정에서 더 중요하게 제시되고 있다. 전체적으로 2007 개정 교육과정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건강가정 관점이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더 많이 강조 되었다.

      • 가정건강성 유형과 건강가정 프로그램 요구도 분석

        김성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가족의 가정건강성 유형과 건강가정 프로그램 요구도에 관해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건강가정 프로그램 변수에 따른 가정건강성 유형의 차이와 건강가정 프로그램 요구도의 차이를 파악하고, 가정건강성 유형에 따른 건강가정 프로그램 요구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건강성 유형은 가족관계지표(R/r), 자원관리지표(M/m), 외부관계지표(E/e)의 가정건강성 점수의 수준에 따라 8가지의 가정건강성 유형, 즉 RME, RMe, RmE, Rme, rME, rMe, rmE, rme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부모부양, 자녀양육, 노후대비 등 다양한 가족문제에 직면해 있는 중년층 가족으로 선정하였으며, 질문지 조사를 통해 최종 392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함께,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분할표 분석(χ2),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Scheffe-test 등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층의 가정건강성 유형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가족관계지표, 자원관리지표, 외부관계지표에서 모두 강점을 가지는 유형(RME)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일반적으로 가정이 건강한 편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족관계지표, 자원관리지표, 외부관계지표에서 모두 약점을 가지는 유형(rme), 가족관계지표만 강점을 가진 유형(Rme), 가족관계지표와 자원관리지표의 강점을 가진 유형(RMe)과 가족관계지표와 외부관계지표의 강점을 가진 유형(RmE)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층의 가정건강성 통계적으로 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수는 취업유형, 교육수준, 경제적 만족도, 가구 소득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성별, 연령, 맞벌이 여부, 가족 구성은 가정건강성 유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층의 건강가정 프로그램 요구도는 모든 영역의 프로그램에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자원관리영역’ 프로그램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넷째, 중년층의 건강가정 프로그램 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수는 연령, 교육수준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별, 취업유형, 맞벌이 여부, 경제적 만족도, 가구 소득, 가족 구성은 건강가정 프로그램 요구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정건강성 유형에 따른 건강가정 프로그램 요구도 관계는 외부관계유형에서만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외부관계 지표의 건강성 정도가 낮을수록 자원관리영역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보다 가정건강성 수준을 고려한 체계적인 건강가정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가정건강성 유형에 적합한 건강가정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이 구축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types of healthy family and the related program demands for healthy family.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 the eight types of family based on the index of healthy family were investigated. Also, the differences between family type and program demands for healthy family were also analyzed. The index of family health consists of three areas, including family relations(R), resource management(M), and environmental relations(E). Considering the scores of each area, a certain family type which provides the information on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family in each area was decided, using the upper and lower case, such as R/r, M/m, and E/e. Data were from 392 middle-aged, including the baby boomer generation in Korea, using survey.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cross-tabulation(χ2),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Scheffe-test were implemented.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trongest type of family(RME) indicating the strength in all the three areas, was the largest, followed by rme, Rme, RMe, RmE, and so on. Second, the effects of four variables, including employment types, educational attainment, the level of economic satisfaction, and household income, on the decision of family types based on the index,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level of the program demands of the middle-aged for healthy family program was relatively high. In particular, program demand for the area of resource management was the highest. Fourth, the effects of two variables, age and educational attainment, on the level of program demand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ea of environmental relationship and the program demand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on the program development and delivery system of services that could be implemented in the healthy family centers were provided.

      • 도시부부의 부부간 의사소통이 가정생활에서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유주희 숙명여자대학교 1983 국내석사

        RANK : 247807

        부부중심의 핵가족으로 변모해 가는 현대의 핵가족구조 내에서 부부간 의사소통은 부부관계의 유지측면에서 뿐 아니라, 가족구성원 개개인의 욕구충족과 가족전체의 목표실현을 위한 의사결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합리적 가정경영의 지침을 마련하는데 두 변인간의 상관을 알아보는 것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부부간 의사소통과 가정생활에서의 의사결정에 대한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고 이들이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며 부부간의 의사소통이 가정생활 각 영역의 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는 동시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를 규명함으로써 부부간의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바람직한 의사결정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부부의 의사소통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하며, 이는 사회인구학적변인(주부의 연령, 남편과의 연령차, 결혼유형, 주부의 교육수준, 가족형태, 자녀수)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도시부부의 의사결정은 가정생활 각 영역별로 어떠하며, 이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도시부부의 의사소통은 가정생활에서의 의사결정과 상호관련이 있는가? 넷째, 도시부부의 의사소통과 가정생활에서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이며, 그들의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부부간 의사소통과 상황, 태도, 성격, 가정생활의 각 영역 가정경제, 가사활동, 자녀양육, 가족행사 및 여가생활, 일반적 사항의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자녀를 1명 이상 둔 배우자가 있는 주부로 한정하였으며, 최종분석에 사용된 질문지는 총 433부였다. 표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F-test,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단계적 중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자료분석결과 결과 및 논의를 통하여 유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간의 의사소통의 평균은 중간점보다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부부간의 의사소통은 상황변인의 경우 가족형태 (p<.05)에서 성격변인의 경우 사회경제적 지위(p<.05)에서, 태도변인의 경우 학력(p<.05), 결혼유형(p<.05), 사회경제적 지위(p<.01)에서 의사소통전체 영역의 경우 학력(P<.05), 사회경제적 지위 (p<.0l)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가정생활 각 영역에 따른 의사결정은 가족행사 및 여가생활, 가정경제, 자녀양육, 가사활동의 순으로 부부공동결정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의사결정은 일방참여의 경우 가정경제 영역에서 학력(p<.01) 변인이, 자녀양육 영역에서 결혼유형(p<.01)이, 가족행사 및 여가생활 영역에서는 남편과의 연령차가(p<.01), 의사결정 전체 영역에서는 학력(p<.0l)이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공동참여의 경우 자녀양육영역에서 학력(p<.01), 사회경제적 지위(p<.05)가, 가족행사 및 여가생활 영역의 경우 연령(p<.001), 학력(p<.05), 결혼지속년수(p<.001)가, 의사결정 전체 영역의 경우 결혼지속년수(p<.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부부간의 의사소통에 따라 가정생활에서의 의사결정은 차이가 나타났는데, 의사결정의 일방참여에서 보다 공동참여에서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넷째, 종속변인인 부부간 의사소통과 가정생활에서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의사소통의 경우 남편과의 연령차(β=-.130), 사회경제적 지위(β=.157), 가정생활에서의 의사결정의 경우 일방참여에서는 남편과의 연령차(β=.125), 의사소통의 성격변인(β=.200), 공동참여에서는 결혼지속년수(β=-.145), 의사소통의 태도변인(β=.274), 성격변인(β=.131)의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 (1) to identify the overall levels of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decision making, (2) to investgate the relations between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decision-making, (3)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between communication husband and wife and decision-making. For the purpose reviewing literratures and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selected the samples from wives living in Seoul, who has children more than one and spouse. Among a toral of 650 respondents, 433 wives were finally selected as a data sources, and the others were discarde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ies, percentile, t-test, F-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t results are as follows: (1)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score was above average,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differs significantly according to wive's education level, socio-economic status. (2) Decision-making showed the tendency of "Syncratic type" in every fild. (Home economy, Hosehold Activity, Child bearing Family event and Recreation). And wive's education level, marrage duration were the variables influencing on decision-making. (3)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decision-making. (one side participation, r=.15/ Joint participation, r=.36) (4) Decision-making was dependently affected by the following variables in order : one side participation - age gap between husband and wife, socioeconomic status, joint participation - marrage duration, the attitude of communication, the personality of communication.

      •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가정교과 진로교육 관심 단계와 실행 수준 및 실태 : CBAM 모형에 기초하여

        최민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ages of concern,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assessment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bout career education, using the CBAM(the Concern Based Adoption Model). And its finding provides the basic materials of effective career education implementation. This study was surveyed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ll over the country except Jeju Island. After a survey was gathered by mail and e-mail, the responses form 118 teacher were analyzed by SPSS/WIN 12.0 program in terms of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ies, percentage, and independent-sample t-test were obtain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argest group of the teachers investigated considered the personal concern(stage 2: 86.56), but little gap between this stage and the informational concern(stage 1: 85.42) to which the second largest group belong. The third largest group considered the awareness concern(stage 0: 79.79). The fourth largest group had the reinforcement concern(stage 6: 77.02), and fifth largest group had the management concern(stage 3: 75.39). The sixth largest group considered consequence concern(stage 4: 65.81). Finally the smallest group had the collaboration concern(stage 5: 63.47). Second, level of use of the career education by home economics teachers was showed in the order of refinement(level 5: 33.1%), mechanical(level 3: 18.6%), renewal(level 7: 16.1%), orientation(level 1: 11.9%), preparation(level 2: 8.5%), routine(level 4: 6.8%), integration level (level 6: 3.4%), and non-use(level 0: 1,7%). Third, as per the result of research for teachers’ perception against career development goal for home economics sector, it was shown that the most important point considered by teachers is the understanding of diverse industry practices and formation of positive attitude and values against work’. The teachers have responded that they are generally conducting career education as shown in the ‘provision of career and career information’ o「Understanding Teenagers」chapter of a first-year middle school. They have also responded that the ‘lack of teaching materials available for career’ is the most challenging point, and have suggested ‘sharing and developing home economics career education materials’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faced. As shown above, the home economics teachers’ level of interest on career education seems to stand still only at a private and informative step but the level of conduct has been shown a bit high; therefore it can be analyzed that the teachers are less interested in career education but are evaluating their own level of conduct somewhat high. It is evident that the teachers are struggling with overall challenges such as lack of data, time, and expertise in conducting career path education during home economics classe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support such as development and supply as well as training opportunities would be beneficial. Especially, such education seems to stand still with minimal, simple teaching activities provided even though the home economics subject is considered more extensive than any other subjects. Hence, it is recommended that abovementioned support and opportunities that will enable various activities and creative experiences using those knowledge acquired in the classroom. 본 연구는 관심에 기초한 도입 모형(CBAM: the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을 활용하여 가정과 수업에서 진로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 단계와 실행 수준 및 실태를 파악하여 진로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진로교육의 실행을 위한 지원체제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은 제주지역을 제외한 전국 중학교 가정과 교사이며, 체계적 무선 표집에 의한 우편 설문과 편의 표집에 의한 이메일 설문을 통해 총 118부를 수집하여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 12.0을 활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독립적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은 개인적 관심(단계 2: 86.56)과 정보적 관심(단계 1: 85.42)에 머물러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지각적 관심(단계 0: 79.79), 강화적 관심(단계 6: 77.02), 운영적 관심(단계 3: 75.39), 결과적 관심(단계 4: 65.81), 마지막으로 협동적 관심(단계 5: 63.47)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실행은 정교화 수준(수준 5: 33.1%)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기계적 수준(수준 3: 18.6%), 갱신 수준(수준 7: 16.1%), 탐색 수준(수준 1: 11.9%), 준비 수준(수준 2: 8.5%), 일상화 수준(수준 4: 6.8%), 통합 수준(수준 6: 3.4%), 마지막으로 사용하지 않는 수준(수준 0: 1.7%)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과 진로개발 목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가정과 교사들은 ‘다양한 직업의 세계 이해 및 일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와 태도 형성’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가정과 교사들은 대체로 중학교 1학년 「청소년의 이해」단원에서 ‘진로 및 직업 정보 제공’과 같은 방법을 통해 진로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가정과 교사들은 진로교육을 실행하는 데 있어 ‘진로관련 수업 자료의 부족’을 가장 어려운 점으로 꼽았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정과 진로교육 관련 자료의 공유 및 개발’을 들었다. 이상과 같이 중학교 가정과 교사들의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 단계와 실행 수준 및 실태를 알아본 결과, 가정과 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은 개인적이고 정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에 반해 실행 수준은 다소 높은 수준인 정교화 수준으로 나타나, 교사들이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은 적으면서 자신의 실행 수준을 다소 높이 평가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교사들은 가정과 수업에서 진로교육을 실행하는데 자료, 시간, 전문 지식 부족 등 총체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므로, 관련 자료 개발과 보급 및 연수 기회 제공과 같은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특히, 가정 교과가 다른 어떤 교과보다 내용체계가 넓고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해 진로교육이 일과 직업의 이해 같은 단편적 교육활동을 제공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파악되므로, 가정교과 시간을 통해 습득한 진로 관련 지식과 직업을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교과 외 활동을 장려하는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을 적극 활용하는 등의 방안이 제기 된다.

      • 학위논문에 나타난 다문화가정 자녀의 모습

        박현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자녀수가 3만 명을 넘어섰다.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를 마주하게 되는 것이 그리 낯선 일이 아니게 된 것이다. 다문화가정 자녀는 가정의 배경이 대다수의 아동과 다르기 때문에 학교생활, 학업성취, 학교적응 등에서 연구자들의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연구는 학위논문에 나타난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시각이 어떠한지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의 시각은 문화 결핍적 관점과 문화 차이적 관점으로 나누었다. 문화결핍의 관점은 소수자 학생의 낮은 학업성취, 학교 부적응의 원인이 소수자 학생 자신의 문제와 가정배경 때문이라고 지목하는 것이다. 문화 차이적 관점에서는 학생의 문화가 주류문화와 다르기 때문에 학업성취에서 불리하며 교사와 학교가 학생 개인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더 노력해야 함을 요구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 논문의 78.5%에서 문화 결핍적 관점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를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 결핍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미지는 화석화되어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는 부적격 양육자아래 양육되었으며, 기초 학습 능력이 떨어지고, 잠재적 사회 불안을 야기하는, 폐쇄적인 학부모 슬하의, 사회성이 부족하여 집단 따돌림의 원인을 제공하며, 가정환경으로 인한 부적응이 있는 아이로 그려지고 있었다. 일반가정 자녀와 다문화가정 자녀는 집단으로써 차이가 크지 않음에도 내집단의 지배적인 관점에 의해 일반화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닌 고정된 집단으로 간주되고 있다. 내집단의 연구자들은 다문화가정 자녀가 가족구성, 생활 여건, 가정의 사회 경제적 수준, 가정의 지원, 체류 연한 등에 따라 개인적 다양성이 있음에도 학교 적응, 또래 관계, 학업 성취도, 언어 사용 등에서 같은 모습을 보인다고 가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문화가정 자녀를 문화 결핍적 관점으로 보는 것은 이들을 포용하여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는 데 걸림이 될 것이다. ‘다문화가정 자녀’는 집단을 구별하기 위한 용어가 아닌 개인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정체성 중 하나로 이해되어야 한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nd analyze persepectives of researchers towar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from various Master's and Doctorals theses. Persepectives toward minority students have long been divided into two sides. One is a cultural deficit perspective, which implies minority students are not able to succeed in school due to problems such as lack of language use or poor family support. The other one is a cultural difference perspective, which indicates that minority students have a hard time because of discontinuities between their home experience and school experiences. Several important findings emerged from this study. First, 78.5% of examined theses papers were found to present the cultural deficit perspective. Second, negative assumptions about multicultural students existed. The researchers presumed that the students had low academic achievement, potential to cause social problems, and could not adjust in school because of their background. Third, there are no notable distinctions between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ose of non-multicultural families. Finally, researchers categorized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s an out-group, even though there are few attributes to support thi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various backgrounds of students should be regarded as merely part of their identity not as a salient feature of their identity.

      • 가정과 교육에서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과 실행 : CBAM 모형에 기초하여

        이인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age of concern, level of use, an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regard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Home Economics(HE) classroom.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sent through mails and e-mails to middle-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in the whole country selected by systematic sampling and convenience sampling. Questionnaires of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developed by Hall (1987) were used in this study. 187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y using SPSS/window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for the stage of concerns of Home Economics teachers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formational stage of concerns (85.51) was the one with the highest response rate and the next high in the following order: operational stage of concerns (81.88), perceptual stage of concerns (82.15), consolidation stage of concerns (68.80), co-operational stage of concerns (61.97), and consequential stage of concerns (59.76). Second, the levels of use of Home Economics teachers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was highest with mechanical levels of use (level 3; 21.4%) and the next high in the following order: exploratory levels of use (level 1; 20.9%), elaborative levels of use (level 5; 17.1%), not-used levels of use (level 0; 15.0%), preparatory levels of use (level 2; 10.2%), integrated levels of use (level 6; 5.9%), renewal levels of use (level 7; 4.8%), routinized levels of use (level 4; 4.8%). Third, for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more than half of the Home Economics teachers (56.1%) mainly focused on personality education in their Home Economics classes; 31.0% of the Home Economics teachers performed both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a small number of teachers (6.4%) focused on creativity education; the same number of teachers (6.4%) responded that they do not focus on neither of the two.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55.1%) regarded a globally creative talent as someone who ‘accepts changes, cultivates future, knows no limit, and thus practical’. 30.5% of the participants chose ‘a creative person who suggests alternatives by being able to think outside the box’. 12.8% of the participants chose ‘a competent person who can exert his power anywhere on earth’ Examining the level and type of performance Home Economics teachers applied, the average score on the performance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was 3.76 out of 5.00 and the average score of creativity component was 3.59 and of personality component was 3.94, higher than standard. For the creativity education, openness/sensitivity (3.97) education was performed most and the next most in the following order: problem-solving skill (3.79), curiosity/interest (3.73), critical thinking (3.63), problem-finding skill (3.61), originality (3.57), analogy (3.47), fluency/adaptability (3.46), precision (3.46), imagination (3.37), and focus/ sympathy (3.37). For the personality education, the following components were performed in order from most to least: power of execution (4.07), cooperation/consideration/just (4.06), self-management skill (4.04), civic consciousness (4.04), career development ability (4.03), environment adaptability (3.95), responsibility/ownership (3.94), decision making (3.89), trust/honesty/promise (3.88), autonomy (3.86), and global competency (3.55). Regarding what makes perform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difficult, most Home Economics teachers (64.71%) chose the lack of instructional materials and 40.11% of participants chose the lack of seminar and workshop opportunity. 38.50% of participants chose the difficulty of developing an evaluation criteria or an evaluation tool while 25.67% of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do not know any means of perform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Regarding the better way to support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e Home Economics teachers chose in order from most to least: ‘expansion of hands-on activities for students related to education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4.34), ‘development of Home Economics classroom culture putting emphasis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4.29), ‘a proper class curriculum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at goes along with students’ development stages’ (4.27), ‘securing enough human resource and number of professors who will conduct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4.21),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and value of the education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4.09), and ‘educational promotion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supported by local communities and companies’ (3.94).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육에서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 단계와 실행 수준, 그리고 실행 실태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자료는 전국의 중학교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체계적 표집과 편의 표집을 하여 우편과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된 187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도구는 주로 Hall(1987)이 개발한 혁신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 수준에 대한 질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그 외는 선행연구를 기초하여 개발하였으며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자료는 SPSS/window(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 단계는 정보적 관심 단계(85.51)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개인적 관심 단계(85.18), 운영적 관심 단계(81.88), 지각적 관심 단계(82.15), 강화적 관심 단계(68.80), 협동적 관심 단계(61.97), 그리고 결과적 관심단계(59.76)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실행 수준은 기계적 실행 수준(수준 3; 21.4%)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탐색 수준(수준 1; 20.9%), 정교화 수준(수준 5; 17.1%), 사용하지 않는 수준(수준 0; 15.0%), 준비 수준(수준 2; 10.2%), 통합 수준(수준 6; 5.9%), 갱신 수준(수준 7; 4.8%), 일상화 수준(수준 4; 4.8%) 순이었다. 셋째,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실행 실태를 조사한 결과, 반 이상의 가정과 교사(56.1%)는 가정과 수업에서 인성 교육에 치중하고 있으며, 31.0%의 교사는 창의·인성 교육을 모두 실행한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소수의 교사(6.4%)는 창의성 교육을 실행한다고 응답하였고 같은 수의 교사(6.4%)는 창의성과 인성 교육 어느 것도 실행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절반 이상의 가정과 교사들(55.1%)은 가정과에서 글로벌 창의인재를 ‘변화를 수용하고 미래를 개척하며 무한히 성장하는 실용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하였고, 30.5%의 가정과 교사는 ‘고정관념을 뛰어넘어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창의적인 사람’, 12.8%의 가정과 교사는 ‘지구촌 어느 곳에서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는 능력있는 사람'이라고 응답하였다. 가정과 교사의 창의·인성 교육 요소의 실행 정도를 조사한 결과, 창의·인성 교육 요소의 실행은 평균은 5점 만점에서 3.76이었고 창의성 요소의 평균은 3.59, 인성 요소의 평균은 3.94로 보통보다 높았다. 창의성 교육 요소의 실행 정도에 대해서, 개방성/민감성(3.97)을 가장 많이 실행하였고 다음으로 문제해결능력(3.79), 호기심/흥미(3.73), 비판적 사고(3.68), 논리/분석적 사고(3.63), 문제발견능력(3.61), 독창성(3.57), 유추성(3.47), 유창성/융통성(3.46), 정교성(3.46), 상상력(3.37), 몰입/공감(3.37)의 순으로 실행하였다. 인성 교육 요소는 실천력(4.07)을 가장 많이 실행하였고, 다음으로 협동/배려/공정(4.06), 자기관리능력(4.04), 시민의식(4.04), 진로개발능력(4.03), 환경친화능력(3.95), 책임(감)/소유(3.94), 의사결정능력(3.89), 신뢰/정직/약속(3.88), 자율성(3.86), 글로벌역량(3.55)의 순으로 실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인성 교육을 실행할 때 어려운 점으로, 많은 가정과 교사(64.71%)는 창의·인성 교육을 실행할 수업 자료가 부족한 데 있다고 하였으며, 40.11%의 교사는 창의·인성 교육의 연수 기회가 적은데 있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38.50%의 가정과 교사는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평가 기준을 설정하거나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어렵다고 응답하였고, 25.67%의 교사는 창의·인성 교육 방법을 모른다고 응답하였다. 창의·인성 교육 실행을 위해서 필요한 지원에 대해서, '창의·인성 교육과 관련된 학생들의 체험활동의 확대'(4.34), '창의성과 인성을 중시하는 가정과 수업 문화 조성'(4.29), '학생 발달 단계에 적합한 창의·인성 교육 내용'(4.27), '창의·인성 교육을 담당할 교수·인력 확보'(4.21), '창의·인성 교육의 개념과 가치 확립'(4.09), '지역 사회·기업 등과 연계한 창의·인성 교육 추진'(3.94)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 작품 내용 분석을 통한 아동 다문화문학 선정 기준 탐색

        김부경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다수자와 소수자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교육의 도구로 다문화문학을 제안하고 한국 다문화사회의 현실을 반영하여 다문화문학을 정의하며 다문화문학의 내용 분석을 통해 다문화문학 선정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이 연구는 다문화문학을 문학적 범주와 문화적 범주로 나누어 내용을 분석하고 두 가지 범주에 따른 선정 기준을 제시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논문에서는 다수자와 소수자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교육의 도구로 다문화문학을 제안하였다. 다문화문학은 작품이 배경으로 묘사하는 특정 문화에 대한 공감적 이해를 가능하게 하고 등장인물의 경험과 감정을 간접적으로 체험함으로써 자신과 다른 인종적, 문화적, 언어적 배경을 지닌 사람들을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그러나 문화적 사실성이나 정확성이 결여되어 있거나 고정관념에서 비롯된 다문화문학은 특정 집단이나 문화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심어주기 쉽다. 따라서 다문화교육의 도구로서 다문화문학은 문학적 가치와 동시에 문화적 가치를 지닌 작품이어야 한다. 다문화문학을 통해 다문화교육을 실시하기에 앞서 가치 있는 다문화문학을 선정하는 작업이 반드시 요구되는 것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한국 다문화사회의 현실을 반영하여 다문화문학을 정의하고 다문화문학을 문학적 요소로 문화적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문학 선정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다문화문학의 정의에 대해 학자마다 다양한 견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문화문학이 언어적, 문화적, 인종적으로 주류가 아닌 사람들에 대한 문학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다문화문학을 결혼이민지와 이주노동자, 탈북자의 한국 정착기를 그린 문학, 그들의 민족 집단과 출신 국가를 배경으로 그들의 문화가 구체적으로 드러나 있는 문학으로 정의하고 국내에 출판된 다문화문학 중 30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 아동문학 선정 기준 및 아동다문화문학 선정 기준에 대한 앞선 연구를 바탕으로 문학적 범주의 분석 요소로 인물, 갈등의 양상, 사건의 해결 방식, 주제를 설정하고 문화적 범주의 분석 요소로 소수집단의 문화, 다수자의 편견 및 고정관념을 설정하였다. 다문화문학에 묘사된 등장인물의 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등장인물은 피부색이 까무잡잡하고 쌍꺼풀이 짙거나 눈이 큰 모습으로 정형화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또 성격은 소극적이고 자기방어적인 모습과 함께 폭력적인 말과 행동을 보이기도 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한국인 가정 등장인물은 선악의 양분화된 모습으로 묘사된 작품이 많았다. 갈등의 양상을 분석한 결과 인물 내적 갈등은 다문화가정 등장인물이 경험하는 정체성 갈등과 한국인 가정 등장인물이 다수자로서 경험하는 내적 갈등으로 유형화되어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등장인물이 경험하는 정체성 갈등의 경우 그 원인이 한국인 가정 등장인물의 편견과 고정관념에서 비롯된 것으로 묘사된 작품이 많았다. 특히 불법 체류자의 경우 단속과 추방에 대한 두려움에 시달리는 것으로 묘사된 작품이 많았고, 이주노동자 가정이 경험하는 교육, 의료, 복지 제도에서의 소외 현상도 묘사되었다. 인물과 인물간의 갈등은 다문화가정 내에서 가족 구성원 사이에 발생하는 갈등과 다문화가정 등장인물과 한국인 가정 등장인물 사이에 발생하는 갈등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인물과 사회와의 갈등은 이주노동자의 인권과 처우에 대한 국내 법과 제도에서 주로 나타났다. 사건의 해결 방식 분석 결과 자력 해결의 경우 등장인물의 의식과잉과 높은 도덕적 사고가 두드러졌으며 한국인 가정 등장인물이 다문화가정 등장인물을 조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양상에서도 같은 문제가 발견되었다. 다문화문학이 추구하는 주제는 차별과 편견의 제거 및 다양성 존중, 우정, 소수 집단의 긍정적 자아정체성, 가족애, 타문화 이해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문화적 범주에서 소수집단 문화가 묘사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소수집단의 언어는 인사말과 같은 기초적 회화 표현이 주를 이루었으며 북한을 배경으로 하는 다문화문학의 경우 남북한 언어 차이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가장 많이 다루어지는 문화 요소는 전통 음식이나 전통 의상과 같은 생활 방식이었으나 이러한 전통이 다문화가정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있는 것으로 묘사되기보다는 특별한 날, 특별한 계기에 의해 재현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었다. 이주목적에 따라 결혼이주여성과 이주노동자, 탈북자에 대한 다수자의 편견 및 고정관념이 묘사되어 있었고 출신 국가의 경우 일본을 배경으로 하는 다문화가정 등장인물에 대한 다수자의 편견 및 고정관념이 묘사되어 있었다. 이주해 온 국가가 한국에 비해 경제적 발전이 느린 경우 이에 대한 다수자의 편견과 고정관념이 폭력적인 언어와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위의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아동 다문화문학 선정 기준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문학적 측면의 선정 기준은 ‘등장인물의 외모와 성격

      • 기술․가정교과 의생활영역 분석 및 학생의 의식 조사연구

        오지연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M. A. Thesis A Study on Analysis for Clothing Section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Research of Students’ Awareness Ji-Yun Oh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Youn-Soon Lee) Abstract Today home economics curriculum as liberal education based on knowledge of home economics aims family life in a better environment, by considering some issues on home and family, and between environmental and human nature, further and interactions, and emphasizes putting a theory into practice. The contents of clothing in home economics textbooks should reflect the reality of life and should include practical information that can be applied in real life and futur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study on learner’s practical awareness of clothing handling in the textbook. Specificall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bove all, this study analyzed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o the seventh of curriculum of 8th grade(sophomore in middle school) and 10th grade(first year in high school) and researched middle and high students’ awareness(understanding, satisfaction, utilization, object of discussing, learning method, satisfaction on the organizing of textbook, needing to improve and improvement).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ovide the interesting about clothing sec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a reference as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and modification. This study was collected data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f Dalseo-gu, Buk-gu, Suseong-gu and Dong-gu in Daegu and was verified empirically on the basis of total 757 useful materials by using SPSS 17.0. Clothing section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to the seventh of curriculum is organized in 8th grade(sophomore in middle school) and 10th grade(first year in high school)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educational contents of clothing section are as follows. In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 the clothing section is composed of unit 「buying clothes and maintaining」, including units ‘the function of clothes and appearance’, ‘the plan to buy clothes and purchase’, ‘repairing clothes and maintaining’ and ‘making clothes and recycling’. It is used a slightly different unit title of each textbook or two units are combined. In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 the clothing section is composed of unit 「real family life」 in the eleven textbooks and 「beautiful home」 in the one textbook. The units are similarly composed of ‘making living products using fabric’ and ‘making living products using cloth’. The results of researching awaren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bout clothing section are as follows. The results showed that ‘making clothes and recycling’ and ‘making living products using fabric’ are lower than ‘the function of clothes and appearance’, ‘the plan to buy clothes and purchase’ and ‘repairing clothes and maintaining’ according to the awareness of the students about clothing section. ‘Making clothes and recycling’ and ‘making living products’ are composed of the unit based practice, but the improvement is needed on the course content, teaching method and curriculum organization to meet the need of students who want to learn how to apply in real life. In addition, adolescent must have an ability to manage with clothing independently by understanding a basic knowledge in the clothing field and applying to real life through proper clothing education. 기술&#8228;가정교과 의생활영역 분석 및 학생의 의식 조사연구 오 지 연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 연 순) 요 약 오늘날의 가정교과는 가정학의 지식체계에 근거한 교양교육으로서 가정과 가족, 그리고 환경과 인간의 본질 및 상호작용 등을 다루어 가정생활이 보다 좋은 환경에 놓이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론을 실제생활에서 적용하고 실천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가정과의 교육내용 중 의생활과 관련된 교육내용은 현실생활을 반영하여야 하며, 학습자의 실생활에 활용되고 발전되어 앞으로의 생활에까지 적용될 수 있는 실천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볼 때, 의생활 교육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실천의식을 조사하는 것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7차 기술&#8228;가정 8학년(중학교 2학년)과 10학년(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 의생활영역을 분석하고, 기술&#8228;가정교과 의생활영역에 대한 중&#8228;고등학생의 의식(이해도, 만족도, 활용도, 의논대상, 학습방법, 편성만족도, 개선필요도, 개선점)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생활영역에 대한 중&#8228;고등학생의 관심을 높이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가정과 교사에게는 의생활지도에 필요한 효과적인 교수방법의 참고자료로 활용되며, 차기 교육과정 개발과 수정에 참고자료를 제공하도록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 달서구, 북구, 수성구, 동구의 남녀 중ㆍ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 중에서 총 757부의 유용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17.0을 사용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제7차 기술&#8228;가정교과 의생활영역은 8학년(중학교 2학년)과 10학년(고등학교 1학년)에 편제되어 있고, 의생활 교육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교의 경우 대단원 「의복마련과 관리」에서 ‘의복의 기능과 옷차림’, ‘의복마련 계획과 구입’, ‘옷의 손질과 보관’, ‘옷 만들기와 재활용’의 중단원으로 구성되어 있고, 중단원의 명칭은 다소 다르거나 2개의 중단원을 1개의 단원으로 묶어서 구성한 경우가 있다. 고등학교의 경우는 11종 교과서의 대단원은 「가정생활의 실제」이며, 그 외 1종 교과서의 대단원명은 「아름다운 보금자리」로 구성되어 있고, 중단원은 ‘직물을 이용한 생활용품 만들기’와 ‘옷감을 이용한 생활용품 만들기’로 대부분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의생활영역에 대한 중&#8228;고등학생의 의식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8228;고등학생의 의생활영역에 대한 의식은 ‘옷 만들기와 재활용’, ‘직물을 이용한 생활용품 만들기’가 ‘의복의 기능과 옷차림’, ‘의복마련 계획과 구입’, ‘옷의 손질과 보관’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옷 만들기와 재활용’, ‘생활용품 만들기’가 실질적인 기술을 요구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실생활에 응용 가능한 것을 배우기를 원하는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보다 현실에 적합하도록 교과내용, 수업방법, 교과편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올바른 의생활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이 관련분야에 대한 기초지식을 이해하고 실생활에 적용하여 자신의 의생활을 주체적으로 영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