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전공별 전공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지현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전공별 전공만족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자료 수집을 위하여 2005년 10월 현재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체육계열 전공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380명을 무선 표집 하였으나 불성실한 자료는 제외시키고, 최종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343명을 이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도구로는 하혜숙(2000)과 김재승(2002)이 사용한 전공만족도에 대한 설문지를 수정·보완 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에 사용된 구체적인 자료처리 방법은 기술통계(descrive)와 χ^(2)-검증(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고,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전공별 전공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에는 집단 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성별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에서는 체육교육과와 특수체육교육과에서는 남학생의 비율이 높았으며, 체육학과와 사회체육학과에서는 여학생의 비율이 높았다. 학년에 따른 전공유형에서는 1학년의 경우 특수체육교육학과와 체육학과의 빈도가 가장 높으며, 2학년의 경우, 체육학과와 사회체육학과가 높고, 3학년의 경우는 체육교육과 사회체육의 빈도가 높으며, 4학년의 경우에는 체육교육과 특수체육교육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선수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경우에는 특수체육교육이나 사회체육학과에 진학하는 비율이 높고, 없는 경우에는 특수체육이나 사회체육학과에 진학하는 비율보다 체육교육이나 체육학과에 진학하는 비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전공유형은 차이가 있었다. 부모의 경제적 수준이 상인 집단에서는 체육교육학과가 많은 반면, 중이나 하인집단에서는 전공이 골고루 분포 되어 있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전공만족의 차이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과정, 진로방향, 사회적 인식 모두 2학년이 다른 학년에 비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에는 차이가 있었다. 즉, 부모의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전공유형에 따른 전공만족의 차이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과과정 만족에서는 체육교육 전공학생들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회체육, 특수체육교육, 체육학과 전공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체육학과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여줌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로방향의 만족도에서도 체육교육, 사회체육, 특수체육교육, 체육학과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과과정과 진로방향의 만족도가 학과별로 같게 나타났다. 사회적 인식 만족도에서는 사회체육, 체육교육, 특수체육교육, 체육학과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과과정이나 진로방향 사회적 인식의 만족도 측면에서의 조사에 비해 모든 전공에서 평균적으로 체육교육과, 사회체육학과가 대체로 높은 만족을 보이고 있으며 모든 집단 간에 차이가 확인되었다. 사회체육 전공자들이 전공만족의 모든 하위변인에서 다른 전공자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즉, 사회체육 전공자들이 교과과정, 진로방향, 사회적 인식 만족도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actically the major satisfaction levels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majors depending on their majors. To achieve this study ai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380 students studying in physical education majors at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or Gyeonggi-Do as of October 2005 using a random sampling method. Removing untruthful data, finally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343 students. As the data collection tool, the questionnaires made by Haesook Ha (2000) and Jaeseung Kim (2002) were used after modifying and adapting them. The detailed data processing methods applied to the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χ^(2)(chi-square) test, and one-way ANOVA. Through the aforementioned steps,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major satisfaction levels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major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meaningful partia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students with different majors caused by demographical difference. More specifically, in terms of the major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ir sexuality, at the departments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nd specialty physical education teaching, the male students have a higher rate. On the other hand at the departments of physical education and social physical education, the female rate is higher. Regarding the major difference by their academic years, freshman students have the highest rate at the departments of specialty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whereas sophomore students have a high rate at the departments of physical education and social physical education, junior students at the departments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nd social physical education, and senior students at the departments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nd special physical education teaching. Further, the students with a player experience have a high tendency of entering the departments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teaching or social physical education. If they do not possess such experience, the rate of entering the departments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 or physical education is higher than the departments of specialty physical education teaching or social physical education. Depending on the levels of their parents’ wealth there is a difference of selecting majors. If their parents’ wealth is classified high,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 is preferred, while students with parents whose wealth is classified medium to low selected their majors evenly. Second,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major satisfaction by groups of student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curriculum, career prospect, and social recognition, sophomore students showed a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than the others. Depending on parents’ wealth, there was a difference in curriculum satisfaction. That is, the richer the parents were, the higher the level of curriculum satisfaction was.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major satisfaction by groups of students depending on their majors. With respect to curriculum satisfaction,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re the highest, students majoring in social physical education, specialty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nd physical education are the next, and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re the last. Regarding the satisfaction of career prospect, the order is the departments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 social physical education, specialty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The satisfaction of curriculum and career prospect is equal among the departments. Regarding the satisfaction of social recognition, the order is the departments of social physical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teaching, specialty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nd physical education. Contrasted to the satisfaction of curriculum and career prospect, and social recognition, on average, the departments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nd social physical education have comparatively high satisfaction. There is a difference compared to other groups. Students majoring in social physical education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all subordinate characteristics than other major students. In other words, students majoring in social physical education have higher satisfaction in curriculum, career prospect, and social recognition.

      • 체육전공 여대생의 교육과정 만족도와 진로에 대한 확신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이지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855

        This research was targeted towards female university students to clarify how education process satisfaction, confidence in career, career preparation have mutual effects by comparing their relations, and shed light upon the differences and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y comparing candidates who aim their career goal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and those who do not.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ample subject was set to female students in the country in their second to fourth year in four-year-course women’s university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Surveys were distributed to all 6 four-year-course women’s university in the country that had physical education major. Total of 228 surveys were collected and 214 surveys (93.86%) were used in the final research, excluding any inappropriate data. For data processing,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omputed and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validity verification. Methods of statistics for hypothesis testing were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ost hoc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rom this research, the main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regarding the changes in female students’ career path and confidence was conducted. For satisfaction in education process, it was proved that as the confidence level changes positively, class and career guidance satisfaction was higher. For career preparation, as confidence level changes positively, self-understanding behavior variable and career skills development behavior showed higher level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nfid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analyzed. The subjects’ career confidence level right after admission to school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current career confidence level. The subjects’ career confidence level right after admission had positive effects on self-understanding behavior variable of career preparation and skills development behavior. The current level of career confidence of the subjects had positive effects on all subfactor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education process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as analyzed. As a result, career guidance satisfaction variable of education process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all subfactor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hile school life satisfaction variable had positive effects on skills development behavior. Fourth, analysis on the subjects’ current career paths have been conducted. For education process satisfaction following the current career path, class satisfaction and career guidance satisfaction showed higher level of ‘physical education’ compared to ‘none, other than P.E.’. As for the differenc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ccording to current career path, ‘physical education’ was shown to be higher than ‘none, other than P.E.’ in the field of self-understanding behaviors and skills development behaviors. Fifth, a sample of subjects were assembled, which were those whose current career path was ‘physical education’. As a result of their current career confidence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former had positive effects on all subfactor of the latter. Sixth, the aforementioned sample above was taken again to analyze their education process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Career guidance satisfaction factor had positive effects on all subfactor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n the other hand, class satisfaction had negative effects on skills development behavior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kills development behaviors. Seventh, according to the career confidence level and current education process satisfactory level considering subjects’ current career path, career guidance satisfaction factor had positive effects on current career confidence level. Those who answered that they are aiming ‘none, other than P.E.’, career guidance satisfaction factor had positive effects on current career confidence level while school life satisfaction had negative effects on current career confidence level. This research had made it clear how education process satisfaction, career confid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teract and influence one another by analyzing their relationship by subjecting physical education majoring female students. As the conclusion of the analysis, career guidance satisfactory level and school like satisfactory level had effects. Especially, career guidance satisfaction had the biggest effects which reminds that systematic career guidance is necessary. Also, it was proved that current career path has effects on the group’s education process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rather than the group of physical education and people who major it and highlights the need for improvement of education process satisfactory level. It is believed that with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positive improvement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is likely by preventing the loss of those who choose their career path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본 연구는 체육대학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교육과정 만족도, 진로에 대한 확신,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비교를 통해 각각의 변인이 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고, 체육이 현재 진로방향인 연구 대상자와 그렇지 않은 대상자의 비교를 통해 그 차이와 변인들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전국 4년제 여자대학교에 재학 중인 체육전공 여대생들 중 1학년을 제외한 대상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전국 4년제 여자대학교 중 체육전공이 있는 여자대학교는 총 6곳으로 해당하는 모든 학교에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전체 228부를 회수하여 부적절한 자료를 제외한 214부(93.86%)를 최종적으로 연구에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통계방법으로는 빈도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석, 사후비교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전공 여대생들의 진로방향 및 진로확신도 변화에 따른 분석 결과, 교육과정 만족도의 차이에서는 진로확신도가 정적으로 변화할수록 수업 만족도와 진로지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준비행동의 차이에서는 진로확신도가 정적으로 변화할수록 자기이해행동과 직업능력향상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체육전공 여대생들의 진로확신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체육전공 여대생들의 입학 직후 진로확신도는 현재 진로확신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체육전공 여대생들의 입학 직후 진로확신도는 진로준비행동의 자기이해행동 요인, 직업능력향상행동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체육전공 여대생들의 현재 진로확신도는 진로준비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체육전공 여대생들의 교육과정 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 만족도의 진로지도 만족도 요인이 진로준비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에 대하여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교생활 만족도 요인이 직업능력향상행동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체육전공 여대생들의 현재 진로방향에 따른 분석 결과, 현재 진로방향에 따른 교육과정 만족도의 차이에서는 수업 만족도, 진로지도 만족도에서 ‘체육’이 ‘없음, 체육 외’보다 높게 나타났다. 현재 진로방향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에서는 자기이해행동, 직업능력향상행동에서 ‘체육’이 ‘없음, 체육 외’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체육전공 여대생들 중 ‘체육’이 현재 진로방향인 대상의 현재 진로확 신도와 진로준비행동의 분석 결과, 현재 진로확신도는 진로준비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체육전공 여대생들 중 ‘체육’이 현재 진로방향인 대상의 교육과정 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분석 결과, 교육과정 만족도의 진로지도 만족도 요인이 진로준비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교육과정 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수업 만족도 요인은 직업능력향상행동 요인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교생활 만족도 요인은 직업능력향상행동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체육전공 여대생들의 현재 진로방향을 고려한 교육과정 만족도와 현재 진로확신도의 분석 결과, ‘체육’이 현재 진로방향인 대상은 진로지도 만족도 요인이 현재 진로확신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없음, 체육 외’가 현재 진로방향인 대상은 진로지도 만족도 요인이 현재 진로확신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교생활 만족도 요인은 현재 진로확신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체육전공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교육과정 만족도, 진로에 대한 확신,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비교를 통해 각각의 변인이 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지도 만족도, 학교생활 만족도가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진로지도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체계적인 진로지도의 중요성을 상기시켜준다. 또한, 체육이 현재 진로방향인 집단과 체육이 아닌 집단의 교육과정 만족도, 진로준비행동에 차이 및 영향이 있다는 것을 입증하여 교육과정 만족도 제고의 중요성을 일깨워주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졸업 후 체육 외 계열로 진로를 결정하는 체육 전문 인력의 손실을 막아 향후 체육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영역에 따른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전공실기 수업 비교분석

        조성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855

        이 연구는 전국 사범대학 체육교육과의 전공실기 수업을 비교, 분석하여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전공실기 수업의 내실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25개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교육과정을 수집하였고 전공실기 수업 운영 구조를 공통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수업 수, 수업 종목, 이수구분(필수/선택), 학점을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영역과의 연계성을 파악하고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전공실기 수업을 종목 중심으로 정리하여 분류하였다.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각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전공실기 수업 내용 구성을 비교,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통해 논의점을 제시하였다.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5개 사범대학 체육교육과의 전공실기 수업 운영구조는 학교마다 상이하였다. 특히, 전공실기 수업 명칭이 학교마다 상이하였는데 그 중 종목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수업 운영은 일반 체육대학의 운영과 유사하였다. 다음으로 25개 사범대학 체육교육과의 전공실기 수업 수와 이수구분을 살펴보면 전공실기 수업 중 전공필수로 구분되는 수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적었으며 전공실기 종목은 수영, 육상, 체조, 구기, 무용 중에 특히 수영, 육상, 체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5개 영역을 분석 준거로 하여 25개의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전공실기 수업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공실기 수업 대부분이 5대 영역 중 표현과 안전을 제외한 건강, 도전, 경쟁에 집중되었다. 건강, 도전, 경쟁영역 하위 영역의 비중을 살펴보면 다른 영역에 비해 건강과 체력관리, 건강과 체력평가, 투기도전, 필드형 경쟁의 수업 수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교육과정은 우수한 체육 교원양성이라는 특수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정체성을 살릴 수 있는 내용으로 개편할 필요성이 있다. 중등체육교사를 양성하는 특수 목적을 갖는 사범대학 체육교육과에서는 중등학교의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전공실기 교육과정을 편성해야 한다. 둘째, 사범대학 체육교육과에서는 전공실기 수업은 각각의 영역을 지도하는 데 있어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5개 영역을 균형있게 개설해야 한다. 학교 체육 수업의 내실 있는 지도를 위해서는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전공실기 수업의 불균형을 해소하여 부족한 영역에 대한 전공실기 수업 제공이 필요하다.본 연구는 사범대학 체육교육과의 전공실기 수업이 내실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이 연구가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전공실기 수업이 경쟁력을 갖춘 중등체육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길 바란다.

      • 무용전공자에서 예비체육교사로 성장하기

        송효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tivation of dance majors taking P.E. courses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bout the choice of their departments and the teaching profession, their knowledge of courses in teach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vision. It's basically meant to grasp the reality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 education an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that. Clandinin & Connelly(2000)'s five-stage narrative inquiry process was adopted to serve the purpos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selected graduate students who were taking courses in physical education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become P.E.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the motivation of their choice of major, the preservice P.E. teachers who had majored in dance chose their major due to their own talent and interest in P.E. and the accuracy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this subject. Concerning the motivation of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they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learning P.E. teaching methods and hoped to get a stable occupation. The two motivations were evenly common. Taking courses in teaching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m to look back on themselves, to understand not only themselves but learners and to foster their own qualifications and competencies as preservice teachers. In terms of knowledge of the content area of P.E. courses, they viewed P.E. as a scientific and systematic discipline, as an integrative discipline linked to various academic fields including philosophy, epidemiology, psychology, physiology and pedagogy, and as part of living culture and amusement. Concerning knowledge of P.E. teaching, they acquired the knowledge by taking courses in education, from the teaching methods of their professors, and by observing P.E. instructions. The subjects in this study acquired knowledge in an integrated manner by taking both courses in teaching and major courses, and they seemed to have mapped out their vision in detail. But their student teaching experience rather resulted in demotivating themselves in association with their major choice. The findings of the study ha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preservice P.E. teachers who took cours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ot to understand the teaching profession and found it interesting to learn about major courses, but they became cognizant of the necessity of practical P.E. education because of their negative experience during student teaching. According to the objects of preservice P.E. teacher educa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not only practical education but the preparation of actual P.E. skills are mandatory becausa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ubject. As the students received no practical education, they faced difficulties during four-week student teaching. Although student teaching should provide an opportunity for dance majors to confirm their own possibility as preservice P.E. teachers, it rather resulted in demotivating the students and making them have fear for the teaching profession. Diverse practic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dance majors to foster their professionalism as P.E. teachers, which is actually required at school, so that they could gain significant experience in student teaching. Seco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inservice teacher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current curriculum is designed to educate both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offer quality education for either of them, and the curriculum didn't comply with the intent of the students who entered the graduate school. The dance majors received graduate-school education to have the teaching profession, but the curriculum ended up demotivating them. The kind of curriculum that can nurture full-fledged, qualified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prepared.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future research efforts: First, more diverse groups of subjects should be selected. In this study, preservice P.E. teachers who had majored in dance were selected to analyze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In the future, not only dance majors but those who majored in similar departments such as industrial sports, health guidance or special physical education and have received graduate-school education should be selected to look into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Second, elite athletes who have been retired or who have dropped out due to injuries are likely to decide to go on to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at the experience of receiving preservice P.E. teacher education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eans for athletes who receive graduate-school education and whether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makes it possible for them to foster their professionalism in teaching should carefully be studied. 본 연구는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하고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에 진학한 무용전공자들의 교과 및 교직 선택 동기, 교직과목 지식, 교과교육학 지식, 내적비전을 알아보고 그들의 경험을 통하여 중등 예비교사교육의 실제를 이해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Clandinin&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의 5단계 절차를 따랐으며, 연구목적에 부합하여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하고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체육교육전공 대학원생 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용전공 예비체육교사들의 전공 선택 동기는 무용영역에서 체육영역으로의 저변 확대와 체육활동에 대한 소질과 흥미, 체육의 측정 및 평가의 명확성에 대한 신뢰로 나타났고, 교직 선택 동기는 체육교수법에 대한 학습 필요성 인식과 안정적인 직업에 대한 선망이었다. 또한, 교육대학원 교직과목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이해하고 성찰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이를 학습자에 대한 이해로 확대하며 예비교사로서의 자질과 역량을 성장시켰다. 체육교과내용 영역에 대한 지식은 첫째,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학문으로서의 체육, 둘째, 체육을 중심으로 철학, 역학, 심리학, 생리학, 교육학 등의 다양한 학문으로 연결되어있는 통합적인 학문, 셋째, 일상적인 생활문화 및 놀이로서의 체육으로 이해하며 지식을 형성하였다. 체육교과교수 영역의 지식은 첫째, 교육학을 통해 형성한 지식과 시사점의 활용 둘째, 교수자의 교수-학습 방법을 통해 체육현장관찰 수업 및 담당교수의 교수방법을 통해 형성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교직과목과 전공과목의 지식을 통합적인 차원으로 형성해 나갔고, 내적비전 형성이 구체적으로 완성되어가는 듯 보였으나, 교육실습 경험을 통하여 전공 선택 동기가 저하되고 정체하는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을 통해 교직에 대한 이해와 전공과목을 알아가는 흥미를 느끼고 있었으나 교육실습의 부정적인 경험으로 인해 체육실기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교육대학원의 목적에 따른 예비체육교사교육을 목표로 한다면, 체육교육은 과목의 특성이 이론과 더불어 실기능력에 대한 준비도 필수가 되어야 한다. 실기교육의 부재는 4주간의 교육실습현장을 경험하며 실기에 대한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무용전공자들이 예비체육교사로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기회의 장으로 교육실습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교직동기가 저하되며 교사에 대한 두려움을 갖게 되었다. 이처럼 유의미한 교육실습경험이 될 수 있도록 체육실기에 대한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여 무용전공자들이 실제 학교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체육교사로서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교육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의 현직교사교육과 예비교사교육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현재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은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교육하기 위한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기에 양자 모두에게 질 높은 교육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으며, 교육대학원 진학 목적에 부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교직에 대한 동기를 가지고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에 입학한 무용전공자들에게 교직에 대한 동기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예비교사에게는 교사로서 준비되어야할 자질과 실제학습현장에서 필요한 교육과정을 통하여 예비교사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 과제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하는 대상을 세분화하고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무용전공 예비체육교사의 교육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무용전공 예비체육교사로 그 대상을 한정지었으나, 무용전공자와 같이 산업스포츠학과, 건강지도학과, 특수체육학과 등의 유사관련학과를 졸업하고 교육대학원에 진학한 이들의 교육경험을 알아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엘리트 운동선수로 은퇴를 하거나 부상을 당하는 등의 중도 탈락을 경험한 선수들이 교육대학원에 진학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들에게 교육대학원의 예비체육교사교육 경험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며,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을 통해 교사로의 전문성을 형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중등교원 임용고사 준비 실태 분석

        김병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855

        이 연구는 임용고사 준비생들이 어떤 과정으로 임용고사를 준비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사교육 실태 및 문제점을 조사하여 중등 체육교원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올바른 진로탐색 과정을 제시하는데 있다. 아울러 합리적이고 발전적인 중등 체육교원 임용고사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제공과 교사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선을 유도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도권 일대 대학의 체육계열학과 졸업예정자 및 졸업생 중 중등 체육교원 임용고사 준비생 17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중등교원 임용고사 준비 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세부 항목별 설문지를 작성하여 응답한 설문 문항을 성별, 교직이수 유형별, 졸업여부별로 백분율을 산출하고 빈도 검정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체육교사로서의 진로탐색 과정 첫째, 체육교사로의 진로를 결정하는 시기에 대해서는 ‘고등학교’ 시기에 가장 많이 결정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사범대 교직이수 집단이 다른 교직이수 집단 보다는 체육교사로의 진로를 빨리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육대학원 교직이수 집단의 경우는 졸업 후와 대학시절에 가장 많이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직을 선택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사명감’ 보다는 ‘소질과 적성’, ‘직업의 안정성’이라는 이유가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체육교사가 되기 위한 임용고사의 정보를 대부분이 사설학원에서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별, 교직이수 유형별, 졸업여부별 각각 차이가 없었고 비사범대 교직이수 집단은 타 집단에 비해 학원에서 정보를 얻는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임용고사의 응시 지역을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시기로는 연초 즉 ‘1~3월’과 ‘공고문 발표 후’가 가장 많았다. 이는 처음부터 응시지역을 결정한 후 준비하는 경향과 공고문 발표 후 지역별 선발인원 및 가산점 등을 고려하여 응시 지역을 결정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응시지역 결정시 최우선 고려사항으로는 해당지역의 ‘선발인원’, 과 ‘생활근거지’를 가장 높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자와 교육대학원 교직이수 집단 그리고 졸업생들은 ‘실기종목’도 응시지역을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이론시험 및 가산점 확보 준비 과정 첫째, 체육계열 대학생들은 체육교사가 되기 위한 1차 시험을 준비하는데 있어 교육학은 ‘응시해 1~3월’ 전공이론은 ‘3학년 2학기’에 가장 많이 준비를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78.1%가 교육학 학원을 87.6%가 전공이론 학원을 수강한 경험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응시생들이 임용고사의 준비를 사설 학원에 많이 등록하여 준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원의 수강기간으로는 교육학은 ‘2~3’개월 전공이론은 ‘6개월 이상’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비용으로는 교육학은 ‘20~40만원’ 전공이론은 ‘80만원 이상’ 소요된다는 응답이 많았고 학원 수강의 임용고사 도움여부에 대해서는 교육학, 전공이론 모두 대부분이 어느 정도 이상은 도움이 된다는 응답을 하였다. 반면 수강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교육학은 ’많은 분량으로 정리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전공이론은 ’정보를 얻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높아 학원을 수강하는 이유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산점 분야에 대해서는 ‘국가 유공자’ 분야가 67.4%로 가장 불합리 하다고 여기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각 집단 간 입장에 따라 조금씩 다른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실제 가산점 취득에 있어서는 ‘경기입상 및 지도실적’ 분야가 가장 어렵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운동선수 출신의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임용고사 응시율이 줄어든 것도 원인으로 파악된다. 넷째, 대학 전공 이론 수업이 임용고사 준비에 있어서 도움 여부에 대해서는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 두 분야 모두 가장 높은 응답 ‘어느 정도 도움 됨’이 각각 35.4%, 30.9%로 조사되 대학의 전공이론 수업의 임용고사 준비에서의 도움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나 학교 전공이론 수업과 임용고사의 전공이론 시험과의 연관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이론 시험 과목들 가운데 응시생들은 교과교육학에서는 ‘체육교육과정’ 과 ‘교수법’을 내용학에서는 ‘생리학’을 가장 어렵게 여기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전공 실기, 면접, 논술 시험의 준비과정 첫째, 전체 응답자 중 전공실기 학원을 다녔거나 계획이 있다는 응답이 42.2%로 조사되 이론시험에 비해서는 학원 의존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의 전공 실기 수업이 임용고사 준비의 도움정도에 대해 ‘어느 정도 도움됨’ 52.2%, ‘많은 도움이 됨’ 15.2%로 나타난 것 같이 전공 이론 수업과 비교해서도 상당히 높은 도움 정도를 나타낸 것과도 관련이 있다. 또한 실기 시험의 준비 시기로는 ‘응시해 1~3월’에 시작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가장 어려운 종목으로는 ‘기계체조’라는 응답이 39.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공실기 시험의 적당한 실시 시기로는 ‘1차 실시’ 38.2%, ‘2차 실시’ 52.8%로 나타나 2차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그 이유로는 ‘응시자가 많아 어려움’이라는 응답과 ‘이론적 지식 우수자 우선 선발’ 그리고 ‘1차 응시시 이론과 함께 준비하는 어려움’ 등의 이유가 비슷한 비율로 응답을 보였다. 또한 적당한 실기 시험의 비중과 종목수로는 50%와 5개 종목이 가장 적당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셋째, 논술 및 면접의 준비시기로는 ‘1차 응시후’와 ‘1차 합격후’가 각각 35.4%, 27.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설 학원의 수강계획에 대해서는 ‘1차 합격후 수강’과 ‘1차 응시후 바로 수강’이 각각 15.7%, 15.2%로 조사되 다른 유형의 시험에 비해 학원의 의존도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준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는 ‘기출문제 분석’을 가장 높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시생들은 2차의 여러 시험 중 ‘면접’을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사회체육지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전교육과 사회화 과정의 관계

        이승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839

        연구는 사회체육지도자의 직전교육과 사회화 과정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0년 현재 수도권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스포츠센터 정규사원으로 근무하는 사회체육지도자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의 표집은 군집표집(cluster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표본추출의 절차는 남·녀 지도자를 총 280명을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256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측정도구로 사회체육지도자의 직전교육에 대한 도구는 김문재(1992)가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으며, 사회화 과정은 김경숙(1995)이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에 사용된 구체적인 통계방법은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표준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사회체육지도자의 직전교육과 사회화 과정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인 성별, 연령, 지도경력, 자격증, 전공, 결혼여부, 총수입, 학력, 시설유형에 따른 직전교육은 집단간 차이가 있다. 성별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일반지식은 남자가 높으며 전공지식, 현장실습에서 여자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연령이 많은 집단이 일반지식, 전공지식, 현장실습이 높았고 지도경력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경력이 높은 집단이 일반지식, 전공지식, 현장실습이 상위로 나타났다. 자격증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경기지도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집단이 모두 높았고 전공여부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전공자 집단이 일반지식, 전공지식, 현장실습 에서, 결혼여부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기혼인 집단이 각각 높았다. 총수입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급여수준이 200만원이상 집단이 일반지식, 전공지식, 현장실습에서 높았으며, 학력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학력이 상위인 집단이 일반지식, 전공지식, 현장실습이 높았고, 시설유형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민간종합시설에서 근무하는 집단에서 일반지식, 전공지식, 현장실습에서 높았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인 성별, 연령, 지도경력, 자격증, 전공, 결혼여부, 총수입, 학력, 시설유형에 따른 사회화 과정에는 집단간 차이가 있다. 성별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기대에서는 여자가 높고, 성취에서는 남자가 높다. 연령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기대, 성취에서 연령이 많은 집단이 높았고, 지도경력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경력이 많은 집단에서 기대, 성취가 높았다. 자격증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경기지도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집단이 높다. 전공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기대는 전공자와 비전공자에서는 차이가 없고, 성취에서는 전공자가 높다. 결혼여부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미혼인 집단에서 기대가 높으며, 성취에서는 기혼인 집단이 높다. 총수입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200만원이상의 집단이 기대, 성취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집단에서 기대, 성취가 높았다. 시설유형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공공체육시설, 민간단일시설에서 근무하는 집단에서 기대가 높고, 성취에서는 민간단일시설에서 근무하는 집단이 높다. 셋째, 사회체육지도자의 직전교육이 사회화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전공지식, 현장실습의 대한 직전교육이 높을 수 록 사회화 과정의 하위변인인 기대. 성취가 높다. This study is intended for a positive examination of what relation the prfeservice education for the instructors in "sport for a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ort instructors") has with their social proces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made with those sport instructors who were working, as regular employees, for sport centers bas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in 2000. The cluster sampling was used for sampling of the objects of survey. A total of 280 sports instructors, male and female, were selected in the sampling process. Data from 256 out of these were actually applied to the study. As tools for collecting and measuring the data required for study, the questionnaires adopted Moon-Je Kim(1992) and Kyung-Sook Kim(1995)were used respectively for the data on the preservice education and those on the social process. The analysis of data collected was based on technical statistics, one-way ANOVA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ade by above-mentioned approaches, the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reach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service education and social process in sport instructors: Firstly, the following differences relating to the preservice education are found among different groups classified by various demographic factors, such as sex, age, teaching experience, certified qualification, majoring subject, marital status, gross income, educational background, and type of sports facilities involved: - By sex, male instructors are superior in general knowledge to female ones, and vice versa in subject meta knowledge and on-the-field practice. - By age, older instructors are superior to younger ones in all areas general knowledge, subject meta knowledge and on-the-field practice. - By other factors, groups of instructors, who are married and more experienced in teaching, who hold qualification certificates and who majored in the same subjects as they are presently involved in, prove to be superior to their counterparts in all areas-general knowledge, subject meta knowledge and on-the-field practice. Secondly, differences are also found with regard to the social process of sports instructors, among different groups classified by various demographic factors, such as sex, age, teaching experience, certified qualification, and type of sports facilities involved: - By sex female instructors are higher in the expectation than female ones and vice versa in the achievement. - By age, older instructors are higher than younger ones in both expectation and achievement. The same applies to those who are more experienced in teaching and who hold qualification certificates. Thirdly, the preservice education for the instructors in "sport for all" has an impact on their social process. Particularly, the higher the presercvice education on subject meta knowledge and on-the-field practice, the higher the expectation and achievement in social process.

      • 교육실습경험이 무용전공 체육교육대학원생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도예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839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 체육교육대학원생들의 교육실습 경험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봄으로써 교육실습과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체육교육 교육실습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경기 및 서울시 수도권 소재의 교육대학원을 선정한 후 2022학년도 교육실습 예정인 체육교육전공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정하여 교육실습에 다녀오기 전과 교육실습을 다녀온 후로 설문지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구글폼 URL(Uniform Resource Locator)형태의 온라인 설문조사로 실시하여 설문 응답결과를 회수하였고 회수된 사전설문 응답은 총 66부, 사후설문 응답은 총 61부로 회수된 사전 사후의 설문지 총 127부 가운데 사전과 사후 설문에 모두 응답한 응답자 61명의 설문지 122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Statistics 29.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에 사용한 통계분석 도구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 이원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통계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응답자의 교육실습 전 교사효능감과 교육실습 후 교사효능감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하위요인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전체 응답자의 교육실습 전 하위요인별 교사효능감과 교육실습 후 하위요인별 교사효능감이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교육실습 전과 교육실습 후 학부 전공에 따른 하위요인별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육실습 전과 교육실습 후 모두 하위요인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부 전공에 따른 교육실습 전, 후 하위요인별 교사효능감의 사전 사후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학부 전공에 따른 실습 전, 후 교사효능감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없다’라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학부 전공에 따른 교육실습 전, 후 하위요인별 교사효능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진 않았지만,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생의 교육실습 전, 후 하위요인별 교사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교육실습 전 하위요인별 교사효능감과 교육실습 후 하위요인별 교사효능감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학부 전공별 교사효능감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교육실습경험이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생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교육실습을 경험한 무용전공 체육교육대학원생들은 교육실습 후 교사효능감은 상승했지만 각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에서 어려움과 한계를 느끼고 있었으며 다양한 변화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e teaching practice experiences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tudents who majored in dance on teacher efficacy, this research aims to determine the link between teaching practice and teacher efficacy as well as explores approaches to enhance physical education teaching practice.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researcher chos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the Gyeonggi and Seoul metropolitan areas. Graduate students who majored in physical education who are scheduled to practice in 2022 were then set up as subjects, and the researcher then conducted and analyzed questionnaires on them before and after attending educational practice. The survey was carried out as an online survey using a Google form's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and the responses were collected. There were a total of 127 responses, with 66 from the pre-survey and 61 from the post-survey. Out of a total of 127 collected pre- and post-survey questionnaires, 122 questionnaires from 61 respondents who responded to both the pre-surveys and post-surveys were used in the study for analysis. With the statistical software SPSS Statistics 29.0, the gathered questionnaires were examin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paired-sample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mentioned above are as follows. First, all sub-factors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comparing all respondents' teacher efficacy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al practice. Because of this, it is possible to state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 efficacy by sub-factor before the educational practice and the teacher efficacy by sub-factor after the educational practice of all respondent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by sub-factors according to undergraduate majors before and after educational practi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factors both before and after educational practice, Third, all sub-factors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survey and post-survey of teacher efficacy by sub-factors before and after educational practice according to undergraduate major. As a resul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undergraduate major has no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before and after practice. As a consequ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 efficacy by sub-factor for undergraduate majors before and after educational practice,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tudents who majored in physical education before and after educational practice. This prov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eacher efficacy for each sub-factor before and after practice. In other words, even 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eacher efficacy based on undergraduate major, it was discovered that physical education student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arned positive effects from teaching practice. Despite the fact that teacher efficacy rose after classroom practice,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tudents who majored in dance reported challenges and limits in each sub-factor of teacher efficacy. This suggests the need for a number of improvements.

      • 교사의 특성이 초등학생의 육상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춘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839

        This study examined which effects there were between teachers' characteristic variables(gender, educational career, yes or no of physical education major, yes or no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terest in the athletics instruction, and skill in athletics)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in boy and girl students, in the athletics instruction of elementary school. Thus, its aim was to offer basic data in designing and operating the athletics instruction of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arried out targeting 120 teachers in charge of physical education and 1200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ith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data of this study was analyzed targeting the collected 108 teachers (men:38, women:70) and 1055 students(boys:529, girls:526) whom they were guiding. The collected data was used SPSS statistical program for Windows. In order to grasp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research subject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re was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athletics instruction between boy and girl students according to teachers' variables, Two-way ANOVA was carried out. As a result of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with athletics instruction between boy and girl students according to teachers' gender, the boy students had the high satisfaction with athletics instruction of both male and female teachers. The satisfaction with male teachers' athletics instruction was the highest. The girl students had the high satisfaction at male teachers, but had the low satisfaction at female teachers' athletics instruction. Overall, both boy and girl students had the high satisfaction with athletics instruction given being the male teacher than the female teacher. And, regardless of teachers' gender, all the boy students were indicated to have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than the girl student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according to teachers' educational career, the teachers' educational career hadn't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However,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s' educational career and the students' gender had significant influence. In other words, when teachers' educational career was more than 20 years, the boy students' satisfaction with instruction was the highest. And, when teachers' educational career was 6~10 years, the girl students' satisfaction with instruction was the highest. Also, regardless of teachers' educational career, the boy students were indicated to have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instruction than the girl student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eachers' physical education major, the boy students had the high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in both teachers with physical-education major and teachers without physical-education major. However, the girl students had the low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toward teachers without physical-education major. Overall, both boy and girl students had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in a case with a major than a case without a major in physical education by teachers. And, in both teachers' major and non-major, the boy students were indicated to hav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than the girl student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e boy students had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in both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homeroom teachers. However, the girl students had the low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toward homeroom teachers. Overall, both boy and girl students had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in a cas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an homeroom teachers. And, regardles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homeroom teachers, all the boy students were indicated to hav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than the girl students.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according to teachers' interest in athletics activity, the boy students had a little difference depending on teachers' high, moderate, and low interest. However, all had the high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However, the girl students had the low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when teachers' interest level in athletics was moderate and low. Overall, both boy and girl students had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in teachers' higher interest in athletics instruction. And, regardless of teachers' interest, all the boy students were indicated to have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than the girl students.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according to teachers' skill level in athletics instruction, the boy students had a little difference depending on teachers' high, moderate, and low skill level in athletics instruction. However, all had the high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However, the girl students had the low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when teachers' skill was low. Overall, both boy and girl students had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in teachers' more excellent skill in athletics instruction. And, regardless of teachers' skill, all the boy students were indicated to have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than the girl students. Given seeing the above conclusions,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was indicated to be high in male teachers, in teachers with the teaching profession of over 20 years, in teachers with physical education major, i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teachers with high interest in athletics instruction, and in teachers with excellent skill in athletics . This was considered to indicate that school teachers need to strive to promote diverse teaching skills and practical-skill guidance ability, and to have interest in guiding the athletics instruction. 이 연구는 초등학교 육상수업에서 교사의 특성 변인(성별, 교육경력, 체육전공 여부, 체육전담교사 여부, 육상수업의 관심도, 육상기능)과 남·여 학생의 육상수업만족도 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봄으로써 초등학교 육상수업을 설계, 운영하는데 기초 자료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 관내 초등학교 5,6학년 체육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120명 학생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교사 108명(남:38, 여:70)과 이 들이 지도하고 있는 학생 1055명(남:529명, 여526명)을 대상으로 이 연구논문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s용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교사의 변인에 따라 남·여 학생들의 육상수업 만족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wo-way ANOVA(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사의 성별에 따른 남·여 학생의 육상수업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은 남·여교사 모두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며 남교사에 대한 육상수업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여학생은 남교사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으나 여교사에 대한 육상수업 만족도는 낮았다. 전체적으로 남·여학생 모두 여교사보다 남교사일 때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며, 교사의 모든 성별요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른 육상수업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교육경력이 학생의 육상수업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교사 교육경력과 학생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교사의 교육경력이 20년 이상일 때 남학생의 수업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교사의 교육경력이 6~10년일 때 여학생의 수업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남학생이 교사의 교육경력 모든 변인에서 여학생보다 수업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체육전공에 여부에 따른 육상수업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은 체육전공교사, 비전공교사 모두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나, 여학생은 비전공교사에 대한 육상수업 만족도가 낮았다. 전체적으로 남·여학생 모두 교사가 체육교육을 전공하지 않은 경우보다 전공한 경우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며, 교사의 전공, 비전공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체육전담교사 여부에 따른 육상수업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은 체육전담교사나 비전담교사 모두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나 여학생은 비전담교사에 대한 육상수업 만족도는 낮았다. 전체적으로 남·여학생 모두 비전담교사보다 체육전담교사의 경우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며, 체육전담교사, 비전담교사 변인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의 육상 활동의 관심도에 따른 육상수업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은 교사의 육상관심도의 상, 중, 하 수준 모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나, 여학생은 교사의 육상관심도가 중, 하 수준 일 때 육상수업 만족도가 낮았다. 전체적으로 남·여학생 모두 교사가 육상수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수록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며, 교사의 육상 활동의 관심도에 따른 모든 변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사의 육상수업의 기능 정도에 따른 육상수업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은 교사의 육상기능이 상, 중, 하 수준 모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나, 여학생은 교사의 기능이 하 수준 일 때 육상수업 만족도가 낮았다. 전체적으로 남·여학생 모두 교사가 육상수업에 대한 기능이 우수할수록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으며, 교사의 육상 기능 정도의 모든 변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론을 보면 교사의 특성 변인이 남교사일 때, 교직경력 20년 이상의 교사일 때, 체육교육 전공 교사일 때, 체육전담교사일 때, 육상수업에 관심도가 높은 교사일 때, 육상기능이 우수한 교사일 때 학생의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선 교사들이 다양한 수업기술 향상과 실기 지도능력함양에 노력하여야 하며, 육상수업과 기능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고 사료된다.

      •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 준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탐색

        조인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823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탐색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삶을 이해하고 진로의 제약 문제들의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대학원 졸업생 중 임용고사를 준비 중인 준비생 2명, 임용고사를 합격한 교사 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 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 준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실기수업 부재’, ‘교육과정 혼재’, ‘심리적 불안감’으로 범주화 되었다.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에 실기수업이 부족하여 2차 실기시험을 준비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재교육과 교사양성교육의 교육과정 혼재로 인해 교사재교육에 관련된 수업을 듣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인터넷 강의와 사설학원을 통해서 임용고사에 관련된 내용을 보충하고 있었다. 또한 인터넷 강의와 사설학원 등록비와 학부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나이로 인해 심리적인 불안감을 격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들의 어려움은 교육대학원생 개인적인 수준에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데 경험하는 어려움의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의 교육과정에 실기교육과정 추가와 교사양성과정과 교사재교육의 분리하여 운영 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process to prepare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life of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preparing alternatives career constraint issues through thi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2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nd 2 teachers who passed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of the graduate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data through an inductive analysis of categorie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process to prepare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were categorized as 'absence of practice classes', ‘the mixture of curriculums’, and‘psychological anxiety.’Lack of practice classes in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found that the subjects experience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second practical examination. The mixture of teachers' reeducation and education curriculums h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take classes related to teachers' reeducation and supplement contents related to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through lectures on the internet and private institutes due to this. An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suffer psychological anxiety due to tuition fees of lectures on the internet and private institutes and their older age than undergraduates and have found to experience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due to this. These difficultie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have found to have limits to be solved on an individual level of graduate student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inally, the study suggested the addition of practice classes to curriculums for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separation and operation of teachers' education from their reeducation as plans to solv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le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