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15년 호텔경영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예측

        전희원 대구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에서는 학부 호텔 경영학과를 졸업하는 학생들이 미래의 호텔산업에서 그들이 근무하는 현장에서 전문성을 갖추며, 2015년에 그들이 졸업하였을 때 호텔업계가 그들에게 요구하는 지식과 능력(적성)을 사전에 준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이다. 첫째, 호텔 산업의 변화와 관련하여 학부생들이 새로운 관리자로서 적응 할 수 있도록 정치·경제, 사회·문화 등의 영역에서의 변화하는 추세의 내용과 방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미래의 호텔산업에서 학부과정을 졸업한 학생들이 그들이 근무하는 현장에서 전문성을 갖추며, 호텔 산업의 변화와 관련한 추세 속에서 새로운 관리자로서 적응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들은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셋째, 호텔산업의 변화와 관련한 추세 속에서 학부생들이 새로운 관리자로서 적응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중요한 교과과정을 제시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후 교육과정에 대한 미래예측의 도구로는 델파이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 18명 지배인 21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하여 그 질문은 2015년에 학부 호텔경영학과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적 현상, 문화적인 현상, 정치적인 현상, 경제적인 형상, 관광(호텔)업계의 현상, 호텔경영학과 학부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현상을 파악하였다. 2015년도에 학부에 있어서 호텔경영 및 관리에 필요한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현상, 기타 중요한 현상, 미래의 학부 호텔경영학과 교과 과정기초 및 경영일반 과목, 객실 관련 과목, 식음료 관련 과목, 호텔경영관련 과목, 외국어 과목, 리서치 과목, 전산관련 과목, 기타 특수과목에 대하여 1차 설문을 받았다.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사용된 1차 델파이 설문지는 구조·개방형 질의가 담겨져 있었다. 2, 3차 질의는 1차에서 응답한 것으로부터 설문문항이 개발되어 2015년부터 학부 호텔 경영학과를 졸업하는 학생들의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적·문화적 현상, 정치·경제적인 현상, 호텔경영학과 학부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현상, 호텔경영 및 관리에 필요한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현상, 2015년부터 학부 호텔 경영학과를 졸업하는 학생들에게 적합한 기초 및 경영일반 교과 과정, 서비스 및 실무 과목 교과 과정, 호텔 경영 관리 및 분석과목 교과 과정, 외국어 교과 과정, 전산 관련 교과 과정, 기타 특수과목 교과 과정에 대하여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2, 3차 조사의 결과는 체크되어 있는 점수를 모두 더하여 그것을 다시 문항수로 나눔으로서 평균을 구하였다. 이 평균은 변화 예상도 점수로서 제시하였고, 아울러 적합성지수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미래의 호텔산업에서 학부과정을 졸업한 학생들이 그들이 근무하는 현장에서 전문성을 갖추며, 호텔 산업의 변화와 관련한 추세 속에서 새로운 관리자로서 적응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들은 선행 연구들의 내용들과 정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거의 모든 부분 에서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와 내용들이 4년제 학부 호텔경영학과 교과과정 및 산업 인턴쉽을 통해서 가르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면, 교과 과정 계획과 수정은 환대 산업에서의 변화에 대하여 좀 더 적합한 것으로 바뀔 수도 있으며, 새로운 환대 관리자가 환대 관리 작업장에 투입될 때 여러 가지 문제를 감소시키게 될 것이다. 미래의 국내대학에서의 호텔경영학과 교과과정에 반영 되어야할 내용으로는 전문적이고 윤리적 태도, 전문가다운 외양이나 포즈, 효과적인 구두나 문서를 통한 의사전달, 긍정적인 고객 관계, 그리고 긍정적인 직무 관계 등도 중요 하지만 재무, 마케팅, 법, 컴퓨터 기술 활용 능력 또한 중요한 차원이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람과 상호 작용하는 기술, 창조적인 사고 능력, 서비스 지향의 업무 혁신능력, 문제 인식과 문제 해결 기술, 고객-피드백 기술, 변화에 대한 대응, 협동을 이루어 내는 능력등도 중요한 차원이 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인지적 능력, 아이디어를 생산적 활동으로 바꾸는 마케팅 능력으로서의 리더십, 타인과의 효율적 상호작용을 이루어내는 대인관계 능력 및 이를 뒷받침해주는 고객관계 구축 및 마케팅 활용능력, 사업을 위한 직원과 재무 관리측면에의 관리운영 능력 글로벌화 된 지구촌에서의 다국적 호텔경영능력등은 상당히 중요한 능력이 될 것이다. 오늘날 호텔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서 국제화의 증대, 글로벌 환경에서의 투자, 국제 자금조달 결합, 국제적 경쟁, 초국적 소유 문제, 문화 간 인적 자원 문제, 외국인 근로자 고용 문제, 브랜드의 국제 프랜차이징 문제, 그리고 다국적 개발과 관리 문제, 서유럽의 통화 통합 문제, 자유 무역 협정의 증가 문제, 세계 어디에나 여행할 수 있는 여행자의 증가에 따른 필요조건으로서 국제 마케팅, 국제 재무, 문화, 그리고 법적, 회계적 시스템에 대한 더 많은 지식을 전달할 수 있는 내용으로의 교과과정의 개편 등과 같이 다양한 영역에서의 변화들과 관련한 내용들이 교과과정에 반영 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국내 대학의 호텔경영교과목 개발의 방향은 학부 호텔경영학과는 호텔경영학의 독자성과 차별화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짐으로써 새로운 차원의 교과과정 개발의 내용으로 학생들이 가진 잠재력을 발휘 할 수 있도록, 성장하도록 하기 위해 광범위한 구조와 효율적으로 시작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며, 학생들이 일반적 지식과 기술을 갖추도록, 구체적 지식이 첨가된 비즈니스 상황에서 응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져야 한다. 기초 및 경영일반 과목 교과 과정의 경우 환대서비스론, 호텔 경영론, 인간관계론, 서비스 및 실무 과목 교과 과정의 경우 객실업무, 호텔연회관리, 호텔 경영 관리 및 분석과목 교과 과정의 경우 호텔 마케팅 분석, 고객관계경영, 다국적 호텔경영전략, 전산 관련 교과 과정의 경우 컴퓨터 활용, 전산실무, 장기현장실습(인턴쉽), 호텔서비스 사례 등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외국어 능력이 호텔 종사원에게 있어서 필수적 조건이 되므로 외국어 교육은 교과과정에 의해서만 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양적인 면보다는 실질적 활용 효과를 위한 교수법 개발, 시청각 기자재의 활용, 체계적인 프로그램 등의 개발에 정진해야 한다. 또한 현업실습에 있어서도 대학의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학교와 업체와의 상호 협조 아래에서 시행되지 못함으로써 기대만큼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현재의 상황을 극복하고, 실습 기간의 부족, 실습시설의 미비함 등의 개선으로 장기 업체 파견 실습이나 장기 체류 실습과 같은 인턴쉽 프로그램의 개발로 보다 효율적인 호텔 현장실습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실행이 필요하다. 외국의 교과과정을 국내와 비교하여 보면 기능적인 측면보다 사고능력 중시, 인간관계 개선을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 개발의 필요, 일반 경영학 교육 프로그램과의 차별화, 서비스산업 경영에 필요한 폭넓은 교과과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업계의 요구에 일치하는 대학 교육 강조, 마케팅적 시각에서의 교과목 편성의 중요성 제시, 일반 경영기술과 인간관계 기술이 중시, 인턴쉽의 활용, 경영정보 시스템(MIS)에 중점, 마케팅, 인사관리, 시장 타당성분석의 중요성인식, 국제화 사회에 적합한 재무 및 마케팅 능력의 향상 등 국내 대학들과는 다른 교과과정 선택의 중심축들을 중요시하고 있다. 국내 대학들도 호텔경영학 교육에 있어서 선진외국의 사례들을 충분히 검토하고, 본 연구의 결과를 참조하여 각 대학의 교육의 지향하는 바를 중심으로 국내 호텔경영학 교육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교육과정 모델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help graduating students with hotel management degree in the year 2015 prepare knowledge and aptitude required in the hotel indust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ly, it identifies contents and direction of future trend in the area of politics, economics, society and culture to help students adapt to the ever changing environment of the hotel industry as managers. Secondly, it identifies important aspects of future trends and changes in the hotel industry so that graduating students from the hotel school learn and adapt quickly and efficiently in their workplace. Thirdly, it suggests core requirement curriculum for students in hotel school to adapt in ever changing hotel industry as managers. Through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delphi technique is considered a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to forecast future curriculum. Panel of 18 professors and 21 hotel managers were chosen for this study and each of them were contacted three times individually to be asked their opinions on followings; current situation in social, cultural, political, economical, educational and industrial matters as well as ideal course subjects in core electives and core requirement which possibly influences the curriculum of hotel management school in the year 2015. Findings from the delphi technique through panel survey imply that future curriculum of the hotel management school should include professional and ethical attitude, professional appearance and manner, effective verbal and written communication skill,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and positive functional relationship as well as finance, marketing, related law, computer handling skill, interpersonal skill, creative thinking skill, innovative service oriented functional skill, problem recognition and solving skill, feedback handling skill, adaptability to change, initiative. What's important especially are leadership as a marketing skill which turns ideas into productive activity, interpersonal skill drawing efficient interrelationship with others and marketing application skill and customer relationship backing that up, staff members carrying out business, financial management skill and global hotel management skill. Also it was suggested from the research finding that following issues need to be considered and reflected in the curriculum; Important factors affecting hotel industry at present such as globalization, global investment environment, global fund raising, global competition, ownership issue beyond the boarder, human resources issue between cultures, foreign workers employment issue, global franchising issue of brand right, multinational development and management issue, currency integration issue of EC, expansion issue of free trade agreement as well as revision of current curriculum delivering more in depth knowledge in international marketing, international financing, cultural, legal and financial system. In conclusion, curriculum for the hotel management school in Korea needs to be designed to provide students with common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to apply in real business situation and to help students bring forth their potential. The ideal direction of the future curriculum needs to be such that contains new aspects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provides extensive structure and efficient initiative. Core electives and business elective need to contain subjects such as the principle of hospitality service, hotel management and human relations. Core requirement in practical and service courses need to contain subjects such as the practical operation of front office, hotel banquet operation and hotel management operation. Core requirement in hotel operation analysis course needs to contain subjects such as hotel marketing analysis,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multinational hotel management strategy. Core requirement in computer related course needs to contain subjects such as computer operation practice, basic computer operation, internship and case study in hotel service. As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is a must for hotel staff, it is therefore advised to develop foreign language program more geared toward practical aspect of learning foreign language. Cooperation with industry should be regarded in developing curriculum in terms of practical field experience both short and long term and internship program that will certainly help overcome the shortfall of inadequate lab environment and facilities most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Review of curriculums in universities in foreign countries showed distinctive difference compared to those in Korea in such ways that they emphasize on thought process, creative ideas in develop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fferentiation from general business program, extensive course subjects necessary for service industry management, industry demand based curriculum structure, the importance of curriculum structure in marketing perspective, internship, MIS, marketing, personal management, feasibility studies, financial management and marketing skill necessary in global environmen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universities in Korea need to take a giant leap to the next stage by thoroughly reviewing cases in developed countries and findings from this study to offer a new and ideal curriculum model for the school of hotel management.

      • 태권도학과 대학생들의 진로의식 조사

        송민 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99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학과 대학생들의 졸업 후 진로의식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진로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과정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전국의 태권도학과 개설대학 중 6개 대학의 2, 3, 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최종적으로 회수된 사용된 설문지는 482부였다. 설문문항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항목 8개 문항, 태권도학과 교육과정에 관한항목 5개 문항, 졸업 후 진로에 관한항목 6개 문항으로 총 19개 문항으로 구성 조사된 자료는 통계기법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교차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거쳐 도출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남자가 79.7%로 나타났고, 여자 20.3%로 나타났다. 학년은 2학년이 41.9%, 3학년 40.5%, 4학년 17.6%로 나타났다. 태권도수련을 시작한 때는 초등1∼3학년이 37.8%로 가장 많았으며, 태권도 경력은 12∼15년이 41.3%로 가장 많았고, 보유한 단은 4단이 66.4%로 가장 많았고, 태권도 특기를 보면 겨루기가 34.4%, 시범 23.2%, 품새 23.0%, 기타 10.6%, 격파 8.7%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 중 아르바이트 분야는 태권도장이 35.1%로 가장 많았고, 기타분야 30.5%, 아르바이트 경험이 없는 경우 20.3%, 스포츠시설 8.7%, 관련(경호 등)분야 5.4%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의식으로 태권도학과를 선택한 동기는 개인적성에 적합하다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태권도학과 선택 만족도는 조금 만족한다가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남자보다 여자는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태권도학과 교육과정의 만족도는 학과선택 만족도에 비해 조금 낮게 나타났으며, 학년이 올라 갈수록 조금 불만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과정 중 태권도와 연계하여 가장 관심 있는 분야는 도장경영이 높게 나타났다. 태권도학과 교육과정이 진로에 도움 정도는 조금 도움이 된다가 가장 높았는데, 조금 안된다의 경우는 4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의식으로 진로방향 선택은 태권도장경영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스포츠관련업, 체육교사, 일반직, 팀 감독 순으로 나타났다, 안정된 직업의 인식은 체육교사 가장 높고, 태권도장경영, 스포츠관련업, 일반직, 팀 감독 순으로 나타났다. 진로 결정에 영향을 준 사람은 스스로가 비율이 가장 높고 스승, 부모, 선배, 친구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선택의 중요요인은 안정된 장래가 가장 높았고, 적성, 경제력, 보람 및 사회봉사 순으로 나타났다. 진로준비 시 장애요인은 외국어실력 부족, 진로정보 부족, 전공실력 부족, 학점 저조, 기타, 외모 순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진로 지역 선택은 전체적으로 해외, 서울, 상관없음, 경기, 지방 순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조사결과 태권도학과 학생들은 졸업 후 진로의 방향선택을 태권도장경영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준비하는데 필요한 학문분야의 교과목을 확대하는 교육과정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학과 만족도를 높이려는 시도와 함께 학생들이 경쟁력 있는 태권도장 경영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basic data needed for establishing curriculum which can help the students of the Taekwondo department to design their careers through surveying and analysing their career awareness after graduation. For this purpose, it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juniors, sophomores, and seniors of 6 universities among the universities which have the Taekwondo department at the present time throughout the nation, and the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482 sheets. The questions of the survey consisted of 19 questions in total; 8 questions ab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5 questions about curriculum of the Taekwondo department, and 6 questions about careers after graduation, and on the survey results, a frequency analysis was made using a statistical technique and then a cross-tabulation was processed. The analysis results derived from the above process are as the following. First, a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it showed that the male subjects were 79.7% and the female subjects were 20.3%. As their academic years, it was found that the juniors were 41.9%, and the sophomores were 40.5%, and the seniors were 17.6%. As the time when they started to learn Taekwondo, elementary 1st∼3rd grade was most as 37.8%, and as the Taekwondo career, 12∼15 years were most as 41.3%, and as acquired Dan(grade), 4th Dan was most as 66.4%. About the featured Taekwondo techniques, it was found that Kyorugi was 34.4%, Sibeom was 23.2%, Poomsae was 23.0%, others 10.6%, and Kyukpa was 8.7%. As fields of their part-time jobs during being in university(college), Taekwondo halls were most as 35.1%, and other fields(30.5%), no experience of part-time job(20.3%), sport facilities(8.7%), the Taekwondo related field(bodyguard etc.)(5.4%) were followed. Second, for the perception about the curriculum of Taekwondo department, as the motive for selecting the Taekwondo department, the answer that it was proper for the aptitude of each of them showed high rate. As satisfaction about selection of the Taekwondo department, the rate of the answer with little satisfaction showed high, the female showed less satisfaction than the male, and the satisfaction about the curriculum of the Taekwondo department showed lower than the satisfaction about its selection, and the upper their academic years were, the more their little unsatisfaction rate showed. As their most interested field related to Taekwondo among the curriculum, Taekwondo hall management showed high. As the degree of helpfulness of the Taekwondo curriculum for their careers, the answer that it was a little helpful was most, while the answer that it was a little unhelpful was highest in the seniors. Third, the awareness about careers after graduation, as the career direction, Taekwondo hall management was highest, and sports related businesse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Taekwondo team managers were followed. As persons influenced on their career decisions, themselves were highest, the teachers, parents, senior persons, and friends were followed. As main factors for selecting a job, stable future was highest, and the aptitude, economic power, rewarded feeling through the job, and welfare services were followed. As obstacles in preparing the career, lack of foreign language skills,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 career, lack of ability in the major, the low grade, others, and appearance were followed. As preferred regions for the career after graduation, overall, foreign countries, Seoul, to do not care, Gyeonggi-do area, and local areas were selected in ordered of high preference. In general, as the result of surveying,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Taekwondo preferred Taekwondo hall management as their after graduation careers, so subjects related to the scientific fields needed for Taekwondo hall management are needed to be included in the existing curriculum, in addition, with the efforts for enhanc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tudents about the department, one should provide the students substantial support unsparingly in order that they may grow into competent Taekwondo hall managers.

      • 호텔관광경영학과의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이 자발적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가치와 교육만족의 매개효과

        김미성 배재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83

        The effect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in department of hotel management :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Mi-Sung Kim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Young-Tae Kim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NCS based education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students in departments of hotel tourism management on perceived valu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Al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much the impact of NC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was mediated by perceived valu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eventual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in departments of hotel tourism management by suggesting measures,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to increase the education quality from verified the level of education quality currently perceived by students. Also it is to induce their positive attitude toward school after graduation by perceiving the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department.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tal 800 to college students in departments of hotel tourism management. The collected survey was 778 and used survey in the empirical analysis is 714. The other 64 are with the tendency of centralization or insincere response. The empirical analysis tool was used SPSS 18.0 Program and sobel-test for statistical processing.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like below. First, in the results of analyzed the effects of NC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the administrative service and excellence of program factor had positive(+) effects on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However education factor had no effects on factors of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Therefore dismissed.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NC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perceived value, the administrative service had positive (+) effects on symbolic value and functional value. However education and excellence of program factor had no effects on factors of symbolic value and functional value. Therefore dismissed.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NC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education factor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erefore dismissed. On the contrary, the administrative service and excellence of program factor had all positive (+) effects on it. Fourth, the perceived value was indirectly affect partially mediated relation between NC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Lastly,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would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association between NC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 was supported 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with educational satisfaction serving as a partial mediator.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i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empirically identified the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NCS bas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or students majoring in hotel tourism management. However, it has following limitations, so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be complemented and controlled by researches in the future. First,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fact that the NCS based curriculum in department of Hotel Tourism Management was surveyed only in specific departments. In order to improve and expand the NCS based curriculum management of universities,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the study of the overall NCS based curriculum management of universities.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summarize specific details when reorganizing or operating the NCS based curriculum. Second, this study has been verified through HEdPERF dimension for NCS based education service quality measurement. Although HEdPERF was developed as a service quality measurement tool specialized in educational field, there is a limitation in measuring the perception level of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related to the department of Hotel Tourism Management. Therefore, reliability of the scale should be secured through similar studies. In addition, even if the present study is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may change according to the process, so it should be improved through continuous analysis. Third, there is a limit to the one-time survey conduc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pondents had a large share of freshman students, and the measurement period had to be diversified in order to measure multiple variables more accurately. In other words, the perception gap of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service perceived by the students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grad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distributions of the various grades and the long-term aspects for more accurate analysis. Finally, the NCS based education services quality is still new and not conceptually active yet. Therefore, there may be a level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NCS based education service quality. In addition, most of the respondents in this study were freshman students, and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NCS based education services, which may lead to differences in voluntary behavioral intentions such as recommendation intention or loyalty to NCS based education services. Future research should reflect the limitations of current research. 본 연구는 호텔관광경영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인지한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의 주요 변수들이 지각된 가치, 교육만족, 자발적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이 자발적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지각된 가치와 교육만족에 의하여 매개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한 것이다.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실증분석을 통해 현재 학생들이 인지하고 있는 교육서비스품질차원을 확인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고, 졸업 이후에도 학과의 교육서비스품질을 인지함으로써 호텔관광경영학과의 발전 및 개선에 기여하고 학교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호텔관광경영 관련학과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총 800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가운데 778부가 회수되었고, 이중 중심화 경향을 보이거나 불성실한 응답지 64부는 제외되어 최종적으로 714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서 실증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과 sobel test를 활용하여 검정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이 자발적 행동의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행정서비스 와 프로그램 우수성 요인은 자발적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주었지만, 교육 요인은 자발적 행동의도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둘째,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행정서비스 요인은 상징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교육 요인과 프로그램 우수성 요인은 상징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에 모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셋째,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 요인은 교육만족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고, 반대로 행정서비스 요인과 프로그램 우수성 요인은 교육만족에 모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가치는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과 자발적 행동의도와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과 자발적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 교육만족은 매개효과을 가질 것이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지지되었으며, 교육만족이 부분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호텔관광경영 관련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대해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고 통제 할 필요가 있다. 첫째, 본 연구는 호텔관광경영학과의 NCS기반 교육과정에 대하여 조사한 부분이라 특정 학과에 국한되어 측정하였다는 것이 한계라 할 수 있다. 이에 향후 연구는 대학의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해 개선하고 확산하기 위해 대학의 전반적인 NCS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NCS기반 교육과정을 개편하거나 운영할 때, 구체적인 사항들을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 측정을 위해 HEdPERF차원을 통해 검증하였다. HEdPERF는 교육분야의 서비스품질측정도구로 개발되어 호텔관광경영 관련학과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한 인식수준을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와 유사한 연구들을 통하여 척도의 신뢰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결과가 긍정적이라 할지라도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한 인식은 과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분석을 통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를 위해 1회에 한 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것이 한계가 있다고 본다. 설문응답자가 1학년 재학생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는데, 여러 변수들을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 시기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이다. 즉, 학년의 변화에 따라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한 인지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보다 더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다양한 학년의 분포와 장기적인 측면에서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은 아직은 새롭고 개념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NCS기반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해 이해하는 정도에 따라 수준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더구나 본 연구의 응답자는 대부분이 1학년 재학생들이라 NCS기반 교육서비스에 대한 이해가 많이 부족하여 NCS기반 교육서비스에 대한 추천의도나 충성도 등 자발적 행동의도에 차이가 날 수 있다. 이에 향후 진행되는 연구에서는 현재 연구의 한계점에 대한 고려가 반영되어 연구해야할 것이다.

      • 무용계 활성화를 위한 예술경영교육도입 방안연구

        전선영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67

        본 연구는 무용계의 활성화를 위해 예술경영교육도입을 통하여 아직체계를 잡지못한 무용계의 학문적인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준비되어진 무용전공 예술경영인이 필요하게 된 문화예술계의 현실을 살펴보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문능력의 무용전공자를 무용계는 양성해 내야 한다고 본다. 10년이 족히 넘는 긴 시간의 훈련으로 ‘무용’ 이라는 속성상 자발적이든 타의적이든 졸업과 동시에 진로를 찾지 못하는 전공자와 또 30대초의 이른 이에 조기은퇴를 해야 하는 상황을 전문무용수는 직면하게 된다. 이렇듯 어릴 적부터 오랜 훈련과 교육을 통해 무용에 깊은 열정을 가진, 공연을 통해 무대 경험과 단체 생활에 익숙해진 그들이 너무나 이른 나이에 사회로 나오게 된다. 긴 시간동안 무용을 전공한 이들은 무용예술과 관련된 일에 활동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직 실기위주의 수업으로 인하여 많은 다양한 문화 예술계의 길이 있음에도 그 길을 알지 못하고 졸업을 맞이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무용계의 양·질 향상과 사회적 위상을 위해 직접적으로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무용공연예술관련 업무가 상당히 많음을 설명하였다. 이젠 무용계에 예술경영교육과 무용경영교육이 절실히 필요한 때이다. 예술경영학은 이러한 폭증하는 문화예술과 소비자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정립하고 매개할 방법론을 총계 적으로 연구하는 신생학문이라고 조심스럽게 말할 수 있다. 무용경영학은 무용학과 경영학의 복합적 교과로서의 학문이 아니라, 무용학의 일부로서 무용이 보다 네트워크화 되어 가고 있는 복잡한 현대 사회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매개체적인 학문임을 인식하여야 한다. 예술경영학은 시스템화한 일부 산업현장과 달리 '현장성, 노동집약적, 휴먼네트워크 중심, 비(非)자동화, 공익성, 창조성‘ 등 예술현장의 특성을 감안해 이런 전제조건들을 명확하게 교육하고 수용시킬 특화된 커리큘럼이 요구된다. 무용 경영학 역시 사회적 수요의 변화분석과 예측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며, 무용경영학에서 다루어야 할 대상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분류 및 분석연구에 이어 이를 실제 사회적 요구에 적용하기 위하여, 교과과정 분석 및 무용경영학 교과과정 제안 등 세부적인 선행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 예술경영교육의 현황과 새로운 한 영역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무용경영학의 연구방향과 교육환경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은 예술경영분야에서의 미국의 6개 대학의 커리큘럼과 예술경영교육 사례를 들었으며 우리나라의 교과과정과 함께 분석해 보았다. 또한 무용학 석사학위를 토대로 예술경영학 영역에 대한 논문을 중점으로 연구하여 예술경영과 무용학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무용학 분야의 예술경영학은 무용공연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에 관한 연구로 치우쳐 있는 경향이 있다. 마케팅 이외에 예술경영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포함하는 ‘예술경영개관’, 예술 공연의 활성화를 위한 ’예술 정책 및 행정‘ 그리고 예술의 정보체계구축을 위한 ’예술경영과 정보체계‘, 공연을 위한 극장의 활성화와 운영에 대한 ’극장 경영‘, 예술단체의 운영방안에 대한 ’예술단체‘, 예술가의 인력관리관령 연구인 ’인적자원관리‘, 공연의 대중화를 위한 ’이벤트/축제‘ 관련 연구 등 여러 분야의 균형 있는 연구가 되어져야 만이 앞으로 무용학의 예술경영학 분야의 발달이 이루어지며 또한 무용경영학의 체계적인 교육과정 또한 생겨 날 것이다. 아울러 예술경영의 전반적인 흐름과 이론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무용공연의 현황을 분석해 보고자하며, 현재 무용학과내 예술경영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곳의 교육 실태와 우리나라 무용학과내에 부재되어 있는 예술경영교육을 통해 무용계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현재 시행되어지고 있는 무용공연시스템의 개선점과 방안을 올바르게 제시해보고자 한다. The research plan below proposes an academic-based approach to the advancement of the field of dance, which up to now has yet to be formalized in Arts Management education. Such an approach requires a closer look at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and its actual demand for professional dancers, which in turn drives the need to cultivate more dancers who are qualified to meet those demands. From having majored in dance with over 10 years of training and still not being able to decide on a career path after graduating with a degree in dance, to having danced professionally but suddenly having to retire in one’s early 30s, these are some of the realities that dance professionals face today. Dance professionals develop a deep passion for dance through a long and arduous course of training and education that starts from a young age, and become accustomed to stage life and working in a team environment at an age much younger than most in other professional fields. Due to the fact that current approaches to dance education focuses solely on the practice and exercise of the art of dance, many of those who have trained in dance for a long period of time end up graduating without the knowledge that there are many other career options available to them in the field of Da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cribe with specificity the changes needed in Performing Arts and Dance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field of Dance as well as its place and status in society today. Currently, there is a great need for Art and Dance Management education. Art Management Studies is a somewhat new but comprehensive field of study that researches methodologies to define and set the relationship between surging cultural arts and its consumers. Dance Management Studies should be recognized as not simply a combination of Dance studies and Management studies, but rather as a truly interdisciplinary field of academic study that attempts to respond to the complex networking needs of the dance industry as it exists in today’s modern world. In Art Management Studies requires a specialized curriculum that understands and can clearly educate its students on the unique demands of the industry. For example, unlike the typical industrialized or corporate workplace,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place of art can be among others, "on-site, labor intensive, human network focused, un-automated, beneficial to the public, and creative.” There is also a dire need in Dance Management Studies to research and track changes in the social demands of the field and to make sensible projections based on newfound understandings in order to further categorize and identify what areas in Art Management are in need of study. In addition, a more active pursuit of developing a comprehensive curriculum for prerequisite studies as well as the introduction of Art Management as a possible career path are needed to better prepare students for a fulfilling a career upon gradu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Art Management education in South Korea which has increased rapidly of late, and to provide a direction and plan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Dance Management studies as a new and emerging field. To accomplish this, we will analyze and compare the curriculum in 6 Art Management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with the curricula that exists today in South Korea. We also used the Masters’ theses in the field of Art Management and Dance Studies to augment our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trends in these fields. There is a tendency in Art Management studies related to the dance field to focus too much on researching marketing strategies for stimulating the business of dance performance. A more balanced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a structured curriculum for Dance Management studies is needed which should include courses in a diverse range of topics including: "Art Management Fundamentals," which should teach Art Management as a structured curriculum excluding marketing; "Art Policy and Administration," which focuses on managing the business of performing arts; "Art Management and Information Systems," that teaches the structure of IS in the arts; "Theater Management" for managing theater performances and operations; "Art Groups" for operational plans of art organization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lated to the stud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artists; and "Events and Festivals," which touches on ways to promote performances. Additionally, based on the overall flow and theories of Art Management, we plan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South Korea's performing arts. Furthermore, we plan to observe the education status of locations where Art Management studies courses are currently being offered, and consider ways to promote the field of dance as we provide improvement points and a plan to correct currently implemented systems.

      • 국내 대학의 계약학과 제도에 관한 연구 : K대 실용무용과 사례를 중심으로

        이상규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51

        The social demand customized curriculum is one of the changes in the human resources policy to prepare for the future social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future growth engine and the supply of high quality manpower due to the industrial demand and the mismatch of the college majors.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mismatching is urgent. Therefore, we have studied the customized curriculum of social demand.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contract department system of domestic universities. It examines contents, background, system outline and progress of contract department system, examines related precedent research and comparative example, and concludes contract with industrial dancing industry The curriculum development case of 'contract condition of employment condition type' was combined with modularization of NCS. Through this research, we have cultivated creative talents through the study of modularized curriculum to cultivate K-culture talent for the rapidly changing contents market while cultivating job ability reflecting the demands of industry. In Chapter 1, we describe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research, the content and method of research, definition of terms, scope and limitations of research. In Chapter 2, we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customized curriculum. In Chapter 3, In Section 4, we developed practical dance education curriculum as a customized curriculum based on the analyzed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can be used to train professionals who are required by industry. The above curriculum can prepare for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by classifying and modifying the contents of the job corresponding to the talents required by the industry, and educate them in a systematic and detailed manner for the talents required by the industry. In addition, we present the development cases of the curriculum to show how to effectively utilize the benefits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and the curriculum system.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get a glimpse of specific discussions and curriculums between industry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From the specific goal setting stage of the department through analyz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social demand for efficient and effective training of human resources required by industry, I have studied the whole contents of the contract departmen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w industries and creativity are required as future growth engines.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established a foundation for fostering innovative innovation talents by introducing a fusion major and major elective system so that universities can operate the bachelor's degree system This means that future value added industries are more complex and creative jobs than professional industrie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show not only one special field but also a curriculum that combines various fields, while studying through domestic contract department system. Through this, we expect to activate the contract department system and steadily develop the customized curriculum in the future. 사회수요 맞춤형 교육과정이란 산업계 수요와 대학 전공 불일치로 미래 성장 동력 및 고급인력 공급의 부족 등, 미래의 사회문제에 대비한 인력정책의 변화의 한 대목으로서 대학은 분야별 인력수급전망에 따른 인재양성, 미스매칭의 양적, 질적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사회수요 맞춤형 교육과정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국내 대학의 계약학과 제도에 관한 연구로 계약학과 제도에 관한 내용 및 등장배경, 제도의 개요 및 추진 경과 등을 알아보고 관련 선행연구 및 비교사례를 살펴보며 실용무용분야 산업체와의 계약을 통한 ‘채용 조건형 계약학과’의 교육과정 개발사례를 NCS의 모듈화와 접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산업체의 요구를 반영한 직무능력을 함양함과 동시에 급변하는 콘텐츠 시장에 대비한 K-Culture 인재양성을 위해 모듈화 된 교육과정의 연구를 통하여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연구 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용어의 정의,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에 대해 밝히고, 2장에서는 사회수요 맞춤형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배경들을 살펴보고, 3장에서는 비교사례들을 분석하였으며, 4장에서는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한 사회수요 맞춤형 교육과정으로 실용무용과 교육과정을 개발 하였다. 본 사회수요 맞춤형 교육과정은 실용무용 분야의 한 산업체를 대상으로 해당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전문 인재양성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연구하였다. 위 교육과정은 해당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인재에 해당하는 직무를 능력 단위화 시켜 해당내용을 분류, 모듈화 하여 급변하는 사회에 대비할 수 있고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위한 체계적이고 세부적으로 교육할 수 있다. 또 이에 대한 교육과정 개발사례를 제시하여 실제로 교육과정개발이 이루어지는 과정 및 계약학과제도에 대한 이점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산업체와 교육기관 간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논의와 교육과정을 엿볼 수 있으며 산업체가 요구하는 인재에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양성을 위한 주변 환경 분석, 사회수요 조사 등을 통한 학과의 구체적인 목표수립 단계부터 중장기 발전전략 도출까지 계약학과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연구 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의 성장 동력으로 새로운 산업과 창의력이 요구되는 가운데 교육부는 대학이 학사제도를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융합전공, 전공선택제를 도입하여 창의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이는 미래에 부가가치가 있는 산업이 전문적인 산업 보다는 보다 복합적이고 창의적인 직업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계약학과 제도를 통한 연구와 동시에 한가지 전문분야 뿐만 아닌 다양한 분야를 접목시킨 교육과정을 보여주려 노력 하였다. 이를 통해 계약학과 제도의 활성화와 앞으로 사회수요 맞춤형 교육과정의 꾸준한 개발을 기대한다.

      • 종합병원 행정직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관계에 관한연구 : 의료경영전공자와 비전공자와의 비교연구

        권오웅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51

        종합병원 행정직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관계에 관한연구 -의료경영전공자와 비전공자와의 비교연구- 권오웅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지도교수 김양균 의료산업 중에서도 병원은 인적자원이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노동집약적 산업이다. 따라서 인적자원의 효율성이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근 국내병원들은 외국의 대형병원의 국내진출, 해외환자 유치와 같은 큰 변화의 중심에 서 있다. 이처럼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병원들은 내실경영이 필수적이 되었고 이를 위해서는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가장 중요한 부분인 인적자원의 효율성 제고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병원행정직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병원내실경영에 방향을 제시하고자한다. 또한 “의료경영”학과와 그 유사학과에 앞으로 병원경영 전문가 양성을 위해 해야 할 일과 나아가야 할 방향들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위해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5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행정직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1.0 통계프로그램과 AMOS 5.0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의료경영/병원행정 등 의료관련 전공자들이 비전공자들에 비해 조직몰입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승진이며, 조직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정서적 몰입이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를 통하여 실무적인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의료경영/병원행정 등의 관련 학과에서는 졸업생들 졸업 후 실무에 나갔을 때 보다 직무에 만족하고 조직몰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를 강화시켜 교육하여 학과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병원의 인사 관련 업무 종사자들은 직원 채용에 있어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둘째, 이직은 병원경영에 있어 막대한 시간적, 비용적 손실을 입히게 되는 요소로서 이직을 줄이는 요소인 조직몰입을 강화시키는 프로그램의 개발, 교육을 통해 병원경영의 정상화를 도모할 수 있다. 셋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중요요인 들을 유념하여 중점적으로 강화함으로서 병원 행정직원들이 직무에 만족하고 조직몰입을 하여 이직의도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Abstract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Employees O Woong, Kwon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Yang Kyun, Kim Besides all healthcare industry, Hospital is labor intensive industry which human resource acts important part. Therefore, efficiency of human resource effects directly on management outcome. Recently, domestic hospitals are facing change of industry such as medical tourism and penetration of foreign hospitals. In such competition, it is crucial to manage company's human resource efficiency. This study analyzes relations betwee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o propose directions for efficient hospital management. Also,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uide directions to educate manage hospital management expert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00 randomly selected faculties in a general hospital in Kyungkido. The answers were analyzed through SPSS 11.0 package and AMOS 5.0. Results of analysis are shown as below: First of all, graduates of healthcare and hospital administration major showed. Moreover, job satisfaction does not effects turnover intention but job commitment effects turnover intention. Finally, promotion effects the most on job satisfaction and affective commitment effects the most on job commitment.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of all, healthcare and hospital administration majors could use this study to improve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actual field to advance the major. Moreover, turnover is a factor that waste time and cost which demands educational programs to strengthen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strengthening the factors that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hospitals can decrease turnover rate and increase job satisfaction

      • 한국 관광학 연구의 동향 : 관광관련학과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이월계 강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5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research project of tourism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research trend regarding tourism. As searching the complete enumeration without restriction over time and space from initial stage to present, trend research is analyzed by subject, year, degree, university and department. A data for research subject is conducted which the time period for the data is from 1980 to 2009 and 5,596 total theses were used for the data research which 4,535 theses was used for the master degree and other 1,061 theses were used for the doctorate which was extracted from National Library of Korea using 21 keywords related to the tourism. The reason to use the search function of the Library is that all theses published within Korea are obliged to present a specimen copy of them i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Precedent researches were executed numerous times in domestic and overseas on the subject of research trend of tourism but those researches were restricted by period, region, and degre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implement the complete enumeration targeting all theses published within Korea and is meaningful for analyzing the topics by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KDC). As an analytic method, first, a subject distribution of dissertation related to the tourism within KDC was examined and second, the topic analysis was retried by keywords based on the classified table in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as most of theses were leant too much towards a certain classification without categorizing by three section in tourism within the classification table of KDC. Third, a volume of publishing theses was examined by year and a status of thesis was analyzed classifying by first, second and third period as the unit of the years over from 1980 to 2009. Fourth, theses were analyzed the subject characteristics by degree. Fifth, a number of theses were searched by department per each university where has a post graduate school of tourism related and lastly, a recent trend of tourism research was understood as examining changeable aspects of dissertation by department related to tourism and of department name which were searched the status of theses by overall departm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 first, 2,771 theses of tourism (326.39) were mostly occupied in the overall thesis 5,596 and these of hotel (596.81) and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596.1) were the next rank about 2,102 these in a subject distribution on the academy classified table. Second, dissertations for hotel/restaurant industry management are 2,579 overwhelming and ones for marketing/product are 633 in keyword analysis according to the classified table of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Third, a number of master’s and doctorate dissertation was the highest gain in status dissertation by year. Moreover, as classifying the issuing period of dissertation by a unit of 10 years, the first period from 1980 to 1990 was issued 438, the second period from 1991 to 2000 was issued 1,489 and the third period from 2001 to 2009 was issued 3,669 which showed remarkable volume increase in a recent period. Fourth, diversity of subject area were showed more in master’s thesis than doctorate one in the subject characteristic by degree. Fifth, Kyonggi University published 1,399, Sejong University issued 1,229 and Kyunghee University issued 1,992 overwhelming in dissertation status by each department of University. Sixth, tourism management school issued 2,652 dissertation, hotel tourism management issued 740, hotel management issued 609 and restaurant industry as a new department issued 26 in 2007 and tourism and science of landscape architecture issued 3 these from 2008. Implications of results in this study are that academic characteristics of tourism has been getting highlighted on the total academic characteristics as tourism area has been recently diverse and identity controversy of tourism came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otal academy. Despite of the quantitative growth of academic thesis in this study results, it is the problem that the controversy has been continuously mentioned. Research method and subject leant too much toward one side are the assignment for overcoming to researchers for differentiated tourism development with accumulating qualitative research kept pace with the quantitative one regarding tourism. The establishment for Research indicators is required for proper integrated professionalism and standardiza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which the study of tourism intends leant to the non-business area as tourism demand has been recently increased by quality of life and by implementing the five-day work week and leisure time increase which causes demand increase regarding dine-out, cooking, culture, sports and leisure. Differentiated curriculum course is required to university with four year course, two year course, industrial university, cyber university so on whether quantitative and practical study require putting before theoretical clarification of tourism status or vice versa. 본 연구는 관광학에 대한 연구동향을 파악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관광학의 발전적 연구 과제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 관광학의 초창기부터 현재까지의 시대적, 공간적 제한 없이 학위논문 전수를 조사하여 내용분석을 함으로써 주제별, 연도별, 학위별, 대학별, 학과별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자료는 국내에서 발표되는 모든 학위논문을 국회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의무적으로 납본 되어야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관광관련학과 명칭 21개를 키워드로 검색하여 자료를 추출한 결과, 시기적 범위는 1980년부터 2009년까지였으며, 석사학위논문 4,535건, 박사학위논문 1,061건으로 총 5,596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동안 관광학의 연구동향에 대하여 학위논문 및 학술지를 대상으로 국내․외에서 선행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기간별, 지역별, 학위별로 제한을 두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표된 모든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한국십진분류법(KDC) 학문분류표에 의한 주제 분석을 시도한 데 의의가 있다. 분석방법은 첫째, 논문의 KDC 학문분류표 내에서 관광학 관련 학위논문의 주제 분포를 살펴보았고 둘째, KDC 분류표 내에서 관광학 분야가 세분류되어 있지 않아 대다수의 논문이 한 분류기호에 편중되어 있어 한국연구재단 연구 분야 분류표에 근거한 키워드로 주제 분석을 재시도하였다. 셋째, 연도별로 학위논문 발표량의 추이를 살펴보았고 198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을 단위로 제1기, 제2기, 제3기로 구분하여 논문 현황을 분석했다. 넷째, 학위별로 주제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섯째, 관광관련 학과 대학원이 개설된 각 대학의 학과별로 논문 편수를 조사했고, 마지막으로 전체 학과별 논문현황을 조사하면서 관광관련학과별 논문수의 변화양상, 학과 명칭의 변화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최근 관광학 연구의 흐름을 알 수 있었다. 분석결과, 첫째 KDC 학문분류표 상의 주제 분포는 관광학(326.39) 논문이 총 5,596편중 2,771편으로 가장 많았고 호텔(596.81) 및 공동주택관리(596.1) 분야가 2,102편이었다. 둘째, 한국연구재단의 연구 분야 분류표에 의한 키워드 분석에서는 호텔/외식산업경영이 2,579편, 마케팅/상품이 633편으로 압도적이었다. 셋째, 연도별 논문현황에서는 석·박사 공통으로 2001년도에 큰 폭으로 증가 하였다. 또한 논문발표시기 전체를 10년 단위로 구분하여 보면 1기(1980-1990)에는 438편, 제2기(1991-2000)에는 1,489편, 제3기(2001-2009)에는 3,669편으로 최근으로 올수록 괄목할만한 양적 증가를 보였다. 넷째, 학위별 주제 특성은 박사학위논문보다 석사학위논문에서 주제 분야의 다양성을 보였다. 다섯째, 각 대학의 학과별 논문현황에서는 경기대가 1,399편, 세종대가 1,229편, 경희대가 1,192편으로 압도적이었다. 여섯째, 학과별 특성에서는 관광경영학과가 2,652편, 호텔관광경영학과가 740편, 호텔경영학과가 609편이었고, 신생학과로는 2007년부터 외식산업학과가 27편, 2008년부터 관광조경학과가 3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본 연구결과 시사점은 최근 관광학의 분야가 다양화됨에 따라 관광학의 학문적 특성인 종합학문적 특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관광학의 정체성 논란은 관광학이 종합학문의 성격이 가지는 데에 원인이 있는 것 같다. 연구결과물인 학위논문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학문의 정체성 논란이 지속적으로 언급된다는 것은 문제점이 아닐 수 없다. 관광학의 양적인 발전에 맞춰 질적 이론의 축적이나 한국만의 차별화된 관광학 발전을 위하여 연구방법이나 연구주제 편중문제는 연구자들이 극복해야할 과제이다. 또한 최근 삶의 질 향상으로 관광에 대한 욕구증대와 주5일 근무, 여가시간 증가로 인한 외식, 조리, 문화, 스포츠, 레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관광학 연구가 비사업분야 보다는 사업분야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론과 실용이 적절히 통합된 전문화, 표준화를 위한 연구지표 설정이 요구된다. 시대적 상황을 고려한 계량적, 실용적 학문이 우선시 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관광 현상학적인 이론적 규명을 우선시해야 하는지의 문제인데 4년제와 2년제, 산업대학, 원격대학 등에 따라 교과과정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 외식산업 경영에 관한 연구 : 최근 외식산업경영 동향분석을 중심으로

        김금자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35

        This study conducted both literary and empirical research in order to analyze the recent research trends on management of restaurant industry in the graduate school. First,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doctoral dissertation on the management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for the last five years were collected, and the literatur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addition, an empirical study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research. As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meta analysis technique was used to calculate the frequency and proportion of the analysis subjects and compare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was carried out in 26 universities during the study period. Three schools including Kyonggi University(21.3%), Kyunghee University (13.6%), and Sejong University (10.6%) took about half(45.5%), that is, 30 out of the total 66 papers, and remaining 23 universities carried out 3 to 1 papers respectively. And 29 cases of research were conducted at 3 departments of eating-out cooking, accounting for 43.94%, almost half of them. 20 cases of research were conducted at departments of tourism and hotel, accounting for 30.3%, 14, at departments of general business administration, accounting for 21.21%, and then 3, at departments of food and nutrition, accounting for 4.55%. Second, among the 66 research subjects, the quantitative research was 62 (93.9%)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3 (4.5%). The number of complex studies in whic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combined was 1 (1.6%). The reason why the quantitative researches are too many is that the research result is highly reliable and feasible due to the numerical value. The subject of the research was a core element of the research purpose and showed almost conformity with the title of th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ubject of the study consisted of direct elements of management and subsidiary elements necessary for management. 17 cases(25.75%) were about the management strategies and management activities, 10 (15.15%), about employees, 9 (13.64%), about food franchises, 5 (7.67%), about entrepreneurship (founding), 4 (4.55%), about eating-out bakery and customers. In the study, there were 29 out of 66 studies in which there were sub-themes that put the core or central points of the topic after the topic of th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8 sub-topics (27.6%) were 'focused on eating-out industry' or similar ones and the most frequent, 5 sub-topics (13.8%) were about frequency of employees, and 4 sub-topics (13.8%) were about customers, trust and others. And 2 sub-topics (6.9%) were about group meals and franchises. Third, among the 64 papers with the sample of subject, 26 (40.62%) were about customers, 17 (26.57%), about employees, 15 (23.44%), about administrator, and 6 (9.37%), about enterprises in order.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taurant industry aims at profit, and its highest interest is in customers, and then employees who provide customers with direct service. As for the number of specimen, 34.38% was between 300 and 400. It is shown that the food service industry is segmented and divers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dustry by type, and globalized due to the development of global transportation network and informationization, and the specialized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is emerging. Fourth, in the analysis of the variable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22 variables (34.8%) were about customers, 12 (19.0%), about employees, 9 (14.2%), about management activities and management factors, 5 (7.9%), about business owners and franchise members respectively, 4 (6.3%), about franchises, 2 (3.2%), about online management activities and food materials, and 1 (1.6%), about smart environment and overseas market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subordinate variables showed that 21 (33.3%) were about customers, 13 (20.6%), about management performance, and 7 (11.1%), about management performance of franchise members. 20 (31.7%) were about the results of actual management performance, 9 (14.3%), about employees, 5 (7.9%), about brand, 2 (3.2%), about market value and business owners, and 1 (1.6%), about environmental management, organizational buying strategy and franchise respectively. As a whole, the results of analysis of subordinate variables were all element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management performance or have an important effect on it. In conclusion, most of the researches are related to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In general, research trends in the management of food industry have shown that quantitative resear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qualitative research, and research on customers and employees is conducted a lot in the selection of survey subjects and research variables. It was found out that these are 2 important factors of management. Key words: Foodservice industry, franchise, meta-analysis, management performance, research trend 본 연구는 최근의 외식산업 경영과 관련하여 최근 대학원에서 이루어진 외식산업 경영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최근 5년 간 외식산업 경영에 대한 박사학위 논문과 관련된 선행 연구결과를 수집하여 문헌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 분석은 메타분석(meta analysis)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 주제별로 빈도, 비율을 산출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 기간 중에 26개 대학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경기대학교(21.3%), 경희대학교(13.6%), 세종대학교(10.6%)로 이상 3개 학교가 전체 대상 논문 66편 중30편으로 45.5%로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나머지 23개 대학에서 3 ̴ 1편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학과별 외식조리 계열의 3개 학과에서 29편의 연구가 이루어져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43.94%로 나타났다. 관광 및 호텔 계열에서는 20편의 연구가 이루어져 30.3%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경영일반 기타 계열에서 는 14편의 연구가 이루어져 21.21%로 나타났고, 식품영양 계열은 3편의 연구가 이루어져 4.55%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 대상 연구 66편 중 양적 연구가 62편으로 93.9%로 나타났고, 질적 연구가 3편으로 4.5%로 나타났다.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가 복합적으로 나타난 복합연구는 1건으로 1.6%로 나타났다. 양적 연구가 월등하게 많이 나타난 원인은 연구 결과가 수치(數値)로 이루어지는 특성상 연구 결과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게 인정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연구의 주제는 연구목적의 핵심적 요소이고, 연구의 제목과 거의 일치하는 현상을 보였다. 분석 결과 연구의 주제는 경영에 관한 직접적인 요소와 경영에 필요한 부수적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영전략 및 경영활동에 대한 주제가 17편(25.75%), 종업원에 대한 주제가 10편(15.15%), 외식프랜차이즈 9편(13.64%), 기업(창업)에 대한 주제 5편(7.67&) 순서로 나타났다, 이어서 외식베이커리와 고객에 대한 주제가 4편(4.55%)으로 뒤를 이었다. 연구에서 주제에 대한 핵심적인 사항 또는 중심적 사항을 논문의 주제 다음에 표시하는 부 주제(副主題)가 있는 연구는 전체 66편 중 29편 이었다. 분석 결과 ‘외식산업을 중심으로’ 또는 이와 유사한 내용의 부 주제가 8편(27.6%)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종업원에 대한 빈도가 5편(13.8%)로 나타났고, 고객, 신뢰, 기타에서 4편(13.8%)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단체급식과 프랜차이즈가 2편(6.9%)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 표본이 있는 64편의 논문 중 고객을 표본으로 하는 대상이 26편(40.62%). 종업원 17편(26.57%), 경영자 15편(23.44%), 기업체 6편(9.37%)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는 외식산업이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이기 때문에 고객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높았다고 판단되며, 다음으로는 고객을 직접 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업원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고 판단된다. 표본의 수는 300명 이상 400명 미만이 34.38%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외식산업 유형별 분석을 통하여 외식산업의 세분화와 다양화가가 이루어지고 있고, 또 세계적 교통망과 정보화의 발전으로 인하여 세계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외식업의 전문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양적 연구의 변인 분석에서 독립변인은 고객에 대한 부분이 22편(34.8%), 종업원 12편(19.0%), 경영활동 및 경영요인이 9편(14.2%), 으로 나타났고, 사업주와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각 5편(7.9%), 프랜차이즈 4편(6.3%), 온라인 경영활동과 식자재가 각 2편(3.2%), 스마트 환경과 해외시장이 각 1편(1.6%)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에 대한 분석 결과는 고객이 21편(33.3%), 경영성과가 13편(20.6%), 프랜차이즈 가맹점에 대한 경영성과가 7편(11.1%)으로 나타나 실질적인 경영성과에 대한 결과는 20편(31.7%)이었고, 종업원이 9편(14.3%), 브랜드가 5편(7.9%), 시장가치와 기업주가 각 2편(3.2%), 환경경영, 조직 구매전략, 프랜차이즈에 관한 것이 각 1편(1.6%)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에 대한 분석결과를 전체적으로 판단하면, 모두 경영성과에 직결되거나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서, 연구의 대부분이 외식산업 경영에 대한 성공적 성과에 관하여 연구가 이루지고 있다고 결론을 지을 수 있다. 종합적으로 외식산업 경영에 관한 연구동향은 양적 연구가 질적 연구에 비해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고, 조사 대상 표본의 선정과 연구의 변인에서 고객, 종업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이들이 경영의 중요한 2대 요소라는 것이 연구 결과 밝혀졌다.

      • ESG 경영과 ESG 경영 수준의 변동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유정은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35

        ESG 경영과 ESG 경영 수준의 변동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ESG 경영전공 유 정 은 지도교수 : 손 성 진 본 연구는 ESG 경영의 수준과 ESG 경영 수준의 변동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707개 기업을 대상으로 FnGuide에서 2019년부터 2022년까지의 ROA, ROE, Tobin’s Q 등의 재무자 료를 수집하였고, 2020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 ESG 기준원에서 공개한 2,121개의 ESG 등급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SG 경영 수준이 양호한 기업이 재무성과가 우수하고, ESG 경영 수준이 취약한 기업이 재무성과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SG 경영 수준과 ESG 경영 수준 변동의 상호작용변수는 일부 재무성과에 음(-)의 영향을 미치거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 다. 셋째, ESG 등급과 변동의 고저 수준별로 4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재무성과에 대 한 차이 분석을 수행한 결과, ESG 등급과 변동이 모두 양호한 그룹이 모두 취약한 그룹보다 재무성과가 우수하였다. 본 연구는 ESG 경영 수준이 양호한 기업의 재무성 과가 우수하다는 점, 그리고 그 과정에서 ESG 경영의 수준이 증가하는 기업의 재무 성과가 일부 우수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일환으로 기업은 ESG 경영을 꾸준하게 전개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고 있다. 주제어: 지속가능성, ESG 경영, ESG 등급, ESG 변동, 재무성과

      • 우리나라의 전통예술 관련학과(국악) 교육과정 실태와 설문조사를 통한 운영방안 개선 연구 : 4년제 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지혜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35

        Traditional performing arts related subjects(music) and the operating status of the training courses that run from organized throughout the course of the overall status and measures to improve operations through a survey research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Promotion of research and analysis, we first determine the status and complete questionnaires on the basis of this traditional performing arts related subjects (music) students were surveyed. The survey results a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is traditional art-related departments (music), the problems of curriculum management and improvement plan was suggest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the side of related elements for a good curriculum design. University educational goals, philosophy, vision, and this should b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although they appeared as a result of unsatisfactory. Curriculum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needs were obvious problems with claims, respectively. The needs of students with frequent or regular feedback, and then reflected in the curriculum, such as the configuration will be improved through feedback. Second, It is the side of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training course Traditional performing arts-related departments (music) in the ratio of theory and practical learning of students in terms of practical ratio was high. This can also be interpreted otherwis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s. Traditional performing arts-related departments (music) Survey of major practical assignments in the average weekly hours to 65 minutes, respectively. This is an extension of time , many students hoping to major practical is the fact .Music education-related course of some negative perceptions about open social change and future career path and choose adjustments because of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at choice, and persuasion is required. Third, it is the side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learning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faculty , counseling courses in various fields of the activation and opening requirements are determined by the problems and difficulties . As indicated in a survey of practical hands- class activities for lack of time is difficult to score first , second weakness of the class interest or concentration , and the third was due to lack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particular, the lack of time, the students practical training and recognized as a common frustration. This solution should be presented on a curriculum. The weakening of interest or concentration of the class each student's interest, attention , concentration is related to . But, This is a practical, hands-on lab, to the lessons of that educators who are responsible for class representatives, learning materials, preparation through critical density. The introduction of a variety of classes in order to improve this, Professor of materials, that can be fixed should be accompanied by a thorough preparation is the problem. In addition, global talent, the ability of a foreign language with the aim of suet, various music areas, equipped with a wide range of insights for the integrated learning of is expected to be tried. In conjunction with th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performed in more than one major department or in conjunction with Convergence Education will be the preferred alternative . The theory, practical lab course Professor as sufficient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quality improvement should be working on. Fourth, It is the side of the learners'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future career and future aspects of arts education Students who participate in various concerts throughout the year as a whole, the results for the number of responses were also found to be appropriated. However, in terms of number of participating in concert. the deviation of the University. In addition, concert for students with issues of sufficient skills and opportunities has been a meaningful time and students in the content and quality of music concerts, the stage becomes a problem also spreads. These are students and the participants various gigs through the opinions of sympathetic enough to be a solid concert that set the direction will have to be efforts . Some are career-related course at a University that is a necessity in many sympathetic. Also, the conditions are different for each university education is considered to reflect far more variable . So we think that Review these points and for the need to be able to enforce the consensus. Some University, performing arts, music therapy, such as subjects of a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planning courses, cultural content, understand the Korean culture, arts courses such as philosophy. These courses are traditional performing arts-related departments (music) graduates of the activity area, expansion, new academic requirements , in order to acquire new knowledge, learning and students must be the subjects you want to open is no judgment . So University needs to try selectively introduce. 우리나라의 4년제 대학교를 중심으로 전통예술 관련학과(국악)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육과정의 현황 즉 편성에서부터 운영 전반에 걸쳐 전반적인 교육과정의 실태와 설문조사를 통한 운영방안 개선 연구가 이 논문의 목적이다. 연구 추진을 위해서 먼저 실태를 파악, 분석하고 여기에 근거하여 설문을 작성하고 전통예술 관련학과(국악)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결과를 분석하고 여기에 기초하여 전통예술 관련학과(국악)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바람직한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관련 요소 반영 측면이다. 대학교 교육목표, 철학, 비전 등이 교육과정에 잘 반영되어야 함에도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로 나타났다.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과정 개발 요구는 학생들의 입장에서 당연한 주장으로 판단되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대학교 교육목표, 철학 비전 등이 교육과정에 반영되었다고 학생들이 인식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요구를 수시 혹은 정기적으로 의견을 수렴하고 다음 교육과정 구성에 반영하는 등 피드백을 통하여 개선해야 할 것이다. 둘째, 이론과 실기  실습 교과목 측면이다. 전통예술 관련학과(국악)에서 시행중에 있는 이론과 실기 학습의 비율 측면에서 학생들은 실기 비율이 높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는 전공과목 별 특성에 따라 달리 해석될 여지도 있다고 보여 진지하게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전통예술 관련학과(국악) 전공 실기의 실태조사에서 주당 평균 배정시간은 65분으로 조사되었는데, 이에 대해 많은 학생들이 전공 실기시간의 연장을 희망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음악교육 관련 교과목의 개설에 대한 일부 부정적 인식은 사회 변화와 장래 진로와 선택에도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에 부정적인 인식의 설득이 필요한 대목이다. 셋째, 교수  학습의 질 개선 측면이다. 학습자와 교수와의 면담, 상담의 활성화와 다양한 분야의 교과목 개설 요구는 문제점이자 애로사항으로 판단된다. 실기실습 수업 활동 중에서 어려운 점이나 애로점으로 첫째로 시간 부족을, 둘째로 수업의 흥미나 집중도의 약화, 셋째 교수 및 학습 자료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기 실습 시간의 부족은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제기하는 애로사항으로 인식하고 있어 교육과정상의 해법이 제시되어야 한다고 본다.수업의 흥미나 집중도의 약화는 학생 개개인의 흥미, 관심, 집중력 등과 관련되겠지만, 실기 실습을 담당하는 수업 담당자 즉 교육자의 수업 밀도, 학습자료, 준비성과도 직결되는 문제가 더 크다고 본다. 이의 개선을 위해서는 다양한 수업 방식의 도입과 교수 자료, 철저한 준비가 수반되어야 해결될 수 있는 문제라고 본다. 글로벌 인재를 목표로 외국어 능력의 구비, 인문학적 소양 쌓기, 다양한 음악 분야에 대한 폭넓은 식견의 구비를 위하여 통합학습도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시도되고 있는 둘 이상의 학과 또는 전공을 연계하여 운영하는 융합교육도 일부 시도한다면 바람직한 대안이 될 것이다. 현대 예술의 경향은 탈장르, 장르 융합의 방향으로 가고 있으며 외국의 교육기관도 이런 변화에 발맞추고 있음을 착안해야 할 것이다. 이론, 실기 실습 교과목 담당 교수간의 충분한 정보 교환으로 교수 학습의 질 개선에 노력해야 한다. 넷째, 학습자의 참여 활동 및 향후 진로와 미래의 예술 교육 측면이다. 학생이 참여하는 각종 연주회의 연중 횟수에 대한 응답 결과는 전반적으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주회의 내용으로 들어가 보면, 연주회의 참여 횟수 면에서 대학교별 편차가 나타나고 있다. 연주회의 문제점으로는 연주회의 횟수보다 학생들이 충분한 기량을 발휘할 수 있는 시간을 부여하였는가와 학생들이 연주회 무대에서 펼쳐지는 음악의 내용과 질이 문제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각종 연주회는 참여자인 학생들과의 교감을 통해 그 의견을 충분히 들어 내실 있는 연주회가 될 수 있도록 그 방향을 설정하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일부 대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진로 관련 교과목은 그 개설의 필요성에 다수가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각 대학교의 여건이 다르고 교육과정 반영까지는 변수가 많을 것으로 판단되나 이를 검토하고 그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이끌어내어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일부 대학교에서 도입하고 있는 공연예술, 음악 치료 등 과목 중에서 국악 공연기획 과목, 문화컨텐츠, 한국문화 이해, 예술철학 등의 과목은 전통예술 관련학과(국악)전공자의 활동 영역확대, 새로운 학문적 요구, 새로운 지식의 학습과 습득의 측면에서 학생들이 개설을 원하는 과목임에 착안하여 대학교에서 선택적으로 도입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