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게슈탈트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미숙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gestalt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adolescents in Korea by utilizing meta-analysis methods. A total of 73 studies from 1985 to 2016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mean effect sizes and test for homogeneity of effect size were analyzed by using The R Project for Statistical Computing 3.4.0 version. The Random-effects model was adopted and 168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e following analysis results were observed. First,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of the program was found to be 0.942. The effect size is considered as a large mean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criteria which Cohen (1988) established. Second, among dependent variables, Self-concept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variable (1.066) in regard to the effect size. Emotion (1.015), school life adaptation (0.874) and interpersonal relation (0.679) all showed mean effect size, implying that the gestalt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adolescents was effective in all mentioned fields. Third, a slight decrease was observed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publication year of the subject for analysis and the effect size (-0.0228). The mean effect size differed between the sample groups according to the other moderating variables examined (school level of subject, spontaneity, subject specialty, gender and group size respectively). High school students showed the highest mean size for the school level of subjects (1.648) while the spontaneous group displayed the highest mean size for spontaneity (1.141). The highest mean sizes in subject specialty, gender and group size were observed in the general group (1.185), mixed general group (1.094) and groups with between 7 and 10 members (1.173) respectively. When the sessions were conducted more than 11 times, the mean effect was seen to be at its highest (1.361). Other groups representing highest mean effect sizes were more than 3 sessions per week (1.152), between 51 to 90 minutes per session (1.059) and over 9 weeks of conducting period (1.319). Moreover, the mean effect size was observed to be highest in cases where the experience report was filled in. Among the different gestalt group counseling program combinations, the mean effect sizes were seen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mbinations of programs used. Utilizing the gestalt program combined with other counseling theories gave a mean effect size of 1.331, while combination with the empty chair or self-awareness centered program, integrated art therapy orientated program and GRIP program gave mean effect sizes of 1.202, 0.89 and 0.601 respectively. These combinations represented more than the average effectiveness of the mean effect size. In additio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based on the group size, number of sessions per week, duration of each session and experience reported. Based on these outcom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support the planning of interventions providing gestalt group counseling to adolescents. Moreover they can provide implications in the continued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gestalt group counseling programs focusing on adolescents.

      • 마을주민합주단 사례를 통해 본 구성원들의 문화예술실천공동체 학습경험 탐구 : 클래식기타합주단 '로망스' 사례

        이미숙 아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마을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한 문화예술실천공동체 '로망스' 구성원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공동학습경험은 어떠한 특징과 양상을 나타내는지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개별화된 개인의 단순한 음악의 기능적 습득이 아닌 공동의 학습과 협업으로 이루어진 합주 공연이라는 문화예술 활동 참여는 소통이 부재하는 현대사회에서 새로운 공동체성 회복의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화예술실천공동체 '로망스' 내에서 7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채택하여 자료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망스'에 참여한 학습맥락은 지속적 갈망의 실현, 일상의 틀을 깨고 새로운 나를 만드는 과정, 능동적 학습 참여를 볼 수 있었다. 둘째, 공동학습경험은 구성원들간의 자극을 통한 학습의 동기를 부여하고 새로운 학습을 도모하며 해결해 나가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셋째, '로망스' 활동을 통한 구성원들의 긍정적 삶의 변화와 확장 그리고 지역을 기반으로 한 조화로운 발전을 위해 사고하고 행동하는 공동체 의식의 회복에 있었다.

      • 무용학과 한국무용 전공실기의 수업 실태에 관한 연구

        이미숙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대학 무용학과의 한국무용 전공실기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문제점을 밝혀내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전국 14개 대학교 무용학과 학생 856명중 설문지 조사에 응답한 663명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무용 전공실기 교육의 실태를 분석한 결론는 다음과 같다. 1. 한국무용 전공실기 수업내용 만족도에서 나타난 결과는 현재 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전공실기 수업 내용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며 이는 과거보다 만족도가 꾸준히 증가되고 있는 양상을 보여준다. 2. 전공실기 교수법에 대한 만족도의 결과는 대부분의 응답자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3. 학생들은 입학후 자신의 전공실기 능력 평가에 대해서는 '향상되었다'가 19.46%, '그대로이다' 34.24%이며, '저하되었다' 46.30%로 나타났다. 4. 학생들의 실기수준을 저하시킨 요인으로는 자신의 노력 부족이 81.43%, 비합리적인 교과과정이 13.36%, 비체계적인 교수법이 5.21%로 나타났다. 5. 실기능력이 향상된 요인으로는 자신의 노력이 70.99%, 합리적인 교과과정이 18.32%, 체계적인 교수법이 10.69%로 나타났다. 6. 전공실기 시간운영에 대해서는 '현재 시간으로 적당하다'가 55.35%, '부족하다'가 37.10%, '너무 많다'가 7.54%로 나타났다. 7. 학교별 전공시간에 배우는 춤의 유형별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학교마다 체계적인 일정한 틀이 아닌 제각기 다른 내용을 가지고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8. 한국무용의 유형별로 가장 선호하는 무용은 승무였다. 그 다음은 살풀이, 태평무, 북춤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외에도 장고춤, 산조, 무당춤,부채춤도 많은 학생들이 선호하고 있었다. 9. 한국무용 전공실기 교육에 관한 개선점으로는 26.77%가 체계적인 교수법을 요구하고 있었으며, 그외에도 다양한 레퍼토리(14.65%), 무용시설 개선 및 확충(14.14%)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에서 살펴보았듯이 한국무용 전공실기 교육은 대체적으로 실기수업 내용과 교수법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었으나, 전공실기수업은 각 대학마다 너무도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하루 속히 체계화된 한국무용 전공실기 교육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teaching the practical talent of the Korean dance in the Department of Dance of college or universities, to find out what the problems lie,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m. Therefore, qustionaires are distributed to 856 students majoring in dance at 14 universities in the country, and then 663 students respond to this questionaire. And so the actual conditions of teaching the practical talent of the Korean dance are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urvey, its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satisfaction with contents of teaching the practical talent of the Korean dance, most students are satisfied with its contents, and this shows that their satisfaction is getting higher. 2. As a result of satisfaction with teaching methodology of the practical talent, most students are generally positive. 3. About the self-evaluation of the practical talent after entering university, 19.46 percent of the students answer that their abilities are improved, and 34.24 percent of them answer that they are the same, and 46.3 percent of them answer that they are deteriorated. 4. The factors of their deterioration are analyzed as follows: lack of their efforts(81.43%), unreasonable curriculum(13.36%), and not systematic teaching method(5.21%). 5. The factors of their improvement are analyzed as follows: by their own efforts(70.99%), reasonable curriculum(18.32%), and systematic teaching method(10.69%). 6. About the hour of teaching the practical talent, they answer that their time is analyzed as follows: proper(55.35%), short(37.10%), and too long(7.54%). 7. The types of dance which the students learn are diverse and its kind is various according to university. But the contents of teaching dance and its system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college or university. 8. Their most favorite dance is a Buddhist dance among the types of the Korean dance. And in order of the types of dance which the students prefer to other types, their names are listed as follows: Salpuri dance (dance for exorcising an evil spirit), Taepyoung-moo (dance of peace), Bukchoom (drum dance), Janggo-chum (dance with the Korean drum, Janggo), Sanjo, Moodang-chum, and Buchae-chum (dance with fans). 9. The students request that teaching the Korean dance be improved as follows: improving the systematic teaching method (26.77%), necessity of the diverse repertory (14.65%), and improving and complementing the facilities for dance (14.14%). In conclusion, most students show the positive response about teaching method and contents of teaching the practical talent, and th types and the contents of teaching the practical talent are various according to college or university. Therefore, systematization of teaching the practical talent in the Korean dance must be carried out.

      • 『源氏物語』の硏究

        이미숙 東北大學大學院 2003 해외박사

        RANK : 1839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의 연구 이미숙 본 논문은 『겐지모노가타리』에 있어서의 「여성들의 이야기(女物語)」에 주목해 그 표현과 방법을 고찰함으로써, 『겐지모노가타리』의 내실과 주제를 보다 더 명확히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논문이다. 『겐지모노가타리』는 히카루겐지(光源氏)를 중심으로 한 정편 41첩, 카오루(薰)를 중심으로 한 속편 13첩, 2부로 구성된 작품인데, 이 모노가타리가 여성 작자에 의해 쓰여진 여성을 주 독자로 하고 있는 작품이라는 데 중점을 두었을 때, 여성 등장인물을 남성의 연애 상대로만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여성쪽에 중점을 두어, 남녀의 사랑 이야기에 초점을 맞춰 작품의 내실을 파악하려는 입장은 작품 전체의 주제를 고찰하는 데 있어서 유효한 방법의 하나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겐지모노가타리』의 연구분야 중에서 주제론에 해당한다고 생각되지만, 기존 연구에서 많이 지적되고 있는 구성에 따른 변동하는 주제가 아니라, 작품 전체에 일관하는 주제가 작품에 어떻게 형상화되어 있는지를 구체적인 「여성들의 이야기」를 고찰함으로써 검토해본 것이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지칭하고 있는 「여성들의 이야기」라는 것은, 히카루겐지와 카오루를 비롯한 남성과 연애관계에 있는 온나기미(女君), 온나미야(女宮) 들의 이야기를 가리킨다. 온나기미, 온나미야라는 호칭 자체가 그녀들의 신분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겐지모노가타리』에 있어서 「여성들의 이야기」는, 그 시대성, 사회성에 규정된 공통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음과 동시에 그녀들이 제각각 놓인 처지, 즉 존재기반의 차이에 따라 구체적인 사랑 이야기의 내실은 서로 다른 양상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작품 속에서 「여성들의 이야기」란, 하나의 독립된 성격을 띠고 있는 것이 아니라 남성과의 관계 속에서 『겐지모노가타리』에 등장하는 여성 쪽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살펴볼 수 있는, 그 여성과 관계있는 이야기를 가리키는 개념이다. 제1부의 정편에 있어서의 「여성들의 이야기」에서는, 『겐지모노가타리』정편의 여주인공으로서 히카루겐지의 일생의 반려자인 무라사키노우에(紫の上)에 중점을 두어, 『겐지모노가타리』 정편의 구조와 이 작품의 참된 공간, 후지쯔보(藤壺)를 매개로 하면서 전개돼가는 두 사람의 관계와 그 내실, 그리고 무라사키노우에의 부인로서의 지위, 두 사람이 만년에 도달한 심경 등에 관해 3장에 걸쳐 고찰해보았다. 그리고 히카루겐지가 「아마요노시나사다메(雨夜の品定)」에 자극받아 전개되는 우쯔세미(空禪) 모노가타리에 초점을 맞춰 중간계층 여성 이야기의 고유한 문제, 즉 그 계층 여성들의 신분의식이 이 작품에 어떻게 형상화되어 있는지 등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또한, 주인공 히카루겐지와의 관계를 그린 이야기가 아니고 방계에 속해 있기는 하지만, 여성의 삶의 지난함이라는 테마를 진지하게 묘사하고 있다고 여겨지는 오찌바노미야(落葉の宮) 모노가타리에 주목해, 여성의 신분과 결혼과의 관계, 자기 뜻에 반해 살아갈 수밖에 없는 여성의 고뇌에 관해서도 생각해보았다. 제2부의 속편에 있어서의 「여성들의 이야기」에서는, 주인공 카오루와 관련돼 등장하는 세 「여성들의 이야기」, 즉 오오이기미(大君) 모노가타리, 나카노기미(中の君) 모노가타리, 우키후네(浮舟) 모노가타리에 관해 고찰해보았다. 오오이기미 노노가타리에 있어서는, 후견인이라는 카오루의 존재성에 의해 규정되는 두 사람의 사랑 이야기의 내실과 더불어, 정편의 무라사키노우에 모노가타리와의 관련도 함께 고찰해 『겐지모노가타리』 전체의 유기성에 관해서도 생각해보았다. 나카노기미 모노가타리에서는 이 이야기가 오오이기미 모노가타리와 우키후네 모노가타리를 매개하는 역할만을 지닌 이야기가 아니라, 우지쥬죠(宇治十帖) 처음 단계에서부터 오오이기미 모노가타리를 잇는 여성 이야기로 상정되어 있었다는 것과 함께, 행복한 여성이라는 타인의 규정과는 달리 후견인 없는 여성으로 힘들게 살아갈 수밖에 없는 나카노기미 모노가타리의 내실에 대해서도 고찰해보았다. 우키후네 모노가타리에서는 히토카타(人形)라는 표현에 규정된 우키후네의 존재성이 모노가타리에 구현돼가는 과정을 분석하면서, 『겐지모노가타리』 마지막 여성 이야기로서의 의미 등에 관해서도 생각해보았다. 본 논문의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서는 고찰대상이 되는 여섯 「여성들의 이야기」에 있어서 키 워드가 되는 심정표현, 호칭, 가어(歌語) 등을 비롯한 다양한 표현에 주목해 이러한 것들이 작품 전체에 있어서 어떠한 의미를 띠는가, 또 그것들이 지니는 함의와 상징성에 의해 「여성들의 이야기」의 주제가 어떻게 짜여지고 형상화되어 있는가 등에 관해서 검토해보았다. 작품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표현을 중시하는 연구방법은 1930년대부터 1950년대에 걸쳐 미국을 중심으로 유행한 「New Criticism」에서 주창된 것인데, 일본에는 표현분석을 통해 주제가 어떻게 효과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는지를 고찰하는 분석비평이라는 이름으로 수정, 보완된 형태로 도입돼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연구방법을 참고로 하면서도 보다 넓게 이 작품의 내실과 방법에 관한 고찰을 시도했다. 따라서, 작품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표현의 다의성과 상징성만이 아니라 상징적인 장면이나 풍경 등에도 주목해, 그러한 제 요소가 작품 전체를 해석하는 데 있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 또 그러한 요소들의 분석을 통해 밝혀지는 작품의 성격, 구조 등에 관해서도 고찰해보았다. 나아가 남성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여성들의 내면에도 초점을 맞춰보았다. 이상과 같은 고찰을 통해, 『겐지모노가타리』는 이전의 모노가타리와는 한 획을 긋는 작품으로서, 남성의 호색성과 영화를 다룬 이야기라는 종래의 평가와는 달리, 삶의 문제를 진지하게 다룬 작품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여성을 주 독자로 해 여성 작자에 의해 쓰여진 이 직품의 성격에서, 『겐지모노가타리』의 진정한 주제는, 여성들을 둘러싼 이야기 속에 짙게 담겨져 있으며, 히카루겐지와 카오루라는 남성과의 관계 속에서 작품 속에 위치지어져 있지만 이러한 여성들의 이야기에 주목했을 때 『겐지모노가타리』의 내실이 한층 더 선명히 부각된다고 지적할 수 있겠다. 그리고 부록으로서 『겐지모노가타리』에 큰 영향을 끼친 미찌쯔나노하하(道綱母)의 『카게로일기』에 관한 논문 2편을 첨부했다.

      •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시 pH와 온도가 웨이브 효율 및 모발 손상에 미치는 영향

        이미숙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에서는 퍼머넌트 웨이브를 시술함에 있어서 pH, 온도, 환원제의 종류가 웨이브 효율과 모발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료 모발(Virgin)을 선정하여 1차적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치오글리콜산염과 시스테인의 2종류의 환원제를 pH와 시술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실험 방법에 따라 시술하였으며, 2차적으로 시술한 모발의 웨이브 효율, 인장강도 및 신도를 측정하고 형태적 특성을 관찰하는 실험을 하였다. 그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환원제 종류, pH, 시술온도에 따른 웨이브 효율과 모발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 실험결과를 웨이브 효율에 대하여 다변량 분산 분석인 ANOVA분석 결과 웨이브 효율에 대하여 제III유형 제곱합이 온도 87,741.34, pH 5,514.41, 환원제종류 2,896.01로 유의수준 5%에서 유의확률 값이 p<0.05 이하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따라서 웨이브 효율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첫 번째로 온도, 두 번째로 pH, 세 번째로 환원제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결과를 인장강도 및 신도에 대하여 다변량 분산 분석인 ANOVA분석 결과 인장강도의 제III유형 제곱합이 온도 0.2828, 환원제종류 0.0417, pH 0.0082로, 신도의 제III유형 제곱합이 온도 21,556.62, 환원제 종류 2,076.95, pH 377.57로 유의수준 5%에서 유의확률 값이 p<0.05 이하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따라서 인장강도 및 신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첫 번째로 온도, 두 번째로 환원제 종류, 세 번째로 pH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후의 모발의SEM사진을 관찰하여 보면, 전체적으로 비늘 모양의 모표피가 규칙적이고 치밀하게 겹쳐져 있는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전 모발의 모표피와 비교하여 25oC와 38.4oC에서 시술한 모발의 모표피는 pH와 관계없이 비늘 모양의 모표피가 비교적 규칙적이며 약간 박리된 상태로 관찰되었고, 50oC에서 pH9.55의 시스테인과 pH9.05, pH9.55의 치오글리콜산염으로 시술한 모발의 모표피는 일부가 불규칙적이고 박리된 현상이 뚜렷하게 관찰되었으며, 70oC에서 시술한 모발의 모표피는 pH와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불규칙하고 모표피가 박리된 상태로 관찰되었다. 본 실험결과에 따르면, 웨이브 효율은 온도, pH가 높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대적으로 모발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인장강도와 신도는 온도, pH가 높을수록 낮아지고, 모표피도 온도와 pH가 높을수록 박리가 심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소비자와 미용사를 위해 미용사가 모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인 퍼머넌트 웨이브를 시술할 수 있는 온도는38.4oC에서 50oC사이이고, pH는 8.59에서 9.05사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에 따라 퍼머를 시술할 때 미용사는 손상 없이 미적으로 아름다운 웨이브를 얻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모발의 정확한 진단을 통하여 pH와 환원제 종류를 선택한 후 시술 온도는 50oC 이상을 넘지 않도록 시술함으로서 모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적절한 정도의 웨이브를 얻을 수 있다는 본 연구 결과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자는 시간과 여건의 제약으로 2종류의 환원제를 선정한 후 온도와 pH만을 조절하면서 웨이브를 형성시키고 그 결과를 웨이브 효율과 모발 손상도의 한정된 범위에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다음 후속 연구에서는 환원제의 양, 산화제의 종류, 모발 조건, 열처리 시간 등 보다 세분화된 연구와 웨이브 효율 뿐만 아니라 웨이브 유지력 등과, 실질적으로 미용실에서 필요한 과학적인 펌 시술에 대한 연구 성과들이 제시되어 미용 산업 발전을 위한 원동력이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effectiveness of pH, temperature and Reducing agents on wave effect and damage of hair First, treatment was operated in the order of given instruction with hanging pH and temperature of 2 kinds of common reducing agent ; Thioglycolic acid, Cysteine. Second, effect of wave on tested hair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were measured and effect of shape were looked into as well. Based on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effect of reducing agents, pH, temperature of treatment on effect of wave and damage are concluded as follows; After analyzing by using multivariate analysis, AVOVA, square sum of type III was at 87,741.34, pH 5,514.4 and reducing agents 2,896.01 which means that probability was measured p<0.05, rather have it in common on statistic measure. In sum, the facts that influences wave efficiency most are temperature, pH and reducing agents in order. After analysing by using multivariate analysis, AVOVA, square sum of type III was at 0.2828, pH 0.0082 and reducing agents 0.0417 which means that probability was measured p<0.05, rather have it in common on statistic measure. In sum, the facts that influence wave efficiency most are temperature, reducing agents and pH in order. Hair, after permanent wave treatment treated, showed the well- arranged scaled shape cuticle on SEM picture when comparing to cuticle before the treatment, In addition, hair treated in temperature of between 25oC and 38.4oC was not related to pH but still showing scaled shape cuticle, rather exfoliated. And hair treated with temperature of 50oC and pH 9.55 of cysteine and pH 9.05, pH 9.55 of Thioglycolic acid showed that part of it was not arranged but pretty much exfoliated. Lastly hair treated in the temperature of 70oC did not do anything with pH with showing totally unorganized and exfoliated. This study represents that wave effect is followed by temperature and high rate of pH whil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turning point of hair damage, accounts for low degree with high temperature and pH but heavy exfoliation was effected on cuticle with high temperature and pH. Therefore this study would be expected to be applied that for hair dresser to offer beautiful wave on aesthetic side, accurate test on hair is highly required to choose correct reducing agent and temperature shouldn't be over 50oC in order to present wave with felicity Reporter of this study was only able to use 2 reducing agents and analysis wave effect and hair damage by adjusting temperature and pH, Following study should be focused on looking at effect of wave with adjusting amount of reducing agents, oxidizing agent, more kinds of hair, and time so that outcome of study can be thankfully presented in the field of hairdressing.

      • 서울시 주민자치센터의 시설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이미숙 崇實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Urbanization is increasing a demand for leisure activity by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 Recently, the point at issue is to solve a problem generated by regional overemphasis of a welfare and cultural institution. Then, it is increasing importance of public accommodation. In particularly, supply and demand of a house came to make disproportion in a nuclear family by the process of urbanization in Seoul. In this area, population density is so high. Then, it is occurred so many problems such as problem of house environment and difficulty of the community formation. It can be solved through mutual interchange of local inhabitants. A community center is distributed regularly every area. And it is a good point that characteristics of local inhabitants are easily approached. So it is possibility that the community center are intensely as a kind of local culture or a foothold institution of the welfare through interchange. The aim of research is to find out facility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center in Seoul. To do so, we picked up 40 examples of densely population and low resident district in Seoul and then analyze it to find out the typical types and characteristics. It will be inflected as basics document for the good development type that reflected each local characteristics, I have a purpose of a study. This study based on theory and field survey. A theoretical part for a general idea of community center and a part about foreign example are analyzing through existing research. The community center's backgrounds, functions and institution standard utilized the document of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At first, the community centers are the facility that can accomplish a local central duty. Secondly, community centers compounded with similar functional facilities. Thirdly, community centers of densely population and low resident district were almost increased floor space totally and community centers of most big scale were built after 2000. And, it was compounded with education, welfare facility. Community centers formed physical shape in one building with other facilities. Complexity of the same kind public facility are excellent. The most general form of entrance type is mixture type. Generally, 12 types of community center complexes were derived, and the most general form was one building-mixture type. Finally, community center was divided into 7 types functional room. Each space has compounded functions. Mostly, Lecture room and village library are central space. It is a woman and child-centered type. The result of this study, community center's form and complex types with other institution was divided variously. But regional characteristics aren't reflected in each community center. It inclines too heavily toward quantitative increase by investigation. So, the result of this study knew community center's function inclines too heavily toward leisure-culture function. The future study needs to the departmentalized study that considered a local characteristics-on a scale of each space and the number of the community center's user. 오늘날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여가활동에 대한 요구 증가와 복지·문화 시설의 지역적 편중으로 인한 격차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공시설에 대한 역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서울시는 도시화로 인해 주택의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발생되었고, 일부지역에서는 단독주택지 내에 다세대, 다가구 주거의 유입으로 인한 고밀화로 기반시설 용량의 초과 및 커뮤니티 형성의 어려움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생활권 중심공간인 주민자치센터를 중심으로 하여 지역주민들의 상호교류를 통해 지역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저층 고밀도 지역 주민자치센터의 시설 현황을 살펴보고 유형을 도출하여 특성을 정리하였다. 설립 초기의 형태에서 변화된 공간과 도입초기부터 계획에 의해 신설된 공간의 유형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주민자치센터가 나아가야할 각 지역 특성을 반영한 적합한 공간 유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크게 문헌조사와 현지조사를 병행하였다. 주민자치센터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부분과 외국 사례에 관한 부분은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구성하며, 주민자치센터의 발생 배경, 기능, 시설기준에 관하여 행정안전부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주민자치센터는 생활권 중심공간으로서 지역유대감 및 지역의식을 회복시킬 수 있는 중심적 역할 수행을 할 수 있는 시설임을 파악하였다. 둘째, 서울시 주민자치센터의 시설과의 복합 형태는 한 건물에 여러 시설이 복합된 단독복합형이 많았으며, 공공행정시설(주민자치센터)과 공공행정시설과의 복합이 일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저층 고밀도 지역 주민자치센터는 2000년 이후 시설의 규모는 대체적으로 증가되었으며, 교육시설과 복지시설 등의 다양한 시설들과의 복합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건축형태상 혼재형은 시설간 연계성이 우수하여 시설의 활용도가 높고, 출입형식상 혼합형은 동선이 짧고 독립적인 운영이 가능하여 이종시설과의 복합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하면 12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며, 시설간 유연한 연계와 활동이 이루어져 시설의 활용도가 높은 유형인 단독-혼재형이 가장 일반적인 유형이라 할 수 있다. 넷째, 주민자치센터의 기능공간은 7가지로 분류되며, 각 공간은 복합 기능을 가진다. 친화도가 높은 프로그램실과 문고를 중심 공간으로 하는 여가-문화형이 가장 많았고, 여성과 아이 중심의 유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주민자치센터의 시설 형태 및 타시설과의 시설 유형은 다양하게 분류되었으나, 지역에서의 필요에 따라 시설의 차별성이 반영되지 못한 양적증가에 편중되어 있음을 조사에서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기능공간의 유형을 통해 주민자치센터의 기능이 여가-문화 기능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각 공간의 규모, 이용인원 등을 고려한 세분화를 통해 주민자치센터의 지역특성이 반영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TAZ suppresses Nrf2-mediated signal transduction

        이미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Transcriptional co-activator with PDZ-binding motif (TAZ) regulates the differentiation of mesenchmal stem cells into osteoblast and adipocytes. TAZ contains a WW domain, which binds to the PPXY motif of target protein. A number of transcription factors including Runx2, AP2, C/EBPα, and NF-E2 contain PPXY motif, and interact with TAZ. Nrf2 is a member of the NF-E2 family of basic leucine-zipper transcription factors and also contains prolin rich domains. In this study, we show that TAZ interacts with Nrf2 by using coimmunoprecipitation assay and Nrf2 suppresses GSTA2 promoter activity. Moreover, Nrf2 and TAZ proteins are co-localized in the nucleus upon insulin stimulation and Further TAZ inhibited Nrf2 binding to antioxidant response element consensus sequenceof target gene promoters by interactiong with Nrf2 protein in the nucleus. Therefore, we suggest that TAZ modulates Nrf2-mediated gene transcription. Key words: TAZ, PPXY motif, Nrf2, ROS, ARE, Insulin, Adipocyte Transcriptional co-activator with PAZ-binding motif (TAZ) 는 중간엽줄기세포가 골세포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조절한다. TAZ는 WW domain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domain은 target 세포의 PPXY motif에 결합한다. 많은 transcription factor가 PPXY motif를 갖고 있으며, Runx2, aP2, C/EBPα, 그리고 NF-E2 등이 있다. Nrf2는 NF-E2 family중 하나이며 basic leucine-zipper transcription factor 이다. TAZ는 Nrf2와 결합하여 Nrf2의 활성을 조절할 가능성을 갖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immunoprecipitation 분석 방법을 통해서 TAZ와 Nrf2가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Nrf2에 의해 발현되는 GSTA2 promoter의 활성이 TAZ의 존재로 인해 감소되었다. 또한, insulin 신호에 의해 Nrf2와 TAZ가 함께 핵으로 이동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Nrf2 가 antioxidant response element concensus sequence에 결합하는 것을 TAZ가 저해 하는 것을 DNA-binding 분석방법을 통해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TAZ가 Nrf2-mediated gene transcription을 조절하는것 으로 사료된다.

      • 중국어 특성을 고려한 한국어 관용어 지도 방안 연구

        이미숙 충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중국어 특성을 고려한 한국어 관용어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현재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어 중급 학습자로, 한⦁중 관용어의 특성을 대조⦁분석하고, 학습자의 관용어 사용 오류 유형과 요구도를 조사하여, 중국어 특성을 고려한 관용어 지도방안과 모형 및 실제를 제시하였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용어 오류 유형을 살펴본 결과, 그 원인은 생활문화 차이로 인한 오류, 역사적 배경 차이로 인한 오류, 사고방식 및 가치관 차이로 인한 오류, 조어법 및 문법상 차이로 인한 오류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관용어 사용 및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중국인 학습자들은 관용어 학습과 사용상에 많은 부담을 안고 있었고, 교육적인 방법으로 이를 보충하고 있었으며, 관용어 교육의 필요성과 별도의 관용어 수업 개설시 참여의사를 묻는 질문에, 대부분의 응답자가 관용어 수업이 필요하며 참여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모국어 특성을 고려한 한국어 관용어 지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먼저 교수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수업모형은 대조언어․비교문화적 수업모형으로서, 문화간 의사소통 이론에 기반을 둔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관용어 수업모형은 모란(Moran)의 문화 수업 모형 4단계 형태를 사용하되, 각 단계에서 다루는 관용어 내용을 유형별로 제시하였다. 수업활동의 예시로는 문화 수업 기법을 넣었으며, 교사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교사 발문을 제시하여 수업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관용어 교육 목록은 기존 한국어 교재에 실려 있는 관용어를 기준으로 하였고, 관용어 수를 제한하지 않았다. 또 중국인 학습자의 모국어 특성을 고려하여 중국어에 유사한 관용어가 있는 것들 중, 문화적 특징을 반영하고 있는 어휘를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이와 같은 수업모형과 수업제재 관용어 목록을 통해 중국어 특성을 고려한 한국어 관용어 지도 수업이 교실에서 어떤 형태와 내용으로 진행되는지를 학습 지도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지도안은 교사들에게 각 단계를 밟아가는 과정을 충분히 보여주고 아이디어를 제공하기 위한 예로, 일반적인 한 차시 기준인 50분으로 구성하였다. 지도안 예시에서는 한·중 유사 관용어 목록 중 자연물과 관련된 ‘바람 맞다’를 수업제재 관용어로 사용하였으며, 학습자 수준은 중급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수업 지도안은 교수자의 재량에 따라 난이도와 수업방법을 다채롭게 운영할 수 있으며, 학습목표와 학습할 관용어가 달라지더라도 하나의 틀로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국어 특성을 고려한 한국어 관용어 지도 방안이 효과적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중국인 학습자는 경북 소재 K대학 한국어 교육기관 중국어권 학습자로서, 1개 학급(16명)은 실험집단으로, 1개 학급(16명)은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8주간 8차시의 한국어 관용어 수업적용에 따라 두 집단으로 분류, 실행 후 한국어 관용어 수업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관용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 사후로 비교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중국인 한국어 중급 학습자 대상의 중국어 특성을 고려한 한국어 관용어 지도방안은 학습자의 효능감 향상, 관용어의 학업성취도 향상, 관용어 오류 극복에 효과가 있었다. 결국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실제 누구를 대상으로 학습자의 어떤 특성을 고려하여야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해소하였다. 나아가, 언어문화적, 비교문화적인 접근, 문화간 의사소통전략 등을 사용하여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관용어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관용어 수업모형과 실제를 제시하고, 그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관용어 교육현장에서 활용성이 높고 중국인 학습자에 특화된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약물청소년을 위한 집단사회사업 실천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적 개입전략을 中心으로

        이미숙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인지행동적 개입전략에 바탕을 둔 집단사회사업 실천이 약물 청소년들의 부정적인 자기개념과 잘못된 신념의 인지적 재구조화를 통해 약물에 대한 단약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의 향상을 가져온다고 보아 그 효과성을 검증하여 앞으로 더욱 더 다양하고 질적으로 향상된 프로그램의 개발을 촉진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S복지관에서 보호관찰소로부터 선도위탁기소유예 처분을 받은 약물청소년을 대상으로 1998년 2월 8일부터 2월 13일까지 총 5일동안에 걸쳐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사례를 근거로 집단사회사업과정에 대한 질적분석과 단약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단일집단전후비교설계의 사전-사후검사를 통한 양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와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사회사업 측면에서 수용적이고 긍정적인 집단의 분위기는 자신의 재능과 개성을 발휘할 수 있게 하였으며 긍정적인 지지와 피드백을 통해 긍정적인 자기인식과 자기긍정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인지행동적 개입전략은 인지적 측면에서 그들의 비합리적인 사고체계를 수정하여 자신과 타인에 대한 올바른 사회적 인식능력과 추론능력을 향상시켜 원만한 인간관계의 형성과 유지를 가능케 하였으며 불균형적인 생활양식에 대한 통찰과 비합리적이고 잘못 구조화된 인지, 사고, 신념들을 재구조화하여 약물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이였다. 한편 인지 행동적인 개입은 자신의 가치를 확인하고 부정적인 자기진술들을 긍정적인 자기진술로 변화시켰으며 이는 긍정적인 자아상을 회복하는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또한 행동적 측면에서 타인과의 갈등을 성공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자기표현과 주장행동을 강화하고 보다 구체화함으로써 바람직한 행동을 촉진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셋째, 집단과정안에서 개별성원들의 변화는 양적인 측면에서도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모든 사례에서 단약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의 사전-사후 검사 점수의 향상을 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인지행동적 개입전략에 바탕을 둔 집단사회사업실천의 단기개입이 약물청소년의 부정적인 자기진술 및 신념의 재구조화를 통해 약물에 대한 단약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의 향상을 가져왔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인지행동적 개입전략에 바탕을 둔 집단사회사업 실천 프로그램이 약물청소년들의 부정적인 자기진술과 신념들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궁극적으로는 약물청소년의 재발예방과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약물청소년을 위한 집단사회사업 실천과 같은 사례연구를 통해 효과성을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프로그램의 개발을 촉진함으로써 약물청소년의 재발예방과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view point of this study is that the group-work practice, which focus on cognitive-behavioral strategies, will bring the progress of abstinenc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for that substance abused adolescents through the cognitive restructure of negative self-concept, and improper conviction.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program, which progressed in the quality and quantity aspects. This study took the group-program during the February 8 to 13 in 1998 at the S. social welfare house. The subject of this group-program is substance abused adolescents, who got proper guidance consigned suspensior of indictment by the court. The process of data collection for this program was carried by two methods, one is quality-analysis of group-work practices, another is quantity-analysis of abstinenc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by means of pre-test and post-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as follows : The first result is that according to the study of quality analysis, it showed a lot of negative self statement, irrational and illogical expressions. In the beginning of study, there were many passive attitudes. However, as time passed to the end of study, more active attitudes and reactions were showed. Also, negative self-statement and negative self-concept changed to positive. In addition, receptive and positive atmosphere brought effective result, these atmospheres particularly effected to progress in positive self-recognition and self-affirmation. Moreover, cognitive-behavioral intervetion strategies was effective for changing attitude, which relates to drugs and it also reorganized some mis-organized ideas, such as knowledge, thought, and concept. Also, cognitive-behavioral intervetion strategies provided insight, which regarding to disproportional life-style. Besides, cognitive-behavioral intervetion strategies made that substance abused adolescents confirm their own value, and change their negative self-statement to positive one. This cognitive-behavioral intervetion strategies provided good influence to recover their self-consciousness. In addition, it brought some results, which reinforce and embody their behavior. According to quantity analysis, it also showed its effectiveness. Every case was showed good results, which regarding to the pre-test and post-test. These tests relate to abstinenc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shows that the group-work practice, which brought the progress of abstinenc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for that substance abused adolescents through the cognitive restructure of negative self-concept, and improper conviction. Putting all data of this study together, it showed that the program, which focus on cognitive-behavioral strategies, could influence to substance abused adolescents. Moreov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ould provide an assistance for helping their rehabilitation, and relapse prevention of substance abused adolescents. lastly, the performance of group-social welfare system and the reinforcement of studies, which regarding to substance abused adolescents, could provide a good res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