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뮤지컬의 역사와 갈라콘서트의 작품 해설에 대한 연구

        이소희 세종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한국에서 뮤지컬이 시작된 시기는 세계 최초의 현대적인 뮤지컬이 탄생한지 꼭 100년이 지난 1966년 무렵이다. 유럽에서 태동하여 미국에서 절정을 이룬 뮤지컬은 우리나라에 도입된 후 우리 문화 예술계에서는 이론적 체계 정리와 토착화 그리고 새로운 가능성에 관한 방향을 계속 모색하여 왔다. 우리나라에는 그 양식은 조금 달라도 형식적인 면에서 뮤지컬과 같은 공연물들이 올려져 왔다. 1930년대에 유행하였던 대중극의 대표적인 악극, 우리의 정서를 담은 창극과 같은 전통 음악극 형식이 바로 그것이다.

      • CIPP 평가모형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

        이소희 대구한의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s on the status quo of Korea that as the desire for happiness increase and diversify, the long-term care(LTC) facilities which can are required to provide numerous services to gratify it. Thus, LTC facility service system which can actively reflect the desire should be well established. This study would offer basic data for planning and evaluating the LCT facility program by developing program rating scale which can assist planning, implement, and suggesting alternative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relevant literature of the program and previous research, the rationale for the situation, input, process, evaluation area and item development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can be obtained. Second, this study establishes the preliminary evaluation areas and items based on literature review, expert consultation and opinion and program field survey, Third, based on questionnaires of the elderly medical-welfare institution program evaluation area and item aimed at the LCT facilities workforce, this study defines the measurement scale for program evaluations through factorial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s the program evaluation scale of LCT facility program to assist the program development for LCT facility and the program for the facility. Also, this study develops sub-questions by setting evaluation areas as situation evaluation area, input evaluation area based on the CIPP evaluation model.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customized program for future LCT customer based on basic data to assist the overall program evaluation by planning and promoting the program. Keywords: Elderly Medical-Welfare Facilities Program, CIPP Evaluation Model, Development of Rating Scale 이 연구의 필요성은 현재 우리나라는 삶의 행복감을 가지려는 욕구가 높아지고, 다양해짐으로써 노인의료복지시설에게도 그 욕구에 상응할 수 있는 많은 서비스를 요구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욕구를 적극 반영할 수 있는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관리와 평가를 이룰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에서 활발하게 사용 중인 Stufflebeam의 CIPP 평가모형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담당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동시에 책무성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상황평가(Context evaluation), 투입평가(Input evaluation), 과정평가(Prosess evaluation), 산출평가(Product evaluation) 4개의 과정을 통한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CIPP 평가모형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준거 설정배경에서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논문 및 저서, 학술지, 발표자료, 장기요양기관평가 관련자료 등을 통한 CIPP 평가모형의 4가지 항목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프로그램 실태조사를 통한 영역간의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예비 평가 영역 내용과 항목을 구축하여 그 준거와 영역을 설정할 수 있었다. 둘째, 평가준거 개발에서 전문가 집단 중심의 포커스 그룹(Focused Group)의 의견조사를 거쳐 예비 영역과 항목을 확정하고,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의 설문조사를 거쳐 SPSS 0.8과 AMOS 18 프로그램을 이용한 기술통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통해 전문가 협의 후 프로그램 평가 준거를 구축하였다. 셋째, 평가준거 확정에서는 모든 부분을 수렴, 정리하여 평가기준을 설정하고, 최종 CIPP 평가모형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 척도의 영역과 항목을 확정하였다. 따라서 노인의료복지시설의 프로그램 개발과 시설에 필요한 프로그램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을 하였으며, CIPP 평가 모형에 근거하여 상황평가 영역, 투입평가 영역, 과정평가 영역, 산출평가 영역으로 평가 영역들을 설정하여 하위 문항을 개발하였다. 노인요양시설 대상자에게 맞춤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프로그램의 기획, 계획, 추진에 따른 전반적인 프로그램 평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 수생식물의 성장에 따른 오염물질 제거율 평가

        이소희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Evaluation on the Efficiency of Pollutant Removal Rate based on Aquatic Plant Growth. So-Hee Le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bstract To evaluate pollutant removal capacity of aquatic plants, I picked up 5 different aquatic plants and let them grow in a lab, checking growth status in a polluted environment and pollutant removal rate along with growth.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are: 1. Aquatic plants grow well compared to control group despite a polluted atmosphere because they have good photosynthesis and a lot of water in them. It means they have the capacity to remove pollutants while growing, and it indicates pollutants are moving smoothly through water exchange. 2. A lot of ion is moving through developed organs such as leaves, stems and roots, according to the various types of plants. By accumulating nitrogen and phosphorus as well as various ions such as Ca, Na, K, Mg in plants themselves, it is very effective to remove pollutants' ion. 3. After letting aquatic plants grow in a lab for 7 days and checking the quality of water, the average COD was 74% and TOC was 62%, which means that aquatic plants have quite an effective removal efficiency. Especially, the rate of removal for TN using Lemna minor was the highest at 87%, and the rate of removal for PO4-P using Hydrilla verticillata was the highest at 25%. Using a water analyzing kit for 16 days, the result of removal rates of nitrogen and phosphorus was that in the first 3 days of growth, nitrogen in Lemna minor was the highest at 78% and phosphorus in Nymphoides indica was rather high at 50%. After 10 days, however, the highest removal rate in both nitrogen and phosphorus is Trapa japonica, which means that there is big difference in the removal period and efficiency according to the types of plants. With this result, it is expected to purify water quality effectively if we use aquatic plants properly according to the pollutants' types and conditions.

      • 뇌운동피질자극술에 대한 신경반응의 [F-18]FDG Micro PET을 이용한 기능적 뇌영상 : Neural Responses of the Motor Cortex Stimulation using [F-18]FDG Micro PET Functional Neuroimaging

        이소희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뇌운동피질자극술(MCS, Motor Cortex Stimulation)은 다양한 종류의 만성통증 및 운동장애를 치료하는데 이용되어 왔지만 아직도 그 치료의 메커니즘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지금까지MCS의 효과가 대뇌피질 수준에서만 작용한다는 것과 더 나아가 원심성 경로를 통해 척수 수준에까지 미친다는 서로 대립되는 결과들이 있으며, 제 일차 운동피질이 제 일차 몸감각피질, 시상 뒤배쪽핵, 척수시상로 등을 억제한다는 연구들이 제시되어 왔다. MCS가 통증경감 효과와 소동물에서의 행동변화를 가져온다는 관찰을 토대로 한 이런 실험들이 존재하지만 실제로 MCS가 뇌의 신경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연구 결과들은 거의 보고되지 않고 있다. 최근 고해상도의 micro PET을 이용한 소동물에서의 기능적 뇌영상이 가능해짐으로써 이 논문에서는 [F-18]Fluorodeoxyglucose (FDG)를 이용하여 마취 등 인위적인 제약을 가하지 않은 평상시 상태의 쥐에서의 MCS가 미치는 뇌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영상화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MCS가 가해지는 동안 운동피질과 소뇌가 활성화 되었으며 다양한 감각인지관련 영역들의 활성이 억제 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Motor cortex stimulation (MCS) has been seen as a promising and potential surgical option to treat chronic pain in clinical practice. However, the exact mechanism of action of MCS remains to be elucidated. There is debate as to whether it acts at the cortical level or at the level of pyramidal neurons and their efferents. This debate most likely stems from the fact that the primary motor cortex inhibits the primary somatosensory cortex, ventral posterior thalamus, and spinothalamic tract. Although several studies have demonstrated pain reduction on behavioral effects in rodents, few studies have dealt with the neural activity of the brain induced by MCS. This may be because it is difficult to measure functional changes in a conscious rat brain in vivo. Recently, a high-resolution functional neuroimaging technique has become available, the micro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for visualizing brain activities in small animals. Here, we used the [F-18] fluorodeoxyglucose (FDG) micro PET neuroimaging technology to examine the effects of MCS on brain activity in conscious freely-moving rats. We found that the motor cortex and cerebellum were activated and a diverse of sensory-related areas in the rat brain were deactivated when treated with MCS.

      • 유치원 일상생활 사진을 활용한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경험

        이소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유치원 일상생활의 사진을 활용하여 유아가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경험을 하였을 때 그림이야기책에 유아들의 이야기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일상생활 사진을 활용한 그림책 만들기 경험에서 유아들의 이야기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충청북도 C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인 D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18명(남아 9명, 여아 9명)으로 본 유치원의 특색활동인 독서습관기르기를 통해 작은 이야기책 만들기나 내 단어책 만들기, 후속이야기 짓기 등의 그림책 관련 활동을 하며 그림책 만들기 경험을 했던 유아들이다. 연구 과정은 2015년 6월 29일(월) ∼ 9월 25일(금)까지 10주 동안 매일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질적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삼각측정법(Denzin, 1978)을 이용하여, 유아들의 그림책 만들기 활동 결과물 자료의 전사와 연구자의 연구일지, 참여한 유아들의 활동시 녹음 자료를 다양한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일상생활 사진을 활용하여 만든 그림이야기책의 내용을 보면 유치원에서의 일상적인 이야기들이 대부분 반영되었으며 그 속에는 유아들의 친구관계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갈등상황, 협력과 이해 또는 배려적 사고가 나타나 있었고, 유아 개인의 마음, 놀이와 학습경험에 대한 느낌과 생각들이 그대로 나타나 있었다. 유아들은 유치원 일상생활 사진을 탐색하면서 친구와 함께 했던 경험을 기억하려고 하고 경험과 관련된 이야기를 구성하여 그림이야기책을 만들었다. 둘째, 유치원 일상생활 사진을 활용하여 만든 그림이야기책의 내용을 보면 유아들의 일상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의 관심사나 내면적 갈등, 고민거리를 상상적인 그림이야기로 표현하는 유아들도 있었다. 유아들은 친구와 자신의 마음 또는 유아간 갈등상황이나 경험을 바탕에 두고 상상적인 생각을 더하여 새롭고 재미있는 창의적인 그림이야기책을 만들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들이 유치원 일상생활 사진을 활용하여 그림이야기책을 만들어봄으로써 평소 친구관계에서 나타나는 갈등, 친구와의 협력, 친구에 대한 이해를 그림이야기책에 나타내며 타인에 대한 배려심을 느낄 수 있게 해 주었고, 자신의 마음이나 놀이와 학습 경험에 대한 감정들이 그림이야기책에 표현되어 교사로 하여금 유아들의 유치원에서의 일상적인 삶을 이해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장애인식과 장애인권 감수성 및 장애수용 태도에 미치는 효과

        이소희 군산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n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non-disabled young people and verify the effect. For this purpose,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whether there was any positive change in disability awareness, sensitivity to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cceptance attitude toward disabilities among young people when the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pplied. Detailed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Question 1. What effect does the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non-disabled young people have on the disability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Question 2. What effect does the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non-disabled young people have on the high school students' sensitivity to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Question 3. What effect does the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non-disabled young people have on the high school students' acceptance attitude toward disabilities? The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developed in this study established a direction with reference to precedent study regarding education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young people, materials about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y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nd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elem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based on discussion among human rights-related institutions and scholars and survey results on the demand of expert group. In addition, education content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ADIDAS model, a human rights education model based on learners' participation, to develop a program to teach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ctual participation. A draft version of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verified with its validity and suitability by expert group. Based on the results, a final program was prepared after some detail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is study, 89 first-year students at Y Girls' High School in Gunsan, Jeollabuk-do were selected; among them, 30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30 were in the comparison group and 29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the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developed in this study once a week for 4 weeks, while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the information-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distributed by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nce a week for 2 weeks. The control group watched an education video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once without any educational treatment. For all the groups, disability awareness test, test for sensitivity to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est for acceptance attitude toward disabilities were conducted as pre- and follow-up tests. One-way ANOVA was implemented by utilizing SPSS 25.0 program to identify homogeneity in the pre-test scores of the three groups,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implemented with pre-test as a covariate, follow-up tes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group classification as a fixed factor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pre- and follow-up tests of the three groups and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ke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howed a positive change in disability awareness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and control group, which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this change had a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howed a positive change in sensitivity to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and control group, which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this change had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howed a positive change in acceptance attitude toward disabilities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and control group, which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this change had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disability awareness, sensitivity to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cceptance attitude toward disabilities among non-disabled high school students. That is, this study implies that various learner-focused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s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relatively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young people's awareness of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ositively than existing education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delivering information. Based on these aspects,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various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s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encourage non-disabled young people to realize social integration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이들의 장애인식, 장애인권감수성, 그리고 장애수용태도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비장애 청소년 대상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장애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 연구문제 2. 비장애 청소년 대상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장애인권감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비장애 청소년 대상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가? 본 연구에서 개발한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장애인 인권교육과 관련한 선행연구, 국가인권위원회 및 국립특수교육원의 장애인 인권 자료, 그리고 인권교육 관련 기관과 학자들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 인권 교육의 내용 요소, 전문가 집단의 요구도 조사 결과 등을 참고하여 교육 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장애인 인권에 대한 개념 및 이해와 현실 참여를 함께 교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학습자 참여중심 인권교육의 모형인 ADIDAS 인권 수업 모형을 바탕으로 교육 내용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 시안은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그 타당성과 적합성을 검증받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세부 내용들을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으로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에 소재한 Y여고 1학년 학생 89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 30명, 비교집단에 30명, 통제집단에 29명을 무선배치 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주 1회씩 4주 동안 본 연구에서 개발한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국가인권위원회와 보건복지부에서 배포한 정보전달 위주의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주 1회씩 2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교육적인 처치 없이 장애인 인권교육 영상물을 1회 시청하게 하였다. 모든 집단에는 장애인식 검사, 장애인권감수성 검사, 그리고 장애수용태도 검사를 사전 및 사후 검사로 실시하였으며,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3개 집단의 사전 검사 점수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3개 집단의 사전-사후검사 간 차이 검증을 위해 사전검사를 공변량, 사후검사를 종속변인, 집단구분을 모수요인으로 하는 공분산분석(ANCOVA)을 수행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장애인식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둘째,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장애인권감수성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셋째,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장애수용태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비장애 고등학생의 장애인식과 장애인권감수성 및 장애수용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즉 본 연구는 기존의 장애인에 대한 정보전달 위주의 장애인 인권교육보다는 학습자 위주의 다양한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장애인 인권에 대한 의식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상대적으로 더 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개발되어, 비장애 청소년이 장애인과 사회적 통합을 이루도록 도울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 국내 다소비 베이커리 제품의 지방, 당, 나트륨 함량 분석

        이소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9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홈 카페족’이 증가되면서 커피와 함께 섭취하는 빵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이 많이 섭취하는 13종 베이커리 빵의 지방, 당, 나트륨 함량을 분석하였다. 이들의 함량 수준을 제품 100 g과 1회 제공량 기준으로 분석한 후 각 영양성분의 만성질환위험감소섭취량과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총 13종의 시료를 선정하였으며 9종은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18년)의 식품섭취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주요 식품으로 선정된 것이고 나머지 4종은 최근 국내 포털사이트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검색의 빈도수가 높아 소비자들이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평가된 것이다. 13종의 시료는 모두 2020년 4~7월에 서울에서 수거하였다. 시료의 지방 함량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법(gas chromatography)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당 함량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liquid chromatography)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나트륨 함량은 유도결합플라즈마-발광광도법(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ry)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앙버터와 크루아상은 다른 빵에 비해 포화지방산 및 트랜스지방산 함량이 높게 나타난 반면 카스텔라는 포화지방산, 트랜스지방산 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카스텔라는 나트륨 함량도 가장 낮게 나타났고, 당 함량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빵, 통밀식빵과 같은 식빵류의 경우 다른 빵에 비해 나트륨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당 함량은 상대적으로 낮은 특징을 나타냈다. 빵의 종류에 따라 포화지방산, 트랜스지방산, 당 및 나트륨 함량은 큰 차이를 나타냈다. 13종 빵의 영양성분의 함량을 1회 제공량당 함량으로 나타냈고, 이를 만성질환위험감소섭취량과 비교하였다. 포화지방산은 1일 만성질환위험감소섭취량의 4.7~74.4%에 해당하였고, 트랜스지방산은 1일 만성질환위험감소섭취량의 0.5~20.8%에 해당하였다. 당과 나트륨은 각각 3.1~28.3%, 1.9~20.3%를 차지하여 13종의 모든 빵은 각 영양성분의 1일 만성질환위험감소섭취량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13종 빵의 1회 제공량당 함량을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제시한 영양성분 섭취기준과 비교한 결과 포화지방산과 트랜스지방산은 각각 3.3~52.3%, 0.5~20.8%에 해당하였다. 당과 나트륨은 각각 6.1~56.6%, 2.2~23.4%를 차지하여 13종 빵 모두에서 WHO의 영양성분 섭취기준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가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 활용에 사용될 수 있으며, 베이커리 빵 구매에 대한 소비자의 올바른 선택 및 소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ast the fat, sugar, and sodium contents of frequently consumed bakery bread sold in Korea to their CDRR values. For this study, samples of 13 different kinds of bakery bread were analyzed. These included 9 kinds of bread that are regarded as key foods that contribute 85% of the diet’s intake of 17 key nutrients (including fat, sugar, and sodium), as well as 4 kinds of bread that customers commonly look for on websites and smartphone apps. All samples were collected in Seoul during 2020. Croissants and sweet red bean butter both have comparatively higher levels of total saturated fatty acid and trans fatty acid content than the others. Castella has the highest total sugar level per 100 g while having the lowest total saturated fatty acid, trans fatty acid, and sodium content per 100 g or serving. Contrary to the others, plain bread and whole wheat bread often have higher sodium but lower total sugar content. All bread showed lower amounts of total saturated fatty acids, total trans fatty acids, total sugar, and sodium per serving as compared to their CDRR values (4.7~74.4%, 0.5~20.8%, 3.1~28.3%, and 1.9~20.3%, respectively).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utilized to update the Korean food composition database and assist consumers in choosing bakery bread that is healthy to eat.

      • 자기점검표 및 자기평가지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전공과 중도장애 학생의 제과ㆍ제빵 생산량 및 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소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strategy using self-monitoring checklist and self-evaluation sheet on the quantity of the confectionery and bread produc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confectionery and bread making skills and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this study,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o evaluate treatment effects. And percentage of independent confectionery and bread making skills and quantity of the production was measured. Follow-up data were collected twice after two weeks and five weeks since the intervention had been finish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management strategy using self-monitoring checklist and self-evaluation sheet increased the quantity of the confectionery and bread making production in all subjects. second, Increased quantity of the confectionery and bread making production maintained in all subjects. Three, Self-management strategy using self-monitoring checklist and self-evaluation sheet increased the independent confectionery and bread making skills in all subjects. Four, Increased independent confectionery and bread making skills were maintained in all subjects.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could be concluded that self-management strategy using self-monitoring checklist and self-evaluation sheet increased the quantity of the confectionery bread production and the independent confectionery bread making skills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장애 학생들이 이 사회에 필요하고 가치있는 독립된 성인으로 생활하는데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것은 직업을 선택하고 유지하는 것으로, 중등 특수교육 및 직업 재활에서는 장애 학생의 사회적·경제적 독립과 자기 충족을 실현시키기 위해 장애 학생 개인에게 적합하고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중도장애 학생의 경우, 특수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직업교육은 주로 직업 전 준비기술 습득에 머물러 있으며, 직업기술 교수 시에도 외부적인 지시나 감독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현실은, 중도장애 학생의 취업을 어렵게 할 뿐 아니라, 취업을 하더라도 중도에 탈락하게 만드는 원인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한점을 극복하고자 중도장애 학생의 직업기술 습득을 위해 과제분석 및 수정, 자기관리 중재 절차 사용 등을 통한 다양한 직업 교육이 실시되고 있으며, 학생의 독립적인 직업기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자기관리 중재 절차의 각각의 효과 및 여러 요소들을 결합한 다양한 전략들이 보고되고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자기관리 중재 전략을 활용한 직업기술 습득 연구는 사진단서 전략과 비디오 자기 모델링을 사용한 연구 등을 제외하고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P시 소재의 한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에 재학 중인 3명의 중도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점검표 및 자기평가지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의 사용이 제과·제빵 생산량 및 제과·제빵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학생 3명의 제과·제빵 수행을 관찰한 후, 과제를 분석하여 수정된 제과·제빵 기술을 제시하였으며, 중재 초반 3회기에는 자기점검표 및 자기평가지 사용법에 관한 예비교수를 실시하였고, 중재 시 ‘자기점검, 자기강화, 자기평가’가 포함된 자기관리 중재를 활용한 직업기술 교수를 실시하였다. 또한 자기관리 중재의 일환으로 자기점검표 및 자기평가지를 제작하여 학생 스스로 제과·제빵 기술을 수행하면서 자신의 수행을 점검하고, 생산된 제과·제빵 제품을 평가하여 제품 생산량을 결정하는 활동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설계는 중다간헐기초선 설계이고, 모든 실험은 특수학교 직업실인 제과·제빵실에서 이루어졌으며, 중재 종료 2주 후와 5주 이후 두 번에 걸쳐 유지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명의 중도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점검표 및 자기평가지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포함된 직업기술을 교수하였을 때, 대상학생 모두 제과·제빵 생산량이 증가하였다. 둘째, 대상학생들의 증가된 과제 생산량은 중재 2주 후와 5주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셋째, 3명의 중도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점검표 및 자기평가지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포함된 직업기술을 교수하였을 때, 대상학생 모두 제과·제빵 기술 수행율이 향상되었다. 넷째, 대상학생들의 향상된 제과·제빵 기술 수행율이 중재 2주 후와 5주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자기점검표 및 자기평가지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의 사용이 중도장애 학생의 제과·제빵 생산량 및 제과·제빵 기술의 수행율을 향상시키고 유지에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중도장애 학생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직업기술 영역인 제과·제빵 분야에서, 자기점검표 및 자기평가지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를 활용하여 중도장애 학생의 생산량 향상 및 독립적인 기술 수행을 입증하였다는 점과 기존의 단순 조립이나 청소 및 용역 등의 직업기술 영역 뿐 아니라, 제과·제빵과 같이 복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는 직업기술 영역에서도 생산량 향상 및 독립적인 직업기술 수행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중도장애 학생이 참여 가능한 직업 영역의 확대 가능성을 시사했다는 의의를 가질 수 있다.

      •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이 도서관활용능력 및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소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이 논문은 교육부의 지속적인 학교도서관 활성화 계획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도서관활용 교과연계 수업이 이루어지 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이며, 기존의 오리엔테이션식 학교도서관 이용자교육에서 벗어나 도서관을 활용하여 정보활용능력을 어떻게 향상 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선행연구를 관종별로 나누어 학교도서관 13건, 대학도서관 12건, 공공도서관 5건 총 30건을 조사하였다. 조사내용으로는 적용대상, 조사대상 및 인원, 실험방법, 현황 및 실태, 개선 및 방안, 설계 및 시연, 주제 등을 살펴본 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용교육을 통해 도서관활용능력 및 정보활용능력을 측정하는 실증적인 연구는 지금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6학년 국어 교과서��와 ��도서관과 정보생활��을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이용교육 수업을 설계하였다. 경기 광주지역의 T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군 141명, 통제군 104명으로 총 245명이 참가하였다. 참가자들을 이용교육 여부에 따라 도서관활용능력 평가지와 정보활용능력 수행평가지를 테스트하여 이용교육을 받은 집단과 받지 않은 두 집단을 비교·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나타난 결과를 여섯 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활용능력 평가 중 국어교과연계 전체의 경우, 각각 실험군 92.38점, 통제군 63.70점으로 높은 평균의 결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서관에서 읽을거리를 찾아 읽는 방법과 같이 국어교과의 직접적인 연계 문항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둘째, 도서관활용능력 평가 중 도서관 이용 예절 전체의 경우, 각각 실험군 97.87점, 통제군 94.23점으로 두 집단이 비슷한 평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학년 때부터 6학년까지 학교도서관을 접하고 있었기 때문에 도서관을 이용하는 예절이 자연스럽게 몸에 배인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도서관활용능력 평가 중 도서관 자료의 정리 규칙 전체의 경우, 각각 실험군 95.04점, 통제군 70.31점으로, 이용교육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책의 구성과 종합문제의 문항에서 두 집단이 아주 큰 차이를 보였다. 넷째, 도서관활용능력 평가 중 정보자료 활용 전체의 경우, 영상자료, 인쇄자료, 전자자료, 종합자료 순으로 평균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영상자료의 경우 두 집단의 평균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다섯째, 정보활용능력 수행평가 중 정보자료의 종류 전체의 경우, 실험군과 통제군 모두 평균점수가 인쇄자료, 전자자료, 영상자료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전자자료와 영상자료에 비해 인쇄자료를 좀 더 익숙하게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정보활용능력 수행평가 중 정보자료 종류(상세) 전체의 경우, 실험군과 통제군의 평균 점수가 종이책, 사전 또는 백과사전, 도감 및 잡지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특히 전자책, 신문, 동영상 문항의 평균 점수가 이용교육의 여부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총 네 가지의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도서관협회 산하의 지역별 그리고 관종별 도서관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현재 사서의 직무연수에서는 이용교육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진정한 사서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연수 내용에 이용교육을 필수로 넣어야 한다. 둘째, 학교도서관은 본연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독서교육에 비해 대다수의 학교도서관에서 이용교육의 비중이 낮다. 학교도서관의 궁극적인 목적을 위해 이용교육을 통해 정보활용능력을 강화하여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학교도서관은 이용교육을 통해 정보활용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이용교육을 실시했을 당시의 단기적인 효과만을 생각할 것이 아니라,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이용교육을 통해 도서관활용능력을 정보활용능력으로 확대시켜야 한다. 넷째, 도서관활용수업은 교과와 연계되어야 한다. 앞으로 전자자료 및 영상자료는 수업에 연계되어 자료의 활용도가 더욱 증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교과와의 연계가 불가피하며, 이를 통해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의 실시 여부에 따른 도서관활용능력 및 정보활용능력 변화를 조사, 분석하여 실질적으로 학교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교도서관 이용교육 수업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언한 내용을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이 개선된다면, 이를 통해 도서관활용 교과연계 수업의 활성화는 물론 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address matters on the apprehensions of why is there no substantial academic lesson integrated with practical use of the library, even though the education department constantly encourages schools to make a good use of the library and how can we renounce the existing simple school library user orientation so the students can enhance their library resource utilization abilities when conducting in the library. For the research, 30 papers in total were reviewed and they were assorted by types of the subject institution, 13 school library papers, 12 university library papers and 5 public library papers. From the paper,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representative sample and their numbers, the experiment method, the current updates and surveys, advices on betterment and promotion strategies, planning and demonstration of the class and the subject were compared and evaluated. It was assessed that no substantial study was done on surveying users’ information literacy in relation to the education of the library users. In this paper, the education of school library use was planned by integrating lessons with ��6th grade’s Korean textbook�� and ��Library and information application��.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6th graders from ‘T’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Gyeonggi province and the total of 245 students participated which consists of 141 student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4 students from the controlled group. A total of 6 significant outcomes as followed were derived from this experiment. First, in case of Korean integrated lesson of total categories of the practical use of the library literacy evalua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was a substantial score difference as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score was 92.38 points and the controlled group’s average score was 63.70 poi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stinction with the directly linked task on the matter such as searching for the book on the subject of Korean. Second, for total categories of library usage manner in the practical library literacy evaluation, the average scores were quite close, as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score was 97.87 points and the controlled group’s average score was 94.23 points. This can be expected since the students has been using the library from 1st grade so the manner only comes naturally to them. Third, for the library information organizing total categories of the practical library literacy evaluation, a positive affect of the education was verified as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score was 95.04 points and the controlled group’s average score was 70.31 points. There wa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groups on the subject of book’s content and compiled questions. Fourth, for the information resources application in total of the practical library literacy evaluation,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average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for visual resources, printed resources, electronic resources and general resources in respective order. The result showed a statistically considerable distinction. For visual resource, the biggest average difference was observed. Fifth, for information resources category of information literacy performance evaluation, the average score of the both groups were high with printed resources, electronic resources and visual resource in the respective order and the order for both groups were identical. It can be acknowledged that students from the both groups are more familiar with printed resources in comparison to electronic or visual resources. Last, for information resources category(detailed) of information literacy performance evaluation,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average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respective order of paperbacks, dictionary or encyclopaedias and illustrated books or magazines. The education of the library use made a distinctive difference for average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especially on electronic, newspaper and video questions. Four possible suggestions can be proposed to improve the existing school library orientation. First, there has to be a resolute support from the regional and institutional libraries affiliated with Korean Library Association. Presently, the librarian training courses do not involve any education of library use. The education of library use should become compulsory in order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for the librarians. Second, the school libraries should fulfil their precise purposes. On the contrary to avid reading education at present, there is an overlook upon the education of library use. Through education, the use should be able to strengthen their information literacy which will also enhance their self 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nd therefore accomplishing the ultimate objective of the school libraries. Third, the school libraries should improve the user's information literacy by providing the education to the library use. It should not only be limited to an one time deal with a short term affect but to provide constant and structured use education to extend the library literacy which would take course to expend information literacy. Last, library associated lessons should be integrated with other academic subjects. In the future, numerous electronic and visual resources will be integrated within classes which will boost the utilization of resources. Therefore, the class integration is imminent and the education of library use should be promoted. This study has taken place to analyze the progress of library literacy and information literacy in case of the education of the library use, so suggestions can be made for the classes at school. If the school library orientation is modified to the education of the library users, it will be able to encourage the academic lesson integrated with practical use of the library as well as enhancing the information lite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