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시대 판소리 너름새 연구 : 창작판소리를 중심으로

        황혜란 한국예술종합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판소리를 둘러싼 제반 환경은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대부분의 관객들은 판소리뿐만 아니라 전통음악이나 문화에 노출된 경험이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적다. 연행은 객석과 무대가 분리된 실내 극장에서 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객과의 수평적인 소통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전승 5바탕의 사설이나 전체적 템포는 강렬한 자극에 익숙한 동시대의 관객들에게 쉽게 이해되거나 공감을 얻지 못한다. 또한 동시대 공연예술은 장르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판소리 연행자들이 다양한 장르의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의 공연뿐만 아니라 국외에서의 공연이나 워크숍, 레지던시 등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른 예술가들과 과정 중심의 작업을 할 기회도 많아지고 있다. 판소리 연행자는 동시대의 연행 환경 속에서 관객과 소통하기 위한 방법들을 고민해야 하며, 장르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는 공연예술계의 상황에도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판소리가 공연예술로서 지속하기 위해서는 전승 5바탕의 보존과 더불어 이의 재해석 및 창작판소리 제작 등을 통해 시대와 호흡해야 한다. 해석 및 창작에 대한 관심은 필연적으로 너름새에 관한 관심을 요구한다. 너름새는 현재 교육현장 및 연구자들 사이에서 그 개념이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으며, 체계적 교육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형편이다. 이는 너름새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의 부재를 드러내는 것으로, 근대 이후의 여러 상황들 속에서 빚어진 결과다. 스승의 것을 잘 익히고 외길로 수련에 매진하면서 경험을 쌓으면 되었던, 일면 단순했던 과거와는 다른 가능성들이 현재의 판소리 연행자들 앞에 놓여 있다. 음악적 기량이 어느 정도의 완성에 이른 뒤에는 오로지 ‘득음’이라는 한 가지 기준만이 아니라 연행자의 개성에 따른 다양한 가능성들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는 근대 이후 연극의 유입과 실내극장에서의 연행이라는 새로운 환경이 창극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창극을 통해 합리적인 성향을 더욱 발전시킨 김연수 명창과 소리에 집중했던 임방울 명창이 ‘이면’에 대해 다른 관점을 가지게 되었던 것과 비슷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판소리는 음악문학연극이 미분화된 채로 존재하는 독특한 장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판소리 연행자에게 연행자, 극작가, 연출가로서의 세 가지 역할을 수행할 것을 요구한다. 현재의 교육은 연행자로서의 역할, 그 중에서도 음악적인 측면에 지나치게 집중되어 있으나 연행자의 창조성과 개성을 발휘할 것이 요구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는 세 가지 역할의 균형잡힌 교육이 필요하다. 소리에 강점이 있는 연행자가 있는가 하면, 연기나 작품 해석, 다른 장르와의 협업, 작창에 강점을 지닌 연행자도 있다. 모든 연행자들이 소리에 관해 일정 기량 이상의 성취를 이루어야 함은 당연한 일이겠으나 소리 이외에도 다양한 개성과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 역시 주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창작판소리및 판소리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공연예술의 활성화를 가져올 것이며, 판소리에 익숙하지 않은 동시대 대중들에게 판소리를 좀 더 가까이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너름새를 중심으로 연행자의 창조성과 개성을 살릴 수 있는 교육의 방식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연구자나 글의 맥락에 따라 발림과 혼동되는 등 그 개념이 정확치 않은 판소리 너름새의 개념을 살펴볼 것이다. 이어 위에 제시한 것과 같은 현 상황에서 너름새와 관련되어 강조되어야 할 특성을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판소리의 생성시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환경의 변화를 관객층연행 공간연행 형태로 나누고 이에 따른 너름새 변화의 추이를 추측해 보고자 한다. 특히 근대 이후의 변화에 집중하여 너름새가 그 특성상 연행자의 개성적이고 독창적인 부분을 허용하고 있음에도 현재의 너름새가 정형적인 동작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역사적 이유를 밝히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변화된 환경 속에서 판소리 연행자들에게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교육을 크게 장기적정기적 교육과 단기적비정기적 교육으로 나누고 그 필요성과 구체적 프로그램을 너름새 중심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판소리 연행자들과 연구자들이 너름새의 다양한 가능성에 좀 더 관심을 가짐으로써 개성적 너름새를 펼치는 많은 연행자들이 배출되고, 이들을 통해 좀 더 많은 관객들이 판소리에 관심을 가지고 공연장을 찾게 되기를, 그리하여 판소리가 좀 더 풍성한 미래를 갖게 되기를 바란다. Abstract A Study on Contemporary Pansori Neoreumsae : Focusing on Newly Created Pansori Hwang, Heyran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Art Theory School of Traditional Ar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Circumstances around Pasori is changing fast. Compared to half a century ago, audience have much fewer experiences of watching Pansori as well as other traditional culture. Pansori is usually performed indoor theatre and it makes the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harder. The tempo and the lyrics of 5 traditional stories can hardly be understood or get sympathy by the comtemporary audience. Pansori performer should try to meet these changes and at the same time try to meet the changes in the field of performance where the border between the genres are becoming more and more blurred. In the deconstruction of genres Pansori performers are having more chance to join the various projects. Overseas Pansori performances, workshops, and residencies as well as chances to join the process based projects with artists in other genres are increasing quite fast. To survive in these fast changing circumstances, both the reinterpretation of 5 traditional stories and producing new Pansori repertoire is need at the same time. And it requires attention to Neoreumsae. The concept of Neoreumsae is not clear among the performers, educators, and scholars. Well organized education in Neoreumsae is hardly performed and it proves lack of interest in Neoreumsae which is the result of various events in the history of modernization. There are more possibilities laying in front of Pansori performers compared to the past. In the past the way of becoming a 'good' performer was relatively simple and the performers were just expected to follow the teacher. However, performers in these days can seek for new possibilities according to their strength after achieving certain level of singing skill. In a way circumstances are similar to the modernization era, when the import of Western and Chinese theatre with the building of indoor theatre caused the changes in Pansori such as Changkuk and Changkuk made people develop different view on Pansori. Pansori is a unique genre where music, literature, and theatre exist undivided and it requires the performer to play three roles - performer, playwright, and director. However the contemporary education is focused on the role as a performer, especially on the musical skill. The circumstances around Pansori is asking the performer to play three roles harmoniously. Each performer has different strength and s/he deserves chances to develop her or his strength after achieving certain level of singing skill. This way performers can create more new Pansories which will result in more chances for the contemporary audiences to approach Pansori closer. This thesis suggests the way of education for comtemporary Pansori performer focusing on Neoreumsae. Firstly, I will look into the concept of Neoreumsae which is being confusedly used with Balim. Secondly, I will look into two characteristics of Neoreumsae - 'playing presence' and 'the flexible mixture of the fixed and the original'. Thirdly, I will try to reasonably guess the changes in Neoreumsae according to the changes in environment of Pansori performance in the history from three aspects - audience, place of performance, form of performance. Especially by focusing on the changes around the modernization era, I will try to reveal the historical reason why most contemporary Neoreumsae consists of fixed conventional expressions. Lastly, I will suggest some training which I feel contemporary Pansori performers lack in the colledge education system and discuss the necessity of those training. It will be classified into training which needs long-term and regular practice and short-term and irregular practice. By having more interest in Neoreumsae, more performers can be trained to nurture their uniqueness and personality in the course of Pansori training. And those performers will attract more audience to the theatre to lead Pansori to the richer future.

      • 한국문학교육용 텍스트의 이독성 연구 : 교과서 수록 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황혜란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문학교육에서 문학텍스트 선정의 임의성을 배제하고 과학적·객관적 방법으로 텍스트를 선정하기 위해 소설코퍼스에 대한 계량적 접근 방법으로 문학텍스트의 언어 난이도를 분석하였다. 언어 난이도는 어휘, 문형, 문장의 이독성 요인을 살피고 어휘지수, 문형지수, 문장지수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어휘 난이도, 문형 난이도, 문장 난이도를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 기준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가중치를 적용하여 통합적인 언어 난이도를 측정하였다. 1장에서는 한국문학텍스트의 언어적 난이도를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밝히고, 한국문학교육에서 텍스트의 선정과 이독성 공식에 관련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분석대상이 되는 테스트를 선정하는 기준을 밝히고 교과서 소설에 수록된 단편소설 22편을 선정하였다. 대상텍스트에서 어휘는 기본형 추출, 문형은 조사와 어미, 표현 문형을 추출하였고, 문장은 문장 당 어절수를 추출하고, 문장 길이, 연결 어미, 전성 어미의 추출을 통해 난이도 분석을 위한 표집을 하였다. 그리고 텍스트의 언어 난이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분석대상 텍스트의 어휘, 문형, 문장의 요소를 이독성 기대 요인으로 삼았다. 3장에서는 어휘 난이도를 측정하였다. 어휘지수를 산출하기 위해 분석대상텍스트로 선정한 『교과서소설』에서 어휘를 추출하고, 기본형 분석을 하여 품사별로 정리를 하였다. 다음으로 분석 기준이 되는 『한국어교육 어휘내용개발』의 어휘 목록을 정련하고, 등급 부여의 기준에 따라 어휘 목록의 등급을 『교과서소설』 어휘에 부여하였다. 그리고 이독성 공식을 적용하여 어휘지수를 산출하고 어휘지수의 분포와 난이도에 따른 활용방안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교과서소설』의 문형 난이도를 측정하였다. 문형지수를 산출하기 위해 어절 단위의 분석을 통해 『교과서소설』의 조사와 어미, 표현 문형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교과서소설』에서 추출한 문형에 등급을 부여하기 위해 국립국어원의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의 문형 목록과 『한국어 문법·표현내용개발󰡕의 문형 목록을 통합한 『문형 목록』을 기준으로 삼았다. 『교과서소설』 과 『문형 목록』을 상호대조 처리하여 등급을 부여하기 위해서 원래의 목록에서 통사에 의한 형태적 변이나 음운 및 품사에 의한 형태적 변이형을 모두 따로 분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교과서소설』의 문형에 등급을 부여하였다. 마지막으로 등급이 부여된 『교과서소설』의 문형에 이독성 공식을 적용하여 문형지수를 산출하고, 문형지수의 분포와 난이도에 따른 활용 방안을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문장 난이도를 측정하였다. 문장지수를 산출하기 위해 『교과서소설』의 문장 당 어절수를 계산해서 작품의 평균 문장 길이를 구하고 텍스트별로 문장 길이의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다음으로 문장의 수식어인 관형사와 부사의 비율을 산출하였다. 문장의 복잡성을 반영하기 위해 『교과서소설』의 연결 어미의 비율, 관형사형 전성 어미, 명사형 전성 어미의 비율을 산출하고, 문장의 모호성을 반영하기 위해 대명사의 비율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각 이독성 요인별로 가중치를 적용하여 문장지수를 산출하고, 문장지수의 분포와 난이도에 따른 활용 방안을 살펴보았다. 6장에서는 어휘지수, 문형지수, 문장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가중치를 적용하여 통합적인 언어 난이도를 측정하였다. 언어지수는 각 이독성 요인의 난이도에 가중치를 주어 평균을 내는 가중 평균 방식을 취하였다. 가중치 값은 텍스트의 의미 난이도에 50%, 통사적 난이도에 50%를 부여하였고, 통사적 난이도에서 문형 난이도에 30%, 문장 난이도에 20%의 가중치를 두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통합적 언어 난이도인 언어지수를 산출하고, 언어지수의 분포와 난이도에 따른 활용 방안을 살펴보았다. 7장에서는 논의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소설텍스트의 이독성 요인은 의미적 요인과 통사적 요인으로 나누어 살피었다. 어휘적 요인에서는 좀 더 정교한 난이도 분석을 위해 다의어 분석을 하여 어휘의 난이도 적용을 세분화하였다. 통사적 요인에서는 한국어교육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문형의 난이도를 분석하였고, 정교한 등급 부여 기준을 마련하였다. 문장의 난이도를 측정함에 있어서는 단순히 문장 길이뿐만 아니라 연결 어미와 관형형 전성 어미, 명사형 전성 어미, 대명사, 수식어의 비율 등을 반영하여 텍스트의 복잡성과 모호성을 반영하여 텍스트의 통사적 난이도를 전체적으로 살폈다. 또한 각 이독성 요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가중치를 적용하여 통합적인 언어지수를 제시함으로써 소설텍스트의 언어 난이도를 어휘, 문형, 문장의 단위에서 복합적이고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용 문학 텍스트의 이독성을 분석하여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language level of literary texts by using a quantitative approach on novel corpus in order to select texts scientifically and objectively without random in the selection of literary texts. Language level examined vocabulary, Sentence Patterns, causes of sentence misreading and calculated vocabulary index, Sentence Patterns index, and sentence index. Next, comprehensive language levels were assess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criterion and applying additional weight based on findings from vocabulary index, Sentence Patterns index, and sentence index. In Chapter 1, the author presented study background and objective to analyze language level of Korean literary texts, and examined previous studies on the selection of texts and Readability formula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Criteria for selecting texts for analysis were introduced and 22 short stories pertained in Korean literature textbooks were chosen in Chapter 2. In target texts, vocabulary extracted basic forms, Sentence Patterns extracted postpositional particles, ending, and expressions. Sentences extracted numbers of words, and sampling was performed in oder to analyze language level by extracting the lengths of sentences, connective endings, and final endings. Vocabulary, Sentence Patterns, and sentence elements were considered as expected elements in order to analyze language levels of texts. In Chapter 3, vocabulary level was measured. The author extracted Korean words from “novels in textbooks” selected as texts for analysis and arranged them according to word class by analyzing basic forms. Next, vocabulary lists in “The Development of Word Cont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arranged and granted grade of vocabulary lists into “novels in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grading criteria. Then the author calculated vocabulary index by applying a Readability formula and observed use methods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of vocabulary index as well as language level. The author assessed the level of Sentence Patterns in “novel in textbooks” in Chapter 4. To calculate the Sentence Patterns index, postpositional particles, endings, and expressions presented in “novels in textbooks” by analyzing word units. In the next part, the author established lists of Sentence Patterns of “International Standard Model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ose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Grammar and Expression Contents” in order to give ratings to Sentence Patterns extracted from “novels in textbooks” as criteria. Morphological shift by syntax or morphological variations by phoneme and word class were all individually separated in the original list in order to perform mutual comparison between “novels in textbooks” and “lists of Sentence Patterns” and give ratings. By following this course, five grades― A, B, C, D, E― were given to Sentence Patternss in “novels in textbooks.” Lastly, a Readability formula was applied in Sentence Patternss in “novels in textbooks” and calculated Sentence Patterns index; thus, this paper examined utility method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Sentence Patterns index and language level. In Chapter 5, the author estimated sentence level. Numbers of words per sentence in “novels in textbooks” and average length of sentences of literary works were calculated, and then standard deviations of each text were obtained in order to calculate sentence index. In the following step, the author calculated the percentage of sentence modifiers such as determiners and adverbs. To reflect the complexity of sentence, the percentages of connective endings, determinant final endings, noun final endings presented in “novels in textbooks” were drawn and the percentage of pronouns was calculated to reflect the ambiguity of sentence. By applying additional weights to each misreading element, sentence index was calculated. The author examined utility methods in accordance with the distribution of sentence index and language level. In Chapter 6, the correlation between vocabulary index, Sentence Patterns index, and sentence index was analyzed and assessed comprehensive language level by applying additional weights. Language index employed an additional weighing mean method to grant more weights to levels of each misreading element. The value of additional weights granted 50% to text meaning level, 50% to syntactic level, 30% to Sentence Patterns level, and 20% to sentence level. In this way, this study surveyed language level, which is a comprehensive language level, was estimated and applic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language index and language level. The discussion was summarized in Chapter 7. This study classified misreading elements of novel texts into connotational elements and syntactic elements. For vocabulary elements, polysemic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more sophisticated analysis and subdivided the application of vocabulary level. For syntactic elements, Sentence Patterns level reflecting specific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organized criteria of giving sophisticated grades. The assessment of sentence level generally investigated not just the length of sentences, but syntactic text levels, connective endings, determinant final endings, noun final endings, pronouns, the percentage of modifiers by reflecting the complexity and ambiguity of texts. Furthermore, the correlation between misreading elements was analyzed and language level of novel texts was analyzed comprehensively and diversely in vocabulary, Sentence Patterns, sentence units by applying additional weights and by presenting comprehensive language index. This study analyzed the misreading of literary text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ontributed to provide the possibility of its educational use.

      • 로봇프로그래밍용 작은 언어에 대한 컴파일러 개발

        황혜란 경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Many investigators make researches in effective education of a computer programming for the students from elementary to university level. Among those researches the educational robot programming is known that it can help the improvement of creative talent and motivate the interest about programming. In this paper, we define a simple language for programming the Lego Mindstorms NXT which is an educational robot kit and present the implementation result of its compiler. The grammar of the tiny language is almost same to that of C language with restricted functions. We modify the NBC built-in function definitions, which are for controlling sensors, for the purpose of easy and intuitive use. We also introduce a new operator for function call. In order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compiler we write some robot control programs using the tiny language and present the result to apply it to the NXT.

      • 초·중등 영어교과서에 나타난 의사소통기능과 상황의 분석

        황혜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어과 교육과정은 의사소통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며, 학습 내용은 개념-기능 중심 교수요목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교육과정에는 의사소통기능 예시문을 제공하여 교과서 집필 시 기준이 될 수 있게 하였으나 의사소통기능 간 계열성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교과서마다 이를 제시하는 순서나 범위에 차이가 생길 수 있다. 이에 많은 선행연구들이 나선형 접근의 맥락에서 영어 교과서에 제시된 의사소통기능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학년 간 교과서에서 제시되는 의사소통기능별 언어 형태의 계열성에 대한 분석 없이 의사소통기능 항목별 비율만을 비교하거나, 연구자의 주관적인 해석에 의존한 연구가 많았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3~6학년 및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에 제시된 의사소통기능 예시문 분석 및 Coh-Metrix 측정치 분석을 통한 객관적인 자료를 통해 언어형태의 계열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또한 동일 학년 교과서 간의 의사소통기능 제시가 관련성을 갖는 지 수평적 연계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의사소통기능이 제시될 때 다양한 상황 범주를 반영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초등학교 3~6학년 및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에 제시된 초등권장 의사소통기능은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특정 의사소통기능에 편중되어 제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의 실질적인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의사소통목적을 가진 표현들이 학년별로 고르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의사소통기능의 학년 간 연계성을 살펴 본 결과, 일부 항목에서만 계속성과 계열성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의나 이의 여부 묻기, 화남표현하기 등 8개 항목은 학년에 따라 교과서에서 누락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동일한 기능이 상위 학년에서 재배열될 때 문장 길이가 대체로 길어지고, 새로운 표현으로 심화, 확대되어 제시되었으나 정체확인하기와 상술하기, 만날 때 인사하기 등 일부 항목은 통사적 복잡성 지표(본동사 앞 단어수, 명사구 수식어 수)의 학년 간 큰 차이가 없거나 항목에 따라 급격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동일 학년에서 제시된 의사소통기능 간에는 수평적인 연계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에 따라 동일 학년에서 제시되는 의사소통기능빈도수에 차이가 나기는 하였으나, 상관 분석 결과 학년 별 20종 교과서 모두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의사소통기능이 제시되는 상황은 학년 별로 특정한 역할이나 장소에 편중되어 제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역할과 심리적 역할은 친구-친구, 동등성에만 편중되었다. 장소의 경우 초등학교에서는 거리, 공원, 학교, 방 등 학생이 경험하기 쉬운 장소 중심으로 의사소통기능이 제시되고 있었고 분석 기준의 장소가 두루 제시되고 있는 반면 중학교에서는 대화문이나 그림만으로는 장소를 유추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연계적인 구성이 이루어졌다고 보기 힘들어 이에 대한 보완이 요구된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편된 초․중등 전 학년 교과서를 대상으로 의사소통기능의 연계를 폭넓게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둘째, 읽기와 쓰기 텍스트를 추가로 분석하여 초・중등 영어교과서에 나타나는 의사소통기능의 연계를 다각적인 측면에서 고찰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영어교과서에서 제시된 의사소통기능 중, 학년 간 연계성이 미흡하거나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의사소통기능에 대해 이를 보완하기 위한 현장 교사의 노력이 병행되어야 하겠다.

      • 기독교 유아교육에 관한 연구 : 여름 성경학교를 중심으로

        황혜란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는 기존의 가치체계가 흔들리는 정보화 사회이다. 여름성경학교도 이런 시대 현실에 부응할 수 있게 새롭게 변화하여 현실 상황에 적응해야 한다. 또한 여름성경학교의 본연의 목적인 성경을 유아들에게 많이 가르쳐 유아들이 성장하면서 하나님을 경외하며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갖고 남을 사랑하는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한다. 유아기는 인간의 정신을 형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시기이며, 이때의 경험은 전 생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유아기에 기독교 정신에 기초한 유아교육을 실시한다면 유아들의 올바른 인격 형성에 많은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확장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본 논문을 요약하면 2장에서는 기독교 유아교육의 개념, 목적 및 목표를 살펴본 후, 삐아제(Jean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에릭슨(E. H.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비고츠키(Vygotsky)의 사회 문화적 발달 이론을 통해 유아들의 일반적인 발달과정 및 파울러(James W. Fowler)의 신앙발달 이론, 골드만(Ronald Goldman)의 종교적 사고발달 이론을 통해 종교적 발달과정을 논하였다. 그리고 유아의 발달에 따른 기독교 교육은 골드만(Goldman)의 종교적 사고발달 이론을 통해 보았다. 유아들의 기독교 교육 방법에서는 방법의 원리, 방법의 선택, 예수님의 교육 방법 및 예배, 놀이, 이야기를 통한 유아교육을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여름성경학교의 유래 및 미국과 한국에서의 발달과정 및 여름성경학교의 특징 및 목적과 중요성을 살펴보고, 여름성경학교에서의 교육에 대해서는 시대 상황에 맞는 여름성경학교의 교육을 위해 교회의 교육방향을 제시하고 여름성경학교 교육의 방향과 교육적 가치를 논하였다. 4장에서는 안양제일교회와 춘천신성교회에서 실시한 여름성경학교를 분석한 후 여름성경학교의 사후처리, 프로그램, 평가 및 새로운 형태의 여름성경학교에 관하여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유아들의 기독교 교육은 부모, 교회, 교육기관을 통해 이루어진다. 여름성경학교는 교회를 통한 기독교 교육이다 교회는 여름 성경학교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인식하여 철저하게 준비해야 한다. 철저하게 준비해야 내실 있는 교육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준비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신뢰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과 훌륭한 교사의 확보이다. 유아들은 모방심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교사들의 행동을 보거나, 말을 들으면서 배우므로 교사들은 유아기의 특성을 이해하여 모범이 되도록 행동하고 말해야 한다. 또한 교사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유아들을 가르치는데 힘써야 할 것이다. 여름성경학교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유아들이 참여해야 한다. 많은 유아들을 여름성경학교에 참여시키기 위해서는 부모들과의 협력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왜냐하면 유아들은 아직 어리기 때문에 스스로 참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들이 참여하고 싶어도 부모들의 동의가 없다면 참가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모들을 설득하여 유아들을 참가시키기 위해서는 교회는 신뢰성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하고, 좋은 환경의 교육장소 및 교육교재를 준비해야 한다. 교회는 신뢰성 있는 프로그램을 가지고 부모들을 설득하여 유아들이 여름성경학교에 참여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교회는 여름성경학교를 통해 유아들이 가진 관심과 흥미가 신앙 안에서 기독교적인 내면세계를 형성하도록 도와 줘야 한다. 또한 유아들의 교육은 하나님 말씀인 성경을 중심으로 하여야 한다. 유아들에게 성경을 가르칠 때는 지루하지 않도록 놀이, 게임, 이야기 등의 방법을 통하여 유아들이 흥미를 느끼게 해야 효과적으로 유아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할 수 있을 것이다. 여름성경학교는 단기간에 많은 시간을 가지고 유아들에게 기독교 교육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교회는 이 기회를 살려서 미래 사회의 주인공인 유아들에게 하나님 말씀을 전하여, 유아들이 하나님 말씀에 따라 성장하여 이사회 각 분야에서 주역으로 자랄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여름성경학교를 실시해야 한다. The Christian education for children is not simply to add something Christian to the general children education program, but importantly to form the children education program thoroughly in the perspective of the Christian faith. No specific children education program provide or create the Christian children program as a whole. It is possible to launch the Christian children education only when some religious ground motifs and biblical world views are highlighted and promoted as definitely indispensable educational elements needed for the Christian children education. However, our modern Korean society has not appropriately responded to the importance of Christian children education, despite the fact that almost all Koreans have increasingly had the educational concern for their children. For most of them are concerned about their children's admission to some prestigious universities, which lead, they believe, to the successful life career in the future. This has brought about a serious mistake that the formation of good moral character has been disregarded in the real field of education. I believe that the educational problem just oriented toward life-success can be solved by reconstructing children education, especially started from the kindergarten or the elementary school. More importantly, it should be initiated and proceeded through the Christian education that teaches children the faith world views in terms of biblical stories and thereby encourages them form the virtuous character based on the Christian truth of faith, hope, and love. In a sense, children's world is like tabula rasa, argued by John Locke, that opens to whatever they meet and easily takes up and even actualize it. Thus it is highly important to educate them in the perspective of the Christian faith that most effectively helps them to open their eyes to what is good or evil. The Christian education makes them more strongly grow up both in mind and in body in a way of teaching Jesus Christ's life and stories. In this regard, the central place of the Christian children education is the Summer Bible School that has played important roles not only in child care providing, but also in teaching children the Word of God. Hence this thesis project will address 1) the history of Christian children education, 2) its educational importance, 3) the significance of the Summer Bible School, and 4) two illustrating examples of the Summer Biblical School as a way of analytically criticizing the problems of the Summer Bible School for its more desirable reformation.

      • 학습자료 제시양식과 학습자 인지양식이 멀티미디어 학습에서 정보의 통합과 인출에 미치는 영향

        황혜란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of instructional material and of learner factors on the integration and retrieval of information learned through multimedia instructional material. Results of Experiment 1 showed that the presentation mode of verbal information and the graphic information affected both integration and retrieval of information. Participants performed better when the verbal information was presented auditorily than visually, and when the graphic information was presented in a static display then in a dynamic display. In particular, interaction between mode of verbal information and the mode of graphic information was significant: The difference between static graphic condition and the dynamic display condition was not significant when the verbal information was presented auditorily. However when the verbal information was presented visually, the static graphic was more effective than dynamic graphic.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cognitive load, i.e., select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through one channel brought much more cognitive loads in dynamic graphic. The effect of cognitive style (i.e., visualizers vs. verbalizers) on the effect of integrating information was explored in Experiment 2. Temporal order of presenting verbal information and the graphic information was manipulated independent of participant's cognitive styles. Visualizers performed better when the visual information was presented prior to verbal information, whereas verbalizers performed better when the verbal information was presented prior to the visual information. Participants were better in integrating and retrieving information when the material was presented in a sensory modality they prefer prior to other sensory modalitie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wo experiments were considered in the general discussion.

      • 현대패션과 텍스타일에 나타난 저패니즘(Japanism)에 관한 연구 : 젠(Zen) 스타일을 중심으로

        황혜란 덕성여자대학교 패션·텍스타일 비즈니스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전통적인 미와 선(禪) 사상이 일본 패션에 접목된 배경과 그 조형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일본 패션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세계화에 성공할 수 있었는지를 분석하여 그 성공요인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저패니즘 패션과 텍스타일에 나타나고 있는 젠 스타일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관련문헌연구 및 디자이너의 작품을 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패션에 대한 연구는 복식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텍스타일에 대한 분석은 주거용 실내인테리어를 증심으로 하였다. 먼저 저패니즘 패션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선사상의 특징을 분석하였는데 먼저 정신적 자기 훈련의 방법으로 실천적 행위의 규범을 준수한다는 것과 간결성과 단순성을 들 수 있다. 또한 언어나 문자의 매개에 의존하지 않는 직접 체험과 실천과 반복의 수행의 지속을 중시하고 있다. 그리고 완전한 상태에서의 절제에 가치를 부여하였으며 자연 친화적인 사상이라 는 것이다. 이러한 전통적인 미의 근원이 되고 있는 선사상이 젠 스타일에 어떻게 적용되어 있는지 연계하여 밝혀 보았다. 첫째, 규칙과 관념에 얽매이지 않는다. 이는 의복의 본질적인 기능을 해체하고 형태와 구조를 파괴함으로써 나타나는 자유로운 무형식의 상태와 성의 관념을 뛰어넘은 양성적, 무성적 이미지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간결함과 단순함을 미학으로 한다. 간결한 조형적 라인의 추구와 단순한 형태로 장식이나 디테일이 배제된 스타일을 추구하고 있다. 셋째, 드러나지 않고 절제됨을 소중히 하여 내면의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있다. 이는 자연 색과 모노톤의 단색 혹은 무채색을 사용하여 나타나고 있다. 넷째, 수행과 실천의 어려움을 소중히 하여 이를 완전한 상태에서 절제를 통한 빈곤의 미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올 풀기, 찢기, 등을 통하여 의도된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다. 다섯째, 자연 친화적이다. 자연과의 친화를 소중히 하여 천연소재를 사용하고 자연적 질감 등을 표현하고 있다. 저패니즘 텍스타일에 나타난 젠 스타일은 주거용 실내 인테리어를 중심으로 침구류와 가구마감용, 그리고 장식용 텍스타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공통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먼저 주름이나 장식 등 악세서리를 자제하고 소재 자체의 광택, 재질 등의 특성만을 이용하였으며 무늬가 없는 무채색의 단일색 직물을 사용하고 천연직물을 애용하여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조형미로 나타난 젠 스타일은 서구의 패션과 텍스타일에서 동양과 서양의 화합에 근거한 퓨전 스타일로 응용되어 새로운 트렌드를 제시하게 되었다. 젠 스타일을 응용하여 나타난 퓨전 스타일패션의 일반적 특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착장방법을 통한 응용으로 나타났는데 일본전통복식인 기모노를 서구의 스커트나 바지와 매치 하거나, 기모노를 서구의 자켓으로 표현하여 바지와 함께 나타내고 있다. 둘째, 형태의 변형을 통한 응용으로 나타났으며 기모노를 원피스 혹은 코트로 변형하여 나타내거나, 오비의 응용 등을 통하여 표현하였으며, 젠 스타일의 저패니즘 패션에 나타나는 의복의 불확정성을 이용하여 나타났다. 셋째, 이미지를 이용한 응용으로 나타났으며 간결하고 단순한 색감 혹은 일본의 전통적인 자수나 문양을 서구적인 패션에 절충하여 나타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젠 스타일을 응용한 퓨전 스타일의 텍스타일은 동양적인 고즈넉한 멋과 모던한 미니멀리즘이 융합되거나, 자연적이고 정적인 아름다움과 인공미의 접목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연구결과 저패니즘 패션의 성공은 동양문화의 뿌리가 되고 있는 선사상이 탈 중심화되고 탈 획일화를 추구하고자 하는 새로운 패션트렌드와 교감이 형성되면서 서구화를 모방하는 것이 아닌 전통의 미를 살리고 계승하고자 하는 철학적 접근이 세계패션계에 수용되어 왔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패션산업 발전을 위한 아래와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패션이 세계무대에서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저패니즘 패션의 성공에서 보듯이 한국적 이미지의 정체성을 확고히 한 후 차별성과 공통성을 세계적 감각으로 표현하여 세계적 공감을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한국패션산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부, 업계, 학계 등의 상호협력과 지원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정부는 산업경쟁력 확보 차원에서의 거시적 지원이 필요하고 업계는 소비자의 니즈(Needs)를 철저히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과 상호협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set out to understand the backgrounds of the incorporation of the traditional beauty and Zen ideas into the Japanese fashion, as well as their plastic characteristics. It also aimed to investigate the processes through which the Japanese fashion succeeded in globalization and to find out the success factors. For those purposes, the Zen styles in the Japanism fashion and textile were analyzed, and related literature studies and designer works were examined. The fashion study focused on dress and its ornaments while the analysis of textile was based on the household interior. First it was analyzed what characteristics of the Zen ideas they used in making them the base for the Japanism fashion; they followed the rules of practical actions as a way to cultivate their minds. They also valued conciseness and simplicity. Instead of relying on the media such as language and letters, they thought high of the persistency of direct experiences, practices, and repetitive ascetic exercises. Finally what they placed high values on included the control in the perfect situations and nature-friendly ideas. Being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beauty, the Zen ideas were applied to the Zen style in the following ways: First, there is no strict observation of rules and notions, which is reflected in the state of free formlessness by destroying the intrinsic functions of clothes and in the bisexual and sexless images by transcending the sex concepts. Second, the two major elements of the aesthetics are conciseness and simplicity. They pursue the styles with ornaments or details eliminated by using simple plastic lines and forms. Third, control that is not revealed is valued, and thus inner beauty is pursued, which is proved in the use of natural colors, mono-tone single hues, and achromatic colors. Fourth, ascetic exercises and practices are thought high of because of their difficulty and expressed in poor looks through the control in a perfect situation. Such intended images as running plies or torn down strands are used for that purpose. Fifth, the word is nature-friendliness, which is so valued that almost only natural materials and textures are us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Zen style found in the Japanism textile, the bedclothes, furniture finishes, and decorative textile of the household interior were analyzed. Their shared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First, the use of pleats, frills, ornaments and other accessories was controlled. The luster and quality inherent in the materials were used. And single achromatic colored textiles with no patterns or natural textiles were favored. Having these plastic aesthetics, the Zen style was applied in the Western fashion and textile and reborn as the new trend called the fusion style based on the harmony of the East and We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fusion style fashion that had the Zen style applied are as follows; First, the application through creative methods is found. A kimono, the Japanese traditional dress, is matched with a Western skirt or pants. It is also presented as a jacket to be worn with a pair of pants. Second, application is made by altering forms. The examples include the kimonos that are transformed into one pieces or coats and obis that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look. The uncertainty of the Zen style clothes in the Japanism fashion was utilized. Third, images are used for applications. The concise and simple colors or the Japanese traditional embroidery and patterns are compromised in the Western fashion. Finally, the Zen style-applied fusion style had the textiles that had the quiet and gentle coolness and modern minimalism combined or the natural and static beauty and artificial beauty incorporated together. In short, the Zen ideas that are the roots of the Oriental cultures were encountering and interacting with the new fashion trends that pursued the styles that were not centralized or uniform. In the process, the Zen ideas didn't mimic the Western elements but approached them in a philosophical way to bring alive and pass down the traditional beauty. This approach of Zen was accepted in the international fashion world and ultimately resulted in the success of the Japanism fash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fashion industry: First, as it was apparent with the success story of the Japanism fashion, the Korean fashion needs to first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Korean images and express the differentiation and similarity in the international senses so that the world can sympathize with the Korean fashion and the Korean fashion can make a successful debut in the international stage. Second, the mutual cooperation and support among the government, the industry and the academics are critical to the success of the Korea's fashion industry.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a microscopic support program to secure the industry's competitive edge, and the industry should invest enormous amount of efforts in thoroughly understanding the consumer needs. And in the process the mutual cooperation and support must play an essential role.

      • Organisational capabilities and organisational rigidities of Korean Chaebol : case studies of semiconductor (DRAM) and personal computer (PC) products

        황혜란 University of Sussex 1998 해외박사

        RANK : 247615

        한국의 혁신체제는 노동/규모 집약적 경제로부터 기술기반 경제로 변환해야 한다는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와 같은 전환에 있어 필수적인 요건의 하나는 한국의 산업발전 및 기술발전을 선도해온 재벌 대기업들이 동태적 효율성을 창출할 수 있도록 기술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다. 한국 재벌기업들은 부문간 혹은 제품별 혁신 능력의 측면에서 불균형적인 모습을 보여왔다. 예를 들어 규모집약적인 부문, 즉 반도체나 자동차와 같은 제품군에서는 세계 시장에서 선진기업들을 빠른 시간내에 추격하고 새로운 기술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축적해왔다. 이에 반해 다른 특성을 지닌 산업부문, 특히 마케팅 능력이나 설계 능력, 외부조달 능력등이 요구되는 개인용 컴퓨터나 시스템 IC와 같은 제품군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기술 능력과 시장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논문은 능력형성의 관점에서 기업을 파악하며, 특히 특정한 산업 문맥하에서의 조직능력이 다른 기술 및 경쟁환경에서는 조직적 경화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은 한국 재벌이 비슷한 시기에 진입하여 비슷한 성장전략을 취해온 두 제품인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와 PC(Personal Computer)에서의 각기 다른 기술적 특성 및 경쟁환경상의 특징이 재벌 기업의 조직 능력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쳤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표적인 한국 재벌 기업들의 기업내 조직 특성과 기업간 관계의 측면을 두 제품 영역에서 탐구한 결과 재벌 기업의 조직 능력은 제조능력을 기반으로 기업내 통합을 중시하고 있었으며 이는 DRAM제품에서의 성공 요인으로 귀결되었으나 반대로 기업간 연계의 측면과 내부조직의 유연성, 마케팅, 설계 능력 등이 상대적으로 중시되는 PC제품군에서는 조직적 경화를 초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논문의 연구결과가 기업전략에 갖는 함의는 기술 및 경쟁환경의 특성과 기업내, 기업간 조직특성 및 전략간에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한 제품군에서 성공을 이끈 기업의 조직관행상의 특성이 다른 제품군의 개발을 추진함에 있어 지식 창출상의 장애를 초래한다는 점이다. 이론적으로 이 논문은 특히 한국 기업과 같은 '후발'기업(latecomer firms)들의 경영 및 혁신과정에 대한 논의를 산업 및 제품 수준에서 심화시켰다는 의미를 갖는다.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role of the pioneer Korean christians in beginning indigenous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and in translating the Gospels into the Korean vernacular. Protestant christianity was introduced in Korea at a time when traditional religions were in a state of decay. The peoples receptivity to Protestant Christianity was closely related to the religious climate, since they were looking for something new that would quench their religious thirst. They were quick to appreciate the gospel. In addition, the instability of the socio-political situation that wae created through a series of criese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encouraged people in Korea to turn to Protestant Christianity. Pioneer Korean Christians who came mainly from northwestern Korea established the first indigenous Presbyterian churches, beginning the first Protestant missions in the forbidden land in which bo missionary was allowed to work, Most of these indigenous churches were self-supporting and self-propagating from the beginning. The indigenous Christians also played a renarkable role in translating the Fospels into the Korean vernacular. They produced two indigenous versions of the Gospels, the Yesoo Shung-Kyo version in Manchuria and the Yi Soo-Chung version in Japan, before growth of Protestant Christianity in Korea, laying the biblical foundation for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The foreign missionaries in Korea carried on their work in the indigenous Protestant churches. They did not claim to be the founders of the Protestan church in Korea, bur they played a remarkable role in training indigenous leadership the developing the soul-winning chur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