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왈츠로 만들어진 영화음악 테마 분석 : 영화「올드보이」「장화홍련」「이끼」를 중심으로

        최유진 추계예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대사회에서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는 영상산업의 발달에 따라 그에 따른 필수적인 요소로 영상음악도 함께 발전하고 있다. 영화가 만들어진 이래 중요한 표현 방법으로 자리매김 한 영화음악은 영화 자체보다 큰 비중으로 대두되기도 한다. 영화음악은 영화의 주제나 등장인물을 더 각인시켜주며 영화와 상호작용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영화음악 작곡가는 영화의 연출 의도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음악적 표현을 통해 완성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그 중 국내 영화음악 내 왈츠로 만들어진 테마음악의 선호도가 높음을 이용해 왈츠음악이 영화 내에서 작용하는 내러티브적 기능에 맞춰 음악과 장면을 분석 하였다. 음악이 영상의 내러티브를 돕는 기능을 중심으로 라이트모티브의 사용과 배경음악적 기능으로 멜로디나 화성의 변화, 악기 구성의 다채로운 변화가 영화의 분위기를 형성함을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올드보이>, <장화홍련>, <이끼>에서 사용된 왈츠음악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왈츠라는 장르가 가지고 있는 모순성을 바탕으로 익숙한 삼박자의 리듬과 선율이 국내 영화 제작 시스템에서 활용되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한 테마음악이 영화 내에서 다양한 곡과 변주되어 연주되기도 하고 악기군의 변화와 다이내믹 표현을 통해 영상의 전개를 돕는 방법으로 다채롭게 사용되고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왈츠를 이용한 테마음악이 영화 내에서 다양한 기법으로 발전되어 무한한 가능성에 목적을 둔다. Nowadays, Media music has developed as development of media industry in modern society. Since film has come out, sometimes film scoring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film itself. Film scoring emphasizes the subject of film and characters, and delivers the contents effectively by interacting with film. Based on this, film composers contribute to perfection of film by musical expressions with understanding intention of directing. Among the film music, this study chose theme music made with waltz that is preferred by Korean film, and analyzed watlz music acting with narratives for relevance between music and scenes. Focused on music helping the narrative of film, variations of melodies and harmonies that make Leitmotiv and underscoring create a atmosphere of film. This study chosed waltz music used in <Old Boy>, <A Tale Of Two Sisters>, <Moss>. Based on contradiction that waltz has, this study studied familiar 3/4 meter and melody that used Korean film production. As a result, a theme music varied and played with various music, and helped development of screen by changing instruments and expressing dynamics. Through this study, theme music made with waltz in films could develop its potential and many techniques.

      •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onoamine Oxidase Inhibitory substances from the fruits of Crataegus pinnatifida Bge. : 최유진

        최유진 덕성여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Cratagus pinnatifida Bunge (Hawthorn)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northeast region South Korea. It is used as a medicinal plant to improve digestion, remove retention of food, promote blood circulation and resolve blood stasis both in traditional and folk medicine. The monoamine substrates for monoamine oxidase include physiologically and pathologically important monoamine neurotransmitters, which play a central role in the neurological disorder. The study is examined the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monoamine oxidase A and B of C. pinnatifida fruits using in vitro methods. The 80% methanol extracts from the fruits of C. pinnatifida fractionated successinely with solvent. Among the fractions, ethyl acetate fraction exhibited the most potent activities toward MAO-A (0.13 mg/ml) and MAO-B (0.21 mg/ml). Bioactive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ethyl acetate fraction of C. pinnatifida with MAO inhibitory activities as guide assays and the chemical structures of isolated active compounds were identified through NMR/FT-IR (Nuclear magnetic resonance/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Thus compounds name is compound 1: {[(1-ethoxy-5-methoxy-1.5-dioxopentan-3-yl) amino] methoxy} acetic acid and compound 2: 4-amino-6-methoxy hept-6-enoic acid. IC50 of compound 1 were 0.034 mg/ml, 0.068 mg/m by MAO-A and MAO-B respectively. IC50 of compound 2 were 0.001 mg/ml, 0.025 mg/ml by MAO-A and MAO-B respectiveiy. Compound 2 showed more potent activity than compound 1. The separated materials from fruit of C. pinnatifida Bunge is possible candidate for mental disease of natural materials.

      • 고조파 감쇄 기반의 고효율 이중 대역 마이크로파 정류기 설계

        최유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고조파 억제 기반의 고효율 이중 대역 마이크로파 정류기 설계 최유진 정보통신공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본 논문은 에너지 무선전력전송 및 에너지 하베스팅을 위한 고조파 억 제기반의 이중 대역 고효율 및 소형화 정류기를 설계를 제안한다. 제안 된 정류기는 제 2 고조파 대역에서 무한대 임피던스를 갖도록 설계하여, 전압이 반사되어 다이오드로 들어가는 전력 재사용 매커니즘을 이용해 RF-DC 효율을 향상시킨다. 제안된 정류기는 DC pass filter, 고조파 억 제 네트워크, 그리고 입력 정합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infinion사의 BAT-1503W 쇼트키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정류기를 설계 및 측정하고 , MATLAB 및 ADS(Advancecd Design System)을 이용하 여 시뮬레이션하였다. 본 연구는 이중대역 고조파 억제 네트워크를 2개 의 전송선로를 사용하여 설계함으로써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더 소형화 된 크기와 높은 효율을 갖는다. 제작된 정류기는 0.915GHz의 주파수에서 입력 전력 10 dBm에서 79.2%의 PCE를, 2.45GHz의 주파수에서 입력 전 력 11.5 dBm에서 77.8%의 높은 PCE(Power Conversion Efficiency)를 측정 결과로 나타낸다, 크기는 33.51 mm x 35.72 mm이다. 따라서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높은 PCE와 소형화된 장점을 갖고 있어 많은 애플리 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다. A Design of High Efficiency Dual-Band Microwave Rectifier Based on Harmonic Suppression CHOI, YU-JIN 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This paper proposes the design of a dual-band high efficiency and miniaturization rectifier based on harmonic suppressio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PT) and energy harvesting. The proposed rectifier is designed to have infinite impedance in the second harmonic band, improving RF-DC efficiency by using a power recycling mechanism that reflects the voltage to the diode. The proposed rectifier consists of a DC pass filter, a harmonic suppression network, and an input matching network. In addition, the rectifier was designed and measured using infinion's BAT-1503W Schottky diode and simulated using MATLAB and ADS (Advanced Design System). This study has a smaller size and higher efficiency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by designing a dual-band harmonic suppression network using two transmission lines. The manufactured rectifier shows a PCE of 79.2% at 10 dBm of input power at a frequency of 0.915 GHz and a high power conversion efficiency (PCE) of 77.8% at 11.5 dBm of input power at a frequency of 2.45 GHz, with a size of 33.51 mm x 35.72 mm. Therefore,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it has high PCE and miniaturization advantages, many applications

      • Resveratrol 유도체 HS-1793의 저산소증 개선에 의한 유방암 성장 지연에 관한 연구 : 최유진

        최유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종양 저산소증은 종양치료에 저항성을 나타내며, 세포 증식과 전이에 관여하여 암을 악화시킨다. 포도 성분 중의 하나인 resveratrol은 곰팡이 감염이나 해충에 대해, 파이토알렉신을 분비하여 식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사람과 마우스 유방암 세포주에서 estrogen receptor의 기능을 억제한다. 선행연구에서 resveratrol 유도체, HS-1793은 다양한 암세포주에서 resveratrol에 비하여 강한 항암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직접적인 항암세포에 대한 작용만으로는 실질적인 항암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n vitro 유방암 모델에서 HS-1793의 저산소증 개선 효과를 먼저 확인하고, 생체 내에서의 항암 효과를 직접 관찰 하였다. HS-1793은 저산소 환경에서 마우스 유방암 FM3A 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미토콘드리아 활성산소(ROS, Reactive Oxygen Species) 생성을 억제하였다. Real-time PCR, western blot 그리고 ELISA 방법을 통하여 HIF-1α과 VEGF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HS-1793은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을 억제하였다. 저산소 환경에서 발현된 HIF-1α와 VEGF의 영향으로 세포의 이동이 증가하는 데 HS-1793은 세포 이동을 억제하였다. 종양크기가 500 mm3이 되었을 때, HS-1793에 의한 종양 조직의 저산소 및 관류 변화를 저산소증 표식자 (pimonidazole/CCI-103F)와 관류 표식자 (Hoechst 33342/DiOC7)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HS-1793의 단회 투여로 인하여 저산소 상태 개선 및 관류가 증가하였다. HS-1793의 종양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FM3A 세포를 C3H/He 마우스 오른쪽 엉덩이에 피하 주사하여 종양을 형성시키고 종양 크기가 40 mm3이 되었을 때, HS-1793을 매일 4주 동안 복강주사로 투여한 후 부검하였다. 종양 동물에서는 혈청의 VEGF 수치가 증가하였으나, HS-1793 투여 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저산소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결합이 되는 pimonidazole과 혈관내피세포 표식자인 CD31을 사용하여 염색을 실시한 결과 HS-1793 투여 군에서 약하게 발현 되었다. 또한, 혈관 관류를 확인하는 Hoechst 33342 표식자는 HS-1793 투여 군에서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HS-1793 투여군에서 무처리군에 비하여 종양 크기의 증가가 지연되었다. 결론적으로, HS-1793은 마우스 유방암 FM3A 세포주에서 미토콘드리아 활성산소 생성 및 HIF-1α과 VEGF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저산소 환경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종양이 형성된 마우스에서 종양 조직의 저산소 상태를 개선하고 관류를 증가시켜, HS-1793 처리군에서 종양크기가 지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resveratrol 유도체, HS-1793은 방사선을 포함한 종양 치료에 저항성을 보이는 저산소 환경을 개선함으로서 고식적인 치료 효과를 증진할 수 있을 것이다.

      • 면세점 이용객의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소비자 특성, 감정, 기술 수용 중심으로

        최유진 韓國航空大學校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소비자 특성 중심, 감정 중심, 기술수용 중심에서 인지적 요소, 감정적 요소와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여 면세점 이용객들의 행동의도를 예측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각각의 측면을 살펴보기 위해서 본 연구에 사용된 변수들을 세분화하였고 확장시켰다. 이에 본 조사는 먼저 온⋅오프라인 면세점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첫 번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어서 두 번째 설문조사는 온라인 면세점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각 관점에 맞는 이론을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활용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1은 소비자 특성 관점에서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행동의도에는 인지적 요소와 감정적 요소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열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열망에는 태도와 주관적 규범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특성과 쇼핑 가치와의 가설은 모두 지지되었으며, 쇼핑 가치는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계획적 행동이론에 소비자의 내면심리를 파악할 수 있는 소비자 특성과 쇼핑 가치, 열망을 추가함으로써 확장시켰기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연구 2에서는 목표 지향적 행동이론을 면세점 이용객들에게 적용시킴으로써 재고찰 하였다. 분석 결과, 열망이 행동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연구 1의 결과와 동일하였다. 과거행동빈도도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과거의 경험은 이용객들의 선택에 대한 결과이며 향후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임을 의미한다. 열망에는 긍정/부정 기대감정이 영향을 미침으로써 면세점 이용객들의 열망은 기대감정에서 비롯된 것이다. 세분화 된 계획적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한 연구 3의 결과, 지각된 행동 통제를 제외한 태도, 주관적 규범, 열망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신념요소의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즐거움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태도에는 유의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도와 지각된 용이성의 관계는 성립되지 않았으나 지각된 유용성과는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이로써 저렴한 가격을 강점으로 내세웠던 온라인 면세점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향후 쇼핑의 편리함이 개선된다면 온라인 면세점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한다. 종합적으로 연구 1, 2, 3에서 태도, 주관적 규범, 열망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로써 행동 예측에 있어서 인지적 요소와 감정적 요소는 반드시 고려해야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면세점 마케팅 전략을 고안해내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dict behavioral intention of duty-free shop users through verification of effect relationship among cognitive factor, emotional factor, and behavioral inten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emotion, and technology acceptance. In order to examine each of the perspectives in detail, the variables used in this research were further segmentalized and expanded. For the purpose, we have carried out the first questionnaire survey using users of on- and off-line duty-free shop as target. Next, we have carried out the second questionnaire survey with users of on-line duty-free shop as target. For data analysis, we utilized structural equations based on a theory that suits each perspective. The result of the present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Research 1, we have examined factors that affect behavioral inten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 characteristics. As a result, both cognitive factor and emotional factor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behavioral intention. Especially, desire had the greatest effect, and only attitude and subjective norms had effects on desire. Hypotheses on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shopping value were all supported, and shopping value had the effect on attitude. This research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n analyz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consumer characteristics that can help grasp inner psychology of consumers and emotional factor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Research 2, the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was reconsidered by applying it to users of duty-free shop. As a result of analysis, desire turned out have the greates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and this result was identical with that of Research 1. Frequency of past behavior also turned out to have an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That is, past experience is a result of users’ selection, and as such it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s decision making in the future. As positive/negative anticipated emotions have effects on desire, desire of the duty-free shop users originated from anticipated emotions. As a result of Research 3, where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decomposed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ttitude from which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as excluded, subjective norms, and desire turned out to have effects on behavioral intention. Perceived ease of use of the technology belief factor had significant effects on perceived usefulness and enjoyment, but, as it turned out,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and perceived ease of use was not valid, but the attitude turned out to have effect relationship with perceived usefulness. This seems to suggest a future direction for on-line duty-free shops that insist on the strength of low price. If convenience of shopping can be improved in the future, on-line duty-free shop is expected to achieve a great success. Synthetically, the showed that same results of Researches 1, 2, and 3. it turned out that attitude, subjective norms, and aspirations have identical effects on behavioral intention. Hereby this discovery revealed that, in analyzing behavior prediction, cognitive factor and emotional factor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in devising a marketing strategy for duty-free shops.

      • 일본드라마 수용자 팬덤 현상에 대한 연구 : 드라마 수용의 ‘즐거움(Pleasure)'를 중심으로

        최유진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대와 우려 속에서 한류의 지속성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는 동안, 한류에 빗대어 ‘일류’라고 일컬어지는 일본의 대중문화는 소리소문없이 한국사회 깊숙이 들어와 있다. 일본 소설, 영화 등이 인기를 끌고있는데 반해, 일본 대중문화에 대한 분석은 현황을 정리해놓은 정도의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일류에 대한 연구가 이러한 현상의 정리에만 머무른다면, 일류가 인기를 얻고 있는 진정한 원인과 사회적 맥락을 짚어내기에는 무리가 따를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실제 일본드라마 수용자들이 느끼는 즐거움을 찾고, 그 안에 담겨있는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능동적 수용자론에 입각하여, 일반적으로 저평가되어왔던 대중문화와 수용자 그리고 팬덤현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즉 텔레비전 드라마 수용자들의 능동적이고 저항적인 에너지를, 수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즐거움(Pleasure)'에 대한 분석과 일본드라마, 일본연예인에 대한 팬덤현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드라마 수용자들이 느끼는 즐거움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위해서 질적 연구 방법을 택하였다. 수용자들이 일본드라마를 왜 좋아하는지를 자신의 언어로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는 인터뷰가 본 연구의 취지에 적합하다고 보았다. 인터넷 상에 있는 팬카페를 중심으로 참가자를 모집하여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공중파 방송이 금지되어 있는 일본드라마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용행태를 알 수 있었다. 특히, 일본드라마 수용의 계기에서 주변의 권유로 보게 되었다는 많은 사례들은, 이들 일본드라마 수용자들이 정보를 공유하면서 팬집단으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일본드라마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태도를 요구하지만, 직장인들의 경우 시간을 맞추어 볼 필요가 없고, 주말의 여가를 활용하여 볼 수 있고, 또한 일본드라마의 10화 정도의 짧은 분량은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어서, 오히려 장점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일본드라마 수용자들이 찾는 ‘즐거움’은 다양한 형태로 드러났다. 첫째, 다양한 소재와 주제가 주는 즐거움이다. 천편일률적인 한국드라마와 달리, 다양한 소재를 디테일하게 다루고 있는 일본드라마를 통해 신선함의 즐거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동일시와 대리만족의 즐거움이다. 특히 일본드라마 속의 평범한 직업의 주인공이나 개성 있는 주변 인물들에게서 나의 일상의 모습을 찾고 그들이 사는 모습을 통해 대리만족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거리두기에서 오는 즐거움이다. 거리두기는 일본드라마 특유의 만화 같은 표현과 설정이나 교훈적인 메시지를 어색하게 받아들이거나, 거부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게 하면서 오히려 수용자들의 즐거움을 높여주고 있었다. 넷째, 스트레스 해소와 기분전환의 즐거움이다. 갈등을 중심으로 풀어가는 한국드라마가 주는 감정적 불편함과 달리, 일본드라마는 힘든 현실을 웃음과 유머로 풀어가는 데서 즐거움을 느끼고 있었다. 다섯째, 자기애를 느끼는 즐거움이다. 일본드라마속 인물을 보며 당당하게 살아가고 싶다는 자기애를 느끼기도 하는데 이는 현실속의 ‘나’와 드라마속의 인물들 간의 상호교류의 결과에서 오는 즐거움이었다. 이처럼 수용자들은 한국드라마가 주지 못하는 즐거움을 일본드라마를 통해 얻고 있었다. 그러나 이를 단순히 일본드라마가 우수해서라고 보는 것은 성급하며, 오히려 일본드라마에서 느끼는 즐거움들이 한국드라마 나아가 현실의 한국사회가 채워주지 못하고 있는 부분이라는 점에 주목하였을 때, 일본드라마 수용에서의 새로운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일본연예인에 대한 팬덤 현상에서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즐거움을 찾아볼 수 있었다. 특히 빠순이나, 일빠로 비하되는 여성수용자들의 팬덤 현상에서, 오히려 스타를 통해 자신의 긍정적인 에너지를 만들어 내고 있는 사례들을 찾을 수 있었다. ‘남성다움’을 강조하는 현실의 한국사회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여성스럽고, 말을 잘 들을 것 같은 남성 캐릭터를 좋아한다는 사실이나, 적극적이고 사랑이나 남성에게 휘둘리지 않고 자신의 길을 가는 여성에게 공감하는 이러한 팬덤현상에서 한국사회의 현실에 대한 불만이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팬덤현상들 속에서 사회적 약자였던 여성들이 새로운 삶의 활력을 얻고, 현실에 대한 간접적인 문제제기는 그 자체만으로도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본드라마를 좋아하는 이유는 한국드라마가 주지 못하는 즐거움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는 현실의 한국사회에 대한 불만이 내포되어 있다. 여성 수용자의 팬덤에서도 이러한 한국사회에 대한 불만이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일본드라마 수용자들의 즐거움으로 느끼고 있는 요소에 대해 비판에 앞서 그 안에 담겨있는 의미들을 새롭게 해석해야할 때이다. While there are growing expectation and concern to the continuity of "HanRyu(Korean Culture)"m,"Il Ryu(Japanese Culture)" had been deeply and gradually infiltrating into Korean society. Even though Japanese nobles and moves are pretty popular in Korea, studies on the Japanese Popular Culture mostly have been concentrated on the analysis based onstatistic data. This kind of research is not enough to understand context and the real reason why "Il Ryu" had gotten such a popularity. In these reasons, the fundamental discuss should be based on what means Japanese Drama to Korean Audience and what makes them to enjoy it. This research is looking for new interpretation to understand the audience, popular colure and Fandom theory, which have been generally underestimated, from the basis of audience activi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njoyment in the process of becoming audience to Japanese Drama and the Fandom theory to the Japanese entertainer, the essence of active and resistant energy of audience will be expected to be shown. Interviewing participants among the Fan cafes was the main process of research, because qualitative research is more appropriate method and gives the participants opportunity to freely talk about reasons why they are so crazy about the Japanese drama. After the research, several patterns were found. Firstly, Japanese drama usually was introduced by their friend. This allows them to have a chance to become a large Fan group in order to share the information. Even though active attitudes are needed for the audience, for working people, they can use free time in weekends and also the fact that Japanese drama is relatively short (less then 10 episodes) is the benefit to them. Their enjoyment was shown in a very different manner. Firstly, diverse theme and detailed story line are fresher to the audience than predictable Korean drama. Secondly, the various characters in Japanese drama, who live in ordinary life surrounded by individuals having peculiar personality, afford audience vicarious pleasure. Thirdly, some distance between realities and unrealities of life gives them enjoyment. The audience shows a willingness to accept animation-like characters far from real world without refusal, because they don't need to distress for accepting the moral message from the Korean drama. Fourthly, watching Japanese drama, releasing stress and relaxation are felt. While most of Korean Drama's story is preceded by troubles, in Japanese ones the problems are solved by humorous and pleasing ways. Audience feels a sort of narcissism from picturing drama's character's life into their own lives. As a result, Audience gains the delight and enjoyment from Japanese drama not because of better qualities but the ability to give the audience some different aspects that Korean society cannot provide in the real world. We are able to find new meaning of Japanese drama from this different point of view. Fandom theory also could be interpreted by looking at the same aspect. For example, what is called, "Paasuni" or"lppa", which means female Japanese Drama mania, they found and produce static energy. Having favor to male characters that are feminine and generous to women or female characters who have sprints of success regardless of social obstacles shows dissatisfaction to present Korean society. This Fandom phenomenon galvanizes women, who might feel neglected from the society, into life. In Summary, Japanese drama provides audience some enjoyment and pleasure, which Korean drama cannot furnish. The pattern shows dissatisfaction to present Korean society, especially, in the case of female mania. So, the real meaning why the Japanese drama has such a popularity should be discussed related to context rather than criticizing them.

      • 외식업체의 물리적환경, 소비가치, 소비감정, 관계지속성의 구조적관계 : 외식소비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유진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치열한 경쟁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해야 하는 외식업체들이 사업의 영속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와의 지속적 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각 영향요인 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최근 외식 소비자들은 이성적 소비보다는 감성적 소비성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의 감성 소비성향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물리적환경과 소비자의 소비 태도 간의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자 하였다. 현대 소비자는 단순히 배고픔을 해결하기 위해 외식 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지향하는 소비가치를 획득하기 위해 외식 활동을 하는 경향이 많다. 따라서 현대 소비자가 중요시하는 감성소비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물리적환경과 소비 태도 특히 외식업체와의 지속적 관계 형성 간의 영향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외식 산업현장의 관계자들과 외식산업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의미 있는 제안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식업체의 물리적환경, 소비가치, 소비감정, 관계지속성 등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각 연구변수 간의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2022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한 달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 부산·경남 지역 외식업체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로 20∼50대 이상의 성인 남·여를 대상으로 600부를 배포하여 521부를 회수하고 불성실한 답변의 설문지 12부를 제외한 509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분석에 최종적으로 사용된 설문지는 총 509부이다. 본 연구의 연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 소비자가 지각하는 물리적환경은 소비가치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식 소비자가 지각하는 물리적환경은 소비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식 소비자가 지각하는 소비가치는 소비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식 소비자가 지각하는 소비가치는 관계지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외식 소비자가 지각한 물리적환경은 관계지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formation of lasting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which have a decisive impact on the continuity of business, and to identify the structural impact relationship between each influencing factor. that was intended Recently, eating out consumers show emotional consumption rather than rational consump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empirically confirm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which is known to have the most influence on consumers' emotional consumption propensity, and consumers' consumption attitudes. Modern consumers do not simply eat out to satisfy their hunger, but tend to eat out to acquire the consumption value they are aiming for. Therefore, by confirm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consumption attitude, which have a lot of influence on emotional consumption, which is regarded as important by modern consumers, and the formation of continuous relationships with food service companies, people involved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and those who study the food service industry can make meaningful suggestions. It is judged to be able to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the physical environment, consumption value, consumption emotion, and relationship continuity of food service compan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research variable were empirically confirmed. A survey was conducted for a month from July 1 to July 31, 2022, targeting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to 50s or older as consumers who had experience using food service companies in Busan and Gyeongnam to conduct an empirical survey. 600 copies were distributed, 521 copies were collected, and 509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12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ith insincere answe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509 questionnaires were finally used for research analysis. The research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perceived by dining out consume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onsumption valu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perceived by dining out consum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ption emo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onsumption value perceived by restaurant consume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ption emo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consumption value perceived by dining out consum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tinuity of the relationship. Fifth, it was found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perceived by dining out consum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tinuity of relationships.

      • 부모상위정서철학이 영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최유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아를 대상으로 그들의 부모들이 갖는 상위정서철학이 영아들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 및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은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부모상위정서철학이 영아의 정서조절능력, 또래유능성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부모상위정서철학이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넷째, 부모상위정서철학이 영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인천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가운데 전화로 참여 의사를 묻고 이를 허락한 21개원에 재원중인 만 24개월부터 36개월 이하의 영아 150명과 그들의 부모 및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의 상위정서철학은 자기보고식 질문지에 의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영아의 정서조절과 또래유능성은 담임교사가 평정하는 질문지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부모의 상위정서를 측정하기 위해서, Gottman(1997)의 부모상위정서 유형 변별 문항과 Fabes, Eisenberg, & Bernzweig(1990)의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대처 척도(Coping with Children' s Nagative Emotions Scale: CCNES)에 근거해 배지우(2010)가 재구성한 척도 PMES(Parental Meta-Emotion Scale)를 사용하였다. 영아의 정서조절능력 측정 질문지는 김주영(2011)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영아의 또래유능성은 박주희와 이은해(2001)가 개발한 또래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부모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각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내적합치도를 검증하는 신뢰도 계수(Cronbach’s ɑ)를 산출하였다. 2) 아버지 및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고, 부모의 인구학적변인에 따른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고, Scheffe’ 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3) 부모의 상위정서철학과 영아의 정서조절, 또래유능성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Pearson-r)분석을 실시하였다. 4) 부모의 상위정서철학이 영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선형회귀분석(Mu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와 어머니 상위정서철학의 차이는 아버지 보다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자각 민감성, 공감적 수용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의 인구학적 특성 중 어머니의 연령에서만 부모상위정서철학에 있어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의 인구학적 특성 중 자녀의 성별에 따라 아버지의 자각민감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부모상위정서철학과 영아정서조절 간에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으며, 특히 부모상위철학과 아버지의 공감적 수용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지각 민감성이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상위정서철학이 또래유능성과는 부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상위정서철학과 또래유능성 중 사교성과 친사회성 간 정적상관관계가 있으며, 하위영역에 있어 부모상위정서철학 중 억압적 태도는 또래유능성의 사교성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부모상위정서철학은 영아정서조절능력을 약 22.8%정도 설명해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인식/표현은 48%, 정서관리는 12%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곱째, 부모상위정서철학은 영아의 또래유능성을 약 14%정도 설명해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하위요인 중 사교성에 14%, 친사회성은 17%의 설명해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