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변혁적리더십이 적응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핵심자기평가 및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문화가치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진민정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변혁적 리더십이 적응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핵심자기평가 및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문화가치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진민정 경영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한 조직 내 불확실성과 복잡성 및 변동성이 큰 업무 환경은 변혁적 리더십과 적응성과의 중요성을 다시 부각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이 인지하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핵심자기평가 및 긍정심리자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추가적으로 변혁적 리더십의 메커니즘으로서 핵심자기평가와 긍정심리자본을 살펴보았다. 또한 환경 변수로서 구성원들의 개인수준의 문화가치성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수들의 개념적 정의와 이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하는 것을 중점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설문조사를 통하여 국내 및 국외 항공사 승무원 249명을 대상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을 실시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로 변혁적 리더십은 적응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 과정에서 핵심자기평가와 긍정심리자본이 이 두 변수간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과 핵심자기평가와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에서 권력거리성향, 불확실성 회피성향, 자기지향성성향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성성향, 심리적 집단주의성향은 조절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들의 적응성과를 추동하기 위한 변혁적 리더십, 구성원들이 핵심자기평가와 긍정적 심리자본을 높게 지각하도록 동기부여 시키는 변혁적 리더십의 역할, 그 관계에서 구성원 개인수준의 문화가치 성향의 조절효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구성원 개인수준의 문화가치성향을 잘 파악하고 고려하여, 구성원들의 핵심자기평가와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증폭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과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문화가치성향의 상호작용 메커니즘에 관심을 두는 미래 연구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임파워링 리더십이 역할 내 행동과 역할 외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

        진민정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Many modern companies, including airlines, are working hard to respond to rapidly changing management environment and to make sustainable development. The recent aviation industry is also in a highly competitive state, with the introduction of high-tech aircraft, various routes, and aviation alliances. The most important resource of an airline's resources is its human resources, an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uccess of an airline depends on the efficient use of its human resourc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otivate important human resources to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the airline's goals, Leadership is a key factor in the process of making use of physical elements to perform a given tas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ing leadership of the airline crew and the psychological ownership, In-role and Extra-role behavior, to review the basis of the airline flight crew training and to present a better human management strategy for the airline's flight crew organization. To achieve this goal, the hypothesis and research model were established based on existing research on the variable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flight attendants on Korea's Full Service Carrier (FSC) and foreign FSC airline international routes, and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subjects and the 235 valid questionnaires were finally collected from the distributed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statistical package.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were ident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the factors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questions in the survey, and the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finally multiple regression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hypothesi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empowering leadership has an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ownership. Second, Empowering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In -role and Extra-role behaviors. Third,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In-role and Extra-role behaviors. Following these finding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nd limitations on the findings and further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항공사를 비롯한 현대의 많은 기업들은 급변하는 경영 환경에 신속히 대응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을 위해 전력을 다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의 항공업계 또한 첨단 항공기의 도입과 다양한 노선, 항공 연맹 등으로 항공사간의 경쟁이 치열한 초경쟁 상태이다. 항공사가 보유하고 있는 자원들 중 가장 중요한 자원은 인적자원이라 할 수 있으며, 항공사의 성공이 인적자원을 어떠한 효율적인 방법으로 활용하느냐에 따라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중요한 인적자원을 항공사의 목표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투입된 인적․ 물적 요소를 적극 활용하여 주어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으로 리더십은 핵심적인 요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 기내 승무원들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심리적 주인의식, 역할 내 행동과 역할 외 행동의 관계를 파악하여, 항공사 기내 승무원 교육훈련 내용에 대한 기초를 재점검 하고, 항공사 기내 승무원 조직의 보다 나은 인적관리 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변수들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토대로 가설과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국내 FSC(Full Service Carrier)항공사 와 외국 FSC항공사 국제선 노선에서 근무 중인 기내사무장(IFS)을 제외한 기내승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배포된 설문지 중에서 최종적으로 235부의 유효설문지를 회수하여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18.0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빈도분석을 통해서 표본의 기본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설문의 문항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수들 사이의 관계 파악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마지막으로 가설 검증을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심리적 주인의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 되었다. 둘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역할 내 행동, 역할 외 행동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주인의식은 역할 내 행동과 역할 외 행동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규명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라 학문적 ,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연구결과에 대한 한계점과 추후 연구과제도 함께 논의 하였다.

      • 프로파길 아렌술포네이트의 가아민 분해반응에 관한 연구

        진민정 全北大學校 1995 국내석사

        RANK : 248639

        Kinetic studies on the 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s of propargyl and 1-methyl-propargyl arenesulfonates with anilines (AN), benzylamines (BA) and N,N-dimethylanilines (DMA) in acetonitrile at 45.0℃ have been studied. Effects of substituents in the nucleophile and leaving group of substrate have been analyzed in terms of Hammett (ρ₁), Brфnsted (β₁) and Cross Interaction Constants(ρ_ij β_ij). The sign and magnitude of the cross-interaction constants, ρ_xz(and β_xz) between substituents in the nucleophile (X) and leaving group (Z) indicate that the transitian state (TS) for propargyl arenesulfonates is relatively tight and the TS for 1-methyl-propargyl arenesulfonates is loose. The results have been shown that the reactions proceed via associative S_N 2 mechanism. The cross-interaction constants, ρ_xz and β_xz are similar to, but somewhat smaller than, those for the S_N 2 processes at other primary and secondary carbon centers. Compared to the allyl series, the smaller magnitude of ρ_xz and β_xz reflects a somewhat looser transition state, which in turn leads to a 1ower rate despite the greater Taft's σ* value and the lower intrinsic (ΔE_0^≠) and thermodynamic barriers (ΔE_0).

      • 유아교사에서 유아특수교사로 '되어감'의 의미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진민정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성숙기 단계를 경험한 유아교사가 유아특수교사로의 전환을 통해 달라진 교사 역할과 조직 환경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면서 유아특수교사가 되어가는지 그 의미를 내러티브 탐구 방법에 따라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10년 이상의 유아교사 중 특수교육대학원에서 유아특수교육 석사과정을 졸업하여 유아특수교사로 전환한 3년 이상 된 유아특수교사 4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개별심층면담과 연구자 저널을 이용하였으며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유아교사에서 유아특수교사 되어감의 의미에 관한 이야기는 ‘만남: 전환은 생각지도 못한 만남에서 시작되었다’, ‘혼란: 전환 첫해는 고군분투의 시간이었다’, ‘변화: 전문성을 내면화하며 유아특수교사가 되어감’, ‘바람: 교사다움으로 살아가기를 바라다’로 나타났다. 되어감의 의미를 분석한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생각지 못한 만남을 기회로 만들어 새로운 가치를 찾기 위해 긍정적인 도전을 하고 있었다. 둘째, 전환 첫해 연구참여자들이 새로운 생활에 적응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시행착오는 문제해결을 통한 적응 전략 과정이었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유아의 변화와 성장이 주는 원동력으로 특수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확신하며 인식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넷째, 유아특수교사가 된 연구참여자들은 끊임없는 자기 성장을 위한 노력과 자기 연찬의 순환과정을 통해 전문성을 내면화하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이 말하는 전문성은 스스로 노력하는 전문성, 경험과 함께 쌓여가는 전문성, 끝이 없는 전문성을 기르기 위해 멈추면 안 되는 배움의 과정을 의미하였다. 다섯째, 자신감 있는 유아특수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관계 맺고 있는 동료, 부모, 관리자가 함께 가는 길이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여섯째, 전환한 유아특수교사들은 과거의 경험과 새로운 경험의 재구성으로 직업의 재발견을 확신하였다. 일곱째, 유아특수교사가 되어 전문성을 내면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연구참여자들은 교사다움으로 살아가기를 바라게 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에서 유아특수교사로 전환한 교사들의 이야기로 전환을 고민하고 있는 유아교사가 모두를 위한 통합교육을 위해 준비해야 할 것에 대한 안내가 될 것이며, 교사양성과정에서 유아교사로 유아특수교육을 선택한 개인들을 이해하고 도울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한국 드라마의 중국 내 수용에 관한 연구 : 한류 현상과 대장금의 사례를 중심으로

        진민정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90년대 말부터 시작된 중국 내 한류 현상이 10여년을 지나고 있다. '한류' 란 중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지역에서 한국의 대중문화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는 사회·문화적 현상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이제 한류는 대중문화의 유행에서 벗어나 한국의 문화 산업은 물론, 국가 이미지 제고, 경제적 이윤을 직·간접적으로 창출하고 있다. 현재 한류 영역의 범위와 파급 효과를 보았을 때, 한류는 우리에게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문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에서 바라보는 중국 내 한류 현황이 아니라 한류 콘텐츠를 직접 수용하고 있는 수용자들의 수용 형태를 분석함으로서 수용자 측면에서의 한류 현상의 이해가 가장 근본적인 문제인식이다. 수용자의 행태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다양한 한류 콘텐츠 중에서 드라마 콘텐츠를 대상으로 삼았고, 그 중에서 95년 중국 내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던 『대장금』 에 대한 수용자 행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이유는 최초의 한류 현상을 가능하게 했던 콘텐츠가 바로 드라마이고, 중국 내 수출 된 한국 방송 프로그램 중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이 드라마이다. 이는 한국의 드라마가 중국 내 한류 현상을 이끄는 주요 상품이라는 것을 보여 준다. 또한 드라마는 다창구화 전략의 대표적인 장르이기 때문에 한편의 드라마로 파생될 수 있는 경제적 가치는 막대하다. 중국 내 진출한 많은 드라마 중에서 『대장금』 사례가 갖는 의미는 기존의 한류 드라마가 청소년이나 젊은층의 수용자가 대부분 이었지만, 『대장금』 의 경우 남녀노소 구분없이 전 수용자 층을 확보했다. 또한 『대장금』 은 기존의 드라마와 다른 소재로 중국 수용자들 엄청난 인기를 얻으며 다시금 한류 열풍에 도화선 역할을 했다. 중국 수용자들은 『대장금』 의 열광하는 반면, 열기가 고조 될수록 한류에 대한 견제도 강하게 표출되고 있다. 이를 종합해 보았을 때 『대장금』 은 기존 드라마와 다른 양상으로 수용 되었다. 한류에 대한 견제가 상승되는 이 시점에서 『대장금』 의 수용자 분석은 향후 한국 드라마가 중국 내 드라마 시장에 수용되어 질 때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대장금』 에 대한 수용자 분석을 통해 한국 드라마에 대한 수용자 수용 양상을 도출하고, 향후 한국 드라마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한국 드라마의 중국 내 수용은 중국의 개혁 개방이후 방송국 수의 급격한 증가와 뉴미디어의 출현으로 중국 내 방송 시장의 채널 경쟁은 심화되며 중국은 심각한 방송 프로그램 부족 현상을 겪게 된다. 이와 함께 자본주의의 도입은 중국 시청자들의 경제 수준을 높였고, 더 많은 여가 생활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시청자들의 이러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는 양질의 반송 프로그램을 요구하게 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은 외국 방송 프로그램을 수입하게 되었다. 한국 방송 시장에서의 뉴미디어 도입은 '다매체, 다채널' 방송 환경으로 변화 시켜, 각 방송사의간의 경쟁을 심화 시켰다. 이러한 방송 환경의 변화는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향상을 가져왔다. 또한 정부의 문화산업에 대한 지원은 제작 환경의 발전과 함께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경쟁을 가져왔다. 또한 해외 시장 진출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은 한국의 대중문화 상품이 중국에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배경을 만들어 주었다. 『대장금』 의 수용자 행태를 분석해 보면, 먼저 『대장금』 의 성공요인은 다음과 같았다. 첫 째, 낮은 문화 할인율이 적용 되었다. 중국 수용자들에게 양국간의 유사한 가치관, 생활 방식 등이 『대장금』 을 거부감 없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게 했다 둘 째, 중국의 근대화에 따른 사회 환경의 변화도 드라마 수용에 영향을 미쳤다. 셋 째, 『대장금』 의 수용자들에게 친밀한 소재가 『대장금』 이 남녀노소 구분 없이 전 수용자층으로 확대될 수 있게 했다. 넷째, 호남위성TV가 독점적으로 방영함으로서 호남위성TV에 의한 초기 마케팅도 『대장금』 을 성공으로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대장금』 의 대한 수용자 양상을 보면 크게 수용과 견제로 나눠 볼 수 있었다. 대부분의 수용자들은 한국 드라마의 우수성을 인정하며 한류 드라마의 제작 기술을 받아들이자는 나래주의적 양상을 보였다. 반면, 『대장금』 에 잘못된 중국 역사 고증, 그리고 『대장금』 을 통한 자국 문화 우월감은 『대장금』 을 수용하는데 부정적으로 작용하며 한류 드라마에 대한 견제를 부추겼다. 또한 문화 침략에 대한 위기감이 커지면서 일부 수용자로 하여금 한류 드라마에 대한 견제 양상을 야기 시켰다. 중국 정부 역시 날로 확장되어 가는 한류 드라마에 대한 위기감으로 인해 한류 드라마에 심의를 강화 하고 편성을 규제하는 등 한국 드라마에 대한 견제 양상을 강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보았을 때 『대장금』 의 수용과 한국 드라마의 수용과 견제는 한국 드라마가 중국 시장에서 수용되어지면서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한국 드라마의 중국 내 수용에 대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끌어 낼 수 있다. 첫 째, 한 드라마가 타 문화권에 수용되어 질 때, 그 문화권의 문화 · 사회적 환경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향후 국내 드라마가 중국에 진입 할 때 유사 문화라는 이 점을 최대한 살려 문화 할인을 낮추며, 중국 사회 환경 분석을 통한 프로그램 개발 전략이 필요하다, 둘 째, 한국 드라마 제작의 양적 성장 보다는 질적 성장이 필요하다. 『대장금』 의 독점 방영이 실효를 거둠에 따라 독점 방영권 현태의 프로그램 확보가 증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중국 방송사에서 질적으로 우수한 드라마만을 요구 할 것이다. 또한 중국 정부의 강화된 심의에 따라 이제는 양질의 드라마를 수출해야 한다. 이러한 변화에 맞춰 방송사는 외주 제작시스템 방식을 더욱 증가 시키며 드라마의 창의성과 다양성을 극대화하여 드라마의 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 셋 째, 최근 대두되고 있는 반한류의 수용 양상과 중국 정부의 정책적 흐름을 보았을 때 한 · 중간의 공동 제작, 합작 방식을 통한 드라마 교류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중국 수용자들은 한국 드라마를 적극 받아들이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고, 중국 정부 역시 규제는 강화한 반면, 자국과의 합작 방식을 유도하고 있다. 이는 반한류의 흐름을 완화하고 양국 간의 드라마 교류를 지속할 수 있게 한다. Around ten years has passed since the Korean wave phenomenon (the popularity of South Korean shows) from China in the nineties. The 'Korean wave' refers to th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as such, the popularity of South Korean popular culture th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in East Asia, especially in China. The Korean wave lead up to improve the image of Korea and the economic profit by direct/indirect ways as well as the Korean cultural industry. Korean wave might be the very important cultural phenomenon to Korean since it has had a ripple effect on the culture. Therefore, this article did not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n wave in China from the Korean view, but the consumption forms of the direct Korean wave consumers to understand the Korean wave phenomenon in the consumers' side first of all. This article used Korean TV dramas, especially sensational TV drama 『Dae Jang Geum (Jewel in the Palace)』 in 2005 as the objects for the Korean wave consumers' behavior among Korean shows. Because TV dramas are just the first contact agents of the Korean wave and have majority of the export TV shows to China. It means that the Korean TV dramas are the major products to lead the Korean wave in China. And the economic value is enormous because the TV dramas is the typical genre for multi channel strategy. Among the Korean TV drama in China, diverse consumers watched the 『Jewel in the Palace』 without distinction of age or sex except that existing exported Korean TV drama were for the young aged people or teenagers. Also, it led up to Korean wave again in China since it had different plot and story from other dramas. While Chinese consumers likes the Jewel in the Palace』, the more popular it was, the more check it was. After considering the all factors, 『Jewel in the Palace』 was consumed different from existed TV dramas. At this time that the check on the Korean wave is increasing, the consumer analysis of the 『Jewel in the Palace』 might be suggest the consumption direction of the Korean TV dramas in China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article would publish the consumers' aspect on the Korean TV dramas by the analysis of the 『Jewel in the Palace』 and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for the Korean TV dramas. Since the rapid increase of the broadcasting system and the appearance of the new media after revolution of the Chinese broadcasting system, China suffered from the lack of TV shows and severe competition in the industry. And The Chinese people raised their standard of living by the introduction of the capitalism and could enjoy the more leisure time. The change of watchers' life style needed programs of good quality. So Chinese broadcasting system imported foreign TV shows to solve this problem. The introduction of the new media in Korean broadcasting system changed to "multimedia, multichannel" and deepened the competition in the industry. These change improved the quality of Korean TV shows. Also the support of the Korean government for the culture industry brought the competition among the TV shows and the active support for the overseas expansion made the environment to get in the Chinese market. There are success factors of the 『Jewel in the Palace』 by the result from the comsumer analysis. Firstly, low culture discount. Chinese people watched the 『Jewel in the Palace』 without aversion because of the similar values and life-style between Korean and China. Secondly, the social environment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Chinese modernization. Thirdly, the close episodes of 『Jewel in the Palace』 could make watchers without distinction of age or sex. Fourthly, exclusive broadcasting the 『Jewel in the Palace』 by Hunan Satellite TV for the initial marketing. There are two groups such as acceptance and restraint of the 『Jewel in the Palace』 consumers by the analysis. Almost consumers acknowledge the good quality of the Korean TV dramas and took on "Bring - it - here? ism" toward Korean TV dramas. On the other hand, wrong Chinese historical research and Chinese pride through 『Jewel in the Palace』 acted negatively on the consumption that and promoted the restraint to the Korean TV dramas. Besides, some Chinese felt it like a cultural invasion and it provoked restraint on Korean wave. Also, Chinese government strengthens the restraints including intensifying deliberation and controlling the program organization on Korean TV dramas owing to the expansion of Korean wave. By these analyses, the consumption and restraint of Korean TV dramas, especially 『Jewel in the Palaces』 are shown simultaneously when they were consumpted in Chinese market. I suggested the following on consumption of Korean TV dramas in Chinese market. Firstly, when a TV drama is consumpted in other cultural area, the cultural and social environment in the area are the important. So the future Korean TV dramas need the lowest culture discount with the advantage of similar culture as much as possible and development strategy though social environmental analysis. Secondly, the production of the Korean TV dramas should be developed in quality rather than quantity. According to the success of the 『Jewel in the Palaces』, the exclusive television right may increase the procurement of TV shows in the condition of exclusive broadcasting. And the Chinese broadcasting system will offer only superior dramas. Now Korea should export good quality's dramas to China in regard to the Chinese government's intensifying delib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se changes, the broadcasting system should increase the outside product system and strengthen the competition by maximizing the creativity and diversity. Furthermore, the preliminary production should be expanded to make marketable dramas based on precise market research. Thirdly, the drama exchange between two countries should be revitalize through joint production because of the current anti-Korean wave and change of Chinese government's policy. Chinese consumers presented positive consumption on Korean TV dramas and Chinese government induces the joint production while it strengthens the control. These would alleviate the anti-Korean wave and continue the exchange between Korean and China.

      • 안전한 방화벽 Traversal을 제공하는 Mobile IP의 보안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진민정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노트북, 휴대전화, PDA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남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특히 데이터 서비스 사용자들을 위하여 이동 중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구가 매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RFC2002[1]에서는 LAN 환경의 무선 통신 환경을 이용하면서 통신망을 위한 데이터그램 교환은 기존의 유선 인터넷망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Mobile IP를 제안하였다. Mobile IP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원격지 네트워크에 로그인할 때 홈 에이전트에게 현재 네트워크의 상황을 등록하면 본사의 네트워크가 원격지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포워딩한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안전한 통신을 위해서는 유선 환경보다 더욱더 높은 신뢰성과 보안성을 요구한다. 현재의 유선 인터넷 환경에서 개인의 사생활과 기업의 기밀, 금융 거래, 국방 외교 및 기타 공공 기관의 네트워크는 VPN으로 이루어지기도 하며, 방화벽을 통해서 내부의 네트워크를 보호하고 있어서 인증된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RFC 2002의 표준화된 Mobile IP는 보안상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방화벽이 있는 네트워크 구조에서 잘 동작하도록 고려하여 설계되지 않았으므로 이러한 많은 보안 문제점들은 Mobile IP의 대중화에 있어서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홈 네트워크가 방화벽으로 보호받고 있는 환경에서 외부 네트워크로 이동했을 때 Mobile IP의 안전한 방화벽 Traversal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Mobile IP의 방화벽 Traversal을 위한 명확한 보안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새로운 보안 구조를 정립하고자 홈 네트워크에 있던 사용자가 외부 네트워크로 이동하였을 경우 공중망에서도 안전하게 홈 네트워크까지 기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Mobile IP 프로토콜의 터널링 기술에 IPSec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Mobile IP의 보안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통합적인 안전한 터널링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SDL을 사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제안한 안전한 터널링 기법이 효율적인 보안을 유지하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터널링 과정에서 사용하는 키 관리 기술과 인증 및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제공되는 보안 서비스가 무엇인지 알 수 있고 암·복호화가 전체 터널링 과정에 미치는 성능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었다. The Mobile IP is a proposed standard protocol based on the Internet Protocol making mobility transparent to higher-level protocols, such as TCP. The Mobile IP protocol enables a node to change its point of attachment to an Internet without changing its IP address. Mobile users are likely to take advantage of this protocol to obtain the services as if they were connected to their home network. In order to have a successful deployment of the Mobile IP as an extension of a private network, the same level of security should be provided as if the node were attached to its home network. In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has a strong need for security. Sensitive data has to be protected against malicious attacks. A particular problem when using Mobile IP is the firewall traversal problem. In this case, a campus network or a VPN (virtual private network) of an organization such as a university or a company is protected by a firewall from the global Internet. Only authorized users shall get access to that private network. Attacks can spoof packets transmitted over wireless links and mobile users must be authenticated safely when roaming from one wireless access point to another. This paper proposes the solution called Secure Mobile IP Tunneling to provide mobile IP users secure access to their companies firewall protected virtual private network. The proposed mechanism supplies a cryptographically secure process for authorized users to access a private network through a public network. And this paper describes the Secure Mobile IP Tunneling operation in more detail. This is done step-by-step considering a mobile node changing its point of attachment. The simulation is measured a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deployment of Mobile IP in combination with IP Security. Four different scenarios are used to represent the most likely deployment configurations. The performance results are presented in terms of transmission latency and delay of node process.

      • 항공사 객실승무원 성격, 감정노동,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연구

        진민정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제 1 장 서론 1 제 1 절 문제제기 1 제 2 절 연구목적 4 제 3 절 연구방법 5 제 4 절 연구구성 6 제 5 절 연구의 공헌도 8 제 2 장 문헌고찰 9 제 1 절 성격(personality) 9 1. 성격의 개념 9 2. 성격5요인(The Five-Factor Model)의 개념 12 3. 성격5요인의 구성요소 14 제 2 절 감정노동(Emotional labor) 18 1. 감정노동의 개념 18 2. 감정노동의 구성요소 22 3. 성격요인과 감정노동 26 제 3 절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30 1. 조직시민행동 개념 30 2. 조직시민행동 구성요소 32 3. 감정노동과 조직시민행동 34 4. 성격요인과 조직시민행동 37 제 3 장 연구방법 39 제 1 절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39 1. 연구모형 39 2. 가설설정 40 제 2 절 표본 설정 및 자료수집 41 제 3 절 설문지 구성 42 1. 변수 선정 42 2. 측정 44 제 4 절 분석 방법 47 제 4 장 분석 결과 48 제 1 절 표본의 분석 48 제 2 절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50 1. 타당도 분석 50 2. 신뢰도 분석 53 제 3 절 기술통계 54 1. 기술통계량 54 2. 상관관계 55 제 4 절 가설 검증 56 1. 성격4요인과 감정노동의 관계 56 2. 감정노동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59 3. 가설 검증 결과 요약 61 4. 매개효과 분석 62 제 5 장 결론 65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65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67 제 3 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연구 69 1. 연구의 한계점 69 2. 향후 연구 70 참고문헌 71 ABSTRACT 87

      •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생물Ⅰ 교과서에서 생식 단원의 비교 분석 : 탐구활동과 비유적 그림을 중심으로

        진민정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2009년부터 제 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보완한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안이 연차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탐구활동을 중심으로 내용을 전개하는 반면,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안은 탐구활동을 대신하여 자유 탐구를 강조하고 있다. 자유 탐구는 학생들이 탐구하고 싶은 주제를 선정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탐구를 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여전히 탐구를 강조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제 7차 고등학교 생물Ⅰ 교과서를 비교, 분석해봄으로써 보완할 점을 알아보고, 개정될 교과서를 예측해보고자 한다. 현행 고등학교에서 사용하는 생물Ⅰ 교과서 6종을 선정하여 생식 단원을 비교한 결과 내용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중단원 학습목표는 7차 교육과정에서의 하위 목표에 맞추어 볼 때 인지적 측면이 강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탐구활동을 자료해석, 토의 및 관찰활동, 본문에 그림제시, 그래프, 표 등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탐구활동 중에서 자료해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단원별 탐구활동 수를 비교하여 볼 때 '생식기관 및 생식세포', '수정과 발생' 단원이 가장 많았고 지학사의 탐구활동의 수가 가장 많았다. '인공수정' 단원은 주고 토의 활동이 많았다. 교과서에서 공통으로 제시하는 그림을 지정하여 분석한 결과 주로 생식세포 형성과정과 생식주기를 다루고 있었다. 이들 그림의 내용에서는 큰 차이가 없지만 지학사의 그림이 간결하고 대비되는 색채를 사용하여 보기 쉽게 제시하였다. 나아가 고등학교와 대학교 교재에서 제시하는 내용을 개념도로 만들어 비교해 보았다. 대학교 교재에서는 생식에 대한 포괄적인 내용을 배우는데 반해 고등학교에서는 단편적으로 나누어 배워서 학생들이 개념을 올바르게 연결시키기 힘들 것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생식 단원에서 발생할 오개념을 예상해보고 그에 맞는 과학적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안에서는 학생 주도적인 자유 탐구를 할 수 있도록 탐구 주제의 개발과 다양한 유형 제시가 필요하다. 그리고 추상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비유적 그림을 많이 사용하는데 잘못된 그림에 대해서는 기준체제를 세워 각 교과서의 차이를 줄이고, 오개념이 형성되지 않도록 올바른 그림을 제시하도록 노력해야겠다. 7th curriculum revised bill, which is planned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 in the original curriculum, will be applied from 2009. While the original 7th curriculum developed the contents of textbooks focusing on the inquiry activities, the revised bill emphasizes the self-controlled, voluntary inquiry. Aiming at intensive learning, the established inquiry activities study the presented subjects; the voluntary inquiry offers the opportunities of self-directed inquiry by choosing student's favored subjects. Despite the difference, voluntary inquiry is also a sort of inquiry activities, still emphasizing that.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production unit in high school biology I textbooks by 7th curriculum, and to suggest a direction for increasing the comprehension of textual reorganization. The reproduction chapters of the six textbooks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lmost no difference in the contents. Concerning the subordinate goal in the 7th curriculum, the purpose of studying medium unit is described as concentration on cognitive ones including contents factors. Inquiry activities were analysed into four items; ①data interpretation ②discussion & investigation ③picture ④graph. And the data interpretation was the major part of the activities. When comparing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in middle unit, there were large number of activities in ‘reproduction organs and reproduction cell’, ‘fertilization and genesis’ unit, and the largest number of activities was in the Gihaksa textbook. Artificial insemination unit was mainly composed of discussion activity. Figures presented commonly in high school biologyⅡ textbooks were analyzed; 'germ cell formation(gametogenesis)' and 'reproductive cycle' were primary issues.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figure contents but the figures in Gihaksa textbook were more stylish and accessible. Furthermore, the concept diagrams of both high school and university textbooks were compared. Relatively comprehensive contents about reproduction were included in the university textbooks. On the other hand, high school textbooks offer so specific and fragmentary contents that students might feel constraint to combine the idea correctly. The present study also tried to prospect for possible misunderstandings in the reproduction chapter and to suggest a reasonable scientific concept.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items and presenting methods in inquiry activity as well as to propose the standardization for figures for ensuring better self-controlled liberty inquiry in the 7th curriculum revised bill.

      • 코로나 19 전후 항공 서비스와 C2C 중고거래 플랫폼에 대한 세 가지 연구 : 경영환경 변화에 대한 고객의 요구를 중심으로

        진민정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business environment has been continuously changing since the past, and companies survive and lead changes by predicting and adapting changes in the management environment. In particular, companies must strategically identify and respond to constantly changing customer needs in a fiercely competitive environment. This paper contains three studies on customers’ need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such as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external shocks, before and after COVID-19. The first and second studies are about airline service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the third study is about the C2C secondhand trading platforms that have grown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after COVID-19. Before COVID-19, the aviation industry was preparing growth momentum by introducing new services combined with th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the global border control and movement restrictions caused the airline industry to face an unprecedented crisis, and the airline had to stop most of its operations. During this period, non-face-to-face and contactless online businesses have grown further, creating a new paradigm of an 'untact society' and accelerating ICT technology innovation. The first study is a study on airline service before COVID-19, and attempted to identify customer adoption factors for IFEC services introduced to implement 'smart cabins' using ICT. IFEC is a concept that adds Connectivity to the existing In-Flight Entertainment (IFE) service and is verified by dividing it into Internet Connectivity (IC) and EC (Entertainment Connectivity by PED), a service that connects passengers to entertainment content provided by airlines through their electronic devices. Customers' IFEC adoption factors were utilitarian motivations (ease of use, voluntariness) and hedonic motivations (enjoyability, excitability),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voluntariness' in IC and EC presented in the detailed model. In other words, IC showed ease of use, enjoyability, excitability as adoption factors except voluntariness, and EC showed significance in all four factors, including voluntarines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help each airline find suitable IFEC services considering customer adoption factors, and will provide basic data for airline marketing establishment related to smart cabins. The second study is a study on airline service after COVID-19, to understand the passengers’ emotional response to COVID-19 and airline selection attributes newly recognized by passengers after COVID-19 in the aviation industry that experienced an unprecedented crisis in online reviews. In addition, it was divided into FSC and LCC to compare changes in passengers before and after COVID-19 to contribute to finding the direction of aviation management necessary in the New Normal era.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passengers' negative emotions increased due to increased risk awareness of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in limited spaces such as in-flight and airports, and interest in airline response systems such as quarantine guidelines or changes in reservations and refunds related to COVID-19.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both FSC and LCC increased negative emotions after COVID-19, and the proportion of crisis response, a newly recognized airline selection attribute, increased. On the other hand, it provided implications that even in a crisis situation, it should not only focus on responding to the crisis response dimension, but also consider the servi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irline type in a balanced way. The third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motivation factors of customers for the C2C secondhand trading platforms, which have grown significantly due to the paradigm shift of the 'untact society'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that brought the airline industry crisi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web-oriented platform and the app-oriented platform that created a new business model were comprehensively reflected to identify the motivation factors that reflected the trend of the current secondhand trading platforms’ us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Ethical and ecological dimension and avoidance of conventional channels have been found to affect intention to use along with ease of use and trust.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change in perception of secondhand transactions as reasonable and taste-oriented positive consumption in addition to awareness of environmental and social problems. Especially, the MZ generation is an age group familiar with mobile IT services, and it suggests that the voluntary expressions they created when they joined as customers contributed to the positive image of the existing secondhand trading platform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C2C used trading platform companies that are trying new business models to strengthen and grow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latform in the future by continuously analyzing the segmented customers’ motivation factors. Now, as we move to the era of COVID-19 Endemic, it is expected that the three studies of this paper, which analyzed customers' needs for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COVID-19, will contribute to the following. Companies should respond to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external shocks by reflecting customer needs and securing competitiveness, and use them as an opportunity factor in the New Normal 2.0 society. 경영환경은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변화하여 왔으며 기업은 경영환경의 변화를 예측하고 적응해 나가며 생존하고 변화를 선도해간다. 특히, 기업은 치열한 경쟁환경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고객의 요구를 전략적으로 파악하고 대응해야 한다. 본 논문은 코로나 19를 전후로, 기술혁신이나 외부 쇼크 등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고객의 요구’에 대한 세 가지 연구를 담고 있다. 첫 번째 연구와 두 번째 연구는 코로나19를 전후로 한 항공 서비스에 관한 것이고, 세 번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전환으로 성장한 C2C 중고거래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19 이전 항공산업은 4차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서비스를 도입하며 성장모멘텀을 마련하고 있었다. 하지만 코로나 19 팬더믹 발생으로 전 세계가 국경통제, 이동제한을 하면서 항공업은 전례 없는 위기를 맞게 되었고, 항공사는 대부분의 운영을 멈추어야 했다. 이러한 시기에 비대면, 비접촉 위주의 온라인 비즈니스는 더욱 성장하였고, ‘언택트 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며, ICT 기술혁신의 가속화를 가져왔다. 첫 번째 연구는 코로나 19 이전 항공서비스에 대한 연구로, ICT를 활용하여 ‘스마트캐빈’을 구현하고자 도입된 IFEC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채택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IFEC는 기존의 IFE(In-Flight Entertainment) 서비스에서 Connectivity(연결성)를 추가한 개념으로, 인터넷 연결 서비스인 IC(Internet Connectivity)와 승객들이 자신의 전자기기를 통해 항공사에서 제공하는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로 연결하는 서비스인 EC(Entertainment Connectivity Service by PED)로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고객의 IFEC의 채택요인은 실용적 동기(사용편의성, 자발성)와 쾌락적 동기(즐거움, 흥분성)로 나타났으며, 세부모형으로 제시된 IC와 EC에서는 ‘자발성’에 차이가 있었다. 즉, IC는 자발성을 제외한 사용편의성, 즐거움, 흥분성이 채택요인으로 나타났고, EC는 자발성을 포함한 4요인이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각 항공사가 고객의 채택 요인을 고려한 적합한 IFEC 서비스를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며, 스마트 캐빈과 관련한 항공사들의 마케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두 번째 연구는 코로나 19 이후 항공 서비스에 대한 연구로, 전례 없는 위기를 겪은 항공산업에서 온라인 리뷰에 나타난 COVID-19에 대한 항공사 승객들의 정서적 반응을 이해하고, COVID-19 이후 새롭게 인식된 승객들의 항공사 선택속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FSC와 LCC로 구분하여 COVID-19 전, 후로 나타난 승객들의 변화를 비교하여 뉴노멀시대에 필요한 항공경영의 방향성을 찾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기내, 공항 등 제한된 공간에서의 전염병 확산에 대한 위험인식이 높아지면서 승객들의 부정적 정서가 커졌고, 새로운 감염병으로 인한 방역 지침이나 COVID-19와 연계된 예약 변경, 환불 등 항공사 대응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FSC와 LCC 모두 COVID -19 이후 부정적 정서가 증가하였고, 새롭게 인식된 항공사 선택속성인 ‘위기대처’의 비중이 커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위기 상황에서도 ‘위기대처’ 차원을 대응하는 데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항공사 유형에 따른 서비스 특성도 균형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세번째 연구는 이와 같이 항공산업의 위기를 가져온 코로나 팬더믹 상황에서 ‘언택트 사회’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크게 성장한 C2C 중고거래 플랫폼에 대한 고객의 동기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웹 중심 플랫폼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탄생시킨 앱 중심 플랫폼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현 중고거래 플랫폼 이용 고객의 트랜드를 반영한 동기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사용 편의성과 신뢰 외에 윤리적·생태적인 요인과 기존 채널 회피로 나타났는데, 이는 환경 및 사회적 문제 의식 외에 중고거래가 합리적이고 취향을 중시하는 긍정적인 소비로 인식이 변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채널의 회피와 신뢰는 다른 요인들과 이용의도 사이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Z세대는 모바일 IT 서비스에 익숙한 연령대로 이들이 고객으로 합류하면서 만들어낸 자발적인 표현 등이 기존의 중고거래 플랫폼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만드는데 일조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시도하고 있는 C2C 중고거래 플랫폼 기업들이 고객들의 세분화된 동기요인을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플랫폼별 특성을 강화하고 성장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제 코로나19 엔데믹 시대로 전환되면서 코로나 19를 전후로 경영환경 변화에 대한 고객의 요구를 분석한 본 논문의 세 가지 연구가 기술혁신이나 외부쇼크와 같은 환경변화에 고객의 요구를 반영하여 대응하고 경쟁력을 확보해 가면서 뉴노멀 2.0사회에 기회의 요인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 Reliability Characterization in consideration of Self-Heating in FinFET Technology

        진민정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With technology node scaling, fin shape (3D) engineering enables higher performance for the smaller fin pitch and reducing footprint. Generally, FinFETs have been engineered to be taller and narrower for better electrostatics and performance at lower VT operation. The taller the fin height and the narrower the fin bottom width allows more difficult to remove the heat generated at the top of the fin. It is discussed that the self-heating only matters during device operation and mainly affects hot carrier injection (HCI) aging from device perspective, more severe in PFETs than in NFETs due to higher Ea. Increase of fin self-heating effect and potential reliability issues must be well understood, characterized, and modeled for design of products. By characterizing the duty in AC operation, fin self-heating on high speed logic could be mitigated or can be built into the design by embedding self-heating model into SPICE simulation along with aging run. Self-heating effect have not been very apparent on the Ring Oscillators with their very high frequency operation and voltages around 1/2xVdd during switching transitions even for long durations (of several hundred hours of stress). Any digital logic circuits that operate on the giga-hertz (GHz)-level with very low duty would most practically experience little fin self-heating impacts. As circuits do continue to operate longer, there can be residual impact of self-heating effect that gets accumulated as time elapses. Therefore, those effects must be carefully taken into account in design by running various duty scenarios. On analog devices and circuits that have more static bias and higher duty cycles, typically longer channel devices are used to minimize the process variations. A careful reliability characterization in consideration of self-heating effect is needed as fin dimension continues to scale very aggress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