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착색렌즈의 청색광 차단율 성능 분석 및 평가법에 관한 연구

        정미선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다양한 착색렌즈 중, 청색광 차단렌즈로서 사용하기 적합한 착색렌즈의 색상과 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66개의 착색렌즈를 제조하였다. 굴절률 1.498, 굴절능 0.00 D, 중심두께 1.9 mm인 CR-39 렌즈와 6종류(yellow, brown, green, gray, violet, blue)의 착색용 분말염료 (Opti-Safe Lens Dye, Phantom, USA)가 사용되었으며, 착색렌즈의 광학적 특성 분석을 위하여 분광광도계로 가시광선 범위에서의 분광투과율을 측정하였고, 이로부터 착색시간에 따른 시감투과율과 청색광차단율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청색광 차단렌즈의 성능을 대표하는 시감투과율과 청색광차단율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챠트를 개발하였고, 제조된 착색렌즈 중 청색광 차단렌즈로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착색렌즈의 색상과 성능을 평가하였다. 챠트 상에서 우측 상단에 위치한 렌즈들은 우수한 성능의 렌즈로, 반면 좌측 하단에 위치한 렌즈들은 열악한 성능의 렌즈로 평가할 수 있다. 평가결과, 청색광 차단렌즈로서 적합한 착색렌즈는 yellow, green, gray 이라는 것을 알아낼 수 있다. 향후, 챠트가 청색광 차단렌즈의 성능 분석과 평가, 제조, 그리고 교육 등에 널리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color and performance of blue light blocking ratio of the tinted lenses suitable for use as a blue light blocking lens, a total of 66 tinted lenses were prepared by a dyeing method. A CR-39 lens with a refractive index of 1.498, a refractive power of 0.00 D and a center thickness of 1.9 mm, and six types(yellow, brown, green, gray, violet, blue) of powder dyes(Opti-Safe Lens Dye, Phantom, USA) for tinting were used. To analyze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tinted lenses, the spectral transmittance in the visible range(380~780 nm) was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UV-Vis 2450, Shimadzu, Japan). From these the luminous transmittance and blue light blocking rate according to the coloring time were obtained. And from these results, a chart was developed that can simultaneously evaluate the luminous transmittance and blue light blocking rate representing the performance of the blue light blocking lens, and among the manufactured tinted lenses, the color and performance of the tinted lens suitable for use as a blue light blocking lens evaluated. On the chart, the lenses located in the upper right corner are excellent performance lenses, while the lenses located in the lower left corner can be evaluated as poor performance lenses. As a result of these evaluation, it can be found that colored lenses suitable as blue light blocking lenses are yellow, green, and gray. It is expected that the chart will be widely used for performance analysis, evaluation, manufacturing, and education of blue light blocking lenses.

      • 교통안전 규제정책의 순응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법인택시를 중심으로

        정미선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법인택시 승무원들의 과속운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불응요인들을 통한 효과적인 순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통안전 및 과속운전 규제정책과 관련된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과속운전 영향요인과 과속운전 의도 및 행위로 구성된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총 7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서론에 이은 제2장은 과속운전규제에 관한 이론적 논의의 장이다. 정부규제와 정책순응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기존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제3장은 과속운전규제의 실태의 장으로 현재 우리나라 과속운전 규제정책에 대한 현황분석을 실시하였다. 제4장은 조사설계의 장으로서 제2장에서 제시한 분석의 틀을 바탕으로 변수를 설정하였다. 제5장은 실증분석의 장으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의 검증과 법인택시 승무원을 중심으로 한 실증조사와 관련 전문가 조사를 통해 과속운전 규제정책에 대한 순응․불응 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분석하였다. 제6장은 이상에서 언급한 이론적 논의와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과속운전 규제정책의 효과적인 목표달성을 위한 순응 확보 방안을 다양한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7장은 결론부분으로 이상의 논의를 종합․요약하고 본 연구의 이론적 기여와 한계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논의와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서울지역 253개 업체 42,956명의 사업용자동차 법인택시 운전자(승무원)을 대상으로 무작위표본추출을 통하여 전체 1,5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그 중 1,065부가 회수 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 누락 또는 불성실한 기재로 인하여 응답의 신뢰성이 의심되는 설문지를 제외한 1,030부가 유효 표본으로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각 질문문항은 명목척도(nominal scale)와 서열척도(ordinal scale)로 이루어졌으며, 서열수준을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원자료(raw data)는 SPSS WIN 15.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다. 정책대상 집단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집단간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집단간 차이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t-test와 ANOVA(일원분산분석), 사후검증 등을 활용하였다. 또한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모형에 포함된 독립변수와 매개변수, 종속변수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interview) 내용은 내용분석을 통해 사안별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법인택시 승무원들의 과속운전 규제와 관련된 일반적인 인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제도적 요인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과속운전 처벌의 필요성, 현 행정처분 강화의 필요성, 행정처분 인지 여부, 행정처분의 적정성, 범칙금의 적정성 측면에서는 부정적 인식보다는 긍정적 견해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 과속운전 규제정책에 대한 공감대는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속운전 행위에 대한 행정처분의 강도와 범칙금의 적정성의 경우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응답자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문화적 환경 요인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보통수준 이상의 준법의식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속운전 행위에 대한 운전자의 습관 혹은 주변사람들의 과속행위에 의한 과속운전 보다 승객의 요구에 의해 과속운전을 하게 된다는 인식분석 결과는 중요한 의미를 시사한다. 이는 과속운전에 있어서 주변사람의 영향력을 보여 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셋째, 운전환경 요인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사납금에 대한 부담, 임금에 대한 만족도 모두 부정적인 견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납금 부담정도와 임금만족도 수준은 법인택시 승무원들의 운전행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넷째, 과속운전 의도에 있어서는 보통 수준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속운전 규제와 관련하여 볼 때 과속운전 단속을 피할 수 있거나, 무인카메라 및 경찰의 단속이 없을 경우 과속운전을 할 의사가 있다는 것은 과속운전 규제정책의 필요성을 의미하는 것이며, 과속운전에 대한 단속과 규제가 실제 운전자들의 과속운전 의도를 결정하는 요인이라는 점이다. 다섯째, 과속운전 행위에 관한 주요 분석결과, 최근 1년 동안 교통법규 위반하여 단속․처벌 받은 내용 중 과속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과속운전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과속운전을 경험한 운전자가 과속운전으로 처벌을 받은 운전자의 비율보다 높게 나타나 실제 과속운전과 이에 대한 처벌 간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과속운전 경험에 따른 과속운전 영향요인, 과속운전 의도에 관한 집단간 차이검증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속운전 경험정도에 따른 법․제도적 요인에 대한 집단간 인식차이 검증 결과 과속운전 처벌 필요성, 충분한 단속인력과 장비활용, 행정처분의 효과성, 범칙금의 효과성 인식에서는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정처분의 강화, 행정처분 인지, 행정처분의 적정성, 범칙금의 적정성 인식에서는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속운전 경험정도에 따른 사회․문화적 환경요인에 대한 집단간 인식차이 검증 결과 규정속도 준수여부, 과속운전과 사고위험인식, 습관적 과속운전, 주변 과속운전자에 의한 과속충동, 승객요구에 의한 과속운전, 과속운전의 시간단축 효과 인식 등 모든 문항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속운전 경험정도에 따른 운전환경 요인에 대한 집단간 인식차이 검증 결과 사납금에 대한 부담, 임금만족도 등 모든 문항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속운전 경험정도에 따른 과속운전 의도에 대한 집단간 차이 검증 결과 단속을 피할 경우 과속운전 의도, 단속이 없을 경우 과속운전 의도 모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속운전 영향요인과 과속운전 의도 및 행위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과속운전 영향요인과 과속운전 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법․제도적 요인, 사회․문화적 환경 요인, 운전환경 요인 모두 과속운전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 영향력은 사회․문화적 환경요인 > 운전환경 요인 > 법․제도적 요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과속운전 영향요인과 과속운전 의도 간의 회귀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과속운전과 관련된 법․제도적 규제수단이 약할수록, 과속운전을 부추기는 사회․문화적 환경일수록, 법인택시 승무원들의 운전환경이 열악할수록 운전자의 과속운전 의도는 높아짐을 의미한다. 특히 사회․문화적 환경요인의 경우에는 다른 영향요인들보다 운전자의 과속운전 의도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속운전 영향요인과 과속운전 행위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법․제도적 요인, 사회․문화적 환경 요인, 운전환경 요인 모두 과속행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 영향력은 사회․문화적 환경요인 > 운전환경 요인 > 법․제도적 요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과속운전 영향요인과 과속운전 의도 간의 회귀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과속운전과 관련된 법․제도적 규제수단이 약할수록 과속운전 행위는 증가하고, 과속운전을 부추기는 사회․문화적 환경일수록 운전자의 과속운전 행위도 높아지며, 법인택시 승무원들의 운전환경이 열악할수록 운전자의 과속운전 행위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특히 사회․문화적 환경요인의 경우 운전자의 과속운전 행위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문화적 환경요인은 과속운전 의도는 물론 실제 과속운전 행위에도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나타나 과속운전과 관련된 사회․문화적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이 시급한 정책과제임을 시사한다. 셋째, 과속운전 의도와 과속운전 행위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과속운전 의도는 과속운전 행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론적 논의에서 논의한 계획행동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의도와 실제 행위 간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법인택시 승무원이 과속운전규제에 대해 자발적 순응을 할 수 있도록 전통적인 행정처분의 처벌기준을 강화하고, 법․제도화된 규제를 악용 방지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직접적인 보상전략으로 근무환경변화와 질적인 경제력 향상으로 안정감 있는 운행으로 이용승객의 만족한 서비스와 안전운행을 할 수 있도록 경영자와 근로자에게 현실에 맞는 정부예산지원이 바람직하며,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교육 강화의 유인전략을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Ph. D. Dissertation by Mi -Sun Jeong The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Korea August 200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mpliance factors affecting overspeed driving behaviors of corporate taxi drivers and to consider actual non-compliance factors, so that it could propose effective ways to make them comply better with traffic safety regulatory policy. To meet the above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oretical discussions and previous literatures on traffic safety and overspeed drive regulatory policy, so that it could propose a research model consisting of overspeed driving factors, intentions and behaviors and analyze said model. This study consisted of total 7 chapters and its details can be outlined as follows: Following introduction, Chapter 2 dealt with theoretical discussions on overspeed drive regulation, focusing upon making theoretical examinations into governmental regulation and compliance with policy, and presenting a framework for previous studies and this study. Chapter 3 profiled actual conditions of overspeed drive regulation, focusing on analyzing current profile of overspeed drive regulatory policies enforced in Korea. Chapter 4 dealt with survey design, setting variables on the basis of analytic framework proposed in Chapter 2. Chapter 5 dealt with empirical analysis, focusing on testing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tool, and performing empirical survey and relevant specialist survey primarily for corporate taxi driver. Then, this chapter sought to empirically examine and analyze compliance factors of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with overspeed drive regulatory policy. Based on the findings of above theoretical discussions and empirical analysis, Chapter 6 took various approaches to proposing possible ways to secure compliance to effectively achieve desired goals of overspeed drive regulatory policy. Finally, Chapter 7 came to conclusions to sum up and digest the above discussions and also describe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Based on existing discussions and literatures, this study targeted a population that totaled 42,956 corporate taxi (commercial vehicle) drivers working for 253 taxi companies in Seoul metropolitan city. Next, total 1,500 sheets of questionnaire form were distributed to some drivers selected by random sampling, and we could collect total 1,065 sheets of questionnaire form. Then, total 1,030 sheets of questionnaire form were used as valid sample data for final analysis, except for those with questionable reliability of answer due to omitted answers or incomplete entry. Each question item consisted of nominal scale and ordinal scale, and used 5-point Likert scale to more objectively measure ordinal level. Raw data collected from questionnaire survey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5.0 as statistical package program. In order to analyze target group's awareness about traffic safety regulatory policy, this study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and analyzed differences among groups. To analyze differences among groups, this study used t-test, one-way ANOVA, and post-hoc test. In addition, this study perform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ment tool. Finally, this study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o as to determine structural effect relationships among independent variables, parameters and dependent variables contained in the research model proposed herein. The details of interview with specialists were summarized case by case through analysis on its content.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come to the following findings of empirical analysis. Above all, the results of analysis on corporate taxi drivers' common awareness related to overspeed drive regulation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analysis on awareness about law and institution, it was found that relatively higher percentage of respondents had positive views about necessity of penalty against overspeed drive, necessity for stepping up current administrative measures, awareness of administrative measures, reasonableness of administrative measures, and reasonableness of fine imposition. That is, it is found that there is a partial consensus about overspeed drive regulatory policy among corporate taxi drivers. Nevertheless, it was found that relatively higher percentage of respondents had negative views about the intensity of administrative measures against overspeed drive and the reasonableness of fine imposed for overspeed drive. Secondly, according to analysis on awareness about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most respondents had average or higher consciousness of law observa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any taxi drivers had a common awareness that fare's demands had higher causal effects upon overspeed drive than driver's overspeed driving habits or motivation from other car drivers' overspeed drive. This finding has a great implication, because it demonstrates that other car driver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overspeed drive. Thirdly, according to analysis on awareness about driving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large number of respondents had negative views about both unreasonable amount of commission paid to taxi company (out of their daily earning)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at their pay. So it is estimated that their commission liability and level of satisfaction at pay would be closely associated with driving behaviors of corporate taxi drivers who are likely to get up speed. Fourthly, it was found that most respondents had sub-average consciousness about intentions for overspeed drive. With regard to overspeed drive regulation, this finding has implications in the sense that their intentions for overspeed drive, particularly if they can bypass overspeed drive regulatory squad or there is neither unmanned CCTV cam nor police control, emphasize why it is necessary to develop overspeed drive regulatory policy, and control and regulation over overspeed drive become a determinant of actual drivers' intentions toward overspeed drive. Fifthly, according to analysis on taxi drivers' overspeed drive behaviors, it was found that overspeed drive was in the top rank of annual controls and penalties for violation of traffic laws and regulation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ore than half of all respondents had experienced overspeed drive.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ratio of drivers who experienced overspeed drive was higher than that of drivers who were punished for their overspeed drive, which means that there is a gap between actual overspeed drive and corresponding penalty. The major results of test and analysis on group-by-group differences in overspeed driving factors and intentions depending on experiences in overspeed drive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est on group-by-group differences in awareness of law and institution depending on experiences in overspeed driv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in necessity of punishment for overspeed drive, adequate availability of overspeed drive control staffs and equipments, perceived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ve measures and perceived effectiveness of fine imposition. Bu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reinforcement of administrative measures, awareness of administrative measures, reasonableness of administrative measures and perceived reasonableness of fine imposed. Secondly, according to test on group-by-group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depending on experiences in overspeed driv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every relevant item such as observance of rated speed, awareness of overspeed drive and its risk of accident, habitual overspeed drive, urge for overspeed as motivated by other overspeed drivers, overspeed drive demanded by fare, and perceived effectiveness of overspeed drive in saving time. Thirdly, according to test on group-by-group differences in awareness of drive environment depending on experience in overspeed driv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every item including commission liability and satisfaction at pay. Fourthly, according to test on group-by-group differences in intentions for overspeed drive depending on experiences in overspeed driv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intentions for overspeed drive, whether in case of bypassing traffic control or in case of no traffic regulation. This study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determine causality between overspeed driving factors and overspeed drive intentions and behaviors. First,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on causality between overspeed driving factors and overspeed drive intentions, it was found that law and institution,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driving environment had significant effects upon overspeed drive intentions on statistical basis. Particularly,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had most significant effects upon overspeed drive intentions, which was followed by driving environment and law and institution. In comprehensive view of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about causality between overspeed driving factors and overspeed drive intentions, it is found that the higher tolerance of legal and institutional control means related to overspeed drive, the more likelihood of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to add fuel to overspeed drive, and the more unfavorable drive environment of corporate taxi drivers could lead directly to the more intentions for overspeed drive. Notably, it is found that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is more effective in driver's intentions for overspeed drive than any other driving factors. Secondly,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on causality between overspeed driving factors and overspeed drive behaviors, it was found that law and institution,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driving environ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overspeed drive behaviors on statistical basis. Particularly,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had most significant effects on overspeed drive behaviors, which was followed by driving environment and law and institution. In comprehensive view of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causality between overspeed driving factors and overspeed drive behaviors, it is found that the higher tolerance of legal and institutional control means related to overspeed drive, the more likelihood of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to add fuel to overspeed drive, and the more unfavorable drive environment of corporate taxi drivers could lead directly to the more behaviors of overspeed drive. Notably, it is found that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is more effective in driver's behaviors of overspeed drive than any other factors.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is more effective in actual behaviors of overspeed drive as well as intentions of overspeed drive than any other factors, which indicates that it is urgently demanded to prepare possible policy to improv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in relation to overspeed drive. Thirdly, according to analysis on causality between overspeed drive intentions and behaviors, it was found that overspeed drive intentions had significant effects on overspeed drive behaviors on statistical basis. This finding demonstrates causality between actual overspeed drive behaviors and hypothetical overspeed drive intentions (as proposed by Theory of Planned Behavior dealt in theoretical discussions). Based on a list of findings above,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required to step up traditional punishment criteria of administrative measures and prevent abuse of legal and institutional regulation, so that corporate taxi drivers can be motivated to observe overspeed drive regulation voluntarily. And as a part of firsthand compensatory strategy, it is advisable to provide reasonable governmental financial supports for corporate taxi management and workers in favor of changing working environment and qualitatively improving economic power, so that every fare can feel satisfied with taxi service and taxi drivers can drive their car safely.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d to proactively use a strategy to motivate educational step-up by develop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 미혼모를 위한 기독교 부모교육 : 신앙공동체 이론을 중심으로

        정미선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의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지고 있는 미혼모의 문제를 기독교교육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며 신앙공동체 안에서 이들을 어떻게 수용하고 바라보아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미혼모 문제는 잘못된 성문화로 시작하여 결국은 생명에 대한 부분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성에 대한 윤리적인 부분만 강조한다면 더 이상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해결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사회적 구조와 동시에 미혼모가 상황에 직면했을 때 겪게 되는 불안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그들이 원하는 방법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대부분 미혼모들은 막연한 상황을 직면하게 될 때 종교단체의 시설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기독교 신앙공동체는 미혼모의 겪게 되는 심리적 불안감과 현실의 막막함을 신앙공동체 안에서 수용하여 하나님과의 관계회복과 삶에 대한 근본적인 바른 길을 제시해 줄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Ⅱ장에서는 미혼모의 문제점을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보고 사회적으로 평가되어진 통계를 가지고 미혼모가 현실적으로 느끼고 있는 자신들의 위치와 차별의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자신이 저지른 행위에 대해 책임의식을 가진 양육미혼모가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며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과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것이 절실하다. 양육 미혼모들이 경제적 궁핍을 극복하지 못하여 또다시 사회적 일탈자로 전락하지 않도록 대처를 마련해야 한다. 미혼모는 자녀를 양육한다는 책임과 동시에 사회에서 자신을 바라보는 시선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할 의사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런 준비가 되지 않은 양육미혼모를 위하여 사회적 지원은 더욱 늘어나야 하며 기독교 단체 및 교회는 편견의식을 벗어버리고 이들과 친교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원죄가 있는 모든 인간에게 베푸신 하나님의 사랑을 깨달아 삶에 있어 잊어버리지 못할 굴레를 만들지 않도록 교회는 미혼모에게 기독교 부모교육을 시켜야 한다. 더욱이 이들을 수용하고 받아들이기 전에 ‘그리스도인답게’ 라는 살아주는 모습을 보여주고 삶의 목적을 가지고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주신 삶의 생기를 찾을 수 있도록 함께 해야 한다. 양육미혼모는 자녀를 교육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계획보다는 재빠른 삶의 안정을 추구하며 자녀와 함께 살아가는데 급급해 한다. 특히, 발달과정 중 엄마의 손길이 가장 많이 필요한 영유아기 자녀들을 양육할 수 있도록 교회가 도와주며 가정에서 기독교교육적인 세계관을 가지고 기독교교육을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주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미혼모는 엄마로서의 역할을 감당해야 하는 수행자이다. 그렇기에 Ⅲ장에서는 미혼모인 엄마와 처음 접하게 되는 영유아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신체적 발달, 인지적 발달, 심리사회적 발달, 신앙적 발달을 통하여 자녀에 대한 이해를 해야 할 것이다. 파울러는 신앙에 대한 경험은 출생과 더불어 부모에 의해 경험적 신앙이 형성된다고 한다. 그렇게 때문에 양육자인 미혼모부터 부모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하나님께서 인간과 맺으신 언약을 이루기 위해 가정에게 명령하신 부모의 교육적 의무를 수행해야 한다. 먼저 하나님에 대한 순종이 부모교육의 기원이 될 수 있다. 교육의 주체가 부모가 되어 하나님의 뜻에 따라 하나님과 부모와 자녀의 삼중적인 관계를 잘 이루어 나아가야 함을 강조하며 미혼모가 영유아 자녀의 발달을 이해하고 언약백성으로서의 소명의식을 가지고 자녀를 양육할 수 있도록 미혼모에게 기독교적 가치관을 심어야 한다. Ⅳ장에서는 미혼모를 위한 기독교 부모교육의 성서적, 신학적 기초를 알아보고 확대가족으로서 교회의 역할과 확대가족으로서의 미혼모가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구약에 하나님께서 사회적 약자의 연약함을 불쌍히 여기시며 돌보시기를 원하신다. 신앙공동체에서는 사회적 약자를 바라보시는 하나님의 뜻을 바로 알고 실천해야 하는 의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신학적 이론을 살펴보며 생명이란 인간이 해할 수 없는 하나님의 영역이라는 것을 깨달아야 하는 것이다. 구약의 쉐마교육에서 볼 수 있었던 것처럼 앞 세대와 뒷세대를 연결하는 고리의 역할을 위해서도 부모교육은 필요하다. 웨스트호프 역시 양육이라는 폭넓은 이해와 공동체 안에서의 회중과 신앙과 삶이 나누어 질 수 있는 공동체 교육을 중요시 하면서 교회와 가정에서의 공동체 교육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교회에서 이루어져야 할 부모교육 중 미혼모를 위한 부모교육은 변해가는 시대의 가정의 흐름에 따라 교회가 받아들어야 할 사명이며 미혼모를 위한 부모교육은 약함을 가진 자를 위한 친교적인 방향에서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Ⅴ장에서는 신앙공동체 이론을 바탕으로 미혼모를 위한 미혼모 부모교육을 제시하였다. 부모 자신이 비판적 사고와 적절한 선택, 그리고 책임 있는 행동을 할 수 있는 성숙한 기독교 부모가 되기 위해서 실시되어야 하며 내용으로는 나의 정체성과 부모 됨 알기, 자녀의 발달적 특성을 통해 자녀를 알기, 하나님이 세우신 가정의 역할에 대해 알기에 대해서 제시한 것이다. 미혼모 교육을 이끌어 가는 동역자인 교사의 역할 수행에 따른 프로그램 5주 과정 프로그램 실제 : “___ With 나 Special ____” Ⅵ에 제시하였다. 미혼모의 신체적 특성상을 고려해야 2시간의 교육이며 50분 진행, 10분 휴식, 50분 진행 형식으로 진행된다. 세 가지의 큰 제목을 가지고 본 논문이 제시하고자 하는 세부적 프로그램 내용은 나를 중심으로 하여 하나님께서 만드신 나의 정체성을 바로 알고, 새롭게 하시는 하나님을 알고, 성경적 어머니의 자아상을 통해 나를 바라볼 수 있다. 자녀의 발달적 특성을 통해 자녀를 알며 신앙적으로 자녀를 지도할 수 있도록 한다. 미혼모는 거듭남의 경험으로 멘토(교사)의 가정에 들어가 신앙적 지도방법 중 가정예배에 참여해 본다. 멘토(교사)는 프로그램의 도우미 역할에 그치지 않고 미혼모가 가정을 잘 이루어 자립 할 수 있도록 교회와 미혼모가정, 교회와 지역사회, 미혼모가정과 지역사회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신앙공동체와 함께 하며 미혼모(가정)는 더 이상 소외된 존재, 손가락질 받는 존재가 아니라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살아가는 하나님이 택하신 사람이라는 마음을 가지고 자신의 삶에 대한 회복과 자녀와 함께 살아가는 믿음의 가정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교육 이해 및 태도의 관계

        정미선 강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교육 이해 및 태도 간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강원도의 K대학교, 충청남도의 H대학교, 부산광역시의 G대학교 유아교육과 1, 2, 3, 4학년 여학생 297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감수성 척도, 다문화교육 이해 척도, 다문화교육 태도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교육 이해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33, p<.01).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이 높을수록 그들의 다문화교육 이해 정도도 높은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교육 태도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53, p<.01).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이 높을수록 그들의 다문화교육 태도 정도도 높은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다문화교육 이해와 다문화교육 태도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49, p<.01).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이해가 높을수록 그들의 다문화교육 태도 정도도 높은 경향이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태도에 대한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교육이해의 상대적 영향력은 문화차이 존중(β=.36), 다문화교육 이해(β=.30), 상호작용 즐기기(β=.21) 순으로 나타났고, 예언변인들의 다문화교육 태도 전체 변량에 대한 설명력은 42%로 나타났다.

      • 진로장벽이 부모애착과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정미선 강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애착관계와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을 고등학생과 대학생으로 나누어 그들에 따라 각각 그 효과가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부모애착관계, 진로결정수준, 진로장벽을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를 경기도에 소재한 남.녀 고등학교 2개 학교와 같은 시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 1개 학교 재학생 3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로 SPSS 20.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방법 등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부모애착관계가 높을수록 진로장벽을 낮게 인식하고, 부모애착관계가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는 부모애착관계중 신뢰감이 높을수록, 소외감이 낮을수록 진로장벽을 낮게 인식하며, 소외감이 낮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진다고 나타났다. 또한 진로장벽 중 직업정보 부족과 흥미부족, 미래부족을 많이 느낄수록 진로결정수준은 낮아진다. 세 번째 부모애착관계에 대한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은 부분매개 효과를 갖으며, 그 가운데 고등학생과 대학생에 따라 매개역할을 하기도 하고 매개역할을 하지 않기도 하는 조절된 매개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애착관계의 하위요인 중에서 신뢰감, 소외감은 진로장벽에 영향을 미치고 진로결정수준에는 소외감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부모애착관계가 높을수록 진로장벽을 낮게 인식하며 부모애착관계가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진다. 부모애착관계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이 부분매개를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학교급에 따라 나누어 연구할 때 조절된 매개관계가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진로결정수준에 있어 유용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우선 부모의 애착관계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주므로 긍정적인 부모-관계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대학교 시절에는 독립적인 인간으로 성장하기 위해서 부모의 애착관계가 진로결정수준을 못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자녀 스스로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대학생의 홀로서기가 필요하다. 이로 인한 대학교의 체계적인 진로교육과 진로상담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rier barriers on relations between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 subjects wer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the effects of carrier barriers on relations between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and career decision level. In order to examine the study issues, questionnaires that were able to measure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rier barriers were distributed to 311 students attending one male high school and one female high school in Gyeonggi-do and one university located in the same city. The data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0.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students'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the lower they perceived carrier barriers and the higher their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the higher reliability among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and the lower a sense of alienation, the lower the students perceived their career barriers, and the lower their sense of alienation, the higher their level of career decision level. In addition, the more they felt scarcity of job information, lack of interest, and lack of future among career barriers, the lower their decision level. Third, in relations between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and career decision level, career barriers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there was moderated mediation relationship with mediating role in some subjects and no mediating role in others. Such results show that a sense of reliability and alien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influence students' carrier barriers and a sense of alienation affects their career decision level. In addition, the higher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the lower the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the higher carrier decision level. It was verified that carrier barriers provided partial medi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and career decision level. Furthermore, the moderated mediation relationship appeared when research was performed according to school level. The above study results provide useful suggestive points in adolescents' career decision level. First,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affected their career decision level, verifying the importance of their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ents. Nonetheless, during college years when they grow into an independent human, parent attachment relationship may be a factor adversely affecting their career decision level. Therefore, standing on their own is necessary for children to select and determine their career for themselves, for which systematic carrier education and counseling should be provided by their college.

      • 산화철-금 복합 나노입자의 나노자임 효과를 이용한 수은 검출

        정미선 한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산화철-금 복합 나노입자를 합성하고 이 입자의 나노자임 효과를 이용하여 비색법을 통한 고감도 수은 검출에 응용하였다. 다양한 중금속 중 수은은 토양이나 해수에 노출 시 음식물을 통해 체내에 축적되고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주며 수은 중독을 유발하므로 손쉬운 검출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수은을 쉽게 검출하는 방법 중 나노자임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효소와 유사한 활성을 가지는 나노자임은 촉매 역할을 하는 천연 효소를 대체하는 나노 물질 기반의 인공효소로 질병 진단 및 환경 모니터링과 같은 여러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나노자임을 이용한 수은 검출은 수은 분석기, 원자 흡수 분광 광도계 등과 같은 기존 수은 검출 방법에 비해서, 저렴하고 신속하며 휴대성이 편리하고 전문 지식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수은은 금과 쉽게 합금을 형성하며 금의 표면을 변화시켜서 금의 과산화효소 유사 활성을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서 산화철-금 복합 나노입자는 수은 검출을 위한 센서로 활용 가능하다. 산화철-금 복합 나노입자는 여러 합성 단계를 거친다. 산화철 나노 클러스터를 용매열 합성 방법으로 합성하고 졸-젤 반응으로 산화철 나노 클러스터 표면에 실리카를 코팅하고 APTMS ((3-Aminopropyl)trimethoxysilane)를 이용하여 표면을 아민기로 개질하였다. 정전기적 인력을 이용하여 그 위에 금 씨드를 부착하였고 성장 용액을 이용하여 금을 쉘 형태로 코팅하였다. 복합체의 코어에 위치한 산화철 나노 클러스터는 외부 자장에 감응하기 때문에 자석을 이용해서 반응에 방해되는 불순물을 제거하고 입자의 농축이 가능하다. 또한 유색 시료로 인한 색상 인식 불가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실제로 본 연구에서 합성한 산화철-금 복합 나노입자가 수은 검출에 응용이 가능한지 판단하기 위해 인공 소변에 수은 중독에 해당하는 수은의 양을 첨가해서 실험한 결과, 입자를 자석으로 분리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농축샘플에서 눈에 띄는 비색 검출 효과가 관찰되었다. 산화철-금 복합 나노입자는 소변과 같은 생체 시료뿐만 아니라 폐수, 식품 등에서도 수은을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월트 휘트먼의 초월주의적 신비주의

        정미선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studies Walt Whitman's mystic experience being the root of all his thoughts and poetry. Through the mystic experience, he tries to get over the harsh realities of life and create a new order for the next generation. Viewed in this light, to surmount difficulties and to create the new order, Whitman's thoughts are pragmatic and transcendental. This tendency is similar to Joseph Campbell's mythical analysis and Ralph Waldo Emerson's transcendentalism. The characteristic of Whitman's transcendentalism is to get over the tough realities of life and create a new culture, and requires the advancement and conversion of the consciousness, which are similar to Campbell's mystic imagination and Emerson's transcendentalism. Campbell believes that all mankind's problems lie in the oblivion of the mankind's root and entity, and that to overcome these problems, advancement and conversion of the consciousness are needed. Whitman, like Emerson, an initiator of transcendentalism, seeks for a way to improve the condition of life. Whitman's transcendental aspiration to establish a new culture and history is enhanced by his mystic experience. The mystic awareness of oneness makes an individual aware of the original energy flowing without reserve and enlarging the consciousness. This awareness is the foundation of Whitman's poetry. The realization of the unity of all beings is founded in Whitman's idea of democracy, which rejects differences. His belief in the eternity of soul is expressed in his concept of immorality. As Campbell and Emerson find the solution to agony in life, in a man's dignity and the harmony of nature, Whitman views the vision of overcoming obstacles and inconsistency in the mystical experiences. An approach to the truth of the ultimate existence through the mystic experiences represents the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of the universe and the roles of oneself and others which were fixated as an idea of tradition and common ideas. Understanding and search for the ultimate entities are the common features of Whitman's mystic experiences. Whitman's poems might be a guide for the future poets like the Bible showing the directions of human beings.

      • 都市主婦의 家計財務管理 行動에 따른 財務健全性 및 財政滿足度

        鄭美仙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It was caused to the high rate of unemployment and the decrease of actual household economy by the depression of domestic economic condition and the extreme inequality of earning distribution after 2000. These affected not only family finances, but also the depression of financial satisfaction on them. These problems caused to not only provoke the troubles family of members but also made many families broken up. To solve these problems, the sound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of housewives is essential. Without effective management behavior, maintaining home, happiness in the family, and the dynamics of entire society is difficult for housewives. Particularly, housewives in difficulties must maintain well domestic economy, since this is an crucial element to contribute to sound family finance. The following areas of study are very important : (1) the good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of domestic-economy (2) the stabilities of family finances, and (3) family financial satisfaction.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level of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and relation factors. In addition, It is also to suggest how to overcome family financial problems on urban housewives' in the time of economic crisis and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to improve economic stability and lies in suggesting the plan of enhancing financial satisfaction for family members. Concrete task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general level of urban housewives' family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financial stability, and satisfaction ? 2) How differences are family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financial stability, and satisfaction, of urban housewives' according to background factors (socio-demographic factors, socio-psychological factors) ? 3) How differences are financial satisfaction and stability of urban housewives' according to family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 4) How differences are financial satisfaction of urban housewives' according to financial stability ? 5) How about the degree of relative contribution of background factors, family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financial stability and satisfaction of housewives'? The survey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capital city of Korea, Seoul and other major cities. The preliminary and main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between on July 6, 2005 and August 22, 2005. Among of 600 survey questionnaires distributed, 327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earcher applied the frequency, average, percentag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Cronbach' α, factor analysis,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x²,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PC WIN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findings of analysi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 of the family financial management of urban housewives showed 3.30, change-oriented, and subject financial stability showed 3.48. Financial satisfaction, however, showed 2.88 out of 5.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sis, the management behavior of the group of housewives belonging to under 45 of age and having high level of education, manager-professional status of husband's job, their own houses and lived in the area of Kangnam, and employed was change-oriented. Besides, the group beyond middle class of family cohesion and high groups of reference groups affection were change-oriented. Also, the group of housewives of under 50, above graduation from a college, office work-an independent status of husband's job, and employed, showed the good position on subject financial stability. The group of housewives who owned their house in the region of Gangnam was much better than other groups on subject financial stability. Another significant point was that the subjective family financial stability of above middle class of family cohesion was sounder than that of the low class of reference group affection. On the other hand, the objective financial stability of the group of housewives with above graduation from a college, manager-professional status of husband's job, and house possessions was good. The family of employed housewives, however, was unstable. The object financial stability of above middle class, of family cohesion and objective financial stability appeared to be good. And financial satisfaction according to background factors was high level of education housewives', manager-professional status of their husbands' job and employed housewives, house possessions, Gangnam region residence and above average in family cohesion showed higher financial satisfaction than any other groups. Third, by results of financial satisfaction and stability of urban housewives' according to family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change-oriented management behavior of housewives' groups were higher subjective financial satisfaction. Also, among the objective financial stability, emergency fund, risk provision, debt burden, and liquid index which level of change-oriented management behavior appeared to better middle class groups than low class groups. Also change-oriented management behavior groups were more financial satisfaction than any others. Forth, by the results of financial satisfaction of urban housewives' according to financial stability, the higher middle class groups than low class groups on subjective finance satisfaction. also, family income outgo, emergency fund, risk provision, debt burden, and liquid index were good, which family groups were higher family satisfaction than any other groups. Fifth, I analyzed the degree of relative contributions of background factors, family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financial stability, and satisfaction of housewives'. By the result of, high level of education housewives' groups, manager-professional status of their husbands' job, and house possession's groups, and high groups of family cohesion, more change-oriented management behavior groups showed higher financial satisfaction than any other groups. On the other hand, subject financial stability was high, by the cases of family income outgo and risk provision index among the objective financial stability was security, showed higher financial satisfaction than other groups. Consequently, in the times of economic crisis, housewives' change-oriented family finance management behavior appeared to be more desirable. Through change-oriented family finance management behavior, housewives needs try to find reasonable solution to improve family cohesion and financial stability. Specially, housewives have to make use of financial information for effective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and the financial security of family members. 2000년 이후 계속되는 내수경기 침체와 소득분배의 양극화는 실업률 상승 및 가계 실질소득 감소의 원인이 되어 가정경제에 영향을 미치게 됨은 물론 가족원의 재정만족도를 낮추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문제는 가족원간 갈등을 유발시킬 뿐아니라, 이로 인한 가정 내 경제적 문제의 갈등요인으로 작용하여 가족해체 현상으로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정의 건전한 재무관리행동은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행동은 가정의 유지, 행복은 물론 사회 전체의 역동성을 위해서도 매우 필요하다. 특히 가정경제에 어려움을 가진 주부의 합리적인 가계재무관리행동은 매우 중요하며, 가계의 재무건전성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가족원의 행복한 삶을 유도하기 위해 합리적인 가계재무관리행동, 가계재무건전성, 재정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는 현 시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는 어려운 경제위기시대, 도시주부를 대상으로 가계재무관리행동수준 및 관련변인을 연구하여 가계의 재무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며, 앞으로 가족원들이 보다 나은 경제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재무관리의 건전성을 통해 가족원의 재정적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도시주부의 가계재무관리행동, 재무건전성 및 재정만족도의 일반적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도시주부의 가계재무관리행동, 재무건전성 및 재정만족도는 배경변인(사회인구학적 변인, 사회심리적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도시주부의 재정만족도와 가계 재무건전성은 가계재무관리행동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4> 도시주부의 재정만족도는 가계 재무건전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5> 도시주부의 재정만족도에 대한 배경변인, 가계재무관리행동, 재무건전성의 상대적 기여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수도권지역에 거주하는 주부를 대상으로 2005년 7월 6일부터 7월 31일까지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고, 2005년 8월 25일부터 9월 10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600부의 질문지를 배포하여 425부가 회수되었으나 부실기재나 무응답 기재된 98부를 제외한 327부의 질문지를 본 연구의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PC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백분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Cronbach's α 계수, t-test, 일원분산분석, x² 검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도시주부의 가계재무관리행동 점수는 평균 3.30점으로, 변화지향적 관리행동을 하는 편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가계 재무건전성은 3.48점으로, 본 조사대상의 주부들은 대체로 건전한 가계재무관리를 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재정만족도는 2.88점으로 중간보다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2) 배경변인에 따른 주부의 가계재무관리행동을 살펴본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연령이 45세 미만일 때, 학력이 높고, 남편의 직업유형이 관리&#8228;전문직집단일 때, 그리고 취업주부이고, 강남지역 거주, 자가소유 집단, 가족응집성이 중간이상이며, 준거집단영향력이 높은 집단일수록 변화지향 관리행동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배경변인에 따른 주관적 가계 재무건전성은 주부의 연령이 50세 미만, 대졸이상 집단이, 남편의 직업이 사무직, 자영직 집단이 타 집단에 비해 주관적으로 느끼는 가계 재무건전성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주부 집단이고 자가소유이고, 강남지역에 거주한 주부들이 타 집단에 비해 주관적으로 느끼는 가계 재무건전성은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심리적 변인에서는 가족응집성이 중간이상인 집단이, 준거집단영향력에서는 낮은 집단이 타 집단에 비해 주관적 가계 재무건전성이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배경변인에 따른 객관적 가계 재무건전성을 살펴보면, 대졸이상이, 남편의 직업유형에서는 관리&#8228;전문직 집단이, 그리고 자가소유인 경우 안정가계에 속하며 객관적 가계 재무건전성도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부의 취업여부에서는 전업주부에 비해 취업주부의 가계 재무건전성이 보다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응집성에서는 응집성이 중간이상인 집단이 안정가계의 비율이 높았고, 객관적 가계 재무건전성도 양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배경변인에 따른 도시주부의 재정만족도의 차이에서는 학력이 높고, 남편의 직업유형이 관리&#8228;전문직인 경우, 취업주부의 경우, 강남지역거주, 자가소유 집단의 경우에 타 집단에 비해 재정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가족응집성이 중간 이상인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재정만족도가 더 높았다. 3) 도시주부의 가계재무관리행동에 따른 재무건전성과 재정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변화지향적 가계재무관리행동을 보인 주부의 경우 타 집단에 비해 주관적으로 느끼는 재무건전성이 더 높았다. 또한 객관적 가계 재무건전성 중 비상자금지표, 위험대비지표, 부채부담지표, 유동성지표는 변화지향적 가계재무관리행동 수준이 중간 이상 집단인 경우 낮은 집단보다 전반적으로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화지향적 가계재무관리행동이 높은 집단이 타 집단에 비해 재정만족도도 높았다. 4) 도시주부의 주관적 가계 재무건전성에 따른 재정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주관적으로 느끼는 가계 재무건전성은 중간이상인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재정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객관적 가계 재무건전성 중 가계수지지표, 비상자금지표, 위험대비지표, 부채부담지표, 유동성지표 모두 양호한 가계의 경우 재정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5) 도시주부의 재정만족도에 대한 배경변인, 가계재무관리행동, 주관적 가계재무건전성, 객관적 가계재무건전성 변인의 상대적 기여도는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주부의 교육수준이 높은 집단이, 남편의 직업이 관리&#8228;전문직인 집단, 자가소유 집단이 재정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사회심리적 변인에서는 가족응집성이 크고, 가계재무관리행동변인에서는 변화지향성향이 높을 때 재정만족도에 더 기여하고 있었다. 또한 주관적으로 느끼는 재무건전성 변인에서는 주관적 가계 재무건전성이 높을 때, 객관적 가계 재무건전성에서는 가계수지지표와 위험대비지표가 양호할 때 재정만족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경제위기시대에 대처하기 위하여 각 가정에서는 변화지향적 가계재무관리행동을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가족의 응집력 및 가계 재무건전성을 높이는 방안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특히 가족구성원들의 재정적 안정을 위하여 변화지향적 차원에서 각 가정에서는 재테크 정보 및 효율적인 가계재무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 문화지리적 이종공간의 서사적 위상학

        정미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문화적 경관(cultural landscape)’에 대한 학제적 연구에서 핵심 논제로 상정되는 ‘공간’의 문제에 주목하여, 서사론과 인문지리학을 위시한 현대 공간 이론과의 대화를 통해 한국 현대 소설에서 문화지리에 관한 방법적 개념을 구상하고 그 소설적 계열체들을 탐색한 결과다. 2세대 인문지리학은 장소에 대한 인간의 경험 양상을 질문하는 데서 출발하여 인문환경의 중층 속에서 구성되는 다기한 공간의 생산과 수행에 대한 관심으로 이동한다. 현상학적 공간 개념에 기초한 ‘체험 공간’의 논점을 통한 관계적·구성적 개념으로서의 공간이 문제의 관건으로 부상하는 것이다. 문학지리학 또한 이러한 공간 개념을 바탕으로 문화적 경관의 중층을 탐색하는 학제적 연구 수행의 한 방편으로 제시된다. 문학지리학의 질문은 문화지리적 현상들이 서사체에 사상되어 구성된 문학적 담론 형태로 빚어질 때, 서사화된 문화지리의 양상과 의미를 묻는 데 그 요체가 있다. 이처럼 ‘문화적 경관의 서사화’가 문제시될 때, 본고는 문화적 경관이 서사화되는 방식에서 서사체에 사상된 문화적 경관의 양상들은 실체로 전제될 수 없으며 장소와 인간이라는 두 항에 고착된 반영론적 시각에 한정될 수 없음에 주목한다. 본고 전체는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장소가 아닌 체험 공간의 논점에서 소설의 공간을 사유할 방법론적 지평을 마련하기 위해, 무엇이 장소인가 그리고 누구의 경험인가의 두 질문을 경유하여 체험 공간의 구성소인 장소, 시간, 주체의 세 국면에서 한국 현대 소설의 이종공간적 자질을 계열화한 것이 골자다. 문화지리적 현상들이 소설의 서사 담론에 산입될 때, 소설의 공간은 어떤 물리적 연장도 전제하지 않으면서도 실제하는 장소의 문화지리적 현상들과 이를 구성하는 구성소들: 장소, 시간, 주체의 배치를 복사하고 되비추는 장소 없는 공간의 자질과 기능을 보인다. 본고는 이러한 문화적 경관이 서사화되는 방식에 있어서 소설의 공간이 갖는 자질을 이종공간으로 개념화한다. 이종공간은 소설의 공간으로 문화지리적 현상들이 위상 전이되는 과정에서 빚어지는 서사공간의 기획과 구성 상의 역동을 포착하기 위한 방법적 개념이다. 체험된 장소, 시간, 주체의 세 국면에서 장소의 이종성과 시간의 이종성이 ‘무엇이 장소인가’의 질문에서 장소의 경계와 척도에 대한 항을 통해 위상적 차이로 분화된다면, 주체의 이종성은 ‘누구의 경험인가’의 질문에서 장소를 의미화하는 시선과 거리 및 매개 구도에 대한 항을 통해 위상적 차이로 분화된다. 본고는 장소의 이종성, 시간의 이종성, 주체의 이종성이라는 세 국면에서 포착되는 소설적 사례들을 한국 현대 소설의 계보에서 가능한 한 폭넓게 집적하고 거기에서 발견되는 위상적 차이와 흐름을 분절적으로 계열화했다. 소설의 공간이 갖는 이종공간적 자질과 그 이종공간의 서사성에 있어서 핵심적 요소인 장소, 시간, 주체는 장소의 이종성, 시간의 이종성, 주체의 이종성과 서사공간으로의 위상 전이 과정에서 빚어지는 양상에서의 변별성을 구체화하여 문화적 경관의 서사적 구현에서의 제재와 구성, 담론화에 있어서의 차이성을 확보한다. 이는 문화지리적 현상들의 배치에 관여된 구성소들이 서사공간으로 위상 전이되는 과정에서 각각 실제적 지리, 실재적 지리, 심상지리로 계열화되는 위상적 구조의 세 층위와 위상적 차이를 말한다. 체험된 지리 감각으로부터 출발하여, 이 지리 감각의 연원과 결부되어 있는 공간적 배치성을 도해하는 서사공간은 실제적 지리에서 실재적 지리로의 이행으로 이해되는 위상적 차이의 한 국면이다. 또한 이러한 공간적 배치성을 재정위하여 각각 장소, 시간, 주체의 배치성을 국지화하는 서사공간은 실재적 지리에서 심상지리로의 이행으로 이해되는 위상적 차이의 또 다른 국면이다. 이와 같은 서사공간의 위상적 차이성은 체험 공간의 모의를 통하여, 미리 부여된 정태적인 것으로 이해되었던 세 요소에 대한 체험이 동반하는 배치와 질서 그리고 구성의 차원들을 증강하는 방식으로 담론화되는 문화지리적 이종공간의 서사적 구현 양상의 중핵을 이룬다. 이는 허구적 서사담론의 공간적 수행과 영역 횡단의 모의를 가시화함으로써 문화지리에 대한 서사지리학의 지평을 재구획한다. 장소, 시간, 주체의 세 국면에서 드러나는 문화지리적 이종공간의 서사적 위상은 문화지리의 심상에 사상된 원본성 없는 배치의 공간성을 전경화하고 가로지르는 문학적 담론 형태의 공간에 대한 관심으로 서사지리학의 방법적 시각을 이동하게끔 한다. 이를 통해 본고는 서사공간이 구현할 수 있는 문화지리적 담론의 양상에 대한 방법과 지평을 재고하고, 구성적·관계적 개념으로서 공간을 이해하는 시각을 문화지리에 관한 주제에서 제안하여 소설이 문학지리학의 자료가 아니라 문화지리의 담론 장에서 다기한 문학적 담론 형태로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필요성을 제시했다. 문화적 경관에 대한 관심은 근대 이후 탈장소화의 패러다임 속에서 인간이 장소에 대해 질문하기 시작했다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 인간과 직접적인 매개로 단단하게 결합하는 장소적 사유의 불가능성에 대한 인식에서 촉발된다. 공간이 배치의 문제이고, 이것은 지리의 문제라고 할 때, 공간 분할과 구획 그리고 그 경계를 점이지대로서 넓히는 서사공간의 계열체들은 문화지리적 이종공간의 기획과 생산을 통하여 지리적 세계를 증강하고 변화시키는 담론의 방식으로서의 문학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처럼 탈장소화의 문화적 패러다임에서 장소로 통합되지 않는 공간의 생산을 돕는 서사체의 이종공간적 자질은 공간의 메타지리학으로서 작동하는 서사공간의 담론적 위상을 증명한다. Space is a key concept in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cultural landscape. This thesis considers the methodical concept of cultural geography in modern Korean novels through dialogue with post/modern spatial theory such as narratology and human geography, and explores novel series. Second-generation human geography begins by asking about the human experience of a place, but it does not stop there. It is shifting to the interest in production and spatial performance of various spaces constituted in multiple layers of the human environment. Emerging as the key to the problem is the space as a relational and constructive concept through the point of ‘erlebter Raum’ based on the concept of phenomenological space. Literary geography is also presented as a way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to explore the multiple layers of cultural landscape based on these spatial concepts. The question of literary geography is that when cultural geographical phenomena are made into literary discourse composed of narratives, they ask about the aspect and meaning of the narrated cultural geography. When this ‘narrative of cultural landscape’ is questioned, this thesis focuses on two premises. First, aspects of cultural landscape mapped to a narrative can not be assumed as a substance. Secondly, the narrated cultural landscape can not be confined to a reflective view fixed to both the place and the human being. The whole of this thesis goes through two questions in order to establish a methodological perspective to think about the space of novel in ‘erlebter Raum’, not place, based on this premise. What is the place and whose experience. Through these two questions, this thesis is the sequencing of the heterotopia qualities of Korean modern novel in three phases of ‘erlebter Raum’ : place, time, and subject. It should be noted that when cultural geographical phenomena are incorporated into narrative discourse, the space of the novel does not presuppose any physical extension. The space of the novel shows the qualities and functions of ‘space without place’ which copy and reflect the cultural geographical phenomena of the actual place and the agencement of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it. The qualities of these narrative spaces are conceptualized as heterotopia in this thesis. Heterotopia is a methodological concept to capture the planning and compositional dynamics of the narrative space formed by the process of phase transition of cultural geographical phenomena into the space of novel. In the three aspects of the experienced place, time, and subject, the heterogeneity of the place and the time are differentiated into a topological difference through the terms of the boundary and scale of the place in the question ‘what is the place.’ In addition, the heterogeneity of the subject is differentiated into a topological difference through the question of ‘who' s experience,’ which is a term for the meaning, the distance, and the mediating composition. This thesis integrates the fictional cases captured in three aspects of the heterogeneity of the place, the heterogeneity of the time, and the heterogeneity of the subject as broadly as possible in the genealogy of modern Korean novels and segregates the topological differences and flows found there. The heterotopia qualities of the narrative space and the key elements of narrativity of the heterotopia are the place, time, and subject,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the heterogeneity of the place, the heterogeneity of the time, the heterogeneity of the subject and the phase transition process in the narrative space and the differences in sanctions, composition, and discourse in the narrative implementation of cultural landscapes. This refers to the three-tiered and topological difference of the topological structure sequenced by actual geography, real geography, and imaginary geography, respectively, which are revealed in the phase transition of constituents involved in the arrangement of cultural geographical phenomena to narrative space. The narrative space, starting from the experienced geographical sense and illustrating the spatial arrangement associated with this geographical sense, is an aspect of the topological difference understood as the transition from actual geography to real geography. Also, the narrative space that localizes the agencement of each place, time, and subject to redefine this spatial agence is another phase of the topological difference understood as the transition from real geography to imaginary geography. In this way, the topological difference of the narrative space, through the simulation of ‘erlebter Raum,’ is a cultural geographical discourse as a way of enhancing the dimensions of agence, order, and composition accompanied by the experience of the three elements, It forms the core of the narrative embodiment of heterotopia. Differentiality is a key issue. This redefines the narrative geography of cultural geography by emphasizing the spatial performance of fictional narrative discourse and the simulation of cross-domain. The narrative phase of the cultural geographical heterotopia revealed in three aspects of the place, time, and subject reveals the spatiality of the originalityless agencement that is thought in the image of cultural geography and shifts the methodological perspective of narrative geography by the interest in the space of literary discourse. In conclusion, this thesis reconsideres the method and the horizon for the aspect of the cultural geographical discourse that narrative space can simulate and suggests the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space as the constitutive and relational concept in the topic of cultural geography, And that the novel should be understood as participating in the form of various literary discourses. The interest in cultural landscapes begins with the question of what human beings are in the paradigm of displacement since the modern times. This is triggered by the perception of the impossibility of a place that is tightly coupled with a direct mediation and the impossibility of place-based reasoning. Space is a matter of placement, and this is a matter of geography. At this time, the series of spatial divisions and compartments and the narrative spaces that extend the boundaries as dots can be understood as literature as a way of discourse that enhances and changes the geographic world through the planning and production of cultural geographical heterotopia. Thus the heterotopia qualities of the narrative that help to produce spaces that are not integrated into the place from the cultural paradigm of displacement demonstrate the discursive status of the narrative space as a meta-geography of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