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電氣災害 特性 把握을 爲한 分析 : Analysis for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Electrical Disasters

        정동민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우리나라는 경제 성장과 더불어 매년 전력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전기재해의 종류와 유형들은 다양해지고 있으며, 전기재해율도 점점 증가하고 있지만 전기재해를 줄이기 위한 예방대책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전기재해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계절, 시간, 유형, 장소 등의 분석을 바탕으로 전기재해를 예방 할 수 있는 방안과 전기 취급 사용시에는 사전점검, 적절한 보호구 착용, 올바른 전기 기계 기구의 사용 등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한다. 또한 큰 재해로 확산 되지 않도록 초기 대응이 얼마나 중요한지 비교 분석하여 인적 물적 피해를 줄이고, 전기재해를 줄이는데에 연구 목적이 있다. 2017년에서 2021년까지 우리나라의 최근 5년간 발생한 전기재해 중 전기화재의 경우 총 화재에 대비하여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고, 주거시설이나 산업현장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이는 과전력 사용, 기온이 높거나 낮은 계절에 많이 사용하는 냉난방기와 노후화 된 전기기기가 주 원인이었다. 감전사고와 전기설비사고 또한 기온이 높거나 낮은 계절에 산업현장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감전사고의 경우 30대이상 남성에게서 많이 발생했고, 이는 30대이상 남성이 전기관련 직종 업무에 많이 종사하고 있었다. 전기재해 예방활동을 하는 산업현장에서는 일반재해 중 전기재해율이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첫째 정기적인 전기재해예방 체크리스트를 별도로 작성하여 관리한다. 둘째 전기기계 기구 반입 및 사용시에는 최초점검, 정기점검, 수시점검 등을 통해 점검을 한 후에는 컬러스티커로 점검표식을 부착 하여 관리한다. 셋째 가설분전함 및 전기기계 기구함 등에는 관리책임담당 정, 부를 지정하여 담당자 외에는 조작하지 않도록 한다. 넷째 전기안전관리자, 전기담당자들도 정기적인 안전교육의 이론교육뿐 아니라 실습을 통해 실제 위험요소와 안전수칙을 숙지 할 수 있도록 실습한다. 다섯째 전기재해가 발생하였을 때 비상상황을 신속히 전파 하고 초기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정기적으로 비상훈련을 실시한다. 전기재해 종류와 특성을 파악하여 예방대책을 제시 하였고, 앞으로 전기수요가 매년 증가하는만큼 전기재해의 종류와 특성도 점차 증가 할 것이다. 전기재해가 발생되기 전에 종류와 특성을 미리 파악하고 분석한다면 그에 맞는 예방대책이 될 것이다.

      • 온라인게임 트레일러(Trailer)에 적용된 모션그래픽 표현 연구 : 국내 온라인게임 트레일러를 중심으로

        정동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온라인게임 트레일러의 동영상은 과거와는 다르게 현재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짧은 시간동안 게임이용자들의 눈과 귀를 사로 잡아야 하므로 더욱 화려해지고 점점 더 높은 수준의 퀄리티를 요구하게 되었고 여기에 복잡하고 어려운 내용전달에 있어서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정보전달의 형태인 모션그래픽이라는 분야가 더욱 시각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 되고 있다. 본 논문은 광의적인 모션그래픽의 내용에서 온라인게임 트레일러 동영상이 온라인게임에 차지하는 비중과 모션그래픽 표현사례를 분석하여 온라인게임 트레일러 동영상에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으로 모션그래픽이 표현되었는지, 온라인게임 장르별 특성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적용되었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온라인게임 트레일러 제작 시, 보다 효과적인 모션그래픽 사용과 활용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연구하고자 하였다. 게임 트레일러에 적용된 모션그래픽은 표현양식이 단조롭고 장면전환과 카메라이동이 대다수 일률적이며 특징을 찾아낼 수 없었다. 게임 장르의 특징에 따른 독창적이고 참신한 모션그래픽이 적용된 트레일러의 사례가 많지 않았으며, 게임제작사는 게임 트레일러 동영상의 제작에 기술적, 경제적 부담감을 느껴 게임 트레일러 제작에 미온적 태도를 보인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이는 역설적으로 다양한 모션그래픽의 표현양식을 사용하고 독창적이고 참신한 모션그래픽 표현을 통해 게임 트레일러의 제작이 이루어진다면 게임제작사의 게임 트레일러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고 그 인식변화가 다시 모션그래픽의 발전과 모션그래픽 표현을 다양화한다고 할 수 있겠다. 게임 트레일러 동영상 제작 시 모션그래픽은 게임의 정보 전달과 홍보의 목적으로 유저들에게 시각적인 구성 요소의 활용을 극대화하여 게임을 이해시키고 홍보할 수 있어야 한다. 게임 트레일러 동영상을 제작함에 있어 게임의 특성을 잘 살릴 수 있는 독창적이고 차별화되는 영상이 제작되어야 하며 다양한 모션그래픽 구성요소의 표현방법을 활용하여 유저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기대감을 높일 수 있고 수용자들에게 오래 기억될 수 있도록 게임 트레일러 동영상이 제작되어야 한다. 이러한 게임 트레일러 동영상에서 모션그래픽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게임 트레일러의 동영상이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과 홍보마케팅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게임 트레일러 동영상이 독립적인 분야로 확립되고 활용되어 질적인 발전을 도모하고자하며 모션그래픽이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으로 활용되고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표현되어지도록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nline game trailer is receiving much attention the here and now more than the past from the game users. online game trailer has to catch the eyes and the ears of the game users in a short period of time, so online game trailer came out more impressive visual effects and required the more and more high-level quality of visual elements, also try to delivery the complex and difficult contents effectively and expeditiously. Easy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e motion graphic, it is coming to the fore an important element in the visual communications filed. This study is researched the general motion graphics the first. secondly the research is find out the proportion of online game trailer in the online game part, also analyzes the motion graphic representation cases and the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s of online game trailer. And third, considering the character of online game field, the research analyzes how to apply the motion graphic expressions with the special effec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ective use ways of the motion graphic for making online game trailer. Until now, the representation type of motion graphic is so monotonous and camera movement and switch of scene also humdrum in online game trailer, for this reason this motion graphics using a variety of game genres due to the lack of features unique and innovative motion graphics, motion graphics have been applied to the trailer by using easy to distinguish the game trailer of the game because the game makers feel the pressure to produce a trailer of the movie trailer made the game appear on the lukewarm attitude. The expression of the variety of motion graphics and creative and novel form of graphical representation of motion is achieved through the creation of the game trailer, game trailer of the game publisher to change the perception and that perception is changing again, with the development of motion graphics Motion is a graphical representation will diversify. Trailer of the game's motion graphics for the purpose of information transfer and outreach to the user to maximize the use of visual components, the game should be designed to promote understanding. As the game's trailer, online game production can maintain the characteristics of well-differentiated images are unique and must be produced by expressing a variety of motion graphics to take advantage of the component causes the user's curiosity and anticipation can increase the audience for a long time be remembered that the video game trailer should be made. This study is , through a case study analysis, suggested an effective use ways of the motion graphic for making online game trailer with a basic understanding of game trailer and also find out to apply the representation type of the motion graphics in the various visual effects. In conclusion, the game trailer i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motion graphics application, so the video game trailer use practicable the effective way of promotion marketing and the way of communication between producer and user. Also, the video game trailer has to establish its own independent domains for the qualitative development that is the important way by communication.

      • (The)descriptive and constructive approaches to CW-complexes

        정동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8655

        本 論文의 目的은 CW-複體를 두가지 方法(記述的 및 構成的)으로 定義하고 이들 두 定義가 同値임을 證明하는 것이다. 第2章 에서는 接着空間과 弱位相에 關한 性質을 調査하였고, 第3章 에서는 胞體的 複體를 定義하고 그들의 몇가지 性質을 證明하였다. 第4章 에서는 CW-複體를 記述的 接近에 의하여 定義하고 CW-複體의 여러가지 性質을 調査 하였다. 第5章 에서는 接着空間의 槪念을 이용하여 CW 複體를 構成的 接近에 의하여 定義하고, 위의 두가지 接近에 의한 定義가 同値임을 證明하였다. 本 論文의 主 定理는 定理5.3, 5.4, 그리고 5.6이다. In this paper, we shall define the CW-complex by means of two methods (the discriptive approach and constructive approach to CW-complexes), and prove the above two definitions are equinalent. Chapter 2 is drvoted to define the adjunction space and the weak topology, and discriptive some it's properties. In chapter 3, we shall introduce the cell-complexes and prove some it's properties. In chapter 4, we shall define the CW-complexes by means of the descriptive approach, and prove their useful properties. In chapter 5, using the notion of the adjunction space, we shall give the constructive approach to CW-complexes. And we shall prove the above two definitions of the CW- complexes are equivalent. Our main theorems are Theorem 5.3, 5.4, and 5.6.

      • 高句麗와 隋 전쟁 연구

        정동민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A study on the wars between Goguryeo and Sui In this article, I try to understand the Goguryeo - Sui wars by examining the wars from the perspective of military history such as composition of the army, the system of weapons and army branches, the advance routes and the strategies and tactics used in the military history and understanding aspects of combats shown in the wars as much as possible. The preface of Goguryeo - Sui Wars were Goguryeo's attack to Yoseo(遼西- west of Lyoha) in 598. Goguryeo intended to prevent a total war against Sui by crushing the will of attack of Sui through the subordination of Sokmalmalgal. However, Emperor Wen of Sui (隋文帝) made an expedition to Goguryeo, as the Yoseo attack of Goguryeo braked the expansion of influence of the Sui on the Yoseo area and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between Turk and Goguryeo became higher. Sui, defeating Goseuryeo's Yoseo attack, appointed Hanwang Yangryang and Wang Sejeok as a Commander of Military (Haenggunwonsu), Ko Kyung as an Assistant General of the Army (Wonsujangsa), and Jurahu as an Admiral of the Navy (Sugunchonggwan) and composed an expedition military of 300,000. Kokyung took control of the army. Corps led by Wang Sejeok and Ko Kyung left Rimyukwan for Ryuseong where Hanwang Yangryang's troops were stationed. They intended to advance to Goguryeo with the troop led by Yangryang, but they met serious problems such as shortage of food and epidemic of contagious diseases. It is supposed that Ko Kyung addressed retreat and Hanwang Yangryang advance. As Wang Sejeok trusted and had good relations with Ko Kyung, it is highly probable that he agreed to Ko Kyung. Accordingly, Ko Kyung and Wang Sejeok retreated from Ryunseong, while Hanwang Yangryang advanced to Goguryeo as he planned. The troops led by Hanwang Yangryang suffered from shortage of food and contagious diseases. And the navy led by Jurahu also drifted and sank in a strong wind, and the expedition failed. Although there are many failure factors for the expedition such as lack of preparation for war and wrong selection of time for the expedition, it is believed that inability of Hanwang Yangryang accounted for the failure of expedition failure. Goguryeo - Sui War in 612 took place in the process that the Sui tried to interrupt the possibility of the connection between Goguryeo and Turk, the Emperor Yang of Sui tried to confirm the emperor's authority and show off his dignity through the war and the foreign policy of Sui was changed into "Saijuto" (To Subjugate the barbarians of the four countries). At that time, military of Sui was composed of the army and the navy. It has been known that the army was composed of 30 corps such as 24 general corps and Emperor's 6 corps based on the protocol of the Emperor Yang of Sui. However, Suseongdogun, Jeungjidogun, Heomdokdogun, Sinseongdogun and Roryongdogun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o those 30 corps. Referring to the record from Takkun ‘a corps departed everyday and it took 40 days for the whole army departed', it is guessed that the army was composed of 40 corps rather than 30 corp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only one corps such as Changhaedogun in the navy. Among 1,113,800 who participated in the expedition to Goguryeo, 70,000 people were thought to be the navy such as 10,000 boatmen, 30,000 archers and 30,000 spear throwers mobilized in April, 611. The army is estimated as 1,063,800 subtracting the number of the navy. Looking at the command system of the navy, there was a general (Daejang), a vice general (Ajang), a Gamgun and a Suhangsaja in each corps and then a Pyeongjang in each Dan. Daejang was the top commander of the army and Daejanggun (Jeong-3-pum) or Janggun (Jong-3-pum) took the position. Right below Daejang, there is an Ajang and it seemed that Mubunrangjang (Jeong-4-pum) took the office. Gamgun was taken by Jangsa. It is supposed that the role of Gamgun might be assisting and advising Daejanggun and managing, supervising, superintending, and controlling the army. Suhangsaja would receive the surrender of the army of Goguryeo, the emperor's protocol and console the public as well as control and check Daejang. It is supposed that Suhangsaja was appointed among Grade 4 or 5 public servants (4-pum or 5-pum) belonging 5 Seongs or 3 Daes rather than 12 Wis where Daejang may have influence. Emperor Yang of Sui tried to reinforce the emperor's power through the image of the victorious emperor bestowing tolerance on enemies through the deployment of Suhangsaja. The army of Sui Dynasty was composed of cavalry, infantry and the Quartermaster Corps (Chijungyunggeosangbyeong). Main force of cavalry was heavy cavalry composed of long-spear corps and bow-arrow corps. Infantry was composed of catapult corps and spear corps. Main force of Quartermaster Corps were Moin (募人). It is guessed that reserve troops temporarily filling troops, militia carrying munitions supplies and craftsmen making siege machines belonged to this corps. It is estimated that general army had 4,000 cavalry, 8,000 infantry 8,000 and 13,000 quartermaster corps to make sum of 25,000, and Emperor's 6 Corps had 5,000 cavalry, 10,000 infantry and 20,000 quartermaster corps to make sum of 35,000. On the other hand, navy had catapult corps and spear corps. It was made up of 10,000 boatmen, 30,000 archers and 30,000 spear throwers. Sui expeditionary force left Takkun in January, 612 and Liao in March passing Limtugwan, Rohajin or Hoiwonjin to replenish supplies. After they crossed Liao in April, the developed siege warfare. The Navy Command had to report the situation to the Emperor Yang of Sui and follow the instructions. Emperor Yang stayed in Limhaedon presumed to be Keumju area at the lower part of Daereungha at present. They struggled in siege warfare because of problems in command system such as lack of promptnes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bat commander and Emperor Yang and Emperor Yang's failure to understand the situation through agents and excellent castle defense of Goguryeo using long-range weapons such as catapults. When they had hard times in the siege warfare, Emperor Yang organized a detached force to go directly to Pyongyang, leaving unoccupied castles in Goguryeo. The detached force was actually composed of 12 corps, contrary to what was thought to be 9 corps previously. Each corps composing of the detached force was given a detached force mission during the march from Rohajin or Hoiwonjin to Goguryeo using different paths. They met with corps with the same mission on the west side of the Yalu River (Amnokgang), and marched together to Pyongyang. However, as military goods to be carried by the military have increased, soldiers who could not carry the military supplies threw away some of the provisions and the detached force suffered from a shortage of food. The a detached force, which had forcibly advanced to Pyongyang in this state, was defeated in Salsu by being caught in Goguryeo's clear night tactics, retreat induction tactics, delay tactics and ambush tactics. They also succumbed to the ambush of Goguryeo in Pyongyang. Eventually, they withdrew due to failures of the detached force in the siege warfare and defeat of the navy. Emperor Yang of Sui went on an expedition to Goguryeo in 613 and 614 consecutively. Looking into the army composition at the Goguryeo - Sui War in 613, it was found that they used the same names as they were in Goguryeo - Sui War in 612. In the army, Buyeodogun, Galseokdogun, Noryongdogun, Dabdondogun, the army that attacked Yodong (Liaoyang) Province, and the detached force that was going to advance directly to Pyongyang were identified, and in the navy Changhaedogun and Chosundogun were identified. In the case of Goguryeo - Sui War in 614, the military composition of Sui are not known. The one thing known to us is that in both the 613 and 614 wars, the army had about 25,000 troops. And on the command system, the top commander of the army was called the 'Military Commander (Gunjang)' rather than 'General (Daeja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general military forces, volunteers (Hyogwa) who participated in the war voluntarily in addition to conscripted soldiers (Bubyeong) were deployed. Although Emperor Yang of Sui, in the expedition to Goguryeo in 613, deployed Hyogwa, placed military bases for the provisions in the places near to the Goguryeo territory, empowered the commander to make a decision, and divided the navy into two corps, he used almost the same tactics and strategies in the war in 612 such as using many different routes to go into Goguryeo and using a detached force to directly go to Pyongyang. It was because if he greatly changed his strategy and tactics, it would be interpreted as he acknowledged his mistake as the supreme conductor of the Goguryeo - Sui war in 612. Sui made an expedition to Goguryeo in 613 and 614 based on these strategies and tactics, but they were forced to withdraw because of insurrection in various places such as the rebellion of Yanghyeongam. 高句麗와 隋 전쟁 연구 본 연구에서는 고구려․수 전쟁에 대해 군대의 편성, 무기 및 병종 체계, 진군 노선, 전략과 전술 등 주로 군사적 측면에서 접근하면서, 고구려․수 전쟁의 전투 양상을 최대한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고구려․수 전쟁의 서막은 고구려 遼西 공격이었다. 고구려는 遼西 공격을 통해 속말말갈의 복속을 수에 과시함으로써 수가 전쟁 준비를 하기 전에 공격 의욕을 좌절시켜 수와의 전면적인 전쟁을 막고자하였다. 반면 수 문제는 고구려의 遼西 공격으로 인하여 遼西지역에 대한 영향력 확대에 제동이 걸리고, 돌궐과 고구려의 연계 가능성을 확인하면서 고구려 원정을 감행하였다. 수는 육군 行軍元帥로 漢王 楊諒과 王世積, 元帥長史로 高熲, 그리고 水軍總管으로는 周羅睺를 임명하여 30만 원정군을 편성하였다. 육군은 高熲이 군수통수권을 장악하고 통솔하였다. 王世積과 高熲이 이끄는 군대는 臨楡關을 출발해 柳城에서 楊諒이 이끄는 군대와 합류하여 고구려로 진군하고자 하였는데, 군량 부족 및 전염병이 유행하는 등 심각한 문제에 봉착하였다. 이 때 高熲은 회군, 楊諒은 진군을 주장하였는데, 高熲과 두터운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던 王世積은 회군을 결정하였다. 楊諒은 계획대로 고구려로 진군하였는데, 楊諒이 이끄는 군대 또한 군량 부족과 전염병에 시달렸다. 그리고 周羅睺가 이끄는 水軍 또한 거센 바람에 표류하고 침몰하면서 원정은 실패로 귀결되었다. 고구려 원정의 실패 요인으로는 전쟁 준비 부족, 원정시기의 오판 등을 들 수 있지만, 원정 실패의 피해를 키운 것은 楊諒의 무능함과 욕심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612년 고구려․수 전쟁은 수가 고구려와 돌궐의 연계 가능성을 차단하고, 전쟁을 통해 황제의 권위를 확인시키고 위엄을 과시하려는 수 양제의 개인적 목적과 더불어 수의 대외정책이 ‘四夷誅討’로 전환되는 과정 속에서 일어났다. 수군은 크게 육군과 水軍으로 편성되었다. 종래 육군에 대해서 수 양제의 조서를 바탕으로 ‘24군 + 天子 6軍’ 등 모두 30개 군으로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그런데 30개 군 이외에 遂城道軍, 增地道軍, 險瀆道軍, 新城道軍, 盧龍道軍 등이 확인된다. 涿郡에서 ‘매일 한 군이 출발하여 40일이 되어서야 마쳤다’는 기록을 참고해 볼 때, 육군은 40개 군으로 편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水軍은 滄海道軍 1군만 편성되었다. 고구려 원정에 참전한 1,113,800명 가운데 611년 4월에 동원된 水手 10,000명, 弩手 30,000명, 排鑹手 30,000명 등 총 70,000명은 水軍으로 추정되고, 육군은 이를 뺀 1,063,800명 정도로 추정된다. 수 원정군의 지휘 체계를 살펴보면, 각 군대에는 大將, 亞將, 監軍, 受降使者가 각각 한명씩 있었다. 大將은 정3품인 大將軍이나 종3품인 將軍이 맡았고, 亞將은 정4품 武賁郎將이 맡았다. 監軍은 長史가 맡았는데, 大將軍을 보조하면서 조언을 하거나 군을 관리․감독․감시․통제하는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受降使者는 大將급인 3품보다 1품 혹은 2품이 낮은 4~5품 관리가 맡았는데, 정식으로 고구려군의 항복을 받아내고, 황제의 조서를 받들었으며, 백성을 慰撫하는 역할을 하였다. 수 양제는 受降使者 배치를 통해 적군에게 아량을 베풀면서 승리를 거둘 줄 아는 군주상을 대거 표출함으로써 황제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수나라 육군의 각 군은 기병, 보병, 輜重戎車散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기병은 중장기병이 주력으로 장창부대와 弓矢부대가 있었고, 보병은 쇠뇌부대와 창부대가 있었다. 輜重戎車散兵은 募人들이 주축이었는데 일시적으로 병력 수만 채우는 예비군, 戎車를 이용해 군량 등 물자를 옮기는 보급병, 공성 기계를 만드는 工人 등이 소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 육군의 각 군은 기병 4,000기․보병 8,000명․輜重戎車散兵 13,000명 등 총 25,000여명, 天子 6軍의 각 군은 기병 5,000기․보병 10,000명․輜重戎車散兵 20,000명 등 총 35,000여명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水軍은 弩手 30,000명, 排鑹手 30,000명으로 이루어져 있고 쇠뇌부대와 창부대가 있었다. 수 원정군은 612년 1월에 涿郡을 출발한 이후, 臨渝關을 지나 瀘河鎭 혹은 懷遠鎭에서 군수 물자를 보급 받은 후 3월에 遼水에 이르렀고, 4월에 요하를 건넌 후부터는 공성전을 전개하였다. 수군 지휘부는 전투에 대한 모든 상황을 수양제에게 보고하고 그 지시를 따라야만 했는데, 당시 수 양제는 臨海頓에 머물고 있었다. 결국 전투 지휘관과 수 양제 사이의 보고․지시의 신속성 결여 및 수양제가 受降使者를 통해 보고를 받음으로 인한 전황 파악 실패 등 수 내부의 지휘체계의 문제점과 더불어 쇠뇌 등 우수한 원사무기를 활용한 고구려의 뛰어난 성곽 방어술로 인하여 수군은 공성전에서 고전하게 된다. 이에 수 양제는 점령하지 못한 고구려성들을 남겨둔 채 직접 평양성으로 진군하기 위한 별동대를 편성하였다. 별동대는 종래 9군으로 보았던 것과 달리 12개의 군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별동대를 구성하고 있었던 각 군은 瀘河鎭이나 懷遠鎭에서 출발하여 각기 다른 경로로 고구려로 진군하는 도중에 별동대 임무를 부여받았고, 압록수 서쪽에서 같은 임무를 맡은 군과 만나서 함께 평양성으로 진군하였다. 그런데 군사가 짊어져야 할 군수 물자가 늘어남에 따라 군수 물자를 감당하지 못한 군사들이 군량을 버리게 되면서 별동대는 식량 부족에 시달리게 되었다. 이런 상태에서 무리하게 평양성으로 진군하였던 별동대는 고구려의 청야 전술, 후퇴 유도 전술, 지연 전술, 매복 전술 등에 걸려 들음으로써 살수에서 대패하였다. 수나라의 水軍 또한 평양성에서 고구려군의 매복에 걸려 대패하였는데, 결국 수군은 공성전에서의 고전, 별동대와 水軍의 패배로 인하여 철군하였다. 수 양제는 613년과 614년 계속해서 고구려 원정에 나섰다. 613년 고구려․수 전쟁에서 수는 612년 전쟁 때 편성된 軍名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613년 편성된 군대로 육군으로는 扶餘道軍, 碣石道軍, 盧龍道軍, 蹋頓道軍, 요동성을 공격한 군대, 평양으로 직접 진군하려고 했던 별동대 등이 있었고, 水軍으로는 滄海道軍, 朝鮮道軍 등이 있었다. 그리고 육군 각 군의 병력 수는 613년과 614년 모두 612년 전쟁 때와 같은 약 25,000명이었다. 지휘 체계에 있어 군의 최고 지휘관으로 ‘軍將’을 임명하였고, 병력 구성에 있어서는 부병 이외에 모병을 통해 驍果를 대거 선발하였다. 612년 전쟁과 비교해 보았을 때 수는 고구려 강역에 보다 가까운 곳에 군수 보급기지를 두고 지휘관에게 편의종사권을 부여하였으며 水軍을 2개의 군으로 편성하는 등의 변화를 주었지만, 고구려로 진입하는데 있어 여러 루트를 이용하였고 평양성으로 진군하는 별동대를 편성하는 등 전체적으로 전략․전술에 큰 변화를 주지 않았다. 이는 612년 전쟁 당시 수 양제 자신의 전략 실패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수는 이러한 전략을 토대로 613년․614년 전쟁을 수행하였지만, 楊玄感의 반란 등 수 내부 각지에서의 봉기로 인하여 철군할 수 밖에 없었다. 수 내부에서 농민 봉기가 확산되는 가운데 수 양제는 친위군의 쿠데타에 의해 살해되고, 군웅 할거세력 가운데 하나였던 李淵이 황제로 즉위하여 당을 세우면서 수는 멸망하고 말았다. 수의 멸망으로 인한 다원적인 국제 질서 속에서 고구려는 주변국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통해 전쟁으로 인한 인적․물적 자원의 회복과 왕위 교체로 인한 어수선한 분위기 수습이라는 당면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 네비게이션 메쉬 상에서 LOS와 가시성그래프를 이용한 효율적인 경로계획

        정동민 東國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efficient path finding method on a 3B terrain represented with navigation mesh. Our method introduces visibility tests and integrates the visibility information into the A^(*) search heuristic. When the path planning is performed on a highly detailed terrain represented in a polygonal mesh, the search can be very inefficient due to the large search space. Our method uses the visibility tests with the A^(*) algorithm. When the A^(*) algorithm is applied to elaborated polygonal meshes for detailed terrain representation, the path finding can be very inefficient because there are too many states (polygons) to be searched. In our method, we reduce the search space by using visibility tests so that the search can be fast even on the detailed terrain with large number of polygons. First we find the visible vertices of the obstacles, and define the heuristic function of A^(*) as the distance to the goal through those vertices. By doing that, the number of states that the A^(*) search visits can be substantially reduced compared to the plane search with straight-line distance heuristic. By finding visible vertices of obstacles and defining heuristic as a distance of the path that goes though those vertices, we can reduce the search space by avoiding unnecessary searching. Through several examples, it is shown that our method reduces the number of states visited substantially.

      • 성분분석 기반 점진적 특징 추출을 이용한 얼굴 인식 모델

        정동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is thesis, two kinds of new feature extraction algorithms are proposed. The first algorithm considering both two-directional two-dimensiona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2D)2PCA) and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ICA), called (2D)2PCA-ICA, is proposed for face representation. This general feature extraction algorithm analyzes the principal components of image vectors on 2D matrices by simultaneously considering the row and column directions as opposed to the standard PCA based on 1D vectors, and transforming those principal components to the independent components that maximize the non-Gaussianity of the sources. These two major techniques such as (2D)2PCA and ICA are used sequentially in order to obtain the most efficient features that properly describe a whole set of human faces in face databases. And the second algorithm considering incremental learning scheme, called incremental (2D)2PCA, is also proposed for online learning. The proposed algorithm using 2D image matrices is based on incremental PCA(IPCA). The proposed algorithms are applied to the face recognition problem. Simulation results on ORL, Yale B and Essex face database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achieves high average success rate in face recognition compared with other models. And it is also tested to apply for non face (ex. object) recognition using Caltech101 database.

      • 아파트형공장에 대한 적재하중에 관한 연구

        정동민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0 국내석사

        RANK : 248639

        Ⅰ. Introduction The concept of flatted factory building is to maximise usage of limited prime industrial land located in areas of high population density with a complete network of infrastructure. As flatted factory building is introduced, structure designer have doubt about live load for the buil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ategory of industry fitting to flatted factory building, and to provide the design guidelines on the live load for flatted factory building. Ⅱ. Contents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as follow; 1. Restricting in category of industry fitting to flatted factory building. Flatted factory buildings are designed to accomodate light industries especially clean and pollution-free industries. 2. Surveying live load about 170 types of industries. 3. Drawing up structural plane. 4. Calculating UDL (uniformly distributed load) and EDUL (equival uniformly distributed load) by computer program. Ⅲ.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mean and COV(coefficient of variance) of EDUL are bigger than that of UDL. 2. Considered of 95% limiting value, the followings may be suggested as live loads: 725kg/㎡ for the whole type of industry, 635kg/㎡ for the assembly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products, 560kg/㎡ the textile industry, 815kg/㎡ the metal-plate working products. 3. As the workshop space of factory is bigger, UDL reduces. 4. Maximun load is no less than 1ton/㎡ in the histogram, but it can be ignored because of rare frequency. 5. It is reasonable that the industry of light live load such as assembly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products, textile industry is located in the upper floors. 6. The preciser impact and vibration of the machinery must be studied.

      • 실시간 SAR 영상 생성을 위한 Range Doppler 알고리즘의 FPGA 기반 가속화 설계에 대한 연구

        정동민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SAR 영상 생성을 위해, 여러 분야에 걸쳐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SAR 알고리즘 중 주파수 영역에서의 연산의 단순함을 이용하여 영상 생성 속도와 영상의 품질에 대한 교환 관계를 가장 잘 만족하는 RDA를 선택하였고, 이를 가속화하기 위한 FPGA 기반 SAR 프로세서를 제시하며, 구현 및 실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RDA의 연산 과정 중에서 거리 및 방위 압축 연산을 가속하기 위해 고속의 FFT 하드웨어 구조인 시스토릭 어레이 구조를 사용하는 base-b 알고리즘 기반 FFT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면적과 속도의 교환 관계를 가장 잘 만족하는 정합 필터를 설계하였고, 항공기에 탑재된 레이더가 움직이면서 지표를 관측함에 따라 관측 거리가 변하기 때문에 생기는 RCM을 보상해 주기 위한 고속의 싱크 보간(sinc interpolation) 연산을 수행하는 RCMC 프로세서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정합 필터 및 RCMC 프로세서를 검증하기 위해 Xilnx Alveo FPGA 플랫폼에 커널 형태로 탑재하여 병렬 및 다채널 구성으로 Python 환경에서 검증을 진행하였으며, 256×256 크기의 데이터에서 4096×4096 크기의 데이터까지 다양한 크기의 점표적 데이터에 대해 커널 개수를 변경하면서 처리 시간을 측정하였고, 실험 결과, 커널이 5개 이상일 경우에 수행 시간이 수렴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Nvidia RTX3090 GPU와의 연산 시간과 비교하면 4096×4096 데이터 기준 FPGA 가속이 커널을 7개 사용했을 때, GPU 보다 약 2배 정도 더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RADARSAT-1의 캐나다 밴쿠버 SAR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영상이 생성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for real-time SAR image generation, the RDA that best satisfies the trade-off between image generation speed and image quality was selected using the simplicity of operation in the frequency domain among various SAR algorithms used in various fields. An FPGA-based SAR processor for accelerating RDA is presented, and implement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In order to accelerate distance and azimuth compression calculations in the RDA operation process, the matched filter was designed using FFT processor that uses a systolic array sturcture, a high speed FFT hardware structure, and is to best satisfy the trade-off between area and speed. And in order to compensate for RCM that occurs because the observation distance changes as the radar mounted on the aircraft moves and observes the surface, RCMC processor that performs high-speed sync interpolation operation is designed. To verify the designed matched filter and RCMC processor, it was installed in the form of a kernel on the Xilnx Alveo FPGA platform and verified in a Python environment with parallel and multi-channel configurations. The processing time was measured while changing the number of kernels for point target data of various sizes, from 256×256 data to 4096×4096 data.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ecution time converges when there are more than 5 kernels. Comparing the computation time with Nvidia RTX3090 GPU, it was confirmed that FPGA acceleration based on 4096×4096 data was about 2 times faster than GPU when 7 kernels were us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mages could be generated using the Vancouver, Canada SAR dataset of RADARSAT-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