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진로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이미경 한일장신대학교 아시아태평양 국제신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31

        최근의 경제불황으로 대졸자의 취업난이 그 어느 때보다도 심각한 상황이다. 이런 현상은 최근 경기 침체에 따라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그에 따라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은 장래를 포함한 진로 및 직업선택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대학생들은 진로에 대한 결정을 직면한 현실 문제로 받아들이며 심각한 수준에서 고민하고 이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더욱이 취업에 있어서 지방대학의 학생들은 수도권 대학의 학생들에 비해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방대학 학생들의 취업이 심각한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취업스트레스는 대학생들의 중요한 심리적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취업스트레스에 대한 적절한 대처방안 및 해결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취업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불리한 지방대학 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의 정도를 알아보고, 스트레스를 낮추는데 기여하는 관련변인들을 찾아내어서 사회사업적으로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일종의 자신감인 진로 자기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를 낮추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전라북도에 소재한 4개 대학교학생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내용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스트레스는 학교 · 성 · 학년 · 전공분야에 따라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취업스트레스가 지방대학 학생들에게 주어진 공통의 문제라는 것을 말해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취업스트레스는 가정형편에 따라서는 차이가 거의 없으며, 학업성취도 · 대인관계 유능성 · 대학생활 만족도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었다. 조사분석 결과, 대학생활 만족도가 낮을수록, 대인관계 유능성이 낮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낮을수록, 취업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생활에서의 대인관계 및 학업성적이 취업스트레스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을 보여 준다. 셋째, 진로 자기효능감은 학교와 전공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특히 진로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들 중 목표설정, 미래계획, 문제해결 요인은 남녀 성차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여학생은 자신의 능력과 가치, 욕구 및 자신에 적합한 직업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진로상의 난관에 부딪혔을 때 스스로가 헤쳐나갈 수 있다는 믿음, 그리고 자신의 진로를 자신 있고 후회 없이 결정할 수 있다는 자신감의 면에서 남학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열세인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진로 자기효능감은 자신의 장애극복 경험정도가 많을수록, 자신의 성공경험을 자신의 능력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정도가 클수록, 주변에 대리강화 할 수 있는 사람이 많을수록, 주변에 자신의 지지자들이 많을 경우에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취업스트레스와 진로 자기효능감은 서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진로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들 중 문제해결요인과 직업정보요인이 취업스트레스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진로 자기효능감은 취업스트레스를 낮추는 데에 유의하게 기여하는 관련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 결과들을 토대로 지방대학학생들을 취업스트레스로부터 임파워먼트 시켜야 하며 정책적인 측면에서도 이러한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전문인 선교를 통한 베트남 선교 : 소 사업을 중심으로

        임춘환 한일장신대학교 한일신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31

        오늘의 베트남 종교 상황은 여전히 암울한 상태에 있다지만 중요한 것은 아무리 베트남 정부가 종교 정책을 자신의 통제 아래 놓으려 해도 그것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최근의 베트남 정부의 종교 정책을 보면 극히 일부이기는 하나 상당히 희망적인 일들인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난 2001년 2월 9일 공산주의 베트남은 대부분이 가정 교회인 개신교를 공식 허용하는 사건이 있었는데, 국영 베트남 통신은 10일 베트남 종교국이 9일 호치민시에서 진행된 베트남 복음교회 총회를 공식인정하고 정부 대표를 모임에 파견했다고 보도했다. 이것은 베트남 종전 후 처음 있는 일로서, 그동안 정부가 인정하는 종교 단체인 공인 교회를 제외하고서는 어떤 종교 단체도 활동을 금지 당했던 것과 현재 가정교회 대부분이 여전히 비공인 종교 단체로 남아서 정부와 알력과 긴장이 상존해 있음에 비추어 볼 때 대단한 진전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고무적인 베트남의 종교적 상황 속에서 효과적인 베트남 선교를 위해서 전통적인 목회 중심적 선교 방법에 비해 많은 어려움이 예상되는 소 사업을 통한 전문인 선교를 제안하고, 왜 그러한 도전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당위성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소 사업을 통한 선교가 어떠한 전략적 가치와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그 계획한 선교 방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을 때 그로 인해 기대 되며, 예상 되는 여러 가지의 성과나 제 문제 등을 살펴봄으로써 향후의 베트남 선교에 대한 방향과 방법에서 실험적이면서도 도전적인 제안을 하여 본 것이다. 그것은 베트남에서 선교 사역을 할 때 복음 전파의 효율성이라는 전략적 기준에 의해 보다 다양해질 필요가 있다는 점과 한국 교회가 한 단계 뛰어 넘는 미래의 선교 정책으로 개발할 필요성에 맞추어서 기술한 것이다. 그것은 오늘날과 같이 평신도를 중심한 선교의 필요성과 그 정책들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 때에, 교회가 앞장서서 그것을 연구하고 지도해야 하는 책임이 있다고 생각되며, 그것의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의 선교 현장에서 큰 기여를 할 수 있으리라는 확신에서 다음 두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은 먼저 파송 교회나 기관이 전문인 선교사에 대한 표준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을 서둘러 주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제까지의 경험상 전문인 선교 형태와 방법이 그다지 일반적이지 않으며, 또한 그것의 성공적인 사례나 모범적인 모델 등이 별로 없는 현실에서 전문인 선교에 선뜻 참여한다는 것은 여러 가지로 망설이지 않을 수 없다. 그럼에도 이 소 사업을 통한 전문인 선교를 제안하는 것은 한국 교회에는 아직도 사명에 불타는 많은 평신도 선교 자원이 있고 그 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세계를 향한 선교 사역에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이제는 교회가 앞장서서 지도해야 할 때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다른 한 가지는, 국내 신학교에서 목회자 훈련을 받고 있는 현지인 인적 자원들과 이곳에서 복음화 된 현지인 귀국 근로자들을 전문인 사역자와 함께 협력토록 네트워크를 구성하자는 것이다. 이 점에 관해서는 이미 제안한대로 전주 한일 장신대를 비롯한 한국의 여러 신학교가 교회의 협력을 얻어 훈련시켜서 배출한 양질의 인적 자원들이 이 소 사업장을 통해 제자들을 양육케 하여 자기 민족을 구하게 하고, 고난 가운데 있는 현지 가정 교회를 도와 궁극적으로는 베트남 복음화의 자립을 앞당기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확신 때문이다. 오늘도 베트남은 우리의 복음화 경험 등을 기다리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소 사업을 통한 전문인 선교가 호치민 시내를 가득히 메우며 질주하는 오토바이의 행렬 속에서 많은 영혼을 구원하는 도구가 되기를 소망하며, 또한 베트남이 명실상부한 인도차이나 지역의 복음화 전진기지가 될 수 있도록 교회와 기관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하고자 한다.

      •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 대학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배민완 한일장신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전북 지역 대학의 베트남 유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에 적응함에 있어서, 대학행정서비스를 매개로 대학에서의 대인관계, 한국어 능력,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가 베트남 유학생의 대학생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전북지역 베트남 유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사회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한국어를 기반으로 베트남어 설문지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행정서비스를 매개로 대학에서의 대인관계, 한국어 능력,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가 서로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본 결과, 대학행정서비스에 대인관계와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가 한국어 능력보다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행정서비스, 대학에서의 대인관계, 한국어 능력,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가 대학생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대학행정서비스, 대학에서의 대인관계,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가 베트남 유학생의 대학 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예상과는 달리 한국어 능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대학행정서비스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 만족도가 높을수록 베트남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베트남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베트남 유학생의 대학생활 만족도를 높이고 대학생활에 적응하기 위한 개입방법에 대해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 만족도와 대학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행정서비스의 양질화와 적절한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유학생들에게 필요한 대학행정 서비스는 비자, 장학금, 성적 관리, 교육 프로그램 등이 있다. 이런 이유로 유학생들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적절하게 대응해서 대학생활 만족도를 높이고, 대학적응력이 높아지게 함으로써 대학생활 적응의 어려움을 감소시켜줄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생활 만족도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인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문화적 이해가 선행되지 않으면 베트남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아질 수 없으므로, 한국 문화 이해에 대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가 베트남 유학생의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 대학 생활에 잘 적응하게 함으로써 그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기여할 수 있으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여성에 대한 교회문화적 폭력

        조정환 한일장신대학교 한일신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31

        최근에 사회와 교회 안에서 여성 문제가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사회에 있어서는 '여권주의' 혹은 '여성운동'으로 일컬어지는 '페미니즘'으로 나타나고, 교회에 있어서는 페미니즘과 관련지으면서도 교회 제도 속에서 여신도 위치, 여교역자 신분, 여성안수 문제 등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으며, 이러한 여성 문제의 저변에는 그동안 우리교회가 여성신자의 비율이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면서도 여성은 교회의 부속물 내지 남자들의 보조적인 위치 더 나아가서는 지배받는 위치에 놓여 있다. 말하자면 남성은 상부구조에 여성은 하부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남성이 여성을 부당한 힘으로 누르고 있는 상황이다. 말하자면 교회문화자체가 이러한 부당한 힘의 사용을 당연시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보면 바로 교회문화적 폭력의 현실에 있으면서도 그 힘을 행사하는 남자나 그 힘의 지배를 받는 여성이나 아주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아이러니컬한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찰하기 위하여 Ⅱ장에서 폭력의 일반적인 의미는 무엇이며 교회문화적 폭력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교회문화적 폭력이라 함은 교회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가치관과 신념, 이념, 습관 같은 말하자면, 교회문화에 폭력적인 사고방식, 가치관체계, 관습이 있다는 것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폭력의 배경요인으로서 한국교회는 유교의 권위주의적 가치와 사회, 경제적 여성차별주의로부터 평등사상과 여성해방에 기여하기도 하였지만, 다른 한편으로 우리 사회의 뿌리 깊은 남존여비(男尊女卑)의 유교사상과 성차별주의가 드리워져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서구선교사들을 통해서 들어온 기독교는 전통적 교회론 자체 속에 들어 있던 가부장 중심적 이데올러기와 한국사회를 짙게 물들이고 있던 유교사상의 협력을 받아 세계의 어느 지역에 있는 교회보다도 심한 가부장제(家父長制)적 교회를 낳았던 것이다. 바로 이러한 요인과 함께 군사주의 사회문화와 여성관임을 살펴보았다. 어떤 점에서 한국 선교 역사의 대부분은 군사정권아래 이루어진 것이라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한일합병과 한일합방에 의한 일제의 통치는 군사적 통치였으며, 해방이후의 미군정기간 역시 군사정부의 통치였고, 6.25.전쟁이후 분단국가의 현실은 5.16.쿠데타에 의한 군사정부의 통치이후 더욱 노골적인 군사주의에 의해 주도된 역사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한국사회의 군사문화의 전통은 거의 20세기 전체를 지배해 오면서, 사회의 모든 분야에 그 세력권을 넓혀 왔고, 그 결과 정치는 물론 종교, 교회에 이르기까지 군사적인 사고와 행동방식을 지배해 오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교회의 부흥이 왕성한 시기 역시 이러한 군사문화의 지배하에 있었던 시기와 일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재래종교적 관습과 여성관이다. 곧 우리 주변의 도처에 흔하게 늘려 있는 종교적 환경은 여성들의 종교적 생활과 밀착되어 있었는데, 이러한 재래종교적 관습 속에서 보게 되는 종교문화는 기독교에도 영향이 미쳐, 무속종교나 불교의 교리 또는 유교의 제사에서의 여성관이 그대로 교회 여성관에 영향을 끼친 것을 찾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서 구체적으로 교회문화적 폭력에 대해서 살펴 본 결과 다음과 같다. 곧 제도화된 폭력은 교회조직에서도 가시화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그것은, 성직자중심의 제도, 당회중심의 운영권, 남성중심의 지도권 등을 그 표본으로 들 수 있겠다. 이러한 제도들에서 공통되는 점은 남성중심이라는 점이다. 또 교회가 여성에게 가하는 제도화된 폭력을 강화하고 지지하는 요소 중에서 가장 비중이 큰 것이 바로 성서 해석의 부분이다. 성서는 가부장제 문화에서 기록되었고 남성 중심의 성직자들에 의해 독점적으로 해석되었으며, 교육되고 선포되었다. 전통에 대한 재해석이 없이 그대로 답습하는 것은 여성에게 계속적인 폭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여성의 인권이 보장받고 폭력으로부터 자유를 얻기 위해서는 성서 해석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점을 상세하게 기술하여 보았다. 아울러 교회문화적 폭력에 관한 여러 논점들을 여성안수문제을 비롯한 제반 문제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난 뒤 끝으로 Ⅲ장에서 교회문화적 폭력을 극복하기 위한 기독교 윤리적 과제를 언급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논리와 이해의 바탕위에서 현하 우리 교회 내에서 가해자나 피해자 모두가 의식하지 못할 정도로 무디어진 기독교윤리의식을 제고시켜야할 것이다. 인간은 남자나 여자나 모두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고귀하고 평등한 존재이다. 그럼에도 우리 사회의 전통과 관습 속에서 왜곡되어 형성된 교회 내의 여성에 대한 위치를 바로 잡아 하나님께서 창조한 본래의 남녀관계로 돌아가는 것이 진정한 기독교사회윤리의 확립이며, 이런 가운데서 사회를 향하여 바른 기독교사회 윤리와 인권을 부르짖을 때 진정 힘을 얻게 될 것이다.

      • 교회노인대학 프로그램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백덕자 한일장신대학교 아·태국제신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교회노인대학의 교육내용과 프로그램을 통하여 노인들의 만족도와 욕구를 알아보고 교회노인대학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노인의 욕구와 여가활동, 노인과 교회의 역할, 교회노인대학 실태, 교회노인대학 프로그램, 교회노인대학 내용, 한국교회노인대학연합회 프로그램 및 현황을 살펴보았다. 조사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교회노인대학 프로그램 실태 및 인식도, 교회노인대학 프로그램 내용 및 만족도, 교회노인대학 프로그램 욕구 조사 및 교회노인대학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지를 도구로 활용하였다. 전북지역에 있는 교회노인대학 8곳을 선정하여 2004년 3월 23일부터 4월 15일까지 교회노인대학을 방문해 약 6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수집된 설문지 400개중 응답율이 80% 이상인 300개를 조사 분석 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교회노인대학 프로그램 실태 및 인식도, 교회노인대학 프로그램 만족도, 교회노인대학 프로그램 욕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노인대학의 실태 및 인식도에서 교회노인대학에 출석하고 있는 노인학생들에게 실용성이 높게 나타났다. 노인학생들의 교회노인대학에 출석하게 된 동기로서는 권유해서 나오게 된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교회노인대학에 다니는 주된 이유로는 교양과 지식을 얻기 위해서 교회노인 대학에 출석한다고 응답했다. 둘째, 교회노인대학 교육내용 만족도를 보면 노인들이 노후의 삶을 보람있게 보내기 위해 여가생활과 종교생활을 통해 자신의 삶을 보람 있게 보내며 건강이 허락하는 한 약 95% 노인들이 교회노인대학에 참여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교회노인대학을 통해 유익한점은 신앙심이 깊어지고 인간관계가 좋아졌다고 응답했다. 교회노인대학 프로그램 만족도에서 나타난 현상은 건강관리에 높은 관심을 보여준 분들은 남성 노인들이었고, 신앙 강좌에서는 여성 노인들이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 셋째, 교회노인대학 교과내용 중에 선호하는 프로그램으로는 바람직한 그리스도인의 삶, 노인 건강관리와 예방법, 노래 부르기, 여행/소풍 순으로 선호도가 나타났다. 노인대학생이 선호하는 프로그램을 조사한 결과 노후에 바르게 사는 길과 건강관리 잘하고 즐겁게 사는 프로그램에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교회노인대학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교회노인대학 프로그램이 계속 발전하고 활성화 되려면 전문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커리큘럼에 따른 교재개발이 필요하다. 강의 방법도 일방적 주입식 보다는 노인 연령충 및 학력에 맞는 소그룹 활동이 활성화 되었으면 한다. 또한 교희노인대학을 운영하는 사회복지(노인복지)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준비되고 실행되어야 한다. 교회노인대학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교회노인대학을 운영하는 교회 목회자나 운영자가 어떤 복지 마인드를 가지고 있느냐가 중요하다. 교회노인대학은 질 높은 프로그램으로 교회노인대학을 찾는 노인들에게 지적 · 정서적 경제적 · 사회적 건강욕구를 만족시켜 줘아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직업선호도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직업의식과 현장실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태선 한일장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31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ntroduction of various programs and policies to increase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studies by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explain the effect of job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studies on major satisfaction and grasping the effect of these factors. In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four theoretical variables were identified as predictors of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studies, and job preference was set as an exogenous variable, and job consciousness, field practice, and major satisfaction were set as endogenous variables. There were 13 measurement variables for the four theoretical variables, and the measurement tool was used after confirm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As subjects of the study, 557 students who completed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among university social welfare department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written questionnaire, and the data from 535 people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of the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variables, and for covariate structural analysis, hypotheses were verified using the Amos 25.0 program.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l by arran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model generally fits well in the overall fit index. The predictors in the research model explained 58.3% of the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studies. Second, the variable affecting job consciousness is job preference, and the direct effect and the total effect were significant. Third, the variables affecting on‐the-field practice were job preference and job consciousness, and in job preference, direct effect, in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were significant, while in job consciousness, 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were significant. Fourth, significant variables directly affecting major satisfaction were job preference, job consciousness, and on‐the‐field practice, and for job preference, the direct and total effects were significant. The direct effect, in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were significant in job consciousness, but the indirect effect had a negative effect, and field practice had a negative effect on both the direct effect and the total effect. Therefore, job preference had a direct effect on job consciousness, field practice, and major satisfaction. Job preference had the greatest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followed by job consciousnes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degree of job preference, the higher the degree of job consciousness, field practice, and major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it was found that job preference had a large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showing the result that increasing the degree of job preference meant that major satisfaction increased. In addition, if interested in the job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studies and contribute to job consciousness,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major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pecific and practical job preference reinforcement program from a social welfare perspective with an approach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job preference, and introduce a program to improve job preference through education and consultation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school education and education policy expert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Second, the job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studies can be said to be a very important related variable, given that they become adults and participate in society in the future. We are apt to understand that the job consciousness is fixed at birth, but job consciousness can also be improved through a job consciousness development program that raises the degree to the level required by the society. Therefore, recognizing that there are positive factors affecting the improvement of major satisfaction of the job consciousnes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strive to develop a policy approach and program to improve the job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studies. Third,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at can exist as an indirect causal relationship in addition to the direct causal relationship was revealed, and as an important related variable of major satisfac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work to clarify detailed variables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preference. Fourth,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job preference and job consciousness were important variables as variables related to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studies, but for generalization, iterative studies that expand and apply research subjects, diversification of measurement items, and longitudinal studies to cla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redictive factors are necessary.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직업선호도가 전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과 매개변수인 직업의식과 현장실습의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대학 교육현장의 교육 프로그램과 정책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예측변수로 4개의 이론변수를 확인하여 외생변수는 직업선호도, 내생변수로는 직업의식, 현장실습, 전공만족도를 설정하였다. 4개의 이론 변수들에 대한 측정변수는 13개였고, 변수들의 측정도구는 예비조사를 통해 각 문항별 신뢰도를 확인한 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북, 전남, 광주지역의 사회복지학과 재학생 중 사회복지현장실습을 마친 학생이며 응답자는 557명이며 불성실 응답자와 무응답 항목이 있는 응답자료를 제외한 535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을 이용하였으며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그리고 각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공변량 구조분석은 Amo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선호도, 직업의식, 현장실습, 직업만족도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연구모형은 전반적 적합지수에서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 내 예측변수들은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58.3% 설명하였다. 둘째, 직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직업선호도로 직접효과와 총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현장실습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직업선호도와 직업의식으로 직업선호도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총효과가 유의하였고 직업의식은 직접효과와 총효과가 유의하였다. 넷째, 전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직업선호도와 직업의식, 현장실습이며, 직업선호도는 직접효과와 총효과가 유의하였다. 직업의식은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총효과가 모두 유의하였지만 간접효과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현장실습은 직접효과와 총효과 모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직업선호도는 직업의식과 현장실습, 전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직업선호도가 전공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직업의식이 영향을 미쳤다. 즉, 직업선호도의 정도가 높을수록 직업의식과 현장실습, 전공만족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는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직업선호도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나 직업선호도의 정도를 높이면 전공만족도가 높아짐을 의미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직업의식에 관심을 가지고 직업의식에 기여하게 되면 전공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직업선호도를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사회복지학적 관점에서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직업선호도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학 교육 담당자, 교육정책 전문가 등과 협의하여 직업선호도 향상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 피드백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전문직의 관점에서 볼 때 현재 사회복지학 전공자의 직업의식과 직업 가치관은 매우 중요한 변수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직업의식이 전공만족도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직업의식 향상을 위한 학교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제도 및 정책적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직업선호도와 전공만족도 간의 직접적인 인과관계 이외에도 매개변수로 직업의식, 현장실습 간의 관계를 밝혔지만 향후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매개변수를 설정하여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관련된 변인으로서 직업선호도, 직업의식이 밀접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으나 보다 일반화를 위해서는 연구대상자를 4학년 뿐만 아니라 전체 학년으로 확대 적용하고 시계열적으로 직업인식 및 선호도의 변화를 측정해교육현장에서 능동적으로 이들 결과를 적용해야 할 것이다.

      • 대학생 자원봉사 활동성과에 대한 관리실무자의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 전주시 지역을 대상으로

        송명재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전주시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을 실질적으로 관리하는 기관의 자원봉사 실무자를 조사 연구하여 사회복지기관의 대학생 자원봉사 활동의 효과, 대학생의 자원봉사자 활동이 사회복지기관의 어떤 부분에 기여하고 있으며 좀 더 보완되어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주시 사회복지기관의 대학생 자원봉사 활동의 활용 실태를 알아본 결과, 자원봉사활동이 기관의 업무 절감, 예산 절감, 기관 이미지, 기관 홍보에 대체로 만족 하는 결과를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 자원봉사자 활동이 관리 실무자의 직무 만족도, 기관의 서비스 질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활동에 따른 활동 수혜자들이 기관의 서비스 질과 이용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주시 사회복지 기관의 관리 실무자의 자원봉사 관리업무 내용과 체계를 알아본 결과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사전 기획, 자원봉사자 모집, 배치 및 업무부여, 자원봉사자의 교육, 자원봉사자의 활동내용 개발은 많이 적용하고 있으나 지역사회와의 연계에 대한 내용은 현재하고 있지 않지만 고려 중으로 나타났으며, 활동의 평가에 대한 내용은 실행하고 있지만 자원봉사 시간만 체크해주는 형식적인 결과를 나타났다. 자원봉사자의 사후관리에 대한 내용도 현재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관리 실무자의 대학생 자원봉사자 효과 분석 결과는 자원봉사 관리 실무자가 대학생 자원봉사 관리 업무의 양에 대해서는 부담이 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관리 실무자의 전체 업무 중 대학생 자원봉사 관리 업무 비율은 기관에서의 관리 실무자 업무 중 부담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전주시 사회복지 기관 관리실무자가 인식하는 대학생 자원봉사 활동의 효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 만족도 차이와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조사하였다. 기관의 직원수, 자원봉사 담당경력, 관리 실무자의 자격증 소지, 전문성의 필요성에 따른 대학생 자원봉사 만족도의 결과를 살펴보면, 관리 실무자의 자격증 소지에 따라 자원봉사 활동 결과 만족도, 기관의 업무 절감 만족도, 관리 실무자의 직무 만족도, 기관의 서비스 질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리실무자의 전문성의 필요성에는 기관의 업무 절감에 도움, 자원봉사자의 서비스 질의 향상, 자원봉사활동의 수혜를 받은 대상자의 만족도, 자원봉사자의 전문성 향상에 효과가 나타났고, 기관의 직원수에 따른 결과는 자원봉사활동 결과에 대한 만족도, 기관의 업무 절감에 도움, 기관 이미지에 도움, 기관 홍보에 도움, 관리 실무자의 직무 만족도, 서비스 질의 향상, 수혜를 받은 대상자의 만족도, 자원봉사자의 전문성 향상, 자원봉사자의 일자리 창출, 자원 활용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자원봉사의 활성화하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대학 내 자원봉사 활동을 체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전담기구의 설치와 전문 인력의 배치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둘째, 대학생의 자원봉사는 학점과 관계없이 자발적인 참여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으나 학점이라는 인센티브를 통하여 많은 학생이 자원봉사에 참여하여 경험하도록 함으로써 자원봉사의 저변을 확대하는 것은 자원봉사를 활성화하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에서 보완되어야 할 것 중의 하나가 봉사활동이 기능별, 지역별로 조직화하고, 전문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대학의 자원봉사활동은 자원봉사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지역 사회 단체나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성 연구

        이용헌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성 연구 이 용 헌 지도교수 배 성 찬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대학생활에서 호소하는 어려움을 자아존중감, 부모 및 친구의 사회적지지와 관련시켜 서로 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이해하고 더욱 더 건강하고 효율적인 대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대학생활적응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개입 그리고 정책적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자아존중감, 부모와 친구의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통계분석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으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를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아존중감은 4개의 하위척도에 25개 문항이 사용되었고, 사회적지지는 부모와 친구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 4개의 하위영역에 25개 문항이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활적응척도는 총5개의 하위영역 중 신뢰도가 낮은 2개의 영역을 제외한 3개의 영역에서 15개 문항이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자로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 중 4개의 대학에서 재학 중인 남, 여 대학생 총 300명을 임의 선정하였으며, 자료는 2015년 9월 1일부터 11월15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236부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연구변수들에 대한 기술통계, 신뢰도, t-test , one-way ANOVA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문제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서 자아존중감, 부모 및 친구의 사회적지지와 대학생활적응수준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부모의 사회적지지는 성별과 학년, 연령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친구 사회적지지는 성별과 학년, 연령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학생활적응은 학년과 연령별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아존중감, 그리고 부모와 친구의 사회적지지와의 관계는 자아존중감과 부모 정서지지에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본 모형은 종속변수인 대학생활적응도를 37.7% 설명(R2)하였다. 넷째, 부모 및 친구 사회적지지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에 적응하는데 미치는 영향에서 본 모형은 종속변수인 대학생활적응도를 8.8% 설명(R2)하였으며, 친구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에 적응하는데 미치는 영향에서 본 모형은 종속변수인 대학생활적응도를 8.7% 설명(R2)하였다. 다섯째, 자아존중감, 부모 및 친구의 사회적지지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의 상대적 관계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상대적 영향력은 다음과 같다. 자아존중감, 부모와 친구의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에 적응하는데 미치는 영향에서 본 모형은 종속변수인 대학생활적응도를 33.8% 설명(R2)하였다. 본 모형은 자아존중감 영역에서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 친구 사회적지지의 영역에서는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 사회적지지 전체와 친구 사회적지지 전체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특징을 보였다. 여섯째, 일반적 사항과 자존감전체, 부모 친구 사회적지지 변수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자존감전체영역이 있으며 일반적 사항 변수와 부모 친구 사회적지지 영역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여 변수 간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는 볼 수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입시의 당면과제를 해결하고 대학에 진입한 대학생의 적응을 돕기 위해 학교에서 행하는 지도교수 전담제, 상담교수제 등의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는데 여기서 더 나아가 지도교수와 선배, 후배 간 멘토링제를 시행하면 좋을 것이다. 그리하여 대학생활 전반에 걸친 상담뿐만 아니라 학업과 진로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갑작스런 환경변화와 심리적 변화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정서적 안정감과 함께 사회의 리더로 성장해 나가는 계기가 될 것이다. 둘째,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의 따른 부모의 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즉 부모의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았으며, 반대로 부모의 지지가 낮을 경우에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이 낮았다. 따라서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이 낮은 학생은 부모와의 지지를 높일 수 있는 학생상담 및 부모상담 등의 프로그램을 시행해야 할 것이다.

      • 예술적 접근을 통한 절기교육에 관한 연구

        이안나 한일장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31

        한국교회교육은 지속적으로 양적 감소를 겪고 있다. 교회에 출석하는 학습자들조차 교회교육에 흥미를 잃어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는 첫째, 지식위주의 전통적인 교육방식으로 인해 성서에 대한 지식이 삶과 연결되지 못함으로 삶과 신앙이 분리되었다. 그리고 지식전달식 교육방법은 학습자들을 수동적인 참여자가 되게 하였고, 성서의 이야기를 다양한 측면에서 경험할 수 있는 교육의 기회를 박탈하고 있다. 더구나 학습자들이 교회교육에 대한 흥미를 잃게 되자 교회교육은 흥미나 이벤트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짐으로써 기독교 복음이 깊이 있게 전달되지 못하는 것은 물론 비체계적이고 일관성이 결여된 교육이 되고 있다. 또한 지식전달에 적합하게 구성된 교회학교의 조직은 세대 간의 교류를 단절시켰다. 거기에다 부모들은 자녀들의 신앙교육을 교회에 일임함으로 가정과 연계된 신앙교육이 어렵게 되면서 학습자들은 교회전통과 단절되고 신앙공동체의 일원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다. 이런 결과 학습자들이 하나님 나라의 일꾼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사회 역사적 책임 의식을 갖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교회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전통적 교육방법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교회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예술적 접근을 통한 절기교육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교회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교회교육을 개선할 수 있는 통로로 절기교육의 필요성을 논하고자 한다. 그리고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서 성서의 절기에서 통찰을 얻고 성서에서 나타난 절기교육의 특성과 예술적 접근을 바탕으로 교회교육을 위한 근거를 얻고자 한다. 다음으로 한국교회의 절기의 종류와 의미를 살펴보고 절기교육이 어떻게 시행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한국교회의 절기교육의 현황을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한국교회의 절기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술적 접근 방법이 필요함을 논증하고자 한다. 한국교회 절기교육과 더불어 목회력의 정의와 적용을 제안함으로써 한국교회 절기교육과 더불어 교회교육의 성장을 위해 필요한 자원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제 예술적 접근 방법을 위한 절기교육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현대 기독교교육학자의 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발터 윙크(Walter Wink)의 이론을 통해 성서 이야기를 오늘 우리의 삶에서 실제적으로 경험하기 위해 전뇌 활용을 해야 한다는 성서 방법론을 제시한다. 그리고 마가렛 크리취(Margaret A. Krych)의 신앙공동체 안에서 전 연령층에게 기독교의 복음의 핵심을 전령층의 학습자들에게 가르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그리고 사라리틀(Sara Little)의 예술적 접근 방법인 간접적 의사소통을 통로로 진리와 인격적인 만남과 결단과 응답이 가능함을 제시한다. 그리고 웨스트호프(John Westerhoff III)는 의미를 찾는 행위가 예술의 인식방식인 직관적, 감성적 특성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마리아 해리스(Maria Harris)는 예술적 접근 방법과 실제적인 가르침까지 제안함으로써 가르침은 쓰는 것과 말하는 수준을 넘어 예술적인 창작과 이미지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이를 토대로 다음 장에서는 성서의 절기교육과 현대기독교교육 학자들의 이론을 기초로 하여 교회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예술적 접근을 통한 절기교육의 방향성을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사와 학습자,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실제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교육 연구소에서 만든 실제적인 부활절, 성탄절 프로그램을 부록으로 첨부하고자 한다. Korean church education is continuously experiencing a decrease in quantity. Even learners attending church are losing interest in church education.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is: First, because of the traditional knowledge-oriented education method, the knowledge of the Bible was not connected with life, so life and faith were separated. In addition, the knowledge-transfer-type teaching method has made learners passive participants and deprives them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experience Bible stories from various aspects. In addition, as learners lose interest in church education, church education is not only not conveyed in depth, but also becomes unsystematic and inconsistent, as education is based on interest or events. In addition, the organization of the church school, which was suited for the transfer of knowledge, cut off the exchange between generations. In addition, as parents entrust their children's faith education to the church, it becomes difficult to provide faith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family. As a result, learners are disconnected from the church tradition and are losing their identity as members of the faith community. As a result, learners do not have a sense of social and historical responsibility necessary to live as workers in the kingdom of God.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Korean church education, a new perspective that can supplement the traditional education method should be presented. This thesis attempts to present seasonal education through an artistic approach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church education. To this end, I will first analyze the problems of church education and discuss the necessity of seasonal education as a channel to improve church education. In addition, as a means to overcome the problems, I would like to gain insights from the feasts of the Bible, and to obtain the basis for church educ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artistic approach of feasts education in the Bible. For the next step, I would like to examine the types and meanings of feasts in the Korean church, and to find out how the feast education was implemented. In addition, I would like to analyze the problems through the current status of seasonal education in Korean churches, and to demonstrate that an artistic approach is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s of seasonal education in Korean churches. By proposing the definition and application of pastoral power in addition to the Korean church season education,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it can be a useful resource for the growth of church education along with the Korean church season education. Now, I would like to look at the theories of contemporary Christian educators to lay the foundations for an artistic approach. Through Walter Wink's theory, we present a biblical methodology that requires the use of the whole brain to experience biblical stories practically in our lives today. And in Margaret A. Krych's community of faith, we seek ways to teach all age groups the core of the Christian Gospel to heraldic learners. In addition, Sara Little's artistic approach, indirect communication, presents the possibility of meeting truth and personality, determination, and response. And John Westerhoff III explains that the act of finding meaning is accomplished through the intuitive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art's perception. Finally, Maria Harris suggests an artistic approach and practical teaching, saying that teaching goes beyond writing and speaking through artistic creation and imagery. Based on this, the next chapter is based on the theories of the Bible's seasonal education and contemporary Christian education scholars, as an alternative to overcoming the problems of church education. I would like to present a practical program focusing on the method. Last of all, I would like to attach as an appendix the actual Easter and Christmas programs created by the Institute of Christian Education at Hanil Presbyterian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