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페로니켈슬래그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물성 및 내구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전찬희 동국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적으로 환경 및 지구온난화 문제가 꾸준히 대두됨에 따라 국제 연합 기후변화협약에서는 6대 온실가스를 일정기간 동안 배출 할 수 있는 배출권을 발급해 온실 가슬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2 저감을 높이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페로니켈슬래그와 상용화된 혼화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물성 및 내구성능을 비교실험 및 평가하였다. 물성시험(슬럼프, 공기량 시험), 내구성시험(파괴시험:압축강도, 조깸 인장강도시험 비파괴시험: 촉진탄산화,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에 미치는 영향 비교분석 및 성능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 FNS 20% 치환한 배합비는 현장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FNS 특성에 적합한 혼화제 적용을 통해 20% 이상의 치환율 적용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타히보 추출물을 투여한 수컷 쥐에 방사선이 미치는 효과

        전찬희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deals with the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radiation protection effects of Tabebuia Avellanedae. The experimental methods of antioxidant evaluation were polyphenol, flavonoid, DPPH radial, ABTS radial, and LDH assay. After the antioxidant evaluation of Tabebuia Avellanedae, a radiation protection effect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The radiation protection effect study conducted a hematological analysis, histological analysis, and SOD activity evaluation by irradiating 7 Gy X-ray after oral injection of Tabebuia Avellanedae extract to SD Rat for two week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role of Tabebuia Avellanedae extract as a natural radiation protection agent. as a result of evaluating antioxidant in the Tabebuia Avellanedae extract, polyphenol and flavonoid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s. DPPH radical and ABTS radical also tended to increase and remained constant from a specific concentration. The toxicity of the Tabebuia Avellanedae extract is estimated to be between 15 and 18 percent, which is considered to be mild. Hematological analysis shows that red blood cells tend to decrease. White blood cells and lymphocytes decrease the most rapidly shortly after irradiation. Platelets tended to decrease from 1 Day to 7 Days and gradually increase to 21 Days. SOD were centrifuged in day 21 Days after irradiation and blood cells were used. The final SOD of the IR group was 1.19 U/mL. By comparison, the TH+IR group had a higher figure of 72.90 U/mL. as a result of histological analysis, the weight of the spleen was very small for the IR group and the TH+IR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TH group on 1 Day. However, after recovering from the Hormesis effect, the 21 Days spleen weight reached the spleen weight of the Control and TH Groups had a larger spleen weight. In the case of liver damage and prostate damage, the TH+IR group was homogeneous in the nucleus and cytoplasm than the IR group.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ntioxidant capability of the Tabebuia Avellanedae extract was evaluated.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Tabebuia Avellanedae extract can conduct as a natural radiation protection agent. 본 연구는 Tabebuia Avellanedae의 항산화 물질 평가와 방사선 방호효과를 다룬 연구이다. 항산화 평가의 실험방법은 polyphenol, flavonoid와 DPPH radical, ABTS radical, LDH assay를 실시하였다. Tabebuia Avellanedae의 항산화 평가 이후 결과를 토대로 방사선 방호효과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사선 방호효과 연구는 SD Rat에 2 주간의 Tabebuia Avellanedae 추출물을 경구투여 한 후 7 Gy X-ray를 조사하여 혈액학적 분석, SOD 활성평가, 조직학적 분석을 진행했다. 이를 통하여 Tabebuia Avellanedae 열수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polyphenol, flavonoid 등의 천연 물질이 free radical을 제거함으로써 천연 방사선 방호제로서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Tabebuia Avellanedae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물질 평가 결과 polyphenol과 flavonoid는 농도가 짙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ABTS radical 소거능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특정 농도부터는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Tabebuia Avellanedae 열수추출물의 독성은 약 15 ~ 18 %로 독성이 미미한 것으로 판단된다. 혈액학적 분석 결과 적혈구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백혈구와 림프구는 방사선 조사 직후 가장 급감하여 낮게 나타났다. 혈소판은 1 일부터 7 일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다 21 일까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OD의 시료는 방사선 조사 후 21 일차의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혈구를 사용하였다. IR군의 Final SOD는 1.19 U/mL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TH+IR군은 72.90 U/mL로 좀 더 높은 수치가 나타났다. 조직학적 분석 결과 비장의 무게는 방사선 조사 직후 1 일차에 IR군, TH+IR군이 Control군과 TH군에 비해 매우 작았다. 그러나 호메시스 효과에 따른 회복 이후 21 일차 비장의 무게는 Control군과 TH군의 비장 무게에 도달하거나 보다 큰 비장의 무게를 가졌다. 간 손상, 전립선 손상 여부의 경우 TH+IR군이 IR군 보다 세포핵 및 세포질의 균질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로 Tabebuia Avellanedae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능력을 평가하였다. 또한 Tabebuia Avellanedae 열수추출물이 천연 방사선 방호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한의원에 적용된 흙건축 인테리어의 치유효과에 대한 인식

        전찬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도심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는 심리적인 치유를 해소할 자연적인 요소가 절실히 필요하며 아픈 사람들은 더욱 그 열망이 크다. 최근 치유환경을 이루는 요소 및 특성, 바이오필릭(Biophilic) 디자인에서 치유환경의 건축재료로 자연재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입각하여 볼 때 흙은 그 자체로 자연치유력을 가진 동시에 친환경적이며, 정서적,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천연 재료로서 단일적인 효능만으로도 기의 균형을 이끌어주는 천연 자연재료이다. 하지만 아픈 사람들이 찾는 진정한 치유가 필요한 공간에는 건강을 도외시하는 인테리어가 난무한 실정이다. 치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치유공간인 화병(火病)전문 한의원 인테리어에 흙을 주제로 시공하여 환자들의 동선에 따른 공간을 구획하고 동선의 흐름에 맞는 공법을 기획하여 공간별 특성에 따른 흙건축 공법을 적용하였다. 1. 기존 한의원에서 주로 관리의 편리성, 시공의 간편성을 추구한 시공공법을 탈피하고 친환경 건축자재 인증등급HB(Healthy Building)의 최고등급인 건축자재로 화학수지를 첨가하지 않은 원래 흙으로 흙미장(Plaster), 흙벽돌(adobe), 흙페인트(Earthpaint) 공법을 구현하였다 2. 치료의 개념으로는 치료실의 황토미장과 그 외 공간은 인테리어의 개념으로 3가지색의 컬러흙미장과 4가지 색의 흙페인트, 2가지 색의 컬러흙벽돌 공법을 표현하였다. 3. 각 공간의 특성에 따른 구분과 차별성을 위해 색채와 질감을 표현하였으며,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 에 입각하여 자연으로부터의 색채를 구현하여 들판의 곡식이나 한낮의 태양을 상징하는 밝은 노란색, 암석 바위를 표현하는 회색, 어두운 밤의 검은색, 푸른 숲을 표현한 연두색, 토양이나 땅의 흙색, 하늘의 구름을 표현한 흰색을 치유공간의 색채로 삼았다. 그리고 시공 후 흙건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흙의 치유효과를 체험한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진행하는 연구방법으로 치유공간에 흙건축 인테리어 관한 기능적 효과와 인식 여부를 검토하였다. 1. 60대 이상 연령이 높을 수록 육안으로도 진짜 흙의 인지도가 높았으며 그 이하 세대는 흙이 떨어진다거나 유해한 인테리어 냄새가 나지 않는 것으로 인지하였으며 진짜 흙의 인지 경로는 설문과 면담을 통해 마음이 편하였다로 가장 많은 응답을 하여 흙이 심리적인 안정감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60대 이상은 이미 흙집에 살아본 경험이 있는 세대들로서 흙냄새와 옛날 흙집 생각을 언급함으로 흙의 효과를 빠른 시간에 인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치유공간에 흙건축 인테리어가 적극 권장되어야 하며 건강한 인테리어인 진짜 흙이 시공되어야 함에 상당한 공감을 나타냈다. 2. 설문대상자들의 연령대가 70대 이상으로 높을수록 전통방식인 침구 치료실의 황토미장을 선호하였고, 면담자들의 연령 비율대가 60대 이하 낮을수록 현대방식인 컬러 흙벽돌을 가장 선호하였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인테리어로 황토를 염두에 두고 있었고 집의 자는방이나 찜질방이라도 치유공간이 있기를 원하였고 밝은 느낌의 흙벽돌도 선호하여 예쁘고 건강한 인테리어로 집에 시공하기를 원하였다. 또한 다기능의 좌식 한식방 공간에서의 한지 조명과 전체공간의 한지창호, 계절별 흙벽돌 화단도 병원같지 않고 집처럼 편안하고 친근한 느낌을 주는 장점으로 다른 치유공간과 차별되었으며 대부분 이러한 치유공간에 대한 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3. 타치유 공간의 단점으로 삭막하고 딱딱한 분위기, 나쁜 공기질, 공포감을 주는 흰색 인테리어, 친환경 건축재료의 미시공을 언급하였으며 흙을 적용한 타한의원을 경험한 유일한 면담자는 흙을 인테리어 개념으로만 적용하여 치료개념으로 체험하기에는 미치지 못하였음을 차별점으로 언급한 것으로 일부 흙을 한정된 공간에 적용한 것 보다 많은 양과 가까이에서 흙을 체험하기를 선호한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또 VOCs(휘발성유기화합물) 로 인해 새집증후군(VOCs) 증상이 없는 점과 실내 공기질이 우수한 점을 언급함으로 이미 몸으로 진짜 올바른 흙을 인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선행조사 되었던 관리의 편리성, 시공의 간편성을 추구한 시공공법을 탈피하고 친환경 건축자재 인증등급HB(Healthy Building)의 최고등급인 건축자재로 화학수지를 첨가하지 않은 원래 흙으로 흙미장(Plaster), 흙벽돌(adobe), 흙페인트(Earth paint) 공법을 구현한 결과이다. 4. 흙건축의 대중화에 대한 문제점으로 관리비용과 의식부족의 문제도 지적하였다. 과거의 흙건축 공법은 시공과 관리비용이 많이 들었지만, 최근에는 공법의 기술개발로 시공도 간편하며 비용도 저렴한 공법이 대중화되었고 관리비용도 거의 들지 않게 되었다. 건강을 중요시하는 분들을 위한 다각적인 형태의 흙건축 교육이나 홍보도 적극적으 로 시도되어야 할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자연재료인 흙은 환자들에게는 환경과 소통하는 진정한 회복을 경험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흙건축에 관한 인식의 전환을 마련하는 기회로 삼을 수 있게 된다. 본 연구 결과는 시공 후 흙의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자료로서 향후 치유공간에 흙건축적용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y the method of utilizing Earth as a natural material in the healing space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Biophilic design elements are actively used in Earth construction to provide a psychological healing environment for modern people. Due to this purpose, the site of the Oriental Medical Clinic dealing with actual patients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by the Earth construction method. Afterwards, to verify the healing effect of the Earth, the functional effect of the Earth construction interior in the healing space, recognition by people and the satisfaction of the healing effect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ing. 1. To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oriental clinic which construction method that pursues the convenience of management and the simplicity of construction, Oriental Medical clinic Implemented building material that is the highest grade of eco-friendly building material certification grade HB(Healthy Building), and Earth plastering, Adobe, and Earth paint method using the original Earth without chemical resin. 2. As the concept of medical treatment, the red-clay plastering in the treatment room and the rest of the space is an interior concept that expresses the three-color Earth plaster, four-color Earth paint, and two-color Earth brick construction. 3. The space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patients and the color and texture were expressed differently for the distinction and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Based on Biophilic Design, colors from nature embody the colors such as bright yellow to symbolize the daylight sun, Gray representing rock, Black from Dark night, Lime green representing greenwood, Earth color from soil, and White representing the clouds in the sky, were used as the color of healing space. Afterward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arth construction,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and interview with patients who experienced the healing effect of earth to examine the functional effect of Earth construction interior and recognition of real earth. 1. Age group above 60s, as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awareness of real earth, Lesser age group was able to recognize by such as ‘no harmful smell’ or ‘dirt falling off’ and most answered real earth's cognitive path was ‘feeling comfortable’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erefore, it suggests that Earth gave psychological stability to patients. As the generations who have lived in the Earth built house over 60 years old age group mentioned the scent of Earth and the remembrance of the Earth house, it suggests that the effect of the earth was recognized more quickly compared to other groups. Also, expressed considerable empathy on the Earth interior is highly recommended for the healing space, and the real Earth, a healthy interior should be constructed. 2. The higher the age group of people over 70s, the more they preferred Red-clay earth plastering in the traditional acupuncture treatment room, the lower the age group of interviewers was under 60s, the more preferred modern style colored clay brick. In general, red-clay earth was already considered as healthy interior, and willing to have at least healing space in bed room or sauna inside their house. Also preferred bright colored earthen bricks, to apply healthy and pretty interior at the same time to the house. In addition, Hanji lighting in the multi-functional Korean room, Hanji window of the entire space, and seasonal brick flower area differentiated from other oriental clinics as advantage by giving patients more comfortable and friendly feeling like home and most responded that they had no experience with these kind of healing spaces. 3. As a disadvantage of the other oriental clinics, it is mentioned rough and stiff atmosphere, bad air quality, white color interior which gives nervous feeling, and lack of eco-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s. The only interviewer who had chance to experience other Oriental clinic who applied the earth mentioned that it was not enough to experience earth as healing factor as earth construction was only for concept of interior. Therefore,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y prefer to experience the Earth in greater quantities with closer look. In addition, by mentioning the absence of symptoms of new house syndrome due to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the excellent indoor air quality, it is analyzed that the body was already aware of the true Earth. This result breaks away from the construction method that pursues the convenience of management and the simplicity of construction that were previously investigated and patients are more satisfied by using highest grade building material Eco-Friendly Building Materials Certification Grade HB (Healthy Building) implementing of Earth plaster, adobe, and earth paint using the original Earth without chemical resin. 4. The problem of the popularization of Earth construction was pointed out as the management cost and lack of awareness by people. In the past, the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construction required high management costs, but recently, due to the technology development of the Earth construction method, it is now possible to construct easier with lower-cost construction which is almost inexpensive for management cost as well. Diverse forms of earth construction education and promotion for the health-conscious people were also pointed out as problem that should be more actively attempted. Earth, a natural material, can be used as an opportunity for the patient to experience a genuine recovery in communication with the environment and at the same time get chance to change of perception of earth constr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research data for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earth after earth construction, and are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future research of earth construction in healing spaces.

      • 체험 공간에서의 화예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 화장품 기업을 중심으로

        전찬희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에 이르러 공간은 점차 인간 중심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현상학적 존재론의 공간 개념은 관념론적이거나 유물론적인 공간 인식에서 벗어나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 개념으로 변화하였다. 그 과정에서 공간에 대한 인간의 ‘체험’이 핵심적인 문제로 부각되었다. 기계론적 세계관이 유기론적 세계관으로, 요소 환원주의에서 전일주의로 변화하는 오늘날의 패러다임에 맞추어 공간에 대한 패러다임에서도 생태학적 세계관이 대두하게 되었다. 이는 20세기의 과학 기술 발달로 인한 생태계의 오염, 자원의 고갈, 인간소외 등의 문제가 야기한 결과로서 오늘날 인류는 현재의 인위적인 환경에 현실적으로 적응하고 있는 동시에 자연환경으로의 복귀를 지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공간 디자인 분야에서도 환경 친화적인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는 가운데 화장품 기업에서는 고객의 체험을 유도하기 위해서 체험 공간 안에 자연성을 도입하여 감성적으로 소구하고 있다. 그에 발맞추어 자연주의를 주창하는 기업이나 기업의 감성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마케팅 전략에 화예디자인을 활용하여 체험적 가치를 상승시키고 기업의 이미지를 제고시키는데 화예디자인의 기능과 가치가 비중 있게 발현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다방면으로 그 내용이나 형식 등이 차용되고 있는 화예디자인의 미의 추구는 화장품의 근본 속성과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화장품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주성분은 자연에서 추출한 식물성 재료인 경우가 많다. 이는 자연성이 화예디자인과 화장품 간의 중요 공감 요소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또한 자연성, 미를 추구한다는 양자 간의 유사성을 근간으로 한 두 분야의 합리적인 결합은 양측 모두에게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인식 하에 화장품 기업의 체험 공간 내에서 기업 이미지의 차별적 제공 수단으로서 화예디자인이 적용된 사례를 통해 이를 분석하는 틀을 수립하여 정량적으로 계측하여 분석하는 분석방법을 수립함으로써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먼저 Ⅰ장에서는 연구 배경 및 목적, 연구 범위 및 방법을 밝히고, Ⅱ장에서는 체험 마케팅의 이론적 고찰로서 체험 마케팅의 개념과 전략적 모듈(SEMs)에 해당하는 감각 마케팅, 감성 마케팅, 인지 마케팅, 행동 마케팅, 관계 마케팅에 관한 정의를 살펴보았다. 또한 체험을 각각 감각 체험, 감성 체험, 인지 체험, 행동 체험, 관계 체험으로 분류하였으며 체험 제공 수단(ExPros)은 커뮤니케이션, 시각적/언어적 아이덴티티, 공동 브랜딩, 공간적 환경, 웹사이트와 전자 매체, 제품의 외형, 인적 요소로 분류하여 그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체험 제공 수단이 모두 포괄적으로 집약된 커뮤니케이션 장소와 기업의 문화가 내재되어 있는 공간을 체험 공간이라고 정의 하였으며 화예디자인의 개념과 체험 제공 수단에 화예디자인이 활용된 예를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화장품 기업의 체험 간을 체험 제공 수단 중 공동 브랜딩에 해당하는 이벤트와 공간적 환경에 적용되는 전시, 소매점을 선정ㆍ분류하여 각 공간에 화예디자인이 활용된 사례를 제시하였다. 먼저 이벤트 공간은 신제품 출시회, 고객 강좌, 고객 초청 행사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전시 공간은 국내의 화장품 전시 자료와 국외의 이태리 볼로냐의 자료를 제시하고 각 전시 공간을 전체 이미지관,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 제품 체험 공간, 어트랙션 공간으로 분류하여 화예디자인이 활용된 사례를 제시하였다. 소매점 공간은 쇼윈도 디스플레이, 매장 내 디스플레이로 구분하여 이에 화예디자인이 활용된 사례를 선정하였다. 또한 각 사례에 해당하는 공간디자인 콘셉트와 화예디자인 콘셉트를 색상과 재료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 내용을 정리 하였으며 소결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Ⅳ장에서는 분석틀을 수립하기위해 앞장에서 살펴본 이벤트 공간, 전시 공간, 소매점 공간을 내용분석법으로 각 사례를 분석하여 공간의 이미지, 공간디자인 콘셉트, 화예디자인의 콘셉트, 스타일을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으로 화예디자인 관점에서의 체험적 가치, 체험 제공 요소, 공간 조형 요소를 분석함으로 이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수치로 계측하여 분석틀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분석방법을 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방법의 도출과정을 정리하여 그 결과를 평가하고 소결로 나타내었다. Ⅴ장 결론에서는 각장의 연구 성과들을 토대로 화예디자인이 활용된 화장품 기업의 체험 공간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 마케팅의 다각화의 수단으로서의 화예디자인의 다각적인 전개를 제안함으로써 본 연구 전체를 마무리 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의 감성 커뮤니케이션으로서 체험 마케팅 전략에 적극 활용되고 있는 화예디자인의 기능과 가치를 분석함으로써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분석방법을 통해 화예디자인의 비중성과 향후 다방면으로 화예디자인 분야가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본 연구의 기대 효과로 삼을 수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타 연구 분야와의 연계성을 도모하고 화예디자인을 보다 심화ㆍ발전하는데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 뮤지엄의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전찬희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뮤지엄은 인류의 보물창고이다. 이곳에는 인류의 과거, 문화, 꿈, 희망이 보존되어 있다. 근대까지만 해도 뮤지엄은 일부 특정계층만이 향유할 수 있는 '고유의 영역'이라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산업사회의 발달이 가져온 경제적인 풍요는 과거 선택된 소수만이 누릴 수 있었던 문화예술 향유를 일반 대중에게 확대시켰다. 현대의 뮤지엄은 소장품을 위한 정적인 창고에서 관람객들을 위한 경험의 공간으로, 기존의 '자신들을 위한 공간'에서 관람객들의 요구를 수용하는 '외부지향적이고 관람객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일반대중을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뮤지엄의 사회교육기능을 보강하고 있으며, 아울러 관람객을 배려한 관람시설 및 서비스공간의 확충, 예술정보기능 강화등 관람객들을 위한 적극적인 교육공간과 정보전달 공간으로 변해가고 있다. 뮤지엄의 모든 활동은 궁극적으로 관람객을 위한 것이며 관람객의 요구와 기대가 뮤지엄 활동에 전반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뮤지엄의 기능과 전시체계, 운영방식, 서비스 등 뮤지엄 전반에 걸쳐 새로운 접근 방법 즉 마케팅을 필요로 한다. 뮤지엄에 마케팅 기법을 사용한다는 것은 뮤지엄 사명을 수행하고, 다양하고 구분된 관객층을 만족시키기 위한 일련의 창의적 활동으로 대중이 어떠한 정보를 요구하는가, 지적 관심사는 무엇인가, 그에 대하여 어느 정도 시간적, 경제적 여유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뮤지엄의 수요창출을 위해 무엇이 가능한지를 생각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관람객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여 뮤지엄을 활성화시키고, 독특한 뮤지엄 체험을 제공하여 관람객의 재방문을 만드는 마케팅 전략을 모색하였다. 뮤지엄의 마케팅 전략의 목적은 첫째로 뮤지엄 운영의 효율성이다. 뮤지엄 업무는 매우 복잡하고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합리적인 조직과 제도를 갖추지 않으면 뮤지엄 본연의 수행이 어렵다. 뮤지엄이 하나의 조직으로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운영의 효율성이 필요하다. 둘째는 뮤지엄 활동의 다각화를 통한 관람객의 안정적 확보이다. 뮤지엄 운영자의 궁극적인 목표는 충실한 관람객의 안정적 확보라 할 수 있다. 뮤지엄은 관람객의 요구의 수용하고, 즐길 수 있는 장소로서 뮤지엄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는 뮤지엄의 설립취지와 안정적인 관람객 확보를 목적으로 마케팅 기법을 어떻게 유효 적절하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The museum is a treasure storehouse of mankind. It has been preserving past, culture, dream and hope of mankind. Until the modern ages, dominant recognition of the museum was that it belonged to a specific realm for a specific class. Economic abundance brought by development of industrial society enlarged possession of culture and arts that was allowed only for the chosen few. This change in function means a radical reorganization of the whole culture of museum. In addition to looking inward to their collections, museums are now looking outward towards their audiences. Moreover, social education function of the museum has been enhanced with operation of various education programs for general public. And the museum is converting into active education and information delivery place for the gallery expanding its viewing equipment and service space and strengthening function of arts and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Ultimately all activities of the museum are for the gallery and requirement and anticipation of the gallery should be reflected upon overall activities of it. To get this done, a new approach over its all aspects including function, system of exhibition, way of management and service needs to be done. That is marketing. Introducing marketing methods to the museum is a series of creative behavior aimed to achieve mission of the museum and satisfy various and classified visitors. It tries to understand what the public needs, what their intellectual interests are and examine how much time and money the public could afford for them. By doing so, it looks for what is available to create demand for the museum. This study groped for marketing strategies that could bring activation of the museum accepting requirement of the gallery and induce re-visit of the gallery by providing characteristic experience of the museum. Goal of the museum marketing is, first of all, securing efficiency of management of museum. Works of the museum are very complicated and find their characteristic at frequent and simultaneous occurrence. Innate mission of the museum could not be carried unless it has logical organization and system. To achieve goal of the museum as an organization efficient management is needed. The second goal is securing of the stable gallery through diversification of museum activities. The museum should look for various ways to build up the museum that accepts requirement of the gallery and where the gallery could enjoy. This study searched various possibilities of how to utilize marketing methods effectively and properly to achieve objects and goals the museum would like to go for.

      • 전공 역학 학습에서 대학생이 경험하는 어려움의 특성 : 어려움 내용, 원인, 해결방안을 중심으로

        전찬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공계기피현상이나 물리교육의 위기는 학회나 언론에서 수없이 언급되었다. 이것은 교육현장에서도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는 문제이다. 학생들이 물리 선택을 꺼리는 주된 이유 중의 하나로 물리가 배우기 어렵고 힘든 과목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교육 과정의 변화, 현장 수업 개선, 학생 오개념 연구 등 많은 노력이 있었다. 그러나 구체적인 이론에 근거하여 학생 어려움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그 분석 결과를 수업에 반영하여 수업의 개선을 꾸준히 이어가는 사례도 찾아보기 어렵다. ‘뉴턴 역학’과 ‘일차원 상의 운동’은 물리학 및 관련 이공계 전공자들이 전공과목을 진입하면서 배우게 되는 전공 역학 내용 중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주제이다. 이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지 못하다면, 학생들은 앞으로 이어질 2차원, 3차원 상의 운동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도 계속적인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뉴턴 역학’과 ‘일차원 상의 운동’ 학습 시 겪는 어려움과 그 원인 그리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학생들이 선택하는 해소 방안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간 수집한 학생의 주간보고서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뉴턴 역학’ 학습과 ‘일차원 상의 운동’ 학습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그 원인 및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학생들이 사용하는 방안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Student Difficulty in Learning in Upper-Level Mechanics: Focusing on the Sources and Resolutions of the Difficulties Chanhee Jun Department of Physics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Avoidan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and crisis of the physics education have been repeatedly mentioned in academic congresses and the media, maintaining significance in the educational field. One of the reasons for students' reluctance to choose physics is because they regard it as a challenging and difficult field. Much effort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obstacles through changes in curricula, improvements in lectures, researches in students' myths. However, systematic analysis of students‘ difficulties based on specific theories, reflection of the analysis results, and continuous improvement in lectures accordingly are a rarity. 'Newtonian Mechanics' & 'Motion of a particle in one dimension' is a fundamental topic in mechanics. If students who major in physics and science & engineering do not fully understand this topic, they will have difficulties in learning the following topics such as 'motion of a particle in two dimensions and three dimensions' continual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udent difficulties in 'Newtonian Mechanics' & 'motion of a particle in one dimension', the sources and resolution types of such difficulties. For this purpose, we have collected and analyzed students' weekly reports for four years from 2004 to 2007. And then, we identified differences of student difficulty, the sources and resolution of the difficulty between Newtonian Mechanics and 'Motion of a particle in one dimension'. Finall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our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Keywords : Motion of a particle in one dimension, Newtonian Mechanics, Sources and resolution of student difficulty Student Number : 2006-21786

      • 初等學校에서 期待하는 敎師像에 관한 硏究

        전찬희 明知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ylze the role of homeroom teachers and the expectations of parents and teachers on the homeroom teachers.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contents were investigated: (1) the related books and research materials were reviewed, to better understand the quality and role of a teacher; (2) the responses of the students, the parents and teachers to the questionnair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ir personal backgroun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Regarding teachers' image, it was found that a majority of the students expected their teacher to be presentable, more sincere, and more sensitive to reality. ● Regarding teaching method, the study found that the respondents expected their teacher to be democratic in two-way communication with students rather than authoritarian or indifferent. ● Regarding counselling, a majority of the respondents expected the teacher to inform them of their undesirable behaviour and forgive them. ● Regarding a teacher's classroom management, most respondents expected the classroom to be managed with the consensus of both sensitive to reality, and be democratic by encouraging communication and dialogue with the students. A homeroom teacher should develop leadership skills to promote effective classroom management and instruction.

      • CoCrTa/Cr-Cu와 CoCrTa/Cr-Ni 자성박막의 자기적 성질과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

        전찬희 江原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Sputtered magnetic thin Co-based alloy films are widely used for high density hard disks in recent years. Among of them CoCrTa/Cr hard disks are commonly used because it is easy to obtain a high coercivity with good corrosion resistance and low material cost. The magnetic properties of CoCrTa/Cr thin films mainly depend on the microstructure of epitaxially grown CoCrTa magnetic layer on the Cr underlayer. The Cr microstructure influences the grain morphology and crystallographic texture of the epitaxial magnetic layer. The microstructure of Cr underlayer, such as preferred orientation, grain size, surface morphology can be changed with manufacturing conditions. However, it was proposed to improve magnetic properties with addition of a small amount of substituted element into the Cr layer. In this paper we have tried to obtain high coercivity thin fil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bstituted elements addition into Cr underlayer on the magnetic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CoCrTa/Cr magnetic thin film. Underlayer and magnetic layers were deposited by DC magnetron sputtering system. For underlayer deposition, composite target which Ni and Cu pellets were attached on the Cr target was employed. The film composition was controlled by the changing the area of the pellets attached on Cr target. For the magnetic layer, Co_(86)Cr_(12)Ta_(2) alloy target was used. Substrate used were Coming cover g1ass(No. 2865). Substrate temperature was varied from room temperature up to 270℃, and an Ar gas pressure of 1×10^(-3) Torr and a magnetic layer thickness of 500Å were kept constant during magnetic layer was deposited. For the film thickness measurement the DEKTAK ⅡD was used and thickness controlled by the calculated sputtering rate. Magnetic properties and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by VSM and x-ray diffraction using Cu Ka radiation. Surface morphology was observed using AFM. Crystallographic orientation and magnetic properties of CoCrTa/Cr-(Cu, Ni) thin film were investigated. Addition of small amount Cu and Ni into Cr underlayer leads to increase in coercivity by about 150 Oe. For Cr-Ni underlayer coercivity increase is supposed by contribution of Cr(200) plane. We suppose that the decrease in grain size is predominant factor affecting coercivity.

      • 페이딩 채널하에서 배직교 길쌈부호를 이용한 CDMA 시스템의 성능분석

        전찬희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capacity of current analog celluar communication systems is gradually saturated because of consistently increasing number of celluar users,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mobile communications is in progress to solve the capacity congestion problem. Although TDMA System is already being used in USA as a standard of digital celluar systme, CDMA digital celluar system which accommodates more users and better performance, is getting more attention from many peoples. In this paper, the mobile radio propagation environment is studied and a channel simulation program is developed. This paper presents the details of frequency selective Rayleigh fading channel, and the developed multipath fading channel simulator for wideband spread spectrum systems is characterized by independent three-ray Rayleigh fading to meet the requirement of TR45.5.3.1. This simulation is required and can be utilized for the studies on the efficient modulation schemes, channel coding, equalizer design, optimum receiver structure design, and diversity schemes, etc. A new CDMA system is propsoed, which is composed of very low rate convolutional code and biorthogonal code with good cross-correlation property. Convolutional encoder with rate 1-64 and constraint length 7 and 127 rows×64 chips are used for generated from Walsh code with 64×64 chips are used for encoding and spreading. 8×8(De)Interleaver is used. Viterbi decoder is used for demodulation newly designed CDMA system, whose branch metric values are not repeated by butterfly form but have difference 128 values. Therefore, ti does not coincided with calculation method of branch metric and path metric commonly used in Viterbi decoder. An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DMA system is analyzed and compared with conventional CDMA system and CDMA system with FEC and orthogonal modulation, which is similar to Qualcomm's CDMA system. The performance of proposed CDMA system using biorthogonal code is better than that of the CDMA system using FEC and orthogonal modulation, and from the hardware complexity point of view, the amount of computation for implementing the proposed CDMA system is increased only a litt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