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쟁채널의 방송내용이 광고시청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쟁채널의 본방송 방영여부를 중심으로

        이헌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시청자들의 ‘①광고회피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프로그램시청률과 광고시청률의 차이를 분석’하고 나아가 ‘②경쟁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내용이 광고시청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③실제적인 채널이동자료를 통하여 ②번 항목의 결과를 검증하여’ 봄으로서 시청자들의 프로그램과 광고 시청행태에 대하여 조명하여 보고자함이다. 각각의 분석은 세부적으로 프로그램의 유형, 프로그램의 길이, 시청률의 크기, 광고의 위치 각각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위해 2001년 11월5일부터 11월18일까지 2주간의 TNS Media Korea에서 제공하는 1분단위 개인별 시청률자료를 기초로 하여 프로그램별로 프로그램시청률 대비 광고시청률(ADRATIO)을 계산하였다. 경쟁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내용은 프로그램 본방송이 방영되는 경우와 광고, 프로그램 안내 등의 프로그램 외적요소가 방영되는 경우를 구분하여 프로그램 본방송이 방영되는 경쟁채널의 개수에 따라 ADRATIO가 어떻게 변화되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광고시청률은 프로그램시청률의 76.5%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세분화하여 프로그램 길이에 따라 분석하여보면, ADRATIO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프로그램 길이가 가장 짧은 경우(20분이하)였으며 나머지의 경우는 뚜렷한 특징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프로그램 시청률 크기에 따라 분석하여보면, 프로그램 시청률이 낮아질수록 ADRATIO는 뚜렷하게 높아져서 프로그램 시청률 크기와 ADRATIO는 거의 반비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의 위치(전후CM)에 따른 분석에서는 후CM이 전CM보다 높은 ADRATIO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들은 분산분석 결과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유의수준 5%)를 나타내었다. 프로그램 유형별 분석의 경우 스포츠, 보도, 정보, 교육, 드라마&영화, 어린이(유아), 오락의 순으로 ADRATIO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방송이 방영되는 경쟁채널의 개수에 따른 ADRATIO의 변화는 경쟁채널의 개수가 0, 1, 2, 3개로 늘어남에 따라 ADRATIO 비율은 85%, 78%, 76%, 73%로 점차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프로그램 길이, 시청률 크기, 전후CM에 따른 각각의 구분에서 대체로 본방송이 방영되는 채널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ADRATIO비율은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특히, 시청률 크기가 전체의 1/3-2/3인 경우와 상위 1/3인 경우와 전후CM의 경우 ADRATIO비율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분산분석 결과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이 밝혀졌다(유의수준 5%). 단, 프로그램 유형별 분석에서는 드라마&영화, 오락, 정보 프로그램에서 경쟁채널의 본방송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ADRATIO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검증하는 차원에서 실제적인 채널 이동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광고시간 중 본방송이 방영되는 채널보다는 프로그램 외적요소가 방영되는 채널로부터 유입되는 시청률이 더 높았으며, 유출의 경우 프로그램 외적요소보다는 프로그램 본방송이 방영되는 채널로의 유출이 더 많아 앞서의 결과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 시청과 광고시청, 그리고 경쟁채널의 방송내용에 따른 광고시청의 변화 등에 대한 시청자들의 시청행태의 변화를 제공함으로서, 좀더 합리적인 광고시간대의 판단과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gap between the program rating and the advertising rating caused by the viewer's advertising aversion, and to examine how the program of competitive channel affects the advertising rating used by the field data such as zapping. This study focused on the viewer's pattern of TV commercials and TV programs. This study expects the viewer's behavior might be influenced by the type, length, and rating size of program and advertising position. For the study, ADRATIO was estimated by individual viewer's rating from TNS Media Korea(data from November 5th to 18th in 2001). The programs of competitive channels were classified as main programs or subsidiary programs such as commercials and program guide. This study also shows how ADRATIO be influenced by the number of competitive channels broadcasting main program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advertising rating is 76.5% of program rating. According to the length of program, ADRATIO is significantly high when the length of program is under 20 minutes. According to the program rating, the lower program rating has the higher ADRATIO. It means ADRATIO is in inverse proportion ratio to the program rating. According to the advertising position, post CM has higher ADRATIO than prior CM. These resul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p < 0.05). According to the type of program, ADRATIO becomes lower in the order of sports, news, information, education, soap opera & movie, children program, and entertainment. However, the differenc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f the number of competitive channels which show main programs as 0, 1, 2, 3, ADRATIO decreases as 85%, 78%, 76%, 73%. The ADRATIO gradually decreases when the length of program is longer, and rating size of program is bigger, and when the number of competitive channels is increasing. Specifically at the case of total rating size 1/3 to 2/3, over 1/3 high position and prior or post CM show significant change of ADRATIO. These resul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p < 0.05). According to the type of programs such as soap opera & movie, entertainment, and information programs, ADRATIO becomes low by increasing the number of competitive channels which show main programs. However, there are no signigicant meanings. In order to analyze previous results, this research used the data of change channel. During an advertising is on-air, more people change channels from subsidiary programs than main programs. Also, during the same time, more people change channels to main programs than subsidiary programs. This research finds the relations between program rating and advertising rating and the viewer's behavior pattern by the type of program on competitive channels.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an indicator of media planning.

      • 6가크롬 폭로가 랫트의 태반 기능과 생식능에 미치는 영향

        이헌 인제대학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적: 임신 중 6가크롬 폭로가 1세대 랫트의 태반 기능과 2세대 랫트의 생식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 것이다. 방법: 실험 동물은 임신된 F344 Fisher 랫트를 사용하였으며 크롬 (6가, potassium dichromate)을 식수에 용해시킨 후 대조군, 250 ppm 투여군, 750 ppm 투여군으로 구분하여 임신 7일부터 19일 까지 투여 하였다. 태반 호르몬 유전자 분석 및 apoptosis, 조직학적 분석을 위해 각 실험군 별로 10 마리씩, 태반 및 태아의 체중검량, 출산자수 평가를 위해 각 실험군 별로 10 마리씩, 생식능 평가를 위해 각각 10 마리씩 사용하였다. 유전자의 발현과 태반 세포의 분화 및 apoptosis를 RT-PCR, northern blot hybridization 방법 및 병리학적 소견으로 관찰하였다. 생식능의 평가는 임신 중 모체를 통해 크롬에 폭로된 2세대 랫트를 대조군과 암.수 교차교배시킨 후 교배지수, 수정지수, 착상지수, 유산지수, 출산지수, 생존지수, 사망지수 등을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프로그램(version 6.12)을 이용하였다. 결과: 크롬 투여군에서 PRL-GH군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특히 PL-I, PL-II, PLP-A, dPRP 유전자의 억제 정도가 컸다. PRL-GH군 유전자의 발현 유도 인자로 알려진 Pit-la, b isotype 유전자의 발현도 억제되었으며, 태반, 배아 및 모체의 혈중 PL-Iv, PL-II 농도도 감소되었다. 그리고 태반과 태아의 무게 및 출산된 태아의 수가 감소되었다. 고농도 투여군에서 PRL-GH군 호르몬을 분비하는 spongiotrophoblast 세포의 분화가 억제되었고 apoptosis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임신 중 모체를 통한 크롬 폭로는 랫트의 뇌 성분화(brain sexual differentiation)와 연관된 KAP3 유전자의 발현과 생식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임신 중 크롬 폭로는 1세대 랫트 태반의 PRL-GH군 호르몬 분비 및 세포 분화 억제, apoptosis 유도등 태반의 기능과 배아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2세대 랫트의 생식능과는 무관하였다.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oxic effects of chromium (VI) exposure on the rat placental function, development and breeding ability of second generation. Methods : Pregnancy of the F344 Fisher rats were checked by the presence of the copulatory plug or sperm in the vaginal smear and defined as the pregnant day 0. Pregnant rats were divided into the three groups. Control group was given tap water (chromium level<0.001). The remaining groups were given 250 or 750 ppm of chromium (VI) [as potissium dichromate] from day 7 to day 19 of gestation, respectively. mRNA level of KAP3, Pit-la, b isotype and PRL-GH family genes were analyzed by northern blot hybridization and RT-PCR. Placental cell differentiation and apoptosis were surveyed by the histochemical study and fragmentation of chromosomal DNA. Breeding ability of second generation was surveyed by the mating, fertilization, implantation, abortion, offspring, survival and death indices followed by the cross mating between control and chromium exposed male and female rats.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the SAS program(version 6.12). Results : Placental mRNA level of PRL-GH family genes and PL-Iv, PL-II concentration in the rat placenta, fetus and maternal blood reduced by chromium exposure. Placental mRNA level of Pit-la, b isotype gene that induce the expression of PRL-GH family genes also reduced by chromium exposure. High dose of chromium exposure induced the apoptosis of placental cells and suppressed the differentiation of spongiatrophoblast cell that secret the PRL-GH hormones. Chromium reduced the weights of placenta and fetus and the number of offspring. However, maternal exposure to chromium had no effects to the mRNA level of KAP3 gene involved in the rat brain sexual differentiation and the breeding ability of second generation. Conclusions : Exposed the pregnant rats to chromium lead to disrupt the ordered functions of placenta and embryogenesis. Maternal exposure to chromium during the 'critical period' of rat brain sexual differentiation had no effects to the KAP3 gene expression and breeding ability of second generation.

      • NR/EPDM Blend의 상용성 조절에 관한 연구

        이헌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비상용계로 알려진 Natural Rubber(NR)와 ethylene propylene diene terpolymer(EPDM)를 조성고분자로 하여 blend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호작용을 하는 반응성 상용화제를 도입하여 조성고분자간의 상용성을 증대하였다. 반응성 상용화제로는 maleic anhydride(MAH)를 사용하였고, 조성 고분자에 그라프트된 MAH 상호간의 반응에는 ethanolamine(EA)을 사용하여 Imidization 및 Esterification을 유도하였다. 반응성 상용화제인 MAH와 조성고분자간의 graft반응 및 Imidization은 FT-IR로 확인 하였다. NR 및 EPDM에 MAH의 graft 반응은 BPO를 개시제로 하여 용액그라프트법을 이용하였으며, blend시 조성고분자인 NR과 EPDM에 graft된 반응성 상용화제의 함량을 변화 시켰다. NR/EPDM Blend시 조성 고분자에 그라프트된 상용화제의 관능기의 화학적 결합에 의한 조성간 반응을 유도하여 결합력에 의한 상용성 조절 효과를 예측 하였다. NR과 EPDM의 조성비 및 반응성 상용화제의 함량을 달리하여 블렌드를 제조 하였다. 화학적 결합력의 조성 고분자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밀도, 팽윤비,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측정 하였으며, DSC, TGA, DMA로 관찰하였다. NR과 EPDM의 함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반응성 상용화제의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blend는 반응성 상용화제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기계적 성질이 증가 하였으며, 조성간 반응에 의하여 밀도 증가 및 용매에 대한 평윤도의 감소 현상을 볼수 있으며, NR과 EPDM의 조성을 달리하여 제조한 시편에서 60/40의 조성비에서 물성이 우수함을 볼수 있었으며 조성 고분자에 그라프트 된 MAH 및 EA와의 화학적 결합에 의한 상용성의 증대로 인하여 향상된 물성 거동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NR과 EPDM의 두 조성 고분자에 조성간 반응이 가능한 상호 반응성 상용화제를 첨가 함으로써 비상용계로 널리 알려진 NR/EPDM의 blend에서 상분리 현상을 억제 하며, 전체적인 물성 및 몰폴로지의 향상됨을 알수 있었다. The characteristic of blends between natural rubber(NR) and ethylene propylene diene terpolymer (EPDM) were investigated as a study EPDM composite materials. Maleic anhydride(MAH) and Ethanolamine(EA) were selected as a reactive compatibilizer between NR and EPDM, the each reaction between reactive compatibilizer and matrix polymer were confirmed with FT-IR. Maleic anhydride and ethanolamine reacted imidization and esterification. Maleic anhydrie grafted natural rubber(NR-g-MAH) and maleic anhydride grafted EPDM(EPDM-g-MAH) were synthesized with benzoyl peroxide(BPO) in toluene at 80℃ and derivariate hydroxyl terminated maleimide with imidization. Maleic anhydride and ethanolamine were rested chemical reaction. After reaction, NR/EPDM blend get compatibility. Density was increased by chemical reaction of compatabilizer. Mechanical properties improved and sweling ratio was lowered with increasing the reactive compatibilizer. In DSC, Tg was gether between Tg of NR and Tg of EPDM. TGA was showed increasing thermal stability because of imidization. In DMA, We observed increasing compatability between two polymers. From the above Results, the general properties of NR/EPDM Blend were improved, because of the improved compatibility triggered by chemical bonding with reactive compatibilizer.

      • 발명의 진보성 판단에 관한 연구

        이헌 서울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진보성은 특허제도의 근간 및 목적과 가장 관련이 깊은 특허요건이라고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허요건 중 가장 중요하고도 판단하기 어려운 것이라는 데에 별다른 이견이 없다. 그런데 특허법 제29조 제2항은 ‘특허출원 전에 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선행발명에 의하여 용이하게 발명할 수 있는 것일 때에는 특허를 받을 수 없는 것’으로만 규정하고 있을 뿐이어서 법원의 판례를 통한 법 해석에 의해서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발명의 진보성 판단 기준과 관련한 국내외의 그동안의 논의를 전반적으로 살펴봄과 아울러 이러한 기준을 구체적으로 적용 내지 운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실무상 개선하여야 될 사항을 함께 논의해 보았다. 제2장에서는 미국, 유럽, 일본 등 다른 나라에서의 발명의 진보성 판단 기준을 소개하였다. 미국의 경우, 1851년 Hotchkiss v. Greenwood 판결이 처음으로 비자명성 요건에 대하여 판시하였고, 1952년 특허법 개정을 통해 비자명성 요건이 특허법에 명문으로 규정되었으며, 1966년 Graham v. John Deere Co. 판결에 이르러 비자명성 판단의 기본 틀인 Graham framework이 제시되었고, 2007년 KSR International Co. v. Teleflex 판결은 CAFC에 의해 사용되어 온 TSM 테스트가 유용한 통찰 방법이기는 하나, TSM 테스트의 엄격한 적용은 옳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유럽의 경우, 진보성 판단의 객관성과 예측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 EPO는 이른바 ‘과제 해결 접근법’(problem-and-solution approach)을 채택하여 운영해 오고 있는데, 과제 해결 접근법은 ① 가장 근접한 선행기술(the closest prior art)을 결정하고, ② 해결되어야 할 ‘객관적인 기술적 과제’(objective technical problem)를 설정하며, ③ 당해 발명이, ‘가장 근접한 선행기술’과 ‘객관적인 기술적 과제’를 출발점으로 놓고 볼 때,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했을 것인지 여부를 고려하는 방식으로서, 그 핵심은 통상의 기술자가 가장 근접한 선행기술을 수정 또는 변경하여 해당 발명에 도달할 수 있었는지(could have arrived) 여부가 아니라, 그가 객관적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려는 기대 아래 그 선행기술을 수정 또는 변경을 하였을 것인지(would have done) 여부이다. 일본의 경우, 진보성 유무는 통상의 기술자가 인용발명으로부터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는지 여부로 결정되는데, 이를 위해 먼저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용발명을 특정하고, 그 다음으로 논리 부여에 가장 적합한 하나의 인용발명(주인용발명)을 선택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과 주인용발명을 대비하여 일치점 및 차이점을 추출하며, 그런 다음 차이점과 관련하여,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진보성을 부정하기 위한 논리 부여가 가능한지를 인용발명(주지관용기술 포함) 및 기술상식에 근거하여 탐색하는 방식을 취한다. 제3장에서는 진보성 판단의 대상이 되는 특허발명의 특정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올바른 진보성 판단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그 전제로 진보성 판단의 대상이 되는 해당 특허(출원)발명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 의미를 확정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청구항 해석의 기본 법리에 관하여 살펴본 후 이를 전제로 발명의 진보성 판단을 위해 해당 특허(출원)발명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를 검토하였고, 그와 아울러 특수한 형식의 청구항(기능식 청구항, 제조방법이 기재된 물건발명 청구항 등)에 관한 해석 기준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진보성 판단에 있어 특허발명과 대비되는 선행기술의 특정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신규성 판단에서와는 달리 진보성 판단에 있어서는 특허발명과 대비되는 선행기술이 단순한 공지기술이 아닌 특허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이어야 한다는 제한이 따르게 된다. 이 장에서는 진보성 판단에 있어 특허발명과 대비되는 선행기술의 자격, 공지 시기, 명세서에 기재된 종래기술의 지위, 미완성발명을 선행기술로 삼을 수 있는지 여부 등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제5장에서는 진보성 판단에 있어 판단의 기준이 되는 ‘통상의 기술자’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통상의 기술자’는 특허법 전반에 사용되는 중핵적(中核的) 개념으로서, 발명의 진보성 판단에 있어서도 해당 발명이 선행기술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는지 여부를 통상의 기술자의 관점에서 판단하도록 특허법이 요구하고 있으므로, ‘통상의 기술자’가 구체적으로 누구를 의미하는지 그리고 그 기술수준은 어떻게 심리․판단할 수 있는지 등의 논의는 발명의 진보성 판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장에서는 통상의 기술자의 정의 및 그 기술수준 등에 관한 종래의 논의를 소개한 후 통상의 기술자의 기술수준 등을 어떻게 충실히 심리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제6장에서는 진보성 판단 작업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용이 도출 여부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의 특허 실무는 진보성 판단에 있어 해당 특허발명과 선행기술(비교대상발명)의 목적․구성․효과를 대비하여 용이 도출 여부를 판단하고 있는데, 이러한 판단방법에 관한 소개 및 평가를 시도해 보았다. 또한, 최근 대법원 판결 등에서 사후적 고찰 금지, 발명의 전체적 대비, 사실심리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진보성 판단 기준과 관련한 보다 구체적인 기준이 제시되고 있는바, 그에 관한 검토도 진행하였다. 제7장에서는 앞서의 논의를 기초로 진보성 판단 기준 및 방법의 정립을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아울러 사후적 고찰의 방지를 위해 제안되고 있는 내용에 관한 검토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제8장에서는 앞서의 논의를 전체적으로 요약․정리함으로써 본 논문을 마무리하였다.

      • Lagrangian Dynamic Smagorinsky 모형을 이용한 쇄파대역에서의 비선형 천수거동에 관한 연구

        이헌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numerical simulation of several wave breaking is developed because of development of wave models. But numerical simulation of wave breaking like plunging type breaking remains a formidable challenge We are simulated wave breaking of heavily deformed surface profile like plunging type wave breaking using Smoothed Particle Hydrodynmics (SPH) and Lagrangian dynamic Smagorinsky (LDS). Severaly deformed water surface profile, free falling water particle, queuing splash after landing of water particle and wave finger are successfully duplicated in the numerical simulation of wave propagation over uniform slope beach. 최근 파랑모형의 많은 발전으로 인해 여러 쇄파에 대한 수치 모의 또한 많은 발전이 있었다. 하지만 Euler 좌표계에서 정의되는 편미분 방정식 형태의 파랑모형으로는 다중으로 연계된 영역의 기술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태생적 한계 때문에 plunging 형태의 쇄파에 대한 수치 모의는 어려움을 갖는다. 지속한 연안 개발을 위해서 쇄파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 유동계를 입자로 치환하고 각 입자를 시공을 통해 순차적으로 추적하여 해석하는 SPH 기법과 최근까지의 난류모형 중 가장 강건하고 뛰어난 Lagrangian dynamic Smagorinsky 난류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plunging 형태의 쇄파와 같이 수면형이 극렬하게 변형되는 쇄파에 대해 수치모의 하였다. 파가 진행되면서 파고의 증가와 증가한 파고가 임계치를 초과할 때 파의 마루에서부터 시작되는 유체입자의 자유낙하, 자유낙하한 유체입자의 착수, 착수로 인한 물보라의 형성, 형성된 물보라의 해변으로의 이행 뿐만 아니라 이행에 따른 wave finger 현상이 성공적으로 모의되는 고무적인 결과를 얻었다.

      • Quandle coloring of tangles : 콴들을 이용한 얽힘의 채색

        이헌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매듭이론의 라이데마이스터 이동에서 파생되는 대수적 구조인 콴들과 매듭과 얽힘을 콴들을 이용하여 채색을 함으로써 나타나는 일련의 성질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매듭과 얽힘은 모두 방향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콴들 채색가능여부 또한 매듭 혹은 꼬임 불변량이 되며, 이 불변량은 다른 두 매듭들을 구별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가장자리 양 끝점이 2개인 (1,1)-얽힘의 콴들 채색에 대하여 양 끝점에 같은 색깔이 채색될 수 있는 조건들을 찾는 것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핵심연구결과는 Dihedral 콴들로 교대 (1,1)-얽힘을 채색하면 양 끝점이 같은 색으로 채색된다는 사실과, 홀수 위수를 가지는 Diheral 콴들과 (1-t)로 나누어지지 않는 다항식 에 대하여 상모듈 Z[t,t^{-1}]/(f(t)) 상의 Alexander 콴들로 (1,1)-얽힘을 채색하면 양 끝점이 같은 색으로 채색된다는 사실이다.

      • 수술이 불가능한 폐암 환자에서 고주파 소작술의 치료 역할 : 다른 치료 방법과 비교 연구 : Therapeutic role of radifrequency ablation for the inoperable non-small cell lung cancer : comparison with other therapeutic method

        이헌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적: 보존적 치료, 화학 치료, 고주파 소작술 및 수술적 치료의 장기 생존율을 비교하여 수술이 불가능한 비소세포 폐암 환자에서의 고주파 소작술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부터 2004년까지 1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이 불가능한 비소세포 폐암을 가진 40명에게 CT 유도하에 고주파 소작술이 시행되었다. 이들은 남자가 33명, 여자는 7 명이었고 평균 나이는 65.5세였고, 0-2사이의 활동도를 가지고 있었다. 이들 중 폐암 1기 환자(n=15)는 오직 고주파 소작술을 받았다. 폐암 2-4기인 25명의 환자 중 12명은 림프절 또는 원격전이가 있어서 고주파 소작술 후 추가적으로 화학 치료를 받았지만, 나머지 (n=13) 환자는 항암 치료의 거부나 항암 치료의 적응증이 되지 못해서 고주파 소작술 후 항암 치료를 받지 못했다. 폐암 환자의 고주파 소작술 치료와 비교를 위하여 같은 시기에 보존적 치료, 화학 치료, 수술적 치료를 받은 비소세포 폐암으로 진단 받은 64명의 환자를 선택하였다. 이들은 0-2사이의 활동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평균 연령은 68.3세였다. 1기와 2기의 환자 (n=13)에 대해서는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3기와 4기의 환자들에게는 화학 치료 (n=34)와 보존적 치료(n=17)가 시행되었다. 생존 기간은 치료 시작 일부터 사망 또는 추적이 가능한 기간까지로 계산하였다. 각 치료 방법의 생존 곡선을 계산하기 위해 카플란 마이어 방법(Kaplan Meier method)이 사용되었다. 결과: 치료 방법과 상관없이 평균 생존 기간은 16개월 이었으며 1년, 2년, 그리고 5년의 생존율은 각각 60.1%, 38%, 6.2%였다. 병기에 관계없이 수술, 고주파 소작술, 화학 치료, 고주파 소작술과 추가적 화학 치료, 보존적 치료의 평균 생존 기간은 각각 35개월, 28개월, 18개월, 15개월, 3개월이었다. 폐암 1기와 2기 환자에서는 고주파 소작술과 수술 치료의 평균 생존 기간은 각각 33.8개월과 28.2개월이었다. 또한 3기 또는 4기 환자에서 고주파 소작술 (13.6개월), 고주파 소작술과 추가적 화학 치료(18개월), 화학 치료(19.5개월) 사이의 생존율 사이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16, log-rank = 3.71). 결론: 고주파 소작술은 수술이 불가능한 비소세포 폐암 환자를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국소적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으며, 화학 치료나 수술적 치료를 대체할 수 있는 치료 방법으로 판단된다.

      • 미니멀리즘의 특성을 브랜드화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이헌 원광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귀금속장신구는 산업사회의 발달로 인한 경제발전과 그 흐름을 함께 하고 있다. 사회구조뿐만 아니라 구성원인 현대인에게 경제적인 풍요로움을 주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귀금속장신구시장은 지난 20여년 동안 급속하게 성장하였는데 이것은 경제성장으로 인한 개인의 소비가 증대함에 따라 자신을 가꾸고 독창적인 자신만의 아름다운을 추구하고 또 그것을 위하여 아름다움을 판단하는 안목이 높아지며, 나아가 장식적인 가치를 중요시하게 되었다. 미니멀리즘은 단순하면서도 절제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동시에 기능성을 강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오늘날 여러 분야의 디자이너들은 화려함에서 간결함으로, 인공적인 것에서 보다 자연에 가까운 느낌을 전달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물질적인 것보다는 감성적인 측면의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 미니멀리즘의 본질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오늘날 장신구의 기능성에 부합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CAD/CAM을 사용하여 귀금속장신구의 조형적 의미와 아름다운의 가치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디자인개발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경쟁력을 갖춘 산업장신구로서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한다. Today, jewelry keeps pace with economical development due to growth of industrial society. It has become to offer economical richness to social structure as well as its component, modern people. A rapid growth has appeared in the market of jewelry in our country since the past 20 years, by which everyone tried to cultivate himself by pursuing his own beauty, to advance his taste for beauty, to make much of the value of decoration as his personal consumption increases owing to economical development. Minimalism has characteristics to put stress on beauty both simple and temperate, and at the same time its functionality. Today, designers of various genres covert their style from magnificent to simple, from artificial to natural, and prefer sensible to material. On the basis of the essential concept of Minimalism nowadays, I would like to upgrade the formative meaning and value of beauty in jewelry by using CAD/CAM enough to be proper to functionality of jewelry and to make possible for its mass-production. And, I hope the creation of high-level value as industrial jewelry with competitive power by lessening time and expenditure necessary for design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