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평범한 일상의 풍경에 관한 회화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이유정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주제 면에서 평범한 일상의 풍경을 다루고, 표현 방법 면에서 본인의 작품과 유사성을 띠고 있는 팀 아이텔(Tim Eitel) 그리고 빌헬름 사스날(Wilhelm Sasnal)의 작품과 본인의 작품에 대해 비교·분석한 작품연구 논문이다. 본인의 작품에서 표현되는 일상은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평범한 나날들이다. 일상이란 ‘날마다 반복되는 생활’을 의미하며 우리는 일상 속의 추억을 되새기며 현재를 살아간다. 근래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개인의 일상을 업로드 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일상 속 추억은 기억에도 담을 수 있지만, 사진으로 찍어 추억을 저장하는 사람들도 많아졌다. 본인의 작업은 사진으로부터 시작된다. 본인은 작품의 구도를 설정할 때 대상에 대한 클로즈업 없이 모든 주제를 원경으로 물러나 있게 한다. 본인은 작품의 구도를 설정하는 데 있어서 그 순간이 갖는 일상성, 평범함을 드러내기 위하여 사람의 표정은 드러나지 않게 함으로써 강조를 없애고 편안함을 표현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작품에서 보여주는 일상들은 중요한 사건들 뒤에서 삶을 묵묵히 채우고 지켜주는 변함없는 날들이 주는 위로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반복적이고 쳇바퀴처럼 돌아가는 따분한 일상 속에서 지나가는 행인, 소중한 반려견 그리고 지인들을 멀리서 바라보았을 때 그 순간의 편안함과 휴식 같은 감정을 느꼈기에 본인은 그 순간을 사진으로 기록했고 사진에서 느꼈던 감정을 다시 그림에 담았다. 작품의 대부분은 본인이 먼발치에서 대상을 바라보는 느낌을 줌으로써 일상속의 편안함에 의의를 두고자 했다. 오랜 기간 동안 회화는 역사적 사실과 사건들을 기록하는 매체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19세기 이후부터는 세상을 있는 그대로 포착하는 역할을 사진에 내어주었고, 회화는 이미지를 단순히 화면에 재현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본인은 어떤 그림이 여전히 유효하고 가치 있는지 고민해 왔으며 작품을 만드는 동안 그것이 본인을 둘러싼 환경과 삶이 어떤 연관이 있는지 끊임없이 자문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표출할지 고민하였다. 따라서 본인은 본 논문에서 과거와는 달라진 새로운 회화의 존재 방식을 탐구했던 작가 중 본인의 작업과 유사한 팀 아이텔 그리고 빌헬름 사스날의 작품과 본인의 작품을 비교하고 분석한다. 또한 이 작품 논문을 통해 일상이라는 소재가 평범함에도 불구하고 왜 가치 있는 주제로 쓰이는지, 일상의 이미지를 회화로 어떻게 담아내야 효과적인지에 대하여 연구한다. This paper is a research paper that analyzes the works of Tim Eitel and Wilhelm Sasnal who have studied ordinary scenery, compared with my works. ‘Daily life’ which is expressed in my works means ordinary days that nothing happen and repeated life. We are living in the present by reminiscing about daily life memories. these days, we can see many people upload their personal life to Social Network Service. in this way, more people are taking pictures to cherish their memories, although we can keep our daily memories in mind. My work starts from the picture. when composing my work, I made all subjects seem far away without close-up. ‘daily life’ is expressed the comport by excluding facial expression to express dailiness and commonness at the moment. When staring at passerby, acquaintances and dog in everyday life which is in a rut, I felt comfort and relaxed. so I photographed that moment and expressed by art work. most of my work was intended to make sense of the comfort of daily life by giving them the impression that they were looking at objects from a distance. For a long time, painting has been used as a medium for recording historical facts and events. however, since the 19th century, picture has taken the role of capturing the world as it is, in the other hand, the painting has changed to variety of foams rather than just reproducing images on screen. while creating an artwork, I wondered which painting is still valid and worth. I constantly asked by myself how it relates to surrounded environment and life and wondered how to express it. therefore, I compared and analyzed the works of Tim Eitel and Wilhelm Sasnal with my works since my work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painters who explored the new way of painting that has changed from the past. I have been studying why the subject of "everyday" is a valuable despite it is common. moreover, I have studied how to express it into paintings.

      • 알츠하이머병의 정량적 뇌파검사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QEEG)에 대한 탐구와 체계적 고찰

        이유정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Due to the global aging population,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 increase brings a great socioeconomic burden. There are several types of dementia, and the most representative and common type of dementia is Alzheimer's disease. Alzheimer's disease is a chronic brain disease that causes memory loss and cognitive decline. In all dementias, including Alzheimer's disease, the disease progression can be slowed down if they are detected early and treated appropriately. Therefor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are of the utmost importance. A brain biopsy with pathological examination is the only way to definitively diagnose Alzheimer's disease, and since this test is only possible post-mortem, indirect auxiliary methods for diagnosis have been used. Currently,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uses brain imaging markers such a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r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or uses cerebrospinal fluid as a biomarker to identify amyloid beta and tau proteins. In addition, neuropsychological tests and blood tests are used as auxiliary tests. However, many auxiliary tests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have disadvantages such as inducing pain, exposure to radiation, and high price. Therefore, research to utilize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QEEG) as a non-invasive, relatively inexpensive diagnostic marker for Alzheimer's disease is being investigated. QEEG is a digitized EEG analysis that quantitatively analyzes EEG through mathematical changes. EEG classifies frequency components according to amplitude. There are slow waves (less than 1Hz), delta waves (1-4Hz), theta waves (4-8Hz), alpha waves (8-13Hz), beta waves (13-30Hz), and gamma waves (30Hz or more). Quantitative EEG shows abnormal brain activity at a specific location and is widely used as an auxiliary method for brain-related diseases. In particular,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recently recognized QEEG as a helpful indicator for the diagnosis of attention deficit behavior disorder (ADHD), and the effectiveness of QEEG as a diagnostic marker for neurological and psychiatric disorders is being emphasized. In Alzheimer's disease, QEEG is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in theta and delta waves in the parietal-occipital lobe, and a decrease in alpha and beta waves. About 50% of Alzheimer's disease patients have depression, and when depression is present, theta wave in the occipital region increases and the alpha/theta wave ratio decreases, so QEEG can determine the presence of depression in Alzheimer's disease. Also, using QEEG to differentiate Alzheimer's disease,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other dementias is continuously under investigation. QEEG can also be used as a tool for staging of dementia as clinical dementia evaluation (CDR). Studies have found that an increase in theta waves and a decrease in alpha waves can lead to Alzheimer's disease. These studies suggest that QEEG can be used as a predictor of progression to Alzheimer's disease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addi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other dementias, such as Lewy body dementia, Parkinson's disease dementia, frontotemporal dementia, and vestibular dementia, research to differentiate the difference through QEEG is continuing. For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various diagnostic markers. By maximizing the advantages of EEG with high temporal resolution, QEEG can play an important role as a diagnostic and auxiliary marker for Alzheimer's disease.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as an early diagnostic tool for Alzheimer's disease, but also to detect the progression or treatment response of the disease. 전 세계적인 고령화로 인해 치매 환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 경제적으로 큰 부담을 가져온다. 치매의 종류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가장 대표적이고 흔한 치매는 알츠하이머병이다. 알츠하이머병은 기억력 감소, 인지기능 저하로 일상생활에 문제가 생기게 되는 만성 뇌질환이다.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모든 치매는 조기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진다면 병의 진행 속도를 늦추거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알츠하이머병의 확진은 직접적인 뇌 조직 검사법이 유일하나, 이 검사는 사후에만 가능하므로 진단을 위한 간접적인 보조 방법들이 사용되어왔다. 현재 알츠하이머병의 진단은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혹은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과 같은 뇌 영상표지자를 이용하거나 바이오마커로 뇌척수액 (cerebrospinal fluid; CSF)을 이용하여 아밀로이드 베타 및 타우 단백질을 확인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며, 그 밖에 신경 및 정신과 검사와 신경심리 검사 및 혈액 검사 등이 뒷받침되어 보조검사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알츠하이머병 진단 보조검사들은 통증을 유발하거나 방사선 노출, 비싼 가격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알츠하이머병의 보조 표지자로써 비침습적이며 비교적 저렴한 비용이 드는 정량적 뇌파검사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QEEG)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QEEG는 디지털화된 뇌파 분석법으로 뇌파를 수학적 변화를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뇌파는 주파수 성분을 진폭에 따라 분류하며 크게 서파 (1Hz 미만), 델타파 (1-4Hz), 세타파 (4-8Hz), 알파파 (8-13Hz), 베타파 (13-30Hz), 감마파 (30Hz 이상)로 나눌 수 있다. 정량적 뇌파검사는 특정 위치에서의 비정상적인 뇌 활동을 보여주며, 뇌 관련 병증의 보조적 방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처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에서는 QEEG를 주의력결핍 행동장애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의 진단에 도움이 되는 지표로 인정하면서 신경 및 정신 질환의 진단 표지자로서 QEEG의 유효성이 강조되고 있다. 알츠하이머병에서 QEEG 특징은 두정-후두엽에 세타파와 델타파 증가하고 알파파와 베타파는 감소한다.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50% 정도가 우울증을 동반하는데 우울증이 있는 경우 후두부에서의 세타파가 증가하며 알파파/세타파의 비율이 감소하므로 QEEG는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우울증 유무도 알 수 있다. 또한, 알츠하이머병과 경도인지장애, 다른 치매들과의 QEEG 차이를 통해 구분하려는 연구들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치매의 병기 결정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임상치매평가(Clinical Dementia Rating; CDR)의 차이에 따라 정량적 뇌파에도 차이가 있는데 연구에 따르면 세타파가 증가되고 알파파가 감소하면 알츠하이머병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환자에서 알츠하이머병으로의 진행의 예측인자로 QEEG가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경도인지장애와의 차이뿐만 아니라, 루이소체 치매, 파킨슨병 치매, 전두측두엽 치매, 혈관성 치매 등 다른 치매와의 감별진단에도 QEEG를 통해 차이를 구분하려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알츠하이머병의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진단 및 보조 진단 표지자를 종합해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높은 시간해상도를 가지는 뇌파검사의 장점을 극대화하여 알츠하이머병의 특징적인 정량적 뇌파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진단 및 보조 표지자로서 QEEG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알츠하이머병의 조기 진단적 가치뿐만 아니라 병의 진행을 반영하고 더불어 치료 효과를 확인하는 도구로써도 널리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문화예술분야 청년층 고용현황과 정부 취업지원정책 효과 분석

        이유정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적으로 문화산업의 영향력은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한류가 확산되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문화시장 규모도 점차 확대되고 있고, 문화예술분야의 산업적 경쟁력 강화도 중요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문화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우수한 인력확보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문화산업의 고용환경은 임시직 및 비정규직이 타 영역에 비해 많고 고용이 불안하여 우수인재가 이 분야로 진출하는데 있어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우수한 인력확보를 위해서는 보수, 고용안정성, 근무환경 등 근로조건의 개선이 중요하고, 문화예술분야 청년층 정부 취업지원정책은 문화예술전공 졸업생의 고용안정을 지원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분야 전공 졸업생들의 고용현황과 정부의 청년취업지원정책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정부의 청년취업정책이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는데 있다. 분석 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10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0GOMS)의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정부의 청년고용정책이 문화예술전공 학생의 졸업 후 취업률과 고용안정성에 어떠한 효과를 주고 있는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조사대상 졸업생이 경험한 2013년 현재 정부의 청년 고용촉진정책 프로그램 대부분은 주로 임금근로자 및 상용직 위주의 정책으로, 임시직과 자영업자 비중이 높은 문화예술분야에는 대체적으로 크게 도움이 안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예술분야 졸업생의 고용안정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재정립이 필요한 것으로 제언하였다. This thesis is to analyse the effect of Korean government’s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aimed to promote the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especially focusing on those majoring the fields of culture and arts(C&A). C&A majors are known to have suffered both from low employment rate and low job security. To develop the culture and arts industries in Korea as a new growth driver as manifested in the government’s policy platform, It w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to improve the job prospective and employment performance for college graduates majoring C&A so that the culture and arts industries can induce better human resources and talents to find their long-term career goal in this area. I analysed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C&A major graduates using 2010 Graduates’ Mobility Surveys(2010GOMS1 and 2010GOMS3).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employment, wages, and employment type in September 2011 and 2013, 18 and 42 months after the graduation, compared to other majors, C&A majors show no significantly low possibility of employment while earning less wages and showing lower possibility to get regular jobs. Compared to other majors, C&A majors also show larger proportion to venture start-ups. I also found that most of government active labor market programs for young college graduates were not so effective in boosting the employability for C&A majors. As for C&A majors, the experience of a intern program designed for small and medium compani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ployment in 2011. Youth global leader program was also turned out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ployment in 2013. SME intern experience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ecurity in 2011. The analysis result suggests that new labor market policies designed or focusing more on C&A majors are needed as most of the current policy programs are of little help in helping them to get more secure jobs or to prepare or operate their start-ups.

      • 수행 인성 기반의 현실요법 미술 사례 연구 : 만성 알코올중독자의 금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중심으로

        이유정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행 인성 기반의 현실요법 미술 활동이 입원 중인 남성 만성알코올중독자의 금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해 보고자 진행된단일사례(Single-Case) 연구이다.대상자는 반복적인 재발 상황으로 초래된 심각한 자기비하와 부정정서,인격적인 황폐화가 진행 중인 50대 남성 만성 알코올중독자로서 현재 알코올중독 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이다. 본 연구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 후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본인의 동의하에 선정되었다.본 연구의 미술 활동은 2021년 4월 16일부터 7월 23일까지 U 소재의 S 병원집단 치료실에서 주 1회 90분씩 총 15회기(사전, 사후검사 포함)로 진행하였다.본 연구의 효과 검증을 위해 금주 자기효능감 척도검사와 HTP 검사를 미술활동의 사전ㆍ사후에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전 회기의 미술활동과정에서 나타난 대상자의 언어적, 행동적 반응과 완성된 미술 작품을수집하여 이를 바탕으로 금주 자기효능감과 관련한 대상자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미술 활동의 사전ㆍ사후로 진행된 대상자의 금주 자기효능감 척도검사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수행 인성 기반의 현실요법 미술 활동은 금주 자기효능감의 총점을 증가시켰고, 하위영역별 점수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부정적 정서 영역에서의 점수 변화를 증가시켰다. 이는 대상자가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에지배되지 않고 효율적인 통제를 하게 됨으로써 금주 자기효능감을 향상하는 데도움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둘째, 사전ㆍ사후로 실시된 HTP 검사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HTP 검사에서 나타난 집 - 나무 - 사람 그림의 변화를 통해 억압되어 있던 부정감정이정화되면서 성공적인 금주를 비롯하여 가족들과 함께 살아가는 행복한 삶을 갈망하는 대상자의 내면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수행 인성 기반의 현실요법 미술활동이 대상자의 내면에 내재 된 부정적인 감정 관리에 대한 내적 통제력을 향상하여 금주 자기효능감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셋째, 미술 활동과정에서 대상자의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수행 인성 기반의현실요법 미술 활동은 지속적인 금주 유지를 위한 자신의 행동이나 사고, 태도를 통제할 수 있는 내적 통제력과 수행 인성 역량을 함양하게 함으로써 대상자의 금주 자기효능감을 향상하는 데 긍정적인 도움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이상의 결과를 통해 나타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단일사례연구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본 연구결과를 모든 알코올중독자의치료에 일반화하기는 어렵다.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수행 인성 기반의 현실요법 미술 활동이 만성알코올중독자로 살아가는 한 사람에게 적어도 자신이 성공적인 금주를 해낼 수있는 사람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만약 실패한다고 해도 좌절하지 않고 다시 일어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도록 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스스로 할 수 있는 최선의 도덕적이고올바른 행동과 태도를 선택하여 금주에 재도전하고 노력하고자 하는 역량을가질 수 있도록 하여 재발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결국, 인성의 다양한 개념 중 ‘인격(Character)’의 개념이 개입된 중재방안을통해 만성 알코올중독자의 재발 예방에 도움이 되는 학문적 자료를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아동기 정서적 지지와 삶의 만족과의 관계 : 자아존중감과 신체만족도의 이중매개효과

        이유정 영남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석사학위논문 아동기 정서적 지지와 삶의 만족과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신체만족도의 이중매개효과 이 유 정 영남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심리학 전공 (지도교수 정 봉 교) 요 약 현대에 많은 사람들이 행복에 관해서 관심도가 커지고 있으며, 삶에 있어 좀 더 만족감을 얻고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한다. 만족스러운 삶에는 많은 요인들이 있지만, 현대 여성들은 취업, 연애, 결혼, 대인관계 등에서 외모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로인해, 한국 여성들의 외모 관심도 높아지게 되었고, 과도한 외모지상주의가 당연시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신체에 대한 관심과 미(美)의 추구현상은 예나 지금이나 끊임이 없음을 시사하고, 현대인들에게 주요 관심사로 치부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름다운 신체, 날씬한 체형으로 인한 많은 고통이 뒤따른다. 여성들에게 있어 아름다운 외모도 중요하지만 그만큼 자기를 사랑하는 자세도 중요하다. 그리고 그로인해 외모의 장점을 부각하고, 각자의 개성을 살려 좀 더 자신감 있는 삶을 살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들의 삶의 만족에 있어 아동기 정서적지지,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아동기 정서적 지지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대해 확인하고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세 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먼저 아동기 정서적지지, 자아존중감, 신체만족도, 삶의 만족의 상관에 대해 확인하였다. 두 번째는 아동기 정서적 지지, 자아존중감, 신체만족도와 삶의 만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세 번째는 아동기 정서적 지지와 삶의 만족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신체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어떠한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지역 20-50대 여성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아동기 정서적 지지와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이 서로 정적인 상관을 가졌다. 둘째, 아동기 정서적 지지가 높으면 삶의 만족이 높았고, 신체만족과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삶의 만족도 높음을 확인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해 아동기 정서적지지 변인이 하나 일 때 보다는, 신체만족과 자아존중감이 추가가 되었을 때 더 높은 삶의 만족을 보였다. 셋째, 모형검증을 통해 아동기 정서적 지지와 삶의 만족 관계에서 신체만족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삶의 만족에 있어 충분한 아동기 정서적 지지는 성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고 신체만족과 자아존중감이 매개요인으로 영향이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아동기 정서적 지지가 삶의 만족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한 동시에 신체만족과 자아존중감이 이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매개요인임을 확인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선행연구와 결부시켜 본 연구의 결과들을 논의하였고,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을 논한 후, 이에 근거하여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주제어: 아동기 정서적지지,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 M. A. Thes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 Double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and Body Satisfaction You-Jung Lee Department of Psychology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Bong-Kyo Chung)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self-esteem and physical satisfaction in the emotion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in childhood. Hereupon, a survey was conduced dealing with the emotional support, self-esteem, physic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childhood for 300 females aged from 20s to 50s in the area of Daegu. Data were analyzed in the use of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AMOS. Results of this study have indicated that the emotional support, self-esteem, physic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childhood were positively related to one anoth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emotional support in childhood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t was highly influential in predicting the life satisfaction including the self-esteem and physic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model verification, there was a direct effect of the emotional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in childhood. However,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re existed a mediation effect on the self-esteem and physical satisfaction. Keywords: Emotional support in childhood, self-esteem, physical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 중유동 콘크리트의 유동성 확보 및 재료분리 발생 저감을 위한 레올로지 분석

        이유정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on the manufacturing of mid-fluidity concrete. Mid-fluidity concrete means concrete with both high fluidity and resistance to segregation in the range of normal strength concre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ix conditions to manufacture of mid-fluidity concrete with sufficient fluidity and resistance of segregation in normal strength concrete. In the past, high-fluidity concrete mixing condition was applied to high-performance concrete, now high fluidity is required in normal strength concrete for various reasons. However, segregation occurs when enough fluidity is secured in normal strength concrete. Therefore, fluidity and segregation range of normal strength concrete were analyzed using rheology parameters. A series of experiments has shown that static yield stress and viscosity of normal strength concrete at the occurrence boundary of segregation were increased after decrease and dynamic yield stress was measured to zero. In addition, normal strength concrete using VMA(Viscosity Modifying Admixture) can have sufficient fluidity and resistance to segregation. However, VMA is necessary to use more than 0.3% of the increment to secure resistance to material separation of concrete. Additionally, the extent to which segregation occurs in normal strength concrete and the extent to which sufficient fluidity is given is presented as the range of the number of Reology integers. Finally, it is considered to provide a basic idea of how to manufacture the mid-fluidity and mix condition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a further research of manufacturing mid-fluidity concrete. 본 연구는 중유동 콘크리트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중유동 콘크리트는 일반강도 콘크리트의 범위에서 유동성이 높고 재료분리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콘크리트를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강도 콘크리트에서 충분한 유동성과 재료분리 저항성을 갖는 중유동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배합조건을 제시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고성능 콘크리트에서만 고유동성이 요구되었으나, 현재는 여러가지 이유로 일반강도 콘크리트에서도 고유동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강도 콘크리트에 높은 유동성을 확보할 경우 재료분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일반강도 콘크리트의 유동성과 재료분리 발생 범위를 레올로지 정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계획한 실험을 통해 재료분리 발생 경계에서 일반강도 콘크리트의 정적항복응력과 점도가 감소 후 증가하고 동적항복응력이 0으로 측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VMA(Viscosity Modifying Admixture)를 사용하는 일반 강도 콘크리트는 충분한 유동성과 재료분리 저항성을 가질 수 있었다. 다만,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저항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증점제 0.3% 이상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일반강도 콘크리트에서 재료분리가 발생하는 정도와 충분한 유동성이 확보되는 정도를 Rheology 정수의 범위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유동 콘크리트의 제조방법과 배합조건에 대한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중유동 콘크리트 제조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투어멀린(Tourmaline) 보석요법의 노인 혈액순환 개선 효과

        이유정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의 혈액순환 개선에 투어멀린 보석요법이 노인이 자각하는 주관적인 건강상태 개선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투어멀린 보석요법을 독립변수로 하고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의 통증, 뇌기능 저하, 자율신경계 반응, 배설 기능 감소, 행동변화를 종속변수로 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틀은 투어멀린 보석요법이 혈액순환과 기혈운행 촉진, 세포 활력증진, 긴장 이완을 증진시켜 혈액순환 개선에 도움을 준다고 가정하였다. 연구 설계는 유사실험 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이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1년 9월 9일부터 7주간 투어멀린 보석 착용 전․ 후에 나타나는 혈액순환 개선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10일간 대상자별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총 64명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경기도 군포시 소재의 노인복지관, 문화원과 경로당을 중심으로 만 60세 이상 노인에게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연구대상자 64명을 선정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실험 전과 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종속변수를 측정하였다. 노인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1:1로 직접 질의 문답식으로 시전, 시후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대조군과 실험군의 주관적인 건강상태, 생활습관, 운동습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대조군과 실험군의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시전, 시후의 건강상태의 차이를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주관적인 건강상태, 생활습관, 운동습관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주관적인 건강상태 및 생활습관에 대해서는 p값이 0.05 이상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운동습관의 하위항목인 운동량과 운동시간에서 p값이 0.05미만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주관적으로 자각하는 건강상태에 대한 유의검정 결과 시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건강상태는 몸 상태, 임상적인 특징, 간, 심장, 소화기, 뇌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실험군에 비해 대조군의 건강상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후 실험군과 대조군 건강상태에 대한 유의검정 결과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실험군에 비해 대조군의 건강상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차이가 시전에 비해 크지 않았다. 시전 실험군과 시후 실험군의 건강상태에 대한 유의검정 결과 몸 상태, 임상적인 특징, 소화기 등 세 가지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시전에 비해 시후의 실험군의 건강상태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시전 대조군과 시후 대조군의 건강상태에 대한 유의검정 결과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노인의 혈액순환 개선에 투어멀린 보석요법 적용으로 몸 상태, 임상적인 특징과 소화기의 개선에 보석요법이 기여할 수 있음이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되었으므로, 반복연구를 통해 그 효과가 더욱 입증된다면 노인 건강용품으로 개발이 많이 될 것이다. 혈액순환의 장애가 노인기의 건강에 많은 문제점을 초래하므로 노인들이 손쉽게 착용하여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관리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는 매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ourmaline gemstone therapy on improving the blood circulation of the aged, especially in terms of their subjective feelings. Tourmaline gemstone therapy was consider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health status of the participants including the pain they felt, deteriorated functions of their brains, the reactions of their autonomic nervous systems, their excretory functions, and other behavioral changes was consider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in this program.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study was that tourmaline gemstone therapy would promote blood circulation by stimulating Gihyeol station, enhancing cell vitality, and helping to improve relaxation. A quasi-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in the setting of a non equivalent control and an experimental group and application of the pre and post test. The data needed for the study was collected for seven days starting September 9th of 2011 by means of giving questionnaires to a total of 64 participants aged 60 or older, and the objective of the survey was to find out how their blood circulation had improved. (experimental group: 32 ; control group: 32) I visited two senior citizen centers - the Gun-Po Cultural center and a senior community relief center located in Gun-Po, and made them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survey and persuaded them to take part in the study willingly. Since the subjects were senior citizens, I conducted the man-to-man surveys twice – prior and posterior to the experiment. I utilized SPSS 17.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to figure out general features. I also made an cross-analys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alth status of the participants and their life styles including workout habits. And a T-test was carried out to recognize the health status of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sult of the cross-analysis of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life style and workout habits of both groups indicated more than p 0.05, which means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statistics. Meanwhile, exercise habits and the amount and time of exercise, its subcategory, showed less than p 0.05, which can be interpreted 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effect before the experiment indicated that the subjectively-felt health status of both group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features of the liver, heart, digestive organs, and brains,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better health status than its counterpart. However, the result of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after the experiment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ategories and that the control group had better health status than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 of the group control of the health status of the body, if the p-value 0.001, clinical features, the p value <0.001, if the p value between 0.041, p = 0.003 for the heart, fire extinguishers, the p value 0.008, p = 0.011 appeared as if the brai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xperiments than in the control group showed that the health status is good. The test result prior and posterior to the experiment show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 their body conditions, their clinical features, and digestive organs. Also, the test result suggested that the senior citizens in the experimental group felt better health status after the experiment than before the experiment. Based on this experiment, we can conclude that Tourmaline gemstone therapy can improve senior citizens’ body conditions, their clinical features, and the function of their digestive organs. Furthermore, Tourmaline gemstone therapy is expected to be developed as health-enhancement products with more research to prove its medical effects. One of the leading factors which cause senile health problems is blood flow disorder. Therefore, Tourmaline gemstone therapy is a very easy and simple way aged people can take to monitor their health conditions and that’s the importance and value of this study. After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or a significant test result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on all items. The health statu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showed a good condition. However, the difference is not greater than before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 just before the group the experiment after the experiment, experimental test of significance for health is the result. If the body of the state is a p-value 0.027. If the p value of clinical features is 0.033. If a fire extinguisher with a p-value 0.036 in the three item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the experiment after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he health statu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better now.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on the health status of test result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on all it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more than, Of seniors tourmaline gemstone therapy to improve blood circulation by applying state of the body, clinical features and therapy of firearms jewelry can contribute to improve. This was confirmed through research. Through repeated studies demonstrate its effectiveness if more seniors will be developing a lot of health products.

      • 초등학교 고학년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이유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Y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3세, 초등학교 6학년 여자아동이다. 사례는 2023년 3월 7일부터 2023년 4월 19일까지 주 2회, 총 12회의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매 회기 과정에 대한 관찰 및 임상 일지, 녹음 및 축어록, 작품 사진, 보호자와 기관 담당자와의 면담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에는 질적 연구에서의 자료 분석을 사용하여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의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설렘과 부담으로 시작한 미술치료>, <긴장되었던 마음이 미술작업을 통해 안정감을 느끼게 됨>, <미술치료 안에서 힘들었던 내면의 감정과 마주하게 됨>, <미술 활동 안에서 긍정적 감정을 경험하고 자신감이 생김>, <앞으로의 나를 위해 응원하고자 함>이라는 5개의 상위주제와 10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 활동을 통해 학교생활에서 겪었던 부정적 감정과 또래관계 욕구를 표출함으로써 안전하게 해소하였고 이를 통해 자기 탐색과 자기 이해를 경험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의 지지와 격려,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성취감과 자신감을 증진시켜 나갈 수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장점과 자원을 강화할 수 있었고 실제 생활 속에서 또래 관계를 형성하는 긍정적인 경험과 자신의 미래를 고취할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초등학교 고학년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는 인지적 제한으로 인해 심리, 정서적으로 위축되어있는 참여자에게 힘들었던 학교생활의 경험과 관계적 욕구에 대한 부정적 상황을 미술로 안전하게 표출하여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객관적으로 자신과 마주하면서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그 과정에서 긍정적인 사고를 경험할 수 있었고 성취감과 만족감을 드러내며 자원과 강점을 강화할 수 있었다. 또한 참여자는 자신의 의지와 용기로 학교생활의 또래 관계를 직접 형성해가는 관계적 맺기의 성공 경험을 경험할 수 있었고 더 나아가 미래에 대한 소망과 목표를 설계하여 스스로를 응원하는 힘이 생기게 되었다. 이로써 참여자는 문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자신감과 자신에 대한 용기가 생겼으며, 지금의 긍정 정서를 유지하면서 건강하게 성장할 것을 기대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the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upper elementary students would experience through the art therapy improving their self-efficacy and what implications their experience would hav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applied the qualitative case study.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ampled 13-year-old elementary 6th grade girl students at‘Y’Elementary School. The subject students received the art therapy 12 times in total, twice per week for the period from Mar. 7 to Apr. 19, 2023.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s, clinical diary, recording and minutes of the meetings, photographing, meeting with guardians and personnels in charge, etc. The data collected thus were processed qualitatively to examine subjects’experiences and implications thereof.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5 upper themes and 10 sub-themes could be derived. The 5 upper themes were <art therapy starting with excitement and psychological burden>, <the tension would be relieved through art working>, <facing the painful inner emotion through the art therapy>, <experience of a positive emotion and a confidence during art activities>, and <determination to cheer up myself>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art therapy on improvement of those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upper elementary students’ self-efficac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expressed their negative emotion suffered by them at school and their desire for peer group relationships only to relieve the negative emotion and fulfill their desire. Moreover, they could experience self-exploration and self-understanding. Secondly, subjects could improve their sense of achievement and confidence because they could be supported and encouraged by the researcher and could have an opportunity for a positive feedback. Thirdly, subjects could reinforce their strengths and resources through their art activities, while intensifying a positive experience and hope for their future in their everyday life. Summing up, the art therapy designed to help the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upper elementary students enhance their self-efficacy was found to help them who had been depressed due to their underprivileged intellectual functioning by encouraging them by means of art therapy to express their emotion for the challenging school life and their desire for better relationships with other students through art activities. Thus, they could face themselves objectively only to better understand and accept themselves. In this process, they could experience a positive thinking and reveal their sense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nly to reinforce their resources and strengths. In addition, the subjects could personally form a peer group relationship successfully with their will and courage, and further, could design their future hope and goal, cheering up themselves. After all, the subjects could well be confident and courageous to face their problematic situations, while being expected to grow healthily, maintaining their positive emo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