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발전연료 혼소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 복합화력발전소를 중심으로
발전연료 혼소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이유정 경제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복합화력 발전 연료인 LNG에 LPG를 혼소하여 발전할 경우 발열량 변화에 따른 경제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실제로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LNG 수급에 어려움이 있어 수도권 일부 발전소에서 약 6개월간 LNG에 1% LPG를 혼합하여 발전하였다. 이 기간에 LPG 미혼소(LNG 전소) 복합화력 발전소(부산빛드림본부, 안동빛드림본부)를 비 실험집단으로 하고, LPG 1% 혼소 발전소(신인천빛드림본부)를 실험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신인천빛드림본부의 LPG 혼소 여부에 따라 두 개의 하위그룹(2021년 혼소 전, 2022년 혼소 후)으 로 나누었다. 본 논문은 실증분석을 위해 경제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중차분법 (Difference-in-Differences)으로 LPG 혼소시 신인천빛드림본부의 연료 성분자료를 처치그룹(Treatment Group)으로 설정하여 혼소 여부에 따른 발열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 LPG 혼소시 발열량이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증가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전설비 특성을 감안하여 LPG 혼소율을 높인다면 발열량 증가에 따른 경제적 효과도 기대할 만하다. 이는 LNG 수입 비용증가에 따른 수급 불안 및 LPG 소비처 확대 필요시 국내 복합화력에 추가적 비용 없이 적용 가능한 기준이 됨은 물론, 향후 전 세계적 연료 다변화 추세에 부응하는 실증사례가 될 것이다. Study on the Economic Effects of Co-Firing Fuels in Power Generation LEE, YOO-JUNG Department of Economics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This research empirically analyzes the economic impact of co-firing LPG with LNG, the standard fuel for combined cycle power generation in South Korea, focusing on changes in calorific value. After the 2022 Russia-Ukraine conflict, difficulties in LNG supply led some power sta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o generate power using a mix of 1% LPG with LNG over a six-month period. During this time, Busan Combined Cycle Power Plant and Andong Combined Cycle Power Plant, which exclusively used LNG, were designated as the control group, while Shin-Incheon Combined Cycle Power Plant, which utilized 1% LPG co-fired power, served as the experimental group. Furthermore, Shin-Incheon Combined Cycle Power Plant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for analysis: pre-mixing in 2021 and post-mixing in 2022. For empirical analysis, this thesis employed the widely used Difference-in-Differences approach in economics to analyze changes in calorific value depending on the co-firing of LPG, using fuel composition data from Shin-Incheon Combined Cycle Power Plant as the treatment group. The analysis revealed that co-firing with 1% LPG di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 calorific value. However, increasing the LPG co-firing rat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ower generation facilities might lead to economically beneficial effects associated with increased calorific output. This could provide a viable standard for domestic combined cycle facilities to apply at no additional cost, addressing the need for expanded LPG consumption and supply instability due to rising LNG import costs, and could serve as an empirical case in response to the global trend towards fuel diversification.
평범한 일상의 풍경에 관한 회화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주제 면에서 평범한 일상의 풍경을 다루고, 표현 방법 면에서 본인의 작품과 유사성을 띠고 있는 팀 아이텔(Tim Eitel) 그리고 빌헬름 사스날(Wilhelm Sasnal)의 작품과 본인의 작품에 대해 비교·분석한 작품연구 논문이다. 본인의 작품에서 표현되는 일상은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평범한 나날들이다. 일상이란 ‘날마다 반복되는 생활’을 의미하며 우리는 일상 속의 추억을 되새기며 현재를 살아간다. 근래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개인의 일상을 업로드 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일상 속 추억은 기억에도 담을 수 있지만, 사진으로 찍어 추억을 저장하는 사람들도 많아졌다. 본인의 작업은 사진으로부터 시작된다. 본인은 작품의 구도를 설정할 때 대상에 대한 클로즈업 없이 모든 주제를 원경으로 물러나 있게 한다. 본인은 작품의 구도를 설정하는 데 있어서 그 순간이 갖는 일상성, 평범함을 드러내기 위하여 사람의 표정은 드러나지 않게 함으로써 강조를 없애고 편안함을 표현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작품에서 보여주는 일상들은 중요한 사건들 뒤에서 삶을 묵묵히 채우고 지켜주는 변함없는 날들이 주는 위로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반복적이고 쳇바퀴처럼 돌아가는 따분한 일상 속에서 지나가는 행인, 소중한 반려견 그리고 지인들을 멀리서 바라보았을 때 그 순간의 편안함과 휴식 같은 감정을 느꼈기에 본인은 그 순간을 사진으로 기록했고 사진에서 느꼈던 감정을 다시 그림에 담았다. 작품의 대부분은 본인이 먼발치에서 대상을 바라보는 느낌을 줌으로써 일상속의 편안함에 의의를 두고자 했다. 오랜 기간 동안 회화는 역사적 사실과 사건들을 기록하는 매체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19세기 이후부터는 세상을 있는 그대로 포착하는 역할을 사진에 내어주었고, 회화는 이미지를 단순히 화면에 재현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본인은 어떤 그림이 여전히 유효하고 가치 있는지 고민해 왔으며 작품을 만드는 동안 그것이 본인을 둘러싼 환경과 삶이 어떤 연관이 있는지 끊임없이 자문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표출할지 고민하였다. 따라서 본인은 본 논문에서 과거와는 달라진 새로운 회화의 존재 방식을 탐구했던 작가 중 본인의 작업과 유사한 팀 아이텔 그리고 빌헬름 사스날의 작품과 본인의 작품을 비교하고 분석한다. 또한 이 작품 논문을 통해 일상이라는 소재가 평범함에도 불구하고 왜 가치 있는 주제로 쓰이는지, 일상의 이미지를 회화로 어떻게 담아내야 효과적인지에 대하여 연구한다. This paper is a research paper that analyzes the works of Tim Eitel and Wilhelm Sasnal who have studied ordinary scenery, compared with my works. ‘Daily life’ which is expressed in my works means ordinary days that nothing happen and repeated life. We are living in the present by reminiscing about daily life memories. these days, we can see many people upload their personal life to Social Network Service. in this way, more people are taking pictures to cherish their memories, although we can keep our daily memories in mind. My work starts from the picture. when composing my work, I made all subjects seem far away without close-up. ‘daily life’ is expressed the comport by excluding facial expression to express dailiness and commonness at the moment. When staring at passerby, acquaintances and dog in everyday life which is in a rut, I felt comfort and relaxed. so I photographed that moment and expressed by art work. most of my work was intended to make sense of the comfort of daily life by giving them the impression that they were looking at objects from a distance. For a long time, painting has been used as a medium for recording historical facts and events. however, since the 19th century, picture has taken the role of capturing the world as it is, in the other hand, the painting has changed to variety of foams rather than just reproducing images on screen. while creating an artwork, I wondered which painting is still valid and worth. I constantly asked by myself how it relates to surrounded environment and life and wondered how to express it. therefore, I compared and analyzed the works of Tim Eitel and Wilhelm Sasnal with my works since my work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painters who explored the new way of painting that has changed from the past. I have been studying why the subject of "everyday" is a valuable despite it is common. moreover, I have studied how to express it into paintings.
B16F10 흑색종 세포 및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야생콩잎 (Glycine soja CWS1140)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및 항염증 효과
이유정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국내석사
B16F10 흑색종 세포 및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야생콩잎 (Glycine soja CWS1140)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및 항염증 효과 이유정 생명공학과 천연물화학전공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야생콩잎(Glycine soja CWS1140)은 야생콩의 부산물로 연구가 부족했 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B16F10 흑색종 세포와 RAW 264.7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야생콩잎 추출물(CWS1140)의 멜라닌 생성 억제 및 항염증 효과 를 평가하였다. CWS1140은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분석을 통 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RAW 264.7 세포에서 염증 매개 물질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농 도에서 CWS1140은 농도 의존적으로 NO, PGE2,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 비를 억제하고, iNOS와 COX-2의 mRNA 발현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효과 는 NO와 PGE2의 생성 감소 및 iNOS와 COX-2 단백질 발현 억제를 통해 이루어졌다. 멜라닌 합성과 관련된 연구에서는 CWS1140이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며, MITF 발현 감소를 유도하여 TRP-1, TRP-2 및 티로시나아제의 발현을 조절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CWS1140은 MAPK 신호전달 경로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의 활성을 억제하 고, protein kinase B의 인산화를 감소시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기전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CWS1140은 멜라닌 합성 억제를 유도하는 미 백 관련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The tyrosinase inhibitory,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wild bean (Glycine soja CWS1140) leaf extract on B16F10 melanoma cells and RAW 264.7 macrophage cells were evaluated. G. soja leaves are a by-product of G. soja; thus, there is nao prior research on this topic. Strong DPPH and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were observed for CWS1140. After inducing melanin production with α-MSH in B16F10 melanoma cells, treatment with CWS1140 at concentrations of 25, 50, and 100 µg/mL demonstrated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melanin production and tyrosinase expression, indicating inhibition of the expression of melanogenesis-related proteins. Evaluation of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WS1140 using RAW 264.7 macrophage cells revealed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NO production. NO production was inhibited through the inhibition of iNOS expression, a protein responsible for NO synthesis. These results confirmed the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CWS1140, suggesting its potential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Keyword : B16F10 melanoma cell, CWS1140, MAPK pathway, RAW 264.7 macrophage cell, wild Glycine soja leaf
알츠하이머병의 정량적 뇌파검사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QEEG)에 대한 탐구와 체계적 고찰
이유정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Due to the global aging population,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 increase brings a great socioeconomic burden. There are several types of dementia, and the most representative and common type of dementia is Alzheimer's disease. Alzheimer's disease is a chronic brain disease that causes memory loss and cognitive decline. In all dementias, including Alzheimer's disease, the disease progression can be slowed down if they are detected early and treated appropriately. Therefor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are of the utmost importance. A brain biopsy with pathological examination is the only way to definitively diagnose Alzheimer's disease, and since this test is only possible post-mortem, indirect auxiliary methods for diagnosis have been used. Currently,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uses brain imaging markers such a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r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or uses cerebrospinal fluid as a biomarker to identify amyloid beta and tau proteins. In addition, neuropsychological tests and blood tests are used as auxiliary tests. However, many auxiliary tests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have disadvantages such as inducing pain, exposure to radiation, and high price. Therefore, research to utilize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QEEG) as a non-invasive, relatively inexpensive diagnostic marker for Alzheimer's disease is being investigated. QEEG is a digitized EEG analysis that quantitatively analyzes EEG through mathematical changes. EEG classifies frequency components according to amplitude. There are slow waves (less than 1Hz), delta waves (1-4Hz), theta waves (4-8Hz), alpha waves (8-13Hz), beta waves (13-30Hz), and gamma waves (30Hz or more). Quantitative EEG shows abnormal brain activity at a specific location and is widely used as an auxiliary method for brain-related diseases. In particular,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recently recognized QEEG as a helpful indicator for the diagnosis of attention deficit behavior disorder (ADHD), and the effectiveness of QEEG as a diagnostic marker for neurological and psychiatric disorders is being emphasized. In Alzheimer's disease, QEEG is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in theta and delta waves in the parietal-occipital lobe, and a decrease in alpha and beta waves. About 50% of Alzheimer's disease patients have depression, and when depression is present, theta wave in the occipital region increases and the alpha/theta wave ratio decreases, so QEEG can determine the presence of depression in Alzheimer's disease. Also, using QEEG to differentiate Alzheimer's disease,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other dementias is continuously under investigation. QEEG can also be used as a tool for staging of dementia as clinical dementia evaluation (CDR). Studies have found that an increase in theta waves and a decrease in alpha waves can lead to Alzheimer's disease. These studies suggest that QEEG can be used as a predictor of progression to Alzheimer's disease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addi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other dementias, such as Lewy body dementia, Parkinson's disease dementia, frontotemporal dementia, and vestibular dementia, research to differentiate the difference through QEEG is continuing. For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various diagnostic markers. By maximizing the advantages of EEG with high temporal resolution, QEEG can play an important role as a diagnostic and auxiliary marker for Alzheimer's disease.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as an early diagnostic tool for Alzheimer's disease, but also to detect the progression or treatment response of the disease. 전 세계적인 고령화로 인해 치매 환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 경제적으로 큰 부담을 가져온다. 치매의 종류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가장 대표적이고 흔한 치매는 알츠하이머병이다. 알츠하이머병은 기억력 감소, 인지기능 저하로 일상생활에 문제가 생기게 되는 만성 뇌질환이다.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모든 치매는 조기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진다면 병의 진행 속도를 늦추거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알츠하이머병의 확진은 직접적인 뇌 조직 검사법이 유일하나, 이 검사는 사후에만 가능하므로 진단을 위한 간접적인 보조 방법들이 사용되어왔다. 현재 알츠하이머병의 진단은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혹은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과 같은 뇌 영상표지자를 이용하거나 바이오마커로 뇌척수액 (cerebrospinal fluid; CSF)을 이용하여 아밀로이드 베타 및 타우 단백질을 확인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며, 그 밖에 신경 및 정신과 검사와 신경심리 검사 및 혈액 검사 등이 뒷받침되어 보조검사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알츠하이머병 진단 보조검사들은 통증을 유발하거나 방사선 노출, 비싼 가격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알츠하이머병의 보조 표지자로써 비침습적이며 비교적 저렴한 비용이 드는 정량적 뇌파검사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QEEG)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QEEG는 디지털화된 뇌파 분석법으로 뇌파를 수학적 변화를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뇌파는 주파수 성분을 진폭에 따라 분류하며 크게 서파 (1Hz 미만), 델타파 (1-4Hz), 세타파 (4-8Hz), 알파파 (8-13Hz), 베타파 (13-30Hz), 감마파 (30Hz 이상)로 나눌 수 있다. 정량적 뇌파검사는 특정 위치에서의 비정상적인 뇌 활동을 보여주며, 뇌 관련 병증의 보조적 방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처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에서는 QEEG를 주의력결핍 행동장애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의 진단에 도움이 되는 지표로 인정하면서 신경 및 정신 질환의 진단 표지자로서 QEEG의 유효성이 강조되고 있다. 알츠하이머병에서 QEEG 특징은 두정-후두엽에 세타파와 델타파 증가하고 알파파와 베타파는 감소한다.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50% 정도가 우울증을 동반하는데 우울증이 있는 경우 후두부에서의 세타파가 증가하며 알파파/세타파의 비율이 감소하므로 QEEG는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우울증 유무도 알 수 있다. 또한, 알츠하이머병과 경도인지장애, 다른 치매들과의 QEEG 차이를 통해 구분하려는 연구들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치매의 병기 결정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임상치매평가(Clinical Dementia Rating; CDR)의 차이에 따라 정량적 뇌파에도 차이가 있는데 연구에 따르면 세타파가 증가되고 알파파가 감소하면 알츠하이머병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환자에서 알츠하이머병으로의 진행의 예측인자로 QEEG가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경도인지장애와의 차이뿐만 아니라, 루이소체 치매, 파킨슨병 치매, 전두측두엽 치매, 혈관성 치매 등 다른 치매와의 감별진단에도 QEEG를 통해 차이를 구분하려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알츠하이머병의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진단 및 보조 진단 표지자를 종합해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높은 시간해상도를 가지는 뇌파검사의 장점을 극대화하여 알츠하이머병의 특징적인 정량적 뇌파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진단 및 보조 표지자로서 QEEG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알츠하이머병의 조기 진단적 가치뿐만 아니라 병의 진행을 반영하고 더불어 치료 효과를 확인하는 도구로써도 널리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북미향 FCL 전문 프레이트 포워더 선정 요인에 관한 연구 : 국내 프레이트 포워더를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프레이트포워더 대상으로 북미향 포워더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포워더의 인프라, 서비스, 영업 요인, 업무 요인, 신뢰성 요인의 포워더 선정 중요도를 파악하여 북미향 포워더 업계의 심화 된 경쟁에서 경쟁력을 제고 하고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국내에서 북미 향 포워더를 이용하는 프레이트 포워더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 하고 AHP 분석을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영업사원의 재량은 포워더를 선정할 때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 서비스 제공 경쟁력은 선정요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북미향 포워더의 인프라는 선정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본 연구에서 업무사원의 역량은 포워더를 선정할 때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포워더 선정시에는 업무사원의 역량 보다는 영업사원의 역량, 선복제공과 운임 경쟁력,인프라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신뢰성은 업체 선정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거래 지속성에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포워더 업계 경쟁이 심화되면서 담당 영업사원의 역량으로 transit time을 맞추고,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적화된 서비스를 중시하며 다양한 노하우와 운임 및 마켓정보를 빠르게 파악해주는 부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또한 co-load 한 화물들이 경쟁사나 타포워더의 공격적인 영업으로 인해 불안감을 느끼며, 자신의 화물 정보를 유출하지 않고 선적하는 것을 중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selection of forwarders to North America in our country.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importance of selecting forwarders for infrastructure, services, operating factors, business factors, and reliability factors of forwarders was determined to enhance competitiveness in the intensifying competition in the North American forwarder industry and to study the future direction of development in detail.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a free forwarder using North American-flavored forwarders in Korea, and a demonstration was analyzed through AHP analysis. First, in this study, the discretion of the salesperson is identified as a critical factor in the selection of the forwarder. Second, the competitiveness of service deliver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election factors in this study. Third, it has been found that the infrastructure of forwarders to North America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ection factor. Fourth,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competence of the employees in the task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election of the forwarders. Fifth, in this study, reliability does not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selection of companies, but it has been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ransaction persistence.
Semi-supervised learning 기반의 domain adaptation을 적용한 semantic segmentation
이유정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Data-driven based supervised learning has been performed well in various visual tasks. As the models grow larger and deeper, large amounts and high-quality training data becomes more important. However, it is very expensive to obtain labeled data suitable for the task and domain. At this time, if the digital twin world is constructed similarly to real world, not only can the desired ground truth in virtual space be infinitely obtained, but also data that is difficult to obtain in the real world can be obtained easily. Of course, a model trained with synthetic data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simulation does not perform well because of the distribution shift between real world. In this paper, we propose a UDAS framework that achieves high performance despite the small amount of training data using synthetic data to reduce data acquisition cost and dependency on domain training data. The UDAS framework consists of an Unsupervised Domain Adaptation which is combined with Semi-supervised learning techniques such as Self-training and Consistency regulation. In addition, Domain CutMix technique is added to reduce the domain distribution gaps. We achieved high mIoU compared to the UDA SOTA for semantic segmentation using this framework. Moreover, it has only little difference from the model trained by the supervised learning methods and it shows more stable and higher performance than the supervised learning methods when the training data is small. Data-driven 기반의 Supervised learning이 여러 visual task 분야에서 좋은 성과를 거둬오고 있다. 학습 모델이 더욱 커지고 깊어짐에 따라 양질의 학습 데이터가 더욱 중요해지고, 그에 따라 모델의 성능이 좌우되고 있다. 하지만 문제와 도메인에 맞는 annotation 데이터를 얻기 위한 비용은 human resource가 많이 들어가고 여전히 매우 비싸다. 이 때 현실과 유사하게 digital twin 세계를 구축하면 가상의 공간 내에서 원하는 Ground Truth 데이터를 무한하게 얻을 수 있고 더 나아가 현실 세계에서 얻기 어려운 데이터들도 비교적 쉽게 획득할 수 있다. 물론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synthetic 데이터는 현실 데이터와 distribution shift가 존재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그대로 사용하면 좋은 성능의 모델을 얻을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synthetic 데이터를 이용해 데이터 획득 비용을 줄이고, 도메인 학습 데이터에 대한 의존성을 낮춰서 학습 데이터가 적은 환경에서도 높은 성능을 보일 수 있는 UDAS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UDAS 프레임워크는 Unsupervised Domain Adaptation 구조에 Semi-supervised learning 기법인 Self-training, Consistency regularization을 결합하였고 도메인 간 distribution gap을 줄이기 위해 Domain CutMix를 도입하여 기존 semantic segmentation UDA SOTA 대비 높은 mIoU를 달성하였다. 또한 Supervised learning 방식으로 학습된 모델의 성능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고, 오히려 학습 데이터가 적은 경우에는 Supervised learning 보다 안정적이고 높은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유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본 논문은 진은영 시인의 시에 나타나는 멜랑콜리를 확인하고 멜랑콜리적 주체가 세계에 대응해나가는 방식을 탐구하기 위해 발터 벤야민의 ‘멜랑콜리’ 논의와 ‘알레고리’ 논의를 활용하고자 한다. 멜랑콜리와 관련된 논의는 고대에서부터 시작되었고 오늘날까지 많은 사람들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주제이며 문학에서도 오랜 기간 동안 주요한 관심의 대상으로 다루어왔다. 이러한 멜랑콜리적 징후는 2000년대의 시들에서 또한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 2000년대의 시인들은 상실에 대한 감각을 이미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자신만의 감수성으로 멜랑콜리를 표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멜랑콜리 의식을 드러내고 있는 시인으로 진은영 시인을 선정하여 시인의 시에 드러나는 멜랑콜리와 멜랑콜리적 주체가 세계에 대응하는 방식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진은영 시인은 2000년『문학과 사회』봄호에 「커다란 창고가 있는 집」외 3편의 시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이후 2003년에 첫 번째 시집『일곱 개의 단어로 된 사전』을, 2008년에 두 번째 시집인『우리는 매일매일』을, 2012년에 세 번째 시집인 『훔쳐가는 노래』를 발표하면서 시작 활동을 진행해왔다. 이 밖에도 시인은 철학자, 상담대학원의 교수로 일하며 문학의 안과 밖에서 다양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의 Ⅱ장에서는 발터 벤야민의 멜랑콜리와 알레고리 논의를 통해 멜랑콜리와 알레고리 개념에 대해 살펴본다. 벤야민은 멜랑콜리를 세계를 폐허로 보는 인식에서 비롯되는 정서로 파악하였고 알레고리를 형상과 내용의 불연속을 통해 몰락한 사물, 파편, 잔해의 모습을 드러내는 표현으로 파악하였다. 멜랑콜리는 알레고리가 발생할 수 있는 감정적 토대가 되기 때문에 멜랑콜리와 알레고리는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Ⅲ장에서는 멜랑콜리적 주체로서의 시인의 모습을 탐구한다. 시인의 시를 통해 폐허의 세계 속에서 상실을 견디는 멜랑콜리적 주체의 모습을 확인한다. 또한 멜랑콜리적 주체의 특성인 환유적 욕망과 그에 따른 환유적 시선의 이동에 대해 살펴본다. Ⅳ장에서는 폐허의 세계에 대한 멜랑콜리적 주체의 표현 방식과 이러한 세계에 대응하기 위해 알레고리를 주요한 시적 전략으로 사용하는 시인의 모습을 살펴본다. 나아가 이러한 시인의 알레고리 구사 전략이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시인은 알레고리를 통해 폐허로 인식하고 있는 현실을 심미화한다. 시인은 이를 위해 환상적인 소재와 그로테스크한 소재의 병치를 사용한다. 또한 시인은 세계에 대응하기 위한 알레고리적 전략으로 첫째, 개별적인 의미를 보존하며 의미를 발산하는 생생한 이미지를 창조한다. 이로써 시인은 시가 단일한 의미로 수렴되는 것을 지양하며 나아가 세계에 존재하는 미약한 파편들을 시 속에 기록하고자 한다. 둘째, 시인은 시간을 분절적으로 인식하여 시간을 재구성하려는 노력을 지속한다. 이러한 노력은 시인이 과거에 사라진 존재를 다시금 현재 혹은 미래의 시간대에 회복시키기 위해 분투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Ⅴ장에서는 멜랑콜리를 통해 세계를 폐허로 지각하는 시인이 세계에 대응하며 세계 안에서 시도하고 있는 여러 가지 노력과 실험을 살펴보았다. 시인은 타자에 대한 애정 어린 시선을 바탕으로 이러한 타자들을 억압하는 권력의 횡포를 시로 기록하려 노력한다. 또한 이러한 시인의 관심은 정치와 관련된 논의로도 확장되어 삶과 시 안에서 문학과 정치를 모두 포용하려는 시인의 실험으로 이어진다. 시인은 폐허의 현실을 정직하게 직면하면서도 세계에 대응하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고 이는 멜랑콜리의 역설적인 능력, 동적인 힘을 확인하게 한다.
군인은 건강을 유지하고 복무 중에 발생한 질병이나 부상을 치료하기 위하여 적절하고 효과적인 의료처우를 받을 권리가 있다(군인의 복무 및 지위에 관한 기본법 제17조). 군인은 임무의 특성상 다른 직업에 비해 신체적 활동이 많은 집단으로, 건강과 이를 유지하기 위한 의료이용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군인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의료이용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2014, 2015 군인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직업군인 4,255명, 병사 4,45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주관적 건강인식과 의료이용의 분포를 확인하기 위한 기술통계분석과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직업군인의 경우 직업적 요인 중 해군/해병대 및 공군, 부사관, 단기복무, 근무년수 3년 이상, 직업생활 스트레스가 보통이거나 많을수록, 그 밖의 요인 중 여자, 흡연, 신체활동을 전혀 하지 않음, BMI 25이상, 수면습관에 보통이거나 불만족 할수록 주관적 건강인식이 나쁠 가능성이 높았다. 병사의 경우 직업적 요인 중 이등병, 일과시간 스트레스가 보통이거나 많을수록, 그 밖의 요인으로 고등학교 이하의 학력, BMI 25이상, 수면습관에 보통이거나 불만족 할수록 주관적 건강인식이 나쁠 가능성이 높았다. 직업군인의 외래이용에 있어서는 직업적 요인 중 단기복무, 주 평균 근무 60시간 이하, 직업생활 스트레스가 보통이거나 많을수록, 그 밖의 요인 중 여자, 민간보험 가입, 주관적 건강인식 나쁨, 과거흡연자가 외래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았다. 직업군인의 입원이용의 경우 직업적 요인 중 해군/해병대, 특수병과의 입원이용 가능성이 낮았으며, 그 밖의 요인 중 민간보험 가입, 수면습관에 불만족 할 경우 입원 이용을 할 가능성이 높았다. 병사의 외래이용의 경우 직업적 요인 중 육군, 특수병과, 일과시간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그 밖의 요인 중 주관적 건강인식 나쁨, 흡연, 수면습관에 불만족 할수록 외래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았다. 병사의 입원이용의 경우 직업적 요인 중 육군, 일병/상병/병장, 그 밖의 요인 중 기혼, 주관적 건강인식 나쁨, 과거흡연/흡연, BMI 25이상, 수면습관에 불만족 할수록 입원이용을 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건강행태 뿐만 아니라 군인의 특수한 직업적 요인이 주관적 건강인식과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며, 직업군인과 병사 집단에는 관련요인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군인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의료이용 관련요인에 대해 군인건강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군인의 특수한 직업적 요인을 반영하여 확인한 최초의 연구이며 직업군인과 병사 집단 모두를 분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군 조직은 위계적 계급 구조와 명령 체계 등 특수한 조직 문화적 환경이 존재한다. 이러한 조직 문화적 요인으로 인한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제약이 발생하지 않고, 이를 통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군인의 건강인식과 의료이용 여건 개선을 위한 보건 사업의 우선순위를 정함으로써 적절한 보건 의료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정책 방향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A soldier has the right to appropriate and effective medical care to maintain his/her health and treat any illness or injury sustained during his/her military service (Framework Act on Military Status and Service Article 17). Due to the physically active uniqueness of their roles, military personnel require more attention be paid to their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to sustain their good health. This paper identifies soldiers’ self-rated health status and the related causes of usage of medical servic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2014 and 2015 military health survey completed by 4,255 professional military personnel and 4,455 enlisted soldiers. We us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hi-square testing to analyze each group’s self-rated perception on each individual’ health and the distribution of medical services use while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confirm the related cause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following occupational factors contributed to lower self-rated health for the professional military personnel group: service in the Air Force/Navy/Marines, non-commissioned officer, short-term service, length of service of more than 3 years, and a normal/high level of work-related stress. Other factors included: being female, smoking, lack of physical activity, a BMI over 25, and less satisfaction with one’s sleeping habits contributed to lower self-rated health. As for the enlisted soldier’s group, occupational factors such as a rank as Private and high-level stress in daily activity contributed to lower self-rated health while other factors such as low education level (up to high school), a BMI over 25, and less satisfaction with one’s sleeping habits contributed to lower self-rated health as related to the aforementioned subject. In terms of medical services usage for officers, we identified that occupational factors such as under short-term service, working less than 60 hours per week, and normal/high level of work-related stress as having a low level of self-perceived health and non-occupational factors such as being female, paying for private health insurance, a low level of self-perceived health and a previous history of smoking in the past showed a higher probability of military personnel using outpatient services. Occupational factors such as service in the Navy/Marines and/or a special branch showed a lower probability of military personnel using inpatient services, but other factors such as being under private health insurance and being less satisfied with sleeping habits showed a higher probability of military personnel using inpatient services. On the other hand, among enlisted soldiers, we identified that occupational factors such as serving in the Army and/or a special branch, having high level of day-to-day stress and non-occupational factors such as having a low level of self-perceived health, smoking, and being less satisfied with sleeping habits resulted in a higher probability of soldiers using outpatient services. Occupational factors contributing to soldiers using inpatient services were serving in the Army and/or under a rank of Private First Class / Corporate / Sergeant while non-occupational factors included being married, a low level of self-perceived health, smoking or a history of smoking in the past, a BMI over 25 and being less satisfied with sleeping habits. These results showed that not only demographic and social factors but also military-occupational factors affect self-rated health status and medical services use, a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involved between professional military personnel and enlisted soldiers. This research is the first study to identify the related factors of self-rated health and medical services usage by soldiers by reflecting the special occupational factors of soldiers by utilizing the military health survey data, and is meaningful in that both professional military personnel and enlisted soldiers were analyzed. Military organizations are characterized by special organizational and cultural environments such as hierarchical structures and chain-of-command systems. Policy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ensure that health care and medical services are accessible without any restrictions despite these organizational and cultural factors. This study could help determine the policy direction to ensure that appropriate health care services are provided by prioritizing health projects to improve the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care services usage among soldiers.
이유정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본 논문은 유가사상에 나타난 전통음악치유에 관한 연구이다. 유가사상은 우리 국민들의 정서 깊숙히 자리잡고 있으며, 고대부터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가사상을 기저로 한 음악치유학의 체계적인 접근 시도는 한국음악학에 중요한 의미를 지닐 것으로 판단하였고, 유가 사상과 정신수양에 관련된 음악 치유론의 발전적 정립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유가에서는 모든 자연 현상과 사회 현상을 음악을 통해 반영(反映)할 수 있다고 여겼다. 음악의 작용과 의의는 음악활동 자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고 사회적인 면, 즉, 정치에 이용하거나 국가의 흥망성쇠(興亡盛衰)에 영향을 미치거나 개인의 행복과 불행에 관계하고 있다고 여겼다. 유가적 관점에서 본 음악이 추구해야하는 최고의 경지는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움이다. 유가사상에 나타난 음악관 고찰을 통해 본 전통음악치유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자는 시(詩)와 예(禮)를 배운 후에는 반드시 음악으로 인격을 완성하라고 하였으며, 도덕적 수양 과정에 동행할 수 있는 예술적 도구로 음악을 선택하였다. 순자는 음악의 기능을 통해 사회를 조화롭게 만들려 하였다. 예악사상을 구체화시켰고 음악을 통해 마음을 바르게 하고 도를 터득하는 것을 음악의 역할로 보았다. 『예기』 「악기」에서의 음악은 정서와 심리작용의 중요한 요소로, 음(音)이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여 인간의 마음과 우주의 만물을 조화롭게 하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절도(節度)있는 예와 악은 사람을 가장 사람답게 하는, 인간 생활의 근간으로 보았다. 조선 시대에는 감정상태에 따른 마음의 병을 치유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음악을 활용했다는 기록이 고문헌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연주자의 음악이 감상자의 감정과 동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금도(琴道)사상에서는 진정한 음악이란 인간의 청각으로는 들을 수 없는 소리의 경지로, 음악을 통해 도덕적인 면과 정서적인 면을 조화시켜 이상적인 인간완성을 추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유가의 음악관은 현대인의 심신을 치유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대안적인 관점으로 상실된 인간성 회복과 사회통합 실현을 위한 도구가 되어줄 것이다. 현대사회는 고도성장과 산업화, 정보화 등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인간의 심리적 긴장과 스트레스 등 정서적인 부분에서 많은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현대인들의 병폐를 치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유가의 음악관을 받아들여 음악의 본원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개인의 인격수양과 사회 통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실제 전통음악으로 다양한 음악치료를 행하고 있는 연구자들의 치유 효과에 관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더욱 의미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on traditional music therapy emerging in Confucian ideology. Confucian ideology has become a part of Koreans’ spirit and it has influenced Korean people since ancient times thus f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easures to constructively establish music therapy theory related to Confucian ideology and mental training under the judgement that a systematic music therapeutic approach based on Confucian ideology will be important to not only Korean musicology but also the history of Korean music. On a basis of results from an analysis in the chapter 2 and the chapter 4, findings and significance of traditional music therapy representing in Confucian ideology are as follows. In Confucianism, all natural phenomena and social phenomena were thought of being able to be reflected through music. The impact and meaning of music is not limited to music activities themselves. That is, in Confucianism, music was regarded as a tool used in politics, as influencing the rise and fall of one nation, and as engaging in individual’s happiness and unhappiness. The pursuing goal of music to reach the ultimate level in a Confucian perspective is to harmonize human beings with nature. Confucius says that after learning a poem and courtesy, a human must complete his personality through music. Also, he chose music as an artistic tool which can attain ethics. Xunzi tried making a society harmonious through the function of music. He furthered yeak ideology (禮樂: courtesy and music). He thought that the roles of music were to make human mind right and to master tao (道) which means signifying the way, or code of behaviour. ‘Record of Music’ (樂記: Yueji) in the Book of Rites (禮記: Liji) describes that a note in music, which is an important element of not just emotion but also psychological process, could allow human mind to meet all things in the universe by moving human beings. Furthermore, moderate courtesy and music were thought of as a root of human life. In other words, living like a human being is implemented through moderate courtesy and music. Through the literature, it was identified that music as a tool to heal mental diseases caused by the status of emotions in the Joseon Dynasty, Korea was used. It implies that music of musicians was assimilated into audiences’ emotion. In ‘the tao of Guqin (琴道)’, real music is music which a human’s hearing cannot sense. Rather, music in ‘the tao of Guqin (琴道)’ is considered as being able to create an ideal human by harmonizing ethical and emotional aspects. These results from this study turned out that as time passes, utility and value of Confucian ideology would be expanded and its roles would be doubled. In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music therapy presenting in Confucian ideology, music plays a mediating role in controlling and expressing emotions that a human can feel, and in making a human be a most human. If the thought of music based on Confucian ideology is accpeted as one of methods to cure various maladies that a human living in the modern society encounters, and the original role of music is conducted, it will be helpful to complete an individual’s personality and social integration. Another traditional music therapies other than music therapies based on traditional ideology including Confucian ideology with covered in this study need to be meticulously examined in future studies. The implications of studies on the effects of traditional music on modern humans are necessary to investigate in the therapeutic facet. Plus, it is considered that conducting qualitative studies by interviewing practitioners who perform a wide range of music therapies with traditional music in addition to studies by reviewing literatures will be much more meaningful to explore the practical effects of traditional music on a human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