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거스틴의 사랑 개념 연구

        이우금 평택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love in Augustine by using literature review as a research method. The studies of love in Augustine have been mainly conducted according to the philosophical or ethical perspective, but the researcher studied Augustine's love concept from the aspect of interrelationship. The intention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direction of love, the unity of love, and the holiness of love as the "love of fellowship" between God and man in the essence of Augustine's concept of love. Augustine had two kinds of love. One is cupiditas before conversion and the other is caritas after conversion. The common characteristics between cupiditas and caritas are mutual and relational. In that sense, Augustine emphasizes love of fellowship, not love. The third element of 'Love of fellowship' is referred to as the object of the first love, the union of the second love, and the enjoyment of the third love. The object of love is that when God is in possession of objects of true love. The union of love is the union of will with God. The enjoyment of love in Augustine is the orderly love that resembles love with the object of true love and will. The love of order suggests the direction of love, the unity of love, and the holiness of love. Augustine's concept of love is based on the divine-centered thought, but not the one-sided love of God. His concept of caritas includes both the love of God for man and the love of man for God. First, the love of God who loves us is also called caritas, and it is also called caritas that man responds properly to God who loves him first. Caritas of human is to concentrate fully with all the mind, with all the will, with all the strength. It is the law of love in Augustine to give all to God who has given it all. In this respect, caritas in Augustine is a reciprocal love that includes both receptive and possessive aspects. His concept of love, recreated with the prodigal son who returned from the prodigal son, gives us a challenge and hope for the love of fellowship. 본 연구는 문헌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어거스틴의 사랑 개념을 연구한 것이다. 기존의 어거스틴의 사랑 연구는 철학적 혹은 윤리적인 차원에서 주로 연구하였으나, 본 논문에서는 어거스틴의 사랑 개념을 상호 관계적(교제 적) 측면에서 탐구되었다. 어거스틴의 사랑 개념의 본질을 밝히는 것으로, 하나님과 인간과의 ‘교제의 사랑’으로서의 사랑의 방향성, 사랑의 연합성, 사랑의 거룩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어거스틴은 두 가지의 사랑을 하였다. 회심 전 쿠피디타스(cupiditas) 사 랑과 회심 후의 카리타스(caritas) 사랑이다. 쿠피디타스(cupiditas)와 카리 타스(caritas)의 사랑의 공통된 특징은 상호적, 관계적이라는 측면이다. 그 런 면에서 어거스틴은 사랑의 교제가 아닌 ‘교제의 사랑’을 강조한다. ‘교 제의 사랑’의 삼 요소를 첫째 사랑의 대상, 둘째 사랑의 연합, 셋째 사랑의 향유(즐김)로 말한다. 사랑의 대상은 하나님일 때 참사랑의 대상을 소유한 다고 말한다. 사랑의 연합은 하나님과의 의지의 연합을 말한다. 사랑의 향 유는 참사랑의 대상과 의지가 연합된 상태에서 사랑을 닮아가는 것이 어 거스틴의 질서의 사랑이다. 질서의 사랑은 사랑의 방향성, 사랑의 연합성, 사랑의 거룩성을 제시하고 있다. 어거스틴의 사랑 개념은 신중심사상에 근거하지만 하나님의 일방적 사 랑이 아니다. 그의 카리타스(caritas) 개념은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과 하나님을 향한 인간의 사랑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먼저 인간를 사랑한 하 나님의 사랑도 카리타스(caritas)이고, 먼저 사랑하신 하나님께 인간이 바 르게 응답하는 것도 카리타스(caritas)라고 주장한다. 인간의 카리타스 (caritas)는 하나님께 마음을 다하여, 뜻을 다하여, 힘을 다하여, 완전히 집 중하는 것이다. 전부를 주신 하나님께 전부를 드리는 것이 어거스틴의 사 랑법이다. 이런 면에서 어거스틴의 카리타스(caritas)는 수용적이고, 소유적인 면을 포함하는 상호 관계적 사랑이다. 탕자에서 돌아온 탕자로 재창조된 그의 사랑 개념은 우리에게 하나님과의 ‘교제의 사랑’에 대한 도전과 희망을 준 다.

      • 기독청년과 비기독청년의 사랑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우금 평택대학교 피어선신학전문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1855

        청년의 시기는 분리와 결속의 시기이다. 결속의 성향에서 비롯되는 이성에 대한 결단을 해야 하는 변화의 시기가 청년기인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시기에 사랑이 중요한 과제임을 감안하여 이 연구를 시작하였다. 청년기의 사랑은 인간관계의 축복인 동시에 성격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인간행복의 핵심적 조건이다. 본 연구는 청년들의 사랑 이야기들을 바탕으로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심층적인 연구를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4-27세의 남녀로 구성되었고, 현재 커플관계인 4명의 청년들이다. 4명 중에 두 명은 기독교인 커플이고, 또 다른 두 명은 비기독교인 커플이다. 자료 수집을 위한 준비는 2011년 3월부터 시작을 하였고, 청년들과의 직접적인 면담과 상담은 2011년 9월 5일부터 12월 5일까지 이루어졌다. 분석과정은 연구 참여자들의 각자의 이야기를 연구문제에 맞춰 기술하고, 그 다음 모든 이야기에 포함되어있는 의미를 찾기 위해 내러티브 연구방법대로 분석과 해석을 반복하였다. 자료수집은 심층면접과 상담, 현장노트, 연구일기, 메일 등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는 청년들은 사랑을 통하여 무엇을 경험하고, 청년기의 사랑은 청년기의 삶에 어떤 의미를 주며, 그 경험과 그 의미가 기독청년과 비기독청년의 사랑은 어떻게 다른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청년들의 사랑의 경험과 의미는 신앙의 유무에 따라 확연하게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되어진 공통점과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기독청년과 비기독청년의 사랑 이야기에서 도출된 공통점은 첫째, 사랑은 변한다는 것이다. 둘째,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세계관대로 사랑 이야기를 만들어 나간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청년들은 기독교인은 기독교인의 세계관으로, 비기독교인은 비기독교인의 세계관으로 다른 사랑이야기를 가지고 있었다. 셋째, 사랑은 원가족 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넷째, 사랑을 통하여 공통적으로 느끼는 감정은 행복이었다. 참여자들은 사랑을 하면서 느끼는 감정을 여러 가지로 표현했는데 공통적으로 나온 감정은 행복이었다. 비기독청년과 기독청년의 사랑 이야기에서 도출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기독교인과 기독교인은 사랑의 근원이 다르다는 것이다. 사랑의 시작점이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비기독교청년과 기독청년의 사랑의 구성에 있어 낭만과 헌신의 우선순위의 다르다는 것이다. 셋째, 비기독교인과 기독교인의 헌신의 의미가 다르다는 것이다. 넷째, 비기독청년과 기독청년의 이야기 프로파일은 미래 이야기에 대한 우선순위가 다르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개인적인 사랑 이야기의 지평을 하나님과의 관계적 정체성의 이야기로 확장시켜 주는 지평의 융합이라는 재해석과정에 이르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청년들이 사랑을 통하여 어떤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은 삶에 어떤 의미를 부여 하는지를 연구하는 것은 청년들의 실존 문제를 실재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서 상담학적으로도 큰 의미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인하여 기독교 청년들에게 기독교의 바른 신앙관에 관한 상담과 교육이 제공되어, 청년들이 바른 사랑관을 가지고 이성과의 이상적인 사랑을 실현하기를 기대한다.

      • Jay E. Adams와 Gary R. Collins의 기독교 상담이론 비교

        이우금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Today's rapidly changing society makes people confused about their values, and science and material civilization make people isolated, depressed, and deeply discouraged. They do not know where to go, do not have stability, and are suffering from inner conflicts. Christian counseling can help church to save people from anxious and conflicts because it has answers for those questions. It also give church vitality as a method of changing people's relationships. It will help church to be a good community where God's love can be experienced by restoration the power of love. Not only in church but also in society, christian counseling can help people to have abundant life by making them have deep relationships. Therefore, a counselor's understanding and concept of people according to theological view is important. Also, a counselor's theoretical background is a basic premise for solving counselee's problems. With these reasons, the researcher compared and analyzed Jay E. Adams' and Gary R. Collins' counseling theories, they are leading figures in Christian counseling, counseling and tried to find ideological background and difference and similarities of their theories. This procedure helped the researcher to have bigger insight and sills as a Christian counselor. More way to go left as a professional Christian counselor, but I want to provide counseling based on the Bible, and with enthusiasm and frontier spirit.

      •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카툰 스타일에 관한 연구

        우금 동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23

        오늘날의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은 미술표현 양식의 다양한 변화와 함께 새로운 재료와 실험적인 기법들이 응용되면서 표현 방법들이 더욱 풍부해지고 있다. 이는 유행에 민감한 대중들에게 항상 새롭고 신선한 혹은 충격적인 감각을 주어야 하는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역할에 충실히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현재 많은 패션일러스트레이터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패션의 흐름에 따라 자신의 개성적이고 독창적인 기법과 소재의 표현으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카툰 만화그림체는 독립적인 예술형식 뿐 만 아니라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한가지 표현형식 이다. 카툰만화 스타일의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은 유머러스하고 생생한 표현을 통해서 대중에게 더욱 쉽게 받아들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독특한 품격 및 표현특징을 구비한다. 본 연구는 1990년 이후부터 현대까지의 패션일러스트레이션 작품에 나타난 카툰 스타일의 표현양식을 분석하여 현재의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카툰스타일의 흐름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서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 더웅더 효과적이고 다양한 표현이 이루어지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를 위해 먼저 패션일러스트레이션과 카툰만화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 카툰 스타일의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분석에 사용되는 자료는 작가의 작품 200여점으로 패션 일러스레이션 전문서적과 인터넷에서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내용분석 결과 유머만화형, 사실만화형, 순정만화형, 변형만화형으로 그 범주를 분류하였다. 그리고 각 범주의 카툰스타일 작품에 나타난 표현특성과 내적인 의미를 알아보았다 아울러 카툰형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카툰스타일에 활용된 표현기법과 의미를 파악하고, 이응 토대로 작품을 5점 제작하여 제시하였다.

      • 점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 단일 사례연구

        우금 나사렛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점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아동의 정서ㆍ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단일 사례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C시 한 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남자 아동으로 주 2회 60분씩 총 15회기의 점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검증을 위하여 양적 측정도구로 유아정서행동검사-4(K-ECI-4)를 사전, 사후, 추후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질적 측정도구로 그림 검사인 집-나무-사람(HTP) 검사, 동적 가족화(KFD) 검사, 학교 생활화(KSD) 검사를 사전, 사후, 추후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단계별회기 진행 과정에 나타난 정서ㆍ행동문제의 변화를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ECI-4 사전 검사에서 일반화된 불안장애(70T),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70T), 우울장애(70T), 지속적인 우울장애(70T)가 아동의 내재화문제로 나타났다. 사후 검사에서는 일반화된 불안장애(52T),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60T), 우울장애(65T), 지속적인 우울장애(65T)의 T점수가 각각 18점, 10점, 5점, 5점 감소하였다. 추후 검사에서도 일반화된 불안장애(52T)는 그 결과가 동일하게 유지되었으며,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50T),우울장애(60T), 지속적인 우울장애(55T)는 사후 T점수보다 각각 10점, 5점, 10점 감소하였다. 둘째, K-ECI-4 사전 검사에서 ADHD-과잉활동/충동형(65T), 반항성장애(67T), 품행장애(65T)가 아동의 외현화 문제로 나타났고, 기타 문제로 음성 틱장애(65T)가 나타났다. 사후 검사에서는 ADHD-과잉활동/충동형(57T), 반항성장애(57T), 품행장애(52T)의 T점수가 각각 8점, 10점, 13점 감소하였다. 추후 검사에서도 ADHD-과잉활동/충동형(52T)과 반항성장애(55T)는 사후 T점수보다 각각 5점, 2점 감소하였고, 품행장애(55T)는 3점 증가하였으나, 65T 미만으로 정상 범위에 속하였다. 기타 문제인 음성 틱장애의 사후, 추후 점수는 모두 60T로 사전보다 5점 감소해 추후까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셋째, 단계별 회기 진행 과정에서 아동의 정서ㆍ행동문제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초기 단계에서 나타났던 아동의 공격성, 충동성, 분노 및 적대감, 그리고 행동 조절의 어려움이 중기 단계에서 후기 단계로 가면서 점차 감소하였고, 아동의 행동이 조절되는 모습도 나타났다. 넷째, 그림 검사(HTP, KFD, KSD)에서 아동의 정서ㆍ행동문제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나, 그 양상이 일관되지 않았다. HTP 사후 그림에서 아동의 공격성과 충동성의 감소가 나타났고, KFD의 사후 그림에서는 가족에 대한 아동의 지각이 일부 긍정적으로 변화된 모습이 나타났다. 또한 KSD 사후 그림에서도 친구에 대한 아동의 분노와 적대감이 긍정적인 감정으로 변화된 모습이 나타났다. 그러나 사후 검사에서 전반적으로 불안도가 높게 나타났고, 추후 검사에서는 공격성, 충동성, 불안 등이 사후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점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아동의 정서ㆍ행동문제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아동의 긍정적인 변화가 이후 다양한 위험 요인에 의해 부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아동의 긍정적인 변화들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아동에 대한 지속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 중국 음식 관련 신조어 연구 : 2006-2018년 신조어를 중심으로

        우금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23

        이번 음식 관련 신조어 연구를 통해 음식 신조어가 조구 및 의미가 어떻게 사용하는지 그 의미를 담게 된 사회 배경 및 중국 음식 문화를 담게 된 중국인의 인식 현황을 알 수 있다. 연구 과정에서 예문을 설명하고 동시에 중국의 음식 문화를 이해하고 중국어 신조어 구성 방식 및 어휘 응용 방법을 이해하여 중국어 교육과 학습, 신조어 연구, 중국 음식문화 연구의 도움이 된다.

      • Nd:YAG 레이저가 상아질 및 도재와 복합레진간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우금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레이저 부식을 시행한 경우 상아질과 도재의 표면구조에 미치는 영향 및 복합레진과의 결합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상아질 시편의 경우 처리를 하지 않은 군을 D1군, 10% 인산겔을 사용하여 처리한 군을 D2군, 1W, 20PPS의 레이저 부식을 시행한 군을 D3군, 2W, 20PPS의 레이저 부식을 시행한 군을 D4군으로 하였으며, 도재 시편에서는 diamond roughening한 군을 P1군, 8% 불산겔을 사용하여 처리한 군은 P2군, 2W, 20PPS의 레이저 부식을 시행한 군을 P3군, 3W, 20PPS 의 레이저 부식을 시행한 군을 P4군으로 분류하고 모든 시편에 레진을 축성하여 37℃에서 1일간 보관한 경우와 5℃와 55℃의 수조속에서 20초 간격으로 1000회 thermocycling을 시행한 경우 각각 상아질 및 도재와 레진간의 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편 표면처리 후와 접착강도 측정 후의 파절된 시편표면을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아질 시편에서는 37℃에서 1일간 보관한 경우 상아질과 레진간의 접착강도는 D2, D4, D3, D1군 순이었으며 D2군과 Dl, D3군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Thermocycling을 시행한 경우에도 접착강도는 D2, D4, D3, D1군의 순서였으며 전체적인 감소가 있었다. 2. 도재 시편에서는 37℃에서 1일간 보관한 경우 접착강도는 P2, P1, P4, P3군의 순이었으며, 이들간에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Thermocycling을 한 경우에도 접착강도는 P2, P1, P4, P3군의 순서였으나, 전체적인 감소가 있었다. 3. 주사 전자 현미경적 소견은 높은 접착강도를 보인 군에서 비교적 거친 면과 미세소공이 많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tching with a Nd:YAG Laser on dentin, or porcelain surface on the bond strength with composite resin. The dentin specimens were devided into the following 4 groups. D1 : No treatment D2 : Etched with 10% phosphoric acid D3 : Laser etched with 1W, 20PPS D4 : Laser etched with 2W, 20PPS The procelain specimens were devided into the fellowing 4 groups. P1 : diamond roughened P2 : etched with HF acid P3 : Laser etched with 2W, 20PPS P4 : Laser etched with 3W, 20PPS All specimens were veneered with resin. One half of the specimens were stored in 37℃ water for one day and the other half were thermocycled 1000 times at temperature of 5℃ to 55℃ at 20 seconds intervals. After that, the bonding strength of compost to resin to the dentin and porcelain was measured. The surface treated state and fractured state were observed with SEM.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the dentin specimens, the bond strength of group D2 was higher than that of groups D1 and D3 in the case of the specimens stored in 37℃ water for one da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D2 and D1, D3 (P<0.05). The bonding strength of the specimens that were thermocycled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group D2, D4, D3 and then D1. 2. In the porcelain specimens, the bonding strength of groups P1, P2 were higher than that of group P3 in the case of the specimens stored in 37℃ water for one day (P<0.05). The bending strength of the specimens of being thermocycled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group P2, P1, P4 and then P3. 3. The groups of high bond strength had a rougher surface and a high level of microporosity with SEM findings.

      • 브랜드 명의 언어표기 형태가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실용적 제품과 쾌락적 제품을 중심으로

        우금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브랜드 명의 언어표기 형태(한글 vs. 영어)가 제품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명의 언어표기가 소비자의 자아이미지 일치성에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제품평가가 달라질 것이라 보고 이에 대한 매개효과도 검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제품군(실용적 제품 vs. 쾌락적 제품)에 따라 언어표기 형태가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제품평가로는 구매의도 및 선호도, 그리고 최대 지불 가격을 사용하였다. 실험연구 결과, 브랜드 명의 언어표기 형태(한글 vs. 영어)가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구매의도 및 선호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최대 지불 가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용적 제품군에서는 브랜드 명의 언어표기 형태(한글 vs. 영어)가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쾌락적 제품에서는 브랜드 명의 언어표기 형태가 영어인 경우가 한글인 경우보다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제품군과 브랜드 명의 언어표기 형태가 제품평가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사회적 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청주시를 중심으로

        우금 서원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23

        지역 사회 내에서 방과 후 돌봄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지역아동센터는 아동의 방임을 예방하는 동시에 보호, 문화, 교육, 정서지원, 지역자원연계를 통해 이용 아동들이 확장된 사회적 지지원을 확보하도록 돕는 기관이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사회적 지지원인 가족, 친구, 학교교사, 센터교사가 아동의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사회적지지 수준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아동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행복감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아동의 사회적지지의 수준에 따라 행복감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아동의 행복감에 상대적 관련변수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청주시 관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4 ~ 6학년 아동 235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사회적지지 수준의 차이는 먼저 성별, 학년, 성적, 가정형편, 가족유형, 대화시간, 센터 이용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변인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경우 공통적으로 친구의 지지를 높게 인식하고 있어 아동의 친구 관계에 도움을 주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행복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성적, 가정형편, 대화시간, 가족유형, 센터 이용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가정 형편이 어렵고 가족 간 대화가 부족한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사회적 지지를 더 필요로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사회적 지지원에 따른 행복감은 친구, 가족, 센터교사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났다. 센터교사의 지지가 학교교사의 지지보다 아동의 행복감에 더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센터교사가 아동의 사회적 지지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저소득 가정, 한부모가정 아동들은 가정돌봄이 취약하거나 가족 간 대화가 부족할 수 있지만 센터교사의 지지가 아동의 행복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수 있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친구의 지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놀이공간을 제공하고 놀이시간을 확보하여 아동의 자유롭고 창의적인 사고의 확장과 관계 맺기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 그리고 가족중심 서비스로 가족의 일상생활과 일상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어려움에 처한 가족의 삶에 지역사회 자원을 연계하여 가족 내 유대감이 형성되도록 가족기능을 강화시켜 아동이 안전하고 행복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The community child centers compassing the neighboring local area that support children with a synthetic after-school care are making it possible for children to have—by connecting them with the local resources and through protection and cultural, educational, and emotional support—bigger sources of social support in addition to preventing them from being alone without their par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sources of social support including families, friends, schools, and teachers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s affect the children’s feeling of happiness. The problems in this study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how much difference is in the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Second, how much difference is in the children’s happiness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ird, how much difference is in the children’s happines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ocial support? Forth, how is the influence of the relatively related-variables toward the children’s happines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35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tween fourth to sixth grade who are supported by the community child centers in Cheongju.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8.0, through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ful difference of the level of the social support for children through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appears according to the gender, grade, family circumstances, conversation time and the using hours of center. All the variables with the meaningful differences make the recognition of the friend’s support, which suggests helping children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friends is necessary. Secon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or the difference of the feeling of happiness, there is some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 gender, grade, family, circumstance, conversation time, family type and the center using time. It suggests that those children with poor economic surroundings who are deficient in talks between family members need bigger social support than those who are not. Third, there appears som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feeling of happiness according to the source of social support if the difference is the product of families, friends, or teachers in the center. The teachers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s as the source of social support are recognized very important in that they have a bigger impact on children than school teachers. Above all results clearly suggest that children with a single parent or with poor income who are supported by the community child centers have relatively positive feeling of happiness, in spite of poor parental protection or barely having a conversation between family members, due to the social support by the teachers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s. To lift the social support by friends, which affects the happiness of those children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s, it is essential to reserve space and time for children to play around, and to make sure that there is no obstacle preventing them from having creative minds, and to help them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Also, with family-based services focusing on the daily lives and surroundings of families helping those in trouble, by connecting them with local resources, bring family function back to life so that they have greater bonds between them, which makes it possible that children feel more safe and happy with their lives,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