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대학기록의 편찬 방법과 절차 : 한신대학교 민주화운동 자료집 편찬을 중심으로

        성진아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87

        과거의 기록물관리는 기록물의 행정적․학술적․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대학의 기록물을 수집하고 관리․보존하는 것만을 주요 기능으로 보았다. 그러나 기록물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들의 요구와 흥미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기록물의 활발한 이용을 촉진․장려하는 이용서비스가 중요한 임무로 부각되게 되었다. 기록물의 이용을 활발히 하기 위해 편찬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출판물이라 함은 일차적 발행목적이 기록물관리기관에 대한 이해와 자원을 유도하고, 잠재적 이용자의 이용욕구를 자극하는 것이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집 편찬과정에서 계획, 수집, 정리와 기술, 선별과 평가의 과정을 한신대학교 개교 70주년 민주화운동 자료집 편찬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편찬과정을 모색해보았다. 이러한 최종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첫째, 구체적인 사례로 한신대학교의 자료집 편찬과정을 중심으로 계획단계에서부터 수집, 정리와 기술, 선별과 평가에 이르기까지의 대학 기록 자료집의 특성을 알아보고 단계별 진행 절차와 방법을 정리하고, 둘째, 편찬 과정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는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수집⋅관리되지 못한 한신대학교 민주화운동 관련 자료를 계획, 수집, 정리와 기술, 선별과 평가 등의 편찬방법과 절차를 살펴봄으로서 국내 민주화운동에 관한 자료집 편찬 방법에 도움을 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국내와 외국 자료집 편찬과정 방법의 사례가 전무하여 조사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아직 대학기록관에서의 자료집 편찬은 시작 단계이기는 하나 다양한 시각에서 대학기록물의 여러 측면을 분석할 수 있는 연구들의 끊임없는 문제 제기와 개선을 통해 진정한 기록정보의 활용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 대학박물관 초등학교 대상 교육프로그램 개발 : 한신대학교 상설전시를 중심으로

        조성래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박물관은 수집, 보존, 연구, 전시, 교육의 기능을 담당하는 사회적기구로서 그 교육적 기능에 대해 국제박물관협의회의 정관과 전문적인 윤리요강은 “박물관은 사회와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고, 공중에게 개방되는 비영리적인 항구 기관으로서 학습과 교육, 위락을 위해 인간과 인간의 환경에 대해 물질적인 증거를 수집, 보존, 연구, 교류, 전시한다.”라고 규정되어 있다. 현대의 박물관은 수집과 보존의 유물중심의 박물관의 역할에서 전시와 교육의 지역사회중심이라는 새로운 박물관의 사회적 기능으로의 역할 활성화를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게 국·공립·사립박물관들은 관람객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교육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펴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대학박물관은 지역주민들을 위한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 활발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대학박물관은 유물들과 수집품들이 모여 있는 수장고로서의 역할과 발굴, 연구, 조사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해 왔다. 하지만 학습사회의 도래라는 시대적 흐름과 지역사회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이 강조되는 박물관의 역할변화에 맞게 대학박물관의 변화도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교육적기능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대학박물관의 사례도 있다. 이화여자대학교자연사박물관,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영남대학교박물관 등은 많은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프로그램이 특별전이나 체험학습프로그램, 역사문화교실, 유적 답사 등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상설전시를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은 그 수가 매우 적다. 박물관은 수장하고 있는 문화유산을 통해 보다 더 가까이 관람객들에게 다가가고 교육적 효과를 다할 수 있으나 상설전시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관람객의 수준에 따른 교육자료 등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아 그러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관람객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교육기관으로서의 대학박물관의 현황과 교육프로그램의 실태를 알아보고 더불어 그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 단체 관람객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한신대학교 박물관의 상설전시를 이용하여 사전학습에서부터 본시학습, 사후학습까지 일련의 박물관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러한 교육프로그램의 과정이 여타 다른 박물관에도 적용되어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박물관교육프로그램의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활동지를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안을 제시하였다. 인솔교사 또는 박물관의 교육담당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교사용 지도자료를 개발하여 교육의 편의성을 가지도록 하였다. 상설전시에 따른 다양한 체험학습 프로그램의 예시안을 제시하여 초등학생의 흥미에 맞추어 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단체관람객을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으로 한정하였으나 대학박물관은 지역사회 교육기관으로서 다양한 관람객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대학교의 학생과 교직원, 교직원 가족, 지역사회 주민, 인근 지역 유치원 및 학교 단체관람객이 있으며 적용 대상과 시기에 따라 상설전시연계프로그램, 체험활동중심 프로그램, 주제답사프로그램, 주말 가족박물관학교, 여름방학 박물관교실 등으로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 박물관 교육팀 구성, 운영기금 조성, 프로그램 개발 등의 운영기반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박물관을 포함한 박물관들의 교육적 기능은 더욱더 강화되어 갈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대학박물관들이 지역사회와 평생학습기반사회의 요청에 따라 이제까지의 연구 성과를 적극적으로 교육활동에 반영하여 지역사회 교육기관으로서의 위상을 가지기를 기대한다. Of the educational function of museum, as social organization in charge of collecting, preserving, researching, exhibiting and education functions, the constitution and professional ethic guidelines of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provide as "The museum, as a non-profit permanent institution which contributes to social development and is opened to the public, collects, preserves, researches, exchanges and exhibits the physical evidences of human being and human environments for research, education and recreation." The contemporary museum is requested to activate role of new social function of museum as exhibition and education center for community from the role as collecting and preserving center of relics By this current of the times, national, public, private museums are going into active actions such as improvement of visitors' accessibility,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o provide diverse educational experiences, etc. However, it is true that the university museums are not active relatively to perform educational role for local residents. The university museums have performed faithfully their role as storage where the relics and collectible items are gathered and the function of excavation, research, and investigation. However, to meet the advent of learning society as current of the times and the changed role of museum's emphasized function as educational organizations for community, now change of the university museums is demanded. There are the cases of university museums of which educational function is made actively. Natural history museum of Ewha Woman's Universi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Museum, Yeungnam University Museum are managing many educational programs but since the educational programs are managed mainly by the special exhibition,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history and culture classes, exploration of ruins, etc, the program for regular exhibition are extremely low in numbers. Although he museum can get closer to visitors with culture heritage in their possession and get good educational effects, since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regular exhibition and the educational materials according to the visitors' levels are not developed, such education is not conducted. Therefore, in this study, current status of university museums as social education institution for target visitors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of educational programs were examined and based on the results, educational program for group visitors of elementary schools students was developed. Using regular exhibition of Hanshin University Museum, a series of museum educational course from preliminary learning, learning, to post-learning was developed. In addition, to develop program applying this educational process to other museums, museum educational program model was suggested and to develop activities worksheet, several examples were presented. To make easy to use for accompanying teachers or museum education officers, teaching materials for teacher was developed for teaching convenience and to proce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interes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variety experiential learning examples for regular exhibition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while the educational program was limited for target subjects as group of elementary students, university museums, as community educational institution, have diverse classes of visitors. For visitors, there are college students, collage staffs, collage staffs families, community residents, group visitors form neighboring kindergarten and schools and by the target visitors and time of the year, the programs can be organized to program linked with regular exhibition, experiential activities-oriented program, theme exploratory program, weekend family museum school, summer vacation museum classes, etc. In addition, to manage these programs, operational foundation such as educational team organization, operation fund-raising, programs development has to be constructed. As educational functions of museums including the university museums are growing enhanced more and more, based on this study,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community and lifelong learning-based society, that the university museums would claim their position as community educational institutions by reflecting actively research achievements so far to educational activities is expected.

      • 비기독교대학 선교활성화에 관한 연구 :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와 건대선교교회를 중심으로

        최인섭 한신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55

        ABSTRACT A study of mission activation in non-christion university A case study of Konkuk university glocal campus and Kondae mission church CHOI, IN SEOB Doctor of Ministry The Graduate School of Theology, Hanshin University This paper examines mission activation in non-Christian University. It is differentiated from any other studies based on mission activation in Christian University. As introduction, the first chapter provides the issue, purpose, method, and criteria of this study.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a history of mission in University and an importance of mission in University as theological mission in University. Also, mission history of a global University and Korea is introduced. Furthermore, it is said that the theology of University Mission and a mission and leadership for a minister. The third, a mission theology in University and campus minister of calling, leadership. This chapter is established about calling of campus minister and leadership focused university mission theology by concept of Missio Dei. The fourth, the activities of Kon-Kuk University and Kondae Mission Church are focused as an observation of this paper: the group of Christian professors and staffs in Kon-Kuk University, the Christian union, campus chapel, missionary organizations, and KCF. Also, as an activity in non-Christian University, Kondae Mission Church is presented as well. The fifth chapter is a case study regarding to non-Christian University: Dae Jeon Kaist Church, Kyung Buk University Church, Foreign Study University Church, Korea University Church, National University Church, and Kwang Woon University. And, this chapter provides the method of revitalization for mission in non-Christian University; The first, it is the paradigm shift in campus mission. the second, it is a development of the specialized mission University. The third is an operation of specialized living areas. The fourth, it is revitalization of a Christian group in University, union, and alumni association. The fifth, the union of mission groups, local church, and other groups in University. The sixth is the revitalization of network with all national Universities. The seventh, the Korean church’s care and mission on non-Christian University is important. The eighth, the encouragement to missionary and fund raising for long-term mission is needed. The ninth, the trial of chapel and a lecture for mission as general courses is it. The last is developing short-term mission work for global mission. As a conclusion, the last chapter is a summary and a suggestion. As an appendix, the current religion condition of Universities in Korea and the lecture plan as a general course in Foreign Study University are added. This study is produced the movement for build-up Christianity in non-Christian University. Although this is narrow, it will be a new paradigm on University mission. Moreover, it encourages church in Korea to take care of college mission as much as they can. It could be a good chance to both. Also, Korean-Christian associates’ attention is needed. Lastly, there is an example that non Christian University has a lecture as a general course in oversea. The people who work in non Christian Universities have a wish and work to open a Christian lecture officially as the other University does.

      • 이중표 목사의 "별세"신학과 목회에 관한 연구

        김종하 한신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55

        별세신학은 이중표 목사가 자신의 생의 경험과 목회현장에서 터득한 ‘별세’를 신학화한 것이다. 별세는 그의 생의 여정과 깊은 연관이 있다. 별세는 가난한 가정에서 자라나던 성장기의 소년 이중표의 가슴에 민족의 아픔을 이야기 하며 눈물을 흘리시던 담임선생님의 눈물과 자식들을 위하여 흘리시던 어머니의 눈물을 통해 그의 가슴에 잉태되었다. 그렇게 잉태된 별세는 그의 목회적 여정과 네 번의 수술, 그리고 일곱 번의 신비체험을 통해 독특한 언술로 정리되고, 체계화 되었으며, 죽음조차 별세의 행복으로 받아들인 그의 죽음을 통해 완성되었다. 일반적으로 별세라는 말은 육체적 죽음을 나타내는 말이다. 그런데 이중표 목사는 이 말을 실존론적으로 이해하여 ‘자기죽음의 선언’ ‘새 삶’ 그리고 ‘살리는 삶’ 이라는 세 가지 차원으로 이해하였다. 따라서 그에게 있어서 별세란 죽어서 가는 새로운 세상으로 들어가는 피안적, 현실 도피적 개념이 아니다. 그것은 지금 자신이 살고 있는 삶의 자리에서 자기 죽음을 선언함으로써 새로운 삶을 사는 것이며, 그리고 그와 동시에 이전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세상을 만들고 창조해 가는 창조적 살림의 삶을 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가 터득한 ‘별세’는 누가복음 9장 31절에 근거하고 있으며,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자신의 삶속에 그대로 실현하며 사는 것을 의미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하늘나라에서 떠나 십자가에서 죽음으로 ‘떠남으로서의 별세’ 또는 ‘자기 죽음으로서 별세’를 이루신다.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는 부활하여 영광스런 존재가 됨으로서 ‘다시는 사는 새 삶으로서의 별세’를 이루신다. 그리고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는 인류를 구원함으로 인류를 살리고, 세상을 살리는 ‘살림으로서 별세’를 이루신다. 이중표 목사는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뿐만 아니라 성경의 구조와 핵심 내용도 ‘떠남 혹은 자기 죽음으로서의 별세’ - ‘새 삶 혹은 다시 삶으로서의 별세’ - ‘살림 혹는 살리는 삶으로서의 별세’ 라는 별세의 삼중적 구조로 되어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는 자신이 터득한 별세를 조직신학화하여 별세의 성서론, 별세의 삼위일체론, 별세의 신론, 별세의 인간론, 별세의 기독론, 별세의 성령론, 별세의 구원론, 별세의 교회론, 별세의 종말론이라고 하는 체계적인 신학적 틀을 가진 별세신학을 정립하였다. 그가 정립한 별세신학은 바울과 어거스틴 그리고 마틴 루터와 칼빈으로 이어지는 개혁교회의 정통신학과 경건주의 신학을 그대로 계승한 신학이며, 리처드 니버와 김재준의 신학의 맥을 이어가는 ‘역사참여적, 현실변혁적 신학’인 동시에 건전한 종말론을 가진 실존론적인 신학으로서 민중신학까지 아우르는 건전한 목회신학이다. 그리고 그는 자신의 별세신학을 목회현장화 하기 위하여 별세신학을 신앙화하고 비전화 했다. 그가 말하는 별세신앙은 사도바울과 같이 그리스도의 별세사건을 자신의 삶속에 현재화하고, 그리스도와 함께 죄악된 자신에 대하여 죽음을 선언하고, 그리스도의 부활과 함께 새롭게 태어나, 그리스도를 나타내는 삶을 사는 것이다. 그래서 별세신앙은 예수 그리스도를 객관적 신앙의 대상으로만 믿고 그의 죽음을 통해 대속의 은총을 얻는 것에 만족하는 구원신앙에 머물러 있지 않는다. 별세신앙은 별세하심으로 온 인류를 살리신 그리스도처럼 자기를 죽여 자신도 살리고 이웃도 살리고 소외된 곳에서 신음하는 사람도 살리고 세상도 살리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별세신앙은 죽은 후에 얻는 천국을 지금 이 세상에서부터 누리는 것이다. 그렇게 때문에 별세신학은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서 죽음’ - ‘예수와 함께 삶’ - ‘예수 안에서 세상을 살림’ 이라는 별세신앙을 체계적으로 조직하고, 전파함으로 그리스도를 따르는 모든 이들로 하여금 그리스도를 살리고, 교회를 살리고, 세상을 살리는 비전을 갖는다. 이 비전을 성취하기 위해 별세의 공동체인 교회는 예배(말씀과 기도), 교제와 훈련, 봉사와 선교를 통하여 성도들을 별세시켜 날마다 그리스도와 함께 자기를 죽이고 새로운 삶을 나아가게 해야 한다. 그래서 그리스도를 따르는 모든 이들이 자기가 살고 있는 삶의 현장에서 영광스런 성도, 행복한 제자, 창조적인 사역자가 되어 자기도 살고, 교회도 살리고, 세상도 살리는 이 비전을 실현하도록 해야 한다. 바로 여기에 별세목회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이다. 이중표 목사는 자신의 별세신학을 목회에 적용하기 위하여 다음 네 가지 별세목회 원칙을 제시하였다. 그가 제시한 별세목회의 첫째 원칙은 예수님이 별세하심으로써 모든 사람을 별세시키셨듯이 목회자 자신이 먼저 별세함으로 교인들도 별세하게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원칙은 목사가 먼저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그리스도와 함께 사는 별세의 삶을 통해 인생 최대의 행복이 별세에 있음을 보여 주고, 교인들을 별세하게 하여 그들도 행복하게 만들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원칙은 목사는 교인들이 열심히 기도하고 전도해도 별세되지 않으면 변화가 없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교인들이 별세의 은혜를 받을 수 있도록 별세의 훈련을 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원칙은 목사 자신이 먼저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을 자기화하여 순교자의 삶을 살아가는 별세신앙을 확립하고, 교인들도 별세의 신앙고백을 하며 순교의 삶을 살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별세목회 원칙에 입각하여 그는 15 가지의 구체적인 별세 목회방법을 제시하였다. 그가 제시한 15 가지 별세목회방법에는 교회 목양적 별세목회방법으로서 살림목회, 놀이목회, 성전목회, 세례목회가 있으며, 치유 회복적 별세목회방법으로서 가정목회, 주막목회, 안식목회가 있으며, 현실참여적 별세목회방법으로서 희년목회, 장자목회, 빚진목회, 밥상목회, 민중목회가 있으며, 미래 종말적 별세목회방법으로서 이민목회, 상급목회, 순교목회가 있다. 그에게 있어서 별세목회는 이 15가지 별세목회방법을 통하여 성도들로 하여금 별세신앙을 체득하고, 그 신앙에 따라 별세의 삶을 살아가도록 돕는 것이다. 그리하여 성도들로 하여금 영광스런 존재, 창조적 존재가 되어 별세신학의 비전을 이루어 자기도 살고, 그리스도도 살리고, 교회도 살리고, 세상을 살리는 행복한 존재가 되게 하는 것이다. 이중표 목사는 자신이 개척하고 목회하였던 한신교회에서 자신의 목회신학인 ‘별세’가 교인들의 삶속에 그대로 실천되어지도록 별세를 비전화 하고, 그것을 또한 행동 강령화 하고, 그리고 그것을 교인 누구나 이해하기 쉽고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도록 상징화하였으며, 모든 교육훈련을 통하여 한신교회 교인들에게 별세를 전달하고, 가르치고, 숙지시키고 따라오도록 하였다. 그 결과 한신교회 성도들은 이중표 목사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았는데, 필자는 이중표 목사의 별세신학과 목회가 한신교회 교인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무작위로 선택된 한신교회 성도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성실하게 설문에 응답한 438명의 응답 자료를 통계 처리하고 분석한 결과 한신교회 성도 가운데 92.4%가 별세의 의미를 알고 있었으며, 93.9%는 이중표 목사의 별세설교에 은혜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92.8%는 별세가 자신들의 신앙생활에, 88.9%는 가정생활에, 90.2%는 직장생활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필자는 이중표 목사의 별세신학과 목회가 한신교회 성도들의 생활 전 영역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중표 목사는 한국 교회 목회자들을 별세시키므로 한국교회를 살리고, ‘한국 민족을 신자화 하자’는 자신의 한신교회 창립비전을 성취하기 위하여 1987년부터 ‘전국 목회자 세미나’를 실시하였다. 그는 이 세미나를 통하여 자신이 터득한 별세를 한국 교회 목회자들에게 전하고 가르쳤다. 필자는 이 세미나에 참석한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이중표 목사의 별세신학과 목회가 한국교회 목회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2007년 5월 28일(월)부터 5월 31일(목)까지 양수리 수양관에서 ‘별세와 부흥’ 이라는 주제로 개최되었던 ‘제 21회 전국 목회자 세미나’에 참석한 목회자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그리고 성실하게 응답한 656명의 응답자료를 통계 처리하고 분석한 결과 한국 목회자 67.3%가 별세의 의미를 알고 있었으며, 응답자의 36%가 ‘전국 목회자 세미나’를 통해 별세를 알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전국 목회자 세미나’를 한국교회 목회자들에게 별세를 가르치고 전하고자 하였던 이중표 목사의 계획이 매유 유효하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한국교회 목회자들의 96.6%는 이중표 목사의 별세설교를 들었을 때 은혜를 받았다고 하였으며, 92.2%의 목회자들이 이중표 목사를 존경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55.4%의 목회자들은 자신들의 교회에서 별세를 주제로 설교한 적이 있다고 하였으며, 자신들의 교회에서 별세를 설교하였을 때 성도들이 은혜를 받았다고 응답한 목회자는 65.5%였다. 이로써 필자는 한국교회 목회자들이 이중표 목사를 존경하긴 하지만 아직 그가 주장한 별세의 의미를 자기화하지 못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별히 한국교회 목회자들은 이중표 목사로부터 별세와 인격과 복음의 열정을 배우고 싶어 했으며, 이중표 목사로부터 목회자의 인격개발과 성품개발 그리고 영성과 사명감 회복에 큰 도움을 받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한국교회 목회자들의 88.6%는 이중표 목사의 별세가 한국교회에 영향을 끼쳤다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이중표 목사의 별세가 ‘목회자의 사명과 의식개발’ 과 ‘교회갱신과 목회 본질의 회복’에 영향을 끼쳤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81.4%는 앞으로 별세가 지속적으로 한국교회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그렇게 되기 위해서 54.6%가 ‘전국 목회자 세미나를 통한 저변 확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서 필자는 한국교회 목회자들이 이중표 목사의 별세신학과 목회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이중표 목사가 시작한 ‘별세목회 전국 목회자 세미나’를 통해 한국교회 목회자들이 별세의 영성을 배우고, 목회자로서 목회의 본질을 회복하고, 목회에 대한 사명과 열정을 회복하기를 원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전국 목회자 세미나’를 주최하는 별세목회연구원과 한신교회는 이중표 목사가 심혈을 기울여 시작한 ‘전국 목회자 세미나’가 별세를 가르치고 전하는 가장 중요한 통로임을 인식하고, 이 세미나에 참석하는 한국교회 목회자들에게 이중표 목사의 별세를 어떻게 교육화하고, 모델화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번 조사 연구를 통해서 한국교회 목회자들이 ‘별세’와 ‘한신교회’를 연관해서 생각하는 동시에 이중표 목사 사후 한신교회의 미래에 대해 상당한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한신교회는 별세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더욱 부흥하여 이중표 목사가 남겨준 별세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이중표 목사의 별세신학과 목회는 모든 성도와 교회를 십자가에서 죽고 부활하심으로 인류를 살리고 세상을 살리신 별세의 그리스도를 닮아 가도록 만드는 신학이다. 그리하여 예수 그리스도처럼 자기를 죽이는 별세를 통하여 자기도 살고, 다른 사람도 살리고 온 세상을 살리는 신학이다. 필자의 부족한 연구가 부디 그리스도를 살리고, 한국교회를 살리고, 세상을 살리는 이중표 목사의 별세신학을 한국교회에 알리고, 이중표 목사가 남겨 놓은 별세신학에 대한 한국교회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데 미진하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미진한 부분과 별세신학의 보다 더 세밀한 목회적 적용 방안등에 관한 더 깊이 있는 연구는 다음 연구자의 과제로 남기게 됨을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 "Byeol Se" Theology is the theology that pastor LEE Jung Pyo developed from his experience and pastoral duties. "Byeol Se" has the close relationship with his life long journey. "Byol Se" has been immaculated to young boy Lee Jung Pyo, who was brought up in a poor family, through his teacher who gradually talked about the pain of our people, and his mother, who took care of her children. "Byeol Se" has been organized through his pastoral duties, four medical operations and seven amazing experiences, and has been completed through his death, whom accepted it as his happiness among "Byeol Se." Generally "Byeol Se" represents the death of physical body. However Lee understood this concept as ‘a declaration of self-death’ ‘new life’ and ‘saving life’. "Byeol Se" was not a concept of escapism to him. To Lee, "Byeol Se" was declaring of death of one's own self and beginning of a new life, and creating a world which is totally different and living a creative life. Lee's definition of "Byeol Se" is based on the Gospel according to St. Luke, 9:31. It means application of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to one's life. Jesus Christ completes ‘Byeol Se through departure or Byeol Se through his death’ as he dies upon the cross after leaving the kingdom of Heaven. Jesus Christ completes ‘Byeol Se of new life’ as he becomes a glorious existence after his resurrection. Jesus saves humans and completes ‘Byeol Se which saves the world’. Lee insisted that main structure of the Bible is divided into three parts, 'Byeol Se through one's death' 'Byeol Se through one's new life' 'Byeol Se through saving one's life' And he organized systematic theological his knowledge of "Byeol Se." "Byeol Se" Theology has a systematic theological themes that was 'the Holy Biblolgy of Byeol Se', 'the Trinitarianism of Byeol Se', 'the Ecclesiology of Byeol Se', 'the Anthropology of Byeol Se', 'the Christology of Byeol Se', 'the Holy Spiritology of Byeol Se', 'the Soteriology of Byeol Se', 'God of Byeol Se', 'the Escatology of Byeol Se'. Lee's "Byeol Se" Theology succeeds the theology of reformed church such as Paul and Augustine and Martin Luther, Calvin's theology. He inherites the history participatory theology and social reformation theology of H. R. Niebuhr and Kim Jae Joon. And "Byeol Se" Theology is the healthy Pastoral Theology and Christian existentialist theology that has a healthy escatology. He tried to apply his theology for his pastoral duties. His "Byeol Se" Theology applies to our life as apostle Paul did. It announces the death of oneself with sin, and one's reborn with Jesus and living with Jesus. Thus "Byeol Se" Theology does not just recognize Jesus as one's religion to gain the grace of God. It helps our neighbor and other people, and saving the world through deceasing ourselves like Jesus did. We may be blessed with the Heaven, which may be blessed after death, in our current life through "Byeol Se" Faith. Thus "Byeol Se" Theology organizes and spreads 'death upon cross with Jesus' 'life with Jesus' 'life within Jesus' so all christians may save Jesus, church and the world. To achieve this, church needs to "Byeol Se" its believers with Jesus through its service and missionary work. All Christians may save themselves, church and the world. The necessity of the "Byeol Se" pastoral duties may be seen here. Lee suggested four principles of the "Byeol Se" pastoral to apply it to the ministry. First, Pastors must be need to his believers "Byeol Se" themselves as Jesus did. Second, pastors are needed to live the life of "Byeol Se" for his believers so they may follow him. Third, pastors are required to let his believers know that unless they "Byeol Se" themselves it will not make any difference even though they pray. Fourth, pastors are needed to live the life of martyr so his believers may follow him. Lee suggested 15 detailed "Byeol Se" pastoral ministry methods. Church shepherd methods are living ministry, play ministry, Holy temple ministry and baptism ministry. Heal recovery methods are home ministry, a tavern ministry, sabbath ministry. Reality participating methods are jubilee ministry, odest son ministry, debtor ministry, dining table ministry and Minjung ministry. Future eschatology methods are emigration ministry and awarding ministry, martydom ministry. Through these methods believers may understand "Byeol Se" theology and live according to it. Believers may become glorious existence and creative existence so they may save themselves, Jesus, church and the world so they may become happy after all. Lee applied his "Byeol Se" to Hanshin church, where he pastorated, so his believers may live with it. He also made a code of conduct so anyone may understand it easily and remember it. He delivered the "Byeol Se" theology through training to his believers. Many of Hanshin church believers were affected by Lee and I did a survey to find out how Lee's theology affected Christians among 500 Hanshin church believers. Analyzing of 438 believers responses, 92.4% understood the meaning of "Byeol Se" and 93.9% were affected by Lee's pastoral. 92.8% believed "Byeol Se" helped their religious life, 90.2% believed it helped their domestic life and 90.2% believed it helped their work life. Through this result, I was able to realize that Lee's pastoral about "Byeol Se" affected many Christians lives deeply in many different parts of their lives. Also Lee initiated the seminar of national pastors since 1987 to achieve the vision of Hanshin church as well as saving Korean church by make their believers "Byeol Se" themselves. Lee educated Korean pastors his knowledge of "Byeol Se" theology. I surveyed 1,000 pastors who attended Lee's seminar to find out how it affected Korean pastors. After analyzing 656 responses, 67.3% of pastors understood the meaning of "Byeol Se" and 36% said that they were able to hear about it through Lee's seminar. This shows that Lee's plan of educating Korean pastors were very effective. 96.6% of Korean pastors said they were impressed when they heard from Lee regarding to "Byeol Se" pastoral, and 92.2% said they were respecting Lee. And 55.4% of pastors said that they preached about "Byeol Se" at their church and 65.5% pastors said that many of their believers were impressed with it. I was able to say that many Korean pastors respect Lee but they have not been able to personalize Lee's "Byeol Se" theology yet. Many Korean pastors wanted to learn about Lee's "Byeol Se" theology and his passion. Also 88.6% of pastors said that Lee's "Byeol Se" theology has affected Korean church, especially 'cleric's mission and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and 'renewal of church and rehabilitation of nature of pastoral' And 81.4% said that "Byeol Se" theology would continually affect Korean church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54.6% siad that more Seminar of national pastors should be organized. Through this result, I was able to say that Korean pastors has greatly been affected by Lee and they learnt about "Byeol Se" through Lee's seminar. They were keen about rehabilitating the nature of pastoral and mission of passion about pastoral. 'Byeol Se Ministry Institute' and 'Hanshin church', which hold 'national pastors seminar' should that seminar is an important path of educating pastors about "Byeol Se" theology. They should be concerned about how they can educate and model pastor Lee's "Byeol Se" theology. I was also able to see that Korean pastors see 'Byeol Se' and 'Hanshin church' together and they were concerned with the future of Hanshin church after the death of pastor Lee. Thus Hanshin church should be rehabilitated to further develop "Byeol Se" theology that was left by pastor Lee. Pastor Lee's "Byeol Se" theology and pastoral is the theology to follow Jesus Christ who saved humans by resurrection after the death upon the cross. Through "Byeol Se," one may save oneself, others and the world. I hope my study may save Jesus Christ and Korean church, and it may educate "Byeol Se" theology to Korean church. I also hope that my study may attract Korean churches' attention and I am sorry about leaving unstudied area and more detailed pastoral application method as the duty of next person who would be studying this area.

      • 설명책임성을 위한 사립대학 기록관리기준표의 개발

        정진우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University is a unique social group that consists of professors, students, and faculty member pursuing truth. In addition, it is a cradle for academy and knowledge inheriting and developing intellectual culture, while producing the intelligent necessary in society and locality. Incessant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leads to brighter future of the nation and an important asset and indicative for measuring social capacity. The university in the early days of Korean society conducted intrinsic mission of higher education institute, le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while speaking out a sound criticism. Since the middle of 1980s, however, the university started to expand in quantity and compete each other due to new liberalism policy including the former President Roh's "private university tuition liberalization" and the former President Kim Young-sam's "Establishment of university Normativsystem". As a result, present private university took charge of 86% of higher education and brought about various problems such as ambiguous tuition raise, management's reserve payment, unnecessary engineering project, cartel between the political authority and private school conglomerates, etc. This situation discolors mission of education, research, and social contribution by the university and negatively affect the future of the nation as well as the locality. What seems to diagnose and prevent private university from these problems is to secure 'accountability'. Accountability explains transparency and legitimacy of accountable administration and soundness for positive communication based upon evidentiality of every records. In addition, it keeps memory and history of private university and hands down onto later generation ideology of establishment of school and identity. But, at present recordkeeping of private university is located at a dead zone compared with other fields, and to solve this problem first of all, 'recordkeeping criteria table,' a controlling tool for recordkeeping shall be developed. Moreover, recordkeeping criteria table shall include the functions required to perform accountability as aforesaid. Accordingly,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set forth private university recordkeeping criteria table for development accountability. To do so, at first, I have looked into definition of private university accountability and necessity of recordkeeping criteria table as a theoretical review of private university recordkeeping criteria table for the necessity of accountability. In addition, I have also analyzed factors of accountability as included as well as considerations in the event of developing recordkeeping criteria table. Secondly, I have drawn out analytic method of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essential production records' for accountability and type of 'publication records type', criteria for 'retention schedule' related to life-or-death-authority of the records based upon records properties as a development methodology of private university recordkeeping criteria table. Thirdly, I have applied to Hanshin University such theory and methodology drawn out as a real development case of the private university recordkeeping criteria table. 대학은 진리탐구를 목적으로 하는 교수, 학생, 교직원으로 이뤄진 독특한 사회집단이다. 또한, 학문과 지성의 요람으로서 고도의 지적문화를 전승하고 발전시키며, 교육을 통해 사회에 필요한 지성인을 배출하고 지역사회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봉사한다. 이처럼 대학의 부단한 발전은 국가의 미래이며 사회적 역량을 가늠하는 척도이자 중요한 자산이다. 초기 한국사회의 대학은 앞선 고등교육기관의 본연적 사명을 실천해 왔고, 민주화운동의 선구에 서는 등 사회의 모순에 대해 건전한 비판의 목소리를 내어왔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 이후 신자유주의 논리를 바탕으로 한 노태우 정부의 "사립대 등록금 자율화 조치"와 문민정부의 "대학설립 준칙주의"로 인해, 대학은 양적으로 팽창하기 시작했고 경쟁이 심화하였다. 이 결과, 현재 사립대학은 고등교육의 약 86%를 담당하게 되었고 불투명한 등록금 인상, 경영진의 적립금 납입, 불필요한 토건사업, 정치권과 사학재벌의 카르텔 등 다양한 문제를 낳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대학의 교육・연구・사회봉사 사명을 퇴색시키며, 대학에서 배출된 지성인들이 책임질 지역사회와 국가의 미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시대적 과업이 되었다. 사립대학의 이와 같은 문제들을 진단하고 예방케 하는 것은 기록을 통한 '설명책임성'의 확보이다. 설명책임성은 기록이 갖는 행위의 증거성을 바탕으로 책임행정의 투명성과 정당성, 구성원들의 순기능적인 의사소통을 나타내는 건전성을 내・외부에 설명한다. 또한, 사립대학의 기억과 역사를 보존하고 각 학교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건학이념과 정체성을 후대에 전승한다. 하지만 현재 사립대학의 기록관리는 다른 영역에 비해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상황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기록관리를 위한 통제도구인 '기록관리기준표'를 개발해야 한다. 더불어 기록관리기준표는 앞서 언급한 필요성에 따라 설명책임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이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명책임성을 위한 사립대학 기록관리기준표의 개발에 관하여 개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설명책임성을 위한 사립대학 기록관리기준표의 이론적 검토로서 사립대학 설명책임성의 정의와 기록관리기준표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기록관리기준표의 개발 시 고려사항과 여기에 포함될 설명책임성 요소를 분석하였다. 둘째, 사립대학 기록관리기준표의 개발 방법론으로서 기록 속성에 기반한 기록분류체계 분석방법, 설명책임성을 위한 '필수생산기록'과 '공표기록유형'의 종류, 기록의 생사여탈권과 관련된 '처분지침' 기준을 도출하였다. 셋째, 사립대학 기록관리기준표의 실제 개발 사례로서 앞서 도출된 이론과 방법론을 한신대학교에 적용해 보았다.

      • 대학과 지역사회의 협업 방안에 대한 연구 : 한신대와 강북지역의 캠퍼스타운 조성 계획수립과정을 사례로

        송주민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학과 지역사회의 협업과 파트너십 기반 사업추진에 필요한 제언을 탐색적으로 도출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서울시 정책으로 촉발된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의 초기단계 계획수립과정을 분석하고 합의한 사업에 대한 이해집단별 우선순위 도출과정을 통해 사업실행에 유의미한 자료을 제시한다. 시작부터 대학과 지역사회 구성원이 밀접한 논의 하에 전개되었던 ‘한신대-강북지역’의 협력적 계획수립과정을 분석사례로 진행했다. 이를 위해 대학-지역사회 협력형 캠퍼스 조성과 협업 등에 대한 개념과 동향 등을 살펴보았고, 한신대와 강북지역의 지역적 맥락과 경험, 계획수립 과정과 도출내용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해보았다. 이 과정을 통해 수립한 캠퍼스타운 추진목표와 세부요소들을 토대로, 핵심 실행주체이자 참여그룹인 대학과 지역사회 관계자를 대상으로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묻는 AHP 기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례에 기반한 질적 양적 분석결과를 통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과 지역사회를 포함하는 이해관계 집단별 사업의 우선순위, 개별 사업에 대한 중요도 등은 차이를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 이를 조율하고 합의할 수 있는 우선순위 설정과 의사결정 과정을 제대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선행 해외사례 등에서도 나타나듯, 이질성을 드러낼 수 있는 상호주체 간 협력 프로세스를 만들어가는 과정 자체가 주요한 과제이다. 이를 인지하고 본 사업계획에 이 과정 또한 부차적인 것이 아닌 중요 목표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사회의 다양한 주체와 현안 등을 포괄하는 협력사업은 고정적인 목표와 우선순위 설정이 아닌 ‘단계적 논리’를 적용하여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시기별, 연차별, 장소별, 참여주체별 등 가변적인 상황과 다양한 형태를 고려하여 목표, 우선순위 등을 협의해나가야 한다. 셋째,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은 (지방)정부 정책으로 유인되고 추진되는 사업으로 시작되었다. 마중물 지원을 통해, 지원기간(3년 등) 후에는 자생적인 파트너십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사업 등을 벌여나가게끔 하는 것이 계획이지만 현재로서는 정부의 예산과 정책의 지원에 의존하며 진행이 되고 있다. 대학과 지역사회 그룹의 이해와 필요, 사업우선순위가 정부의 정책적 목표와 상충될 가능성을 내포하는 지점이다. 정책적 목표는 거시적인 사회지표와 분위기에 좌우될 개연성이 있다. 서울시의 경우에도 처음에는 포괄적 지역재생 측면에서 계획된 캠퍼스타운 사업이 2018년 이후 창업, 일자리 창출로 정책적 중요도가 변경되었다. 본 사례에서도 나타났지만 이러한 정책목표가 캠퍼스 현장의 욕구, 중요도와 대립되는 경우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응 원칙, 즉 정책목표를 지역현장에 맞게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지, 상충하는 지점이 괴리가 크다면 대학-지역사회 주체들은 어떻게 대응을 하며 협력사업을 진행할 것인지 등의 대안을 보다 면밀하게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ollaborative process between university and community and suggest for promoting partnership-based project. Analyz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nitial stage of ‘campustown project’ triggered by the Seoul City policy and presenting meaningful data for the project through the process of deriving priority of the interest groups for the project. Case of 'Hanshin University-Gangbuk community', which was developed under close discussions between both groups from the beginning, is a example of analysis. To this end, I examined the concepts and trends of university-community partnership. And analyzed local context of Hanshin University along with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cooperative-based plan. Based on the goals and detailed elements of campustown plan established through this process, AHP analysis were conducted to ask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university & community stakeholders who are the core implementing body and participating groups. On the basis of case-bas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suggestions for the project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priorities of the project by interest group including university and community are different. There are needs to establish decision-making processes that can be coordinated and agreed upon. As is evident from precedence abroad cases, the process of creating mutual cooperation system is itself a major task. Second, cooperative projects covering various subjects and issues of local community should be pursued by applying ‘by stages logic' instead of setting fixed goals and priorities. It is necessary to discuss goals and prioritie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situations and contexts such as time, place and participant. Third, campustown project was promoted by (local) government policy. It is planned to make sustainable project based on university-community partnership after the support period(three years). But it is now proceeding with reliance on government budget. There is a potential for project priorities and needs of university & community group to conflict with the government's policy goals. Policy goals are likely to depend on macroeconomic indicators and moods. In the case of Seoul, the policy importance of campustown project, which was originally planned for comprehensive local rehabilitation, was changed to supporting startups and job creation after 2018. There would be cases where the policy goal is confronted with the desire of local stakeholders. Making the principle of responding to this is also important task. If there is a gap between the conflicting point, university-community actors should take more precautions how to cope with that situation, and how to reconfigure the policy objectives according to the local needs.

      • 일상아카이브 방법론을 통한 새로운 대학기록 수집방안 : 학생공동체 기록을 중심으로

        오윤택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학에서 학생들은 자신들의 소속, 관심사 등을 중심으로 공동체를 구성한다. 이른바 학생 공동체라 불리며, 학생회·동아리의 형태가 대표적이다. 이를 중심으로 학생들은 대학에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며, 그러한 경험을 축적하고 계승한다. 대학에서 학생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절대적으로 높으며, 이들이 수행하는 활동은 해당 대학의 모습을 가장 잘 보여주는 사항이라 할 수 있다. 학생들의 자치활동을 역사로 남기고자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먼저 활동 자체가 기록으로 남기 어려운 부분들이 많다는 점, 대학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지만 머물러 있는 시간이 짧다는 점, 자치활동의 운영주체가 1년 단위로 계속 교체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대학기록관을 중심으로 하는 기록을 관리하는 역사가 그리 길지 않았다는 점, 기록의 생산시점과 수집시점의 간격이 매우 크다는 점 등도 중요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이를 계속 반복할 이유에 대한 의문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며, 그에 대한 해답으로는 수집 이전 단계에서 기록을 관리하는 문화의 정착과 확산이었다. 수집 이전 단계의 기록 관리를 고민한 계기는, 좋은 수집계획이 있어도 수집해야 하는 기록이 없으면 소용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학기록관 입장에서는 수집 이전 단계에서 기록이 어떠한 형태로든 남아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민한 것이 일상아카이브(Everyday life Archives)였으며,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참여형 아카이브(participatory archives)와 영국식 공동체 아카이브(community archives in the UK)였다. 두 방법의 공통점은 수집기관과 공동체간의 협력관계를 중시한다는 점이다. 이는 대학에서 학생 공동체의 기록을 적극적으로 수집하기 위해서는 두 주체간의 협력관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학생 공동체의 기록은 단순히 일회성 수집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수집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과, 수집이전단계의 기록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가 목적이다. 수집기관과 공동체간의 협력을 통한 수집활동으로 참여형 아카이브를 고민했으며, 수집이전단계의 기록을 관리하는 문제는 영국식 공동체 아카이브로 고민했다. 이를 통해 얻고자 한 것은 대학기록관과 학생 공동체간의 협력을 통한 기록 관리의 정착, 자체적인 기록 관리 문화가 정착됨에 따라 점차 확산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 공동체가 지속적으로 자신들의 기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의 조성이다. 이를 위해 한신대학교 한국사학과 학생회에서 학생들 스스로 기록을 관리하는 것을 시도했지만, 지속성의 문제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비록 만족할만한 성과를 거둔 것은 아니지만, 과정을 통하여 대학기록관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야 할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 대학생의 종교성향, 희망, 매일영성경험과의 유기적인 관계

        김현미 한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다중 역할에서 오는 부정적 경험을 삶의 한 부분으로 여기고 수용적으로 받아들이는 생활이 지속되면 개인의 삶은 어느 새 희망을 잃고 점점 활력도 사라지게 된다. 특히 대학생 시기는 학업에 열중해야 하는 현재의 발달 과업뿐만 아니라 직업을 가진 사회인으로 발걸음을 내딛는 취업 관문을 앞두고 진로 발달 과업에 직면하고 있다. 2014년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청년 실업률이 2013년도에 비해 1.2% 증가되었으며 전체 실업률 3.5%에 비교한다면 약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 졸업 이후. 취업의 불확실성이 대학생들의 희망 수준을 낮추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개인적 또는 사회적 상황의 불확실성에 대해 대학생들 각자의 반응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데, 개인적인 종교의 유무(有無)에 따라 각각 다른 유형의 사고와 정서적 반응이 표출된다. 더욱이 올포트(1967)는 동일한 종교를 갖고 있더라도 개인의 종교적 동기(motive), 성향(orientation)에 따라 삶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며 이것을 내재적 종교성향과 외재적 종교성향으로 종교성향을 둘로 구분하였다. 종교를 가진 대학생은 자신의 종교 성향에 따라서 당면한 문제와 상황에 대해 한편으로는 부정적(否定的)인 반응을 할 수 있는 반면에, 다른 한편으로는 절대자와의 관계 속에서 긍정적인 사고로 전환함으로써 그 문제와 상황을 극복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는 자신의 목표를 다시 확인하고 목표에 도달하는데 장애물이 무엇인지, 그리고 새로운 계획과 전략을 세우려는 의지력을 가진 주도사고와 경로사고도 발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종교에 대한 집단적 동질성이 예측되고 동일한 종교를 갖고 있어도 종교를 바라보고 받아들이는 방향과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개인의 희망과 매일영성경험과의 관계에서 다양한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그러므로 종교성향과 긍정심리학에 기초하여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효과성이 입증되고 있는 희망 그리고 매일영성경험과의 유기적인 관계를 밝혔다. 따라서 필자는 결론적으로 종교성향과 희망, 매일영성경험 각 변인 간의 고찰을 통하여 학업 성취 스트레스와 일자리 부족이라는 취업난에 대한 불확실한 사회적 환경 속에서 아직 도래하지 않은 미래를 희망차게 살아가기 위한 혜안(慧眼)을 제시하고 한다.

      •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목회에 관한 연구

        김도인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23

        우리사회의 노인인구는 계속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유엔(UN)이 정한 기준에 의하면, 우리 사회는 이미 ‘고령화 사회’가 되었고, 앞으로 ‘초 고령사회(super-agedsociety)’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현실에서 노인들을 부양해야 할 책임과 의무 또한 존재한다. 노인들은 건강문제, 경제문제 및 보호문제, 사회적 및 심리적 고립과 소외 문제 등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교회도 신앙교육의 핵심이 노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노인들을 위한 교육목회의 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독교교육에서 교육목회 방향을 설정하여 기독교노인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 있는 기장교회를 교인 총 5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그 중에서 분석 가능한 자료를 토대로 총 413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노인들의 자아존중감, 생활건강 척도, 대인관계 척도, 죽음불안 척도, 노인의 신앙, 기독교 교육, 노인의 교육 등에 대한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도출된 요인에 대한 신뢰성 분석을 각각 실시하였다. 또한 노인들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실태분석을 위해 성별, 연령, 결혼상태, 학력, 건강상태, 생활비 부담, 용돈상태, 가족상태 등에 따른 차이를 검증을 위한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각각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의 자아존중감을 분석한 결과, 신앙적인 측면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차이 또한 자아존중감에 있어서 부정적 자아존중감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건강상태와 용돈에 있어서는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노인들의 생활건강 상태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생활건강 상태는 긍정적인 측면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른 생활건강 상태의 인식 차이는 긍정적 생활건강 요인보다는 부정적인 생활건강 요인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결혼상태에 따른 생활건강 차이는 부정적 측면에서 나타났다. 또한 학력, 건강 상태, 용돈상태에 따른 차이는 긍정적, 부정적 생활건강요인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생활비 부담과 가족상태에 따른 생활건강 상태의 차이는 긍정적 생활건강 요인보다는 부정적 생활건강 상태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노인들의 대인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학력에 따른 대인관계는 신앙적 대인관계 요인과 일반적 대인관계 요인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나, 연령, 결혼상태, 건강상태, 생활비 부담, 용돈상태, 가족상태에 따른 대인관계 요인은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노인들의 죽음불안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죽음불안의 차이는 죽음불안 회피 요인과 죽음불안 인정 요인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대에 따른 죽음불안의 차이는 죽음불안 극복 요인과 죽음불안 인정 요인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러나 죽음불안 회피 요인은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결혼상태에 따른 죽음불안의 차이는 없었으며, 학력에 따른 죽음불안의 차이는 죽음불안 인정요인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죽음불안 극복요인과 죽음불안 회피요인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상태에 따른 죽음불안의 차이는 죽음불안 극복과 죽음불안 인정요인에서 차이는 없었으나, 죽음불안 회피요인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생활비 부담에 따른 죽음불안의 차이는 죽음불안 극복요인과 죽음불안 회피요인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죽음불안 인정요인은 차이가 나타났다. 용돈상태에 따른 죽음불안의 차이는 죽음불안 극복요인과 죽음불안 인정요인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죽음불안 회피요인의 경우 차이가 나타났다. 가족상태에 따른 죽음불안의 차이는 죽음불안 극복 요인과 죽음불안 인정요인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죽음불안 회피요인은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노인들의 신앙을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노인들의 신앙 차이가 나타나고 있으며, 연령대에 따른 노인들의 신앙은 실천적 신앙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선교와 봉사의 경우 차이가 나타났다. 결혼상태, 건강상태, 생활비 부담, 용돈상태, 가족상태에 따른 노인들의 신앙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력에 따른 노인들의 신앙 차이는 실천적 신앙요인과 선교와 봉사요인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노인들의 기독교교육을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 기독교교육의 실천요인과 기독교교육의 목적의 측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대에 따라서는 기독교 교육의 실천 요인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기독교교육의 목적요인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결혼상태, 학력, 생활비 부담, 용돈상태, 가족상태에 따라서는 기독교교육의 실천요인과 기독교교육의 목적요인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건강상태에 따라서는 기독교교육의 실천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기독교교육의

      • 대학기록관의 온라인 전시방안 : SNS 기반의 이용자 참여형 전시를 중심으로

        박희선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23

        학문을 위한 공간이었던 대학의 정체성은 최근 취업을 위한 발판으로 정체성이 변화하고 있다. 대학기록관은 대학의 역사와 변화과정을 입증할 수 있는 저장소이다. 본 연구는 대학기록관의 저장소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시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에 대해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기록관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국내 대학기록관의 사례조사와 면담을 통해 전시에 대한 한계점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기록관에서 원활한 전시를 진행하기엔 인력 부족과 예산의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대학기록관 전시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고자 SNS를 활용한 이용자 참여형 전시 방안을 제안하였다. 대학기록관에서 SNS를 활용할 경우 대학생들의 높은 이용률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전시를 구축하기 위한 예산의 부담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이용자 참여형 전시를 진행할 경우 이용자가 전시를 구성하고 기획한다. 그렇기 때문에 인력이 부족한 대학기록관의 입장에서 전시 업무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는 이용자 참여형 SNS 전시 프로세스의 구축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실제 SNS 전시를 진행하였을 경우 결과를 확인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앞으로 대학기록관의 SNS 전시와 관련한 연구가 진행되어서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identity of the college, which was a space for scholarship, is changing its identity as a stepping stone for employment. The college archives are the repositories that can prove the history of the university and the process of change. This study suggested how to organize exhibitions as a way to properly function as a repository for university arch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role of college archiv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hortage of manpower and a limit of budget for the smooth exhibition in the university archive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user - participation - type exhibition method using SN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solve the difficulties of exhibiting university archives. If SNS is used in college archives, high utilization rate of college students can be expected. It can also be free from the burden of budget for building exhibitions. When users participate in the exhibition, the user organizes and organizes the exhibition.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the burden on the exhibition work could be reduc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university archives lacking manpower.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struction of the user participatory SNS exhibition process, so there is a limit in not confirming the result when actual SNS exhibition is conducted.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by studying SNS exhibition of university archiv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