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합 전 음악청취가 인라인 프리스타일 선수의 경쟁상태불안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보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시합 전 음악청취가 인라인 프리스타일 선수의 경쟁상태불안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보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건강운동과학과 본 연구는 시합에서 인라인 프리스타일 선수의 경쟁상태불안과 자기효능감의 조절에 있어 시합 전 음악 청취의 활용이 제안될 수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함에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은 대한롤러스포츠연맹 소속 인라인 프리스타일 선수 6명을 표집하여 선정한 시합 시점 별로 연구대상의 IZOF를 조사하기 위해 회상 기법을 통해 경쟁상태불안을 시합 시점 별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1주 간격으로 총 7회의 모의시합을 진행하였다. 7회의 모의시합 중 1~3회는 기초선, 4~5회는 처치, 6~7회는 철회 단계로 단일사례 ABA설계로 진행되었다. 시합 시점 별로 CSAI-2를 작성하였다. 선정한 시합 시점 중 가장 시합 직전인 10분 전에는 자기효능감 검사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음악 청 취는 선정한 시합 시점 중 가장 시합 직전인 10분 전에 처치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Excel과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았다. 또한 계측기를 통해 수행 기록을 수집하였으며, 실험 처치 점검 검사지를 통해 실험 조작에 대한 연구 대상자의 주의력과 효과에 대한 점검을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마다 시합 전 음악 청취가 경쟁상태불안의 하위요인이 IZOF 범위에 가까워지게 하기도 하지 않기도 하였 다. 또한, 연구대상마다 시합 전 음악 청취가 자기효능감을 증가시키기도 증가시키지 않 기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선수들의 시합 시점 별 경쟁상태불안 조절의 중요성을 이 해하고, 선수들의 시합 전 경쟁상태불안과 자기효능감 조절에 이용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주요어 : 인라인 프리스타일, 경쟁상태불안, 자기효능감, IZOF

      • 대학생의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제시동기-기대 차이의 매개효과

        이보연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개념 명확성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자기제시동기-기대 차이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과 비수도권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329명을 대상으로 자기개념 명확성, 사회불안, 자기제시동기, 자기제시기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과 SPSS PROCESS Macro 3.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검증절차에 따라 회귀분석 후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의 결과 자기개념 명확성, 자기제시동기, 자기제시기대, 자기제시동기-기대 차이는 사회불안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개념 명확성은 자기제시기대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기제시동기, 자기제시동기 – 기대 차이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사회불안과 자기제시동기, 자기제시동기 –기대 차이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기제시기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자기제시동기와 자기제시기대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으며 자기제시동기-기대 차이는 자기개념 명확성, 사회불안과의 상관 관계에서 자기제시동기, 자기제시기대가 지니는 개별 상관보다 각각 높게 나왔다. 둘째, 자기개념 명확성은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 미치는 자기제시동기-기대 차이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자기개념 명확성은 사회불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자기제시동기 - 기대의 차이를 통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기개념이 불확실하고 일관되지 않은 대학생들을 사회적 상황에서 높은 자기제시동기를 가지나 이에 대한 효능감이 부족하여 사회불안 증상을 경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사회불안 상담 개입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on social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and to check the mediated effect of difference between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expectancy in the relationship. To this end, 329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and non-capital areas were surveyed using measures such as self-concept clarity, social anxiety,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The collected data used the SPSS 19.0 and the SPSS PROCESS Macro 3.4 program to perform correlative analyses of the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an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mediation after th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three-step verification procedure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clarity,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difference between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expectancy, and social anxiety. Self-concept clarity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and significant amulet correlation with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difference between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expectancy. Social anxiety,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difference between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were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s.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and difference between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were higher than individual correlations, respective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anxiety. Second, self-concept clarity has been shown to have a direct effect on social anxiety and also mediating effects of difference between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concept clarity and social anxiety.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university students whose self-concepts are uncertain and inconsistent can experience social anxiety symptoms as they have high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but low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in social situations.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involvement in social anxiety counseling.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안도 다다오의 주거관에 기초한 주거건축공간의 디자인 특성과 방법에 관한 연구

        이보연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새로운 택지 개발이나 주거지 재개발에서 주거유형의 대부분이 아파트 주거형태로 전환되었다. 하지만 획일화된 아파트의 대규모 공급이 개인의 개성화 및 다양성 부여에 있어서 부족함을 드러내면서 기존 환경의 질서 파괴와 구 거주환경의 변화에 따른 미적, 질적인 측면에서 부정적인 효과를 드러내었다. 이는 동양적 주거 환경에 서양적 주거관이 들어가 매치되지 못하고 양극화를 일으키는 것인데 이처럼 주거의 장점이 사라지는 점을 일찍이 안도 다다오는 잘못된 방향으로 여겼으며 이를 반성하고 회복시키기 위해 지금 맞닥뜨린 문제로 그의 주거관을 통해 방향성을 제시하고 검토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그는 건축에 단순하고 명료한 자신의 건축언어를 부여하여 그것에 대한 자연과의 본질적인 관계, 소재와의 직접적인 대화, 생활공간 속에서 거주자를 자극시켜 얻는 작은 발견과 경이로움, 간소한 생활 속에서 얻을 수 있는 고통의 즐거움과 미의식의 고양 등을 하나씩 되찾아 다시 음미하고, 인간의 주거에서 정말로 필요한 것을 추구하였다. 그는 대지와의 관계성을 통해 건축자체가 장소성을 구축하며 이는 주변 상황과의 커뮤니케이션으로 연결 되었다. 분명 그는 상업적 성격을 띄는 대지의 주거는 폐쇄적으로 보이게 하였으나 안에서는 무한한 자연을 표현 하면서 대지와 자연의 관계성에 대해 이야기 하였다. 이는 안도가 바라보는 주거관중 인간과 자연과 삶과 생활이라는 것이 공간 안에서 표현되는데 그곳에서 안도는 인간이라는 것이 어떤 삶과 생활을 해야 한다는 전제가 있었다. 폐쇄적인 공간 안에서 어떠한 상호작용 하는지가 자연과 인간의 환경으로써의 어우러짐이 표현되고 있다. 이처럼 그는 주변 상황과 다른 측면들을 연결 및 소통시키려는 관계성을 나타낸다. 이처럼 이론적 고찰과 사례 분석을 통해 안도의 주거관은 주변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관계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연구자가 재해석을 통하여 자연과 사람, 건축, 환경과 관계하는 서판교 타운하우스을 설계 하였다. 자연을 경험하며 주변과 소통하는 공간을 조성한 본 타운하우스는 기존주거들이 가지던 문제점에 시작하여 진정한 주거의 본질을 찾고자 하였다. 이 프로젝트가 모든 주거의 해답은 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본 대지의 지리적, 환경적 상황에서는 최선의 방법으로 해결 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주거와 대지의 관계성에 대한 중요성을 알려 주었다. 본 프로젝트를 통해 우리나라 집합주거에 적용가능성에 대해 분석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안도 다다오의 주거관을 통해 앞으로 우리나라의 주거 건축, 공간에 인간의 감각과 관계소통의 윤택함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주거공간의 자연과의 관계, 사람들 간의 관계, 건물들 간의 관계를 주변과 소통을 하는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안도 다다오의 주거관을 응용하여 주거 건축, 실내 공간에 응용해 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도 획일화된 주거 건축 및 공간을 더욱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 중학교 국어 학습 사전 편찬에 관한 기초연구

        이보연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중학교 국어 학습 사전 편찬에 관한 기초 연구로, 중학생들의 언어 발달과 학습 수준에 맞는 국어 학습 사전의 정보 기술 방법과 그 예를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실제 학습 장면에서 이를 환용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학교 국어 학습 사전의 편찬을 위해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 대상 및 방법 등을 제시하고,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중학교 국어 학습 사전 편찬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본 연구의 전체적인 흐름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현용 국어 학습 사전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국어 학습 사전의 일반적인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중학교 국어 학습 사전 편찬시 어떻게 적용 가능할 지에 대해 언급해 보았다. 현용 사전의 비교 분석에 사용된 「연세 한국어 사전(2001)」과 「동아 참 국어 사전(2001)」, 「국어 학습 사전(1990)」 은 사전의 편찬 시기나 사용자 대상의 범위의 차이는 배제하고, 일반적으로 국어 학습 사전에서 다루고 있는 정보와 그 특징들에 대해서만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중학교 국어 학습 사전의 정보 기술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제 7 차 중학교 국어과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중학교 국어 학습 사전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사전의 표제어와 정보 기술 방법에 대해 언급하고 각각의 예를 제시하였다. 중학교 국어 학습 사전의 표제어 선정을 위해서는 중학생의 수준에 맞는 말뭉치를 메타 계량적 방법을 사용하여 구축할 것을 제시하였다. 표제어 배열은 어휘를 찾기 편한 이점이 있는 한글 낱자 순서에 따른 배열 방법을 활용하며, 동형어는 품사 배열 순서대로, 다의어는 기본 의미에서 주변 의미의 순시대로 배열할 것을 제시하였다. 정의 정보는 현용 사전에서 발견되는 문제점과 그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며, 정보 제공에 있어서 설명용 말뭉치의 구축과 일정한 배열 순서의 원칙이 있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용례 정보는 가능한 한 평이하고 표준화된 문장으로 제시하며, 표제어의 격틀과 서로 달리 구별된 의미를 예시할 수 있는 것으로 선별할 것을 제시하였다. 발음 정보는 표준 발음에 따라 음운 변동과 규칙, 체언과 용언의 발음 변화에 따른 발음 표시를 해 주어야 하며, 장단음의 경우 실제 그 구별이 소멸해 가고 있으므로 실제적인 발음 변화의 모습을 반영하여 제외시켰다. 문법 정보는 학습자들에게 충분한 통사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용언의 문형 및 활용형, 연어 정보 등을 일관성 있게 제시하였다. 이상에서 제시한 정보 외에도 어원 정보, 참고 정보, 부록 등을 기타 학습 정보로 구분하고, 표제어의 이해와 활용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정보를 다양하게 수록하여 국어 학습 장면에서 활용할 것을 제시하였다. 4장은 결론 및 제언으로, 본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국어 학습 사전의 편찬에 관해 두 가지를 제언하였다. 중학교 국어 학습 사전의 편찬을 위해 학습자 수준에 부합하는 중학생 말뭉치를 구축할 것과 말뭉치가 현실 언어 생활과 부합될 수 있도록 구축하는 작업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장치도 마련해야 함을 언급하였다. 이와 함께 사전 편찬시 표제어의 수록 범위는 명확한 기준 설정 아래 제시하고, 사전의 정보 기술 방법은 일관성, 체계성을 갖추어 해당 어휘 정보를 정확하고 알기 쉽게 제시해 주는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사전을 편찬해야 함을 언급하였다. 이상의 연구는 중학교 국어 학습 사전의 편찬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이를 학문적 논의로 이끌어낸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is a basic study about compilation of the Korean studying dictiona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Its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in the real studying place so as to exemplify that the information description method of the Korean studying dictionary which is fit to the cognitional level and language advanc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aim, the focu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Ⅰ, as an introduction presented necessity, purpose, target, and method of this study and proposed necessity of study about compilation of the Korean dictionary for middle school student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thus to exhibit the whole direction of this study. Chapter Ⅱ grasped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studying dictionary as comparative and analytic study about the present Korean studying dictionary and mentioned proper application method when the Korean studying dictionary compile. 『Yonsei Korean dictionary(2001)』, 『Dong-A Charm Korean dictionary(2001)』 and 『Korean studying dictionary(1990)』 used by comparative and analytic study of the present Korean studying dictionary which were excluded about their compilation time and difference in user sphere. So this study looked into only general in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that Korean studying dictionary handled. Chapter Ⅲ established direction of the Korean dictionary for middle school student centering around the 7th Korean education contents for middle school in order to present the information description of the Korean dictionary for middle school student. In addition it presented the title and information description method of dictionary based on the study mentioned above and for each examples. Moreover Chapter Ⅲ presented as follows : Corpus which is fit to the cognitional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should be construct by meta-analysis in order to select the title of the Korean studying dictiona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title arrangement should be utilize by the method of Korean word order which can seek for vocabulary with ease. The same type language should be arrange according to part of speech order and the various meanings language should be arrange according to order of basic meanings to around meanings. The definition information presented the problems with the present Korean studying dictionary and proposed their improvements. Besides it presented that the information offering has to have the principle of regular arrangement and construct corpus for explanation. The example information has to present standardized sentence as easily as possible and select that can exemplify different meaning from a frame of the title. The pronunciation information has to indicate the phoneme change and rules according to standard pronunciation and show pronunciation according to pronunciation change of uninflected words and inflected words. In case of prolonged and single sound were excepted because distinction is becoming extinct practically. The grammar information was presented consistently that sentence pattern, inflectional form and compound information of inflection words in order to offer sufficient analysis information to learners. Outside of that the Information was mentioned above, the etymology information, reference information, and supplement were divided the others studying information and also presented that should can be expanded width of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the title with many information In real studying place. Chapter Ⅳ, as conclusion and suggestion, arranged contents of this study and proposed two ways about compilation of the Korean studying dictiona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mentioned that should construct middle school students' corpus which is fit to the cognitional level of loaners for compilation of the Korean studying dictiona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at should prepare equipment in order to periodically practice constructive work so as corpus can coincide in reality. In addition, it mentioned that collectable scope of the title should be present below definite standard when the dictionary is compiled and the information description method of the dictionary should possess consistency and system then should be compile the dictionary which correct and easy to understand about seeking vocabulary information. This study is a basic study in order to compile for the Korean studying dictiona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puts its significance on the first trial of its kind in leading as scholastic discussion.

      • 한국 여성 힙합 아티스트에 관한 연구

        이보연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에서는 힙합이라는 특정 장르로 활동하고 있는 여성 아티스트들을 해외 및 국내로 나누어 분석하고 비교하고 비교적 열악한 환경 속에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국내 여성 아티스트들의 현실에 대해 고민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한국에 힙합이 유입되고 전개된 과정과 여성 힙합 아티스트들의 현 위치를 정리하고자 하였다. 1990년대 이후 한국에 유입된 힙합문화는 특별히 랩을 댄스곡에 접목시키는 형태로 발전하여 다수의 아티스트들이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 랩을 적용시키는 과정을 통해 현재의 케이팝이 형성되었다. 그 과정 속에 비보잉 댄스나 그래피티 아트 등은 사라지고 랩핑만 남아있게 되었으며, 언더그라운드와 오버로 나뉘어 전혀 다른 방향으로 발전하는 결과를 낳았다. 오버라고 할 수 있는 케이팝 문화에서 여성 아이돌 그룹을 논하지 않을 수 없는데, 아이돌 그룹 내에는 항상 여성 래퍼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힙합 장르의 문화적 가치로 봤을 때, 아이돌 음악 속 랩핑은 힙합 본연의 의미를 잃은 채 앨범의 콘셉트 및 멜로디, 가사, 안무에 이르기까지 제작자와 연주인들이 이 모든 것들을 대신하는 보는 음악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대중음악사에 있어 여성 아티스트들의 활동은 점차 대두되고 있다. 남성들의 전유물과도 같았던 작곡, 작사 및 편곡에 있어 여성 뮤지션들 역시 그들의 능력을 인정받고 있고, 힙합 음악 역시도 다르지 않다. 가장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한국 여성 래퍼인 윤미래, 남수림, 타이미, 길미와 아이돌 그룹 멤버인 현아의 활동 및 그들의 음악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면서 그들의 음악적 특징과 가사를 살펴보았다. This thesis attempted to analyze and compare female artists who took an active part in a particular genre called hip hop after dividing them into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ake a close look at the reality of domestic female artists who continued their career under a relatively harsh condition, and seek to a plan to solve the problems. In addition, the process that hip hop was introduced and expanded in Korea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female hip hop artists were examined. The hip hop culture introduced in Korea after the 1990s contributed to establish K-pop through the process that a number of artists applied rap to various genres, developing the type of rap in dance music. During the process, as B-boying dance or graffiti art disappeared and only rapping remained, and it was developed in unexpected ways by dividing into underground and over. In the K-pop culture regarded as over, female idol groups are at the center of discussion since idol groups always have female rappers. However, considering the cultural values of a hip hop genre, The rapping in idol music developed a visual music of which producers and players took the place by covering the concepts of albums, melodies, lyrics, and dance composition while the proper meaning of hip hop was forgotten. With regard to the history of popular music, the activities of female artists have begun to emerge gradually. In writing composition, lyrics, and arrangement considered as male's work, female musicians have achieved recognition and in the hip hop music, they are also successful. This thesis focused on the activities and music of the most active female rappers in Korea including Yun, Mi-rae, Nam, Su-rim, Tymee, gilme, and Hyun-Ah, a member of a idol group, and examin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lyrics.

      •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에게 적용한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 효과

        이보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telephone-based self-care intervention is effective for self-care knowledge, self-efficacy and self-care performance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The study design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that us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Participants were 38 gynecologic cancer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and received chemotherapy. There were 19 patients i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2022 to August 2022. To minimize the spread of experimental treatment, the control group was recruited prior to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matched inclusion criteria for age, diagnosis, and chemotherapy agent.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chemotherapy side effects management education using the booklet before chemotherapy and received a total of 4 telephone-based self-care interventions after discharge.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elephone-based self-care interventions, but only received education on the management of side effects of chemotherapy using a booklet.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before the intervention and 3 weeks after the end of the first-line chemotherapy cycle. Outcomes were measured by using self-care knowledge measurement tool, New General Self-Efficacy Scale and self-care performance assessmen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9.0 program.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Shapiro-Wilk normality test, Paired t-test.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two groups in self-care knowledge score after telephone-based self-care interventions (t=-3.287, p=.002). Thus, telephone-based self-care interventions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care knowledge. 2.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two groups in self-efficacy after telephone- based self-care interventions (t=-2.191, p=.035). Thus, telephone-based self-care interventions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fficacy. 3.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two groups in self-care performance after telephone-based self-care interventions (t=-4.491, p<.001). Thus, telephone-based self-care interventions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care performance. As a result, telephone-based self-care intervention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self-care knowledge, self-efficacy and self-care performance.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는 다양한 전신 부작용을 경험하므로 부작용 증상을 이해하고 관리하기 위한 자가관리 수행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 부작용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에 효율적이고 접근성이 높은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를 적용하여 자가관리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관리 수행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간호사 주도의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자가관리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관리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의 A 상급종합병원에 항암화학요법을 받기 위해 입원한 부인암 환자 38명으로 중재군과 대조군 각각 19명이었으며, 연구 기간은 2022년 5월 1일부터 2022년 8월 31일까지였다. 실험효과의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대조군부터 연구 대상자 선정 및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고, 이후 동일 선정기준을 적용하여 짝짓기 방법으로 연령, 부인암의 종류, 항암제의 종류가 동일하도록 중재군 선정 및 자료 수집을 시행하였다. 중재군에게는 항암화학요법 시행 전 소책자를 이용하여 부작용 관리와 관련된 교육을 시행한 뒤 퇴원 후 3일째, 1주일째, 2주일째, 3주일째 총 4회의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를 제공하였다. 대조군은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를 적용하지 않고 소책자를 이용한 항암 부작용 관리 교육만 시행하였다.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중재 전과 1차 항암화학요법의 주기가 끝나고 병원에 방문하는 시점인 3주 후에 자가관리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관리 수행을 각각 측정하였다. 자가관리 지식은 항암화학요법 부작용 증상 관리에 대한 지식을 측정하도록 개발된 도구를 수정 및 보완한 자가간호 지식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기효능감은 New General Self-Efficacy Scale를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가관리 수행 정도는 항암화학요법을 적용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자가관리 수행 정도를 측정하도록 개발되고 수정 및 보완한 자가간호 행위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질병 관련 특성, 주요 변수와 관련된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중재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종속 변수의 정규성 검정은 Shapiro-Wilk normality test를 이용하였다. 중재군과 대조군의 중재 전후 그룹 내 자가관리 지식,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고, 중재군과 대조군의 중재 전후 그룹 간 자가관리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관리 수행 정도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 주도의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를 제공받은 중재군은 중재를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자가관리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의 검정 결과 중재 후 두 그룹 간 자가관리 지식 점수(t=-3.287, p=.002)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간호사 주도의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를 제공받은 중재군은 중재를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높을 것이다.’의 검정 결과 중재 후 두 그룹 간 자기효능감(t=-2.191, p=.035)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간호사 주도의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를 제공받은 중재군은 중재를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자가관리 수행 정도가 높을 것이다.’의 검정 결과 중재 후 두 그룹 간 자가관리 수행 점수(t=-4.491,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 주도의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자가관리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관리 수행 정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중재인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환자들이 올바른 자가관리 지식을 습득하도록 돕고,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며 자가관리 수행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임상에서 항암화학요법을 적용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개별 교육은 시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1회성이며 퇴원 후 주기적인 추후 관리는 많이 시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를 근거로 간호사 주도의 전화 기반 자가관리 중재를 항암화학요법 후 퇴원한 환자들을 위한 추후관리로서 효과적인 간호 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