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북경 도농 결합부의 판자촌 개축 방안

        이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formal space is actually a self-construction behavior of people ac cording to their own life needs. It is a top-down spatial model, which is temporary, changeable, movable, highly adaptable, and closely relat ed to life. Convergent urban nomadic structure.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summary of the social order in the ci ty center and the spontaneous regional social laws of the people, how to use this space law to form an ingenious balance between introversi on and extroversion, and use one's own community to create a limite d and vibrant urban space, The Eastern wisdom that transcends the b inary opposition between closed and open is needed. 인포멀 공간은 실제로 사람들이 자신의 생활 필요에 따라 진행하는 일종의 자기 구조 행위다.위로부터의 공간모형으로 임시성, 가변성, 이동성, 적응성이 뛰어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도심의 사회질서와 사람들의 자발적인 지역사회 건설 규율에 대한 조사와 총화를 통해 어떻게 이러한 공간 규율을 활용하여 내향과 외향 사이에 교묘한 균형을 이루며, 자신의 지역사회로 제한적이고 역동적인 도시공간을 창조할 수 있는지 폐쇄와 개방의 이원적 대립을 뛰어넘는 동양적 지혜가 필요하다.

      • 중등학교 교사의 '효과적인 수업활동'에 관한 분석

        이림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in this study is to examine teachers' effective instruction actions which student experienced at the secondary school and to systematize various teachers' effective instruction actions which analyzed in the students' essays into teachers' effective instruction activities. To achieve this goal, several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1. What are the teachers' effective instruction actions based on students' experienced curriculum? And then How can these actions be explained? 2. How can these actions be systematized properly into the activities? 3. How frequently are these actions referred in the essays? And then How can these be explained? 4. Are there the differences of effective instruction actions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order to find answer to these questions, I carried out a research study, content analysis and the grounded theory. Research study was administered to 174 'student teaching lecture' attendees. Open-end questionnaire from students about the effective instructions or effective teachers were gathered and th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inally I made the structure of teachers' effective instruction actions based on students' essays and prior studies. Major conclusion are suggested below as follows. First, teachers' effective instruction actions which students experienced at the secondary school are charisma, propound knowledge, study on class, suggestion of a class goal, well-organized class, communicative skills, basic explanation, serious consideration for principle, review and preparation, connection between class work and reality, making connec, writing on the blackboard, various materials, teaching materials production, Classroom of department system by each Subject, sense of humor, keeping students concentrate, using a body, arousing students' interests, attracting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students, compliment and encouragement, passion and demonstration, remembering students' names, controlling the speed(adjusting to difference among individuals), feedback, respecting students‘ personalities, consideration and understanding, taking the initiative and setting an example, guidance on careers, creative assignment, providing various experience, teacher evaluation, and fair evaluation. Second, the result that I systematized those effective instruction actions is as follows. 32 actions were classified into small groups called instruction activities according to relations and then the primary system organiz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class such as before class, during the class, after class, finally each activity was arranged. Before class domain includes study on subject(including propound knowledge, study on class), study on students(including remembering students' names, adjusting to difference among individuals), and study on context(including connection between class work and reality). During the class domain include structuralizing(including suggestion of a class goal, well-organized class), clarifying(including communicative skills, basic explanation, serious consideration for principle, review and preparation), relating(including connection between class work and reality, making connec), diversifying(including writing on the blackboard, various materials, teaching materials production, Classroom of department system by each Subject), concentrating(including sense of humor, keeping students concentrate, using a body), doing motivation(including arousing students' interests, attracting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students, compliment and encouragement, passion and demonstration), individualizing(including remembering students' names, adjusting to difference among individuals, feedback), and identifying(including respecting students‘ personalities, consideration and understanding, taking the initiative and setting an example, guidance on careers). After class domain includes intensifying(including review and preparation, creative assignment, providing various experience) and evaluating(including teacher evaluation, fair evaluation). Third,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teachers' effective instruction actions is attracting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students. and then setting an example, guidance on careers, connection between class work and reality, making connec, communicative skills, various materials, propound knowledge appeared in turn. Forth,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except for arousing students' interests and taking the initiative and setting an example, guidance on careers. 본 연구는 학생이 경험한 중등 교육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교사의 효과적인 수업행위를 파악하고 이를 체계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효과적인 수업이란 학생들의 실질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는 수업이라는 전제 아래, 교사의 효과적인 수업행위 요소를 학생들로부터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실제 학생들이 경험한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학생이 경험한 교사의 효과적인 수업행위는 무엇이고 각 수업행위는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둘째, 학생이 경험한 효과적인 수업행위를 어떻게 체계화할 수 있는가? 셋째, 학생이 경험한 효과적인 수업행위의 빈도 분포는 어떠하고 이 빈도 분포는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넷째, 효과적인 수업행위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대학교의 사범대학 및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들 중 2009학년도 1, 2학기에 교육실습을 나가는 학생 174명을 연구대상자로 설정하고, 조사연구, 내용분석, 근거이론, 전문가의견수렴과정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이 경험한 교사의 효과적인 수업행위는 카리스마, 박학다식, 수업연구, 목표제시, 기승전결, 설명능력, 기본강의, 원리강조, 복습/예습, 현실연계, 관련짓기, 판서활용, 자료제시/매체활용, 교재제작, 교과교실, 유머활용, 집중유도, 신체활용, 흥미유발, 참여유도, 칭찬/격려, 열정/시범, 이름기억, 완급조절, 반응하기, 인격존중, 이해/배려, 솔선수범/진로지도, 창의과제, 경험제공, 교사평가, 공정평가 등 32개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수업에 참여하면서 능동적으로 효과적인 수업과 그렇지 못한 수업을 판단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학생들의 개별적인 특성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일반적으로 효과적인 수업이라고 느끼는 요소들은 일정한 틀에 의해 분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렇게 분석된 요소들이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볼 때 용어 사용의 차이에 불과하지 그 의미적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다는 데서, 현재 교사들의 수업 질의 문제는 교사 양성과정 및 임용과정, 연수과정으로부터 기인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즉 많은 연구들을 통하여 효과적인 수업행위가 밝혀졌는데도 불구하고 이러한 행위들에 대한 실천이 현장에서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것은, 효과적인 교사를 만들기 위한 과정이 제대로 실행되지 못하거나 효과적인 교사를 제대로 선발하지 못한다는 것을 반증하기 때문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 ‘기본강의’, ‘원리강조’라는 항목이 따로 도출된 사실이나 학생들이 설문응답에서 학생참여 위주 수업의 병폐를 기술한 사실을 음미해보면, 결단코 구성주의 수업이 강의식, 설명식 수업에 비해 효과적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교육자들은 이론적으로 구성주의 교육이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고 주장하는데, 현실에서는 반대의 방향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참여식 수업과 강의식 수업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는 단순히 이론과 실제의 괴리 문제로 치부할 부분은 아니고 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학생들이 경험한 교사의 효과적인 수업행위를 체계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32개 항목을 각각 수업행위로 명명하고, 이들의 유관성을 기초로 선행연구와 설문지 분석을 참고하여 몇몇 수업행위를 묶어 수업활동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수업의 흐름에 따라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로 1차적 체계를 설정하였고, 그 하위 수업활동 영역들을 배치시켰다. 또한 체계화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전문가 11인의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하였다. ‘수업 전’ 영역에는 박학다식과 수업연구가 포함된 ‘교과연구’, 이름기억(준비)과 완급조절(준비)이 포함된 ‘학생연구’, 현실연계(준비)가 포함된 ‘맥락연구’가 수업활동으로 설정되었다. ‘수업 중’ 영역에는 목표제시와 기승전결이 포함된 ‘구조화’, 설명능력, 기본강의, 원리강조, 복습/반복이 포함된 ‘명료화’, 현실연계(실행)와 관련짓기가 포함된 ‘관계화’, 판서활용, 자료제시/매체활용, 교재제작, 교과교실이 포함된 ‘다양화’, 유머활용, 집중유도, 신체활용이 포함된 ‘집중화’, 흥미유발, 참여유도, 칭찬/격려, 열정/시범이 포함된 ‘동기화’, 이름기억(실행), 완급조절(실행), 반응하기가 포함된 ‘개별화’, 인격존중, 이해/배려, 솔선수범/진로지도가 포함된 ‘동일화’가 수업활동으로 설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수업 후’ 영역에는 복습/예습, 창의과제, 경험제공이 포함된 ‘심화’와 교사평가, 공정평가가 포함된 ‘평가’가 수업활동으로 설정되었다. 넷째, 학생들이 지각하는 효과적인 수업행위에는 명료화, 관계화, 다양화 등 인지적인 측면과 관련이 깊은 것들도 있지만 동기화, 개별화, 동일화 등 정의적인 측면과 관련이 깊은 것들도 많다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즉 수업을 통하여 교사는 학생의 지식과 사고력을 확장시키도록 독려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이와 더불어 학생들의 동기나 자아개념, 자신감, 자존감 등을 배양하도록 독려하는 역할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학교교육이 전인교육으로 나아가야 함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 진학계 고등학교의 진로에 따른 교과 분화 및 과정 구성을 위한 기준 개발 연구

        이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교육기본법 제3조는 ‘학생의 능력과 적성에 따라 교육 받을 권리’를 보장하고 있고, 초·중등교육법 제48조 ②항은 ‘고등학교의 교과 및 교육과정은 학생이 개인적 필요·적성 및 능력에 따라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정해져야 함’을 천명하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 총 이수 단위의 일부를 자율 편성 단위로 명명하고 학생의 적성과 진로를 고려하여 편성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현행 학제상에서 고등학교는 중학교까지의 공통교육을 마치고 새롭게 상이교육을 시작하는 단계이자, 학생들을 계속적인 진학교육 혹은 사회 진출을 돕는 직업교육으로 분류하는 단계이다. 즉 고등학교는 서로 다른 학생들을 상이하게 잘 교육시켜 고등교육 또는 직업의 세계로 잘 나아가게 해야 하는데, 사실상 이러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측면이 많다. 특히 특정 학교에만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권을 주는 방식으로 교육개혁이 이루어지다보니, 전체 고등학교 중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진학계 고등학교의 하나인 일반고등학교(2016년 기준 총 1,545개로 전체 고등학교의 약 65.7%)는 상대적으로 교육개혁에서 소외되어 온 면이 크다. 현행 국가교육과정기준은 고등학교 1학년을 기준으로 공통과목과 필수 단위를 지정하고, 2∼3학년 즈음에는 진로에 따른 학습 기회 마련에 대한 지침을 결여하고 있다. 학교의 현실은 문·이과 양분, 국·영·수 편중으로 획일적이고 선택의 여지가 없는 빈곤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상황이다. 학교는 교사의 수업권을 보장하는 측면에서 교과목을 개설하고 학생들은 2학년 진급 전에 문과 또는 이과를 선택하여 이후 제2외국어, 과학, 사회 등 일부 교과목에서 한정된 선택권을 행사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그동안 실패해왔던 고등학교 종류의 다양화 또는 평준화의 한계를 벗어날 수 있는 수평적 교육과정 종류의 다양화 방안이다. 고등학교에서의 과잉, 과소, 왜곡 교육 없이, 공교육의 실질적인 효력이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 공교육의 기본 지침으로 작용하는 국가교육과정기준을 잘 설계하여 학교 교육과정이 다양해지도록 돕자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진로별, 수준별, 영역별 다양한 교과목을 바탕으로 선택과 집중할 수 있는 진로과정 설계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대학 진학을 목적으로 하는 진학계 고등학교 교육의 핵심은, 진로별 학습 기회를 보장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학생들이 다양하게 나열된 교과목들을 두서없이 임의적으로 선택하여 학습하도록 방치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 학습자의 소질과 적성, 능력과 수준, 학업과 직업 진로 특성에 알맞게 맞춤형으로 체계화하여 학습하게 하는 진로과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이 연구는 선행연구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근본적이고도 이론적인 문제에 천착하고자 한다. 다양하게 교과목을 나누고 이들 중에서 취사선택하여 진로과정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선택과 배제를 위한 근거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그 전반적인 과정과 결과를 안내할 기준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이다. 진학계 고등학교의 진로에 따른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교과 분화 및 진로과정 구성과 관련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는 것이다. 기준에 따라 교과가 분화되고 진로과정이 구성된다는 것은 교육이 외부의 비교육적 압력에 의해 왜곡되지 않고 교육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이뤄낼 수 있다는 의미이다. 특히 교과와 관련된 다양한 의사결정 과정이 정치적일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교과 분화 및 진로과정 구성을 위한 명백한 기준이 필요하다. 결국 이 연구의 목적은 진학계 고등학교의 교과를 다양하게 분화하고 이 결과 생성된 교과목체계표를 바탕으로 과목을 선택 및 조합하여 다양한 진로과정을 생성(진로과정이수체계표)하는 일련의 진행과정 및 결과와 관련된 기준을 만드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는 문헌연구, 국내외 국가 수준 고교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분석, 진학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개괄적 요구 조사,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숙의 등을 거친 교과 분화 및 진로과정 구성 기준 ‘가안’ 개발, 가안에 대한 검토를 거친 ‘초안’ 개발, 초안에 대한 검토를 거친 ‘수정안’ 개발, 수정안에 대한 전문가 심층 인터뷰 및 의견 조사를 통한 타당성 검토를 거친 ‘최종안’ 개발 순으로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는 진학계 고등학교, 교과와 진로과정, 진로에 따른 교과 분화 및 과정 구성에서의 갈등 요소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국내외 국가 수준 고교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분석은 우리나라의 경우 1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를, 외국의 경우는 스웨덴, 뉴질랜드, 싱가포르의 현행 교육과정에서, 진학계 고등학교의 교과 및 진로과정 관련 내용만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기준의 가안/초안/수정안 개발은 형식을 정하고 이 형식에 맞추어 내용을 개발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고, 수정안에 대해 각각 2차에 걸친 전문가 심층 인터뷰 및 의견 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검토한 후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진학계 고등학교, 교과와 진로과정, 진로에 따른 교과 분화 및 과정 구성에서의 갈등 요소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문헌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학계 고등학교는 대학 진학 준비를 위한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파악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미 대학 진학은 보편화 단계에 이르렀고, 평생학습사회에서 대학 졸업 후 직업을 가지는 것은 하나의 권리이자 의무이기 때문이다. 진학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은 중학교까지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과목을 진로과정을 통해 이수함으로써 자신의 흥미와 적성, 능력에 의거하여 대학 진학을 위한 준비를 잘할 수 있게 된다. 진학계 고등학교는 진로별·수준별·영역별로 다양한 교과목을 진로과정에 맞게 개설하여 교육함으로써 학생의 진로 발견 및 발달, 자아실현에 도움을 줌과 동시에 사회 및 학문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이는 진학계 고등학교 교육에 있어 수평적 수월성과 형평성이라는 가치를 모두 달성하는 방향이기도 하다. 둘째, 교과의 위상에 대해서는 교육내용으로서의 위상, 교과별 교육과정상의 위상 변천을 살펴보며 교육내용은 교육과정상에서 일반적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이에 부응하지 못한다면 얼마든지 배제될 수 있음과 그 구분 역시 유동적임을 논의하였다. 더불어 교과는 학생의 흥미와 적성을 발견하여 진로를 계발할 수 있게 하는 좋은 도구이기 때문에, 진학계 고등학교의 교육개혁을 위하여 다양한 교과목을 다양한 방식으로 묶은 다양한 진로과정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교과에 대한 흥미를 일으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학생들로 하여금 그것이 가치가 있는 것임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며 이것은 결국 학생 자신의 진로와 연결될 때라고 할 수 있다. 진로과정의 경우 학생이 학교에서 제시한 과목들 중 자신의 진로에 맞는 과목들을 선택하여 진로과정을 만들어나가는 방식인 ‘과정형성형’과 학교에서 학생들의 진로를 고려하여 다양한 진로과정을 만들어 제시하면 학생이 자신의 진로에 맞는 진로과정을 선택하는 방식인 ‘과정제시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진로과정은 진로나 직업에 대한 신념이 확고한 학생들에게는 적성이나 강점을 강화시키는 동력이 되고 진로나 직업이 아직 미정인 학생들에게는 충분하게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발판이 된다. 셋째, 국가 교육과정 문서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이해 관련 집단 간의 정치적 협상 및 협의의 과정이자, 학교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정확히 포착하여 반영하는 종합적인 가치 판단의 과정이다. 다양한 선택적 양상이 나타나고 교육과정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각자의 입장과 관점의 차이를 노정하며 이러한 차이는 숙의를 거쳐 절충되고 타협되어 합의에 이르게 된다. 의사결정의 과정인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갈등이 생기는 것은 필연적이다. 특히 교과 분화 및 진로과정 구성과 관련하여서는 그 갈등이 심화된다. 총론과 각론 간의 갈등 쟁점은 ‘중립성’ 대 ‘전문성’의 대립, ‘사회와 학습자 대변’ 대 ‘교과 대변’의 대립이다. 총론의 중립성을 바탕으로 하는 중재 역할이 필요한 이유는 교과목 내에서도 영역별로 갈등이 첨예하고 사범대학과 교육대학의 대립도 심하며 같은 영역 전공자들 사이에도 직위에 따라 협의가 이루어지기 힘들기 때문이다.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이란 본래 포함과 배제의 문제로서 교과 내, 교과 외, 교과 간의 관계를 재정의하는 일이다. 교과목의 종류는 무수히 많고 새롭게 교과목이 되려는 사회 분야도 많다. 이를 학교 교육에서 적절하게 수용하기 위해서는 공정한 입장이 필수적이다. 학교에서 제공할 수 있는 교과목의 수와 운영할 수 있는 수업시간의 수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한정된 자원 안에서 교과의 입성과 퇴출 그리고 배분을 잘하기 위해서는 각 이해관계에서 자유로워야 한다. 이해관계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객관적 중재의 역할은 필요하며 교육적인 이해도와 전문성이 높은 총론 학자가 적합하다. 총론의 중립성이라는 전문성이 설 수 있는 전제는 ①총론은 모든 교과와의 이해관계에 얽혀 있지 않기 때문에 이를 조정할 수 있다는 것, ②총론은 교육과정의 최종 목적인 학습자와 사회의 가치를 대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만들고자 하는 총론 입장의 기준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국내외 국가 수준 고교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문서의 진학계 고등학교 교과 및 진로과정과 관련하여 파악한 공통적인 문제점은 진학을 준비하는 고등학교의 경우 줄곧 1학년은 공통과목과 필수 단위를 중심으로 지정해주고, 2-3학년은 선택과목을 임의로 나열해주는 방식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더욱이 현대의 고등학교 교육이 명백하게 상이한 교육과정에 의해 운영되어야 한다는 명제가 확립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공통과목을 축소할 것인지, 확대할 것인지에 대한 무익한 논쟁이 계속되어 왔다. 또한 계열, 과정, 교과영역, 교과군, 교과, 과목, 공통, 상이, 필수, 선택 등에 대한 용어 정립이 제대로 되지 않은 채 혼용되고 있다는 점, 필수과목이나 선택과목에 대해서는 그 부과 주체나 수준, 혹은 선택 주체 등에 대한 구분이 애매하다는 점, 국가 수준에서 진로별·수준별·영역별로 과목들을 충분히 분화하여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진로과정의 종류에 따라 차이 나는 교과목 이수를 권고하지 않았다는 점, 진로과정을 개설하는 모든 권한을 보편적 공통성과 전문성을 갖췄다고 보기 어려운 지역과 학교에 위임하고 있다는 점 등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한편 스웨덴, 뉴질랜드, 싱가포르의 현행 국가 교육과정 문서의 분석을 통하여 얻은 시사점은 첫째, 학생의 진로를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유연성을 주고 있다는 점, 둘째, 똑같은 교과라도 진로과정이나 계열에 따라, 혹은 학생의 능력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그 폭이나 깊이를 다양화하여 하위 과목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 셋째, 분화의 중심축인 교과를 중심으로 다양한 과목을 분화하여 제시하고 과목 간 이수 순서 등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는 점, 넷째, 고등학교 교육-대입시-대학 교육의 연계를 위하여, 자격 체계와 고등학교 교육을 연결시키고 있다는 점, 다섯째, 진로과정의 구분에 따른 교과목 이수와 관련된 세세한 안내를 하고 있다는 점 등이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진학계 고등학교의 진로에 따른 교과 분화 및 과정 구성 기준을 개발하였다. 먼저 기준의 의미, 형식과 내용, 특성 등 기준 개발의 기초를 다지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기준은 ‘준수해야 할 지침’으로 사회적 맥락에서의 가치가 개입된다. ‘기준’은 국가 교육과정 문서의 가장 근본적인 기능을 나타내는 용어로, 이 연구는 국가 교육과정 문서 내에서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진학계 고등학교 교과의 분화 및 진로과정 구성이 최소한으로 갖추어야 할 사회적 가치를 찾는 연구라고 볼 수 있다. 이 최소 가치가 준수됨으로써 학교 교육은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자율성 구가의 전제조건은 전문성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진학계 고등학교 교과의 분화 및 진로과정 구성 기준 문서에 핵심적인 내용을 탄탄하게 담아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은 학교 현장에 자율권을 주기 위한 전제 조건인 학교 현장의 전문성을 키우는 노력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형식과 내용 부분에서는 국가 교육과정상에서 생성되는 문서는 정확한 정보의 전달 매체, 행위의 증거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담겨 있는 내용이 체계적일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문서의 내적 체재라 하면 최종적으로 완성되어 나온 문서 내의 목차(항목) 구성과 목차(항목)별 내용 기술이 어떠한지에 대한 부분이다. 전자는 내적 체재에서도 형식적인 부분에 관한 것이고 후자는 내용적인 부분이다. 가장 상위의 제목부터 가장 하위의 제목까지가 어떤 순서로, 몇 개로 이루어졌는지, 그리고 그 제목을 어떠한 방식으로 표현했는지 등과 목차(항목)별 상세 내용을 어떻게 기술했는지가 관련되어 있다. 또한 독자가 문서를 보고 그 안에 들어있는 형식과 내용에 따라 준수하길 바란다는 것은 바꿔 표현하면 문서가 이런 일이 일어나도록 하는 실천 지시적 특성을 갖추어야 한다는 뜻이다. 기준 문서는 사회 일반이 원하는 규범성이 갖추어진 문서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형식적 측면에 있어서는 명료성, 일관성, 체계성이라는 특성을, 내용적 측면에 있어서는 포괄성, 핵심성, 타당성, 사회적 적합성이라는 특성을 갖출 수 있도록 교과 분화 및 진로과정 구성 기준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기준의 형식을 ①영역, ②요소, ③지표로 나누었다. 각 영역과 요소의 명칭은 명사(형)로 표현하고, 가장 최종 항목인 지표에 들어가는 내용은 의문문으로 기술하였다. 형식의 분류를 영역, 요소, 지표로 구분한 것은 우리나라 교육부 차원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교육 관련 기준들의 형식 분류 방식에 의거하였다. 영역이라는 항목에 실제 무엇이 들어가야 하는지 확정할 때는 기준의 의미 파악에 근거하였다. ⌜명사+‘하다형’ 동사의 명사형+기준⌟의 경우 ‘명사’를 ‘동사’할 때 고려해야 할, 참고해야 할, 준수해야 할 ‘무엇’이다. 여기에는 두 가지 의미가 포함될 수 있다. ①명사가 가지고 있어야 하는 가치, ②동사를 할 때 지켜야 하는 절차가 그것이다. 즉 절차를 거쳐 ‘동사’된 ‘결과’로서의 명사가 어떤 가치를 지녀야 한다는 것이다. 이 가치는 절차의 방향을 알려주게 된다. 명사가 가지고 있어야 하는 가치와 동사를 할 때 지켜야 할 절차는 진공 상태에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국가·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교육적 등 다양한 환경 하에서 정해진다. 이는 투입, 과정, 산출로 이어지는 체제적 접근과 맞닿아 있다. 정보 전달의 명확한 목적을 갖고 있는 기사와 같은 글에서 문장을 구성할 때 육하원칙이라는 6가지 정보가 다 담기면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준’이라는 문서 역시도 독자로 하여금 이를 지키거나 준수하기를 바라는 목적으로 만드는 문서이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 전달의 목적이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육하원칙을 적용하는 것은 타당하다. 이를 고려하여 영역은 ①목적, ②주체, ③절차, ④대상, ⑤결과로 나누어 개발하였다. ‘주체가 목적에 의거하여 대상을 가지고 절차를 거쳐 결과로 도출하는 것’이다. 이에 맞게 하위에 요소와 지표를 각각 개발하였다. 본 연구자가 가안, 초안을 개발하고 교육과정학 박사학위 소지자 1인과의 협의를 통하여 수정안을 개발하였다. 수정안을 가지고 총 2차에 걸친 전문가 심층 인터뷰, 예비 조사 및 본 조사의 성격을 지닌 전문가 의견 조사를 통하여 타당성을 검토한 후, 다음과 같이 최종안(총 5개 영역, 14개 요소, 38개 지표)을 개발하였다. 최종 타당성 검토 결과 모든 지표의 CVR 값이 .875 ∼ 1로 전문가들의 합의를 얻었다. 목적 영역에 대해서는 요소를 ‘지향하는 바의 명료성’으로 정하고 그 하위에 다음의 지표를 마련하였다. 1) 진학계 고등학교의 진로과정 안내가 부족한 현행 국가교육과정기준의 문제점을 개선하는가? 2) 교과 분화 및 진로과정 구성은 학생의 진로별 학습 기회를 보장하는가? 주체 영역에 대해서는 요소를 ‘인원 구성의 적정성’과 ‘자격의 적합성’으로 정하고 그 하위에 다음의 지표를 마련하였다. 3) 교과 분화 및 진로과정 구성에 관련된 팀들(개발팀, 심의팀, 자문팀, 의견개진팀, 행정지원팀 등)이 적절히 구성되었는가? 4) 총론, 각론, 교원, 학생, 학부모, 사회 각 분야 등 분야별, 전공별 참여자의 비율은 적정한가? 5) 참여자는 각 분야나 전공을 대표할 수 있는 자격과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가? 6) 참여자별 역할은 명확한가? 절차 영역에 대해서는 요소를 ‘절차의 충실성’으로 정하고 그 하위에 다음의 지표를 마련하였다. 7) 교과 분화 및 진로과정 구성을 위한 전반적인 합리적 절차를 사전에 마련하였는가? 8) 절차의 전 과정이 투명하게 공개 및 공유되고 있는가? 대상 영역에 대해서는 요소를 ‘과목으로의 분화를 위한 교과의 설정(교과 분화 관련)’, ‘교과로부터 과목으로의 분화(교과 분화 관련)’, ‘진로과정의 구성(진로과정 구성 관련)’으로 정하고 그 하위에 다음의 지표를 마련하였다. 9) 사회나 산업 및 직업 분야의 요구를 반영한 교과인가? 10) 학습자의 필요나 요구를 반영한 교과인가? 11) 학문 체계나 교과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한 교과인가? 12) 각 교과는 타 교과와 구분되는 정체성을 가지는가? 13) 다양한 진로과정을 만들기에 충분한 종수의 과목으로 분화되는가? 14) 각 과목은 타 과목과 구분되는 정체성을 가지는가? 15) 학습자의 적성과 소질의 조기 발현 및 해당 분야 전성기의 조기 도래를 고려하여 계열이나 진로과정의 특성에 따라 교과별 분화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16) 각 교과는 진로에 따라 선수학습용(+1학년), 계속학습용, 마무리학습용, 보충학습용(-1학년) 과목으로 분화되는가? 17) 진로과정의 개수는 다양한 진로를 포괄할 만큼 충분한가? 18) 각 진로과정은 등가성을 지님과 동시에 타 진로과정과 구분되는 정체성을 지니는가? 19) 진로에 핵심이 되는 과목을 포괄하는가? 20) 진로에 보완이 되는 과목을 포괄하는가? 21) 같은 진로과정 내의 학생 수준에 따라 대체 이수할 수 있는 등가성을 지닌 과목들이 있는가? 결과 영역에 대해서는 요소를 ‘목표 달성의 적절성’, ‘학습자에의 적합성’, ‘사회에의 적합성’, ‘학문에의 적합성’, ‘과목 간 체계성(교과 분화 관련)’, ‘진로과정의 체계성(진로과정 구성 관련)’, ‘실현가능성(진로과정 구성 관련)’으로 정하고 그 하위에 다음의 지표를 마련하였다. 22) 진학계 고등학교의 진로 탐색이라는 목표 달성에 적절하게 교과는 분화 되었는가? 23) 진학계 고등학교의 진로 탐색이라는 목표 달성에 적절하게 교과목은 진로과정으로 구성되었는가? 24) 분화된 과목과 구성된 진로과정은 학습자의 흥미, 관심, 소질, 적성에 적합한가? 25) 분화된 과목과 구성된 진로과정은 학습자의 발달 수준이나 능력에 적합한가? 26) 분화된 과목과 구성된 진로과정은 학습자의 진로 탐색 및 발달에 도움을 주는가? 27) 분화된 과목과 구성된 진로과정은 사회의 요구와 변화를 반영하는가? 28) 분화된 과목과 구성된 진로과정은 관련 학문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는가? 29) 분화된 과목과 구성된 진로과정은 진학 후 관련 전공을 계속적으로 학습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가? 30) 분화된 과목에 부여된 이수 단위는 적절한가? 31) 분화된 과목 간 이수 순서는 적절한가? 32) 분화된 과목은 상·하위 학교급 관련 교과목과의 연계성이 확보되었는가? 33) 계열이나 진로과정을 구성하는 과목 간에는 균형성과 통합성이 확보되었는가? 34) 계열이나 진로과정을 구성하는 과목에는 그 계열이나 진로과정에 맞게 필수/선택의 지위가 적절하게 부여되었는가? 35) 필수과목의 경우 부과하는 주체(국가, 학교), 부과되는 수준(계열, 진로과정)이 명시되었는가? 36) 구성된 진로과정은 학교 내에서 편성 및 운영 가능한가? 37) 구성된 진로과정은 학교 간 협력하면 편성 및 운영 가능한가? 38) 학습자의 진로 변경이나 2∼3개의 복수 진로과정 이수가 가능하도록 각 구성된 진로과정의 크기는 적절한가? 이 기준에 대한 기대효과는, 첫째, 국가 수준에서 교육과정 총론 문서를 만들 때 이 기준을 활용함으로써 진학계 고등학교의 교과목 및 과정을 진로에 따라 체계적으로 제시할 수 있게 된다. 즉 문·이과 양분, 국·영·수 편중을 벗어날 수 있게 될 것이다. 둘째, 진학계 고등학교 현장에서 진로에 따라 교과목 및 과정을 개설할 때 참고할 수 있다. 특히 국가 교육과정 총론 문서에 제시되지 않은 교과목이나 진로과정을 신설하고자 할 때 각 학교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준에 의거하여 교과를 분화하고 진로과정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기준에 의거하여 분화된 과목과 구성된 진로과정을 경험하는 학생은 다양한 과목들을 관련성 있게 학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학생의 진로와 관련된 역량, 탐구능력을 체계적으로 기를 수 있게 된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기준에 의거하여 교과 분화나 진로과정 구성 현황을 평가할 수 있게 된다. 진학계 고등학교 교과 분화 및 진로과정 구성 기준을 도출한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학문적 측면에서는 진학계 고등학교의 교과 분화 및 진로과정 구성 기준 개발을 통하여 교육과정학의 핵심인 교과와 관련된 여러 측면을 이론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정책적 측면에서는 실제 국가 교육과정 문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준에 의거하여 진학계 고등학교 교과를 분화하고 진로과정을 구성함에 따라 체계적인 ‘교과목체계표’와 ‘진로과정이수체계표’가 마련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현장의 측면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진학계 고등학교 교과 분화 및 진로과정 구성 기준에 따라 ‘교과목체계표’와, ‘진로과정이수체계표’가 마련되면 진학계 고등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된 진로 탐색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넷째, 교육철학적 가치 측면에서는 진학계 고등학교의 교과 분화 및 진로과정 구성 기준을 바탕으로 하여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된 진로 탐색 교육이 이루어지게 되면 수평적 수월성과 형평성이라는 가치를 같이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된 기준을 적용하여 실제 진학계 고등학교의 교과를 분화하고 진로과정을 구성해보는 적용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내신제도 및 대입시의 측면과 연계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사실 학교 현장에서의 교과교육은 학교 내의 평가제도라 할 수 있는 내신제도와 맞물려 있고, 진학계 고등학교의 경우 재학생이 대학 입학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교과교육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입학전형 등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셋째, 교과 외 부분과 어떻게 연결시킬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진학계 고등학교의 진로 탐색 교육은 교과교육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창의적 체험활동 등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교과교육이 이들과 연계될 때 더욱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진로와 관련된 교과교육이 다양한 교과 외 교육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어떤 연계를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교육과정 현상이 어느 하나의 구성 요소로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는 측면에서 교원/시설/설비 등 인적·물적 자원의 정비, 행·재정적인 원활한 지원, 법률의 개선, 학교 관습의 변화, 구성원들의 의식 및 신념의 개선 등을 바탕으로 하는 체제적 접근이 필요하고 관련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실제 교실에서 이수할 수 없는 일정 단위나 과목의 경우 인터넷(사이버) 강좌로 대신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 고등학교를 무학년제로 전환하도록 하는 연구와 더불어 현재 소단위로 분산 운영되는 왜곡된 단위제에 대한 개선 방안 연구, 다양한 교과목의 개설과 다양한 종류의 계열 및 진로과정 개설을 위한 학교구(학군, 학교군)의 구성과 실천 방안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 등이 필요한 것이다.

      • 아토피성 피부염의 영유아가 사용하는 화장품에 대한 사용실태 및 만족도 조사

        이림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영유아가 사용하는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사용에 따른 만족도를 살펴보고 아토피 피부염으로 힘들어하고 있는 자녀와 그 부모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우리나라 화장품 시장에서 영유아 아토피 화장품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전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울, 경기 지역의 6세 이하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고, 매일유업, 남양유업, 아벤트 등에서 상시 실시하는 육아 교실에 참여한 부모와 서울 지역 소아과 3곳의 방문자 중 6세 이하의 부모를 대상으로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유효한 220부를 통계처리 하였다. 이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 p<.01, p<.001 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일원변량분석, 카이스퀘어( ) 검증과 t 검증을 적용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자녀의 아토피 피부염에 필수적인 보조 치료제로서 아토피 화장품을 인식하고 있으며 상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세정제와 보습제로 나누어 사용실태를 살펴 본 결과 보습제의 사용은 아토피 전문 화장품을 사용하여야 한다고 인식하고 사용하고 있었지만 세정제의 경우는 일반 유아용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어 소비자들의 아토피 화장품에서의 세정제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이 초기인 경우는 아토피 전문 화장품을 선호하며 다양한 제품들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부작용의 경험이 많지 않았으나,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이 심한 경우는 아토피 화장품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가 떨어지고 부작용의 경험으로 전문 의료인이 추천하는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모는 자녀의 아토피 화장품을 인터넷 검색이나 주변인에게 추천 받은 제품의 경우보다 전문 의료인에게 받는 조언으로 구매한 경우 그 만족도가 높았으며 대부분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입하고 있었고, 품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분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잘 모르겠다고 답한 응답이 많고 향후 개선점에서도 가장 우선시 되는 사항을 제품의 안전성이라고 답해 자녀의 아토피 화장품의 품질에 만족하면서 안전성에 대한 확신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어 소비자에게 올바르고 정확한 광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전체 아토피의 약 60%가 만 1세 이전에 아토피로 진단되고 우리나라 영유아의 1/6이상이 아토피 피부염을 가지고 있는 현실에서 아토피 화장품이 자녀의 아토피 피부의 예방과 재발방지 차원에서 구입 편리성과 가격의 적절성, 장기간 지속적으로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은 안전성, 광고에 있어서 신뢰도 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ntended was to look at consumers' perceptions of cosmetics used by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using them; to provide right information to children suffering from atopic dermatitis and their parents; and to look into the future direction and prospect of atopic cosmetics for infants & young children in the Korean market of cosmetic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350 questionnaires were sent out to parents in the areas of Seoul and Gyeonggi who attended child-care classes held regularly by Maeil Dairies, Namyang Dairy Products, and Avent, and to parents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6 among visitors to 3 pediatric hospitals in Seoul; and valid 220 copies out of them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was verified at the significance levels of p< .05, p< .01 and p< .001; and, for statistics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one-way ANOVA, chi-square (χ2) test, t-test were applied, using the SPSSWIN 12.0 program. The findings of the questionnaire show that atopic cosmetics were recognized and commonly used as essential adjuvant therapeutic drugs for children's atopic dermatitis. However, the examination of their uses divided into cleanser and moisturizer shows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customers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cleanser, for some parents used ordinary products for infants as cleanser, while they recognized that, as for the moisturizer, they should use atopy-specific cosmetics. In the case of the early stage of atopic dermatitis, the parents preferred atopy-specific cosmetics, their satisfaction with diverse atopic cosmetics was high, and they rarely experienced side effects; whereas, in case of having serious atopic dermatitis,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atopic cosmetics was low, and they tended to prefer products recommended by medical specialists because of their past experience in side effects. The parents were more satisfied when purchasing atopic cosmetics for their children following medical specialist's advice than when purchasing them after searching the web or recommended by people around them; they mostly purchased atopic cosmetics at Internet shopping malls. And it was found that their satisfaction with quality was high, whereas there were many response of 'not sure' to the question asking about the safety of ingredients; they had no confidence in the safety of products, replying that it is the safety of products which should be given priority in the future improvement. Therefore, it is deemed that right and correct advertisement to consumers will be required. Considering the realities that about 60% of the total atopic cases are diagnosed with atopy before the age of 1 and that over 1/6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suffer from atopy in South Korea, it is deemed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convenience of purchasing atopic cosmetics, the reasonableness of their price, their safety free of side effects despite continuous long use, and reliability in their advertisement is necessary for the prevention of children's atopic skin and its relapse.

      • 안동·임하 수계지역의 포유류 서식현황 및 보호·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이림 동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Ecological studies around dams have usually been focused on climate, agricultural product and vegetation changes. This study selected the river system regions around Andong and Imha, in order to collect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the mammals’ habitation condition in the regions and finding ways to manage the mammals. To conduct an advanced research and comparison, this research selected 12 regions nearby and conducted a Chiroptera investigation which had not been conducted before. After conducting the investigation three times for 11 months, the result found 6 Order, 11 Families and 21 Species. Region 1 and region 11 had the smallest number of species (8 species), and region 7 had the largest number of species (16 species). And research found otters, one of the most endangered species, and wildcats, one of the second-most endangered species. In addition result conducted by Chiroptera confirmed a total of 5 species of bats.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showed that the 21 species of mammals observed were mostly found in the river, nearby forest zone and wetland, and this is because it is easy to find food and secure stable habitats. However, the roads and forest roads made for the farmlands, orchards and other purposes had high danger of road-kill to the animals moving between the forest and river. To protect and manage the habitats for mammals, we should control vehicles and prepare eco-bridges, guided fences and wild animal traffic signs. And we should give priority to the protection of river system regions where the animals eat food, in order to protect and restore chiroptera, If there is a bridge repairing or construction business near the river system region, preserving the existing bridge is also one of the ways to protect Chiroptera.

      • 중국소비자의 모바일 뱅킹 채택에 관한 연구

        이림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development of financial service and IT, the mobile bank starts booming and taking as position quickly because of its ease of use and convenience. Now more and more Chinese people start to use mobile bank in their daily lives. Although there are countless netizen in China. according to the frist studies, there are only 41% of netizen use mobile bank to conduct financial transactions. So the work of online bank has great potentialities in China. Combined with the UTAUT(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model and Accepted Model of Trust in Online Banks, I put in the Perceived Web Security as a new variable to make the essay has more research value. This is also an innovation of this research.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to 314 adults and 264 are valid data. The methods used to analyze the items a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at trust is the mainly effect factors for Chinese netizen using online bank service and with the increase of perceived Web Security, the trust for online bank also increased then change the behavior intention of Chinese netizen using it. Therefore this research is aiming at acknowledging and analyzing Chinese netizen behavior intention about adoption of mobile banking. In the meantime, researching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intention of chinese netizen, as a result, it can give more valuable advice about the development of China mobile bank. Key words: Mobile bank,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Accepted Model of Trust in Mobile Banks, Perceived web Security, User Acceptance.

      • 중국의 대 아프리카 공공외교 필요성, 2013-2018

        이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의 목적은 2013년 후 중국의 대 아프리카 공공외교에 더 집중하는 필요성을 분석하고, 중국의 공공외교 정책의 특징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논문을 통해 중국이 이용하는 공공외교를 수단을 설명하고 기존 문헌의 서술을 보충하고, 중국의 대 아프리카 공공외교를 촉진하기 위해 정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국의 대 아프리카 공공외교의 구체적인 방식을 정부 공공외교 수단과 민간 공공외교 수단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정부 공공외교 방식은 정상외교, 정당 공공외교, 그리고 교육과 미디어로 분류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중국 정부는 중국과 아프리카 국가의 역사적, 정치적, 문화적인 공통점을 강조하고 중국의 국가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중국-아프리카 국제적인 교류 활동과 다양한 영역에서 전개하는 협력 활동을 촉진할 수 있다. 민간 공공외교 방식은 기업 공공외교, 도시 공공외교 그리고 화교 공공외교로 분류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중국은 아프리카 국가에서 중국 문화를 전파하고 인터넷과 빅 데이터를 통해 중구과 아프리카의 교류를 심화시킨다. 국제적인 경제적 교류를 통해 이미지를 홍보하고 아프리카 국가들이 중국에 대한 인상을 강해진다. 2013년부터 중국이 아프리카에 대한 외교에서 공공외교를 더 집중하는 필요성을 국내적 필요성과 국제적 필요성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우선, 중국은 ‘중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제약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 아프리카 공공외교에 더 집중한다. 경제적 측면에서 중국과 아프리카의 양측 마찰과 경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외교를 활용하고 있다. 그리고 2013년후 중국 정부는 ‘일대일로’ 전략을 잘 촉진하기 위해 공공외교에 더 집중한다고 주장한다. 정치적 방면에서 중국은 직면하고 있는 대만 문제와 테러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면 아프리카의 지지가 특히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중국은 아프리카 국가들과 같이 군사 협력을 전개하지만 서방 국가들의 비판을 받았다. 그리고 아프리카 국가들이 민주화 과정에서 중국의 가치관과 정책에 대한 오해가 중국-아프리카 관계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문화적 측면에서 공자학원을 아프리카 대륙에서 많이 설립하지만 공자학원 자신의 문제 때문에 문화 전파의 효과를 제약한다. 그리고 생크탱크와 뉴미디어의 발전에 따라 중국의 대 아프리카 공공외교의 수단가 더욱 다양화해야 한다. 중국은 국가의 외교적 영향력을 제고하기 위해 대 아프리카의 공공 외교를 더 강조한다. 중국은 아프리카 대륙에서 많은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지만 국제사회의 보편적인 인정을 얻지 못한다. 특히 서방 미디어는 항상 중국의 대 아프리카외교를 강조하는 목적을 의심하고 있다. 그래서 중국에 대한 우호적인 국제적 환경을 확대하기 위해 공공외교를 더 집중한다. 그리고 국가 이미지는 국가의 소프트파워에 대해 큰 영향을 줄 수 있어서 공공외교를 통해 중국의 이미지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2013년 후 중국은 대변인 제도를 점점 더 강조하고 국제적 발언권을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중국 산수실경(山水實景) 공연산업의 발전방안 연구

        이림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To investigate The landscape live performance industry in China has undergone over two decades of development. As a distinctive cultural enterprise in China, this industry embodies a rich array of regional folk cultural characteristics, boasting both considerable artistic and commercial value. Furthermore, as a vital component of the tourism sector, landscape live performances demonstrate substantial growth potential. Given the vastness of the Chinese tourism market and the robust demand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tourists for travel products that offer unique cultural allure, landscape live performances, serving as a fusion of scenic aesthetics and artistic expression, can furnish diverse and multifaceted travel experiences. Simultaneously, they can serve to disseminate and uphold local folk culture, while their amalgamation with tourism resources infuses fresh vigor into the tourism industry, accompanied by substantial economic benefits. Despite encountering certain setback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over the past three years, the cultural industry in China yet retains its capacity for development in the “post-pandemic era.” As the pandemic subsides, the populace's inclination toward cultural tourism is gradually resurging, and the landscape live performance sector holds the promise of attaining a phase of stable and sustainable advancement in the future. The Chinese landscape live performance industry is characterized by substantial investment requirements, an extended project timeline, and is often categorized as a high-risk sector. However, the industry is currently grappling with a development impasse. Many regions are impulsively emulating trends, resulting in numerous projects facing losses and bankruptcy. Moreover, there is a scarcity of in-depth research and strategic planning concerning the industry's development, both at home and abroad. As a consequence, the industry lacks a robust theoretical framework to guide its progress. Hence,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a more scientifically rigorous,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development blueprin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model for the development plan of China's landscape live performance industry.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tudy is structured into three phases. In the first phase, a literature analysis approach is employed to identify the pertinent factors that could influence the development plan of this industry. Common elements are distilled to derive the foundational data components essential for shaping the development plan of China's landscape live performance industry. The second phase employs the FGI (Focused Group Interview) expert interview analysis method to outline the selection criteria for interviewees and analytical standards. The foundational data components are scrutinized and augmented, facilitating the identification, consolidation, and analysis of the industry's current state and prevailing challenges. Consequently, an initial development plan model is formulated. The third phase involves subjecting the preliminary development plan model for China's landscape live performance industry to an in-depth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alysis conducted by an expert panel. This process culminates in the ultimate model for the industry's development plan. The development plan model for China's landscape live performance industry comprises two-dimensional indicators. The primary level indicators encompass government policies, business models, content creation, and technological aspects. Through a rigorous weight analysis, in conjunction with the outcomes and the four primary indicators mentioned, 42 secondary indicators relevant to these are delineated. Among the primary indicators, the model elucidates that government policy factors assume precedence over content creation, business models, and technological considerations. Within the government policy realm, 16 secondary indicators are appraised, with aspects like “establishing industry norms and standards” and “providing policy and financial support” superseding others. In the domain of business models, “optimizing product structure and types” assumes greater significance. The content creation facet highlights the paramount role of “unearthing local cultural characteristics.” Lastly, in the technological sphere, the emphasis on “ensuring alignment between technology and live performance content” emerges as the pivotal concern at this stratum. Accordingly, this study was able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and existing problems of China's landscape performance industry through expert interviews and the above research results. Currently, China's landscape performance industry has formed a certain scale and influence, and many famous landscape performance works such as <Impressions and Yusamjeo>, <Impressions and West Lake>, and <Impressions and Lujiang> have appeared and achieved great success at home and abroad. It attracted many spectators and tourists. However, although the landscape and landscape performance industry is a unique Chinese cultural industry model with strong originality, the entire industry is still in the development stage and has many problems. Firstly, the government's policies and laws for related industries are not complete, and the project approval and management system must be further supplemented. In addition, the government has difficulty strengthening supervision of the actual scenery performance industry, establishing industry standards and norms, and improving the quality and level of works. Secondly, because the scale of investment in the landscape performance is large and the cash conversion cycle is long, a lot of capital and human resources must be invested. However, the impact of COVID-19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andscape performance project, posing a significant risk to the related investment and operating environment. Despite these risks, the landscape performance industry requires fewer staff compared to other performances, and the awareness of the nation and cultural companies about talent training has increased, but capital and talent issues have created a bottleneck that limits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Third, updating the content of the landscape performance is also an issue that needs to be urgently resolved. Because the landscape landscape project requires high single investment funds, the project must follow the principle of continuous performance, which requires the development of products and content. Therefore, China's landscape and landscape performance industry can be viewed as a cultural industry that is still productive and has sustainable development potential even in the post-corona era, and landscape and landscape performance works can uniquely show the charm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nd art. This unique performing art form combines natural scenery and stage art to provide a unique visual and aesthetic experience. Additionally, as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interest in Chinese culture increases, the Chinese landscape performance industry is expected to have greater market demand. Accordingly, based on this study, it is considered significant in establishing a development plan model for China's landscape performance industry suitable for the market to find an effective development path and promote healthy development. 최근 중국 산수 공연산업은 20년 동안 진행해 온 중국 특유의 문화산업 프로젝트로서 풍부한 지역 민속문화 특성을 융합하고, 높은 예술적 및 상업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또한, 관광산업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산수실경 공연의 발전 잠재력이 크고, 거대한 중국 관광시장에 있어서 국내외 관광객들은 독특한 문화적 매력을 지닌 관광 상품을 경험하는 데 수요가 많으며, 산수실경 공연은 관광예술과 문화예술공연을 통합한 예술형태로써 다양한 관광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 민속문화를 홍보하고 계승하는 동시에 관광자원과의 결합을 통해 관광산업에 새로운 활력과 풍부한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다. 2020년-2022년 3년간 코로나 19로 인해 관광산업의 발전에 일정한 영향을 끼쳤지만,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중국 문화산업은 여전히 일정한 발전 잠재력을 보인다. 코로나 19가 종식됨에 따라 문화관광에 대한 사람들의 수요가 점차 회복되고 있으며, 산수 실경공연 산업은 앞으로도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산수실경 공연산업은 투자 규모가 크고, 주기가 긴 산업으로 고위험 산업이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산수실경 공연산업의 발전은 병목현상이 나타나고, 많은 지역에는 맹목적으로 휩쓸려서 손해 보거나 파산된 프로젝트가 종종 나오게 된다. 동시에 중국 국내외 해당 산업발전방안에 관한 연구가 적고, 완벽한 이론적 뒷받침이 부족하므로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완전한 발전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산수실경 공연산업의 발전 방안에 대해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총 3가지의 단계로 연구 목적을 수립하였다. 첫째, 문헌 연구법으로 공연 산업의 발전 방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련 요소를 얻은 다음에 공통 요소를 추출하며, 중국 산수실경 공연산업의 발전 방안 기본 데이터 요소를 얻고자 하였다. 둘째, FGI 표적집단면접법으로 면접 대상자의 선정 기준과 분석 기준을 제시하고, 기본 데이터 요소를 분석하며 및 보완하였다. 해당 분야의 현황을 파악하며 문제점을 요약해서 분류하여 기초적 발전 방안 모델을 얻고자 하였다. 셋째, 중국 산수실경 공연산업의 발전모델에 대해 AHP 계층화분석법으로 분석하여 해당 산업발전방안의 최종 ‘모델’을 얻고자 하였다. 즉, 최종 모델은 바로 중국 산수실경 공연산업 발전방안에 있어서 총 2가지 차원의 기준으로 하였다. 1차 기준은 정부정책, 비즈니스 모델, 내용창작, 그리고 과학기술 등 4가지가 있고, 가중치 분석결과와 1차 기준을 바탕으로 이와 관련된 42개의 2차 기준을 확정하였다. 1차 기준에서 방안모델의 결과에 따라 정부정책요소의 중요성은 내용창작, 비즈니스 모델, 과학기술 등 다른 1차 기준보다 높고, 그중에 정부정책의 16개 2차 기준에서 ‘산업규범 및 기준 수립’과 ‘정책적 및 경제적 지원제공’은 바른 기준보다 중요성이 높게 나왔다. 그다음에 비즈니스 모델에서 ‘상품구조 및 유형 최적화’의 비중이 가장 크고 내용창작 차원의 ‘지역 문화적 특색 발굴’이 가장 뚜렷하게 나왔다. 마지막으로 과학기술기준에서 다른 것보다 ‘과학기술 및 공연내용의 일치성’은 가장 핵심적인 기준으로 나왔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가 면접과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중국 산수실경공연 산업의 현황과 기존 문제점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중국의 산수실경공연 산업은 일정한 규모와 영향력을 형성하였으며 <인상·유삼저>, <인상·서호>, <인상·여강> 등과 같은 유명한 산수실경공연 작품이 많이 등장하여 국내외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고 많은 관객과 관광객을 끌어들였다. 하지만 산수실경공연 산업은 강력한 독창성을 가진 중국 특유의 문화산업 모델이지만, 전체 산업은 여전히 발전 단계에 있으며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관련 산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과 법률이 완비하지 않으며 해당 프로젝트 승인 및 관리 시스템이 추가로 보완되어야 한다. 또한, 정부는 실제 풍경 공연 산업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고 산업 표준 및 규범을 수립하며 작품의 품질과 수준을 향상 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둘째, 산수실경공연은 투자규모가 크고 현금 전환 주기가 길기 때문에 많은 자본과 인적자원이 투자되어야 한다. 하지만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산수실경공연 프로젝트에 큰 영향을 미쳐 관련 투자 및 운영 환경에 큰 리스크를 안겨주었다. 이러한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산수실경공연 산업은 다른 공연에 비해 관련 스텝들이 적게 들고, 인재양성에 대한 국가 및 문화 회사의 인식이 높아지기도 했으나, 자본과 인재 문제는 산업 발전을 제한하는 병목현상이 발생했다. 셋째, 산수실경공연의 콘텐츠 업데이트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산수 실경 프로젝트는 단일 투자 자금이 높기 때문에 프로젝트는 지속적인 공연의 원칙을 따라야 하며, 이는 제품 및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중국 산수실경공연산업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여전히 생산성이 있고 지속 가능한 발전 잠재력을 가진 문화산업으로 볼 수 있으며, 산수실경공연작품은 중국 전통문화와 예술의 매력을 독특하게 보여줄 수 있다. 이러한 독특한 공연예술 형식은 자연경관과 무대예술을 결합하여 독특한 시각과 미학적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중국문화에 대한 국내외 관광객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중국 산수 공연 산업은 더 큰 시장 수요를 갖게 될 전망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토대로 시장에 맞는 중국 산수실경공연산업의 발전 방안 모델을 수립하여 효과적인 발전경로를 모색하고 건전한 발전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 중국 양로원 선택의향에 관한 연구 : 이용자의 보호자 인식을 중심으로

        이림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Now China has entered a seriously ageing society, and the ageing level is increasing. This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supporting stress of the elderly. The key to solving this problem is to develop nursing homes vigorously. Between 2015 and 2021, the number of nursing homes increased steadily,and in the first quarter of 2021, there were 38,760 nursing homes nationwide, with 4.83 million beds. However, nursing homes face enormous problems. The vacancy rate in nursing homes is as high as 50 percent in 2020. Therefore, this thesis chooses the public nursing home and the guardian of the elderly as the research object. The effect of the facility environment, program level, and employee service on Perceived Value in nursing home was studied. This research also puts an emphasis on the moderating role of filial piety and Face Sensitivity in the influence of Perceived Value and Selection Inten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facility environment, program level, and employee service of nursing hom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Value of guardia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and Selection Intention., Filial Piety, Face Sensitivity, Subjective Norms, and Confucian Values all played a moderating role. This provides some insight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