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b 원자에서의 Ladder type EIT

        이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원자 결맞음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 유도 투과(EIT) 현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루비듐을 이용한 사다리형 전자기 유도 투과 신호를 관찰하였으며, 신호의 크기와 선폭의 변화 경향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측정을 정확하고 쉽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도플러 배경 없는 고분해 분광을 위한 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전자기 유도 투과 신호의 선폭은 결합광의 라비주파수의 함수로 주어지며, 비선형적 변화 경향을 보인다. 전자기 유도 투과 신호의 크기와 모양은 빛의 편광 조합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결합광의 세기에 따른 선폭 확대에 편광 조합이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 본 논문은 2004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논문임 It was possible to get highly resolved spectrum about ladder type EIT using advanced spectroscopic methods that made it easy to see the dependence on the polarized directions and the Rabi frequency in the regime of weak probe and coupling lasers. The experiments were done with rubidium atomic vapor cell and two lasers counterpropagating in the transition of 5S_(1/2)-5P_(3/2)-5D_(3/2) and 5S_(1/2)-5P_(3/2)-5D_(5/2). We adopted a new method using a probe laser with fixed frequency and a varying coupling laser. It can be utilized as a solution of the defects of the usual method adopted before. We get a background free spectrum and compare it with the results by the usual method and calculations. It was found that the polarization of the fields can change the size of signals and relative height of peaks in EIT. It is why that the relative probability of the two photon transitions are changed by the choice of the polarizations of optical fields. And we have shown the linewidth of peaks of EIT is broadened by the power of coupling laser field increased. It was not linearly increased to the Rabi frequency of coupling field but approximately quadrupled to the Rabi frequency, i.e. the intensity of coupling laser. We can see these characteristics of EIT by using the alternative method different from the one usually adopted. It was useful in the experiment like this system with two-photon resonance condition satisfied.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04.

      • 한국어와 연변 지역어의 청자 대우법 비교 연구 : — 한국의 드라마 · 연변 지역의 소품(小品)을 중심으로 —

        이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연변 지역어의 청자 대우법을 비교‧연구하여 한국어와 연변 지역어의 청자 대우법의 특징을 검토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한국어와 연변 지역어 청자 대우법 화계의 차이를 살펴 한국어 화자와 연변 지역어 화자 간의 소통을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 자료는 장르가 비슷한 한국과 연변 지역의 방송에서 추출하였다. 한국어는 MBC 시트콤 <거침없이 하이킥>에서, 연변 지역어는 연변방송국의 음력 설 소품 작품에서 청자 대우법의 자료를 추출하였다. 2장에서는 청자대우법과 문장 종결법에 대해 간단히 논의하였다. 그리고 연변 지역어에 대한 기존 논의를 바탕으로 청자대우법 화계와 이에 해당하는 종결어미들을 종합하여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와 연변 지역어 청자 대우법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청자 대우법을 합쇼체, 하오체, 해라체, 해요체, 해체로 나누어 <거침없이 하이킥>, 소품에 나타나는 종결어미들을 제시하고, 각 화계에서 나타나는 청자와 화자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한국어와 연변 지역어 청자 대우법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와 연변 지역어에서 화계별 종결어미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는지, 어떠한 화자가 어떠한 청자에게 어떤 등급의 화계를 사용하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어와 연변 지역어에서 세대별로 화계별 종결어미 사용 양상을 비교하였으며, 동일한 청자에 대해 화자가 사용하는 화계의 등급이 넘나드는 현상에 대해 비교하였다. 5장에서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고, 추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ddressee honorifics between Korean and Yanbian dialect by comparing and studying on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facilitate the communication of speakers of Korean and Yanbian by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the usage of Addressee honorifics between Korean and Yanbian dialect. The target data for this study were extracted from broadcasting in Korea and the Yanbian region, which have similar genres. The Korean language data of Addressee honorifics was extracted from the MBC sitcom "High Kick" and the Yanbian dialect from the "Shaopin" of the Yanbian Broadcasting Station. Chapter 2 briefly discussed the Addressee honorifics and sentence-final moods. And based on the existing discussion of the Yanbian regional language, I put together the usage of honorifics and mothers, and presented them systematically. In Chapter 3, I looked at the usage of the Korean and Yanbian dialect. The speech levels of the Addressee honorifics was divided into hasyoche, haoche, harache, haeyo, haeche, present the final endings that appear in "High Kick" and "Shaopin", and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stener and the speaker at each speech levels. In chapter 4, I compared Korean with Yanbian dialect. To this end, I looked at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Yanbian dialect, and which speaker uses which ratings to which listener. In addition, I compared the use of final endings by generation in Korean and Yanbian dialect, and compared the phenomenon of crossing the speech levels used by speakers for the same listener. Chapter 5 presents a conclusion. I have summarized what has been discussed so far and presented a later research task.

      • 중국 북경 도농 결합부의 판자촌 개축 방안

        이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formal space is actually a self-construction behavior of people ac cording to their own life needs. It is a top-down spatial model, which is temporary, changeable, movable, highly adaptable, and closely relat ed to life. Convergent urban nomadic structure.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summary of the social order in the ci ty center and the spontaneous regional social laws of the people, how to use this space law to form an ingenious balance between introversi on and extroversion, and use one's own community to create a limite d and vibrant urban space, The Eastern wisdom that transcends the b inary opposition between closed and open is needed. 인포멀 공간은 실제로 사람들이 자신의 생활 필요에 따라 진행하는 일종의 자기 구조 행위다.위로부터의 공간모형으로 임시성, 가변성, 이동성, 적응성이 뛰어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도심의 사회질서와 사람들의 자발적인 지역사회 건설 규율에 대한 조사와 총화를 통해 어떻게 이러한 공간 규율을 활용하여 내향과 외향 사이에 교묘한 균형을 이루며, 자신의 지역사회로 제한적이고 역동적인 도시공간을 창조할 수 있는지 폐쇄와 개방의 이원적 대립을 뛰어넘는 동양적 지혜가 필요하다.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향상을 위한 미술매체활용 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림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박사학위논문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향상을 위한 예술매체 활용 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LI LIN 교육대학원 경성대학교 지도교수 : 김미옥 이번 연구는 한국 문화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 적응을 위한 심리사회적 요인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전문가와 엔씨의 FGI(Focus Group Interview) 결과를 바탕으로 미술매체활용 상담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해당 분야에 대한 중국인 유학생의 관심 프로그램 효과도 실행 후 검증되어 3개의 연구 문항이 연구되었다. 먼저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미술매체활용을 위한 상담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획, 구성, 실행, 평가 등의 과정이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기획 단계에서는 문헌 검토를 바탕으로 전문가 FGI와 현장에서 활동하는 중국인 유학생의 목표와 목표가 정해졌다. 프로그램 구성 단계에서는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존 미술매체를 활용한 상담프로그램이 진행됐다. 진행과 평가 단계에서는 전문가의 조언으로 사전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했다. 이 단계를 통해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아트미디어를 활용한 상담프로그램이 개발됐다. 이 프로그램은 구성 분야와 함께 거부, 방어, 최소화, 수용, 적응, 통합의 6단계로 구성되었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전후 측정시간에 따라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의 동질성이 검증되었다. 참가자와 연구자들의 종합적인 검토를 바탕으로 3단계 모델 분석이 수행되고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통합되었습니다.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미술매체활용 상담프로그램은 (1)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 (2)우울 감소, (3)자기탄력성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 프로그램은 실질적인 혜택을 전달하고 중국인 유학생들이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대조군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현재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에 대한 권고사항이 논의된다. 키워드: 중국인 유학생, 문화적응, 미술매체활용 상담프로그램. Doctoral Dissertation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counseling program using art media to improve cultural adaptation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LI LIN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Kyungsung University Advisor : kim, Mi-Ok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sychosocial factors for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adapting to Korean culture, and based on the results of FGI (Focus Group Interview) by experts and N.C., an art media consultation program was developed. The effectivenes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terest programs in the field was also verified after execution, and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tudied. First, processes such as planning, compositio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were carried out to develop counseling programs for the use of art media for Chinese people. In the program planning stage, the goals and goals of experts' FGI and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orking in the field were set based on literature review. In the program composition stage, a counseling program using existing art media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as conducted. In the progress and evaluation stage, the pre-program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with expert advice. Through this stage, a counseling program using art media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as developed. This program consisted of six stages of rejection, defense, minimization, acceptance, adaptation, and integration along with the constituent field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re design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time before and after.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verifi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Based on a comprehensive review by participants and researchers, a three-stage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and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integrated as follows. The art media counseling program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effects in (1) reducing stress to help adapt to culture, (2) reducing depression, and (3) strengthening self-elasticity. In conclusion, the program is expected to deliver practical benefits and help Chinese students adapt to the new cult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confirmed through control group analysi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Keyword: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cultural adaptation, A counseling program using art media.

      • A study on kinematical system of Breadth cam profile design

        이림 창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캠 기구는 회전하는 캠의 운동에 의해 종동절의 운동을 직선 운동이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며,캠과 종동절의 형상,운동 형태 및 결합방식이 다양하여 응용범위가 넓은 기계요소 중의 하나이다.또한, 많은 기계요소들로 구성된 기계장치의 원활한 운동을 위해서는 각각의 기계요소들이 최적의 상태로 구성되어야 한다.이를 위해서는 각 기계요소 간의 정확한 결합과 더불어 각 기계요소들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설계는 매우 중요하다. 또한 고부가 가치를 갖는 기계에 대해 응용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공작기계,방직기계 등의 구동 시스템에 등폭 캠 기구가 널리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세로운 캠을 연구해야 된다. 본 논문에서는,등폭 캠에 대한 병진운동용 롤러종동절과 요동운동용종동절를 갖는 기구에 대해 캠의 형상설계기법을 제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롤러종동절로 구성되는 등폭 캠에서 종동절이 설계자가 원하는 운동을 정확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캠의 형상이 정확하게 설계되어져야한다. 캠의 설계는 먼저 입력축에 대한 출력축의 거동에 따라 캠과 종동절의 형태를 결정한다.그리고 캠의 회전에 대한 종동절의 정지 구간과 상승 및 하강 구간과 운동량이 정해지면 설계자는 상승&#65381;하강 곡선을 캠 기구의 원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정하게 되고,이로써 변위선도가 결정되어진다.변위선도가 결정되면 캠의 기초원 크기와 종동절의 형태에 따른 조건 등을 정하여 종동절의 변위에 따른 캠의 형상을 설계하게 된다. 등폭 캠 기구는 구동축의 회전에 대해 출력축의 운동을 특정 함수로 구성하는 데 매우 용이하며 작은 공간에서 다양한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접촉운동기구로서 정확한 운동 장치이다. 본 연구는 순간속도 중심법을 통해 설계된 등폭 캠 형상의 좌표만을 이용하여 이를 캠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또한 순간속도 중심법을 이용하여 등폭 캠 기구의 형상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 중등학교 교사의 '효과적인 수업활동'에 관한 분석

        이림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in this study is to examine teachers' effective instruction actions which student experienced at the secondary school and to systematize various teachers' effective instruction actions which analyzed in the students' essays into teachers' effective instruction activities. To achieve this goal, several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1. What are the teachers' effective instruction actions based on students' experienced curriculum? And then How can these actions be explained? 2. How can these actions be systematized properly into the activities? 3. How frequently are these actions referred in the essays? And then How can these be explained? 4. Are there the differences of effective instruction actions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order to find answer to these questions, I carried out a research study, content analysis and the grounded theory. Research study was administered to 174 'student teaching lecture' attendees. Open-end questionnaire from students about the effective instructions or effective teachers were gathered and th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inally I made the structure of teachers' effective instruction actions based on students' essays and prior studies. Major conclusion are suggested below as follows. First, teachers' effective instruction actions which students experienced at the secondary school are charisma, propound knowledge, study on class, suggestion of a class goal, well-organized class, communicative skills, basic explanation, serious consideration for principle, review and preparation, connection between class work and reality, making connec, writing on the blackboard, various materials, teaching materials production, Classroom of department system by each Subject, sense of humor, keeping students concentrate, using a body, arousing students' interests, attracting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students, compliment and encouragement, passion and demonstration, remembering students' names, controlling the speed(adjusting to difference among individuals), feedback, respecting students‘ personalities, consideration and understanding, taking the initiative and setting an example, guidance on careers, creative assignment, providing various experience, teacher evaluation, and fair evaluation. Second, the result that I systematized those effective instruction actions is as follows. 32 actions were classified into small groups called instruction activities according to relations and then the primary system organiz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class such as before class, during the class, after class, finally each activity was arranged. Before class domain includes study on subject(including propound knowledge, study on class), study on students(including remembering students' names, adjusting to difference among individuals), and study on context(including connection between class work and reality). During the class domain include structuralizing(including suggestion of a class goal, well-organized class), clarifying(including communicative skills, basic explanation, serious consideration for principle, review and preparation), relating(including connection between class work and reality, making connec), diversifying(including writing on the blackboard, various materials, teaching materials production, Classroom of department system by each Subject), concentrating(including sense of humor, keeping students concentrate, using a body), doing motivation(including arousing students' interests, attracting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students, compliment and encouragement, passion and demonstration), individualizing(including remembering students' names, adjusting to difference among individuals, feedback), and identifying(including respecting students‘ personalities, consideration and understanding, taking the initiative and setting an example, guidance on careers). After class domain includes intensifying(including review and preparation, creative assignment, providing various experience) and evaluating(including teacher evaluation, fair evaluation). Third,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teachers' effective instruction actions is attracting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students. and then setting an example, guidance on careers, connection between class work and reality, making connec, communicative skills, various materials, propound knowledge appeared in turn. Forth,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except for arousing students' interests and taking the initiative and setting an example, guidance on careers. 본 연구는 학생이 경험한 중등 교육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교사의 효과적인 수업행위를 파악하고 이를 체계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효과적인 수업이란 학생들의 실질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는 수업이라는 전제 아래, 교사의 효과적인 수업행위 요소를 학생들로부터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실제 학생들이 경험한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학생이 경험한 교사의 효과적인 수업행위는 무엇이고 각 수업행위는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둘째, 학생이 경험한 효과적인 수업행위를 어떻게 체계화할 수 있는가? 셋째, 학생이 경험한 효과적인 수업행위의 빈도 분포는 어떠하고 이 빈도 분포는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넷째, 효과적인 수업행위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대학교의 사범대학 및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들 중 2009학년도 1, 2학기에 교육실습을 나가는 학생 174명을 연구대상자로 설정하고, 조사연구, 내용분석, 근거이론, 전문가의견수렴과정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이 경험한 교사의 효과적인 수업행위는 카리스마, 박학다식, 수업연구, 목표제시, 기승전결, 설명능력, 기본강의, 원리강조, 복습/예습, 현실연계, 관련짓기, 판서활용, 자료제시/매체활용, 교재제작, 교과교실, 유머활용, 집중유도, 신체활용, 흥미유발, 참여유도, 칭찬/격려, 열정/시범, 이름기억, 완급조절, 반응하기, 인격존중, 이해/배려, 솔선수범/진로지도, 창의과제, 경험제공, 교사평가, 공정평가 등 32개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수업에 참여하면서 능동적으로 효과적인 수업과 그렇지 못한 수업을 판단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학생들의 개별적인 특성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일반적으로 효과적인 수업이라고 느끼는 요소들은 일정한 틀에 의해 분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렇게 분석된 요소들이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볼 때 용어 사용의 차이에 불과하지 그 의미적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다는 데서, 현재 교사들의 수업 질의 문제는 교사 양성과정 및 임용과정, 연수과정으로부터 기인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즉 많은 연구들을 통하여 효과적인 수업행위가 밝혀졌는데도 불구하고 이러한 행위들에 대한 실천이 현장에서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것은, 효과적인 교사를 만들기 위한 과정이 제대로 실행되지 못하거나 효과적인 교사를 제대로 선발하지 못한다는 것을 반증하기 때문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 ‘기본강의’, ‘원리강조’라는 항목이 따로 도출된 사실이나 학생들이 설문응답에서 학생참여 위주 수업의 병폐를 기술한 사실을 음미해보면, 결단코 구성주의 수업이 강의식, 설명식 수업에 비해 효과적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교육자들은 이론적으로 구성주의 교육이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고 주장하는데, 현실에서는 반대의 방향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참여식 수업과 강의식 수업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는 단순히 이론과 실제의 괴리 문제로 치부할 부분은 아니고 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학생들이 경험한 교사의 효과적인 수업행위를 체계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32개 항목을 각각 수업행위로 명명하고, 이들의 유관성을 기초로 선행연구와 설문지 분석을 참고하여 몇몇 수업행위를 묶어 수업활동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수업의 흐름에 따라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로 1차적 체계를 설정하였고, 그 하위 수업활동 영역들을 배치시켰다. 또한 체계화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전문가 11인의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하였다. ‘수업 전’ 영역에는 박학다식과 수업연구가 포함된 ‘교과연구’, 이름기억(준비)과 완급조절(준비)이 포함된 ‘학생연구’, 현실연계(준비)가 포함된 ‘맥락연구’가 수업활동으로 설정되었다. ‘수업 중’ 영역에는 목표제시와 기승전결이 포함된 ‘구조화’, 설명능력, 기본강의, 원리강조, 복습/반복이 포함된 ‘명료화’, 현실연계(실행)와 관련짓기가 포함된 ‘관계화’, 판서활용, 자료제시/매체활용, 교재제작, 교과교실이 포함된 ‘다양화’, 유머활용, 집중유도, 신체활용이 포함된 ‘집중화’, 흥미유발, 참여유도, 칭찬/격려, 열정/시범이 포함된 ‘동기화’, 이름기억(실행), 완급조절(실행), 반응하기가 포함된 ‘개별화’, 인격존중, 이해/배려, 솔선수범/진로지도가 포함된 ‘동일화’가 수업활동으로 설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수업 후’ 영역에는 복습/예습, 창의과제, 경험제공이 포함된 ‘심화’와 교사평가, 공정평가가 포함된 ‘평가’가 수업활동으로 설정되었다. 넷째, 학생들이 지각하는 효과적인 수업행위에는 명료화, 관계화, 다양화 등 인지적인 측면과 관련이 깊은 것들도 있지만 동기화, 개별화, 동일화 등 정의적인 측면과 관련이 깊은 것들도 많다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즉 수업을 통하여 교사는 학생의 지식과 사고력을 확장시키도록 독려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이와 더불어 학생들의 동기나 자아개념, 자신감, 자존감 등을 배양하도록 독려하는 역할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학교교육이 전인교육으로 나아가야 함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 아토피성 피부염의 영유아가 사용하는 화장품에 대한 사용실태 및 만족도 조사

        이림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영유아가 사용하는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사용에 따른 만족도를 살펴보고 아토피 피부염으로 힘들어하고 있는 자녀와 그 부모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우리나라 화장품 시장에서 영유아 아토피 화장품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전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울, 경기 지역의 6세 이하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고, 매일유업, 남양유업, 아벤트 등에서 상시 실시하는 육아 교실에 참여한 부모와 서울 지역 소아과 3곳의 방문자 중 6세 이하의 부모를 대상으로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유효한 220부를 통계처리 하였다. 이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 p<.01, p<.001 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일원변량분석, 카이스퀘어( ) 검증과 t 검증을 적용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자녀의 아토피 피부염에 필수적인 보조 치료제로서 아토피 화장품을 인식하고 있으며 상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세정제와 보습제로 나누어 사용실태를 살펴 본 결과 보습제의 사용은 아토피 전문 화장품을 사용하여야 한다고 인식하고 사용하고 있었지만 세정제의 경우는 일반 유아용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어 소비자들의 아토피 화장품에서의 세정제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이 초기인 경우는 아토피 전문 화장품을 선호하며 다양한 제품들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부작용의 경험이 많지 않았으나,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이 심한 경우는 아토피 화장품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가 떨어지고 부작용의 경험으로 전문 의료인이 추천하는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모는 자녀의 아토피 화장품을 인터넷 검색이나 주변인에게 추천 받은 제품의 경우보다 전문 의료인에게 받는 조언으로 구매한 경우 그 만족도가 높았으며 대부분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입하고 있었고, 품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분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잘 모르겠다고 답한 응답이 많고 향후 개선점에서도 가장 우선시 되는 사항을 제품의 안전성이라고 답해 자녀의 아토피 화장품의 품질에 만족하면서 안전성에 대한 확신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어 소비자에게 올바르고 정확한 광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전체 아토피의 약 60%가 만 1세 이전에 아토피로 진단되고 우리나라 영유아의 1/6이상이 아토피 피부염을 가지고 있는 현실에서 아토피 화장품이 자녀의 아토피 피부의 예방과 재발방지 차원에서 구입 편리성과 가격의 적절성, 장기간 지속적으로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은 안전성, 광고에 있어서 신뢰도 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ntended was to look at consumers' perceptions of cosmetics used by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using them; to provide right information to children suffering from atopic dermatitis and their parents; and to look into the future direction and prospect of atopic cosmetics for infants & young children in the Korean market of cosmetic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350 questionnaires were sent out to parents in the areas of Seoul and Gyeonggi who attended child-care classes held regularly by Maeil Dairies, Namyang Dairy Products, and Avent, and to parents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6 among visitors to 3 pediatric hospitals in Seoul; and valid 220 copies out of them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was verified at the significance levels of p< .05, p< .01 and p< .001; and, for statistics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one-way ANOVA, chi-square (χ2) test, t-test were applied, using the SPSSWIN 12.0 program. The findings of the questionnaire show that atopic cosmetics were recognized and commonly used as essential adjuvant therapeutic drugs for children's atopic dermatitis. However, the examination of their uses divided into cleanser and moisturizer shows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customers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cleanser, for some parents used ordinary products for infants as cleanser, while they recognized that, as for the moisturizer, they should use atopy-specific cosmetics. In the case of the early stage of atopic dermatitis, the parents preferred atopy-specific cosmetics, their satisfaction with diverse atopic cosmetics was high, and they rarely experienced side effects; whereas, in case of having serious atopic dermatitis,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atopic cosmetics was low, and they tended to prefer products recommended by medical specialists because of their past experience in side effects. The parents were more satisfied when purchasing atopic cosmetics for their children following medical specialist's advice than when purchasing them after searching the web or recommended by people around them; they mostly purchased atopic cosmetics at Internet shopping malls. And it was found that their satisfaction with quality was high, whereas there were many response of 'not sure' to the question asking about the safety of ingredients; they had no confidence in the safety of products, replying that it is the safety of products which should be given priority in the future improvement. Therefore, it is deemed that right and correct advertisement to consumers will be required. Considering the realities that about 60% of the total atopic cases are diagnosed with atopy before the age of 1 and that over 1/6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suffer from atopy in South Korea, it is deemed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convenience of purchasing atopic cosmetics, the reasonableness of their price, their safety free of side effects despite continuous long use, and reliability in their advertisement is necessary for the prevention of children's atopic skin and its relapse.

      • 안동·임하 수계지역의 포유류 서식현황 및 보호·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이림 동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Ecological studies around dams have usually been focused on climate, agricultural product and vegetation changes. This study selected the river system regions around Andong and Imha, in order to collect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the mammals’ habitation condition in the regions and finding ways to manage the mammals. To conduct an advanced research and comparison, this research selected 12 regions nearby and conducted a Chiroptera investigation which had not been conducted before. After conducting the investigation three times for 11 months, the result found 6 Order, 11 Families and 21 Species. Region 1 and region 11 had the smallest number of species (8 species), and region 7 had the largest number of species (16 species). And research found otters, one of the most endangered species, and wildcats, one of the second-most endangered species. In addition result conducted by Chiroptera confirmed a total of 5 species of bats.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showed that the 21 species of mammals observed were mostly found in the river, nearby forest zone and wetland, and this is because it is easy to find food and secure stable habitats. However, the roads and forest roads made for the farmlands, orchards and other purposes had high danger of road-kill to the animals moving between the forest and river. To protect and manage the habitats for mammals, we should control vehicles and prepare eco-bridges, guided fences and wild animal traffic signs. And we should give priority to the protection of river system regions where the animals eat food, in order to protect and restore chiroptera, If there is a bridge repairing or construction business near the river system region, preserving the existing bridge is also one of the ways to protect Chiroptera.

      • 중국소비자의 모바일 뱅킹 채택에 관한 연구

        이림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development of financial service and IT, the mobile bank starts booming and taking as position quickly because of its ease of use and convenience. Now more and more Chinese people start to use mobile bank in their daily lives. Although there are countless netizen in China. according to the frist studies, there are only 41% of netizen use mobile bank to conduct financial transactions. So the work of online bank has great potentialities in China. Combined with the UTAUT(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model and Accepted Model of Trust in Online Banks, I put in the Perceived Web Security as a new variable to make the essay has more research value. This is also an innovation of this research.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to 314 adults and 264 are valid data. The methods used to analyze the items a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at trust is the mainly effect factors for Chinese netizen using online bank service and with the increase of perceived Web Security, the trust for online bank also increased then change the behavior intention of Chinese netizen using it. Therefore this research is aiming at acknowledging and analyzing Chinese netizen behavior intention about adoption of mobile banking. In the meantime, researching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intention of chinese netizen, as a result, it can give more valuable advice about the development of China mobile bank. Key words: Mobile bank,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Accepted Model of Trust in Mobile Banks, Perceived web Security, User Accep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