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내거주 고려인 노동자 부부들의 적응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이남주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국문초록 국내거주 고려인 노동자 부부들의 적응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교육과학과 석사학위논문 이 남 주 본 연구는 고려인 노동자 부부들의 적응경험을 통해 이들이 중앙아시아에서 살았던 과정과 한국생활 적응경험이 그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고려인 노동자 부부들의 적응경험은 어떠한가? 2. 고려인 노동자 부부들의 한국생활 적응경험의 중심현상은 무엇인가? 3. 고려인 노동자 부부들의 적응경험과정은 어떠한가? 4. 고려인 노동자 부부들의 적응경험유형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인 연구 참여자들은 현재 한국으로 이주해 와 살고 있는 A지역네 가정의 고려인 노동자 부부들이다. 고려인들의 연령은 제한을 두지 않았고 남편참여자 4명, 아내참여자 4명으로 모두 8명이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5년 1월부터 5월까지 진행되었으며, 2015년 4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은 1-2회에 걸쳐 회기와 대상에 따라 1시간에서 3시간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동의를 받고 보이스 레코더로 녹음한 뒤 전사하여 컴퓨터에 저장하였다. 고려인 노동자 부부들의 적응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료 수집은 심층면접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자료 분석은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 절차에 따라 자료수집과 분석을 하면서 지속적인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알아낸 결과들을 요약하면 첫째, 개방코딩에서 97개의 개념과 22개의 하위범주로 나타났고 이를 추상화한 결과 최종적으로 11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축코딩에서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 결과로 회이감이 듦, 경제적 한계를 느낌, 희망을 걸어봄이 인과적 조건으로 나타났다. 고려인 노동자들은 본국에서의 경제적 어려움과 차별을 피해 더 나은 삶을 위하여 한국으로 이주해 왔지만 언어문제와 고려인이라는 차별, 일자리를 찾는 경험 속에서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새로운 삶에 희망을 걸고 한발을 내딛는 단계를 거친다. 가족과, 주변이웃 등 지지체계속에서 정체성과 삶의 의미를 찾고 사회일원으로 미래를 준비하며 안정된 정착을 위한 희망의 씨앗을 심는 적응경험을 하였다. 둘째, 이에 따른 중심현상으로는 ‘한발 내디딤’으로 나타났고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사전정보’와 ‘인정받기’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은 ‘지지체계’로 나타났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정체성 찾기’, ‘삶의 의미와 목표’, 사회참여 준비’로 나타났다. 그 결과는 ‘안정된 정착’으로 나타났다. 고려인 노동자 부부의 성공적인 상호적응의 과정은 다음과 같은 불확실한 이주의 도전단계, 갈등 후회단계, 수용 회복의 단계, 적응단계의 4단계로 나타났다. 연구의 중심 주제를 대변하는 핵심범주는 ‘갈등과 후회 속에서 적응의 씨뿌리기’로 경제적 이유로 자의에 의한 이주이지만 타국으로의 기대와 낮선 두려움이 있는 가운데 문화차이, 차별, 정체성의 혼란가운데서도 가족과 자녀를 위해 수용하며 애쓰는 맞벌이 노동자 부부의 삶의 과정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고려인 노동자 부부들의 적응경험과정은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처럼 고려인 노동자 부부 참여자들은 배우자, 가족, 친구와 이웃 등 이들과의 관계에서 차별 없음과 존중과 인정받을 때 안정된 적응을 할 수 있었다. 특히 적응 경험 과정에서 지지체계는 개인적 수준, 가족 수준, 사회수준, 국가수준에서 다각적으로 이루어지며 고려인 노동자 부부 참여자의 적응에 긍정적 요인이 됨을 알 수 있다. 넷째, 고려인 노동자 부부들의 적응경험유형은 고려인 노동자 부부의 갈등의 유발요인으로 한국에 대한 사전정보가 얼마나 있고 인정받음이 있었는가에 따라 유형분석에서 ‘열매 맺기와 싹틔우기, 시들기로 나뉘게 된다. 즉, 사전정보와 인정받음은 고려인 노동자 부부의 성공적인 상호적응에 유의미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려인 노동자 부부의 적응경험의 핵심범주를 ‘갈등과 후회 속에서 적응의 씨앗 심기’로 설정하고 적응과정을 개인수준, 가족수준, 사회수준, 국가적 수준에서 파악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개인이 다른 나라에 정착하기까지는 개인의 노력과 의지 뿐 만 아니라 가족의 지원과 지역사회의 협조, 국가적으로 법적인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는 등 다차원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이들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통해 한국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주체적인 역할을 감당할 수 있도록 정책과 방향을 설정하여 국내거주 고려인에 대한 연구의 다양성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고려인 노동자 부부를 대상으로 이주 전 거주국에서와 한국에서의 적응경험을 탐색하고 고려인 노동자 부부에 대한 복지, 교육, 상담의 실천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주요어: 고려인 노동자, 근거이론, 적응경험,
효율적인 논술 지도 방법 연구 : 협동 수업과 통합 교육을 중심으로
이남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With educational theory developed and the criticism on the educational working activated, dissertation test has been emphasized as one of the alternatives against the multiple choice test which requests the cramming of fragmentary knowledge and the uniform answer. In proportion to this tendency, although every high school has been showing deep interest in dissertation test and trying to find out its effective teaching method, the result leaves much to be desired contrary to the expectation. As the interest in dissertation test has become bigger, although much study about its teaching method has been done, an effective and applicable method for the present school has not been searched for. In addition, most of the existing results on its study is only a theoretical search and even though the discussion on its method has been done, reality has been lacking. The aim of this study started from this point. That is, the motive of beginning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 effective and applicable method needed in instructing dissertation. Dissertation is a kind of writing through language by finding out problems and making concrete them, giving insistence for the solution of those concreted problems, and finally showing reasons leading to such an insistence. In other words, dissertation is the way of writing revealing the writer's thought, which contains new view point, analysis, synthesis, composition ability, theoretical coherence, and rationality of thinking way approaching its theme. When prescribing the characteristic of dissertation like this, the final purpose of teaching dissertation is to see the present problems more deeply and widely, and then, to raise the ability to express the result of self-reflection of those problems in logical way according to the sequence of thought. However, the reality does not seem to be approaching this aim of teaching dissertation. Teaching of dissertation done by the present high schools do not seem to satisfy not only teachers but also students. Therefore, I made every effort to find out the reason why, in spite of those great efforts and great interests in the dissertation teaching by schools, teachers and students, the instruction of dissertation has not been done properly. First of all, the problems in curriculum can be raised. Dissertation is not established as a regular subject. This is the natural result caused by the integrative characteristic which dissertation possesses. That is to say, the ability to write dissertation is the one that synthesizes all the knowledge acquired by learning all the subjects listed in regular curriculums. Therefore, to expand the schema of each field necessary for writing dissertation is all the teachers' common responsibility and it seems to be desirable the development of logical thinking way and effective expressions learned by these subjects should be taught by all the language teachers. Nevertheless, it is recognized as natural that the instruction of dissertation is only a shar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consequently, writing across curriculum required by dissertation is not performed properly, which is caused by the ambiguity of dissertation held in the curriculum. Second problem is that dissertation is recognized as a simple writing working. In order to improve language usage function, individuality, reciprocal action(interaction), integrity must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especially, among those factors required in the integrity, the integrity of four language functions, that i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re the cores of them. However, in reality, the instruction of dissertation is putting special stress on the improvement of writing ability, and the consideration for speaking and listening is little given. According to these analysis, synthetic instruction through team teaching and the instruction of dissertation through integrated instruction of language usage function is suggested as the method of effective and realistic teaching of dissertation. In order to perform the team teaching, more than anything else, after the team consisting of Korean language, science, society, art, philosophy, and foreign language teachers was composed, planning for the activity and carrying out it was suggested. Next, after choosing a must books(required reading books), I asked students to read them. When recommending a must books, teachers should give the reasons why they chose those books required books, and the points students must grasp, forms writing more reading materials should be given. After reading, by making up the paper putting down the disputed points regarding those reading materials which helps students give feed back, I discussed them with students. After doing that, I corrected all the dissertation written by each student and according to those correction results, by letting them undergo a writing process, I suggested the teaching method that helps students write dissertation background n integrated knowledge. In order to instruct the integration of the language function I devised the way of integrating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he dissertation tests done at present are mostly the way of furnishing materials and with a view to solving these type of problems, the comprehension of the given reading materials necessarily must be preceded. Because reading and writing is like both sides of coins, they can't be taught separately and the effects can be doubled when they are taught simultaneously. For these study, after learning with stages divided by pre-writing stage, the pre-reading stage, reading and writing stage, post-writing stage, post-reading stage, the learning method of re-integrating them can be suggested. Also, communication model can be an effective method for this study. For speaking and listening, the cultivation of the problem solving ability by means of mutual discussion between not only teachers and students, but also students and students and the method of mutual interaction evaluation on the basis of material composed by them was suggested. I don't think the above mentioned method through the integration of team-teaching and language usage function will be able to solve all the problems that has been exited till now. H-lowever, I dare to say this thesis will have its own meaning now that the study on dissertation is not so activated and most of the results of the study on it has been only a suggestion of theory and the difficult method to put into practice up to now. For this aim, this thesis start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the applicable method in school on the basis of those theories and I have been making every efforts on my own way. In spite of sufficient necessity of discussion, connected instruction among grades has not been dealt with. If the connected instruction among each grades can be done properly, the students' dissertation writing ability can be more improved. On this respect, I promise I will try to approach some day, and I hope this thesis will be helpful for the teachers who have had trouble in the method of teaching dissertation.
열처리와 쇼트피닝이 적용된 탄소강에 대한 잔류응력 분포의 수치적 예측
Most of the mechanical parts are made of metal and undergo fatigue fracture by repeated loading. Machine parts used in various industries are designed to strengthen the fatigue resistance by shot peening process or heat treatment, etc. Although these techniques have been applied to the machine parts up to date, there are realistic limitations such as generalization of the specimen data to the whole parts data, the inevitable influence of disturbance occurring in the experiment, and a large expenditure of cost. In this study, the quenching process of carbon steel, which is often used to mechanical parts, is replaced with a simple heat transfer problem by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FEM), which is one of the numerical analysis methods. The distribution of the residual stresses for the heat treated and shot peened material were numerically confirmed. The user subroutine of ABAQUS was used to define the heat transfer and thermo-elastic-plastic problems and its validity was verified by comparing with the previous studies and analytic solutions. Then, the quenching process was simulated using the ABAQUS standard and user subroutine, and single sphere impact process was simulated using the ABAQUS explicit. The results show that when simulating the shot peening process of the structure parts or machine parts where the initial impact speed of the shot ball is relatively slow and the influence of the surface residual stress is larg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heat treatment analysis. 기계 부품의 대부분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반복적인 하중에 의해 피로 파괴(fatigue fracture)가 발생하게 된다. 실제 다양한 산업군에서 사용되고 있는 금속 기계 부품은 쇼트피닝(shot peening)이나 열처리(heat treatment) 등과 같은 기법을 통해 내피로성의 강화를 도모한다. 오래전부터 이러한 기법을 적용하고 있지만, 시험편 차원에서 분석된 데이터의 부품 전체로의 일반화, 실험 시 발생하는 외란의 불가피한 영향, 막대한 비용의 소모 등 현실적인 제약을 수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방법 중 하나인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을 이용, 기계 부품의 소재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탄소강의 퀜칭(quenching) 과정을 간단한 열전달 문제로 치환하였다. 이후, 단일 구와의 충돌 모사를 통해 열처리와 쇼트피닝이 함께 적용되었을 경우, 재료 내부에 형성되는 잔류응력(residual stress)의 분포를 수치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상용 소프트웨어인 ABAQUS의 user subroutine UMAT, UMATHT, DFLUX, UEXPAN을 이용해 열전달, 열탄소성 문제를 정의하였으며, 각각 선행 연구 결과와의 유사성, 해석해와의 비교를 통해, 해당 문제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이후, ABAQUS standard와 앞서 정의한 user subroutine을 이용해 퀜칭 열처리 과정을 모사하였고, ABAQUS explicit를 이용해 단일 구와 퀜칭 열처리된 시험편의 충격 해석을 통해, 시험편에 형성된 잔류응력을 수치적으로 평가하였다. 쇼트피닝이 진행되는 동안 투사되는 숏볼은 다양한 투사 속도와 물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단일 구의 초기 투사 속도는 20m/s, 40m/s, 60m/s로 설정하였고, 숏볼의 물성은 강체, 탄성, 완전 소성으로 분류해 퀜칭 열처리된 시험편과 그렇지 않은 시험편에 충격 해석을 진행하였다. 두 해석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재료 내부에 형성된 잔류응력의 최대 크기값의 상대 오차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초기 투사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고, 표면 잔류응력의 영향이 큰 구조물이나 기계 부품의 경우, 열처리를 고려한 쇼트피닝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체육계열학과 학생의 개인 특성 및 운동특성, 직업기대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경기 지역의 체육계열이 있는 4년제 대학중 임의로 Y대학교, M대학교, KN대학교, KH대학교의 체육계열 학부의 재학생 96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체육계열학과 학생 및 무도계열 학생의 개인 특성 및 운동특성, 직업기대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그에 따른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가설을 검증하였으나 결과들을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미흡함이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겠다. 1)체육관련 학과와 무도전공 관련 학과의 진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2)다변화된 사회에서 체육계열 및 무도계열의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전공 계열을 더 전문화하고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 3)체육계열 및 비체육계열 희망 직종에 대한 세분화 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대해 후속 연구들은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체육계열 및 비체육계열 희망 직종이 현실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한다면 진로의 프로그램에 관한 학문적인 발전뿐만 아니라, 이에 수반되는 훌륭한 인재의 양성이 이루어 질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sport characteristics, and vocational expectation. This study employs 960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ports science related field from Y, M, KN, and KH University. The survey on vocational expection for students with sports science major, adapting and modifying from Kim(1995) is used.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revealed: 1) Male students, KH Universtiy, freshman, and Dept.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show higher preference in the field of sport science than female students, other three Universties, other grade in university, and any other departments. 2) Students in winter sports, water sports, gymnastics show higher preference than students in other sports. 3) Students with atheletic career show higher preference than students without atheletic career. 4) Desired careers in the sports-related fields are a leader in the field and work in mass communication in order, while desired careers in non sports-related field are business, professional occupation. Limitations for generalization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re discussed in depth.
한국산 남세균의 신종 3분류군과 7분류군의 국내 미기록종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국내 남세균의 보고는 국외에 비해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한국산 남세균 신종 및 국내 미기록종을 발굴을 위해 2018년 7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전국의 담수, 기수, 해수, 기중 환경의 15개 정점에서 남세균을 채집하였다. 남세균의 동정은 형태적 형질만으로 분류하기 어려워 실내배양을 통하여 단조류 배양 후 염기서열 특성 및 분자 계통적 연구 등 다상학적 접근(polyphasic approach)으로 동정 및 분류하고자 하였다. Wilmottia koreanus는 형태적으로 Wilmottia속의 다른 종들과 차이가 없는 cryptic species지만,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한 ML tree 분석에서 Wilmottia속내의 기존에 보고된 2종과는 분리된 clade를 형성하였고, 16S-23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영역의 이차구조(secondary structures)의 D1-D1', Box-B 및 V3 helixes에서 구조적 차이를 보였으며, 유전적 거리를 확인하기 위하여 3개의 Wilmottia종을 대상으로 pairwise genetic distance (p-distance)를 구한 결과 W. murrayi 와 W. koreanus의 거리는 2.85로 종간 유전자 거리는 W. murrayi와 W. stricta의 종내 유전자 거리인 0.55, 0.7보다 많은 차이를 보였다. Nodosilinea a는 기수역과 해수에서 출현한 종으로 N. nodulosa와 생태적으로 유사하지만, 형태적 차이를 보였고, 계통수 분석에서 Nodosilinea속내의 다른 종들과 뚜렷한 clade를 보였다. Stenomitos b는 계통수 분석 기존에 보고된 Stenomitos속내의 다른 종들과 독립된 분지를 형성하였으며, 하와이 동굴에서 보고된 S. rutilans와 폭은 일치하지만 세포 색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Wilmottia murrayi, Microcystis protocystis, Aphanizomenon gracile, Cephalothrix lacustris, Geminocystis papuanica, Planktothricoides raciborskii, Sphaerospermopsis reniformis를 국내 미기록종으로 동정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다상학적 접근을 통하여 한국산 신종 후보군 3분류군과 국내 미기록속 및 미기록종 7분류군을 동정 및 분류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국내 남세균의 분류학적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 된다. Cyanobacteria samples were collected between July 2018 and August 2019 at freshwater, brackish water, seawater and aerial in Korea. Unialgal culture cyanobacteria were morphological observations using light microscope (L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And phylogenetic analyses of the 16S rRNA gene revealed that it was clearly separated into taxonomic groups. And in them, forms a monophyletic lineage. However, genus Microcystis is indicating they are polyphyletic. Also,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inter-species genetic distances of in this study cyanobacteri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intra-species distances. Additionally, the ITS secondary structures of D1–D1', Box-B, and the V3 helices were quite different among the species. These results, three novel species candidates (Wilmottia koreanus sp. nov., Nodosilinea a sp. nov., Stenomitos b sp. nov.) and seven unrecorded species (Wilmottia murrayi, Microcystis protocystis, Aphanizomenon gracile, Cephalothrix lacustris, Geminocystis papuanica, Planktothricoides raciborskii, Sphaerospermopsis reniformis) in Korea were described.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pattern of bivalve larvae in the Mokpo bay, was studied from early-July 1996 to mid-October 1996. The surface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18.5℃ to 27.9℃, and the bottom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19.1℃ to 25.3℃. The salinity of the surface water showed the range from 4.1% to 33.1% and that of bottom water showed the ranged from 25.2% to 34.2%. The total individual density of bivalve large was 1,144,123 ind/m2 and 98,229 ind/m2 with the shell length of over 200μm and 150~200μm used for the identification of specied. They were composed of 0.3% of Mytilus edulis, 25.1% of Musculista senhousia, 10.0% of Crassostrea gigas, 3.0% of Teredo navalis, and 62.0% of other unidentified individuals. Even though the individual density of larvae of M. edulis was extrmely lower than other species, density of the size of over 200μm was 28 ind/m2 in late-July, whereas they did not appeared after 12th August. The larvae of M. senhousia, there were two peaks of the abundant phases in mid-July, in late-September at the size of over 200μm and the maximum individual density of them was 287 ind/m2 in late-September. At the size of 150~200μm, there were three peaks of the abundant phases in mid-August, in early-September, in late-September and the maximum induvidual density of them was 3,753 ind/m2 in late-September. The larvae of C gigas in size over 200μm reached the maxium density phase in mid-August and the maxium individual density of them was 1,526 ind/m2. At the size of 150~200μm showed the abundant phase in early-August and the maxium individual density of them was 3,345 ind/m2 they did not occurred after on 6th October. The larvae of T. navalis in size over 200μm, there were two peaks of the abundant phases in early and mid August and the maxium individual density of them was 86 ind/m2 in mid-August. At the size of 150~200μm, there were two peaks of the abundant phases in late-July, in mid-August and the maxium individual density of them was 405 ind/m2 in mid-August.
WLAN에서 동일한 Access Router 내에서의 핸드오버를 고려한 효율적인 FMIPv6
Efficient and Fast Handovers for Mobile IPv6 Considering Handover within Same Access Router in Wireless LAN Nam-joo. Lee(M.S.), Sung-Gi. Min Dept. of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 Korea University 1,5 ka, Anam-Dong, Sungbuk-ku, Seoul, 136-701, Korea E-mail : namtaeng@korea.ac.kr Mobility issues in WLAN environment are now being raised due to frequent movement and mobility restriction. In WLAN, macro mobility can be defined as mobile node's move between extended service set while keep connecting with the network during an ongoing session, but is it not supported yet. In order to handle macro mobility, Mobile IPv6 has been widely considered as a solution for realizing mobility in IP network. But the mobile IPv6 protocol could result in a high signaling load as well as high handoff latency and packet losses. So an enhanced MIPv6 protocol called FMIPv6 has been proposed by 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IETF), in order to reduce handover latency and packet losses. However Fast handover scheme only consider handover between access routers on different subnets. Therefore, the handover scheme presented in this paper considers handover within same access router with different subnets. We verify that proposed handover scheme is more efficient than normal FMIPv6 protocol when considering handover within same access router with different subn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