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식 브랜드 이미지 척도 개발을 통한 외래 관광객의 한식 선호도와 한식 소비행동의도 관계

        윤나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식은 국가를 대표하는 문화 아이템으로 부가가치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여러 국가에서 자국의 음식을 브랜드 상품으로 만들어 국가 브랜드 향상에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 흐름에 따라 한식을 국가의 대표 브랜드로 만들겠다는 한(韓)브랜드화 사업은 한식이 한국 이미지를 높이는 브랜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식의 이미지 제고는 국가 이미지 제고에 영향을 미쳐 관광수입 증가 등 상당한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외국인들이 인식하는 한식 브랜드 이미지를 분석하는 것은 한식 세계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식 브랜드 이미지 측정을 위한 척도를 개발함으로써 한식 브랜드 이미지 구성 개념이 가진 특징을 파악하고 개발된 척도를 이용하여 출신 국가별 한식 브랜드 이미지 차이를 비교하였다. 개발된 한식 브랜드 이미지 척도의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한식 브랜드 이미지와 한식 선호도 및 한식 소비행동의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한식 브랜드 이미지 척도 개발을 위해 외국인의 한식 인지도, 선호도, 관능평가 등 한식을 포함한 음식 관련 선행연구 등에서 이미지 측정 문항을 선정하였다. 한국에 거주하는 일본인 6명, 중국인 5명, 베트남인 6명, 미국인 3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선행연구에서 발견하지 못한 문항을 추가로 도출하였다. 선정된 예비 문항은 전문가 검토를 받은 후 미국인, 일본인,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예비설문조사를 통해 의미가 모호한 문항을 수정하여 최종적으로 인지적 이미지 81개 문항, 정서적 이미지 5개 문항이 한식 브랜드 이미지 측정 도구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 대상은 미국인, 일본인, 중국인 관광객으로 인천국제공항 국제선 출국장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57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조사 대상자의 성별은 남성이 51.3%, 여성이 48.7%이었으며, 연령은 20-30세 미만이 41.5%로 가장 많았다. 출신 국가는 미국인이 154명(43%)으로 가장 많았으며, 중국인은 102명(29%), 일본인은 101명(28%)이었다. 한식의 인지적 이미지 예비 문항 81문항을 대상으로 문항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적 일관성을 저해하는 16문항을 삭제하고, 최종 64문항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한식의 인지적 이미지 구성 요소로 품질・안전성, 매력성, 건강증진성, 가족지향성, 조리법 5개 요인을 추출하였고 28개의 하위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추출된 한식의 인지적 이미지 28문항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인지적 이미지 5개 요인이 타당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식의 정서적 이미지 예비문항 5문항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단일 요인으로 구성되는 개념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척도를 이용하여 한식 브랜드 이미지를 파악한 결과, 인지적 이미지의 5개 요인 중 가족지향성 요인이 가장 높았으며, 매력성 요인, 품질・안전성 요인, 건강증진성 요인, 조리법 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출신 국가별 한식의 인지적 이미지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요인 중 건강증진성 요인을 제외한 품질・안전성 요인(p<0.001), 매력성 요인(p<0.001), 가족지향성 요인(p<0.001), 조리법 요인(p<0.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미국인 집단은 가족지향성 요인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본인 집단은 매력성 요인, 중국인 집단은 조리법 요인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국가별 정서적 이미지 차이를 살펴보면 일본인 집단이 미국인, 중국인 집단보다 정서적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다(F=10.858, p<0.001). 한식 브랜드 이미지와 한식 선호도 및 한식 소비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한 결과, 인지적 이미지는 정서적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인지적 이미지와 정서적 이미지가 한식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인지적 이미지는 정서적 이미지를 통해 한식 선호도에 간접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이미지가 정서적 이미지보다 간접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이미지가 한식 소비행동의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적 이미지는 한식 선호도를 통해서만 한식 소비행동의도에 간접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적 이미지와 한식 소비행동의도 사이에 한식 선호도가 매개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식 선호도는 한식 소비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식 브랜드 이미지를 인지적 이미지와 정서적 이미지로 구분하고 인지적 이미지와 정서적 이미지를 함께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척도를 이용하여 한식 브랜드 이미지를 측정한 결과, 출신 국가별로 한식에 대해 다르게 인식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한식 브랜드 이미지, 한식 선호도 및 한식 소비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여 한식 브랜드 이미지 측정 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한식 브랜드 이미지가 한식 소비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for measuring the brand image of Korean food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brand image of Korean food, preference, and intention to consume Korean food. The measurement scale was developed by following seven stages process including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 with foreigners, survey, verification of scale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urvey was completed by 380 foreigners who visited in Korea in 2011. A total 357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of which 23 unusable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nd five factors regarding the cognitive image of Korean food: 'quality․safety factor', 'attractive factor', 'promotion of disease factor', 'family-oriented factor', and 'cooking methods factor'. The brand image of Korean food was compared by the nationality. American highly perceived the cognitive image of Korean food as family-oriented whereas Japanese found it as attractive and Chinese perceived it as different cooking method.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und the relationships among brand image of Korean food, preference, and intention to consume. Also, our result indicated that cognitive image of Korean food was affected to affective image, preference, and intention to consume. Affective image was related with preference of Korean food. However, affective image didn't give a meaningful effect on intention to consume. In addition, preference of Korean food ha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the intention to consume Korean food and preference w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brand image of Korean food and intention to consume. These findings support that importance of brand image Korean food in consumer behavior. Our result indicated that cognitive image was more affected to preference and intention to consume behavior than affective imag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nage cognitive image for improving positive image of Korean food.

      • 스토리텔링 광고의 관점에서 본 브랜드웹툰의 유형 연구 : NAVER 웹툰 사례를 중심으로

        윤나라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만화(cartoon)가 인터넷(web)을 만나서 '웹툰'(Webtoon)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만들어 냈다. 이렇게 탄생한 웹툰은 인터넷과 스마트폰 시대를 맞이하면서 본격적으로 성장하게 되었고 대중문화의 한 장르로 자리를 잡았다.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는 광고가 생겨나기 마련이다. 그러한 수순으로 웹툰을 광고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생겨났고, 가장 보편적인 형태로 배너광고가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대에는 단편적인 정보밖에 담을 수 없는 배너광고 보다는 브랜드의 입체적인 스토리를 담아낼 수 있는 광고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과 웹툰이라는 새로운 장르가 접목되어 인터넷미디어의 새로운 광고매체인 브랜드웹툰이 생겨났다. 브랜드웹툰은 2008년 NAVER에서 본격적으로 서비스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매해 제작된 작품수가 꾸준히 늘다가 2014년에 이르러 급성장하게 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브랜드웹툰에 관한 연구는 만화의 관점에서 진행되었으며, 광고적 관점에서의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브랜드웹툰의 전략적 활용을 위해 스토리텔링 광고의 관점에서 분석을 진행하였으다. 특히 유형 연구를 통해 내용을 구체화시켰다. 분석의 대상은 NAVER에서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제작·연재가 완료된 브랜드 웹툰들로 설정하였다. 분석 과정은 1차와 2차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1차 분석은 문헌조사를 통해 조사한 스토리텔링 광고의 유형(형태적 유형, 내용적 유형)에 따라 6가지 유형을 도출하고 브랜드웹툰을 해당 유형에 맞춰 분류하였다. 1차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던 것은 브랜드웹툰의 전반적인 성향이었다. 2차 분석은 1차 분석을 통해 분류된 브랜드웹툰 유형군 중에서 한 작품씩을 선정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은 스토리텔링 구성요소 4가지(메시지, 등장인물, 갈등, 플롯)에 따른 분석 모형을 설계한 후, 선정된 브랜드웹툰을 대입시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1차 분석에서 조사된 유형별 특징을 검증하고 스토리텔링의 구성요소에 따른 특징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내용은 브랜드웹툰은 고전적 드라마 광고보다는 비넷 드라마 광고 유형의 작품이 압도적으로 많으며, 창작 스토리텔링의 소재를 활용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리얼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경우가 가장 적었다. 패러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브랜드웹툰의 경우에는 기존에 연재가 된 창작웹툰이 원작으로 차용된 경우가 많았다. 유형적 특징으로는 '고전적 드라마 광고 + 리얼 스토리텔링' 유형의 작품은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고전적 드라마 광고 + 패러디 스토리텔링' 유형으로 '곽백수의 신 트라우馬'를 분석하였고, '고전적 드라마 광고 + 창작 스토리텔링' 유형은 '꿈, 날개를 달다.'를 분석하였다. '비넷 드라마 광고 + 리얼 스토리텔링' 유형은 '사랑은 오디션이다'를, '비넷 드라마 광고 + 패러디 스토리텔링'유형은 '아직도 안 깔아 보았나!? 넵스토어!'를 분석하였고, '비넷 드라마 광고 + 창작 스토리텔링'유형으로는 '너와 나의 거리는 8.5'를 분석하였다. 현대에는 과거의 TV나 신문, 라디오가 했던 역할을 많은 부분 인터넷이 분담하고 있으며, 광고 또한 다르지 않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매체를 고려한 광고전략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터넷의 새로운 광고매체인 브랜드웹툰에 대한 광고 관점의 분석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artoon met internet web, and created a brand new genre called 'Webtoon'. Webtoon has grown up in earnest, moving with the times of internet and smartphone, and settled into a genre of popular culture. Where people gathers around, there comes advertisement. That's the reason webtoon has become a way of advertisement. The general type of webtoon advertisement is banner advertisement. However, banner advertisement can only show limited information, and it cannot deliver vivid story of brand. It is natural that people think of a new way of advertisement called 'Brandwebtoon'. Brandwebtoon started to be provided at NAVER from 2008, and it was developed rapidly in 2014. There were many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cartoon, but now it is time to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advertisement. To use brandwebtoon strategically, this research was performed from the perspective of storytelling advertisement, and it detailed with study on types. The target of this research are the brandwebtoons which were published and completed at NAVER from 2008 to 2014. The analyzing was performed following two steps. At first, 6 types of storytelling advertisement are extracted by their format and contents with a study of literature research. And then, subject brandwebtoons are classified in these 6 categories. From this first step, it was able to understand general tendency of brandwebtoon. Secondly, sample webtoons are choose for each types, which classified from the first step. The sample webtoons are analyzed by analytic model which is designed with following 4 elements of storytelling(message, character, conflict, plot). From the second step, it was able to verify each types' and each elements' characteristic.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able to find out vignette drama advertising was the most general type, and original storytelling was more preferred than real storytelling. When it comes to parody storytelling, it is mostly based on existing original webtoon. When it comes to typical characteristic, it was memorable that there was no 'classical drama advertising + real storytelling'. 'New Trauma(신 트라우馬)' of Gwakbaeksu was the sample for 'classical drama advertising + parody storytelling', and 'Dreams, wing' was the sample for 'classical drama advertising +original storytelling'. 'Love is Auditions' was the sample of 'vignette drama advertising + real storytelling', 'Still it did not install?! NAVER Appstore!' was sample for 'vignette drama advertising + parody storytelling', and 'The distance between you and me 8.5' was the sample for 'vignette drama advertising + original storytelling'. In this day, internet is in charge of many roles that performed by TV, newspaper, or radio in the past. Advertisement is no exception. Advertisement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with this stream of times. This study has analyzed brandwebtoon, the brand new medium of advertisement, so it will be valuable to understand.

      • FDM 3D 프린팅으로 제작한 복합체 스캐폴드의 열처리에 따른 특성 연구

        윤나라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적층 가공방식인 3D 프린팅 기술은 기존의 절삭가공에 비해 시간적, 경제적 이점을 가지고 있어 기계, 전자, 예술,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현재 의료분야에서도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 중 이 며, 그 중 생체친화성 재료를 이용한 맞춤형 골 대체재의 개발이 있다. 골 대체 재는 골 결손이 일어난 부분에 지지체로 이식하여 골세포의 증식 및 성장을 돕 고, 체내에서 생분해가 일어나면서 골 재생을 돕는 의료 기기이다. 골 지지체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생체 적합성, 생분해성, 기계적 강도, 표면 특성과 같은 조 건을 만족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골 이식 재료의 제작과 관련하여 Polylactide(PLA)와 인산칼슘계 Hydroxyapatite(HAp)를 10 wt% 혼합한 복합 재료를 제조하였고, 3D프린터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직경 1.75mm의 필라멘 트로 제작하여 다공성 스캐폴드 형태로 출력하였다. 스캐폴드는 각각 60℃, 9 0℃, 120℃로 1시간 동안 열처리 하였다. 열처리 온도는 시차 주사 열량 분석 법 측정에 따라 유리 전이 온도, 결정화 온도, 용융 온도를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실험 결과 열처리 온도가 증가할수록 결정화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 고, 고분자가 결정화될 때 형성되는 라멜라 구조도 확인하였다. 기계적 특성은 압축 응력 측정에 따라 평가하였는데, 60℃에서 열처리 한 조건에서 가장 강한 압축 강도를 나타내었고 90℃와 120℃에서는 취성이 강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생체적합성 면에서 모든 시편이 비슷한 생체적합성을 보였으나, 60℃에서 열처 리를 한 시편이 세포 증식 및 기능 면에서 향상된 값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PLA-Hydroxyapatite 복합체 스캐폴드는 유리 전이 온도 이상 결정화 온도 이 하에서 열처리 할 때 기계적, 생체적 기능이 향상되며, 열처리를 통한 후가공을 골 결손 부위의 지지체 제작에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회상을 통한 콜라주 집단미술치료가 시설거주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윤나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회상을 통한 콜라주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함 으로 서 시설거주 노인의 자아통합 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종속변수는 자아통합 감이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상을 통한 콜라주 집단미술치료가 시설거주 노인의 자아통합 감 전체 점수에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회상을 통한 콜라주 집단미술치료가 시설거주 노인의 자아통합 감 하위요인인 과거‧현재에 대한 수용, 삶에 대한 태도 점수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의 대상자는 B시 S요양원에 입소한지 3년 이상 된 여자노인으로서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길 원하였던 노인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6명을 실험집단, 6명을 비교집단, 나머지를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회상을 통한 콜라주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에서는 회상을 통한 집단미술치료,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기간은 2010년 6월부터 9월까지, 주1회 한 회기당 60분씩 12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대상자에게 사용한 측정도구는 홍주연(2000)이 개발한 자아통합 감 질문지(부록Ⅰ)를 사용하였으며, 측정된 자료는 비 모 수 검정(Nonparametic Tests)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로 시설거주 노인들의 자아통합 감 전체 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회상을 통한 콜라주 집단미술치료는 시설거주 노인의 자아통합 감 검사지상의 자아통합 감에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본 연구로 시설거주 노인들의 자아통합 감 하위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회상을 통한 콜라주 집단미술치료는 시설거주 노인들의 자아통합 감 하위 요인인 과거‧현재의 수용, 삶에 대한 태도의 항목에서도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는 콜라주 집단미술치료가 시설거주 노인들에게 회상을 용이하게 하여 삶을 정리하여 수용하게 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회상을 통한 콜라주 집단미술치료가 시설거주 노인들의 자아통합 감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ollage through reminiscence oriented group art therapy on ego-integrity of the aged living in welfare facility. The dependent variable to measure in the research is ego-integrity, and specific issues are as follows; First, does collage through reminiscence oriented group art therapy affects overall score of ego-integrity of the aged living in welfare facility? Second, does collage through reminiscence oriented group art therapy affects the improvement of score about past-present life acceptance, and attitude toward one's life which are sub-factors of ego-integrity? The objects are 18 female volunteers who have lived for more than 3 years in S nursing home in B city. Each experimental group, comparison group, and controlled group consists of 6 objects. The collage through reminiscence oriented therapy was carried out to experimental group, therapy thorough reminiscence to compared group, and none to controlled group. The test was conducted from JUN 2010 to SEP 2010, once week, 60 minutes for every session, and 12 weeks total. The tools used to the objects were ego-integrity questionnaire(annexⅠ) which 'Hong, JooYeon(2000)' developed, and the measured data went through nonparametic tes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tudying the effect on overall score of ego-integrity of the aged living in welfare facility, collage through reminiscence oriented group art therapy made an improvement in ego-integrity according to questionnaire. Second, about the sub-factors of ego-integrity, the result has shown that collage through reminiscence oriented group art therapy made an significant improvement in elements of past-present life acceptance, and attitude toward one's life. This is because the collage group art therapy made the aged easy to reminiscence their life. Above results shows us that collage through reminiscence oriented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for improving ego-integrity of the aged living in welfare facility.

      • 소방공무원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DAS(Draw-A-Story)검사 반응특성 연구

        윤나라 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DAS검사의 반응차이를 알아보고, DAS검사의 경험적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소방공무원의 저탄력성 집단과 고탄력성 집단에 따라 DAS검사의 내용적 분석(정서내용, 자아상, 자기보고 점수)에 반응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소방공무원의 저탄력성 집단과 고탄력성 집단에 따라 DAS검사의 형식적 분석(공간사용, 세부사항 사용 점수)에 반응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소방공무원의 저탄력성 집단과 고탄력성 집단에 따라 DAS검사의 자극 그림 선택에 반응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하는 소방서에서 근무하는 남, 여 소방공무원 226명(남 200명, 여 26명) 중 탄력성 척도 점수를 기준으로 상위 20%에 해당하는 45명을 고탄력성 집단, 하위 20%에 해당하는 45명을 저탄력성 집단으로 선별하여 본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Reivich와 Shatté(2002)가 고안하여 우리나라 문화에 맞게 수정·번역한 김주환(2011)의 한국형 탄력성검사와 Silver가 고안한 DAS검사 유형 A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집단 간 DAS검사의 내용적 분석과 형식적 분석에 따른 탄력성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 실시 후 자극그림 선택의 차이에 따라 탄력성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 χ2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공무원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DAS검사의 내용적 분석에 해당하는 정서내용, 자아상, 자기보고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방공무원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DAS검사의 형식적 분석에 해당하는 공간사용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세부사항 점수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소방공무원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DAS검사의 자극 그림은 저탄력성 집단에서는 ‘공룡’ 그림을, 고탄력성 집단에서는 ‘면사포 쓴 여인’ 그림을 많이 선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자아탄력성에 따라 DAS검사의 반응차이를 보였으며, DAS검사가 소방공무원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변별하는데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우울과 관련된 심리적 위기에 처한 소방공무원을 초기에 예방하고 편안한 접근 방식으로 보다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상담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초기 면담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 영미단편소설을 이용한 Reading Journal 쓰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영어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나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영미단편소설을 이용한 저널 쓰기 활동 수업이 고등학생의 쓰기 능력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 살펴보고, 그 현장 적용 가능성과 교육적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비형준화 지역인 경기도 용인시에 소재한 B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 20명을 대상으로 리딩 저널 쓰기 수업을 4개월 동안 영어 재량시간을 이용하여 50분씩 총 10차시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 학생들의 흥미와 수준을 고려하여 O. Henry‘s Short stories 중에서 학생들에게 친숙한 작품인 The Last Leaf, After Twenty Years, 그리고 The Gift of the Magi 등 세 작품을 기본 텍스트로 활용하도록 하였고, 학생들은 읽은 내용을 바탕으로 자유롭게 저널 쓰기를 하였다. 그리고 연구 대상 학생들의 영어 능력이 전국 평균에 비해 많이 낮았고, 영어 쓰기에 대한 경험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1차시와 10차시를 제외한 총 8차시의 수업 전반 20여분 가량 학생들에게 영작문 작성을 위한 영어 쓰기에 대한 명시적인 지도를 하였다. 본 실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수업 전후에 쓰기 능력 평가가 행해졌고, 영어 학습 측면, 영어 쓰기 측면, 그리고 영미단편소설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쓰기 평가 결과와 설문 조사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전에 실시했던 심화 기초설문 조사에서는 영어 쓰기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고, 실험 후에 실시했던 자유 응답 분석 결과에서는 본 실험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과 의견이 많이 나옴으로써 영미단편소설을 이용한 리딩 저널 쓰기 활동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되기를 바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사전·사후에 실시한 영어 읽기, 영미단편소설, 영어 쓰기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 전반적인 영역에서 학생들이 흥미와 자신감을 갖게 되는 유의미한 긍정적인 태도의 변화를 보였다. 즉, 학생들의 수준과 관심에 맞는 영미문학작품을 이용한 리딩 저널 쓰기 활동은 영어 학습과 영어 쓰기에 대한 정의적 태도와 동기유발 면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셋째, 영미단편소설을 읽고 저널 쓰기 활동을 한 결과, 학생들의 쓰기 능력이 글의 내용, 구성, 문법과 어휘의 전반적인 면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영어 쓰기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거의 없는 학생들에게 8차시에 걸쳐 영어 글쓰기에 대한 명시적인 수업을 하였는데, 이를 통해 학생들이 영어 쓰기 규칙을 배우고 이를 적용하여 직접 영어 쓰기를 해봄으로써 영어 쓰기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능력을 함양했을 뿐만 아니라 리딩 저널 쓰기를 통해 직접 자신의 생각을 진정성 있게 글로 표현해볼 기회를 가졌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넷째, 학생들의 리딩 저널 분석을 통하여 주로 우리 주변에 있음직한 인물과 사건을 다루고 있는 영미단편소설이 다른 장르의 글과는 달리 학생들의 쓰기 능력에 있어서 내용과 표현의 측면에서 문학적인 표현력 향상을 가져왔으며, 학생들로 하여금 간접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타인의 삶과 비추어 자기 삶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하여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정신적 사고능력과 개인적인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영미단편소설을 이용한 리딩 저널 쓰기 활동 수업이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와 영미단편소설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면에서 긍정적인 태도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에 있어 전반적인 향상을 가져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습자의 수준과 관심에 맞는 영미단편소설을 이용한 리딩 저널 쓰기 활동이 우리나라와 같은 EFL 상황에서 영어 학습과 영어 쓰기에 대한 학습 동기를 증진시키고 동시에 학생들의 영어 쓰기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방안이라고 사료된다.

      • The anticancer drug TAK-733 inhibits inflammatory neointimal formation by suppressing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flammation in vitro and in vivo

        윤나라 가톨릭관동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AK-733은 새로운 선택적 MEK allosteric site inhibitor로써 다양한 암에서 그 항암 효과가 보고되어 있으나 심혈관계의 혈관세포에 대한 작용은 아직 밝혀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 저자는 심혈관평활근세포의 비정상적인 과증식에 대한 TAK-733의 보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혈압 및 만성염증의 유발에 중요한 호르몬인 안지오텐신 II를 사용하여 인체내의 상황을 모사하였으며 이 처리를 통해 심혈관평활근세포에서 과증식 자극을 유발하였고 백서에서 벌룬 카테터를 이용한 추가 자극을 통해 신생내막 증식을 유도한 뒤 TAK-733의 보호효과에 대해 관찰하였다. 세포수준의 실험에서 cell cycle assay, MTT assay, wound-healing assay등을 통하여 TAK-733이 인간혈관근세포에서 항증식과 항이주의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TAK-733의 항증식 효과는 평활근 세포의 세포자멸사 증가와 증식 속도의 감소에 기인한다. TAK-733의 항염증 효과는 혈관평활근세포에 대한 마크로파지의 부착정도를 확인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동물수준의 실험에서 TAK-733이 내피세포 손상에 의한 신생내막 과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intimal area 및 intimal area/media area의 면적 측정 등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동물실험 결과를 뒷받침하기 위해 H&E염색과 같은 조직학적 염색과 세포증식을 증명하는 PCNA, 혈관평활근세포의 마커 등을 이용한 조직면역학적 염색 등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TAK-733의 혈관평활근세포 증식 및 이주를 억제하는 항신생내막증식 효과를 증명한 것으로서 향후 재협착 및 동맥경화에 대한 새로운 치료약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 현직 중, 고등학교 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수준과 음악수업에 대한 교수불안

        윤나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PCK and of teaching anxiet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s article used the survey method and 93 in-service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nalysed based on frequency, one-way ANOVA correl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PCK was relatively high. As for ranking among subfields of PCK, ‘teaching ability’ had the highest value and ‘professional skill and knowledge’ had the lowest. This shows that while the level of in-service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ability to conduct music classes is perceived as high, the theoretical teaching capacity necessary for guidance of music subject is perceived as relatively lacking. And, ‘professional disposition (disposition as a professional)’ and ‘professional responsibility,’ two of PCK’s subfields corresponding to expertise, had the highest and lowest values among all components of PCK, showing contrasting results. That is, teachers who are highly passionate about music and diligently prepare for music classes did not always build amicable cooperative relations, and have smooth communication, with members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Second,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 in PCK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gender, teacher’s license-issuing institution, teaching career, concentration (specified major), level of school currently serving as teacher, location of school currently serving as teacher) of the entire subject of research showed that the general background did not greatly affect music teachers’ PCK. Contrary to the general expectation that existing teachers, with more experiences than beginning teachers, may have higher PCK level, this study showed it difficult to find detailed differences in PCK level according to teaching career. Third, the level of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teaching anxiety was lower than the average. Comparison between trait anxiety and state anxiety, subfields of teaching anxiety, showed that state anxiety, felt toward music teaching during performance of music activities, was higher than trait anxiety, felt toward music teaching during non-performance of music activities. ‘Professional responsibility,’ subfield of state anxiety,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nxiety and ‘nature of music,’ subfield of trait anxiety, showed the lowest level of anxiety. That is, it can be interpreted that in-service middle/high school music teachers, although having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inherent nature of music itself, have higher level of anxiety toward sense of responsibility and mission as music teacher. Fourth,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 in teaching anxiety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gender, teacher’s license-issuing institution, teaching career, concentration (specified major), level of school currently serving as teacher, location of school currently serving as teacher) of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showed no difference according to each element of the general background. This, same as in the result of the aforesaid PCK analysis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general background of the subject of research do not greatly affect the level of teaching anxiety Fifth, while music teachers with higher PCK level had lower level of teaching anxiety toward music classes, music teachers with lower PCK level had higher level of teaching anxiety. Examin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subfield and the variable showed that higher level of ‘professional skill and knowledge,’ among subfields of PCK, led to lower level of teaching anxiety and that higher level of anxiety toward ‘lecture,’ among subfields of teaching anxiety, led to lower level of PCK. Therefore, to heighten music teachers’ PCK level and lower their teaching anxiety, a systematic education to teach theoretical knowledge on music subject, learners,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and improve music skill has to be conducted at the level of teacher re-education or re-training, and music teachers’ teaching expertise needs to be enhanced through teaching consulting and teaching supervision. At a time when various musical abilities and teaching expertise of teachers are required, it seems meaningful to identify PCK of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trigger active future studies on PCK and teaching anxiety of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and that practical methods for high-quality teaching activities of music teachers will be explored.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 중·고등학교 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수준과 교수불안 정도를 알아보고 교수내용지식과 교수불안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에 따라 전국의 93명의 현직 중·고등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 중·고등학교 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 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교수내용지식의 하위영역별 순위를 살펴보면‘교수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문기술 및 지식’이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는 현직 중·고등학교 음악교사가 음악수업 수행능력 수준을 높다고 인식하는데 비해 음악 교과를 지도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교수역량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수내용지식의 구성요소 중 전문성에 해당하는 하위 두 영역인 ‘전문가적 기질’과 ‘전문적 책무성’은 교수내용지식의 모든 구성요소 중 최고치와 최저치를 나타내는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음악에 대한 높은 열정을 갖고 음악 수업을 성실히 준비하는 교사가 반드시 교육공동체 구성원들과 우호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는 것은 아니었다. 둘째, 전체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성별, 교원자격증 취득기관, 교직경력, 세부 전공, 현 근무지의 학교 급, 현 근무지의 소재지)에 따른 교수내용지식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일반적 배경에 따른 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초임 교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직경험이 풍부한 경력교사의 경우 교수내용지식을 높게 인식하고 있을 것이라는 생각과는 다르게 본 연구 결과 교직 경력에 따른 교수내용지식 수준의 세부적인 차이를 찾기는 어려웠다. 셋째, 현직 중·고등학교 음악교사의 교수불안 정도는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또한, 교수불안의 하위영역인 특성불안과 상태불안 비교결과 음악 활동을 하지 않을 때 느끼는 특성불안보다 음악활동 진행 도중 음악교수에 대해 느끼는 상태 불안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태불안의 하위영역인‘직업적 책임감’이 가장 높은 불안 정도를 보였고 특성불안의 하위영역인‘음악의 본성’이 가장 낮은 불안 정도를 보였다. 즉, 현직 중·고등학교 음악교사는 음악 자체의 고유한 특성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고 있지만, 음악교사로서의 책임감과 사명감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불안감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넷째, 현직 중·고등학교 음악교사의 일반적 배경(성별, 교원자격증 취득기관, 교직경력, 세부 전공, 현 근무지의 학교 급, 현 근무지의 소재지)에 따른 교수불안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각 일반적 배경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앞서 제시한 일반적 배경에 따른 교수내용지식 분석결과와 마찬가지로,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은 교수불안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교수내용지식 수준이 높은 음악교사는 상대적으로 음악 수업에 대한 교수불안을 낮게 형성하고 있는 반면, 교수내용지식이 낮은 음악교사는 상대적으로 높은 교수불안을 가지고 있었다. 각각의 하위 영역과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교수내용지식의 하위영역 중 ‘전문 기술 및 지식’의 수준이 높을수록 교수불안 정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교수불안의 하위영역 중‘강의’영역의 대한 불안 정도가 높을수록 교수내용지식의 수준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음악교육과 관련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 수준을 향상시키고 교수불안을 낮추기 위해서는 교사 재교육 차원에서 음악교과, 학습자, 교수학습, 평가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음악기술을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수업 컨설팅 및 수업 장학을 통한 음악 교사의 수업 전문성 제고가 필요하다. 교사의 다양한 음악적 능력과 수업 전문성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현직 중, 고등학교 음악 교사의 교수내용지식을 파악하는 일은 의미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진행될 연구들을 통해 현직 중·고등학교 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과 교수불안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며 음악교사의 질 높은 교수활동을 위한 실제적 방안을 모색하기를 기대한다.

      • 바렉터다이오드를 이용한 X-밴드 전압제어 발진기 개발

        윤나라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 VCO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has been designed and fabricated at X-band frequency. The design parameters are optimized through ADS simulation tool.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analysis of the implemented VCO based on the design parameters are accomplished. To tune the range of VCO, varactor diode has been connected at the tunable negative resistance in VCO. A VCO for enhancing the fundamental frequency 10.50G㎐~10.88G㎐ has been designed and fabricated in microstrip configuration on 0.508mm thick RT-duroid(ε=2.33) Teflon substrate. The frequency variations according to the voltage change 1~18V of varactor diode are from 10.50G㎐~10.88G㎐ and power level is 4.0~4.6dBm. The phase noise characteristics are -40.5dBc/Hz, -52.4dBc/Hz at 100KHz offset frequency. Developed VCO is expected to be used for local oscillator which is one of the main device of radar system.

      • 조리사의 고객지향성이 외식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윤나라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식음료 서비스업(Foodservice Business)으로 정의할 수 있는 외식업은 오늘날 매우 열악한 사업 환경에 놓여있다. 통계에 의하면 외식산업은 도소매업 조사의 산업 분류를 기준으로 폐업률이 23.8%로 가장 높았으며, 전체 산업평균 (13.2%) 과 비교하면 2배정도 높은 폐업률을 보이고 있다. 2016년 기준 신규 사업자가 약 19만명, 폐업신고가 약 17만명으로 신규 사업자 대기 폐업률이 90%이상으로 조사되었다.(외식산업연구원 ,2016) 외식업의 경우 진입장벽이 높지 않아 손쉽게 창업이 이루어지는 것도 문제이지만 기술과 경험만을 우선시하고, 경영과 운영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것이 실패의 큰 이유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창업전략보다는 경영전략의 적절한 작동이 외식업 경영의 성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에서 관련 연구를 하는 것은 시의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조리 분야에 종사 중인 조리사들이 고객지향성을 가지고 있을 때 레스토랑 서비스 이용자에게 더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효과적인 고객만족을 창출하고 지속적인 방문 이용을 유도해 장기적으로 기업이 생존하고 경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 것이다. 레스토랑을 이용하면서 생산자와 수요자 즉 조리사와 고객의 접촉을 통하여 고객이 원하는 욕구(NEED)를 빠르게 파악하며, 고객과의 공간에서 바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고객과 소통할 수 있는 구조는 레스토랑 경영의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레스토랑에 종사하고 있는 조리사들을 대상으로 응답자 특성과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고객지향성과 경영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나아가 서비스지향성이 고객지향성과 경영성과 간에 어떠한 매개와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도출된 정의를 토대로 설문 항목을 구성하였으며, 사전조사를 통하여 다각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분석하였다. 가설 검증에 따른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리사의 고객지향성은 서비스지향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검정에서는 정보의 전문성, 커뮤니케이션, 공간 근접성, 집단관심 4개의 요인 모두 서비스지향성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친밀감에서는 서비스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이 미치지 않았다. 둘째, 조리사의 고객지향성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검정에서는 정보의 전문성, 집단 관심이 유의한 정(+)의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서비스지향성은 고객지향성과 경영 성과의 관계에 매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검정에서는 정보의 전문성, 커뮤니케이션, 공간 근접성, 집단 관심이 유의한 정(+)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친밀감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리사의 고객지향성에 있어서 고객과의 친밀감은 경영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다른 하위 요인들 모두 채택되었기 때문에 고객지향성은 기업의 입장에서 경영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서비스지향성 또한 경영 성과와 부분적인 인과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보아 조리사들의 고객지향성이 높아질수록 경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본 연구는 조리사의 고객지향성이 경영성과의 인과관계를 갖고 서비스지향성은 고객지향과 경영성과간의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외식기업의 중요 경영기법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새롭게 추가한 변수인 “집단관심”이 매개변수와 종속변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The closure rate of restaurant business is 23.8%, which is twice that of the industry average (The Kyunghyang Shinmun, 2018). In the restaurant business, entry barriers are not high, and the ratio of new entrepreneurs is high. The biggest problem is that most entrepreneurs prioritize their own skills and experience and overlook the importance of business operation and management. To be successful, cooks must improve management performance by combining quality of service elements with technical elements that can satisfy customers in a contact space with custom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a way in which chefcustomer orientation can provide long-term management results by providing more efficient service to restaurant customer and inducing continuous use. The correlation between chef customer orient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and how service orientation influenced management performance. In addition, as a sub-factor of customer orient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direct influence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catering companies by setting information expertise, intimacy, communication, spatial proximity and interest of group.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of the study, questionnaire item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definition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After multiple preliminary surveys, a survey was conducted for 11 days from November 3, 2019 to November 13, 2019 for empirical analysis. A total of 258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workers in hotels, private restaurants and group meals in Seoul. A total of 219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for 39 samples with insincere responses and outlier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were used to identify the study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validity and suitability, and reliability analysis of the items constituting factors through Cronbach’s alpha was conducted.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major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rvice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orient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As a result, irrespectiv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expertise, communication, spatial proximity and group interest of information except for intimacy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customer-oriented influence on management performanc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verifying the importance of customer-oriented and service-oriented in the rapidly changing food industrial eco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