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도재용착주조관용 Ni-Cr Free 합금의 재사용에 따른 금속과 도재간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유지희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nd compare property of bonding strength for non-precious alloy castings without containing Beryllium, which is used repeatedly for econemical reson. Currently being used material without containing Beryllium Ni-Cr non-precious alloy Vera Bond 2V (AlbaDent, Inc. USA), Alphaloy (alpha Dent. KOREA), T4 (Ticonum.USA) and ceramic powders using the Noridake Super Porcelain EX-3 porcelain powder was selected for this study. Bond strength of porcelain and metal universal testing machine(Houndsfield, England)to measure using the three point bending flexural test were perform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Alphaloy, once the highest average value was used whe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Duncan test results used once and repeated three times, showed that the difference was used. 2. Vera Bond 2V, the average time to time have used the highe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3. T4, the average time to time have used the highest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and Duncan test results used once and repeated three times using and repeated five times different times shows that use. In conclusion, forward this beryllium does not contain non-precious alloy for how should use a more systematic study and for future advanced research is performed giving effect to be considered desirable. 본 연구는 유해물질인 Beryllium이 포함되지 않은 몇 종의 Ni-Cr 합금의 반복 주조 사용 시 도재와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실험을 계획하였다. 현재 사용되어지는 비귀금속 합금으로 Beryllium이 포함되지 않은 Ni-Cr합금으로 Alphaloy(알파덴트. KOREA), Vera Bond 2V(AlbaDent, Inc. USA), T4(Ticonum.USA)를 사용하고 도재 분말은 Noritake Super Porcelain EX-3 porcelain powder 를 사용하였다. 도재와 금속의 결합강도 측정을 위해 만능시험기(Houndsfield, England)를 사용하여 3점 굴곡시험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Alphaloy 경우 , 한번 사용 했을 때가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검정 결과 한번 사용과 3번 반복 사용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Vera Bond 2V 경우, 한번 사용 했을 때가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T4 경우 ,한번 사용 했을 때가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검정 결과 한번 사용과 3번 반복 사용, 5번 반복 사용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론으로 앞으로 Beryllium이 포함되지 않은 Ni-Cr 합금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가에 대한 전략수립과 향후보다 체계적인 연구결과를 위해 진전된 연구가 시행됨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되어진다.
리뷰기반 선호도 모델링을 활용한 재제조 고려 설계 프레임워크
A Framework of Design for Remanufacturing Using Review-Based Preference Modeling YOU, JI-HEE Department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primarily aims at enhancing the long-term market preference for products, i.e., their sustainable use, in a context where the importance of a circular economy is being emphasized.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needs of various consumer groups, including early adopters, considering the remanufacture and sale of products through online reviews. From the reviews, we derived 'importance' by combining the 'mention rate' of attributes and their 'correlation' with ratings, as well as achievement through ratings. In doing so, we understood the needs of consumer groups divided over a certain period from the product's launch date. Additionally, we proposed a product design optimization framework that considers the 'total manufacturing cost', taking into account the cost of attributes to be remanufactured alongsid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roduct, and the expected sales cost, among other things. We conducted a case study applying the proposed framework to online smartphone reviews. By comparing a model designed considering remanufacturing with a model that only reflects the needs of initial buyers without considering remanufacturing, we confirmed an increase in net profit in the former case. A design that does not consider remanufacturing selects high-specification attributes to receive good evaluations from initial consumers. However, if we reflect the needs of later consumers considering remanufacturing, we can discover attributes that do not greatly vary in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and we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without undermining the evaluation of all consumers. We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cluding limitations. Through this study, we hope to assist producers considering the collection and production of remanufactured products, as well as those in the field of circular economy and sustainable product development. 리뷰기반 선호도 모델링을 활용한 재제조 고려 설계 프레임워크 유지희 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순환경제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상황에서 제품의 지속 가능 한 사용, 즉 시장에서의 장기적인 선호도 향상을 최종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제품의 재제조 판매를 고려하여 초기 소비자를 비롯한 이후 시기 의 소비자군의 속성별 니즈를 온라인 리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리뷰에서 는 속성의 ‘언급 비율’ 및 별점과의 ‘상관도’를 조합한 ‘중요도’와 별점을 통한 성취도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제품 출시일로부터의 일정 기간으 로 나눈 소비자군 별 니즈를 파악하였다. 또한, 제품의 제조 비용과 더불어 재제조 될 속성의 비용을 고려한 ‘전 체 제조 비용’, 예상 판매비용 등을 반영한 제품 설계 최적화 프레임워크 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프레임워크에 스마트폰의 온라인 리뷰를 적용한 케이스 스터디 를 진행했다. 재제조를 고려하여 제품을 설계한 모델과 재제조를 고려하 지 않고 초기 구매자의 니즈만 반영한 모델을 비교하여, 전자의 경우에 순이익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재제조를 고려하지 않은 설계는 초기 소 비자에게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 특정 속성을 고사양으로 선택하게 된 다. 하지만 재제조를 고려하여 후기 소비자들의 니즈를 반영하게 된다면 사양에 따른 평가가 크게 다르지 않은 속성을 발견하고 전체 소비자의 평가를 저해하지 않는 선에서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한계점을 포함 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제품을 수거하여 재제조품 생산을 고려하는 생산자 및 순환 경제와 지속 가능한 제품 개발 분야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수원국의 관점에서 본 정보통신기술 공적개발원조(ICT ODA) 배분 결정 요인
유지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22 국내석사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의 배분에 있어서 어떤 수원국이 ICT ODA를 많이 받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ICT의 발전은 첨단기술의 도입과 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담보하므로 거시적으로 경제 성장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국민 개개인 삶의 질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 ICT는 그 자체로서도 중요한 발전 목표가 될 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의 발전이나 빈곤 퇴치 등에 있어서 효과적인 수단으로 기여할 수 있어 개발과 발전에 있어서 범 분야이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로 선진국에서 개발도상국의 발전을 위해 주는 중요한 금융적 차원의 자원 이전인 ODA에 있어서 ICT는 그 비중이 매우 작고 수원국 간의 편차도 심하다. 지속가능발전에 있어서 ICT ODA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실제 ICT ODA로 분류되는 ODA는 많지 않다. 그래서 수원국의 어떤 요인이 ICT ODA 수원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 질문으로 정하고, 어떠한 요인이 ICT ODA 수원에 영향을 끼치는지 수원국의 관점에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로 분석하였다. 먼저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DAC 수원국 중 110개국을 대상으로 양적 연구를 하였다. ICT ODA 규모와 전체 ODA 중 ICT ODA가 차지하는 비중을 종속 변수로 설정하고 경제 발전 수준, 정부 발전 수준, 송금 규모, 동형화를 각각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여기에 인구와 소득 수준을 통제 변수로 하여 고정효과모형으로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분석 결과 4가지 가설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연구 대상을 10년간 누적 총액이 100만 달러 이상인 63개국으로 축소하여 추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경우 정보 통신 인프라와는 음의 관계로, 송금 규모와는 양의 관계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르완다와 방글라데시 개별 사례 분석을 통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사례분석 결과에서도 수원국의 특정 요인이 ICT ODA 수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수원국에 제공된 ICT ODA 사례를 분석한 결과로는 수원국의 환경이나 특정 요인보다는 ICT ODA를 제공하는 공여국의 의사가 더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첫째로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ODA를 제공하는 공여국의 관점이 아닌 수원국의 관점에서 ICT ODA를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둘째로는 ICT ODA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수원국의 입장과 필요가 ICT ODA 배분 결정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ich recipient countries have been provided with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s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The development of ICT significantly affect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 living standard as well as the one’s economic growth as it guarantees the introduction of state-of-the-art technologies and the development of industries. Moreover, ICT is known as a cross-sectoral issue since not only it can be a critical development goal itself but also i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for socioeconomic growth and poverty reduction. However, ICT only accounts for a very small portion of the ODA which is an important financial resource transferred to developing countries for development and in a sustainability manner.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hich factors affect recipient countries on ODA, particularly on the ICT sector. First, the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110 recipient countries for 10 years from 2011 to 2020. The size of ICT ODA and the proportion of ICT ODA among all ODA we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and the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the level of government development, remittance, and isomorphization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ly. Based on the variables, a pane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fixed effect model. Howev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ll four hypotheses did not confirm a significant correlation. Hence, further analysis was conducted reducing the study subjects to 63 countries which have received the accumulated amount of ODA more than 1 million dollars over the same perio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ize of ICT ODA correlates with some variable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size of remittance and ICT infrastructure have a positive effect and a negative effect on the size of ICT ODA, respectively. In addition, in order to back up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research, the additional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case studies in Rwanda and Bangladesh. However, even in the case study, it was difficult to find out specific factors of the recipient countries which have a significant effects on the size of ICT ODA. The case studies rather discover that the intention of donor countries providing ICT ODA is more important than the needs of recipient countries. This study has two significant aspects. First, this study examined ICT ODA in the perspective of recipient countries unlike the existing research that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the allocation of ODA from the perspective of donor countries that provide ODA. Second, it is believed that meaningful implications can be provided for the policy establishment of ICT ODA in the future so that the effectiveness of aid can be maximized by focusing on the needs of recipient countries in determining the allocation of ICT ODA.
Sergei Rachmaninoff 가곡 op. 38의 연구 및 분석
유지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라흐마니노프 (Sergei Vasil'evich Rachmaninoff, 1873-1943)는 세기의 전환기에 러시아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 중 한 사람이다. 급격한 시대의 변화와 새로운 음악어법의 등장 속에서 그의 음악은 그 시기 다른 작곡가들의 작품과 달리 전통적인 낭만주의적 양식을 기초로 하였다. 이러한 그의 음악적 특징으로 인해 그의 작품에는 낭만주의에 기초한 아름다운 선율, 풍부한 화성적 색채와 조성진행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그의 음악은 오늘날 대중적으로 연주되고 사랑 받는 레퍼토리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본 논문은 라흐마니노프의 가곡「Six Songs Op.38」“Ночью В саду у меня (어두운 밤 나의 정원에서)”, “К ней (그녀에게)”, “Маргаритки (데이지꽃)”, “Крысолов (쥐잡이꾼)”, “Сон (꿈)”, “АУ! (아우)” 에 대한 연구 분석이다. 이 곡들은 문학과 음악의 뛰어난 조화로 작곡되어 시의 내용에 충실하고, 서정적인 표현과 더불어 웅장하고 화려한 러시아적 요소도 함께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것을 바탕으로 「Six Songs Op.38」를 세분화하여 연구한 결과를 요악하면, 제 1곡 “Ночью в саду у меня”은 러시아의 대표적인 상징주의 시인 이사악키안의 시 사용으로 흐느끼는 듯한 피아노 선율과 성악 선율의 조화를 이루고, 박자표를 사용하지 않아 리듬상의 자유로운 느낌을 주고 있다. 제 2곡 “К ней”은 연인을 기다리는 마음을 그린 노래로 빈번하고 급격한 전조를 통해 후기 낭만주의의 특징인 풍부한 화음과 음색을 표현하였다. 제 3곡 “Маргаритки”은 선율에 반음계 진행이 많고 트릴과 꾸밈음의 사용으로 이 곡의 화려함을 음악적인 요소로 보여주는 특징이 있다. 제 4곡 “Крысолов”은 과장적인 시를 통해 고독감과 풍자적인 에로티시즘을 강조한 노래이다. 곡에 나타나는 반주의 빠른 속도감과 반음계적 진행이 음악적 효과를 높이고 있다. 제 5곡 “Сон”의 낭만적인 선율은 ‘꿈’에 대한 동경과 열망을 나타내며 선율리듬에 3연음 중심으로, 반주에서는 거의 모든 마디에 지속음이 사용되고 있다. 제 6곡 “АУ!”는 6개의 가곡 중 음성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Op. 38 중에 빠르기의 변화가 잦은 곡이다. 라흐마니노프는 유명한 피아니스트였으며, 피아노곡으로 잘 알려져 있는 작곡가이다. 하지만 그의 가곡 작품 역시 피아노 곡 못지않은 아름다움과 독특한 개성을 가지고 있다. 83곡의 그의 가곡 작품과 합창곡은 그의 음악세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으며 시와 노래. 피아노의 조화는 서정적이고 애수 어린 작곡가의 음악적 특징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Rachmaninoff (Sergei Vasil'evich Rachmaninoff, 1873-1943) is one of the composers who are representative of the Russian music at the turn of the century. Amid the changes with the sudden times and the emergence of a new musical grammar, his music was based on the traditional romantic-liberal form, unlike the works of other composers at that time. Be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of his music, beautiful romantic melodies based on romanticism, rich harmonic colors, and composition progression. This allowed his music to be established as the repertoire loved by the public today. In line with this, this study mainly deals with Op.38 “Ночью В саду у меня (In My Garden at Night)”, “К ней (To Her)”, “Маргаритки (Daisies)”, “Крысолов (Ratcatcher)”, “Сон (A Dream)”, “АУ! (Ah-Oo).” This work is the one played as part of the performance for the author’s graduation. This work consisting of a total of 6 pieces is faithful to the content of the poem as the songs were composed with an exceptional blend of literary and music In this work, lyrical expressions are inherent along with Russias magnificent and colorful elements. To sum up the results of his songs by refining them based on the above findings, “Ночью в саду у меня” No. 1 shows the harmony of sobbing-likely piano melodies and vocal melodies by using the poem of Isakian, one of Russian representative poets in symbolism. This song gives us a free feeling in rhythm with the time signature not used. “К ней” No. 2 is a song where ones’ feeling of waiting for a lover has been expressed. It attempted to express rich harmonies and voices,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late romanticism, through frequent and rapid prognostics. “Маргаритки” No.3 is a lovely song to sing flowers. This song is a romantic song whose completeness has been made further in Rachmaninoff's musical techniques Especially, this piece features the frequent chromatic melodic progression in melody and the use of trills and ornaments to express the splendidness as a musical element. “Крысолов” No. 4 is a song composed to emphasize the loneliness and satirical eroticism through exaggerated poetry. The fast speed and chromatic progression of the accompaniment appearing in this song enhances musical effects. The romantic melody in “Сон” No. 5 expresses to the admiration and desire for ‘Dream’ In accompaniment, drones are used in almost measures centered around 3 notes. “АУ!” No. 6 is a song where the change of tempo is frequent to maximize the voice effect, compared to other five pieces. Rachmaninoff was a famous pianist and a well-known composer for a number of his piano pieces. But his songs also have their beauty and unique personality as much as his piano pieces. His songs consisting of 83 pieces and choral works play an important role in his musical world. In addition, the harmony between poetry and songs represents the musician’s musical characteristics, which are lyrical and melancholy.
브람스 후기작품의 음악적 특징 연구 : <클라리넷 소나타 제1번, Op. 120> 1악장을 중심으로
German-born composer Johannes Brahms is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the 19th century Romantic Era. He has left numerous masterpieces in various genres including piano works, symphonies, songs, concertos and chamber music. In particular, chamber music plays a big part in his work. He left behind 24 chamber music pieces in his lifetime which did not actively use wind instruments. While string instruments are frequently used for chamber music, Brahms used only clarinet and horn among many wind instruments. There are four chamber works including clarinet; Clarinet Trio, Op. 114, Clarinet Quintet, Op. 115, and Clarinet Sonata No. 1, 2, Op. 120. Clarinet Sonata No. 1, Op. 120, which is covered in thesis, is a work completed by Brahms in his late years, adhering to the traditional Sonata form with four movement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oretical background, the author first examines the composer's life and musical characteristics and examines the late and disability theories behi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Brahms' late years. Based on this, the first movement of Clarinet Sonata No. 1, Op. 120 will be analyzed to examine the meaning of exceptional and unique features featured in the late Brahms works. The 1st Movement of Clarinet Sonata No. 1, Op. 120 shows musical features based on the late and disability. The sudden deterioration of health and the absence of loved ones cause changes in the musical atmosphere. Unlike before, simple and concise points are revealed in the first movement, which is motivated by events that caused Brahms' physical changes and mental shocks beyond the alienation or depression that humans generally feel as they approach death. Beyond the understanding of the igneous and structural features of ordinary Brahms music, it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the work by closely identifying the situation faced by composer at a particular time based on late-style. It also aims to give the performer an in-depth understanding and idea of the work through various interpretation of the Clarinet Sonata composed by Brahms in his late years. 독일 출생의 작곡가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는 19세기 낭만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이다. 그는 피아노 작품, 교향곡, 가곡, 협주곡, 실내악 등 다양한 장르에 수많은 걸작을 남겼다. 특히 그의 작품에는 실내악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는 평생 24개의 실내악 작품을 남겼는데 특이하게도 관악기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현악기를 사용한 다양한 편성의 실내악 작품이 있는 것에 반해 브람스는 수많은 관악기 중 클라리넷과 호른만을 사용하였다. 클라리넷을 포함한 4곡으로 <클라리넷 삼중주, Op. 114>(Clarinet Trio, Op. 114),<클라리넷 5중주, Op. 115>(Clarinet Quintet, Op. 115), <클라리넷 소나타 제1, 2번, Op. 120>(Clarinet Sonata No. 1, 2, Op. 120)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클라리넷 소나타 제1번, Op. 120>은 브람스가 말년에 완성한 작품으로 전통적인 소나타 형식과 4악장 구조를 고수하고 있다. 저자는 이론적 배경의 구축을 위하여 작곡가의 생애와 음악적 특징을 먼저 관찰하고 브람스 말년의 음악적 특징의 배경이 되는 후기이론과 부조이론에 대하여 모색해본다. 이를 바탕으로 <클라리넷 소나타 제1번, Op. 120> 1악장을 분석하여 브람스 후기 작품에 등장하는 예외적이고 독특한 특징의 의미를 고찰한다. 브람스 <클라리넷 소나타 제1번, Op. 120> 1악장에는 후기이론 및 부조이론에 의거한 음악적 특징들이 곳곳에 등장한다. 갑작스러운 건강 악화와 사랑하는 사람들의 부재는 그의 작품에서 다양한 음악적 변화를 가져왔다. 이전과는 다르게 단순화, 간결화 되는 음악적 표현들이 1악장 곳곳에 드러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죽음에 도달하면서 일반적으로 인간이 느끼는 사회로부터의 소외감이나 우울증을 넘어, 브람스가 겪었던 신체적인 변화 및 정신적인 충격을 주었던 사건들이 동기가 된다. 일반적인 브람스 음악의 화성 및 구조적 특징의 이해를 넘어서 후기 스타일 음악에 입각한 특정 시기에 작곡가가 처한 상황을 면밀히 파악하는 것으로 작품의 이해를 넓힌다. 또한, 브람스가 말년에 작곡한 클라리넷 소나타에 대한 다양한 해석 가능성의 제공을 통해 연주자에게 작품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아이디어를 주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말초 혈관 질환의 유병률 및 위험 인자 분석
배경: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말초 혈관 질환의 유병률과 위험 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2009년 2월부터 7월까지 서울아산병원 당뇨병센터를 내원한 외래 환자 중 ABI 검사를 시행한 제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 열람을 통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말초 혈관 질환은 ABI 검사 결과 0.9 이하인 경우로 정의하여 대상 환자들 중 말초 혈관 질환이 있는 환자군을 선별하고, 정상 ABI 검사 결과를 보인 환자들 중에서 환자군과 나이와 성별을 일치시킨 대조군을 선정하여 두 군의 임상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결과: 총 대상 환자 2,002명 중 ABI 검사 결과가 0.9 이하인 말초 혈관 질환자는 64명으로 전체 대상 환자 중 3.20%를 차지하였다. 말초 혈관 질환이 있는 군과 없는 군을 비교하였을 때 수축기 혈압, 중성지방, 흡연력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다변량분석 결과 수축기 혈압,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 대혈관 합병증의 과거력 등이 말초 혈관 질환에 대한 독립적인 위험 인자였다. 결론: 우리나라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말초 혈관 질환의 유병률은 3.20%로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다.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말초 혈관 질환의 발생을 낮추기 위해서는 혈당 조절 외에도 고혈압, 고지질혈증, 흡연 등의 여러 위험 인자들의 조절이 반드시 필요하다.
유지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최근 디지털 혁신으로 IT분야뿐만 아니라 전 산업 분야로 성큼 다가온 AI 시대에 맞춰 특정 분야를 막론하고 인공지능(AI) 기술 도입은 불가피한 시대가 되었다. 특히 포화된 음악 서비스 산업 분야에서의 인공지능 기술은 서비스 경쟁력을 위해 이런 변화의 물결에 따라 지속적으로 고도화되고 있다. 음악플랫폼에서 중심 서비스로 부상 중인 인공지능 서비스는 음악플랫폼 소비자들에게 큐레이션 서비스, 음성인식 기술, 인공지능 스피커와의 연동 등 현재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기능을 알아보고 각 음악플랫폼 별 특징적인 인공지능 서비스 현황과 이에 대한 소비자의 고객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은 실제 음악플랫폼을 이용하고 있는 소비자 370명을 대상으로 음악플랫폼의 인공지능 서비스 품질에 대한 고객만족도를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서비스 품질 측정 도구인 SERVQUAL 모델을 이용하여 5가지의 측정 차원인 신뢰성, 반응성, 공감성, 확신성, 유형성을 음악플랫폼 인공지능 서비스에 맞게 재구성 한 16가지 항목에 대하여 크론바하 알파 계수로 신뢰도를 증명하였다. 또한 요인분석을 통해 독립변수인 서비스 품질과 종속변수인 고객만족도의 관계의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5가지의 독립변수가 고객만족도에 직접적인 관계를 증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는 유형성, 신뢰성, 공감성이 고객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서비스는 음악플랫폼에서 안정적으로 제공이 되고 있지만 인공지능 서비스가 음악플랫폼 소비자들에게 사용 가치가 있는 서비스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음악플랫폼의 소비자들이 어떤 이유들 때문에 인공지능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지, 해당 기능의 한계점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로 음악플랫폼 인공지능 서비스 품질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멀티미디어 학습자료 유형에 따라 학습용 에이전트의 제스처와 얼굴표정이 의인화 효과, 인지효율성, 시선응시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는 멀티미디어 학습 환경에서 학습 자료의 유형에 따라 학습용 에이전트의 제스처 유형과 얼굴표정의 유무가 의인화 지각, 인지효율성, 시선응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학습용 에이전트의 제스처 유형(지시적 제스처, 대화적 제스처, 제스처 없음)과 얼굴표정 적용 유무(표정 있음, 표정 없음)에 따른 3×2 요인설계가 적용되었으며, 학습 자료의 유형에 따라 텍스트형 자료와 그림형 자료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이 검증을 통해서 학습용 에이전트의 적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기저가 사회적 상호작용에 근거한 것인지 아니면 시각적 주의집중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에 근거해서 학습용 에이전트의 작용과정을 설명하는 경우에는 학습용 에이전트가 학습내용과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연결시키는 사회적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에 근거해서 학습용 에이전트의 효과를 설명하게 된다면 에이전트에 의한 주의분산효과가 발생하고 있음을 간과할 수 없게 된다. 학습용 에이전트의 적용효과를 시각적 주의집중을 유도하는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된다면, 학습용 에이전트에 의한 주의분산보다는 제스처와 같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인지적 차원에서 중요한 안내를 제공하고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형 자료와 그림형 자료를 구분해서 가설을 검증했는데, 텍스트형 자료와 그림형 자료의 기본적인 속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차원의 검증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자는 학습용 에이전트를 얼마나 사람처럼 지각 했는가 이다. 이를 위해 의인화 효과 설문을 실시했다. 둘째, 학습용 에이전트의 제스처와 얼굴표정이 학습자의 효율적인 인지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이다. 이는 인지부하요인 설문과 학습 성취 검사를 실시하여 인지효율성 지수를 추출했다. 셋째, 학습자의 주의집중 정도를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자료에 대한 검토를 위해 시선 추적을 통해 시선응시시간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텍스트형 자료에서는 얼굴표정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림형 자료에서는 제스처가 없는 것보다는 대화적 제스처를 적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자료가 혼재된 경우라면 표정이 있으면서 대화적 제스처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세 가지 함의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얼굴표정도 사회적 상호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중요한 인터페이스 요소라는 점과 둘째, 대화적 제스처가 지시적 제스처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자료의 유형에 따라 학습용 에이전트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학습용 에이전트를 설계 할 때는 자료의 유형에 따라 표정과 제스처를 적절하게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학습용 에이전트와 학습자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학습에 긍정적 효과를 일으킨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뷰티의료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피부과 고객 중심으로
유지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피부과 고객중심으로 뷰티의료서비스품질이 고객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에 답한 303명의 결과지를 토대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 교차분석(Descriptive Statistics)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성분분석법(Principle Component Analysis),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연구 대상자는 여성과 20대가 가장 많았고, 피부과의 정보는 SNS를 통해 가장 많이 얻었다. 현재 다니고 있는 피부과를 선택한 이유는 의사의 전문성과 직원의 서비스 만족이 가장 높았고, 직원 서비스에 만족했을 때 피부과 1회 평균 비용도 올라갔으며, 지속이용의도와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뷰티의료서비스 인적서비스품질, 물리적 환경, 결과품질은 신뢰도 및 만족도, 피부과 지속이용의도, 피부과 구전의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으며, 인적서비스품질의 전문성 ,반응성은 신뢰도에 영향을 주고 반응성, 공감성, 고객지향성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물리적 환경의 유형성은 신뢰도 및 만족도, 피부과 지속이용의도,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변수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피부과를 이용한 이후의 결과품질은 상호작용과 고객지향성이 신뢰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 상호작용이 만족도에 차이를 주는 것, 고객지향성이 피부과 구전의도에 영향을 주고, 고객정보품질, 상호작용, 고객지향성이 피부과 지속이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뷰티의료서비스 만족도는 피부과 지속이용의도, 피부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변수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피부과 지속이용의도가 높아질수록 피부과 구전의도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원들이 고객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내방에서 시술 후에까지 지속적인 관심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병원은 고객과의 라포형성 및 보다 나은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직원들에게 동기부여를 제공하고 CS교육 등 업무에 관한 교육을 주기적으로 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구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직원들은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성장할 수 있고, 병원은 교육제공으로 전문가를 배출한다면 고객은 직원들을 신뢰하고 만족도가 상승되면서 이탈고객은 최소화하고 재진고객의 확보로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가 직원교육의 프로세스를 구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find out a influence of beauty and medical service quality on a customer satisfaction and a behavioral intention, focused on a dermatology outpatient both male and female who lived in Seoul, Korea. A survey participants were 303 patients and the entir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sing the frequency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s, the descriptive statistics, the factor analysis,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one way Anova, th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jority of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female and 20s, and they got the information of a dermatology hospital through SNS mostly. The reasons why they have chosen the dermatology hospital where they visit currently were the dermatologist's expertise and a staff's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and it was high response rate. The analysis findings show that when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staff's service, an average cost of dermatology hospital also increased, and found that the patient satisfaction affects the intent of a continuous use and word of mouth. A quality of human service, a physical environment, and a quality result of he beauty and medical servic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liability, satisfaction, a intent of continuous use, and word of mouth for the dermatology hospital. It shows that both professionalism and responsiveness affected reliability, and responsiveness and empathy, and customer orientation had an impact on satisfaction. Tangibles of physical environments were identified as having the greatest impact on the variables of reliability, satisfaction, a intent of continuous use, and word of mouth. The quality result after visiting a dermatology hospital shows that inter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liability, that interaction makes a difference in satisfaction, that customer orientation affects word of mouth, that quality of feedback after service, inter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intent of a continuous use. Additionally, the result shows that a satisfaction level of the beauty and medical service has the greatest impact among the variables of the effect on the intent of a continuous use, and word of mouth, and that the higher the intent of a continuous use of dermatology hospital, the higher the intent of word of mouth. The result of study shows that in order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all staff should strive to have customers with thoughtful consideration when the customer came to see a doctor but also after the treatment, and make every endeavor to provide the services, which the customer wants to have, through continued interest. Moreover, it is required that the hospital needs to establish a process to establish rapport with customers and to provide the staff with motive for making an effort to impress the customers, and is needed to provide a regular training on work including CS education.If that happens, employees of hospital could grow through a systematic curriculum, and that would be the start of a virtuous circle. For example, if many experts work at the hospital, customers will put their trust in the staff or the hospital and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will be high. Then, it is estimated that the hospital will have a competitive edge by minimizing the number of customers who leave because of service dissatisfaction, and securing customers who wants to use this service continuously. Hence,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s data for establishing the employee training process at the hos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