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안보목적 수출통제에의 GATT 국가안보 예외조항 적용 연구

        유지윤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국가 간 경제적 상호의존성 강화로 인한 전략적 위협의 우려가 국제사회에 확산되었다. 국가들이 경제적, 기술적 우위를 활용해 타국에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첨단기술 발전, 경제영역에서 국가 안보 중요성 확대와 함께 개별 국가의 수출통제 남용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국가가 자국의 안보를 이유로 일방적으로 특정 물자의 수출을 통제하는 조치를 부과하는 경우 WTO규범의 의무와 충돌해 다자간 무역질서의 혼란을 야기한다. 다만 WTO규범의 예외 조항은 국가 안보를 목적으로 하는 조치를 정당화 할 수 있다. 이에 WTO 회원국은 통상 분쟁에서 자국의 안전보장을 위해 수출통제를 부과하였다고 주장할 가능성이 상당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출통제에 대한 국가안보 예외조항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다. 먼저 국가들 간 합의체인 다자간 수출통제체제와 주요국의 법제를 통해 수출통제의 주요 쟁점을 살펴본다. 그리고 GATT 제21조의 조문과 판례를 통해 국가안보 예외조항의 판단 기준을 분석한다. 특히 WTO 패널은 동조의 객관적 요소 충족 여부를 확인한 뒤 주관적 요소를 살피는 판단 기준을 제시해 수출통제 조치 판단에 이러한 기준의 적용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객관적 요소는 제한적으로 해석되어 첨단기술 관련 물자의 수출통제가 이에 해당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안보 이익의 성격을 고려할 때 예외 적용 여지가 있다. 한편 주관적 요소에 대한 패널의 신의성실 원칙에 따른 판단이 변화하는 국제통상환경에서 판단기준으로서 불명확함을 확인한다.이러한 검토를 통해 패널이 제시한 국가안보 예외조항 판단 기준에 한계가 있음을 밝히며 오늘날 국가들이 활용하는 안보목적 수출통제 조치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판단 기준 마련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1(HIV-1) envelope 당단백질의 구조적, 기능적 특성의 분석

        유지윤 翰林大學校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envelope glycoprotein is a struturally and functionally complex integral membrane protein that play a number of important roles in virus infection. Envelope is synthesized as a polyprotein precursor, gp160, which is cleaved during transport into gp120 and gp41 subunits. The external gp120 subunit is noncovalently associated with gp41 and is responsible for binding virus to CD4 molecules which serve as the cellular receptor. The gp41 subunit is anchored in the membrane by virtue of a hydrophobic transmembrane domain. Following specific receptor binding, the envelope glycoprotein presumably undergoes a conformational change and initiate fusion between the viral envelope and the target cell through the action of the fusion domain of the gp41 molecule. Gp120 is easily shed from the virus during its purification from virus culture medium and the gp41 transmembrane protein, because of its hydrophobicity, is difficult to recover during purification. The unprocessed gp160 precursor protein is not normally secreted into the medium of cell cultures. The study of these proteins in their native form has been hampered by these properties. Hence, we used envelope wild type vector(pCMV-env(W.t)) and envelope mutant vectors that one is mutated at gp120-gp41 cleavage site by oligonucleotide directed mutagenesis(pCMV-env(508-511)), another is mutated gp120-gp41 celavage site as well as the transmembrane domain(pCMV-env(508-511/687-689)). These mutants were transfected and expressed into COS-1 cells. We analized of envelope glycoproteins expressed in the COS-1 cells. pCMV-env(508-511) produced a noncleaved form of envelope glycoprotein. pCMV-env(508-511/687-689) expressed mutant envelope glycoproteins that are secreted into the cell culture medium in the form of soluble gp160 precursor. While the formation of numerous large syncytia was observed when the COS-1 cells expressing wild type envelope glycoprotein were cocultivated with CD4^(+) T cells, none of the cells expressing mutant envelope glycoproteins formed syncytia with CD4^(+) T cells. Expression and production of mutant envelope glycoproteins that shed soluble gp160 into the cell culture medium may be useful for studies aimed at understanding the biologic and immunologic properties of the HIV-1 envelope glycoproteins.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HIV-1)의envelope 당단백질은 바이러스의 감염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세포막에 끼워져 있는, 구조적 기능적으로 복잡한 단백질이다. envelope은 처음에 전구체 상태인 gp160으로 합성되고, 세포내에서 이동하면서 gp120과 gp41으로 나눠지게 된다. 외부에 있는 gp120은 gp41과 비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cellular receptor로서 작용하는 CD4 분자에 바이러스가 부착하게하는 역할을 한다. Gp41은 hydrophobic transmembrane domain에 의해 세포막에 끼워져 있는데, specific receptor binding이 일어나면, gp41의 fusion domain의 작용에 의해 바이러스의 envelope와 표적 세포간의 융합을 시작한다. Gp120은 정제시 shedding 되어 배양액 내로 쉽게 떨어져 버리고, gp41은 소수성 특징 때문에 분리하기가 어렵다. 또한 전구체인 gp160은 보통 세포밖으로 분비되지 않으므로 정제 하기가 어렵다. 이것은 자연상태의 envelope의 특성을 연구하는데 장애가 되었다. 따라서, 우리는 envelope만을 발현할수 있는 벡터와, oligo-nucleotide direct mutagenesis에 의해 cleavage site를 변이시켜 세포에 끼워져 있는 전구체 모양의 envelope가 발현되는 벡터, transmembrane domain에 변이를 만들고 cleavage site와 이중변이를 일으켜 envelope가 전구체로 배양액으로 분비되게 만들어지는 벡터를 이용하여 동물세포인 COS-1에서 발현시켰다. 발현된 envelope 당단백질을 확인하기위해 western blot이나 immunoprecipitation을 수행하였다. 여기에서 envelope 당단백질은 gp160의 전구체로 세포막에 끼워져서 발현이 되었거나 수용성의 gp160의 전구체로서 발현이 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발현된 envelope 당단백질의 기능적 특징을 알아보기위해 syncytium formation assay를 하였다. 발현된 wildt ype의 envelope는 CD4^(+) 세포를 다핵세포로 형성할 수 있었으나, cleavage site가 변이를 일으킨 2가지 변이종들은 형성할수 없음이 나타났다. 또한, immunofluorescence를 통해 세포에서 발현되고있는 envelope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 휴머노이드 영유아 교실에 대한 교사의 인식

        유지윤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4차 산업혁명이 발달하면서 창의 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과정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교육부와 보건복지부에서는 개정 누리과정(2019)과 4차 표준보육과정(2020)을 구성하였고, ‘아동 중심의 놀이를 통한 배움’을 강조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은 4차 산업혁명의 인재상에 거의 부합하지만 교육 내용에 있어 디지털 매체를 통한 놀이 교육은 미흡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휴머노이드 영유아 교실에서 인공지능 로봇 놀이를 영유아에게 제공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인터뷰를 통해 놀이에서의 영유아들의 놀이 진행과 발달 변화를 살펴보아 디지털 놀이 매체로서의 가치성을 판단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또, 인공지능 로봇 놀이의 효과성과 놀이 지속을 위한 보완점, 놀이를 제공하는 교사가 가져야 할 자세에 대하여 교사들의 현실적인 답변을 분석함으로써 영유아 미래 교육을 위한 실질적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어린이집 보육현장에서 인공지능 로봇 놀이에 대한 인식과 평가는 어떠한가”에 대한 연구 질문을 제기하였다. 또한 이 연구 질문은 세분화하여 다음의 하위 질문을 구성하였다. 첫째. 휴머노이드 교실에서 영유아들의 인공지능 로봇 놀이는 어떠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는가? 둘째. 교사들은 인공지능 로봇 놀이가 영유아들에게 어떠한 발달을 돕는다고 인식하고 있는가? 셋째. 교사들이 인식한 인공지능 로봇 놀이의 효과성과 보완점은 무엇이며, 놀이를 제공하는 교사들은 어떠한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시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시행하는 ‘2022년 어린이집 휴머노이드 지원사업’에 참여한 어린이집 중 연구 참여에 응한 기관에서 휴머노이드를 이용한 교실의 담임 선생님 4명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총 14문항의 질문을 실행하여 얻은 면담 내용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3개의 상위범주와 10개의 하위범주로 구분된 내용으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는 인공지능 로봇 놀이를 자신의 수준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놀이 하였으며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하였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로봇 놀이가 디지털 놀이 매체로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인공지능 로봇 놀이를 경험한 영유아는 누리과정이 제시하는 신체운동‧건강, 사회관계, 의사소통, 예술경험, 자연탐구 영역에서 개별적 특성에 맞게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즉, 인공지능 로봇 놀이는 영유아 발달에 적절한 놀이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인공지능 로봇 놀이는 미래지향적이고 다양한 창의성을 구현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 연결, 영유아의 발달에 맞춘 기능의 보완 및 분리, 인공지능 놀이 관련 교사 교육 강좌 개설 등을 통해 영유아 미래 교육을 발전시켜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서 무엇보다 교사들이 인공지능 놀이에 열린 마음을 갖고, 적극적으로 연구해야 한다. 열정을 갖고 미래 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향상시킨다면 교사 자신도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 인재로서 거듭날 것이다. 본 연구는 휴머노이드 영유아 교실을 운영하는 교사의 인공지능 로봇 놀이에 대한 인식을 통해 4차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이 제시하는 모든 영역에서의 영유아 발달을 알아봄으로써, 인공지능 로봇 놀이의 교육 가치성을 제안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인공지능 로봇 놀이의 효과성과 보완점 제시, 인공지능 로봇 놀이를 대하는 교사의 자세 제안을 통해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맞는 영유아 교육의 방향성을 안내했다는 데에 연구적 의미가 있다. 나아가 4차 산업 혁명으로 생겨난 다양한 매체들 또한 영유아의 놀이에 접근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evelops, changes in the curriculum are being demanded to nurture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re emphasizing 'learning through infant-centered play' by organizing the Revised Nuri Curriculum (2019) and the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2020). The human being that this curriculum aims to target is generally the same as the person sought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research is needed because digital media play education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nee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 robot play recognized by teachers. For this,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a teacher who observed infant and toddler play using humanoids. In addition, through interview analysis by teachers, we tried to propose a realistic direction for future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This study raised research questions about ‘What is the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AI robot play in daycare centers?’. And then, The sub-questions for the study questions are: First, How did infants and toddlers pla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AI) robots in the humanoid classroom? Second, Are teachers recognizing that playing with AI robots can help infants and toddlers develop? Third, What do teachers perceive as the advantages and complementary point of AI robot play? then, what attitude should teachers have to study AI robot play?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4 teachers at daycare centers who participated in ‘2022 Daycare centers Humanoid Rental Project’ conducted by Seoul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developed by Glaser and Strauss (1967) was applied to analyze the interviews, and the result of material collection and analysis yielded 3 higher topics and 10 lower topics. The yielded higher topics are ‘Teachers' perception of infant and toddler-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play’, ‘Developmental changes in infants and toddlers perceived by teachers in AI robot play’, ‘Directionality of AI robot play for infants and toddlers perceived by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Infants and toddlers actively played with AI robots according to their own development level. It means that AI robot play is suitable as a digital play medium. Second, Infants and toddlers who play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grew up individually in all areas presented in the Nuri Curriculum. In other words, it has been confirme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play is an appropriate play for infant and toddler growth. Finally, AI robots are future-oriented play media that embody crea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 future educ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This requires troubleshooting Internet connectivity, Complementing the functions of AI robots tailored to the growth of infants and toddlers, the opening of AI Play Lectures and Education for Teachers. Above all, teachers should be open-minded and positively study in AI play. If teachers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with passion, they too will become creative talents that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nts. Through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the educational value of AI robot play was proposed. In addition, it has research significance in that it has suggested a direc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suitable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the various media tools that appeared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approached as infant and toddler play.

      • 그림책을 활용한 환경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환경보전지식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지윤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환경 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환경 보전 지식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C시에 위치한 G초등학교 1학년 1개 학급 23명을 연구 집단으로, 다른 1개 학급 23명을 비교 집단으로 선정하였고 연구 집단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환경 교육을 실시하고 비교 집단에는 일반 환경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환경 보전 지식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대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환경 교육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환경 보전 지식을 향상 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문해력이 약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에게 그림책이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물·공기·흙의 보전 및 쓰레기 재활용에 관련된 이해도를 증진시켜 이와 관련된 환경 지식이 향상되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환경 교육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환경 친화적 태도를 향상시켰다. 인지적·정의적·행동적 영역으로 나누어 환경 친화적 태도를 분석한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환경 교육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의 연구 집단의 환경 친화적 태도가 영역별로 모두 향상되었으며 이는 그림책을 활용한 환경 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환경 친화적 태도를 향상 시키는데 영향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셋째, 그림책을 활용한 환경 교육에 대한 참여 학생(23명)의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연구 집단 학생들 중 87%의 학생들이 그림책을 활용한 수업에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역시 87%의 학생들이 수업이 흥미로웠다고 답했다. 그리고 96%의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답했다. 그림책을 활용하여 자연스레 환경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으며 흥미와 관심을 그림책 속에서 발견하여 쉽고 재미있게 환경 교육과 연계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림책을 활용한 수업에 있어 학생들의 만족도, 흥미도, 참여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그림책을 활용한 환경 교육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환경 보전 지식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고, 이는 그림책을 활용한 환경 교육을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현장에 적극 활용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코로나19 시기 보건교육 활성화 방안 : 고등학생 감염병 예방 교육 중심

        유지윤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보건 과목이 필수 과목으로 포함되고 보건교사가 이를 교육할 수 있도록 학교와 교사가 역량을 갖추도록 하는 방안을 찾는 것을 그 주요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를 위해 그 해당 내용이 감염병 예방중심이며 그것이 고등학교 교육에 있어 왜 필수적 요소로 자리해야 하는지를 밝히는 데도 목적을 둔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고등학교 감염병에 대한 현행 보건교육의 특성을 파악한다. 2. 코로나19 시기의 감염병 예방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나아갈 방향을 점검한다. 3. 코로나19 보건 수업 주제 선택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ensure that health subjects are included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as mandatory subjects and that schools and teachers are competent so that health teachers can educate them. It also aims to clarify why the content is centered on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and why it should be an essential element in high school education. The specific research goals according to this are as follows. 1.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health education for high school infectious diseases. 2.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check the direction of progress. 3. We propose a COVID-19 health class topic selection program.

      •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유지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second language self by drawing out narratives on the personal experiences as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used narrative inquiry research method as a main research method because narrative inquiry i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to research in terms of respecting, understanding, and exploring experience as an approach to studying human life, so that it can derive the most in-depth meaning of experiences. Specifically, based on the design of narrative inquiry, the research was conducted cyclically in the process of ‘Being in the Field’, ‘From Field to Field Text’, ‘From Field Text to Intermediate Research Text’, and ‘From Intermediate Research Text to Research Text’. A total of six foreig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selected during the preliminary interviews and the first interview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ing their second language self based on a relatively similar learning experience. The field text was collected main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he intermediate research text was reviewed with the study participants to form the final research text. The implications of their second language self change experiences in the participants’ narratives were implicitly constructed using the metaphors ‘For a new journey’, ‘Meeting myself in a strange place’, ‘Floating after losing one's paddle’, ‘Sending a signal’, and ‘Unfinished voyage’. ‘For a new journey’ means an experience that has led research participants' lives to new experiences while meeting their own second language selves. The participants had high expectations and goals when they first learned Korean and entered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just like boarding a ship for a new journey. ‘Meeting myself in a strange place’ is an experience where participants face a new Korean language self in a strange place―a graduate school in Korea. The participants felt strange about the new place because there were more foreigners than they had imagined, and there were fewer practical classes than they had expected. ‘Floating after losing one's paddle’ means that the participants lost their paddle of Korean language, which had previously determined the direction of the ship and created motivation in their lives, thus losing their goals and powers in the graduate school process. It was influenced by the fact that it was not easy to become a Korean language teacher even after graduating from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ending a signal’ means that the participants continue to try to interact outside to find a breakthrough in their own way, instead of drifting away from what was expected. Participants in this study have tried their own experienc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uch as finding suitable friends or using the Internet to find Korean language learners outside graduate schools, making textbooks or teaching classes. ‘Unfinished voyage’ means that participants have found the potential to move forward in the future after their graduate experience of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lthough they once had a difficult time and lost their way, their new experience in a strange place has broadened the horizon of research participants' lives, and although they have not found a clear destination or goal, they can find a wide range of possibilities that they can go anywhere through their paddle of Korean language. Discussions ab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s personal just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fe experiences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ultimately it was time for me to reflect on my own graduate school experiences as well as their lives. Some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looked back on their graduate school experience and thought about how to proceed. This has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lives of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s. The practical justification is that through the voice of the participants, we can understand them and their lives deeply. The study participants are member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sometimes the highest level of learners, and sometimes the beginner level Korean language pre-teachers.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s purpose is to train Korean language teachers, helping foster more specialized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future. If they can understand the new features found in the experiences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they can adapt to the appropriate educational environment. Finally, it is social justification. With foreigners coming to Korea steadily flowing into the university, the micro approach to overseas students, or attempts to understand them as individuals, is still in a fairly weak stage. In particular, there is a lack of in-depth research to underst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ho came to learn Korean as a profession. This problem-consciousness means that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focused on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masters' degrees with a limited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discussed in-depth their experiences with Korean language self.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in-depth the process of the second language self change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rough this, we could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econd language self change experience they had. This will contribute to a more detailed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self change in foreign graduat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그들의 생생한 이야기 속에 담긴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 퍼즐은 첫째,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이 어떠한지 탐구한다’, 둘째,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탐구한다’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는 인간의 삶을 연구하는 접근법으로 경험을 존중하고, 이해하고, 탐구하기 때문에 연구 참여자가 가지고 있는 경험의 의미를 가장 심도 있게 이끌어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에 가장 적합한 연구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내러티브 탐구의 탐구 설계에 따라 ‘연구 한가운데로 들어가기’, ‘현장에서 현장 텍스트로’, ‘현장 텍스트에서 중간 연구 텍스트로’, ‘중간 연구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로’의 과정을 순환적으로 거치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비교적 유사한 학습 경험에 따른 제2언어 자아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예비 인터뷰 대화와 1차 인터뷰 대화에서 한국어교육을 전공하는 외국인 대학원생 중 석사 과정을 졸업 또는 수료하였으며 졸업 후에도 한국에서 몇 년 간 한국어와 관련된 일을 할 계획을 가진 대학원생 총 6명을 선정하였다. 주로 심층적인 인터뷰 대화를 통해 현장 텍스트를 수집하였으며, 중간 연구 텍스트를 연구 참여자들과 함께 검토하여 최종 연구 텍스트를 구성하였다. 한국어 자아의 변화 경험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 속에서 발견한 그들의 경험의 의미는 ‘새로운 여정을 위한 승선’,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 ‘노를 잃고 표류하다’, ‘무전을 보내다’, ‘끝나지 않은 항해’라는 비유를 통해 함축적으로 구성되었다. ‘새로운 여정을 위한 승선’은 한국어를 만나면서 연구 참여자들의 삶을 새로운 경험으로 이끌었던 경험을 의미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여행을 위해 처음 배에 오를 때처럼 한국어를 처음 배울 때와 한국어교육전공 대학원에 입학했을 때 높은 기대감과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는 연구 참여자들이 한국의 대학원이라는 낯선 곳에서 새로운 자신의 한국어 자아의 모습을 직면하게 된 경험을 의미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상상했던 것과 달리 한국인보다 외국인이 더 많은 점과 실습 수업이 생각보다 적은 점 등으로 인해 새로운 장소를 낯설게 느꼈다. 또한 타인에게 저평가를 받는 경우와 한국어 수준이 모어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과거 자신의 영어 자아와 비교하는 경우에 한국어를 사용하는 또 다른 나의 모습을 마주하게 됐다. ‘노를 잃고 표류하다’는 연구 참여자들이 삶에서 이전까지 배의 방향을 결정하고 동기를 만들어주었던 한국어라는 노를 잃어버린 채 표류하는 것으로 연구 참여자들이 대학원 과정에서 한국어 관련 목표와 동력을 잃고 무기력해 하는 경험을 의미한다. 이는 모호하고 높게 설정된 한국어 이상 자아와 한국어교육전공을 졸업한 뒤에도 한국어 교사가 되는 것이 쉽지 않다는 현실에 영향을 받았다. ‘무전을 보내다’는 연구 참여자들이 기대했던 것과 다른 상황에서 표류하는 데 그치지 않고 나름대로 돌파구를 찾기 위해 바깥으로 상호작용하려는 시도를 나타낸다. 연구 참여자들은 마음이 맞는 동료를 찾거나 인터넷을 활용해서 한국어 학습자를 대학원 밖에서 직접 찾은 뒤, 교재를 만들거나 수업을 하는 등 한국어교육과 관련된 경험을 스스로 시도해 나갔다. ‘끝나지 않은 항해’는 연구 참여자들이 한국어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원 경험 속에서 앞으로 미래에 나아갈 가능성을 찾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상하고 기대했던 것과 다른 상황을 만나 어려움을 겪고 방황한 적도 있었지만 결국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난 새로운 경험은 연구 참여자들의 삶의 지평을 넓혀 주었고, 분명한 목적지나 목표를 찾은 것은 아니지만 한국어라는 노를 통해서 어디로든 갈 수 있다는 다양한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게 됐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논의는 내러티브 탐구의 개인적 정당성, 실제적 정당성, 사회적 정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먼저, 개인적 정당성이다. 외국인 대학원생의 삶의 경험에 대한 이해라는 이 논문의 목적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연구자는 그들의 삶뿐만 아니라 연구자 스스로의 대학원 경험을 돌아보고 성찰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연구 참여자 중에는 자신의 삶에 대해 누군가가 대신 자서전을 써 주는 것 같아서 좋았다고 말한 사람도 있었고, 자신의 대학원 경험을 되돌아 보면서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면 좋을지 고민해 보는 기회가 될 수 있었다는 사람도 있었다. 이처럼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삶에 변화를 가져온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교육에 전달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 즉 실제적 정당성은 연구 참여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그들과 그들의 삶을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어교육전공의 구성원으로서, 어느 때는 가장 높은 수준의 학습자이기도 하고 어느 때는 이제 막 시작 단계인 한국어 교사, 예비교사이기도 하다. 한국어교육전공은 한국어 교사를 양성하는 목적을 지닌 전공으로서 구성원에 해당하는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경험을 통해 그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교육 목표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경험에서 발견된 새로운 점들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교육환경을 맞추어 나갈 수 있게 된다면, 앞으로 더욱 전문적인 한국어 교사들을 양성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정당성이다. 한국으로 유학 오는 외국인들이 꾸준히 대학으로 유입되고 있는 가운데 유학생들에 대한 미시적 측면의 접근, 즉 그들을 한 개인으로서 이해하려는 시도는 아직까지 상당히 미약한 단계에 있다. 특히 앞으로 한국어를 가르칠 것을 직업으로 삼고자 배우러 온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들에 대한 이해를 위한 심층적인 연구도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처음으로 한국어교육전공이라는 한정적인 전공의 외국인 석사과정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그들이 한국어와 함께 지나온 경험들을 심층적으로 논의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제2언어 자아가 변화하는 과정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그들이 가지고 있는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로써 외국인 대학원생들이 가지는 다양한 한국어 자아 변화 경험을 보다 자세하고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대학도서관 외국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유지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국제화 추세에 따라 앞으로 대학도서관을 이용하는 외국인 이용자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외국인 이용자가 경험하는 도서관불안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외국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서관불안에 관한 기존 연구는 대학도서관에서의 도서관불안을 연구하였으나 외국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국인 대학원생 및 외국인 전임교원을 대상으로는 처음으로 도서관불안 수준 및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도서관불안 해소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도서관불안의 이론적 개념 및 주요 도서관불안 요인을 정리하고, 국내외에서 수행된 대학도서관의 도서관불안 연구를 심층적으로 비교 분석한 후, 설문조사 분석에 기초하여 대학도서관 불안 완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대학도서관을 이용하는 외국인 이용자`로 외국인 학생에 한정하지 않고 외국인 전임교원 및 연구원도 포함하여 다각적으로 도서관불안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도서관을 선정하기 위해 교육부에서 발간한 2018년 대학교육통계 및 각 대학에서 2018년에 발표한 통계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외국인 이용자 수가 많은 대학을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대학캠퍼스에서 외국인 학생 및 연구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표본추출로 수행되었다. 설문조사는 외국인이 많은 평일 저녁 및 주말 낮 시간대에 실시하였다. 또한 외국인 전임교원을 대상으로 동일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369부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설문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도서관 이용 특성에 관한 문항을 빈도분석 하였고, 언어 및 문화적 특성과 관련된 문항의 평균점수를 계산하여 한국어 실력 및 한국문화 이해도를 파악하였다. 둘째, 도서관불안 문항의 신뢰성 검정을 실시하고, 도서관불안 점수를 도출하였다. 셋째, 성별 및 도서관 이용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도서관불안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수행하였다. 넷째, 신분, 국적, 도서관 방문목적, 도서관 방문빈도에 따라 도서관불안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한국어 실력 및 한국문화 이해도와 도서관불안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여섯째, 도서관불안 완화 방안과 관련된 문항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응답 빈도분석 및 다중응답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일곱째, 서술형 문항을 분석하기 위해 단어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대학도서관 외국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의 전체 평균점수는 2.96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국인 이용자는 영역별 도서관불안 점수를 비교하면 `도서관에 대한 지식'으로 인한 불안감울 가장 많이 느끼고, `기계적 장벽' 측면에서는 가장 낮은 불안감을 보였다. 둘째, 성별에 따라 도서관불안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였으나 전반적으로 도서관불안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신분에 따라 도서관불안 수준에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 `정서적 장벽'으로 인한 도서관불안 영역에서 전임교원이 도서관불안을 적게 느끼는 편이고, 그 다음으로 대학원생, 대학생 순으로 도서관불안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적에 따라 도서관불안 수준에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 전반적으로 오세아니아 이용자가 높은 도서관불안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이용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도서관불안 수준에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 이용교육에 참여한 이용자가 이용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이용자보다 `도서관에 대한 지식'으로 인한 도서관불안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방문목적 참여 여부에 따라 도서관불안 수준에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 `디지털도서관으로 인한 장벽' 측면의 도서관불안은 방문목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식을 위해 도서관을 방문한 이용자가 `디지털도서관으로 인한 장벽' 측면의 도서관불안을 가장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방문 빈도가 높을수록 도서관 환경에 익숙해지고 정보 탐색 과정에 대한 지식이 증가하여 도서관불안감이 감소할 것으로 추정하였으나 방문빈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외국인 이용자의 한국어 실력과 도서관불안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한국어 실력이 좋을수록 도서관불안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도서관에 대한 지식' 영역, `직원으로 인한 장벽' 영역, `언어적 장벽' 측면의 도서관불안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외국인 이용자의 한국문화 이해도와 도서관불안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한국문화에 대해 적응을 잘 할수록 도서관에 대한 불안감을 적게 느끼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정서적 장벽', `직원으로 인한 장벽', `언어적 장벽', `디지털도서관으로 인한 장벽' 측면의 도서관불안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도서관 외국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 관련 서술형 응답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에 대해 느끼는 감정을 파악하기 위해 서술형 문항에 대한 이용자 응답을 분석한 결과 한 가지 이상의 불안감을 표현한 이용자가 50%, 도서관에서 불안함을 느끼지 않고 편안하게 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46.2%로 나타났다. 단어빈도 분석을 통해 도서관에 대해 느끼는 감정을 분석한 결과 도서관에 대한 부정적 감정표현으로는 혼란스러움, 어려움, 위협적임, 제한적임, 복잡함, 불편함, 황당함, 성가심 등의 감정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술형 문항에 대한 이용자 응답을 분석한 결과 외국인 이용자는 도서관에 대한 지식 측면, 도서관 홈페이지 이용 측면, 의사소통 측면, 외국어 자원 측면, 도서관 규정 측면, 도서관 공간구성 및 규모 측면에서 도서관불안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술형 문항에 대한 이용자 응답을 분석한 결과 외국인 이용자는 도서관 안내, 도서관 홈페이지, 도서관 이용교육, 도서관의 인적 요소, 도서관 시설 및 환경, 도서관 자원, 도서관 규정과 관련된 도서관불안 완화 방안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에서 외국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을 완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도서관 홈페이지의 영문 콘텐츠를 강화한다면 도서관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도서관 홈페이지의 일부 공지 및 정보가 한국어로만 되어 있어 이해하기 어렵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서관 전반적으로 영문 안내를 강화한다면 도서관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외국인 이용자는 직원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영문 도서관 안내가 없는 경우 혼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국인 이용자를 위한 도서관 이용교육을 확대한다면 도서관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외국인 이용자는 도서관 이용교육에 관심이 있으며 특히 외국인 대학원생은 도서관 이용교육에 관심이 많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외국인 학생을 위한 `도서관 버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도서관불안을 경감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외국인 학생들은 보다 친밀한 서비스를 원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생 자원봉사자를 모집하여 외국인 학생이 도서관에 적응하는데 적절한 도움을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외국인 이용자를 위한 리에종 사서를 배치한다면 도서관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분석 결과 외국인 이용자는 언어적 장벽으로 인해 사서와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외국인 이용자 도서관 자문위원회를 설립하여 외국인의 의견을 적극 수렴한다면 도서관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외국인 이용자들이 어려움을 호소하는 부분은 한국인 이용자와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외국인 이용자의 시선으로 도서관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일곱째, 외국인 이용자들이 도서관 내부에서 길을 잘 찾을 수 있도록 적절한 안내를 제공한다면 도서관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분석 결과 외국인 이용자는 도서관 공간구성에 익숙하지 않아 혼란을 느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덟째, 외국인 이용자를 위한 소그룹 투어를 제공한다면 도서관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소그룹 투어를 통해 도서관 공간에 대한 친밀감을 강화하고 보다 개인화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아홉째,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외국어로 된 자원을 확대한다면 도서관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외국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을 경감시켜 도서관 이용을 활성화한다면 외국인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고 외국인 교원의 연구경쟁력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Universities are focusing on internationalization, and the number of international users using academic libraries is expected to increa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library anxiety among international users and make suggestions for helping international users reduce their library anxiety levels. While few studies have explored library anxiety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there are not many studies which have investigated library anxiety of international user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library anxiety among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and professors and in Korea and provide suggestions for helping international users coping with their library anxiety. To that end, this study defined library anxiety and antecedents of library anxiet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comparatively analyzed research on library anxiety at academic librari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analyzed the questionnaire responses of international users to provide suggestions to alleviate the effects of library anxie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library anxiety of international users at academic libraries including international professors and researchers. University with most international students was selected for the study based on Korean Educational Statistics and University Statistics released in 2018. Data through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o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campus and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selected. An online questionnaire was also distributed to international professors. The 369 data gathered through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ibrary usage, and the average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cultural understanding was calculated. Second, the library anxiety scale was then submitted to a test of internal reliability, and the overall average of library anxiety was calculated. Third, t-tests wer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brary anxiety for gender and library instructions. Fourth, a un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alysis(ANOVA) was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brary anxiety for status, nationality, reasons for using the library, and frequency of library visits. Fifth,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trength of a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roficiency and library anxiety.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trength of a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understanding and library anxiety. Sixth,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multiple answer questions. Seventh, wor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open-ended survey responses. A library anxiet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urvey data, and the results are given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average of library anxiety among international users is 2.96. `Knowledge of the library' appears to be the greatest source of library anxiety among international users while `mechanical barriers' showed relatively low library anxiety averages. Second,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the level of library anxiety among international users across all dimensions of library anxiety. Third, library anxiety associated with `Affective Barriers' dimension appeared to decline linearly as a function of the year, with undergraduate students reporting the highest levels of library anxiety, followed by graduate students, and, lastly by professors. Fourth, a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brary anxiety among users from different countries. Findings revealed that users from Oceania reported higher levels of library anxiety than others. Fifth, findings revealed that international users who participated in library instructions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library anxiety associated with `Knowledge of the library' dimension than did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library instructions. Sixth, a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brary anxiety for reasons for using the library. Findings revealed that users who visit the library to relax reported highest levels of library anxiety associated with `Digital library Barriers' dimension. Seventh, although it is expected that frequent library visit would build confidence in library users' ability to discover and use resources, the analysis indicate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frequency of library visits and levels of library anxiety. Eighth,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Korean proficiency and library anxiety suggest that international users fluent in Korean experience less library anxiety in terms of `Barriers with staff', `Knowledge of the library', and `Language barrier'. Ninth,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ultural understanding and library anxiety suggest that international users familiar with Korean culture experience less library anxiety in terms of `Affective Barriers', 'Barriers with staff', `Language barrier', and `Digital library Barriers'. An analysis of open-ended survey response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are given as follows First, the result reveals that 50% of the users experienced some form of anxiety while 46.2% of the users comfortably use the library. The word frequency analysis result shows that users described their feelings as confused, hard, bad, intimidated, difficult, restrictive, complicated, inconvenient, ridiculous, and troublesome. Second, the result suggested that international users experience library anxiety in terms of knowledge of the library, library website, communication, resources, library policies, and physical space of the library. Third, the result revealed that international users make suggestions on library information, library website, library instructions, human resources, library facilities and environment, library resources, and library policies.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help alleviate library anxiety among international users as follows. First, adding English website contents can help alleviate library anxiety because according to results of the survey international users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notice and information only written in Korean. Second, providing detailed guidelines in English can help alleviate library anxiety becaus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international users get confused when they can neither find guidelines nor get assistance. Third, offering more library instructions for international users can help alleviate library anxi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international users, especially graduate students, are interested in library instructions. Fourth, developing a Library Buddy Program can help alleviate library anxi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international students want informal services. Recruiting student volunteers and supporting international students can be helpful. Fifth, liaison librarians for international users can help alleviate library anxi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international users have a difficult time communicating with librarians due to the language barrier. Sixth, organizing a library committee for international users and gathering feedbacks can help alleviate library anxiety. Since international users face different types of problems,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library from different perspectives. Seventh, providing wayfinding signs for international users can help alleviate library anxi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international users get confused because they are not familiar with library space. Eighth, offering a small group tour for international users can help alleviate library anxiety. A small group tour carries with it a certain personal intimacy and provides personalized service. Ninth, expanding library collections in foreign languages can help alleviate library anxiety. Alleviate library anxiety to attract more international users to the library will help international students and international professors achieve more.

      • '흥미존중교육'에 내재된 흥미개념 분석

        유지윤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looks over the different approaches to the 'interest - based education" method and analyzes the concept of interest sheikh is the foundation of the pedagogy to draw out the real meaning of interest when the children's active participation is the main focus in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where interest is approved. the children must be taught by their own psychological interest or that effort should be put in finding all means to draw their attention in order to teach valuable and meaningful lessons. But these two statements cannot be perceived as an appropriate method concerning the fact that the children should take the main tole in the procedure of acquiring knowledge. This is because the firmer method does not discuss about teaching knowledge and the latter focused too much on the means that the children are more interested the means rather than the knowledge they are supposed to learn through the means. Theses perspectives conceive interest as positive attention or preference man possesses towards certain objects. Since these perspectives use only those that draw children's interest as a means for teaching, the reaction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student cannot be accounted for. From the perspective where interest is opposed to, education is conceived as arousing the interest of children in valuable or worthwhile activity, in other words knowledge. As so, it is argued that interest that is irrelevant to the curriculum does not need to be concerned about. However, this view condones the importance of bringing up ideas to draw the children's interest from the irrelevant object to the curriculum and focusing on the children's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Learning will remain a task requiring patience and training to children if no effort is made in connecting the children's interest and curriculum. One point common between the two views opposing and approving interest, is that both perspectives accept the dualism point of view concerning curriculum and the mind. According to the two point of views, interest refers to the attention that children show towards objects that exists separately from their minds. Since the two perspectives focus only on the psychological side, the children's heart, or the social side, the curriculum, the function of the learning material to the mind is not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in the education ideology for child, interest is conceived as to continuously have children participate. Interest is the condition when the curriculum and the heart becomes one through action. In other words, it refers to when the children perceive that the curriculum is useful in continuous action and keep on participating in learning. This can be referred to as the pedagogy in which the child is made to understand the usefulness of objects. Showing that curriculum activities have something to do with accomplishing goals and linking the knowledge underlying the object and the children's hearts can be said to be the most appropriate pedagogy. It can be so because as long as the child's heart and the curriculum has becalm one, the child can understand the action for accomplishing his or her own goal when they perform useful action. It can be concluded then, that the true meaning of interest-based education is organizing curriculum according to the present experience, need, and ability of the children and have the children understand the its relation with the meaningful material. Interest-based refers to having the children understand that the curriculum contents are not irrelevant to the useful values they use in accomplishing their own goals. 본 논문은 교육이론 속에서 ‘흥미존중’ 원리에 대한 여러 가지 이해방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그들이 전제로 하고 있는 흥미의 개념을 분석함으로써 교육활동 속에서 아동의 자발성을 중요시할 때 채택해야 하는 진정한 흥미존중의 개념을 철학적으로 밝혀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흥미존중원리에 대한 이론을 크게 흥미 옹호론의 입장과 흥미 반대론의 입장으로 나누어 각각의 입장에서 전제로 하고 있는 흥기의 개념을 분석하고, 그들의 한계점에 대해 학습활동에서 아동의 자발성 보장이라는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또한 ‘흥미존중교육’의 원리가 도출된 아동중심교육사상에서 채택하고 있는 흥미의 개념을 이해하여 진정으로 흥미를 존중하는 교육이란 무엇인지 교육방법적인 측면에서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교육활동에서 흥미를 옹호하는 입장은 교육학자 닐의 사상과 진보주의를 오해한 흥미존중교육방법 속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교육적인 상황에서 아동이 심리적으로 호기심을 보이는 내용만을 가르쳐야 하거나, 아니면 가치 있다고 판단되는 내용을 전달할 목적으로 온갖 조치를 강구하여 아이의 마음을 교과의 방향으로 돌이키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두 입장 모두 아동이 지식 구성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보면 올바른 교육활동으로 규정되기 어렵다. 왜냐하면 전자의 경우 지식을 가르치는 일에 대해 너무 과소평가함으로써 지식을 교육하는 일에 대한 논의가 소홀히 취급되어 있고, 후자 또한 학습의 수단을 너무 강조함으로써 아동이 수단에만 마음을 뺏겨 정작 배워야 할 지식 자체에 대해서 흥미를 가지게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들은 흥미의 개념을 심리학적인 의미, 즉 인간이 사물에 대해 보이는 긍정적인 관심이나 선호의 경향이라고 규정하고 아동이 흥미를 보이는 대상만을 교육적인 수단으로 이용하려 했기 때문에 교과와 아동의 마음 간에 이루어지는 상호 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교육활동에서 흥미를 반대하는 입장은 학문중심교육사상가의 교육이론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들은 교육이란 아동에게 가치 있는 활동, 즉 학문에 대한 관심을 일깨워주는 것이기 때문에 교과와는 동떨어져 있는 대상에서 발생하는 아동의 개별적인 흥미를 존중한다는 것은 비교육적이라고 비판한다. 결국 그들은 교과와 관계없는 흥미는 교육에서 존중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는 것과 같다. 하지만 학문중심교육사상에서 한 가지 간과하고 있는 사실은 교과와 관계없는 아동의 흥미를 교과의 방향으로 이끌 수 있는 교육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과정이 학습자의 자발성을 존중하는 교육에서 매우 필요하다는 것이다. 교과와 아동의 흥미를 연결하려는 시도가 없다면 교육활동이란 아동에게 있어서 인내와 훈련을 요하는 대상으로 남을 것이기 때문이다. 흥미를 옹호하는 입장과 반대하는 입장에서 동시에 찾아볼 수 있는 것은 교과와 마음에 대한 이원론이다. 이들에게 있어서 흥미의 개념은 아동의 마음과는 동떨어져서 존재하는 대상에 대해 아동이 보이게 되는 관심을 뜻한다. 아동의 마음이라는 심리적인 측면과 교과라는 사회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지 않은 채 어느 한쪽만을 강조하기 때문에 이들은 아이들의 활동을 일으키고 그것을 일관성 있게 또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학습 자료의 기능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한편, 아동중심교육사상에서는 아동의 활동을 지속적으로 일으키는 기능을 하는 것을 흥미의 개념으로 전제하고 있다. 흥미란 행위를 통하여 교과와 마음이 동일시되어 있는 상태, 즉 아동이 자신의 행위를 지속하는데 교과가 유용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참여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원리를 설명해주고 있는 것이 바로 사물의 유용성을 깨닫게 하는 교육방법이다.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교과를 추구하는 활동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사물의 근저에 깔려있는 학문적인 지식과 아동의 마음 사이를 연결해주는 것이 아동의 자발성을 존중하는 교육에 가장 합당한 교육방법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아동의 마음과 교과가 동일시 된 이상 자신에게 있어서 유용성을 지니는 활동을 겪어나감으로써 스스로의 목적에 따른 행위의 지적인 의미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진정한 흥미존중 원리는 바로 교과를 아동의 현재 경험과 필요, 능력에 비추어 구성함으로써 아동에게 의미 있게 받아들여진 자료와의 관계 속에서 아동 스스로 그 관련을 알게 하는 방식으로 제시하고 경험하게 하는 것을 뜻한다. 자신의 행위의 목적을 위해 유용한 가치를 지니는 것이 교과 내의 활동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하는 것, 그것이 바로 진정한 흥미존중의 의미이다.

      • 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계적 리뷰 및 메타분석

        유지윤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and meta- analyze the effects of a younger children's parents education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earched for the data via our domestic on-line academic database services, DBpia, KISS, RISS and National Assembly Library site, while reviewing some individual studies. The key words used for the data search were '(Younger children) STEP parents education program', (Younger children) parents education program', '(Younger children) APT parents education program', '(Younger children) positive parents' role program', '(Younger children) PET parents education program', '(Younger children) emotional counseling of parents' education', and '(Younger children) emotional coaching program'. These key words were used for each database. As a result, 26 preceding researches conducted from 2000 to 2021 could be included in the systematic review, and 20 ones among them were used for the meta-analysi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set up as follows; 1. What would the entire average effects of the younger children's parents education programs (STEP, APT, PET and emotional coaching) be? And how about their effects on parents'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2. What would the entire average effects of the STEP program be? And how about their effects on parents'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3. What would be the moderating variables affecting the entire effects of younger children's parents education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ntire average effects of the younger children's parents education programs were SMD=1.09(95%CI=0.77 ; 1.44, z=6.21, p=.000***), while their effects on parents' parenting attitudes were SMD=1.14(95% CI=0.55 ; 1.74, z=3.77, p=.000***), and their effects on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were SMD=1.08(95%CI=0.77; 1.39, z=6.87, p=.000***). All these effects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Secondly, it was found that among the younger children's parents education program the STEP program had been researched into most in terms of its effects on parents'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Thus, its entire effects were SMD=1.08(95%CI= 0.80 ; 1.36, z=7.62, p=.000***), and its effects on parents' parenting attitudes were SMD=1.07(95%CI=0.66 ; 1.49, z=5..11, p=.000***), and its effects on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were SMD=1.13(95%CI=0.77 ; 1.50, z= 6.11, p=.000***). All these effects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Thirdly, as a result of testing the heterogeneity of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s, it was found that heterogeneity was high: I²=74.5%, τ²=0.52 (p=.000***) depending on the interpretive criteria of I2 statistical quantity. In addition, as a result of meta-analyzing the effects of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s on their parenting attitudes, the forest plot of <the Fig. IV-1> was examined, and thus, a heterogeneity of research was found. Thus,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heterogeneity test, the heterogeneity was I²=82%, τ²=1.10 (p=.000***) depending on the criteria for interpreting the I2 statistical quantities. Accordingly, the researcher examined the moderating variables affecting the average effect size. As a result, the effects of such demographic variables as types of parents, number of sessions and hours per session were not significant. After all, this study could not confirm the factors causing such a heterogeneity. Four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ublishing errors through the funnel plot, most of the data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of this study were less erroneous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Nevertheles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preceding studies having some publishing errors could affect the entire size of effect but that such errors were not deemed to a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 문화예술교육 연계 전통 나전?칠공예 교육프로그램 모색

        유지윤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there's a noticeable rise in socio-cultural expectations surrounding traditional crafts. This growth is mainly attributed to the ever-expanding global online retail market and the changing purchasing habits, fueled by an increasing emphasis on improving the quality of consumption patterns. Many believe that these factors mark a significant turning point for traditional crafts. As the public's outlook diversifies, there's a noticeable shift towards respecting individual experiential values more than ever before. In the early days of traditional crafts in Korea, fostering policies and support programs were often limited to indirect communication between craftsmen and the public, such as exhibitions and competitions to select winners,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systems, and master craftsman qualifications. However, as the scale of the crafts industry has grown, the crafts sector has evolved to include roles such as planners, merchandisers, and educators who help connect crafts with the public, as well as expanding opportunities for contact points between craftsmen and the public. Therefore, we believe that the future trend of traditional crafts is to go beyond the category of creation and help people to enjoy them by embodied in the daily culture of living subject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urrent trends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mother-of-pearl and lacquerware industries in Korea over the past century. Additionally, it seek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industries and craft education, examining how they have evolved and developed.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examin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aditional craft industry and craft education. It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traditional craft education implemented in various institutions, with a specific focus on mother-of-pearl and lacquer crafts. The analysis highlights the demand for general, social najeon, and lacquerware education for the public, while also identifying the lack of diverse programs as a key issu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mother-of-pearl and lacquerware into public life, the study sets the goal of proposing an educational program that falls under the umbrella of "cultural arts education" accessible to everyone. In this regard, the study reviews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2018-2022)," which aligns with UNESCO'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derives directions and points of improvement for traditional craft education. The first goal is to establish a cultural ecosystem that fosters the enjoyment of crafts. The second goal involves diversifying craft education to cater to the needs and interests of consumers. The third goal aims at enhancing the traditional craft workforce by strengthening the manpower base. To achieve the goal of diversifying craft education to meet consumer needs, both long-term and short-term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mother-of-pearl and lacquerware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emphasis was placed on creating consumer-centered programs. To assess and evaluate the outcomes,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ticipants in the education programs. The ultimate objective is to establish a strong connection and resonance with the general public through traditional crafts such as najeon and lacquerware education. By doing so,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rection and program outcomes of mother-of-pearl and lacquerware education as a strategy for sustainable popularization.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into five main categories. Firstly,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surrounding the mother-of-pearl and lacquerware industry and education in Korea confirmed the necessity of public education in traditional crafts. It was observed that societal issues and consumption patterns are shifting towards sustainable attitudes that prioritize experiences and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to transform our perception of traditional crafts from mere material possessions to valuing the experiential aspects. Secondly, the study explored ways to enhance education on sustainable mother-of-pearl and lacquer crafts as a mediator between traditional crafts and the public. Through analyz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of craft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it became evident that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iverse traditional craft education programs that respect and embrace different generations and cultural backgrounds. Thirdly, a proposed traditional craft education program, aligned with the cultural arts education policy strategy, focused on the second goal of diversifying craft education centered around the consumers.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o select customized topics for the education target group, with an aim to create a consensus that bridges the gap between the public's daily life and mother-of-pearl and lacquer crafts. Fourthly, the study incorporated craft-related educator completion courses, including craft educator training and cultural arts education history, as an empirical educational program reviewed through real-world case studies.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relying solely on theoretical analysis, the researcher completed courses to foster craft mediators and attain qualifications as cultural arts educators, providing a practical foundation for the program. Lastly, the study conducted a series of processes from program design to training and result analysis, allowing for a close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the program structure. This approach, which involved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program, is not commonly found in previous studies on craft education programs withi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he research provided valuable insights by swiftly improving the program through direct consumer feedback and incorporating it into the various stages, from planning to execution and evaluation. However,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that should be acknowledged, including the analysis of various target groups, the objectivity of program results, and the absence of active publicity measures. To implement a customized education program that caters to the specific needs of each target group, a more extensive analysis of the target groups and further development of program planning are necessary. Moreover, future efforts should focus on establishing objectivity and justif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craft education programs. Additionally, to ensure that educational programs reach diverse generations and social classes, it is crucial to implement a comprehensive publicity strategy. This strategy should aim to inform and engage individuals from different backgrounds and make them aware of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available. By establishing traditional crafts as a culture that can be enjoyed by anyone in their daily lives, rather than exclusively by a select group of experts, we can foster the contemporary relevance of traditional crafts. As the demand for crafts continues to expand in our society,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further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each craft field. Furthermore, raising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consumer-centered traditional craft education is essential. Through these efforts, we can promot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ppreciation of traditional crafts in our society. 오늘날 전통공예에 대한 사회문화적 기대는 날로 커지고 있다. 전 세계 온라인 유통시장의 확장과 소비패턴의 질적 향상에 따른 구매방식의 변화는 전통공예 전환점의 신호로 생각된다. 대중들의 시선은 다양화되고 개인의 경험적 가치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다. 국내 초창기 전통공예 육성정책과 지원사업은 전시, 공모전을 통해 수상작을 선별하거나, 무형문화재 보호제도와 명장 자격과 같은 공예가가 대중과 직접적이기보다는 간접적 소통방식에 그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오늘날 공예산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공예 분야에는 기획자, 머천다이저, 교육가 등 공예와 대중과의 연결을 돕는 역할들과 함께 공예가와 대중이 만나는 접점의 기회가 확대되는 양상으로 진전되어오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흐름은 창작의 범주를 넘어 생활 주체의 일상 문화로 체화하여 향유 하도록 돕는 것이 전통공예의 지향점이자 필요한 역할이라고 믿는다. 본 연구는 지난 백여 년간 한국의 근현대 나전‧칠공예 산업의 현 지점을 파악하고, 나전‧칠공예 산업과 공예 교육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며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해왔는가 알아보고자 하는데서 출발하였다. 이와 같은 배경과 목적에 의해, 먼저 전통공예 산업과 공예 교육의 관계에 대하여 살피고, 현재 여러 기관에서 시행되는 전통공예 교육의 현황을 나전‧칠공예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대중을 위한 일반‧사회 나전‧칠공예 교육에 대한 수요와 다양한 프로그램의 부족을 문제로 지적하였다. 대중의 삶과 연동된 나전‧칠공예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목표를 두고, 누구나 누릴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유네스코 주요 정책인 지속 가능한 발전목표의 ‘양질의 교육’ 전략 가운데 하나인 ‘문화예술교육 정책(2018~2022)’을 중심으로 검토하였으며, 전통공예 교육의 개선 방향과 연계점을 도출하여 다음과 같이 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공예 향유 문화생태계의 구축’ 둘째, ‘수요자 중심의 공예 교육 다각화’ 셋째, ‘전통공예 인력기반 고도화’ 이 가운데 ‘수요자 중심의 공예 교육 다각화’를 중심으로 장․단기 나전‧칠공예 교육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설계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또한, 해당 결과에 대한 검증과 평가를 위하여 교육 참여집단의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전통공예(나전․칠공예) 교육을 매개로 일반 대중과의 공감대(연결)를 형성하고, 지속 가능한 대중화를 위한 전략으로서의 나전‧칠공예 교육의 방향성과 프로그램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삼았다. 연구 성과는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국내 나전‧칠공예 산업과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통해 대중을 위한 전통공예(나전‧칠공예)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오늘날 사회적 이슈와 소비패턴은 제작과 물질적 소비 중심에서 경험을 중시하고, 환경을 생각하는 지속 가능한 태도를 중시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즉, 전통공예에 대한 우리의 인식 역시 이러한 동향을 반영했을 때, 공예를 단순히 물질적 소유물로 바라보는 태도에서 공예를 통한 경험을 중시하는 태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둘째, ‘전통공예(나전‧칠공예)와 대중을 매개할 지속 가능한 나전‧칠공예 교육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국내 외 공예 교육프로그램 개발 사례 분석을 토대로, 각 세대와 문화적 배경을 존중하고 함께 아우를 수 있는 다양한 전통공예 교육프로그램의 연구와 개발의 필요성을 밝혔다. 셋째, 개선 방향의 두 번째 목표 ‘수요자 중심의 공예 교육 다각화’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 정책전략과 연계한 전통공예(나전‧칠공예)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설정 목표를 기준으로 교육 대상층에 대한 사전 조사를 진행하여 맞춤형 주제를 선정하였고, 대중의 일상과 나전‧칠공예를 매개할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넷째, 공예 관련 교육자 이수 과정(공예 에듀케이터, 문화예술교육사)을 통해 실제 현장 사례로 검토된 실증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분석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본 연구자는 공예매개인력 양성과정과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을 함께 이수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실제 설계부터 진행에 들어갈 때 단계별 실행방안을 설정하여 체계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었다. 다섯째, 프로그램 설계부터 교육 진행, 결과 분석까지 일련의 과정을 진행하면서, 해당 프로세스를 면밀하게 분석하고 파악할 수 있었다. 기존 문화예술교육 내 공예 교육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기획부터 실제 적용사례와 결과 분석까지 이루어진 경우는 드문 편이며, 프로그램의 구상 단계에서 실현되지 못하고 그친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필자가 프로그램 기획부터 진행과 평가까지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면서, 수요자의 생생한 의견을 반영해 프로그램을 빠르게 개선하는데 활용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대상층에 대한 분석과 프로그램 결과에 대한 객관성 그리고 적극적인 홍보방안 부족 등에서는 한계점을 지닌다. 각 대상층의 수요에 맞는 맞춤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양의 대상층 분석과 프로그램 기획안의 개발 등을 필요할 것이며, 이런 과정을 통해 전통공예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객관성과 당위성을 입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앞으로 다양한 세대와 사회 계층에게 교육프로그램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라도 이를 알리는 홍보 전략이 필수적이다. 우리 사회에서 전통공예의 지속 발전 가능성은 특정 전문가들만이 누리는 문화가 아니라, 생활 속에서 누구나 누릴 수 있는 문화로 자리 잡을 때 비로소 전통공예의 현재화가 이행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논문이 공예가 우리 사회에서 그 수요가 확장됨에 따라, 각 공예 분야별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수요자 중심의 전통공예 교육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확대되기를 바라며, 향후 이와 관련된 구체적이고 진전된 연구가 계속해서 이루어지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