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항공사 종사원의 직무특성과 이중몰입의 관계에서 조직냉소주의의 매개역할 연구

        오상은 경기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항공산업은 해외여행의 증가, 국가 경제의 양적·질적 성장과 더불어 앞으로 중요성이 날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무형의 상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항공산업의 특수성으로 장기간의 채용과 교육·훈련이 필요하며, 종사원의 태도와 행동이 서비스 품질 및 기업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등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타산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가 더욱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항공사 종사원을 대상으로 하여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의 선행변수인 직무특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또한 이들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냉소주의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우선 조직과 경력의 이중몰입의 결정요인으로 크게 내재적 직무특성과 외재적 직무특성으로 구성하였다. 내재적 직무특성은 직무자율성, 직무도전성, 역할명료성을 하위차원으로 구성하였고, 외재적 직무특성은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고용안정, 분배공정성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이러한 직무특성과 조직과 경력의 이중몰입과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매개요인으로는 종사원의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며 최근의 여러 연구에서 이슈가 되고 있고, 앞으로 인사·조직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주제로 예상되는 조직냉소주의를 선정하였으며, 연구가설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연구방법은 변수별 구성요인과 측정항목을 토대로 총 48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우리나라국적 및 외국적항공사의 서울 사무소와 김포 및 인천공항에 근무하는 종사원을 대상으로 실증조사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표본의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Cronbach's Alpha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요인과 요인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상관분석표를 제시하였고, 두 변수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개변수의 매개역할을 파악하고자 변수들 간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내재적 직무특성의 직무자율성, 직무도전성, 역할명료성 중 직무도전성이 조직과 경력의 이중몰입에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무자율성과 역할명료성의 경우 경력몰입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조직몰입에는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재적 직무특성의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고용안정, 분배공정성 중에서 조직몰입에는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분배공정성이 그리고 경력몰입에는 상사의 지원과 분배공정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재적 직무특성의 하위요인 중에서 상사의 지원과 분배공정성이 조직과 경력에 대한 이중몰입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셋째, 내재적 직무특성과 조직과 경력의 이중몰입과의 관계에서 내재적 직무특성이 조직냉소주의의 부정적 매개역할을 통해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넷째, 외재적 직무특성과 조직과 경력의 이중몰입과의 관계에서 외재적 직무특성이 조직냉소주의의 부정적 매개역할을 통해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사 종사원의 조직과 경력에 대한 이중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특성에서 직무도전성을 높이는 것이 가장 높은 효과를 보인다는 것이다. 즉 내가 맡은 직무가 도전적일수록 조직과 경력에 몰입하는 정도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둘째, 항공사 종사원의 조직과 경력에 대한 이중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특성에서 직무도전성과 더불어 상사의 지원과 분배공정성을 높이는 것도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즉 항공사는 개인의 업무와 성과 등에 있어서 보다 합리적이고 공정한 평가시스템을 갖추고 그에 따른 보상을 실시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항공사라는 조직 내에서 조직냉소주의가 직무의 다양한 특성들과 몰입과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조직과 경력에 대한 이중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종사원들이 조직에 대해 그리고 동료 및 상하급자들에 대해 가지고 있는 냉소주의의 확대가능성을 줄이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광범위하게 표본 대상을 설정하고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 결과를 좀 더 일반화 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된 요인들 이외의 다양한 요인들과 이중몰입과의 상호영향관계를 밝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이중몰입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결과요인들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도 실무적 차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 어린이집 팀티칭 학급 교사가 인식한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오상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principal leadership perceived by team teaching child care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92 childcare teachers who are team teaching at childcare centers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o measure teacher efficacy, this study utilized a scale that Shin Hae-Young(2004) modified Enochs and Riggs(1990)’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TEBI) scale. The evaluation scale of Villa et al.(2004) devised by Lee Geum-sun(2017) was used to measure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To measure principal leadership, this study utilized the 4Roles of leadership profile developed by the Covey Leadership Center(CLC) in the United States, the scale developed by Spreitizer(1995), and the MLQ-6S developed by Bass& Avolio(1992). which was referring to the 4RL evaluation scale produced by Lee et al(2004) was used to suit the sit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to find out the general trends of measurement variables. The correlations among the measurement variables were calculated, using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principal leadership perceived by team teaching child care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trend of measurement variables, the average question of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principal leadership, and teacher efficacy was higher than usual.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eam teaching child care teachers,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generally recognized the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principal leadership, and teacher efficacy. Second,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principal leadership perceived by team teaching child care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 efficacy.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more positively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principal leadership, the higher the teacher efficacy. In conclusion,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principal leadership affect teacher efficacy.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teacher efficacy by improving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principal leadership.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improve policies, and develop and implement educational programs to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principal leadership. 본 연구는 어린이집 팀티칭 학급 교사가 인식한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팀티칭 중인 보육교사 292명이다. 교사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Enochs와 Riggs(1990)의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를 번안 및 수정한 신혜영(2004)의 교사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팀티칭 교사 간 협력을 측정하기 위해 이금선(2017)이 번안한 Villa 등(2004)의 평정척도를 사용하였고, 원장의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 미국 CLC(Covey Leadership Center)의 4Roles of leadership profile, Spreitizer(1995)의 척도, Bass와 Avolio(1992)의 척도인 MLQ-6S를 바탕으로, 이소희, 강경자와 김주아(2004)가 우리나라 유아교육 상황에 알맞게 개발한 4RL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측정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측정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어린이집 팀티칭 학급 교사가 인식한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팀티칭 교사 간 협력, 원장의 리더십, 교사효능감의 문항평균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즉, 본 연구 대상인 어린이집 팀티칭 학급 교사들은 팀티칭 교사 간 협력, 원장의 리더십, 교사효능감을 대체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팀티칭 학급 교사가 인식한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교사효능감 또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을 향상시켜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개선과 교육 프로그램 실시 및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근디스트로피 자녀를 가진 어머니의 경험

        오상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근디스트로피(Muscular Dystrophy) 환자는 근육의 진행성 위축 혹은 가성비대와 그에 따르는 근력약화로 점차 보행과 활동에 장애를 받게 되고 몸을 가누기 어려워져 일상생활에서 매사에 타인을 의존 할 수밖에 없다. 대부분 20세 이전에 심한 심호흡기 합병증으로 부모보다 먼저 세상을 떠나게 되어 환자의 가족은 심각한 가족위기를 겪는다. 특히 근디스트로피는 반성열성 유전질환으로 자식의 돌봄을 전담하고 있는 어머니의 육체적이고 정신적으로 겪는 고통은 말로 표현할 수 없다. 본 연구는 근디스트로피 자녀를 가진 어머니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본 연구목적에 동의하며 의사소통이 가능한 11명의 근디스트로피 환자의 어머니이다. 이들은 환자인 아들과 함께 살고 있고, 환자의 유병기간은 6-34년이다. 자료수집은 눈덩이 표출방법을 통해 만나게 된 참여자의 가정에서 심층면담에 의해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별로 진행된 면담 횟수는 1-3회였고, 1회 면담에 소요된 시간은 50분에서 2시간이었으며 면담내용은 녹음한 후 필사하였다. 자료는 Colaizzi(1978)가 제시한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 의미 있는 문장 및 구 109개를 선택하였고, 67개의 일반적인 언어로 구성된 의미있는 진술로부터 13개의 주제묶음으로 범주화되었다. 1. 드러나지 않은 진단명에 요행을 바라나 불안하다. 2. 불치병 진단에 충격으로 울기만 한다. 3. 엄마피로 유전되는 것을 알게되어 암담하고 원통하다. 4. 방황하는 남편과 무너져 가는 가정에서 절망한다. 5. 모계유전질환의 죄인으로 몰린다. 6. 근육병 환자와 환자부모를 만나 동병상련의 아픔을 나누며 답답함을 푼다. 7. 병신자식을 낳은 책임으로 헌신적으로 희생한다. 8. 좋다는 것 다 해봐도 무너지는 자식을 보며 희망을 버린다. 9. 점차 꼼짝할 수 없는 자식을 보며 함께 죽고 싶다. 10. 육체도 마음도 병들고 화가 올라와 한이 맺힌다. 11. 숙명으로 생각하고 신앙으로 다스린다. 12. 결국 아픈 자식을 체념하고 다른 자식에게 관심을 돌린다. 13. 임박해 오는 자식의 죽음이 두렵다. 국내에서는 전혀 연구가 안된 근디스트로피 자녀를 가진 어머니의 경험에 대한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함으로서 한국의 가부장적인 사회문화적 맥락에 처한 대상자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고, 본 연구에 참여한 근디스트로피 환자어머니는 간호사인 연구자와의 심층면접을 통해 자신을 드러냄으로서 누구에게도 말 할 수 없었던 슬픔과 고통을 함께 나눌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근디스트로피 환자를 포함한 환자가족간호실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근디스트로피 환자가족간호실무를 위한 미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Persons with muscular dystrophy are unable to move by themselves and they need total care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Because most patients die earlier than their parents, these families experience serious crises. Mothers who are the exclusive caregivers of children with muscular dystrophy, an X-linked genetic disease have an especially traumatic life long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phenomenological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ived experienc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muscular dystrophy. The participants were 11 mothers recruited by snowball sampling, who agreed with the objectives of the research and could verbally communicate with the researcher and who lived with their sons who had muscular dystrophy.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in their own homes. Each interview took 50 to 120 minutes. All of the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hen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1978) method of phenomenology. From the transcripts 109 significant sentences and phrases were selected and 13 clusters of themes were categorized from 67 significant statements. These results were integrated into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lived experienc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muscular dystrophy. 1. Anxious and relying on chance due to indefinite diagnosis. 2. Only able to cry with shock because of son's fatal disease. 3. Seeing the future as dismal and feeling resentment that this disease in transmitted through the mother. 4. Feeling like a sinner for transmission of genetic disease. (Feeling guilt for conceiving a son with a genetically transmitted fatal disease) 5. Feeling caught between a husband who is distancing himself from his family and the family which is disintegrating. 6. Empathizing with other suffers of muscular dystropy and their parents in their grief and helping to dissipate their heavy feelings. 7. Deciding to sacrifice self as a way of taking responsibility for giving birth to a handicapped son. 8. Losing hope (feeling despair) as son's condition deteriorates in spite of all attempts to help him. 9. Wishing to die with son who becomes progressively immobile. 10. Accumulating Han*(한, 恨), because of rising Hwa(화, anger), and becoming sick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11. Seeing events as destiny and finding self-control through faith. 12. Finally, giving up sacrificing self for son and becoming concerned(involved) with other children in the family 13. Feeling fear at son's impending death. This is the first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Korean mothers of children with muscular dystrophy. In applying the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this study not only helps health professionals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these mothers in the Korean patriarchal social system, but the researcher, as a nurse, can share their agony and grief through identification of their inner world through in-depth personal interview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ill not only help in the development of family nursing practice for families with genetically transmitted diseases but also prepare basic data for family nursing practice in the Korean sociocultural context.

      • 노인 대상 운동프로그램이 근감소증(sarcopenia) 예방에 미치는 효과 : 메타분석의 적용

        오상은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reventative effects of sarcopenia through exercise programs, consider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ercise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preventative effects of sarcopenia via exercise program, meta-analysis was appli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mong the papers on exercise programs for senior citizens from 1995 to June 2019, this paper collected data from studies conducted on more than seven subjects, studies targeting subjects aged 65 or older, studies that demonstrated the physical composition or muscle function of participants, and studies with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required to calculate the effect size. As a consequence, 36 copies were selected as the target data and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Macro Program. The first study was set as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Sensitivity Prevention on Exercise Program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e second study was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Sensitivity Preven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Exercise Program'.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ercise programs had positive preventative effects of sarcopenia on the elderly, both male and female. It is especially effective for the elderly male. The exercise programs designed to prevent sarcopenia has a positive effect in all age groups of senior citizens. In particular, the younger demographic among senior citizens are expected to benefit from greater preventative effects. Second, the study revealed that the elderly exercise program is more effective for sarcopenia prevention if the elderly participates in the exercise more frequently per week. Further, the effectiveness of sarcopenia prevention was proportional to the long-term duration of the exercise program. The exercise program was also more effective as a preventative measure for sarcopenia the longer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ercise program each time. 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ercise program, the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in the exercise program has a positive preventative effect of sarcopenia. The study indicates that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exercise program, senior citizens should start exercising at a younger age, with higher frequency and longer duration, to prevent sarcopenia. 이 연구는 노인의 인구학적 특성과 운동프로그램의 특성을 고려하여 운동프로그램의 근감소증 예방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적용하여 노인 대상 운동프로그램의 근감소증 예방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자료는 1995년부터 2019년 6월까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운동프로그램 관련 논문 중 연구 대상자수가 7명 이상인 연구, 연구대상자의 연령이 65세 이상인 연구, 운동프로그램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신체구성 또는 근기능의 변화를 측정한 연구, 효과크기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평균과 표준편차가 제시된 연구들을 자료로 수집하였다. 최종적으로 36편을 연구자료로 선정하였으며, SPSS Macro Program을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연구내용은 ‘노인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프로그램의 근감소증 예방효과 검증’ 두 번째 연구내용은 ‘운동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른 노인의 근감소증 예방효과 검증’으로 정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성별에 따른 근감소증 예방효과는 남녀 노인에게 공통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특히 남성 노인에게 더 효과적이다. 노인의 연령집단에 따른 근감소증 예방효과는 모든 연령대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특히 노인의 나이가 적을수록 큰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노인 운동프로그램의 적용빈도에 따른 근감소증 예방효과는 노인이 운동에 참여하는 빈도(주당)가 높을수록 효과적이다. 노인 운동프로그램의 적용 기간에 따른 근감소증 예방효과는 노인이 운동에 참여하는 기간이 길수록 효과적이다. 노인 운동프로그램의 적용시간에 따른 근감소증 예방효과는 노인이 운동에 참여하는 시간(1회당)이 길수록 효과적이다. 결론적으로 인구학적 특성과 운동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노인의 운동프로그램참가는 근감소증에 긍정적인 예방효과가 있다. 이는 근감소증 예방을 위해 운동을 시작하는 노인들에게 보다 더 젊은 시기에, 빈도와 시간을 늘려서, 기간을 오랫동안 실시하는 것이 운동 효과를 증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 해외직접투자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오상은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세계경제의 큰 특징 가운데 하나인 해외직접투자는 제 2차 세계대전 이래 다국적 기업의 등장과 더불어 급속도로 확대되어왔다. 이에 해외직접투자의 결정요인을 밝히려는 수많은 연구가 뒤따랐으나 그 대부분은 지리적 범위나 설명력에 어느 정도의 한계를 갖는다. 해외직접투자의 급속한 증가와 그것이 국제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다면 해외직접투자의 결정요인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다 포괄적인 해외직접투자의 거시설명모형을 만듦으로써 기존의 연구를 확장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우선 기존 연구들에 대한 문헌적 고찰을 통해 해외직접투자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6개의 거시 설명변수를 선정하였고, 분석도구를 이용해 이들이 해외직접투자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해외직접투자의 가장 큰 주체이자 대상인 미국을 중심으로, 교역량이 많은 16개국을 선정하여 이들 국가가 미국에 행하는 대미직접투자가 각각의 변수에 의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관찰하였다. 통계분석의 결과 해외직접투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투자국의 시장규모임이 밝혀졌다. 이는 국가경제규모가 클수록 해외직접투자를 시도할 만한 위치의 대기업을 많이 보유하고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뒷받침하는 결과다. 또한 투자국과 被투자국간 기존 교역량과 양국간의 문화적 거리도 해외직접투자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투자국의 일인당 국민소득과 대출이자율, 기업수익률 등은 당초 예상과는 달리 해외직접투자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 비해 유의한 결과를 보임으로써, 해외직접투자를 주도하는 세력이 구미선진국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기간별 분석을 통해 해외직접투자액의 증감이 결정요인의 영향력에 별다른 변화를 가져오지는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이 밝힌 해외직접투자의 결정요인을 비롯한 여러 변수들을 통합한 거시 설명모형을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연구결과를 재확인하고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이해를 확대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국적 기업들의 지속적인 해외직접투자 확대의 움직임 속에서 한국 기업들이 해외 진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Foreign direct investment is one of the major features for current world economy. It has rapidly expanded with emerging multinational corporations since World War II.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iscover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since then, but most of them have limits of either their geographical scope or explanatory power. With rapid growth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its influence on world economy,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s essential. This study, therefore, aimed to extend the existing literature by developing a comprehensive macroeconomic explanatory model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The study selected 6 macroeconomic variables which were expected to have great influences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existing literature. To test the model, the study gathered data concerning the exten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he United States by country of origin based on Servey of Current Business. The tests were run as pooled cross-sectional, time series regression with 16 source countries. The result of the test shows that the market size of source country is the strongest determinan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t supports the assumption that larger national economies are expected to contain firms which are large enough to expand internationally, including expansion via direct investment. The existing trade and a cultural distance between two countries were also influencing a lot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However, per capita income, relative cost of borrowing, and relative rate of return of source country didn’t show any meaningful influences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It was observed that these determinants are comparatively well applicable to industrial countries rather than emerging markets. Also, these determinants were not affected by increase or decreas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 온라인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의 지식네트워크 연구

        오상은 추계예술대학교 예술경영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제 문화예술교육의 패러다임은 예술교과 및 전문 예술인 양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던 기존의 ‘예술을 위한 교육(Education forArts)'에서 ’예술을 통한 교육(Education through Arts)'으로 바뀌고 있다. 교과 통합적·창의적 문화예술교육이 필요한 환경 속에서 문화예술교육을 매개하고 직접 실행하는 전문인력의 중요성은 더욱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들이 개개인의 차원에서 새로운 문화예술교육 철학을 정립하고 교육자로서의 역량과 전문성을 함양하는 데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수준이 달려있기 때문이다. 지식기반사회가 도래하면서 개인 및 조직이 보유한 지식이 이들의 핵심 역량을 결정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지식을 생산·공유하고 이를 재생산하여 축적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개인이나 조직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방법론으로 제시된다. 특히 온라인상에서의 이러한 네트워크 구축은 시·공간적 제약을 뛰어넘은 지식 공유를 촉진하고 전문인력 간 네트워크를 조직할 수 있는 통로로 여겨진다. 지식네트워크에 대한 연구는 지식경영, 지식학습론 등 여러 분야에서 진행되고 현장에 적용되어 온 반면, 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서는 아직 발전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문화예술교육 관련 지식을 생산하고 공유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요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Ⅱ장에서 문화예술교육 온라인 지식네트워크의 개념을 정의하기 위하여 배경이 되는 이론들을 연구하였다. 첫째, 온라인 공간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고찰함으로써 온라인 공간이 가지는 특성을 분석했다. 둘째, 네트워크 이론을 통해 네트워크의 개념과 형성 원리, 네트워크의 특성 및 변수에 대해 알아보았다. 셋째, 지식의 개념을 바탕으로 지식경영 관점에서의 지식네트워크와 지식생태계 관점에서의 지식네트워크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지식생태계적 접근에서의 지식네트워크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온라인 지식네트워크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Ⅲ장에서는 우선, 새로운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을 반영한 학교·사회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전문인력 관련 법제도 등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의 온라인 지식네트워크 구축의 배경이 되는 정책들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온라인 지식네트워크의대상이 되는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오프라인·온라인에서 조직되어 있는 네트워크의 현황을 각각 조사하였다. Ⅳ장에서는 국내 타 분야의 온라인 지식네트워크 운영 사례와 해외 문화예술교육 분야 온라인 지식네트워크 운영 사례를 분석하였다. 국내 사례로는 ‘KOSEN(한민족과학기술자 네트워크)’와 ‘위민넷’을 연구하였다. 타 분야의 사례이지만, KOSEN은 온라인상에서 전문지식의 교류가 활발히 이뤄지고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 커뮤니티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모범이 된다. 또, 위민넷은 사이버멘토링 사업을 통해 네트워크를 조성하고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지식이 공유될 수 있도록 운영된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준다. 해외 사례로는 ‘CreativePartnerships’를 다루었다. CP는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사이의 연결망을 이어주고 정책 단위·문화예술단체·학교 등 기관 사이의 파트너십을 조성한 점이 벤치마킹할 점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Ⅴ장에서는 향후 구축될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의 온라인 지식네트워크의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첫째, 자율성에 바탕을 둔 지원 형태의 운영방식을 택한다. 둘째, 온라인 지식네트워크 운영의 방향 및 철학을 정립한다. 셋째, 기관별 제휴 및 인재 확보를 통해 네트워크의 기반을 마련한다. 넷째, 구성원들을 위한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섯째, 지식 관리와 축적을 지원한다. 여섯째, 온라인 네트워크를 운영에 있어서 오프라인 활동을 병행한다. 일곱째, 네트워크의 인적자원을 유지하고 관리한다. 여덟째,네트워크 활동에 대한 평가·보상 시스템을 마련한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유사 사례가 국내에 아직 구축되어 있지 않은 연유로 타 분야의 국내 사례와 국내와는 실정이 다른 해외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한 한계점을 가진다. 하지만 아직 정립되지 않은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온라인 지식네트워크의 개념을 지식생태계적 관점에서 정의하고 그 필요성을 고찰함을 바탕으로, 향후 지식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aradigm of arts education isevolving from traditional‘education for arts’focused on art curriculums and the education of professional artists to ‘education through arts.’ In environment where interdisciplinary creative arts education are required, the importance of arts educators who mediate and execute arts education is growing higher. It is because the qualitative level of arts education dependson each individual educator’s philosophy for new arts education and capability and specialty as an educator. With the coming of knowledge based society, knowledge possessed by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determines their key capabilities. Therefore,an important methodology of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s the construction of a system for producing, sharing, reproducing and accumulating knowledge. 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 of such a network online is considered to promote knowledge sharing and educator networking. Researches on knowledge network have been made andapplied in many areas including knowledge management and knowledge learning theory, but not much in arts education. Thu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arts education, we need to establish a virtuous cycle structure for producing and sharing knowledge related to arts education. Based on these requirements, in this thesis, Chapter II examined background theories for defining the concept of arts education online knowledge network.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spaces were analyzed through reviewing previous researches on online spaces. Second, network theories were examined, focused on concept of network, the principles of network 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of network. Third, based on the concept of knowledge, knowledge network was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knowledge management and from that of knowledge ecosystem, and the concept of knowledge network was derived through the approach of knowledge ecosystem. Lastly, with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e concept of online knowledge network was defined. Chapter III examined policie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online knowledge network of arts educators such as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iesin school and society reflecting the new culture and art education paradigm and laws and systems related to arts educators. Next, the concept of arts educators, who are the participants ofonline knowledge network, was defined. Lastly, the current state of established off line and online networks was surveyed. Chapter Ⅳ analyzed cases of online knowledge network operation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cases of overseas online knowledge network operation in the area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Domestic cases studied were‘KOSEN (The Global Network of Korean Scientists and Engineers)’and ‘Women net’. Though it is a case of a different area, KOSEN is exemplary in that it activates the online exchange of expert knowledge and specialist communities are formed based on the activities. In addition, Women net gives implications in that it develops networks through the cyber mentoring program and shares knowledge smoothly through the networks. As a overseas case,‘Creative Partnerships’was discussed. Benchmarking points of CP were its networking of arts educators in the process of executing arts education projects and its promotion of partnership among institutions such as government agencies, culture and art organizations and schools. Based on discussions above, ChapterV made suggestions for activating the online knowledge network of arts educators. First, adopt support type operation based on autonomy. Second, establish the direction and philosophy of online knowledge network operation. Third, lay the ground of the network through cooperation among institutions and the participation of many competent specialists. Fourth, provide the members with contents and services. Fifth, support the management and accumulation of knowledge. Sixth, promote offline activities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online network. Seventh, maintain and manage human resources of the network. Eighth, prepare a system for assessing and rewarding for network activities. The present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derived implications from domestic cases in different areas and from overseas cases in different environmentbecause there was no similar case in arts education in Korea. However, it is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it defined the concept of online knowledge network in arts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knowledge ecosystem and made suggestions for activating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networks in the future.

      • 출애굽기 28장의 12 보석에 관한 연구

        오상은 삼육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과 성품에 대해 보여주고 있는 출애굽기 28장에 나타난 12보석의 의미와 사상을 파악하고 죄인된 백성을 친백성으로 선택하시고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사랑과 예수 그리스도의 중보 사역을 깨닫는 데 있다. 제1장은 문제의 진술,연구의 목적과 중요성,연구의 방법과 제한 등을 진술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출애굽기 28장에 나타난 대제사장의 의복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그 의복들이 어떤 재료와 방법으로 만들어졌는지를 살펴보았다.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대제사장의 의복이 성소에서의 특별한 위치에 있는 대제사장의 위상과 역할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각 요소들이 참 대제사장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예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3장에서는 대제사장의 의복 가운데,판결 흉패의 12보석에 대해 히브리어와 헬라어의 의미를 살펴보고 각 영어번역들을 살펴봄으로 현대에 존재하는 보석과의 연결을 시도하였다.그리고 그러한 연구를 통해 보석의 특징과 색깔,생김새들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이러한 연구를 통해 현대의 보석들과의 정확한 일치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지만,12보석의 정체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이스라엘 진영의 조직과 질서와 관계있는 12보석의 배열 순서와 이스라엘의 12지파와의 관계,그리고 요한계시록 21장의 12보석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12보석과 12지파의 관계에서는 각 지파의 조상의 특성과 각 지파들의 역사의 내력을 야곱과 모세의 축복을 통해 연결시켜 보았다.계시록의 12보석과의 관계에 관해서는 12보석을 나타내는 어휘들을 알아보고,두 목록 사이의 일치여부에 관해서 여러 견해들을 통해 알아보았다. 제5장에서는 12보석과 그리스도의 사역 및 성품에 관해 살펴보았다.12보석에는 하나님의 완전하심과 질서,그리고 인간에 대한 사랑이 나타나 있다.그리고 그것은 그분의 백성을 다루시는 하나님의 방법과 개인의 개성과 특성을 존중하시며,다양성 속에서 연합과 통일을 추구하는 하나님의 교회를 돌보시는 그리스도의 사랑과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화목을 위해 봉사하시는 예수 그리스도의 중보 사역을 보여준다. 제6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하고 종합하였다. 결론적으로 출애굽기28장의 대제사장의 의복 가운데 판결 흉패의 12보석은 개개인의 성품과 개성에도 불구하고 그분의 백성을 사랑하시고 구원으로 이끄시는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과 성품을 아주 분명하게 표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 과학고등학교 교육과정 연구 : 학생의 대학 진학에 따른 진로 집중과정의 도입 가능성 탐색

        오상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정보화사회에서 우수한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통해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과학고는 초기 설립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최근 이공계 기피 현상과 과학 영재를 더 높은 수준으로 육성하려는 과학영재학교의 등장으로 과학고의 위상은 상대적으로 저하되고 있다. 조기졸업과 특정 대학에 대한 선호 등으로 과학고 교육과정은 정상적인 운영에서 벗어난 면이 있다. 과학고가 학습자와 국가․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려면, 2009 교육과정에 제안된 다양한 진로 집중과정을 제공하여 학생들을 다방면의 이공계 진로로 연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고 학생들이 소질과 적성에 따라 이공계 대학에 진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진로 집중과정의 도입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과학고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과학고 교육과정의 현황은 어떠하며, 그 문제점 및 과제는 무엇인가? 둘째, 과학고와 대학 이공계 진로 연계를 위한 과학고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과학 영재의 특성을 살펴보고, 진로에 따른 과학 분야의 학습을 탐색해 보았다. 그리고 과학 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편성에서 세분화와 통합화, 운영에서 속진과 심화를 살펴보았다. 더불어 우리나라 영재 교육 현황은 어떠한지, 우리나라 과학 영재 교육은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외국의 과학 영재 고교 교육과정과 우리나라 과학고의 비교 연구를 통해 과학 영재 교육과정의 구체적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비교 항목은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요소를 고려하여 교육목표, 학생선발, 교과 편제 및 시수,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졸업제도와 대학진학 등으로 하였다. 현행 과학고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을 분석한 결과, 문제점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기졸업제도로 인해, 과학고 학생들의 심화 학습이 이루어지기 힘들다. 둘째, 과학고 교육과정은 전문교과를 획일적으로 운영하여 학생들의 진로별 요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과학고 교육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과학고 교사 및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과학고 교사와 학생들은 과학고가 초기의 설립 목적에 따라 과학 영재들의 학습 요구를 만족시켜 주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기졸업제도로 인해 심화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었다. 이로보아, 과학고 교사와 학생들은 진로적 요구에 적합한 전문교과 교육과정이 편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 학생의 다양한 소질과 적성을 고려한 진로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제시한 진로 집중과정 도입에 대해 과학고 교사와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찬성하였다. 진로 집중과정의 이수방법 및 시기에 관해서는 고학년에서의 집중이수를 선호하였다. 과학고 교사와 학생들의 교육과정적 요구를 바탕으로 제시한 과학고 진로 집중과정 도입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고에 독특한 전문교과를 수학,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정보(컴퓨터), 기술(공학기초) 등 7개로 설정하였다. 둘째, 각 전문교과의 학습의 수준을 HP2, HP3, UP(University Program)로 설정하였다. 일반계고 자연계열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과정의 수준을 HP1(High School Program 1)이라고 한다면, 과학고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것은 보다 상위 수준으로 HP2, HP3 및 대학 1, 2학년 수준인 UP(University Program)의 단계로 재설정하여 학습의 수준을 높이는 것이다. 셋째, UP 수준 과목을 중심으로 7개 전문교과 중 2개를 조합하여 대학 학습과 연계되는 총 21개의 진로 집중과정을 구성하였다. HP2, HP3 수준은 대부분의 과학고 학생들이 ‘공통’으로 이수하되, UP 수준으로 갈수록 공통이수 부분을 줄여 진로 집중과정별로 ‘상이’하게 이수하는 방식이다. 또한 학습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탐구학습 중심의 질 높은 수업이 되기 위해 진로 집중과정은 집중이수로 편성 이수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았다. 넷째, 수학․과학을 제대로 학습하기 위한 바탕으로서 타 분야 관련 기본소양의 육성을 강조하였다. 특히, 예술과 체육 활동을 총이수단위의 10% 정도로 증가시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교육과정 총론을 고려하면, 과학고의 전체 ‘교과’ 이수 단위 수는 180단위이고, 이들 중 전문교과 이수 단위 수는 80단위, 그 중에서 진로 집중과정별 이수 단위 수의 크기는 20단위 정도가 적합할 것이다. 덧붙여, 설문 조사 결과, 2개 과목을 짝지어 개설할 때 적합도가 높은 순으로 1순위에서 6순위까지 중에 수요가 많은 것을 공통 과정으로, 학교에 따라 7순위에서 13순위까지는 특화하여 개설한다면 보다 많은 학생들의 진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를 토대로 과학고 교육과정 개선 방안이 보다 효과적으로 실현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과학고 교육과정의 특성화를 위해서는 학교 단위에서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의 자율성과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총론 문서에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각 진로 집중과정에 속한 관련 교과 교육과정 내용 분석을 통해 내용 재구조화와 과목간 연계를 통한 통합적 접근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특히, 속진과 심화학습은 연계한 통합 단원 분석 및 내용의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이는 학습 분량을 적정화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진로 집중과정 중, 특화한 과정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단위 학교에서 진로 집중과정 개설 특화, 이에 따른 교원 수급 및 학생 수용과 시설과 설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더구나 소수 학생이 이수할 전문적인 교과목을 가르칠 교원을 확보하기 위한 학교간 교원 풀의 형성과 활발한 교류가 필요하다. 넷째, 과학고에서 이수한 진로 집중과정이 대학에서 선이수학점으로 인정받는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과학고-대학간 교육과정이 좀더 효과적으로 연계될 수 있을 것이고, 우수 학생들은 대학수학기간을 단축하고 학습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金屬과 나무의 物性을 應用한 裝身具 硏究

        吳尙恩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미술은 표현의 자유가 중시되고, 장르와 영역을 구분하는 범위가 모호해 지면서 새로운 재료의 도입과 기법을 발견하여 자유로운 표현을 시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재료의 물성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조형의 장신구를 연구하였다. 조형행위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전달된 모든 사물의 이미지는 대상 자체의 질서와는 다른 새로운 질서를 가지게 되며 작가의 표현을 통해 재구성된다. 이러한 사물에는 드러난 부분과 가려진 부분이 공존한다. 다양한 물성(物性)의 감각적 측면을 수용한 작업과정을 통해 드러난 사물은 그를 구성하는 개별 물질들의 고유성을 간직하면서, 동시에 그 자신이 또 하나의 감수성을 유발하는 사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본 연구자의 감성과 다양한 물질들이 상호 수용의 과정을 통해 각자의 고유성이 마모되지 않은 가운데 하나의 조화로운 조형을 체험하게 하는 사물을 드러내는 것, 자연을 닮으려는 의지가 본인의 물(物)에 내포된 핵심적인 의미이다.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많은 사물을 접하게 되고, 이러한 것들은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이루고 있다. 사물들 가운데서도 어떤 것은 자신에게 특별한 의미로 다가오는 것들이 있다. 또한, 의미가 담겨있지 않아도 주변에 산재되어 반복적으로 지각되어온 것들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친숙한 대상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의 장신구도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금속과 나무, 종이의 재료를 사용하였다. 재료 그 자체의 본성을 파괴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제작하는데, 특히 물성(物性)이 다른 재료의 사용으로 자연스러움과 생동감을 표현하였다. 꼴라주(Collage)기법을 이용하여 물성이 다른 다양한 재료의 사용이 가능하였으며, 이 기법은 물성의 조화와 대비를 강조해 주었다. 나무의 이미지를 표현함에 있어서 나무를 주제로 기본적인 나무의 형태를 중시하고 대상물을 단순화시키거나 상징적인 형태로 전개시킴으로서 새로운 조형성을 추구하고 창조하고자 하였다. 나무의 특징적인 이미지를 분석하여 외적인 형태를 조형적으로 응용하고 내적인 의미를 형상화하여 금속으로서의 조형 표현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On Modern Contemporary, Expression of freedom is very important. As the extent which divide into genres and domains get ambiguous, it is trying free expression with discovery of skill and accepting of material. On this thesis, with study of physical property studied personal ornaments of various and modeling. In the act of modeling, the usually transmitted images of objects are arranged in different order from the actual image and they are rearranged by the author's expression. Things with work processing have peculiarly and have function of things susceptibility of another. We usually contact with objects and it is very closely related with our own life. Some objects have so important meaning in their own. In other words, one of the objects doesn't have any meaning. In addition, one would get used to the surrounding objects by repeatedly experiencing them, even though they have no meaning by themselves. Accessories of this study, are used by normal material as metals, wood and paper which can be found. For avoiding destroy of own nature, it will be made, specially using of different material whose physical properties it expressed of nature and activity with using of collage skill, it can use various material this skill emphasize harmony and contrast of physical properties. Expressing image of wood, fundamental feature of wood is of importance and simplify objects, or unfold symbol feature, create, new modelling. With analyze image of wood, it is express meaning of inner created external modeling and I try to find a possibility of modeling expression as met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