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취학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미술치료 연구 : 섬유매체를 중심으로

        오경선 용인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using fabric medium on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For this,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how does art therapy using fabric medium affect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A total of 14 art therapy sessions using fabric medium were conducted from June 2016 to October 2016. Participants were 2 mothers of preschool-aged children residing, Gyeonggi-do.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art therapy using fabric medium on parenting stress, it used a pretest-posttest with Parenting Stress Index(PSI) and Person-In-The-Rain(PIT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rt therapy using fabric mediu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the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In terms of pretest-posttest with Parenting Stress Index(PSI),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PSI scores and those scores related to the child-related stress domain and parent-related stress domain as the sub-domains of PSI. It indicates that through the art therapy program using fabric medium, they are self-aware by seeing reality objectively. That is, reflecting on the situation from the beginning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husband to the present life as a mother, they were able to recognize their problems and make a positive change in their life. Second, In terms of pretest-posttest with Person-In-The-Rain(PIT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rain as a stress resource and the umbrella as a stress coping resource. It showed that the amount of rain has decreased dramatically and the size of umbrella as a stress coping resource became bigger. Moreover, Those expressions such as being accompanied with someone and wearing the boots indicate decreased stress, increased coping resources and decreased parenting-stress. To sum up, it confirms that the art therapy using fabric medium has a positive effect in decreasing the parenting stress. 본 연구는 섬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미취학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섬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미취학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2016년 6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경기도에 거주하는 미취학아동 자녀를 키우는 어머니 2인을 대상으로 총 14회기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 양육스트레스척도(K-PSI)를 실시하고, 투사검사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PITR)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섬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미취학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치료를 실시한 후 양육스트레스 사후 검사에서 양육스트레스 총점과 하위영역인 아동영역과 부모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참여하여 객관적 직면을 통해 자기인식을 하고, 남편과 결혼을 하여 가정을 꾸리고 엄마가 되어 살아가는 현재까지 상황을 되짚어 문제를 인식하여 보고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갈 수 있는 희망이 만들어진 것이라고 보여 진다. 둘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에서도 스트레스 변화 양상이 나타났다. 빗속의 사람 그림 사전검사에서 스트레스 자원으로 볼 수 있는 비의 양이 스트레스를 표현하고 있으며, 대처자원으로 볼 수 있는 우산이 있음에도 비에 노출되어 스트레스가 많음을 보여 주고 있다.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행해진 빗속의 사람 그림 사후검사에서는 비의 양이 현저히 줄었으며, 대처자원인 우산이 커지고 함께 있는 사람이 표현됐거나 장화를 신고 있는 것을 표현하여 스트레스가 줄고 대처자원이 늘어나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것과 같이 본 연구에서 섬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미취학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학업지연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패공포와 학업적 정서조절의 병렬다중매개효과

        오경선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Unlike high school, when students depend on the guidance of teachers or parents in their academic settings, students at universities, which require autonomous performance, experience difficulties due to academic procrastination. A large number of college students reported psychological distress due to academic procrastination, which is a serious problem, such as not only studying but also continuing in the professional scene after entering society and experiencing disadvantages in social achie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can alleviate academic procrastina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academic procrastination occurs due to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s a result, fear of failure and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blity were adop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fear of failure and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bility mediate parallell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300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ged 19 and over nationwide, and 294 of data were used for the study, excluding 6 copies whose responses were insincere or did not fit the age range. The study results analyzed using SPSS 23.0 and SPSS Process macro 4.0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variable, it was confirmed tha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was correlated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blity, and fear of failure. Second, it was found that fear of failur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ut not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blit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is a factor tha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academic procrastination of univerity student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fear of failure significantly affects academic procrastination, but not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vility. Since most of the sub-factors of academic emotion regulation were cognitive control variables, it is meaningful that interventions from different directions are needed to control emotions in the academic process. 학업장면에서 선생님 또는 부모님의 지도에 의존하게 되는 고등학교 때까지와는 다르게, 자율적인 수행이 요구되는 대학교에서 학생들은 학업지연행동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게 된다. 다수의 대학생이 학업지연행동으로 인한 심리적 고통을 보고하였으며, 이는 학업에만 그치지 않고 사회에 진출한 후 직업적 장면에서 여전히 이어지며 사회적 성취에 불이익을 경험하게 되는 등 심각한 문제로 자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성향으로 인해 학업지연행동이 발생한다는 가정 하에 학업지연행동을 완화할 수 있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에 동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으로 실패공포와 학업적 정서조절을 채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패공포와 학업적 정서조절이 병렬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전국의 19세 이상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300부의 응답을 수집하였고,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나이가 범위에 맞지 않는 6부를 제외한 294부의 자료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 4.0을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학업지연행동, 학업적 정서조절, 실패공포와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평가염려 완벽주의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실패공포는 매개하고, 학업적 정서조절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에의 결과를 통해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에 대해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드러났으며, 더 나아가 실패공포는 학업지연행동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나, 학업적 정서조절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학업적 정서조절의 하위요인 대부분이 인지적 조절 변인이었다는 점에서, 학업 과정에서 정서를 조절하기 위해 다른 방향의 개입의 필요하다는 의의가 있다.

      • 학습동기 모델을 적용한 문제중심학습 프로그래밍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오경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for students who are learning programming for the first time to continuously enhance learning motivation. Accordingly, it applied each element of the ARCS motivation model and developed a problem centered scratch programming class model and designed specific learning methods to analyze the influence caused on the learning motivation of the elementary students. For the study targets, 40 students who are in 4th to 6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Eunpyeong-gu, Seoul were targeted and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nfluence of programming class on the learning motivation of the students. Furthermor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nfluence caused by the class model, which enhances such learning motiva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The targets were classified into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group was part of a problem centered programming class which applied the ARCS motivation model of the researcher and the control group was part of a traditional lecture type scratch class. After class, the differences of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each group were observed by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problem centered learning program which applied the ARCS motivation model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enhancement of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을 처음 배우는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학습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ARCS 동기 모델의 각 요소들을 이용하여 문제중심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구체적인 학습을 설계한 후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은평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4~6학년 40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프로그래밍 수업이 학생들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나아가, 이러한 학습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업 모형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은 연구자의 ARCS동기모델을 적용한 문제중심학습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강의식 스크래치 수업을 받았다. 수업 후 각 집단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ARCS동기 모델을 적용한 문제중심학습 프로그래밍 수업은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공공미술 연구 : 사회참여적인 공공미술을 중심으로

        오경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공미술은 관심 있는 사람들이 선택해서 찾아가 즐기는 미술관이나 화랑의 작품들과는 달리 많은 사람들을 상대로 일방적으로 보이면서 정서에 개입하는 성향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작가는 책임의식을 가지고 작품을 영구적이고 기념비적인 것만이 아닌 대중을 많이 참여시키면서 소통하는데 목적을 두고, 일상의 삶과 주변의 환경을 반영하는 사회참여적인 정신영역까지 포함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요셉 보이스는 미술의 소통적 측면에 관심을 가지고 확대된 예술개념으로 모든 삶을 조각의 과정으로 보여주고자 했다. 예술과 생활을 동일시하는 그는 스스로 규정하고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행동하는 사람을 예술가라고 부르며 그런 의미에서 누구나가 예술가이며 획일화된 사회의 틀에 갇혀있던 창조성을 부활시켜 모든 사람이 인간적 삶을 이루기 위한 상호소통을 촉진시키고자 했다. 우리의 삶 자체가 소통과 순환의 관계 속에서만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유기적으로 얽힌 모든 관계가 서로 공존이 가능할 때 우리의 존재의 가치가 존중되며 이러한 점을 통해 예술을 곧 삶이라는 요셉 보이스의 주장이 이해되어진다. 그러한 확대된 예술개념의 실천으로 교육을 중요시하며 정치적 활동까지 하게 되는데 이러한 점은 최근 의 공공미술이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기념 조형물과 다른 형태로 날카로운 비판의식으로 공공영역에 개입하는 성향을 강화하는 점과 맞닿아 있다 고 볼 수 있다. 대중적 장소를 미적으로 꾸미는 데만 그치는 것만이 아니라 작품 속에 정치, 사회, 역사적인 메시지를 주입하는 공공미술은 작가의 보다 활발하고 의식 있는 사회활동을 가능하게 하고 미술을 완성물, 대상물 아니라 전달과정으로 보고 관람객의 단순한 관찰 보다는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삶으로부터 멀어졌던 미술을 현실과 가깝게 만들어 주며, 사회적 건강, 문화적 다양성, 환경적 각성에 관심을 가지고 현실을 비판적으로 보며 발전된 사회로 나아가는데 예술의 기여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공공미술은 순수한 미적세계만을 추구하는 미술과는 거리가 있고 관례적인 미술의 제도화를 거부하고 사회에 대한 비평형태를 취해 다소 거부감을 줄 소지가 있지만 요즘의 대중예술이 사회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은 긍정적 의미에서 사회에 개입하는 미술이 사회적치유와 감성자극에 얼마든지 더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공공장소를 물리적 장소로만 보지 않고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소통의 공간으로 인식한 공공미술은 예술이 사회적 참여와 기여를 할 수있음을 보여준다.

      • 브랜드 아파트 외관색채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 국내 5개 건설사를 중심으로

        오경선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apartment brands have become an important determinant in apartment purchasing among consumer purchasing elements so brands have become an important means in the competitive market of apartments. Therefore, construction firms are continuously building differentiated images that suit each brand, developing strategies to form brand identities to consistently influence consumer perceptions in a positive way.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ing trends of exterior colors by year through field studies of brand apartments which are the subject of this study to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on image colors that each brand aims for with their changing identities. Therefore, of the construction firms that were selected as the top five in the National Brand Competitiveness Index of 2014, apartment complexes with at least 5 main apartment buildings of at least 15 floors each were selected, divided into the years of 2010~2011, 2012~2013, and 2014~2015, and 1 complex was selected for each year, and a total of three complexes were selected. Afterwards,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exterior color ranges and color application areas used by year on the brand apartments to extract the color images of each brand. Afterwards, the images that each brand aimed for were analyzed and their correlations with the exterior colors previously surveyed were investigated through an image scale. A total of 26 colors were extracted as the colors that appeared on Samsung C&T Corporation’s Raemian, and of these, there were a total of 12 colors in the Y series, making them the most used. Also, after analyzing the images of ‘pride’, ‘first’, and ‘best’ which were extracted from the identity that aims for ‘pride experienced by people who live in Raemian’ along with colors applied in the field, it was slowly corresponding with the aimed images of ‘progressive’, ‘urban’, and ‘refined’, so analysis resulted in partial correspondence. For GS Construction’s Xi which was planned with the slogan ‘the place everyone dreams about’, 31 colors were extracted and there were a total of 15 colors in the Y series making it the most used. Also, after analyzing the images of ‘sophisticated’ and ‘high-class’ extracted from the aimed brand identity along with colors that were applied to the field, they did not correspond with the aimed brand image of ‘progressive; and ‘high-tech’. A total of 23 colors were extracted for Daelim Industrial Company’s e-comfortable world (pyunhansaesang) which has the core value of being ‘the creator of the most comfortable living space’ and there were 7 colors in the Y series and 7 colors in the YR series, making them the most used. After analyzing the images of ‘comfortable’ and ‘convenient’ extracted from the brand identity along with colors applied in the field, they all corresponded with the aimed brand image of ‘comfortable’ and ‘convenient’. A total of 26 colors were extracted for Daewoo Construction’s Prugio which aims at being ‘a premium living space where people and nature exist together’ and 14 colors were from the GY series, making it the most used.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images of ‘people’, ‘nature’, and ‘the environment’ which were extracted from the brand’s identity along with colors applied to the field and they all corresponded with the aimed brand image of ‘natural’. For Hillstate, which aims at becoming ‘a masterpiece for living, having value that goes beyond housing to becoming history and culture’, a total of 44 colors were extracted, which is the most out of all the investigated brands and 14 colors were from the Y series making it the most used.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mages of ‘dignity’, ’pride’, and ‘high quality’ extracted from the brand’s identity along with colors applied to the field and all of them corresponded with the aimed brand image of ‘high quality’ and ‘dignified’. After investigating and analyzing a total of 5 brands, Samsung C&T Corporation’s Raemian was analyzed to be slowly corresponding and analysis of GS Construction’s Xi showed that it does not correspond. Next, analysis of Daelim Industrial Company’s e-comfortable world (pyunhansaesang), Daewoo Construction’s Prugio, and Hyundai Construction’s Hillstate showed that the brand images that they aim for correspond with the exterior color images of the completed sites. Also, changing trends of brand apartment exterior colors by year show that all 5 brands used an increasing number of colors as the years passed and they were being planned with the use of various color groups. Investigations showed that brightness ranges gradually broadened and chroma ranges were especially broadened. The brand images that are aimed for and exterior colors that do not correspond should be changed so that they do correspond so that companies can effectively deliver the image they want to deliver through brand identity. The present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only conducted analysis on 1 apartment building which was chosen as the representative building of each apartment complex and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analyzed whether the images aimed for by each brand corresponded with their exterior colors by categorizing them by year of completion and conducting detailed investigations and analysi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brand identity and exterior color manual improvements regarding color area analysis. 오늘날 아파트 구입 결정요인 중 브랜드는 소비자들의 구매요소 중 높은 순위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브랜드는 아파트 경쟁시장에서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따라서 건설사는 각각의 브랜드에 차별화된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구축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를 형성할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해 소비자의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지속적으로 미쳐야 한다.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인 브랜드 아파트의 현장 조사를 통해 연도별 외관색채의 변화 추세에 대해 분석하여 브랜드마다의 변화되고 있는 아이덴티티의 지향 이미지 색채와 비교 분석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였다. 따라서 2014년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아파트 부문 1위부터 5위까지의 건설사를 대상으로 서울시 내 준공된 단지 중 주동이 5개 이상이며, 최고층수 15층 이상인 아파트 단지를 선별, 2010~2011년, 2012년~2013년, 2014년~2015년으로 분류한 후 연도별 각 1개의 단지를 선정, 총 3개 단지를 선정하였다. 이 후 브랜드 아파트에서 연도별로 사용된 외관색채 분포 범위 및 색채 적용 면적에 대해 조사하였고, 각 브랜드의 색채 이미지를 추출하였다. 다음 각 브랜드에서 지향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분석하였고 이미지스케일을 통하여 앞서 조사된 외관색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삼성물산 래미안의 출현색채에 대한 종합으로는 총 26개의 색채가 추출되었으며, 이 중 Y계열이 12개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래미안에 사는 사람들이 그들만의 자부심을 경험’이 지향하는 아이덴티티에서 추출된 ‘자부심’, ‘최초’, ‘최고’의 이미지와 현장에 적용된 색채를 분석한 결과 브랜드 지향이미지인 ‘진보적인’, ‘도시적인’, ‘지적인’에 점점 부합해가 부분 부합으로 분석되었다. ‘모두가 꿈꾸는 그곳’이라는 슬로건으로 계획된 GS건설의 자이(Xi)는 31개의 색채가 추출되었으며, Y계열이 15개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지향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에서 추출된 ‘수준높은’, ‘고품격’의 이미지와 현장에 적용된 색채를 분석한 결과 브랜드 지향이미지인 ‘혁신적인’, ‘하이테크한’ 이미지에 부합하지 않았다. ‘가장 편안한 주거공간 크리에이터’의 핵심가치를 가진 대림산업의 e-편한세상은 총 23개의 색채가 추출되었으며, YR계열과 Y계열이 각각 7개씩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에서 추출된 ‘편안한’, ‘편리한’의 이미지와 현장에 적용된 색채를 분석한 결과 브랜드 지향이미지인 ‘편안한’, ‘편리한’에 모두 부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람과 자연이 함께하는 프리미엄 주거공간’을 지향하고 있는 대우건설의 푸르지오는 총 26개의 색채가 추출되었으며, GY계열이 14개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에서 추출된 키워드인 ‘사람’, ‘자연’, ‘환경’의 이미지와 현장에 적용된 색채를 분석한 결과 브랜드 지향이미지인 ‘자연적인’에 모두 부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집 이상의 가치를 지닌 역사와 문화가 되는 주거명품’을 지향하고 있는 힐스테이트는 조사브랜드 중 가장 많은 44개의 색채가 추출되었으며, 이 중 Y계열이 14개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아이덴티티에서 추출된 ‘품격’, ‘자부심’, ‘고급’의 이미지와 현장에 적용된 색채를 분석한 결과 브랜드 지향이미지인 ‘고급스러운’, ‘품위있는’에 모두 부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 5개의 브랜드를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삼성물산의 래미안은 점차 부합해 가는 것으로, GS건설의 자이는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대림건설의 e-편한세상, 대우건설의 푸르지오, 현대건설의 힐스테이트는 브랜드 지향이미지와 준공 현장의 외관색채 이미지가 서로 부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연도별 브랜드 아파트 외관색채의 변화 추세로는 5개 브랜드 모두 연도가 지날수록 외부에 사용된 색채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색상군을 사용하여 계획되고 있었다. 명도의 범위도 점점 넓어졌으며 특히 채도의 범위는 확연히 넓어진 것이 조사되었다. 기업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통해 전달하고 싶은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브랜드 지향 이미지와 외관색채가 부합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 서로 부합하도록 개선되어 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대표동을 선정, 1개동에 대한 분석만 진행하였던 한계점이 있으나, 각 브랜드마자 지향하는 이미지가 외관색채에서 부합되고 있는지 대한 분석으로 준공된 연도별로 분류하여 세부적으로 조사 및 분석 했다는 측면에서 기존 연구와 차이가 있다. 향후 본 연구가 색채 면적 분석에 대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 및 외관색채매뉴얼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한 비판과학 관점의 가정과수업에서의 실행연구 : 중학교 「기술·가정」교과 의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오경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의생활 영역의 비판과학 관점 가정과수업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학습자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의생활 영역의 비판과학 관점 가정과수업 실행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의 경험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실행경험의 교육적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실천적 추론의 개념적 틀을 적용하여 총 5개 모듈 12차시로 구성된 의생활 영역 가정과수업을 개발하여, 경기도 K중학교 2학년 2개 학급 총 46명(남 27명, 여 19명)에게 4주간 적용하였다. 효과 검증을 위해 수업의 사전-사후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생의 수업일기와 면담 자료 등을 수집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수업의 실행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의 경험을 드러내어 그 교육적 의미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생활 영역에서 비판과학 관점의 가정과수업을 개발하기 위해 개념화 단계에서 의생활 관련 지속적인 관심사는 ‘사회 내의 가족을 위하여 의생활과 관련하여 무엇을 해야 하는가?’로 선정하였다. 추구하는 가치목표는 자유가 많고 책임이 큰 상태인 복합적인 위치로 정의하여, 실천적 추론과 비판적 사고, 협력적 대화를 강조하며 상호의존성, 감정적 성숙, 지적발달, 의사소통 능력 등을 학습의 목표로 삼았다. 교육내용과 활동의 구조를 위해 실천적 추론 과정을 교육내용의 개념적 틀로 사용하였으며, 하위 관심사, 광의의 개념, 하위 개념과 지적·사회적 기술을 포함시켰다. 개발단계에서 교수학습 모듈 역시 실천적 추론과 관련 되도록 구성하여, 총 5개 모듈의 12차시 수업, 31개의 학습지와 관련 동영상, PPT 자료를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의생활 영역의 비판과학 관점 가정과수업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한 결과, 임파워먼트 차원 중 정치·사회적 임파워먼트가 수업 이전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질적 분석 결과, 개인내적 임파워먼트에서 ‘자기 효능감’ 등이 나타났고, 대인관계적 임파워먼트에서는 ‘자기주장’, ‘문제해결’ 등이 확인되었으며, 정치·사회 임파워먼트에서는 ‘대중에게 의견 표명 및 조직에 참여’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2반 남학생의 경우, 사후 평균이 정치·사회적 임파워먼트와 전체 임파워먼트가 유의한 수치로 향상되었다. 이는 다른 집단 보다 비판적 사고와 행동에 대해 초점을 두고 있었기 때문으로 질적 분석하였다. 따라서 비판적 사고와 행동에 초점을 맞춰 수업이 진행될 경우 임파워먼트 향상에 보다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개발된 의생활 영역의 비판과학 관점 가정과수업 실행 과정에서 교사는 시행착오를 겪었지만, 실천적 추론 수업의 각 단계를 학생들에게 안내하며 성찰을 통해 문제점들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관심사 확인은 귀납적 방법을 통해서, 맥락 파악은 사고과정의 시뮬레이션으로, 대안 마련은 현상의 파악 후 비판적 사고를 통해서, 가치목표 설정은 공감을 통해, 행동의 파급효과는 예측하기로, 그리고 실행하기는 실천적 추론을 바탕으로 자발적 행동 격려하기로 실천적 추론에 익숙해지기 위해 노력했다. 한편 학생들은 수업에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였고, 친구들의 의견을 통해 배웠으며, 문제의식을 갖고 자발적으로 실행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소통과 성찰, 학습의 안내자 역할을 경험하며 자기 주도적 교수 역량이 강화되어 전문성이 신장되었다. 학생들은 문제 의식을 갖고 교사와 함께 수업을 이끌어가는 주체자의 모습을 보였다. 위의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의생활 영역의 비판과학 관점 가정과수업은 실천적 추론 과정을 개념적 틀로 교육내용을 구성하여 실행까지 이르도록 구성하였고, 각 모듈을 진행하는 방법에서도 실천적 추론 과정을 단계별로 적용하여 교사의 팁을 제시하였으며, 지적·사회적 기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자료까지 제공하여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의생활 영역의 비판과학 관점 가정과수업은 실천적 추론과정을 수업에 새로이 시도해 보고자 하는 교사들이나, 실천적 추론 과정을 현장에서 실행한 후 실패를 경험한 교사들에게 다시 시도해볼 희망을 줄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개발된 비판과학 관점의 가정과수업이 양적 분석을 통해서는 학생들의 정치 사회적 임파워먼트 향상에만 영향을 주었지만, 질적 분석에서는 개인내적 차원, 대인관계적 차원, 정치·사회적 차원 모두에서 임파워먼트 향상이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이는 Baldwin(1990)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지만, 지금까지 실제로 가정과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연구는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개발된 비판적 관점의 가정과수업은 의미 있는 연구임이 드러났다. 게다가 일반 중학생을 대상으로 가정과수업을 통해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킨 것은 청소년이 공동체 활동에 참여하여 자신의 역할 찾고, 타인과의 협력을 통해 긍정적인 자기 효능감이 강화되어 긍정적 자아정체성을 형성하는 교과로서 인식되는 데에 기여하였다. 더불어 사회 참여 실행 프로젝트를 실시함으로써 가정과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사회구성원으로서 책임 있는 행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셋째, 의생활 영역의 비판과학 관점 가정과수업을 실행하면서 교사와 학생은 모두 실패를 경험하였고 사고방법에 능숙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는 전문성을 느꼈고, 학생은 주도적으로 학습하였다.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졌기 때문이었다. 학습자 중심의 교수방법은 많은 양 대신 핵심을 가르치고, 진도에 급급하지 않으며 속도를 조절하여 학생들에게 내용을 소화할 시간을 충분히 주는 교사의 여유가 중요하다(조용환, 2016). 따라서 비판과학 관점의 가정과수업을 현장에서 실천하려는 많은 교사들이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고 있지만, 교사든 학생이든 실패하면 다시하면 되고, 다음에 만회하면 된다는 생각으로 실수와 실패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개발된 의생활 영역의 비판과학 관점 가정과수업을 현장에서 교사들이 쉽게 적용할 수 있고,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형성과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며, 이를 실행하는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고 학생이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의생활 영역의 비판과학 관점 가정과수업을 개발한 결과를 차기 국가교육과정이 개정될 때 반영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실천적 추론과 가치판단과 같은 지적·사회적 기술을 가르치는 내용이 교육과정에서 자세하게 단계별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론적 기초에 의해 개발된 연구물이 현장에 확산될 수 있도록 평가원 차원에서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물들이 교사교육 기관의 교육과정에 반영되도록 교사교육기관 평가 기준에 포함되도록 하여,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동시에 현장 중심의 실질적인 교사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둘째, 임파워먼트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비판적 사고와 실천적 추론을 통한 사회 참여 실행 프로젝트를 가정과교육의 다른 단원까지 확대 적용 할 필요가 있다. 지역사회와의 연계 활동을 통해 공동체 의식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 또한 서민지, 이수희, 손상희(2015)의 연구결과에 따라, 교과서의 의생활 영역에서도 리더십, 시민의식과 같은 내용요소와 부모, 교사, 전문가와 대화하고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서술방식, 그리고 인터뷰, 전문가 초청 등의 활동과제를 포함하여 임파워먼트 향상을 꾀할 필요가 있다. 셋째, 비판과학 관점의 가정과수업을 새롭게 시도하려는 교사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지속할 수 있도록, 이러한 실패와 성찰의 과정을 공유할 수 있는 교사모임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들이 비판과학 관점의 수업을 꾸준히 지원받을 수 있도록 비판적 관점의 가정과수업 매뉴얼을 교육부 차원에서 개발하여 현장교사에게 배부하고 관련된 교사교육, 교육과정, 교과서 그리고 교사연수까지 변화가 일어나야 하겠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진행한 실행연구가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교육, 교사연수의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넷째, 개발된 의생활 영역의 비판과학 관점 가정과수업을 현장에서 적용할 때 수업시수 확보의 어려움이 있을 경우, 의생활 내용 뿐 아니라 소비자 단원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소비자 단원과 연결하여 수업시간을 확보할 것을 제안한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에 대한 평가가 제외되어 있다. 따라서 비판과학 관점의 가정과수업 후에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