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이 교육복지대상 청소년의 의사소통과 사회정서 역량에 미치는 효과=

        양지현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animal-assisted group counseling on the communication and socio-emotional competencie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of adolescents receiving educational welfare.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nimal-assisted group counseling applied to adolesc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from April to July 2023, involving participant selection, pre-testing, implementation of the counseling sessions, post-testing, and result analysis. Participants included 11 students from S Middle School in S Cit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by convenience sampling, and 11 students from G Middle School in G City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nimal-assisted group counseling sessions once a week for 90 minutes each, totaling 20 sessions.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for both groups, with communication and socio-emotional competencies measured using quantitative scal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5, and the method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ly,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pre-test phase. Secondly, paired sample t-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re- and post-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inally,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nimal-assisted group counsel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cation abilities of adolescents in the educational welfare target group. Post-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skil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ly, animal-assisted group counseling positively affected the socio-emotional abilities of the adolescents. Post-program,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ocio-emotional competencies were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is study verifies that animal-assisted group counseling effectively enhances the communication and socio-emotional competencies of adolescents receiving educational welfare.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ith animal-assisted activities not only improved the communication skills of adolescents receiving educational welfare but also enhanced their understanding and empathy towards others through interactions with therapy animals. Furthermore, it provided assistance in improving their social skills through peer relationships.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implications of animal-assisted group counseling programs. 본 연구는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이 교육복지대상 청소년의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의사소통 역량과 사회정서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동물매개활동이 적용된 집단상담의 참여자를 교육복지대상 청소년으로 선정하고 S시 소재와 G시 소재 재학중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2023년 4월 5일부터 7월 26일에 걸쳐 대상자 선정, 사전검사, 동물매개활동 집단상담 실시, 사후검사, 결과 처리 순으로 검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검사를 시행한 후, 실험집단에는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을 주1회 각 90분씩, 총 20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 의사소통 역량과 사회정서 역량의 양적 척도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5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전 동질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모수통계 검증방식인 독립표본 t-test 검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사전사후 검사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test 검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끝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 사후검사 결과에 따른 평균 점수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검증으로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이 교육복지대상 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실시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의사소통 능력 전체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둘째,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이 교육복지대상 청소년의 사회정서 역량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실시후, 실헙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사회정서 능력의 전체에도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 사회정서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이 교육복지대상 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과 사회정서 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동물매개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교육복지대상 청소년들에게 도우미견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하는 태도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켰을뿐 아니라, 또래와의 사회성 향상으로 동물매개활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키워드 : 동물매개활동, 동물매개집단상담, 의사소통 역량, 사회정서 역량

      • 드라마 <응답하라 1988>의 복고 콘텐츠와 대중음악 리메이크의 역할 : 서사적 기능과 편곡적 특징을 중심으로

        양지현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복고는 오늘날 하나의 트렌드가 되었고 대중예술 전반에서 자리 잡아 하나의 장르로 거듭나고 있다. 복고 콘텐츠가 패션을 비롯하여 영화, 예능, 드라마 등 미디어로 영역을 확장하여 하나의 트렌드를, 그리고 하나의 문화를 만들어 이끌어가고 있다. 복고를 소재로 한 드라마 <응답하라 시리즈>는 1980년대, 1990년대를 배경으로 설정하여 시청각적 복고 콘텐츠를 다양하게 사용하였다. 그 중 드라마 <응답하라 1988>은 케이블 사상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였고 음원차트 순위에서도 리메이크 음원이 상위권을 차지하며 1년간 ‘월간 차트’ 100위 안에 머무르는 저력을 보였다. 드라마 <응답하라 1988>에서는 다양한 복고 콘텐츠를 사용하였는데 그 중 청각적 복고 콘텐츠의 효과적인 사용에 주목할 만하다. 당시의 음악을 오리지널 버전으로 사용함은 물론이며 이와 더불어 대중음악을 11곡이나 리메이크하여 OST(Original Sound Track)로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드라마 음악으로 사용된 리메이크 음원들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오랫동안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았다. 이러한 현상은 그 시대를 경험한 8090세대뿐 아니라 미디어를 통해 복고 콘텐츠를 접하면서 새로운 문화적 경험을 하게 된 10대에게도 수용과 몰입을 이끌어냈음을 뜻한다. 따라서 오리지널 음악과 리메이크 음악을 나누어 드라마에서 어떤 서사적 역할을 하였는지 수용과 소통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드라마는 단순한 가치체계의 일방적인 전달이 아닌 수용자와의 타협,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되는 사회적 구성물이며 일상과의 만남을 통해 특정 시기에 공유되는 가치와 정서를 담고 있는 문화적 구성물이기에 상호작용에 기여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유의미하다. 대중음악 리메이크는 청각적 복고 콘텐츠로서 시청자와 드라마의 상호작용에 중심적으로 기여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리메이크 음악이 파편화·분극화된 미디어 사용양상에서 세대 간의 장벽을 무너뜨리는 소통의 매개체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대중가요 리메이크는 1980년대가 생소한 현 세대에게는 익숙한 목소리로, 80세대에게는 당시의 노래로 응답을 하고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는 역할을 했다. 이는 과거를 소재로 현재적인 재해석과 재창조 과정을 거쳤기에 가능하였던 것이며 그 과정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음악적으로 분석해볼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메이크 음악의 서사적 기능을 가사와 내러티브의 상관관계로 분석하고 편곡상의 특징을 대중가요 연구요소에 근거하여 장르와 송폼(songform, 곡 형식), 화성, 멜로디, 음색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리메이크 음악에서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사용된 음악적 도구를 살펴봄으로써 대중음악이 드라마 음악으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고찰한다. 이를 통해 앞으로 발표될 다양한 작품들에서 리메이크 음악이 오리지널 음악과 더불어 세대 간 소통과 시대적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드라마 음악으로서 용이하게 쓰이길 기대한다. Retro has become not only a trend but also a new rising genre in popular art. It is easily confirmed that retro contents has expanded its boundary to over all media industry like film, entertainment program and TV drama, which makes it lead contemporary culture. Answer series, a series of TV drama dealing with the retro as a code, sets its background in 1980-90s and utilizes various visual retro contents. Among it, Answer 1988 recorded highest ratings, and ranked high in the music charts. Considering that the ranking had remained at the top 100monthly charts, it is obvious that this popularity lasted for a while. Among a variety of retro contents used in Answer 1988, the aspects of using effective auditory retro contents is very distinguished. Moreover it is worth to note that Answer 1988 uses its OST (Original Sound Track) in two ways: an original version and remake music based on eleven popular songs. And these had been loved quite for a long time. This results implies that retro contents was largely accepted not only by the generation who indeed experienced1980-90s, but also by the teenagers who experience new culture through media. Drawing a line between original music and remake one, this paper aims to analyze what function music do in narratives in terms of audience's acceptance as well as communication. TV drama is not a one-sided delivery of simple value system, but a kind of asocial construction based on the compromise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In other words, TV drama is a cultural construction constructed by the daily encounter and its sharing in a particular time, accompanying with the value and emotion.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figure out what elements attribute to this kind of social and multidirectional communications. As a retro trend, popular song remake version contributes to the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and a medium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generations in terms of fragmented and polarized media usage. In other words, it gives the current generation who are unfamiliar with the1980s familiar voice, on the other hand, it offers the 1980s-generation an opportunity to communicate through music. This tactic is possible since with past as a theme, it goes through the reinvention and recreation process. In this process, it is necessary and worth to analyze what tools are used in musical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rstly, analyze the narrative function of remake music as a correlation between lyrics and narrative, secondly, the characteristic of arrangements in terms of genre, song form, harmony, melody and tone based on popular music analysing elements. Investigating the musical tools used to deliver its meaning effectively in remake music, this paper tries to trace how it has changed as a drama music, and ultimately hopes these tools be used in future works for making a communication field between the generations as well as a its sympathy.

      • 중장년의 구직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재취업 지원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양지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중장년의 구직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재취업 지원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양지현 평생교육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이 연구는 중장년 대상 재취업 지원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다양한 선 행연구결과들을 메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종합 적으로 분석하여 중장년의 구직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재취업 지원프로그 램의 효과성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을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장년 재취업 지원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둘째, 중장년 재취업 지원프로그램의 구직역 량에 대한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셋째, 중장년 재취업 지원프로그램의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2023년 8월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연구물 26편을 선정하고 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의 전체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먼저, 중장 년 재취업 지원프로그램의 구직역량의 효과크기를 살펴보았으며, 전체 효과크기는 1.011로 Cohen의 기준에 의하여 프로그램의 효과가 큰 것으 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구직역량의 하위변인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를 도 출하기 위하여 Meta ANOVA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구직역량의 하위요인 구직기술군과 심리·정서군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나 구직역량의 13개 세부하위요인에 따른 평 균효과차이는 구직효능감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재취업 지원프로그램을 조절하는 변인에 따 른 효과크기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출간유형에 따른 프로그램의 효과 크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출간유형 중 석사학위 논문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프로그램의 구성 횟수에 따라서는 10 회 미만으로 구성되었을 때 프로그램의 효과가 높을 수 있는 경향성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중장년 재취업 지원프로그램의 구성에 고려할 점 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기술하였으며 중장년 재취업 지원프로그 램의 효과성을 토대로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구성 방향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다양한 선행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평생교육 측면에서 재취업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고 논의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A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Re-employment Support Programs Affecting the Employment Competencies for Middle- and Upper Middle-aged Adults Yang, Jihyun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effectiveness of re-employment support program for middle- and upper middle-aged adults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effect size of the program by applying meta-analysis methods to various previous research results on the effectiveness of re-employment support program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problem was set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re-employment support program for middle- and upper middle-aged adults? Second, what is the effect size of the re-employment support program for middle- and upper middle-aged adults on job search capabilities? Third, what is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control variables of the re-employment support program for middle- and upper middle-aged adults? For this purpose, 26 studies conducted in Korea until August 2023 were selected and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studies was calculated using the R program. First, the effect size of the middle-aged re-employment support program on job search capabilities was examined, and the overall effect size was 1.011, indicating that the program had a large effect according to Cohen's standards. Next, Meta-ANOVA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the averag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sub-variables of job-seeking competency. As a result,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employment competencies, job-search skills group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related variable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average effec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13 detailed sub-factors of job search competency showed that the effect size of job search efficacy was the largest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addition,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variables that control the re-employment support program was analyzed, and as a resul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of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type of publication. Among publication types, the effect size of master's thesis was the largest, and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mes the program was organized.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tendency for the program's effectiveness to be slightly higher when the program was organized less than 10 time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ints to consider in constructing a re-employment support program for middle- and upper middle-aged adult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described, and specific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re-employment support program for middle- and upper middle-aged adults were discussed. It is significan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at they suggest the direction of a program that promotes the practical effects of re-employment support program for middle- and upper middle-aged adults. And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considered and discussed how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re-employment support program in the aspects of lifelong education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various previous research results to pursue a effective way for program development.

      • 중국에서의 한류의 형성과 영향 : TV 드라마를 중심으로

        梁至現 釜山大學校 國際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 Wave, a cultural communication and transferred by TV of the mass media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country, is the kind of cultural situation being accepted and taken by Chinese young people whose characters are very flexible and comprehensive in getting other cultures. China has introduced market economics policy for the new phase of economic turning point. But Chinese government has grasped tightly its mass media, so it is difficult for Chinese mass to be developed in the diverse aspects. Chinese people have being watched TV by the means of getting information as well by the means of enjoying their free time and leisure. Regardless of much time for leisure and better life style thanks to economic development than before, Chinese government has not invested in making mew media contents. Therefore Chinese have being thirsty in drinking of cultural desires. In this time TV dramas among korean TV programs got the popularity and took the place of Taiwan and Japanese mass cultures which are no more new and inspired to Chinese. But in the same time Korean Wave accepted by young people and transferred by TV dramas was expected to be positioned with negative point view about short life cycle and substituted culture of Taiwan and Japan. In spite of concerned atmospheres, curiosity and popularity of Korean Wave gave the new chance to not only newly understanding the Korea but also steadily purchasing the made in-Korea buys. First of all, One outstanding thing among these situations is that many Chinese have been visiting korea for the purpose of meeting the korean TV star and sightseeing background of dramas. It newly has been named 'New Korean Wave', its visiting rate is gradually rising. It has been resulted by Star marketing in product sale and visiting Korea. Furthermore selling rate of the korean products is being increasing, it has been resulted by Star people marketing. But selling products rate can not absolutely occur without guaranteed our good product quality. Korean Wave gives us to have an opportunity to bind the near countries by common cultural parts. We remember that Korean Wave must be understood only in the part of culture. If we use it in the respect of economic advantages, other countries will repel its acceptance, we have to use the cultural advantages to apply to the cultural community and to establish it, just like economic community because the Korean Wave is regarded to taking a part well in enlinking other countries.

      • Intestinal barrier disruption and dysregulated mucosal immunity contribute to kidney fibrosis in CKD

        양지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Evidence has emerged that intestinal dysbiosis is associated with diverse pathological processes, including diabetes, obesity, and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intestinal barrier disruption and aberrant mucosal immunity in 5/6 nephrectomized mice and the effect of probiotics on these parameters, systemic inflammation, and the progression of CKD. In CKD mice, the expression of colon HSP 70, a key protein in intestinal barrier integrity, and tight junction protein claudin-1 was significantly decreased; however, pore-forming claudin-2 expression and the incidence of apoptosis in colon epithelial cells was increased. These changes were accompanied by increased permeability. Although the percentage of CD4+ Foxp3+ Tregs, essential for immune tolerance, was not different than that in control mice, the ratio of CX3CR1intermediate/CX3CR1high proinflammatory/resident macrophages was increased in the colon of CKD mice with higher cytokine expression. Orally administered Lactobacilli mixture partially mitigated CKD-induced “leaky gut,” restored colon epithelial HSP 70, claudin-1, and claudin-2 expression, and decreased apoptosis. Probiotic treatment restored the ratio of CX3CR1intermediate/CX3CR1high macrophages and increased the percentage of CD103+ CD11c+ regulatory dendritic cells, Tregs, in the colon. These changes suppressed systemic inflammation and kidney fibrosis. Our data showed that intestinal dysbiosis-associated gut barrier disruption and aberrant mucosal immunity may be important in the systemic inflammation and progressive fibrosis of CKD. Intestinal targeting may provide novel opportunities for CKD therapy.

      • Urine liver-type fatty acid-binding protein predicts graft outcome up to 2 years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양지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Several new biomarkers for the detection of early tubular injury have been investigated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We recently identified day 2 urinary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NGAL) as a predictor of slow graft function and adverse 1-year outcome. In the present study, we further investigated the value of urinary NGAL and liver-type fatty acid binding protein (L-FABP) for predicting long-term graft outcomes up to 2 years. Methods. This study was a single-center,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Serial urinary NGAL and L-FABP levels at 0 hours, 2 days, and 6 days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KT) were measured, and the clinical data were assessed during the 2-year period after KT. Results. During the 2-year follow-up period, 13 (18.8%), 5 (7.2%), and 4 (5.8%)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acute T-cell-mediated rejection, acute antibody-mediated rejection (AMR) and chronic AMR, respectively. In addition, 10 patients (14.3%) developed calcineurin inhibitor toxicity and 6 (8.7%) developed BK viremia. The mean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s (eGFR) at 1 and 2 years after KT were 65.1±19.1 and 58.5±22.6 mL/min/1.73 m2, respectively, When poor long-term graft function was defined as eGFR of less than 50 mL/min/1.73 m2 at 2 years, elderly donors, acute rejection, and high 0-hour urinary L-FABP levels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urthermore, in rejection-free patients, L-FABP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poor long-term graft function (P = .006).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igh 0-hour L-FABP (P = .015) and acute rejection (P = .006) were independent factors predicting poor long-term graft function.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showed that the area under the curve for urinary L-FABP was 0.692 (P = .036).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urinary L-FABP may be a useful predictor of adverse long-term outcomes in KT patients.

      • 다문화 사회에 대한 보도 프레임 연구 : 2008년과 2009년의 조선일보와 한겨레를 중심으로

        양지현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에 등장하는 다문화 기사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언론의 다문화 프레임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다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살펴보는 동시에 진보와 보수인 두 일간지 사이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외국인 거주 100만을 바라보는 현 시점에서 다문화가 이처럼 많은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는 것에 비해 우리나라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연구 대부분이 사회학에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다문화 사회를 미디어 분석과 접목시킨 연구는 학문적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이에 대한 언론의 시각과 역할을 분석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논문은 기틀린의 이데올로기적 프레임 이론을 중심으로 언론의 정치적 성향과 다문화에 대한 보도 프레임을 분석하였다. 두 일간지의 2008년과 2009년, 총 2년간의 다문화 관련 기사 640여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각각의 뉴스 스토리를 하나의 이야기 구조이자 분석 단위로 보고 이를 중심으로 프레임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총 다섯 가지 프레임 - 정책홍보, 인권제고, 행사이벤트, 사회공헌, 사회분석 - 이 선정되었다. 정부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관련 정책 및 지원 프로그램 기사는 정책홍보 프레임으로, 다문화 사회 안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비판하거나 제고를 강조하는 기사들은 인권제고 프레임으로 분류했다. 행사 이벤트 프레임은 기업이나 개인, 시민단체 등에서 다문화 관련 행사가 주제인 경우이고, 다문화 대상자의 취업 등 성공 이야기와 사회공헌 내용들은 사회공헌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우리나라 다문화 상황을 사회적, 역사적, 미디어적으로 분석하고 외국 사례와 비교한 기사들은 사회분석 프레임으로 지칭하였다.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의 다문화 보도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두 행사이벤트 프레임과 사회공헌 프레임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인권제고 프레임이 많았다. 이것은 다문화라는 주제가 언론이 정치적 성향을 뚜렷하게 드러낼 만큼 보편적인 주제가 아니라는 사실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다문화에 대한 기사 대부분이 자원봉사와 행사, 사회공헌적인 이벤트와 정책 홍보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 연구가 갖는 의의는 무엇보다 우리나라 다문화 사회와 미디어를 접목시킨 연구와 아울러 보수 진영과 진보 진영의 인식 차이를 비교분석을 통해 우리 사회가 바라보는 다문화에 대한 시각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전개된 논의들이 향후 바람직한 사회 통합을 위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news frame on multi cultural society in Korea based on two prestigious newspapers knows as Chosun Ilbo and Hankyoreh, each representing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ideas in Korea.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is mainly focused on social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in Korea and how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paper each presents this social phenomenon. At present about one million foreigners are estimated to live in Korea, which brought attention to multi cultural society in this country. However multi culture related studies in Korea have been mostly reviewed only in sociological point of view, and rarely with media and journalism. This brought my attention to relate Korea's multi culture society with journalism, believing such analysis is important for future journalism studies as well as understanding multi culture society through journalistic point of view in Korea. Based on Gitlin's ideological news frame theology, the study analyzed newspapers' political views connected to their news frames on multi culture related articles. 640 news articles from year 2008 through 2009 were researched and each article was seen as a single story structure news frame. The result showed five news frames on multi culture society in Korea. They are 'government policy promotion', 'human rights enhancement', 'event and ceremony', 'public welfare contribution' and 'social analysis' frames. News articles concentrated on government policies was analyzed as 'government policy promotion' and articles that mainly concentrated and criticized on human rights issues in multiculturalism was categorized as 'human rights enhancement' frame. 'Event and ceremony' frame was given to articles which focused on multi culture related events by business corporations, civil society and individuals. 'Public welfare contribution' frame was for the stories which dealt welfare and successful stories of the members of multi culture society. Last of all, news articles which analyzed Korea's multiculturalism into social, historical and journalistic point of view and compared its phenomenon with overseas were categorized as 'social analysis' frame. After careful observation the study found out that Chosun Ilbo and Hankeoreh did not show major differences in their news frames on multi culture society in Korea. Both paper had large numbers of 'event and ceremony' and 'public welfare contribution' frames in their articles, followed by 'Human rights enhancement' frame. Such study result shows that, despite of certain possible arguments, multi culture society in Korea is not reviewed as a universal phenomenon at the moment, meaning not socially acknowledged enough for Korea media to prove their political views on this matter. This is why both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papers show similar news frames on multi culture society where most of their stories are largely related to events and ceremonies, followed by public welfare topics. The importance of the study is that it focused on Korea's multi culture society with domestic journalism, and tried to find the public awareness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papers on this issue. I sincerely hope this study may be part of sound progression of multi culture society in Korea.

      •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에 따른 영아의 애착안정성 및 놀이성의 차이

        양지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 수준에 따른 영아-교사 애착안정성 및 놀이성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영아의 발달과 영아-교사 간 긍정적인 관계의 중요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1.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의 일반적 경향성은 어떠한가? 2.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 수준에 따른 영아의 애착안정성의 차이는 어떠한가? 3.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 수준에 따른 영아 놀이성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소재의 가정, 민간, 법인, 국공립, 직장 어린이집의 영아의 주담임 교사 81명과 만0세∼만2세 영아 2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어린이집의 시설장이 그 기관에 근무하는 영아교사 3명의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의 모습을 평정하고, 영아교사 3명은 본인이 담임을 맡고 있는 영아들 중 3명을 선정하여 영아-교사 간 애착안정성과 영아 놀이성을 평정했다. 3명의 영아교사는 각각 독립된 영아반의 주담임을 맡고 있으며, 반 전체의 영아들과 자유놀이시간을 포함한 하루일과 운영 과정 중의 상호작용 모습을 시설장이 관찰하여 평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 평정을 위해 강숙현(1994)이 번안한‘한국판 유아교육 프로그램평가척도’를 김 현(2008)이 수정하고 보완 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영아의 애착안정성을 살펴보기 위해 Waters와 Dean(1985)이 개발한 애착Q-sort(AQS)를 이영, 박경자, 나유미(1997)가 번안하고, 수정·보완한 후 양애경(2006)이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영아 놀이성은 Barnett(1990)이 제작한‘아동의 놀이성 척도(Children's Playfulness Scale)’를 유애열(1994)이 번안하고 윤상인(2011)이 영아용으로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COVID-19로 인하여 설문지는 온라인 링크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2021년 7월 30일∼9월 3일까지 총 5주 동안 연구를 진행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의 일반적 경향을 보기위해 t 검정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의 수준에 따른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놀이성의 차이를 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변인에 따른 영아-교사 간 일반적 경향성은 교사의 연령을 제외한 학력, 근무경력, 근무유형과 결혼여부, 자녀유무에 따른 상호작용의 수준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 수준에 따른 영아의 애착안정성의 차이는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질수록 영아의 애착안정성은 높은 경향을 보였다.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집단이 하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와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상집단이 하집단에 비해 영아의 애착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 수준에 따른 영아 놀이성의 차이는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질수록 영아 놀이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이 상대적으로 잘 이루지고 있는 상집단과 중집단이 하집단에 비해 영아 놀이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이를 종합하면,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은 교사의 상호작용 수준이 높을수록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놀이성에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초기 청소년의 공격성과 컴퓨터 사용시간 간 종단적 관계

        양지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한국 사회에서 공격성과 관련된 아동 및 청소년 문제가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공격성과 컴퓨터 사용시간 사이의 관계를 살핌으로써 공격성과 컴퓨터 사용시간 간의 상호순환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성격에 따른 환경 추구’(Inkes, Snyder, & Garcia, 1997) 이론에 따르면 사람은 성격에 따른 환경을 추구하고 그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해 기존 성격이 보다 강화되어진다고 한다. 본 연구는 이 이론에 근거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설정한 연구모형을 통해 공격성이 높을수록 공격성을 추구할 수 있는 상황(예: 컴퓨터 사용)을 찾아가게 되고, 그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격성이 기존보다 증가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04년부터 수집한 청소년패널의 초등학교 4학년 집단으로 5년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18 및 AMOS 18 을 사용하여 분석했으며 교차지연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설정한 분석모형은 χ2=1523.693, TLI=.913, RMSEA=.056, CFI=.936의 적합지수를 보여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격성이 높은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공격성은 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컴퓨터 사용시간 역시 첫해에 많은 학생이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아졌다. 둘째, 공격성이 높을수록 공격성의 성향을 잘 발휘할 수 있는 상황, 여기서는 컴퓨터 사용 환경에 찾아가게 하여 컴퓨터 사용시간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셋째, 컴퓨터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다음해의 공격성이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는 컴퓨터 사용을 많이 할수록 공격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기존 연구들과는 다른 결과이다. 이 연구결과는 공격성이 생득적으로 타고나는 성격특성으로서, 기존 성격이 점점 공고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컴퓨터 사용시간과 부정적 행동 특성 간의 관계를 고려할 때 생득적 공격성이 높을수록 컴퓨터 사용시간이 많아진다는 결과는 심리적, 교육적 함의를 가진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생득적 공격성이 높은 아동을 미리 판별함으로써 이들이 기존의 공격성에 대해 적절히 개입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roblem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related aggression have been becoming a great issue in Korea these day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on an interrelationship of aggressiveness and hours of using computer by researching their relationship. According to 'Seeking and Creating Situations'(Inkes, Snyder, & Garcia, 1997), the nature of humans pursues a suitable environment for itself. And an interaction between the nature and the environment makes it more specific. This study set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theory. This research model examined that higher aggressiveness chases a situation that it can persue aggression and as the result, the nature aggressiveness is getting obvious by an interaction under the situation(ex. Using computer). The object of this study is used by the data that Youth Panel of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had collected materials from a group of the fourth grade since 2004 for five years. The whole data was analyzed by spss 18 and amos18 and was also verified by cross-delay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model showed χ2=1523.693, RMSEA=.056, TLI=.913, CFI=.936 which were evaluated good overall fit indi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igh Aggression was getting higher as time goes by. And those students who spend a lot of time on computer in the first year spent more time on it. Second, the first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aggression persues the situation, which make it specific, like a circumstance of using computer and hours of using computer is getting more and more. Third, the more hours of using computer didn’t show that it makes aggression more obvious.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existing studies, which indicates that the more times people spend on computers, the higher aggressiveness they hav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aggression is an innate personality trait. And the trait can become more specific. Based on them, We need to intervention existing aggression properly by screening children who have high innate agg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