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 : 중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양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류” 열풍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한국 드라마에 나오는 영상을 편집해서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함으로써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최근까지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 관련된 연구들은 문화 교육 목적의 연구와 한국어와 한국 문화의 통합 교육을 위한 연구들이 주를 이뤘다. 말하기 교육과 관련하여 드라마를 활용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또한 기존에 있는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는 주로 드라마 장면을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연구인데 본 연구에서는 드라마 장면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키우는 방안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제1장은 서론으로서 먼저 연구의 필요성, 연구 범위, 연구 방법, 선행연구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제2장은 배경으로서 의사소통의 개념을 먼저 제시하였다. 이어서 한국어 4가지 능력 중에서 말하기의 중요성을 논의하며 말하기의 목표, 원리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중급 단계 학습자의 말하기 교육의 말하기 과제를 제시하며 말하기 과제의 정의, 어떠한 형식으로 표현되는지 논의하고 실제 국내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말하기 교재를 분석하여 실제 중급 단계 학습자의 말하기 교육 현황을 제시하였다. 또한 중급 단계 말하기 교육 자료로서의 드라마의 개념을 제시하며 드라마의 특징, 드라마의 교육적 의의와 효과, 교육에서 활용된 드라마를 어떠한 기준으로 선정되는지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제4장은 대중매체를 활용한 수업 모형을 살펴본 후에 본 연구의 수업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수업 모형은 학습자들에게 말을 할 기회를 많이 줄 수 있다는 데에 중점을 두고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말하기 활동을 많이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이 갈수록 더욱 주목을 받고 있는 시기에 한국어 교육이 어떻게 해야 더욱 효율적이고 학습자들이 쉽고 재미있게 받아들일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의 4가지 능력 중에서 말을 할 수 없으면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말하기의 중요성에 관심을 갖고 드라마를 어떻게 활용할지를 고민하였다. 이어서 중급 학습자들의 학습 단계에 맞는 드라마를 선정하여 중급 단계 말하기 수업의 말하기 과제와 유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말하기 교육 발전 방향을 참고하면서 수업모형을 설계하고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학습자가 쉽고 재미있게 한국어를 배울 수 있는 수업 모형이 어느 때 보다 더욱 중요하다. 드라마는 이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로서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에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 of actual help to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by editing clips from Korean soap operas since the Korean wave is currently sweeping a lot of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to seek for an education plan utilizing soap operas with an aim of improving the speaking ability of intermediate-level Korean learners. In chapter 1, the introduction discusses the necessity, scope and method of this study and previous studies. So far, many of the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soap operas have covered cultural aspects and integrated the Korean language. However, there are still not many of them dealing with how to improve speaking ability using soap operas. Also, there are more studies available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standard soap operas than those using specific scenes of soap operas. There ar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utilizing soap operas or specific scenes of them but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an education plan for improving speaking ability using a part of soap opera. Chapter 2 presents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followed by the discussion of the importance of speaking among the four Korean language skills and presentation of the goal, principle and method of speaking. In relation to designing a model for speaking classes using soap operas, I've presented the discussion on speaking referring to the goal and method of speaking. Chapter 3 provides assignments for educating intermediate-level learners on speaking, discusses the definition of speaking assignments and in what format they are expressed and presents the current situation of speaking education actually provided to intermediate-level learners by analyzing the speaking textbooks used in Seogang and Yonseo University. Also, the chapter presents the concept of soap operas as educational materials for intermediate-level speaking education and their features, educational importance and effect and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m. In chapter 4, after examining a model for classes using mass media, I have designed a model for classes covered in this study. The model designed consists of a total of six stages and I've given an explanation on how to carry out each stage. Prior to preparation of class guidelines utilizing parts of sopa operas selected based on the designed model, I prepared guildelines again explaining how to teach in speaking classes by giving examples of things to be careful of in developing speaking education. After preparing the guidelines, I also prepared educational materials necessary for speaking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originates from my question of how to develop a more efficient, easier and fun way to provide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its learners in this era whe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drawing more and more attention from around the world. Also, even if a learner can write well, read and comprehend well in class and well understand what others say, if he cannot speak well enough, he lacks the most important ability among the four language skills and can be said to be very clumsy in his communication ability. So, I presented the importance of speaking. Following this, I selected soap operas which were not too difficult or too easy for intermediate-level learners to study and presented types of speaking assignments for intermediate-level speaking classes. Lastly, I designed a class model and prepared guidelines referring to things to be taken into account for a desirable direction of speaking education development. A class model free from the old style of strict education and based on which teachers can teach and learners can learn easily and with fun is more urgently required now than any other time. l hope and expect that more and more studies can be conducted not only on speaking education but korea language education as well both is korea and china.

      • 중국 대학의 교육서비스품질, 행정서비스품질과 물리적 환경이 대학의 명성, 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양사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up of the country in the 1990s, the Chinese government has continued to push ahead with its policy vision to build universities at a global level suitable for China's economic scale. Accordingly, the Chinese government is helping to establish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Chinese universities, which have been insufficient, and at the same time, to preempt global competition through active investment in specific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and loyalty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 service quality currently provided by Chinese universities through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dministrative service quality and physical environment on university reputation and student loyal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ities in China,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dministrative service quality, physical environment, university reputation, as well as student university satisfaction and loyalty towards university. In addition,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hypothesis verification, questionnaires were handed out to students at universities located in Hanam, China, and SPSS 26.0 and AMOS 26.0 were us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Prior to hypothesis verification,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conducted to summarize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research result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asks of follow-up studies. Based on the hypothesis test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ncrease university reputation and university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attendance and lecture evaluation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quality. Furthermore, i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teaching method, and professor image are enhanced, universities will be able to provide students with a better teaching environment. Second, in order to increase the university reputation and university satisfaction of Chinese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speed up the processing of employees' work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administrative services quality, and employee-friendly environment and diverse activities for graduates to improve the system.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promote the reputation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ies through improvement of international exchange and scholarship system. Third, in order to increase university reputation and university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the cafeteria among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with the efforts being invested in providing food, developing menu and upgrading service of restaurant workers. In addition, it is also imperative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some spaces which are frequented by students such as gyms, dormitories, and libraries. Moreover, improvements in the safe transportation environment on campus will go a long way towards enhancing university reputation and student satisfaction. Fourth, in order to increase the university's reputation, the improvemen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should be put in the top priority, followed by the improvement of administrative services and educational services Fifth, in order to increase the student loyalty towards university, universities in China should be promoted externally through attracting talented people, improving teaching methods, and expanding social activities of universities. Sixth, in order to increase the loyalty of students to universities, Chinese universities should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universities, and in addition, educational services and administrative services in such factors as convenience of school life, retention of excellent faculty, and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s. This study has a great practical contribution to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that it identifi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ctors and components through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dministrative service quality, physical environment, university reputation, university satisfaction, and student loyalty in an empirical analysis. Despite these research results, some limitations emerged from the progress of this study. Based on these limitations,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First, this study is judged to hav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by conducting surveys only in specific regions of China. In future studies, it is judged that better research results can be derived if research i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throughout China. Second,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students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Hanam, China. Since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future studies will be more meaningful if research results consistent with each region are derived from regional comparisons in China. Third,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show different results if they select universities such as those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hat provide advanced educational services. Therefore, future research can be done if a comparative study between foreign universities and Chinese universities that provide advanced educational services can lead to results that can promote university satisfaction and student loyalty to Chinese universities. 개혁개방 이후 90년대부터 중국 정부는 본격적으로 중국의 경제 환경 개선의 필요성이 크고, 나아가 학생들의 안전을 위한 교내 교통환경까지 개선된다면 재학생의 만족은 고취될 것이다. 넷째, 대학명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물리적 환경의 개선이 최우선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와 더불어 대학의 행정서비스, 교육서비스 등의 개선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재학생들의 대학충성도를 높이기 위해 중국의 대학은 우수인 재 유치, 교수법 개선, 대학의 사회적 활동 등을 통해 대외적으로 대학 의 평판을 고취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학교생활의 편의를 위한 행정서비스 개선과 우수한 교수진 확보, 수업법 개선 등의 교육서비스 개선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는 중국 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서비스품질, 행 정서비스품질, 물리적 환경, 대학명성, 대학만족 및 대학충성도 간의 구 조관계 분석을 통하여 요인 간의 영향 관계와 구성요인들의 상대적 중요 성을 실증적 방법으로 규명한 점과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중국의 대학 발전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기여도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성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실증적 연구의 한계점을 내 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한계점을 토대로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면 다음 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중국의 특정 지역에 국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중국 전 지역의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다면 보다 의미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인들은 선진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국 이나 유럽 등의 대학교를 대상으로 한다면 연구결과는 상이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향후 선진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외국의 대학 과 중국 대학 간의 비교 연구를 진행한다면 대학만족 및 충성도를 고취 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Generating Gⁿ Parametric Blending Surfaces Based on Geodesic Polar Coordinates

        양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generate the blending surfaces between two polygon mesh models based on the geodesic polar coordinates. We combine the parametric blending algorithm with the geodesic polar coordinates. Here, the base surfaces are parameterized by the geodesic distance and the polar angle, and then we generate the blending surface through a linear combination of the base surfaces, and use the design parameters to control the shape of the blending surface.

      • 무용교육에 기초한 민족 심미 교육 과정 체계 건설 연구 : '민족 심미 교육·붉은 태양 무용교실'과정 중심으로

        양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Chinese folk dance is an important part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which truly and directly expresses people's thoughts and feelings, with obvious attributes such as simplicity and freshness, and shows vigorous vitality and nation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of far-reaching significance for young students to learn Chinese folk dance and develop Chinese traditional culture. In the field of youth dance education in China at present, the trend of "specialization" and "craftsmanship" is more obvious, while ignoring the all-round development of students, deviating from the track of aesthetic education, and increasingly showing the trend of "competitive" art education. The author thinks that nowadays,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ultivation of students' learning interest, emotional experience and aesthetic ability, and tap the inner potential of students' body in dance learning. Although aesthetic education has experienced ups and downs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olicies, when the country promoted quality education in 1999, aesthetic education still entered a period of vigorous development. Especially at the end of 2017, Article 42 of the Third Plenary Session of the 18th CPC Central Committee stipulated that students' aesthetic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o improve their scientific aesthetic and humanistic qualities. Infiltrating aesthetic education into classroom teach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students' aesthetic and humanistic qualities. At the end of 2018, the General Office of the State Council issued the "Opinions on Strengthening and Perfecting School Education as a Whole", which first proposed the method of formulating science curriculum. Being protected by law, aesthetic education has become the basic obligation of school education. In 2019, the Ministry of Education issued a document entitled "Opinions on Effectively Improving School Education in the New Era", which put forward new arrangements and plans for school education and clearly stated the modernization and development status that schools should achieve by 2035; At the same time, it points out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esthetic education system. Although aesthetic education has greater political interest,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aesthetic education, such as insufficient curriculum, lack of top-level design and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aesthetic education concepts. Dance aesthetic educ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quality education, which has positive personal and social functions and is increasingly evaluated by all sectors of society. The implementation of dance aesthetic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lags behind and the progress is incomplete.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In this paper, questionnaire survey, interview, physical analysi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are used to evaluate the implementation of aesthetic education of primary dance, mainly focusing on "Red Sun Dance Classroom", trying to find out the problems in performing aesthetic education. And provide relevant solutions to provide theoretical basis for the implementation of dance aesthetic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in China. Although the policy pays more attention to aesthetic education, the practical research on students' aesthetic education curriculum choice and aesthetic education concept shows that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in school aesthetic education, such as inadequate curriculum setting, lack of high-level curriculum design, students' aesthetic education choice, narrow aesthetic education concept, unfamiliar aesthetic education content, and interest in accepting traditional art, etc. This study seeks "problem proposal-concept definition-literature review-aesthetic education theory promotes the harmonious growth of body and mind, constructs the purpose, content, category and structure education curriculum of beauty college based on the harmonious development of body and mind, and influences the preliminary examination of the" concept "of beauty education curriculum of college. First of all, this paper takes the national comprehensive development education policy in recent years and a series of related policies to strengthen and improve beauty education and university beauty education as the background. By investigating the aesthetic education concepts of several college students and the curriculum and learning status of aesthetic education colleges, this paper puts forward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aesthetic education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curriculum lacks high-level, random and fragmented design. Based on the aesthetic education theory of Chinese and foreign scientists on the all-round development of personality (harmonious development of body and mind), the abstract of this paper is based on students' body (physiology). And design the psychological foundation, with its future physical and mental growth, professional growth, personality and creative growth as the direction, and aesthetic education curriculum as the concept. Show the classification of five courses in the curriculum system of the Department of Beauty Education and their mutual relations. Arts and beauty education courses, active aesthetics courses, comprehensive beauty education courses and potential beauty education courses are discussed separately. This paper introduces and analyzes the courses and practical cases. This paper introduces the basic ideas of intelligent construction of college aesthetic courses. According to the above conditions and practical problems, this paper chooses "National Aesthetic Education Red Sun Dance Classroom" as the research object, which has practical significance. On the basis of the national aesthetics course of dance education, there is still a long way to go for related research. Based on the development of aesthetic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national aesthetic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established the course "National Aesthetic Education Red Sun Dance Classroom", and combined with the design goal and content of "National Aesthetic Education", established a national aesthetic education teaching system based on dance. It is hoped that through this research, it can contribute to the health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national aesthetic education curriculum.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This paper puts forward the concept, goal, content, category and curriculum system of school aesthetic education curriculum, and verifies the influence of comprehensive aesthetic education curriculum. However, these are only preliminary studies. In the future, under the new era and new mission of aesthetic education, more in-depth studies will be carried out, especially in the directions of teachers, promotion mechanism, evaluation system, regional development integration, and social service leve. 중국의 민족 민간무용은 중국 전통문화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사람들의 사상 및 감정을 진실적이고 직설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소박함과 생동감 등 특징이 뚜렷하여 왕성한 생명력과 민족적 특색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중국 민족의 민간무용을 배우고 중국 전통문화를 발양하는 것은 청소년 학생들에게 매우 큰 의미가 있다. 중국의 현 단계에 있는 청소년 무용교육 분야에서는 ‘전문화’와 ‘공예화(工艺化)’가 더욱 두드러지고, 학생들의 전반적인 발전은 외면한 채 심미 교육의 궤도를 벗어난 ‘경기화’된 예술교육 경향을 보이고 있다. 청소년 무용예술에 대한 학습은 취미, 감정체험, 미적 능력 등 학생들의 내재적 잠재력을 발굴하는 데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한다. 비록 심미 교육(Aesthetic Education)은 교육정책 발전의 파란만장한 기복을 겪었으며, 1999년 중국 정부가 양질의 교육을 추진함에 따라 심미 교육은 여전히 활기 있는 발전 시기로 접어들었다. 특히 2017년 말, 중공 제18기 삼중전회 제42조에 따라 학생들의 심미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과학 심미와 인문적 소양을 높여야 한다고 했다. 심미 교육을 수업에 침투시켜 학생들의 미적 감각과 인문적 소양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18년 말 중국 국무원 판공청(国务院办公厅)은 '학교 교육 전반의 강화와 보완에 관한 의견'을 발표했으며 먼저 과학 과정을 만드는 방법을 제시했다. 법의 보호를 받기 때문에 심미 교육은 이미 학교 교육의 기본 의무가 되었다. 2019년 중국 교육부는 ‘새로운 시대에 효과적인 학교 교육 개혁에 관한 의견’이라는 주제의 공문을 발표했다. 이 공문에서는 학교 교육에 대해 새로운 지시와 계획을 제시했고, 2035년까지 학교가 실현해야 할 현대화 목표와 발전 상황을 명확하게 제시했다. 동시에 심미 교육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비록 심미 교육은 더 큰 정치적 흥미를 가지고 있지만 ‘심미 교육 실천연구’와 ‘심미 교육에서의 심미관념’에서 심미 교육의 전개는 여전히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커리큘럼 설정이 부족하고, 최상위 설계가 부족하며, 심미 교육에 대한 이론적인 인식이 부족하다는 문제들이 있다. 무용 심미교육은 인성교육의 중요한 내용이며, 적극적인 개인과 사회적 기능을 갖추고 있어 갈수록 사회 각 분야의 평가를 받고 있다. 초등학교 무용 심미 교육 실시가 늦어져 진전이 철저하지 못하고 있다. 실시 과정에는 많은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급 무용 심미 교육의 실시 실태를 설문조사법, 인터뷰, 체격분석법, 참여 관찰법 등으로 평가하며, 주로‘붉은 태양 무용교실’을 주제로 공연 심미 교육의 문제점을 발견하고자 한다. 또한 해결책을 마련해 중국의 초등학교 무용 심미 교육 실시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비록 정책적으로 심미 교육에 대해 더욱 중시하고 있지만, 학생들의 심미 교육과정 선택과 학생 심미 교육 이념에 대한 실천적인 연구에 따르면, 학교 심미 교육은 여전히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교과 과정의 설치가 불충분하고, 수준 높은 과정의 설계가 부족하며, 학생 심미 교육 선택, 심미 교육 관념이 비교적 좁고, 심미 교육 내용에 익숙하지 않으며, 전통 예술에 대한 수용 등의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제안-개념정의-문헌정리-심미 교육이론을 통해서 심신 조화성장 촉진에 기초한 심신 조화 발전에 의한 미학학원의 설립 취지, 내용, 유형 및 구조교육과정이 미학학원 심미교육과정의 “이념”의 심사에 영향한다. 우선 본 연구는 최근 중국의 교육정책 전반과 심미교육 및 대학 심미교육의 강화와 개선을 배경으로 한다. 몇몇 대학생들의 심미 교육이념과 심미 교육아카데미의 수업설정과 학습현황을 통해 현재 대학의 심미 교육현황을 제시하고 분석했다. 수업은 고차원적이고 무작위적이며 파편화된 설계가 부족하다. 인격의 전면적 발전(심신의 조화 발전)에 관한 국내외 과학자들의 심미 교육이론에 기초하여, 학생의 신체(생리)를 바탕으로 미래의 심신성장, 전문 성장, 개성과 창의성장 등의 목표를 지향하는 심미 교육 과정을 이념으로 한다. 심미교육 학부 과정 체계 중 5개 과정의 분류와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예술과 심미교육과정, 능동적 미학과정, 통합된 심미교육과정과 잠재적 심미교육과정으로 나눠 논의했다. 이러한 수업의 개설과 실천 사례에 대해 소개하고 분석했다. 대학 미학과정의 지능화 건설의 기본 사고방식을 소개했다. 이 같은 여건과 실제를 고려해 ‘민족 심미 교육· 붉은 태양 무용 교실’ 과정을 연구 대상으로 택한 것은 현실적 의미가 있다. 무용교육의 민족미학 과정을 감안하면 아직 갈 길이 멀다. 본 연구는 심미 교육의 발전과 민족 심미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민족 심미 교육· 붉은 태양 무용 교실’ 과정을 창설하고, ‘민족 심미 교육’의 설계 목표와 내용을 결합하여 무용에 기초한 민족 심미 교육 교습체계를 수립했다. 본 연구를 통해 민족 심미 교육과정의 건강과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심미 교육과정의 개념, 목표, 내용, 카테고리, 과정 체계를 제시하고 종합 심미 교육과정의 영향을 검증했다. 하지만 이는 초보적인 연구일 뿐 앞으로 심미 교육의 새로운 시대와 새로운 사명 아래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될 것이며, 특히 교원, 추진체제, 평가체계, 지역발전 융합, 봉사 사회 수준 등의 방향에서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 실음 지필 평가방법이 중학생의 음악적 개념형성에 미치는 효과

        양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15

        Music is accomplished through the medium of sound. Music education aims at forming a musical concept and improving abilities to express and listen to music through sound. So it is desirable that the evaluation in music education should be accompanied through the sound-based written test. Music curriculum also shows the importance of it in the evaluation regarding a musical concept. However, not many schools apply the sound-based written test. Therefore in this study I applied it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ried to test the effect that influence on forming their musical concepts. As research method the survey study, a kind of descriptive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truth or the falsehood of the hypothesis For this study, sound-based written test questions were designed. They were applied for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and identified the effect that sound-based written test influences on forming students' musical concepts by comparing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The test questions that were designed for the ability of music recognition were used as the test questions for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The target population of this study is the 1st, 2nd and 3rd graders in Band D Middle School(They are 30 male and 31 female.) who live remote in Jellanamdo. The study duration was four months from April 2008 to July 2008. I compared the effect that the sound-based written test has influence on forming Middle School students' musical concept by comparing the Before Class and After Clas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ability of musical concept recognition was verified by the test questions which are divided into 8 areas of melody, harmony, rhythm, beat, melody line, main melody, form, and the voice structure. The score of each area is 5 points, 1 point per each question. So the total score of 8 areas is 40 points. As a result the score of the pre-test was 23.44 and the score of the post-test 27.52. The result of verification of significance between two average scores showed the meaningful value of t=-9.834(p=0.0001). Overall the test score in all areas was improved. Second, when sound-based written test was applied to the students, the verification which distinguishes male from female showed a meaningful value of the score of pre-test 23.47, that of post-test 26.73 and t=-7.307 in the case of male. So did female as the score of pre-test 23.42, that of post-test 28.29 and t=-7.270(p=0.0001). In the area of harmony it showed a positive effect on male rather than female. Female' score was higher in terms of the improvement of the average scor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x when considering probability. Lastly, through the application of sound-based written test, the high recognition of musical concept was the form area of t=-5.672 and the voice structure area of t=-4.627(p=0.0001). The low recognition area was the rhythm. When trying to divide in sex, the high recognition of musical concept in male was the form area of t=-3.034(p=0.005) and the form area and the voice structure area in female appeared at each t=-5.007 and t=-4.028(p=0.0001). Meanwhile, the area where both male and female showed the low recognition of musical concept was the rhythm. However, it did not show meaningful value of each t=-0.548(p=0.588) and t=-0.783(p=0.440). When I consi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vident that sound-based written test has a positive effect on forming musical concepts by applying it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It also showed that it has a more effect on emotional female rather than male when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sex. Therefore if it is steadily applied to school site so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various kinds of music, it will enable them to form musical concept naturally. 음악(音樂)은 ‘소리’라는 매체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음악교육은 그 ‘소리’라는 매체를 통하여 음악적 개념을 형성하여, 음악으로 표현하고 감상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므로 평가 역시 실음 지필 평가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악과 교육과정 또한 음악적 개념에 대한 평가에서 실음 지필 평가방법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실제로 적용하는 학교가 그리 많지 않고 있기에 본 연구에서 실음 지필 평가 방법을 중학교 학생들에게 직접 적용해 보고, 음악적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술적 연구로 가설의 진위를 가리기 위한 조사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실음 지필 평가문항을 제작하여 음악수업의 형성평가와 총괄평가에 적용하여 실음 지필 평가방법이 음악적 개념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전·후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지는 음악인지능력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 벽지지역 B중학교와 D중학교 1, 2, 3학년(남 30명, 여 31명, 총 61명)학생이며, 연구 기간은 2008년 4월부터 2008년 7월까지 4개월간이었고 실음 지필 평가방법이 중학생의 음악적 개념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수업 전·후 비교하였다. 프로그램 처치 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적 개념에 대한 인지능력은 가락, 화음, 리듬, 박자, 가락선, 주선율, 형식, 성부조직 등에 대한 각각의 영역별 검사지로 8개영역으로 나누어 검증되었다. 영역별 점수는 각 문항당 1점씩 5문항으로 5점, 전체 5문항씩 8개영역으로 40점 만점으로 검증한 결과, 사전 23.44, 사후 27.52로 나타났으며, 유의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t=-9.834로 유의미한 값을 보이고 있어 모든 영역에서 전체적으로 향상하는 것으로 보였다(p=0.0001). 둘째, 실음 지필 평가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성별로 구별한 검증에서 남학생은 사전 검사 23.47점 사후 검사 26.73점, t=-7.307, 여학생의 경우 사전 검사 23.42점, 사후 검사 28.29점, t=-7.270으로 모두 유의미한 값을 나타냈다(p=0.0001). 화음 영역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으며, 평균 점수 향상은 비교적 감성이 높은 여학생이 약간 더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확률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 없이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음 지필 평가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음악적 개념에서 인지도가 높은 영역은 형식 t=-5.672과 성부조직 t=-4.627로 나타났고(p=0.0001), 낮은 영역은 리듬 t=-0.953으로 나타났다(p=0.345). 성별로 구분하였을 때, 인지도가 높은 영역은 남학생의 경우 형식 t=-3.034(p=0.005), 여학생의 경우 형식과 성부조직에서 각각 t=-5.007과 t=-4.028로 나타났다(p=0.0001). 한편, 음악적 개념의 인지도가 낮은 영역은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리듬으로 각각 t=-0.548(p=0.588)과 t=-0.783(p=0.440)으로 유의미한 값을 보이지 못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볼 때 실음 지필 평가방법을 음악수업에 적용하면 학생들의 음악적 개념 형성에 대부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별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남학생에 비해 조금 감성적인 여학생에게 음악적 개념 형성의 효과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음악에서도 중학생들에게 다양한 종류의 음악을 체험할 수 있도록 실음을 통한 음악교육과 실음 지필 평가 방법을 꾸준히 적용 하게 된다면 음악적 개념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가게 될 것으로 본다.

      • 전통 발효식초의 종균을 이용한 천연 현미식초의 제조

        양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While traditionally manufactured vinegar has been taken an interest recently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 well-being trend, it has some problems of bad taste and smell and low productivity. To solve these problems, various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is thesis, making starters to can be used for mass production of high quality of natural fermentation vinegar with excellent organoleptic and qualitative properties. It was identified that Shannon index and operational taxonomic units were the highest in the middle stage of the fermentation as a result of pyrosequencing observing the behavior of microbial growth and development in the vinegar. 21 kinds of microorganisms separated in natural fermentation vinegar were inoculated in ethanol and brown rice alcohol medium to identify fermentation properties of them. Vinegars made from 19 kinds of starters except 2 uncultured bacteriums were manufactured to identify fermentation properties. The result of experiments showed that AG051, AP161 and GI141 were excellent in acid productivity, and BA1312 had an excellent organoleptic property. These 4 microorganisms were selected as starters in this study. Vinegars made with selected starters were better in acidity, reducing sugar content, free amino acid content and also in sensory test than the standard. More reducing sugar was found in vinegar that made by starter with excellent acid productivity. Especially in sensory test, the vinegar made from mixed 4 single starters(Mix C) was the best, which has more aroma components than the standard. These aroma components were considered to influence on organoleptic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vinegar. These results showed possibility of manufacturing of natural fermentation vinegar used with selected starters that were better than the standard in sensory test and overall quality evaluation.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통방식으로 제조된 식초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병행복발효의 전통제조 방법에 따라 식초를 제조할 경우 이미, 이취의 발생 및 낮은 수율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어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대량 생산하기 위한 산업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 자연발효 식초로부터 분리한 발효종균을 이용해 전통 발효식초의 관능적, 품질적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품질이 균일한 천연 발효식초의 대량생산 기술을 개발하여 식초산업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전통 자연발효식초의 제조과정 중 초산발효에 관여하는 주요 미생물 군집을 확인하기 위하여 Pyrosequencing을 이용해 발효 단계별(발효 초기, 중기, 말기) 식초 내 생육 미생물 거동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종 다양성(Shannon index) 및 종 풍부도(operational taxonomic units)는 발효 중기에 가장 높게 확인 되었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효 단계별 식초 내 미생물 군집 조성을 속(Genus) 수준으로 비교한 결과, 발효 초기에 가장 높게 검출되었던 Pediococcus는 발효 중기에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Lactobacillus와 Acetobacter가 급격히 증가해 식초의 제조 과정 중 두 군집을 중점으로 우점하는 미생물이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 발효식초내의 미생물을 식초를 제조하기 위한 발효종균으로 이용하고자 발효 단계별 식초로부터 21종의 생육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미생물을 동정한 결과 Acetobacter sp. 2종(A. ghanensis, A. pasteurianus), Gluconacetobacter sp. 1종(G. intermedius), Bacillus sp. 8종(B. amyloliquefaciens 4종, B. subtilis, B. methylotrophicus, B. cereus, B. licheniformis), Oceanobacillus sp. 1종(O. sojae), Peanibacillus sp. 2종(P. taichungensi, P. odorifer), Lactobacillus sp. 1종(L. hilgardii), Lysinibacillus sp. 1종(Lysinibacillus fusiformis), Brevibacillus sp. 2종 (B. parabrevis, B. reuszeri), Aneurinibacillus sp. 1종 (A. migulanus), uncultured bacterium 2종의 미생물이 확인되었다. 분리된 21종의 발효 종균이 전통 발효식초 내에서 나타내는 발효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리된 균주를 알코올 함량 5 % ethanol 배지와 현미 알코올 발효액에 접종하였다. pH 및 총산도 함량을 측정한 결과 AG051 > AP161 > GI141 순으로 산 생산력이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식초 제조에 따른 분리 균주의 발효특성을 확인하고자 uncultured bacterium 2종을 제외한 19종의 미생물로 식초를 제조하였다. 관능검사를 진행한 결과, AG051 > BA1312 > AP161 > GI141 순으로 우수한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산생성능이 우수했던 AG051, AP161, GI141과 관능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 BA1312를 우수발효 종균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4종의 발효종균(AG051, BA1312, AP161, GI141)을 이용하여 단일 또는 혼합 스타터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식초와 시판용 전통 발효식초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산도는 AG051> Mix A> Mix D> 전통 발효식초로 나타났으며, 전통 발효식초, AG051 및 혼합 스타터 식초의 경우 알코올 함량이 0%로 나타났다. 식초의 환원당 함량은 AG051 > AP161 > GI141> BA1312 순으로 산 생성능이 높은 미생물일수록 환원당이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 분석결과, 필수 아미노산 함량은 GI141, AP161, BA1312, Mix C에서 168.6 mg%, 161.5 mg% 147.8 mg%, 137.8. mg%로 전통 자연발효 식초의 111.9 mg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Mix C에서 전통 발효식초보다 cystine methionine, proline, taurine, α-amino-n-butyric acid, γ-amino-n-butyric acid를 제외한 나머지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효 종균을 접종하지 않은 현미 알코올 발효액을 5점, 시판용 전통 발효식초를 8점 척도로 하여 관능검사를 진행한 결과, Mix C> AP161> Mix D> AG051> Mix B순으로 시판되고 있는 전통발효 식초에 비해 우수한 관능적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관능검사 및 품질특성 면에서 종합적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았었던 Mix C 조건에 대해 GC-MS에 의한 향기성분 동정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전통 발효식초와 Mix C에서 각각 8종과 10종의 휘발성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동일한 휘발성분을 제외하고 Mix C에서 2-ethoxyethanol, DL-2,3 -butanediol, 3,3-dimethyl-2-butanol, cis-3-nonen-1-ol의 성분들이 추가로 검출되어 해당 휘발성분이 식초의 풍미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었다. 한편, Mix C 조건의 식초 내 미생물의 종 분포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Pyrosequencing을 이용해 미생물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Acetobacter sp. 99.16%로 가장 높았으며, 혼합 접종하였던 Gluconacetobacter sp. 0.01%, bacillus sp. 0.01%으로 나타나 Acetobacter sp.이 우점 미생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전통 자연발효 식초와 비교하였을 때, 관능검사 및 품질 특성 면에서 종합적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았었던 Mix C의 혼합 발효종균 스타터를 이용한 천연발효 식초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Determinants of personality and its association with risky health behaviors

        양사 서울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15

        Personal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almost every aspects of individual’s psychosocial and physical health. Additionally, an individual’s personality affects health by predisposing the person to a higher chance of developing specific health behaviors. Attention to personality trait in clinical interventions is stressed in many reported health behavioral theories.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is a comprehensive personality inventory that is widely used in behavioral genetics. The original theory suggested that temperament traits were under genetic influences, whereas character traits were gradually built by an interaction between temperaments and environment until early adulthood. Heritabilities of personality has been reported to be about 0.4 in average, but discrepancies in different ethnicities are present, and these estimates tend to be inflated when only twins are used in the study. Also, despite moderate heritability of 0.3-0.6 for most personality domains, even large powered studies with Caucasian samples were not successful in locating specific genetic variant that explains personality. Besides identifying the determinants of personality, confirming its relationship to risky health behaviors, specifically with behaviors that are theorized to have psychosocial base, may give important public health implications. Additionally, personality may mediate the effects of gene on these health behaviors.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CI by examining the genetic and environmental contributions to personality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spousal effects. Also, a genome-wide search for both TCI domains and multivariable TCI-Five-Factor Model (FFM, for sub-samples) were conducted in a population cohort of Korea, where cultural environments are different from Western populations. Lastly,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or their linear combinations were tested for associations with health behaviors, such as eating behaviors, nicotine dependency, and alcohol dependency. Interacting effects between personality and genetic variants, which are reported to be related to psychosocial traits, on these health behaviors were explored. This study includes a total of 3,479 individuals (1419 men, 690 families, 552 monozygotic twins, 119 dizygotic twins) from the Healthy twin study of Korea with detail epidemiologic, clinical information and TCI measure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s) and heritability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genetic and shared environmental contributions to personality. Among these participants, 3,428 subjects with TCI measures were included in the univariate genome-wide association test. A total of 1,169 individuals (476 men) also fulfilled the FFM measures. Two platforms (Affymetrix Genome-Wide Human array 6.0, Illumina Infinium Humancore Beadchips) were used for genotyping and the markers were imputed using 1kG Asians. For univariate analysis, a family-based association test using mixed-effect variance component approach was conducted. For multivariable analysis of TCI-FFM model, multiple family-based quasi-likelihood score test (MFQLS)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association of genetic variant to multiple phenotypes in linear mixed model. Linear association was tested for TCI traits and health behaviors adjusting for age, gender, education, income level, and familial correlation. For health behavior traits, Dutch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 (DEBQ, n=3,444), Fagerstor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FTND, n=1,192), and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n=2,431) were measured. Factor Analysis on particular personality traits (novelty seeking (NS), self-directedness (SD), Cooperativeness (CO)) that were commonly observed to be associated with the targeted health behaviors were conducted using principal axis analysis, and the identified personality patterns were also tested for associations with health behaviors. A total of 183 genetic variants that were reported to be related with neuro-psychological traits were tested to see if they have gene-by-personality (GxP) effect on the health behaviors. Moderate genetic contributions (0.15-0.44) were found for all TCI traits along with the evidence of shared environment (0.12-0.29) for harm avoidance (HA) and all characters. The ICCs of TCI in MZ pairs ranged 0.36-0.45. Spouses’ had little resemblance for temperament, whereas for character dimensions, spouses (0.27-0.38) were more similar than first degree relatives (0.10-0.27). Resemblance between spouses increased with duration of marriage for most characters and HA. When the growing similarities between spouses were compared with their MZ cotwins’ for subgroup of 84 trios, self-directedness (SD) of character showed even more similarities toward their spouses than cotwins as partnership duration increased (r=0.29). Univariate TCI domain analysis CO domain were associated with ADAMTS17 gene (Chromosome 15, p= 9.0e-8), but other domains did not reach genome-wide significance level. For agreeableness of FFM, CDH13 gene (Chromosome 16, p=2.8e-7) had marginal p-value, and the same variant had association with agreeableness in previous reported study (p=0.046). In multivariate analysis, SD (TCI) and neuroticism (FFM) showed significant genetic associations in RP11-274B18.4 gene (r=-0.56, Chromosome 9, p= 7.52e-9). All seven TCI traits showed association with some targeted behaviors. Among them, combination of high NS, low SD, and low CO was observed in emotional eating, external eating, nicotine dependence, and alcohol dependence. The subscales of these traits were factorized to obtain specific personality profile named Vulnerability, and its association with, as well as its’ ability to predict risky health behaviors was also observed. SNAP25 gene interacted with self-transcendence in its association to emotional eating, EVL gene interacted with SD on effect of external eating, and CACNA1C gene interacted with CO to affect FTND. The findings with regard to change in SD into late adulthood support the psychobiological theory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which suggests that both personality domains have distinct developmental trajectories despite equally large genetic influences. Also novel genetic loci were found to be associated personality traits, particularly in character dimensions. The findings from genome-wide search for associated gene illustrates that there may be different biological background in Koreans, and that a multiple measures of personality traits might better capture the genetic architecture of personality traits. Lastly, by finding the personality patterns and GxP effects that have shown increased risk in developing certain health behaviors, translating them into personalized medicine for effectiv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for risky health behaviors is possible.

      • 기혼취업여성의 여가시간 결정요인 연구

        양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기혼여성 혹은 전업주부의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어왔지만 경제활동을 하는 기혼여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었다. 본 연구는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기혼취업여성들이 늘어남에 따라 이들의 여가활동에 대한 연구 필요성에 주목하여 기혼취업여성의 여가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진 변수들을 적용해보는 동시에, 동거부모의 존재와 같이 다루어지지 않은 변수들도 함께 고려한다. 여가는 개인이 휴식을 취하거나 자유 시간을 활용하여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삶의 질을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확산될수록 여가 욕구 또한 늘어나게 된다. 최근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기혼여성들이 계속해서 증가하면서 이들의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 또한 커지고 있다. 남녀평등 의식이 확산되고 있지만 기혼취업여성들의 여가활동은 육아와 경제활동이라는 이중 부담 때문에 사각지대라고 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 기혼여성의 여가활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들은 크게 가구구조, 사회경제적 요인, 주관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즉 자녀들의 존재와 성장, 기혼취업여성의 임금과 노동시간, 그리고 성 역할에 대한 인식 등에 따라 여가활동 시간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은 연구 결과에 따라 여가시간에 서로 상반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기혼취업여성의 여가시간을 분석하기 위해 2014년 생활시간조사를 활용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에서 다루어진 가구구조, 사회경제적 문제, 주관적 인식 등을 변수로 반영했다. 뿐만 아니라 가구구조에서 자녀만 다루어졌던 점을 확장하여 가구 내 동거부모의 존재가 여가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검증했다. 또한 여성의 경제활동이 신체적으로 주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주관적 건강 만족도를 변수로 활용했다. 마지막으로 기혼여성들의 여가시간은 자녀의 성장에 따라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분석과정에서 가족생애주기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듀발(Duvall, 1977)의 생애주기 이론을 수용하여 기혼취업여성을 형성기(25∼34세), 확산기(35∼44세), 수축기(45∼64세), 소멸기(65세 이상)로 나누고 그 특성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가구구조 요인에서는 (미)취학 자녀가 있고 자녀수가 많을수록 기혼취업여성의 여가활동을 제한하고 여가시간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동거부모의 존재 역시 기혼취업여성들의 여가시간을 억제하는 요인이 되었다. 사회경제적 변수 중에서 임금(개인소득)과 노동시간 등 연구마다 상반된 결론을 보여준 요소들이 기혼취업여성의 여가시간과 부적 관계의 결과로 나타났다. 주관적 인식 변수의 경우, 선행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성 역할 태도나 가사분담의 문제는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여가활동 시간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주관적 건강 만족도는 여가활동 시간과 정적 관계를 보여주었다.

      • (The) effect of standard versus high parenteral amino acid supplementation on growth and metabolic state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양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연구목적: 출생체중 1.5 kg 미만의 극소 저체중 미숙아는 위장 기관이 구조적, 기능적으로 미성숙하여 정맥영양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특히, 자궁 내 태아가 모체로부터 다량으로 공급받는 아미노산은 체내 단백 합성 및 중요한 열량 공급원으로 사용될 뿐 아니라, 생후 초기 고혈당증을 방지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어 미숙아의 정상적 성장 및 발달을 위해서는 출생 초기에 적절한 양의 아미노산 투여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출생체중 1.5kg 미만인 극소 저체중 미숙아에서 출생 초기 단백질 투여 용량 차이가 단기간, 장기간 성장 및 대사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출생체중 1.5kg 미만의 극소 저체중 미숙아를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 조사를 통한 후향적 연구 분석을 하였다. 2008년에 출생한 환자군 (표준단백투여군, SP)은 생후 첫 날 단백공급 목표량을 1.5g/kg/d로 시작하여 하루 0.5g/kg/d씩 증량해 최종 투여량을 3.5-4g/kg/d에 이르도록 하였고, 2009년 이후 출생한 미숙아(고용량단백투여군, HP)는 생후 첫 날 공급 목표량을 2배로 증가시킨 3.0g/kg/d 로 시작하며, SP군과 동일하게 하루 0.5g/kg/d씩 증량하여 최종 공급량이 3.5-4g/kg/d가 되도록 하였다. 두 그룹 간 성장 비교를 위해 생후 체중 변화, 출생체중 회복기간, 성장 변화량, 출생 시 신체계측치의 z score와 생후 14일 째, 교정연령36주, 생후 6개월 및 12개월 째 신체계측치의 z score 차이를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BUN, 혈중 중탄산농도, 혈당, 혈중칼륨수치 등 아미노산 투여량과 관련된 혈액학적 수치와, 성장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비영양적 요인 및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10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생후 14일 간 아미노산은 HP군이 SP군보다 11% 정도 많은 양이 투여되었다(2.9±0.4 vs 2.6±0.4 g/kg/d, p<0.001). 생후 첫 3일 간 최고혈장포도당수치(peak plasma glucose level)는 HP군이 SP군 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116±24 vs. 137±39 mg/Dl, p<0.01), 14일 간 평균 BUN(blood urea nitrogen) 수치는 HP 그룹이 SP그룹보다 높게 측정되었다(19.2±7.0 vs 14.8±6.7 mg/dL, p<0.01). 출생으로부터 생후 14일째, 교정연령 36주, 6개월, 12개월 째 z score의 변화량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다변량 회귀분석에서는 재태연령, 출생 시 신체계측치의z score, 재원기간(p<0.05)이 출생으로부터 교정연령 36주까지의 z score 변화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측정되어 미숙아의 성장에 독립적 예측인자로 의미가 있었던 반면, 아미노산 투여량과 성장속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생후 14일 간 초극소 저체중 미숙아에게 투여하는 고 용량 아미노산은 표준 용량에 비하여 특별한 대사적 부작용 없이 출생 초기의 고혈당증 빈도를 감소시키는 데 유의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초극소 미숙아에서 출생 초기 아미노산 투여량과 출생 후 1년 간 성장 발달 간에는 뚜렷한 양-반응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향후 전향적 연구를 통해 미숙아의 생후초기 고 용량 아미노산 투여에 따른 장기적 성장 평가 및 비용-효율성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 of two, different strategies for early parenteral AA supplementation in the range of the standard dose of AA (>1.5 g/kg/day), on the short- and long-term growth parameters and other metabolic state in VLBW infants. Design: Retrospective cohort study Setting: Thirty eight-be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t Asan Medical Center, Korea. Patients: We included 109 patients who admitted to NICU over a period of January 2008 to December 2009. Methods: A chart review was done in a total of 109 VLBW infants hospitalized in our NICU from 2008 to 2009 if they had no major congenital anomalies or renal failure. During the study period, unit policy on the parenteral AA supplementation did not change except for the starting AA doses at the first day of life ; 1.5 g/kg/day (n=56, standard protein group, SP, in 2008) versus 3.0 g/kg/day (n=53, high protein group, HP, in 2009). The AA dose was advanced by 0.5 g/kg/day to a target maximum of 3.5 to 4.0 g/kg/day. Daily protein and non-protein energy intakes and chemical laboratory profiles were collected for the first 14 days of life. Outcome variables including mortality and neonatal morbidities during hospitalization and growth parameters at postnatal 14 days, 36 weeks’, 6 months’, and 12 months of corrected age(CA) were also collected. Results: The baseline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2 groups were similar. The mean protein intake during the first 14 days of life was greater in the HP group than SP group (2.9±0.4 vs. 2.6±0.4/kg/d; p<0.001). Mean non-protein energy intake and amount of enteral protein intake did not differ between the 2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eight, length and head circumference at postnatal 14 day, 36 weeks’, 6 months’ and 12 months of CA between the HP and the SP groups. Peak plasma glucose level during the first 3 days of life was lower in the HP group than in the SP group (116.4±23.6 vs. 136.5±38.3 mg/dL, p=0.001), while mean serum blood urea nitrogen level was higher in HP group compared with SP group. Conclusions: Early provision of higher dose of AA was well-tolerated without significant metabolic adverse effects. In the range of standard parenteral AA protocol, no dose-respons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the AA doses and growth outcomes in VLBW inf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