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어머니의 정서발달관련 신념에 관한 연구

        신주혜 가톨릭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3∼6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한국 어머니의 정서발달관련 신념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과 자녀의 정서조절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1은 두 가지 연구로 구성되는데, 먼저 연구 1-1에서는 자녀의 정서에 대한 한국 어머니들의 정서발달관련 신념을 확인한 결과, ‘부정정서 가치’, ‘긍정정서 가치’, ‘중립적 가치’, ‘정서위험’, ‘통제’, ‘정서유동성’, ‘정서발달가능성’, ‘부모지도’, ‘자녀습득’, ‘조롱’, ‘사생활’, ‘조작’ 신념이라는 12개의 하위 요인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중 한국 어머니들은 긍정정서가 가치를 지닌다는 신념의 수준이 가장 높았고 조롱에 대한 신념 수준이 가장 낮았다. 또한 어머니의 정서발달관련 신념은 자녀의 연령, 성별, 출생순위에 따라 차이가 나지 않았다. 정서발달관련 신념과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 및 자녀의 정서조절간의 관련성을 확인한 연구 1-2의 결과를 보면, 부정정서 가치, 긍정정서 가치, 부모지도 신념은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지지적 반응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조롱, 정서위험 신념은 비지지적 반응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어머니의 지지적인 양육행동은 아동의 정서조절에 정적인 영향을, 비지지적인 양육행동은 아동의 정서조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분석 결과에서는 긍정정서 가치, 정서위험, 부모지도, 조롱 신념은 양육행동을 거쳐 아동의 정서조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통제, 정서유동성, 사생활, 조작 신념은 아동의 정서조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 2에서는 한국 어머니가 가진 정서발달관련 신념의 의미와 신념 안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생각들을 탐색하기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합의적 질적 방법(CQR)을 바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서에 대한 일반적인 신념”, “정서발달”, “자녀의 정서에 대한 신념 및 이해”, “정서관련 양육행동”이라는 총 4개 영역의 28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범주의 내용과 빈도를 바탕으로 확인된 한국 어머니의 정서발달관련 신념의 특징은 자녀의 정서를 수용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지만 아직은 정서조절이 미숙한 아동의 부정적 정서를 수용하기는 어려우며 이러한 자녀의 정서를 부모가 지도해야 한다는 신념이 중요하였다. 연구 3에서는 어머니와 아동이 게임놀이를 하는 상황을 관찰하고 어머니의 반응양식을 평정하여, 한국 어머니의 정서발달관련 신념의 특성이 실제 양육과정에서도 발견되는지와 실제 정서관련 양육행동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부정정서 가치에 대한 신념이 높은 어머니가 자녀의 정서를 수용하는 반응을 많이 하였고, 통제 신념이 높은 어머니는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해서 비난하거나 무관심한 반응을 많이 보이며 문제해결을 돕는 반응은 적었다. 이러한 결과는 관련성의 정도는 약하였지만 기존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긍정정서 가치와 부모가 정서를 지도해야 한다는 신념이 높은 어머니는 자녀의 정서를 수용해주는 반응은 적어, 자기보고형식의 질문지를 사용한 연구 1-2의 결과와 상반된 결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종합논의에서는 본 연구 결과의 함의와 연구의 한계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Korean mothers’ emotion-related belief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mother’s emotion-related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emotion-regulations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study 1, we identified mothers’ 12 emotion-related beliefs regarding value, control, developmental processes, guidance, and relations using PBACE Korean edition and found that the 12 emotion-related beliefs influenced on children’s emotion-regulations that was mediated by mothers’ parenting behaviors. Specifically, “Positive emotions are valuable” was the most important belief and “Contempt” was the least important belief. Also, “Positive emotions are valuable” and “Parents should guide” accounted for mothers’ emotional expressions and supportive responses, and “Contempt” and “The danger of emotion” accounted for mothers’ non-supportive responses. “Mothers’ supportive parenting behavior”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emotion-regulations and “Mothers’ non-supportive parenting behavior” was negatively related to children’s emotion-regulations. In addition, “Positive emotions are valuable”, “The danger of emotion”, “Parents should guide”, and “Contempt” indirectly accounted for children’s emotion-regulations, mediated by mothers’ parenting behaviors. “Control”, “Emotion fluidity”, “Privacy”, and “Manipulation” directly accounted for children’s emotion-regulations. In study 2, using the In-Depth Interview and CQR;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 identified 28 items of mothers’ emotional beliefs in 4 areas, such as “General beliefs of emotion”, “Emotion development”, “Belief and understanding about children’s emotion”, and “Emotion-related parenting behaviors”. This result implied that Korean mothers’ specific emotional belief that a mother has to accept and guide a child’s emotions even though they have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a child who immature in emotion-regulation. In study 3, using observations, we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emotion-related beliefs and their emotion-related parenting behaviors. As a result, a mother who got a high score in “Negative emotions are valuable” often accepted a child’s emotional expressions. A mother with high “Control”, however, often blamed or neglecte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and rarely helped a problem-solving of a child. A mother with high “Positive emotions are valuable” and “Parents should guide” rarely accepted a child’s emotional expressions. We, finally, discuss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ideas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study.

      • 중학생의 공격성과 학교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신주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생의 공격성과 학교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D중학교 1, 2, 3학년 12학급 남·녀 학생 318명이다. 사용한 측정도구는 공격성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자기통제력 척도, 학교적응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성별, 학년별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공격성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격성과 학교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은 학교적응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격성과 정의적 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자신감과 과제난이도 선호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격성과 정의적 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오늘날의 학교 현장에서 중학생의 공격성으로 인한 학교부적응을 예방하고 효과적인 학교적응을 돕기 위하여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과제난이도 선호를 높이며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키는데 관심을 가지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on the relation between aggressin and school adjustment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318 boys and girls students 12 class that were the first-year, second-year and third-year students in D middle schools located in Daegu.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ggression Scale, Self-Efficacy Scale, Self-Control Scale and School Adjustmen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14.0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distribution by gender and class and Cronbach's α was produced in order to verify reliability of each scale. In addition,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and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ing of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in process that aggression influences school adjustment. Result of research is as following. First, the agg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was negatively correlation statistically and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was significant positively correlation with school adjustment statistically. Second, there is the moderating effect about of self-confidence and preferred task difficulty about the relation between aggression and emotional adjustment. Third, there is the moderating effect about of self-control about the relation between aggression and emotional adjustment. These results suggest have an interest improving self-confidence, preferred task difficulty, self-control, to prevent school maladjustment by aggression and to help effective school adjustment the middle school students at the school field nowadays.

      • 단짝친구관계와 학교생활적응 : 초등학생4학년과 중학생2학년을 대상으로

        신주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88명의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연령과 성별에 따른 단짝친구관계특성과 학교생활적응, 또래수용도를 알아보았다. 서로가 단짝친구라고 지명한 196명의 아동들의 단짝친구관계특성과 학교생활적응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4학년이 중학교 2학년보다 도움, 친밀감 및 동료애 특성수준이 더 높았다. 둘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도움, 친밀감 특성수준이 더 높았다. 셋째, 단짝친구간에 도움, 친밀감, 동료애특성이 있는 학생들은 학교생활적응이 좋았고, 단짝친구간에 갈등특성이 있는 학생들은 학교생활적응이 나뻤다. 또한 이러한 단짝친구관계특성은 학교생활적응을 예언하였다. 중학교 2학년이 초등학교 4학년보다 친구수가 더 많았으며 또한 서로 단짝친구라고 지명한 비율이 더 높았다. 또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서로 단짝친구라고 지명한 비율이 더 높았다. 초등학교 4학년에서는 또래수용도가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보다 도움, 친밀감 및 동료애 수준이 더 높고 갈등 수준이 더 낮았으며, 외로움을 덜 느꼈다. 그러나 중학교 2학년은 또래수용도가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보다 도움과 친밀감 수준만이 높았고 학교생활적응은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단짝친구관계의 발달적인 측면과 관계특성이 연령과 성별에 따라 어떻게 발달하는 지와, 학교생활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논의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riendship quality in terms of age and gender,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peer acceptance in 288 4th and 8th grade students. The friendship quality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of 196 students who had mutual friendship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friendship quality in terms of age. 4th grader reported more help, intimacy, companionship quality than 7th grad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friendship quality in terms of gender. Girls reported more help, intimacy quality than boys. Third, students who have help, intimacy, companionship quality with very best friend were related to good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those who have conflict quality were related to poor school-related adjustment. In addition these friendship qualities predicted school-related adjustmen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friendship, friendship quality in terms of developmental difference and their relation to school-related adjustment were discussed. The limit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 가정-학교-지역사회의 지역복지공동체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청소년 문제 예방을 위한 가족봉사활동을 중심으로

        신주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참여 구성원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가정-학교-지역사회의 지역복지공동체 형성 과정을 탐색적으로 밝히고자 실시한 연구이다. 약 3년간 경기도 수원시 P구 W동 지역으로 들어가 의도적 개입을 함으로써 청소년 문제 예방 가족봉사활동을 중심으로 지역복지공동체 형성에 대한 과정 단계를 제시하고 변화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실시 및 참여과정일지를 기록하였고 기노시다(木下康仁)의 수정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질적 분석하였다. 이에 가정-학교-지역사회의 지역복지공동체 형성과정을 단계별로 제시하고 촉진 및 방해요소를 살펴보았다. 참여 주체를 가정, 학교, 지역사회로 구분하여 변화 과정을 밝히고 전문가를 포함한 이들의 역할과 전략을 제시하였다. 형성과정은 크게 4개의 상위구조와 11개의 하위구조로 설명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게 되었다. 첫째, ‘잠재적 참여자의 수준과 준비’ 단계는 외부 기관이 개입하기 전으로 사회참여에 대한 개인의 소극적 성향과 부모의 과도한 관여, 학교의 사회참여 의지 미약, 청소년문제에 대한 소극적 태도와 지역사회의 무관심으로 사회참여 인식이 부재한 상태였다. 이후 외부 전문기관이 개입하면서 구성원들의 사회 참여 기회가 제공되었고 각자의 목적에 따라 가족봉사단으로 가입하였다. 또한 잠재성 있는 리더를 발굴하기 위해 실천가는 적극성을 띄는 구성원과 접촉하고 가치를 공유하는 단계이다. 둘째, ‘초기 참여와 역할 부여’ 단계는 가족봉사단 활동의 적극성이 미흡하고 외부 협력기관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며 청소년 문제에 대한 이기적인 태도를 보였다. 지역사회 네트워크가 미비하였으며 소극적인 태도를 유지했다. 이 과정 속에서 탈퇴자가 발생하고 구성원을 확충하는 구성원의 재정립 과정을 겪은 후 소극적 태도를 전환하려는 노력을 보였다. 구성원 간 친밀을 위해 노력 하였고 각자 역할을 부여하여 책임감을 갖게 되었다. 이후 자발적으로 규범이 생성되고 가족봉사단 대표는 더욱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었다. 구성원들은 전문기관의 교육을 통해 지역사회 의식을 생성시켜 나갔고 청소년 문제에 관심을 보였다. 마을을 돌아다니면서 진단을 하였으며 지역사회 내 청소년 문제를 이슈로 선정하고 가족봉사단 활동 계획을 수립한 시기이다. 셋째, ‘활동전개와 네트워크 확장’ 단계에서는 다양한 청소년문제 예방을 위한 봉사 활동을 하는 가운데 학교 내ㆍ외 갈등이 발생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통을 통해 갈등을 조정하였다. 이러한 갈등은 타 기관에 대한 신뢰가 저하되고 의욕이 저하되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나 이를 계기로 가족봉사단은 내적으로 성숙되고 단합할 수 있게 되는 긍정적 영향도 있었다. 활동을 하면서 갈등도 전개되었지만 공동체 의식 역시 생성 되었다. 연대의식과 유대관계, 신뢰가 생겨나고 소속감과 배려심, 애정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공동체의식 생성은 위기를 극복해 낼 수 있는 요인이었다. 가족봉사단 활동을 지속함에 따라 구성원들은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으며 자발성이 형성되고 협력기관에 대한 의존성을 탈피하였다. 또한 가족봉사단은 외부 기관 및 단체와 협력 사업을 추진하며 네트워크를 확장시켰다. 넷째, ‘변화와 유지’ 단계에서는 가족봉사단 활동을 통한 성장이 있었다. 가정은 상호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하였으며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학교 구성원은 주인의식이 생기고 적극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지역사회는 청소년 문제 예방 사업에 협력하며 상부상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가족봉사단의 자부심과 특수성에 따른 만족, 성취감, 외부의 인정을 통해 긍정적인 평가가 도출된 반면 활동 참여의 한계와 예산의 미흡에 따른 한계성도 드러났다. 그러나 한계 극복을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는 시민단체 및 공공기관을 찾아가 기금을 마련하였고 구성원을 D중학교에 한정짓지 않고 지역사회로 더욱 확대하기로 하였다. 이로써 가족봉사단 구성원은 지역사회를 향한 비전이 생성되었고 자체 소모임을 형성 하면서 가족봉사단 확장 및 유지를 희망하였다. 또한 지역복지공동체의 참여주체를 가정, 학교, 지역사회로 구분하고 이들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전문가의 의도적 개입으로 비롯된 bottom-up 방식의 지역복지공동체이므로 전문가가 수행해나가야 할 전략 역시 중요하다. 가정은 지역문제에 관심을 갖고 청소년이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가족 구성원이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경험이 없다하여 이기적인 태도로 문제를 방관해서는 안 된다. 이를 위해 가정은 전문가에 의해 교육되어져야 하며 개방적인 태도를 취해야 한다. 학교는 지역사회와 소통해야 하며 교사와 책임자는 학생들이 지역복지공동체 형성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함께 참여해야 한다. 또한 폐쇄적인 모습을 탈피하여 학부모, 지역 내 시민단체, 종교단체 등과 연합하여 마을 전체에 청소년을 보호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 This study is to examine in a exploratory method the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family-school-community local welfare community based on interaction among participants. The data of this research is from the researcher's intentional intervention as a family volunteer worker in W-dong, P-gu, Suwon City, Gyeonggi Province for about three years. It tried to suggest the stages of the process focusing on prevention of juvenile problems, and the changing proces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s, this research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o participants, kept the diary of participatory process,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modified grounded theory suggested by Ginosida (木下康仁). This research suggested the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family-school-community local welfare community stage by stage, and examined elements promoting or blocking the process. It divided participatory subjects into family, school, and neighborhood, and examined the changing process, and suggested the role each subject should play, and the strategy each subject may adop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uch a community can be explained by clasifiying it into four upper structures and 11 lower structure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tage of 'level of potential participants and their preparation' is the stage before external institution is involved in. Potential participants lack awareness of social participation due to passive attitude of each individual on spcial participation, excessive involvement of parents, insufficient desire of schools for social participation, passive attitude on juvenile problem, and indifference on such problems of local residents. Then, an external professional organization intervened, and they were given opportunitie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joined the family volunteer service team. To find and grow leaders, the social worker approaches active members and share values with them. The second stage is that of 'initial participation and allocation of roles'. In this stage, The family volunteer service team was not sufficiently active, tended to be dependent on the external organization, and was egoistic to juvenile problem. There were not sufficient neighborhood networks, and they were passive. Some members withdrew from the team, and other people newly joined the team. Then, many members began to become active. Team members became familiar to each other, the roles of members were allocated, and they became to have sense of responsibility. Some rules were made naturally, and the leader of the family service team began to exercise the leadership. Receiving education provided by the special organization, team members developed sense of neighborhood, and showed interest in juvenile problem. The team visited districts, diagnosed problems, chose as issue juvenile problem in the neighborhood, and established action plans for the family volunteer service team. The third is the stage of 'activity start and network expansion'. In this stage, while members did volunteer services to prevent various juvenile problems, some conflicts with schools took place, and solved the conflicts through communication. Such a conflict had negative effect on team members such as reduction on trust in other institution and lowering of their willingness. But, it also had positive effects in the sense that the team could grow and became and consolidated through the experience. In its activities, some conflicts took place among members, but a sense of community developed as well. The team spirit, closeness, and trust to each other, sense of belonging, consideration on others, and affection to each other were generated. The birth and growth of the sense of community served as the element to overcome crises. Their continuous participation in various activities increased their attention to family, school, and neighborhood, and tey developed spontaneity, and escaped from dependency on a cooperative organization. In addition, the family volunteer service team expanded its networks with external institutions and groups, while promoting cooperative projects with them. The forth is the stage of 'change and maintenance'. In this stage, the family volunteer service team grew with various activities. The family did mutually positive communications, and developed consensus. School members developed sense of ownership, and local residents cooperated in the project to prevent juvenile problems, and helped one another. The team members developed pride as a member of the team, satisfaction with their service, sense of achievement, and pride from recognition of their activities by the outside people. But, some limits of the team activities such as limits in participation and not sufficient budget were also revealed.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s, the team prepared the fund by asking some NGOs and public organizations to donate, and the team membership was expanded from D Middle School to the local residents. such an expansion of membership helped members to develop a vision on neighborhood, and form small meetings. They wanted to enlarge the family voluntary service team. In addition, this research classified the participatory subjects of the local welfare community into family, school, and neighborhood, and examined their roles. Since the community this research deals with is bottom-up style local welfare community which was initiated by intentional intervention of a specialist, it is also important to devise strategies the specialist should act on. Family must be interested in the neighborhood, and be aware of the fact that adolescent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neighborhood. family members should not assume the attitude of onlookers for juvenile problems because they have not been damaged. Family members should be educated by specialists and they should be open to those problems. School should communicate with neighborhood, and teachers and scho

      • 1채널 MQL 시스템의 스프레이 노즐 개선

        신주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1채널 MQL(Minimum Quantity Lubrication, 최소 윤활 가공) 시스템의 챔버에 있는 미스트 분사 노즐을 분석하고, 다양한 형태로 바꾸어 비교하여 최적의 효율을 보이는 노즐 디자인을 선정한다. 1채널 MQL 시스템에서 미스트 액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미스트 액화 문제가 완화되도록 노즐에서 분사하는 미스트 입자의 크기가 충분히 작고, 분사 속도 또한 충분히 느려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원형 노즐과 이에 대한 개선안으로 제안된 일자형, 삼각형, 넓은 삼각형 슬릿 분사 노즐을 해석한다. ANSYS Fluent CFD 해석 툴을 사용해 분사 형상을 분석하여 반경 거리 대비 분사 속도, 분사 각도 대비 분사 속도, 입자 크기 대비 중심 거리에 대한 그래프를 그리고 각 노즐의 결과를 비교했다. 이후 정량적 비교를 위해 유량계수를 해석했다. 반경 거리와 분사 각도에 대비한 분사 속도의 측면에서는 삼각형, 넓은 삼각형 슬릿 분사 노즐이 다른 노즐에 비해 분사 각도가 넓고, 분사 속도가 느려 좋은 성능을 보였다. 또 입자 크기 대비 중심 거리의 측면에서는 넓은 삼각형 슬릿 분사 노즐을 제외한 다른 세 노즐이 모두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나 MQL 노즐로서 좋은 성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유량계수의 측면에서 삼각형 슬릿 노즐이 일반 원형 분사 노즐보다 80%의 효율을 가져 가장 속도 저하 측면에서 적합한 노즐임을 확인했다. 해당 결과를 모두 종합했을 때, 삼각형 슬릿 분사 노즐이 MQL 시스템을 위한 노즐로서 가장 적합함을 확인했다. 해당 연구를 통해 제안된 개선된 형태의 미스트 분사 노즐은 MQL 가공 시스템의 생산성과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mist spray nozzle in the chamber of the one-channel MQL(Minimum Quantity Lubrication) system and compares various nozzle models to select a nozzle with optimum efficiency. In the one-channel MQL system, the size of the mist particles sprayed from the nozzle should be sufficiently small and the spraying speed should be sufficiently slow to alleviate the mist liquefaction problem.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existing circular nozzle and the proposed straight, triangular, and wide triangular slit spray nozzle as an improvement. Fluent DPM was us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like spraying velocity, angle, position and diameter. In spraying velocity - radial position and spraying angle plot, the triangular and wide triangular slit showed good performance due to the wider spraying angle and slower spraying speed than other nozzles. In terms of z-position – particle diameter plot, all three nozzles except the wide triangular are expected to show good performance. Lastly, in terms of discharge coeffici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triangular slit was 80% more efficient than the circular nozzl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triangular slit spray nozzle was the most suitable nozzle for the MQL system. The improved mist spray nozzle proposed through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of the MQL processing system.

      • 마을만들기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신주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의 전통사회는 유기적이며 지속적인 성격을 지녔으나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현대사회는 자본주의사회로 도래하면서 산업화, 도시화 과정에서 지역공동체의 붕괴를 경험했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 통합에 대한 관심이 생겨나면서 공동체를 회복시켜 삶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움직임이 일어나기 시작했고 이에 마을만들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마을만들기가 어떠한 과정으로 형성되는가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진행하였다. 도시지역의 마을을 대상으로 의도적 개입을 함으로써 그 개입과정에서 나타나는 지역주민들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마을만들기 형성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따라서 사회복지관 및 실무자들에게 주민조직화 및 마을만들기 실천방법과 집단운영과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지역사회복지실천방법론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마을만들기 형성과정 연구를 위하여 약 1년 동안 17차례의 회의참관 및 면담을 실시하였고 기노시다가 제안한 수정근거이론(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마을만들기 형성 과정은 ‘갈등잠재적 신뢰’ → ‘갈등표출적 신뢰’ → ‘갈등진정적 신뢰’ 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각 구조는 긍정적 신뢰, 부정적 신뢰, 규범, 외부 네트워크의 속성이 존재하며 관계는 기밀하고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났다. 이를 통해 실무자는 주민 조직 내에서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마을만들기가 추진되는지에 대한 이해를 얻게 될 것이다. 갈등잠재적 신뢰구조는 초기단계로 구성원의 태도는 소극적이지만 적응하기 위한 노력을 동반하였다. 규범이 생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소속과 회칙 생성의 욕구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구성원 간 세력형성이 일어났다. 이 때 실무자는 주민조직의 보이지 않는 갈등을 볼 수 있어야 하며 신뢰가 잘 형성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어야 한다. 갈등표출적 신뢰구조는 중기단계로 구성원들은 사업 추진에 관심을 보이고 규범 형성을 위해 노력을 하였지만 갈등이 심화되면서 감정대응으로 치닫게 되는 시기였다. 이 때 실무자는 갈등이 지속되지 않도록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하며 수고의 인정, 의견조율의 노력, 충분한 의사소통에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갈등진정적 신뢰구조는 말기단계로 갈등 이후 구성원의 의욕이 저하되고 책임의 대한 태도가 소극적으로 변한 시기였다. 결국 갈등 원인 제공자가 탈퇴하면서 새로운 구성원을 충원하게 되었다. 다시 조직은 초기단계와 비슷하게 적응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신뢰를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조직의 재형성 단계에서 실무자는 주민조직이 다양한 소속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갈등의 소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마을만들기에 대한 소집단 안에서의 진행과정과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적 역동성 및 신뢰형성과정을 구체화함으로써 주민조직화와 마을만들기를 위한 집단운영과정에 필요한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즉 마을만들기 형성 과정을 면밀히 밝혀냄으로써 사회복지기관 및 실무자에게 주민조직화 및 마을만들기 실천방법과 주민으로 구성된 소집단 운영 전략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주는데 의의가 있다. 나아가 학문적 방향성을 제공해 줄 것이다. Our traditional society was organic and continuous but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has experienced the collapse of local communities on its way to a capitalistic society through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refore movements insisting on improvement on the quality of life by recovering communities started as interest in integration of local communities grew and interest in community building also rises.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focus on how this community building was established. It tried to discover the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through interaction with local people by involving with them on purpose. Therefore we provided practice methods of community organization and community building to social welfare people and practitioners and aimed at widening the horizon of study in local social welfare practices. For the study on forming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there were 17 attending meetings and discussions for about a year and we utilized 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 suggested by Ginosida.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known that the formation of community building was on the process of ‘potential conflicts trust’-‘conflicts expressed trust’-‘conflicts calmdown trust’. Each structure has characteristics of positive trust, negative trust, rules and external network and the relationship occurred confidentially and simultaneously. Through these above, practitioners will obtain the understanding of how community building is advanced with what process within the local organization. In ‘Potential conflict trust’ structure as a basic step, members’ attitude is passive but accompanied with an attempt to adapt to it. Since rules were not made, the needs for creating norms started to show and force formation between members were raised. Then practitioners should be able to see invisible conflicts of local organizations and support them in order to establish trust. In ‘conflicts expressed trust’ structure as a middle step, members show their interest in advancing business and try to establish rules but it is the period when the conflicts got worse and hit the emotional response. Then practitioners should approach strategically to prevent continuous conflicts and focus on recognizing people’s efforts, efforts for compromising opinions and enough communication. In ‘conflicts calmdown trust’ structure as a final step, it was the period when members’ motivation got lowered and their attitude towards responsibility turned passive. Finally a new member got in as a conflict provider retired. The organization again tried to adapt similar to the beginning step and started to form trust. In reformation step of the organization, practitioners should make sure that the local organization consists of various members and alternatives to prevent conflicts beforehand should be prepared. These study results above are expected necessary for process of group operation to organize local people and build community by reifying interaction between members and process of trust formation within the small group of community building. It i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necessary materials of operation strategy for small group with local people to social welfare people and practitioners by discovering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in detail. Furthermore it will provide the academic direction.

      • Identifycation of a new signaling molecule for C-C chemotactic chemokine receptor 1 (CKR1) : C-C chemotactic chemokine receptor 1 (CKRI)의 새로운 신호전달물질의 동정

        신주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C-C chemotactic chemokine receptor 1 (CKR1) 은 세포 바깥쪽에 아미노산 말단을 세포 안쪽에 카르복실 말단을 가진 seven transmembrane으로 G protein coupled receptor family에 속하고 있다. 이미 알려진 CKR중에서 CKR1의 second intracellular loop을 bait로하고 human heart cDNA library를 이용하여 yeast two-hybrid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GIPC (for GAIP Interacting protein, C terminus)라는 물질이 CKR1의 second intracellular loop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는 것을 알았고 filter β-galactosidase assay와 ONPG를 이용한 liqutd β-galactosidase assay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또한 mammalian cell인 human embryo kidney 293T에서 CKR1과 GIPC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endogenous GIPC도 확인되었다. GST~GIPC fusion protein을 만들어 in vitro 에서의 CKR1과 GIPC의 실질적인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co-immunoprecipitation을 통해서 in vivo에서의 CKR1과 GIPC의 상호작용을 확인 할 수 있었다. GIPC는 중심부에 PDZ domain을 C terminus에 ACP domain을 가지고 있는데 이 PDZ domain에 GAIP가 상호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GAIP는 RGS (regulators of G-protein signaling) family의 member로 GTPase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이런 결과들로 GIPC는 G protein coupled receptor인 CKR1과 복합체를 이루고 또한 GAIP와 상호작용함으로써 CKR1이 G protein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매개물질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Chemotactic chemokine receptors are a subfamily of the G protein coupled receptor supergene family (GPCR) that is characterized by seven transmembrane domains with an extracellular amino terminal segment and cytoplasmic carboxylic terminus. I screened a human heart cDNA library using the yeast two hybrid system with the second intracellular loop of CKRl as a bait. By this approach a mammalian protein called GIPC (for G a interacting protein, C terminus) which has a central PDZ domain and a C-terminal ACP domain was identified. GIPC did not interact with other members of the C-C CKR tested in filter and liquid β-galactosidase assays in the yeast two hybrid system. Also the C-C CKRl directly interacted with GIPC in vitro and in HEK 293T cells. GAIP is a member of the RGS (regulators of G-protein signaling) family which activates GTPase function. The interaction between GAIP and GIPC and that of GIPC and CKRl suggest that GIPC may be present as a complex with CKRl and GAIP and function as a bridge between GPCR and its regulator RGS for CKRl.

      • 나가이 가후(永井荷風) 문학 연구 : 소외와 공간을 중심으로

        신주혜 高麗大學校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1853年(嘉永6)7月、東印度艦隊の司令官ペリ&#12540;が浦賀に&#26469;航して‘日米和親條約’を締結してから、日本は1858年(安政5)、‘安政5ヶ國條約’など不平等條約を締結することになる。このような狀況で、日本という國家に&#19982;えられた一番大事な課題は條約改正であって、日本の爲政者たちは西歐の列强と從屬的關係にあると同時に、他の一方では西歐列强の外交理論內を面化しようとしていた。すなわち、自國の領土を確保するために西洋という他者に&#24375;いられた理論をもって國內の制度、文化、生活慣習などを植民地化していく‘自己植民地化’を敢行したのである。明治日本は‘文明開化’というスロ&#12540;ガンを&#25369;げて西洋の模倣に夢中であった。 荷風はこのように無批判的に西歐を&#30495;似する明治政府の亂雜さを痛烈に批判した。當時の日本文壇では明治政府の文明開化西歐模倣を&#35501;み取った作家はあまりいなかった。アメリカ留&#23398;とフランス留&#23398;を&#32076;&#39443;して日本に&#25147;ってきた荷風は西洋化していく日本の文明と現實を淺薄な西洋模倣として認識し、その結果、明治の文明と社會を憎惡、輕蔑することに至る。當時は‘文明化’‘開化’という槪念が最優先視されていた時期、すなわち、西洋基準をもって東洋のものを計ろうとしていた時期であっただけに、このような荷風の現實批判は大きな意味を持つ。 本論文は、このような批判意識が&#24375;い荷風の前期作品に見られる疎外の樣相と作品內空間の意味を考察して、歸國直後の荷風が社會と緊密に連動しながら作品活動したことを明確にしたものである。特に、當時明治日本の具體的な 社會相-家族制度と結婚、學校という公的空間と劇場という非日常的空間の對立、&#27973;草と銀座空間が表象するもの、‘散&#27497;’の近代的意味などを&#35501;み取って、作家が當時の社會に向かって積極的な&#22768;を出していたことを明らかにしたことにこの論文の意義がある。 明治42年(1909)は作家永井荷風にとって大きい意味を持つ年である。成&#28716;正勝は明治42年は ‘彼に新進作家に地步を確保させた決定的な時期であった。’と言っている。荷風は42年1月、『ふらんす物語』中のいくつかの作品を&#30330;表し,&#32154;いて短篇六つ、中篇一つ、さらに新聞連載長篇に評論、&#35379;詩、隨筆、談話筆記に至るまで&#30330;表された作品の&#25968;は40餘篇におよぶのである。しかし、‘荷風にとっての明治42年の意味’を&#30330;表した作品の&#25968;が多いところだけから探すわけでははない。それは明治36年、アメリカに旅立ってから約5年間、アメリカとフランスでの生活を終えて日本に&#24112;った永井荷風の藝術觀が一&#22793;されたからである。この問題について相馬御風は‘『ふらんす物語』まで荷風がもっていた藝術心境は意識的に破&#22730;されて、社會批判、享樂主義、諦念&#8228;冷笑的人生觀、官能美の世界を扱うようになった'と述べている。「放蕩」には主人公が體驗する外&#22269;での自己疎外が現れている。またと「歡樂」には社會との疏通を拒む結婚拒否の意識がみられる。このような疎外の樣相は&#21336;に個人的疎外のとどまらず、家族主義または國家主義への拒否にほかならない。また、‘西洋との比較を通して荷風自信の日本文明批判意識を&#24375;く主張した作品’として&#35501;まれてきた「歸朝者の日記」は&#24112;&#22269;後一變した作風についての&#35500;明にもなり、以後、荷風がとった藝術家的態度を闡明したという意味を持つ同時に、この作品には‘歸朝者’としての疎外の認識が現れている。最近になっては、この作品の中で歷史-地政學的動態を&#35501;もうとする試みも見られる。このように荷風の作品の中の空間についての&#30740;究が&#22679;えていくのは作品&#20869;の空間と作家精神との間に密接な&#38306;わりがあるからである。しかし、大抵の場合、作家の實際經驗と作品&#20869;の空間を結び付いている。しかし、本論文では作品&#20869;の空間が何を表象しているかを究明していこうとしている。「すみだ川」の空間&#12540;隅田川、學校と劇場、&#27973;草&#12540;の表象する意味を察すると、近代の規律と制度、それに基づいた明治文化への同化を拒否した荷風像が浮かび上がるのである。明治42年、荷風にとって日本の俗惡な近代化は批判せざるをえない對象であったのは自明なことである。具體的空間をもって自分の批判意識を形象化しているのである。「監獄署の裏」の中には<庭の&#20869;>と<庭の外>という二項對立の空間が構築されていて、主人公である<私>はそれぞれ理想と現實、美と醜、秩序と無秩序、父なるものと母なるもの、明治と江&#25144;を表象している空間を通して自分の血緣についての思いや、職業觀、藝術觀、社&#20250;批判などを語っていくのである。すなわち、作家は二項對立的世界を構成することによって、‘歸朝者’という特殊なスタンスに立っていた<私>の目に映される明治の社會像を批判するかたわら、<母なる空間>への移動をみせているのである。これは以後、荷風が江&#25144;回歸の道を&#27497;むことと密接な&#38306;わりがあると考えられる。日本の俗惡な近代に失望し、そこから遁走した荷風が母なる<江&#25144;空間>に閉じこもったのは&#24403;然な結果だったかもしれない。「深川の唄」この作品には江&#25144;と明治の間を逡巡している當時の永井荷風の思考の軌跡と共に&#30495;の近代人とは何かについて苦惱する姿が現れている。特に、この作品は山の手、四谷附近から日比谷、銀座を通って下町の深川に至るまでの主人公の散&#27497;の過程が主な&#20869;容をなしている点に着目して‘散策’という行爲の意味とその散策空間が表象しているのは何かを分析していくことにした。‘東京’と代表される當時の日本文明は皮相的な西洋模倣に傾いて、日本の傳統と甚だしい不均衡狀態に置かれてあった。そのような現實を見&#25244;いていた荷風は深川を幼年の時、かつて經驗したことのある‘親密な經驗空間’として、また‘再現的空間’として再發見して配置することによって均質化された日常性の空間から新しい空間的實踐に基づいた空間を具現しているのである。しかし、荷風は辛辣に明治&#22269;家を批判したにもかかわらず、自分で自分が明治時代を生きている人間である自覺と使命感を持っていた事&#23455;も見逃してはならないと思う。作品の最後の部分で橋を渡って‘Wagnenの肖像畵とNietzscheの詩集が自分を待っている&#20966;へ&#24112;ら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新しい時代の日本の詩人になろうとする荷風の自己認識に違いないのである。「冷笑」と「日和下&#39364;」には疎外を超えようとする調和と和解の空間が配置されている。‘江&#25144;を好んで、江&#25144;に生きたがっていた作家’と言われる荷風は「冷笑」と「日和下&#39364;」で江&#25144;と東京の接點を提示している。 明治40年代荷風の文&#23398;は衰殘の美、悲哀、淋しさという情調で規定されてきた。しかし、當時荷風は自分の疎外を充分に認識していた。明治40年代荷風の文&#23398;は內部へ收斂するのではなく、外部の壓力に&#24540;じた結果物であったのである。このような&#35501;み方が荷風の前期作品を再評價する切っ掛けになることを期待する。

      • 17-18世紀 유럽 輸出 明·淸代 博古紋瓷器 硏究

        신주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 study on a particular design that appears on Chinese export porcelain produced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Chinese term bogu is often translated as ‘hundred antiques’ and names a design that depicts the scholarly avocation of appreciating and akdncherishing ancient bronze objects. The bogu design portrays bronze vessels such as the gu (觚), zun (尊), ding (鼎), ping (甁), jue (爵), and hu (壺) or other ancient objects as the central component supplemented by auspicious subjects such as scholar's accoutrements (文房淸玩) and the eight treasures (八寶) depending on the periodical changes in the design scheme. Thus, Chinese ceramics decorated with this design are termed bogu ceramics. In this thesis, bogu ceramics refer to the Chinese wares produced for European trade that are both a reflection and visual representation of this aspect of scholarly interest once prevalent in Ming and Qing society. An examination of the origin and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proliferation of the ‘hundred antiques’ design is the basis of this thesis which endeavors to diagnose the significance of bogu ceramics as a genre of Chinese export ware. The investigation into the conditions leading up to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bogu design starts with the Northern Song dynasty. In historical records, there are various lexical applications of the term bogu including gushi (古事, past affairs) and guxue (古學, ancient studies) among others. However, the use of this term in its relevance to design is strictly specific to ancient objects as is evident in the Northern Song text Xuanhe bogutu (Illustrated Catalogue of Antique Treasures from the Xuanhe Reign). Simultaneous to the publication of Xuanhe bogutu, the existence of a royal predilection for ancient objects combined with the predominance of Epigraphy-the study and interpretation of inscriptions on artifacts-resulted in the new vogue for bogu among the literary nobles. Its popularity persisted through the Song dynasty and was only amplified in the Ming dynasty. By the late Ming period, development of the commodity economy prompted the widespread dissemination of bogu from its scholarly niche to other corners of society including the merchant class. Thus in the Qing dynasty, the penchant for bogu became the social and economic foundation of all strata from the imperial class to the working commoners. The pervasiveness of the taste for bogu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s also a phenomenon further evidenced by the historical texts of the period. Within these social circumstances wherein bogu was considered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scholarly aesthetic, the origin of the design can be traced to the painting Picture of the New Year (歲朝圖), an example of the bogu huahui (博古花卉圖, bogu with flowers) genre. It is an amalgam of scholarly taste and auspicious significance expressed through the genre’s compulsory depiction of flowers in a vase and the enjoyment of scholars’ accoutrements. The same components are considered to be the origins of the bogu design as applied to ceramics, which would have developed in an identical manner to be used as decorative elements in not only ceramics but in various mediums such as painting, clothing and ornament, architecture, etc. The bogu design was widely appreciated by all social groups in the Qing dynasty but especially employed in diverse forms by the plebeian class until the nineteenth century. It follows that the bogu design is unique and specific in its dual connotation of the qualities ya (雅, elegant) and su (俗, custom). As evidenced by its growing status as the social and economic foundation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taste for bogu was also enjoyed by non-scholars. This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hanges in the design of the bogu ceramics. For the purposes of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unique to the bogu ceramics of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the design are first categorized as iconography representing ancient objects, munbang cheongwan (文房淸玩, well-equipped scholar’s study), or auspicious signs according to subject matter.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se elements and their overall composition, the bogu designs are then separated into four categories (I, II, III, IV). Through an examination of each group’s production period and style, it was possible to ascert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gu ceramics produced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The bogu ceramic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were exported to, circulated within, and consumed in Europe through the ceramic trade of the Dutch and British East India Companies. The popularity of the bogu design in Europe can be examined from two perspectives. First, there is a definite affinity between the bogu design and European still life paintings in the elements depicted and the arrangement of these elements. It is an easy comparison of the parallels between the development of flower still life paintings or Pronkstilleven and the changes observed in the bogu design. Moreover, the bogu design and still life genre resemble one another in that each design carries symbolic meaning. Thus, one explanation for why the bogu design was able to appeal to a foreign aesthetic is the preexisting familiarity with the genre of still life painting in Europe. The second perspective builds on the concept of Chinoiserie. From this standpoint, the bogu design was a vehicle of inspiration for the European consumer who wished to express his or her appreciation for the Chinese tradition in the form of various decorative elements such as paintings, Coromandel, Lacquer paintings and other ornamental crafts. Chinese export porcelain of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specifically the bogu ceramic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exist in diverse styles. These include Blue and White porcelain, colored porcelain, wucai, fencai, etc. that are then subdivided into categories such as Kraak porcelain, transition period, Kangxi style, Powder Blue, Famille noire, Chinese Imari and Rococo. This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stylistic characteristics revealed the periodical changes in the appearance of the design as seen in the bogu ceramics produced for European export. To briefly outline these changes, bogu ceramics exported to Europe in 1640-1680 were mainly Kraak and transition period style. In 1680-1730, the main exports were produced in more diverse styles than the former period. During 1730-1750, the bogu design was reproduced in the eighteenth century Rococo style of Europe. Overall, these transformations demonstrate how bogu ceramics were modified in form and style to meet the demands of their European consumers. At the other end of the spectrum, Chinese bogu ceramics exported to Europe also had an effect on the ceramic production of its destination. The European reproduction of bogu ceramics took form in two ways. The first is a faithful imitation that strived to emulate the exact shape, design, and style of the original. The second is a departure from the original as it incorporated elements of European taste. In the latter version of the bogu ceramics, some of the Chinese subjects are substituted with European objects or combined with European decoration. It was also common for Chinese images new to the European aesthetic to be projected onto the original bogu design which was inevitably an effect of Chinoiserie. For example, the transformation of Meissen porcelain through the influence of Chinoiserie in its depiction of East Asian figures in the design scheme reflects the new direction of the reinterpreted bogu design in European ceramics. Likewise, the similarities shared between bogu ceramics and European still life painting were enough to garner acceptance of the Chinese genre. However, the deciding factor was the influence of Chinoiserie which made the constituents of the bogu design familiar yet exotic, providing a template that could be modified to suit the aesthetic sensibilities of the European consumer. The bogu ceramics produced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Chinese export porcelain that satisfied European taste and consumption. More importantly, it must be noted that the European version of bogu ceramics was not merely an imitation but rather a reinterpretation of a Chinese tradition in the aesthetic language of European taste. This indicates that the significance of bogu ceramics lies in its status as export porcelain for European trade rather than simply a genre of Chinese ceramics. 本研究是註意到17至18世紀明·清代博古紋瓷器作為對歐洲輸出瓷器的特殊性而進行考察的。博古紋瓷器是反映對古銅器的玩賞及愛好作為一種文人情趣而擴散的明·清代社會面貌的代表性視覺作品。研究的目的和意義在於以這種博古紋瓷器在17至18世紀作為對歐洲輸出瓷器而盛行的背景和原因是什麽的問題為基礎,分析明·清代博古紋瓷器作為對歐洲輸出瓷器的意義。 17至18世紀明·清代博古紋瓷器是以觚、尊、鼎、甁、爵和壺等古銅器,或者各種古器物圖像構成中心紋樣,在不同時期的演變過程中,以文房清玩,八寶等各種吉祥素材組合成圖案的瓷器。博古圖案作為古銅器,古器物的視覺作品得以體現的背景可以追溯到北宋時代。通過文獻記錄查看博古在詞典上的定義,主要被用作古事,古學等意思,特別是作為圖案的定義,表現出僅限於北宋時期《宣和博古圖》中的古器物的傾向。制作了《宣和博古圖》的北宋時代,隨著以皇室為中心的復古趣向和解釋並研究古銅器銘文的金石學的盛行,在文人士大夫之間形成了與古銅器相關的博古趣味。博古趣味經宋代到明代進一步擴散,特別是明末商品經濟的發展,使文人趣向的博古趣味在包括一般商人階層在內的全社會廣泛傳播,起著如導火索一般的作用。在清代,這種博古趣味以皇室階層為首,逐漸基層化到平民階層,明·清代博古趣味廣泛擴散的趨勢,通過當時的文獻史料可見一斑。 在這樣的社會背景下,文人趣向作為由視覺作品體現的博古圖案的起源,通過明代歲朝圖所功能的博古花卉圖系列來了解,該題材是同時畫有甁畵和文房淸玩器物的圖案,同時含有文人趣向和吉祥意義。瓷器博古紋也是以這樣的系統出現發展起來的,明·清代博古圖案不僅用於瓷器的紋樣,還作為繪畫、服飾、建築等的裝飾紋樣。特別是清代博古圖案,由皇室向民間階層擴散,在民間藝術體裁中被廣泛運用,由此可以看出持續到19世紀近代的形態。因此,可以說明·清兩代的博古圖案是包含“雅”和“俗”雙重性格的特殊圖案。 從明·清代博古趣味的基層化擴散現象中可以看出,博古紋瓷器被非文人階層所享有和博古紋瓷器上所看到的紋樣變遷也有一定的關系。為了考察17至18世紀明·清代博古紋瓷器的性質及特征,將博古紋的構成要素大致分類為古器物圖像、文房清玩和吉祥素材,並根據相關要素之間的組合與整體構成,將瓷器博古紋分為Ⅰ,Ⅱ,Ⅲ,Ⅳ四種類型。通過不同類型的瓷器博古紋編年資料和樣式,將17至18世紀明·清代博古紋瓷器的時期劃分為第1至4期,考察了相應時期的樣式特征和演變。 明·清代博古紋瓷器是通過17至18世紀以荷蘭和英國的東印度公司為中心展開的陶瓷貿易,出口到歐洲後得以流通和消費。在觀察出口歐洲的博古紋瓷器的形態之前,先從兩個方面分析了歐洲喜歡博古圖案的原因。 首先,明·清代博古圖案在圖案的構成要素和構圖上表現出了與歐洲靜物畫的親緣性,兩者之間可以進行比較。特別是歐洲靜物畫中,花卉靜物畫和“Pronk”式靜物畫的流行趨勢與博古圖案的變化趨勢相一致,而且可以看出每個圖案的象征性意義也類似。通過這些我們可以舉例說明博古圖案在歐洲受歡迎的因素中,與歐洲人熟悉的歐洲靜物畫有著密切的關係。另外,通過版畫、科羅曼德漆屏風(Coromandel)、織物和各種漆工藝品等裝飾素材,觀察出口到歐洲的博古圖案體裁的消費狀況,通過與17至18世紀的中國風相聯繫,可以看出博古圖案的體裁起到了作用,成為當時歐洲境內傳播中國式趣向的因素。 可以確認17至18世紀出口歐洲的明·清代博古紋瓷器在不同時期有著多樣的種類。從青花、彩色、五彩、粉彩等種類中可以看出的細節樣式有克拉克、過渡期、康熙樣式的青花博古紋瓷器和粉末藍(Powder blue)、黑地(Famille noire)樣式的彩色博古紋瓷器,五彩的中國伊萬裏樣式等。通過樣式特征,試圖尋找出口歐洲的博古紋瓷器在不同時期的演變趨勢和作為輸出瓷器的意義。結果發現,出口歐洲的博古紋瓷器生產與1640年左右,1680至1730年,盛行並發展了多種樣式,1730至1750年,在經歷了由18世紀洛可可風格演變的階段後,作為符合歐洲人需求的器型和樣式製作而成,是典型的出口瓷器,從而可以掌握其意義。 另外,出口歐洲的博古紋瓷器對歐洲陶瓷的製作也產生了不小的影響。在歐洲陶瓷中再現的博古紋瓷器大體上有原封不動的接受了器型、紋樣、樣式等中國風,最大限度忠實的模仿原件的情況和在模仿過程中添加了歐洲趣向從而相互交融的情況。 在歐洲陶瓷實現相互交融的過程中,明·清代瓷器博古紋的若幹素材被歐洲式器物所取代,也可以看到它們與歐洲裝飾素材結合後出現的形式。特別是歐洲人所具有的全新中國式意象也反映在了博古紋上,這與當時東方風格的“中國風(Chinoiserie)”現象密切相關。特別是,在麥森(Meissen)瓷器中於東方人物一起繪製的紋樣的相互交融,可以說是因中國風而被歐洲陶瓷重新詮釋的博古紋的新趨勢。不僅如此,類似靜物畫圖案相互交融的事例,是被歐洲人接受的博古紋瓷器藉助於中國風的時代潮流,已經成為既熟悉又具有異國情調的圖案,並且可以選擇性地被用作符合他們審美的素材。 17至18世紀明·清代博古紋瓷器是符合當時歐洲人的趣向與消費的典型出口瓷器,具有十分重要的意義。特別是在歐洲陶瓷領域,超越單純模仿的層面,作為中國式趣向的一環和歐洲人的審美重新相互交融這一點,可以說比起其它中國式趣向的素材,作為出口歐洲的博古紋瓷器更具有意義和地位。對此,本研究將17至18世紀明·清代博古紋瓷器作為出口歐洲瓷器加以分析是有意義的。 본 연구는 17-18세기 明·淸代 博古紋瓷器를 유럽 수출자기로서의 특수성에 주목하여 고찰한 것이다. 박고문자기는 고동기에 대한 완상 및 애호가 일종의 문인취미로서 확산되었던 명·청대 사회상을 반영한 대표적인 시각작품이다. 그러한 박고문자기가 17-18세기 유럽 수출자기로서 성행하게 된 배경과 요인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에 기반하여 명·청대 박고문자기의 수출자기로서의 의미를 조명하는데 연구목적과 의의를 두었다. 17-18세기 명·청대 박고문자기는 觚, 尊, 鼎, 甁, 爵, 壺 등의 고동기, 혹은 각종 고기물 도상이 중심문양을 형성하고, 시기별 변천과정에 있어 文房淸玩, 八寶를 비롯한 각종 吉祥 소재로 조합된 도안의 자기를 말한다. 박고도안이 고동기, 고기물이 시각작품으로 구현될 수 있었던 배경은 북송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문헌기록을 통한 博古의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면 주로 古事, 古學 등의 의미로 사용되다가 특히 도안으로서의 정의는 북송대 『선화박고도』의 고기물에 한정되는 경향을 보여준다. 『선화박고도』가 제작된 북송대는 황실을 중심으로 하는 復古취향과 고동기의 명문을 해석하고 연구하는 金石學이 성행하면서 문인사대부들 사이에서 고동기와 관련한 博古趣味로 이어지게 된다. 박고취미는 송대를 거쳐 명대에 이르러 더욱 확산되었으며, 특히 명말 상품경제의 발전에 따라 문인취향의 박고취미가 일반 상인계층을 비롯한 사회 전반적으로 널리 확산될 수 있었다. 청대에는 이러한 박고취미가 황실계층을 비롯하여 서민계층에까지 저변화되는데, 명·청대 박고취미가 확산되는 양상을 당대 문헌사료를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 하에 문인취향이 시각적 작품으로 구현된 박고도안의 기원을 明代 歲朝圖로서 기능한 博古花卉圖 계통으로 파악하였으며, 그 제재는 병화와 문방청완 기물이 함께 그려지는 도안으로 문인취미와 길상적 의미가 동시에 함유된 것이었다. 자기 박고문 역시 이와 같은 계통으로 출현, 발전해 나간 것으로 보았으며, 명·청대 박고도안이 자기의 문양뿐 아니라 회화, 복식, 건축 등의 장식문양으로 활용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청대 박고도안은 황실을 비롯한 민간계층으로 확산되면서 민간의 예술 장르에서 다양하게 활용되었는데, 이는 19세기 근대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명·청대 박고도안은 雅와 俗이라는 이중적 성격을 내포한 특수한 도안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명·청대 박고취미의 저변화가 확산되는 현상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자기 박고문은 非문인계층에게까지 향유되었으며 이는 박고문자기에서 보이는 문양 변천양상과도 관련된다. 17-18세기 명·청대 박고문자기의 성격 및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박고문의 구성요소를 크게 古器物, 文房淸玩, 吉祥 소재로 분류하고, 해당 요소들 간의 조합과 전체적인 구성에 따라 자기 박고문을 Ⅰ·Ⅱ·Ⅲ·Ⅳ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유형별 자기 박고문의 편년자료와 양식을 통해 각 해당유형의 시기와 17-18세기 명·청대 박고문자기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명·청대 박고문자기는 17-18세기 네덜란드와 영국 동인도회사를 주축으로 전개된 도자 무역을 통해 유럽으로 수출되어 유통·소비될 수 있었다. 유럽 수출 박고문자기의 양상을 파악하기 앞서, 유럽에서 박고도안을 선호하게 된 요인을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우선 명·청대 박고도안은 도안의 구성요소와 구도에서 유럽의 정물화와 친연성을 보여 양자 간의 비교가 가능하였다. 특히 유럽 정물화 가운데 꽃정물화와 늘어놓기식의 프롱크(pronk) 정물화의 유행 흐름이 박고도안의 변천양상과도 일치하는 점과 각각의 도안이 갖는 상징적 의미 역시 유사한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박고도안이 유럽에서 선호될 수 있었던 요인 중 당시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성행했던 유럽 정물화와 밀접한 관련성을 예시로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판화, 코로만델(Coromandel) 칠병풍, 직물, 각종 칠공예품 등의 장식소재로 유럽으로 수출된 박고도안 장르의 소비양상을 17-18세기 중국풍 ‘시누아즈리(Chinoiserie)’와 연계하여 살펴봄으로써 박고도안의 장르가 당시 유럽 내 중국적 취향을 고취시키는 요소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17-18세기 유럽 수출 명·청대 박고문자기는 시기별 다양한 양식으로 확인된다. 청화, 채색, 오채, 분채 등의 종류에서 보이는 세부양식은 크락, 과도기, 강희양식의 청화 박고문자기와 파우더 블루(Powder Blue), 파미유 누와르(Famille noire) 양식의 채색 박고문자기, 오채에서의 차이니즈 이마리(Chinese imari) 양식 등이 있다. 자기의 종류와 양식적 특징을 통해 유럽 수출 박고문자기의 시기별 변천 양상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유럽 수출 박고문자기는 크게 초기(1640-1680)·중기(1680-1730)·후기(1730-1750)의 단계를 보여주며, 초기단계에서는 크락양식과 과도기 양식의 Ⅰ·Ⅱ유형 박고문 청화자기로 유럽에 본격적으로 수출되었다. 중기단계는 Ⅱ·Ⅲ유형의 박고문자기가 청화, 오채 등 이전보다 다양한 종류와 양식으로 제작되어 성행하였으며, 후기단계에 이르러서는 Ⅲ·Ⅳ유형의 박고문으로 변화된 분채자기에서 확인되었다. Ⅳ유형의 분채 박고문자기는 화려하고 다채로운 분위기로 18세기 유럽 내 로코코 취향에도 부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종합적으로 수출단계별 양식적 특징을 통해 당시 유럽인들의 수요에 적합한 기형과 양식으로 제작된 전형적인 수출자기로서 17-18세기 명·청대 박고문자기의 의의를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유럽 수출 박고문자기는 유럽도자의 제작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유럽도자에서 재현된 박고문자기는 크게 기형, 문양, 양식 등의 중국풍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원본을 최대한 충실히 모방하고자 한 경우와 모방 과정에서 유럽 취향이 가미되어 변용된 경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유럽도자에서 박고문자기의 변용은 명·청대 자기 박고문의 몇몇 소재가 유럽식 기물로 대체되기도 하고, 유럽의 장식 소재와 결합되어 나타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특히 유럽인들이 갖는 새로운 중국적인 이미지를 박고문에 투영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당시 동양풍의 시누아즈리라라는 현상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마이센 자기에서 동양인물과 함께 그려지는 문양의 변용은 시누아즈리로 인해 유럽도자에서 재해석된 박고문의 새로운 경향이라 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물화의 도안과 유사하게 변용된 사례는 유럽인들에게 수용된 박고문자기가 시누아즈리라는 시대적 조류에 편승하여 이미 친숙하면서도 이국적인 도안으로 작용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박고문자기는 유럽인들의 미감에 맞는 소재로 선택적인 변용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17-18세기 명·청대 박고문자기는 당시 유럽인들의 취향과 소비에 적절하게 부응한 대표적인 수출자기로서 의미를 갖는다. 특히 유럽도자에서 단순모방 차원을 넘어 중국적 취향의 일환과 유럽인들의 미감으로 새롭게 변용되었다는 점은 여타 중국적 취향의 소재보다 유럽 수출자기로서 박고문자기가 갖는 의미와 위상을 보여준다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7-18세기 명·청대 박고문자기를 유럽 수출자기로서 조명한 것에 의의를 삼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