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령 전 아동의 비만예방을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평가

        신정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valence of obesity among the children is gradually increasing.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progress into adulthood obesity, nutrition education including the right perception for obesity and eating behavior modification wa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prevent obesity for preschool children. Food habit and parent`s demands of nutrition education were investigated using a questionnaire answered by the mothers of 61 subjects aged 5 to 6 years old. Also, 39 day-care teachers were asked questionnaire and needs of nutrition education were investigated.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o provide the preschool with nutrition-related activities in order to prevent obesity.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as carried out by a nutrition knowledge test, food choice test. The study´s subjects consisted of 115 preschool children, with 59 who participated in the child-care center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56 who participated in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hich was held in the community health center special nutrition room. In dietary habits, it was found that subjects had high-fat food, cookies and fast food between meals once or twice per day. The majority(86.5%) of subjects have skipped breakfast and 98% of subjects tended to eat large dinner meals. The difficulties and complaints in execution nutrition education at the child-care centers were lack of nutritional knowledge, material shortage and excessive work. Our evaluation included pretests, posttests and after three weeks tests of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foods and nutrition concepts. The subjects(n=115) showed overall significant improvement in food and nutrition knowledge as measured by a nutrition knowledge test. Thus, nutrition knowledge 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ree weeks of the education and the scores were higher on the children in the public health center with field trip program. Food choice scores were improved after the education. Food choice scores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scores. In conclusion, our results support the contention that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with preschool children to prevent obesity. 최근 영양과잉 섭취와 함께 소아비만의 이환율이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이는 아동의 생활양식이나 식습관 변화 및 가정과 보육시설의 환경적 요인과도 관계가 있음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령 전 아동의 비만관련 식습관 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하여 비만예방을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을 보육시설 방문교육과 영양체험방 견학교육으로 교육방법을 달리하여 실시한 후 교육효과를 평가하였다. 보육시설 방문교육과 영양체험방 견학교육을 실시한 총 5개 어린이집 아동 115명의 부모에게 일반사항, 영양교육 요구, 식습관 조사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8개 보육시설의 교사 39명을 대상으로 일반사항과 영양교육 요구를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3개 어린이집 아동 총 59명을 대상으로 보육시설을 직접 방문하여 개발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3주 동안 1주에 2회 총 6번 실시하였으며, 영양체험방에 견학 신청을 한 51개 보육시설 중 2개 어린이집 아동 총 56명을 대상으로 한 달에 1번 총 2번의 영양체험방 견학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육의 효과는 교육 전, 교육 직후, 교육 3주후의 아동의 영양지식 점수와 식품선택 태도변화 점수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아동의 비만 관련 식습관 요인은 튀김, 전, 볶음류 음식 및 단 음식, 인스턴트식품의 잦은 섭취와, 아침식사의 결식과 편식, 그리고 과식 습관과 취침 전의 간식 섭취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와 보육교사의 영양교육 요구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간식 및 편식 식사지도 영양교육에 요구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식품 위생 및 조리방법, 아동의 영양권장량, 영양교육 자료 순이었다. 개발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교육효과를 살펴본 결과, 교육 전 아동의 영양지식 점수는 방문교육이 5.6±2.1점, 견학교육이 5.3±2.2점이었으며, 교육 직후 영양지식 점수는 교육 전에 비해 방문교육이 7.7±1.7점, 견학교육이 7.5±1.7점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교육 전 아동의 식품선택 태도변화 점수도 방문교육이 5.7±3.3점, 견학교육이 7.1±3.2점에서 교육 직후의 식품선택 태도변화 점수는 11.0±4.6점, 9.4±3.7점으로 교육 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교육 3주후 점수도 13.6±3.0점, 12.8±3.9점으로 교육 직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영양체험방 견학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교육 직후 영양지식 점수가 방문교육은 7.7±1.7점, 견학교육은 7.5±1.7점이었고, 교육 3주후의 점수는 7.4±1.3점, 8.0±1.4점으로 견학교육이 방문교육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아동 영양지식 조사 문항별 점수도 모든 문항에서 견학교육이 교육 실시 3주까지 점수가 보유되거나 높았다. 특히 아동이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던 지방 영양소에 대해서도 견학교육이 교육 3주후까지 점수가 보유되거나 유의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결과, 학령 전 만 5~6세 아동의 식습관이 비만과 관련된 요소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 아동의 비만예방을 위해 영양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를 통해 적절한 영양교육은 아동의 식품선택 및 식행동에 긍정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영양체험방 견학교육 프로그램은 학령 전 아동의 비만예방을 위해 보다 실제적인 제시방안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TV 홈쇼핑 쇼 호스트의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 분석

        신정원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differentiated makeup and hairstyles by investigating TV home shopping show hosts’ makeup and hairstyles and analyzing their differences by product. For this, the live broadcasting data from the best home shopping channel of the month named by the Korea Reputation Center were captured from July 2015 when seven home shopping channels established their ground to July 2017. The TV home shopping produc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fashion & accessories, beauty & cosmetology, food & life, electronics & living, insurance & travel. Then, show hosts’ makeup and hairstyles were analyzed through a total of 8757 pictures. To have fair and unbiased makeup and hairstyle classification standards, the measurement tools from the previous studies were adjusted and improved by professional makeup artists and hairdressers with more than 1 decade experiences in home shopping styling.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according to analysis of show hosts’ makeup by product group, ‘glossy skin’ was most common with 79% in skin makeup. In the beauty & cosmetology group, in particular, ‘glossy skin’ was as high as 51%. In terms of eye makeup, thick and long eye lines were observed in all product groups. Specially, they accounted for 62% in ‘fashion & accessories’ and 55.1% in ‘insurance & travel’. In terms of eyebrows, common straight eyebrows were preferred in all product groups. In ‘fashion & accessories’, brow eyebrows were as high as 78%. In terms of blusher, it was used in almost all product groups. In ‘beauty & cosmetology’, however, 71% didn’t use it because they need to wash their face during the program. In terms of the color of lips, a reddish color was preferred in all product groups but ‘food & life’. In ‘food & life’ where they have to eat food, a pink color was as high as 53%. Second, according to analysis of show hosts’ hairstyles by product group, a short cut was preferred in all product groups. In ‘beauty & cosmetology’, however, ‘up-style’ was as high as 55% because they need to wash their face often during the program. In ‘fashion & accessories’, on the contrary, ‘long wave’ was 20.4%. In addition, ‘half ponytail’ accounted for 4% and 1.6% in ‘beauty & cosmetology’ and ‘fashion & accessories’ respectively. Third, based on the said analysis results, the same show hosts were styled by product group to suggest their typical makeup and hairstyles and make it easy to find the differences,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In ‘insurance & travel’, the styling was completed with glossy skin, straight medium-thick brown eyebrows, thick and long eye lines, blusher, red lips and short cut. In ‘fashion & accessories’, glossy skin, straight medium-thick brown eyebrows, thick and long eye lines, blusher, red lips and long wave hair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a difference is found in the hairstyle. In ‘electronics & living’, the styling was completed with glossy skin, straight medium-thick ash brown eyebrows, thick and long eye lines, blusher, red lips and short cut. In ‘food & life’, glossy skin, straight medium-thick ash brown eyebrows, thick and long eye lines, blusher, pink lips and short cut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a difference is detected in the color of lips. In ‘beauty & cosmetology’, the styling was completed with glossy skin, straight medium-thick brown eyebrows, thick and long eye lines, red lips and up-style. Unlike other groups, this group revealed blusher-less makeup and up-sty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which would be useful for styling in beauty industry after analyzing show hosts’ makeup and hairstyles and suggesting the best styles for each product group. 본 연구는 TV 홈쇼핑 쇼 호스트의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을 살펴보고 상품군에 따른 차이점을 분석하여 차별화된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7개의 홈쇼핑 구도가 완성된 시점을 기준으로 2015년 7월부터 2017년 7월까지 한국기업평판연구소가 선정한 월별 1위 홈쇼핑의 생방송자료를 캡처 하였다. TV 홈쇼핑 상품군 은 패션·잡화, 뷰티·이미용, 식품·생활, 전자·리빙, 보험·여행 등 5개의 상품군으로 분류하고 총 8757장의 사진을 통해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을 분석하였다.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의 분류기준을 객관화하기 위해 홈쇼핑 스타일링 경력 10년 이상의 현직 메이크업, 헤어 전문가 3인이 함께 선행논문의 측정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품군에 따른 쇼 호스트의 메이크업을 분석한 결과, 피부 표현은 글로시한 피부가 79%로 많이 나타났으며 특히 뷰티·이미용 상품군은 매트한 피부보다 글로시한 피부가 51%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아이 메이크업은 조명의 영향으로 두껍고 길게 그리는 아이라인을 모든 상품군에서 하고 있으며 패션·잡화 상품군은 62%, 보험·여행 상품군은 55.1%로 두껍고 긴 아이라인이 많이 나타났다. 아이브로는 보통의 일자형 아이브로가 모든 상품군에서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패션, 잡화 상품군에서는 아이브로 컬러로 브라운을 78%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블러셔는 전 상품군에서 사용하고 있지만 뷰티·이미용 상품군에서만 세안과 시연을 보여주는 연출상의 특징 때문에 블러셔를 71%가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립 컬러는 식품·생활 상품군을 제외한 전 상품군에서 레드계열의 립 컬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음식을 먹고 보여주는 식품·생활 상품군은 핑크계열의 립 컬러가 53%로 나타났다. 둘째, 상품군에 따른 쇼 호스트의 헤어스타일을 분석한 결과 숏 단발 헤어는 모든 상품군에서 선호하는 헤어스타일로 나타났으며 뷰티·이미용 상품군은 세안과 시연이 많은 연출상의 특성으로 업스타일이 55%로 많이 나타났다. 패션·잡화 상품군에서는 롱 헤어스타일 웨이브가 20.4%로 나타났고 반묶음 헤어는 뷰티·이미용 상품군에서 4%, 패션·잡화 상품군에서 1.6%로 조사되었다. 셋째, 상기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상품군에 따른 쇼 호스트의 대표적인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을 제시하고 그 차이점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동일모델에 상품군별로 스타일링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험·여행 상품군의 메이크업은 글로시한 피부, 브라운 컬러의 일자형 보통굵기 아이브로, 두껍고 긴 아이라인, 블러셔와 레드 립 컬러로, 헤어스타일은 숏 단발헤어로 완성하였고, 패션·잡화 상품군의 메이크업은 글로시한 피부, 브라운 컬러의 일자형 보통굵기 아이브로, 두껍고 긴 아이라인, 블러셔와 레드 립 컬러로, 헤어스타일은 롱 헤어 웨이브로 완성하여 두 상품군 간에 헤어스타일에서 차이가 있다. 전자·리빙 상품군의 메이크업은 글로시한 피부, 회갈색의 일자형 보통굵기 아이브로, 두껍고 긴 아이라인, 블러셔와 레드 립 컬러로, 헤어스타일은 숏 단발 헤어로 완성하였고 식품·생활 상품군의 메이크업은 글로시한 피부, 회갈색의 일자형 보통굵기 아이브로, 두껍고 긴 아이라인, 블러셔와 핑크 립 컬러로, 헤어스타일은 숏 단발 헤어로 완성하여 두 상품군 간에 립 컬러에서 차이가 있다. 뷰티·이미용 상품군의 메이크업은 글로시한 피부, 브라운 컬러의 일자형 보통굵기 아이브로, 두껍고 긴 아이라인, 블러셔는 하지 않고 레드 립 컬러로, 헤어스타일은 업스타일로 완성하여 이 상품군만 블러셔없는 메이크업과 업 헤어스타일이 사용된 데 차이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실제 방송에서 나타난 상품군에 따른 쇼 호스트의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상품군에 어울리는 가장 대표적인 스타일을 제안함으로써 뷰티 분야 종사자들이 스타일링 실무에서 반영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초등 역사교육에서 쟁점 기반 인물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신정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 역사교육에서의 인물학습이 시대와 사건을 파악하는 도구의 기능으로 전락하였으며, 학생들은 교과서에 제시된 인물의 업적, 정책 등을 ‘객관적 사실’로서 인식하고 암기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수차례 교육과정이 변화를 거듭하면서도 인물학습은 사회과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치하고 있고 그 가치를 인정하고 있지만 과연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물학습의 방향이 실효성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역사를 해석적 이해하기 위한 역사쟁점 기반의 인물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역사의 해석적 이해, 인물학습, 역사쟁점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연구하였고, 역사쟁점의 개념을 인물학습과 연계하여 ‘쟁점 기반의 인물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후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의의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인물학습은 크게 ‘인물을 통한 학습’과 ‘인물에 대한 학습’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인물을 통해 그가 활동한 시기의 역사적 배경 등을 파악하도록 하는 것이다. 후자는 인물의 생애와 가치관 등을 학습하여 도덕적, 윤리적 가치관을 파악하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후자의 관점에 중점을 두었으며 한 인물을 깊이 탐구할 수 있는 주제 접근법을 기반으로 인물학습 모형을 구성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역사쟁점은 역사상의 사건 혹은 인물의 행위에 합의되지 않은 문제로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때문에 역사학습에서 역사쟁점은 역사내용에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학습자의 비판적인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역사쟁점의 소재로 알맞은 것이 바로 인물이다. 특히 다양한 해석과 평가가 존재하는 인물은 역사가의 해석에 의해 역사가 구성됨을 학생들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선시대 태종 이방원을 적합한 인물로 선정하였고, 초등학교 6학년의 발달 수준에 맞고, 다양한 시각과 해석이 담긴 자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새롭게 구성한 인물학습 모형에 따라 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1단계(인물 살펴보기)에서는 이방원에 대한 배경지식과 이해도를 점검하였다. 2단계(인물 쟁점 탐구하기)에서는 자료에 나타난 역사쟁점을 파악하고 활동지를 작성하였다. 3단계(인물 평가하기)에서는 이방원에 대한 종합 인물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학생들의 학습 내용 및 활동지를 분석하여 도출한 역사쟁점 기반 인물학습 프로그램이 학습자에게 미친 긍정적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의 해석적 성격을 이해하게 되었다. 둘째, 다원적 관점으로 역사를 인식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셋째, 주체적으로 역사학습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넷째, 인간사회의 다양한 가치기준을 이해하고 자신의 가치관을 정립하게 되었다. 쟁점을 기반으로 한 인물학습 프로그램은 최근 변화하는 초등 역사교육에서의 인물학습 방향과 일치하며, 역사의 해석적 측면이 인물학습을 통해 보다 선명히 드러남을 바탕으로 하여 학습자가 다원적 관점으로 역사 인물을 바라볼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역사쟁점 및 인물학습은 교육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주제가 다양한 만큼 활발한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 완화의료이용에 따른 의료이용과 의료비

        신정원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Hospice palliative care is a type of care that focuses on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physical, psychosocial and spiritual need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who are virtually incurable including palliation of pain and symptoms rather than cancer-directed treatment. It has been fully reimbursed by health insurance since July 2015. This study intended to evaluate financial effects of admission-type hospice palliative care for the end-of-life cancer patients by comparing healthcare expenditure, days and ways of utilization until mortality. Methods Total of 8,088 breast and gastric cancer patients who were deceased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17 were enrolled from claims data of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Between users and non-users of admission-type hospice palliative care, total expenditure, days and ways of utilization were analyzed for three spans of one-year, six-months and one-month until mortality. User was matched to non-user by one-to-three method among 1,944 breast cancer patients as well as 6,144 gastric cancer patients. Comparisons of means were performed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effects of hospice palliative care on the healthcare utilization were confirmed by regression analysis with generalized linear model. All confounders for expenditure and utilization of healthcare such as demographic factors, social structural factors, disease factors and health behavioral factors were controlled.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Results When users of admission-type hospice palliative care were compared with non-users, EXP(β) of daily expenditures of breast cancer, male gastric cancer and female gastric cancer were lower with the range of 0.87(95%CI: 0.82-0.92) and 0.96(95%CI: 0.93-0.99) at all three time spans at one-year, six-months and one-month. EXP(β) of total expenditure of breast cancer was higher at 1.13(95%CI: 1.04-1.23) at one-month and EXP(β) of total expenditures of male and female gastric cancer were higher with the range of 1.10(95%CI: 1.05-1.16) and 1.19(95%CI: 1.12-1.26) at three spans. Relative risk of days of utilization of breast cancer was higher at 1.16(95%CI: 1.06-1.25) at one-month and relative risks of days of utilization of male and female gastric cancer were higher with the range of 1.07(95%CI: 1.01-1.13) and 1.14(95%CI: 1.08-1.20) at three spans. Relative risks of daily prescriptions of narcotic analgesics for both cancers were higher with the range of 1.41(95%CI: 1.24-1.60) and 1.88(95%CI: 1.67-2.12) at three spans and relative risks of total prescriptions of narcotic analgesics for both cancers were higher with the range of 1.51(95%CI: 1.31-1.73) and 2.30(95%CI: 2.01-2.64) at three spans as well as an increasing tendency while they were approaching mortality.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for both cancers according to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For general hospitals of upper class and general hospitals, EXP(β) of daily expenditures were lower with the range of 0.66(95%CI: 0.59-0.73) and 0.94(95%CI: 0.90-0.99) and EXP(β) of ICU expenditure were lower with the range of 0.01(95%CI: 0.00-0.61) and 0.31(95%CI: 0.23-0.42). For general hospitals, EXP(β) of total expenditure was higher with the range of 1.11(95%CI: 1.01-1.23) and 1.20(95%CI: 1.06-1.37) and relative risk of days of utilization were higher with the range of 1.15(95%CI: 1.05-1.24) and 1.27(95%CI: 1.11-1.45). Irrespective of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at more than one time span, relative risks of daily and total prescriptions of narcotic analgesics were higher with the range of 1.39(95%CI: 1.06-1.82) and 3.33(95%CI: 2.32-4.78) and relative risks of days of ICU were lower with the range of 0.07(95%CI: 0.03-0.12) and 0.56(95%CI: 0.36-0.87). Conclusion Our study showed that the reimbursement for the admission-type hospice palliative care was closely associated with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t the end-of-life by appropriate control of pain. With confirmation of medical utilization and expenditure until mortality, further deployment of policies such as combining admission-type under health insurance and home-type or consultation-type as pilot projects as well as increasing number of stand-alone hospice palliative care institutions would be helpful for efficient allocation of insurance reimbursement and better quality of life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연구 목적 회복이 사실상 불가능한 말기암 환자에게 연명의료 대신 통증과 증상의 완화 등을 포함한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 영역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와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호스피스·완화의료가 2015년 7월부터 건강보험 수가로 전면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입원형 완화의료제도 이용 여부에 따른 말기암 환자의 사망 전 의료비 및 의료이용 일수, 의료이용 행태를 비교함으로써 완화의료를 통한 비용 절감 등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이 연구는 2013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위암과 유방암으로 사망한 말기암 환자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자료를 이용하였다. 입원형 완화의료 이용군과 비이용군의 사망 전 의료비를 사망 1년 전, 사망 6개월 전, 사망 1개월 전 3구간으로 나누어 의료비, 의료이용 일수와 의료이용 행태를 비교하였다. 이용군과 비이용군 비교 시 1:3 성향점수매칭기법을 사용하여 위암으로 사망한 6,144명, 유방암으로 사망한 1,944명 총 8,088명의 의료이용일수 및 의료비에 대한 각 변수별 평균차이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완화의료 이용여부가 말기암 환자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일반화선형모델(Generalized Linear model)을 사용하였다. 모든 분석에 있어 의료이용과 지출을 설명하는 인구학적 요인, 사회구조적 요인, 의료이용 요인, 질병 요인, 건강행위 요인을 통제하였다. 또한, 의료기관 종별에 따라 하위그룹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입원형 완화의료를 이용한 유방암과 남성 및 여성 위암 환자군이 비이용군에 비해 EXP(β)가 일당 입원비는 사망 1년 전, 사망 6개월 전, 사망 1개월 전 3구간 모두 0.87(95% CI: 0.82-0.92)-0.96(95% CI: 0.93-0.99)로 유의하게 낮았으나, 총 의료비는 유방암 환자가 사망 1개월 전 1.13(95% CI: 1.04-1.23), 남성 및 여성 위암 환자는 3구간 모두 1.10(95% CI: 1.05-1.16)- 1.19(95% CI: 1.12-1.26)로 유의하게 높았다. 상대위험비는 입원일수가 유방암 환자는 사망 1개월 전 1.16(95% CI: 1.06-1.25), 남성 및 여성 위암 환자는 3구간 모두 1.07(95% CI: 1.01-1.13)-1.14(95% CI: 1.08-1.20)로 유의하게 높았다. 유방암과 남성 및 여성 위암 환자에서 3구간 모두 일당 마약성 진통제 사용량은 1.41(95% CI: 1.24-1.60)-1.88(95% CI: 1.67-2.12), 총 마약성 진통제 사용량은 1.51(95% CI: 1.31-1.73)-2.30(95% CI: 2.01-2.64)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사망이 가까울수록 증가폭이 컸다.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하위그룹 분석 결과 입원형 완화의료를 이용한 유방암과 남성 및 여성 위암 환자군이 비이용군에 비해 EXP(β)가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서 일당 입원비는 0.66(95% CI: 0.59-0.73)-0.94(95% CI: 0.90-0.99), 중환자실 의료비가 0.01(95% CI: 0.00-0.61)-0.31(95% CI: 0.23-0.42)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종합병원에서 총 의료비는 1.11(95% CI: 1.01-1.23)-1.20(95% CI: 1.06-1.37)로 유의하게 높았다. 상대위험비는 입원일수가 1.15(95% CI: 1.05-1.24)-1.27(95% CI: 1.11-1.45)로 유의하게 높았다. 의료기관 종별에 관계없이 1구간 이상에서 상대위험비가 일당 마약성 진통제 사용량과 총 마약성 진통제 사용량이 1.39(95% CI: 1.06-1.82)-3.33(95% CI: 2.32-4.78)로 유의하게 높았고, 중환자실 이용일수는 0.07(95% CI: 0.03-0.12)-0.56(95% CI: 0.36-0.87)로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입원형 완화의료 수가는 적극적인 통증관리 등 사망 전 삶의 질 향상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망 전 의료비와 의료이용 행태에 대해 다시 확인한 만큼 현재 건강보험으로 운영하는 입원형과 시범사업으로 운영하는 가정형, 자문형을 상호 연계하여 활성화할 뿐 아니라 완화의료를 전문적으로 실시하는 기관을 확대하는 정책을 도모함으로써 건강보험 재정의 효율적인 사용과 말기암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 (A) modeling for post-promotion effects with panel data

        신정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 dynamic sales model for consumer packaged goods for describing how the effects of sales promotions are distributed over time. This paper specifically focuses on post-promotion effects of sales promotions in the marketplace in Korea where there exists somewhat heavily competitive in-store sales promotions compared to those in Europe and America. The panel data for this study contains observations on individuals (stores) where each observed at several points in time. The dataset consists of store-level sales volume and price data from 22 stores nationwide for 52 weeks with promotional events (such as in-store advertisements and free-gifts promotions) on 5 hair-care national brands. The dynamic model with lagged variables is developed to detect in-store promotions' immediate and future effects such as own- and cross-brands current effects and post-promotion (lagged) effects. It also examines the lag structure to see how they affect on sales for each brand. Lastly, it finds that increased promotions reduce purchase rate under non-promoted condition, which is baseline sales in future periods.

      • 국어 구문 도해의 문법교육사적 전개 양상 연구

        신정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Syntactic diagram is an educational tool to understand a structure of a sentence by giving a sentence a visual effect. This study was done for past Korean grammar books and textbooks showing a syntactic diagram, with a view to examining developmental phases of Korean syntactic diagrams in the history of grammar education. It intended to classify such syntactic diagrams into 7 types and theorize them pedagogically. Prior to discussion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n syntactic diagrams, ChapterⅡ aimed at discoursing syntactic diagrams in terms of the grammar education. Syntactic diagram has learner-centered significance in that it visualizes abstract thinking, transforms a plane sentence into the three-dimensional, stimulates learners' cognitive flexibility and functions as a practical instrument of learning. Besides, syntactic diagram has another significance in that it is a starting point of the visual approach in the grammar education. In such a context, this study set both axes of the period and the linguistic theory in order to examine historical developmental phases of Korean syntactic diagrams. Comparing the history of school grammar with that of syntactic diagrams, each syntactic diagram was examined by 3 periods(quickening, flourishing and declining periods of the syntactic diagram) set by researcher. In the early 1900s, syntactic diagrams appeared and traditional diagram method continued, showing a diagrammatic aspect of a front-horizontal direction after 1949. Since then, syntactic diagrams showed a variety of developments, and numerical syntactic diagrams explaining relationship of the sentence hierarchy and component dominated after 1895 with the advent of a national grammar textbook. Next, as the result of reviewing flows of Korean syntactic diagrams and the linguistic theories through setting an axis of the linguistic theories, it showed that quite a number of syntactic diagrams are under the influence of the traditional grammar. Korean syntactic diagrams were most influenced by the traditional grammar, also showing that recently kinds of diagrams increased a little by the structure grammar or 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 Chapter Ⅲ classified morphological types of Korean syntactic diagrams into 7 by 3 criteria of the method, function and the form. The criterion 'method' refers to bisection or multiple-division of a sentence in diagramming a sentence, revealing the most key element to decide a characteristic of the syntactic diagram. The criterion 'function' has a close relation with a 'scene' each syntactic diagram functioned, occupying the greatest in educational utilizing of the syntactic diagram. The criterion 'form' is central to decide a form of the syntactic diagram. Under such 3 criteria, it is classified into multi-divisional basic linear vertical diagram for section, multi-divisional basic linear horizontal diagram for section, multi-divisional non-basic linear vertical diagram for section, multi-divisional non-basic linear horizontal diagram for relation, bisectional non-basic linear horizontal diagram for section, bisectional non-basic linear horizontal diagram for relation, and bisectional non-basic linear horizontal diagram for the entire. Chapter Ⅳ aimed at discussing each type of Korean syntactic diagrams in the scene of grammar education. Since content and method are both key dimensions in the grammar area, theorizing of the syntactic diagrams in the grammar education was also conducted in dimensions of the content and method. Therefore, considering both dimensions of the content and method in the grammar domains, it is required to theorize separately in terms of the content and method. Theorization of the content dimension was set in terms of understanding a sentence constituent and structure, grammar elements. Theorization of the method contained both explanation and exploration. Through such two dimensions, Korean syntactic diagrams may be used as media of the explanation and exploration. Bisectional non-basic linear horizontal diagram for section(Type 5), bisectional non-basic linear horizontal diagram for relation(type 6) and bisectional non-basic linear horizontal diagram for the entire(type 7) are fitting for a medium of the explanation, and every type may be used for a medium of the exploration. This study intended to theorize Korean syntactic diagrams in the grammar education through examin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al phases of Korean syntactic diagrams and classifying them into the form typologically. It is expected to expand discussions about syntactic diagrams as a material of the inquiry learning with a visual approach, a new possibility of the grammar education in addition to learner-centered grammar education. 구문 도해는 문장에 시각적 효과를 주어 문장의 구조를 쉽게 이해하기 위한 목적의 교육적 도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문 도해가 나타난 역대 국어 문법서와 문법 교과서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국어 구문 도해의 문법 교육사적 전개 양상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구문 도해의 형태를 일곱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교육적으로 이론화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국어 구문 도해의 사적 전개에 대해 논하기에 앞서 구문 도해를 문법교육적으로 담론화하고자 하였다. 구문 도해는 추상적 사고를 가시화할 수 있으며, 평면적 문장을 입체화하고, 학습자의 인지적 유연성을 자극하며, 학습의 실용적 도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습자 중심적이라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구문 도해는 문법교육에 있어서 시각적 접근법의 출발점이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국어 구문 도해의 사적 전개 양상을 살피기 위하여 시기와 언어이론이라는 두 축을 설정하였다. 각 구문 도해는 학교 문법의 역사와 구문 도해의 역사를 비교하여 연구자가 설정한 세 시기(구문 도해 태동기, 구문 도해 번성기, 구문 도해 축소기)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는데, 1900년대 초 구문 도해가 그 모습을 드러내고 전통적인 도해 방식이 이어지다가, 1949년 이후에는 전면 가로 방향으로 도해가 이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그 이후로 다양한 형태로 구문 도해가 발전하였으며 이후 1985년부터 단일 국정 문법 교과서가 출현하면서는 주로 문장의 계층과 성분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수식 형태의 구문 도해가 주를 이루게 되었다. 다음으로 언어이론의 축을 설정하여 국어 구문 도해와 언어이론의 흐름을 함께 살펴본 결과, 상당수의 구문 도해가 전통문법의 영향 아래 놓여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국어의 구문 도해는 전통문법의 영향을 가장 지대하게 받고 있으며, 근래로 올수록 구조문법이나 변형생성문법에 의해 도해의 종류가 소폭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국어 구문 도해를 방법, 기능, 형식이라는 세 가지 기준에 의하여 그 형태적 유형을 일곱 가지로 분류하였다. ‘방법’의 기준은 문장을 도해하는 데 있어서 문장을 양분(兩分)하는가, 다분(多分)하는가의 여부를 뜻하는 것으로, 구문 도해의 성격을 결정짓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기능’의 기준은 구문 도해들이 각각 기능하였던 ‘장면’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띠고 있는 것으로, 구문 도해의 교육적 활용에 있어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형식’의 기준은 구문 도해의 형식을 결정짓는 것인데, 이 세 가지 기준에 의하여 다분식 부분용 기본선형 세로 도해, 다분식 부분용 기본선형 가로 도해, 다분식 부분용 비기본선형 세로 도해, 다분식 관계용 비기본선형 가로 도해, 양분식 부분용 비기본선형 가로 도해, 양분식 관계용 비기본선형 가로 도해, 양분식 전체용 비기본선형 가로 도해로 분류된다. Ⅳ장에서는 국어 구문 도해의 각 유형을 문법교육의 장면에서 이론화하고자 하였다. 내용과 방법은 문법 영역에 있어 핵심적인 두 차원이므로 구문 도해의 문법교육적 이론화 역시 내용과 방법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그러므로 문법 영역의 내용 영역과 방법 영역의 두 차원을 고려하여 내용과 방법 차원에서 각각 이론화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내용 차원의 이론화는 문장 성분, 문장의 짜임, 문법 요소에 대한 이해라는 측면으로 설정하였으며, 방법 차원의 이론화 내용으로는 설명과 탐구 양자를 들었다. 이러한 두 가지 차원을 거쳐 국어 구문 도해는 설명의 매개체와 탐구의 매개체로 활용될 수 있다. 설명의 매개체로는 양분식 부분용 비기본선형 가로 도해(유형 5), 양분식 관계용 비기본선형 가로 도해(유형 6), 양분식 전체용 비기본선형 가로 도해(유형 7)가 적합하며, 탐구의 매개체로는 모든 유형이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어 구문 도해의 사적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형태적으로 유형 분류함으로써 국어 구문 도해를 문법교육적으로 이론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학습자 중심의 문법교육뿐만 아니라, 시각적 접근이라는 문법교육 방법의 새로운 가능성, 그리고 탐구 학습의 재료로서의 구문 도해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 세계 미술품 가격지수 모형 분석을 통한 한국 미술시장 가격지수 개발

        신정원 한국예술종합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세계 미술시장에서 통용되는 미술품 가격지수 산출 모형들을 이론적으로 분석하여 한국에 적용 가능한 모형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먼저 세계 미술시장 및 9개의 지역시장에서 통용되는 37개의 지수를 검토하여 산출에 활용된 방법론을 4가지 모형 및 9가지 하부모형으로 분류하였다. 각 모형별 이론적 근거, 특히 품질조정에 대한 접근법을 분석하였고 지수산출시 발생할 수 있는 왜곡을 고찰하여 한국시장 적용 여부를 검토하였다. 모형의 이론적 근거 분석 결과, 품질조정에서 독립적인 모형은 반복판매모형이었으며 품질조정 문제를 이론적으로 해결한 모형은 확장특성가격모형과 품질조정 평균가모형이었다. 반면 특성가격모형은 가격결정요인 누락으로 인한 왜곡과 작가효과(작가프리미엄) 품질조정 문제를 안고 있었으며 예술적 가치 평가모형은 객관성 한계 및 지속적인 지수 산출이 불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외에 감정가모형, 경매추정가모형, 단순평균가모형, 사망작가 평균가모형 등도 품질조정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음을 논하였다. 한편 모형의 활용자료 분석 결과, 반복판매모형은 낮은 자료 활용률로 한국시장에 적용이 불가능하였으며 품질조정 평균가모형은 경매추정가 누락으로 인한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확장특성가격모형이 이론적 신뢰도가 높고 한국시장에 적합하다는 일차적 결론이 도출되었다. 다음 단계로 이 모형의 실질 적용 가능성 검증을 실행하였다. 대표작가 11인을 선정하여 장르 한정이나 유사작품군 선정 객관성 문제 등 이 모형의 내재적 문제점들로 인한 지수 왜곡이 한국 미술시장 적용시 발생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화와 수묵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가격지수 산출이 가능하였으며 작품명을 바탕으로 유사작품군 선정이 가능하여 객관성이 담보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확장특성가격모형이 한국 미술품 가격지수 산출모형으로 적합하다는 최종 결론이 도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