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교육대학원생의 대학원교육 만족도 조사 연구

        신승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대학원은 교육이론 연구와 우수한 자질을 가지고 교육계에 봉사할 인재를 양성할 목표로 1963년부터 대학에 설치하기 시작하였지만 1965년부터는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대학원도 제한적으로나마 중등교원양성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교육대학원은 현직교사의 재교육과 예비교사의 양성교육을 복합적으로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여러 선행 연구에서 지적되었듯이 교육대학원은 설립 이래 양적팽창을 거듭해왔지만 이와 비례하여 질적 문제 또한 증대해온 것도 사실이다. 학교에 따라 교육의 질이 상이하거나, 부실한 교육을 제공하고 행정 운영을 하는 등 손쉬운 학위 취득을 위한 도구로 전락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서는 교육대학원의 실태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둘러싼 다양한 관점 중 수요자 관점에서 질을 논의하거나 측정할 때 가장 널리 활용되는 지표는 만족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경기 소재 교육대학원 학생 242명을 대상으로 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을 비롯하여 교육만족도를 교육과정, 수업운영, 교육여건, 졸업 및 취업관리 4가지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령, 차수, 현직교사 여부를 배경변인으로 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대학원 학생은 교육대학원이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여러 가지 기능 가운데 학위 취득을 위한 기능을 핵심 기능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향후 교육대학원이 수행해야 할 기능으로 일반대학원과 같은 전공 심화교육 및 연구 기능을 원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다. 둘째, 교육만족도의 4가지 구분 중 수업 운영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고, 수업 외적인 요건이라 할 수 있는 교육 여건에 대해서는 보통 이하의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셋째, 연령이 낮을수록, 차수(학기)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낮았고, 현직교사와 비현직교사로 구분한 만족도 비교는 대부분 현직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결론에 기초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교육대학원의 교육 여건을 확충해야 한다. 셋째, 비현직교사의 만족도를 높일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s first established in Korea in 1963 to conduct educational studies and to cultivate educational leaders who serve in education with expertise. As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have started to give a regular teacher's certificate to the enrolled students since 1965, they play a role in train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At the present tim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ake charge of education for both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But, as many preceding researches indicated, problems arise with respect to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1) establishment purpose without obvious legal basis; and (2) coexistence of two different functions, re-education of in-service teachers and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Since their foundatio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have expanded qualitatively while a considerable number of qualitative problems occur. The quality of each graduate school differ. Some studies criticize these schools under the ground that they grant the degree easily in spite of the poor education quality. Understanding graduate school's actual condition is prerequisite for solving these problems. Further,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the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 the most widely used index to discuss or estimate the quality is satisfaction. As a standard of value-oriented analysis, satisfaction is not only applied to appreciat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service, and it also easy to be utilized. In this research,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tudents' perception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s investigated. Four area were selected to compare student's perception: curriculum, classroom management, learning environment and, graduation and career management. Our thre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raduate students perceive th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erforms only a role of granting a degree among its various function.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students hope that in the future the graduate to provide intensive major courses and to improve educational research which general graduate schools offer. Second, in the survey of 4 parts of education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of classroom management was the highest part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indirect factor of class, was the lowest part which was even lower than average. Finally, the comparison of satisfaction level between in-service teachers and others showed that in-service teachers'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 the following three things for the future study. First, the quality of course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needs to be enhanced. The graduate schools are expected to improve facilities and other services as well as quality of education. Finally, the method to increase pre-service teacher students' satisfaction needs to be considered since the prospective teacher take the majority of student group.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make an effort to clarify their identity a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 맥도웰의 자연주의와 과학적 이미지

        신승민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맥도웰의 자연주의를 셀라스적 관점에서 비판한다. 맥도웰은 마음과 세계의 관계가 철저히 개념적이라고 주장하는 동시에, 이러한 개념매개성을 가능하게 하는 인간의 이성적 능력도 자연 세계의 일부라며 기존 자연주의의 자연 개념을 확장시킨다. 하지만 이렇게 확장된 자연 개념 안에는 서로 이질적인 자연, 즉 탈마법화된 자연과 재마법화된 자연이 공존하게 된다. 본고는 이러한 공존이 야기하는 철학적 문제를 지적하며, 맥도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셀라스의 이원적 사유 방식을 옹호한다. 먼저 맥도웰이 마음과 세계의 개념매개성을 정당화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이것이 어떻게 그의 개방적 자연주의로 연결되는지 서술한 다음, 맥도웰의 자연주의 안에서 여전히 자연과 이성이 대립되고 있음을 비판한다(II). 이러한 자연과 이성의 대립을 해결하기 위해서 현시적 이미지와 과학적 이미지의 구분을 도입한다. 먼저 셀라스의 현시적 이미지와 과학적 이미지의 의미와 관계를 살피고 두 이미지, 개념틀의 관계를 성공적으로 조정하는 일이 왜 철학적으로 중요한지 설명한다. 나아가서 두 이미지의 관계 조정 문제를 ‘배치의 문제’로 정식화하는 최근 논의를 살핀 뒤 맥도웰의 자연주의가 이러한 배치의 문제에 성공적으로 답할 수 없음을 논증한다(III). 마지막으로 칸트의 초월적 관념론을 비판하는 맥도웰의 주장을 재구성한 다음, 이를 셀라스가 해석한 칸트의 관점에서 재반박한다. 필자의 비판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물자체의 존재는 일상적 세계의 독립성을 위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물자체의 관점, 즉 과학적 이미지의 관점에서 보면 물리적 대상뿐만 아니라 그것을 인식하는 주체 역시 이론적으로 해체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둘째, 초월적 관념론이 주관성을 갖고 있다고 해서 이로부터 우리가 인식하는 세계가 한낱 주관적 세계라는 결론은 나오지 않는다(IV). This paper criticizes McDowell's naturalism from the Sellarsian point of view. McDowell argu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 and the world is thoroughly conceptual, and at the same time expands the concept of nature typically offered by the contemporary naturalism, claiming that human rationality that enables this conceptual mediation is also part of the natural world. However, in this expanded concept of nature, two natures that are heterogenous, that is, nature that has been disenchanted and nature that has been re-enchanted, coexist. This paper points out the philosophical problems caused by this coexistence, and advocates Sellars' dualistic way of thinking to overcome McDowell's limitations. First, we look at the way McDowell justifies the conceptual mediation of the mind and the world, describe how this leads to his liberal naturalism, and then criticize the fact that nature and reason are still in opposition within McDowell's naturalism (II). In order to resolve this opposition between nature and reason, a distinction between the manifest image and the scientific image is introduced. First, the meaning and relationship between Sellars's manifest image and the scientific image are examined, and why it is philosophically important to successfully adju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mages, i.e., two conceptual frameworks is explained. Furthermore, after examining the recent discussion that formulates the problem of adju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mages as a ‘placement problem', it is argued that McDowell's naturalism cannot successfully solve this placement problem (III). Finally, after reconstructing McDowell's argument criticizing Kant's transcendental idealism, I refute his argument from Kant's point of view interpreted by Sellars. My criticism consists of two parts. First, the existence of things in themselves does not threaten the independence of the everyday world. This is because there is a theoretical possibility that not only the physical objects but also the cognitive subject that recognizes them can be deconstruc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thing in itself, that i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cientific image. Second, just because transcendental idealism has subjectivity, it does not follow that the world we perceive is merely a subjective world (IV).

      • 기억에서 유추된 형상을 소재로 한 작품연구

        신승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많은 예술가들은 삶속에서 소재를 찾으며 작품으로 승화시킨다. 그 중 기억은 작품을 이루는 중요한 소재중의 하나이고 과거에서 현재로 전환되기도 하며 작가의 주관적 시각을 통해 창작활동으로 연결된다. 이처럼 기억은 예술가들에게 큰 영감을 불어넣으며 창조적 원천을 마련해준다. 본 연구는 유년기 시절, 할아버지께 들었던 이야기와 보았던 특정사물의 기억에서 작품의 동기를 찾아 조형화시키고자 한다. 본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1절에서는 기억의 일반적 개념과 생성과정을 중심으로 작품의 이론적 배경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2절에서는 연구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 심리학적, 정신분석학적, 생태학적 측면에 대해 조사하고 작품해석의 타당성을 갖기 위해 본인의 작품과 어떠한 관계로 연관되어있는지 살펴보았다. 3절에서는 본연구자와 작품성향이 유사하다고 여겨지는 작가를 조사하였으며 공통분모를 찾아내고 내용을 분석하였다. 4절에서는 본인이 제작한 작품의 성형기법 및 시유, 소성방법 등의 제작과정을 설명하고 작품사진을 제시하여 1장, 2장에서 고찰한 이론과 내용을 바탕으로 작품을 설명하였다. Most artists look for materials in their lives and sublimate them in artworks. Memory is one the most important materials when creating artworks, and it can be convert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while being associated with creation activities through a writer's subjective point of view. In this way, memory greatly inspires artists and provides them with a source of creativity. This study aims to discover artwork motives from artists' memories about specific objects they saw in person and stories from their grandfathers. The conten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In Chapter 1, this study attempted to form theoretical backgrounds of artworks by focusing on the general concept of memory and the process of its being created. In Chapter2,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investigation on memory in the aspects of psychology, psychoanalysis and ecology, while examining relations between artists' artworks and these aspects so that they might have the validity of artwork interpretation. In Chapter 3, this study investigated writers whose art tendency seemed similar to the researcher's art tendency, while discovering a common denominator between them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artworks. In Chapter 4, this study explained the process of creating artworks the researcher produced, such as molding techniques, glazes and plasticity methods, and with pictures of artworks, this study explained artworks based on the theories and contents considered in Chapter 1 and 2.

      • 학교전담경찰관 제도의 운영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신승민 영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서 우리 사회에서는 학교폭력 피해를 입은 청소년들이 자살하는 사건들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듯이 정부는 학교폭력 종합대책을 수립하여 발표하고 범정부적 차원에서 다양한 대책들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경찰청에서는 학교폭력을 근절시키기 위한 대책 가운데 하나로서 학교 전담경찰관제도 운영계획을 밝히고, 2012년 6월에는 학교전담경찰관 발족식을 가졌다. 경찰청에서는 전국의 각 경찰서 단위에 1-2명 이상의 학교전담경찰관을 배치하여 학교폭력과 관련한 업무에만 전종하도록 하고 있다. 현재 학교전담경찰관 제도 운영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정부와 여당의 합의하에 이뤄진 관련 법률 개정이 이루어졌다. 정부와 여당은 장기적으로 최소 10개 학교당 1명의 학교전담경찰관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학교전담경찰관을 증원시켜나갈 예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현재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학교전담경찰관 제도 운영의 방향과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학교전담경찰관제도’의 의의와 역할․임무를 비롯하여 지역사회경찰활동 등 관련이론을 고찰하고 주요 선행연구과 외국의 유사 사례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학교전담경찰관제도의 운영 실태를 업무수요․조직구성․인력배치․신규채용․교육훈련․활동현황 등을 범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학교전담경찰관제도의 한계로 제도와 현실의 괴리, 기능 중심의 조직 구조에 따른 한계, 신규채용방법 및 교육훈련상의 문제점, 실적 위주의 운영 등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학교전담경찰관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으로서 첫째, 학교경찰모형에 관한 통합적 접근, 둘째, 문제해결중심의 통합적 조직 운영, 셋째, 전담인력의 안정적 확충 및 지역사회 협력체제 구축, 넷째, 채용제도와 교육훈련의 전문성 강화, 다섯째, 지속적인 효과성 검증 및 질적 평가의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학교폭력을 근절하기 위한 경찰의 대책으로서 마련된 학교전담경찰관제도는 무엇보다도 경찰이 학교 및 지역사회와 협력을 통해 함께 학교폭력의 문제에 대처해 나가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오늘날 학교폭력의 문제는 학교 내에서 처리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 경찰이나 정부, 그리고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개입을 요구하는 실정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는 경찰의 개입으로 근절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단기적으로는 어느 정도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학교와 경찰, 정부기관뿐 아니라 학부모, 지역사회가 함께 공동으로 협력하여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지역사회의 공동 대응 체제를 구축하는데 있어 학교전담경찰관이 소통과 협력의 창구로써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학교폭력의 예방과 근절에 이바지하기 위해서는 이 제도가 일시적인 프로그램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적․발전적으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re are a series of suicide of juvenile suffering from school violence in our society. Reflecting social concern about this, the government established and announced comprehensive 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and carried out various measures from government level. In particular,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nounced school police system operation plan at the beginning as a part of measures to eradicate school violence and held starting ceremony of school police system in June 2012. The National Police Agency arranged 1 or 2 school polices at each police station throughout the country to engage in works related to school violence only. At present, related laws have been revised under the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ruling party in order to prepare legal foundation for operation of school police system. The government and ruling party plan to expand school police so that 1 school police can be arranged per 10 schools in the long run.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find the suggestions and direction of school police system that has been introduced and tried at pres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type when school police system had been operated in foreign countries focusing on USA and UK, as well as operation status of ‘school police system’, background when school police system started in details, scale, role and mission of school police, selection and training method, as well as effectiveness on school police system; and proposed policy related suggestions for activation of school police system in Korea.

      • 문화자원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CIDOC-CRM 적용 연구

        신승민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 시대가 오면서 우리는 온라인 서비스를 통하여 정보를 습득하는데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을 거의 받지 않고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국내에선 국가적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에 발맞추어 대부분의 문화기관들이 자신들의 문화 정보들을 대중들에게 공개될 수 있도록 디지털 아카이브 서비스 같은 온라인 문화정보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디지털 정보 서비스들은 해당 문화기관에 종속되고 고립된 상태로 운용되고 있는 탓에 문화 정보 자원들은 분산되고 괴리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이용자들이 문화정보 자원에 접근하는 데 있어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며, 문화기관 간에 정보를 상호 교류하는 데 있어 걸림돌이 된다. 문화현상은 그 시대와 공간, 역사, 풍습 등 사회의 많은 영역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를 이해하는 데 있어 다양한 기관들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들을 봄으로서 그 맥락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각 기관들의 문화자원 정보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제공할 수 있는 향상된 문화정보 서비스가 필요하다. 하지만 먼저 이러한 통합 정보 서비스의 구축되기 위해서는 각 기관의 협력과 더불어 서로 다른 문화정보 체계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온톨로지(Ontology)가 먼저 구축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자원 정보의 통합을 위한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해서 박물 도큐멘테이션에 특화된 온톨로지인 CIDOC-CRM(International Committee for Documentation – Conceptual Reference Model)을 해결책으로 제시한다. 그리고 실제 이것이 각 문화정보 체계 간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할 수 있는지 각 문화기관의 샘플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CIDOC-CRM을 적용한 가공된 데이터 모형을 만들어 보았다. 이를 통해 각 문화정보 체계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하는 것 외에도 기존의 표준화된 메타데이터 체계가 야기했던 정보의 질적 수준 저하를 방지하고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As the digital age has come, we can easily access to learn the information through online services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In Korea most of the cultural institutions operate online information services such as digital cultural archive services to the public by showing up to date cultural information in order to share open public data policy which is promoted by government. But, digital information services should be publicly accessible because cultural institutions are keeping the cultural information to themselves. Therefore, this will cause a problem to have a mutual interchange and access to cultural information resources between the cultural institutions and for public users. To understand the cultural phenomenon, we need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information which is owned by various organizations because it works as a combination of many social areas such as the era, space, history and customs. therefore, the cultural information services need to collectively provide and manage the cultural resources and provide information to each institution. However, an ontology should be built first in order to establish this combined information system and to be able to connect the different cultural information system as well as the cooperation of each agency. In this study, I suggest CIDOC-CRM(International Committee for Documentation – Conceptual Reference Model) which is a specialized ontology to a museum documentation as solution in order to build services for the combination of cultural resources. And I made processed data samples which apply with CIDOC-CRM based on sample metadata of each cultural institutions to check out whether this will guarantee the interoperability among each cultural information systems. In addition to get interoperability from each cultural information system, we are able to expect the improvement of quality and prevent quality levels reducing information which was caused by standardized metadata system before.

      • 중등교사의 여가스포츠참여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차이

        신승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여가스포츠참여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차이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연구대상은 2009년 현재 서울ㆍ경기ㆍ제주지역의 중등학교에 재직하는 교사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집락무선 표집법(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남자 161명, 여자 240명 총40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법으로 설문문항은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이미 설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사용했던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서연옥(1995), 이유라(2005), 김태현(2005)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설문지에 대해 응답이 완성된 자료를 회수한 후 이중기입 및 무기입한 자료는 분석대상에서 제외시키고 유효표본만을 코딩의 지침에 따라 부호화(coding)하여 자료를 컴퓨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통계 프로그램인 SPSS Windows 15.0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및 사후분석(Scheffe),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등교사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별에 따라 여자가 남자보다, 연령에 따라 40대보다 20대가, 소득수준에 따라 200만원이하의 집단보다 400만원이상의 집단이 자아실현을 높게 인지하며, 건강책임은 소득수준에 따라 400만원이상의 집단이 200만원이하의 집단보다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동 및 영양, 대인관계지지는 성별에 따라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등교사의 여가스포츠 참여유무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가스포츠 참여자가 비참여자 보다 높은 건강책임, 스트레스 관리를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등교사의 여가스포츠 참여정도가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증등교사의 여가스포츠 참여빈도가 높을수록 참여기간이 낮을수록 자아실현이 높으며 여가스포츠 참여빈도가 높을수록 운동 및 영양, 스트레스 관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closely examines the differenc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through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of middle school teacher. In order to achieve such goals, a group of middle and high school riders registered in the Seoul, Gyeong-gi, Dae-jeon Cycling Federations in the year 2009 were chosen. Out of these riders, a smaller group was chosen by using cluster random sampling and an analysis on a total of 303 riders were actually used in the actual analysis. Surveys were conducted and the following surveys were used. The questionnaires used, had already been verified in terms of trust and appropriateness in previous international and domestic researches. In order to measure the modality of life of promotion of health, surveys were recreated on the basis of questionnaires by SEO, Yeong Ok(1995), LEE, Yoo Ra(2005), KIM, Tae Hyun(2005). For information analysis, after receiving the completed surveys, doubles and non-written surveys were eliminated and with the valid copies, according do the coding guide, the information was put into the computer. Then, by using a statistical program called SPSS Windows 15.0 Version, analysis on frequenc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Scheff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following statistical analysis were carried out : First,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in the modality of life of promotion of health according to demographical traits of middle school teachers. Second,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in the modality of life of promotion of health depending on whether a middle school teacher participates in leisure sports or not. Third, there were partial effects on the modality of life of promotion of health depending on whether a middle school teacher participates in leisure sports or not.

      • 존 웨슬리와 전덕기의 사회운동 비교 연구 : 전덕기에서 나타난 웨슬리 전통의 사회운동

        신승민 감리교신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the Social Movement of John Wesley and Early Methodists in 18th century England as well as that of Sangdong Church in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for the re­assesment of Chun, Deok-Gee, one of earliest Korean methodist pastors, as a successor to John Wesley’s spirit. It is also attempted to indicate the direction and spirit in which 21st christianity has to recover through their social movements as pastors. England in 18th century underwent big social change due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But, the country is not ready to protect its people from this change and consequently the life of most people became miserable due to negligence from the government as well as churches. Under this circumstance, John Wesley started the Practice of Piety through Oxford Holy Club and Prison Mission upon the proposal from William Morgan, which led various social activities in order to practice the love of Jesus Christ without indulging in individual piety. Afterward, through Georgia Mission, and Conversion in the Aldersgate Street and Preaching at the Open yard, he paid attention to the working class outside the churches performing various aids to the poor. He made efforts to save individuals, society and nation by institutionalization of these activities. In late 19th to early 20th centuries, the Chosun Dynasty experienced its drastic social change. It follows the way to ruin due to the internal corrupted officials and external imperialism from the neighboring countries. The life of people became miserable with no protection from the country. The christian mission was started during this period but was not widely accepted by the people as they did not open their mind due to the mislead belief that this religion is for the people those who spoil the country. Chun, Deok-Gee was one of the Korean who accepted christianity. He was a poor coal-seller at the Namdaemun Market who initially did not open his mind toward christianity until William Scranton, the first missionary in Korea, gave him baptism and affected him to become a christian pastor. To him, christianity was a religion of hope and love and can reform his country. He sent good news to the poor people at the Sangdong Church, Namdaemun Market area, aiding them and educating their children and himself did patriotic activity for the liberation of the country from Japan imperialism. It is found that a common spirit exists between the two social movements of John Wesley and Chun, Deok-Gee. That is the ‘Salvation of Individuals and Society’. This is the spirit based on the teaching of bible that “Love the Lord your God, and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Matthew 22:37-39)”. It is the right posture that christians take as revealed from the life of Jesus Christ and God’s commandments. To them, social salvation was as important as individual salvation and these two were actually one spirit. It was also found that this common shared spirit was not by chance but succeeded one. As Jesus’s teaching and life was inherited to John Wesley in terms of bible, so John Wesley’s to Chun, Deok-Gee through methodist pastors and missionaries such as William Scranton(1856~1922) and learnt John Wesley’s spirit at Hypsung Theological Seminary in Korea in early 20th century. As part of the conclusion, the author evaluates their efforts and results to reform their nation and at the same time stress that 21st century christianity should take care of the poor isolated people in order to be the enlightening torch toward the world instead of focusing individual’s salvation and happiness.

      • 복부 수술 후 폐 합병증 예방을 위한 간호 실무지침 개발

        신승민 울산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복부 수술 환자의 수술 후 폐 합병증을 예방하고 근거기반의 표준화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간호 실무지침을 개발한 것이다. 본 연구는 2011년 병원간호사회에서 제시한 간호분야 실무지침의 수용개작 방법론 표준화를 사용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7년 2월부터 6월까지로 연구자를 포함하여 총 7명으로 개발그룹을 구성하여 역할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가 학위논문임을 감안하여 개발그룹 실무위원회 구성과 기획업무 수행단계를 제외하고 22단계로 시행하였다. 1) 개발그룹은 7인으로 연구자를 포함하여 호흡기내과 교수 1인, 간호사 5인으로 구성하였다. 2) 간호 실무지침의 주제를 선정하고 3) 실무지침을 제공하는 기관에서 출판된 실무지침을 검토하여 4) 여러 실무지침을 비교하여 지침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5) 연구에서 다루게 될 내용의 범위와 핵심질문을 결정하였고 4개 영역으로 6문항의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6) 수용개작 계획을 확정하고 일정표를 작성하였다. 7) 실무지침을 검색하기 위하여 PubMed, CINAHL, The Cochran Library, Google Scholar와 실무지침을 제공하는 외국의 기관, 실무지침 수용개작 연구를 시행하고 있는 병원간호사회 온라인사이트를 검색하여 6편의 실무지침을 선정하였다. 8) 선정된 실무지침은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CP), American Association of Respiratory Care (AARC), National Guidelines Clearinghouse (NGC), Korean Hospital Nurse Association (KHNA)에서 개발된 실무지침이다. 9) 선정된 실무지침은 2인의 간호사가 K-AGREE Ⅱ 도구를 이용하여 질평가를 시행하였고 NGC, KHNA의 실무지침은 개발의 엄격성 영역에서 50% 이상의 평가를, ACP, AARC 실무지침은 50% 이하로 평가되었으나 핵심질문의 근거를 다루고 있어 수정하여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10) 실무지침의 최신성 평가를 시행하고 11) 각 실무지침의 내용을 비교 및 평가, 12) 실무지침이 포괄적인 근거 검색이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근거평가, 13) 실무지침이 국내에서 수용하여 적용하기에 적절한지 평가하였다. 14) 평가내용을 검토 후 실무지침 6편을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15) 핵심질문을 다룬 지침을 선택하고 합의 도출방법을 통해 16) 수용개작 실무지침의 초안을 작성하였다. 17) 일반간호사에게 실무지침 초안의 이해도를 쉬움, 보통, 어려움으로 답하게 하였고 전문가의 적절성과 적용가능성 평가는 RAM 의사결정 방법으로 평가하여 수정 또는 제거, 18) 최종 권고안을 확정한 후 19) 외부의 검토를 받았다. 20) 관련 문서와 참고문헌을 정리, 21) 실무지침의 갱신 계획을 3년마다로 정하고 22) 최종 실무지침을 작성하였다. 69개의 권고안 초안을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IDSA)에서 사용한 등급체계를 이용하여 각 지침의 근거수준과 권고등급의 다른 체계를 통일하였고 10명의 일반간호사에게 이해도를 평가하고 11명의 전문가를 통해 적절성과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일반간호사의 이해도는 어렵다고 답한 평가자가 30% 이상인 항목과 30% 미만이어도 평가자의 의견을 고려하여 논의 후 수정하였다. 전문가의 적절성과 적용가능성은 불일치로 평가된 항목이 8항목으로 평가자의 의견을 고려하여 논의를 거쳐 수정하거나 삭제하였다. 그 결과 간호 실무지침은 수술 전 환자사정, 수술 전 간호, 회복실 간호, 수술 후 간호의 4개 영역, 66항목의 권고안으로 구성되었다. 권고안은 수술 전 환자사정에서 10항목(15.2%), 수술 전 간호로 7항목(10.6%), 회복실 간호로 10항목(15.2%), 수술 후 간호로 39항목(59%)이다. 권고안의 권고등급은 A등급이 24항목(36.4%), B등급이 14항목(12.2%), C등급이 28항목(42.4%)이다. 본 간호 실무지침은 복부 수술을 받는 환자의 폐 합병증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간호사에게 복부 수술 전 환자를 사정하고 수술 후의 변화를 감지하여 비판적 사고를 통한 의사결정을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