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동체론과 지역복지적 접근에 기반한 장애영유아 교육

        신경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장애영유아가 지역적 불균형과 장애에 대한 시혜적 인식으로 인해 교육과 삶에 있어서 소외와 불평등을 경험하며 장애영유아와 가족 전체가 중첩된 난관에 처한 현실에 대해 문제제기 하였다. 그리고 우리 사회가 사회적 약자인 장애영유아의 교육에 대하여 공동체적 인식과 유대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이념을 토대로 그들의 삶과 밀착된 지역복지적 접근을 지향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현재 우리 사회의 장애영유아 교육에 대한 필요를 조사한 후 당사자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애영유아 교육의 올바른 지향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주장과 조사를 바탕으로 경주지역에서 실시한 장애영유아에 대한 교육실천 사례를 통해 장애영유아의 발달적 환경과 교육의 과정을 정상화하는 지역복지적 접근의 가능성을 실험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영유아도 비장애영유아와 마찬가지로 공동체 속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존재이므로 보편적이고 정상적인 삶이 발달의 중요한 환경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공동체 속에서 교사를 비롯한 성인과 사회가 담당해야 할 역할은 다양한 경험, 관계, 역할, 상호작용, 소통 등을 통해 발달을 촉진할 수 있도록 가정과 교육기관, 지역사회 등의 중요한 발달환경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둘째, 장애영유아 교육의 지역복지적 접근은 장애영유아가 ‘장애’에도 불구하고 보편적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공동체적 삶과 교육의 모든 과정에 대한 참여를 정상화함으로서 존재적 가치 실현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장애영유아 교육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지역사회 전체의 공유된 책임에서 비롯된 자발적인 헌신과 호혜적 상호관계를 통해 지역복지의 증진이라는 결과로서 성공적으로 성취될 수 있다. 셋째, 우리나라의 장애영유아 교육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지역단위 장애영유아 조기 발견체계와 당사자의 요구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조기 교육지원체계, 장애영유아의 참여와 소통을 정상화하는 통합교육 지원체계, 취약계층 장애영유아에 대한 가족지원 및 재활치료지원 체계 등이 필요하다. 넷째, 장애영유아 교육의 지역복지적 접근 사례는 장애영유아의 발달과 사회통합을 촉진하였으며, 전문가들의 교육기획력과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자발적 헌신을 통해 장애영유아 가족의 복지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의 도덕적 성장과 복지 향상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장애영유아 교육이 인간 발달의 보편성을 전제하며 장애영유아의 교육이 삶의 정상성을 확보하는 과정이자 외부 세계와의 관계 맺기 과정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즉 장애영유아의 발달을 목적하는 교육은 장애영유아의 ‘장애’라는 조건에도 불구하고 생득적 능력의 결핍과 경험의 결핍을 보완하는 ‘환경의 의도적 재구성’을 통해 ‘삶의 경로의 정상성’을 지향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처럼 장애영유아에게 가장 절박한 현실적 필요는 자신의 내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 존재하므로 장애영유아 교육의 정상화는 사회의 책임이며, 장애영유아의 정당한 권리로서 인식되어야 한다. 그리고 장애영유아에게 ‘지역’은 ‘함께 살아갈 권리’를 실현하는 참여와 소통의 장이며, 구성원 모두가 공적 자원으로서 사회적 약자의 결핍과 고통을 보완하기 위해 함께 나서는 복지와 평등의 공동체이다. 그러므로 장애영유아 교육은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구성원들의 연대와 협력을 최대화하는 당사자 중심의 유기적이고 역동적인 지원체계로 나아가야 한다. This study brings the matter about reality being overlapped hardships of 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whole family in our country that experience alienation and inequality in the education and life by regional imbalance and piteous recognition about disability. And it was asserted that this society needs communal recognition and relationship about the education of 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has to orient local community welfare approach sticking to their life based on this ideology. Also it is for finding good orientation for education of 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at meet educational needs after investigating the requests for present disabled infants and children's education in our society. On the basis of this argument and investigation, it was conducted an experiment the possibility of local community welfare approach that normalizes developmental environment and educational course of 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rough the educational praxis model of 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conducted in Gyungju.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niversal and normal life interacts as important environment of development because 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are growing continually in the community just like non-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refore the roles that adults including teachers and society have to perform in the community are to optimize important developmental environment of household, educational institution, communities through various experience, relationship, role, interaction, communication and so on. Secondly, local community welfare approach of 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s education is to optimize the realization of existential value by normalizing participating about community life and all the courses of education to lead an universal life in spite of disability. The education of 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is achieved as a result of local community welfare's enhancement through ungrudging devotion and reciprocal relationship originated in the shared responsibility of whole community on the disadvantaged. Thirdly, to progress to the good direction of education of 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our country, it is needed that early finding system for education supporting system that is conduct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parties' needs and early finding system of 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tegrational education supporting system that normalizes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of 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family supporting and rehabilitation supporting system to the disadvantaged class of 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Fourthly, regional welfare approach model of 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s education facilitated their development and social integration and contributed to not only welfare of 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s family through the expert's education planning ability and local community member's ungrudging devotion but also moral development and welfare enhancement of whole society. As a result of this study, education of 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is based upon the premise of universality of human development and is a process of achieving normalization of life and has to be a process of relating to the outside world. In other words, the education for development of 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is to aim for 'normalization of living process' through 'intentional reconstitution of environment' that complements the lack of innate ability and experience in spite of the disability. The most urgent realistic needs to 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is not in the inside but exist in the outside. Therefore the normalization of 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s education is the responsibility of society and it must be recognized as a right of 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region is a place for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that realizes the right of living together to 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a community of welfare and equality that all the members participate to compensate the lack and pain of the social disadvantaged as a public resource. Therefore the education of 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has to be oriented towards the parties' centered intimate and dynamic supporting system that optimizes solidarity and cooperation of community members with region as the center.

      • 체형과 발 유형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신경진 江陵大學校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신발류를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족시수와 체질량지수를 사용하여 발의 유형과 체형 사이의 상관성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Size Korea에서 2년 동안(2003~2004) 3-D 스캐너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수집되어진 남성 노년층을 대상으로 총 434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어진 측정항목으로 높이항목 9개, 길이항목 3개, 너비항목 6개, 두께항목 1개, 둘레항목 3개, 각도항목 4개 그리고 몸무게항목으로 총 27개를 사용하였으며 또한 족시수와 체질량지수와 같은 2가지의 지수치항목을 사용하였다. 체질량지수를 사용하여 체형을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발의 유형 또한 족시수의 사용, 요인분석, 군집분석에 의하여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체형, 족시수 그리고 측정항목들을 대표하는 요인들에 대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고려한다면 신발류를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신발류를 제작하고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중요하게신경써야하는 부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correlation between foot lassification and somatotype using foot index(FI) and body mass index(BMI) in order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The sample for this work was chosen from data which were collected and measured by Size Korea during two years (2003~2004) using 3-D scanner on old aged men. In order to analyze data related to the foot and somatotype of old aged men, analysis was performed about 434 subjects on 27 parts such as height(9 parts), length(3 parts), width(6 parts), thickness(1 part), circumference (3 parts), angle (4 parts) and weight using foot index and body mass index. According to analysis, somatotype can be classified by three groups using BMI and foot classification can be also divided by three groups using FI,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Also,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for somatotype, FI, and factors which were important in measured items enabled us to know they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Conside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on purchase of footwear and socks. Also, it will enable us to have fruitful information on considerable items during manufacturing and design of footwear and socks.

      •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감상과 비평』 교과서 내용 분석

        신경진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rt of postmodernism is constantly changing through interaction with various contexts such as society, culture and so on. The domain continues to expand in the conceptual and formal aspects of art, and the role of the viewer as a creative artist is changing. Therefore, emotional and critical education is becoming important so that viewers can understand the nature of art and understand culture and life through art. Due to these effects, the importance of painting appreciation was emphasized in Korean art and education in the 1990s,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ctively encouraged visitors to visit museums and museum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textbooks that will be used for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classes to ensure that the textbooks provide a basis for nurturing the liberal arts of students whose purpose is teaching. The subjects were selected as three types of undeveloped history textbooks, genius textbooks, and Siemas textbooks that reflect the 2015 revision, and conducted the study in the following ways. The Changing Paradigm of Art Education in Chapter II and sought the use of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that should be oriented in actual classes by clarifying the focus of changing art education, referring to the theoretical concepts, types and emphasis of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Chapter III analyzed the generalities and opinion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examine the theoretical basis and educational direction of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classes and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applying them to the site. Chapter IV conducted qualitative analyses based on learning goals and content, how to appreciate art, and how to criticize it. In addition, quant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classifying works by region, period, form, and age. Based on this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of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learning objectives and content analysis, all three textbooks confor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and the content of the content system and performance standards of the classroom, but they are composed of unit and learning goals in different ways. In addition, all three textbooks provide information on the art transition process by dividing the history of art into genres and regions that make it easy to understand. However, in terms of art appreciation methods, it was judged that the professionalism of art appreciation textbooks was not significantly emphasized, as it did not contain various aspects of appreciation except for first-class publishers. Criticism and postmodernism critique views are only included in the first textbook in a balanced way, while other publishers have judged that further modernism or postmodernism is necessary. In the critique method, all three textbooks offered postmodernism-oriented and educational criticism that combined modernist and modernist oriented 'non-representative discourse' and postmodernist-style criticism. This reflects the items in the 'response' area specified in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but it is judged that the level of criticism has been optimal considering the level of achievement of high school learners. Moreov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entire work is balanced in the three types of textbooks, including diverse works from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However, according to time-based analysis, the ratio of works from the two types of textbooks to those close to the modern era is high, while that of modernist textbooks takes up a very high proportion. This is because the work presented was determined by the weight of the critical point of view in the textbook.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by authors, the top 10 authors of the three textbooks ranked East and West equally in the ratio of 1:1, and the authors representing various styles and beliefs were selected in a balanced manner. Finally, I would like to propose points that should be supplemented or strengthe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opic-oriented learning materials that draw students' interest so that integrated classes can be conducted that take into account inter-area connectivity. Also, links with other activities based on understanding art works are necessary. It is necessary to link works of art with other activities such as expression, away from the emotional and critical content development. However, activities should be provided to facilitate the learner's initiative in art activities to the extent that they do not break the professionalism and character of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A study of various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methods is needed. Even the same work can elicit various and different reactions depending on the appreciation and criticism method, and the outcome of determining the value of art works var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mprehensive way for learners to appreciate and criticize works from a subjective perspective in the various artistic areas of the postmodernist era. Finally, it is necessary to expand critical activities that can be linked and combined with other disciplines or areas. An activity study is needed to expand its appreciation or criticism and expand its scope in connection with various fields such as social issues, humanities, science and mathematics. The newly published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textbook was judged to be qualified as a textbook with expertise specialized in the areas of appreciation and criticism, but it was also found to be a poor first attempt.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valuable material for improving the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textbook, providing a foundation for developing the humanities of students who are the object of the school. 변화무쌍하게 변해가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미술은 사회, 문화적, 등의 다양한 맥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미술의 영역이 계속 확장되고, 감상자는 창조적 미술가로서 그 역할이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감상자가 미술의 본질을 이해하고 미술을 통해 문화와 삶을 이해 할 수 있는 감상과 비평 교육이 중요해지고 있다. 우리나라 미술과 교육에서도 1990 년대에 들어 작품 감상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미술관과 박물관 견학을 적극 권장하기 시작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습자가 삶 속에서 미술 문화를 향유하는 능력을 함양하기 위하여 고등학교에 『미술 감상과 비평』과목을 신설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미술 감상과 비평』수업에 활용될『미술 감상과 비평』교과서의 구성, 미술 감상, 비평 관점 및 비평 방법, 수록 작품 등 내용 분석을 통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기준하는 내용 체계와 성취 기준을 반영하여 구성되었는지 분석하고 현장 적용에 따른 한계와 시사점을 고찰한다. 연구 대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하여『미술 감상과 비평』발행된 총 3 종의 교과서를 선정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Ⅱ장에서 미술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연구를 통해 시대의 요구에 따 라 변화하는 미술 교육의 흐름을 살펴보고 미술 감상과 비평의 이론적 개념, 유형 그리고 주안점을 참고하여 선행 연구를 고찰했다. Ⅲ장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과 각론을 분석하여『미술 감상과 비평』교과의 교육 주안점을 살펴보고 교육적 방향을 분석하였다. Ⅳ장은『미술 감상과 비평』교과서를 학습 목표 및 구성, 미술 감상 방법, 비평 관점 및 비평 방법 기준으로 질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교과서에 수록 작품을 지역별, 시대별, 양식 및 유파별, 작가별 분류 기준으로 양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미술 감상과 비평』교과서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 목표 및 구성 측면에서 살펴보면, 3 종 교과서 모두 2015 개정 교육과정『미술 감상과 비평』교과의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의 내용을 준수하나, 각 출판사의 방향성에 따라 단원 구성 및 학습 목표를 다른 방식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3 종 교과서 모두 미술사를 이해하기 쉽게 장르, 지역 등으로 세분화하여 미술 변천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미술 감상 방법 측면에서는 1 종 출판사를 제외하고 다양한 관점의 감상 방법을 수록하고 있지 않아, 미술 감상 교과서의 전문성이 크게 부각되지 못하고 있다. 비평 관점 및 비평분석 측면에서는 1 종 교과서에서만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경향의 비평 관점이 균형있게 수록되고 있다. 그 외 2 종 교과서는 모더니즘 혹은 포스트모더니즘, 즉 한쪽 측면에만 치우친 비평 관점을 수록하고 있다. 비평 방법을 살펴보면, 1 종 교과서에서만 모더니즘 측면의 펠드먼의‘비평적 담화’와 포스트모더니즘 측면의 앤더슨의‘교육적 미술비평’을 결합한 형태의 비평 방법을 제공하고 있었다. 추가로 3 종 교과서 모두 포스트모더니즘 측면의 앤더슨의‘교육적 미술 비평’을 수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반응’영역의 항목을 반영하되, 고등학교 학습자의 성취 수준을 고려하여 비평 방식의 수준을 적정화했기 때문이다. 수록 작품 분석 결과는 3 종 교과서에 전체 작품이 동양ㆍ서양 문화의 다양한 작품을 균형있게 수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시기별로 분석한 결과 2 종 교과서에서는 현대 시대에 가까운 시점의 작품 수록 비율이 높은 반면, 1 종 교과서는 모더니즘 시대의 작품 비율이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교과서에 수록된 비평 관점의 비중에 따라 수록된 작품이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작가별 분석 결과는 3 종 교과서에 가장 많이 수록된 작품의 작가 상위 10 위에 동양과 서양의 작가가 1:1 의 비율로 동등하게 수록되어 있으며, 다양한 양식과 사조를 대표하는 작가가 균형있게 선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보완ㆍ강화되어야 할 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체험, 표현, 감상 영역 간의 연계성을 고려한 통합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생들의 흥미를 유도하는 주제 중심의 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미술작품 이해를 바탕으로 한 다른 활동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단순히 미술 작품을 감상과 비평 중심의 내용 전개에서 벗어나, 표현 등 다른 활동 연계가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교과의 전문성과 특성을 깨지 않는 범위에서 활동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다양한 미술 감상 및 비평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동일한 작품이라도 감상 및 비평 방법에 따라 다양하고 다른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으며, 미술 작품에 대한 가치 판단의 결과가 달라진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다양한 미술의 영역을 학습자가 주체적인 관점에서 작품을 감상하고 비평할 수 있는 방식을 종합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 셋째, 타 학문 혹은 타 영역과 연계ㆍ융합할 수 있는 비평 활동의 확장이 필요하다. 자신의 감상이나 비평 내용을 확장하여, 사회적 이슈나 인문, 과학, 수학 등 다양한 분야와 연계하여 비평 활동의 폭을 넓힐 수 있는 활동이 제공되어야 한다.

      • 유아교육기관 선택 요인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신경진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atisfac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mother's choi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To describe it in detail, inquired into how is the difference of each variables in the factors affecting the mother's choi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who are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and how is the difference of each variables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On th basis of these investigations,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mothers. and the data for managing and ope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With the above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of the study were made. First, is there the difference of each variables in the mother's choi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 Second, is there the difference of each variables in the mother satisfac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 Third, is there the difference of the mother's perception of improvement and demand for the future offspring's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composed of 384 mothers who have been sending their offsprings to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new towns, H city of Geyonggi-do. For a tool for the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of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Mother's Choice of Kindergartens and the Level of its Satisfaction" developed by Lee, Ju Ah(2004), Park Hae Jung(2004), Kim Eun Sil(2007) that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the professional's advice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For the data processing, analyzed the data with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f-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factors affecting choice that are importantly regarded at the time of the mothers choose, the lower age,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parental education were considered the lowest, in contrast, the lower educational background, the more the educational process and special activity were importantly regraded. The high educated parents with more than post-graduate importantly regarded the parental education. The difference in employment was not shown and the difference in the factors of health management, educational process, special activity, physical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and parental education was shown in come, however, the lower income in the general management, the more importantly considered. In a typ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the difference in each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was not shown in the factors of health management, educational process, special activity, physical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and parental education, however,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hild care center and private kindergarten was shown in the factors of educational process. Thus, the private kindergarten more importantly regards the educational process than the child care center. Overall, when choos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highly considered environment and a high average was shown in order of human environment, general operation, educational process, health management, parental education, and special activity. Second, in terms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hoi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all of general operation, health management, educational process, special activity, physical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and parental education were satisfied regardless of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 employment. The higher the mother's income, the higher satisfaction in the general operation and physical environment. In terms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typ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the public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had a lower satisfaction in the general operation than the private kindergarten. Satisfaction with the special activity in the child care center was higher than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Satisfaction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is lower in the private kindergarten than the public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Third, in the areas that should be improved the mos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the public kindergarten needs to improve the number of child and teacher per class, educational process, educational method, and human resource. The private kindergarten needs to improve the number of child and teacher per class, tuition fee, educational process and educational method. The childe care center needs to improve the number of child and teacher per class, human resource and a method of attendance. 본 연구는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하고,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진술하려고 공․사립 유치원, 어린이집의 어머니들의 유아교육기관 선택 요인의 변인별 차이가 어떠한가,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만족수준의 변인별 차이는 어떠한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조사연구를 기초로 유아교육기관 어머니들에 대한 정보와 유아교육기관 행정 및 운영에 대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은 변인별 차이가 있는가? 둘째 :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는 변인별 차이가 있는가? 셋째 : 향후 자녀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개선과 요구에 대하여 공립, 사립 유치원, 어린이집 어머니의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H시 신도시 지역에 소재한 공립 유치원 및 사립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어머니 384명이다. 연구도구는 이주아(2004), 박해정(2004), 김은실(2007)이 작성한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선택 요인과 만족도 조사에 관한 설문지’를 연구목적에 맞게 연구자가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일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F-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들은 유치원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선택요인에 대해 연령이 낮을수록 물리적 환경과 부모교육을 가장 낮게 고려하였으며 학력이 낮을수록 교육과정과 특별활동을 중요하게 보았고, 대학원 이상의 고학력자가 부모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취업여부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수입별에서 건강관리, 교육과정, 특별활동, 물리적 환경, 인적환경, 부모교육 요인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일반적 운영에서 수입이 낮을수록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 유형별에서는 일반적 운영, 건강관리, 특별활동, 물리적 환경, 인적환경, 부모교육 요인에서는 유아교육기관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교육과정 요인에서 어린이집과 사립유치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어린이집보다는 사립유치원이 교육과정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할 때 공․사립유치원, 어린이집 모두 물리적 환경을 가장 높게 고려하였고 인적환경, 일반적 운영, 교육과정, 건강관리, 부모교육, 특별활동 순으로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선택의 만족도에서 일반적 운영, 건강관리, 교육과정, 특별활동, 물리적 환경, 인적환경, 부모교육 등 모든 요인에서 연령, 학력, 취업여부와 상관없이 모두 만족하였으며 어머니의 소득이 높을수록 일반적 운영과 물리적 환경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 유형별 만족도에 대하여 일반적 운영에서 공립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비해 사립유치원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별활동은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에 비해 어린이집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물리적 환경은 공립유치원과 어린이집 보다 사립유치원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에서 가장 개선되어야 할 영역 중 공립유치원은 학급당 유아수와 교사 수,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인적자원 순으로 나타났다, 사립유치원은 학급당 유아수와 교사 수, 교육비,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순으로 나타났으며, 어린이집은 학급당 유아수와 교사 수, 인적자원, 등원방법 순으로 나타났다.

      • 수준별수업이 학생들의 학습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 혼합물의 분리 실험을 중심으로

        신경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key issue of science education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high school students is teaching by learner’s academic level.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differential education on the science acknowledged a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rvey, it was found that 59.0 percent of students were not satisfied to current science course. And, 43.0 percent of those preferred laboratory course to classroom lesson. The students were grouped by academic level to apply the differential education to them. In the result of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the test scor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of the lowest classes. Accordingly, it was considered that the differential education could enhance the science acknowledged ability of students of the lowest classes.

      • DPT예방접종에 따른 파상풍 특이 면역글로블린의 변화

        신경진 全北大學校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fine the humoral immune responses after DPT vaccination. Changes of tetanus specific IgG and IgM were evaluated using ELISA method on 196 cases of 6 group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DPT vaccination. Alum-precipitated tetanus toxoid was used as antigen for ELIS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gG was mainly involved in humoral immune responses against tetanus toxoid after DPT vaccination. 2) At least 2 times of vaccination was required to obtain the significant increase of tetanus specific IgG. The values of tetanus specific IgG were maintained for 2 years after vaccination and decreased slowly thereafter(p<0.01). 3) The values of tetanus specific IgG were similar in both primary group (DPT 3 times) and booster group(DPT 4 times) for 2 years after vaccination,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primary group after 2 years of vaccination(p<0.01). 4) The valuse of tetanus specific IgG were very low in adults and neona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ous booster vaccination on adults and pregnant women may be required.

      • 통찰학습의 도덕교육적 의미와 교수.학습 방안 연구

        신경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implication of insight learning in moral education and how to apply the insight learning in moral educ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looking for the meaning of insight in learning psychology, I also want to know the meaning of this learning insights from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of insight learning presents an example of how to apply the insight learning in moral education. Moral education based on traditional behavioral psychology and cognitive psychology, there was a trend that has forced the moral behavior to students from outside. However, This active learning needs of students in moral education. In addition insight may form an virtuous character because it includes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elements. In order to find the meaning of insight in learning psychology, first, gestalt psychology is meaningful to define the insight phenomenon. Insights from Gestalt psychology is the new meaning is formed say to the psychological state of evolution. For insight to occur, it is enphasized to provide students existing experience problems that are not solved in. In addition, it is emphasized that to properly utilize past experience and knowledge. The meaning of insight is embodied in cognitive psychology. Cognitive psychology is largely divided into two insights course. in the calculation approach of cognitive psychology, to present the insight learning as a sequential process. Also indicates the need for the step of checking an error of insight results.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ist model of cognitive psychology describes the process of insight into the process of neural activation. Insight into the learning process should be addressed in order to apply the insight learning in moral education. Three models about insight learning to describe the process of insight learning in this paper were presented. However, this model emphasized only one side of the stage to review the insight results and after insight steps. Therefore, Chapter 3 presents the insights learning process that complement the emphasis of the three models. However, this model is not applicable to all subjects, but considering the peculiarity of the moral subject. Moral education should review the results of the insights from the study is right personal and social aspects. Chapter 4 presents two models considering the moral and specificity. However, these models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emphasis at present insights learning earlier. Therefore proposed a process regarding the emphasis about insight learning process and moral distinctiveness at the same time. Also presented an lesson plans applying this process. The researcher proposed process is an example. So, insight learning does not have to necessarily go through each step. Be given an opportunity to insights in class instead. I hope that this research is the foundation for the application of moral insight learning. 본 연구는 도덕과 교수․학습에서 통찰학습의 의미와 적용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통찰의 의미를 심리학적으로 도출하고, 통찰학습이 도덕과 교육에서 갖는 의의를 밝힌다. 이와 같은 통찰학습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바탕으로 도덕과 교수․학습에서 통찰학습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기존의 행동주의 심리학과 인지주의 심리학에 기반을 둔 도덕교육은 인식 주체의 외부에서 설정된 도덕적 행동을 발생하게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도덕과 수업에서도 학생의 주체적인 학습을 통한 내부에서의 능동적인 변화가 강조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요소를 동시에 함양할 수 있는 유덕한 인격을 형성하기 위해 통찰학습에 관한 고민이 필요하다. 학습심리학에서 통찰의 의미는 게슈탈트심리학의 통찰에 관한 정의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게슈탈트 심리학에서 통찰이란 새로운 의미가 형성되어 심리가 발전된 상태를 말한다. 이때 통찰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학생의 기존 경험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문제를 제시할 것을 강조한다. 또한 과거의 경험이나 지식을 적절히 활용할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통찰의 의미는 인지심리학을 통해 경험적으로 구체화된다. 인지심리학에서는 통찰의 과정을 크게 두 가지 흐름으로 구체화한다. 인지심리학의 계산적 접근은 통찰학습을 순차적인 과정으로 제시하면서, 통찰 결과의 오류를 검증하는 단계가 필요함을 알려준다. 한편 인지심리학의 연결주의적 접근은 통찰의 과정을 신경망의 활성화 과정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심리학적 설명이 교육의 장면에서 구현되기 위해서는 통찰학습 과정이 설명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 통찰학습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기존의 통찰학습에 관한 세 가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여기서 제시한 통찰학습 모델들은 통찰의 결과를 검토하는 단계와 통찰 이후의 단계 중 한 가지 측면만을 강조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세 가지 모델을 정리하면서 통찰학습 과정에서 강조해야 할 점들을 조합하여 Ⅲ장에서 통찰학습 과정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렇게 보완된 통찰학습 과정은 모든 교과에서 활용 될 수는 있으나 도덕과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았다. 도덕 교과에서 통찰학습은 통찰의 결과가 개인적 측면에서 오류가 없는지 검토해야 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측면에서도 오류가 없는지를 고려해야 한다는 특수성이 있다. 이에 Ⅳ장에서는 도덕과의 특수성을 고려한 사회적 직관주의 모형과 도덕 이야기 수업 모형을 소개한다. 하지만 이 두 가지 모형은 앞에서 살펴 본 통찰학습 과정의 강조점을 고려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통찰학습 과정의 강조점과 도덕과의 특수성을 동시에 고려한 도덕과 통찰학습 과정을 제안한다. 또한 도덕과 통찰학습 과정의 각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을 간략히 살펴본다. 연구자가 제시한 도덕과 통찰학습 과정은 예시적 차원에서 제안하였기 때문에 도덕과 통찰학습 과정의 각 단계를 의무적으로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도덕과 통찰학습 수업에서 중요한 것은 통찰의 기회를 주는 것이다. 본 연구가 도덕과에서 통찰학습의 적용을 위한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

      • 생명표 활용 방안에 대한 비교 연구

        신경진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011년 이전에 발표된 국내외 학술지에서 사용된 생명표를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첫째, 응용여부에 따라 일반생명표와 응용생명표로 나눈다. 둘째, 기준기간에 따라 5세를 작성단위로 하는 간이생명표와 1세를 작성단위로 하는 완전생명표로 나눈다. 셋째, 성별에 따라 남성생명표, 여성생명표, 남녀혼합생명표로 나눈다. 관찰 시기에 따라 기간생명표와 코호트 생명표로 나눈다. 이와 같이 분류된 생명표의 작성방법을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더 다양한 분야에 생명표가 활용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the life tables which were produced in Korea and abroad before the year of 2011 are categorized on the basis of such standards as application, base period, sex, observation period. Each standard divides the life tables into two or three. The standard of application groups them into general and applied life tables. The standard of base period is divided into two: Abridge life table using the unit of 5 years and Complete life table of one year. According to sex, life tables are classified in male, female, and unisex life tables. According to Complete life table, they are period life tables and cohort life tables. This study contributes to inform how life tables are able to be employed in many other areas by analyzing how the life tables are constr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