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로슬래그 기반 알칼리 활성 슬래그 고유동 콘크리트의 유동특성

        신경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건설현장의 환경개선 및 시공합리화를 통한 건축물의 내구성 증대를 위한 알칼리 활성 슬래그(AAS) 고유동 콘크리트에 관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국내·외 대부분의 연구는 OPC(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플라이 애시나 석회석 미분말 등을 치환한 고유동 콘크리트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국내에서 다량으로 생산되는 재료인 고로수쇄슬래그(GGBS)를 기반으로 하는 AAS를 결합재로 하는 고유동 콘크리트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최근까지 고유동 콘크리트에 관련된 연구는 주로 분체계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AAS 고유동 콘크리트의 단위 결합재량과 물-결합재비에 따른 유동특성과 물리적 성능 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고로수쇄슬래그(GGBS)는 입자의 크기와 형상 때문에 OPC보다 상대적으로 점성이 높기 때문에 증점제를 제외한 고성능 감수제의 사용만으로 고유동 콘크리트의 배합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증점제의 사용 없이 AAS 고유동 콘크리트의 배합·제조가 가능하며 단위결합재의 양이 일정수준 이상이 되면 기준에 만족하는 유동성능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밝혔다. 하지만, 높은 단위 결합재량과 낮은 물-결합재비에도 불구하고 강도성능이 OPC 콘크리트에 비해 낮게 나오는데, 이는 활성화제의 조합에 의한 영향이며 고유동·고강도을 위해서는 활성화제의 조합에 관한 연구가 좀 더 필요하다.

      • 正常兒와 精薄兒의 皮紋에 關한 硏究

        신경식 忠南大學校 大學院 1982 국내석사

        RANK : 247631

        Dermatoglyphic patterns are noted on the volar aspect of the skin of all primates including man & apes. Concomitant with recent development in human cytogenetics, there has been a growing awareness of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dermatoglyphics in the study of a wide variety of prenatally disorders. Most dermatoglyphic abrrations are associated with chromosomal defects and a wide array of diseases operating in the earlier stages of embryogensis. Author studied on the dermatoglyphic patterns in 964 healthy normal and 130 mentally retarded children in order to demontrate and apply any differences for clinical asp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n Fingers: In normal children, the whorl pattern was most common & the next ulnar loop on both thumb, index, & ring fingers and ulnar loop was most common & the next whorl pattern on both middle & little fingers. In mentally retarded children, ulnar loop was most common & whorl pattern on all fingers except both index & right ring finger. As a whole, in mentally retarded children, ulnar loop pattern was more frequently seen than in normal children. 2. On Palms: 1) Hypothenar, Thenar and Interdigital Are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ormal and mentally retarded children (P<0. 005). 2) Simian Crease: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normal and mentally retarded children(P<0. 005). 3) Distal Axial Triradii: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normal and mentally retarded children(P<0. 005). 3. Clinodactyly: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of frequency was shown between normal and mentally retarded children(P<0. 005).

      • 초등학교의 이상적인 학교시설 모델 탐색

        신경식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provide a future-oriented and efficient elementary school facility model which makes use of the most school area by understanding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members and accommodating new demands. The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teachers and that of students on school yard, gym, classroom, and multi-use facility, Second, find out if there's any additional facility or space required. Third, provide an ideal school facility model which uses the school area effec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At first, overall satisfaction levels were 3.86 for the gymnasium, 3.77 for the multi-use facility, 3.71 for classrooms, and 3.51 for the schoolyard in descending order, implying that both teachers and students are not satisfied with the school facilities. Demand for additional facilities were 21% for artificial turf, 16.6% for a pool, 12.7% for a larger playground, 11.8% for the gymnasium, 10.3% for the school forest, and 9.6% for other facilities in sequence.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ir demands are concentrated on the school forest and facilities for physical education. Second, as for the result of facility satisfaction level on the condition of different years of foundation, schools founded between 1906 and 1950 had the highest overall satisfaction level but for schoolyard, classroom, and multi-use facilities, schools founded between 1971 and 1990 were the highest. Third, satisfaction level with the varying numbers of student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s for the school yard in the schools of 401~700 students was the highest, and the satisfaction levels for the gymnasium, classroom, and multi-use facilities in the schools with less than 400 students were the highest. Fourth, results from satisfaction levels of different subjects and genders indicated that satisfaction levels for the schoolyard were equal for male and female teachers but female teachers had higher satisfaction levels for the gymnasium, classrooms, and multi-use facilities. The Satisfaction levels of students were similar to that of teachers and female students had higher satisfaction levels than that of male students. Fifth, there were wide deviations in satisfaction levels of different schools. Satisfaction levels of remodeled and newly-built schools were high, and the satisfaction levels of the schools with low school site area per capita and old schools were low. Especially, excessively big schools with many of students and overcrowded classes tended to have more demand for a larger schoolyard while school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ity had a higher demand for on school forest.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andards(revised in 2004) for all levels of school facilities should be amended as soon as possible. To keep up with the changes in education trends caused by economic growth, there should be new standards for newly demanded facilities such as school forest, care rooms, counselling offices, and safety rooms etc. Moreover, standards for gymnasiums, classrooms, multi-use facilities, bathrooms etc should be amend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 Second, to provide school facilities that fit all conditions of different regions and schools, there should be separate standards for each region, for extended & remodeled schools, and newly-built schools. Third,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create school forest on the roof of the schools located in the downtown of Daegu city. Also, there should be institutional strategy that makes sure to create school forest when demolishing old school buildings due to urban center phenomenon. Fourth, it is required to make ideal school areas and build school facilities with the participation of not only experts in architecture and administration but also educational consumers and regional residents etc. Also, students and regional resi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actively in order to maintain the school facilities well. Fifth, we have to make a greater effort on reducing excessively big schools and overcrowded class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have an ideal school area model and facility criteria on the discussion of the ideal number of classes and students. Sixth, school facilities are public facilities. Thus, properly a structured system is needed so that local residents can use school facilities more conveniently while minimizing harms to students.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교시설 활용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만족도를 파악하고, 새로운 요구를 수용하여 학교용지를 다면적으로 활용한 미래지향적이고, 효율적인 초등학교 학교시설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및 학생의 운동장, 체육관, 교실, 특별실의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둘째, 학교에 추가로 필요한 시설이나 공간을 조사하여, 셋째, 학교용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한 초등학교의 이상적인 학교시설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 소속 초등학교 73개교의 학교시설 및 용지 활용에 대한 6학년 담임교사 및 6학년 1개 학반 학생의 만족도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는 SPSS 18.0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T-test, F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시설 만족도는 체육관 3.86 특별실 3.77, 교실 3.71, 운동장 3.51의 순으로 교사와 학생 모두 학교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요구 시설로는 인조 잔디 21.0%, 수영장 16.6%, 넓은 운동장 12.7%, 체육관 11.8%, 학교 숲 10.3%, 기타 9.6% 등의 순으로 나타나 학교 숲과 체육 시설에 대한 요구도가 전부라고도 할 수 있다. 둘째, 설립연도별 시설 만족도는 1906년~1950년에 개교한 학교가 전체적인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체육관 만족도는 1906년~1950년에 개교한 학교가, 운동장과 교실, 특별실 만족도는 1971년~1990년에 개교한 학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생 수별 시설 만족도는 401~700명의 학교가 운동장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400명 이하의 학교가 체육관과 교실, 특별실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상별ㆍ성별 시설 만족도에서는 교사들은 남교사와 여교사의 운동장 만족도가 같게 나타났으며, 체육관과 교실 및 특별실에 대한 만족도는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 또한 교사와 같은 경향으로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모든 시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별 시설 만족도의 편차는 크게 나타났다. 신설학교이거나 리모델링한 학교의 경우는 만족도가 높았으며, 1인당 교지 면적이 좁거나 건물이 오래된 학교의 경우는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특히 학급 및 학생 수가 많은 과대 학교의 경우는 넓은 운동장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가 많았으며, 도심에 위치한 학교 일수록 학교 숲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4년에 개정된 각급학교 시설 기준을 조속히 개정하여야 한다. 경제 성장에 따른 시대적인 변화에 맞추어 학교 숲, 돌봄 교실, 상담실, 지킴이실 등 새롭게 필요한 시설의 기준을 마련하고, 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른 체육장, 교실, 특별실, 화장실 등에 대한 기준도 변경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 및 학교의 여건을 감안한 학교 시설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시․도 교육청별로 하나의 시설 기준만을 적용하는 것에서 벗어나 구지역과 군지역 그리고 증․개축과 신설 학교 기준을 별도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대구광역시 도심에 위치한 학교의 건물 옥상을 이용하여 학교 숲을 조성하도록 적극 권장하고, 도심 공동화로 인한 학교 노후 건물 철거 시에는 반드시 학교 숲을 조성하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넷째, 학교 공간을 구성하고 시설을 할 때에는 건축 및 행정 전문가는 물론이고 교육수요자와 지역 주민 등이 참여하여 수요자 중심의 이상적인 맞춤형 학교 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 시설을 유지․관리하는 일에도 학생 및 지역 주민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 과대 학교 및 과밀 학급 해소에 적극 노력하고, 이상적인 학급 및 학생 수에 대한 논의에 따른 이상적인 학교 공간 모형과 시설기준이 필요하다. 여섯째, 학교 시설은 공공시설이다. 따라서 학교 숲과 체육 시설, 도서관 등을 비롯한 학교 시설을 학생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지역 주민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구조적․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 小規模 下水處理施設의 運營方法 改善을 通한 放流水質 向上 硏究

        신경식 충북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nstruction of sewerage system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both environment protection and public health. As a part of these purposes, since 1970, the government has made a sustained effort to increase the supply of sewerage system in Korea, resulting in achieving the prevalence of sewerage system of 83.5% on the national average. However, in some small scale sewage treatment systems (STP), effluent quality criteria has not been satisfied due to the low carbon to nitrogen ratio (C/N ratio) of influent and the false operation of STP. In the present study, seven small scale STPs, which are located in the upper stream of Yongdam dam, were evaluated by surveying effluent quality and if the STP didn't satisfy effluent quality criteria, the retrofit of STP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nhance the removal performance of pollutants. In the result, effluent quality criteria was not satisfied in some STPs due to inadequate operations and low influent loading rates. Therefore, seven STPs were retrofitted by controlling aeration for effective nitrogen removal and seeding the activated sludge to maintain the concentration of mixed liquor suspended solid (MLSS) of 700 mg/L. After the retrofit of seven STPs, the enhancement of 10-20 % for nitrogen removal was observed in five STPs except in two STPs. It is speculated that the reason why the enhancement of removal efficiency in two STPs was not observed is due to the low loading rate of influent. Consequently, the enhancement of nitrogen removal efficiency would be possible by controlling aeration time or aeration on-off in existing STPs. However, it would be difficult to expect the enhancement of nitrogen removal when the loading rate of influent is too low.

      • 스마트워크 기반 정보서비스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신경식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웹2.0 시대의 도래와 함께 스마트워크 기반 정보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콘텐츠와 디바이스가 개발됨에 따라 최근 급속하게 그 이용자수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크 기반 정보서비스의 개인적 영향 요인과 사회적 영향 요인을 측정하고 이들이 각각 스마트워크 기반 정보서비스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스마트워크 기반 정보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먼저, 스마트워크 기반 정보서비스가 제공하는 정보의 양이 이용자가 원하는 만큼 충분한 양이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정보의 관계유지를 개선해야 한다. 셋째, 정보를 제공받는 소통 및 방법이 쉽게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식에 받아 볼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개인정보에 대하여 프라이빗 공간 내에서 관리되어야 한다. 여섯째, 이용자의 호기심을 유발시켜야한다. 마지막으로 이용빈도와 접속시간에 따른 차별화된 혜택과 정보제공 수준의 차별화가 필요가 있다.

      • 폴리에스터 섬유와 펄라이트로 구성된 수처리용 여과소재의 여과 특성 및 기계적 특성연구

        신경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자동차용 흡음재로 사용한 폴리에스터 섬유를 이용한 수처리용 필터 카트리지 제조 공정을 연구하였다. 수처리용 필터의 경우 기계적 메커니즘은 중력 침강, 확산, 차단, 관성 충돌로 여과 소재의 섬유 상 (fiber phase)에 입자를 포집한다. 이 연구에서는 섬유와 수용성 페놀 수지를 사용하여 수처리용 필터 카트리지 소재를 제조 하였으며, 펄라이트의 함유량을 각각 10, 20, 30, 40, 50wt.% 이고 여과 소재의 여과 효율에 미치는 영향 및 기계적 강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수용성 페놀 수지의 함량이 10, 20, 30, 40, 50wt.%이고 일정한 압력으로 성형할 때 페놀 수지의 결합에 의한 기계적 강도 특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도 연구하였다. 즉, 자동차용 흡음재로 사용된 장섬유로 이루어진 흡음재를 습식 비팅(beating)법을 이용하여 단섬유로 제조한 후 이를 페놀 수지로 접착하여 수처리용 필터 카트리지 소재 제조 공정을 연구 하였다. 여과 성능 시험기로 여과 효율을 측정한 결과 펄라이트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효과 효율은 증가 하였으나, 필터의 압력 손실 실험에서는 압력 손실이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0wt.%이상으로 펄라이트를 첨가 하였을 때 압력 손실의 폭이 크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여과 소재의 기계적 강도는 정속인장 시험기(Instron model 4204)를 사용하여 ASTM D 5034의 cut strop 인장 ㅅ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 페놀 수지의 경우 30wt.%이상으로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였을 때 여과 소재의 인장강도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펄라이트 역시 30wt.%로 첨가 하였을 때부터 필터소재의 인장 강도가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단섬유로 이루어진 필터소재의 Young's modulus 또한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자 주사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으로 여과 소재의 표면 분석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섬유 사이에 자리 잡고 있는 펄라이트가 페놀 수지에 접합과 함께 섬유와 섬유상에서 또 다른 결합을 이루면 서 강도가 증가 하는 효과는 나타내는 것이며, 과량의 페놀수지는 섬유 이외에 자존 페놀 수지의 경화에 의한 인장 강도 상승요인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 실험의 결과로부터 폴리에스터 섬유를 이용한 수처리용 카트리지 필터 소재의 제조 공정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무지 첨가제로 사용한 펄라이트가 여과 효율 증가 및 기계적 강도 증가에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Abstract Resin-bonded cartridge filter media are widely used as main element in water purification systems. The cartridge filter media based on composites with polyester fiber and perlite powder were prepared by beating method and the polyester fiber was dispersed in water. The aqueous dispersion of polyester fiber is poor with increasing aspect ratio, fiber content and rotation speed. The perlite contents of filter media were 10, 20, 30, 40, and 50wt.% respectively. The result of Instron measurement and SEM observation, the tensile strength and a perlite content of filter nonwoven were increased and Young's modulus was increased with perlite content. The tensile strength and Young's modulus has maximum value at 50wt.% of perlite content. The tensile strength of fiber/perlite composites was shown as a maximum value at 22MPa with perlite content of 10wt.%, and at 50MPa with perlite content of 50wt.%. The property of cartridge filter was charactered by water filter test machine with content of carborundum. The filtration efficiency was objected as 95% with perlite content of 30wt.%. The value of pressure drop was 0.17kgf/cm2 after running of filtration test for 17min. There for the high performance resin-bonded filter requires some polymer fiber/ceramic composites depend on its content ratio.

      • 폰툰형 부방파제의 소파성능에 관한 연구

        신경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A floating breakwater is a simply moored floating structure on the surface in order to reduce wave energy. For this reason, it can be constructed quickly independent of depth and taken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advantages to circulation of water under the structure different from a gravity type breakwater. On the contrary, domestic research on floating breakwater has been only carried out theoretically. Therefore, the further substantial research is necessary for commercialization of a floating breakwater. In this study, the hydraulic model tests were carried out to suggest the design data for constructing of a pontoon type floating breakwater in the near future. It was performed in a two-dimensional wave flume to find out the effects of structure draft and size on reflection and transmission coefficient. Moreover, energy dissip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pontoon type floating breakwater by structure size. As a result of hydraulic model test, reflection and transmission coefficients were showed high performance in deep wave (kh ≥ π) and draft which was 20 % of water depth. It showed 0.5 ~ 0.7 of energy dissipation coefficient at the wave period of under 5 sec that was converted into a prototype condition.

      • 금융권 차세대 정보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의 효율적 관리 방안 연구 : H은행 차세대 시스템 중심으로

        신경식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업생존을 위한 경쟁은 점점 치열해 지고 있으며 특히 국내적으로는 IMF과정을 거치며 생존과 직결된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보기술이 경쟁력의 핵심으로 자리잡게 되고 대규모 정보화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가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다양한 정보화 시스템 구축을 서두르고 있으며 기업은 필요충분조건으로 기업 정보화에 대규모 투자를 시작하게 되었다. 따라서 기업은 대규모 정보화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효율적, 효과적인 프로젝트 관리 방안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규모 정보화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논리적•학문적 이론을 근거로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이를 실제 정보화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를 수행한 기업에 사례 적용하여 업무에 적합한 방법 및 절차를 포함한 정보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프로젝트 Life Cycle을 기반으로 프로젝트 관리 단계를 제시하고, 각 단계별 영역 프로세스 중심의 효율적인 프로젝트 관리방안을 도출하여 실제 업무에서의 가이드라인을 설명하였다. 특히 실질적으로 시스템 분석, 설계 그리고 개발이 이루어지는 ‘Monitoring & Controlling’ 단계에서는 7개의 프로젝트 관리 요소(일정, 위험, 형상, 의사소통, 인력, 변화, 범위 및 요구사항 관리)를 제시하고 각 요소 별로 수행되는 관리활동의 구체적인 프로세스와 주요 산출물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프로젝트 관리를 이론적•학문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적용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의 한계를 극복한 것이고 실무적 관점에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세스 중심의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은 실제로 금융권 차세대 정보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기업에 적용한 프로젝트 관리를 소개함으로써 다른 기업의 정보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As the competition among enterprises gets severe, they are trying to get various attempts for competitive advantages to be connected survivor domestically and as information technology became essential to their competitive capability, many companies are actively pursuing big-scale information-oriented system project, so they are rushing IT information system implementations to achieve their business goals, have come to realize that they a must for massively investing in corporate information-oriented system. Consequently, corporations feel the need for a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project management strategy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such a big-scale information-oriented system project.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offer a management plan for big-scale information-oriented system projects. This has introduced a project management process based on an actual company to implement a information-oriented system project, and developed a information-oriented system management methodology, which had a good head for business. This paper presents management phases based on project Life Cycle and provides a guideline for real business activities in each phase. Especially In the Monitoring & Controlling phase, this paper draws out specific processes and deliverables for seven element’s activities and tasks. Seven elements of project managements are as follows – schedule, risks, change requests, communication, change managements, scope and demands.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he fact that w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a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 which would be applied to other companies in their project management because developed from a practical business process based on an actual compa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