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영어 읽기 수업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읽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방현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영어 읽기 수업이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영어 읽기 수업모형과 영어 읽기 활동자료를 구안하여 수업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 A 고등학교 1학년 110명으로 연구 집단과 대조 집단을 동질하게 구성하여 12차시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영어 읽기 수업을 실시한 연구 집단이 기존의 영어 읽기 수업을 실시한 대조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어 읽기 능력의 향상을 보였다. 둘째, 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영어 읽기 수업이 학습자의 영어 읽기 능력 향상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집단과 대조 집단 내 학습자들을 상·하위로 나누어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성취도(상·하)에 따른 영어 읽기 능력향상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Flipped Learning으로 영어 읽기 수업을 실시한 연구 집단의 상·하 수준의 학습자 모두에게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어 읽기 능력의 향상이 보였으나 기존의 영어 읽기 수업을 실시한 대조 집단의 상·하 수준의 학습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어 읽기 능력의 변화는 없었다. 연구 집단과 대조 집단의 영어 읽기 성취도와 수업 중의 학습과정을 자세히 관찰하였을 때, 연구 집단의 경우 상·하 수준의 모든 학습자의 읽기 성취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수업 시간 중 조원들과 활발한 의사소통을 통해 문제해결에 핵심이 되는 중요한 발화들이 늘어났으며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조 집단의 경우 읽기 성취도가 상 수준인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성취도의 평균은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하위 수준의 학습자의 경우도 영어 읽기 성취도의 평균이 소폭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이는 연구 집단의 학습자들이 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영어 읽기 수업에 참여하며 사전 과제를 통해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하고 수업에 임하였고 읽기 성취도가 다양한 학습자들이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깊이 있는 학습을 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즉 조원들과 활발한 상호작용과 정보교류를 하게 되면서 기본 개념 이해에서 더 나아가 기본 개념을 응용, 분석, 평가 및 창조해 보는 상위 인지를 사용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모든 수준의 학습자의 영어 읽기 성취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대조 집단의 학습자들은 기존의 영어 읽기 수업에 참여하며 기본 개념에 대한 교사의 강의를 듣고 심화된 내용은 개별 과제로 해결하였으므로 성취도가 다른 학습자들 간의 의사소통이 빈번하게 이뤄지진 않았다. 또한 상위 인지를 사용하는 과정도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하였고 그로 인해 영어 읽기 성취도가 다소 향상은 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영어 읽기 수업을 받은 학습자들은 영어 학습에 대한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연구 집단(55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정의적 영역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한 결과 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영어 읽기 수업이 학습자의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 자기 주도적 학습, 동료들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의 양, 동료 및 교사에 대한 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영어 읽기 수업은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성취도가 다른 학습자들이 공통의 조별 과제를 통해 활발한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을 하게 되면서 상·하위 학습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어 읽기 성취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영어 읽기 수업은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을 향상시켜 주었으며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 학습자들과 동료들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의 양이 늘어났으며 동료 및 교사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영어 읽기 수업을 통해 교사가 다양한 학습자의 개별화된 학습을 돕고, 학습자들이 교실 수업 중 성취도가 다른 학습자들과 공동의 과제를 수행하며 배운 정보를 분석, 적용, 평가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활동을 하는 것이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의 향상과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 올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교사들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공유와 직무효과에 관한 연구

        방현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ough, so online community of the teachers sharing knowledge and working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s.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knowledge sharing through online communities What is the status line of the general? Second, through the online community of teachers mainly functional areas which so share a certain degree of knowledge in the field? Third, the degree of knowledge sharing through online communities of teachers in working performance is there any relationship?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and research studies were combin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 Seoul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working class, the Seoul, 17 schools were random access sampling. Total of 4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data processing part of the recovery has been, part 322, except that the response has poor study were analyzed. The analysis for this study used a cross-validation methods, descriptive statistics, t - probate, F probate, i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knowledge in knowledge sharing through online communities provide much more accommodating than the knowledge and knowledge is not available almost a week, 2-3 times to accommodate knowledge. In addition, access and retrieval of online communities per hour less than 30-1 minutes generally, the majority of the responses, respectively. Teachers share through the online community, and help a lot of knowledge to do their workings, and the response was that utilize a lot of working, education, experience shows that ver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eachers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the online community of the area compared to other areas of knowledge, and actively engaged sharing, classroom, school administration and share relevant knowledge that proved the least. With respect to the knowledge available of the background variables did not differ much knowledge, acceptance and respect with regard to career in teaching and learnin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online community the higher the degree of knowledge sharing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classroom management, and life guidance, classroom, school administration and related workings, increase the effect, that the more experienced teachers share knowledge with in the online community for the positive performance of working affect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irst, teachers provide the knowledge and acceptance can actively engaged participate in all the activities that are needed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Second, the recognition of individually teachers on sharing knowledge and improving the composition of the atmosphere is required. Third, knowledge sharing through online communities of teachers that can be done actively worrying about what measures are necessary.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공유와 직무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공유의 일반적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교사들은 직무영역 중 주로 어느 분야의 지식을 어느 정도 공유하는가? 셋째,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공유 정도와 교사의 직무효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조사대상자는 서울시내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학급 담임으로, 서울시 17개 학교를 무선 표집 하였다. 총 400부의 설문을 배부하여 회수된 것 중, 응답이 부실한 것을 제외한 322부를 가지고 연구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분석방법은 교차검증, 기술통계, t검증, F검증, 중다회귀분석이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공유에서 지식제공보다 지식수용을 더 많이 하고, 지식제공은 거의 하지 않으며, 일주일에 2-3회 정도 지식을 수용한다. 또한 온라인 커뮤니티의 1회당 접속 및 검색시간은 전체적으로 30분∼1시간 미만이라는 응답이 대다수였다. 교사들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공유한 지식이 직무수행에 많은 도움이 되며, 직무에 많이 활용된다고 응답했으며 교육경력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교수·학습 영역의 지식을 다른 영역에 비해 활발하게 공유하고 있으며, 학급·학교 행정업무와 관련한 지식은 가장 적게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식의 제공과 관련하여서는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없었으며, 지식의 수용과 관련하여서는 교수·학습에서 경력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공유 정도가 높을수록 교수·학습, 학급경영 및 생활지도, 학급·학교 행정업무와 관련한 직무효과도 높아지며, 저경력 교사일수록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공유는 직무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들이 지식을 제공하고 수용하는 활동 모두에 활발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직무여건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식공유에 관한 교사 개개인의 인식 개선과 분위기의 조성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들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공유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 동화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방현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hematics education using children’s stories on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in mathematics, which may provide preliminary data to the mathematics teaching method using children’s stories at nursery schools. The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defined to be tackled in the study. First, do the mathematics education using children’s stories affect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early children in mathematics? Second, wa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problem-solving ability depending on sex as a result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using children’s stories? 108 children at the age of 5 were chosen from ‘S kindergarten ’in Mia-dong, Seoul as the subjects, 54 of which were categoriz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of th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and then mathematics education using children’s stories was performed with the subjects. The tests for problem-solving ability in mathematics, which were used as a prior- and post-test, were designed at the level of the fundamental mathematics of early children to examine how early children solve problems using different approaches. This study introduced the test method developed by Kim, Hyun ju based on the nursery curriculum, 5th and 6th edition (1994,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rinciples of model development in mathematics curriculum for children aged 3 to 5 (Kwon, Lee & Lee, 1998) The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has been analyzed by SPSS WINDOWS 12.0 software. Prior-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llowed by the calculations of their mean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s. Then, paired t-test was performed in order to see if there is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ints. Provided that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ulted in improvement in the post-tests compared to the prior-tests,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using the corresponding post-test points. In terms of sex difference, independent t-test was carried out with the prior- and post-tests depending on sex.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st results have been compared and analyz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mathematics education using children’s stories on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early children, and demonstrate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by the mathematics activities using children’s stories has achieved significantly improved problem-solving ability in mathematics as opposed to the control group. Looking at the sub-categories of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significant differences are found in all the four sub-categories; ‘classifying and ordering’, ‘understanding principles of number’, ‘understanding principles of space’ and ‘experiencing statistics in life’. Second, the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ies have been compared between the male and female children after a series of mathematics sessions using children’s stories, and a significant sex difference is detected. It is shown that the female children achieve better problem-solving abilities, overall. In particular, a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in the sub-category, ‘experiencing statistics in life’. However, the subjects have been evenly improved in other sub-categories with no sex difference. Such difference may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girls are relatively better in concentrating than boys and love to read. According the result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mathematical activities using children’s stori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early children in mathematics. Mathematical activities using children’s stories may also provide a good teaching method since they are helpful to motivate early children under mathematical circumstances and to improve their problem-solving abilities. In conclusion, children’s stories have to be chosen appropriately depending on children’s interests and development status so that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children could be strengthened in mathematics.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children-centered education programs such as interesting mathematics teaching methods or mathematical activities which may help early children to pay attention to or become interested in mathematics.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발달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동화를 통한 수학활동이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동화를 활용한 수학활동의 적용에 대한 교수학습 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를 활용한 수학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동화를 활용한 수학활동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미아동에 소재한 S유치원의 만5세 유아108명을 실험집단 54명과 비교집단 54명으로 구성하여 동화를 통한 수학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사전, 사후 검사에 사용된 유아용 수학적 문제해결 능력검사는 유아들의 수학적 기초개념을 토대로 하여 다양한 해결책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써 김현주(2000)가 제5차, 6차 유치원 교육과정(교육부, 1994)과 만3·4·5세 유아를 위한 수학교육과정 모델개발의 준거(권영례, 이영자, 이정욱, 1998)에 기초하여 제작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한 두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증가분 점수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사전 검사에서 사후 검사가 향상된 경우는 사후 검사 점수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성별 차이는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 사후 검사별로 남녀별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를 통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비교·분석해 본 결과, 동화를 통한 수학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수학활동을 경험하지 못한 비교집단보다 수학적 문제 해결력에서 향상정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적 문제해결력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분류하기와 순서 짓기’, ‘수의 기초개념 이해하기’, ‘공간에 대한 기초 개념 알기’, ‘통계와 관련된 경험하기’ 등 4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동화를 통한 수학활동을 실시하여 남아와 여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을 비교분석해 본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여아는 남아보다 전체적인 문제해결력에서 성취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 중에서는 통계와 관련된 경험하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다른 영역에서는 남아와 여아 간 차이 없이 고르게 향상되었다. 이 같은 차이는 여아가 남아에 비해 상대적으로 집중력이 높고, 책읽기를 좋아하는 경향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실험은 연구기간이 짧고, 인원이 소수로 한정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다. 또 남아와 여아의 성별에 따른 수학 문제해결력 성취도 차이는 단순히 유치원 교육 현장에 국한되지 않고, 성장과정 및 생물학적 특성까지도 고려해서 조사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그 객관성에 대해서는 다시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동화를 통한 수학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 활동임을 분명히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동화를 통한 수학활동은 유아에게 수학적 상황에서 내적 동기유발을 일으키게 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교수방법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아의 흥미와 발달단계에 맞는 동화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며, 유아들이 수학에 관심과 흥미를 갖도록 수학활동 교수방법을 연구하고 유아에게 맞는 수학활동방법을 고안하는 등 유아를 배려하는 교육적인 자세가 중요하다 하겠다.

      • 주희의 태극 형이상학과 그 전승

        방현주 건국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Zhu-Xi(朱熹)’s metaphysics is composed of cosmogony(宇宙生成論) and ontology(本體論). In his metaphysics, Taiji(太極) is assumed as the origin(根源) and the first principle(本體) of the universe. By the way, saying that Li(理) is the origin and the first principle of the universe means that Li is the ultimate principle which is the first cause for the generation of the universe and all creatures. So, in the Taiji metaphysics of Zhu-Xi, it must be assured that Taiji is the foundation and generation of the universe. But according to Zhu-Xi, Li is the metaphysical principle of the Being, so Li do not have any movement such as condensation(凝結) and operation(造作) of Qi(氣). At the same time, he affirmed Li’s activity by saying that ‘Li creates Qi(理生氣).’ In such a manner, Zhu-Xi’s conflicting explanations about Dong-Jing(動靜) of Li caused confusion about if Li has Dong-Jing or not. This is not a problem which only affects Zhu-Xi’s philosophy but also has a great effect on a historical review about Yi-Hwang(李滉) and Yi-Yi(李珥)’s metaphysics of Taiji. Furthermore, if Li does not have Dong-Jing, the activity of Li which is considered as the origin of the universe shall be negated either. Then, can it be true that Li is the origin of the universe? Due to these problems, a number of Zhu-Xi philosophy researchers did not express unified views about Li’s Dong-Jing but suggested diverse opinions. The scholars have different opinions because they have understood Li’s Dong-Jing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gain it is also because Zhu-Xi expressed conflicting opinions about Li’s Dong-Jing. In other words, it seems that the aforesaid confusion was caused by Zhu-Xi’s conflicting statements about Dong-Jing of Li. Moreover, confusion caused by different statements about Dong-Jing of Li is not only applied to the philosophy of Zhu-Xi but also had a great effect on historical reviews about the metaphysics on Taiji of Yi-Hwang and Yi-Yi, who succeeded and developed Zhu-Xi philosophy. Generally speaking, Yi-Hwang is praised since he surpassed Zhu-Xi in that he affirmed Li-Fa(理發), Li-Dong(理動), Li-Dao(理到). In this respect, Yi-Hwang is evaluated not only as having succeeded to the studies of Zhu-Xi but also having gone beyond the scope of the studies. And Yi-Yi is praised that he is faithfully upholding Zhu-Xi’s cosmology in that he denied mutual stimulation of Li and Qi(理氣互發). But these evaluations about Yi-Hwang and Yi-Yi are just fragmentarily based on Zhu-Xi’s explanations that Li does not have any motion(理却無情意, 無計度, 無造作), and they disregard the fact that Zhu-Xi affirmed Li’s activity. However, we cannot easily conclude that if Li has Dong-Jing or not by citing any one-sided opinions after scrapping or reducing the other opinions about Taiji’s Dong-Jing, in consideration of such an assertion that Zhu-Xi understand Taiji which is defined as Li and which is the origin of the univer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tall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Li’s Dong-Jing within the scope of the Zhu-Xi’s metaphysics of Taiji, after accepting all Zhu-Xi’s conflicting opinions about Li’s Dong-Jing and about Taiji as the origin and the first principle of the universe but not scrapping or reducing any of the opinions, and to figure out the opinions of philosophical relationships with Yi-Hwang and Yi-Yi’s metaphysics of Taiji. Furthermore, by noting that Li is the ultimate origin in his metaphysics of Taiji, Zhu-Xi affirmed Li’s activity and that it’s self-manifesting activity(自己展開). In addition, it is also noted that the core of Zhu-Xi philosophy is the absoluteness of Li and Taiji. In particular, this paper is to pinpoint that, in Zhu-Xi’s Taiji metaphysics, Li is an absolute factor and Li’s Dong-Jing is the metaphysical activity which is discriminated from the physical Dong-Jing of Qi which can be condensed and operated. Moreover, based on such an understanding of Zhu-Xi’s Taiji metaphysics, we have examined how about, two representative Zhu-Xi scholars, Yi-Hwang and Yi-Yi’s understanding of Taiji in the scope of Taiji metaphysics and what relationship is there between their understanding and Zhu-Xi’s philosophy. Finally, we have also noticed that Zhu-Xi’s Taiji metaphysics contains all and every property which may instigat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Li’s Dong-Jing. 주희의 태극 형이상학은 우주생성론과 본체론으로 구성되는데, 여기에서 보편적 존재원리[理]인 태극太極은 우주의 ‘근원’이자 ‘본체’로 상정된다. 그런데 리가 우주생성의 근원이자 본체라는 것은 곧 리가 우주 만물을 생성하는 제 1원인이자 우주만물의 존재 그 자체를 근거 지워주는 궁극원리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희의 태극 형이상학 안에서 태극은 우주의 존재근거가 됨과 동시에 우주를 생성하는 작용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주희는 리의 동정動靜에 대하여, 리는 형상을 초월한 이치이므로 기와 같이 응결凝結 · 조작造作하는 운동을 할 수 없다고 말하면서도, 동시에 ‘리는 기를 낳는다[理生氣]’와 같이 리의 작용을 긍정하였다. 이와 같은 리의 동정에 대한 주희의 상반된 진술은 리의 동정 여부에 대한 혼란을 야기하였으며, 더 나아가 만약 리가 동정할 수 없는 것이라면 우주의 근원으로 상정된 리의 작용 역시 부정될 수밖에 없으며, 그렇다면 리는 과연 우주생성의 근원이 될 수 있는 것인가와 같은 문제를 야기하였다. 바로 이런 점으로 인하여 수많은 주희 연구자들은 주희의 태극 형이상학에 대하여 통일된 정설定說을 형성하는 대신 다양한 입장을 제시하게 되었다. 각 학자들의 견해가 서로 다른 것은 리의 동정에 대해서 각기 다른 각도에서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며, 이것은 다시 주희가 리의 동정에 대하여 상반된 입장으로 진술한 것에 기인한다. 즉, 리[太極]의 동정에 대한 주희 자신의 상반된 진술이 이러한 혼란을 야기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리동정에 대한 상이한 진술로 인한 혼란은 단지 주희철학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며, 이것은 주희철학을 계승하여 자신의 철학으로 발전시킨 이황과 이이에 대한 철학사적 평가에 대해서도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이황은 ‘리발理發’ · ‘리동理動’ · ‘리도理到’를 긍정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특색을 지니며, 이 점이 바로 주자학을 계승하면서도 주자학을 뛰어넘는 이유라고 평가된다. 또한 이이에 대해서는 그가 ‘리기호발理氣互發’을 부정하고 리의 ‘무정의無情意’ · ‘무계탁無計度’ · ‘무조작無造作’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이황보다 본래의 주자학에 더 투철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이황 · 이이에 대한 이와 같은 평가들은 모두 주희가 “리는 감정도 없으며 사려함도 없으며 조작함도 없다”라고 말한 것을 근거로 주희가 리의 동정을 부정했다는 판단에 기초한다. 그러나 주희의 철학에 있어서 리의 동정문제는 간단하게 단정될 수 없으며, 오히려 주희가 리로 규정된 태극을 우주생성의 근원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점이나 리의 동정 여부에 대하여 상반된 입장을 말하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한다면, 태극의 동정문제에 대하여 어느 한 입장만을 근거로 다른 한 입장을 폐기 혹은 축소한 채 리는 동정할 수 있다 혹은 없다라고 단정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리의 동정문제에 대한 주희의 상반된 입장과 리로 규정된 태극을 우주의 근원이자 본체로 이해하는 입장을 모두 수용하여, 어느 하나를 축소 혹은 폐기하는 대신 이러한 주희의 우주에 대한 이해를 종합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주희철학의 핵심이 리와 태극의 절대성에 있다는 사실을 통해 이렇게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주목하였다. 특히 주희의 태극 형이상학 안에서 리가 절대적 지위를 점하고 있다는 사실을 통해 리의 동정이 응결 · 조작하는 기의 형이하적 동정과는 구분되는 형이상적 작용임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주희의 태극 형이상학에 대한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대표적인 주자성리학자인 이황과 이이가 그들의 태극 형이상학 안에서 태극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그리고 이러한 이해가 주희의 철학과 어떤 연관성 속에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주희의 태극 형이상학 안에 이들의 리동정에 대한 상이한 이해를 촉발할만한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 공동주택 그린 홈 홍보관에 적용된 친환경 디자인 현황 및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2010년 이후 분양된 민간건설사 사례를 중심으로

        방현주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rket for environment-friendly energy saving houses called green home is quickly growing as the government expanded their incentives for environment-friendly energy saving houses. Green homes are energy saving houses that reduces the total energy usage or the total carbon dioxide emission by using new or renewable energy such as sunlight, solar heat, geothermal heat, and wind power. Green home is receiving attention as the new type of housing for the new generation where there is a shortage in energy resource and issues regarding global warming, setup, and natural disasters. Amid these problems, International Energy Agency or IEA introduced zero energy building strategies such as reducing HVAC system and modularizing renewable energy constructio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England have presented their plans to reduce green-house gases in buildings. The Korean government also aims to reduce the national energy usage by 40% or more by the year 2030, reaching the standards for developed countries. To fulfill this goal, the Ministry of Land and Transportation introduced a low-energy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 model called ?green home plus? in July, 2010. Also, with the government?s increased incentives on environment-friendly energy saving houses. the adoption of green home will speed up. The government is working on related policies to save energy in apartments, however under the existing policies, there is no concrete measure on how to save energy through environment- friendly design element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lies on organizing environment- friendly elements for energy saving houses after classifying them and analyze the types of environment-friendly designs of apartments that are currently being sold. For clarity, the targets green home promotion centers which display the residential development concept to show the trend were limited to the ones that are open as of October, 2011. Also they were also limited to private construction companies with similar selling price. By study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of adopting environment-friendly design policies and certification, this study looked at where we stand right now. And I proposed a unified range to allow comparison of environment-friendly design items by visiting green home promotion centers operated by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ion and construction companies and collecting data. To analyze the types of environment-friendly design for apartments, I selected the Green Hill State? by company E, which was the last green home promotion center by a private construction company to be opened, as the target and looked at the apartments sold from the opening date, September, 2010, to present, October, 2011. The research procedure included understanding the trend in elements for green home promotion centers, drawing 3 elements for analysis (renewable energy, human-friendly, and environment- friendly), and studying a total of 19 model houses by either visiting or observing their websites. Through above procedures, this research organized the environment-friendly elements for energy saving houses after the classification and based on these elements, it analyzed the environment-friendly design types of apartments currently being sold. The results and proposal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alysis on environment-friendly design applied for apartment green home promotion centers are: 1. By considering the theory and certification on environment- friendly design and analyzing technical elements in construction companies green home promotion centers, 3 elements were drawn, which are renewable energy, human friendly, and ecologically Friendly. Based on these, the case study on construction companies were held, and the technical elements of environment-friendly design proposed by the companies were studied and analyzed under a unified range. 2. The order of application of environment-friendly design elements displayed in the construction companies green home promotion centers was energy management and efficiency measure using solar power(35%) > utilization of energy material such as vacuum insulation panel (14%) > maintenance (10.6%) > utilization of water resources (9%) > air quality (5.9%). Among various state-of-the-art technologies applied in the green home promotion centers, there were a limited number of technologies that can actually be applied to the existing apartments. However it is seen as a positive effort to make these technologies commercial in the future. 3. The order of environment-friendly design elements applied for apartments was renewable energy element (72%) > human friendly element (19.8%) > ecologically Friendly element (8.2%). Renewable energy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to prepare for energy shortage and the global warming, however it has gotten on the track. Therefore human friendly elements and ecologically Friendly elements should be more considered and applied. Seco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ypes of environment Friendly designs applied in apartments currently being sold are: 1. Regarding the types of energy saving elements applied in apartments, items such as "street light with photovoltaics system, recycling of rain using rain-collecting device, electric system that shuts-off stand-by electricity, and high-quality condensing boiler" were mainly applied. 2. Regarding the types of human-friendly elements applied in apartments, items such as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each room, indoor ventilation system, environment-friendly DNA filter" were mainly applied. The ecologically Friendly elements or creating renewable energy are made to be applied outside the apartments whereas the human-friendly elements are mostly made to be applied inside the apartments where it is convenient for residents? use. I propose that the items considering vari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space, noise level between floors, and care for elderly and disabled occupants, should be added so that the occupants can feel the environment friendliness of the design. 3. Regarding the types of ecologically friendly elements, "aquatic biotope" was commonly used and "the design of terrace using hills and the application of rooftop-recording" were notable. The ecologically friendly elements mean more in ecological sense as to deal with climate-change than in landscaping sense. Therefore in planning the apartment complex, I propose that the importance of ecologically friendly elements should be recognized and it should be applied. Lastly, most of the application of environment-friendly design elements are focused on new buildings. However there are a lot of existing apartments calling for a renovation or a reconstruction. Therefore studies on how to apply these environment-friendly design elements on reconstructions and renovation of apartments should be conducted simultaneously. 최근 들어 정부의 친환경 에너지 절감 주택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을 확대함에 따라 에너지 절약형 친환경 주택 그린 홈(Green Home)에 대한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그린 홈은 태양광, 태양열, 지열 및 풍력 등 신, 재생에너지 이용기술 등을 이용하여 주택의 총에너지 사용량 또는 총 이산화탄소배출량을 절감할 수 있는 에너지절약형 친환경 주택을 말한다. 그린 홈은 에너지 자원이 부족하고 구 온난화, 해수면 상승, 자연재해 등의 피해를 겪고 있는 현 시대에 대안적 주거유형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제 에너지기구(IEA)가 건물 냉난방부하 감소기술, 신재생에너지 건축 모듈화 등 제로 에너지 건축 추진 전략을 내세운 가운데 미국, 일본, 영국 등 선진국들이 건물 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발표하고 나섰다. 우리 정부도 2030년까지 국가 에너지 이용효율을 40%이상 개선해 선진국 수준으로 감축한다는 목표이다. 이를 위해 지난 2010년 7월 국토부에서도 저에너지 친환경 공동주택 모델 그린 홈 플러스를 선보였다. 또한 최근 정부가 친환경 에너지 절감주택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을 확대함에 따라 그린 홈시대 진입이 한층 빨라질 전망이다. 또한 정부에서는 공동주택 에너지 절감을 목표로 관련 정책들을 진행하고 있으나, 현행 제도에서는 친환경 설계요소를 통해 어떻게 에너지를 절감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친환경 에너지절감형 주택으로 디자인하기 위한 친환경 요소를 분류하여 분석항목을 정리하고, 그 요소들을 중심으로 현재 분양되고 있는 공동주택들의 친환경 디자인 유형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 친환경 주택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주거단지개념을 전시해놓은 그린 홈 홍보관은 조사의 명확성을 위해 2011년 10월 현재 개관 중인 곳으로 한정지었으며, 유사수준의 분양가로 비교할 수 있는 민간 건설사들을 기준으로 범위를 한정하였다. 국내, 외 친환경 디자인의 정책 및 인증제도의 적용사례를 통해 현재 위치에 대해 가늠해 보며, 국내, 외 친환경 인증제도와 건설사들이 운영 중인 그린 홍보관의 방문 및 자료 수집을 통해 친환경 디자인 항목들을 서로 비교해 볼 수 있도록 통일된 범주들을 제안하였다. 또한, 공동주택의 친환경 디자인 유형분석을 위하여, 민간 건설사 중 그린 홈 홍보관이 가장 마지막에 건립된 E사 그린힐스테이트 오픈일, 2010년 9월부터 2011년 10월 현재까지의 분양된 사례를 조사범위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그린 홈 홍보관의 적용요소를 경향을 파악 하여, 지속가능한 에너지, 인간중심, 생태 친화적 요소의 3가지로 친환경 디자인 분석을 위한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총19개소 현장의 모델하우스 방문 및 홈페이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친환경 에너지절감형 주택으로 디자인하기 위한 친환경 요소를 분류하여 분석항목을 정리하고, 그 요소들을 중심으로 현재 분양되고 있는 공동주택들의 친환경 디자인 유형을 분석한 결론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주택 그린 홈 홍보관에 적용된 친환경 디자인 현황분석 결과는 1. 친환경 디자인의 이론 및 인증제도 고찰과 건설사 그린 홈 홍보관의 기술요소들의 분석을 통하여, 지속가능 에너지(Renewable Energy), 인간중심(Human Friendly), 생태 친화적(Ecologically Friendly)인 3가지 요소로 제안하며, 이를 중심으로 건설사 사례조사를 수행하므로, 건설사들의 제안한 친환경 디자인 기술요소들을 통일된 범주를 통해 조사 분석 하였다. 2. 건설사 그린 홈 홍보관에 적용된 친환경 디자인 요소들은 태양광을 활용한 에너지관리 및 효율방안(35%) > 진공 단열재 등 재료를 활용한 에너지 재료 이용(14%) > 유지관리(10.6%) > 수자원이용(9%) > 공기환경(5.9%)의 순서로 적용되었다. 이는 공동주택의 그린 홈 홍보관에 적용된 다양한 최신기술들은 현재 공동주택에 적용 가능한 요소들이 일부에 국한되어 아쉬운 점도 있지만, 그린 홍보관을 통해 향후 이러한 기술들을 상용화하기 위한 실행의 의지를 보여 주기 위한 긍정의 모습으로 판단된다. 3. 공동주택 분양 현장에 적용된 친환경 디자인 요소의 현황분석 결과는 지속가능한 에너지요소(72%) > 인간중심의 요소(19.8%) > 생태 친화적 요소 (8.2%)의 순서로 적용되었다. 이는 에너지 고갈과 지구 온난화에 대비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도하지만, 이제는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른 지속가능한 에너지의 활용보다는 인간중심 요소와 생태 친환경 요소의 적용방안에 대해서도 고려하여야 함을 제언한다. 둘째, 공동주택 분양현장에 적용된 친환경 디자인 유형분석 결과는 1. 공동주택 분양현장에 적용된 지속가능한 에너지 요소의 유형을 살펴보면 태양광 발전판을 부착한 가로등, 빗물을 모으는 장치로 우수의 재활용, 사용하지 않을 때 소모되는 전력을 차단해 주는 대기전력 차단시스템, 고성능 콘덴싱 보일러 등을 주로 적용하였다. 2. 분양중인 공동주택에 적용된 인간중심 요소의 유형을 살펴보면 실별 온도 제어시스템, 실내 환기시스템, 친환경 DNA필터 등을 주로 적용하였다. 생태 친화요소나 지속가능한 에너지가 공동주택 외부의 영역에 포함되어 있다면, 인간중심 요소의 유형들은 대개 재실자들의 편의를 위한 실내공간에 대한 유형들로 구성되어 있다. 공간의 가변성과 효율성, 음에 대한 차감의 층간소음 및 노약자나 장애자 배려의 디자인에 대한 항목들에 배가로 재실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친환경 디자인 공간으로 설계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3. 생태 친화적 요소의 유형을 살펴보면 수생 비오톱 적용은 일반화 되었으며, 그 외에 구릉지를 활용한 테라스설계와 옥상 녹화시스템의 적용이 눈에 띄었다. 생태 친화적 요소는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조경의 관점 보다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생태적 역할로서의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에 공동주택의 단지계획에 있어서 생태 친화적 요소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적용될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끝으로, 친환경 디자인 요소들에 대한 대부분은 적용은 신축건물에만 집중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 있는 공동주택들은 리모델링이나 재건축을 통하여 새 단장을 해야 하는 대상들이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개발된 친환경 디자인 요소들이 재건축 및 리모델링 공동주택에도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동시에 이루어져야만 할 것이다.

      • 濂溪 修養論의 이론근거와 그 전개

        방현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문초록:This thesis is written with a view to make clear the substance of Tai-ji(太極) by considering logical relationship of his cosmology, the ontology, the theory of human nature, and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Tai-ji(太極), the cause of all the things, gives it's property to all of creations which are including physical and spiritual being(undoubtedly including human being), when it creates all the things. In the course of creating, Tai-ji(太極) participates in all the matters universally. A rules of nature, Tai-ji(太極), is so faithful, for this reason a season changed one after another, the sun rises after the moon. And a birth must come to the end, in other words, death. There is no falseness on this faithful property of Tai-ji(太極). Reasonably this property was given to all the man. Although all the people have a good human nature, without any effort everyone can not be a Saint(聖人). It is because of one's disposition(氣質) which is partial. So to be the Saint(聖人), all the people have to overcome self-disposition by self-cultivation of reducing self-desire and doing self-reflection.Like this, Lian Xi's theories have a logical relationship. Based on this logical relationship, conclusively I say that Lian Xi's Tai-ji(太極) is Li(理) which Zhu Zi(朱子) had maintained. The reason is following. Lian Xi said every man can be the Saint(聖人). To be like that, all human being must have identical human nature which is not partial but universal. This does not means that one man have a good human nature and another man have a bad human nature. Based on this good human nature, all human being can be the Saint(聖人), and to be like this every man have to reduce self-desire and to do self-reflection. However if Lian Xi's Tai-ji(太極) is Qi(氣) which Xiang Shan(象山) had insisted, it is impossible for everyone to have a good human nature universally. The reason is that Lian Xi insisted disparity of Qi(氣). If all the people are created by the origin which is partial (Qi :氣), then everyone must have property of the origin that is not universal but partial. If that happens, someone have a good human nature and the others have a bad or intermediate human nature. By partial human nature, not everybody but some of them can be the Saint(聖人). This does not corresponds to his theories of self-cultivation. He exactly mentioned that every man can be the Saint(聖人). In conclusion, Lian Xi's Tai-ji(太極) is not Qi(氣) but Li(理)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